[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095263A - 인쇄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포토다이렉트 인쇄 장치 - Google Patents

인쇄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포토다이렉트 인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5263A
KR20030095263A KR1020030036087A KR20030036087A KR20030095263A KR 20030095263 A KR20030095263 A KR 20030095263A KR 1020030036087 A KR1020030036087 A KR 1020030036087A KR 20030036087 A KR20030036087 A KR 20030036087A KR 20030095263 A KR20030095263 A KR 20030095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printing apparatus
image supply
image
ds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6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1483B1 (ko
Inventor
야노겐따로
사까모또가즈야
아이찌다까오
고또후미히로
야마다아끼또시
다나까다쯔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95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5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1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14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7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printing apparatus, e.g. a laser beam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93Printer information exchange with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62Input arrangements for operating instructions or parameters, e.g. updating internal software
    • H04N1/00973Input arrangements for operating instructions or parameters, e.g. updating internal software from a remote device, e.g. receiving via the internet instructions input to a comput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33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 H04N1/33307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prior to start of transmission, input or output of the picture signal only
    • H04N1/33315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prior to start of transmission, input or output of the picture signal only reading or reproducing mode only, e.g. sheet size, resol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33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 H04N1/33376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r state of one of the communicating parties, e.g. available memory capac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1/00Still video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15Control of image communication with the connected apparatus, e.g. signalling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37Topological details of the connection
    • H04N2201/0041Point to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48Type of connection
    • H04N2201/0049By wire, cable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74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by the connected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4Digital still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04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user, sender, addressee, machine or electronic recording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78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33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 H04N2201/33307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of a particular mode
    • H04N2201/33314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of a particular mode of reading or reproducing mode
    • H04N2201/33321Image or page size, e.g. A3, A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33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 H04N2201/33307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of a particular mode
    • H04N2201/33314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of a particular mode of reading or reproducing mode
    • H04N2201/33328Resol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33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 H04N2201/33307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of a particular mode
    • H04N2201/33314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of a particular mode of reading or reproducing mode
    • H04N2201/33335Presentation, e.g. orientation, simplex, duple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Abstract

디지털 카메라(DSC)와 PD 인쇄 장치가 USB를 통해 직접 접속하고, 이미지 데이터가 DSC로부터 PD 인쇄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인쇄되는 인쇄 시스템에 있어서, PD 인쇄 장치의 캐퍼빌리티(Capability)는 PD 인쇄 장치로부터 DSC로 PD 인쇄 장치와 DSC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NCDP)에 의해 확립되는 통신 순서 후에 송신된다. PD 인쇄 장치는 송신된 캐퍼빌리티에 기초하여 DSC에 의해 설정된 인쇄 조건에 따라 인쇄 동작을 실행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인쇄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포토다이렉트 인쇄 장치{PRINTING SYSTEM, CONTROL METHOD THEREFOR, AND PHOTO-DIRECT PRIN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 등의 화상 공급 장치와 인쇄 장치를 갖는 인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과 포토다이렉트 인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간단한 조작으로 화상을 촬영하여 디지털 화상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촬상 장치), 소위 디지털 카메라가 널리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카메라로 촬영한 화상을 인쇄하여 사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통상 일단 그 촬영된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디지털 카메라로부터 PC(컴퓨터)에 저장하고, 그 PC에서 화상 처리를 행한 후, 그 PC로부터 컬러 인쇄에 출력하여 인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대하여 최근에는 PC를 통하지 않고, 직접 디지털 카메라로부터 컬러 인쇄에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여 인쇄할 수 있는 컬러 인쇄 시스템이나, 디지털 카메라에 탑재되어, 촬상한 화상을 기억하고 있는 메모리 카드를 직접 컬러 인쇄에 장착하고, 그 메모리 카드에 기억되어 있는 촬영된 화상을 인쇄할 수 있는, 소위 포토다이렉트(PD: photo-direct) 인쇄 등도 개발되고 있다.
특히, 디지털 카메라로부터 직접 인쇄에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여 인쇄하는
경우에는, 디지털 카메라는 각 메이커마다 그 사양이나 조작 방법 등이 다르기 때문에, 각종 메이커의 디지털 카메라에 대응할 수 있는 포토다이렉트 인쇄 장치의 출현이 기대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포토다이렉트 인쇄 장치는, 상기 설명한 디지털 카메라 이외에도, 예를 들면, 휴대 전화나 PDA 외의 각종 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인쇄한다. 또한 인쇄 자체의 기능도 다양하기 때문에, 서로의 캐퍼빌리티(Capability)를 예측할 수 없고, 서로의 기능 정보의 교환이 필수가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기술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인터페이스에 의존하지 않는 화상 데이터의 전송 및 인쇄 지시를 행함으로써, 각종 메이커의 화상 공급 장치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인쇄할 수 있는 인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과 포토다이렉트 인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 공급 장치와 인쇄 장치 간의 표준 프로토콜을 규정하여, 기종이나 메이커에 의존하지 않은 인쇄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인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과 포토다이렉트 인쇄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D 인쇄 장치의 개관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PD 인쇄 장치의 조작 패널의 개관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PD 인쇄 장치의 제어에 따른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PD 인쇄 장치의 ASIC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PD 인쇄 장치와 디지털 카메라를 접속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NCDP를 실장한 PD 인쇄 장치와 디지털 카메라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설명하는 개념도.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NCDP 통신 순서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NCDP에서의 커맨드를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NCDP에서의 「기본 순서」에 따른 인쇄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NCDP에서의 「추천 순서」에 따른 인쇄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NCDP에서의 「추천 순서」에 있어서의 에러 발생 시의 인쇄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NCDP에서 송신되는 캐퍼빌리티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NCDP 통신 순서의 개요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4는 NCDP 순서의 개시를 지시하는 명령(NCDPStart)을 PTP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실현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15는 NCDP 순서에 있어서, 카메라로부터 각 순서로의 이행 명령을 수취하는(ProcedureStart) 순서를 PTP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실현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16은 NCDP 순서의 종료를 지시하는 명령(NCDPEnd)을 PTP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실현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17은 NCDP 순서에 있어서 PD 인쇄 장치로부터 카메라에 대하여 캐퍼빌리티를 송신하는 명령(캐퍼빌리티)을 PTP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실현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18은 NCDP 순서에 있어서, PD 인쇄 장치로부터 카메라에 보유되어 있는 화상 파일을 취득하는 명령(GetImge)의 순서를 PTP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실현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19는 NCDP 순서에 있어서, PD 인쇄 장치로부터 카메라에 대하여 에러 스테이터스를 송신하는 명령(StatusSend)의 순서를 PTP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실현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20은 NCDP 순서에 있어서, PD 인쇄 장치로부터 카메라에 대하여 1페이지의 인쇄 종료를 송신하는 명령(PageEnd)의 순서를 PTP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실현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21은 NCDP 순서에 있어서, PD 인쇄 장치로부터 카메라에 대하여 인쇄 작업의 종료 명령(JobEnd)을 발행하는 순서를 PTP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실현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22는 NCDP 순서에 있어서, 카메라로부터 PD 인쇄 장치에 대하여 인쇄 명령(JobStart)을 발행하는 순서를 PTP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실현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23은 NCDP 순서에 있어서, 카메라로부터 PD 인쇄 장치에 대하여 인쇄의 중지 명령(JobAbort)을 발행하는 순서를 PTP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실현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24는 NCDP 순서에 있어서, 카메라로부터 PD 인쇄 장치에 대하여 인쇄 재개 명령(JobContinue)을 발행하는 순서를 PTP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실현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25는 ProcedureStart 커맨드로 최초로 PD 인쇄 장치에서 DSC에 보내어지는 스크립트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6은 ProcedureStart 커맨드에 응답하여 스크립트 1에 이어 DSC에서 PD 인쇄 장치에 보내어지는 스크립트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7은 「기본 순서」 시에 JobStart 커맨드로 DSC에서 PD 인쇄 장치에 보내어지는 스크립트의 예 1을 나타내는 도면.
도 28은 「기본 순서」 시에 JobStart 커맨드로 DSC에서 PD 인쇄 장치에 보내어지는 스크립트의 예 2를 나타내는 도면.
도 29는 「추천 순서」 시에 JobStart 커맨드로 DSC에서 PD 인쇄 장치에 보내어지는 스크립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0 : PD 인쇄 장치
3012 : 디지털 카메라(DSC)
5000 : USB 케이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인쇄 시스템은 이하와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즉,
화상 공급 장치와 인쇄 장치를 범용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직접 접속하고, 상기 화상 공급 장치로부터 상기 인쇄 장치에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고 인쇄하는 인쇄 시스템으로서,
상기 인쇄 장치와 상기 화상 공급 장치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통신 순서의 확립 후, 상기 인쇄 장치에서 상기 화상 공급 장치에 상기 인쇄 장치의 기능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상기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상기 기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공급 장치에 의해 설정된 인쇄 조건에 따라서 상기 인쇄 장치에 대하여 인쇄 동작을 실행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며, 첨부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을 나타낸다.
〈실시예〉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토다이렉트 인쇄 장치(이하, PD 인쇄 장치)(1000)의 개관 사시도이다. 이 PD 인쇄 장치(1000)는 호스트 컴퓨터(PC)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인쇄하는 통상의 PC 인쇄로서의 기능과, 메모리 카드 등의 기억 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직접 판독하여 인쇄하거나, 또는 디지털 카메라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인쇄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도 1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PD 인쇄 장치(1000)의 외형을 구성하는 본체는, 케이스 M(1001), 상부 케이스(1002), 액세스 커버(1003) 및 배출 트레이(1004)의 외장 부재를 갖고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1001)는 PD 인쇄 장치(1000)의 대략 하반부를 상부 케이스(1002)는 본체의 대략 상반부를 각각 형성하고 있으며, 양 케이스의 조합에 의해 내부에 후술하는 각 기구를 수납하는 수납 공간을 갖는 공간 구조를 형성하고, 그 상면부 및 전면부에는 각각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출 트레이(1004)는 그 일단부가 하부 케이스(1001)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고, 그 회전에 의해 하부 케이스(1001)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인쇄 동작을 실행시킬 때에는 배출 트레이(1004)를 전면측으로 회전시켜 개구부를 형성시킴으로써, 여기에서 인쇄 시트가 배출 가능하게 됨과 함께, 배출된 인쇄 시트를 순차적으로 적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배출 트레이(1004)에는 2개의 보조 트레이(1004a, 1004b)가 수납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 각 트레이를 당겨, 용지의 지지 면적을 3단계로 확대, 축소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액세스 커버(1003)는 그 일단부가 상부 케이스(1002)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고, 상면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이 액세스 커버(1003)를 개방함으로써 본체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인쇄 헤드 카트리지(도시 생략) 또는 잉크 탱크(도시 생략) 등의 교환이 가능하게 된다. 또, 여기서는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액세스 커버(1003)를 개폐시키면, 그 이면에 형성된 돌기가 커버 개폐 레버를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그 레버의 회전 위치를 마이크로 스위치 등으로 검출함으로써, 액세스 커버의 개폐 상태를 검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1002)의 상면에는 전원 키(1005)를 누를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1002)의 우측에는 액정 표시부(1006)나 각종 키 스위치 등을 포함하는 조작 패널(101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조작 패널(1010)의 구조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한다. 참조 부호(1007)는 자동 급송부로, 인쇄 시트를 장치 본체 내로 자동적으로 급송한다. 참조 부호(1008)는 용지 간격 선택 레버로, 인쇄 헤드와 인쇄 시트와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레버이다. 참조 부호(1009)는 카드 슬롯으로, 여기에 메모리 카드를 장착 가능한 어댑터가 삽입되고, 이 어댑터를 통하여 메모리 카드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직접 저장하여 인쇄할 수 있다. 이 메모리 카드(PC)는, 예를 들면 컴팩트 플래시 메모리, 스마트 미디어, 메모리 스틱 등이 있다. 참조 부호(1011)는 뷰어(액정 표시부)로, 이 PD 인쇄 장치(1000)의 본체에 착탈 가능하고, PC 카드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중에서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을 검색하는 경우 등에, 1 프레임별 화상이나 인덱스 화상 등을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참조 부호(1012)는 후술하는 디지털 카메라를 접속하기 위한 USB 단자이다. 또한, 이 PD 장치(1000)의 후면에는 퍼스널컴퓨터(PC)를 접속하기 위한 USB 버스 커넥터가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PD 인쇄 장치(1000)의 조작 패널(1010)의 개관도이다.
도 2에서, 액정 표시부(1006)에는 그 좌우에 인쇄되어 있는 항목에 관한 데이터의 다양한 설정을 위한 각종 메뉴 항목이 표시된다. 여기에 표시되는 항목으로서는, 예를 들면 인쇄 범위의 첫번째 사진 번호, 지정 프레임 번호(개시 프레임 지정/인쇄 프레임 지정), 인쇄 범위의 마지막 사진 번호(종료), 인쇄 부수(부수), 인쇄에 사용하는 용지(인쇄 시트)의 종류(용지 종류), 1매의 용지에 인쇄하는 사진의 매수 설정(레이아웃), 인쇄의 품질의 지정(품질), 촬영한 날짜를 인쇄하는지의 여부의 지정(날짜 인쇄), 사진을 보정하여 인쇄하는지의 여부의 지정(화상 보정), 인쇄에 필요한 용지 매수의 표시(용지 매수) 등이 있다. 이들 각 항목은 커서 키(2001)를 이용하여 선택, 또는 지정된다. 참조 부호(2002)는 모드 키로, 이 키를 누를 때마다, 인쇄의 종류(인덱스 인쇄, 전체 프레임 인쇄, 1 프레임 인쇄 등)를 전환할 수 있어, 이에 따라 대응하는 LED(2003)가 점등된다. 참조 부호(2004)는 메인터넌스 키로, 인쇄 헤드의 클리닝 등, 인쇄의 메인터넌스를 행하게 하기 위한 키이다. 참조 부호(2005)는 인쇄 개시 키로, 인쇄의 개시를 지시할 때, 또는 메인터넌스의 설정을 확립할 때에 눌러진다. 참조 부호(2006)는 인쇄 중지 키로, 인쇄를 중지시킬 때나, 메인터넌스의 중지를 지시할 때에 눌러진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PD 인쇄 장치(1000)의 제어에 따른 주요부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에서, 상술한 도면과 공통되는 부분은 동일한 기호를 병기하고, 이들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에서, 참조 부호(3000)는 제어부(제어 기판)를 나타내고 있다. 참조 부호(3001)는 ASIC(전용 커스텀 LSI)를 나타내고, 그 구성은 도 4의 블록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한다. 참조 부호(3002)는 DSP(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로, 내부에 CPU를 포함하고, 후술하는 각종 제어 처리, 및 휘도 신호(RGB)로부터 농도 신호(CMYK)로의 변환, 스케일링, 감마 변환, 오차 확산 등의 화상 처리 등을 담당하고 있다. 참조 부호(3003)는 메모리로, DSP(3002)의 CPU의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프로그램 메모리(3003a), 및 실행 시의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RAM 영역, 화상 데이터 등을 기억하는 워크 메모리로서 기능하는 메모리 영역을 갖고 있다. 참조 부호(3004)는 인쇄 엔진으로, 여기서는 복수색의 컬러 잉크를 이용하여 컬러 화상을 인쇄하는 잉크제트 인쇄의 인쇄 엔진이 탑재되어 있다. 참조 부호(3005)는 디지털 카메라(DSC)(3012)를 접속하기 위한 포트로서의 USB 커넥터이다. 참조 부호(3006)는 뷰어(1011)를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이다. 참조 부호(3008)는 USB 버스 허브로, 이 PD 인쇄 장치(1000)가 PC(3010)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를 행할 때에는 PC(3010)로부터의 데이터를 그대로 통과하고, USB 버스(3021)를 통하여 인쇄 엔진(3004)으로 출력한다. 이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PC(3010)는 인쇄 엔진(3004)과 직접 데이터나 신호의 교환을 행하여 인쇄를 실행할 수 있다(일반적인 PC 인쇄로서 기능함). 참조 부호(3009)는 전원 커넥터로, 전원(3019)로부터 상용 AC로부터 변환된 직류 전압을 입력한다. PC(3010)는 일반적인 퍼스널 컴퓨터이다. 참조 부호(3011)는 상술한 메모리 카드(PC 카드), 참조 부호(3012)는 디지털 카메라(DSC: Digital Still Camera)이다.
또, 이 제어부(3000)와 인쇄 엔진(3004) 사이의 신호의 교환은, 상술한 USB(3021) 또는 IEEE1284 버스(3022)를 통하여 행해진다.
도 4는 ASIC(3001)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 도 4에서도, 상술한 도면과 공통되는 부분은 동일한 기호를 부여하여, 이들 설명을 생략한다.
참조 부호(4001)는 PC 카드 인터페이스부로, 장착된 PC 카드(3011)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거나, 또는 PC 카드(3011)에 데이터 기입 등을 행한다. 참조 부호(4002)는 IEEE1284 인터페이스부로, 인쇄 엔진(3004)과의 사이의 데이터의 교환을 행한다. 이 IEEE1284 인터페이스부(4002)는 디지털 카메라(3012) 또는 PC 카드(3011)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인쇄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버스이다. 참조 부호(4003)는 USB 인터페이스부로, PC(3010)와의 사이에서의 데이터의 교환을 행한다. 참조 부호(4004)는 USB 호스트 인터페이스부로, 디지털 카메라(3012)와의 사이에서의 데이터의 교환을 행한다. 참조 부호(4005)는 조작 패널 인터페이스부로, 조작 패널(1010)로부터의 각종 조작 신호를 입력하거나, 표시부(1006)로의 표시 데이터의 출력 등을 행한다. 참조 부호(4006)는 뷰어 인터페이스부로, 뷰어(1011)로의 화상 데이터의 표시를 제어한다. 참조 부호(4007)는 각종 스위치나 LED(4009) 등과의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부이다. 참조 부호(4008)는 CPU 인터페이스부로, DSP(3002)와의 사이에서의 데이터의 교환의 제어를 행한다. 참조 부호(4010)는 이들 각부를 접속하는 내부 버스(ASIC 버스)이다.
이상의 구성에 기초하는 동작 개요를 이하에 설명한다.
<통상의 PC 인쇄 모드>
통상의 PC 인쇄 모드는 PC(3010)로부터 송신되는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 모드이다.
이 모드에서는 PC(3010)로부터의 데이터가 USB 커넥터(1013)(도 3)를 통하여 입력되면, USB 허브(3008), USB(3021)를 통하여 직접 인쇄 엔진(3004)에 보내지고, PC(3010)로부터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가 행해진다.
<PC 카드로부터의 직접 인쇄 모드>
PC 카드(3011)가 카드 슬롯(1009)에 장착 또는 탈착되면 인터럽트가 발생하여, 이에 따라 DSP(3002)는 PC 카드(3011)가 장착되었거나 탈착(제거)되었는지를 검지할 수 있다. PC 카드(3011)가 장착되면, 그 PC 카드(3011)에 기억되어 있는 압축된(예를 들면, JPEG 압축) 화상 데이터가 판독되어 메모리(3003)에 기억되다. 다음으로, 조작 패널(1010)을 사용하여 저장된 화상 데이터의 인쇄가 지시되면, 압축된 화상 데이터를 압축 해제하여 메모리(3003)에 저장하고, RGB 신호로부터 YMCK 신호로의 변환, 감마 보정, 오차 확산 등을 실행하여 인쇄 엔진(3004)에 의해 인쇄 가능한 인쇄 데이터로 변환하여, IEEE1284 인터페이스부(4002)를 통하여 인쇄 엔진(3004)에 출력함으로써 인쇄를 행한다.
<카메라로부터의 직접 인쇄 모드>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PD 인쇄 장치(1000)와 디지털 카메라(3012)를 접속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서, 케이블(5000)은 PD 인쇄 장치(1000)의 커넥터(1012)와 접속되는 커넥터(5001)와, 디지털 카메라(3012)의 접속용 커넥터(5003)와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5002)를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디지털 카메라(3012)는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접속용 커넥터(5003)를 통하여 출력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 디지털 카메라(3012)의 구성으로서는 내부에 기억 수단으로서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이나, 착탈 가능한 메모리를 장착하기 위한 슬롯을 구비한 것 등, 다양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5에 도시하는 케이블(5000)을 통하여 PD 인쇄 장치(1000)와 디지털 카메라(3012)를 접속함으로써, 디지털 카메라(3012)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직접 PD 인쇄 장치(1000)로 인쇄할 수 있다.
여기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PD 인쇄 장치(1000)에 디지털 카메라(3012)가 접속된 경우에는 조작 패널(1010)의 표시부(1006)에는 카메라 마크만이 표시되고, 조작 패널(1010)에 있어서의 표시 및 조작이 무효로 되고, 뷰어(1011)에의 표시도 무효로 된다. 따라서, 이후에는 디지털 카메라(3012)에서의 키 조작 및 디지털 카메라(3012)의 표시부(도시 생략)에의 화상 표시만이 유효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그 디지털 카메라(3012)를 사용하여 인쇄 지정을 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메이커의 디지털 카메라를 접속하여 인쇄할 수 있는 PD 인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PD 인쇄 장치(1000)와 디지털 카메라를 접속하여 인쇄를 행하는 경우의 프로토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PD 인쇄 장치와 디지털 카메라 사이의 통신 제어를 범용 파일, 범용 포맷을 이용하여 행하고, 인터페이스에 의존하지 않는 NCDP(New Camera Direct Print)를 제안한다.
도 6은 이 NCDP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서, 참조 부호(600)는 USB에 의한 인터페이스, 참조 부호(601)는 블루투스(Bluetooth)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참조 부호(602)는 NCDP에 의한 시스템을 구축할 때에 조립되는 어플리케이션 층을 나타내고 있다. 참조 부호(603)는 기존의 프로토콜 및 인터페이스를 실행하기 위한 층으로, 여기서는 PTP(Picture Transfer Protocol), SCSI 및 블루투스 BIP(Basic Image Profile), USB 인터페이스 등이 실장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NCDP는 이러한 프로토콜 층 등의 아키텍처가 실장되어 있어, 그 위에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실장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여기에서 PD 인쇄 장치(1000)는, USB 호스트로서, 카메라(3012)는 USB 슬레이브로서 규정되어 있으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동일한 NCDP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NCDP에 의한 PD 인쇄 장치(1000)와 디지털 카메라(DSC)(3012) 사이에서의 통신 순서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여기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USB 케이블(5000)에 의해 PD 인쇄 장치(1000)와 DSC(3012)가 접속된 것이 검지되면, 이들 기기 사이에서의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이들 기기에 실장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NCDP에 따른 순서(710)로의 이행이 개시된다. 참조 부호(702)는 NCDP의 초기 상태를 나타내고, 여기서는 상호 기종이 NCDP를 실행 가능한지를 판단하여, 가능하면 NCDP에 따른 순서(710)로 이행한다. 만약 여기서, DSC(3012)가 NCDP를 실장하지않는 경우에는 NCDP에 의한 통신 제어는 실행되지 않는다. 이렇게 해서 NCDP로 이행한 후, 참조 부호(703)로 나타낸 바와 같이 DSC(3012)로부터 「기본 순서」에 따른 화상 데이터의 전송/인쇄가 지시되면, DSC(3012)로부터 화상 파일을 PD 인쇄 장치(1000)에 전송하여 인쇄하는 간이 인쇄 모드로 이행한다. 또한, 참조 부호(704)로 나타낸 바와 같이 DSC(3012)로부터 「추천 순서」에 따른 화상 데이터의 전송/인쇄가 지시되면, DSC(3012)와 PD 인쇄 장치(1000) 사이에서 각종 네고시에이션을 행하여 그 인쇄 조건 등을 결정한 후, 화상 파일을 DSC(3012)로부터 PD 인쇄 장치(1000)에 전송하여 인쇄하는, 보다 다채로운 인쇄 모드로 이행한다. 또한, 참조 후보(705)는 「확장 순서」에 따른 지시가 DSC(3012)에 의해 이루어지면, 예를 들면 DPOF, XHTML-print, SVG 등의 향상된 레이아웃 기능, 및 각사 벤더 고유한 사양에서의 인쇄를 행하는 모드가 설정된다. 또, 이 「확장 순서」에 따른 상세 사양에 관해서는 DSC의 메이커 각사 개별의 확장 사양서로 규정되기 때문에, 여기서는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다. 또, 이들 「기본 순서」 및 「추천 순서」에 따른 화상 인쇄에 관해서는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NCDP 인쇄를 행하기 위해서 규정한 커맨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에서, 「대응 모드」는 DSC(3012)로부터 지시되는, 상술한 「기본 순서」, 「추천 순서」 및 「확장 순서」에 대응하고 있다. 「추천 순서」에서는 모든 커맨드를 사용할 수 있는 반면, 「기본 순서」는 간이 인쇄 모드이므로, NCDP로의 이행 및 NCDP의 종료, 「기본 순서」, 「추천 순서」 및 「확장 순서」의 각 모드로의 이행 커맨드 및 카메라(3012)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의 취득 및 카메라(3012)로부터의 인쇄 명령만이 사용 가능하다. 도 8에서, 「확장 순서」에서는 NCDP로의 이행 및 그 종료, 「기본 순서」, 「추천 순서」 및 「확장 순서」의 각 모드로의 이행 커맨드만이 이용되도록 기재되어 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각사의 사양에 따라 다른 커맨드가 이용되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확장 순서」에 있어서도「추천 순서」과 같이 캐퍼빌리티 커맨드를 사용하여, 그 캐퍼빌리티 내용에「확장 순서」에 고유한 벤더 특유의 파라미터 종류나 파라미터값이 이용되는 형태라도 된다.
이하, 상술한 「기본 순서」 및 「추천 순서」에 따른 화상 인쇄 절차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기본 순서」에 따른 화상 인쇄를 행하는 경우의 NCDP의 통신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기본 순서」는 DSC로부터 PD 인쇄 장치(1000)로의 모든 인쇄 명령 중에서 인쇄 조건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하나의 화상 파일을 전송하여 인쇄하는 동안의 간이 인쇄 모드이다. 따라서, PD 인쇄 장치(1000)는 컬러 보정과 데이터 변환 등의 인쇄 조건을 결정한다. 대응하는 화상 포맷으로는, 예를 들면 VGA 사이즈(640×480 화소)의 RGB 화상, VGA 사이즈(640×480 화소)의 JPEG 화상으로 하고, 화상 파일 사이즈로서는 약 1M바이트 이하로 하고 있다. DSC(3012)는 PD 인쇄 장치(1000)가 지원하고 있는 화상 포맷으로 화상 파일을 송신한다. 이 경우에 에러 핸들링은 실행되지 않는다.
우선 900에서, PD 인쇄 장치(1000)로부터 DSC(3012)에 대하여 NCDP로의 이행을 지시하는 커맨드(NCDPStart)를 송신한다. 여기서 DSC(3012)가 NCDP를 실장하고 있으면 OK가 반송된다(901). 또, 이 NCDP의 확인 순서를 행하는 경우의 일례로서 PTP를 이용한 경우의 구체예에 관해서는 도 1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한다.
이렇게 해서 상호 NCDP가 실장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면, PD 인쇄 장치(1000)로부터 NCDP 모드(902)로 이행하도록 명령(ProcedureStart)이 DSC(3012)에 송신된다(902). 이에 대하여 903에서, DSC(3012)로부터 간이 인쇄 모드인 「기본 순서」가 송신되면, 이후에는 「기본 순서」에 따른 인쇄 모드로 이행한다. 이 경우에는 DSC(3012)에 있어서의 조작에 의해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이 선택되어 인쇄가 지시되면, 인쇄의 개시를 지시하는 커맨드(JobStart)가 DSC(3012)로부터 PD 인쇄 장치(1000)에 보내진다(904). 이에 따라 PD 인쇄 장치(1000)는 간이 인쇄 모드가 되어, DSC(3012)에 대하여 커맨드(GetImage)를 송신하여 JPEG 화상을 요구한다(905). 이에 따라 DSC(3012)로부터 JPEG 화상(ImageData)이 PD 인쇄 장치(1000)에 송신되고(906), PD 인쇄 장치(1000)에서의 인쇄 처리가 개시된다. 이렇게 해서, 지시된 화상의 인쇄가 종료되면 인쇄 작업의 종료를 나타내는 커맨드(JobEnd)가 PD 인쇄 장치(1000)로부터 DSC(3012)에 송신된다(907). 이에 대하여 DSC(3012)로부터 긍정 응답(OK)이 반송되면(908), 이 「기본 순서」에 따른 인쇄 처리가 종료된다. 이 「기본 순서」는 단순하게 인쇄될 화상 지정 정보의 교환을 하는 것이 전제이기 때문에, 이 「기본 순서」로 인쇄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후술하는 캐퍼빌리티 정보의 교환을 행하는 일 없이, 곧 인쇄 가능 상태로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기본 순서」 로 교환하는지의 여부를DSC와 PD 인쇄 장치의 쌍방의 캐퍼빌리티에 의해 결정하도록 해도 좋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본 순서」,「추천 순서」,「확장 순서」 중, PD 인쇄 장치가 어느 것을 지원하고 있느냐를 DSC가 취득한다. 그러나, 반드시 이방법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인쇄 장치의 기종명이나 벤더명 등의 인쇄 정보에기초하여 DSC가 적당한 순서를 선택하는 방법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DSC가 「추천 순서를 지원하고 있는 인쇄의 기종명 리스트」를 보유한다. 접속된 인쇄의 기종명이 리스트 중에 있는 경우에는 추천 순서를 선택하고, 리스트에 없는 경우에는 기본 순서를 선택한다.
도 25는 「ProcedureStart」 커맨드로, 인쇄 장치로부터 DSC에 보내어지
스크립트에 인쇄의 벤더명 및 인쇄의 기종명이 기재되어 있는 예를 도시한다. 도 26은 그에 이어 DSC로부터 인쇄에 보내어지는 스크립트에 DSC의 벤더명 및 DSC의 기종명이 기재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본 순서」의 JobStart 커맨드는 화상의 인쇄만을 지정하고 있어, 화상 포맷이나 파일 사이즈는, 고정적으로 정해져 있는 것으로 하고 설명하고 있다. 이것은 캐퍼빌리티 정보의 송수신을 행하지 않더라도 인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단, 이 캐퍼빌리티가 교환되지 않은 경우에도 화상 포맷이나 인쇄 사이즈 등의 인쇄 조건을 지정하는 것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화상 포맷 등과 같이 「인쇄측이 반드시 지원하고 있다」 또는 「인쇄측이 자신의 캐퍼빌리티에 따라서 적절하게 처리를 한다」 라고 미리 인쇄 장치 혹은 DSC에서 인식되어 있는 항목 등은, DSC가 JobStart 커맨드 내에 지정할 수 있다. 이러한구성을 위해서, 서로의 기기 정보를 교환하여, 양자가 소정의 기기인 경우에만, Capability 정보가 없더라도, 인쇄 조건을 인쇄 작업(스크립트)에 의해 지정 가능하도록 인쇄 조건이 지정될 수 있다. 그러나, 번거로운 설정을 생략하기위해서는 초보자를 위한 조작 순서를 준비해 두기 위해서 「기본 순서」가 중요하다.
도 27은, 「기본 순서」시에 JobStart 커맨드로, DSC로부터 인쇄 장치에 보내어지는 스크립트에 캐퍼빌리티에 관한 설정이 전혀 되어 있지 않은 예를 나타낸다. 도 28은 「기본 순서」시에 JobStart 커맨드로 DSC로부터 인쇄 장치에 보내어지는 스크립트에 「인쇄가 반드시 지원하고 있다」, 또는 「인쇄가 자신의캐퍼빌리티에 따라서 적절하게 처리를 한다」라고 미리 인쇄 장치와 DSC 사이에서 인식되어 있는 항목에 관한 설정이 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O은 「추천 순서」 에 따른 화상 인쇄를 행하는 경우의 NCDP의 통신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상술한 도 9와 공통되는 순서에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추천 순서」에서는 PD 인쇄 장치(1000)와 DSC(3012) 사이에서의 네고시에이션을 전제로 한 「보다 향상된 인쇄」모드를 설정할 수있고, 복수의 사진 인쇄나 레이아웃 인쇄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에러 핸들링도 실행 가능하게 된다. 또한, DSC(3012)로부터 PD 인쇄 장치(1OOO)로 인쇄 조건의 정보를 스크립트(텍스트)로 송신하기 때문에, 컬러 설정이나 레이아웃 등의 많은 인쇄 조건을 반영시킨 인쇄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에러 핸들링도 실행 가능하게 된다.
도 10에서, 도 9인 경우와·마찬가지로, 상호 NCDP가 실장되어 있는 것확인한 후, 이 경우에는 DSC(3012)로부터 「추천 순서」가 지시된다(910). 이후에는 이 「추천 순서」에 따른 순서가 실행된다. 우선,911로 나타낸 바와 같이PD 인쇄 장치(1OOO)는 자신이 구비하고 있는 기능 및 용지 설정 등을 포함하는기능을 캐퍼빌리티 정보로서 전부 DSC(3012)에 전한다. 이 캐퍼빌리티 정보는 스크립트 형식(텍스트)으로 DSC(3012)에 송신된다.
이 캐퍼빌리티 정보의 일례를 도 12에 도시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캐퍼빌리티 정보는 인쇄 가능한 용지의 종류 및 사이즈, 인쇄 품질, 화상 데이터의 포맷, 날짜 인쇄의 유무, 파일명 인쇄의 유무, 레이아웃, 화상 보정의 유무, 그리고 옵션으로서, 각 카메라 메이커의 사양에 대응한 기능 유무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이 캐퍼빌리티 정보를 스크립트 표기로 함으로써, 다른 통신 프로토
클의 아기텍쳐로 포팅을 용이하게 하고, 이러한 기능 정보의 교환을 보다 표준화하기 쉽게 하고 있다. 또, 이 스크립트 표기는 XML 준거이어도 된다.
이러한 캐퍼빌리티 정보를 수신한 DSC(3012)의 사용자는 그 PD 인쇄 장치(1000)가 구비하고 있는 기능 중의 어느 기능을 사용하여 인쇄를 행할지를 판정하고,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을 선택함과 함께, 그 화상의 인쇄 조건을 그 PD 인쇄 장치(1000)가 갖고 있는 기능 중에서 선택하고 결정한다. 이렇게 해서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 및 인쇄 조건 등이 결정되어 인쇄 개시가 지시되면 인쇄 명령(JobStart)이 PD 인쇄 장치(1000)에 보내진다. 이에 의해, PD 인쇄 장치(1000)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요구하는 커맨드(GetImagexn)가 발행되고(912),그에 응답하여 DSC(3012)로부터,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가 PD 인쇄 장치(1000)가 수신 가능한 화상 포맷(Tiff, JPEG, RGB 등)으로 송신된다(913). 여기서 하나의 화상의 인쇄에 대하여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예를 들면 2 ×2 등의 레이아웃 인쇄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1매의 용지에 대하여 4개의 화상 데이터를 송신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해서, 지시된 화상의 인쇄가 종료되면 인쇄 작업의 종료를 나타내는 커맨드(JobEnd)가 PD 인쇄 장치(1000)로부터 DSC(3012)에 송신된다(907). 이에 대하여 DSC(3012)로부터 긍정 응답(OK)이 반송되면(908), 다시 이 「추천 순서」에 따른, 계속해서 화상의 선택/인쇄 처리로 이행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DSC(3012)로부터의 요구가 없더라도 캐퍼빌리티 정보를 인쇄가 발행하여 DSC로 발행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 형태에 한하는 것이 아니고, DSC가 캐퍼빌리티를 인쇄에 요구하여, 그 응답으로서 인쇄가 캐퍼빌리티를 DSC에 통지하는 형태이더라도 좋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실시 형태를 본 경우,
·「추천 순서로 이행」을 나타내는 ProcedureStart 커맨드가 수신되고, 캐
퍼빌리티 가 송신되어, 「ProcedureStart」커맨드가,「Capability request」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캐퍼빌리티 정보가 「Capability request」로서의 「ProcedureStart」커맨
드에 대한 응답으로서 송신된다.
도 11은 상술한 「추천 순서」에 따른 화상 인쇄를 행하는 경우의 NCDP의 통신 순서에 있어서, PD 인쇄 장치(1000)에서 에러가 발생한 경우의 통신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상술한 도 10과 공통되는 순서에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예에서는 「추천 순서」에서의 인쇄 처리의 실행 중에, PD 인쇄 장치(1000)에 있어서 급지 에러가 발생한 경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는 914에서, PD 인쇄 장치(1000)로부터 DSC(3012)에 대하여 급지 에러를 나타내는 스테이터스 정보(Status)가 송신된다. 이에 대하여 DSC(3012)의 사용자에 의한 판단에 기초하여, 그 인쇄 처리를 계속할지(JobContinue), 중지할지(JobAbort)를 나타내는 커맨드가 PD 인쇄 장치(1000)에 송신된다(915). 이에 따라 PD 인쇄 장치(1000)에서는, 「중지」가 지시되면 인쇄 처리를 중지하여 인쇄 작업의 종료 통지(JobEnd)를 송신하여 인쇄를 중지한다. 또는 「계속」이 지시된 경우에는 그 급지 에러가 회복되기를 대기하여, 인쇄 처리를 계속하도록 동작한다.
다음으로, 상술한 처리 순서를 도 1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도 7에 도시하는 처리 순서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우선 단계 S1에서, 디지털 카메라(DSC)(3012)와 PD 인쇄 장치(1000) 사이의 통신을 확립하고(700), 단계 S2에서, 이들 기기가 NCDP를 실장 종료했는지를 판정하여, 실장 종료이면 NCDP로 이행한다. 다음으로, 단계 S3으로 진행하여, DSC(3012)로부터의 순서 지시를 수신하여, 그 지시된 순서로 이행한다. 여기서, 「기본 순서」가 지시되었을 때에는 단계 S4로부터 단계 S5로 진행하여, 「기본 순서」에 따른 인쇄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추천 순서」가 지시되었을 때에는 단계 S6으로부터 단계 S7로 진행하여, 상술한 「추천 순서」에 따른 인쇄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확장 순서」가 지시되었을 때에는 단계 S8로부터 단계 S9로 진행하여, 각 벤더에 따른 「확장 순서」에 따른 인쇄 처리를 실행한다. 그 이외의 경우에는 단계 S10으로 진행하여, 이 PD 인쇄 장치(1000)와 DSC(3012)에 의한 독자적인 모드에서의 인쇄를 실행한다.
본 실시 형태의 도 13에서는, NCDP 모드로부터 「기본 순서」,「추천 순서」,「확장 순서」,「독자 모드」로 천이하는 형태를 기술하였지만, 그 외에도 NCDP 모드로 이행함과 동시에 「기본 순서」가 선택되고 곧 JobStart을 수신하는 상태으로 되어, 그 후, DSC나 인쇄로부터의 요청에 따라서 다른 순서나 모드로 천이하는 형태라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인쇄 가능한 상태로 이행하는 것을 우선적으로 할 수 있다. 즉, 복잡한 설정을 모르는 초보자에 있어서는 번거로운 설정을 행하지 않고서 빠르게 인쇄하는 것이 쉬워진다. 한편, 상급자라면 보다 상세한 인쇄 조건의 설정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사용자의 습득 레벨에 맞는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각종 NCDP 커맨드(도 8)를 범용 PTP를 이용하여 실현한(PTP wrapper) 예를 설명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PTP를 이용한 NCDP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다른 인터페이스, 다른 클래스(Class) 상에서 다이렉트 인쇄 서비스 API를 실장해도 된다.
[NCDPStart]
도 14는 NCDP 순서의 개시를 지시하는 명령(NCDPStart)을 PTP 아키텍쳐를 이용하여 실현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PD 인쇄 장치(1000)와 DSC(3012)가 물리적으로 접속된 후, 우선 1400에서, PD 인쇄 장치(1000)로부터 DSC(3012)에 대하여 GetDeviceInfo가 송신되고, DSC(3012)에 대하여 그 보유하고 있는 오브젝트에 관한 정보가 요구된다. 이에 응답하여 DSC(3012)는 DeviceInfoDataset에 의해 DSC(3012)에 보유하고 있는 오브젝트에 관한 정보를 PD 인쇄 장치(1000)에 송신한다. 다음으로 1402에서, OpenSession에 의해, DSC(3012)를 자원으로서 할당하여, 필요에 따라 데이터 오브젝트에 핸들을 할당하거나, 특별한 초기화를 행하기 위한 순서의 개시 요구를 발행하여 DSC(3012)로부터 긍정 응답(OK)이 반송되면 PTP에서의 통신이 개시된다. 다음으로, 1403에서, DSC(3012)에 대하여 스크립트 형식의 모든 핸들을 요구하면(Storage ID: FFFFFF, Object Type: Script), 이에 대하여 1404에서, DSC(3012)에 보유되어 있는 모든 핸들 리스트(ObjectHandleArray)가 반송된다. 다음으로, 1405, 1406에서, PD 인쇄 장치(1000)로부터 i번째 오브젝트 핸들의 정보를 취득한다. 여기서, 이 오브젝트에, DSC(3012)의 식별을 나타내는 키워드(예를 들면, 암호「Marco」)가 포함되어 있으면, 다음으로 1407에서, PD 인쇄 장치(1000)로부터 오브젝트 정보의 송신을 지시하여(SendObjectInfo), 그에 대하여 긍정 응답(OK)을 수신하면, SendObject에 의해, 오브젝트 정보를 PD 인쇄 장치(1000)로부터 DSC(3012)에 대하여 송신한다. 여기서, 이 오브젝트에는 상술한 첫번째 키워드에 대한 응답으로서, 예를 들면 「Polo」가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PD 인쇄 장치(1000)와 DSC(3012)의 양방이 상호 접속 상대를 인식할 수 있게 되어, 이후에는 NCDP에 따른 순서(도 7의 710)로 이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파일의 교환이 가능한 트랜스포트층이면 키워드의 교환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NCDP에 고유 커맨드 등을 추가하지 않고, 키워드를 교환할 수 있다. 또, 여기서 키워드로서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동일한 키워드이어도 된다. 또한, 이 키워드에 의한 네고시에이션을 행하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 스크립트 형식의 핸들의 최초로 이 키워드를 넣어 둠으로써, 상호 기기를 확인하는 데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ProcedureStart]
도 15는 DSC(3012)로부터의, 모드로의 이행 순서를 지시하는 명령을 수신하여, 그 모드로 이행하기 위한 명령(ProcedureStart)을 PTP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실현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여기서는 우선 1501에서, PD 인쇄 장치(1000)가 지원하고 있는 절차 「기본 순서」, 「추천 순서」, 「확장 순서」를 DSC(3012)에 통지하기 위해서 SendObjectInfo에 의해, DSC(3012)에 대하여 송신하고자 하는 오브젝트 정보가 있는 것을 전한다. 이에 대하여 긍정 응답(OK)이 DSC(3012)로부터 보내져 오면, 1502에서 SendObject에 의해 오브젝트를 송신하는 취지를 DSC(3012)에 전하고, 다음의 1503의 ObjectData에 의해, 이 PD 인쇄 장치(1000)가 지원하고 있는 절차에 관한 정보를 송신한다. 다음으로, 1504에서, DSC(3012)로부터 PD 인쇄 장치(1000)에 대하여, GetObject 동작을 기동하고자 하는(푸시 모드로이행)(RequestObjectTransfer) 취지를 전한다. 이에 의해, 1505에서, PD 인쇄 장치(1000)로부터 오브젝트 정보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취지가 전해지면(GetObjectInfo), 1506에서, ObjectInfo Dataset에 의해, 그 정보가 반송되고, 다음으로 1507에서, 그 오브젝트 정보를 지정하여 오브젝트 정보가 요구되면, Object Dataset에 의해, DSC(3012)가 사용하는 순서(「기본」,「추천」,「확장」등)을 PD 인쇄 장치(1000)에 통지한다(1508).
이에 의해, DSC(3012)로부터 PD 인쇄 장치(1000)에 대하여, 화상의 인쇄 모드를 지정할 수 있다.
[NCDPEnd]
도 16은 본 실시예에 따른 NCDP에서의 통신 제어 순서를 종료하는 명령(NCDPEnd)을 PTP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실현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순서에서는 1600에서, PD 인쇄 장치(1000)로부터 DSC(3012)에 대하여 송신하고자 하는 오브젝트 정보가 있는 것을 전하고, ObjectData에 의해, DSC(3012)에 대하여 NCDP의 모드로부터 나가는 것을 통지한다. 이에 대하여 긍정 응답(OK)을 수신하면, 1601에서 CloseSession을 송신하여, 이 통신을 종료시킨다. 이에 따라 NCDP에 의한 통신 순서를 종료한다.
[캐퍼빌리티]
도 17은 본 실시예에 따른 NCDP에서의 PD 인쇄 장치(1000)의 기능을 DSC(3012)에 통지하는 캐퍼빌리티 명령에 있어서의 통신 순서를 PTP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실현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순서에서는 1700에서, PD 인쇄 장치(1000)로부터 DSC(3012)에 대하여 송신하고자 하는 오브젝트 정보가 있는 것을 SendObjectInfo에 의해 전한다. 그리고, 1701에서, SendObject에 의해 DSC(3012)에 대하여 오브젝트 정보의 송신을 전하고, 계속되는 Object Data에 의해, PD 인쇄 장치(1000)가 갖고 있는 기능을 스크립트(Script) 형식(도 12)으로 DSC(3012)에 송신한다.
[GetImage]
도 18은 본 실시예에 따른 NCDP에서의, PD 인쇄 장치(1000)가 DSC(3012)에 보유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JPEG 화상)를 취득하는(GetImage) 통신 순서를 PTP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실현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우선, 1800에서, DSC(3012)가 보유하고 있는 오브젝트에 관한 정보를 요구하면, 1801에서, 그 오브젝트에 관한 정보(ObjectInfoDataset)가 DSC(3012)로부터 PD 인쇄 장치(1000)에 보내진다. 다음으로, 1802에서, 그 오브젝트를 지정하여 취득 요구(GetObject)를 발행하면, 1803에서, 그 요구된 화상 파일(Object Dataset)이 DSC(3012)로부터 PD 인쇄 장치(1000)에 대하여 송신된다. 이와 같이 하여 PD 인쇄 장치(1000)는 DSC(3012)로부터 원하는 화상 파일을 취득할 수 있다.
[StatusSend]
도 19는 본 실시예에 따른 NCDP에서의 PD 인쇄 장치(1000)로부터 DSC(3012)에 대하여 에러 상태 등을 통지하는(StatusSend) 통신 순서를 PTP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실현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우선 1900에서, PD 인쇄 장치(1000)로부터 DSC(3012)에 대하여 송신하고자하는 오브젝트 정보가 있는 취지를 SendObjectInfo에 의해 통지한다. 그리고, 1901에서, 그 오브젝트 정보에 관한 정보 세트(ObjectInfoDataset)를 DSC(3012)에 송신하여, DSC(3012)로부터의 긍정 응답(OK)에 대하여, PD 인쇄 장치(1000)에서의 에러 등의 스테이터스 정보를 SendObject 및 Object Dataset에 의해 송신한다. PD 인쇄 장치(1000)로부터 DSC(3012)로 송신되는 데이터는 텍스트 데이터(스크립트)이다.
[PageEnd]
도 20은 본 실시예에 따른 NCDP에서의 PD 인쇄 장치(1000)로부터 DSC(3012)에 대하여, 1 페이지의 인쇄 처리가 종료한 것을 통지하는(PageEnd) 통신 순서를 PTP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실현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JobEnd]
도 21은 본 실시예에 따른 NCDP에서의 PD 인쇄 장치(1000)로부터 DSC(3012)에 대하여, 인쇄 작업이 종료한 것을 통지하는(JobEnd) 통신 순서를 PTP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실현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 도 21에서는 도 19의 1900 내지 1901의 순서 실행 후, 도 20의 1910에서, PD 인쇄 장치(1000)로부터 DSC(3012)에 대하여 1 페이지 인쇄 처리가 종료한 것이 통지되고, 도 21의 1911에서는 PD 인쇄 장치(1000)로부터 DSC(3012)에 대하여 인쇄 작업이 종료한 것이 통지된다.
[JobStart]
도 22는 본 실시예에 따른 NCDP에서의 DSC(3012)로부터 PD 인쇄 장치(1000)에 대하여, 인쇄 작업의 개시를 통지하는(JobStart) 통신 순서를 PTP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실현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우선 2200에서, DSC(3012)로부터 PD 인쇄 장치(1000)에 대하여 RequestObjectTransfer를 보내어, PD 인쇄 장치(1000)가 GetObject 커맨드를 발행하도록 재촉한다. 이에 의해, 2201에서, PD 인쇄 장치(1000)로부터 GetObjectInfo가 발행되면, DSC(3012)는 송신하고자 하는 오브젝트 정보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고, 이에 대하여 PD 인쇄 장치(1000)로부터 오브젝트 정보가 요구되면(GetObject:2203), 2204에서, ObjectDataset를 송신하여, DSC(3012)로부터 PD 인쇄 장치(1000)에 대하여 인쇄 명령을 발행한다. PD 인쇄 장치(1000)로부터 DSC(3012)로 송신되는 데이터는 텍스트 데이터(스크립트)이다.
[JobAbort]
도 23은 본 실시예에 따른 NCDP에서의 DSC(3012)로부터 PD 인쇄 장치(1000)에 대하여 인쇄 중지 명령을 발행하는(JobAbort) 통신 순서를 PTP 아키텍쳐를 이용하여 실현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JobContinue]
도 24는 본 실시예에 따른 NCDP에서의 DSC(3012)로부터 PD 인쇄 장치(1000)에 대하여 인쇄 재개 명령을 발행하는(JobContinue) 통신 순서를 PTP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실현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3 및 도 24에서, 도 22의 2200 내지 2203의 순서를 실행한 후, 도 23의 2301에서, DSC(3012)로부터 PD 인쇄 장치(1000)에 대하여 인쇄 중지 명령이 발행되고, 도 24의 2401에서는 DSC(3012)로부터 PD 인쇄 장치(1000)에 대하여 인쇄 재개 명령이 통지된다. PD 인쇄 장치(1000)로부터 DSC(3012)로 송신되는 데이터(인쇄 중지 명령 및 인쇄 재개 명령)는 텍스트 데이터(스크립트)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장치(예를 들면, 호스트 컴퓨터, 인터페이스 장치, 리더, 인쇄 등)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하나의 기기로 이루어지는 장치(예를 들면, 복사기, 팩시밀리 장치 등)에 적용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실시예의 기능(카메라측에서 행해지는 처리, 인쇄측에서 행해지는 다양한 인쇄 처리)를 실현하는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 코드를 기록한 기억 매체(또는 기록 매체)를,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여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나 MPU)가 기억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도 달성된다. 이 경우,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 자체가 상술한 실시예의 기능을 실현하게 되고, 그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한 기억 매체가 본 발명을 구성하게 된다. 또한, 컴퓨터가 판독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함으로써 상술한 실시 형태의 기능이 실현되는 것 뿐만 아니라, 그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에 기초하여, 컴퓨터상에서 가동하고 있는 오퍼레이팅 시스템(OS) 등이 실제의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행하여, 그 처리에 의해서 상술한 실시 형태의 기능이 실현되는 경우도 포함된다.
또한,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터에 삽입된 기능 확장 카드나 컴퓨터에 접속된 기능 확장 유닛에 삽입되는 메모리에 기입된 뒤, 그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에 기초하여 기능 확장 카드나 기능 확장 유닛에 삽입지는 CPU 등이 실제의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행하여, 그 처리에 의해서 상술한 실시 형태의 기능이 실현되는 경우도 포함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PD 인쇄 장치와 DSC를 각각 호스트와 슬레이브로서 설정한다. 인쇄 동작에 들어 가는 전에, PD 인쇄 장치가 갖고 있는 캐퍼빌리티 정보를 DSC에 송신하여, DSC 측에서 그 캐퍼빌리티 정보에 기초하여 최적의 인쇄 모드를 결정하여 인쇄를 행하게 할 수 있다.
이 캐퍼빌리티 정보의 송신을 스크립트에 의해 행함으로써, 다른 통신 프로토콜에 포팅과 표준화를 용이하게 한다.
장치 간의 통신 순서는 범용 파일, 범용 포맷을 이용하여 행한다. 또한, 상부층에 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통신 순서 층을 규정함으로써, 각종 인터페이스 사양에 의존하지 않는 통신 순서를 규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인쇄 시스템에서는, 불특정 다수의 장치가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된다. 따라서, 다양한 인터페이스에 의해서 지원되는 표준 사양으로 정보를 교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들 장치 사이에서의 송수신에 있어서 필수가 되는 기능 정보는 「파일 전송」혹은 「오브젝트 전송」에 의해 실현되고 각종 인터페이스 사양에 용이하게 적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화상 공급 장치에는 디지털 카메라 외에도, PDA, 휴대 전화, 텔레비전, 비디오 기기, 화상 기억 장치 등이 포함된다.
범용 인터페이스에는 상술한 USB나 IEEE1394 외에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에의 접속도 포함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실시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청구항에 의해 서 결정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인터페이스에 의존하지 않는 화상 데이터의 전송 및 인쇄 지시를 행함으로써, 각사의 화상 공급 장치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인쇄할 수 있다.

Claims (15)

  1. 화상 공급 장치와 인쇄 장치를 범용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직접 접속하고,
    상기 화상 공급 장치로부터 상기 인쇄 장치로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고 인쇄하는 인쇄 시스템으로서,
    상기 인쇄 장치와 상기 화상 공급 장치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통신 순서의 확립 후, 상기 인쇄 장치에서 상기 화상 공급 장치로 상기 인쇄 장치의 기능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 및
    상기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상기 기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공급 장치에 의해 설정된 인쇄 조건에 따라서 상기 인쇄 장치에 인쇄 동작을 실행시키는 수단
    을 포함하는 인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범용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인쇄 장치와 상기 화상 공급 장치를 각각 호스트와 슬레이브로서 설정하는 인쇄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범용 인터페이스는 USB를 포함하는 인쇄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공급 장치는 디지털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 장치는 컬러
    인쇄 장치를 포함하는 인쇄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순서의 확립은, 공식 규격으로 정의되어 있는 프로토콜에 기초하는 통신 확립을 포함하는 인쇄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는 상기 기능 정보에 기초하여 인쇄를 실행하는 제1 인쇄 모드와, 상기 통신 확립 후에 상기 송신 수단에 의한 기능 정보의 교환을 행하지 않고 인쇄 동작을 실행하는 제2 인쇄 모드를 포함하는 인쇄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쇄 모드와 상기 제2 인쇄 모드는 상기 송신 수단에 의해 기능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설정되는 인쇄 시스템.
  8. 화상 공급 장치와 인쇄 장치를 범용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직접 접속하고, 상기 화상 공급 장치로부터 상기 인쇄 장치로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고 인쇄하는 인쇄 시스템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인쇄 장치와 상기 화상 공급 장치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통신 순서의 확립 후, 상기 인쇄 장치에서 상기 화상 공급 장치로 상기 인쇄 장치의 기능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단계; 및
    상기 송신 단계에서 송신된 상기 기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공급 장치
    에 의해 설정된 인쇄 조건에 따라서 상기 인쇄 장치에 인쇄 동작을 실행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쇄 시스템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범용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인쇄 장치와 상기 화상 공급 장치를 각각 호스트와 슬레이브로서 설정하는 인쇄 시스템 제어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순서의 확립은, 공식 규격으로 정의되어 있는 프로토콜에 기초하는 통신 확립인 인쇄 시스템 제어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는 상기 기능 정보에 기초하여 인쇄 동작을 실행하는 제1 인쇄 모드와, 상기 통신의 확립 후에 상기 송신 단계에서 기능 정보의 교환을 행하지 않고 인쇄 동작을 실행하는 제2 인쇄 모드를 포함하는 인쇄 시스템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쇄 모드와 상기 제2 인쇄 모드는 상기 송신 수단에 의해 기능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설정되는 인쇄 시스템 제어 방법.
  13. 화상 공급 장치에 범용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직접 접속하고, 상기 화상 공급 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인쇄하는 포토다이렉트(photo-direct) 인쇄 장치로서,
    상기 화상 공급 장치와 상기 인쇄 장치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통신 순서를 실행하고, 상기 화상 공급 장치와 상기 인쇄 장치 사이의 데이터의 교환을 실행하는 통신 수단;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한 통신 확립 후, 상기 포토다이렉트 인쇄 장치가 갖고 있는 기능 정보를 상기 화상 공급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 및
    상기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상기 기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공급 장치에 의해 설정된 인쇄 조건에 따라서 인쇄 동작을 실행하는 인쇄 수단
    을 포함하는 포토다이렉트 인쇄 장치.
  14. 화상 공급 장치와 인쇄 장치를 USB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직접 접속하고,
    상기 화상 공급 장치로부터 상기 인쇄 장치에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고 인쇄하는
    인쇄 시스템으로서,
    상기 화상 공급 장치와 상기 인쇄 장치는 상기 USB 인터페이스에 설치된 화상 전송 프로토클에 따라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 장치는,
    상기 인쇄 장치와 상기 화상 공급 장치에 설치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통신 순서의 확립 후, 상기 인쇄 장치의 기능 정보를 상기 화상 공급 장치에 상기 화상 전송 프로토콜에 따라서 송신하는 송신 수단; 및
    상기 화상 공급 장치로부터 송신된 인쇄 조건에 따라서 인쇄 동작을 실행하는 인쇄 제어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화상 공급 장치는,
    상기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상기 기능 정보에 기초하여 인쇄 조건을 설정하고, 상기 인쇄 조건을 상기 인쇄 장치로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인쇄 시스템.
  15. 화상 공급 장치에 USB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직접 접속하고, 상기 화상 공급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인쇄하는 포토다이렉트 인쇄 장치에 있어서,
    상기 USB 인터페이스에 설치된 화상 전송 프로토콜에 따라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
    상기 화상 공급 장치와 상기 인쇄 장치에 설치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통신 순서를 실행하고 상기 화상 공급 장치와 상기 인쇄 장치 사이의 데이터의 교환을 실행하는 통신 수단;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한 통신 확립 후, 상기 포토다이렉트 인쇄 장치의 기능 정보를 상기 화상 전송 프로토콜에 따라서 상기 화상 공급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
    상기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상기 기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공급 장치에 의해 설정된 인쇄 조건을 수신하는 수신 수단; 및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한 상기 인쇄 조건에 따라서 인쇄 동작을 실행하는 인쇄 수단
    을 포함하는 포토다이렉트 인쇄 장치.
KR1020030036087A 2002-06-04 2003-06-04 인쇄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포토다이렉트 인쇄 장치 KR1006614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63431 2002-06-04
JPJP-P-2002-00163431 2002-06-04
JP2003151231A JP4208640B2 (ja) 2002-06-04 2003-05-28 印刷システムと印刷制御方法及び印刷装置とその制御方法
JPJP-P-2003-00151231 2003-05-2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9915A Division KR100663209B1 (ko) 2002-06-04 2006-08-23 인쇄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포토다이렉트 인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5263A true KR20030095263A (ko) 2003-12-18
KR100661483B1 KR100661483B1 (ko) 2006-12-27

Family

ID=3000220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6087A KR100661483B1 (ko) 2002-06-04 2003-06-04 인쇄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포토다이렉트 인쇄 장치
KR1020060079915A KR100663209B1 (ko) 2002-06-04 2006-08-23 인쇄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포토다이렉트 인쇄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9915A KR100663209B1 (ko) 2002-06-04 2006-08-23 인쇄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포토다이렉트 인쇄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4) US8174711B2 (ko)
JP (1) JP4208640B2 (ko)
KR (2) KR100661483B1 (ko)
CN (2) CN100493130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30538B2 (en) 2004-05-12 2010-1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providing multimedia data for direct printing, direct print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07015B2 (ja) * 2002-06-04 2009-08-0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リント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20050097263A1 (en) * 2003-10-31 2005-05-05 Henry Wurzburg Flash-memory card-reader to IDE bridge
JP4533005B2 (ja) * 2004-06-08 2010-08-2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リント装置及びプリンタ制御方法
KR100601690B1 (ko) 2004-07-06 2006-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랜 기반의 무선 프린팅 시스템 및 방법
JP4726239B2 (ja) * 2004-08-25 2011-07-20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画像供給デバイス及び印刷装置とその制御方法
US8400652B2 (en) * 2004-08-27 2013-03-19 Kyocera Corporation Portable terminal apparatus, and printing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printable image data
KR100644665B1 (ko) * 2004-12-15 2006-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기억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인쇄하는 방법 및장치
JP2006205549A (ja) * 2005-01-28 2006-08-10 Ricoh Co Ltd デジタル画像印刷システムおよび印刷装置およびデジタル画像印刷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印刷装置の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4657743B2 (ja) 2005-01-28 2011-03-23 株式会社リコー 印刷システム、印刷装置、印刷システムの制御方法、印刷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JP4657744B2 (ja) 2005-01-28 2011-03-23 株式会社リコー デジタル画像印刷システムおよび印刷装置およびデジタル画像印刷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060203257A1 (en) 2005-03-11 2006-09-14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output path with context preservation
JP4560430B2 (ja) 2005-03-17 2010-10-1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画像印刷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合成出力方法
JP2007034391A (ja) * 2005-07-22 2007-02-08 Oki Data Corp 印刷システム
JP2007152603A (ja) 2005-12-01 2007-06-21 Funai Electric Co Ltd プリンタ装置
KR100750157B1 (ko) * 2006-01-18 2007-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시스템 및 화상형성방법
JP2007221272A (ja) * 2006-02-14 2007-08-30 Canon Inc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908967B2 (ja) * 2006-08-10 2012-04-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入力装置、画像出力装置及び転送方法
JP2008087416A (ja) 2006-10-04 2008-04-17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画像供給装置、画像印刷システム、画像印刷方法、画像形成プログラム及び画像供給プログラム
WO2008093868A1 (ja) * 2007-02-02 2008-08-07 Nec Corporation 周辺装置などの被制御装置を制御する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制御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8290426A (ja) * 2007-05-28 2008-12-04 Ricoh Co Ltd 画像形成システム、外部機器、画像形成方法、画像形成プログラム
JP5586932B2 (ja) * 2009-12-11 2014-09-10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データ処理装置の制御方法、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971484B2 (ja) * 2010-05-24 2012-07-1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画像印刷システム、画像供給装置および画像合成出力方法
CN102529423A (zh) * 2010-12-07 2012-07-04 研能科技股份有限公司 打印装置
JP5800249B2 (ja) * 2013-06-21 2015-10-2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撮影条件設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67030B2 (ja) 2014-03-26 2018-01-24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ニスカ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
JP6494454B2 (ja) 2015-07-10 2019-04-03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10471749B2 (en) 2015-10-30 2019-11-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Hinge set
CN107071764B (zh) * 2016-12-30 2019-12-3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直连通信控制方法、装置及移动终端
JP7271282B2 (ja) 2019-04-15 2023-05-11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309427B2 (ja) 2019-04-15 2023-07-18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記録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301584B2 (ja) 2019-04-15 2023-07-0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334579B2 (ja) * 2019-10-31 2023-08-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3925A (en) * 1981-11-10 1984-02-28 Epson Corporation Manually-operated dot printer for pocket sized calculators
JPH0423096A (ja) 1990-05-17 1992-01-27 Fujitsu Ltd 金銭登録装置
EP0650125A1 (en) * 1993-10-20 1995-04-26 Nippon Lsi Card Co., Ltd. Handy computer with built-in digital camera and spot state recording method using the same
JPH07288621A (ja) 1994-04-20 1995-10-31 Canon Inc サーバーシステム
US6394571B1 (en) * 1994-07-25 2002-05-28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rinting operation with externally supplied parameters
JPH09223096A (ja) 1996-02-20 1997-08-26 Fuji Xerox Co Ltd 管理装置及びクライアント装置
JPH1067127A (ja) * 1996-04-23 1998-03-10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H09286125A (ja) * 1996-04-23 1997-11-04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その装置
JP3832089B2 (ja) * 1997-05-26 2006-10-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印刷システム
US5793366A (en) * 1996-11-12 1998-08-11 Sony Corporation Graphical display of an animated data stream between devices on a bus
CN1196855A (zh) 1996-06-25 1998-10-21 卡西欧计算机株式会社 打印设备和打印系统
JP3788643B2 (ja) * 1996-10-22 2006-06-21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写真プリントシステム
US6115137A (en) * 1996-12-06 2000-09-0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system, digital camera, and printing apparatus
JP3625345B2 (ja) 1996-12-06 2005-03-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
JPH10200766A (ja) 1997-01-08 1998-07-31 Seiko Epson Corp ダイレクトプリントアダプタ
US6298405B1 (en) * 1997-02-14 2001-10-02 Canon Kabushiki Kaisha Data communication system, printing system and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EP0859326A3 (en) * 1997-02-14 1999-05-12 Canon Kabushiki Kaisha Data transmiss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SG74611A1 (en) * 1997-02-14 2000-08-22 Canon Kk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JP3774540B2 (ja) * 1997-04-10 2006-05-17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転送方法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と装置
JP3527380B2 (ja) 1997-02-26 2004-05-17 株式会社リコー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並びにそのサーバ及びプリンタ
US20070013781A1 (en) * 1997-03-25 2007-01-18 Minolta Co., Ltd. Digital camera with automatic operating mode selection
JPH10271370A (ja) 1997-03-25 1998-10-09 Minolta Co Ltd 電子スチルカメラ
JP3622412B2 (ja) * 1997-03-25 2005-02-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方法,及び、印刷システム
JPH10304187A (ja) * 1997-04-28 1998-11-13 Canon Inc 印刷制御装置及び方法及び記憶媒体
JP3711703B2 (ja) 1997-06-06 2005-11-0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送信装置、受信装置、該システムの通信制御方法、及びデータ送信方法
JPH1132295A (ja) * 1997-07-09 1999-02-02 Olympus Optical Co Ltd デジタルカラープリンタ、デジタルカメラ及びそれらを用いたデジタルカラープリントシステム
JPH1164961A (ja) * 1997-08-20 1999-03-05 Sanyo Electric Co Ltd 画像印刷装置
JP4054451B2 (ja) * 1997-08-26 2008-02-27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
JP3939825B2 (ja) * 1997-09-09 2007-07-0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電子カメラ
JPH11155118A (ja) 1997-11-20 1999-06-08 Casio Comput Co Ltd 電子カメラ装置
JP4011701B2 (ja) * 1997-12-05 2007-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検索装置及び制御方法
US6236486B1 (en) * 1997-12-05 2001-05-22 Intermec Ip Corp. Data communication system for printer and handheld computer
US6513073B1 (en) * 1998-01-30 2003-01-28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ata output method and apparatus having stored parameters
JP3772517B2 (ja) 1998-02-26 2006-05-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印刷方法、印刷処理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印刷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印刷制御装置、印刷制御方法及び印刷制御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WO1999048289A1 (fr) * 1998-03-16 1999-09-23 Seiko Epson Corporation Systeme d'impression d'images photographiques, imprimante d'images photographiques, support d'information lisible par ordinateur contenant un programme d'impression d'images photographiques
US7202962B2 (en) * 1998-03-19 2007-04-10 Oce-Technologies B.V. Scan and print processing in a network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devices
US5967676A (en) * 1998-03-31 1999-10-19 Microtech Conversion Systems, Inc. Image orientation system for disk printing
US6552743B1 (en) * 1998-04-08 2003-04-22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gital camera-ready printer
US7107516B1 (en) * 1998-04-13 2006-09-12 Flashpoint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viewing images from an image capture device on a host computer
US6912311B2 (en) * 1998-06-30 2005-06-28 Flashpoint Technology, Inc. Creation and use of complex image templates
JP2000035864A (ja) 1998-07-16 2000-02-02 Nec Yonezawa Ltd 印刷制御装置
JP2000118086A (ja) 1998-10-14 2000-04-25 Fuji Photo Film Co Ltd 印刷システムおよび印刷指定処理方法
US6535298B2 (en) * 1998-10-15 2003-03-18 Hewlett-Packard Company Storing and retrieving digital camera images via a user-completed proof sheet
TW502172B (en) * 1998-10-26 2002-09-11 Winbond Electronics Corp Digital camera to printer conversion device with USB structure
US6559971B1 (en) * 1998-10-27 2003-05-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 L.P. Self-resizing demonstration page for a printing device
JP2000151883A (ja) 1998-11-09 2000-05-30 Canon Inc 情報処理方法及び装置、その記憶媒体
JP3357004B2 (ja) * 1999-02-08 2002-12-16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電子カメラ
JP3357005B2 (ja) * 1999-02-08 2002-12-16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電子カメラ、画像印刷機構、及び画像印刷機構の電源残量判断方法
JP3437485B2 (ja) * 1999-04-13 2003-08-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印刷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記憶媒体
JP2000318270A (ja) * 1999-05-11 2000-11-21 Minolta Co Ltd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US6806978B1 (en) * 1999-05-14 2004-10-19 Konica Corporation Image pick-up printing apparatus
US6967728B1 (en) * 1999-07-23 2005-11-22 Electronics For Imaging, Inc. Reusable and transferable printer driver preference system
MXPA00008041A (es) * 1999-08-19 2002-03-15 Sony Corp Metodo y aparato de procesamiento de imagenes, metodo y aparato de impresion, sistema y metodo de impresion de imagenes y medio de registro.
WO2001020896A1 (fr) 1999-09-14 2001-03-22 Sony Corporation Systeme d'impression d'image
JP2001092611A (ja) * 1999-09-17 2001-04-06 Canon Inc データ処理装置並びに画像記録装置並びにデータ処理装置の制御方法並びに画像記録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記憶媒体
WO2001037101A1 (fr) 1999-11-18 2001-05-2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positif de connexion reseau et systeme reseau l'utilisant
JP3389545B2 (ja) * 1999-12-27 2003-03-24 シャープ株式会社 記録装置、再生装置およびこれらを接続した記録再生装置
US6711637B2 (en) * 2000-01-11 2004-03-23 Canon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apparatus,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US7327387B2 (en) * 2000-02-21 2008-02-05 Fujifilm Corporation Image pick-up information transmitting system and remote control method for an information transmitting system
JP2001287414A (ja) * 2000-04-05 2001-10-16 Sony Corp データ変換装置及び方法、印刷装置及び方法、印刷制御装置及び方法、印刷システム及び印刷方法、データ伝送方法
JP2001290612A (ja) 2000-04-07 2001-10-19 Nec Corp プリントシステム
JP2001298694A (ja) * 2000-04-13 2001-10-26 Konica Corp 撮像装置、画像記録システム、画像記録装置及び出力特性補正方法
US7191236B2 (en) 2000-05-02 2007-03-13 Canon Kabushiki Kaisha Transparent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apparatus
US7034880B1 (en) * 2000-05-11 2006-04-25 Eastman Kodak Company System and camera for transferring digital images to a service provider
US7038714B1 (en) * 2000-05-16 2006-05-02 Eastman Kodak Company Printing system and method having a digital printer that uses a digital camera image display
US7414746B2 (en) * 2000-05-23 2008-08-19 Fujifilm Corporation Image data communication method
US6982800B1 (en) 2000-07-05 2006-01-03 Lexmark International,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management within a photoprinter
JP3703376B2 (ja) 2000-07-21 2005-10-0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および印刷処理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および印刷システム
JP2002036682A (ja) * 2000-07-24 2002-02-06 Canon Inc 画像記録装置、画像入力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装置、並びに画像記録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2002086853A (ja) 2000-09-11 2002-03-26 Canon Inc 情報処理装置及び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と周辺装置とプリンタドライバ
JP2002091841A (ja) 2000-09-13 2002-03-29 Sanyo Electric Co Ltd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機器認識方法
JP2002095071A (ja) 2000-09-13 2002-03-29 Sanyo Electric Co Ltd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機器制御方法
JP2002111947A (ja) 2000-09-27 2002-04-12 Canon Inc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US6914698B1 (en) * 2000-09-28 2005-07-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ynamic smart album page layouts in a direct connect printer
US7633523B2 (en) * 2001-02-09 2009-12-15 Olympus Corporation Image capturing device using correction information for preventing at least a part of correction process from being performed when image data is corrected at an external device
JP2003036152A (ja) * 2001-05-17 2003-02-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印刷システム
US6922258B2 (en) * 2001-05-30 2005-07-26 Polaroid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inting remote images using a mobile device and printer
US7142318B2 (en) * 2001-07-27 2006-11-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ing web page images via a marked proof sheet
EP1421804A4 (en) 2001-08-10 2007-11-21 Strix Systems Inc VIRTUAL LINK USING A WIRELESS DEVICE
JP3950704B2 (ja) * 2002-02-21 2007-08-0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印刷制御装置、印刷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04009390A (ja) * 2002-06-04 2004-01-15 Canon Inc プリント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リントシステム
JP4307015B2 (ja) * 2002-06-04 2009-08-0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リント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4013349A (ja) 2002-06-04 2004-01-15 Canon Inc 撮像装置、記録システム及びその記録制御方法
JP4027161B2 (ja) * 2002-06-04 2007-12-2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リンタ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4082528A (ja) * 2002-08-27 2004-03-18 Seiko Epson Corp 印刷システム
US7014374B2 (en) * 2002-09-25 2006-03-21 Seiko Epson Corporation Printing apparatus and printing method for performing pre-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US7199895B2 (en) 2003-01-23 2007-04-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ocessing a printer control command
US20040167974A1 (en) 2003-02-20 2004-08-26 Jeremy Bunn Exposing mobile-enterprise printers using a universal plug and play proxy
US9001806B2 (en) 2012-03-06 2015-04-07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probe response related to wireless medium access contro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30538B2 (en) 2004-05-12 2010-1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providing multimedia data for direct printing, direct print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48166A1 (en) 2013-06-13
US20120224215A1 (en) 2012-09-06
JP2004064740A (ja) 2004-02-26
KR20060099492A (ko) 2006-09-19
KR100661483B1 (ko) 2006-12-27
JP4208640B2 (ja) 2009-01-14
US8174711B2 (en) 2012-05-08
US20110122442A1 (en) 2011-05-26
CN1272742C (zh) 2006-08-30
CN1469305A (zh) 2004-01-21
CN1882027A (zh) 2006-12-20
US20040041865A1 (en) 2004-03-04
US8395802B2 (en) 2013-03-12
US8203741B2 (en) 2012-06-19
US9389824B2 (en) 2016-07-12
CN100493130C (zh) 2009-05-27
KR100663209B1 (ko) 2007-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3209B1 (ko) 인쇄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포토다이렉트 인쇄 장치
KR100589576B1 (ko) 촬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과, 인쇄 시스템 및 그 인쇄 제어 방법
US7595901B2 (en) Imaging apparatus, system having imaging apparatus and pr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3530847B2 (ja) プリント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リントシステム
JP4027161B2 (ja) プリンタ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040014245A (ko) 디지털 카메라 및 프린터
JP3919716B2 (ja) 記録装置及び画像供給システムとその制御方法
KR100825930B1 (ko) 화상공급장치와 기록장치, 이들 장치를 포함하는기록시스템 및, 기록시스템에서의 통신제어방법
EP1377018A2 (en) Printing system, control method therefor, and photo-direct printing apparatus
JP2004066602A (ja) 記録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とダイレクト印刷装置
JP4612907B2 (ja) 画像供給装置とその制御方法
JP2006168079A (ja) 記録システム及びその記録方法、画像供給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4987104B2 (ja) 印刷装置とその制御方法
JP3652364B2 (ja) デジタルカメラ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366379B2 (ja) 画像供給装置とその制御方法
JP4111528B2 (ja) プリント装置及びデジタルカメラ装置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並びにプリントシステム
JP4183259B2 (ja) プリント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111527B2 (ja) プリント装置及びデジタルカメラ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並びにプリントシステム
JP3840252B2 (ja) プリント装置及びデジタルカメラ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
JP2005086270A (ja) 記録装置及び画像供給装置及び記録システムと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6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6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04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06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60724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4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60919

Appeal identifier: 2006101006371

Request date: 20060724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0823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0823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724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51227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50325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6091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0901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2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12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1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1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2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2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