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87787Y1 - 조리기구 - Google Patents

조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7787Y1
KR200287787Y1 KR2020020015020U KR20020015020U KR200287787Y1 KR 200287787 Y1 KR200287787 Y1 KR 200287787Y1 KR 2020020015020 U KR2020020015020 U KR 2020020015020U KR 20020015020 U KR20020015020 U KR 20020015020U KR 200287787 Y1 KR200287787 Y1 KR 2002877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temperature
heater line
bimetal
energ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50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양영
Original Assignee
(주)대영리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영리버스 filed Critical (주)대영리버스
Priority to KR20200200150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77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77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7787Y1/ko

Links

Landscapes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리를 하기 위하여 사용온도를 설정한 후 조리용기(20) 내부의 실제온도가 조리를 할 수 있는 적절한 사용온도만큼 상승될 경우 소리로서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설계되어 조리시간을 더욱 용이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전기 에너지의 낭비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조리기구(100)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10) 안에 안치되어 조리용기(20)에 열 에너지를 제공하는 히터라인(30)과, 조절볼륨(43)에 의하여 설정된 사용온도 및 온도 감지봉(41)으로부터 제공된 실제온도를 비교하면서 전기 에너지를 상기 히터라인(30)에 공급 및 차단시키는 바이메탈(42)을 구비한 온도 조절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조리기구(100)에 있어서, 상기 바이메탈(42)의 온오프에 따라 상기 히터라인(30)에 전기 에너지가 공급된 후 상기 온도 감지봉(41)으로부터 제공된 실제온도가 상기 조절볼륨(43)에 의하여 설정된 사용온도가 될 경우 신호음을 발생하는 신호발생수단(60)과, 상기 신호발생수단(60)을 제어하는 스위칭수단(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리기구{DEVICE FOR COOKING}
본 고안은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를 하기 위하여 사용온도를 설정한 후 조리용기 내부의 실제온도가 조리를 할 수 있는 사용온도만큼 상승될 경우 소리로서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설계된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調理)는 식품재료를 먹기 좋고 맛있게 하기 위한 기술을 말하는 것으로 다듬고 썰고 장만하여 불을 써서 익히거나, 또는 절이거나 담가서 양념 등으로 맛을 내는 기술을 말한다.
그리고, 조리의 목적은 소화되기 어려운 식품을 소화가 잘 되게 만들어 주고, 주재료가 되는 식품에 다른 재료를 첨가하여 맛을 낸 뒤 인체에 유용한 영양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기도 한다.
조리법 중 특히 익히는 방법에는 끓이기· 볶기· 굽기· 삶기· 튀기기· 지지기· 조리기·찜 등 다양한 방법이 있고, 가열하는 조리방법은 화(火)· 수(水)· 목(木)· 금(金)· 토(土)의 5종류로 크게 나눌 수 있는 데, 화(火)는 직접 불에 쬐어 굽는 것으로 생선을 굽거나 감자를 굽는 것 등이 이 부류에 속하고, 수(水)는 수증기를 이용해서 가열하는 일종의 찌는 조리법이다. 또한, 목(木)은 목질(木質)을 통해서 가열하는 방법으로 열의 불량도체인 목질을 통해서 뜸을 들여가며 찌면 독특한 맛이 난다. 금(金)은 끓임· 튀김· 부침 등 철· 구리·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냄비를 사용하여 만드는 요리방법을 말한다. 마지막으로, 토(土)는 설구이냄비·곱돌솥· 돌 등을 사용하는 요리법이다. 돌솥밥· 백숙· 냄비국수· 찌개 등에는 이러한 설구이냄비 등이 효과적이다.
한편, 이렇게 다양한 조리방법에 동원되는 것이 바로 조리기구라 할 수 있는데, 근래에는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시켜 사용하는 조리기구가 등장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조리기구(90)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이나 찌게 또는 각종 튀김 등을 끓여서 조리하는 일반적인 조리기구(90)는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히터라인(30)을 케이스(10) 안에 배치시키고, 이러한 히터라인(30) 위에는 열 전도율이 좋은 재질, 예를 들면 알루미늄 계열의 금속으로 된 조리용기(20)를 조립하여 사용한다.
조리용기(20) 위에는 필요에 따라서 뚜껑(50)이 씌워지고,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의 최적 온도를 맞추기 위하여 열 에너지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 조절구(40)가 히터라인(30)에 접속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조리기구(90)에 적용된 온도 조절구(4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온도 조절구(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라인(30)에 접속 및 분리가능하도록 설계되고 히터라인(30)으로부터 발생된 열 에너지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봉(41)으로부터 온도를 체크하면서 조절볼륨(43)에 의하여 세팅된 사용온도의 기준에 따라 전기 에너지를 온오프시키는 바이메탈(42)의 통제를 받게 된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리기구(90)의 전기적 회선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바이메탈(4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에 잘 반응하는 금속과 잘 반응하지 않는 금속을 상호 평행하게 위치시키고 조절볼륨(43)을 이용하여 그 간격을 조절하면서 온도 감지봉(41)으로부터 열 에너지가 전도될 경우 이미 조절볼륨(43)에 의하여 세팅된 사용온도(열에 잘 반응하는 금속과 잘 반응하지 않는 금속 상호간의 간격을 사용온도의 기준으로 환산하여 미리 설정한 후 조절볼륨(43)에 의하여 그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세팅된 온도)이상이면 전기 에너지를 차단하고 그 이하이면 전기 에너지를 히터라인(30)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조절볼륨(43)을 조절하여 사용온도를 튀김온도로 설정할 경우 최초 바이메탈(42)은 전기 에너지를 히터라인(30)에 공급할 수 있도록 세팅되어 조리용기(20) 내부의 내용물에 열 에너지를 제공하여 끓을 수 있도록 하고, 이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조리용기(20) 내부의 온도가 튀김온도를 초과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바이메탈(42)은 전기 에너지를 차단하여 더 이상 조리용기(20) 내부의 온도가 올라가지 못하도록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설계된 종래 기술에 따른 조리기구(90)는 조리를 하기 위하여 사용온도를 설정하더라도 조리용기(20) 내부의 실제온도가 사용온도가 되었는지 아니면 아직 그 사용온도에 미치지 못한 경우인지를 특별히 알 수가 없어 사용상의 불편함이 따랐다.
한편, 조리용기(20) 내부의 실제온도가 사용온도가 될 경우 램프가 켜지고 그 이하이면 램프가 꺼지는 제품도 제안되기도 하였지만 사용자가 특별히 바쁠 경우 그 램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여유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의 방심으로 인한 전기 에너지의 낭비가 여전히 노정되기도 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음식물의 조리를 위하여 사용온도를 설정한 후 조리용기 내부의 실제온도가 조리를 할 수 있는 적절한 사용온도만큼 상승될 경우 소리로서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하여 조리시간을 더욱 용이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전기 에너지의 낭비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조리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조리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조리기구에 적용된 온도 조절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리기구의 전기적 회선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리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리기구에 적용된 온도 조절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리기구의 전기적 회선을 나타내는 개념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케이스 20 : 조리용기
30 : 히터라인 40 : 온도 조절구
41 : 온도 감지봉 42 : 바이메탈
43 : 조절볼륨 50 : 뚜껑
60 : 신호발생수단 70 : 스위칭수단
100 : 조리기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케이스 안에 안치되어 조리용기에 열 에너지를 제공하는 히터라인과, 조절볼륨에 의하여 설정된 사용온도 및 온도 감지봉으로부터 제공된 실제온도를 비교하면서 전기 에너지를 상기 히터라인에 공급 및 차단시키는 바이메탈을 구비한 온도 조절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조리기구에 있어서,
상기 바이메탈의 온오프에 따라 상기 히터라인에 전기 에너지가 공급된 후 상기 온도 감지봉으로부터 제공된 실제온도가 상기 조절볼륨에 의하여 설정된 사용온도가 될 경우 신호음을 발생하는 신호발생수단과,
상기 신호발생수단을 제어하는 스위칭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조리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실시예로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들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리기구(100)는 조리를 하기 위하여 사용온도를 설정한 후 조리용기(20) 내부의 실제온도가 조리를 할 수 있는 적절한 사용온도만큼 상승될 경우 소리로서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설계되어 조리시간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미력하나마 전기 에너지의 낭비를 줄이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
즉, 조리용기(20) 내부의 실제온도가 사용온도가 되었는지 아니면 아직 사용온도에 미치지 못한 경우인지를 소리로서 알려주어 조리기구(100)로부터 조금 떨어진 곳에 있는 사용자에게도 조리시간임을 경고하기 위하여 설계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리기구(100)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리기구(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히터라인(30)을 케이스(10) 안에 배치시키고, 이러한 히터라인(30) 위에는 열 전도율이 좋은 재질의 금속으로 된 조리용기(20)를 조립하여 사용한다.
조리용기(20) 위에는 뚜껑(50)이 씌워질 수 있고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의 최적 온도를 맞추기 위하여 열 에너지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 조절구(40)가 히터라인(30)에 접속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리기구(100)에 적용된 온도 조절구(4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히터라인(30)에 접속 및 분리 가능하도록 설계된 온도 조절구(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라인(30)으로부터 발생된 열 에너지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봉(41)으로부터 온도를 체크하면서 조절볼륨(43)에 의하여 세팅된 사용온도의 기준에 따라 전기 에너지를 온오프시키는 바이메탈(42)의 제어를 받는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리기구(100)의 전기적 회선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바이메탈(4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 감지봉(41)으로부터 제공된 실제온도가 이미 조절볼륨(43)에 의하여 세팅된 사용온도이상이면 전기 에너지를 차단하고 그 이하이면 전기 에너지를 히터라인(30)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하나의 예로서, 조절볼륨(43)을 조절하여 사용온도를 부침요리 온도로 설정할 경우 최초 바이메탈(42)은 전기 에너지를 히터라인(30)에 공급할 수 있도록 세팅되어 조리용기(20) 내부에 열 에너지를 제공하게 되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조리용기(20) 내부의 온도가 부침요리 온도를 초과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바이메탈(42)은 전기 에너지를 차단하여 더 이상 조리용기(20) 내부의 온도가 상승되지 못하도록 한다.
이때, 본 고안은 바이메탈(42)의 온오프에 따라 히터라인(30)에 전기 에너지가 공급된 후 온도 감지봉(41)으로부터 제공된 실제온도가 조절볼륨(43)에 의하여 설정된 사용온도가 될 경우 신호음을 발생하는 신호발생수단(60)을 더 포함하고, 이 신호발생수단(60)은 스위칭수단(70)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하며, 신호발생수단(60)의 소리는 제한된 수초동안만 발생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신호발생수단(60)은 조리용기(20) 내부의 실제온도가 비교적 낮아바이메탈(42)에 의하여 전기 에너지가 히터라인(30)에 공급된 후 일정한 시간이 지나 조절볼륨(43)에 의하여 설정된 사용온도에 미칠 경우 경고음, 음성신호 또는 멜로디 등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으로 바쁜 사용자 또는 원거리에 있는 사용자에게 경고신호로서 고지하여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전기 에너지의 낭비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제안된 것이다.
이때, 신호발생수단(60)은 조리용기(20)의 실제온도가 사용온도이상일 경우 지속적으로 소리를 발생할 수도 있고, 이내 사용자가 조리를 하기 위하여 조리기구(100) 주변에 좌석한 후 스위칭수단(70)을 오프시켜 그 신호음을 해제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스위칭수단(70)은 하나의 예로서 온오프 스위치를 선택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조리용기(20)의 실제온도가 사용온도이상일 경우 제한된 시간으로 소리를 발생할 수 있도록 타이머를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리기구(100)에 의하면 조리를 하기 위하여 사용온도를 설정한 후 조리용기(20) 내부의 온도가 조리를 할 수 있는 사용온도만큼 상승될 경우 소리로서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하여 조리시간을 더욱 용이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전기 에너지의 낭비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유용함이 있다.

Claims (4)

  1. 케이스(10) 안에 안치되어 조리용기(20)에 열 에너지를 제공하는 히터라인(30)과, 조절볼륨(43)에 의하여 설정된 사용온도 및 온도 감지봉(41)으로부터 제공된 실제온도를 비교하면서 전기 에너지를 상기 히터라인(30)에 공급 및 차단시키는 바이메탈(42)을 구비한 온도 조절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조리기구(100)에 있어서,
    상기 바이메탈(42)의 온오프에 따라 상기 히터라인(30)에 전기 에너지가 공급된 후 상기 온도 감지봉(41)으로부터 제공된 실제온도가 상기 조절볼륨(43)에 의하여 설정된 사용온도가 될 경우 신호음을 발생하는 신호발생수단(60)과,
    상기 신호발생수단(60)을 제어하는 스위칭수단(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발생수단(60)은 경고음, 음성신호, 멜로디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100).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수단(70)은 온오프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100).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수단(70)은 타이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100).
KR2020020015020U 2002-05-16 2002-05-16 조리기구 KR2002877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020U KR200287787Y1 (ko) 2002-05-16 2002-05-16 조리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020U KR200287787Y1 (ko) 2002-05-16 2002-05-16 조리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0273A Division KR100449377B1 (ko) 2002-04-13 2002-04-13 조리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7787Y1 true KR200287787Y1 (ko) 2002-09-09

Family

ID=73123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5020U KR200287787Y1 (ko) 2002-05-16 2002-05-16 조리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778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3014B1 (en) Automatic high energy saving cooker
US7495196B2 (en) Food cooking or warming apparatus with self-regulating inductor
US6414274B1 (en) Electrical heater lid
JP6755207B2 (ja) 加熱調理器
EP0953307B1 (en) Indoor grill
JP3210252U (ja) 電気調理器具
KR200287787Y1 (ko) 조리기구
KR100449377B1 (ko) 조리기구
JP4053161B2 (ja) ロースター兼用電気鍋
US20010025843A1 (en) Cooking appliances
JPH0690677A (ja) 過熱水蒸気による食物の調理方法及び其の装置
CN102462374A (zh) 烹煮器具
KR200317017Y1 (ko) 튀김 조리기용 구이장치
JP3130915U (ja) ジンギスカン用調理器
KR200241897Y1 (ko) 가열수단이 구비된 식탁
KR200266749Y1 (ko) 바베큐 가열장치
JP2001346695A (ja) 加熱調理器具
JP3205046U (ja) 焼き魚の調理容器
JPH0810133A (ja) 加熱調理鍋
JP2562867Y2 (ja) 電磁調理テーブル用調理容器
KR890006005Y1 (ko) 식품 증숙 및 튀김 장치
KR100515559B1 (ko) 전열조리기
CA1038438A (en) Multiple purpose cooking appliance
KR200315635Y1 (ko) 튀김용 기름탱크의 보온망
KR200345350Y1 (ko) 찜 가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A0107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516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82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051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