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80071233A - 유닛 스윙 내연기관의 스타터 모터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유닛 스윙 내연기관의 스타터 모터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1233A
KR19980071233A KR1019980003871A KR19980003871A KR19980071233A KR 19980071233 A KR19980071233 A KR 19980071233A KR 1019980003871 A KR1019980003871 A KR 1019980003871A KR 19980003871 A KR19980003871 A KR 19980003871A KR 19980071233 A KR19980071233 A KR 19980071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starter motor
internal combustion
combustion engine
unit sw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3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8844B1 (ko
Inventor
히데오 이시카와
아키오 야가사키
Original Assignee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기켄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기켄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모토 노부히코
Publication of KR19980071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1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8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884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1/00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vehicles or for driving propellers;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gearing
    • F02B61/02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vehicles or for driving propellers;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gearing for driving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7/00Motorcycles characterised by position of motor or engine
    • B62M7/02Motorcycles characterised by position of motor or engine with engine between front and rear wheels
    • B62M7/06Motorcycles characterised by position of motor or engine with engine between front and rear wheels directly under the saddle or s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16Engines characterised by number of cylinders, e.g. single-cylinder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006Assembling or mounting of star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02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9/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 B62M9/04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 B62M9/06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using a single chain, belt,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02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cycles, e.g. six-stroke
    • F02B2075/022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cycles, e.g. six-stroke having less than six strokes per cycle
    • F02B2075/025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cycles, e.g. six-stroke having less than six strokes per cycle tw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1/00Cylinders; Cylinder heads 
    • F02F1/24Cylinder heads
    • F02F2001/244Arrangement of valve stems in cylinder heads
    • F02F2001/245Arrangement of valve stems in cylinder heads the valve stems being orientated at an angle with the cylinder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 아래쪽 공간의 큰 자유도를 확보하면서 휠 베이스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고, 내연기관의 기본 성능에 관한 기구의 레이아웃의 자유도가 큰 유닛 스윙 내연기관의 스타터 모터 장착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스타터 모터 장착구조는, 벨트동력전달장치를 가지고 차체에 대하여 요동자유자재로 지지된 유닛 스윙 내연기관이 구비된 자동이륜차에 있어서, 유닛 스윙 케이스(16)의 전방부의 크랭크 케이스(16a)로부터 앞쪽으로 기울어 실린더(25)가 연출(延出)하여, 크랭크 케이스(16a) 의 일측방에 구비하는 냉각팬(39)으로부터 실린더(25)가 같은 측방에 동 실린더(25)로의 송풍통로(102)를 설치하고, 실린더(25)의 송풍통로(102)와 반대측 측방에 측면에서 본 동 실린더(25)에 겹치는 위치에 스타터 모터(80)를 배설하고, 실린더(25)를 헤드 파이프에 연결하는 좌우 한 쌍의 후방부 프레임(5c, 5c)간에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닛 스윙 내연기관의 스타터 모터 장착구조
본 발명은,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벨트동력전달장치를 가지고 차체에 대하여 요동자유자재로 지지된 유닛 스윙 내연기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타터 모터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유닛 스윙 내연기관에 관해서는, 특공평5-68398호 공보에 기재된 예가 있다.
동 공보 기재의 스타터 모터의 장착 배치구조를 도13 및 도14에 도시한다.
유닛 스윙 케이스(01)의 전방부 중앙에 크랭크축(02)이 좌우 수평으로 배설되고, 위쪽에 실린더(04)를 연출시켜 내연기관(03)이 설치되어 있다.
유닛 스윙 케이스(01)의 후방부에는 도시되지 않지만 후륜이 축지되어, 크랭크축의 구동은 벨트전달기구를 통하여 후륜에 전달된다.
유닛 스윙 케이스(01)의 앞벽으로부터는 행거 브라켓(05)이 전방으로 돌설되어 그 선단이 차체 프레임에 피봇축(06)에 의해 추지되며, 동 피봇축(06)을 중심으로 유닛 스윙 케이스(01)는 후륜과 함께 상하로 요동가능하고, 유닛 스윙 케이스(01)의 후단과 그 위쪽의 차체 프레임간에는 완충수단이 개장되어 있다.
스타터 모터(07)는, 유닛 스윙 케이스(01)의 전방부에 있어서, 크랭크축(02)의 크랭크 핀(02a)과 같은 좌우방향위치(크랭크 센터(C))에 있어 크랭크 핀(02a)의 전방에서 실린더(04)와 지지브라켓(05)과의 사이에, 구동축(07a)을 크랭크축(02)과 평행하게 하여 유닛 스윙 케이스(01)에 장착되어 있다.
스타터 모터(07)는, 유닛 스윙 케이스(01)의 전방부에 크랭크 센터(C)측(우측)으로부터 장착되고, 유닛 스윙 케이스(01)와 좌측 케이스 커버(08)와의 사이에 가설된 감속 기어축(09)에 회동 자유자재로 감합한 감속기어(011)의 대직경 기어(011a)에 스타터 모터(07)의 구동축(07a)에 형성된 구동기어(010)가 맞물리어, 감속기어(011)의 소직경 기어(011b)는 크랭크축(02)측의 시동계 기어(012)에 맞물리고 있다.
동 예에 있어서 실린더(04)는 유닛 스윙 케이스(01)의 전방부 크랭크 케이스로부터 위쪽으로 연출하고 있으므로, 시트 아래쪽의 공간이 큰 폭으로 제한되어 있다.
그래서 시트 아래쪽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실린더를 앞쪽으로 기울게 하면 후방부 프레임과의 간섭의 문제가 있어, 이 간섭을 피하여 유닛 스윙 케이스(01)를 뒤쪽으로 이동하는 휠 베이스가 길게 되어 버린다.
또 상기와 같이 스타터 모터(07)가, 크랭크 센터(C)에 배설되어 있으면, 실린더(04)나 크랭크 케이스 리드 밸브식인 경우의 흡기계 기구 기타 배기계 기구의 좌우방향의 위치와 같아, 따라서 이러한 내연기관의 기본 기능에 관한 기구가 스타터 모터의 배치에 제약을 받아 레이아웃의 자유도가 한정된다.
또 스타터 모터(07)는, 유닛 스윙 케이스(01)의 외측에 장착되므로, 주행시의 흙탕물에 대하여 충분한 보호구조가 필요해져, O링이나 파킹, 모터 내 오일 실 등의 부품의 점수가 많아진다.
그래서 스타터 모터를 유닛 스윙 케이스 내에 배치한 예(특공평1-31036호 공보)도 있지만, 동 예는 동력전달계가 체인방식이며, 크랭크축과 뒤쪽의 감속기구와의 사이에 여유공간이 있어, 이 공간에 배설한 것으로, 벨트동력전달방식과는 다르다.
게다가 동 예에서는 스타터 모터의 구동축을 거의 전후방향으로 지향시켜 크랭크축과 평행하지 않으므로, 동력방향을 변환하기 위해 부품점수가 커지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시트 아래쪽 공간의 큰 자유도를 확보하면서 휠 베이스의 단축이 도모되며, 내연기관의 기본 성능에 관한 기구의 레이아웃의 자유도가 큰 유닛 스윙 내연기관의 스타터 모터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유닛 스윙 내연기관을 구비한 스쿠터형 자동이륜차(1)의 측면도,
도2는 스윙 유닛의 차체 프레임으로의 연결 링크부분의 일부 단면으로 한 상면도,
도3은 도1에 있어서 대략 Ⅲ-Ⅲ선을 따라 재단한 단면도,
도4는 내연기관의 실린더 중심선에 따라 재단한 단면도,
도5는 전동 케이스 커버를 벗긴 스윙 유닛의 측면도,
도6은 스윙 유닛의 전방부 상면도,
도7은 유닛 스윙 케이스의 측면도,
도8은 도7에 있어서 Ⅷ-Ⅷ선을 따라 재단한 단면도,
도9는 슈라우드(shroud)의 측면도,
도10은 온풍 덕트(duct)의 측면도,
도11은 동 상면도,
도12는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스윙 유닛의 주요부 단면도,
도13은 종래의 스타터 모터의 장착 배치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14는 도13에 있어서 ⅩⅣ-ⅩⅣ선을 따라 재단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스쿠터형 자동이륜차 2 : 차체 전방부
3 : 차체 후방부 4 : 플로어부
5 : 차체 프레임 6 : 시트
7 : 수납박스 8 : 핸들
9 : 스티어링 헤드 10 : 프론트 포크
11 : 전륜 12 : 브라켓
13 : 추축(樞軸) 14 : 링크부재
15 : 스윙 유닛 16 : 유닛 스윙 케이스
17 : 행거 브라켓 19 : 리어 쿠션
20 : 내연기관 21 : 후륜
22 : 벨트전달기구 23 : 연료탱크
24 : 피스톤 25 : 실린더
26 : 리드밸브 27 : 흡기관
28 : 기화기 29 : 에어클리너
30 : 배기관 31 : 머플러
32 : 브라켓 33 : 스탠드
34 : 커넥팅 로드 36 : 크랭크축
37 : 주축수(主軸受) 38 : 발전기
39 : 냉각팬 40 : 드라이브 풀리(pulley)
41 : 스타터 원웨이 클러치 42 : 스타터 드라이븐 기어
43 : 베어링 44 : 외륜
45 : 로울러 46 : 파킹
47 : 전동 케이스 커버 48 : V벨트
49 : 드라이븐 풀리 50 : 클러치
51 : 종동축 52 : 감속기어장치
53 : 후차륜(後車輪) 60 : 측벽
61 : 원형 공간 63 : 원형 凹부
64 : 팽출 凹부 80 : 스타터 모터
81 : 원통상 아우터 82 : 인너로우터
83 : 구동축 85 : 모터 브라켓
86 : 볼트 95 : 감속기어축
96 : 감속기어 97 : 축수 부시
101 : 슈라우드 102 : 팬 커버
103 : 온풍 덕트 104 : 계합편
105 : 핀 106 : 핀받침부재
107 : 핀 110 : 스타터 모터
111 : 모터 브라켓 112 : 볼트
115 : 스타터 피니온 116 : 입력측 기어
117 : 출려측 기어 118 : 드라이븐 기어
120 : 유닛 스윙 케이스 121 : 실린더
122 : 크랭크축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벨트동력전달장치를 가지고 차체에 대하여 요동 자유자재로 지지된 유닛 스윙 내연기관을 구비한 자동이륜차에 있어서, 유닛 스윙 케이스의 전방부의 크랭크 케이스로부터 앞쪽으로 기울어 실린더가 연출하며, 상기 크랭크 케이스의 일측방에 구비하는 냉각팬으로부터 상기 실린더가 같은 측방으로 동 실린더로의 송풍통로를 설치하고, 상기 실린더의 상기 송풍통로와 반대측 측방에 측방으로 보아 동 실린더에 겹치는 위치에 스타터 모터를 배설하고, 상기 실린더를 헤드 파이프에 연결하는 좌우 한 쌍의 후방부 프레임간에 위치시킨 유닛 스윙 내연기관의 스타터 모터 장착구조로 했다.
실린더는, 크랭크 케이스로부터 앞쪽으로 기울어 연출하며, 헤드 파이프로 연속하는 좌우 한 쌍의 후방부 프레임간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시트 아래쪽 공간의 큰 자유도를 확보하면서 휠 베이스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좌우 한 쌍의 후방부 프레임간에 위치하는 실린더의 일측방은 냉각팬으로부터의 송풍통로가 설치되어, 반대측의 측면에서 보아 실린더에 겹치는 데드스페이스를 이용하여 스타터 모터가 배설되므로, 내연기관의 소형화와 동시에 내연기관의 기본 성능에 관한 기구의 레이아웃의 자유도가 크다.
청구항2기재의 발명은, 청구항1기재의 유닛 스윙 내연기관의 스타터 모터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타터 모터가, 상기 유닛 스윙 케이스 내에 배설된 것이다.
별도 스타터 모터를 특별한 방수구조로 하는 일없이 유닛 스윙 케이스 및 케이스 커버에 의해 주행시의 흙탕물에 대하여 충분한 보호가 이루어진다.
청구항3기재의 발명은, 청구항1기재의 유닛 스윙 내연기관의 스타터 모터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내연기관이, 크랭크 웨브 외주의 상기 크랭크 케이스 상면에 흡기구를 가져, 상기 흡기구와 상기 실린더와의 사이에 엔진 행거를 설치한 것이다.
크랭크 케이스 상면에 흡기구를 가지고 동 흡기구로부터 흡기관이 연출하여, 동 흡기구와 앞쪽으로 기운 실린더의 사이에 엔진 행거가 설치되어, 어떤것도 크랭크 케이스의 위의 공간에 콤팩트로 배설되어, 내연기관의 소형화 및 최저 지상고(地上高)의 확보가 가능하다.
또 좌우 한 쌍의 후방부 프레임간에 위치한 실린더의 뒤쪽에 엔진 행거가 위치함으로써, 후방부 프레임과 엔진 행거를 연결하는 랭크의 자유도가 크다.
청구항4기재의 발명은, 청구항1기재의 유닛 스윙 내연기관의 스타터 모터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타터 모터가, 크랭크축과의 사이에 감속기어기구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감속기어기구의 축수부가 상기 크랭크 케이스에 구비되는 소기통로의 견부에 위치시킨 것이다.
감속기어기구의 축수부를 크랭크 케이스의 소기통로를 피해 그 견부에 위치시켰으므로, 감속기어기구와 동시에 스타터 모터를 실린더 중심 근처에 배치할 수 있어, 내연기관의 좌우 폭을 단축하여, 실린더 양측의 상기 좌우 한 쌍의 후방부 프레임간을 좁게 하여 차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5기재의 발명은, 청구항1 내지 청구항3 중 어떤 한 항에 기재한 유닛 스윙 내연기관의 스타터 모터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타터 모터가, 상기 실린더의 일측방에서 실린더 중심선에서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실린더가 같은 측방의 상기 실린더 중심선에서 상측에는 카뷰레터(carburetor)로의 온풍통로가 설치된 것이다.
실린더의 일측방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중심선보다 하측에 스타터 모터가 배치되며, 상측을 온풍통로가 통하도록 함으로써, 온풍통로가 스타터 모터와 동시에 콤팩트하게 정돈되어 온풍통로를 확보하면서 파워 유닛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일실시형태에 관하여 도1 내지 도11에 도시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유닛 스프링 내연기관을 구비한 스쿠터형 자동이륜차(1)의 측면도이다.
차체 전방부(2)와 차체 후방부(3)가 낮은 플로어부(4)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차체의 골격을 이루는 차체 프레임(5)은, 차체 전방부를 하강하는 전방부 프레임(5a)과 동 전방부 프레임(5a)의 하단으로 2개로 분기되어 플로어부(4)의 아래쪽을 뒤쪽으로 연장하는 좌우 한 쌍의 수평 프레임(5b, 5b)과 동 수평 프레임(5b, 5b)의 각 후방부로부터 상승하여 비스듬히 뒤쪽으로 연장하는 좌우 한 쌍의 후방부 프레임(5c, 5c)으로 이루어진다.
차체 후방부(3)의 후방부 프레임(5c)의 위쪽에 시트(6)가 설치되며, 시트(6)의 하측은 수납 박스(7)가 배설되어 있다.
차체 전방부(2)에는, 상부에 핸들(8)을 구비한 스티어링 헤드(9)가 설치되며, 하측은 프론트 포크(10)를 통하여 전륜(11)이 현가되어, 핸들(8)에 의해 조향(操向)된다.
그리고 차체 프레임(5)의 좌우 한 쌍의 후방부 프레임(5c, 5c)은, 경사 위쪽으로 급경사로 상승 굴곡하여 완경사로 뒤쪽으로 연장하여 있으며, 이 좌우의 굴곡부에 각각 고착된 브라켓(12, 12)간에 가설된 추축(13)과, 스윙 유닛(15)의 유닛 스윙 케이스(16)의 전방부 상면에 돌설된 좌우 한 쌍의 행거 브라켓(17, 17)을 링크부재(14)가 연결하고 있다.
도2 및 도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크부재(14)는, 전단 슬리브(14a)와 후단 피봇축(14b)을 연결부(14c)가 연결한 것으로, 전단 슬리브(14a)는 압입(壓入)된 러버 부시(13a)를 통하여 차체 프레임측의 추축(13)에 축지되고, 후단 피봇축(14b)이 스윙 유닛(15)측의 한 쌍의 행거 브라켓(17, 17)을 러버 부시(17a, 17a)를 통하여 축지하고 있다.
그리고 전단 슬리브(14a)의 중앙위치로부터 돌출편(14d)이 전방으로 돌출하고 있으며, 한쪽 후방부 프레임(5c, 5c)간에 가설된 크로스 멤버(5d)의 중앙에 광체(筐體)(5e)가 고착되며, 동 광체(5e)내에는 고무탄성체(5f)가 감장되어 있고, 상기 전단 슬리브(14a)로부터 돌출한 돌출편(14d)이 전반부를 동 고무탄성체(5f)에 감입하고 있다.
따라서 추축(13)에 축지된 링크부재(14)의 회동을 고무탄성체(5f)를 통하여 탄성적으로 차체 프레임(5)이 규제하고 있다.
이러한 링크부재(14)에 의해 스윙 유닛(15)은, 앞측 상부가 후방부 프레임(5c)에 지지되어 상하로 요동 자유자재로 함과 동시에, 링크부재(14)보다 뒤쪽에 있어서 차체 프레임(5)과의 사이에 리어 쿠션(19)이 개장되어 있다.
스윙 유닛(15)의 유닛 스윙 케이스(16)의 전방부는, 크랭크 케이스(16a)가 구성되어 있어 내연기관(20)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며, 후방부에는 후륜(21)이 축지되고, 내연기관(20)의 동력은 자동변속기능이 딸린 벨트전달기구(22)에 의해 후륜(21)에 전달된다.
연료탱크(23)는, 플로어부(4)의 수평 프레임(5b, 5b)간에 가설 고정되어 탑재되어 있다.
내연기관(20)은, 2사이클 내연기관이며, 실린더(25)가 크랭크 케이스(16a)로부터 수평가까이까지 앞쪽으로 기울어 전방으로 연출하고 있으며, 좌우 한 쌍의 후방부 프레임(5c, 5c)의 급경사부 사이를 동 실린더(25)는 관통한 위치에 있다.
또 그 내연기관(20)은, 크랭크 케이스에 리드 밸브가 설치된 크랭크 케이스 리드 밸브방식을 채용하고 있으며, 도4를 참조하여 크랭크 웨브(36b)의 외주에서 크랭크 케이스(16a)의 상면에 흡기구(16g)를 형성하고 흡기포트에는 리드 밸브(26)가 감장되어 있으며, 흡기구(16g)로부터는 흡기관(27)이 연출하고, 기화기(28)에 접속되어, 도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화기(28)에는 유닛 스윙 케이스(16)의 후방부에 탑재되는 에어클리너(29)가 접속되어 공기가 도입된다.
도4 내지 도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기관(27)은, 크랭크 케이스(16a)의 상면의 중앙위치에 형성되는 흡기구(16g)로부터 위쪽 비스듬히 좌측에 연출하여 만곡하고 뒤쪽으로 연장하여 연결 플랜지부(27a)를 통하여 기화기(28)에 접속된다.
또한 크랭크 케이스(16a)에 있어서 상면 중앙에 흡기구(16g)를 가지고, 전방을 향해 실린더(25)가 연출되어, 흡기구(16g)와 실린더(25)와의 사이의 좌우위치에 한 쌍의 행거 브라켓(17, 17)이 위쪽을 향해 돌출하고 있다.
내연기관(20)의 실린더(25)의 하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출한 배기관(30)은, 크랭크 케이스(16a)의 아래쪽을 뒤쪽으로 또 우측으로 우회하여 차체 우측에 배설된 머플러(31)에 접속하고 있다(도1참조).
또한 플로어부(4)의 수평 프레임(5b)의 후단에서 후방부 프레임(5c)의 상승부에 설치된 브라켓(32)의 선단에 스탠드(33)가 추착(樞着)되어 있다.
도3은, 스윙 유닛(15)을 도1의 부분적으로 다르지만 대략 Ⅲ-Ⅲ선을 따라 재단하여 전개한 단면도이다.
유닛 스윙 케이스(16)는, 앞측 크랭크 케이스(16a)에 있어서 좌측 유닛 케이스(16L)와 우측 유닛 케이스(16R)로 분활되어 있으며, 양 케이스(16L, 16R)를 볼트(35)로 체결하고 있다.
이러한 유닛 스윙 케이스(16)의 전방부가 크랭크 케이스(16a)에 상당하며, 그 전방부에 실린더(25)가 전방으로 연출되어 있다.
크랭크 케이스(16a)내에는 크랭크축(36)이, 오른쪽 케이스(16R)에 장착된 주축수(37R)와 좌측 유닛 케이스(16L)에 장착된 주축수(37L)에 회전 자유자재로 지지되어,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며, 그 양단은 크랭크 케이스(16a)로부터 외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실린더(25)의 실린더 홀(25a)을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24)과 크랭크축(36)의 크랭크 핀(36a)을 커넥팅 로드(34)가 연결하고 있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실린더 홀(25a)에 피스톤(24)에 의해 개폐되는 배기구(25b) 및 소기구(25c)가 설치되며, 배기구(25b)는 하측에 있어 상기 배기관(30)에 접속되고, 소기구(25c)는 좌우 및 상측에 있어 소기통로(25d)로 통하고 있다.
피스톤(24)의 상승행정에 의해 크랭크 케이스부(16a)내에 발생하는 부압에 의해 상기 리드 밸브(26)가 열리고, 혼합기가 상기 기화기(28)로부터 크랭크 케이스부(16a)내에 흡입되고, 피스톤(24)의 하강행정에 의해 압축되어, 소기통로(25d)를 통하여 소기구(25c)로부터 연소측 실린더 홀(25a)로 공급된다.
한편 크랭크축(36)의 오른쪽 단부에는 발전기(38) 및 냉각팬(39)이 장착되며, 좌단에는 벨트전달기구(22)의 드라이브 풀리(40)가 장착됨과 동시에 드라이브 풀리(39)의 우측에는 스타터 원웨이 클러치(41)가 설치되어 있다.
스타터 원웨이 클러치(41)는, 로울러형 원웨이 클러치로, 스타터 드라이븐 기어(42)가 일체로 내륜(42a)을 형성하고, 한쪽에서 내륜(42a)과 베어링(43)을 통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크랭크축(36)과 일체의 외륜(44)이 내주면에 캠면을 형성하여 로울러(45)를 내륜(42a)과의 사이에 개재시킨 것이다(도3참조).
좌측 유닛 케이스(16L)는, 크랭크 케이스부(16a)로부터 뒤쪽에 전동케이스벽(16b)이 연장하며, 좌측 개방면은 파킹(46)을 통하여 전동 케이스 커버(47)에 의해 감싸지고, 그 내부에 벨트전달기구(22)가 수납되어, 크랭크축(46)의 회전이 드라이브 풀리(40), V벨트(48), 드라이븐 풀리(49), 클러치(50)를 거쳐 종동축(51)으로 전달되며, 종동축(51)의 회전이 더욱 감속기어장치(52)를 통하여 후단의 후차륜(53)에 전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크랭크 케이스(16a)로부터 뒤쪽으로 전동 케이스벽(16b)이 연장한 전후로 긴 유닛 스윙 케이스(16)의 좌측 유닛 케이스(16L)는, 도3 및 도7, 도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측 개구의 주위를 외주벽(16c)이 에워싸고, 외주벽(16c)의 단면이 맞댄 면(16d)으로 되어 있으며, 외주벽(16c)의 여기저기에 외방으로 돌출하여 볼트 보스부(16e)가 형성되어 있다.
도7을 참조하여 좌측 유닛 케이스(16L)의 크랭크 케이스(16a)는, 크랭크축(36)을 지지하는 주축수(37L)가 갑합되는 원 구멍을 중심으로 원형으로 전개한 측벽(60)과 그 원주 벽에서 상기 스타터 원웨이 클러치(41)를 수납하는 원형공간(61)이 형성되고, 그 전방의 약간 비스듬히 하측에 감속기어(96)를 수납하는 원형 凹부(63)가 형성되어, 그 원형 凹부(63)의 중심부에 축수홀(63a)이 설치되어 있다.
동 원형 凹부(63)의 일부가 전방으로 대략 반원형으로 팽출한 팽출 凹부(64)가 형성되어 있으며, 동 팽출 凹부(64)에 스타터 모터(80)의 구동축(83)이 위치한다.
따라서 스타터 모터(80) 자체는 도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아 실린더(25)와 겹치는 위치에 설치되며, 유닛 스윙 케이스(16)의 내측에 있어 전동 케이스 커버(47)에 의해 감싸진다.
스타터 모터(80)가 전동 케이스 커버(47)로 감싸지므로, 스타터 모터(80) 자체를 방수구조로 할 필요 없이, 주행시의 흙탕물에 대하여 충분히 보호된다.
스타터 모터(80)는,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상 아우터(81)의 내부에 인너로우터(82)가 구동축(83)을 중심으로 회전 자유자재로 지지되어 있으며, 구동축(83)이 돌출하는 아우터 개구측에 모터 브라켓(85)이 일체로 고착되어 있고, 동 모터 브라켓(85)이 볼트(86)에 의해 좌측 유닛 케이스(16L)에 나착(螺着)됨으로써 스타터 모터(80)는 유닛 스윙 케이스(16)내에 장착된다.
구동축(83)의 모터 브라켓(85)으로부터 외방으로 돌출하는 부분에는, 드라이브 기어(83a)가 형성되어 있다.
좌측 유닛 케이스(16L)의 축수홀(63a)과 대향하는 모터 브라켓(85)의 축수홀에 감속기어축(95)의 양단이 각각 감입되어, 양 감입부 사이에 감속기어(96)가 축수 부시(97)를 통해 회전 자유자재로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도3참조).
감속기어(96)는, 대직경 기어(96a)과 소직경 기어(96b)가 동 축 일체로 구성된 것이다.
소직경 기어(96b)가 크랭크축(36)에 감합된 스타터 원웨이 클러치(41)의 스타터 드라이븐 기어(42)에 맞물리고, 대직경 기어(96a)가 스타터 모터(80)의 구동축(83)의 드라이브 기어(83a)에 맞물린다.
따라서 스타터 모터(80)의 구동은, 감속기어(96), 스타터 원웨이 클러치(41)를 통하여 크랭크축(36)에 전달되어 내연기관(20)의 시동에 공급된다.
도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감속기어(96)의 감속기어축(95)이 감입하는 축수홀(63a)은, 실린더(25)의 소기통로(25d)보다 아래쪽에서 좌측(도8에 있어서 우측)의 견부에 위치하고 있어 감속기어(96)를 아래쪽으로 장출시키는 일없이 실린더(25)의 중심으로 다가가 위치할 수 있어, 내연기관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실린더(25)에는 슈라우드(101)가 입혀지게 되며, 슈라우드(101)의 오른쪽 개구는 냉각팬(39)을 감싸는 팬 커버(102)와 연결되어(도3참조), 냉각팬(39)의 회전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실린더(25)에 유도하여 실린더(25)의 냉각에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도3 및 도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슈라우드(101)의 좌측 벽에는 단면이 직사각형인 접속관(101a)이 왼쪽으로 약간 돌출하고 있으며, 동 접속관(101a)의 앞벽에는 상하로 한 쌍의 돌기(101b, 101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접속관(101a)에 온풍 덕트(103)가 접속된다.
온풍 덕트(103)는, 도10 및 도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이 편평한 직사각형 전후로 긴 관이며, 전단부가 관내를 약간 크게 하여 오른쪽에 직사각형 개구틀(103a)이 형성되어 있고, 그 측벽에 상하 한 쌍의 계합편(104, 104)이 오른쪽에 돌출하고 있다.
계합편(104, 104)에는 작은 구멍(104a, 104a)이 돌설되어 있다.
온풍 덕트(103)는, 동 전단부로부터 굴곡하거나 뒤쪽 비스듬히 상향으로 연장하여 후단에 배출구(103b)가 형성되어 있고, 그 긴 온풍 덕트(103)의 중간에 있어서 좌측면에 왼쪽 방향에 핀(105)이 돌설되어 있으며, 후방부에는 우측면에 핀받침부재(106)가 고착되어 있다.
핀받침부재(106)는, 직사각형 소편(小片)이며, 한쪽에 개구하여 계합홈(106a)이 형성되어 있다.
한쪽 유닛 스윙 케이스(16)의 크랭크 케이스(16a)의 상면에 돌출한 행거 브라켓(17)은, 상부에 상기 피봇축(14b)을 축지하는 축수 러버 부시(17a)가 감입되어 있으며, 그 아래쪽의 측벽에는 소정 개소에 원 구멍(17b)이 형성되어 있다(도7, 도8 참조).
또 흡기구(16g)로부터 연출한 흡기관(27)의 기화기(28)와의 연결 플랜지부(27a)로부터 왼쪽방향을 향해 핀(107)이 돌설되어 있다.
온풍 덕트(103)의 장착에 즈음에서는, 우선 좌측 행거 브라켓(17)의 내측(우측)을 따라 피봇축(14b)과 크랭크 케이스(16a)와의 사이에 온풍 덕트(103)를 통하여, 전단의 직사각형 개구틀(103a)을 슈라우드(101)의 접속관(101a)에 일치시켜, 상하 한 쌍의 계합편(104, 104)의 작은 구멍(104a, 104a)에 접속관(101a)의 앞벽의 돌기(101b, 101b)를 감입하여 계합하고, 온풍 덕트(103)의 좌측면에 돌설된 핀(105)을 행거 브라켓(107)의 측벽의 원 구멍(17b)에 감입하며, 다음으로 온풍 덕트(103)의 후방부 우측면의 핀받침부재(106)의 계합홈(106a)에 흡기관(27)의 연결 플랜지부(27a)에 돌설되어 핀(107)을 계합한다(도5, 도6 참조).
이상과 같이 온풍 덕트(103)는, 전단 직사각형 개구틀(103a)을 슈라우드(101)의 접속관(101a)에 일치시켜 연결하고, 전단을 계합편(104, 104)과 돌기(101b, 101b)의 계합에 의해 위치 결정하여, 중간부를 핀(105)과 원 구멍(17b)과의 감합으로 전후 위치결정이 이루어져 행거 브라켓(17)에 의해 좌측면이 눌러지고, 후방부를 핀받침부재(106)와 핀(107)과의 계합으로 고정되며 또 우측면이 눌러져 유닛 스윙 케이스(16)에 확실하게 장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온풍 덕트(103)의 장착에 나사 등을 이용하지 않고 작업효율을 좋게 하고 있었지만, 당연히 나사 등을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이렇게 하여 온풍 덕트(103)가 장착되면, 실린더(25)에 의해 따뜻해진 공기가 그 온풍 덕트(103)로 유도되어, 후단 배출구(103b)로부터 배출되며, 배출구(103b)에 대향하여 배치된 기화기(28)에 내뿜을 수 있다.
내연기관(20)의 운전 중에 기화열에 의해 냉각되는 기화기(28)를, 온풍의 내뿜음에 의해 어느 정도 이상의 온도로 유지하여 기화성능의 유지를 도모함과 동시에, 한랭지에서는 소위 아이싱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린더(25)의 좌측에 있어서, 실린더 중심선 C-C로부터 하측으로 스타터 모터(80)가 실린더(25)에 측면에서 보아 겹치도록 배치되며, 그 위쪽의 실린더 중심선 C-C로부터 상측의 공간을 이용하여 온풍 덕트(103)가 배설되어 있어, 기화기(28)로의 온풍통로를 확보하면서 스윙 유닛(15)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실린더(25)의 우측은 실린더(25)로의 송풍통로를 형성하는 팬 커버(102)가 설치되며, 반대의 좌측 실린더(25)와 측면에서 보아 겹치는 데드스페이스에 스타터 모터(80)가 배설되므로, 내연기관의 기본 성능에 관한 기구의 레이아웃의 자유도가 큼과 동시에 스타터 모터(80)를 스윙 유닛(15)의 아래쪽으로 장출시키는 일없이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스윙 유닛(15)을 소형화할 수 있다.
실린더(25)는, 수평가까이까지 앞쪽으로 기울어 후방부 프레임(5c, 5c) 사이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시트(6)의 아래쪽의 공간이 확보되어 수납 박스(7)의 용적을 크게 취할 수 있음과 동시에, 휠 베이스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또 행거 커버 브라켓(17)은, 크랭크 케이스(16a)의 상면의 흡기구(16g)와 앞쪽으로 기운 실린더(25)와의 사이의 공간을 이용하여 위쪽을 향해 돌출 배치되어 있으므로, 내연기관(20)의 콤팩트화가 도모되며, 또한 후방부 프레임(5c)과의 관계에서 링크부재(14)의 자유도가 향상한다.
또한 행거 브라켓(17)이 아래쪽으로 돌출하고 있지 않으므로, 최저 지상고도 확보된다.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스타터 모터(80)의 구동을 감속기어(96), 스타터 원웨이 클러치(41)를 통하여 크랭크축(36)에 전달하여 내연기관(20)의 시동을 행하는 구성이었지만, 다른 구동전달기구의 예를 도12에 도시하여 이하 설명한다.
스타터 모터(110)는, 상기 스타터 모터(80)와 거의 같은 측면에서 보아 실린더(121)와 겹치는 위치에 있어서 유닛 스윙 케이스(120)에 좌측으로부터 모터 브라켓(111)을 통하여 볼트(112)에 의해 고착된다.
그리고 상기한 감속기어(96)가 배치되면 거의 같은 실린더(121)의 소기통로(121d)로부터 아래쪽의 견부에 위치하여 스타터 피니온(115)이 배치되어 있다.
스타터 피니온(115)은, 그 피니온 축의 일단이 모터 브라켓(111)의 축수홀에 감입 지지되고, 타단이 유닛 스윙 케이스(120)의 소기통로(121d)로부터 아래쪽의 견부의 축수홀(120a)에 감입 지지된다.
동 스타터 피니온(115)은, 입력측 기어(116)가 스타터 모터(110)의 구동 축에 형성된 드라이브 기어(110a)에 맞물리고 있으며, 출력측 기어(117)는 구동과 동시에 축방향으로 튀어나가 회전한다.
이 튀어나간 출력측 기어(117)에 맞물리는 위치에 있어서 드라이븐 기어(118)가 크랭크축(122)에 일체로 감착되어 있다.
따라서 내연기관의 시동시 이외는 드라이븐 기어(118)는 출력측 기어(117)에 맞물리고 있지 않고, 시동시에 스타터 모터(110)가 구동하면 스타터 피니온(115)의 출력측 기어(117)가 튀어나가 드라이븐 기어(118)와 맞물려 크랭크축(122)을 회전시켜 시동을 행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타터 원웨이 클러치(41) 등은 불필요하다.
또한 스타터 피니온(115)은, 상기 감속기어(96)로부터 커지지만, 실린더(121)의 소기통로(121d)로부터 아래쪽의 견부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실린더(121)의 중심선 C-C근처로 다가가 배치할 수 있어, 따라서 스타터 모터(110)를 좌측 쪽으로 장출시키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 스윙 유닛의 소형화를 유지하는 일이 가능하다.

Claims (5)

  1. 벨트 구동전달장치를 가져 차체에 대하여 요동 자유자재로 지지된 유닛 스윙 내연기관을 구비한 자동이륜차에 있어서, 유닛 스윙 케이스의 전방부의 크랭크 케이스로부터 앞쪽으로 기울어 실린더가 연출하며, 상기 크랭크 케이스의 일측방에 구비하는 냉각팬으로부터 상기 실린더가 같은 측방에 실린더로의 송풍통로를 설치하고, 상기 실린더의 상기 송풍통로와 반대측 측방에 측면에서 보아 같은 실린더에 겹치는 위치에 스타터 모터를 배설하며, 상기 실린더를 헤드 파이프에 연결하는 좌우 한 쌍의 후방부 프레임 간에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닛 스윙 내연기관의 스타터 모터 장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터 모터는, 상기 유닛 스윙 케이스 내에 배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닛 스윙 내연기관의 스타터 모터 장착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연기관은, 크랭크 웨브 외주의 상기 크랭크 케이스 상면에 흡기구를 가지며, 상기 흡기구와 상기 실린더와의 사이에 엔진 행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닛 스윙 내연기관의 스타터 모터 장착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터 모터는, 크랭크축과의 사이에 감속기어기구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감속기어기구의 축수부가 크랭크 케이스에 구비되는 소기통로의 견부에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닛 스윙 내연기관의 스타터 모터 장착구조.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터 모터는, 상기 실린더의 일측방에서 실린더 중심선에서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실린더가 같은 측방의 상기 실린더 중심선에서 상측에는 카뷰레터로의 온풍통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닛 스윙 내연기관의 스타터 모터 장착구조.
KR1019980003871A 1997-02-10 1998-02-10 유닛 스윙 내연기관의 스타터 모터 장착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02788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027122 1997-02-10
JP02712297A JP3613368B2 (ja) 1997-02-10 1997-02-10 ユニットスイング内燃機関のスタータモータ取付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1233A true KR19980071233A (ko) 1998-10-26
KR100278844B1 KR100278844B1 (ko) 2001-01-15

Family

ID=12212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3871A Expired - Fee Related KR100278844B1 (ko) 1997-02-10 1998-02-10 유닛 스윙 내연기관의 스타터 모터 장착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613368B2 (ko)
KR (1) KR100278844B1 (ko)
CN (1) CN1079760C (ko)
IT (1) ITTO9800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86863C (zh) * 2004-08-26 2009-05-13 光阳工业股份有限公司 引擎悬吊装置
US7845329B2 (en) 2005-02-21 2010-12-07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Engine for motorcycle
JP2006257927A (ja) * 2005-03-16 2006-09-28 Kawasaki Heavy Ind Ltd 自動二輪車のスター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65766A (en) * 1980-05-22 1981-12-19 Yamaha Motor Co Ltd Arrangement of starting motor for motorcycle
JPS60179383A (ja) * 1984-02-27 1985-09-13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ユニツトスイング式車輌のエンジン
JP2582275Y2 (ja) * 1993-12-28 1998-09-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用エンジンのスタータ支持装置
JP3391426B2 (ja) * 1995-08-09 2003-03-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タータモータの減速ギアの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TO980099A1 (it) 1999-08-09
JP3613368B2 (ja) 2005-01-26
JPH10218073A (ja) 1998-08-18
CN1191829A (zh) 1998-09-02
KR100278844B1 (ko) 2001-01-15
CN1079760C (zh) 2002-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65960B2 (ja) 自動二輪車のブリーザ装置
JP4818149B2 (ja) パワーユニット
JP3539517B2 (ja) ユニットスイング内燃機関のスタータモータ取付配置構造
US6637399B2 (en) Lubrication structure in OHC engine
KR100278844B1 (ko) 유닛 스윙 내연기관의 스타터 모터 장착구조
US6629517B2 (en) Lubrication structure in four-cycle OHC engine
CN1172078C (zh) 发动机中的回油构造
US6135066A (en) Water-cooled four cycle engine
JP4776561B2 (ja) 強制空冷式内燃機関
JP2006250130A (ja) 強制空冷式エンジン
EP2014890B1 (en) Cooling system of engine for motorcycle
JP4682579B2 (ja) 自動二輪車のパワーユニット
JP3536804B2 (ja) スクータ型車両
KR20010020960A (ko) 스쿠터형 차량
JP2009019705A (ja) 自動二輪車用パワーユニットの変速機ケース冷却構造
CN1131933C (zh) 发动机的冷却装置
JP2004036479A (ja) エンジンの排気用二次空気供給装置
JP2004034822A (ja) 自動二輪車におけるパワーユニット支持構造
JPH1181934A (ja) 内燃機関の弁ばねシート構造
JP3835426B2 (ja) スクータ型車両
JP2004036478A (ja) エンジンにおける組付け用開口部閉塞構造
JP2007126988A (ja) 小型車両のラジエータカバー構造
JP2001329827A (ja) 自動二輪車の4サイクルエンジンのブリーザ構造
JP2005351115A (ja) 内燃機関のオイルポンプ取り付け構造
JP2006022692A (ja) 内燃機関用組立型カム軸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2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2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1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9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10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10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9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9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9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8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1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8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