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052008A -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2008A
KR20010052008A KR1020000071504A KR20000071504A KR20010052008A KR 20010052008 A KR20010052008 A KR 20010052008A KR 1020000071504 A KR1020000071504 A KR 1020000071504A KR 20000071504 A KR20000071504 A KR 20000071504A KR 20010052008 A KR20010052008 A KR 20010052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ft
display
current control
gate
insulating fil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1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3767B1 (ko
Inventor
이누카이카주타카
코야마준
Original Assignee
야마자끼 순페이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자끼 순페이,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filed Critical 야마자끼 순페이
Publication of KR20010052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2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3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376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6/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 H10D86/4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characterised by multiple TF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5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voltage across the light-emitting el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66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291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in which the data driver supplies a variable data voltage for setting the current through, or the voltage across, the light-emit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60Insulated-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
    • H10D30/67Thin-film transistors [TFT]
    • H10D30/6704Thin-film transistors [TFT] having supplementary regions or layers in the thin films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s for controlling properties of the device
    • H10D30/6713Thin-film transistors [TFT] having supplementary regions or layers in the thin films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s for controlling properties of the device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source or drain regions, e.g. compositions or sectional shapes
    • H10D30/6715Thin-film transistors [TFT] having supplementary regions or layers in the thin films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s for controlling properties of the device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source or drain regions, e.g. compositions or sectional shapes characterised by the doping profiles, e.g. having lightly-doped source or drain extens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60Insulated-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
    • H10D30/67Thin-film transistors [TFT]
    • H10D30/6704Thin-film transistors [TFT] having supplementary regions or layers in the thin films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s for controlling properties of the device
    • H10D30/6713Thin-film transistors [TFT] having supplementary regions or layers in the thin films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s for controlling properties of the device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source or drain regions, e.g. compositions or sectional shapes
    • H10D30/6715Thin-film transistors [TFT] having supplementary regions or layers in the thin films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s for controlling properties of the device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source or drain regions, e.g. compositions or sectional shapes characterised by the doping profiles, e.g. having lightly-doped source or drain extensions
    • H10D30/6717Thin-film transistors [TFT] having supplementary regions or layers in the thin films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s for controlling properties of the device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source or drain regions, e.g. compositions or sectional shapes characterised by the doping profiles, e.g. having lightly-doped source or drain extensions the source and the drain regions being asymmetrical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60Insulated-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
    • H10D30/67Thin-film transistors [TFT]
    • H10D30/6704Thin-film transistors [TFT] having supplementary regions or layers in the thin films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s for controlling properties of the device
    • H10D30/6713Thin-film transistors [TFT] having supplementary regions or layers in the thin films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s for controlling properties of the device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source or drain regions, e.g. compositions or sectional shapes
    • H10D30/6715Thin-film transistors [TFT] having supplementary regions or layers in the thin films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s for controlling properties of the device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source or drain regions, e.g. compositions or sectional shapes characterised by the doping profiles, e.g. having lightly-doped source or drain extensions
    • H10D30/6719Thin-film transistors [TFT] having supplementary regions or layers in the thin films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s for controlling properties of the device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source or drain regions, e.g. compositions or sectional shapes characterised by the doping profiles, e.g. having lightly-doped source or drain extensions having significant overlap between the lightly-doped drains and the gate electrodes, e.g. gate-overlapped LDD [GOLDD]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60Insulated-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
    • H10D30/67Thin-film transistors [TFT]
    • H10D30/6729Thin-film transistors [TF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 H10D30/673Thin-film transistors [TF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gate electrodes
    • H10D30/6733Multi-gate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6/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 H10D86/4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characterised by multiple TFTs
    • H10D86/421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characterised by multiple TFTs having a particular composition, shape or crystalline structure of the active laye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6/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 H10D86/4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characterised by multiple TFTs
    • H10D86/6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characterised by multiple TFTs wherein the TFTs are in active matr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09G2300/0465Improved aperture ratio, e.g. by size reduction of the pixel circuit, e.g. for improving the pixel density or the maximum displayable luminance or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09G2300/0847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being a dynamic memory without any storage capacitor, i.e. with use of parasitic capacitances as storage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09G2300/0861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with additional control of the display period without amending the charge stored in a pixel memory, e.g. by means of additional select electrodes
    • G09G2300/0866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with additional control of the display period without amending the charge stored in a pixel memory, e.g. by means of additional select electrodes by means of changes in the pixel supply volt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83Arrangement of drivers for different directions of scann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11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amplitude modul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18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18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 G09G3/2022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using sub-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명확한 다중-계조 (multi-gradation) 칼라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갖춘 전자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계조 디스플레이는 픽셀 (pixel)에 형성된 EL 소자가 빛을 방사하는 시간량과 빛을 방사하지 않는 시간량에 의해 제어되는 시간 분할 구동기 방법에 따라 실행된다. 전류 TFT의 특성에서 분산으로 인한 영향이 방지된다.

Description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전자 장치 {E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기판상에 만들어진 반도체 소자 (반도체 박막을 사용하는 소자)에 의해 형성된 EL (electroluminescence)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 부분)로 갖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의 기술
기판에 TFT를 형성하는 기술은 최근 몇년 동안 많이 발전되었고, 활성 매트릭스형 (active matrix type)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응용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실제로, 폴리실리콘막을 사용하는 TFT는 종래의 비결정질 실리콘막을 사용하는 TFT 보다 더 높은 전계 효과 이동도 (또한 이동도 (mobility)라 칭하여지는)를 가지므로, 고속 동작이 가능하다.
도 3에는 활성 매트릭스형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반적인 픽셀 (pixel) 구조가 도시된다. 도 3의 참조번호(301)는 스위칭 소자로 동작하는 TFT (이후 스위칭 TFT라 칭하여지는)를 나타내고, 참조번호(302)는 EL 소자(303)에 제공되는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소자 (이후 전류 제어 소자라 칭하여지는)로 동작하는 TFT를 나타내고, (304)는 캐패시터 (저장 캐패시터)를 나타낸다. 스위칭 TFT(301)는 게이트 배선 (gate wiring)(305) 및 소스 배선 (source wiring) (데이터 배선)(306)에 연결된다. 전류 제어 TFT(302)의 드레인은 EL 소자(303)에 연결되고, 전류 제어 TFT(302)의 소스는 전류 공급 배선(307)에 연결된다.
스위칭 TFT(301)는 게이트 배선(305)가 선택되고, 소스 배선(306)의 데이터 신호가 캐패시터(304)에 저장되고, 또한 전류 제어 TFT(302)의 게이트가 개방 (open)될 때 개방된다. 스위칭 TFT(301)의 게이트가 폐쇄 (close)된 이후에, 전류 제어 TFT(302)의 게이트는 캐패시터(304)에 저장된 전하에 따라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고, EL 소자(303)는 그 주기 동안 빛을 방사한다. EL 소자(303)에 의해 방사된 빛의 양은 전류의 양에 의해 변한다.
다른 말로 하면, 전류 제어 TFT(302)로 흐르는 전류의 양은 아날로그 구동 계조 (gradation) 디스플레이에서 소스 배선(306)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EL 디스플레이에 의해 방사되는 빛의 양을 변화시킨다.
도 4a는 전류 제어 TFT(302)의 트랜지스터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이고, 참조번호(401)는 Id-Vg 특성 (또한 Id-Vg 곡선이라 칭하여지는)을 나타낸다. 여기서, Id는 드레인 전류이고, Vg는 게이트 전압이다. 임의의 게이트 전압에 대해 흐르는 전류의 양은 이 그래프로 찾아질 수 있다.
점선(402)에 의해 도시되는 Id-Vg 특성의 영역은 일반적으로 EL 소자를 구동하는데 사용된다. 영역(402)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을 확대한 것이 도 4b에 도시된다.
도 4b에서 빗금친 영역은 서브한계값 (subthreshold) 영역이라 칭하여진다. 실제로, 이는 한계 전압(Vth) 부근이나 그 이하에서 게이트 전압을 갖는 영역을 나타내고, 드레인 전류는 이 영역내에서 게이트 전압의 변화에 대해 지수적으로 변화된다. 전류 제어는 이 영역을 사용하여 게이트 전압에 따라 실행된다.
도 3의 스위칭 TFT(301)가 개방될 때 픽셀로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는 먼저 캐패시터(304)에 저장되고, 이어서 그 신호는 그대로 전류 제어 TFT(302)의 게이트 전압이 된다. 드레인 전류는 이때 도 4a에 도시된 Id-Vg 특성에 따라 게이트 전압에 대해 일대일 대응으로 결정된다. 즉, 소정의 전류가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여 EL 소자(303)에 흐르고, EL 소자(303)는 흐르는 전류량에 대응하는 빛의 양으로 빛을 방사한다.
그래서, EL 소자에 의해 방사되는 빛의 양은 입력 신호에 의해 제어되고, 계조 디스플레이는 방사되는 빛의 양을 제어함으로서 실행된다. 이 방법은 아날로그 계조라 칭하여지고, 계조 디스플레이는 신호의 진폭을 변화시킴으로서 실행된다.
그러나, 상기 아날로그 계조 방법은 TFT 특성에서 분산에 대해 매우 약하다는 불리한 점을 갖는다. 예를 들어, Id-Vg 특성이 스위칭 TFT이고 똑같은 계조를 디스플레이하는 인접 픽셀의 스위칭 TFT와 다르다고 가정한다 (전체적으로 양인 음의 쉬프트의 경우).
이 경우에는 분산과 비슷하여 각 스위칭 TFT의 드레인 전류가 다르므로, 각 픽셀의 전류 제어 TFT에 인가되는 게이트 전압도 다르다. 다른 말로 하면, 흐르는 전류는 각 EL 소자에 대해 다르고, 그 결과로 방사되는 빛의 양도 다르므로, 똑같은 계조 디스플레이가 실행될 수 없다.
또한, 각 픽셀의 전류 제어 TFT에 똑같은 게이트 전압이 인가된다고 가정하면, 전류 제어 TFT의 Id-Vg 특성에 변화가 있는 경우, 똑같은 드레인 전류가 출력될 수 없다. 부가하여, 똑같은 게이트 전압이 인가되더라도, 도 4a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게이트 전압의 변화에 대해 드레인 전류가 지수적으로 변하는 영역을 사용할 때 Id-Vg 특성에 작은 편차라도 존재하는 경우, 전류 출력의 양은 매우 다르다. 그 결과로, 인접한 픽셀에 의해 방사되는 빛의 양은 매우 다르다.
실제로, 스위칭 TFT 및 전류 제어 TFT에서의 분산 사이에는 곱셈기 효과가 있고, 이는 조건 달성을 더 어렵게 만든다. 그래서, 아날로그 계조 방법은 TFT 특성의 변화에 대해 매우 민감하고, 이는 종래 활성 매트릭스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다중 칼라화에 장애가 된다.
상기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예리한 다중-계조 (multi-gradation) 칼라 디스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활성 매트릭스형 (active matrix type)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부가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종류의 활성 매트릭스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디스플레이 부분으로 갖춘 고성능 전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TFT 특성에서 분산에 의해 쉽게 영향을 받지 않는 픽셀 (pixel) 구조를 만들기 위해, 전류 제어 TFT가 간단한 전류 공급 스위칭 소자로 사용되는 디지털 구동기 계조 (digital driver gradation) 방법이 전류 제어에 따라 EL 소자에 의해 방사되는 빛의 양을 제어하는 아날로그 구동기 계조 방법 보다 더 낫다고 생각한다.
계조 디스플레이의 시간 분할 방법 (이후 시간 분할 계조라 칭하여지는)은 활성 매트릭스형 (active matrix type)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디지털 구동기에 의해 실행될 것으로 생각된다.
부가하여, 비디오선을 분할하고 비디오 신호를 소스 구동기 회로에 입력할 때 다수의 데이터를 입력함으로서, 패널 (panel) 디스플레이가 더 빠른 속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칭하여지는 비디오 신호는 본 명세서를 통해 소스 구동기 회로에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임을 주목한다.
도 5의 a 내지 도 5의 f는 시간 분할 계조 디스플레이를 실행할 때 기록 주기와 디스플레이 주기의 전체적인 구동기 타이밍을 도시한다. 여기서는 6 비트 디지털 구동기 방법에 따라 64 계조 디스플레이를 실행하는 경우가 설명된다. 기록 주기는 신호가 한 프레임 (frame)을 구성하는 모든 픽셀에 기록되는데 요구되는 시간이고, 디스플레이 주기는 픽셀이 기록 신호의 디스플레이를 실행하는 주기임을 주목한다.
EL 구동기 전력 공급은 기록 주기 동안 절단되고 (모든 픽셀이 off 상태), 픽셀내의 EL 소자는 인가되는 전력이 없는 상태이다. 또한, EL 구동기 전력 공급은 디스플레이 주기 동안 입력되어, 인가된 전력을 갖는 상태로 픽셀내에 EL 소자를 배치한다. 이때, 픽셀은 픽셀을 on 상태로 하는 데이터 신호가 입력될 때 on 상태로 된다.
영상이 영상 영역에 완전히 디스플레이되는 주기는 한 프레임 주기라 칭하여진다. 정상적인 EL 디스플레이의 발진 주파수는 60 Hz이므로,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초 동안에 60개의 프레임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제4 프레임에서 6 비트 디지털 계조 디스플레이 (64 계조)를 실행할 때, 한 프레임이 16개 부분으로 나뉘고 디스플레이 주기에 대한 기록 주기의 비율이 6:10으로 결정되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 주기 동안 기록이 6회 (≒ 6.24 msec) 실행될 수 있다. 6회 기록 1 내지 6은 1 내지 6의 순서로 실행됨을 주목한다. 또한, 기록 주기 (기록 1 내지 기록 6)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주기는 각각 디스플레이 1 내지 6으로 설정된다.
더욱이, 디스플레이 주기는 디스플레이 1:디스플레이 2:디스플레이 3:디스플레이 4:디스플레이 5:디스플레이 6 = 1:1/2:1/4:1/8:1/16:1/32가 되도록 설정된다.
도 5의 c는 한 프레임 동안 6회 기록 (기록 1 내지 기록 6)을 실행할 때 각 디스플레이 주기가 기록에 대해 상술된 비율을 갖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5의 c의 하단 부분에 도시된 값은 기록 주기 및 디스플레이 주기의 길이 사이에 관계를 도시한다.
특별히, 기록 1의 디스플레이 주기 (디스플레이 1)는 기록 주기가 63일 때 320의 값을 나타낸다. 부가하여, 63의 값을 갖는 각 기록 주기에 대해, 디스플레이 2는 160의 디스플레이 주기를 갖고, 디스플레이 3은 80의 디스플레이 주기를 갖고, 디스플레이 4는 40의 디스플레이 주기를 갖고, 디스플레이 5는 20의 디스플레이 주기를 갖고, 또한 디스플레이 6은 10의 디스플레이 주기를 갖는다.
한 기록 주기(write-in) 및 한 디스플레이 주기(display)는 함께 한 필드 (field)라 칭하여진다. 즉, 도 5의 c에는 6개의 필드가 존재하고, 모두 일정한 기록 주기 및 다른 디스플레이 주기를 갖는다. 여기서는 한 프레임을 완료하기 위해, 시작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필드는 필드 1(F1)이라 칭하여지고, 이후에 이어서 디스플레이되는 필드는 순서대로 필드 2 내지 6 (F2 내지 F6)이라 칭하여진다.
필드 1 내지 6의 순서는 임의로 정해질 수 있음을 주목한다. 디스플레이 주기를 조합함으로서, 64개의 계조 중에서 원하는 계조 디스플레이가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실제로, 타이밍은 도 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디스플레이 주기를 갖는 6개의 분사된 필드의 조합이다.
도 5의 d에서 디스플레이 1의 주기 동안 소정의 픽셀이 on 상태로 되면, 기록 5에 들어가고, 데이터 신호가 모든 픽셀에 입력된 이후에는 디스플레이 5로 들어간다. 다음에는 데이터 신호가 기록 4에서 모든 픽셀에 입력된 이후 디스플레이 4로 들어간다. 소정의 픽셀은 또한 기록 2, 기록 3 및 기록 6에서 각 필드에 의해 유사하게 on 상태로 된다.
도 5의 e는 도 5의 d에 도시된 6개 필드 중 필드 5에서 게이트 회로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신호에 의해 특정한 게이트선이 선택된 데이터가 기록되는 주기 (기록 5)를 도시한다. 도 5의 e는 또한 소스선으로부터의 신호가 소스선에서 선택된 게이트선으로 입력되고 픽셀이 디스플레이를 실행하는 디스플레이 주기 (디스플레이 5)를 도시한다.
도 5의 a 내지 도 5의 e는 VGA (640 x 480) 패널 디스플레이를 근거로 하므로, 480개의 게이트 배선이 있고, 부가하여 특정한 수의 더미 (dummy)를 포함하여 게이트선 모두를 선택하는 주기는 도 5의 e의 한 기록 주기이다.
그 기록 주기에서 소스선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는 도트 데이터 (dot data)라 칭하여진다. 한 게이트 선택 주기 동안 소스 구동기 회로로부터 입력된 도트 데이터는 도 5의 f에 도시된 주기에 의해 샘플링된다. 이는 기록되고 있는 기록 주기 동안 선택된 게이트 데이터를 도시하고, 동시에 기록되고 있는 소스선으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도시한다. 한번에 샘플링되는 데이터의 주기는 40 nsec임을 주목한다.
또한, 소스 구동기 회로로부터 입력된 도트 데이터는 도 5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40 nsec 당 16 비트로 동시에 입력됨을 주목한다.
부가하여, 한 게이트 선택 주기에 선택된 도트 데이터는 데이터 샘플링이 모두 완료될 때까지 도 6에 도시된 소스 구동기 회로내의 래치 (latch) 1(6001)에 저장된다. 모든 샘플링이 종료된 이후에, 래치 데이터는 래치선(6003)으로부터 입력되고, 모든 데이터는 한번에 래치 2(6002)로 이동된다. 쉬프트 레지스터(6004)는 클럭선(6005)으로부터의 클럭 펄스에 따라 비디오선(6006)으로부터 입력된 비디오 신호를 선택함을 주목한다.
샘플링 주기에 부가하여, 도 5의 f에 형성된 라인 데이터 래치 주기는 래치 1(6001)로부터 래치 2(6002)로 데이터를 이동시킬 때 래치 신호가 입력되고, 데이터가 이동되는 주기이다.
본 발명의 활성 매트릭스형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픽셀 구조는 도 7에 도시된다. 도 7의 참조번호(701)는 스위칭 소자로 동작하는 TFT (이후, 스위칭 TFT 또는 픽셀 스위치 TFT라 칭하여지는)를 나타내고, 참조번호(702)는 EL 소자(703)에 공급된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소자 (전류 제어 소자)로 동작하는 TFT (이후, 전류 제어 TFT 또는 EL 구동기 TFT라 칭하여지는)를 나타내고, 또한 참조번호(704)는 캐패시터 (또한, 저장 캐패시터 또는 보조 캐패시터라 칭하여지는)를 나타낸다. 스위칭 TFT(701)는 게이트선(705) 및 소스선 (데이터선)(706)에 연결된다. 또한, 전류 제어 TFT(702)의 드레인은 EL 소자(703)에 연결되고, 전류 제어 TFT(702)의 소스는 전류 공급선 (또한, EL 디바이스 전력 공급선이라 칭하여지는)(707)에 연결된다.
스위칭 TFT(701)의 게이트는 게이트선(705)이 선택될 때 개방 (open)되고, 소스선(706)으로부터의 데이터 신호는 캐패시터(704)에 저장되고, 또한 전류 제어 TFT(7002)의 게이트는 개방된다. 스위칭 TFT(701)의 게이트가 폐쇄 (close)된 이후에, 전류 제어 TFT(702)의 게이트는 캐패시터(704)에 저장된 전하에 따라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고, EL 소자(703)는 그 시간 동안 빛을 방사한다. EL 소자(703)에 의해 방사된 빛의 양은 흐르는 전류량에 의해 변화된다.
다른 말로 하면, 전류 제어 TFT(702)의 게이트는 디지틀 구동 계조 디스플레이에서 소스선(706)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신호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되고, EL 구동기 전력 공급이 on 상태로 되면, 전류가 흘러 EL 소자가 빛을 방사한다.
픽셀의 전류 제어 TFT의 기능은 디스플레이 주기 동안 대응하는 픽셀이 on 상태 (디스플레이)로 되는가 off 상태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로 되는가 여부를 제어하는 것이다. 디스플레이 주기와 기록 주기 사이의 스위칭은 FPC 단말기를 통해 우측 패널 외부의 전원에 의해 실행된다.
또한, 패널 외부에 부착된 전력 공급 (도 7에서 참조번호(709))은 기록 주기와 디스플레이 주기 사이를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칭 기능을 이룬다. 전력 공급이 off 상태 (인가되는 전압이 없는 상태)인 기록 주기 동안에는 데이터 신호가 각 픽셀에 입력된다.
데이터가 모든 픽셀이 입력되어 기록 주기가 완료된 이후에는 전력 공급 (도 7에서 참조번호(709))이 on 상태로 되어 디스플레이가 한번에 실행된다. 이 주기는 디스플레이 주기가 된다. EL 소자가 빛을 방사하고 픽셀이 on 상태로 되는 주기는 6개 필드 중에서 디스플레이 1 내지 디스플레이 6의 주기 중 임의의 것이다.
6개 필드가 나타난 이후에는 한 프레임이 완성된다. 픽셀의 계조는 이때 디스플레이 주기를 부가함으로서 제어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1 및 디스플레이 2가 선택될 때는 전체 100% 중에서 76%의 밝기가 나타내질 수 있고, 디스플레이 3 및 디스플레이 5가 선택될 때는 16%의 밝기가 나타내질 수 있다.
상기에서는 비록 64 계조의 경우가 설명되지만, 다른 계조의 디스플레이를 실행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한다.
N 비트 (여기서, N은 2 이상의 정수)의 계조 디스플레이가 실행된다고 가정하면, 처음 1개 프레임은 N 비트 계조에 대응하여 N개 필드 (F1, F2, F3, ..., F(n-1), F(n))로 나뉜다. 한 프레임의 분할수는 계조가 증가됨에 따라 증가되고, 구동기 회로는 고주파수에서 구동되어야 한다.
부가하여, N개 필드는 각각 기록 주기(Ta) 및 디스플레이 주기(Ts)로 분할된다.
N개 필드의 디스플레이 주기 (F1, F2, F3, ..., F(n-1), F(n)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주기는 각각 Ts1, Ts2, Ts3, ..., Ts(n-1), Ts(n)으로 나타난다)는 Ts1:Ts2:Ts3:...:Ts(n-1):Ts(n) = 20:2-1:2-2:...:2-(n-2):2-(n-1)이 되도록 처리된다.
이 상태에서, 픽셀은 임의의 한 필드 (엄격하게 말하면, 각 픽셀의 스위칭 TFT가 선택된다)에서 순서대로 선택되고, 전류 제어 TFT의 게이트 전극에는 소정의 게이트 전압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이 인가된다. 전류 제어 TFT가 연속 상태를 갖도록 하는 데이터 신호가 입력되는 픽셀의 EL 소자는 기록 주기가 완료된 이후 전력 공급이 입력될 때 이 필드에 할당된 디스플레이 주기 동안 픽셀을 on 상태로 한다.
이 동작은 모든 N개 필드에서 반복되고, 각 픽셀의 계조는 디스플레이 주기를 부가함으로서 한 프레임에서 제어된다. 그러므로, 임의의 한 픽셀을 중점으로, 한 픽셀의 계조는 픽셀이 각 필드에서 얼마나 오랜 주기 동안 밝혀지는가 (얼마나 많은 디스플레이 주기가 지나는가)를 근거로 제어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가장 중요한 특성은 디지틀 구동기 시간 분할 계조 방법이 활성 매트릭스형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사용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시간 분할 계조 구동기를 사용함으로서, 아날로그 구동기 계조 디스플레이의 문제점인 TFT 특성에서의 영향 없이 계조 디스플레이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a 및 도 1b는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종래의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픽셀 (pixel) 부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4a 및 도 4b는 아날로그 계조 (analog gradation) 방법에 의해 사용되는 TFT 특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5의 a 내지 도 5의 f는 시간 분할 계조 방법의 동작 모드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소스 구동기 회로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픽셀 부분의 픽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시간 분할 계조 방법의 동작 모드를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완전한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패널 (panel)의 상면도.
도 10은 FPC 입력 부분의 보호 회로.
도 11은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게이트 구동기 회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소스 구동기 회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소스 구동기 회로측에서 입력된 신호의 타이밍도.
도 14는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소스 구동기 회로측에서 입력된 신호의 타이밍도.
도 15는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게이트 구동기 회로측에서 입력된 신호의 타이밍도.
도 16은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게이트 구동기 회로측에서 입력된 신호의 타이밍도.
도 17a 내지 도 17e는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작하는 처리를 도시하는 도면.
도 18a 내지 도 18d는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작하는 처리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a 내지 도 19d는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작하는 처리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a 내지 도 20c는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작하는 처리를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EL 모듈의 외형을 도시하는 도면.
도 22a 및 도 22b는 EL 모듈의 외형을 도시하는 도면.
도 23a 내지 도 23c는 접촉 구조를 제작하는 처리를 도시하는 도면.
도 24a 및 도 24b는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픽셀 부분의 상단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5는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6은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소스 구동기 회로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27a 및 도 27b는 본 발명을 사용하는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영상을 도시하는 사진.
도 28a 및 도 28b는 EL 소자의 소자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9는 EL 소자의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0a 내지 도 30f는 전자 디바이스의 특정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1a 내지 도 31c는 전자 디바이스의 특정한 에를 도시하는 도면.
도 32는 EL 소자의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3은 EL 소자의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4는 EL 소자의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5는 EL 소자의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7 : 제 1 비활성화막 48 : 제2 층간 절연막
102 : 소스 구동기 회로 102a : 쉬프트 레지스터
110 : 전류 공급선 112 : 캐패시티
301 : 스위칭 TFT 302 : 전류 제어 TFT
303 : EL 소자 305 : 게이트 배선
306 : 소스 배선 307 : 전류 공급 배선
603 : 래치선 604 : 쉬프트 레지스터
6005 : 클럭선 6006 : 비디오선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활성 매트릭스형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1a 및 도 1b의 활성 매트릭스형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픽셀 부분(101)과, 기판상에 형성된 TFT로 픽셀 부분 주변에 배열된 소스 구동기 회로(102) 및 게이트 구동기 회로(103)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참조번호(113)는 시간 분할 계조 데이터 신호 발생 회로 (SPC, serial to parallel conversion circuit)를 나타낸다.
소스 구동기 회로(102)는 쉬프트 레지스터(102a), 래치(1)(102b) 및 래치(2)(102c)를 갖는다. 부가하여, 이는 또한 버퍼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은)를 갖는다.
본 실시예의 활성 매트릭스형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는 단 하나의 소스 구동기 회로만이 형성되지만, 상하에 픽셀 부분을 샌드위치형으로 배치하도록 2개의 소스 구동기 회로가 형성될 수 있음을 주목한다.
더욱이, 게이트 구동기 회로(103)는 쉬프트 레지스터 및 버퍼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와 같은 회로를 갖는다.
픽셀 부분(101)은 640 x 480 (수평 x 수직) 픽셀을 갖는다. 스위칭 TFT 및 전류 제어 TFT는 각 픽셀에 배열된다. 스위칭 TFT(105)는 게이트선(106) 및 소스선 (데이터선)(107)에 연결된다. 또한, 전류 제어 TFT(108)의 드레인은 EL 소자(109)에 연결되고, 전류 제어 TFT(108)의 소스는 전류 공급선(110)에 연결된다.
스위칭 TFT(105)의 게이트는 게이트선(106)이 선택될 때 개방되고, 소스선(107)의 데이터 신호는 캐패시터(112)에 저장되고, 또한 전류 제어 TFT(108)의 게이트는 개방된다. 다른 말로 하면, 전류는 소스선(107)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신호로 인해 전류 제어 TFT(108)로 흐르고, EL 소자는 빛을 방사한다.
여기서는 본 실시예의 활성 매트릭스형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신호 흐름 및 동작이 설명된다.
먼저, 소스 구동기 회로(102)의 동작이 설명된다. 소스 구동기 회로(102)는 기본적으로 쉬프트 레지스터(102a), 래치(1)(102b) 및 래치(2)(102c)를 포함한다. 클럭 신호(CK) 및 시작 펄스(SP)는 쉬프트 레지스터(102a)에 입력된다. 쉬프트 레지스터(102a)는 클럭 신호(CK) 및 시작 펄스(SP)를 근거로 순서대로 타이밍 신호를 발생하고, 타이밍 신호는 버퍼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를 통과한 이후에 이어지는 회로에 순서대로 공급된다.
쉬프트 레지스터(102a)로부터의 타이밍 신호는 버퍼와 같은 회로에 의해 버퍼 처리되어 증폭된다. 로드 (load) 캐패시턴스 (여진 (parasitic) 캐패시턴스)는 많은 회로나 소자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타이밍 신호가 공급되는 소스선에서 크다. 버퍼 회로는 로드 캐패시턴스가 크기 때문에 발생된 타이밍 신호의 상승 및 하강시 "무뎌지는 것 (blunting)"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버퍼에 의해 버퍼 처리되고 증폭된 타이밍 신호 (디지털 데이터 신호)는 이어서 래치(1)(102b)에 공급된다. 래치(1)(102b)은 6개 비트의 데이터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래치를 갖는다. 래치(1)(102b)은 시간 분할 계조 데이터 신호 발생 회로(113)로부터 공급된 6개 비트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취하여, 상기 타이밍 신호가 입력될 때 이를 저장한다.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래치(1)(102b)의 모든 스테이지에 기록하는 것을 완료할 때까지의 시간량은 기록 시간이라 칭하여진다. 다른 말로 하면, 래치(1)(102b)내에서 최좌측에 있는 스테이지의 래치에 디지털 데이터 신호가 기록되는 시점으로부터 최우측 스테이지의 래치에 디지털 데이터 신호가 기록되는 시점까지가 기록 주기이다. 또한, 상기 기록 주기는 또한 라인 (line) 주기라 칭하여진다.
기록 주기가 완료된 이후에, 래치 신호는 쉬프트 레지스터(102a)의 동작 타이밍에 따라 래치(2)(102c)에 공급된다. 이때, 래치(1)(102b)에 기록되고 저장되는 디지털 데이터 신호는 모두 한번에 래치(2)(102c)로 출력되어 래치(2)(102c)에 저장된다.
이어서, 디지털 데이터 신호가 래치(2)(102c)로 전달된 이후, 시간 분할 계조 데이터 신호 발생 회로(113)로부터 공급된 또 다른 디지털 데이터 신호의 기록은 다시 쉬프트 레지스터(102a)로부터의 타이밍 신호를 근거로 순서대로 실행된다.
더욱이, 래치 신호는 래치(2)(102c)에 입력된다.
쉬프트 레지스터 (도시되지 않은)로부터의 타이밍 신호는 게이트 구동기 회로(103)에서 공급되고, 대응하는 게이트선 (주사선)에 공급된다.
참조번호(113)는 시간 분할 계조 데이터 신호 발생 회로 (SPC, serial to parallel conversion circuit)이다. 시간 분할 계조 데이터 신호 발생 회로(113)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의 주파수를 1/m로 감소시키는 회로이다. 외부에서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분할함으로서, 구동기 회로의 동작에 요구되는 신호 주파수는 또한 1/m로 감소될 수 있다.
픽셀 부분에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는 디지털 신호이고, 더욱이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다르게, 본 발명은 전압 계조 디스플레이가 아니므로, "0" 또는 "1" 정보를 갖는 디지털 데이터 신호가 그대로 픽셀 부분에 입력된다.
픽셀 부분(101)에는 다수의 픽셀(104)이 매트릭스 상태로 배열된다. 픽셀(104)의 확대도는 도 1b에 도시된다. 참조번호(105)는 도 1b에서 스위칭 TFT를 나타내고, 스위칭 TFT(105)는 게이트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게이트선(106) 및 비디오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소스 배선(107)에 연결된다.
또한, 참조번호(108)는 전류 제어 TFT이고, 그 게이트는 스위칭 TFT(105)의 드레인에 연결된다. 전류 제어 TFT(108)의 드레인은 EL 소자(109)에 연결되고, 그 소스는 전류 공급선(110)에 연결된다. EL 소자(109)는 전류 제어 TFT(108)에 연결된 양극 (anode) (픽셀 전극) 및 양극과 반대로 형성되고 EL 층을 샌드위치형으로 배치하는 음극 (cathod) (반대 전극)으로 구성되고, 음극은 소정의 전력 공급(111)에 연결된다.
스위칭 TFT(105)는 n-채널 TFT가 되거나 p-채널 TFT가 될 수 있음을 주목한다.
전류 제어 TFT는 전류 제어 TFT(108)가 n-채널 TFT일 때, 전류 제어 TFT(108)의 드레인 부분이 EL 소자(109)의 음극에 연결되고, 전류 제어 TFT(108)로 p-채널 TFT가 사용되는 경우, 전류 제어 TFT(108)의 드레인 부분이 EL 소자(109)의 양극에 연결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캐패시터(112)는 스위칭 TFT(105)가 비선택 상태 (off 상태)일 때 전류 제어 TFT(108)의 게이트 전압을 저장하기 위해 형성된다. 캐패시터(112)는 스위칭 TFT(105)의 드레인 및 전류 공급선(110)에 연결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픽셀 부분에 입력되는 디지털 데이터 신호는 시간 분할 계조 데이터 신호 발생 회로(113)에 의해 형성된다. 이 회로는 디지털 신호 (그 신호는 화상 정보를 포함한다)로 이루어진 비디오 신호가 시간 분할 계조를 실행하도록 디지털 데이터 신호로 변환되고, 시간 분할 계조 디스플레이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타이밍 펄스가 발생되는 회로이다.
전형적으로, 시간 분할 계조 디지털 신호 발생 회로(113)에는 한 프레임을 N 비트 (여기서, N은 2 이상의 정수) 계조에 대응하는 다수의 필드로 분할하는 수단, 다수의 필드에서 기록 주기 및 디스플레이 주기를 선택하는 수단 및 Ts1:Ts2:Ts3:...:Ts(n-1):Ts(n) = 20:2-1:2-2:...:2-(n-2):2-(n-1)이 되는 디스플레이 주기를 설정하는 수단이 포함된다.
시간 분할 계조 디지털 신호 발생 회로(113)는 본 발명의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외부에 형성되거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외부에 회로를 형성할 때, 외부에서 형성된 디지털 데이터 신호가 본 발명의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입력되는 구조가 된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활성 매트릭스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단면 구조도가 도 2에 도시된다.
참조번호(11)는 기판을 나타내고, 참조번호(12)는 도 1에서 기저부 (base)가 되는 절연막 (이후 기저막이라 칭하여지는)을 나타낸다. 빛에 투명한 기판, 전형적으로 유리 기판, 수정 기판, 유리 세라믹 기판, 또는 결정화된 유리 기판이 기판(11)으로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되는 기판은 제작 처리의 최고 처리 온도를 견딜 수 있어야 함을 주목한다.
또한, 기저막(12)은 특히 이동 이온을 포함하는 기판이나 전도성을 갖는 기판이 사용되는 경우에 특히 효과적이지만, 수정 기판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다. 실리콘을 포함하는 절연막이 기저막(12)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실리콘을 포함하는 절연막"이란 말은 특별히 본 명세서에서 산화실리콘막, 질화실리콘막, 또는 소정의 비율로 실리콘, 산소 및 질소를 포함하는 질산화실리콘막 (SiOxNy로 나타내지고, x 및 y는 임의의 정수로 나타내지는)을 나타냄을 주목한다.
참조번호(201)는 n-채널 TFT로 형성된 스위칭 TFT를 나타내지만, 스위칭 TFT는 또한 p-채널 TFT로 형성될 수 있다. 참조번호(202)는 전류 제어 TFT를 나타내고, 도 2는 전류 제어 TFT(202)가 p-채널 TFT로 형성된 경우를 도시한다. 다른 말로 하면, 전류 제어 TFT의 드레인 전극은 이 경우 EL 소자의 양극에 연결된다. 그러나, 전류 제어 TFT가 n-채널 TFT로 형성될 때, 전류 제어 TFT는 EL 소자의 음극에 연결된다.
n-채널 TFT의 전계 효과 이동도 (field effect mobility)는 p-채널 TFT의 전계 효과 이동도 보다 더 크므로, 많은 전류가 고속으로 흐를 수 있다. 또한, 똑같은 양의 전류가 흐르더라도, n-채널 TFT의 TFT 크기는 더 작게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스위칭 TFT 및 전류 제어 TFT를 n-채널 TFT로 제한할 필요가 없고, 스위칭 TFT나 전류 제어 TFT, 또는 둘 모두를 p-채널 TFT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함을 주목한다.
스위칭 TFT(201)는 다음을 갖추어 형성된다: 소스 영역(13), 드레인 영역(14), LDD 영역(15a 내지 15d), 분리 영역(16) 및 채널 형성 영역(17a, 17b)을 포함하는 활성층; 게이트 전극(19a, 19b), 제1 층간 (interlayer) 절연막(20), 소스 배선(21) 및 드레인 배선(22). 게이트 절연막(18)이나 제1 층간 절연막(20)은 기판상의 모든 TFT 중에서 공통되게 만들어지거나, 회로 또는 소자에 대응하여 다르게 만들어질 수 있음을 주목한다.
도 2a에 도시된 스위칭 TFT(201)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게이트 전극(19a, 19b)을 가지므로, 이중 게이트 구조라 칭하여진다. 물론, 이중 게이트 구조 뿐만 아니라, 삼중 게이트 구조와 같은 다중게이트 구조 (직렬로 연결된 2개 이상의 채널 형성 영역을 갖는 활성층을 포함하는 구조)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다중게이트 구조는 off 전류의 값을 낮추는데 매우 효과적이고, 스위칭 TFT의 off 전류를 충분히 낮춤으로서, 도 1b에 도시된 캐패시터(112)에 필요한 용량을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캐패시터(112)의 독점 표면적이 더 작아질 수 있으므로, 다중게이트 구조는 또한 EL 소자(109)의 실제 방사 표면적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부가하여, 스위칭 TFT(201)에서 LDD 영역(15a 내지 15d)은 게이트 절연막(18)을 샌드위치형으로 배치하여 형성되므로, 게이트 전극(17a, 17b)과 오버레이 (overlay)되지 않는다. 이 구조는 off 전류값을 감소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더욱이, LDD 영역(15a 내지 15d)의 길이 (폭)는 0.5 내지 3.5 μm, 전형적으로 2.0 내지 2.5 μm로 설정된다.
채널 형성 영역과 LDD 영역 사이에 오프셋 (offset) 영역 (채널 형성 영역과 똑같은 구성을 갖고 게이트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영역)을 형성하는 것이 off 전류값을 감소시키는데 더 바람직함을 주목한다. 또한, 2개 이상의 게이트 전극을 갖는 다중게이트 구조가 사용될 때, 채널 형성 영역 사이에 형성된 분리 영역(16) (소스 영역이나 드레인 영역과 똑같은 농도로, 똑같은 불순물 원소가 부가되는 영역)은 off 전류의 값을 낮추는데 효과적이다.
이어서, 전류 제어 TFT(202)는 다음을 갖추어 형성된다: 소스 영역(26), 드레인 영역(27) 및 채널 형성 영역(29); 게이트 절연막(18); 게이트 전극(30); 제1 층간 절연막(20); 소스 배선(31); 및 드레인 배선(32). 게이트 전극(30)은 단일 게이트 구조를 갖지만, 다중게이트 구조가 또한 사용될 수 있음을 주목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 TFT(201)의 드레인은 전류 제어 TFT(202)의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특별히, 전류 제어 TFT(202)의 게이트 전극(30)은 드레인 배선 (또한, 연결 배선라 칭하여지는)(22)를 통해 스위칭 TFT(201)의 드레인 영역(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소스 배선(31)는 도 1b에서 전류 공급 배선(110)에 연결된다.
또한, 흐를 수 있는 전류량을 증가시킨다는 관점으로 볼 때, 전류 제어 TFT(202)의 활성층 (특히, 채널 형성 영역)의 막두께를 두껍게 (전형적으로 50 내지 100 nm, 전형적으로 60 내지 80 nm) 만드는 것이 효과적이다. 반대로, 스위칭 TFT(201)에서 off 전류값을 더 작게 만든다는 관점에서 볼 때, 활성층 (특히, 채널 형성 영역)의 막두께를 얇게 (전형적으로 20 내지 50 nm, 전형적으로 25 내지 40 nm) 만드는 것이 또한 효과적이다.
상기에는 픽셀내에 형성된 TFT의 구조가 설명되었지만, 구동기 회로가 또한 동시에 형성된다. 도 2에는 구동기 회로를 형성하는 기본 유닛인 CMOS 회로가 도시된다.
도 2에서, 핫 캐리어 (hot carrier) 주입을 가능한한 많이 감소시키는 구조를 갖는 TFT는, 동작 속도를 떨어뜨리지 않고, CMOS 회로의 n-채널 TFT(204)로 사용된다. 여기서 칭하여지는 구동기 회로는 도 1a에 도시된 소스 구동기 회로(102) 및 게이트 신호 구동기 회로(103)를 나타냄을 주목한다. 물론, 다른 신호 처리 회로 (레벨 쉬프터, A/D 변환기, 또는 신호 구동기 회로)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n-채널 TFT(204)의 활성층은 소스 영역(35), 드레인 영역936), LDD 영역(37) 및 채널 형성 영역(38)을 포함하고, LDD 영역(37)은 게이트 절연막(18)을 샌드위치형으로 배치하여 게이트 전극(39)과 오버랩된다. LDD 영역(37)은 본 명세서를 통해 Lov 영역이라 칭하여진다.
드레인 영역측에만 있는 LDD 영역의 형성은 동작 속도를 낮추지 않는 것을 고려한다. 또한, n-채널 TFT(204)에서 off 전류의 값에 많은 관심을 둘 필요가 없고, 동작 속도를 더 강조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LDD 영역(37)이 게이트 전극과 완전히 오버랩되어, 저항 성분을 가능한한 많이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말로 하면, 모든 오프셋을 제거하는 것이 좋다.
CMOS 회로의 p-채널 TFT(205)에서는 핫 캐리어 주입의 변화를 거의 관심을 두지 않고, 특히 LDD 영역이 형성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활성층은 소스 영역(40), 드레인 영역(41) 및 채널 형성 영역(42)을 포함하고, 게이트 절연막(18) 및 게이트 전극(43)은 상단에 형성된다. 또한, n-채널 TFT(204)와 유사하게 LDD 영역을 형성함으로서 핫 캐리어에 대해 반응을 취하는 것이 물론 가능하다.
또한, n-채널 TFT(204) 및 p-채널 TFT(205)는 각각 제1 층간 절연막(20)으로 덮히고, 소스 배선(44, 45)가 형성된다. 부가하여, 이들 둘은 드레인 배선(46)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음에, 참조번호(47)는 제1 비활성화막 (passivation film)을 나타내고, 그 막의 두께는 10 nm 내지 1 μm (바람직하게 200 내지 500 nm)로 설정된다. 실리콘을 포함하는 절연막 (특히, 질산화실리콘막이나 질화실리콘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 비활성화막의 물질로 사용될 수 있다. 비활성화막(47)은 알칼리 금속이나 습기로부터 형성된 TFT를 보호하는 역할을 갖는다. TFT의 상단부에 제공되는 최종 EL층에는 나트륨과 같은 알칼리 금속이 포함된다. 다른 말로 하면, 제1 비활성화막(47)은 이들 알칼리 금속 (이동 이온)이 TFT로 침투되지 않도록 하는 보호층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이 비활성화막을 언제나 형성할 필요는 없고, 필요할 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참조번호(48)는 TFT로 인한 스텝 (step)의 레벨화를 실행하는 레벨화막으로 동작하는 제1 층간 절연막을 나타낸다. 제2 층간 절연막(48)으로는 유기체 수지막이 바람직하고, 폴리이미드 (polyimide), 폴리아미드 (polyamide), 아크릴 (acrylic), 또는 BCB (benzocyclobutene)가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유기체 수지막은 양호한 레벨 표면을 쉽게 형성하고 낮은 유전상수를 갖는 이점을 갖는다. EL층은 균일하지 못한 것에 매우 민감하므로, 제2 층간 절연막에 의해 모든 TFT 스텝을 거의 모두 흡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가하여, EL 소자의 음극과 게이트 배선 또는 데이터 배선 사이에 형성되는 여진 캐패시턴스를 감소시키도록 낮은 유전상수의 물질을 두껍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두께는 바람직하게 0.5 내지 5 μm (보다 바람직하게 1.5 내지 2.5 μm)이다.
또한, 참조번호(49)는 투명한 전도막으로 구성된 픽셀 전극을 나타낸다. 제2 층간 절연막(48) 및 제1 비활성화막(47)에 접촉 홀 (hole)을 개방시킨 이후에, 픽셀 전극(49)은 전류 제어 TFT(202)의 드레인 배선(32)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셀 전극(49) 및 드레인 영역(27)이 직접 연결되는 경우, EL층의 알칼리 금속은 픽셀 전극을 통해 활성층에 들어가지 않도록 방지될 수 있다.
제3 층간 절연막(50)은 산화실리콘막, 질산화실리콘막, 또는 유기체 수지막으로 픽셀 전극(49)상에 0.3 내지 1 μm의 두께로 형성된다. 개방 부분은 에칭에 의해 픽셀 전극(49)위의 제3 층간 절연막(50)에 형성되고, 개방 부분의 엣지 (edge)는 테이퍼 (taper) 형태가 되도록 에칭된다. 테이퍼 각도는 10 내지 60도 (바람직하게 30 내지 50도)로 설정된다.
EL층(51)은 제3 층간 절연막(50)에 형성된다. EL층(51)으로는 단일층 구조나 적층 구조가 사용될 수 있지만, 적층 구조가 양호한 빛 방사 효율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홀 주입층, 홀 운송층, 방사층 및 전자 운송층이 픽셀 전극상에 순서대로 형성되지만, 홀 운송층, 방사층 및 전자 운송층을 갖는 구조나 홀 주입층, 홀 운송층, 방사층, 전자 운송층 및 전자 주입층을 갖는 구조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임의의 공지된 구조가 사용될 수 있고, 형광 색소 등을 EL층에 도핑 (doping)하는 것도 실행될 수 있다.
유기체 EL 물질로는 공지된 물질이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면 다음의 미국 특허 및 일본 특허 출원에서 설명된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미국 특허 제 4,356,429 호; 미국 특허 제 4,539,507 호; 미국 특허 제 4,720,432 호; 미국 특허 제 4,769,292 호; 미국 특허 제 4,885,211 호; 미국 특허 제 4,950,950 호; 미국 특허 제 5,059,861 호; 미국 특허 제 5,047,687 호; 미국 특허 제 5,073,446 호; 미국 특허 제 5,059,862 호; 미국 특허 제 5,061,617 호; 미국 특허 제 5,151,629 호; 미국 특허 제 5,294,869 호; 미국 특허 제 5,294,870 호; 일본 특개평 10-189525 호; 일본 특개평 8-241048 호; 및 일본 특개평 8-78159 호.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대략 4가지 종류의 칼라 디스플레이 방법으로 나뉨을 주목한다: R, G 및 B에 대응하는 3가지 종류의 EL 소자를 형성하는 방법; 칼라 필터로 백색 칼라 발광 EL 소자를 조합하는 방법; 청색 또는 청록색 발광 EL 소자와 형광 물질 (CCM, fluorescing color change layer)을 조합하는 방법; 및 투명 전극을 음극 (반대 전극)으로 사용하고 R, G 및 B에 대응하는 EL 소자를 오버랩시키는 방법.
도 2의 구조는 R, G 및 B에 대응하는 3가지 종류의 EL 소자를 형성하는 경우의 예이다. 비록 도 2에는 단 하나의 픽셀이 도시되지만, 동일한 구조를 갖는 픽셀이 적색, 녹색 및 청색 칼라에 각각 대응하여 형성되고, 그에 의해 칼라 디스플레이가 실행될 수 있음을 주목한다.
휘도 방법에 관계없이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4가지 종류의 방법이 모두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EL과 비교해, 형광 본체는 느린 응답 속도 및 잔광의 문제점이 있으므로, 형광 본체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사된 빛의 밝기가 떨어지는 원인이 되는 칼라 필더도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EL 소자의 음극(52)은 EL층(51)에 형성된다. 마그네슘(Mg), 리듐(Li), 또는 칼슘(Ca)과 같이 낮은 작업 계수의 물질을 포함하는 물질은 음극(52)으로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MgAg로 구성된 전극 (Mg:Ag = 10:1의 혼합으로 Mg 및 Ag를 포함하는 물질)이 사용된다. 부가하여, MgAgAl 전극, LiAl 전극 및 LiFAl 전극이 다른 예로 주어질 수 있다.
EL층(51)을 형성한 이후, 대기에 노출되지 않고, 연속하여 음극(5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음극(52)과 EL층(51) 사이의 인터페이스 상태가 EL 소자의 빛 방사 효율에 많은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본 명세서를 통해, 픽셀 전극(양극), EL층 및 음극으로 형성되는 빛 방사 소자는 EL 소자라 칭하여짐을 주목한다.
EL층(51)과 음극(52)으로 구성된 적층 구조는 각 픽셀에 대해 분리되어 형성될 필요가 있지만, EL층(51)은 습기에 대해 매우 약하므로, 일반적인 사진석판술 (photolithography) 기술이 사용될 수 없다. 그러므로, 금속 마스크 (mask)와 같은 물리적 마스크 물질을 사용하고, 진공 증발, 스퍼터링 (sputtering), 또는 플라스마 (plasma) CVD와 같이 기체형 방법에 의해 층을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잉크 제트 프린팅이나 스크린 프린팅과 같은 방법을 EL층을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방법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함을 주목한다. 그러나, 음극은 이들 방법과 연속적으로 동시에 형성될 수 없으므로, 상기에 언급된 다른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또한, 참조번호(53)는 외부 습기 등으로부터 음극(52)을 보호하고, 동시에 각 픽셀의 음극(52)에 연결되는 전극인 보호 전극을 나타낸다. 보호 전극(53)으로는 알루미늄(Al), 구리(Cu), 또는 은(Ag)을 포함하는 저저항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 전극(53)은 또한 EL층에 의해 발생된 열량을 경감시키는 열 방출 효과를 갖는 것으로 기대될 수 있다. 부가하여, 상기 EL층(51) 및 음극(52)을 형성한 이후, 대기에 노출되지 않고, 연속하여 보호 전극(53)을 형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참조번호(54)는 제2 비활성화막을 나타내고, 그 막두께는 10 nm 내지 1 μm (바람직하게 200 내지 500 nm)로 설정된다. 제2 비활성화막을 형성하는 목적은 주로 습기로부터 EL층(51)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지만, 열 방출 효과가 주어지는 경우 또한 효과적이다. 상술된 EL층은 열에 대해 약하므로, 가능한한 낮은 온도에서 (바람직하게 실온 내지 120℃의 온도 범위에서) 막 피착이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플라스마 CVD, 스퍼터링, 진공 증발, 이온 플레이팅 (ion plating) 및 용액 적용 (스핀 코팅 (spin coating))이 바람직한 막 피착 방법이다. 그러나, 제2 비활성화막(54)을 언제나 형성할 필요는 없고, 요구될 때 형성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요점은 지금까지 아날로그 구동 계조에서 문제가 되었던 TFT 특성에서의 분산 문제점을 개선하여, 활성 매트릭스형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아날로그 구동 계조 디스플레이를 디지털 구동 시간 분할 계조 디스플레이로 변화시키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도 2의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조에 제한되지 않고, 도 2의 구조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하나의 바람직한 형태일 뿐이다.
폴리실리콘막을 사용하는 상기 TFT는 고속 동작을 갖지만, 핫 캐리어 주입과 같은 원인으로 인해 쉽게 변형된다. 그러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기능 (충분히 낮은 off 전류를 갖는 스위칭 TFT 및 핫 캐리어 주입에 대해 강한 전류 제어 TFT)에 응답하여 다른 구조를 갖는 픽셀내에 TFT를 형성하는 것이 높은 확실성을 제공한다. 또한, 이는 양호한 영상 디스플레이 (양호한 이동 기능성)을 갖출 수 있는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작에 매우 효과적이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9 내지 도 16 및 도표 1 내지 4를 사용하여 설명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을 실시할 때 사용되는 픽셀 부분, 그 픽셀 부분 근처에 형성된 구동기의 구조 및 조건 (크기 및 전압값과 같은), 또한 입력 신호가 설명된다.
도 9는 상기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완전한 패널 (panel)의 평면도이다 (음극 막 피착부로부터). 디스플레이는 바닥과 마주 대하여 실행된다. 도 9에서 참조번호(901)은 픽셀 부분을 나타내고, 참조번호(902)는 소스 구동기 회로를 나타내고, (903)은 게이트 구동기 회로를 나타내고, (904)는 탄력 프린트 회로 (이후 FPC (flexible printed circuit)라 칭하여지는)의 입력 부분을 나타낸다. 실시예 1에서 사용되는 FPC 입력 부분(904)은 300 μm 피치 (pitch)로 50개의 단자를 갖는다.
실시예 1에서 도 9의 FPC 입력 부분(904)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FPC 입력 부분을 보호하는 회로를 갖는다. 비디오 신호 입력 단자 (도 9에서 FPC 입력 부분(904) 중 상단 부분에 부착된 단자 1 내지 50 중에서 단자 5 내지 20 및 27 내지 42)는 저항기(R1)를 갖지 않음을 주목한다.
또한, 보호 회로를 갖는 FPC 입력 단자 부분 중 일부는 번호 1, 2, 21, 22, 43, 44, 49 및 50을 제외하고, 도 9에서 FPC 입력 부분(904) 중 상단 부분에 부착되는 모든 번호 1 내지 50임을 주목한다.
부가하여, 도표 1은 실시예 1에서 사용되는 FPC 입력 단자의 조건을 도시한다. 도표 1에 도시된 "단자 No"는 도 9에서 FPC 입력 부분(904)의 상단부에 부착된 번호 1 내지 50에 대응함을 주목한다.
다음에, 도 11은 도 9의 게이트 구동 회로(903)의 상세한 회로도를 도시한다. 게이트 구동기 회로에서 양의 전력 공급 전압은 10 V이고, 음의 전력 공급 전압은 0 V이다. 게이트 구동기 회로에 입력되는 동작 클럭 주파수는 232 kHz이다. 또한, 게이트 구동기 회로는 주사 방향 사이에서 스위칭되는 기능을 갖는다.
도 11에서 기호 g_chsw_a는 주사 방향 스위치이고, 기호 g_sftr_b, g_sftr_c 및 g_sftr_d는 쉬프트 레지스터 일부이고, 기호 g_nand_e는 NAND 회로이고, 기호 g_buff_f는 버퍼를 나타낸다.
도 11에서 점선으로 둘러싸인 부분, 즉 g_chsw_a, g_sftr_b, g_sftr_c 및 g_sftr_d는 실시예 1에서 쉬프트 레지스터(11001)라 칭하여진다.
실시예 1의 게이트 구동기 회로를 구성하는 쉬프트 레지스터, NAND 회로 및 버퍼에 포함된 TFT의 크기가 도표 2에 도시된다.
쉬프트 레지스터, NAND 회로 및 버퍼에는 p형 TFT 및 n형 TFT가 사용되므로, 각 TFT에 대해 값들이 도시된다. 도표 2의 크기는 도 10에 도시된 기호에 대응한다. 또한, 테이블에서, 기호 L (μm)은 TFT의 채널 길이를 나타내고, 기호 W (μm)는 TFT 채널폭을 나타낸다. Lov 영역은 n형 TFT의 채널 길이에 포함됨을 주목한다.
다음에는 도 9의 소스 구동기 회로(902)에 대해 상세한 회로도가 도 12에 도시된다. 소스 구동기 회로에서 양의 전력 공급 전압은 9 V이고, 음의 전력 공급 전압은 0 V이다. 소스 구동기 회로에 입력되는 동작 클럭 주파수는 12.5 MHz이고, 소스 구동기 회로는 주사 방향 사이에서 스위칭되는 기능을 갖는다.
도 12에서 기호 s_chsw_a는 주사 방향 스위치이고, 기호 s_sftr_b, s_sftr_c 및 s_sftr_d는 쉬프트 레지스터 부분이고, 기호 s_nand_e는 NAND 회로이고, 또한 기호 s_buff_f, s_buff_g, s_buff_h 및 s_buff_i는 모두 버퍼를 나타낸다. 또한, 기호 s_lat1_j, s_lat1_k, s_lat1_m, s_lat_n은 제1 행에서 래치 (이후 래치 1이라 칭하여지는)이고, s_lat2_p, s_lat2_r, s_lat2_s는 제2 행에서 래치 (이후 래치 2라 칭하여지는)이다.
도 12에서 점선으로 둘러싸인 부분, 즉 s_chsw_a, s_sftr_b, s_sftr_c 및 s_sftr_d로 구성된 부분은 실시예 1에서 쉬프트 레지스터(12001)로 칭하여진다.
실시예 1의 소스 구동기 회로를 구성하는 쉬프트 레지스터, NAND 회로 및 버퍼에 포함된 TFT의 크기는 다음 도표 3에 도시된다. 쉬프트 레지스터, NAND 회로 및 버퍼에는 p형 TFT 및 n형 TFT가 사용되므로, 각 TFT에 대해 그 값이 도시된다. 도표 3의 크기는 도 12에 도시된 각 기호에 대응한다. 또한, 도표에서 기호 L (μm)은 TFT의 채널 길이를 나타내고, 기호 W (μm)는 TFT 채널폭을 나타낸다. Lov 영역은 n형 TFT의 채널 길이에 포함됨을 주목한다.
도 13 및 도 14에는 게이트 구동기 회로로부터 입력된 신호의 타이밍도가 도시된다. 도 13은 게이트선 선택이 하향 주사 방향인 경우이고, 도 14는 상향 주사 방향인 경우이다. 이는 한 필드의 단위로 도시됨을 주목한다.
도 13 및 도 14에는 FPC로부터 입력된 신호와 게이트 구동기 회로로부터 입력된 신호가 도시된다. FPC로부터 입력된 신호에서, 기호 EL_CATH는 EL을 구동하기 위한 dc 전력 공급이고, 기호 G_UP은 게이트 구동기 회로의 주사 방향을 스위칭하기 위한 신호이고, 기호 G_CK는 게이트 구동기 회로에 입력되는 클럭 신호이고, 기호 G_CKb는 게이트 구동기 회로에 입력된 반전 클럭 신호이고, 또한 기호 G_SP는 게이트 구동기 회로에 입력되는 시작 펄스 신호를 나타낸다.
더욱이, 게이트 구동기 회로로부터 입력된 신호에서, G_OSR_001과 같은 기호는 쉬프트 레지스터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나타내고, G_LINE_001과 같은 기호는 게이트선에 입력된 신호를 나타낸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기호는 도 11에 도시된 심볼에 대응한다.
다음에는 소스 구동기 회로로부터 입력된 신호의 타이밍도가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다. 이들은 모두 수평 방향 주사에 대한 것이고, 도 15는 우측 방향으로 주사함으로서 m개 열의 픽셀로 기록하는 경우이고, 도 16은 좌측 방향으로 주사함으로서 m개 열의 픽셀로 기록하는 경우이다.
FPC로부터 입력된 신호와 게이트 구동기 회로 및 소스 구동기 회로로부터 입력된 신호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다. FPC로부터 입력된 신호에서, 기호 S_LAT는 소스 구동기 회로에 입력되는 래치 신호이고, 기호 S_LATb는 소스 구동기 회로에 입력되는 반전된 래치 신호이고, 기호 S_LEFT는 소스 구동기 회로의 주사 방향을 스위칭하는 신호이고, 기호 S_CK는 소스 신호 회로에 입력되는 클럭 신호이고, 기호 S_CKb는 소스 구동기 회로에 입력되는 반전된 클럭 신호이고, 기호 S_SP는 소스 구동기 회로에 입력되는 시작 펄스 신호이고, 또한 VD_01과 같은 기호는 16개 비디오선의 처음부터 (번호 01) 소스 구동기 회로에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나타낸다.
더욱이, 소스 구동기 회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서, S_OSR_001과 같은 기호는 쉬프트 레지스터로부터 소스선으로 출력되는 신호를 나타내고, S_OL1_01과 같은 기호는 제1 (번호 001) 소스선에 연결된 래치 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나타낸다. S_SMP_01과 같은 기호는 제1 (번호 01) 소스선에 연결된 샘플링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나타낸다. G_LINE_m과 같은 기호는 번호 m 게이트선에 입력되는 신호를 나타낸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기호는 도 12에 도시된 심볼에 대응한다.
실시예 1에서 패널 내부의 각 픽셀은 도 7의 참조번호(71)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EL 구동기 TFT(702)는 p형이고 (L = 5 μm, W = 2 μm), 픽셀 스위치 TFT(701)는 n형 (L = 2.5 T (Loff = 0.5 x 2 x 3을 제외하고), W = 1 μm)이다. 또한, 보조 캐패시터(704)의 표면적은 S = 0.05 내지 0.11 mm2이다.
실시예 1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건은 도표 4에 도시된다.
실시예 1에서, 패널 크기는 50 mm x 50 mm이고, 화면 크기는 14.4 mm x 10.8 mm (0.7 인치 대각선)이다. 픽셀 크기는 12.5 μm x 12.5 μm이고, 픽셀 매트릭스는 스트라이프 (stripe) 형상이고, 개구 비율은 대략 38%이다.
또한, 한 화면 당 픽셀의 수는 (d2 + 640 + d2) x (d2 + 480 + d2)로 계산되어, 307,200 + (d)4496 픽셀이다 (여기서, d는 더미 (dummy)를 나타낸다).
실시예 1에서, 패널의 조건은 640 x 480 VGA이고, 단일 칼라 디스플레이이다. 또한, 64개의 계조 (6 비트)가 있고, 충격 비율은 62.5%이다.
실시예 1에서, 소스 구동기 회로 일부분이 도 26에 도시된다. 도면의 참조번호(2601)는 쉬프트 레지스터를 나타내고, 참조번호(2602)는 래치(1)를 나타낸다.
부가하여, 도 27에는 본 발명을 실시함으로서 구해지는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정적 영상 디스플레이 사진이 도시된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는 패널 외부에 형성된 EL 소자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력 공급의 스위치 (도 7의 참조번호(709))가 디스플레이 주기 동안 off 상태로 되고, 전력 공급 스위치가 기록 주기 동안 on 상태로 된다. 이 방법이 사용되면, 이는 기록 주기가 종료된 이후 디스플레이 주기로 들어가는 것과 동시에 전력 공급 스위치가 on 상태로 되는 시스템이 된다. 이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주기로 들어가는 것과 동시에 전류량이 갑작스럽게 많이 증가되므로, 전체 패널의 로드에 대한 가변 전력 공급의 전하 충전 기능이 능가된다.
그래서, 전체 패널에 의해 요구되는 전압이 인가될 수 없어, 충분한 패널 디스플레이가 실행될 수 없다.
실시예 2에서, 기록 주기와 디스플레이 주기 사이의 갑작스러운 전류 증가는 전력 공급의 스위치 (도 7의 참조번호(709)를 언제나 on 상태로 남겨둠으로서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는 이 방법을 사용할 때 기록 주기 동안 실행되고, 도 4c의 기록 4, 기록 5, 기록 6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 주기가 기록 주기 보다 더 짧을 때는 디스플레이 4, 디스플레이 5 및 디스플레이 6을 실시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해진다.
다른 말로 하면, 실시예 2를 실시할 때, 다음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1) 픽셀의 수는 감소되고 기록 주기는 단축된다; 2) 구동기 회로에 포함된 TFT의 성능은 증가되고 동작 속도는 증가된다; 3) 구동기 회로가 패널 외부에 부착되는 구조를 사용하여 동작 속도를 증가시킨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17 내지 도 20을 참고로 설명된다. 여기서는 픽셀 부분 및 그 픽셀 부분의 주변에 제공되는 구동기 회로 부분의 TFT를 동시에 제작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구동기 회로에 대해, 기본 유닛인 CMOS 회로가 간략하게 설명되도록 도면에 도시된다.
먼저, 기저막 (도시되지 않은)이 표면상에 배치되는 기판(501)은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100 nm의 두께를 갖는 질산화막과 200 nm의 두께를 갖는 또 다른 질산화막이 결정화된 유리상에 기저막으로 적층된다. 이때, 바람직하게, 결정화된 유리 기판과 접촉하는 막의 질소 농도는 10 내지 25 wt%로 유지된다. 물론, 기저막을 형성하지 않고 수정 기판상에 직접 소자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후에, 두께가 45 nm인 비결정질 실리콘막(502)이 공지된 막 형성 방법에 의해 기판(501)상에 형성된다. 비결정질 실리콘막에 이를 제한할 필요는 없다. 대신에, 비결정질 구조를 갖는 반도체막 (마이크로결정 반도체막을 포함하는)이 본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는 비결정질 게르마늄실리콘막과 같은 비결정질 구조를 갖는 복합 반도체막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부터 도 17c까지의 단계에 대해,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일본 특허 공개 제 10-247735 호를 완전히 언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내용은 Ni과 같은 원소를 촉매로 사용하는 반도체막 결정화 방법에 대한 기술을 설명한다.
먼저, 오프닝 (opening)(503a, 503b)을 갖는 보호막(504)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150 nm 두께를 갖는 산화실리콘막이 사용된다. 니켈을 포함하는 층(505) (니켈 포함층)은 스핀 코팅 방법에 의해 보호막(504)상에 형성된다.
Ni 포함층의 형성에 대해서는 상술된 출원을 참고할 수 있다.
이후에는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570 ℃에서 14 시간 동안 불활성 기체에서 열처리가 실행되어, 비결정질 실리콘막(502)이 결정화된다. 이때, 결정화는 기판과 나란히 진행되어, Ni이 접촉되는 영역(506a, 506b) (이후, Ni 부가 영역으로 나타내지는)으로부터 시작된다. 그 결과로, 막대형 결정이 모여 선을 형성하는 결정체 구조를 갖는 폴리실리콘막(507)이 형성된다. 전자빔 회절 사진에 따라, 본 발명의 출원인은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10} 면에 대응하여 나타나는 회절 스폿 (spot)이 관찰됨을 발견하였다.
이후에, 도 1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15 그룹에 속하는 원소 (바람직하게, 인)는 보호막(504)을 마스크로 남겨두면서, Ni 부가 영역(506a, 506b)에 부가된다. 그래서, 인이 고농도로 부가된 영역(508a, 508b) (이후 인 부가 영역이라 나타내지는)이 형성된다.
이후에, 도 1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600 ℃에서 12 시간 동안 불활성 대기에서 열처리가 실행된다. 폴리실리콘막(507)에 존재하는 Ni은 이 열 처리에 의해 이동되고, 이들 중 거의 모두가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인 부가 영역(508a, 508b)에 의해 최종적으로 포착된다. 이는 인에 의한 금속 원소 (본 실시예에서는 Ni)의 게터링 효과 (gettering effect)에 의해 발생된 현상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 처리에 의해, 폴리실리콘막(509)에 남아있는 Ni의 농도는 SIMS (secondary ion-mass spectrometry)에 의한 측정값에 따라 적어도 2 x 1017atoms/cm3으로 감소된다. 비록 Ni이 반도체의 수명을 단축시키지만, 이 범위로 감소될 때는 TFT 특성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다. 부가하여, 이 농도는 종래 기술의 기존 상태에서 SIMS 분석의 측정 제한이므로, 이는 실제로 더 낮은 농도 (2 x 1017atoms/cm3이하)를 나타내게 된다.
그래서, 촉매에 의해 결정화되고 촉매가 TFT의 동작을 방해하지 않는 레벨로 감소된 폴리실리콘막(509)이 구해질 수 있다. 이후에, 폴리실리콘막(509)만을 사용하는 활성층(510 내지 513)이 패턴화 처리에 의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폴리실리콘막을 사용함으로서, 이어지는 패턴화에서 마스크 정렬을 행하는 마커 (marker)가 형성되어야 한다 (도 17d).
이어서, 50 nm 두께를 갖는 질산화실리콘막이 도 1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마 CVD 방법에 의해 형성되고, 950 ℃에서 1 시간 동안 산화 대기에서 열처리가 실행되어, 열적 산화 처리가 실행된다. 산화 대기는 산소 대기이거나 할로겐이 부가된 또 다른 산소 대기가 될 수 있음을 주목한다.
이 열적 산화 처리에서는 산화가 활성층과 질산화실리콘막 사이의 인터페이스에서 진행되고, 약 15 nm의 두께를 갖는 폴리실리콘막이 산화되므로, 약 30 nm의 두께를 갖는 산화실리콘막이 형성된다. 즉, 30 nm 두께의 산화실리콘막과 50 nm 두께의 질산화실리콘막이 적층된 80 nm 두께의 게이트 절연막(514)이 실행된다. 활성층(510 내지 513)의 막 두께는 열적 산화 처리에 의해 30 nm로 만들어진다.
이어서,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지스트 마스크 (resist mask)(515a, 515b)가 형성되고, 게이트 절연막(514)을 통해 p형을 제공하는 불순물 원소 (이후, p형 불순물 원소라 나타내지는)가 부가된다. p형 불순물 원소로는 13 그룹에 대표적으로 속하는 원소, 전형적으로 붕소나 갈륨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채널 도핑 처리라 칭하여지는) TFT의 한계값 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처리이다.
본 실시예에서, 붕소는 B2H6(diborane)의 질량 분리 없이 플라스마 여기가 실행되는 이온 도핑 방법에 의해 부가된다. 물론, 질량 분리를 실행하는 이온 주입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 처리에 따라, 1 x 1015내지 1 x 1018atoms/cm3(대표적으로 5 x 1016내지 5 x 1017atoms/cm3)의 농도로 붕소를 포함하는 불순물 영역(516 내지 518)이 형성된다.
이후에,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지스터 마스크(519a, 519b)가 형성되고, 게이트 절연막(514)을 통해 n형을 제공하는 불순물 원소 (이후 n형 불순물 원소라 나타내지는)가 부가된다. n형 불순물 원소로는 15 그룹에 대표적으로 속하는 원소, 전형적으로 인이나 비소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PH3(phosphine)의 질량 분리 없이 플라스마 여기가 실행되는 플라스마 도핑 방법이 사용된다. 인은 1 x 1018atoms/cm3의 농도로 부가된다. 물론, 질량 분리를 실행하는 이온 주입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선량 (dose)은 n형 불순물 원소가 2 x 1016내지 5 x 1019atoms/cm3(대표적으로 5 x 1017내지 5 x 1018atoms/cm3)의 농도로 이 처리에 의해 형성된 n형 불순물 영역(520)에 포함되도록 조정된다.
이어서, 처리는 도 1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가된 n형 불순물 원소 및 부가된 p형 불순물 원소를 활성화하도록 실행된다. 활성화 수단을 제한할 필요는 없지만, 게이트 절연막(514)이 배치되므로, 전자 열적 용광로 (electro-thermal furnace)를 사용하는 용광로 가열냉각 (furnace annealing) 처리가 바람직하다. 부가하여, 도 18a의 처리에서 채널 형성 영역인 일부분의 게이트 절연막과 활성층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손상시킬 확률이 있기 때문에, 열처리를 가능한한 높은 온도에서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높은 열저항의 결정화된 유리가 사용되므로, 활성화 처리는 800 ℃에서 1 시간 동안 용광로 가열냉각 처리에 의해 실행된다. 열적 산화는 처리 대기를 산화 대기로 유지하여 실행될 수 있거나, 열처리가 불활성 대기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이 처리는 n형 불순물 영역(520)의 엣지, 즉 n형 불순물 영역(520)과 n형 불순물 영역(520) 주변 영역 (도 18a의 처리에 의해 형성된 p형 불순물 영역) 사이의 경계부 (접합부)를 정화하여, 여기에는 n형 불순물 원소가 부가되지 않는다. 이는 TFT가 나중에 완성될 때 LDD 영역 및 채널 형성 영역이 뛰어난 접합을 형성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후에, 200 내지 400 nm 두께를 갖는 전도막이 형성되고, 게이트 전극(521 내지 524)을 형성하도록 패턴화가 실행된다. 게이트 전극은 바람직하게 단일층의 전도막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필요한 경우, 2층 또는 3층막과 같은 적층막이 사용됨을 주목한다. 게이트 전극의 물질로는 공지된 전도막이 사용될 수 있다.
특별히, 전도성을 갖는 탄탈(Ta), 티타늄(Ti), 몰리브덴(Mo), 텅스텐(W), 크롬(Cr), 알루미늄(Al), 구리(Cu), 은(Ag) 및 실리콘(Si)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원소로 구성된 막; 상술된 원소의 질화물로 구성된 막 (대표적으로 질화탄탈막, 질화텅스텐막, 또는 질화티타늄막); 상술된 원소를 조합한 합금막 (대표적으로 Mo-W 합금 또는 Mo-Ta 합금); 또는 상술된 원소의 규화물막 (대표적으로 규화텅스텐막 또는 규화티타늄막)이 있다. 물론, 단일층 구조나 적층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50 nm 두께를 갖는 질화텅스텐(WN)막과 350 nm 두께를 갖는 텅스텐(W)막으로 구성된 적층막이 사용된다. 이는 스퍼터링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스퍼터링 기체로 Xe 또는 Ne와 같은 불활성 기체를 부가함으로서, 막이 스트레스 (stress)로 인해 벗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게이트 전극(522)은 그들 사이에 게이트 절연막(514)을 갖는 n형 불순물 영역(520) 일부와 오버랩되도록 형성된다. 오버랩되는 부분은 나중에 게이트 전극과 오버랩되는 LDD 영역을 만든다. 도면의 단면도에 따라, 게이트 전극(523a, 523b)은 분리되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사실상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후에, 게이트 전극(521 내지 524)을 마스크로, n형 불순물 원소 (본 실시예에서는 인)가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체 정렬 방식으로 부가된다. 이때, n형 불순물 영역(520)의 농도로 이와 같이 형성된 불순물영역(525 내지 532)에 인이 부가되도록 조정이 실행된다. 특별히, 농도가 1 x 1016- 5 x 1018atoms/cm3(전형적으로 3 x 1017- 3 x 1018atoms/cm3)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에,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지스트 마스크(533a 내지 533d)는 게이트 전극을 덮도록 형성되고, 이어서 n형 불순물 원소 (본 실시예에서는 인)가 부가되어, 높은 농도의 인을 포함하는 불순물 영역(534 내지 538)이 형성된다. 여기서는 또한 PH3를 사용하는 이온 도핑 방법이 적용되고, 이 영역에서 인의 농도가 1 x 1020- 1 x 1021atoms/cm3(대표적으로 2 x 1020- 5 x 1020atoms/cm3)이 되도록 조정이 실행된다.
이 처리를 통해 n-채널형 TFT의 소스 영역 또는 드레인 영역이 형성되고, 스위칭 TFT는 도 19a의 처리에서 형성된 n형 불순물 영역(528 내지 530) 일부를 남겨둔다. 남겨진 영역은 도 2에서 스위칭 TFT의 LDD 영역(15a 내지 15d)에 대응한다.
이후에, 도 1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지스트 마스크(533a 내지 533d)가 제거되고, 레지스트 마스크(539)가 새롭게 형성된다. 이어서, p형 불순물 원소 (본 실시예에서는 붕소)가 부가되고, 고농도의 붕소를 포함하는 불순물 영역(540 내지 543)이 형성된다. 여기서는 B2H6을 사용하는 이온 도핑 방법에 따라 3 x 1020- 3 x 1021atoms/cm3(대표적으로 5 x 1020- 1 x 1021atoms/cm3)의 농도가 구해지도록 붕소가 부가된다.
인은 이미 1 x 1020- 1 x 1021atoms/cm3의 농도로 불순물 영역(540 내지 543)에 부가되었다. 여기서 부가된 붕소는 적어도 부가된 인의 농도의 3배 농도를 갖는다. 그러므로, 미리 형성된 n형의 불순물 영역은 완전히 p형으로 변화되어 p형의 불순물 영역으로 동작한다.
이후에 도 1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지스트 마스크(539)는 제거되고, 이어서 제1 층간 절연막(544)이 형성된다. 제1 층간 절연막(544)으로는 실리콘을 포함하는 절연막이 단일층 구조 또는 그들의 조합인 적층 구조의 형태로 사용된다. 막 두께는 400 nm 내지 1.5 μm가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800 nm 두께를 갖는 산화실리콘막이 200 nm 두께를 갖는 질산화실리콘막에 적층되는 구조를 생성한다.
이후에, 각 농도로 부가된 n형 또는 p형 불순물 원소가 활성화된다. 활성화 수단으로는 용광로 가열냉각 방법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 열적 용광로에서 질소 대기로 4 시간 동안 550 ℃에서 열 처리가 실행된다.
열 처리는 수소화를 위해 3 내지 100%의 수소를 포함하는 대기로 1 내지 12 시간 동안 300 내지 450 ℃에서 더 실행된다. 이는 열적으로 여기된 수소에 의해 반도체막의 댕글링 결합 (dangling bond)을 수소-종결짓는 처리이다. 수소화를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는 플라스마 수소화 (플라스마에 의해 여기된 수소가 사용된다)가 실행될 수 있다.
수소화는 제1 층간 절연막(544)을 형성하는 동안 실행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200 nm 두께의 질산화실리콘막이 형성된 이후, 상술된 바와 같은 수소화가 실행되고, 이어서 나머지 800 nm 두께의 산화실리콘막이 형성될 수 있다.
이후에, 도 2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홀이 제1 층간 절연막(544) 및 게이트에 만들어지고, 소스 배선(545 내지 548) 및 드레인 배선(549 내지 551)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 전극은 100 nm 두께의 Ti막, Ti를 포함하는 300 nm 두께의 알루미늄막, 150 nm 두께의 Ti막이 스퍼터링 방법에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3층 구조의 적층막으로 형성된다. 물론, 다른 전도막이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제1 비활성화막(552)은 50 내지 500 nm 두께 (대표적으로 200 내지 300 nm 두께)가 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비활성화막(552)으로 300 nm의 두께를 갖는 질산화실리콘막이 사용된다. 질화실리콘막이 이를 대신할 수 있다.
이때, 질산화실리콘막의 형성 이전에 H2또는 NH3와 같이 수소를 포함하는 기체를 사용해 플라스마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 예비처리에 의해 여기된 수소는 제1 층간 절연막(544)에 공급되고, 열처리를 통해, 제1 비활성화막(552)의 질이 개선된다. 동시에, 제1 층간 절연막(544)에 부가되는 수소가 하단측으로 확산되므로, 활성층은 효과적으로 수소화될 수 있다.
이후에,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체 수지로 구성된 제2 층간 절연막(553)이 형성된다. 폴리이미드, 아크릴 섬유, 또는 BCB (bensocyclobutene)가 유기체 수지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제2 층간 절연막(553)은 TFT에 의해 형성된 레벨차를 평평하게 만들도록 요구되므로, 매끄러움이 뛰어난 아크릴막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아크릴막이 2.5 μm 두께로 형성된다.
이후에, 데이터 배선(551)에 이르는 접촉홀이 제2 층간 절연막(553) 및 제1 비활성화막(552)에 만들어지고, 픽셀 전극 (양극)(554)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ITO (indium tin oxide)막이 110 nm의 두께로 형성되고, 픽셀 전극을 형성하도록 패턴화가 실행된다. 이 대신에, 산화인듐이 산화아연과 2 내지 20% 혼합된 투명 전도막이 사용될 수 있다. 픽셀 전극은 EL 소자의 양극이 된다.
이어서, 실리콘을 포함하는 절연막 (본 실시예에서는 산화실리콘막)이 500 nm 두께로 형성되고, 픽셀 전극(554)에 대응하는 위치에 오프닝이 형성되고, 이어서 제3 층간 절연막(555)이 형성된다. 오프닝이 형성될 때 습식 에칭 방법을 사용해 테이퍼 측면벽을 쉽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오프닝의 측면벽이 충분히 완만한 기울기를 갖지 않으면, 레벨차에 의해 발생되는 EL층의 변형이 중요한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이후에, EL층(556) 및 음극 (MgAg 전극)(557)은 공기에 노출되지 않고 진공 피착에 의해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EL층(556)의 막두께는 800 내지 200 nm (전형적으로 100 내지 120 nm)이고, 음극(557)의 두께는 180 내지 300 nm (전형적으로 200 내지 250 nm)이다.
이 처리에서, EL층 및 음극은 적색에 대응하는 픽셀, 녹색에 대응하는 픽셀 및 청색에 대응하는 픽셀로 연속하여 형성된다. 그러나, EL층이 용액에 대한 내성이 떨어지므로, 사진석판술을 사용하지 않고 각 칼라에 대해 독립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그래서, 금속 마스크를 사용해 원하는 것을 제외한 픽셀을 감추고 원하는 픽셀에 대한 EL층 및 음극을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 마스크는 먼저 적색에 대응하는 픽셀을 제외한 모든 픽셀을 감추도록 설정되고, 그 마스크를 사용해 적색 휘도의 EL층 및 음극이 선택적으로 형성된다. 이어서, 마스크는 녹색에 대응하는 픽셀을 제외한 모든 픽셀을 감추도록 설정되고, 그 마스크에 의해 녹색 휘도의 EL층 및 음극이 선택적으로 형성된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마스크는 청색에 대응하는 픽셀을 제외한 모든 픽셀을 감추도록 설정되고, 그 마스크에 의해 청색 휘도의 EL층 및 음극이 선택적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각 칼라에 대해 다른 마스크가 사용된다. 대신에, 똑같은 마스크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모든 픽셀에 대해 EL층 및 음극이 형성될 때까지, 진공 상태를 벗어나지 않고 처리가 실행된다.
EL층(556)으로는 공지된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공지된 물질로는 구동 전압을 고려한 유기체 물질이 있다. 예를 들면, EL층은 홀 주입층, 양의 홀 운송층, 빛 방사층 및 전자 주입층으로 구성된 4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EL 소자의 음극으로는 MgAg 전극이 사용된다. Yb와 같은 다른 공지된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보호 전극(558)으로는 주 성분으로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전도막이 사용될 수 있다. 보호 전극(558)은 증기 피착 방법에 의해 EL층 및 음극을 형성할 때 사용되는 것과 다른 마스크를 사용해 형성된다. 또한, 보호 전극은 공기에 노출되지 않고 EL층 및 음극을 형성한 이후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질화실리콘막으로 구성된 제2 비활성화막(559)이 300 nm의 두께로 형성된다. 실제로, 보호 전극(558)은 습기 등으로부터 EL층을 보호하도록 동작한다. 부가하여, 제2 비활성화막(559)이 형성되고, 그에 의해 EL 소자의 확실성을 개선한다.
이 방법으로, 도 2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활성 매트릭스형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완료된다. 실제로는 바람직하게 도 2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성될 때 공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밀폐된 보호막 (적층막, 자외선 경화 수지막 등) 또는 세라믹 봉합캔 (ceramic sealing can)과 같은 수납 물질로 패키지화 (봉합)된다. 그 상황에서는 수납 물질의 내부를 불활성 대기로 만들거나 방습 물질 (예를 들면, 산화바륨)을 배치함으로서 EL층의 확실성 (수명)이 개선된다.
패키지화하여 밀폐성을 개선시킨 이후에, 기판상에 형성된 소자 또는 회로로부터의 단자를 외부 신호 단자에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기 (FPC: flexible print circuit)가 부착되고, 한 제품으로 완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이와 같이 전체적으로 시장에 제시되는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EL 모듈 (module)이라 칭하여진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활성 매트릭스형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이 도 21의 투시도를 사용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의 활성 매트릭스형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유리 기판(601)상에 형성되고, 픽셀 부분(602), 게이트측 구동 회로(603) 및 소스측 구동 회로(604)로 구성된다. 픽셀 부분의 스위칭 TFT(605)는 n-채널 TFT이고, 게이트측 구동 회로(603)에 연결된 게이트 배선(606)와 소스측 구동 회로(604)에 연결된 소스 배선(607)의 교차점에 위치한다. 더욱이, 스위칭 TFT(605)의 드레인은 전류 제어 TFT(608)의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부가하여, 전류 제어 TFT(608)의 소스측은 전류 공급선(609)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의 구조에 따라, 전류 제어 TFT(609)에는 접지 전위가 제공된다. 또한, EL 소자(610)는 전류 제어 TFT(608)의 드레인에 연결되고, 소정의 전압 (본 실시예에서는 10 내지 12 V)이 EL 소자(610)의 음극에 인가된다.
이어서, 입력 및 출력 배선 (연결 배선)(612, 613)와, 전류 공급선(609)에 연결된 입력 및 출력 배선(614)는 신호를 구동기 회로에 전달하기 위해 외부 입력 및 출력 단자가 되는 FPC(611)에 형성된다.
수납 물질을 포함하여, 본 실시예의 EL 모듈의 설명은 도 22a 및 도 22b를 사용해 이루어진다. 필요할 때, 도 21에서 사용되는 표시가 언급됨을 주목한다.
픽셀 부분(1201), 소스 구동 회로(1202) 및 게이트 구동 회로(1203)는 기판(1200)상에 형성된다. 각 구동기 회로로부터의 다양한 배선이 FPC(611)를 통해 입력 및 출력 배선(612 내지 614)에서 외부 장비로 연결된다.
수납 물질(1204)은 적어도 픽셀 부분, 바람직하게 구동 회로와 픽셀 부분을 둘러싸는 지점에 형성된다. 수납 물질(1204)은 EL 소자의 내부 크기가 외부 크기 보다 더 큰 불규칙적인 형상이거나 시트 (sheet) 형상을 갖고, 기판(1200)과 결합되어 밀폐 공간을 형성하도록 고착물(1205)로 기판(1200)에 고정됨을 주목한다. 이때, EL 소자는 상기 밀폐 공간에 완전히 봉합된 상태이고, 외부 대기로부터 완전히 차단된다. 다수의 수납 물질(1204)이 형성될 수 있음을 주목한다.
수납 물질(1204)로는 유리나 폴리머 (polymer)와 같은 절연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이 그 예로 주어질 수 있다: 비결정질 유리 (붕규산 유리나 수정); 결정화 유리; 세라믹 유리; 유기체 수지 (아크릴 수지, 스티렌 (styrene)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polycarbonate) 수지 및 에폭시 (epoxy) 수지와 같은); 및 실리콘 수지. 부가하여, 세라믹도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고착물(1705)이 절연 물질이라 가정하면, 스테인레스 합금과 같은 금속 물질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고착물(1205)의 물질로는 에폭시 수지나 아크릴 수지와 같은 고착물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가하여, 열적으로 강화된 수지나 약간 강화된 수지가 또한 고착물로 사용될 수 있다. 산소나 습기가 가능한한 많이 전달되지 않는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부가하여, 수납 물질과 기판(1200) 사이의 오프닝(1206)을 불활성 기체 (예를 들면, 아르곤, 헬륨, 또는 질소)로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체에는 제한이 없고, 불활성 액체 (예를 들면, 액체 탄화불소, 전형적으로 펄플루오로알칸 (perfluoroalkane))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본 특개평 8-78519 호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물질이 불활성 액체에 대해 참고될 수 있다.
오프닝(1206)에는 건조제를 형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일본 특개평 9-148066 호에 기록된 것과 같은 물질이 건조제로 사용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산화바륨이 사용된다.
고립된 EL 소자를 갖는 다수의 픽셀은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셀 부분에 형성되고, 픽셀은 모두 공통 전극으로 보호 전극(1207)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대기에 노출되지 않고 EL층, 음극 (MgAg 전극) 및 보호 전극을 연속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EL층 및 음극은 똑같은 마스크 물질을 사용해 형성되고, 보호 전극만이 분리된 마스크 물질로 형성된다고 가정하면, 도 22b의 구조가 실현될 수 있다.
이때, EL층 및 음극은 픽셀 부분에서만 형성되고, 구동 회로에 형성될 필요는 없다. 물론, 구동 회로에 이들을 형성하여도 문제는 없지만, 알칼리 금속이 EL층에 포함된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구동 회로 위에 형성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 전극(1207)은 참조번호(1208)로 도시된 영역에서 픽셀 전극과 똑같은 물질로 구성된 연결 배선(1209)를 통해 입력 및 출력 배선(1210)에 연결됨을 주목한다. 입력 및 출력 배선(1210)는 소정의 전압 (본 실시예에서는 접지 전위, 특별히 0 V)을 보호 전극(1207)에 제공하는 배선이고, 전도성 페이스트 (paste) 물질(1211)을 통해 FPC(611)에 연결된다.
여기서는 영역(1208)에서 접촉 구조를 실현하는 제작 처리가 도 23을 사용해 설명된다.
먼저, 본 실시예의 처리에 따라 도 20a의 상태가 구해진다. 이때, 제1 층간 절연막(544) 및 게이트 절연막(514)은 기판의 엣지 (도 22b에서 참조번호(1208)로 도시된 영역)로부터 제거되고, 입력 및 출력 배선(1210)는 그 영역상에 형성된다. 물론, 도 20a의 소스 배선 및 드레인 배선은 동시에 형성된다 (도 23a를 참고).
다음에, 도 20b에서, 제2 층간 절연막(553) 및 제1 비활성화막(552)이 에칭될 때, 참조번호(1301)로 도시된 영역은 제거되고, 오프닝 영역(1302)이 형성된다. 이어서, 오프닝 부분(1302)을 덮도록 연결 배선(1209)가 형성된다. 물론, 연결 배선(1209) 및 픽셀 전극(554)은 도 20b에서 동시에 형성된다 (도 23b를 참고).
픽셀 부분에 EL 소자를 형성하는 처리 (제3 층간 절연막, EL층 및 음극 형성 처리)는 이 상태에서 실행된다. 이때, 마스크는 제3 층간 절연막 및 EL 소자가 도 13에 도시된 영역에 형성되지 않도록 이 영역에서 사용된다. 음극(557)을 형성한 이후에, 보호 전극(558)은 분리된 마스크 물질을 사용해 형성된다. 그래서, 보호 전극(558)과 입력 및 출력 배선(1210)는 연결 배선(1209)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2 비활성화막(559)이 형성되어, 도 23c의 상태가 구해진다.
이와 같이, 도 22b에서 참조번호(1208)로 도시된 영역의 접촉 구조는 상기 단계에 의해 실현된다. 이어서, 입력 및 출력 배선(1210)는 수납 물질(1204)과 기판(1200) 사이의 오프닝을 통해 FPC(611)에 연결된다 (이는 접착물(1205)로 채워짐을 주목한다; 다른 말로 하면, 접착물(1205)의 두께는 입력 및 출력 배선의 단계를 충분히 레벨화시킬 수 있을 필요가 있다). 여기서는 입력 및 출력 배선(1210)가 설명되었지만, 다른 출력 배선(612 내지 614)도 또한 수납 물질(1204) 아래를 통과함으로서 FPC(611)에 유사하게 연결됨을 주목한다.
실시예 4
실시예 4에서는 실시예 3에 따라 제작된 활성 매트릭스형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픽셀 구조에 대한 예가 설명된다. 설명에서는 도 24a 및 도 24b가 사용된다. 편의상, 도 1a, 도 1b 및 도 2에 대응하는 도 24a 및 도 24b의 부 분은 도 1a, 도 1b 및 도 2에서 사용된 기호로 나타내짐을 주목한다.
또한, 도 24a는 제2 배선 (소스선과 전류 공급선)을 피착하기 이전의 픽셀 구조를 도시하고, 도 24b는 EL층의 형성 이전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24에서, 참조번호(201)는 소스 영역(13), 드레인 영역(14) 및 게이트 전극(106)을 포함하는 스위칭 TFT를 나타낸다. 또한, 참조번호(202)는 소스 영역(26), 드레인 영역(27) 및 게이트 전극(30)을 포함하는 전류 제어 TFT를 나타낸다. 부가하여, 전류 제어 TFT(202) 및 픽셀 전극(49)은 드레인선(32)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스위칭 TFT(201)의 드레인 배선(22)는 이 지점에서 접촉 부분(1601)에 의해 전류 제어 TFT(202)의 게이트 전극(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더욱이, 게이트 전극(30)은 전류 공급선(110)과 오버랩되는 부분에서 저장 캐패시터(A)(112a)를 형성한다. 이때 게이트 전극(30)과 오버랩되도록 하는 형상으로 전류 공급선(110)을 정렬시킴으로서, 저장 캐패시터(A)(112a)의 캐패시턴스는 픽셀의 개구 비율을 감소시키지 않고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접촉 부분(80)에 의해 전류 공급선(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반도체막(81)은 게이트 전극(30)과 오버랩되어 저장 캐패시터(B)(112b)를 형성한다. 이때, 유전체는 게이트 절연막과 똑같은 층의 절연막이다.
저장 캐피시터(A)(112a)와 저장 캐패시터(B)(112b)는 도 24a 및 도 24b의 픽셀 구조에서 나란히 연결되어, 저장 캐패시터(112)로 동작한다.
반도체막(81) 및 전류 제어 TFT(202)의 소스 영역(26)은 분리된 접촉 부분에 의해 전류 공급선(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을 주목한다. 이는 다음에 설명된다. 반도체막(81)에는 인이 도핑되어 저장 캐패시터(B)(112b)의 바닥측 전극이 되고, 전류 제어 TFT(202)의 활성층에는 이것이 p-채널 TFT이므로 붕소가 도핑된다. 다른 말로 하면, 인이 도핑된 반도체 영역과 붕소가 도핑된 반도체 영역이 인접되어, p-n 접합이 형성되기 때문에 정류 작용이 전개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를 고려하여, 반도체막(81) 및 전류 제어 TFT(202)의 소스 영역(26)은 전류 공급선(110)에 분리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실시예 4에서 도 24a 및 도 24b에 도시된 픽셀 구조는 본 발명에 어떠한 제한도 제공하지 않으며, 단순히 바람직한 예임을 주목한다. 작동자는 스위칭 TFT, 전류 제어 TFT 및 저장 캐패시터가 임의의 위치에 형성되도록 적절하게 설계할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3의 구성과 자유롭게 조합하여 실시예 4의 구성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4의 구조는 특별히 영상 디스플레이 영역의 표면적이 커지는 경우에 효과적이다. 그 이유는 이후 설명된다.
본 발명의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한 프레임을 다수의 필드로 나누어 구동을 실행하므로, 픽셀 부분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기 회로에 인가되는 로드가 크다. 이러한 부담을 줄이기 위해 픽셀 부분의 로드 (예를 들면, 배선 저항, 여진 캐패시턴스, 또는 TFT 기록 캐패시턴스)를 가능한한 많이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TFT 기록에서 데이터 배선 및 게이트 배선에 부가된 여진 캐패시턴스는 배선에 형성된 EL 소자의 음극 (또는 보호 전극) 사이에 많이 형성된다. 이것은 제2 층간 절연막으로서 낮은 유전 상수를 갖는 유기체 수지막이 1.5 내지 2.5 μm 두께로 형성되기 때문에 거의 무시될 수 있다.
그래서, 픽셀 부분에 큰 표면적을 갖는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가장 큰 방해는 데이터 배선 및 게이트 배선의 배선 저항이다. 물론, 소스 구동기 회로를 다수의 회로로 나누어 평행한 처리를 실행하고, 픽셀 부분을 샌드위치형으로 포함하여 소스 구동기 회로 및 게이트 구동기 회로를 형성하고 양 방향으로 신호를 전송하고, 또한 구동기 회로의 동작 주파수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그 경우에는 구동기 회로의 독점 표면적이 증가되는 것과 같은 분리된 문제점이 전개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을 실시할 때는 실시예 4과 같은 구조에 따라 게이트 배선의 배선 저항을 가능한한 많이 줄이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다. 실시예 4에서 도 24a 및 도 24b에 도시된 픽셀 구조는 본 발명에 어떠한 제한도 제공하지 않으며, 단지 바람직한 예임을 주목한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3 중 임의의 것과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예 4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5
실시예 5에서는 도 25를 사용해 도 2와 다른 구조를 갖는 픽셀 부분을 형성하는 경우가 설명된다. 도 25에 도시된 제2 절연막(48)에 의해 덮이는 전류 제어 TFT(206)는 도 2와 다른 구조를 가짐을 주목한다.
더욱이, 도 25에 도시된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드레인 영역(27)과 채널 형성 영역(29) 사이에 형성된 LDD 영역(28)을 갖고, LDD 영역(28)이 게이트 절연막(18)을 샌드위치형으로 끼고 게이트 전극(30)과 오버랩되는 영역과 오버랩이 없는 영역을 갖도록 구성된다.
스위칭 TFT는 실시예 5에서 p-채널 TFT 또는 n-채널 TFT에 의해 형성될 수 있지만, 전류 제어 TFT를 n-채널 TFT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주목한다.
전류 제어 TFT(206)에는 EL 소자(203)가 빛을 방사하게 하기 위하여 비교적 많은 양의 전류가 흐르므로, 핫 캐리어 주입으로 인한 변형에 대비하는 단계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흑색 칼라를 디스플레이할 때, 전류 제어 TFT(206)는 off 상태에 놓이지만, 그 때 off 전류가 크면, 깨끗한 흑색 칼라가 디스플레이될 수 없어서 대조 등에서 감소를 초래한다. 그러므로, off 전류를 또한 억제할 필요가 있다.
핫 캐리어 주입으로 인한 변형에 대해, LDD 영역이 게이트 전극에 대해 오버랩되는 구조가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전체 LDD 영역이 오버랩되면, off 전류가 감소되므로, 본 발명의 출원인은 게이트 전극과 오버랩되지 않는 LDD 영역이 상기 구조에 부가되어 직렬로 형성되는 새로운 구조에 의해 핫 캐리어 주입 문제점 및 off 전류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한다.
이때, 게이트 전극과 오버랩되는 LDD 영역의 길이는 0.1 내지 3 μm (바람직하게 0.3 내지 1.5 μm)가 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전극과 오버랩되지 않는 LDD 영역의 길이는 1.0 내지 3.5 μm (바람직하게 1.5 내지 2.0 μm)가 될 수 있다. 너무 길면, 충분한 양의 전류가 흐르지 못하고, 너무 짧으면, off 전류 감소 효과가 약해진다. 게이트 전극과 오버랩되지 않는 LDD 영역을 생략하고, 게이트 전극과 오버랩되는 LDD 영역만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한다.
또한, 상기 구조에서 게이트 전극과 LDD 영역이 오버랩되는 영역에 의해 여진 캐패시턴스가 형성되므로, 소스 영역(26)과 채널 형성 영역(29) 사이에 이를 형성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캐리어 (여기서는 전자) 흐름 방향은 항상 전류 제어 TFT에서 똑같으므로, 드레인 영역측에만 LDD 영역을 형성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한편, 드레인측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과 LDD 영역이 오버랩되는 영역에 의해 형성된 여진 캐패시턴스가 특히 사용되고, 이는 도 1a 및 도 1b의 저장 캐패시터(112)와 똑같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저장 캐패시터(112)와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저장 캐패시터(112)의 대용으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여 저장 캐패시터(112)가 생략될 수 있다. 저장 캐패시터(112)가 생략될 수 있으면, 개구 비율은 많이 증가될 수 있다.
실시예 5의 경우에서 제2 층간 절연막(48)과 제1 비활성화막(47)에 접촉 홀을 형성한 이후에는 음극이 되는 픽셀 전극(61)이 형성된다. 실시예 5에서는 픽셀 전극(61)으로 200 nm 두께의 알루미늄 합금막 (1 wt% 티타늄을 포함하는 알루미늄막)이 형성된다. 픽셀 전극 물질로는 금속 물질이면 임의의 물질이 사용될 수 있고, 높은 반사율을 갖는 물질이 바람직함을 주목한다.
이어서, 300 nm 두께를 갖는 산화실리콘막으로부터 픽셀 전극(61)상에 제3 층간 절연막(62)이 형성되고, 다음에는 20 nm 전자 운송층의 바닥, 40 nm 빛 방사층 및 30 nm 홀 운송층으로 구성되어 EL층(63)이 형성된다. 픽셀 전극(61) 보다 약간 더 큰 패턴을 갖도록 EL층(63)을 형성하는 것이 필요함을 주목한다. 이렇게 함으로서, 픽셀 전극(61)과 나중에 형성되는 양극(65) 사이에 구분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EL층을 형성하는 EL 물질로는 전자 운송층에서 BCP 또는 Alq3와 같은 물질이 사용될 수 있음을 주목한다.
또한, CBP 및 Ir(ppy)3, Alq3(aluminm quinolinolate complex) 및 BeBq (benzo-quinolinolate beryllium)가 빛 방사층에서 사용될 수 있다. 부가하여, 쿠마린 (coumarin) 6 또는 퀴나크리돈 (quinacridon)이 도핑된 Alq3와 같은 물질이 빛 방사 물질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Eu 복합체 (Eu(DCM)3(Phen))에 부가하여, DCM-1로 도핑된 Alq3와 같은 물질이 빛 방사 물질로 사용될 수 있다. DPVBi에 부가하여, 말단 유전체 (distal dielectric), 리간드 (ligand)에서 아조메틴 (azomethine)을 처리한 아연 합성물, 또는 페릴린 (perillin)으로 도핑된 DPVBi가 또한 빛 방사층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음에, 스타버스트 아민 (starburst amine)이라 칭하여지는 방향성 아민 MTDATA, a-NPD, TPAC, PDA 및 TPD와 같은 합성물, PVK (polyvinyl carbazole) 또는 TPD가 원칙적으로 또는 사이드 체인으로 조합된 폴리머 합성물이 홀 운송층으로 사용될 수 있다.
픽셀 전극(61) 및 EL층(63)은 다중챔버 (multi-chamber) 방법 (클러스터 툴 (cluster tool)이라 칭하여지는) 진공 증가 장치를 사용함으로서 대기에 노출되지 않고 연속하여 형성됨을 주목한다. 실시예 5에서는 제3 층간 절연막(62)을 형성하는 처리로 들어가고, 바람직하게 패턴화에 의해 픽셀 전극(61) 및 제3 층간 절연막(62)을 형성한 이후에, 픽셀 전극(61)상의 산화막을 충분히 제거하고, 이어서 적색광을 방사하는 EL층이 금속 마스크를 사용해 형성된다. 이어서, 금속 마스크를 정확하게 제어하는 동안 쉬프트되어, 적색광 방사 EL층 및 청색광 방사 EL층이 순서대로 형성된다.
제2 마스크는 RGB에 대응하는 픽셀이 스트라이프 패턴으로 정렬되는 상기 방법에서 간단히 쉬프트됨을 주목한다. 그러나, 델타 (delta) 배열을 갖는 픽셀 구조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녹색광 방사 EL층을 형성하는 금속 마스크와 청색광 방사 EL층을 형성하는 금속 마스크가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EL층(63)을 통해 형성한 이후에는 투명 전도막 (실시예 5에서는 ITO 막에 10 wt% 산화아연을 포함하는 박막)으로 구성된 양극(65)이 110 nm의 두께로 EL층(63)상에 형성된다. 그래서, EL 소자(206)가 형성되고, 제2 비활성화막(66)이 질화실리콘막으로부터 형성되면, 도 25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조를 갖는 픽셀이 완료된다.
이 경우에는 음극 및 양극이 도 2와 반대 위치에 있음을 주목한다.
실시예 5의 구조를 사용할 때, TFT가 형성된 기판의 반대측 (즉, 단면도에서 볼 때 상단 표면측)에는 픽셀에 의해 형성된 적색광, 녹색광 및 청색광이 조사된다. 그러므로, 픽셀내에서 거의 완전한 영역, 즉 TFT가 형성된 영역은 실제 빛 방사 영역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 결과로, 픽셀의 실제 빛 방사 표면적은 많이 증가되고, 영상 밝기 및 대조 비율이 증가된다.
실시예 1 내지 4 중 임의의 것의 구성과 실시예 5의 구성을 자유롭게 조합하는 것이 가능함을 주목한다.
실시예 6
실시예 1에서 도 2의 구성 중 활성층과 기판(11) 사이에 형성된 기저막으로 고열 방출 효과를 갖는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특별히, 전류 제어 TFT에는 많은 양의 전류가 흐르므로, 열이 쉽게 발생되고, 자체적인 열 발생으로 인한 변형이 문제가 된다. TFT의 열적 변형은 이러한 경우 열 방출 효과를 갖는 실시예 6의 기저막을 사용함으로서 방지될 수 있다.
열 방출 효과를 갖는 광투명 물질로는 B (붕소), C (탄소) 및 N (질소)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원소와, Al (알루미늄), Si (실리콘) 및 P (인)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원소를 포함하는 절연막이 주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음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질화알루미늄 합성물, 전형적으로 질화알루미늄 (AlxNy); 탄화실리콘 합성물, 전형적으로 탄화실리콘 (SixCy); 질화실리콘 합성물, 전형적으로 질화실리콘 (SixNy); 질화붕소 합성물, 전형적으로 질화붕소 (BxNy); 또는 인화붕소 합성물, 전형적으로 인화붕소 (BxPy). 또한, 산화알루미늄 합성물, 전형적으로 산화알루미늄 (AlxOy)은 뛰어난 광투명 특성을 갖고, 20 Wm-1K-1의 열전도성을 가지므로, 바람직한 물질로 언급될 수 있다. x 및 y는 상기 투명 물질에 대한 임의의 정수임을 주목한다.
상기 화학적 합성물은 또한 또 다른 원소와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질소가 산화알루미늄에 부가된 AlNxOy로 표시되는 질산화알루미늄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물질은 또한 열 방출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습기 및 알칼리 금속과 같은 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는데도 효과적이다. x 및 y는 상기 질산화알루미늄에 대한 임의의 정수임을 주목한다.
더욱이, 일본 특개소 62-90260 호에 기록된 물질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즉, Si, Al, N, O 및 M을 포함하는 절연막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M은 희토류 (rare-earth) 원소로, 바람직하게 Ce (세륨), Yb (이테르븀), Sm (사마륨), Er (르븀), Y (이트륨), La (란타늄), Gd (가돌리늄), Dy (디스프로슘) 및 Nd (네오디뮴)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원소임을 주목한다). 이들 물질은 열 방출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습기 및 알칼리 금속과 같은 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는데도 효과적이다.
더욱이, 다이아몬드 박막 또는 비결정질 탄소막 (특별히, 다이아몬드에 가까운 특성을 갖는 것; 다이아몬드형 탄소라 칭하여지는)과 같은 탄소막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매우 높은 열 전도성을 가지므로, 방출층으로 매우 효과적이다. 막 두께가 더 커지면, 브라운 대역 (brown banding)이 있어 투과율이 감소되므로, 가능한한 얇은 막 두께 (바람직하게 5 내지 100 nm)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 방출 효과를 갖는 물질로 구성된 박막이 그 자체로 사용될 수 있지만, 이 박막을 실리콘을 포함하는 절연막과 적층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실시예 1 내지 5 중 임의의 것의 구성과 실시예 6의 구성을 자유롭게 조합하는 것이 가능함을 주목한다.
실시예 7
실시예 3에서는 EL층으로 유기체 EL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은 또한 비유기체 EL 물질을 사용해 실시될 수 있다. 그러나, 기존 비유기체 EL 물질이 매우 높은 구동 전압을 가지므로, 구동 전압을 견딜 수 있는 전압 저항 특성을 갖는 TFT가 사용되어야 한다.
다른 방법으로, 더 낮은 구동 전압을 갖는 비유기체 EL 물질이 미래에 개발되면, 이를 본 발명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1 내지 6 중 임의의 것의 구성과 실시예 7의 구성을 자유롭게 조합하는 것이 가능함을 주목한다.
실시예 8
도 28a 및 도 28b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사용되는 EL 소자의 소자 구조예가 도시된다. 도 28a는 낮은 분자량의 EL 물질을 사용하는 경우이고, 기판상에 ITO 전극 (도 28a에서 ITO로 도시된)을 형성한 이후에, CuPc (copper phthalocyanine)가 버퍼의 양극층에 사용되고, a-NPD가 홀 운송층에 사용되고, 또한 Alq가 빛 방사층에 사용된다. 증발하는 동안의 압력은 2 x 10-6Torr 이하임을 주목한다.
도 28b에는 높은 분자량 (폴리머)의 EL 물질을 사용하는 경우의 소자 구조가 도시된다. 기판상에는 ITO 전극이 형성되고, 폴리머층이 스핀 코팅되고, 부가하여 증발에 의해 음극 (금속)이 형성된다. 증발하는 동안의 압력은 4 x 10-6Torr 이하이다. 빛 방사층은 실시예 8에서 모든 픽셀 사이에 공유되어, 흑백 패널이 제작된다. 부가하여, 증발에 의해 음극을 형성할 때는 금속 마스크가 사용되고, 금속은 요구되는 위치에만 피착된다. 또한, 제작된 소자는 나중에 수지를 사용하여 봉합된다.
더욱이, 실시예 1 내지 7 중 임의의 것의 구성과 실시예 8의 구성을 자유롭게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9
도 29에는 실시예 8에서 설명되는 EL 소자의 특성이 도시된다. 이는 고정된 전압이 EL 소자에 인가될 때 전류 밀도 및 밝기를 측정한 것이다. 그 결과는 저분자량 EL 소자 및 고분자량 EL 소자가 모두 10 mA/cm3에서 수백 칸델라 (candela)를 갖고, EL 소자로 사용되기에 충분히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난다.
실시예 10
자체 발광 디바이스 및 그 구동 방법을 적용하는 본 발명의 EL 디스플레이는 자체 발광하고 넓은 시야 각도를 갖기 때문에 액정 디스플레이와 비교해 밝은 위치에서도 뛰어난 가시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이는 다양한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부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자체 발광 디바이스 및 그 구동 방법은 큰 화면으로 TV 방송 등을 감상하기 위해 30 인치 이상 (전형적으로 40 인치 이상) 대각선 EL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부분에 사용될 수 있다.
개인용 컴퓨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TV 방송을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광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같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EL 디스플레이에 포함됨을 주목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자체 발광 디바이스 및 그 구동 방법은 또한 다양한 다른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부분에 사용될 수 있다.
다음은 이러한 종류의 본 발명의 전자 장비로 주어질 수 있다:비디오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 고글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머리에 설치하는 디스플레이); 항해 (navigation) 시스템; 오디오 재생 디바이스 (자동차 오디오 시스템 또는 오디오 콤보 시스템); 노트북형 개인용 컴퓨터; 게임 장치; 휴대용 정보 단말기 (이동 컴퓨터, 휴대용 전화기, 휴대용 게임기, 또는 전자 서적과 같은); 및 기록 매체를 갖춘 영상 재생 디바이스 (특별히,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와 같은 기록 매체를 재생하고 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가 주어지는 디바이스). 특별히, 넓은 시야 각도는 사선 각도로 보여지는 휴대용 정보 단말기에 중요하므로, EL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특정한 예는 도 30a 내지 도 30f 및 도 31a 내지 도 31c에 도시된다.
도 30a는 EL 디스플레이이고, 프레임(3301), 지지대(3302) 및 디스플레이 부분(3303)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자체 발광 디바이스 및 그 구동 방법은 디스플레이 부분(3303)에 사용될 수 있다. EL 디스플레이는 자체 발광형이므로, 백 라이트 (back light)가 필요하지 않아, 디스플레이 부분이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보다 덜 얇게 만들어질 수 있다.
도 30b는 비디오 카메라로, 메인 본체(3311), 디스플레이 부분(3312), 사운드 입력 부분(3313), 동작 스위치(3314), 배터리(3315) 및 수신 부분(3316)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자체 발광 디바이스 및 그 구동 방법은 디스플레이 부분(3312)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30c는 머리에 설치하는 EL 디스플레이의 일부 (우측)로, 메인 본체(3321), 신호 케이블(3322), 머리 고정 밴드(3323), 투사 부분(3324), 광학 시스템(3325) 및 디스플레이 부분(3326)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자체 발광 디바이스 및 그 구동 방ㅂ버은 디스플레이 부분(3326)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도 30d는 기록 매체를 갖춘 영상 재생 디바이스 (특별히, DVD 재생 디바이스)로, 메인 본체(3331), 기록 매체 (DVD와 같은)(3332), 동작 스위치(3333), 디스플레이 부분(a)(3334) 및 디스플레이 부분(b)(3335)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부분(a)(3334)은 주로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되고, 디스플레이 부분(b)은 주로 문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되고, 본 발명의 자체 발광 디바이스 및 그 구동 방법은 디스플레이 부분(a)(3334) 및 디스플레이 부분(b)(3335)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기록 매체를 갖춘 영상 재생 디바이스는 가정용 게임기와 같은 디바이스를 포함함을 주목한다.
도 30e는 고글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머리에 설치하는 디스플레이)로, 메인 본체(3341), 디스플레이 부분(3342) 및 암 (arm) 부분(3343)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자체 발광 디바이스 및 그 구동 방법은 디스플레이 부분(3342)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30f는 개인용 컴퓨터로, 메인 본체(3351), 프레임(3352), 디스플레이 부분(3353) 및 키보드(335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자체 발광 디바이스 및 그 구동 방법은 디스플레이 부분(3353)에서 사용될 수 있다.
EL 물질에 의해 방사되는 빛의 밝기가 미래에 증가되면, 출력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빛을 렌즈 등으로 확장 또는 투사하도록 전방형 또는 후방형 프로젝터 (projector)에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짐을 주목한다.
또한,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인터넷이나 CATV (cable television)와 같은 전자 통신선을 통해 전해지는 정보를 더 자주 디스플레이하고, 특히 이동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기회가 증가되고 있다. EL 물질의 응답 속도는 매우 높으므로, 이동 디스플레이에 EL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가하여, EL 디스플레이는 빛 방사 부분에 전력을 보존하므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더 많은 에너지를 보존하게 하기 위해서는 빛 방사 부분이 가능하면 적게 되도록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EL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휴대용 정보 단말기, 특히 오디오 재생 디바이스의 휴대용 전화기와 같이 주로 문자 정보를 위한 디스플레이 부분에 EL 디스플레이를 사용할 때, 빛을 방사하지 않는 부분이 배경으로 설정되면서 빛 방사 부분에 의해 문자 정보를 형성하도록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1a는 휴대용 전화기로, 메인 본체(3401), 사운드 출력 부분(3402), 사운드 입력 부분(3403), 디스플레이 부분(3404), 동작 스위치(3405) 및 안테나(3406)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자체 발광 디바이스 및 그 구동 방법은 디스플레이 부분(3404)에 사용될 수 있다. 흑색 배경에 백색 문자를 디스플레이함으로서, 디스플레이 부분(3404)이 휴대용 전화기의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음을 주목한다.
도 31b는 오디오 재생 디바이스, 특히 자동차 오디오 시스템으로, 메인 본체(3411), 디스플레이 부분(3412) 및 동작 스위치(3413, 341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자체 발광 디바이스 및 그 구동 방법은 디스플레이 부분(3412)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0에서는 자동차 오디오 시스템이 도시되지만, 휴대용 또는 가정용 오디오 재생 시스템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흑색 배경에 흰색 문자를 디스플레이함으로서, 디스플레이 부분(3414)이 전력 소모를 억제할 수 있음을 주목한다. 이는 특히 휴대용 오디오 재생 디바이스에서 효과적이다.
도 31c는 디지털 카메라로, 메인 본체(3501), 디스플레이 부분(A)(3502), 대안렌즈(3503), 동작 스위치(3504), 디스플레이 부분(B)(3505) 및 배터리(3506)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자체 발광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부분(A)(3502) 및 디스플레이 부분(B)(3505)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부분(B)(3505)은 주로 동작 패널로 사용되고, 흑색 배경에 흰색 문자를 디스플레이함으로서, 전력 소모가 억제될 수 있다.
더욱이, 외부 밝기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부분을 형성하는 것과 같은 기능을 부가하여, 어두운 장소에서 사용될 때 디스플레이 부분의 밝기를 감소시키는 방법은 실시예 10에 도시된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주어질 수 있다.
부가하여, 미래에 EL 물질에 의해 방사되는 빛의 밝기가 증가되면, 이들을 전방형 또는 후방형 프로젝터에서 사용하는 것도 또한 가능해진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적용가능한 범위는 매우 넓고, 본 발명을 모든 분야의 전자 디바이스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실시예 10의 전자 장비는 실시예 1 내지 8 중 임의의 조합을 사용하여 실현될 수 있다.
실시예 11
실시예 11에서는 본 발명의 자체 발광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디지털 구동 시간 분할 계조에 따라 패널 디스플레이를 실행할 때 전력 소모의 양을 측정한 결과가 도시된다. 여기서 측정시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은 실시예 1의 도표 4로 도시된 것과 똑같은 조건을 갖고, 한 프레임 주기에서 기록 주기 및 디스플레이 주기의 특정 시간 분포는 도표 5에 도시됨을 주목한다.
더욱이, EL 소자는 ITO (양극)상에 20 nm의 CuPc (홀 주입층), 20 nm의 MTDATA (홀 운송층), 10 nm의 a-NPD (홀 운송층), 50 nm의 Alq3(빛 방사층) 및 400 nm의 Yb (음극)을 적층하고, ITO (양극)상에 20 nm의 CuPc (홀 주입층), 40 nm의 a-NPD (홀 운송층), 20 nm의 Ir(ppy)3+ CBP (빛 발광층), 10 nm의 BCP (전자 운송층), 40 nm의 Alq3(전자 운송층) 및 400 nm의 Yb (음극)을 적층함으로서, 실시예 11에서 사용되는 자체 발광 디바이스에 포함된 EL 소자로 형성된다.
여기 에너지를 사용하는 EL (electroluminescence)에서, 빛을 방사하도록 홀과 전자의 재조합에 따라 전개될 때, 단일항 운동 에너지를 사용하는 빛 방사 물질 Alq3는 여기서 단일항 합성물 (singlet compound)이라 칭하여지고, 삼중항 여기 에너지를 사용하는 합성물 IR(ppy)3은 삼중항 합성물 (triplet compound)이라 칭하여진다.
도표 6에는 단일항 합성물 및 삼중항 합성물을 갖는 EL 소자의 구동 전압에 대해 휘도 및 전력 소모가 도시된다.
똑같은 휘도 (특별히 60 cd/m2)에서 비교될 때, 삼중항 합성물은 단일항 합성물의 반 이하인 전력 소모를 나타냄을 주목한다.
다음에는 실시예 11에 의해 도시된 삼중항 합성물을 갖는 EL 소자의 전압에 대해 응답 시간의 측정이 실행된다.
측정은 임의의 전력 공급에 의해 인가된 DC (direct current)로 실행되고, 이 DC 전류를 사용하여 ON과 OFF 사이의 스위칭이 실행된다. ON은 선택 주기를 나타내고, 이는 전압이 인가된 주기로 칭하여짐을 주목한다. 또한, OFF는 전압이 0 V인 비선택 주기를 나타낸다. 또한, 이들 주기는 모두 250 μs이다.
특별히, 현미경에 포토멀티플라이어 (photomultiplier)가 설정되고, 포토멀티플라이어로부터 출력되고 발진기에 의해 판독된 값에 의해 평가가 실행됨을 주목한다.
또한, OFF에서 ON으로의 스위치는 시동 (start-up)으로 정의되고, ON에서 OFF로의 스위치는 정지 (shutdown)로 정의된다. 전력 공급 전압이 OFF에서 ON으로 스위치되는 순간으로부터, 100% 휘도의 트래킹 (tracking) 광학 응답에 대해 90%까지 증가된 휘도를 나타내는데 요구되는 시간이 시동 응답 시간이다. 또한, 전력 공급 전압이 ON에서 OFF로 스위치되는 순간으로부터, 100% 휘도에 대해 10%까지 감소된 휘도를 나타내는데 요구되는 시간이 정지 응답 시간이다.
이들 측정에 의해 구해진 결과는 도 32에 도시된다.
도 32에 도시된 전압 범위에서 응답 시간이 매우 높으므로, EL 소자는 정상적인 디지털 구동기에서의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음을 주목한다.
부가하여, 이 EL 소자를 사용하여 64 계조 디스플레이가 실행되는 경우, 각 계조에 대해 휘도가 측정될 때, 도 33에 도시된 결과가 구해진다. 충분한 계조 디스플레이는 구해진 다른 빛 방사 강도로부터 실행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실시예 12
도 34 및 도 35에는 EL 소자의 EL층에서 EL층의 적층 구조를 형성하는 홀 주입층으로 저분자량의 합성물을 사용하는 경우와 고분자량의 합성물을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빛 방사 특성을 측정한 결과가 도시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EL층으로, EL층 A는 ITO상에 40 nm의 α-NPD (홀 운송층), 20 nm의 Ir(ppy)3+ CBP (빛 방사층), 10 nm의 BCP (전자 운송층), 40 nm의 Alq3(전자 운송층) 및 400 nm의 Yb (음극)을 적층함으로서 형성됨을 주목한다. 또한, EL층 A의 ITO와 40 nm의 α-NPD (홀 운송층) 사이에 형성된 20 nm의 CuPc (홀 주입층)은 EL층 B로 취해지고, 부가하여, EL층 A의 ITO와 40 nm의 α-NPD (홀 운송층) 사이에 형성된 20 nm의 PEDOT (홀 운송층)는 EL층 C로 취해짐을 주목한다.
각 EL층에 인가된 각 전압에 대해 측정된 전류 밀도를 비교한 결과는 도 34에 도시된다. 부가하여, 각 EL층에 인가된 각 전압에 대해 구해지는 발광성을 비교한 결과는 도 35에 도시된다. 그래서, 가장 높은 전류 밀도는 홀 주입층에서 고분자량의 합성물 PEDOT를 사용하는 EL층 C에서 구해지는 것으로 이해되고, 발광성에 대해 뛰어난 초기 특성이 또한 구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을 실시함으로서, 명확한 다중 계조 (gradation)의 칼라 디스플레이가 가능하고 TFT 특성에서 분산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활성 매트릭스형 (active matrix type)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구해질 수 있다. 특별히, 활성 매트릭스형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종래의 아날로그 계조 디스플레이 대신에 디지털 신호에 따른 시간 분할 계조 디스플레이를 실행함으로서, 전류 제어 TFT의 특성에서 분산으로 인한 계조의 결함이 제거될 수 있고, 양호한 칼라 재생을 갖는 고명석도의 영상이 구해질 수 있다.
또한, 기판상에 형성된 TFT 자체에 대한 각 회로나 소자에 의해 요구되는 기능과 통합된 최적의 구조를 갖는 TFT를 배열함으로서, 높은 확실성의 활성 매트릭스형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이루어진다.
이 종류의 활성 매트릭스형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디스플레이로 제시함으로서, 양호한 영상질과 높은 확실성을 갖는 고성능 전자 디바이스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8)

  1. 기판 위에 픽셀 (pixel) 부분을 갖는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픽셀 부분이,
    게이트 전극을 오버랩시키지 않는 LDD 영역을 갖지며, 그들 사이에 게이트 절연막이 삽입된, 스위칭 TFT; 및
    상기 게이트 절연막을 오버랩시키는 상기 LDD 영역을 갖고, 상기 게이트 전극이 그들 사이에 삽입된, 전류 제어 TFT를 구비하는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기판 위에 픽셀 부분, 소스 구동기 회로 및 게이트 구동기 회로를 갖는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픽셀 부분이,
    게이트 전극을 오버랩시키지 않는 LDD 영역을 갖고, 그들 사이에 게이트 절연막이 삽입된, 스위칭 TFT; 및
    상기 게이트 절연막을 오버랩시키는 상기 LDD 영역을 갖고, 상기 게이트 전극이 그들 사이에 삽입된, 전류 제어 TFT를 구비하는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기판 위에 픽셀 부분을 갖는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픽셀 부분이,
    게이트 전극을 오버랩시키지 않는 LDD 영역을 갖고, 그들 사이에 게이트 절연막이 삽입된, 스위칭 TFT; 및
    상기 게이트 전극을 오버랩시키는 상기 LDD 영역을 갖고, 상기 게이트 절연막이 그들 사이에 삽입된, 전류 제어 TFT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칭 TFT는 p-채널 TFT 및 n-채널 TFT 중 임의의 하나를 구비하고,
    상기 전류 제어 TFT는 p-채널 TFT를 구비하고,
    상기 전류 제어 TFT의 드레인 영역은 EL 소자의 양극 (anode)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기판 위에 픽셀 부분, 소스 구동기 회로 및 게이트 구동기 회로를 갖는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픽셀 부분이
    게이트 전극을 오버랩시키지 않는 LDD 영역을 갖고, 그들 사이에 게이트 절연막이 삽입된, 스위칭 TFT; 및
    상기 게이트 전극을 오버랩시키는 상기 LDD 영역을 갖고, 그들 사이에 상기 게이트 절연막이 삽입된, 전류 제어 TFT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칭 TFT는 p-채널 TFT 및 n-채널 TFT 중 임의의 하나를 구비하고,
    상기 전류 제어 TFT는 상기 p-채널 TFT를 구비하고,
    상기 전류 제어 TFT의 드레인 영역은 EL 소자의 양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기판 위에 픽셀 부분을 갖는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픽셀 부분이,
    게이트 전극을 오버랩시키지 않는 LDD 영역을 갖고, 그들 사이에 게이트 절연막이 삽입된, 스위칭 TFT; 및
    상기 게이트 전극을 오버랩시키는 상기 LDD 영역을 갖고, 그들 사이에 상기 게이트 절연막이 삽입된, 전류 제어 TFT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칭 TFT는 p-채널 TFT 및 n-채널 TFT 중 임의의 하나를 구비하고,
    상기 전류 제어 TFT는 상기 p-채널 TFT를 구비하고,
    상기 전류 제어 TFT의 드레인 영역은 EL 소자의 음극 (cathode)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기판 위에 픽셀 부분, 소스 구동기 회로 및 게이트 구동기 회로를 갖는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픽셀 부분이,
    게이트 전극을 오버랩시키지 않는 LDD 영역을 갖고, 그들 사이에 게이트 절연막이 삽입된, 스위칭 TFT; 및
    상기 게이트 전극을 오버랩시키는 상기 LDD 영역을 갖고, 그들 사이에 상기 게이트 절연막이 삽입된, 전류 제어 TFT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칭 TFT는 p-채널 TFT 및 n-채널 TFT 중 임의의 하나를 구비하고,
    상기 전류 제어 TFT는 상기 p-채널 TFT를 구비하고,
    상기 전류 제어 TFT의 드레인 영역은 EL 소자의 음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비디오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 고글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항해 시스템, 오디오 재생 디바이스, 노트북형 개인용 컴퓨터, 게임 장치, 휴대용 정보 단말기 및 영상 재생 디바이스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전자 장치에 포함되는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시간 분할 계조 (time-divisional gradation) 방법에 의해 동작되는 EL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000071504A 1999-11-29 2000-11-29 El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 기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6937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338845 1999-11-29
JP33884599 1999-11-29
JP2000302979A JP4727029B2 (ja) 1999-11-29 2000-10-02 El表示装置、電気器具及びel表示装置用の半導体素子基板
JP2000-302979 2000-10-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2008A true KR20010052008A (ko) 2001-06-25
KR100693767B1 KR100693767B1 (ko) 2007-03-12

Family

ID=26576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1504A Expired - Fee Related KR100693767B1 (ko) 1999-11-29 2000-11-29 El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6680577B1 (ko)
EP (2) EP2256718A2 (ko)
JP (1) JP4727029B2 (ko)
KR (1) KR100693767B1 (ko)
CN (1) CN1252665C (ko)
TW (1) TW48317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6661B2 (ja) * 1996-06-25 2001-01-22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液晶表示装置
JP4727029B2 (ja) * 1999-11-29 2011-07-20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El表示装置、電気器具及びel表示装置用の半導体素子基板
JP4906145B2 (ja) * 1999-11-29 2012-03-2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El表示装置
JP4683766B2 (ja) * 2000-05-22 2011-05-1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発光装置
TW536836B (en) * 2000-05-22 2003-06-11 Semiconductor Energy Lab Light emitting device and electrical appliance
JP3892650B2 (ja) * 2000-07-25 2007-03-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
JP4766628B2 (ja) * 2000-07-31 2011-09-07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3628997B2 (ja) * 2000-11-27 2005-03-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の製造方法
SG111923A1 (en) 2000-12-21 2005-06-29 Semiconductor Energy Lab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W586141B (en) * 2001-01-19 2004-05-01 Semiconductor Energy Lab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115453B2 (en) * 2001-01-29 2006-10-0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JP2002231627A (ja) * 2001-01-30 2002-08-16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光電変換装置の作製方法
US7141822B2 (en) * 2001-02-09 2006-11-2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4993810B2 (ja) * 2001-02-16 2012-08-0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US7569849B2 (en) * 2001-02-16 2009-08-04 Ignis Innovation Inc. Pixel driver circuit and pixel circuit having the pixel driver circuit
US6720198B2 (en) * 2001-02-19 2004-04-1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718700B2 (ja) 2001-03-16 2011-07-0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US7052943B2 (en) * 2001-03-16 2006-05-3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US7301279B2 (en) * 2001-03-19 2007-11-2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6812081B2 (en) * 2001-03-26 2004-11-0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Lt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KR100437765B1 (ko) * 2001-06-15 2004-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온용 기판을 이용한 박막트랜지스터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TW548860B (en) * 2001-06-20 2003-08-21 Semiconductor Energy Lab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211828B2 (en) * 2001-06-20 2007-05-0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03022057A (ja) * 2001-07-09 2003-01-24 Alps Electric Co Ltd 画像信号駆動回路および画像信号駆動回路を備えた表示装置
US7088052B2 (en) * 2001-09-07 2006-08-0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7317205B2 (en) * 2001-09-10 2008-01-0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JP3810725B2 (ja) 2001-09-21 2006-08-1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3173163A (ja) * 2001-09-27 2003-06-20 Sharp Corp 表示装置
US6777885B2 (en) * 2001-10-12 2004-08-1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rive circuit, display device using the drive circuit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display device
CN101009322B (zh) * 2001-11-09 2012-06-27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发光器件
JP4149168B2 (ja) 2001-11-09 2008-09-10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装置
US8153184B2 (en) 2001-11-26 2012-04-10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Organic E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656490B1 (ko) 2001-11-26 2006-12-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풀칼라 유기전계 발광표시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US6734457B2 (en) 2001-11-27 2004-05-1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TWI264121B (en) * 2001-11-30 2006-10-11 Semiconductor Energy Lab A display devic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CN1209662C (zh) * 2001-12-17 2005-07-06 精工爱普生株式会社 显示装置及电子机器
JP4265210B2 (ja) * 2001-12-17 2009-05-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有機el装置及び電子機器
US7038377B2 (en) * 2002-01-16 2006-05-02 Seiko Epson Corporation Display device with a narrow frame
CN101673508B (zh) 2002-01-18 2013-01-09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发光器件
JP3723507B2 (ja) * 2002-01-29 2005-12-07 三洋電機株式会社 駆動回路
JP4027103B2 (ja) * 2002-01-31 2007-12-26 三洋電機株式会社 デジタル駆動型表示装置
JP2003308030A (ja) * 2002-02-18 2003-10-31 Sanyo Electric Co Ltd 表示装置
TWI286044B (en) * 2002-02-22 2007-08-21 Semiconductor Energy Lab Light-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of operating manufacturing apparatus
JP3989761B2 (ja) 2002-04-09 2007-10-10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表示装置
US7038239B2 (en) 2002-04-09 2006-05-0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element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3989763B2 (ja) 2002-04-15 2007-10-10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表示装置
TWI270919B (en) 2002-04-15 2007-01-11 Semiconductor Energy Lab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7256421B2 (en) 2002-05-17 2007-08-1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a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deterioration of a light emitting device
JP4530083B2 (ja) * 2002-06-07 2010-08-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4128045B2 (ja) * 2002-07-26 2008-07-30 三洋電機株式会社 有機elパネル
GB0218172D0 (en) * 2002-08-06 2002-09-1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CN1703937B (zh) 2002-10-09 2010-11-24 出光兴产株式会社 有机电致发光的器件
US7374976B2 (en) * 2002-11-22 2008-05-2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for fabricating thin film transistor
JP4566528B2 (ja) * 2002-12-05 2010-10-20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CN100370491C (zh) * 2002-12-10 2008-02-20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发光装置及其制作方法
CA2419704A1 (en) * 2003-02-24 2004-08-24 Ignis Innovation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pixel with organic light-emitting diode
US7235920B2 (en) * 2003-02-24 2007-06-26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its manufacture
JP2004264634A (ja) * 2003-03-03 2004-09-24 Sanyo Electric Co Ltd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US7057208B2 (en) * 2003-03-25 2006-06-0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484451B2 (ja) * 2003-05-16 2010-06-16 奇美電子股▲ふん▼有限公司 画像表示装置
JP2005004183A (ja) * 2003-05-20 2005-01-06 Advanced Lcd Technologies Development Center Co Ltd 発光型表示装置
US7291967B2 (en) * 2003-08-29 2007-11-0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 emitting element including a barrier layer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7492090B2 (en) 2003-09-19 2009-02-1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A2443206A1 (en) 2003-09-23 2005-03-23 Ignis Innovation Inc. Amoled display backplanes - pixel driver circuits, array architecture, and external compensation
US7205716B2 (en) * 2003-10-20 2007-04-1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device
US7902747B2 (en) * 2003-10-21 2011-03-0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device having a thin insulating film made of nitrogen and silicon and an electrode made of conductive transparent oxide and silicon dioxide
JP4841831B2 (ja) * 2003-12-02 2011-12-21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7825021B2 (en) * 2004-01-16 2010-11-0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US7245297B2 (en) * 2004-05-22 2007-07-1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100573149B1 (ko) * 2004-05-29 2006-04-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A2472671A1 (en) 2004-06-29 2005-12-29 Ignis Innovation Inc. Voltage-programming scheme for current-driven amoled displays
JP2006091860A (ja) * 2004-08-23 2006-04-06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並びに電子機器
US8194006B2 (en) 2004-08-23 2012-06-0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driving method of the sam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monitoring elements
US8148895B2 (en) * 2004-10-01 2012-04-0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CA2490858A1 (en) 2004-12-07 2006-06-07 Ignis Innovation Inc. Driving method for compensated voltage-programming of amoled displays
KR101107252B1 (ko) * 2004-12-31 2012-01-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 패널의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및 그 제조 방법
CA2495726A1 (en) 2005-01-28 2006-07-28 Ignis Innovation Inc. Locally referenced voltage programmed pixel for amoled displays
US7948171B2 (en) * 2005-02-18 2011-05-2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KR100639007B1 (ko) * 2005-05-26 2006-10-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표시장치 및 발광 표시장치 구동방법
JP2007184467A (ja) * 2006-01-10 2007-07-19 Fujifilm Corp 固体撮像素子
EP1843194A1 (en) 2006-04-06 2007-10-1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semiconductor device, and electronic appliance
KR20090006198A (ko) 2006-04-19 2009-01-14 이그니스 이노베이션 인크. 능동형 디스플레이를 위한 안정적 구동 방식
US7863612B2 (en) 2006-07-21 2011-01-0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semiconductor device
CN110908203A (zh) * 2009-10-16 2020-03-24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显示设备
US8633873B2 (en) 2009-11-12 2014-01-21 Ignis Innovation Inc. Stable fast programming scheme for displays
US9606607B2 (en) 2011-05-17 2017-03-28 Ignis Innovatio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 systems with dynamic power control
US9134825B2 (en) 2011-05-17 2015-09-15 Ignis Innovatio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 systems with dynamic power control
TWI570799B (zh) 2011-07-25 2017-02-11 Nissan Chemical Ind Ltd A hydrogenation treatment method and a hydrogenation treatment apparatus
US8901579B2 (en) 2011-08-03 2014-12-02 Ignis Innovation Inc.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9070775B2 (en) 2011-08-03 2015-06-30 Ignis Innovations Inc. Thin film transistor
US9385169B2 (en) 2011-11-29 2016-07-05 Ignis Innovation Inc. Multi-functional active 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US10089924B2 (en) 2011-11-29 2018-10-02 Ignis Innovation Inc. Structural and low-frequency non-uniformity compensation
WO2014129519A1 (en) 2013-02-20 2014-08-2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Peeling method, semiconductor device, and peeling apparatus
US9721505B2 (en) 2013-03-08 2017-08-01 Ignis Innovation Inc. Pixel circuits for AMOLED displays
US9952698B2 (en) 2013-03-15 2018-04-24 Ignis Innovation Inc. Dynamic adjustment of touch resolutions on an AMOLED display
CN105793957B (zh) 2013-12-12 2019-05-03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剥离方法及剥离装置
US9502653B2 (en) 2013-12-25 2016-11-22 Ignis Innovation Inc. Electrode contacts
US10997901B2 (en) 2014-02-28 2021-05-04 Ignis Innovation Inc. Display system
US10176752B2 (en) 2014-03-24 2019-01-08 Ignis Innovation Inc. Integrated gate driver
CA2872563A1 (en) 2014-11-28 2016-05-28 Ignis Innovation Inc. High pixel density array architecture
CN104952884B (zh) * 2015-05-13 2019-11-26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Amoled背板结构及其制作方法
US10373554B2 (en) 2015-07-24 2019-08-06 Ignis Innovation Inc. Pixels and reference circuits and timing techniques
US10657895B2 (en) 2015-07-24 2020-05-19 Ignis Innovation Inc. Pixels and reference circuits and timing techniques
CA2898282A1 (en) 2015-07-24 2017-01-24 Ignis Innovation Inc. Hybrid calibration of current sources for current biased voltage progra mmed (cbvp) displays
CA2909813A1 (en) 2015-10-26 2017-04-26 Ignis Innovation Inc High ppi pattern orientation
CN108028214B (zh) * 2015-12-30 2022-04-08 玛特森技术公司 用于毫秒退火系统的气体流动控制
US10586491B2 (en) 2016-12-06 2020-03-10 Ignis Innovation Inc. Pixel circuits for mitigation of hysteresis
US10714018B2 (en) 2017-05-17 2020-07-14 Ignis Innovation Inc. System and method for loading image correction data for displays
US11025899B2 (en) 2017-08-11 2021-06-01 Ignis Innovation Inc. Optical correction systems and methods for correcting non-uniformity of emissive display devices
US10971078B2 (en) 2018-02-12 2021-04-06 Ignis Innovation Inc. Pixel measurement through data line

Family Cites Families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56429A (en) 1980-07-17 1982-10-26 Eastman Kodak Company Organic electroluminescent cell
US4539507A (en) 1983-03-25 1985-09-03 Eastman Kodak Company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having improved power conversion efficiencies
JPS6290260A (ja) 1985-10-16 1987-04-24 Tdk Corp サ−マルヘツド用耐摩耗性保護膜
US4720432A (en) 1987-02-11 1988-01-19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luminescent device with organic luminescent medium
US4885211A (en) 1987-02-11 1989-12-05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luminescent device with improved cathode
US4769292A (en) 1987-03-02 1988-09-06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luminescent device with modified thin film luminescent zone
JP2524827B2 (ja) 1988-11-29 1996-08-14 財団法人生産開発科学研究所 積層薄膜体及びその製造法
US4950950A (en) 1989-05-18 1990-08-21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luminescent device with silazane-containing luminescent zone
US5059861A (en) 1990-07-26 1991-10-22 Eastman Kodak Company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with stabilizing cathode capping layer
US5073446A (en) 1990-07-26 1991-12-17 Eastman Kodak Company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with stabilizing fused metal particle cathode
US5059862A (en) 1990-07-26 1991-10-22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luminescent device with improved cathode
US5047687A (en) 1990-07-26 1991-09-10 Eastman Kodak Company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with stabilized cathode
US5061617A (en) 1990-12-07 1991-10-29 Eastman Kodak Company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high chloride tabular grain emulsions
JPH04279033A (ja) * 1991-03-07 1992-10-05 Sharp Corp 薄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US5151629A (en) 1991-08-01 1992-09-29 Eastman Kodak Company Blue emitting internal junc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I)
US5294869A (en) 1991-12-30 1994-03-15 Eastman Kodak Company Organic electroluminescent multicolor image display device
US5294870A (en) 1991-12-30 1994-03-15 Eastman Kodak Company Organic electroluminescent multicolor image display device
JP3128939B2 (ja) * 1992-03-27 2001-01-29 ソニー株式会社 薄膜トランジスタ
JP3173135B2 (ja) * 1992-06-24 2001-06-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薄膜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WO1994000882A1 (fr) * 1992-06-24 1994-01-06 Seiko Epson Corporation Transistor a couches minces, dispositif a semi-conducteurs, dispositif d'affichag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ransistor a couches minces
JP3338481B2 (ja) * 1992-09-08 2002-10-28 ソニ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WO1994018706A1 (fr) * 1993-02-10 1994-08-18 Seiko Epson Corporation Transistor a substrat de matrice actif et a couche mince, et son procede de production
JP2949404B2 (ja) * 1993-05-20 1999-09-13 エルジイ・セミコン・カンパニイ・リミテッド 薄膜トランジス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6773971B1 (en) * 1994-07-14 2004-08-1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having lightly-doped drain (LDD) regions
JP2639355B2 (ja) 1994-09-01 1997-08-13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254335B2 (ja) 1994-09-08 2002-02-04 出光興産株式会社 有機el素子の封止方法および有機el素子
EP0717445B1 (en) 1994-12-14 2009-06-24 Eastman Kodak Company An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layer
JP3292657B2 (ja) * 1995-04-10 2002-06-17 キヤノン株式会社 薄膜トランジスタ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の製造法
JPH0945930A (ja) * 1995-07-28 1997-02-14 Sony Corp 薄膜トランジス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3834086B2 (ja) * 1995-11-06 2006-10-18 シャープ株式会社 マトリックス型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H09148066A (ja) 1995-11-24 1997-06-06 Pioneer Electron Corp 有機el素子
US5814834A (en) * 1995-12-04 1998-09-2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Thin film semiconductor device
KR100219117B1 (ko) * 1996-08-24 1999-09-01 구자홍 박막트랜지스터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WO1998013811A1 (fr) * 1996-09-26 1998-04-02 Seiko Epson Corporation Dispositif d'affichage
JP3457819B2 (ja) * 1996-11-28 2003-10-2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0226548B1 (ko) 1996-12-24 1999-10-15 김영환 웨이퍼 습식 처리 장치
JPH10200125A (ja) * 1997-01-10 1998-07-31 Sony Corp 薄膜トランジス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200121A (ja) * 1997-01-10 1998-07-31 Toshiba Corp 薄膜トランジスタ基板の製造方法
TW386238B (en) * 1997-01-20 2000-04-01 Semiconductor Energy Lab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3777706B2 (ja) * 1997-02-21 2006-05-24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JP4401448B2 (ja) * 1997-02-24 2010-01-20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JP3032801B2 (ja) 1997-03-03 2000-04-17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DE29706768U1 (de) * 1997-04-15 1997-11-13 EMTEC Magnetics GmbH, 67059 Ludwigshafen Vorrichtung zur Bearbeitung von Magnetbändern
JP3541625B2 (ja) * 1997-07-02 2004-07-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
JPH11224604A (ja) * 1998-02-04 1999-08-17 Ise Electronics Corp 蛍光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231805A (ja) * 1998-02-10 1999-08-27 Sanyo Electric Co Ltd 表示装置
JP3282582B2 (ja) * 1998-04-21 2002-05-13 日本電気株式会社 トップゲート型薄膜トランジス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6274887B1 (en) * 1998-11-02 2001-08-1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6420758B1 (en) * 1998-11-17 2002-07-1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n impurity region overlapping a gate electrode
US6489952B1 (en) * 1998-11-17 2002-12-0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Active matrix type semiconductor display device
US6365917B1 (en) * 1998-11-25 2002-04-0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US6259138B1 (en) * 1998-12-18 2001-07-1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multilayered gate electrode and impurity regions overlapping therewith
US6512504B1 (en) * 1999-04-27 2003-01-28 Semiconductor Energy Laborayory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TW540251B (en) * 1999-09-24 2003-07-01 Semiconductor Energy Lab E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6384427B1 (en) * 1999-10-29 2002-05-0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lectronic device
JP4727029B2 (ja) * 1999-11-29 2011-07-20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El表示装置、電気器具及びel表示装置用の半導体素子基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061186B2 (en) 2006-06-13
US6680577B1 (en) 2004-01-20
JP2001222240A (ja) 2001-08-17
KR100693767B1 (ko) 2007-03-12
EP1103947A2 (en) 2001-05-30
US20040164684A1 (en) 2004-08-26
TW483178B (en) 2002-04-11
CN1298168A (zh) 2001-06-06
JP4727029B2 (ja) 2011-07-20
EP2256718A2 (en) 2010-12-01
EP1103947A3 (en) 2007-10-31
CN1252665C (zh) 2006-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3767B1 (ko) El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0797811B1 (ko) 자기 발광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전자 장치
KR100678875B1 (ko) 이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 장치
JP5210473B2 (ja) 表示装置
EP1094436B1 (en) Gradation control of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US6791129B2 (en) Light emitting device
KR100808561B1 (ko) 액티브 매트릭스형 발광장치 및 그 발광장치를 사용한 전기 기기
US7393792B2 (en) Light-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4906145B2 (ja) El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11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11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011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3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3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