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36045B1 - 가열장치 및 전자 담배 - Google Patents

가열장치 및 전자 담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6045B1
KR102236045B1 KR1020190011086A KR20190011086A KR102236045B1 KR 102236045 B1 KR102236045 B1 KR 102236045B1 KR 1020190011086 A KR1020190011086 A KR 1020190011086A KR 20190011086 A KR20190011086 A KR 20190011086A KR 102236045 B1 KR102236045 B1 KR 102236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cigarette
heating member
cavity
ba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1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3147A (ko
Inventor
저신 우
중리 쉬
융하이 리
Original Assignee
센젠 퍼스트 유니온 테크놀러지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센젠 퍼스트 유니온 테크놀러지 캄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센젠 퍼스트 유니온 테크놀러지 캄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93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3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04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24F40/465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induction heating
    • A24F47/008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7Temperature contro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22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 H05B3/26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mounted on insulating bas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05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using a suscep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4Sources of curr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05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using a susceptor
    • H05B6/108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using a susceptor for heating a flui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전자 흡연 도구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가열장치 및 전자 담배를 개시한다. 여기서 가열장치는 담배를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서, 베이스; 베이스에 장착되고 담배를 안착시키기 위한 캐비티가 설치되는 프레임; 프레임에 감김 설치되는 전자기 유도 코일; 캐비티 내에 설치되어 담배가 캐비티에 안착될 경우 담배의 외면에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열부재; 및 베이스에 장착되어 담배가 캐비티에 안착될 경우 담배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2 가열부재를 포함하되,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열부재는 제2 가열부재의 외곽에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열부재에는 전자기 유도 코일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갭이 형성된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가열장치는 센트럴 히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담배에 대해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어 전자 흡연 도구로 하여금 양호한 입맛을 구비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가열장치 및 전자 담배{HEATING DEVICE AND SMOKING SET HAVING SAME}
본원 발명은 전자 흡연 도구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열장치 및 전자 담배에 관한 것이다.
담배는 한가지 기호품으로서 많은 사람의 사랑을 받고 있으나 담배 중의 담배 타르, 일산화탄소 등 물질은 인체의 건강에 유해한바, 특히 담배 타르에 함유된 10여가지 성분은 발암물질로서 인체의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친다. 현재 각 나라 정부에서는 이미 공공장소에서 담배(궐련)를 피는 것을 금지했으나 담배에 중독된 흡연자에게 있어서 더는 담배를 피우지 않도록 하는 것은 아주 고통스러운 일이 되었다. 따라서 시장에는 금연 구강정, 전자 담배 등과 같은 수많은 담배의 대체물이 출시되었다.
전자 담배는 담배(또는 담배 카트리지)에 대해 가열 무화하는 것을 통해 담배 연기를 발생하는 장치이다. 전자 담배는 담배와 비슷한 외관과 담배와 비슷한 맛을 가짐과 동시에 전자 담배에는 담배에 존재하는 타르, 부유 미립자 등 유해물질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갈수록 수많은 사용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선행기술에서는 통상적으로 아래와 같은 두가지 방식을 사용하여 담배를 가열한다. 1. 가열소자를 담배에 삽입하고 전자기 유도를 통해 가열소자로 하여금 열량을 발생하도록 하여 담배를 가열하도록 하며; 2. 센트럴 히팅과 사방 가열 정합의 방식을 사용하여 전자기 유도를 통해 센트럴 히팅소자와 사방 가열소자로 하여금 열량을 발생하도록 하여 담배를 가열하도록 한다.
본원 발명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발명자는 관련 기술에 아래와 같은 기술적 과제가 존재함을 발견하였다: 상기 첫번째 가열방법을 사용하게 되면 가열이 불균형(담배 내부의 온도가 높고 외측의 온도가 낮음)하여 전자 담배의 입맛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고; 상기 두번째 가열방법을 사용하게 되면 사방 가열소자가 통상적으로 하나의 폐합된 환형이고 환형의 금속 가열소자는 자기 유도 코일이 환형 본체에 집중적으로 분포되도록 하여 센트럴 가열소자에 대해 자기장 차폐 효과를 이루게 되므로 센트럴 가열소자가 자속에 대한 흡수 전환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센트럴 히팅 효율이 저하됨과 동시에 가열 분균형을 초래하여 전자 담배의 입맛에 영향을 주게 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의 실시예는 가열장치 및 전자 담배를 제공함으로써 센트럴 히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가열이 균일하도록 하여 전자 흡연 도구로 하여금 양호한 입맛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의 실시예는 아래와 같은 기술적 해결수단을 제공한다.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담배를 안착시키기 위한 캐비티가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감김 설치되어 상기 캐비티 내에서 교번 자기장을 발생하는 전자기 유도 코일; 상기 캐비티 내에 설치되어 상기 담배가 상기 캐비티에 안착될 경우 상기 담배의 외면에 접촉됨과 동시에 상기 교번 자기장 내에서 와류를 발생하여 상기 담배를 가열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열부재; 및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어 상기 담배가 상기 캐비티에 안착될 경우 상기 담배의 내부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교번 자기장 내에서 와류를 발생하여 상기 담배를 가열하도록 배치되는 제2 가열부재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열부재는 상기 제2 가열부재의 외곽에 설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열부재에는 상기 전자기 유도 코일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갭이 형성되는 가열장치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열부재는 두개의 제1 가열부재를 포함하고 두개의 제1 가열부재 사이는 상기 캐비티 내벽의 원주를 따라 기설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상기 갭을 형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두개의 제1 가열부재는 상기 담배의 외면과 서로 매칭되는 제1 호형 가열 시트와 제2 호형 가열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호형 가열 시트와 상기 제2 호형 가열 시트는 상기 제2 가열부재의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가열부재는 시트 상 구조이고 제1 면과 제2 면을 가지며 상기 제1 면의 면적은 상기 제2 면의 면적보다 크고 상기 제1 면은 상기 갭을 향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1 호형 가열 시트의 양단점은 현 수직을 연결 형성하고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호형 가열 시트의 양단점은 현 수직을 연결 형성하며 상기 제2 면과 상기 제1 호형 가열 시트의 양단점은 현 평형을 연결 형성하고 상기 제2 면과 상기 제2 호형 가열 시트의 양단점은 현 평형을 연결 형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가열장치는 상기 전자기 유도 코일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열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캐비티 내의 열량이 밖으로 전도되는 것을 감소시키기 위한 단열층을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는 돌기부와 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기 캐비티에 임베드되어 상기 프레임으로 하여금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에는 고정구조가 설치되어 상기 제2 가열부재로 하여금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게 장착되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가열장치는 상기 제2 가열부재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열부재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열부재와 제2 가열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의 실시예는 다른 기술적 해결수단을 제공한다.
전원모듈과 상술한 바와 같은 가열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전원모듈과 상기 가열장치의 전자기 유도 코일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자기 유도 코일에 교류전류를 제공하는 전자 담배를 제공한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의 유리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선행기술에서의 상황과 달리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가열장치는 상기 제1 가열부재가 상기 담배에 대해 밖으로부터 안으로 가열함과 동시에 상기 제2 가열부재를 통해 상기 담배에 대해 안으로부터 밖으로 가열함으로써 상기 담배를 균일하게 가열하도록 하고 제1 가열부재에 상기 전자기 유도 코일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갭이 형성될 수 있어 상기 제2 가열부재가 자속을 충분히 흡수 전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2 가열부재의 가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담배에 대한 센트럴 히팅 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어 담배에 대한 균일한 가열을 진일보로 담보하여 흡입과정에서 담배 맛이 일치하도록 유지하고 전자담배의 입맛을 향상시키며 사용자의 체험을 향상시킨다.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는 그와 대응되는 도면에서의 이미지를 통해 예시적으로 설명되나 이러한 예시적인 설명은 실시예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숫자부호를 가지는 소자는 유사한 소자를 나타내며 특별히 설명되지 않은 한 도면에서의 이미지는 비례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자 담배의 구조모식도;
도 2는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자 담배의 단면도인 바, 여기서 전자 담배의 전원모듈은 생략됨;
도 3은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자 담배의 분해도인 바, 여기서 전자 담배의 전원모듈은 생략됨;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담배의 가열장치의 구조모식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담배의 가열장치의 분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담배의 가열장치의 평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가열장치의 베이스의 입체모식도;
도 8은 도 4에 도시된 가열장치의 프레임과 제1 가열부재의 연결관계의 모식도;
도 9는 도 4에 도시된 가열장치의 베이스와 제2 가열부재의 연결관계의 모식도;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가열장치의 제2 가열부재의 모식도;
도 11은 도 4에 도시된 가열장치의 전자기 유도 코일과 도 1에 도시된 전원모듈의 연결관계의 모식도;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담배의 전원모듈의 구조모식도이다.
본원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이하 도면과 구체적인 실시예를 결부하여 본원 발명에 대해 더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소자가 다른 소자에 "고정”되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한 소자에 직접적으로 고정되거나 또는 그 사이에 하나 또는 다수의 소자가 존재할 수 있음을 말한다. 하나의 소자가 다른 한 소자에 "연결”되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한 소자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그 사이에 하나 또는 다수의 소자가 존재할 수 있음을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수직된”, "수평된”, "좌”, "우”, "상”, "하”, "내”, "외”, "밑부분” 등이 지시하는 방위 또는 위치 관계는 도면이 도시하는 방위 또는 위치 관계로서 본원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고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한 것일 뿐 지시하는 장치 또는 소자가 반드시 특정된 방위, 특정된 방위구조와 동작을 구비함을 지시하거나 암시하기 위한 것이 아니므로 본원 발명에 대한 한정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 이 외에 용어 "제1", "제2" 등은 목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상대적인 중요성을 지시하거나 암시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
별도로 정의되지 않은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모든 기술적 용어와 과학적 용어는 본원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통상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하다. 본원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구체적인 실시예의 목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원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및/또는”은 하나 또는 다수의 관련 열거 항목의 임의의 조합과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이 외에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원 발명의 상이한 실시예에 관한 기술적 특징은 서로 충돌되지 않는 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도 3을 참조하면 이는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자 담배이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자 담배(300)는 가열장치(100), 전원모듈(110) 및 담배(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모듈(110)과 상기 가열장치(100)의 전자기 유도 코일(50)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자기 유도 코일(50)에 교류전류를 제공한다. 상기 가열장치(100)는 담배(200)를 가열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담배(200)는 한가지 또는 여러 가지 성형된 연초 막대기 등 일 수 있다. 상기 담배(200)는 상기 가열장치(100)에 안착되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가열장치(100)에는 캐비티(201)가 설치되어 상기 담배(200)를 안착시킨다. 상기 가열장치(100)는 상기 담배(200)를 가열하여 상기 담배(200)로 하여금 연소하는 방식이 아닌 가열을 거쳐 직접 흡입 가능한 담배 연기를 발생하도록 하고 상기 담배(200)는 담배 연기를 발생하는 과정에서 연소되어 타르 등 유해가스를 발생하지 않으므로 흡연자 및 간접 흡연자의 신체에 가져오는 위해를 절감하게 된다.
이하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가열장치(1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도 6을 참조하고 도2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가열장치(100)는 베이스(10), 프레임(20),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열부재(30), 제2 가열부재(40) 및 전자기 유도 코일(5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20)은 상기 베이스(10)에 장착된다. 상기 프레임(20)에는 캐비티(201)가 설치되고 상기 캐비티(201)는 상기 담배(200)를 안착시키는데 사용된다. 상기 전자기 유도 코일(50)은 상기 프레임(20)에 감김 설치되고 상기 전자기 유도 코일(50)은 상기 캐비티(201) 내에서 교번 자기장을 발생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열부재(30)와 상기 제2 가열부재(40)로 하여금 와류를 발생하도록 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열부재(30)는 상기 캐비티(201) 내에 설치되어 상기 담배(200)가 상기 캐비티(201)에 안착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열부재(30)로 하여금 상기 담배(200)의 외면에 접촉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교번 자기장 내에서 와류를 발생하여 상기 담배(200)를 가열하고 또 직접 상기 담배(200)의 외면을 가열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열부재(30)는 상기 제2 가열부재(40)의 외곽에 설치되고 전자기 유도 코일(50)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갭(304)을 형성하여 자속을 충분히 이용하도록 담보함으로써 상기 제2 가열부재(40)가 자속에 대한 흡수전환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한다. 상기 캐비티(201)에서의 자기 유도 코일은 기본적으로 상기 전자기 유도 코일(50)의 축방향에 평형되어 캐비티(201)를 통과하고 캐비티(201)의 원주방향에서 상기 갭(304)의 위치와 대응되며 자기 유도 코일은 갭(304)을 통과함과 동시에 상기 제2 가열부재(40)에 집중 분포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열부재(30)가 설치된 갭이 아닌 부분에 대응하여 자기 유도 코일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열부재(30)의 금속본체에 집중 분포된다. 상기 제2 가열부재(40)는 상기 베이스(10)에 장착되어 상기 담배(200)가 상기 캐비티(201)에 안착될 경우 상기 제2 가열부재(40)는 상기 담배(200)의 내부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교번 자기장 내에서 와류를 발생하여 상기 담배(200)를 가열하고 직접적으로 상기 담배(200)의 내부를 가열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열부재(30)는 상기 담배(200)를 밖에서부터 안으로 가열함과 동시에 상기 제2 가열부재(40)를 통해 상기 담배(200)를 안으로부터 밖으로 가열하여 상기 담배(200)를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열부재(30)에는 갭(304)이 형성되어 상기 제2 가열부재(40)로 하여금 자속을 충분히 흡수 전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2 가열부재(40)의 가열효율을 향상시키며 담배(200)의 센트럴 히팅 효율을 향상시켜 담배(200)를 균일하게 가열하는 것을 담보하고 전자 담배(300)의 입맛을 향상시킨다.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10)는 돌기부(101)와 기부(102)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101)와 상기 기부(102)는 일체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기부(101)와 상기 기부(102)는 주조, 프레싱 등 방식을 통해 일체로 연결될 수 있는바, 여기서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일부 기타 실시예에서 상기 돌기부(101)는 분해 가능하게 상기 기부(102)에 연결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돌기부(101)는 대체적으로 원기둥 구조인 바, 상기 돌기부(101)는 상기 프레임(20)의 캐비티(201)에 임베드되어 상기 프레임(20)으로 하여금 상기 베이스(10)에 장착되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10)에는 고정구조(103)가 설치되어 상기 제2 가열부재(40)로 하여금 상기 베이스(10)에 고정 장착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기부(101)에는 상기 고정구조(103)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구조(103)는 요홈이며 상기 제2 가열부재(40)의 일단은 상기 요홈에 임베드되어 상기 제2 가열부재(40)로 하여금 상기 베이스(10)에 고정 장착되도록 한다. 일부 기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가열부재(40)는 나사 연결 등과 같은 기타 방식으로 상기 베이스(10)에 장착될 수도 있다.
도 4-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20)은 대체적으로 중공 원기둥인 바, 상기 프레임(20)의 내경은 상기 돌기부(101)의 외경보다 좀 커 상기 돌기부(101)가 상기 프레임(20)에 임베드되어 상기 프레임(20)으로 하여금 상기 베이스(10)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내경은 물체 내부 원의 직경이고 외경은 물체 외부 원의 직경이다. 상기 프레임(20)이 중공이므로 상기 프레임(20)에는 캐비티(201)가 설치되고 상기 캐비티(201)는 상기 담배(200)를 안착하는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담배(200)의 부분은 상기 캐비티(201) 내에 수용되고 다른 한 부분은 상기 캐비티(201) 밖으로 연장된다.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열부재(30)는 상기 캐비티(201) 내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레임(20)의 내벽에는 걸림홈(202)이 설치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열부재(30)로 하여금 상기 프레임(20)에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열부재(30)가 상기 캐비티(201) 내에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담배(200)가 상기 캐비티(201)에 안착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열부재(30)는 상기 담배(200)와 상기 프레임(2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열부재(30)는 상기 담배(200)의 외면과 접촉됨과 동시에 상기 교번 자기장 내에서 와류를 발생하여 상기 담배(200)를 가열함으로써 상기 담배(200)가 받는 열이 이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전달되도록 배치된다(도 6에서의 제1방향). 여기서 상기 담배(200)의 외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열부재(30)에 근접하는 면을 말한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자기 가열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담배(200)를 가열하므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열부재(30)는 금속도체에 의해 제조되며 바람직하게는 자기 전도 재료로 제조되어 전자기 유도 가열의 효과를 더 양호하도록 하는바, 예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열부재(30)는 철분 코어, 철 니켈 50, 철 실리콘 알루미늄, 철 니켈 몰리브덴 등 재료로 제조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열부재(30)에는 상기 전자기 유도 코일(50)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갭(304)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열부재(30)는 두개의 제1 가열부재를 포함하고 두개의 제1 가열부재 사이는 상기 갭(304)을 형성하도록 상기 캐비티(201) 내벽의 원주를 따라 기설정 거리를 두고 설치된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자기 유도 코일(50)이 설치되고 전자기 가열 방식으로 상기 담배(200)를 가열하므로 자속을 충분히 이용하고 제2 가열부재(40)가 자속에 대한 흡수 전환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열부재(30)가 상기 담배(200)의 외면을 감쌀 경우 갭(304)이 형성되어야 하는바, 예하면 두개의 제1 가열부재 사이는 밀폐된 환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갭(304)을 형성하도록 상기 캐비티(201) 내벽의 원주를 따라 기설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야 한다. 여기서 상기 갭(304)은 1개, 2개, 3개 또는 4개 등 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갭(304)의 수량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두개의 제1 가열부재는 상기 담배(200) 외면과 서로 매칭되는 제1 호형 가열 시트(301)와 제2 호형 가열 시트(30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호형 가열 시트(301)와 상기 제2 호형 가열 시트(302)는 상기 제2 가열부재(40)의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되어 갭(304)을 형성함으로써 제2 가열부재(40)가 자속을 흡수 전환할 수 있도록 담보함과 동시에 대칭되게 설치되는 것은 상기 담배(200)로 하여금 균일하게 가열될 수 있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두개의 제1 가열부재는 일체 부재일 수도 있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두개의 제1 가열부재는 하나의 슬리브 일 수 있고 상기 슬리브의 측벽에는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의 종방향 및 상기 슬리브의 측벽을 완전히 통과하지 않은 홈이 개설되어 상기 갭(304)을 형성한다.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2 가열부재(40)는 상기 베이스(10)에 장착되는바,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가열부재(40)의 일단이 상기 요홈에 임베드되어 상기 베이스(10)에 고정 장착된다. 상기 담배(200)가 상기 캐비티(201)에 안착될 경우 상기 제2 가열부재(40)는 상기 담배(200)의 내부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교번 자기장 내에서 와류를 발생하여 상기 담배(200)를 가열함으로써 상기 담배(200)가 받는 열이 그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전달되도록 배치된다(도 6에서의 제2 방향). 상기 제2 가열부재(40)의 제조재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열부재(30)와 유사한데 상기 제2 가열부재(40)는 금속도체, 바람직하게는 자기 전도 재료로 제조되어 전자기 유도 가열의 효과를 더 양호하도록 하는바, 예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열부재(40)는 철분 코어, 철 니켈 50, 철 실리콘 알루미늄, 철 니켈 몰리브덴 등 재료로 제조된다.
상기 제2 가열부재(40)는 시트 상 구조이고 제1 면(401)과 제2 면(402)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면(401)의 면적은 상기 제2 면(402)의 면적보다 크고 상기 제1 면(401)은 상기 갭(304)을 향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면(401)과 상기 제1 호형 가열 시트(301)의 양단점은 현 수직을 연결 형성하고 상기 제1 면(401)과 상기 제2 호형 가열 시트(302)의 양단점은 현 수직을 연결 형성하며 상기 제2 면(402)과 상기 제1 호형 가열 시트(301)의 양단점은 현 평형을 연결 형성하고 상기 제2 면(402)과 상기 제2 호형 가열 시트(302)의 양단점은 현 평형을 연결 형성한다. 상기 제2 가열부재(40)가 시트 상 구조이고 상기 제1 면(401)의 면적이 상기 제2 면(402)의 면적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제2 가열부재(40)가 상기 제1 면(401)에서 발생한 열량은 상기 제2 면(402)에서 발생한 열량보다 큼과 동시에 상기 제1 호형 가열 시트(301)와 상기 제2 호형 가열 시트(302) 사이에 갭(304)을 형성하여 상기 제1 호형 가열 시트(301)와 상기 제2 호형 가열 시트(302) 부근 영역의 온도가 상기 갭(304) 부근의 영역보다 높도록 하며 상기 제1 면(401)과 상기 제1 호형 가열 시트(301)의 양단점이 현 수직을 연결 형성하고 상기 제1 면(401)과 상기 제2 호형 가열 시트(302)의 양단점이 현 수직을 연결 형성하며 상기 제2 면(402)과 상기 제1 호형 가열 시트(301)의 양단점이 현 평형을 연결 형성하고 상기 제2 면(402)과 상기 제2 호형 가열 시트(302)의 양단점이 현 평형을 연결 형성하는 설치방식을 통해 상기 담배(200)가 균일하게 열을 받도록 함으로써 전자 담배(300)의 입맛을 향상시킨다.
도 4-도 6을 다시 참조하면 상기 전자기 유도 코일(50)은 상기 프레임(20)에 감김 설치되는바, 구체적으로 상기 프레임(20)에는 제1 제한부(205) 및 제2 제한부(206)가 설치되고 상기 전자기 유도 코일(50)은 통일된 방향으로 상기 제1 제한부(205) 및 상기 제2 제한부(206) 사이에 감김 설치된다. 상기 전자기 유도 코일(50)은 변화하는 자기장을 발생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열부재(30)와 상기 제2 가열부재(40)가 와류를 발생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교류전류가 상기 전자기 유도 코일(50)을 흐를 경우(예하면 고속으로 변화하는 고주파 고압 전류가 상기 전자기 유도 코일(50)을 흐를 경우) 고속으로 변화하는 교번 자기장을 발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열부재(30)와 상기 제2 가열부재(40)는 교번 자기장에 안착되어 절단운동을 진행하여 교류 자력선을 절단함으로써 교류하는 전류(즉 와류)를 발생하며 와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열부재(30)와 상기 제2 가열부재(40)의 캐리어가 고속 불규칙적으로 운동하도록 하고 캐리어는 서로 부딪치고 마찰하여 열량을 발생함으로써 상기 담배(200)를 가열하는 효과를 발생한다. 상기 전자기 유도 코일(50)은 도전재료로 제조되는바, 예하면 상기 전자기 유도 코일(50)은 도전성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한 동선, 알루미늄선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기 유도 코일(50)의 설치 개수는 두개일 수 있고 제1 코일(미도시)과 제2 코일(미도시)을 포함하며 제1 코일과 제2 코일은 모두 상기 프레임(20) 외곽에 감김 설치되고 제1 코일과 제2 코일의 권회수는 상이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열부재(30)와 상기 제2 가열부재(40)의 가열속도를 변화시킴으로써 가열효과의 조절이 더 영활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기 유도 코일(50)의 외부에는 절연층(미도시)을 도포할 수 있는데 상기 절연층은 전자기 유도 코일(50)의 누전을 방지한다. 상기 절연층은 절연재료로 제조될 수 있는바, 예하면 합성수지,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4250 플라스틱, 폴리이미드 플라스틱, 성형 플라스틱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가열장치(100)는, 상기 전자기 유도 코일(50)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열부재(3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캐비티(201) 내의 열량을 밖으로 전달하는 단열층(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상기 단열층은 단열재료로 제조되는바, 예하면 단열 접착제, 에어로겔, 석면, 규산알루미늄, 규산칼슘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단열층은 열량이 쉽게 유실되지 않도록 하고 사용이 더 안전하도록 함으로써 열효율과 보온을 향상시키는 효과에 도달한다.
상기 가열장치(100)는 상기 제2 가열부재(40)에 설치되는 온도센서(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온도센서(60)는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온도센서(60)는 제어기와 통신하여 제어기를 통해 가열장치(100)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바, 온도 제어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전자 담배(300)의 제어기 일 수도 있고 외부 기기(예하면 단말기기)의 제어기 일 수도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온도센서(6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열부재(30)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열부재(30)와 제2 가열부재(40)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원모듈(11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전원모듈(110)과 상기 전자기 유도 코일(50)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자기 유도 코일(50)에 전기(교류 전류)가 통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자기 유도 코일(50)은 제1 포트(501)와 제2 포트(502)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모듈(110)은 도선을 통해 상기 제1 포트(501)와 상기 제2 포트(502)와 연결되어 상기 전자기 유도 코일(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전자기 유도 코일(50)에 전기(교류 전류)가 통하도록 하여 전자기 유도 코일(50)로 하여금 전자기 유도를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전자기 유도법칙에 근거하여 상기 전원모듈(110)이 상기 전자기 유도 코일(50)에 교류 전류가 흐르도록 할 경우 상기 전자기 유도 코일(50)에 교번 자기장이 발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열부재(30)와 상기 제2 가열부재(40)는 교번 자기장에 안착되어 절단운동을 진행하여 교류 자력선을 절단함으로써 교류하는 전류(즉 와류)를 발생하여 상기 담배(200)를 가열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모듈(110)은 USB포트(1101), 전지(1102), 제어유닛(1103), 충전회로(1104), 방전회로(1105), 전압검출회로(1106), 두개의 스위치(1107), 전원관리회로(1108) 및 인버터(1109)를 포함한다. 전지(1102)는 충전회로(1104) 및 방전회로(1105)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지(1102)와 충전회로(1104) 사이에는 스위치(1107)가 설치되며 전지(1102)와 방전회로(1105) 사이에는 다른 한 스위치(1107)가 설치된다. 충전회로(1104)와 방전회로(1105)는 모두 USB포트(11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USB포트(1101)를 통해 외부전원과 연결된다. 전압검출회로(1106)는 상기 USB포트(110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모듈(110)이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지를 검출한다. 제어유닛(1103)은 두개의 스위치(1107) 및 전압검출회로(1106)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방전회로(1105)는 전원관리회로(1108)와 연결되고 전원관리회로(1108)와 인버터(1109)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인버터(1109)는 직류전류를 교류전류로 전환하고 인버터(1109)와 전자기 유도 코일(50)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자기 유도 코일(50)에 전기를 공급한다. 전압검출회로(1106)가 전압을 검출하면, 즉 전원모듈(110)이 외부 전원과 접속하면 제어유닛(1103)에 전기 신호를 발송하고 제어유닛(1103)은 상기 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전지(1102)와 충전회로(1104) 사이에 위치한 스위치(1107)를 제어하여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변화시키며 외부 전원의 전류는 충전회로(1104)를 거쳐 전지(1102)에 충전된다. 전압검출회로(1106)가 전압을 검출하지 못하면, 즉 전원모듈(110)이 외부 전원과 접속하지 못하면 제어유닛(1103)에 다른 전기 신호를 발송하고 제어유닛(1103)은 상기 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전지(1102)와 방전회로(1105) 사이에 위치한 스위치(1107)(즉 다른 한 스위치(1107))를 제어하여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변화시키며 전지(1102)의 전류는 방전회로(1105)와 전원관리회로(1108)를 거쳐 인버터(1109)에 흐르고 인버터(1109)는 직류 전류를 교류 전류로 전환하여 전자기 유도 코일(50)에 전기를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가열장치(100)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열부재(30)는 상기 담배(200)에 대해 밖으로부터 안으로 가열함과 동시에 상기 제2 가열부재(40)를 통해 상기 담배(200)에 대해 안으로부터 밖으로 가열함으로써 상기 담배(200)를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열부재(30)에 상기 전자기 유도 코일(50)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갭(304)이 형성되므로 상기 제2 가열부재(40)가 자속을 충분히 흡수 전환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제2 가열부재(40)의 가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담배(200)에 대한 센트럴 히팅 효율을 향상시 담배(200)에 대한 균일한 가열을 진일보로 담보하여 흡입과정에서 담배 맛이 일치하도록 유지하고 전자담배(300)의 입맛을 향상시키며 사용자의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설명해야 할 것은, 이상의 실시예는 단지 본원 발명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이에 대해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본원 발명의 맥락하에 이상의 실시예 또는 상이한 실시예의 기술적 특징 사이는 서로 조합될 수 있으며 단계는 임의의 순서로 실현될 수 있고 상술한 본원 발명의 상이한 양태의 여러 가지 기타 변화가 존재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하여 이들은 세부 절차에서 제공되지 않았는바, 비록 상술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원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응당 본원 발명이 여전히 상술한 각 실시예에 기재된 기술적 해결수단에 대해 수정할 수 있거나 그 중의 일부 기술적 특징을 동등하게 대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 또는 대체는 상응한 기술적 해결수단의 본질이 본원 발명의 각 실시예의 기수적 해결수단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Claims (10)

  1. 담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담배를 안착시키기 위한 캐비티가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감김 설치되어 상기 캐비티 내에서 교번 자기장을 발생하는 전자기 유도 코일;
    상기 캐비티 내에 설치되어 상기 담배가 상기 캐비티에 안착될 경우 상기 담배의 외면에 접촉됨과 동시에 상기 교번 자기장 내에서 와류를 발생하여 상기 담배를 가열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열부재; 및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어 상기 담배가 상기 캐비티에 안착될 경우 상기 담배의 내부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교번 자기장 내에서 와류를 발생하여 상기 담배를 가열하도록 배치되는 제2 가열부재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열부재는 상기 제2 가열부재의 외곽에 설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열부재에는 상기 전자기 유도 코일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갭이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열부재는 두 개의 제1 가열부재를 포함하고 두 개의 제1 가열부재 사이는 상기 캐비티 내벽의 원주를 따라 기설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상기 갭을 형성하고,
    상기 제2 가열부재는 시트 상 구조이고 제1 면과 제2 면을 가지며 상기 제1 면의 면적은 상기 제2 면의 면적보다 크고 상기 제1 면은 상기 갭을 향하는, 가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제1 가열부재는 상기 담배의 외면과 서로 매칭되는 제1 호형 가열 시트와 제2 호형 가열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호형 가열 시트와 상기 제2 호형 가열 시트는 상기 제2 가열부재의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되는, 가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1 호형 가열 시트의 양단점은 현 수직을 연결 형성하고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호형 가열 시트의 양단점은 현 수직을 연결 형성하며 상기 제2 면과 상기 제1 호형 가열 시트의 양단점은 현 평형을 연결 형성하고 상기 제2 면과 상기 제2 호형 가열 시트의 양단점은 현 평형을 연결 형성하는, 가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장치는,
    상기 전자기 유도 코일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열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캐비티 내의 열량이 밖으로 전도되는 것을 감소시키기 위한 단열층을 더 포함하는, 가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돌기부와 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기 캐비티에 임베드되어 상기 프레임으로 하여금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도록 하는, 가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고정구조가 설치되어 상기 제2 가열부재로 하여금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게 장착되도록 하는, 가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장치는,
    상기 제2 가열부재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열부재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열부재와 제2 가열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가열장치.
  8. 전원모듈과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가열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전원모듈과 상기 가열장치의 전자기 유도 코일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자기 유도 코일에 교류전류를 제공하는, 전자 담배.
  9. 삭제
  10. 삭제
KR1020190011086A 2018-01-31 2019-01-29 가열장치 및 전자 담배 Active KR1022360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20171493.9U CN207766584U (zh) 2018-01-31 2018-01-31 一种加热装置及电子烟
CN201820171493.9 2018-01-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147A KR20190093147A (ko) 2019-08-08
KR102236045B1 true KR102236045B1 (ko) 2021-04-02

Family

ID=63179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1086A Active KR102236045B1 (ko) 2018-01-31 2019-01-29 가열장치 및 전자 담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596177B2 (ko)
EP (1) EP3469936B1 (ko)
JP (1) JP6766192B2 (ko)
KR (1) KR102236045B1 (ko)
CN (1) CN207766584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17268A1 (en) * 2015-04-29 2018-05-03 Poda Technologies Ltd. Vaporizer, apparatus, device, and methods
CN107666837B (zh) * 2015-06-10 2021-06-25 菲利普莫里斯生产公司 电气溶胶生成系统
CN108367128B (zh) * 2015-12-22 2022-10-21 菲利普莫里斯生产公司 带电机的气溶胶生成系统
US10624392B2 (en) * 2015-12-22 2020-04-21 Altria Client Services Llc Aerosol-generating system with motor
US10772354B2 (en) * 2016-05-31 2020-09-15 Altria Client Services Llc Heater and wick assembly for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US10524508B2 (en) * 2016-11-15 2020-01-07 Rai Strategic Holdings, Inc. Induction-based aerosol delivery device
MY201540A (en) * 2016-12-02 2024-02-28 Vmr Products Llc Combination vaporizer
US10765148B2 (en) * 2016-12-27 2020-09-08 Altria Client Services Llc E-vaping device including e-vaping case with sliding mechanism for initiating vapor generation
JP6671543B2 (ja) * 2017-04-24 2020-03-25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装置並びに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094993B2 (en) * 2018-08-10 2021-08-17 Rai Strategic Holdings, Inc. Charge circuitry for an aerosol delivery device
CN108783613A (zh) * 2018-09-10 2018-11-13 深圳博英特科技有限公司 一种感应式电磁加热电子烟
JP2020058236A (ja) * 2018-10-04 2020-04-16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吸引成分生成装置、制御回路、吸引成分生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KR20210082181A (ko) 2018-10-19 2021-07-02 쥴 랩스, 인크. 기화기 전력 시스템
WO2020109123A1 (en) * 2018-11-26 2020-06-04 Jt International Sa Induction heating assembly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199793B1 (ko) * 2018-12-11 2021-01-0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270185B1 (ko) * 2018-12-11 2021-06-2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199796B1 (ko) 2018-12-11 2021-01-0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유도 가열 방식으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장치 및 시스템
KR102381044B1 (ko) * 2018-12-21 2022-03-31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유도가열히터를 갖는 미세입자발생장치
WO2020166888A1 (ko) * 2019-02-14 2020-08-20 주식회사 아모센스 궐련형 전자담배장치용 발열히터 및 이를 포함하는 궐련형 전자담배장치
US10986677B2 (en) 2019-03-05 2021-04-20 Dialog Semiconductor Kore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to access point in WLAN network
KR102253046B1 (ko) * 2019-03-05 2021-05-1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제조 방법
EP3937703A1 (en) 2019-03-11 2022-01-19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Apparatus for aerosol generating system
CN112167719A (zh) * 2019-07-04 2021-01-05 青岛颐中科技有限公司 一种低温烟具
KR102413550B1 (ko) * 2019-07-23 2022-06-2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히터 조립체, 히터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 및 히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392126B1 (ko) * 2019-08-02 2022-04-2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가열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US20220287376A1 (en) * 2019-08-23 2022-09-15 Philip Morris Products S.A. Temperature detection in peripherally heated aerosol-generating device
JP7357776B2 (ja) * 2019-09-19 2023-10-06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横方向の気流を可能にする誘導ヒーター
WO2021053030A1 (en) * 2019-09-19 2021-03-25 Philip Morris Products S.A. Induction heater comprising central and peripheral susceptor
KR102733229B1 (ko) * 2019-10-02 2024-11-25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형상 기억 재료로 형성된 서셉터 가열 요소
JP6816240B1 (ja) * 2019-10-28 2021-01-20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吸引器用の制御装置及びエアロゾル吸引器
KR102423895B1 (ko) 2019-11-25 2022-07-2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히터 조립체,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CN110731541B (zh) * 2019-12-05 2022-01-28 江苏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设有加热装置的卷式烟弹
EP4074197A4 (en) * 2019-12-09 2023-01-18 Shenzhen First Union Technology Co., Ltd. SUSCEPTOR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CN212117076U (zh) * 2020-01-08 2020-12-11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气雾生成装置
KR20220122704A (ko) * 2020-01-30 2022-09-02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누출 방지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CN113197348A (zh) * 2020-02-03 2021-08-03 深圳易佳特科技有限公司 一种电磁感应加热温控烤烟器
CN111278183A (zh) * 2020-02-26 2020-06-12 深圳麦时科技有限公司 加热件及电磁加热烘烤装置
KR102436024B1 (ko) * 2020-02-26 2022-08-2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광학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CN212233104U (zh) * 2020-03-26 2020-12-29 深圳麦克韦尔科技有限公司 气溶胶发生装置及其电磁加热组件
CN113508930A (zh) * 2020-04-11 2021-10-19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气雾生成装置及感受器
KR102427858B1 (ko) * 2020-04-22 2022-08-0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CN113712266A (zh) * 2020-05-25 2021-11-30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气雾生成装置、感受器及制备方法
EP4151103B1 (en) 2020-05-12 2024-04-10 Shenzhen First Union Technology Co., Ltd.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susceptor
KR102509092B1 (ko) * 2020-05-20 2023-03-1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히터 조립체 및 그의 제조 방법
EP4159059B1 (en) * 2020-05-25 2025-04-02 Shenzhen First Union Technology Co., Ltd. Aerosol producing apparatus, indu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CN112089107A (zh) * 2020-09-09 2020-12-18 深圳市斯永威科技有限公司 烘烤装置及其加热元件、烘烤装置的控制方法及存储介质
CN112089113B (zh) * 2020-10-13 2024-11-19 惠州市沛格斯科技有限公司 加热模组及发烟装置
GB202016483D0 (en) * 2020-10-16 2020-12-02 Nicoventures Holdings Ltd Aerosol provision device and heating system
GB202016479D0 (en) * 2020-10-16 2020-12-02 Nicoventures Trading Ltd Aerosol provision device
KR102508888B1 (ko) * 2020-10-21 2023-03-10 주식회사 아이티엠반도체 이중 가열 방식의 전자 담배용 발열 장치와 방법 및 전자 담배
CN112790441A (zh) * 2020-12-30 2021-05-14 深圳市基克纳科技有限公司 一种雾化装置的加热组件
TW202235018A (zh) * 2021-02-02 2022-09-16 瑞士商傑太日煙國際股份有限公司 用於氣溶膠產生裝置之感應加熱組件
TW202231200A (zh) * 2021-02-02 2022-08-16 瑞士商傑太日煙國際股份有限公司 用於氣溶膠產生裝置之感應加熱組件
TW202231197A (zh) * 2021-02-02 2022-08-16 瑞士商傑太日煙國際股份有限公司 氣溶膠產生裝置和氣溶膠產生系統
TW202235017A (zh) * 2021-02-02 2022-09-16 瑞士商傑太日煙國際股份有限公司 氣溶膠產生裝置和氣溶膠產生系統
KR20230142485A (ko) * 2021-02-02 2023-10-11 제이티 인터내셔널 소시에떼 아노님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TW202231196A (zh) * 2021-02-02 2022-08-16 瑞士商傑太日煙國際股份有限公司 氣溶膠產生裝置和氣溶膠產生系統
CN112804778A (zh) * 2021-02-05 2021-05-1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加热装置及生产线
GB202108806D0 (en) * 2021-06-18 2021-08-04 Nicoventures Trading Ltd Aerosol provision device
CN113367410A (zh) * 2021-06-28 2021-09-10 惠州市新泓威科技有限公司 电磁感应发热的气溶胶生成装置
WO2023286143A1 (ja) * 2021-07-13 2023-01-19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WO2023016767A1 (en) * 2021-08-12 2023-02-16 Jt International S.A. Heat-not-burn aerosol-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 transparent heater
CN113647697A (zh) * 2021-08-23 2021-11-16 深圳麦克韦尔科技有限公司 加热器及加热雾化装置
CN113647698A (zh) * 2021-08-23 2021-11-16 深圳麦克韦尔科技有限公司 雾化介质载体及雾化系统
CN114223965A (zh) * 2021-12-24 2022-03-25 普维思信(深圳)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电磁感应加热的不燃烧电子烟具
CN115736381B (zh) * 2022-10-28 2024-12-13 深圳烟草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电磁感应识别加热卷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98395A1 (en) * 2011-12-30 2013-07-04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improved temperature distribution
WO2017036950A2 (en) * 2015-08-31 2017-03-09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imited Apparatus for heating smokable material
JP2017533732A (ja) 2014-11-11 2017-11-16 ジェイティー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エス.エイ. 電子蒸気吸入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310A (en) * 1897-06-29 Alternating-current electric heater
US20170119047A1 (en) * 2015-10-30 2017-05-04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imited Article for Use with Apparatus for Heating Smokable Material
CN107454700A (zh) * 2017-08-22 2017-12-08 苏州三桓电子科技有限公司 非接触式电感加热体于制备雾和/或烟生成装置中的用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98395A1 (en) * 2011-12-30 2013-07-04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improved temperature distribution
JP2017533732A (ja) 2014-11-11 2017-11-16 ジェイティー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エス.エイ. 電子蒸気吸入器
WO2017036950A2 (en) * 2015-08-31 2017-03-09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imited Apparatus for heating smokable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596177B2 (en) 2023-03-07
JP6766192B2 (ja) 2020-10-07
US20190230987A1 (en) 2019-08-01
EP3469936A2 (en) 2019-04-17
CN207766584U (zh) 2018-08-24
KR20190093147A (ko) 2019-08-08
EP3469936B1 (en) 2021-10-20
JP2019134701A (ja) 2019-08-15
EP3469936A3 (en) 2019-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6045B1 (ko) 가열장치 및 전자 담배
US11044947B2 (en) Vaporizer and low-temperature baked smoking set
CN207754554U (zh) 一种加热装置及烟具
KR102229937B1 (ko) 가열장치 및 흡연 도구
CN110199569A (zh) 用于加热可抽吸材料的装置
EP3858175B1 (en) Tobacco-heating smoking set
CN110447303A (zh) 感应线圈装置
KR20200090886A (ko)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에 적합한 관형 가열 요소
JP2024001095A (ja) エアロゾル化可能材料に適した加熱要素
KR20230084601A (ko)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에 대한 인증 및 연령 검증
JP7289364B2 (ja) ヒータ及び低温ベーク型喫煙具
CN207754555U (zh) 一种加热装置及烟具
JP2019535221A (ja) エアロゾル発生物品用の加熱装置の充電可能な電気エネルギー源を充電するためのワイヤレス充電システム
CN108634378B (zh) 一种基于磁材料的低温烘烤烟具
CN108669656B (zh) 一种低温加热烟具
JP2023126884A (ja) エアロゾル供給デバイス
CN110049586A (zh) 一种电磁加热组件以及采用该加热组件的烟具
EP4287885A1 (en)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CN211861810U (zh) 一种电子烟发热芯系统
US20230380502A1 (en) Aerosol provision device
CN221204159U (zh) 一种感应加热气溶胶生成装置
CN217609586U (zh) 气雾生成装置
RU2810880C2 (ru) Аутентификация и верификация возраста для устройства подачи аэрозоля
CN116965597A (zh) 一种感应加热气溶胶生成装置
CN110150747A (zh) 一种电磁感应加热的烘烤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8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01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8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01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10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1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103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1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10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3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3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