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66875A - 이온삼투요법에 의한 활성물질의 안내 전달장치 - Google Patents

이온삼투요법에 의한 활성물질의 안내 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6875A
KR19990066875A KR1019980059369A KR19980059369A KR19990066875A KR 19990066875 A KR19990066875 A KR 19990066875A KR 1019980059369 A KR1019980059369 A KR 1019980059369A KR 19980059369 A KR19980059369 A KR 19980059369A KR 19990066875 A KR19990066875 A KR 19990066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oir
electrode
annular
active substance
acti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9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1706B1 (ko
Inventor
쟝-마리 빠렐
프랑쌩 베아
Original Assignee
옵띠쌩베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옵띠쌩베스 filed Critical 옵띠쌩베스
Publication of KR19990066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6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1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170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72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28Specially adapted for iontophoresis, e.g. AC, DC or including drug reservoirs
    • A61N1/0432Anode and cathode
    • A61N1/044Shape of the electro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 in contact-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61F9/0017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implantable in, or in contact with, the eye, e.g. ocular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28Specially adapted for iontophoresis, e.g. AC, DC or including drug reservoirs
    • A61N1/0448Drug reservo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온삼투요법에 의해 안구 내부로 적어도 한가지의 활성물질, 특히 약제를 전달하며, 환자의 눈에 적용될 수 있는 활성물질의 저장고(15)를 구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저장고(15)는, 각막(C)의 주변에 놓인 안 조직과 마주보게 배치된 적어도 한 개의 활성 표면전극(11)과, 복귀전극(12) 및 전류 발생기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복귀전극(12)은 환자의 부분적으로 폐쇄된 눈꺼풀(22, 24)과 접촉된다.

Description

이온삼투요법에 의한 활성물질의 안내 전달장치
본 발명은 이온삼투요법(iontophoresis)에 의한 활성물질의 안내(眼內: intraocular) 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온삼투요법은, 베라티(Verrati)에 의해 1747년에 제안되고, 작은 전압차를 포함하는 전기장을 사용하여 조직을 통해 생체 내부로, 특히 약제를 투여하는 과정으로 구성된 기술이다. 약제와 접촉하고 있는 활성전극은 치료하려는 부위에 배치되는 한편, 폐회로를 구성하기 위한 제 2 전극은 생체의 다른 부위에 놓인다.
전기장은 활성물질의 이동을 촉진하는데, 이러한 활성물질은 이온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기술은 보통 피부병을 치료하는데 사용되며, 이를 위해 다양한 장치가 시판되고 있다.
눈의 치료에 적용되는 이온삼투요법은, 다양한 장치를 사용하여 다수의 동물실험과 일부의 임상실험이 행해져 왔다.
종래의 장치는, 약제를 함유하는 용액으로 함침되고 각막과 공막(sclera)의 표면과 접촉하는 패드를 사용한다. 다른 장치들은 컵이나 피펫을 사용한다. 컵을 사용하는 장치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미국특허 US 4 564 106호(David M. Maurice)에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특허에서는, 약제가 공막을 통해 준점(quasi-point) 형태로 투여된다.
대체로, 본 발명자들은 이것들의 결과에 있어서 형편없는 재현성을 발견하였는데, 이것은 실험이 행해진 동물들 간의 차이의 존재나 이유가 밝혀지지 않은 생물학적 현상에 기인한다. 더구나, 일부 조작 기술은, 매우 높은 전류밀도를 지닌 매우 작은 영역을 갖는 활성전극을 사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데, 이와 같이 높은 전류밀도는 조직에 일어날 수 있는 손상의 위험을 증가시키며, 이와 같은 손상은 화상으로까지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특히, 최소한 50mA/㎠인 전류밀도와 심지어는 2000mA/㎠의 전류밀도의 사용을 주장하는 전술한 미국특허 4 564 016호에 기재된 장치를 사용할 때 발생한다.
국부적인 조직 손상을 일으키는 높은 pH를 갖는 알칼리 용액을 사용한 일부의 실험이 행해진 바 있다. 예를 들어, Journal of Ocular Pharmacology 10(3) p. 571-575 (1994)에 발행된 T. T. Lam에 의한 논문 "Intravitreal Delivery of Ganciclovir in Rabbits by Transscleral Iontophoresis"에는, 실험실을 제외하고는 문제가 되지 않은 10.8의 pH를 갖는 용액의 점 투여(point administration)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문헌 Experimental Eye Research, 1997-65, p. 533-545 (Oct, 1997)에 발표된 F. Behar-Cohen et al의 논문 "Iontophoresis of Dexamethasone in the Treatment of Endotoxin-Induced-Uveitis in Rats"에는, 포도막염, 즉 포도막에 영향을 미치는 상태를 치료하기 위해 쥐에 대해 수행한 각막공막을 통한(transcorneoscleral) 이온삼투요법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에 따르면, 약제가 기본적으로 각막을 통해 확산된 후, 안 매질(eye media) 내부로 확산된다.
실제적으로는, 일반적으로 얻어진 실험결과의 재현성 부족과, 무엇보다도 이온삼투요법 장치가 적용되는 조직의 화상과 괴사로 인해, 눈을 통한 이온삼투요법은 실험실적 단계로 남아 있으며, 환자를 처리하는 방법으로 아직 허용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이온삼투요법에 의해 안구 내부로 적어도 한가지의 활성물질을 전달하여, 재현가능하게 외래성 치료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F. Behar-Cohen et al.의 문헌에 기재된 장치의 일례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 평면도 및 사시도이며,
도 3a, 도 3b 및 도 3c는, 3가지 활성물질, 예를 들면 3가지 약제를 투여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단면도, 평면도 및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a 내지 도 3c에 따른 장치의 변형예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3가지 활성물질, 예를 들면 3가지 약제를 겔 형태로 투여하도록 구성된 반월판의 형태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나타낸 것이고,
도 6a 내지 도 6c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반월판 형태를 갖는 장치의 사시도, 단면도 및 부분 단면도이며,
도 7은 복수의 황성물질, 예를 들면 약제를 투여하도록 구성된 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8a 및 도 8b는, 종축에는 건조 조직의 농도를 ㎍/g의 단위로 안 매질의 농도를 ㎍/ml의 단위로 표시하고, 횡축에는 시간을 시간단위로 나타낸, 토끼에 대해 수행한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며,
도 9는 치료하려는 눈에 장착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
본 발명은, 이온삼투요법에 의해 인체의 안구 내부로 적어도 한가지의 활성물질을 전달하며, 환자의 눈에 적용될 수 있는 활성물질, 예를 들면 약제의 저장고와, 상기 저장고 내부에 배치된 적어도 한 개의 활성전극과, 수동전극 및 전류 발생기를 구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활성전극은 각막의 주변에 놓인 안 조직(eye tissue)과 마주보게 배치된 표면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전극과 마주보는 안구의 영역은, 각막윤구(corneoscleral limbus), 결막(conjunctiva) 및/또는 공막 및/또는 모양체(ciliary body) 및/또는 홍채근 및/또는 평면부위(pars plana) 및/또는 전방 초자체액(anterior vitreous humour) 및/또는 비기능성 분리불가능 망막이다.
전달과정인 광범위한 적용영역에 걸쳐 각막의 주변에 놓인 1개 또는 그 이상의 안 조직을 통해 발생한다면, 재현성, 전달의 균일성 및 효능이 증가된다. 이들 조직은 약제(또는 활성물질)로 함침되어, 눈 매질 내부의 농도가 낮은 태에 있더라도, 이 위치에서는 농축될 수 있다. 이러한 농도는 조직내 약제의 농도를 반영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한 약제는 안액(eye liquid)[방수(aqueous humour) AH 및 초자체액(vitreous humour) V)의 보충에 의해 신속하게 제가되지 않는다.
더구나, 활성물질이 각막과 접촉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것은 각막을 통한 이온삼투요법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으며, 내피성 병소(endothelial lesion), 즉 시야를 흐릿하게 하는 내피성 병소 또는 일시적인 상피성 병소 또는 활성물질의 일시적인 퇴적과 관련된 약간의 문제점이 개입된 이후의 상태에 대한 위험을 제거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치료는 진실로 외래성 치료에 해당한다.
마지막으로, 이와 같은 처리과정은 각막에 대한 링 형태의 주변부 상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장치의 원통형 중심영역은 완전히 자유로운 상태로 남아 있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이온삼투요법을 수행하는 동안 장치의 중심 위치를 육안으로 검사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모든 안 조직을 치료할 수 있다: 결막, 각막, 공막, 홍채, 수정체, 모양체, 맥락막(choroidea), 망막 및 시신경.
전류에 대해 선택된 파라미터(전류의 강도, 치료의 지속기간)에 따라, 특정한 조직을 더욱 더 특별하게 치료할 수 있다.
어른(통상적인 각막의 직경: 12mm)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전해증착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환형 전극 또는 환형 부채꼴의 형태를 갖는 전극은, 12.5mm 내지 14mm의 내경과, 17mm 내지 22mm의 외경을 가질 수 있는데, 이것은 약 75㎟ 내지 250㎟의 면적에 해당하며, 바람직하게는 17mm 내지 20mm의 외경을 갖는다. 이때, 최대 직경은 기능성 망막과 접촉하지 않도록 선택된다. 어른의 크기에 못 미치는 눈을 가진 어린아이에 대해서는, 상기한 치수를 이에 비례하여 변경할 필요가 있다. 즉, 일반적으로 말하면, 환경 전극 또는 복수의 전극의 내경 di는 각막의 직경 D보다 크고 1/2 D보다 작거나 같으며, 환형 전극 또는 복수의 전극의 외경은 1.4 D보다 크거나 같고 1.8 D보다 작거나 같고, 바람직하게는 1.7 D보다 작거나 같다.
상기한 전류 발생기로는, 10mA/㎠보다 작은 정격 밀도를 갖고, 30초 내지 10분의 시간동안, 특히 1분 내지 10분의 시간동안 정전류를 인가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회로를 구비한 정전류 발생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정전류의 밀도는 0.1mA/㎠ 내지 5mA/㎠, 예를 들면 0.2mA/㎠ 내지 5mA/㎠, 또는 이와 달리 0.8mA/㎠ 내지 5mA/㎠의 범위에서 조정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전류는, 예를 들면 초기 시간동안 점진적으로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것은 환자의 반사 근육작용을 방지한다.
상기한 전류는, 1.5V 내지 9V, 바람직하게는 2V 내지 8V의 범위를 갖는 전압에서 전달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때, 활성물질의 농도는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이 농도는 물에 대한 활성물질의 포화농도보다 작거나 동일하다. 이 농도는, 그 이상의 농도를 넘으면 안 조직의 일부에 누적된 것이 다른 조직으로 방출되어 버리는 임계농도보다 크거나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저장고 내부에 놓인 활성물질은, 6 내지 8의 pH, 바람직하게는 7 내지 7.6의 pH를 갖는다. 이때, 활성물질은 각막과 접촉되지 않으므로, 결막과 공막이 약한 산성 또는 염기성의 pH 값에 대해 감도면에서나 병소면에서 영향을 덜 박기 때문에, 선택된 pH는 위에 표시된 것보다 상당히 더 클 수 있다. 각막은 투명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 생리적 조건에 대한 변형은 그것의 조직 특성과 이에 따라 그것의 투명성을 손상시킬 위험이 있다. 결막은 점막이 해당하며, 공막은 결막 조직에 해당한다. 이것들은, 그것의 기능이 치료 적용범위에 있어서 망막에 대한 광자의 전달에 직접 연루되지 않은 2가지의 매우 큰 저항성을 갖는 조직이다. 이것들은 결합조직에 해당한다.
상기한 장치는, 저장고를 통해 활성물질의 용액, 예를 들면 약제 용액을 순환시키는 펌핑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은, 한편으로는 이온삼투요법 과정 중에 형성될 수 있는 기포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전체 처리과정에 걸쳐 용액의 조성과 pH를 거의 일정하게 유지하여, 그것의 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장치는, 저장고의 바닥을 한정하는 환형 전극을 갖는 환형 저장고를 구비한다.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환형 부채꼴의 형태를 갖는 복수의 칸막이와, 환형 부채꼴의 바닥을 한정하는 환형 부채꼴의 형태를 지닌 복수의 전극을 갖는 환형 저장고를 구비한다.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장치는, 그것의 내면에 표면 전극을 구비하고, 그 내부에는 적어도 한가지의 활성물질을 함유한 겔이 배치되거나, 그 자체가 스폰지 구조를 갖고 활성물질(예를 들면, 가교 매트릭스)을 함유하는 각막렌즈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의 외면에, 환자의 부분적으로 폐쇄된 눈꺼풀과 접촉하여, 처리과정에 걸쳐 장치를 제 위치에 유지하는 수동전극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 또한, 그것이 수용성 환경에 있기 때문에, 전기 접촉을 향상시킨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부 및 이점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주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F. Behar-Cohen et al.이 서술한 전술한 문헌에서 사용된 이온삼투요법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 장치는, 원통형 벽(2)과 바닥(3)에 의해 한정되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저장고(8)를 구비하고, 바닥 근처에는 원형 백금 전극(4)이 배치된다. 상기한 저장고(8)는 6mm의 직경을 갖고, 쥐의 각막, 각막윤부와 공막의 수 밀리미터를 덮는다. 공급관(5)은, pH 7을 갖는 살균 식염수의 ml 당 1mg의 덱사메타손의 비율로 계량된 용액으로 저장고(8)를 채울 수 있도록 하며, 배출관(6)은 이온삼투요법 과정 동안 생성된 기포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용액의 연속적인 순환에 의해 각막과 접촉하는 용액의 pH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복귀전극(7)이 쥐의 발 중 한 개와 접촉하여 배치된다.
또한, 상기한 장치는 전원 VS와 전류 조절기 I를 구비한다. 임피던스 측정장치 IMM은 전기적 불연속을 검출하여 경보기 A를 가동할 수 있도록 한다. 전달되는 전하량은 치료과정의 종료시에 발생기 상에 표시되어, 투여된 치료의 재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4분간 400㎂의 전류, 즉 1.2mA/㎠의 밀도와 0.12 쿨롬, 즉 0.4C/㎠의 총 전하량을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것의 일 실시예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활성물질, 예를 들면 약제를 기본적으로 적어도 한 개의 안 조직을 통해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활성전극은, 환자의 눈 표면으로부터, 회로단락을 방지하거나, 눈과 돌발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거리인 거리a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거리a는 최소한 4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눈에 대한 더 우수한 밀폐효과를 얻기 위해, 상기한 장치는 PMMA 또는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예를 들면 쇼어 경도(Shore hardness) 20을 갖는 PDMS로 제조할 수 있다. 생체조직과 잘 교합되는 사용 가능한 또 다른 물질로는, 폴리우레탄, 특히 부착을 증진시키고 기포를 제거하기 위해 친수성을 갖는 폴리우레탄을 들 수 있다.
상기한 장치(10)는, 치료하려는 눈(20)의 각막 C의 주변부에 이온삼투요법에 의해 투여될 활성용액, 예를 들면 약제 용액을 위한 저장고를 형성하는 환형 영역(15)을 한정하는, 환형 벽(17)과, 내부 측벽(19)과 외부 측벽(18)으로 이루어진 2개의 원통형 측벽을 구비한다. 상기한 벽 17에 인접한 벽 18의 단부는 절두원추체(frustoconical) 모서리(16)를 통해 공막 S 상에 안착되고, 벽 17에 인접한 벽 19의 단부는 절두원추체 영역(19')을 통해 각막 C의 외주부에 안착되어, 각막 C의 주변에 존재하며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안 조직을 갖는 영역 만이 저장고에 의해 함유된 약제 용액에 노출된다. 이때, 환형 활성전극(11)은 벽 17에 인접한다. 2개의 도전성 연결부(11', 12')는 활성전극(11)과 복귀전극(12)을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하며, 환자의 부분적으로 폐쇄된 눈꺼풀이 전극(12)과 접촉되어 폐회로를 구성하도록, 링(16)의 외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달리, 상기한 복귀전극은 분리되어 치료하려는 눈에 인접한 환자의 이마 위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장치를 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환자의 눈꺼풀은 링(16) 위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한 벽 17 내부에 형성된 개구(13, 14)는, 저장고(15)를 채우고, 및/또는 약제 용액을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한다.
평면 환형 전극(11)은, 환형 저장고(15)의 바닥을 한정하는 벽(17)의 전체 표면을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부분 만을 덮는 것도 가능하기는 하지만, 치료의 효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어쨌든, 저장고(15)는 각막 C의 영역을 덮지 않아야 한다.
도 3a,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장치는, 여기에서는 3가지인 복수의 활성물질, 예를 들면 약제를 액체 또는 겔 형태로 투여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 활성물질 각각은, 개별적인 활성전극(41, 42, 43)이 각각 설치된 환형 부채꼴(45, 46, 47)의 형태를 갖는 3개의 공동 각각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한 장치는 환형 벽(27)과, 내부 벽(49) 및 외부 벽(48)으로 구성된 2개의 원통형 벽을 구비하고, 상기한 부채꼴들은 분리벽(40)에 의해 한정된다. 이 장치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장치와 동일한 방식으로 환자의 눈 위에 배치된다. 도전성 연결부(41', 42', 43')는 벽 27을 관통하여 활성전극(41, 42, 43)에 전력을 공급한다.
도 4에 도시된 장치는, 각각의 공동(45, 46, 47)에 대해 존재하는 액체를 순환하는 튜브가 존재한다는데 특징이 있다. 도면에는, 공동 45 및 46에 대응하는 복수의 튜브 84, 85 및 86, 87이 도시되어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장치는, 링의 형태를 갖는 반원판(meniscus)이다. 이 장치는, 그 각각이 활성물질, 예를 들면 약제로 함침된 스폰지와 같은 약제 겔 또는 다공성 물질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3개의 저장고(55, 56, 57)를 갖는다. 각각의 활성전극(51, 52, 53)은 각각의 저장고와 관련된다. 부채꼴의 형태를 갖는 저장고 55는 분리벽(50)에 의해 한정된다.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장치는, 각막 렌즈의 재료와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진 링 형태를 갖는 평평한 반원판이다. 원통형 중앙 공간은 비어져 있어, 다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장치의 중심 위치를 육안으로 검사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전해 증착에 의해 형성되는 전극(61)은, 환형 공동(62)의 바닥의 오목한 내면(63)을 약간 덮는다. 예를 들면, 전해 증착에 의해 형성된 복귀전극(64)은, 환자의 폐쇄된 눈꺼풀(22, 24) 중 적어도 한 개를 통해 복귀 전기접속을 이룰 수 있도록, 환형 공동(62) 바닥의 볼록한 외면(66)의 외주부를 덮는다. 전기접속 배선(67, 68)의 경로는, 그것이 눈꺼풀 사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100 킬로달톤보다 작은 분자량을 갖는 활성물질로서 사용된 간단한 분자 또는 분자 조립체(예를 들면, 약제 및/또는 펩티드 및/또는 단백질 및/또는 유전자 단편)에 적합하다.
일정한 값을 갖고 100mA/㎠을 초과하지 않는 전류밀도로 조절된 직류를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와 같은 전류밀도는 바람직하게는 0.1mA/㎠ 내지 5mA/㎠, 예를 들면, 0.2mA/㎠ 내지 5mA/㎠의 값으로 조정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한 값의 범위는 0.8mA/㎠ 내지 5mA/㎠이다. 치료시간은 30초 내지 10분일 수 있다. 특히, 이 치료시간은 1분 내지 10분이다.
인간에 대해서, (각막윤부를 갖는) 각막의 직경은 약 12 내지 13mm이고, 거치연(ora serrata)의 직경은 약 18mm이다.
일례로, 성인을 치료하기 위해, 75㎟ 내지 250㎟의 면적에 해당하는, 12.5 내지 14mm의 내경과 17mm 내지 22mm의 외경, 바람직하게는 17mm 및 20mm의 외경을 갖는 환형 전극 또는 링 부채꼴의 형태를 지닌 복수의 전극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전류는 예를 들어 400㎂로서, 4분간 인가될 수 있다.
이때, 치료하려는 영역(들)과 마주보게 배치된 활성전극, 즉 표면 전극의 배치는, 그 자체가 일정한 값을 갖고 치료하려는 영역의 전체 면적에 걸쳐 균일한 전류밀도를 정전류와 관련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이점을 제공한다.
먼저, 이것은 치료하려는 영역의 특정한 지역에서 전류밀도가 국부적으로 높은 값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여, 원하지 않는 부작용의 발생을 방지한다.
더구나, 치료하려는 영역에서의 전류밀도의 균일성은, 활성물질 또는 활성물질들, 예를 들면 약제의 침투가 마찬가지로 치료하려는 영역 전체에 걸쳐 균일하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어쨌든, 상기한 전극은 기능성 망막과 마주보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적어도 한가지의 활성물질, 예를 들면 약제가 조직을 통해 투여되는데, 이것은, 다음과 같은 전방 및 후방 부위에 활성물질이 더욱 더 잘 침투될 수 있도록 한다: 각막윤부, 결막, 공막, 모양체, 홍채근, 평면부위, 전방 초자체액, 맥락막 및 비기능성 분리불가능 망막.
각막과 접촉이 없는 것은, 물리적 및 화학적 변소의 위험과, 특히 치료에 뒤따르는 일시적 또는 영구적인 눈 문제를 해소하며, 중앙 공간(23)을 비워진 상태로 할 수 있어 사용자가 치료과정 동안 장치의 위치를 검사할 수 있다.
더구나, 활성물질의 특성에 의존하여 변화하는 활성물질의 특정한 농도 이상에서는, 활성물질이 다른 조직(맥락막 CH, 망막 RET)으로 점진적으로 방출되기 이전에 눈의 특정한 조직[제거돌기 공간(sustentacular space), 공막, 과맥락막 공간(suprachoroid space) 및, 작은 양이지만, 홍채 I 및 모양체 CC]에 누적되어, 활동시간(활성물질이 제거되기 이전의 반감기)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현상을, 메틸프레드니솔론 헤미숙신산(methylprednisolone hemisuccinate)(150mg/ml, 2mA)을 사용하여 토끼에 대해 수행된 실험에 근거하여 얻어진 첨부된 곡선(도 8a 및 도 8b)에 나타내었다. 63.5mg/ml의 강도를 갖는 용액에 대해서는, 방출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방출을 허용하는 농도 임계값은 약 100mg/ml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축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한편으로는 눈꺼풀의 존재를, 다른 한편으로는 각막이 지닌 약간 계란형의 외형을 수용하기 위해 거의 계란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된 장치는, 눈꺼풀의 폐쇄선에 평행한 20mm의 초점축과 18mm의 단축을 갖는 타원형 외형을 지닌 공동을 구비한다.
치료용 공동의 타원형 내부 형태는, 예를 들어 눈꺼풀의 폐쇄선에 평행하며 13.5mm의 길이를 갖는 주축과, 이 선에 수직하고 12.5mm의 길이를 갖는 단축을 지닐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장치는, 그 각각이 도 1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고 장치 내부에 집적된 개별 전자회로(79∼82)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는 활성전극(75∼78)을 갖는 4개의 공동(71∼74)을 구비한다. 상기한 전자회로는, 전류 발생기 VS를 구성하는 밧데리(84)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며, 선택된 값으로 조절되는 정전류 발생원 I와 원하는 치료시간이 설정되도록 하는 타이머 T를 포함한다. 이와 달리, 모든 회로는 단일의 집적회로 상에 배치되거나, 상기한 기능부가 버스(85)에 의해 접속된 다수의 내부회로 상에 분포될 수 있다.
이때, 상기한 저장고는 계란형으로 형성되거나, 이와 달리, 예를 들면 타원형과 같은 길다란 형태를 가질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또한, 저장과 및/또는 활성전극은 환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더구나,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상기한 저장고는 D<di≤1.2 D를 만족하는 내경di와, 1.4 D≤de≤1.8 D, 바람직하게는 1.4 D≤de≤1.7 D를 만족하는 외경de를 가질 수 있는데, 이때 D는 각막의 직경을 나타낸다.
상기한 장치는, 35mmHg 내지 10mmHg, 바람직하게는 50mmHg 정도의 진공을 생성하는 흡입장치를 사용하여 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은 진공은, 바람직하게는 중심 공간(23)의 외면에서 떨어져 폐쇄하며 흡입에 의해 그 내부에 진공을 생성할 수 있는 투명한 격막(95)(도 9)을 사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진공은 사용자가 격막(95)을 눌러 공기를 중앙 공간으로부터 빼내는 경우에 사용자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는데, 이 격막은 제 위치로 복귀된 이후에 상기한 진공을 형성한다. 상기한 감압 격막(95)은 투명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중앙 공간(23)을 사용하여 치료과정 동안 기기의 위치를 검사할 수 있다.
상기한 활성물질은 주사기를 통해 주입되거나, 이와 달리 장치에 인접한 활성물질의 콘테이너로부터 주입될 수 있다.
상기한 장치가 장착 및 밀폐 면에서 유리한 가요성 물질로 이루어진 경우에, 외부 원통형 벽(18)과 내부 원통형 벽(19)은 서로 접촉되려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 다른 벽(19 또는 18)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유지하면서 원통형 벽들 중 한 개(18 또는 19)로부터 연장되는 휜(fin)(90), 예를 들면 평평한 반경방향의 휜이 설치된다. 기포의 배출을 촉진하기 위해, 두부가 후방으로 기울어진 환자의 눈 위에 장치가 위치할 때 장치의 하부("6시 위치")애 놓인 입구(13')(참조: 도 10)를 통해 활성 용액이 저장고(15) 내부로 주입되며, 기포를 배출하기 위한 개구(14')가 상부("12시 위치)에 설치된다. 기포의 배출을 돕기 위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벽(18)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된 휜(90)이 입구(13') 방향으로 곡면이 형성되고 볼록한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온삼투요법에 의해 안구 내부로 적어도 한가지의 활성물질을 전달하여, 재현가능하게 외래성 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Claims (19)

  1. 이온삼투요법에 의해 안구 내부로 적어도 한가지의 활성물질을 전달하며, 환자의 눈에 적용될 수 있는 활성물질의 저장고와, 상기 저장고 내부에 배치된 적어도 한 개의 활성전극과, 수동전극 및 전류 발생기를 구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활성전극은 각막의 주변에 놓인 적어도 한 개의 안 조직과 마주보게 배치된 표면전극(11, 41, 42, 43, 51, 53, 6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발생기는 10mA/㎠보다 작은 정격 밀도를 갖는 정전류 발생기이고, 이 전류 발생기는 30초 내지 10분의 시간동안, 특히 1분 내지 10분의 시간동안 상기 정전류를 인가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밀도는 0.1mA/㎠ 내지 5mA/㎠의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밀도는 0.2mA/㎠ 내지 5mA/㎠, 또는 특히 0.8mA/㎠ 내지 5mA/㎠의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고(15, 45, 46, 47, 55, 56, 57) 또는 활성전극(11, 41, 42, 43, 51, 52, 53)은 환형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고(15, 45, 46, 47, 55, 56, 57, 71, 72, 73, 74, 62)는, D<di≤1.2 D를 만족하는 내경di와, 1.4 D≤de≤1.8 D, 바람직하게는 1.4 D≤de≤1.7 D를 만족하는 외경de를 갖고, 이때 D는 각막의 직경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경di는 12.5mm 내지 14mm의 값을 갖고, 상기 외경de는 17mm 내지 22mm, 바람직하게는 17mm 내지 20mm의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는, 1.5V 내지 9V, 특히 2 V 내지 8V의 범위를 갖는 전압에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저장고(15, 45, 46, 47, 55, 56, 57, 71, 72, 73, 74, 62) 내부에 놓인 상기 활성물질은, 6 내지 8의 pH, 바람직하게는 7 내지 7.6의 pH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저장고를 통해 약제 용액을 순환시키는 펌핑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환형 부채꼴의 형태를 갖는 복수의 칸막이(45, 46, 47, 55, 56, 57, 71, 72, 73, 74)와, 환형 부채꼴의 형태를 지닌 복수의 전극(41, 42, 43, 51, 52, 53, 75, 76, 77, 78)을 갖는 환형 저장고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한 개의 칸막이(15, 62)와 한 개의 환형 전극(11, 61)을 갖는 환형 저장고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고(15, 45, 46, 47, 55, 56, 57)는 타원형과 같은 길다란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고(45, 46, 47, 55, 56, 57, 62)는, 활성물질이 함침된 적어도 한 개의 겔, 또는 스폰지와 같은 다공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평평한 반월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외면에, 환자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된 눈꺼풀의 내면과 접촉하여, 처리과정에 걸쳐 장치를 제 위치에 유지하는 수동전극(12, 44, 64)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고는 환형 형태를 갖고, 그것의 내벽(19)과 외벽(18) 사이에 복수의 공간 휜(90)을 구비하며, 이들 핀은 방사상으로 형성되거나, 활성물질에 대한 입구(13') 방향으로 곡면이 형성되고 볼록한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사용자가 환자의 눈에 대한 장치의 위치를 검사할 수 있도록 하는 중앙 공간(2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중앙 공간(23)을 감압시키기 위해 이 중앙 공간(23)은 투명한 격막(95)에 의해 그것의 외면 상에 떨어져 폐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80059369A 1998-01-05 1998-12-28 이온삼투요법에의한활성물질의안내전달장치 Expired - Lifetime KR1005517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800009A FR2773320B1 (fr) 1998-01-05 1998-01-05 Dispositif pour le transfert intraoculaire de produits actifs par iontophorese
FR9800009 1998-01-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6875A true KR19990066875A (ko) 1999-08-16
KR100551706B1 KR100551706B1 (ko) 2006-07-06

Family

ID=9521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9369A Expired - Lifetime KR100551706B1 (ko) 1998-01-05 1998-12-28 이온삼투요법에의한활성물질의안내전달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154671A (ko)
EP (2) EP1452203B1 (ko)
JP (1) JP4308353B2 (ko)
KR (1) KR100551706B1 (ko)
AT (2) ATE437672T1 (ko)
BR (1) BR9900009A (ko)
CA (1) CA2257749C (ko)
DE (2) DE69829637T2 (ko)
DK (1) DK0927560T3 (ko)
ES (2) ES2236880T3 (ko)
FR (1) FR2773320B1 (ko)
IL (1) IL127711A (ko)
PT (1) PT927560E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46389B1 (en) * 1998-09-24 2008-03-18 Newsome David A Dilation enhancer with pre-medicated contact lenses
US6101411A (en) * 1998-09-24 2000-08-08 Newsome; David A. Dilation enhancer
US6319240B1 (en) * 1999-05-25 2001-11-20 Iomed,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ocular iontophoresis
US7252655B2 (en) 1999-05-25 2007-08-07 Iomed, Inc. Ocular iontophoretic apparatus handle
US6539251B2 (en) 1999-05-25 2003-03-25 Iomed, Inc. Ocular iontophoretic apparatus
US6728573B1 (en) * 2000-02-23 2004-04-27 Iomed, Inc. Ocular iontophoretic apparatus handle
US6546283B1 (en) 2000-10-18 2003-04-08 Iomed, Inc. High current density iontophoretic device and method of use thereof
US20030045830A1 (en) * 2001-04-17 2003-03-06 De Bizemont Therese Gene therapy with chimeric oligonucleotides delivered by a method comprising a step of iontophoresis
US20050033202A1 (en) 2001-06-29 2005-02-10 Chow Alan Y. Mechanically activated objects for treatment of degenerative retinal disease
US20040106965A1 (en) * 2001-06-29 2004-06-03 Chow Alan Y. Methods and apparatus for treatment of degenerative retinal disease via indirect electrical stimulation
US7031776B2 (en) * 2001-06-29 2006-04-18 Optobionics Methods for improving damaged retinal cell function
US20050004625A1 (en) * 2001-06-29 2005-01-06 Chow Alan Y. Treatment of degenerative retinal disease via electrical stimulation of surface structures
EP1443931B1 (en) * 2001-07-20 2007-03-28 Iomed, Inc. Ocular iontophoretic device for delivering methotrexate based medicaments and use thereof to treat neoplastic, angiogenic, fibroplastic, and/or immunosuppresive ocular irregularities
JP2004535462A (ja) * 2001-07-20 2004-11-25 イオメ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眼、眼球結膜、眼瞼結膜、瞼、眼窩周囲の軟組織及び皮膚の細胞増殖阻害剤として、イオン導入によって送達する5−フルオロウラシルの使用方法。
FR2830766B1 (fr) 2001-10-12 2004-03-12 Optis France Sa Dispositif de delivrance de medicaments par iontophorese transpalpebrale
FR2830767B1 (fr) * 2001-10-12 2004-03-12 Optis France Sa Dispositif de delivrance de medicaments par iontophorese ou electroporation introculaire
FR2836832B1 (fr) 2002-03-08 2005-02-04 Optis France Sa Ensemble de connexion a usage medical pour le transfert de fluides
CN100469776C (zh) 2002-05-17 2009-03-18 奥特拉控股公司 白内障和其它眼病发展的改善
FR2851912B1 (fr) 2003-03-03 2005-05-13 Optis France Sa Connecteur d'alimentation uniforme pour des dispositifs de delivrance de principes actifs
US7825134B2 (en) * 2003-05-19 2010-11-02 Othera Holding, Inc. Amelioration of cataracts, macular degeneration and other ophthalmic diseases
US7589107B2 (en) 2003-05-19 2009-09-15 Othera Holding, Inc. Amelioration of vitrectomy-induced cataracts
FR2855761B1 (fr) * 2003-06-03 2006-02-24 Optis France Sa Dispositif oculaire de delivrance variable de principes actifs par iontophorese
EP2052720A3 (en) 2003-11-20 2009-05-06 Othera Holding, Inc. Use of at least one hydroxylamine compound for the treatment of eye disease
US7251528B2 (en) * 2004-02-06 2007-07-31 Scyfix, Llc Treatment of vision disorders using electrical, light, and/or sound energy
FR2869531B1 (fr) 2004-04-30 2006-07-14 Optis France Sa Sa Dispositif de iontophorese oculaire diminuant les irritations
AU2005247122C1 (en) 2004-04-30 2012-02-02 Eyegate Pharma S.A. Irritation-reducing ocular iontophoretic device
CN1964711A (zh) * 2004-05-25 2007-05-16 奥特拉药物公司 眼睛选择性药物及前体药物
US8246949B2 (en) * 2004-10-27 2012-08-21 Aciont, Inc. Methods and devices for sustained in-vivo release of an active agent
WO2006058189A2 (en) * 2004-11-23 2006-06-01 Wong Jr Edward K Medical device for temperature control and treatment of the eye and surrounding tissues
US8262715B2 (en) * 2004-11-23 2012-09-11 Eye Delivery System, Llc Medical device and method for temperature control and treatment of the eye and surrounding tissues via magnetic drug therapy
US20070282282A1 (en) * 2004-11-23 2007-12-06 Wong Edward K Jr Medical device and method for temperature control and treatment of the eye and surrounding tissues
WO2006072887A1 (en) * 2005-01-05 2006-07-13 Eyegate Pharma Sa Ocular iontophoresis device for delivering sirna and aptamers
US8039445B2 (en) 2005-04-18 2011-10-18 Inserm (Institut National De La Sante Et De La Recherche Medicale) Methods and devices for delivering a therapeutic product to the ocular sphere of a subject
WO2006127592A2 (en) * 2005-05-26 2006-11-30 Othera Pharmaceuticals, Inc. Use of hydroxylamine derivates for inhibiting vitrectomy-induced cataracts
US8755880B2 (en) * 2005-10-24 2014-06-17 Aciont, Inc. Intraocular iontophoretic device and associated methods
US20070260171A1 (en) * 2005-09-27 2007-11-08 Higuchi John W Intraocular iontophoretic device and associated methods
US8634907B2 (en) 2005-10-24 2014-01-21 Aciont, Inc. Intraocular iontophoretic device and associated methods
WO2007050645A2 (en) * 2005-10-24 2007-05-03 Aciont, Inc. Intraocular iontophoretic device and associated methods
FR2893852B1 (fr) * 2005-11-29 2010-09-03 Eyegate Pharma Sa Dispositif d'iontophorese oculaire
US8099162B2 (en) * 2005-11-29 2012-01-17 Eyegate Pharma, S.A.S. Ocular iontophoresis device
US20070202186A1 (en) 2006-02-22 2007-08-30 Iscience Interventional Corporation Apparatus and formulations for suprachoroidal drug delivery
US20070203190A1 (en) * 2006-02-22 2007-08-30 Ghanshyam Patil Hydroxylamines and derivatives for the inhibition of complement activation
JPWO2007123142A1 (ja) * 2006-04-20 2009-09-03 Tti・エルビュー株式会社 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装置
US20070299386A1 (en) * 2006-06-23 2007-12-27 Minu, L.L.C. Delivery of an ocular agent using iontophoresis
WO2008013913A2 (en) * 2006-07-26 2008-01-31 Aciont, Inc. Method and device for minimally invasive site specific ocular drug delivery
US8923961B2 (en) 2006-10-18 2014-12-30 The Cleveland Clinic Foundation Electrode assembly for delivering a therapeutic agent into ocular tissue
WO2008103613A2 (en) 2007-02-22 2008-08-28 Othera Holding, Inc. Hydroxylamine compounds and methods of their use
US9125807B2 (en) 2007-07-09 2015-09-08 Incept Llc Adhesive hydrogels for ophthalmic drug delivery
US8480638B2 (en) * 2007-10-04 2013-07-09 Aciont, Inc. Intraocular iontophoretic device and associated methods
WO2009076220A1 (en) * 2007-12-05 2009-06-18 Eyegate Pharma S.A.S. Methods for delivering sirna via iontophoresis
US20090306579A1 (en) 2008-02-25 2009-12-10 Eyegate Pharmaceuticals, Inc. Delivery of corticosteroids through iontophoresis
FR2928536B1 (fr) * 2008-03-14 2012-04-27 Inst Nat Sante Rech Med Dispositif d'injection dans l'oeil
CA2750149C (en) * 2008-12-31 2018-02-27 Eyegate Pharmaceuticals, Inc. System and method for ocular iontophoresis with buffering
AU2010213612B2 (en) 2009-02-12 2015-04-30 Incept, Llc Drug delivery through hydrogel plugs
SG184244A1 (en) 2010-04-03 2012-11-29 Praful Doshi Medical devices including medicament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US10413506B2 (en) 2010-04-03 2019-09-17 Praful Doshi Medical devices including medicament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including enhancing comfort, enhancing drug penetration, and treatment of myopia
EP2585057B1 (en) 2010-06-25 2017-08-23 The U.S.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Methods of treatment using sterculic acid
US8961501B2 (en) 2010-09-17 2015-02-24 Incept, Llc Method for applying flowable hydrogels to a cornea
CN103327939B (zh) 2010-10-15 2017-05-24 科尼尔赛德生物医学公司 用于进入眼睛的装置
ES2539717T3 (es) * 2011-01-12 2015-07-03 Sooft Italia S.P.A. Dispositivo para la administración corneal de rivoflavina mediante iontoforesis para el tratamiento de queratocono
WO2012162459A1 (en) * 2011-05-26 2012-11-29 Pepose Jay Device and method for administering eye medications
US10226417B2 (en) 2011-09-16 2019-03-12 Peter Jarrett Drug delivery systems and applications
WO2013086015A1 (en) 2011-12-05 2013-06-13 Incept, Llc Medical organogel processes and compositions
CA2940513C (en) 2013-03-11 2023-08-15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Delivery of card protein as therapy for ocular inflammation
CN110302004B (zh) 2013-05-03 2023-04-28 科尼尔赛德生物医学公司 用于眼部注射的设备和方法
ITVE20130043A1 (it) * 2013-07-31 2015-02-01 I A C E R S R L Dispositivo perfezionato oftalmologico per il trattamento di malattie corneali quali il cheratocono.
EP2898922B1 (en) * 2014-01-27 2017-05-24 OPIA Technologies Ocular iontophoresis device
JP5828535B1 (ja) * 2014-10-10 2015-12-09 石根 三井 矯正角膜クロスリンキング用コンタクトレンズ
CN104353183B (zh) * 2014-10-31 2016-12-07 厦门微科格瑞生物科技有限公司 电解液位置固定的可佩戴智能药物导入结构
CN106999711A (zh) * 2015-01-22 2017-08-01 艾盖茨药品公司 离子电渗接触透镜
US10206814B2 (en) * 2016-01-06 2019-02-19 David R. Hardten System and method for the delivery of medications or fluids to the eye
EP3452165A1 (en) 2016-05-02 2019-03-13 Clearside Biomedic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ocular drug delivery
WO2018031913A1 (en) 2016-08-12 2018-02-15 Clearside Biomedical, Inc. Devices and methods for adjusting the insertion depth of a needle for medicament delivery
WO2018175654A1 (en) 2017-03-23 2018-09-27 Doheny Eye Institute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optical coherence tomgraphy multiple enface angiography averaging
EP3860703A1 (en) 2018-10-01 2021-08-11 Biovisics Medical, Inc. System and methods for controlled electrical modulation for vision therapy
EP3886974A2 (en) 2018-11-30 2021-10-06 Biovisics Medical, Inc. Head worn apparatuses for vision therapy
CN113557574A (zh) 2019-01-09 2021-10-26 二十二十治疗学有限责任公司 从眼安装设备输送的可编程治疗药剂
JP7465271B2 (ja) 2019-01-09 2024-04-10 トゥウェンティ トゥウェンティ セラピューティクス エルエルシー 治療剤放出のための眼球装着装置
EP3952979A1 (en) 2019-04-10 2022-02-16 Biovisics Medical, Inc. Systems and interfaces for ocular therapy
ES2992491T3 (es) 2019-06-14 2024-12-13 I Lumen Scient Inc Dispositivo médico portátil
US12023498B2 (en) 2019-07-12 2024-07-02 Biovisics Medical, Inc. Ocular therapy modes and systems
CN110547907A (zh) * 2019-08-15 2019-12-10 中南大学湘雅二医院 一种用于眼内手术的双环虹膜扩张器
EP4529903A1 (en) 2022-07-08 2025-04-02 Terumo Kabushiki Kaisha Intraocular drug administration device, agent reservoir, and method for operating intraocular drug administra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880A (en) * 1895-12-24 Theodore b
US2525381A (en) * 1947-09-25 1950-10-10 Tower Paul Contact-type electrode holder
US3122137A (en) * 1961-10-30 1964-02-25 Erlanger Gustav Device for facilitating iontophoresis treatment of eyes
SU995783A1 (ru) 1980-07-21 1983-02-15 Ом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Ордена Трудового Красного Знамени Медицинский Институт Им.М.И.Калинина Устройство дл электрофореза лекарственных веществ в ткани глаза
US4678466A (en) * 1981-06-25 1987-07-07 Rosenwald Peter L Internal medication delivery method and vehicle
US4564016A (en) 1982-05-24 1986-01-14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Apparatus for introducing ionized drugs into the posterior segment of the eye and method
US5053000A (en) * 1985-11-13 1991-10-01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Plc Ocular treatment
IL86076A (en) * 1988-04-14 1992-12-01 Inventor S Funding Corp Ltd Transdermal drug delivery device
US4955378A (en) * 1988-05-02 1990-09-11 University Of South Florida Apparatus and methods for performing electrofusion at specific anatomical sites
AU5354190A (en) * 1989-03-17 1990-10-22 Candela Laser Corporation Non-invasive sclerostomy laser apparatus and method
US5174304A (en) * 1990-02-16 1992-12-29 Latina Mark A Electrocycloablation apparatus and method
US5472436A (en) * 1994-07-26 1995-12-05 Fremstad; Daria A. Ocular appliance for delivering medication
US5522864A (en) * 1994-10-25 1996-06-04 Wallace; Larry B. Apparatus and method for ocular treatment
AUPM982694A0 (en) * 1994-12-02 1995-01-05 University Of Queensland, The Iontophoresis method and apparatus
US5676648A (en) * 1996-05-08 1997-10-14 The Aps Organization, Llp Iontophoretic drug delivery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52203A2 (fr) 2004-09-01
ATE292493T1 (de) 2005-04-15
DK0927560T3 (da) 2005-08-15
CA2257749A1 (en) 1999-07-05
EP0927560A1 (fr) 1999-07-07
DE69841028D1 (de) 2009-09-10
EP0927560B1 (fr) 2005-04-06
JP4308353B2 (ja) 2009-08-05
JPH11244323A (ja) 1999-09-14
EP1452203A3 (fr) 2004-09-08
DE69829637T2 (de) 2006-03-09
ES2236880T3 (es) 2005-07-16
PT927560E (pt) 2005-07-29
CA2257749C (en) 2009-03-24
FR2773320B1 (fr) 2000-03-03
FR2773320A1 (fr) 1999-07-09
ATE437672T1 (de) 2009-08-15
IL127711A (en) 2004-06-20
DE69829637D1 (de) 2005-05-12
IL127711A0 (en) 1999-10-28
BR9900009A (pt) 2001-03-20
KR100551706B1 (ko) 2006-07-06
EP1452203B1 (fr) 2009-07-29
US6154671A (en) 2000-11-28
ES2327636T3 (es) 2009-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1706B1 (ko) 이온삼투요법에의한활성물질의안내전달장치
US6101411A (en) Dilation enhancer
US9238131B2 (en) Ocular iontophoresis device
JP5558411B2 (ja) 炎症を緩和する眼球イオン導入装置
CN103167850B (zh) 利用离子透入角膜传输核黄素治疗圆锥角膜的装置
US831162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livering a therapeutic agent to ocular tissue
CN101500640B (zh) 递送系统和方法
KR20080018980A (ko) 자극 감소형의 안구용 이온 영동 장치
PT1434623E (pt) Dispositivo para a administração de medicamentos através de intoforese ou de electroporação
EP1965857B1 (en) Ocular iontophoresis device
MXPA99000311A (es) Dispositivo para la transferencia intraocular de productos activos mediante iontoforesis
KR20020048095A (ko) 눈의 이온삼투요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HK1134047B (en) A delivery system and process
UA6987U (en) Method for electric elimin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12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312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812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5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1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2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7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2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2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