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9816B1 - 반도체 제조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제조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49816B1 KR102049816B1 KR1020170147841A KR20170147841A KR102049816B1 KR 102049816 B1 KR102049816 B1 KR 102049816B1 KR 1020170147841 A KR1020170147841 A KR 1020170147841A KR 20170147841 A KR20170147841 A KR 20170147841A KR 102049816 B1 KR102049816 B1 KR 1020498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e
- state
- block
- imaging
- surface si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4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7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79 visual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91 liquid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50 progres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01L22/10—Measuring as part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 H01L22/12—Measuring as part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structural parameters, e.g. thickness, line width, refractive index, temperature, warp, bond strength, defects, optical inspection, electrical measurement of structural dimensions, metallurgic measurement of diffus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32—Apparatus for placing on an insulating substrate, e.g. tap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44—Apparatus for mounting on conductive members, e.g. leadframes or conductors on insulating substrat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1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substrate being handled substantially verticall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3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with gripping and holding devices using a vacuum; Bernoulli devi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 H01L21/6871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 H01L21/68721—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characterised by edge clamping, e.g. clamping r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01L22/30—Structura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r specially adapted for reliability measureme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93—Batch processes
- H01L24/95—Batch processes at chip-level, i.e. with connecting carried out on a plurality of singulated devices, i.e. on diced chip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93—Batch processes
- H01L2224/95—Batch processes at chip-level, i.e. with connecting carried out on a plurality of singulated devices, i.e. on diced c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Wire Bonding (AREA)
- Die Bond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다이 공급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다이 공급부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도 4는 도 1의 다이 본더의 개략 구성과 그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제어계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제조 장치에 있어서의 다이 본딩 공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7은 크랙 검출폭 확대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다이의 외관 검사 인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9는 밀어올림 유닛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다이 변형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다이 변형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다이 변형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다이의 외관 검사 인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중간 스테이지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중간 스테이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다이 변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제조 장치에 있어서의 다이 본딩 공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이 변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 다이 공급부
13 : 밀어올림 유닛
131 : 블록부
1311 : 제1 블록
1312 : 제2 블록
1313 : 제3 블록
132 : 흡착부
2 : 픽업부
24 : 웨이퍼 인식 카메라
3 : 얼라인먼트부
31 : 중간 스테이지
311 : 스테이지
312 : 스테이지 베이스
313 : 흡착 구멍
316 : 개구부
32 : 스테이지 인식 카메라
4 : 본딩부
41 : 본딩 헤드
42 : 콜릿
44 : 기판 인식 카메라
5 : 반송부
8 : 제어부
BS : 본딩 스테이지
D : 다이
P : 기판
Claims (30)
- 웨이퍼를 보유 지지하는 웨이퍼 보유 지지대와 웨이퍼로부터 다이를 밀어올리는 밀어올림 유닛을 구비하는 다이 공급부와,
상기 밀어올림 유닛 상방의 다이의 자세를 촬상하는 촬상부와,
상기 밀어올림 유닛에 의해 상기 다이의 상면측으로 볼록 또는 오목하게 되는 개소를 형성하도록 상기 다이를 변형시키고, 상기 촬상부에 의해 상기 다이의 상면을 촬상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웨이퍼 보유 지지대는,
상기 다이가 접착된 다이싱 테이프를 보유 지지하는 웨이퍼 링과,
상기 다이싱 테이프를 인장하여 확장하는 익스팬더
를 구비하고,
상기 밀어올림 유닛은,
상기 다이를 밀어올리는 블록부와,
상기 다이의 주변의 상기 다이싱 테이프를 흡착하는 흡착부
를 구비하고,
상기 블록부는 복수의 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블록부의 외주는 상기 다이의 외주보다도 작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블록 중 모든 블록으로 상기 다이를 밀어올려 상기 다이의 상면측이 볼록하게 되도록 상기 다이를 변형시키는 제1 상태와,
상기 복수의 블록 중 외측의 블록을 내측의 블록보다도 낮은 상태에서, 상기 내측의 블록으로 상기 다이를 밀어올려 상기 다이의 상면측이 볼록하게 되도록 상기 다이를 변형시키는 제2 상태에서 상기 다이를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하고,
크랙이 없는 다이에 대하여,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의 각각의 상태에서 촬상한 원화상과, 검사 대상의 다이에 대하여,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의 각각의 상태에서 촬상한 검사 화상을 비교하여, 크랙을 검사하도록 구성되는 반도체 제조 장치. - 웨이퍼를 보유 지지하는 웨이퍼 보유 지지대와 웨이퍼로부터 다이를 밀어올리는 밀어올림 유닛을 구비하는 다이 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밀어올림 유닛 상방의 다이의 자세를 촬상하는 촬상부와,
상기 밀어올림 유닛에 의해 상기 다이의 상면측으로 볼록 또는 오목하게 되는 개소를 형성하도록 상기 다이를 변형시키고, 상기 촬상부에 의해 상기 다이의 상면을 촬상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웨이퍼 보유 지지대는,
상기 다이가 접착된 다이싱 테이프를 보유 지지하는 웨이퍼 링과,
상기 다이싱 테이프를 인장하여 확장하는 익스팬더
를 구비하고
상기 밀어올림 유닛은,
상기 다이를 밀어올리는 블록부와,
상기 다이의 주변의 상기 다이싱 테이프를 흡착하는 흡착부
를 구비하고,
상기 블록부는 복수의 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블록부의 외주는 상기 다이의 외주보다도 작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블록 중 모든 블록으로 상기 다이를 밀어올려 상기 다이의 상면측이 볼록하게 되도록 상기 다이를 변형시키는 제1 상태와,
상기 복수의 블록 중 내측의 블록을 외측의 블록보다도 낮은 상태에서, 상기 외측의 블록으로 상기 다이를 밀어올려 상기 다이의 상면측이 오목하게 되도록 상기 다이를 변형시키는 제3 상태에서 상기 다이를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하고,
크랙이 없는 다이에 대하여,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3 상태의 각각의 상태에서 촬상한 원화상과, 검사 대상의 다이에 대하여,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3 상태의 각각의 상태에서 촬상한 검사 화상을 비교하여, 크랙을 검사하도록 구성되는 반도체 제조 장치. - 웨이퍼를 보유 지지하는 웨이퍼 보유 지지대와 웨이퍼로부터 다이를 밀어올리는 밀어올림 유닛을 구비하는 다이 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밀어올림 유닛 상방의 다이의 자세를 촬상하는 촬상부와,
상기 밀어올림 유닛에 의해 상기 다이의 상면측으로 볼록 또는 오목하게 되는 개소를 형성하도록 상기 다이를 변형시키고, 상기 촬상부에 의해 상기 다이의 상면을 촬상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웨이퍼 보유 지지대는,
상기 다이가 접착된 다이싱 테이프를 보유 지지하는 웨이퍼 링과,
상기 다이싱 테이프를 인장하여 확장하는 익스팬더
를 구비하고,
상기 밀어올림 유닛은,
상기 다이를 밀어올리는 블록부와,
상기 다이의 주변의 상기 다이싱 테이프를 흡착하는 흡착부
를 구비하고,
상기 블록부는 복수의 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블록부의 외주는 상기 다이의 외주보다도 작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흡착부로 상기 다이를 흡착하고, 상기 복수의 블록의 각각 블록을 상기 흡착부의 상면보다도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다이의 상면측이 오목하게 되도록 상기 다이를 변형시키고, 상기 다이의 각각의 상태를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하고,
크랙이 없는 다이에 대하여, 상기 각각의 상태에서 촬상한 원화상과, 검사 대상의 다이에 대하여, 상기 각각의 상태에서 촬상한 검사 화상을 비교하여, 크랙을 검사하도록 구성되는 반도체 제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부는,
최외주에 설치되는 제1 블록과,
상기 제1 블록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2 블록과,
상기 제2 블록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3 블록
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a) 상기 제1 블록이 상기 제2 블록 및 상기 제3 블록보다도 낮은 상태이고, 상기 제2 블록 및 제3 블록으로 상기 다이를 밀어올려 상기 다이의 상면측이 볼록하게 되도록 상기 다이를 변형시키는 상태와,
(b)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이 상기 제3 블록보다도 낮은 상태이고, 상기 제3 블록으로 상기 다이를 밀어올려 상기 다이의 상면측이 볼록하게 되도록 상기 다이를 변형시키는 상태
에서 상기 다이를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하고,
크랙이 없는 다이에 대하여, 상기 (a) 상태 및 상기 (b) 상태의 각각의 상태에서 촬상한 원화상과,
검사 대상의 다이에 대하여, 상기 (a) 상태 및 상기 (b) 상태의 각각의 상태에서 촬상한 검사 화상
을 비교하여, 크랙을 검사하도록 구성되는 반도체 제조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부는,
최외주에 설치되는 제1 블록과,
상기 제1 블록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2 블록과,
상기 제2 블록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3 블록
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c) 상기 제2 블록 및 제3 블록이 상기 제1 블록보다도 낮은 상태이고, 상기 제1 블록으로 상기 다이를 밀어올려 상기 다이의 상면측이 오목하게 되도록 상기 다이를 변형시키는 상태와,
(d) 상기 제3 블록이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보다도 낮은 상태이고,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으로 상기 다이를 밀어올려 상기 다이의 상면측이 오목하게 되도록 상기 다이를 변형시키는 상태
에서 상기 다이를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하고,
크랙이 없는 다이에 대하여, 상기 (c) 상태 및 상기 (d) 상태의 각각의 상태에서 촬상한 원화상과,
검사 대상의 다이에 대하여, (c) 상태 및 상기 (d) 상태의 각각의 상태에서 촬상한 검사 화상을 비교하여, 크랙을 검사하도록 구성되는 반도체 제조 장치.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를 이미 본딩되어 있는 다이 위에 본딩하는 본딩 헤드를 갖는 본딩부를 더 구비하는 반도체 제조 장치.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를 픽업하는 픽업 헤드를 더 구비하는 반도체 제조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된 다이를 기판 또는 이미 본딩된 다이 위에 본딩하는 본딩부를 더 구비하는 반도체 제조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중간 스테이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픽업된 다이는 상기 중간 스테이지에 재치되고,
상기 본딩부는 상기 중간 스테이지에 재치된 다이를 상기 기판 또는 이미 상기 기판에 본딩된 다이 위에 본딩하도록 구성되는 반도체 제조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된 다이는 상하 반전되고,
상기 본딩부는 상기 상하 반전된 다이를 상기 기판에 본딩하도록 구성되는 반도체 제조 장치.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블록부 중 어느 블록도 상기 다이를 밀어올리지 않음으로써 상기 다이를 변형시키지 않은 제4 상태에서 상기 다이를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하고,
크랙이 없는 다이에 대하여, 상기 제4 상태에서 촬상한 원화상과,
검사 대상의 다이에 대하여, 상기 제4 상태에서 촬상한 검사 화상
을 비교하여, 크랙을 검사하도록 구성되는 반도체 제조 장치. - 다이를 픽업하는 픽업 헤드와,
상기 픽업된 다이가 재치되는 중간 스테이지와,
상기 중간 스테이지에 재치된 다이를 기판 또는 이미 기판에 본딩된 다이 위에 본딩하는 본딩 헤드와,
상기 중간 스테이지 상방의 다이의 자세를 촬상하는 촬상부와,
상기 중간 스테이지에서 상기 다이의 상면측으로 오목하게 되는 개소를 형성하도록 상기 다이를 변형시키고, 상기 촬상부에 의해 상기 다이의 상면을 촬상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스테이지는,
상기 다이의 외주 부근을 진공 흡착하는 흡착 구멍과,
상기 다이의 중앙 부근을 진공 흡인 또는 에어 분출하는 개구부
를 구비하고,
상기 흡착 구멍은 제1 경로로 진공원에 접속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1 경로와는 독립된 제2 경로로 진공원 또는 에어원에 접속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흡착 구멍에서 상기 다이를 흡착하고, 상기 개구부에서 상기 다이를 진공 흡인하여 상기 다이의 상면측이 오목하게 되도록 상기 다이를 변형시키는 제1 상태와, 상기 흡착 구멍에서 상기 다이를 흡착하고, 상기 개구부에서 상기 다이를 에어 분출하여 상기 다이의 상면측이 볼록하게 되도록 상기 다이를 변형시키는 제2 상태에서 상기 다이를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하고,
크랙이 없는 다이에 대하여,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의 각각의 상태에서 촬상한 원화상과, 검사 대상의 다이에 대하여,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의 각각의 상태에서 촬상한 검사 화상을 비교하여, 크랙을 검사하도록 구성되는 반도체 제조 장치. - 다이를 픽업하는 픽업 헤드와,
상기 픽업된 다이가 재치되는 중간 스테이지와,
상기 중간 스테이지에 재치된 다이를 기판 또는 이미 기판에 본딩된 다이 위에 본딩하는 본딩 헤드와,
상기 중간 스테이지 상방의 다이의 자세를 촬상하는 촬상부와,
상기 중간 스테이지에서 상기 다이의 상면측으로 볼록하게 되는 개소를 형성하도록 상기 다이를 변형시키고, 상기 촬상부에 의해 상기 다이의 상면을 촬상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스테이지는,
상기 다이의 외주 부근을 진공 흡착하는 흡착 구멍과,
상기 다이의 중앙 부근을 진공 흡인 또는 에어 분출하는 개구부
를 구비하고,
상기 흡착 구멍은 제1 경로로 진공원에 접속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1 경로와는 독립된 제2 경로로 진공원 또는 에어원에 접속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흡착 구멍에서 상기 다이를 흡착하고 상기 개구부에서 상기 다이를 진공 흡인하여 상기 다이의 상면측이 오목하게 되도록 상기 다이를 변형시키는 제1 상태에서 상기 다이를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하고,
제1 상태는 복수의 진공압으로 진공 흡인한 복수의 상태를 포함하고,
크랙이 없는 다이에 대하여, 상기 제1 상태의 상기 복수의 상태의 각각의 상태에서 촬상한 원화상과, 검사 대상의 다이에 대하여, 상기 제1 상태의 상기 복수의 상태의 각각에서 촬상한 검사 화상을 비교하여, 크랙을 검사하도록 구성되는 반도체 제조 장치. -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공원으로부터의 진공압 및 상기 에어원으로부터의 에어압을, 임의로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반도체 제조 장치. -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다이의 크기와 동등 또는 상기 다이의 외주부를 보유 지지하는 위치를 제외한 크기인 반도체 제조 장치. - 다이를 픽업하는 픽업 헤드와,
상기 픽업된 다이가 재치되는 중간 스테이지와,
상기 중간 스테이지에 재치된 다이를 기판 또는 이미 기판에 본딩된 다이 위에 본딩하는 본딩 헤드와,
상기 중간 스테이지 상방의 다이의 자세를 촬상하는 촬상부와,
상기 중간 스테이지에서 상기 다이의 상면측으로 볼록하게 되는 개소를 형성하도록 상기 다이를 변형시키고, 상기 촬상부에 의해 상기 다이의 상면을 촬상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스테이지는,
상기 다이의 외주 부근을 진공 흡착하는 흡착 구멍과,
상기 다이의 중앙 부근을 진공 흡인 또는 에어 분출하는 개구부
를 구비하고,
상기 흡착 구멍은 제1 경로로 진공원에 접속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1 경로와는 독립된 제2 경로로 진공원 또는 에어원에 접속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흡착 구멍에서 상기 다이를 흡착하고 상기 개구부에서 상기 다이를 에어 분출하여 상기 다이의 상면측이 볼록하게 되도록 상기 다이를 변형시키는 제2 상태에서 상기 다이를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하고,
제2 상태는 복수의 에어압으로 에어 분출한 복수의 상태를 포함하고,
크랙이 없는 다이에 대하여, 상기 제2 상태의 상기 복수의 상태의 각각의 상태에서 촬상한 원화상과, 검사 대상의 다이에 대하여, 상기 제2 상태의 상기 복수의 상태의 각각의 상태에서 촬상한 검사 화상을 비교하여, 크랙을 검사하도록 구성되는 반도체 제조 장치. - 제12항, 제13항, 및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또한,
상기 흡착 구멍에서 상기 다이를 흡착하고 상기 개구부에서 진공 흡인도 에어 분출도 하지 않은 제3 상태에서
크랙이 없는 다이에 대하여, 상기 제3 상태에서 촬상한 원화상과,
검사 대상의 다이에 대하여, 상기 제3 상태에서 촬상한 검사 화상을 비교하여, 크랙을 검사하도록 구성되는 반도체 제조 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공원으로부터의 진공압 및 상기 에어원으로부터의 에어압을, 임의로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반도체 제조 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다이의 크기와 동등 또는 상기 다이의 외주부를 보유 지지하는 위치를 제외한 크기인 반도체 제조 장치. - 제12항, 제13항, 제16항, 제18항, 및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웨이퍼를 보유 지지하는 웨이퍼 보유 지지대와 웨이퍼로부터 다이를 밀어올리는 밀어올림 유닛을 구비하는 다이 공급부를 더 구비하는 반도체 제조 장치. - (a) 다이를 보유 지지하는 웨이퍼 보유 지지대를 픽업 위치로 이동시키는 공정과,
(b) 상기 다이의 상면측으로 볼록 또는 오목하게 되는 개소를 형성하도록 상기 다이를 변형시키는 공정과,
(c) 촬상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b) 공정에서 변형시킨 다이의 상면의 외관을 검사하는 공정과,
(d) 상기 촬상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다이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b) 공정은 상기 다이의 하방으로부터 블록부를 밀어올려 행하고,
상기 촬상 장치는, 상기 웨이퍼 보유 지지대의 다이를 촬상하는 웨이퍼 인식 카메라이고,
상기 블록부는 복수의 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블록부의 외주는 상기 다이의 외주보다도 작고,
상기 (c) 공정은,
상기 복수의 블록의 모든 블록으로 상기 다이를 밀어올려 상기 다이의 상면측이 볼록하게 되도록 상기 다이를 변형시키는 제1 상태와,
상기 복수의 블록 중 외측의 블록을 내측의 블록보다도 낮은 상태에서, 상기 내측의 블록으로 상기 다이를 밀어올려 상기 다이의 상면측으로 볼록하게 되도록 상기 다이를 변형시키는 제2 상태에서 상기 다이를 촬상하고,
크랙이 없는 다이에 대하여,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의 각각의 상태에서 촬상한 원화상과, 검사 대상의 다이에 대하여,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의 각각의 상태에서 촬상한 검사 화상을 비교하여, 크랙을 검사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 (a) 다이를 보유 지지하는 웨이퍼 보유 지지대를 픽업 위치로 이동시키는 공정과,
(b) 상기 다이의 상면측으로 볼록 또는 오목하게 되는 개소를 형성하도록 상기 다이를 변형시키는 공정과,
(c) 촬상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b) 공정에서 변형시킨 다이의 상면 외관을 검사하는 공정과,
(d) 상기 촬상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다이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공정
을 구비하고,
상기 (b) 공정은 상기 다이의 하방으로부터 블록부를 밀어올려 행하고,
상기 촬상 장치는 상기 웨이퍼 보유 지지대의 다이를 촬상하는 웨이퍼 인식 카메라이고,
상기 블록부는 복수의 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블록부의 외주는 상기 다이의 외주보다도 작고,
상기 (c) 공정은,
상기 복수의 블록의 모든 블록으로 상기 다이를 밀어올려 상기 다이의 상면측이 볼록하게 되도록 상기 다이를 변형시키는 제1 상태와,
상기 복수의 블록 중 내측의 블록을 외측의 블록보다도 낮은 상태에서, 상기 외측의 블록으로 상기 다이를 밀어올려 상기 다이의 상면측이 오목하게 되도록 상기 다이를 변형시키는 제3 상태에서 상기 다이를 상기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하고,
크랙이 없는 다이에 대하여,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3 상태의 각각의 상태에서 촬상한 원화상과, 검사 대상의 다이에 대하여,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3 상태의 각각의 상태에서 촬상한 검사 화상을 비교하여, 크랙을 검사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 (a) 다이를 보유 지지하는 웨이퍼 보유 지지대를 픽업 위치로 이동시키는 공정과,
(b) 상기 다이의 상면측으로 볼록 또는 오목하게 되는 개소를 형성하도록 상기 다이를 변형시키는 공정과,
(c) 촬상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b) 공정에서 변형시킨 다이의 상면 외관을 검사하는 공정과,
(d) 상기 촬상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다이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공정
을 구비하고,
상기 (b) 공정은 상기 다이의 하방으로부터 블록부를 밀어올려 행하고,
상기 촬상 장치는 상기 웨이퍼 보유 지지대의 다이를 촬상하는 웨이퍼 인식 카메라이고,
상기 블록부는,
복수의 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블록부의 외주는 상기 다이의 외주보다도 작고,
상기 (c) 공정은,
흡착부로 상기 다이를 흡착하고, 상기 복수의 블록의 각각 블록을 상기 흡착부의 상면보다도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다이의 상면측이 오목하게 되도록 상기 다이를 변형시키고, 상기 다이의 각각의 상태를 상기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하고,
크랙이 없는 다이에 대하여, 상기 각각의 상태에서 촬상한 원화상과, 검사 대상의 다이에 대하여, 상기 각각의 상태에서 촬상한 검사 화상을 비교하여, 크랙을 검사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부는,
최외주에 설치되는 제1 블록과,
상기 제1 블록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2 블록과,
상기 제2 블록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3 블록
을 구비하고,
상기 (c) 공정은,
(C) 상기 제1 블록이 상기 제2 블록 및 상기 제3 블록보다도 낮은 상태이고, 상기 제2 블록 및 상기 제3 블록으로 상기 다이를 밀어올려 상기 다이의 상면측이 볼록하게 되도록 상기 다이를 변형시키는 상태와,
(D)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이 상기 제3 블록보다도 낮은 상태이고, 상기 제3 블록으로 상기 다이를 밀어올려 상기 다이의 상면측이 볼록하게 되도록 상기 다이를 변형시키는 상태
에서 상기 다이를 촬상하고,
크랙이 없는 다이에 대하여, 상기 (C) 상태 및 상기 (D) 상태의 각각의 상태에서 촬상한 원화상과,
검사 대상의 다이에 대하여, 상기 (C) 상태 및 상기 (D) 상태의 각각의 상태에서 촬상한 검사 화상
을 비교하여, 크랙을 검사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부는,
최외주에 설치되는 제1 블록과,
상기 제1 블록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2 블록과,
상기 제2 블록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3 블록
을 구비하고,
상기 (c) 공정은,
(C) 상기 제2 블록 및 상기 제3 블록이 상기 제1 블록보다도 낮은 상태이고, 상기 제1 블록으로 상기 다이를 밀어올려 상기 다이의 상면측이 볼록하게 되도록 상기 다이를 변형시키는 상태와,
(D) 상기 제3 블록이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보다도 낮은 상태이고,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으로 상기 다이를 밀어올려 상기 다이의 상면측이 오목하게 되도록 상기 다이를 변형시키는 상태
에서 상기 다이를 촬상하고,
크랙이 없는 다이에 대하여, 상기 (C) 상태 및 상기 (D) 상태의 각각의 상태에서 촬상한 원화상과,
검사 대상의 다이에 대하여, 상기 (C) 상태 및 상기 (D) 상태의 각각의 상태에서 촬상한 검사 화상을 비교하여, 크랙을 검사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 (a) 다이를 보유 지지하는 웨이퍼 보유 지지대를 픽업 위치로 이동시키는 공정과,
(b) 상기 다이의 상면측으로 볼록 또는 오목하게 되는 개소를 형성하도록 상기 다이를 변형시키는 공정과,
(c) 촬상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b) 공정에서 변형시킨 다이의 상면 외관을 검사하는 공정과,
(d) 상기 촬상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다이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공정
을 구비하고,
상기 (b) 공정은 상기 다이가 재치되는 중간 스테이지에서 행하고,
상기 촬상 장치는 상기 중간 스테이지의 다이를 촬상하는 스테이지 인식 카메라이고,
상기 중간 스테이지는,
상기 다이의 외주 부근을 진공 흡착하는 흡착 구멍과,
상기 다이의 중앙 부근을 진공 흡인 또는 에어 분출하는 개구부
를 구비하고,
상기 흡착 구멍은 제1 경로로 진공원에 접속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1 경로와는 독립된 제2 경로로 진공원 또는 에어원에 접속되고,
상기 (c) 공정은,
상기 흡착 구멍에서 상기 다이를 흡착하고 상기 개구부에서 상기 다이를 진공 흡인한 제1 상태와, 상기 흡착 구멍에서 상기 다이를 흡착하고 상기 개구부에서 상기 다이를 에어 분출한 제2 상태에서 상기 다이를 촬상하고,
크랙이 없는 다이에 대하여,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의 각각의 상태에서 촬상한 원화상과, 검사 대상의 다이에 대하여,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의 각각의 상태에서 촬상한 검사 화상을 비교하여, 크랙을 검사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 (a) 다이를 보유 지지하는 웨이퍼 보유 지지대를 픽업 위치로 이동시키는 공정과,
(b) 상기 다이의 상면측으로 볼록 또는 오목하게 되는 개소를 형성하도록 상기 다이를 변형시키는 공정과,
(c) 촬상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b) 공정에서 변형시킨 다이의 상면 외관을 검사하는 공정과,
(d) 상기 촬상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다이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공정
을 구비하고,
상기 (b) 공정은 상기 다이가 재치되는 중간 스테이지에서 행하고,
상기 촬상 장치는 상기 중간 스테이지의 다이를 촬상하는 스테이지 인식 카메라이고,
상기 중간 스테이지는,
상기 다이의 외주 부근을 진공 흡착하는 흡착 구멍과,
상기 다이의 중앙 부근을 진공 흡인 또는 에어 분출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흡착 구멍은 제1 경로로 진공원에 접속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1 경로와는 독립된 제2 경로로 진공원 또는 에어원에 접속되고,
상기 (c) 공정은,
상기 흡착 구멍에서 상기 다이를 흡착하고 상기 개구부에서 상기 다이를 진공 흡인하여 상기 다이의 상면측이 오목하게 되도록 상기 다이를 변형시키는 제1 상태에서 상기 다이를 상기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하고,
제1 상태는 복수의 진공압으로 진공 흡인한 복수의 상태를 포함하고,
크랙이 없는 다이에 대하여, 상기 제1 상태의 상기 복수의 상태의 각각의 상태에서 촬상한 원화상과, 검사 대상의 다이에 대하여, 상기 제1 상태의 상기 복수의 상태의 각각에서 촬상한 검사 화상을 비교하여, 크랙을 검사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 (a) 다이를 보유 지지하는 웨이퍼 보유 지지대를 픽업 위치로 이동시키는 공정과,
(b) 상기 다이의 상면측으로 볼록 또는 오목하게 되는 개소를 형성하도록 상기 다이를 변형시키는 공정과,
(c) 촬상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b) 공정에서 변형시킨 다이의 상면 외관을 검사하는 공정과,
(d) 상기 촬상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다이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공정
을 구비하고,
상기 (b) 공정은 상기 다이가 재치되는 중간 스테이지에서 행하고,
상기 촬상 장치는 상기 중간 스테이지의 다이를 촬상하는 스테이지 인식 카메라이고,
상기 중간 스테이지는,
상기 다이의 외주 부근을 진공 흡착하는 흡착 구멍과,
상기 다이의 중앙 부근을 진공 흡인 또는 에어 분출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흡착 구멍은 제1 경로로 진공원에 접속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1 경로와는 독립된 제2 경로로 진공원 또는 에어원에 접속되고,
상기 (c) 공정은,
상기 흡착 구멍에서 상기 다이를 흡착하고 상기 개구부에서 상기 다이를 에어 분출한 제2 상태에서 상기 다이를 촬상하고,
상기 제2 상태는 복수의 에어압으로 에어 분출한 복수의 상태를 포함하고,
크랙이 없는 다이에 대하여, 상기 제2 상태의 상기 복수의 상태의 각각의 상태에서 촬상한 원화상과, 검사 대상의 다이에 대하여, 상기 제2 상태의 상기 복수의 상태의 각각의 상태에서 촬상한 검사 화상을 비교하여, 크랙을 검사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 제2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 공정은, 또한,
상기 블록부 중 어느 블록도 상기 다이를 밀어올리지 않음으로써 상기 다이를 변형시키지 않은 제4 상태에서 상기 다이를 상기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하고,
크랙이 없는 다이에 대하여, 상기 제4 상태에서 촬상한 원화상과,
검사 대상의 다이에 대하여, 상기 제4 상태에서 촬상한 검사 화상을 비교하여, 크랙을 검사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 제26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 공정은, 또한,
상기 흡착 구멍에서 상기 다이를 흡착하고 상기 개구부에서 진공 흡인도 에어 분출도 하지 않은 제3 상태에서 상기 다이를 촬상하고,
크랙이 없는 다이에 대하여, 상기 제3 상태에서 촬상한 원화상과,
검사 대상의 다이에 대하여, 상기 제3 상태에서 촬상한 검사 화상을 비교하여, 크랙을 검사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7011997A JP6653273B2 (ja) | 2017-01-26 | 2017-01-26 | 半導体製造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
JPJP-P-2017-011997 | 2017-01-2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88261A KR20180088261A (ko) | 2018-08-03 |
KR102049816B1 true KR102049816B1 (ko) | 2019-11-29 |
Family
ID=63010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47841A Expired - Fee Related KR102049816B1 (ko) | 2017-01-26 | 2017-11-08 | 반도체 제조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6653273B2 (ko) |
KR (1) | KR102049816B1 (ko) |
CN (1) | CN108364880B (ko) |
TW (1) | TWI649820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0136361A (ja) * | 2019-02-14 | 2020-08-31 | ファスフォードテクノロジ株式会社 | 実装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
JP7274902B2 (ja) | 2019-03-25 | 2023-05-17 | ファスフォードテクノロジ株式会社 | 半導体製造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
CN110047766B (zh) * | 2019-04-25 | 2020-10-20 | 广东工业大学 | 一种双模混合控制芯片倒装方法 |
US10861819B1 (en) * | 2019-07-05 | 2020-12-08 | Asm Technology Singapore Pte Ltd | High-precision bond head positioning method and apparatus |
JP7377654B2 (ja) * | 2019-09-17 | 2023-11-10 | ファスフォードテクノロジ株式会社 | ダイボンディング装置、剥離ユニット、コレット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
JP7650137B2 (ja) * | 2020-07-21 | 2025-03-24 | 株式会社ディスコ | ピックアップ方法、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試験装置 |
CN114446860B (zh) * | 2020-10-30 | 2025-05-09 | 均华精密工业股份有限公司 | 芯片固晶装置 |
TWI748763B (zh) * | 2020-11-23 | 2021-12-01 | 鴻勁精密股份有限公司 | 拾取機構及其應用之作業設備 |
KR102630948B1 (ko) * | 2020-12-29 | 2024-01-30 | 세메스 주식회사 | 반도체 패키지 이송 방법과 반도체 패키지 이송 모듈 및 반도체 패키지 절단 및 분류 장치 |
US20230129417A1 (en) * | 2021-02-17 | 2023-04-27 | Shinkawa Ltd. | Pickup apparatus and pickup method of semiconductor die |
TWI832358B (zh) | 2022-08-02 | 2024-02-11 | 梭特科技股份有限公司 | 晶粒剝離方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182356A (ja) * | 2011-03-02 | 2012-09-20 | Renesas Electronics Corp |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
JP2014027225A (ja) * | 2012-07-30 | 2014-02-06 | Hitachi High-Tech Instruments Co Ltd | ウェハカート及び電子部品装着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53767B2 (ja) * | 1990-12-12 | 1996-11-13 | 九州日本電気株式会社 | ダイボンディング装置 |
JPH0697212A (ja) * | 1992-09-14 | 1994-04-08 | Hitachi Ltd | ダイボンディング装置および前記装置を使用した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
US5883710A (en) * | 1994-12-08 | 1999-03-16 | Kla-Tencor Corporation | Scanning system for inspecting anomalies on surfaces |
JP2000353710A (ja) * | 1999-06-14 | 2000-12-19 | Toshiba Corp | ペレットピックアップ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
US6822315B2 (en) * | 2002-02-14 | 2004-11-23 |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 Apparatus and method for scribing semiconductor wafers using vision recognition |
US7002675B2 (en) * | 2003-07-10 | 2006-02-21 | Synetics Solution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sizing contaminants on a polished planar surface of a dielectric or semiconductor material |
TWI431263B (zh) * | 2005-03-28 | 2014-03-21 | Shibaura Mechatronics Corp | 應變矽晶圓表面檢查方法及檢查裝置 |
JP5054933B2 (ja) * | 2006-05-23 | 2012-10-24 |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
JP4945339B2 (ja) * | 2007-06-22 | 2012-06-06 |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の製造方法 |
JP6055239B2 (ja) * | 2012-08-29 | 2016-12-27 | ファスフォードテクノロジ株式会社 | ダイボンディング装置並びにダイ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ダイピックアップ方法 |
EP2801997B1 (en) * | 2013-05-06 | 2016-03-09 | ICT Integrated Circuit Testing Gesellschaft für Halbleiterprüftechnik mbH | Electron beam wafer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on thereof |
JP5717910B1 (ja) * | 2014-02-26 | 2015-05-13 | 株式会社新川 | 半導体ダイの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ピックアップ方法 |
JP6211955B2 (ja) * | 2014-03-07 | 2017-10-11 | 東芝メモリ株式会社 | 半導体製造装置及び半導体製造方法 |
-
2017
- 2017-01-26 JP JP2017011997A patent/JP6653273B2/ja active Active
- 2017-10-16 TW TW106135255A patent/TWI649820B/zh active
- 2017-11-08 KR KR1020170147841A patent/KR102049816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7-11-09 CN CN201711108465.9A patent/CN108364880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182356A (ja) * | 2011-03-02 | 2012-09-20 | Renesas Electronics Corp |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
JP2014027225A (ja) * | 2012-07-30 | 2014-02-06 | Hitachi High-Tech Instruments Co Ltd | ウェハカート及び電子部品装着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I649820B (zh) | 2019-02-01 |
TW201842600A (zh) | 2018-12-01 |
JP6653273B2 (ja) | 2020-02-26 |
CN108364880A (zh) | 2018-08-03 |
JP2018120983A (ja) | 2018-08-02 |
CN108364880B (zh) | 2022-03-29 |
KR20180088261A (ko) | 2018-08-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49816B1 (ko) | 반도체 제조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 |
KR102219591B1 (ko) | 반도체 제조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 |
KR20170076545A (ko) | 반도체 제조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 |
JP7029900B2 (ja) | ダイボンディング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 |
JP2018166136A (ja) | ダイボンディング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 |
KR102458131B1 (ko) | 다이 본딩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 |
KR20240083136A (ko) | 반도체 제조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 |
JP2018152375A (ja) | ダイボンディング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 |
KR20240138990A (ko) | 반도체 제조 장치, 검사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 |
JP7682715B2 (ja) | ダイボンディング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 |
KR20250110727A (ko) | 반도체 제조 장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및 픽업 방법 | |
JP2024024567A (ja) | 半導体製造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 |
JP2024087682A (ja) | 半導体製造装置、ピックアップ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 |
JP2025109475A (ja) | 半導体製造装置、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ピックアップ方法 | |
KR20250051297A (ko) | 다이 본딩 설비 및 다이 본딩 방법 | |
JP2024175774A (ja) | 半導体製造装置、塗布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3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19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1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