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101237A - 식품으로부터 유도된 난황내의 분비억제 단백질 - Google Patents

식품으로부터 유도된 난황내의 분비억제 단백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1237A
KR20010101237A KR1020017007493A KR20017007493A KR20010101237A KR 20010101237 A KR20010101237 A KR 20010101237A KR 1020017007493 A KR1020017007493 A KR 1020017007493A KR 20017007493 A KR20017007493 A KR 20017007493A KR 20010101237 A KR20010101237 A KR 20010101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sp
food
egg yolk
yolk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7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5179B1 (ko
Inventor
스테판 랜지
레이프 괴랜슨
이바르 뢴로쓰
Original Assignee
루랄 페이턴트 스벤스카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랄 페이턴트 스벤스카 아베 filed Critical 루랄 페이턴트 스벤스카 아베
Publication of KR20010101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1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5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517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32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9/38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OF FLOUR OR DOUGH FOR BAKING,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80Past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sewhere, e.g. cakes, biscuits or cooki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4Pretreatment of feeding-stuffs with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4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carnivorous animals, e.g. cats or do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6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weanlin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7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 A23K50/75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for poultr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5/00Egg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5/00Egg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5/20Addition of proteins, e.g. hydrolysates, fats, carbohydrates, natural plant hydrocolloids; Addition of animal or vegetable substances containing proteins, fats, or carbohydr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57Birds; Materials from birds, e.g. eggs, feathers, egg white, egg yolk or endothelium corneum gigeriae gall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2Antidiarrhoe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r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iabetes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He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극심한 체액 배출에 의해 야기되는 질병-유사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NASP가 풍부한 기능성 식품 또는 약제학적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천연 분비억제 단백질(NASP)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NASP의 공급원으로서 NASP가 풍부한 난황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품으로부터 유도된 난황내의 분비억제 단백질{FOOD-INDUCED ANTISECRETORY PROTEINS IN EGG YOLK}
스웨덴 특허 SE 9000028-2호(공개 번호 제 466,331호)로부터, 분비억제 인자 또는 분비억제 단백질(ASP: FIL으로도 명명됨)의 형성이 동물의 먹이에 특정한 당, 아미노산 및 아미드를 첨가함으로써 자극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흥미있는 양의 ASP를 형성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이러한 물질의 종류 및 양은 상기 특허에 기술되어 있는 방법에 의해 결정된다. 간단하게, 이러한 방법은 래트의 소장에서 표준화된 분비 반응을 측정하는 것과 관련되어 있다. 상기 특허로부터, 유도된 ASP가 소장내로 체액을 분비시켰음이 명백하다. 이에 기인하여, 설사병을 예방하거나 치유할 수 있으며 이는 동물성 제품의 더욱 안전한 생산을 의미한다. 상기 특허에서, 천연 분비억제 단백질의 함량 또는 양은 콜레라 독소를 사용하여 시험되고 있는 실험실 래트의 소장내로의 체액 분비에 대한 이의 영향에 의해 정의된다. 1 ASP 유닛(FIL 유닛)은 ASP를 가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소장내 체액 흐름의 50% 감소에 상응한다. 분비억제 단백질은 극소량으로 활성적이므로, 이들의 양에 의해서 보다는 이들의 영향에 의해서 이들을 결정하는 것이 용이하다.
PCT 출원 PCT/SE96/01049호로부터, 특정 분비억제 단백질의 구조가 밝혀졌고, 이들의 활성 부분이 특징화되었다. 재조합 유전자 조작 및 고상 기술에 의해 제조되어 명확한 구조를 가지는 합성 ASP는 생세포막을 거치는 체액 흐름상에 일반적인 조절 영향을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PCT 출원 PCT/SE97/01918호(WO 98/21978호)로부터, ASP의 형성이 효소적 활성을 가진 특정 종류의 음식을 섭취함으로써 체내에서 유도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상기 유도의 효과 및 이에 기인한 ASP의 형성은 개체 및 개체의 증상에 따라 다르며 그 정도까지는 예측할 수 없는 강도 및 유도 기간으로 발생한다. 그러나, 이들은 나중에 측정될 수 있으며, 필수 보정은 상기 측정의 지표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발명의 간단한 설명
스웨덴 특허 SE 9000028-2호에 따라 분비억제 단백질의 형성을 자극시키는먹이를 제형화하는 본 발명자들의 계속된 연구 동안에, 놀랍게도 천연 분비억제 단백질의 합성 능력 및 농축정도는 체내에서 대부분 불규칙적으로 분포되어 있음을 발견하였다. 매우 높은 농도의 NASP는 특정 기관, 신체 일부분 또는 체액 및, 특히, 새의 알의 난황에서 발견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놀라운 사실에 기초한 것이며, 결론적으로, 극심한 체액 배출에 의해 야기되는 비정상적인 생리학적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NASP가 풍부한 식품 및 약제학적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NASP가 풍부한 난황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난황 그 자체 또는 식품으 형태로의 섭취에 의해 음식 또는 먹이중에 NASP를 직접적으로 투여하기 위한 지금까지 공지되지 않았던 가능성을 공개한다.
본 발명은 예외적으로 높은 농도의 체액 배출에 의해 야기되는 비정상적인 생리학적 질환의 치료 및 예방하기 위해 NASP가 풍부한 기능성 식품 및 약제학적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천연 분비억제 단백질(NASP)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NASP를 풍부하게 함유하는 난황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렇게 제조된 식품 및 약제학적 제품 및 이들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기에서, 용어 "NASP"는 "천연 분비억제 단백질"에 대해 사용될 것이지만, 용어 "ASP"는 천연 분비억제 단백질을 포함하는 "분비억제 단백질"에 대해 사용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극심한 체액 배출에 의해 야기되는 비정상적인 생리학적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NASP가 풍부한 기능성 식품 및 약제학적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천연 분비억제 단백질의 용도에 관한 것이고, 하나의 일면에 따라서는, 높은 농도의 NASP를 함유하는 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NASP가 풍부한 난황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본 발명은 NASP를 함유하는 특정한 영양적 목적을 위한 식품 및 약제학적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능성 식품"은 건강에 이로운 기능, 즉 인간 또는 동물의 건강상에 유익한 효과를 가진 음식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표현 "식품"에는 인간용 음식 뿐만 아니라 동물용 먹이를 포함시키고자 한다. 음식은 팬케이크, 오믈렛, 아이스크림 및 다양한 종류의 빵과같은 난황을 함유하는 제품, 조제품 형태의 물품일 수 있다. 또한 난황은 에그-노그(egg-nog) 또는 완숙이나 반숙 달걀의 형태로 섭취될 수도 있다. 또한 음식은 빵, 비스켓, 파스타, 그레인 및 플레이크, 포리지 또는 죽의 형태, 또는 전해질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다양한 음료 성분과 혼합된 형태, 또는 하기 기술되는 발명의 양태에 따른 NASP가 풍부한 고기 및 육가공품, 지방 및 지방제품 또는 우유 및 우유가공품을 함유하는 식품일 수 있으며, 식품에 따라 NASP는 어느 정도 정제된 형태로 식품과 혼합된다. 식품은 기호도 및 식사 변화에 대한 요구에 따르기 위해, 당업자에게 공지된 지식을 사용하여 매우 자유롭게 구성될 수 있다.
난황은 인간 및 동물 섭취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면서 NASP가 풍부한 새의 알로부터 유래된다. 알은 바람직하게는 암탉에 의해 생산되지만 예컨대, 메추라기 및 타조로부터 수득될 수도 있다.
"NASP가 풍부한 식품" 또는 "높은 농도의 NASP를 함유하는 식품"은 식품을 섭취하는 경우, 건강상 바람직한 유익한 효과를 제공하는 농도로 NASP를 함유하는 식품을 의미한다. 특히 높은 농도의 NASP는 실시예 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알에서 측정될 수 있다. NASP가 풍부한 제품을 섭취하는 경우, 혈중 ASP 농도는 0.5 FIL 유닛/ml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한 사람의 혈중 ASP 농도는 0 내지 0.5 FIL 유닛/ml인 것으로 나타났다.
SE 9000028-2호에 따라 NASP 생성을 자극시키는 경우, 놀랍게도 예상외로, 극도로 높은 농도의 NASP가 새의 알에서 유도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상기 유도에 대해서 혈중 NASP 농도는 정상적으로 0.5 내지 2 FIL 유닛/ml(1 FIL 유닛 = 래트에대한 소위 장 루프 시험에서 체액 배출의 50% 억제를 제공하는 NASP의 양; 참조(SE 9000028-2호 및 그 안에 인용된 참고문헌 3 및 4))이다. SE 9000028-2에 따라, 아미노산, 당 및 아미드의 별개의 조합물을 먹이를 통해 새에게 공급함으로써, 바람직하게는 난황내에 매우 높은 농도의 NASP가 축적된다. 이것으로 ml당 약 1,000 내지 약 10,000 FIL 유닛만큼의 높은 농도가 수득되었다. 이에 관련하여, 이전에 유도되지 않은 난황내의 NASP 농도는 정상적으로 약 1 FIL 유닛/ml임이 언급되어야만 한다; 참조(S. Langeet al, Briish Poultry Science(1994) 35:615-620)
본 발명에 따른 용도의 하나의 양태에 따라, NASP가 풍부한 식품은 NASP가 풍부한 난황으로부터 어느 정도 정제된 형태로 수득된 NASP 자체를 음식과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SE 9000028-2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새에게서 NASP의 형성을 자극시킨 다음, 상기 스웨덴 특허에 기술된 바와 같이, 아가로오스 컬럼상에서 난황을 분해시키고 거기에서 바로 바람직하게는 인산염 완충된 생리학적 염수중의 알파-메틸글리코시드의 용액을 사용하여 이를 용리시킴으로써 NASP를 회수하거나 농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용리액은 예컨대, 용액(sol)의 형태로 투여되기 전에 추가로 정제 및 제형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회수되거나 농축된 NASP는 이어서 동물 또는 인간에게 투여되거나, 각각 먹이나 음식과 혼합되거나, 어느 정도 분리된 제품으로서, 약제 또는 다른 건강 보조 제품으로서 제조되고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제품은 캐리어 및 희석물을 함유하는 허용되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되고 의도하는 투여 경로에 따라 고체 또는 액체 형태로서 제형화된다.
NASP가 풍부한 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용도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 용도는 음식 또는 먹이와 혼합하기 위해, 가능하게는 처리된 형태의 난황 자체 또는 알 전체로 수행된다. 어느 처리든지 NASP가 풍부한 난황 제품을 수득하기 위해, 실용적인 목적을 위해 적합하고, 식품 또는 먹이와 혼합하기에 적합한 분쇄, 삼출, 추출, 증발, 초여과, 건조 및 다른 표준 조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NASP 섭취와 관련된 유리한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새로운 길이 열린 것이다. NASP의 효과는 이전에 공지된 NASP의 유도에 의해 야기되는 시간의 지연없이, 유도될 수 있는 난황내의 NASP의 높은 농도로 인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추가적인 일면에 따라, 본 발명은 NASP가 풍부한 새의 알로부터 난황을 수득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 방법은 SE 9000028-2호에 따라 NASP를 유도하는 먹이를 새에게 공급함으로써 NASP의 형성을 자극시키고 이 새로부터 알을 취한다는 특징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놀랍게도 예상외로 닭목(目)의 새로부터의 알에서 극도로 높은 농도의 NASP가 유도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닭목의 새에게 먹이를 공급하는 경우, 적용될 수 있다. 아미노산, 당 및 아미드의 독특한 조합물을 암탉에게 먹이를 통해 공급함으로써,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난황내에 매우 높은 농도(약 100 내지 1,000 FIL 유닛)의 NASP가 축적된다. 이로 인해서, 상기 특허에 기술된 발명에 따른 극도로 높은 농도의 NASP를 함유하는 난황을 제조하는 특정 가능성을 연것이다. 상기 난황 또는 이들의 제품을 음식 또는 먹이와 혼합함으로써, NASP를 편리하고 안전하고 비용-효율적인 방식으로 인간 또는 동물에게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높은 농도의 NASP가 식량내에서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은 매우 놀라운 것이며 이전에 공지된 바가 없다. 이로 인해서, NASP의 효과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이전에 공지된 NASP의 유도에 의해 야기되는 시간의 지연없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NASP가 경구적으로 투여되는 경우에도 이의 효과가 유지된다는 것은 놀라운 것이다.
특정 질환에 있어서, NASP의 높은 투여량이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알로부터 회수된 NASP는 식품에 첨가될 수 있거나 NASP는 정제 또는 현탁액의 형태로 섭취를 위해 제조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양태는 분무-건조에 의한 난황 분말의 제조를 포함한다. 상기 제품은 당해 식품의 섭취에 대해 NASP의 유익한 효과를 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다양한 식품의 산업적 공정에 특히 적합하다. 난황 분말은 식성에 대해서 장기적인 변화가 달성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소세지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매우 상이한 제품과 그 자체로 잘 혼합되게 한다.
난황 분말은 또한 예컨대, 약제의 이후 제조를 위한 삼출 또는 추출을 통해 NASP가 풍부한 제품 또는 농축된 NASP 제품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에 중간생성물로서 가장 적합하다.
이의 비교적 낮은 분자량 때문에, NASP는 비교적 열-안정성이고 따라서 섭취를 위한 음식을 제조하기 전에 이미 음식내에 함유시킬 수 있다.
NASP는 생세포막을 거치는 체액 흐름상에 일반적으로 조절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로 인해서 설사병 뿐만 아니라 염증, 부종, 관절염, 녹내장, 및 신체내 및 신체상의 편두통, 화상 및 외상과 같은 신체의 그 밖의 변화와 같은 극심한 체액 배출에 의해 야기되는 생리학적 불균형 또는 질병-유사 질환에 기인하는 불쾌감을 완화시키거나, 치유하거나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식품 및 약제학적 제품은 상기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다음의 제한되지 않는 실시예에 의해서 하기에 예증하였다.
실시예 1
암탉(약 32주령된 백색 레그혼)에게 SE 9000028-2호에 따라 조성된 암탉 먹이 및 전통적인 타입의 대조 먹이를 먹이중에 kg 당 비가공 단백질 170 g(먹이중에 11.4 MJ/kg)으로 공급하였다. 2주의 유도 기간 후에, 알을 수집하였다.
각 라인으로부터 10개의 알을 수집하였고, 이들 알로부터 난황과 흰자위를 수작업으로 분리하였다. 동일한 부피의 PBS(인산염 완충 염수)로 희석하고, 난황을 이전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친화도 크로마토그래피시켰다(참조문헌 : I. Lnnroth and S. Lange, Biochimica Biophysica Acta (1986) 883:138-144). 요약하자면, PBS로 희석된 난황을 PBS를 사용하여 예비-평형화된 "세파로오스(Sepharose) 6B"(Pharmacia LKB Biotechnolgoy AB, Sollentuna, Sweden)가 담긴 작은 컬럼상에 적용하였다. PBS로 세척하고, NASP를 PBS중의 메틸-알파-D-글루코시드 1.0M을 사용하여 용리시켰다. PBS에 대해 투석시킨 후에,랜지(Lange)에 의해 기술된 래트에 대한 소장 루프 모델에 따라 NASP에 대해 시험될 때까지, 샘플을 -20℃에 보관하였다(참조문헌: S. Lange,FEMS Microbiology Letters(1982) 15:239,242).
난황내의 NASP 농도 대조군 시험군
(FIL 유닛/g) 1.20 2.0(1:100 희석)
1.0(1:1,000 희석)
실시예 2
심한 설사병을 앓고 있는 42세 여성을 약 0.5 m의 배설관이 남도록 개구-수술하였다. 평균적으로, 약 1.5 ℓ의 내장의 내용물을 하루에 약 4회 분비하였다. 건조 난황 물질의 일일 섭취량 4 g에 상응하는 실시예 1로부터의 당, 크림 및 난황으로 제조한 아이스크림을 1주일간 매일 섭취시킨 후에, 배변 횟수는 일일 1회로 감소하였고 그 양은 약 350 ml로 감소하였다. 3주 치료 동안 이 여성의 체중은 3.5 kg까지 증가하였다. 추가 1주일 후에, 이 여성은 동일한 처방에 따라 보통의 달걀로 제조한 아이스크림의 동일한 양을 먹었다. 3일 이내에, 배변 회수 및 양은 시험 전과 동일한 값이 되었다. 추가 1주일 후에, 시험을 재개하였고, 2일 이내에 배변은 이전 시험 동안과 같은 동일한 값으로 감소하였다.
실시예 3
50 kg의 생체중을 가진 4마리의 송아지를 각 군이 2마리의 송아지가 되도록 2개 군으로 나누었다. 대조군의 송아지에게 시판되는 우유 대용물의 형태로 영양물을 공급하였다. 시험 라인에는, 두 개의 난황의 일일 복용량에 상응하는 실시예1의 실험으로부터의 난황을 혼합하였다. 7일 동안 계속 먹이를 공급하였다. 혈중 ASP 농도를 실험 전후에 측정하였다.
ASP 농도
(혈장의 FIL 유닛/ml)
대조군 시험군
실험전 0.3 0.1
실험후 0.1 0.9
실시예 4
설사는 개에게 드문 병이 아니며, 특히 개는 시골을 돌아다니는 동안에 이들이 섭취할 먹이를 스스로 선택할 수 있다. 1.5살이고 약 40 kg의 체중을 가진 독일 셰퍼드 수컷은 얼마동안 심한 설사 및 수성의 정기적인 혈변을 앓고 있다. 또한, 이 개는 간헐적으로 구토를 하고 있었다. 수의사를 보내 항생제를 처방하여 1주일 동안 정제 형태로 경구 투여하였다. 이 기간 동안, 이 개는 시판되는 개용 건조 사료의 더 적은 양을 먹었다. 어떠한 설사의 감소도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항생체 처리 후에, 이 개에게 4일 동안 하루 하나의 난황에 상응하는 양으로 실시예 6으로부터의 난황 분말중에 담긴 건조 사료를 제공하였다. 1일 후에, 이 개는 고형의 배변을 하였고, 3일 후에는, 완전히 건강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 개의 주인은 예전에 이렇게 빠른 회복을 관찰한 적이 없었다.
실시예 5
실시예 1의 시험 라인으로부터의 달걀을 깨서 달걀 분리 장치중에서 분리하였다. 난황 및 흰자위를 각각 따로따로 수집하였다. 난황을 150℃의 입구 온도 및 약 75℃의 출구 온도로 "무수" 스프레이-건조기에서 스프레이-건조시켰다.
달걀 분말을 수집하고, 완전히 건조시키고, 스프레이-건조기의 벽에 붙어있는 분말을 수집하였다. 상기 벽 증착은 건조 챔버내에서 평균 4시간의 잔류 시간을 가진다. 달걀 분말을 물에 용해시키고 ASP를 아가로오스 컬럼상에서 공지된 방법으로 수집하였다. 용리액을 희석시키고 ASP 함량을 측정하였다.
희석 1:100에 대한 FIL 유닛
달걀 분말, 평균 샘플 X
건조 챔버 벽으로부터의 달걀 분말 Y
따라서, 식품 공학적인 관점에서, NASP는 충분히 열안정성이다.
기술적 효과
본 발명에 의해, 독립적으로 완전히 신규하고, 이전에 공지되지 않은 정도로 NASP를 투여하기 위해 완전히 신규하고, 이전에 공지되지 않은 가능성이 제공된다. PCT 출원 PCT/SE97/01918 (WO 98/21978)호에 기술된 NASP의 유도는 음식이 단조롭다고 인식되기가 더 쉽다는 사실때문에 장기간 유지하기가 어려울 수도 있다. 본 발견에 의해, 높은 기호도 및 우수한 허용성의 식품이 적당한 공정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 질환의 장기적인 경과 또는 NASP를 유도하는 음식에 대해 반응이 약한 경우, NASP는 삶의 질 또는 육체적 수행 능률상에 바람직한 효과에 적합한 미리결정된 높거나 낮은 복용량을 가진 식량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장기간 지속되는 투여의 경우에 있어서, 음식(에 따른 구토)에 대한 강한 혐오감은 많은 수의 제품이 다양한 맛과 식성으로 제조될 수 있기 때문에 회피될 수 있다. 식품은 반제조된 음식이나 완성된 음식물로서, 또는 약제의 제조 또는 NASP 농축제품의 제조에서 비가공 제품으로서 적합한 물품으로서 산업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농축제품은 난황 또는 바람직하게는 추출 또는 삼출에 의한 난황 분말로부터 회수될 수 있다.

Claims (24)

  1. 높은 농도의 천연 분비억제 단백질(NASP)을 함유하는 난황.
  2. 제 1항에 있어서, NASP 함량이 1,000 내지 10,000 FIL 유닛/ml에 상응함을 특징으로 하는 난황.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닭목(目)의 새(gallinaceous bird)의 알로부터 유래됨을 특징으로 하는 난황.
  4. NASP가 풍부한 기능성 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난황의 용도.
  5. 극심한 체액 배출에 의해 야기되는 질병-유사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약제학적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난황의 용도.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순수한 형태 또는 농축된 형태의 NASP가 풍부한 난황으로부터 회수된 NASP 자체의 용도.
  7.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난황이 그 자체로 사용되거나 분쇄, 삼출, 추출, 증발, 막여과, 건조 및 유사한 표준 조작과 같은 처리에 의해 수득된 형태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8. 제 4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난황이 NASP를 유도하는 먹이를 난생성(egg-producing) 조류에게 공급함으로써 수득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9. 제 8항에 있어서, NASP 유도가 아미노산, 당 및 아미드를 NASP의 형성이 자극되도록 하는 양과 비로 먹이와 혼합함으로써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0. 제 8항에 있어서, NASP 유도가 NASP의 형성을 자극하는 효소적 활성을 가진 생성물을 먹이와 혼합함으로써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1. 제 10항에 있어서, 효소적 활성을 가진 생성물이 맥아첨가된 시리얼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2. 난생성 조류로부터 천연 분비억제 단백질(NASP)이 풍부한 난황을 수득하는 방법으로서, NASP를 유도하는 먹이를 난생성 조류에게 공급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조류가 닭목의 새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NASP를 유도하는 먹이가 아미노산, 당 및 아미드를 NASP의 형성이 자극되도록 하는 양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먹이가 NASP의 형성을 자극하는 효소적 활성을 가진 생성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효소적 활성을 가진 생성물이 맥아첨가된 시리얼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높은 농도의 천연 분비억제 단백질(NASP)을 함유하는 식품으로서,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난황을 함유하거나 이러한 난황으로부터의 NASP를 어느 정도 정제된 형태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18. 제 17항에 있어서, 식품을 제조할 때 NASP의 공급원으로서의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NASP가 풍부한 난황 또는 이들의 처리된 형태를 식품과 혼합함으로써 높은 농도의 NASP가 수득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19. 제 17항에 있어서, 식품을 제조할 때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따른 NASP가 풍부한 난황으로부터 수득된 순수한 형태 또는 농축된 형태의 NASP를 그 자체로 식품에 첨가함으로써 높은 농도의 NASP가 수득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20. 제 17항에 있어서, 난황 그 자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21. 제 17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팬케이크, 오믈렛, 아이스크림, 완숙 또는 반숙 달걀 등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22. 극심한 체액 배출에 의해 야기되는 질병-유사 질환의 치료 및 에방을 위한 약제학적 제품로서, 통상적인 부형제 및 애주번트 이외에,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NASP가 풍부한 난황으로부터 유래된 천연 분비억제 단백질(NASP)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제품.
  23. 제 17항 내지 제 2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높은 농도의 천연 분비억제 단백질(NASP)을 함유하는 식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NASP가 풍부한 난황 또는 이들의 처리된 형태 또는 난황으로부터 수득된 어느 정도 정제된 NASP를 식품 또는 먹이에 첨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난황의 처리된 형태가 분쇄, 삼출, 추출, 증발, 막여과, 건조 및 유사한 표준 조작에 의해 수득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17007493A 1998-12-17 1999-12-14 식품으로부터 유도된 난황내의 분비억제 단백질 Expired - Fee Related KR1006351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804393-8 1998-12-17
SE9804393A SE513496C2 (sv) 1998-12-17 1998-12-17 NASP-berikad äggula samt dess användn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1237A true KR20010101237A (ko) 2001-11-14
KR100635179B1 KR100635179B1 (ko) 2006-10-17

Family

ID=20413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7493A Expired - Fee Related KR100635179B1 (ko) 1998-12-17 1999-12-14 식품으로부터 유도된 난황내의 분비억제 단백질

Country Status (30)

Country Link
US (3) US6537588B1 (ko)
EP (1) EP1139784B1 (ko)
JP (1) JP4447789B2 (ko)
KR (1) KR100635179B1 (ko)
CN (1) CN1270621C (ko)
AT (1) ATE283642T1 (ko)
AU (1) AU754676B2 (ko)
BG (1) BG64858B1 (ko)
BR (2) BRPI9916264B8 (ko)
CA (1) CA2353138C (ko)
CZ (1) CZ304319B6 (ko)
DE (1) DE69922409T2 (ko)
DK (1) DK1139784T3 (ko)
EA (1) EA004644B1 (ko)
EE (1) EE04627B1 (ko)
ES (1) ES2234329T3 (ko)
HK (1) HK1041626B (ko)
HU (1) HU228424B1 (ko)
IL (1) IL143716A0 (ko)
NO (1) NO322339B1 (ko)
NZ (1) NZ512049A (ko)
PL (1) PL196126B1 (ko)
PT (1) PT1139784E (ko)
RO (1) RO121759B1 (ko)
SE (1) SE513496C2 (ko)
SI (1) SI1139784T1 (ko)
SK (1) SK287431B6 (ko)
TR (1) TR200101773T2 (ko)
WO (1) WO2000038535A1 (ko)
ZA (1) ZA20010449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13496C2 (sv) * 1998-12-17 2000-09-18 Rural Patent Svenska Ab NASP-berikad äggula samt dess användning
GB0322645D0 (en) * 2003-09-26 2003-10-29 Melacure Therapeutics Ab Use of antisecretory factor peptides
BRPI0710794A2 (pt) 2006-04-27 2011-06-21 Lantmonnen As Faktor Ab proteìna anti-secretória, um derivado homólogo e/ou fragmento da mesma tendo atividade equivalente e uso dos mesmos
DK2468292T3 (da) 2006-04-27 2020-03-23 Lantmaennen Medical Ab Nyt peptid med antisekretorisk aktivitet
AU2007244005B2 (en) 2006-04-27 2012-08-02 Lantmannen As-Faktor Ab Further medical uses of antisecretory protein
WO2010093324A1 (en) 2009-02-11 2010-08-19 Lantmännen As-Faktor Ab Use of antisecretory factors (af) for optimizing cellular uptake
EP2219478B1 (en) * 2007-12-17 2017-05-10 Newtricious B.V. Method of producing egg yolk based functional food product and products obtainable thereby
PL2934564T3 (pl) * 2012-12-20 2018-09-28 Lantmännen As-Faktor Ab Czynnik przeciwwydzielniczy (af) do zastosowania w leczeniu glejaka niedojrzałego
WO2017009004A1 (en) * 2015-07-10 2017-01-19 Lantmännen As-Faktor Ab Process for producing egg yolk with high content of af-16
EP3484909B1 (en) 2016-07-18 2021-06-16 Lantmännen Medical AB Antisecretory factor 17
JP7217760B2 (ja) 2018-06-28 2023-02-03 ラントメネン・メディカル・アーベー 急性呼吸不全の治療および/または予防の使用のための抗分泌因子
CN112770643A (zh) 2018-09-28 2021-05-07 兰特门内保健食品公司 包含麦芽化脱壳燕麦的可消耗产品
CN112770644A (zh) 2018-09-28 2021-05-07 兰特门内保健食品公司 包含麦芽化小麦的可消耗产品
JP2023518790A (ja) 2020-03-26 2023-05-08 ラントメネン・ファンクショナル・フーズ・アーベー 身体活動時の回復を促進するための麦芽穀類を含む消費可能な製品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66331B (sv) 1990-01-04 1992-02-03 Svenska Lantmaennens Saett att korrigera och optimera naeringssammansaettningen i foeda
US5464637A (en) 1992-02-27 1995-11-07 C. Itoh Feed Mills Co., Ltd. Egg containing iron or vitamin D3 in high content
SE508609C2 (sv) 1995-08-24 1998-10-19 Rural Patent Svenska Ab Antisekretorisk faktor - dess aminosyrasekvens, nubleinsyrasekvens och användning
SE9604251L (sv) * 1996-11-20 1997-12-22 Svenska Lantmaennen Riksfoerbu Födoämne som vid förtäring inducerar antisekretoriska proteiner
SE508086C2 (sv) * 1996-12-16 1998-08-24 Valmet Karlstad Ab Rullstol
SE513496C2 (sv) * 1998-12-17 2000-09-18 Rural Patent Svenska Ab NASP-berikad äggula samt dess använd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41626B (zh) 2006-12-22
EA200100668A1 (ru) 2001-12-24
CZ304319B6 (cs) 2014-03-05
BR9916264A (pt) 2001-09-04
BRPI9916264A (pt) 2001-09-04
NO20012822L (no) 2001-08-15
HUP0104556A2 (hu) 2002-03-28
KR100635179B1 (ko) 2006-10-17
WO2000038535A1 (en) 2000-07-06
RO121759B1 (ro) 2008-04-30
HUP0104556A3 (en) 2002-05-28
BRPI9916264B8 (pt) 2021-07-06
SK287431B6 (sk) 2010-09-07
SK8112001A3 (en) 2002-01-07
IL143716A0 (en) 2002-04-21
CA2353138A1 (en) 2000-07-06
US20030143285A1 (en) 2003-07-31
HU228424B1 (en) 2013-03-28
US20030143284A1 (en) 2003-07-31
CA2353138C (en) 2012-04-17
SE9804393L (sv) 2000-06-18
AU3089900A (en) 2000-07-31
CZ20012061A3 (cs) 2001-10-17
SE9804393D0 (sv) 1998-12-17
ATE283642T1 (de) 2004-12-15
BG64858B1 (bg) 2006-07-31
DE69922409T2 (de) 2005-05-19
PT1139784E (pt) 2005-03-31
EP1139784B1 (en) 2004-12-01
DE69922409D1 (de) 2005-01-05
NZ512049A (en) 2003-08-29
PL349076A1 (en) 2002-07-01
NO20012822D0 (no) 2001-06-08
JP2002533106A (ja) 2002-10-08
ES2234329T3 (es) 2005-06-16
NO322339B1 (no) 2006-09-18
CN1270621C (zh) 2006-08-23
EP1139784A1 (en) 2001-10-10
HK1041626A1 (en) 2002-07-19
ZA200104494B (en) 2002-05-31
SE513496C2 (sv) 2000-09-18
SI1139784T1 (en) 2005-02-28
EA004644B1 (ru) 2004-06-24
EE200100322A (et) 2002-10-15
PL196126B1 (pl) 2007-12-31
US6537588B1 (en) 2003-03-25
AU754676B2 (en) 2002-11-21
BG105607A (en) 2002-12-29
DK1139784T3 (da) 2005-01-10
EE04627B1 (et) 2006-06-15
JP4447789B2 (ja) 2010-04-07
CN1330517A (zh) 2002-01-09
BRPI9916264B1 (pt) 2011-10-18
US6863903B2 (en) 2005-03-08
TR200101773T2 (tr) 2002-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ennedy The dietary factors operating in the production of polyneuritis
KR100635179B1 (ko) 식품으로부터 유도된 난황내의 분비억제 단백질
JPH082268B2 (ja) メチルスルホニルメタンを含む食餌製品およびその使用
JP5213332B2 (ja) 卵由来の骨強化組成物
KR20180027582A (ko) Af-16 함량이 높은 난황의 제조 방법
RU2322995C1 (ru) Биопрепарат ветеринарного назначения и способ профилактики желудочно-кишечных болезней новорожденных телят с его применением
SULLIVAN et al. Nutritional dermatoses in the rat: V. signs and symptoms resulting from a diet containing unheated dried egg white as the source of protein
KR102159019B1 (ko) 수벌번데기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7348250A (zh) 一种吸血水蛭饲料及其制备方法
KR20200120549A (ko) 용쑥 및 서양민들레를 포함하는 체중 또는 체지방 감소용 경구용 조성물
JP6071988B2 (ja) 身体活動促進剤
MXPA01006155A (en) Food-induced antisecretory proteins in egg yolk
JP2005021087A (ja) 卵由来の骨強化組成物
Kibiwott Effects of moringa oleifera leaf meal diets on growth performance, haematology and histopathology of key body organs in growing pigs
CN105661015A (zh) 一种有效防治饲料霉变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Ellis Vital factors of foods
JP4659405B2 (ja) 骨形成促進剤
WILBRAND Physiological Chemist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61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12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3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0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10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