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50028Y1 - 무지부를 형성한 극판 - Google Patents

무지부를 형성한 극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0028Y1
KR200150028Y1 KR2019960019615U KR19960019615U KR200150028Y1 KR 200150028 Y1 KR200150028 Y1 KR 200150028Y1 KR 2019960019615 U KR2019960019615 U KR 2019960019615U KR 19960019615 U KR19960019615 U KR 19960019615U KR 200150028 Y1 KR200150028 Y1 KR 2001500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late
active material
plate
plain
corn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96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9762U (ko
Inventor
김형수
Original Assignee
손욱
삼성전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욱, 삼성전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손욱
Priority to KR20199600196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0028Y1/ko
Priority to CN97113974A priority patent/CN1170967A/zh
Priority to FR9708229A priority patent/FR2752645A1/fr
Priority to DE19727662A priority patent/DE19727662A1/de
Priority to GB9713794A priority patent/GB2314964B/en
Priority to JP9176252A priority patent/JPH1074522A/ja
Publication of KR9800097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97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00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00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70Carriers or collec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H01M4/72Gr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4Electrodes for lead-acid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70Carriers or collec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H01M4/72Grids
    • H01M4/74Meshes or woven material; Expanded met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70Carriers or collec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H01M4/72Grids
    • H01M4/74Meshes or woven material; Expanded metal
    • H01M4/742Meshes or woven material; Expanded metal perforated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24Alkaline accumulators
    • H01M10/2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286Cells or batterie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04Cells with aqueous electrolyte
    • H01M6/06Dry cells, i.e. cells wherein the electrolyte is rendered non-fluid
    • H01M6/10Dry cells, i.e. cells wherein the electrolyte is rendered non-fluid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Cell Electrode Carriers And Collectors (AREA)

Abstract

활물질을 충전하기 위한 다수의 충전구멍(6)이 형성된 천공부(4)와, 상기한 천공부(4)의 네모서리 바깥쪽에 소정의 폭으로 활물질을 제거하여 형성되는 무지부(12)를 포함하는 무지부를 형성한 극판을 제공한다.
무지부(12)의 바깥부분은 직선형상으로 형성되고, 네귀퉁이는 모따기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무지부를 형성한 극판을 사용하면, 전극부를 형성할 때에 있어서 절연판이 손상되지 않으므로 양극판과 음극판의 단락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 모서리에 무지부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전극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극판을 감을 때에 활물질이 탈락되지 않으므로 극판의 수명이 길어지고 용량의 감소가 발생하지 않는다.

Description

무지부를 형성한 극판
제1도는 본 고안 무지부를 형성한 극판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2도는 본 고안 무지부를 형성한 극판의 일실시예를 사용하여 전극부를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3도는 종래의 극판을 나타내는 정면도.
제4도는 종래의 다른 극판을 나타내는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천공부 6 : 충전구멍
10 : 극판 12 : 무지부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고안은 무지부를 형성한 극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극판의 네모서리에 무지부를 형성하여 단락을 방지한 무지부를 형성한 극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일반적으로 2차전지는 재충전이 가능한 전지로서, 니켈-카드뮴전지와 니켈-수소전지 등이 있다.
상기한 니켈-수소전지는 띠형상이 양극판과 음극판의 사이에 단락방지용 절연판을 삽입한 다음 여러겹으로 말아서 형성한 전극부를 캔 안에 설치하고, 상기한 캔 안에 수산화칼륨(KOH), 수산화나트륨(NaOH), 수산화니켈(NiOH)등의 전해액을 주입하여 제조한다.
상기한 음극판은 집전체에 활물질(예를 들면 Ni(OH)2등)을 충전하고 압연하는 것으로 형성된다.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음극판(2)은 활물질을 충전하기 위한 다수의 충전구멍(56)이 형성된 천공부(4)가 전면적에 걸쳐 형성된다.
또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음극판(8)의 다른 예는 활물질을 충전하기 위한 다수의 충전구멍(6)이 형성된 천공부(4)와, 길이방향의 양모서리 끝부분이 직선형상이고 소정의 폭으로 활물질을 초음파 또는 물로 세정·제거하여 형성된 무지부(9)로 이루어진다.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음극판에 있어서는 폭방향의 양모서리 또는 네모서리 모두에 반원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절연판을 사이에 두고 양극판과 함께 감아서 전극부를 형성할 때에 날카로운 상기한 반원형상 홈의 끝부분에 의하여 상기한 절연판이 파손되어 양극판과 음극판이 단락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 모서리 끝부분에 충전된 활물질이 이탈되기 쉽기 때문에 활물질에 의하여 전해액이 오염되고 용량이 감소된다는 문제가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이 강구한 수단은 활물질을 충전하기 위한 다수의 충전구멍이 형성된 천공부와, 상기한 천공부의 네모서리 바깥쪽에 소정의 폭으로 활물질을 제거하여 형성되는 무지부를 포함하는 무지부를 형성한 극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무지부의 바깥부분은 직선형상으로 형성되고, 네귀퉁이는 원형모따기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무지부를 형성한 극판의 제조는 먼저 극판의 소재에 일정한 간격으로배열하여 다수의 충전구멍을 가공하고, 상기한 충전구멍이 가공된 극판의 소재에 활물질을 충전한 다음, 네모서리에서 소정의 폭으로 초음파 또는 물로 세정하여 활물질을 제거하여 무지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고안 무지부를 형성한 극판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 무지부를 형성한 극판의 일실시예는 활물질을 충전하기 위한 다수의 충전구멍(6)이 형성된 천공부(4)와, 상기한 천공부(4)의 네모서리 바깥쪽에 소정의 폭으로 활물질을 제거하여 형성되는 무지부(12)를 포함한다.
상기한 무지부(12)의 바깥부분은 직선형상으로 형성되고, 네귀퉁이는 모따기(특히 원형모따기)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무지부를 형성한 극판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극판의 소재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하여 다수의 충전구멍(6)을 가공하고, 상기한 충전구멍(12)이 가공된 극판의 소재에 활물질을 충전한 다음, 네모서리에서 소정의 폭으로 초음파 또는 물로 세정하여 활물질을 제거하여 무지부(12)를 형성하면 극판(10)이 제조된다.
상기한 극판(10)은 주로 음극판으로 사용되고,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탭부재(15)가 부착된 양극판(16)과 절연판(16)을 사이에 두고 일정한 형상으로 감아서 전극부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절연판(16)을 사이에 두고 양극판(16)과 음극판이 본 고안 무지부를 형성한 극판(10)의 일실시예를 일정한 형상으로 감아서 전극부를 형성할 때에 있어서, 상기한 극판(10)의 네모서리 특히 폭방향의 양쪽 모서리에 직선형상의 무지부(12)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종래의 음극판(2), (8)과 같이 날카로운 부분이 없으므로 절연판(16)이 손상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고안의 효과]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무지부를 형성한 극판을 사용하면, 전극부를 형성할 때에 있어서 절연판이 손상되지 않으므로 양극판과 음극판의 단락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 모서리에 무지부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전극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극판을 감을 때에 활물질이 탈락되지 않으므로 극판의 수명이 길어지고 용량이 감소가 발생하지 않는다.

Claims (1)

  1. 활물질을 충전하기 위한 다수의 충전구멍(6)이 형성된 천공부(4)와; 이 천공부(4)의 네모서리 바깥쪽에 소정의 폭으로 활물질을 제거하여 형성되는 무지부(12)를 포함하고, 상기 무지부(12)가 바깥부분을 직선형상으로 형성하고 네귀퉁이를 모따기하여 형성되는 극판.
KR2019960019615U 1996-07-02 1996-07-02 무지부를 형성한 극판 KR2001500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9615U KR200150028Y1 (ko) 1996-07-02 1996-07-02 무지부를 형성한 극판
CN97113974A CN1170967A (zh) 1996-07-02 1997-06-27 具有非活性部分的极板
FR9708229A FR2752645A1 (fr) 1996-07-02 1997-06-30 Plaque polaire comportant une partie non active
DE19727662A DE19727662A1 (de) 1996-07-02 1997-06-30 Polplatte mit einem nicht-aktiven Abschnitt
GB9713794A GB2314964B (en) 1996-07-02 1997-06-30 Pole plate having non-active portion
JP9176252A JPH1074522A (ja) 1996-07-02 1997-07-02 電池用極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9615U KR200150028Y1 (ko) 1996-07-02 1996-07-02 무지부를 형성한 극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9762U KR980009762U (ko) 1998-04-30
KR200150028Y1 true KR200150028Y1 (ko) 1999-07-01

Family

ID=19460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9615U KR200150028Y1 (ko) 1996-07-02 1996-07-02 무지부를 형성한 극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H1074522A (ko)
KR (1) KR200150028Y1 (ko)
CN (1) CN1170967A (ko)
DE (1) DE19727662A1 (ko)
FR (1) FR2752645A1 (ko)
GB (1) GB231496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00002B1 (en) * 1999-05-13 2001-10-09 Moltech Power Systems, Inc. Notched electrode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01052711A (ja) * 1999-08-05 2001-02-23 Honda Motor Co Ltd 蓄電池用電極板
JP4971537B2 (ja) * 2000-04-14 2012-07-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池用極板群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235494A (ja) * 2004-02-18 2005-09-02 Sanyo Electric Co Ltd ニッケル・水素蓄電池用正極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982223A (en) * 1972-05-10 1976-01-20 John P. Cestaro Light-weight lead-acid battery
US4056885A (en) * 1976-12-15 1977-11-08 Exxon Research & Engineering Co. Method of preparing lithium-aluminum alloy electrodes
JPH0353456A (ja) * 1989-07-18 1991-03-07 Sanyo Electric Co Ltd 円筒形電池用極板の導電用芯体
US5053292A (en) * 1989-09-18 1991-10-01 Toshiba Battery Co., Ltd. Nickel-metal hydride secondary cell
JPH05234598A (ja) * 1992-02-21 1993-09-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蓄電池の渦巻状極板群
US5527638A (en) * 1993-06-30 1996-06-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Hydrogen storage alloy electrode and sealed-type nickel-metal hydride storage battery using the same
KR960043320A (ko) * 1995-05-31 1996-12-23 윤종용 2차 전지 및 극판용 집전체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74522A (ja) 1998-03-17
KR980009762U (ko) 1998-04-30
GB2314964B (en) 1999-01-27
DE19727662A1 (de) 1998-01-08
GB2314964A (en) 1998-01-14
CN1170967A (zh) 1998-01-21
GB9713794D0 (en) 1997-09-03
FR2752645A1 (fr) 1998-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01634B2 (ja) 蓄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758593B2 (ja) 巻成電極セットを備えたガルバニ電池
JP2002157991A (ja) 電 池
JP5915654B2 (ja) 円筒形電池
JP5812094B2 (ja) 電極板、積層型電極群及び電池
JP2000311714A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
US9722215B2 (en) Cylindrical battery
CN108461820B (zh) 一种大电流锂锰扣式电池及其制备方法
CN218939958U (zh) 极芯及电池
KR200150028Y1 (ko) 무지부를 형성한 극판
JP3796087B2 (ja) 電池用渦巻状電極群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池
KR20130040036A (ko) 이차 전지용 극판 컷팅 방법
KR20130040037A (ko) 이차 전지용 극판 컷팅 방법
CN217468487U (zh) 电极、电芯、电池及电子设备
CN222233813U (zh) 一种极片及电池、电池包
JP2692533B2 (ja) 角筒形電池
RU2260227C1 (ru) Химический источник тока
CN221727156U (zh) 极片、电芯及电池
CN218896653U (zh) 二次电池极片、电芯及用电装置
JP2002110171A (ja) 電池極板用の導電性芯体とこれを用いた電池
JPH0794207A (ja) 円筒密閉形アルカリ蓄電池
JP2000331706A (ja) 電極群挿入用ガイド治具、それを用いた角形アルカリ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3079302B2 (ja) 電池用極板の製造方法
JP4441957B2 (ja) 電池
JP2600250Y2 (ja) 渦巻形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60702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60702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81224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3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40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9040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3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3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3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3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7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