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15559B1 - 전열조리기 - Google Patents

전열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5559B1
KR100515559B1 KR10-2003-0008858A KR20030008858A KR100515559B1 KR 100515559 B1 KR100515559 B1 KR 100515559B1 KR 20030008858 A KR20030008858 A KR 20030008858A KR 100515559 B1 KR100515559 B1 KR 100515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wire
main body
heating
cooking
cook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8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2390A (ko
Inventor
김희재
Original Assignee
김희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재 filed Critical 김희재
Priority to KR10-2003-0008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5559B1/ko
Publication of KR20040072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2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5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555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6Installations on the floor, e.g. special surfaces, to guide blin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22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composed of a mixture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1C5/008, E01C5/02 - E01C5/20 except embedded reinforcing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06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characterised by the road surface marking material, e.g. comprising additives for improving friction or reflectivity; Methods of forming, installing or applying markings in, on or to road surfaces
    • E01F9/512Preformed road surface markings, e.g. of sheet material; Methods of applying preformed mark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8Paving elements having direction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oker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열선에 의하여 가열되는 전열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열선의 하부에서 요리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조리기의 구조 및 전열선의 다중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열조리기는 전원의 온/오프 및 온도조절을 위한 스위치(S)와 설정된 온도의 유지 및 제어를 위한 제어기판부가 구비되어 있는 본체(1)와, 이 본체(1)의 상면으로 노출된 전열선(20)과, 본체(1)의 구비된 받침대(10)에 얹혀지는 용기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조리기이되, 상기 본체(1)의 상면과 전열선(20) 사이에는 간격이 떨어져 있어 전열선 상부에서의 조리작업과 별도로 또는 병행하여 전열선(20) 하부에서도 조리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전열조리기를 통하여 조리기 본체 상면과 일정간격이 떨어진 전열선의 구조를 통하여 전열선 상부와 하부에서 조리가 가능하도록 하며, 다중 전열선, 특히 이중전열선을 통하여 각 전열선 사이에서 요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하나의 전열선이 갖는 요리에 필요한 열량의 부족문제, 요리 종류의 한계성, 사용 용기의 제한성 문제를 넘어설 수 있다.

Description

전열조리기{ELECTRIC HEAT COOKWARE}
본 발명은 전열선에 의하여 가열되는 전열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열선의 하부에서 요리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조리기의 구조 및 전열선의 다중구조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전열조리기, 특히 전열선이 노출된 그릴 토스터는 대부분 전열선의 상부에서만 요리가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전열 조리기 하나에서 진행할 수 있는 요리의 양과 종류는 제한적이어서 5, 6인분 이상의 고기를 구울 때나 서로 다른 종류의 구이 또는 튀김을 요리할 때는 하나의 조리기에서는 요리를 하기가 어려웠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2개 이상의 조리기를 통하여 요리를 해야 하므로 많은 공간을 차지하고 번잡한 것이 사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전열조리기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첫째, 전열선 하부에서도 조리가 가능하다는 개념을 실현하기 위하여 개량된 전열선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과,
둘째, 하나의 전열선이 갖는 열량의 제한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중 구조의 전열선을 제공하는 것과,
셋째, 이러한 전열선의 특정 구조에 덧붙여 받침대의 높이조절 및 기름받이 수단 등을 조리기에 도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열조리기는 전원의 온/오프 및 온도조절을 위한 스위치와 설정된 온도의 유지 및 제어를 위한 제어기판부가 구비되어 있는 본체와, 이 본체의 상면으로 노출된 전열선과, 본체의 구비된 받침대에 얹혀지는 용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조리기이되, 상기 본체의 상면과 전열선 사이에는 간격이 떨어져 있어 전열선 상부에서의 조리작업과 별도로 또는 병행하여 전열선 하부에서도 조리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열조리기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먼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열조리기는 크게 손잡이(3)가 구비된 본체(1), 이 본체의 받침대(10)에 얹혀지는 용기, 이 용기의 가열을 위한 전열선(2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용기는 그릴 토스터일 경우 구이판(R, 도 2a 참조)일 것이다.
상기 손잡이(3)는 도 3a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체(1)의 다리 역할을 겸하고 있다.
본체(1)의 상면으로 노출된 전열선(20)은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인 ' 하나의 조리기로 전열선 상부와 하부에서 함께 또는 각각 별도로 조리를 할 수 있다 '라는 개념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체(1) 상면에서 통상의 그릴토스터 보다 높게 배열되어 있다. 전열선(20)은 본체(1) 내에서 전원, 스위치(S), 제어기판부(미도시 됨)와 연결되어 본체(1) 상면으로 돌출되어 있고, 요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간에서 지지체(25)로 고정되어 있다.
전열선(20)을 위한 제어기판부는 본체(1) 내에 구비되는데, 센서를 통한 온도감지, 바이메탈을 통한 과열방지, 전원차단 등의 기능과 같은 통상의 전열기에 사용되는 기능을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스위치(S)는 다이얼 형식으로 된 것을 도시하고 있는데 전원의 온/오프 기능을 겸하며, 여기에 전원램프, 온도표시램프 등이 더 갖추어 질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것처럼 전열선 하부에서 적절한 용기를 통하여 각종 조리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소형 팬(C)은 치즈구이를 위한 것으로 가열된 치즈가 늘어붙지 않게 내면에 코팅이 되어 있고, 손잡이에는 절연체가 구비되어 있다. 본체(1) 상면에는 이 팬(C)을 위한 수용부(5)가 6개 형성되어 있다. 도 1b의 참조부호 C1은 치즈를 뒤적이기 위한 주걱이다.
Raclette 나 Mozzarella 등과 같은 각종 치즈를 덩어리 째 또는 작게 조각내어 팬(C)에 넣고 스위치(S)를 켜면 전열선(20)과 직접 접촉하지 않더라도 복사열에 의하여 서서히 구워지게 되므로 치즈 맛에 익숙하지 않은 동양인도 좋은 맛을 느낄 수 있다. 이러한 복사열은 이미 요리된 음식이 식지 않도록 하는 데에도 적합할 것이다.
이러한 복사열에 의한 요리 외에도 뚜껑을 구비한 적절한 용기를 통하여 전열선(20)과 용기의 뚜껑이 직접 접촉하면서 열전도를 통하여 요리가 진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전열선과 접촉하면서 가열되는 것을 '직접가열', 전열선과 접촉하지 않고 복사열에 의하여 가열되는 것을 '간접가열'이라 한다.
다음으로 ' 하나의 조리기로 전열선 상부 및/또는 하부에서 요리를 한다 '라는 것에서 더 나아가 다층으로 되어 있는 다중 전열선 조리기를 통하여 하나의 전열선이 갖는 가열온도, 요리의 종류 및 용기 형태의 제한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다중 전열선 조리기는 각 전열선 사이에서 요리를 진행할 때 하부전열선에서는 직접 전도에 의해서 열을 공급받는다. 그리고 상부전열선에서는 복사열에 의하여 간접적으로 또는 적절한 뚜껑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열을 공급받을 수 있다. 그러므로 요리가 보다 빨리 진행될 수 있으며 음식이 골고루 익게 된다. 만약 하부 전열선에 의한 직접적인 가열이 필요치 않고 상부 전열선에 의한 간접 가열만이 필요할 경우에는 하부 전열선에 공급되는 전원을 스위치로 차단해 주면 된다. 가장 상층 전열선에 의한 조리는 직접 또는 간접 전도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다중 전열선은 하나의 스위치에 의하여 또는 각각의 전열선을 위한 스위치를 통하여 온도조절된다. 또한 몇 개씩 짝을 짓는 전열선마다 스위치가 구비될 수도 있다.
다중 전열선의 개념은 일반 가정용 조리기에 대한 실용성과 관련하여서는 이중 또는 삼중 전열선이 적합할 것인데, 도 2a 및 도 2b에는 이중 전열선을 구비한 조리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10) 얹혀지는 구이판(R)을 위한 제1 전열선(21)은 스위치 S1에 의하여 온/오프되고 온도조절된다.
스위치 S2에 의하여 온도조절되는 제2 전열선(23)은 도 1a에서와 달리 본체(1)의 상면과 인접해 있는데, 제2 전열선 하부에서도 요리를 할 수 있도록 본체 상면과 떨어뜨릴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구조의 조리기에서 도 1b의 팬(C)으로 치즈구이를 할 경우에는 제2 전열선(23)은 끄고 제1 전열선(21)의 복사열만으로 치즈를 구면 된다. 이는 직접적인 가열이 적합하지 않은 다른 종류의 요리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도 2b에는 하부의 제2 전열선(23)의 직접가열의 경우의 일례로 상기 제1(21), 제2 전열선(23) 사이에 튀김용기(F)가 은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튀김용기(F)에서는 치즈를 베이컨으로 말아 감싼 요리가 튀겨질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서 전열선(21)(23)을 위한 지지체(25a)(25b)는 도 1a의 것(25)과 달리 본체(1)의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있는데 이는 전열선 사이에 투입되는 용기가 지지체에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a에서도 전열선(20) 하부에 투입되는 용기가 클 경우에는 지지체(25)가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다중 전열선을 갖는 조리기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다음으로 도 3a 및 도 3b에는 본체(1)에 구비된 받침대(10)는 높이조절을 위한 수단과 기름받이 수단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받침대(10)의 높이조절은 받침대에 얹혀지는 용기, 도시되기로는 구이판(R)에 대하여 전열선(21)에 의한 직접 또는 간접 가열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또 한쪽 받침대를 더 높임으로써 요리에서 발생되는 기름이 한쪽으로 몰리게 할 수도 있다.
도시된 상기 받침대(10)의 높이조절 수단은 슬라이드 홈(11a)이 구비된 암받침대(11)가 본체와 연결되어 있고, 암받침대(11)의 홈(11a)에는 수받침대(13)가 끼워져서 고정수단, 도시되기로는 볼트(15)에 의하여 그 위치가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면에서 상기 본체(1)에는 조리되는 요리에서 발생하는 기름을 위한 기름받이 수단(B)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기름받이 수단은 특히 구이판(R)에서 흘러나오는 기름을 위한 것으로, 도 1a의 단층 전열선 조리기나 다중 전열선 조리기에서도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기름받이 수단은(B)은 일측에 구비된 고리(B1)가 암받침대(11)에 형성된 삽입공(11b)에 걸쳐져서 본체(1)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도 3a의 단면도에서 구이판(R)에는 고기에서 발생되는 기름이 흘러 기름받이(B)로 떨어지도록 홈(R2)이 형성되어 있다.
도 3a에서 참조부호 R1은 구이판(R)이 받침대, 특히 수받침대(13) 위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홈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열조리기는
첫째, 조리기 본체 상면과 일정간격이 떨어진 전열선의 구조를 통하여 전열선 상부와 하부에서 조리가 가능하며,
둘째, 다중 전열선, 특히 이중전열선을 통하여 각 전열선 사이에서 요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하나의 전열선이 갖는 요리에 필요한 열량의 부족문제, 요리 종류의 한계성, 사용 용기의 제한성 문제를 넘어설 수 있고,
셋째, 이에 덧붙여 받침대의 높이조절 및 기름받이 수단을 통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제고하였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전열조리기의 여러 특징들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되고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 및 조합이 '전열선 하부에서 조리가 가능하다'라는 개념과 '다중 전열선 사이에서 조리가 가능하다'라는 개념과 관련이 있을 경우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전열조리기에 대한 통상적인 기술과 제어기판부 등의 기작에 대해서는 생략하였으나 당업자라면 이를 당연히 추론 또는 추측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특징에 따른 전열조리기의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의 조리기에 구비되는 치즈 구이용 소형 팬의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전열조리기의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받침대와 기름받이 수단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및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체 10: 받침대
11: 암받침대 13: 수받침대
15: 고정수단 S,S1,S2: 스위치
20,21,23: 전열선 25a,25b: 지지체
R: 구이판 F: 튀김용기

Claims (10)

  1. 전원의 온/오프 및 온도조절을 위한 스위치(S)와 설정된 온도의 유지 및 제어를 위한 제어기판부가 구비되어 있는 본체(1)와, 이 본체(1)의 상면으로 노출된 전열선(20)과, 본체(1)의 구비된 받침대(10)에 얹혀지는 용기와, 상기 본체(1)의 상면과 전열선(20) 사이에는 간격이 떨어져 있어 전열선(20) 상부에서의 조리작업과 별도로 또는 병행하여 전열선(20) 하부에서도 조리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전열조리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1)에 구비된 받침대(10)는 높이조절을 위한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조리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0)의 높이조절 수단은 슬라이드 홈(11a)이 구비된 암받침대(11), 홈에 끼워지는 수받침대(13) 및 수받침대의 고정을 위한 수단(15)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조리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에는 조리되는 요리에서 발생하는 기름을 위한 기름받이 수단(B)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조리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선에 얹혀지는 용기는 구이판(R)으로, 구이판 저면에는 받침대(10)가 끼워지는 홈(R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조리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선과 본체 상부 사이 또는 각 전열선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요리는 치즈구이로, 조리기에는 이를 위한 치즈구이용 팬(C)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조리기.
KR10-2003-0008858A 2003-02-12 2003-02-12 전열조리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515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8858A KR100515559B1 (ko) 2003-02-12 2003-02-12 전열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8858A KR100515559B1 (ko) 2003-02-12 2003-02-12 전열조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2390A KR20040072390A (ko) 2004-08-18
KR100515559B1 true KR100515559B1 (ko) 2005-09-16

Family

ID=37359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8858A Expired - Fee Related KR100515559B1 (ko) 2003-02-12 2003-02-12 전열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555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2390A (ko) 2004-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48803B1 (en) Electric countertop grill
US4987827A (en) Cooking apparatus
US5948301A (en) Food thermalization device
US5380986A (en) Multi-purpose electric fast cooking apparatus
US6265695B1 (en) Food thermalization device and method
US6262399B1 (en) Grill
US6186055B1 (en) Turntable cooking and serving appliance
US20020088793A1 (en) Table top cooking appliance
US20070000393A1 (en) Electric grill
KR100813904B1 (ko) 장어로스구이 조리장치
US6414274B1 (en) Electrical heater lid
KR101167657B1 (ko) 회전형 구이용 그릴
US20080216672A1 (en) Efficient reversible grill
US20070295224A1 (en) Reversible grill
WO2012174702A1 (en) Cooking appliance
KR100909072B1 (ko) 식탁용 조리기
US20010025843A1 (en) Cooking appliances
KR100515559B1 (ko) 전열조리기
US20050205545A1 (en) Bench top grill
FR2686785A1 (fr) Rechaud de table.
KR200365191Y1 (ko) 3가지 이상의 복합메뉴를 제공하는 로스터
KR102783004B1 (ko) 다용도 조리장치
KR200317017Y1 (ko) 튀김 조리기용 구이장치
KR20110070648A (ko) 구이와 볶음요리가 가능한 조리기
JP3273559B2 (ja) 加熱調理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2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404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12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6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9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9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9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0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