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23275B1 -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3275B1
KR101923275B1 KR1020160159346A KR20160159346A KR101923275B1 KR 101923275 B1 KR101923275 B1 KR 101923275B1 KR 1020160159346 A KR1020160159346 A KR 1020160159346A KR 20160159346 A KR20160159346 A KR 20160159346A KR 101923275 B1 KR101923275 B1 KR 101923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sealing film
moisture absorbent
end side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9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8519A (ko
Inventor
다이스께 가또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Publication of KR20170078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8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27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5259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including getter material or desiccant
    • H01L51/524
    • H01L51/5246
    • H01L51/5253
    • H01L51/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5Packages
    • H10H20/8506Contain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3Metallic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8Vertical spacers, e.g. arranged between the sealing arrangement and th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6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comprising getter material or desicc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6Shielding, e.g. light-blocking means over the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01L2227/32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발광 소자에의 물분자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발광 소자의 열화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표시 장치로서, 복수의 화소를 포함한 표시 영역을 구비한 표시 장치이며, 상기 표시 영역의 주위에 형성된 흡습제와, 상기 흡습제를 덮는 밀봉막을 갖는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 기판과, 상기 흡습제보다도 상기 표시 영역의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을 접착하는 접착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유기 EL(Electro-luminescent) 소자를 사용한 유기 EL 표시 장치나,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표시 장치가 실용화되어 있다. 그러나, 유기 EL 소자는 물 분자나 산소 분자 등에 대하여 취약하기 때문에, 유기 EL 소자가 열화되어, 다크 스폿 등의 점등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도, 침입한 수분의 영향을 받아서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의 특성이 변동하여, 표시 품위의 열화가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은, 유리 기판 상의 기판면 내의 주연부에, 흡습성을 갖는 칼슘 부재를 형성하고, 유리 기판과 보호 유리를 접합하는 접착제로 당해 칼슘 부재를 덮음으로써, 표시 영역에 물분자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표시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특허문헌 2는, 발광 소자가 형성되는 소자 기판과, 소자 기판과 접합되는 밀봉 기판 사이에 극성체를 설치하고, 당해 극성체가 양쪽 기판을 접합하는 시일재에 포함되는 기포를 흡착함으로써, 기포에 포함되는 산소 분자나 물분자와 발광 소자가 화학 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는 표시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인용 문헌 3은, 유기 EL층을 밀봉하도록 형성된 밀봉 부재를 갖고, 밀봉 부재에 의해 밀봉된 공간 내의 어느 한 위치에, 탈산소 탈수부를 형성하는 유기 EL 표시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인용 문헌 4는, 기판의 외주 부분에 있어서 접착제에 의해 전극층을 덮는 밀봉 기판을 구비함으로써, 밀봉 기판의 외부로부터 수분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표시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인용 문헌 5는, 발액성의 프레임체의 외주에 시일재를 도포하고, 흡습성 물질을 포함하는 층을 평판 소자 기판의 유기 EL 소자와 대향시켜서 접합한 뒤에, 시일재를 경화하여 밀봉함으로써, 프레임체의 내부에 수분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표시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6-8009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19892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885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3-11011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77951호 공보
상기 선행기술문헌과 같이, 유기 EL 소자가 형성된 기판의 외주를 시일재 등의 유기 재료로 밀봉했다고 해도, 시일재 등을 통하여 표시 영역 내에 서서히 수분이 침입해버린다. 또한, 기판 상에 흡습제 등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에도, 흡습제를 형성하는 공정 후, 표시 패널이 완성될 때까지의 과정에서 흡습제가 수분 등과 반응해버리기 때문에, 표시 패널이 완성된 시점에서 흡습제의 성능이 저하되어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발광 소자에의 물분자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발광 소자의 열화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복수의 화소에 의해 구성된 표시 영역을 구비한 표시 장치이며, 상기 표시 영역의 주위에 형성된 흡습제와, 상기 흡습제를 덮는 밀봉막을 갖는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 기판과, 적어도 그 일부가 상기 흡습제보다도 상기 표시 영역의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을 접착하는 접착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는, 복수의 화소를 구비하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보다 외측의 주변 영역을 구비한 표시 장치이며, 상기 복수의 화소의 각각은, 애노드 전극과 발광층과 캐소드 전극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 소자는, 제1 기판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기판에는,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주변 영역에 걸쳐서 위치하고, 상기 발광 소자를 덮는 밀봉막이 설치되고, 상기 주변 영역에는,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밀봉막 사이에 위치하는 흡습제가 설치되고, 상기 주변 영역에는,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댐제가 설치되고, 상기 밀봉막의 일부와 상기 흡습제는, 상기 댐제로 덮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는, 복수의 화소에 의해 구성된 표시 영역을 구비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표시 영역의 외측 주변 영역에 형성된 흡습제, 및 상기 흡습제를 덮도록 형성된 밀봉막을 갖는 제1 기판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1 기판과 대향하는 제2 기판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1 기판 또는 상기 제2 기판의 한쪽에 유기계 재료를 포함하는 접착제를 적하하는 공정과, 상기 접착제에 의해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을 접합하고, 가압에 의해 상기 밀봉막에 균열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유기 EL 패널을 표시하는 측으로부터 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유기 EL 패널의 단면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흡습제의 배치 레이아웃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유기 EL 패널의 제조 공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유기 EL 패널의 제조 공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유기 EL 패널의 제조 공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면은, 설명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실제의 형태에 비해, 각 부의 폭, 두께, 형상 등에 대하여 모식적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있지만,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본 발명의 해석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와 각 도면에 있어서, 기출의 도면에 대하여 전술한 것과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상세한 설명을 적절히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00)의 개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00)는 상부 프레임(110) 및 하부 프레임(120) 사이에 끼워지도록 고정된 유기 EL 패널(200)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유기 EL 패널(200)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 EL 패널(200)은 어레이 기판(201)과, 대향 기판(202)과, 구동 IC(Integrated Circuit)(203)를 갖는다. 어레이 기판(201)은 후술하는 흡습제(308), 밀봉막(309) 등이 배치되고, 접착층(필제(315) 및 댐제(316))에 의해 대향 기판(202)과 접착된다.
구동 IC(203)는, 예를 들어, 1 화소를 구성하는 복수의 부화소(204) 각각에 대응하여 배치된 화소 트랜지스터(318)(도 3 등 참조)의 주사 신호선에 대하여 소스·드레인 간을 도통시키기 위한 전위를 인가함과 함께, 각 화소 트랜지스터(318)의 데이터 신호선에 대하여 화소의 계조값에 대응하는 전류를 흘린다. 또한, 복수의 화소의 각각은, 후술하는 애노드 전극(304)과 발광층과 캐소드 전극(307)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를 구비한다. 당해 구동 IC(203)에 의해, 유기 EL 패널(200)은 복수 색을 포함하는 복수의 부화소(204)에 의해 구성되는 컬러 화상을, 표시 영역(205)에 표시한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화소의 단면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의 일례이며, 도 2에 있어서의 III-III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복수의 화소는, 각각 적색, 녹색, 및 청색의 광을 발광하는 3개의 부화소(204)를 조합하여 구성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복수의 화소는, 각각 4개 이상의 부화소(204)를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레이 기판(201)은 하부 유리 기판(301)과, 하부 유리 기판(301) 상에 대향 기판(202)을 향하여 순서대로 형성된 TFT(Thin Film Transistor) 회로층(302)과, 유기 평탄화막(303)과, 애노드 전극(304)과, 유기 뱅크(305)와, 유기막(306)과, 캐소드 전극(307)과, 흡습제(308)와, 밀봉막(30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대향 기판(202)은 상부 유리 기판(310)과, 상부 유리 기판(310) 상에 형성된 컬러 필터층(311, 312, 313) 및 차광층(3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어레이 기판(201)과 대향 기판(202)의 사이에는, 필제(315) 및 댐제(316)가 충전되고, 어레이 기판(201)과 대향 기판(202)은 필제(315) 및 댐제(316)에 의해 접합된다.
TFT 회로층(302)은 소스 전극, 드레인 전극(317), 게이트 전극이나 반도체층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화소 트랜지스터(318)를 갖는다. 화소 트랜지스터(318)의 상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종래 기술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유기 평탄화막(303)은 표시 영역(205)에 있어서 TFT 회로층(302)을 덮도록 형성되어, 하층측에 배치된 배선이나 화소 트랜지스터(318)에 의한 단차를 평탄화한다. 또한, 유기 평탄화막(303)은 표시 영역(205)의 외측 영역인 주변 영역(319)에, 표시 영역(205)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애노드 전극(304)은 화소 트랜지스터(318)의 상부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애노드 전극(304)은 표시 영역(205)에 있어서, 유기 평탄화막(303)의 콘택트홀을 통하여, 화소 트랜지스터(318)의 소스 또는 드레인 전극(317)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소스 또는 드레인 전극(317)의 상층측에 형성된다.
유기 뱅크(305)는 표시 영역(205)에 있어서, 각 애노드 전극(304)의 각각의 주연부를 덮도록 형성되고, 주변 영역(319)에 있어서, 유기 평탄화막(303)을 덮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유기 뱅크(305)는 표시 영역(205)에 있어서, 각 애노드 전극(304)의 사이 및 애노드 전극(304)의 단부의 상방에, 또한, 주변 영역(319)에 있어서, 유기 평탄화막(303)의 상방에 수지 재료로 형성된다. 당해 유기 뱅크(305)에 의해, 애노드 전극(304)과 캐소드 전극(307)의 쇼트를 방지할 수 있다.
유기막(306)은 표시 영역(205)에 있어서, 애노드 전극(304) 및 유기 뱅크(305)의 단부의 상층측에 형성된다. 또한 유기막(306)은 홀 주입층, 홀 수송층, 발광층, 전자 주입층, 및 전자 수송층이 적층됨으로써 형성된다. 발광층은, 애노드 전극(304)으로부터 주입된 홀과, 캐소드 전극(307)으로부터 주입된 전자가 재결합함으로써 발광한다. 홀 주입층, 홀 수송층, 전자 주입층, 및 전자 수송층에 대해서는 종래 기술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캐소드 전극(307)은 유기막(306)의 상층측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캐소드 전극(307)은 표시 영역(205)에 있어서, 유기 뱅크(305) 및 유기막(306)을 덮도록 형성되고, 애노드 전극(304)과의 사이에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유기막(306)에 전류를 흘려서 발광시킨다. 또한, 캐소드 전극(307)은 투명한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캐소드 전극(307)은 산화인듐주석(ITO: Indium Tin Oxide) 등의 금속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투과성을 갖는 금속 박막으로 형성된다.
흡습제(308)는 표시 영역(205)의 외측 주변 영역(319)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습제(308)는 주변 영역(319)에 있어서, 유기 뱅크(305)의 상층측에, 어레이 기판(201)과 대향 기판(202)의 간격을 유지하는 지주로서 형성된다. 또한, 흡습제(308)는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류금속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흡습제(308)는 칼슘, 마그네슘, 리튬, 세슘, 바륨 등의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흡습제(308)는 유기 EL 패널(200)의 외부로부터 침입한 물분자와 화학 반응을 일으킴으로써 물분자를 흡수할뿐만 아니라, 당해 화학 반응을 종료한 후에도 물분자의 표시 영역(205)에의 침입을 저지하는 장벽으로서 기능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칼슘을 사용하여 흡습제(308)를 형성한 경우에는, 칼슘은 물분자와 화학 반응을 일으키면 수산화칼슘으로 변화하고, 당해 수산화칼슘이 표시 영역(205)에의 물분자의 침입을 저지한다.
또한, 도 3에 있어서는, 흡습제(308)는 어레이 기판(201)과 대향 기판(202)의 간격을 유지하는 지주로서 형성되어 있으나, 흡습제(308)의 높이는, 어레이 기판(201)과 대향 기판(202)의 간격보다도 낮아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흡습제(308)는 대향 기판(202)과 대향하는 상면을 갖고, 밀봉막(309)의 일부가, 당해 상면과 대향 기판(202)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당해 구성이어도, 칼슘의 화학 반응이 완료될 때까지 흡습제(308)로서 기능함으로써, 표시 영역(205)에의 물분자의 침입이 저지된다. 또한, 어레이 기판(201)으로부터 흡습제(308)의 상면까지의 거리가, 표시 영역(205)에 있어서의 어레이 기판(201)으로부터 밀봉막(309)의 표면까지의 거리보다도 크게 되도록, 기둥 형상의 흡습제(308)를 형성해도 된다.
계속해서, 흡습제(308)의 평면적인 배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흡습제(308)는 주변 영역(319)을 적어도 2개의 불연속인 영역으로 4변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도 4를 사용하여, 흡습제(308)의 배치 레이아웃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습제(308)는 표시 영역(205)의 주위 모두를 둘러싸도록, 주변 영역(319)에 형성된다. 표시 영역(205)을 둘러싸도록 흡습제(308)를 형성함으로써, 흡습제(308)의 화학 반응이 완료된 후에, 유기 EL 패널(200) 외부로부터 표시 영역(205)에의 물분자의 침입이 저지된다. 또한, 도 4의 (b) 및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습제(308)를 2분할 또는 4분할하여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당해 구성에 의하면, 도 4의 (a)에 도시하는 흡습제(308)의 제조 공정보다도 간이한 제조 공정으로 흡습제(308)를 형성할 수 있다.
밀봉막(309)은 흡습제(308)를 덮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영역(205)에 있어서는 캐소드 전극(307)을 덮도록, 바꾸어 말하면 애노드 전극(304), 발광층을 갖는 유기막(306), 캐소드 전극(307) 등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를 덮도록, 주변 영역(319)에 있어서는 유기 뱅크(305) 및 흡습제(308)를 덮도록 형성된다. 흡습제(308)를 밀봉막(309)으로 덮음으로써, 유기 EL 패널(200)을 제조하는 과정에 있어서, 흡습제(308)와 물분자의 화학 반응이 진행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있어서는, 밀봉막(309)이 구멍을 갖지 않는 경우를 기재하고 있지만, 밀봉막(309)은 흡습제(308)를 노출하는 구멍, 흡습제(308)의 상면 측에 오목해지는 구멍, 물분자의 침입을 허용하는 구멍(침입 구멍)을 갖도록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밀봉막(309)은 어레이 기판(201)과 대향 기판(202)을 접합의 가압에 의해 발생하는 균열을 갖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당해 구멍은, 흡습제(308)의 상면을 노출하도록 해도 되고, 흡습제(308)의 측면을 노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밀봉막(309)의 일부가, 흡습제(308)의 상면과 대향 기판(202)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한 경우에, 밀봉막(309)의 일부에, 당해 상면의 측에 오목해지는 구멍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하는데, 어레이 기판(201)과 대향 기판(202)을 접합하는 공정에 있어서, 밀봉막(309)에 침입 구멍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흡습제(308)는 접합 공정 후에 비로서 흡습성을 발휘하는 상태로 할 수 있다.
컬러 필터층(311, 312, 313)은, 특정한 파장의 광만을 투과하는 재료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컬러 필터층은, 적색의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적색 컬러 필터층(311), 녹색의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녹색 컬러 필터층(312), 및 청색의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청색 컬러 필터층(3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면 상의 좌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적색 컬러 필터층(311), 녹색 컬러 필터층(312), 및 청색 컬러 필터층(313)이 상부 유리 기판(310) 상에 형성된다.
차광층(314)은 광을 차단하는 재료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광층(314)은 표시 영역(205)에 있어서의 컬러 필터층의 사이 및 주변 영역(319)에 형성된다. 차광층(314)에 의해, 인접하는 부화소(204)로부터 발광된 광이 혼합되어서 혼색이 발생하는 사태를 방지한다.
접착층은, 필제(315) 및 댐제(316)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접착층은, 적어도 그 일부가 흡습제(308)의 내측보다도 표시 영역(205)의 측에 배치되고, 어레이 기판(201)과 대향 기판(202)을 접착한다. 필제(315)는 적어도 일부가 표시 영역(205)에 위치하고, 밀봉막(309)이 표시 영역(205)에 있어서, 필제(315)에 덮이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필제(315)는 흡습제(308)의 내측, 즉 흡습제(308)보다도 표시 영역(205)의 측에 배치된다. 필제(315)는 유기계 재료를 포함하고, 흡습제(308)의 내측에 배치됨으로써 어레이 기판(201)과 대향 기판(202)을 접착한다.
댐제(316)는 주변 영역(319)에 위치하여 표시 영역(205)을 둘러쌈과 함께, 흡습제(308)를 덮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댐제(316)는 필제(315)보다도 투수성이 낮은 재료를 사용하여, 필제(315)의 외측에 표시 영역(205)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흡습제(308)의 화학 반응이 완료할 때까지는 흡습제(308)가 물분자를 흡수함으로써, 또한, 화학 반응이 완료된 후에는 발광 소자에의 물분자의 침입을 억제함으로써, 발광 소자의 열화가 방지된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는, 어레이 기판(201)과 대향 기판(202)을 접합하는 구성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지만, 대향 기판(202)을 갖지 않는 구성이어도 된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는, 유기 EL 패널(200)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화소를 구비하는 표시 영역(205)과, 표시 영역(205)보다 외측의 주변 영역(319)을 구비한다. 그리고, 유기 EL 패널(200)은 어레이 기판(201)과, 구동 IC(Integrated Circuit)(2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어레이 기판(201)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표시 영역(205)과 주변 영역(319)에 걸쳐서 위치하고, 발광 소자를 덮는 밀봉막(309)이나, 하부 유리 기판(301)과 밀봉막(309) 사이에 위치하는 흡습제(308) 등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어레이 기판에 포함되는 발광층이, 부화소(204)마다 상이한 색의 광을 발하는 재료로 형성되는 점은 상기 실시예와 상이하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대향 기판(202)이 설치되지 않지만, 어레이 기판(201)에는, 댐제(316)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어레이 기판(201)은 주변 영역(319)에 있어서, 표시 영역(205)을 둘러싸는 댐제(316)가 설치되고, 밀봉막(309)의 일부와 흡습제(308)가 댐제(316)로 덮이도록 형성된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밀봉막(309)이 흡습제(308)를 노출하는 구멍을 갖도록 형성해도 된다. 또한, 흡습제(308)가 하부 유리 기판(301)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면을 갖고, 밀봉막(309)의 일부는, 당해 상면과 대향하고, 상면의 측에 오목해지는 구멍이 형성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흡습제(308)는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류금속(예를 들어 칼슘)에 의해 형성해도 된다. 또한, 흡습제(308)를 기둥 형상으로 형성하고, 하부 유리 기판(301)부터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흡습제(308)의 상면까지의 거리가, 표시 영역(205)에 있어서의 하부 유리 기판(301)으로부터 밀봉막(309)의 하부 유리 기판(301)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표면까지의 거리보다도 크게 되도록 형성해도 된다.
계속해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표시 장치(100)의 제조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유리 기판(301) 상에 TFT 회로층(302)을 형성하고, TFT 회로층(302)을 덮도록 유기 평탄화막(303)을 형성한다. 여기서, 유기 평탄화막(303)은 주변 영역(319)에도 형성된다. 계속해서, 드레인 전극(317) 상부에 적층된 유기 평탄화막(303)에 콘택트홀을 개구하고, 개구부의 드레인 전극(317) 상에 애노드 전극(304)을 형성한다. 그리고, 각 애노드 전극(304)의 각각의 주연부를 덮도록, 유기 뱅크(305)이 형성된다. 여기서, 유기 뱅크(305)는 주변 영역(319)에 형성된 유기 평탄화막(303)의 상층측에도 형성된다. 또한, 표시 영역(205)에 있어서, 애노드 전극(304) 및 유기 뱅크(305)의 단부의 상층측에 유기막(306)이 형성되고, 유기막(306)의 상층측에는 캐소드 전극(307)이 형성된다.
계속해서,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변 영역(319)에 형성된 유기 뱅크(305)의 상층측에 흡습제(308)가 형성된다. 여기서, 흡습제(308)의 높이는, 어레이 기판(201)과 대향 기판(202)의 간격과 동등, 또는, 어레이 기판(201)과 대향 기판(202)의 간격보다도 높게 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흡습제(308)는 진공 증착법 등의 방법에 의해 형성된다.
이어서,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영역(205)에 형성된 캐소드 전극(307), 및 주변 영역(319)에 형성된 유기 뱅크(305) 및 흡습제(308)를 덮도록 밀봉막(309)이 형성된다. 여기서, 밀봉막(309)은 흡습제(308)가 형성되는 공정 후, 흡습제(308)가 공기에 접촉하지 않는 환경에서 연속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습제(308)를 형성하는 공정의 직후에 밀봉막(309)을 형성함으로써, 흡습제(308)와 물분자 등과의 화학 반응의 진행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레이 기판(201)에 대하여 접착제가 적하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디스펜서를 사용하여, 주변 영역(319)에 형성된 흡습제(308) 및 유기 뱅크(305)와 겹치도록 댐제(316)를 적하하고, 표시 영역(205)에는, 일정 간격마다, 필제(315)를 적하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6의 (b)의 공정에 있어서 댐제(316) 및 필제(315)가 적하된 어레이 기판(201)과 대향 기판(202)을 접합한다. 여기서, 대향 기판(202)의 제조 방법은 종래 기술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흡습제(308)의 높이는, 어레이 기판(201)과 대향 기판(202)의 간격과 동등 이상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어레이 기판(201)과 대향 기판(202)을 접합할 때에, 흡습제(308)를 덮도록 형성된 밀봉막(309)에 대하여 압력이 가하여진다. 그 결과, 흡습제를 덮도록 형성된 밀봉막(309)에는, 물분자 등을 투과시키는 균열이 발생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 6의 (a)의 공정에서 형성된 밀봉막(309)은 도 7에 도시하는 공정에서 가압에 의해 균열이 발생할 때까지의 공정에 있어서, 흡습제(308)와 물분자의 화학 반응의 진행을 방지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하는 공정에 있어서 발생하는 침입 구멍에 의해, 비로서 흡습제(308)의 기능을 발현시킴으로써, 흡습제(308)가 흡습성을 발휘하는 기간을 길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흡습제의 높이가 어레이 기판(201)과 대향 기판(202)의 간격과 동등 이상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흡습제는 물분자와의 화학 반응이 완료된 후, 물분자 등을 투과시키지 않는 재료로 변화되어 있기 때문에, 화학 반응의 완료 후에도 외부로부터 표시 영역에의 물분자 등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 범주에 있어서, 당업자라면 각종 변경예 및 수정예에 상도할 수 있는 것이며, 그들의 변경예 및 수정예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라고 이해된다. 예를 들어, 전술한 각 실시 형태에 대하여 당업자가 적절히, 구성 요소의 추가, 삭제 또는 설계 변경을 행한 것, 또는, 공정의 추가, 생략 또는 조건 변경을 행한 것도, 본 발명의 요지를 구비하고 있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표시 장치
110: 상부 프레임
120: 하부 프레임
200: 유기 EL 패널
201: 어레이 기판
202: 대향 기판
203: 구동 IC
204: 부화소
205: 표시 영역
301: 하부 유리 기판
302: TFT 회로층
303: 유기 평탄화막
304: 애노드 전극
305: 유기 뱅크
306: 유기막
307: 캐소드 전극
308: 흡습제
309: 밀봉막
310: 상부 유리 기판
311: 적색 컬러 필터층
312: 녹색 컬러 필터층
313: 청색 컬러 필터층
314: 차광층
315: 필제
316: 댐제
317: 드레인 전극
318: 화소 트랜지스터
319: 주변 영역

Claims (17)

  1. 복수의 화소에 의해 구성된 표시 영역을 구비한 표시 장치로서,
    상기 표시 영역보다 외측의 주변 영역에 형성된 흡습제와, 상기 흡습제를 덮는 밀봉막을 갖는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 기판과,
    적어도 그 일부가 상기 흡습제보다도 상기 표시 영역의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을 접착하는 접착층을 갖고,
    상기 밀봉막은 상기 표시 영역보다 상기 제1 기판의 단부측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상기 흡습제의 상기 제1 기판의 단부측의 경계보다도 상기 제1 기판의 단부측에 이르는 범위에 형성되고,
    상기 접착층은, 적어도 그 일부가 상기 표시 영역을 덮는 제1 유기 재료와 상기 제1 유기 재료의 상기 제1 기판의 단부측을 둘러싸는 제2 유기 재료이며, 상기 제1 유기 재료와 상기 제2 유기 재료는 다른 재료이고,
    상기 흡습제는, 적어도 주위의 일부를 상기 밀봉막으로 덮여짐과 함께, 상기 밀봉막의 상기 흡습제와 반대측의 면은 상기 제2 유기 재료로 덮여지고,
    상기 밀봉막의 상기 제1 기판의 단부측 경계는, 상기 흡습제의 상기 제1 기판의 단부측 경계보다도, 상기 제1 기판의 단부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유기 재료의 단부측 경계는, 상기 밀봉막의 상기 제1 기판의 단부측 경계보다도, 상기 제1 기판의 단부측에 위치하고,
    상기 밀봉막은, 적어도 상기 흡습제의 상기 표시 영역 측의 면의, 상기 제1 기판으로부터 상기 제2 기판에 이르기까지의 사이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막은, 상기 흡습제를 노출하는 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물분자의 침입을 허용하는 침입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제는, 상기 제2 기판과 대향하는 상면을 갖고,
    상기 밀봉막의 일부는, 상기 상면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일부에는, 상기 상면의 측에 오목해지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상기 상면을 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제는,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의 간격을 유지하는 지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제는,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류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제는, 상기 주변 영역을, 적어도 2개의 불연속인 영역으로 4변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소의 각각은, 애노드 전극과 발광층과 캐소드 전극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밀봉막은, 상기 발광 소자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표시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밀봉막은, 상기 표시 영역에서, 상기 접착층에 덮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주변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쌈과 함께, 상기 흡습제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복수의 화소를 구비하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보다 외측의 주변 영역을 구비한 표시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화소의 각각은, 애노드 전극과 발광층과 캐소드 전극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 소자는, 제1 기판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기판에는,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주변 영역에 걸쳐서 위치하고, 상기 발광 소자를 덮는 밀봉막이 설치되고,
    상기 주변 영역에는,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밀봉막 사이에 위치하는 흡습제가 설치되고,
    상기 흡습제는, 상기 흡습제의 상기 제1 기판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면을 갖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표시 영역을 덮는 필제가 설치되고,
    상기 주변 영역에는, 상기 필제의 제1 기판의 단부측을 둘러싸는 댐제가 설치되고,
    상기 밀봉막은, 적어도 상기 흡습제의 제1 기판의 단부측의 경계보다도 상기 제1 기판의 단부측에 이르는 범위에 형성되고,
    상기 흡습제는, 적어도 주위의 일부를 상기 밀봉막으로 덮여짐과 함께, 상기 밀봉막의 상기 흡습제와 반대측의 면은 상기 댐제로 덮여지고,
    상기 밀봉막의 상기 제1 기판의 단부측 경계는, 상기 흡습제의 상기 제1 기판의 단부측 경계보다도, 상기 제1 기판의 단부측에 위치하고,
    상기 댐제의 단부측 경계는, 상기 밀봉막의 상기 제1 기판의 단부측 경계보다도, 상기 제1 기판의 단부측에 위치하고,
    상기 밀봉막은, 적어도 상기 흡습제의 상기 표시 영역 측의 면의, 상기 제1 기판으로부터 상기 상면에 이르기까지의 사이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막은, 상기 흡습제를 노출하는 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막의 일부는, 상기 상면과 대향하고,
    상기 일부에는, 상기 상면의 측에 오목해지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제는,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류금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제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밀봉막은, 상기 밀봉막의 상기 제1 기판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표면을 갖고,
    상기 제1 기판으로부터 상기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흡습제의 상기 상면까지의 거리는, 상기 표시 영역에서의 상기 제1 기판으로부터 상기 표면까지의 거리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7. 복수의 화소에 의해 구성된 표시 영역을 구비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표시 영역보다 외측의 주변 영역에 형성된 흡습제, 및 상기 흡습제를 덮도록 형성된 밀봉막을 갖는 제1 기판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1 기판과 대향하는 제2 기판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1 기판 또는 상기 제2 기판의 한쪽에 유기계 재료를 포함하는 접착제를 적하하는 공정과,
    상기 접착제에 의해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을 접합하고, 가압에 의해 상기 밀봉막에 균열을 형성하는 공정
    을 구비하고,
    상기 밀봉막은 상기 표시 영역보다 상기 제1 기판의 단부측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상기 흡습제의 상기 제1 기판의 단부측의 경계보다도 상기 제1 기판의 단부측에 이르는 범위에 형성되고,
    상기 접착제는, 적어도 그 일부가 상기 표시 영역을 덮는 제1 유기 재료와 상기 제1 유기 재료의 상기 제1 기판의 단부측을 둘러싸는 제2 유기 재료이며, 상기 제1 유기 재료와 상기 제2 유기 재료는 다른 재료이고,
    상기 흡습제는, 적어도 주위의 일부를 상기 밀봉막으로 덮여짐과 함께, 상기 밀봉막의 상기 흡습제와 반대측의 면은 상기 제2 유기 재료로 덮여지고,
    상기 밀봉막의 상기 제1 기판의 단부측 경계는, 상기 흡습제의 상기 제1 기판의 단부측 경계보다도, 상기 제1 기판의 단부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유기 재료의 단부측 경계는, 상기 밀봉막의 상기 제1 기판의 단부측 경계보다도, 상기 제1 기판의 단부측에 위치하고,
    상기 밀봉막은, 적어도 상기 흡습제의 상기 표시 영역 측의 면의, 상기 제1 기판으로부터 상기 제2 기판에 이르기까지의 사이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60159346A 2015-12-29 2016-11-28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Active KR1019232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57676 2015-12-29
JP2015257676A JP6557601B2 (ja) 2015-12-29 2015-12-29 表示装置、表示装置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519A KR20170078519A (ko) 2017-07-07
KR101923275B1 true KR101923275B1 (ko) 2019-02-20

Family

ID=59088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9346A Active KR101923275B1 (ko) 2015-12-29 2016-11-28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28465B2 (ko)
JP (1) JP6557601B2 (ko)
KR (1) KR101923275B1 (ko)
CN (1) CN106935623B (ko)
TW (1) TWI63271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10954B (zh) * 2017-12-15 2023-12-0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面板
JP6983080B2 (ja) * 2018-01-19 2021-12-1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CN108511503B (zh) * 2018-05-28 2020-11-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电致发光显示面板、其制作方法及显示装置
CN109243305B (zh) * 2018-09-17 2021-10-1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装置和显示面板的制造方法
CN111370439A (zh) 2018-12-07 2020-07-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JP7190358B2 (ja) * 2019-01-10 2022-12-1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N110429206B (zh) * 2019-08-07 2021-11-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封装盖板、显示装置、显示面板及显示面板的封装方法
CN110518141A (zh) * 2019-08-15 2019-11-29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CN116156947A (zh) * 2022-12-28 2023-05-23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和显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73459A (ja) * 2005-09-09 2007-03-22 Seiko Epson Corp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そ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50392B2 (en) * 2000-03-15 2003-11-18 Kabushiki Kaisha Toshiba Cell structure of liquid crystal device
JP4494595B2 (ja) 2000-06-20 2010-06-3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
US7038377B2 (en) 2002-01-16 2006-05-02 Seiko Epson Corporation Display device with a narrow frame
JP4906051B2 (ja) * 2002-12-19 2012-03-2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
US7619258B2 (en) * 2004-03-16 2009-11-1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JP4458030B2 (ja) 2005-11-30 2010-04-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及び電子機器
JP4448148B2 (ja) * 2006-03-29 2010-04-07 キヤノン株式会社 有機発光装置
JP2008077951A (ja) 2006-09-21 2008-04-03 Hitachi Displays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185598B2 (ja) * 2007-11-06 2013-04-1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有機el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461851B2 (ja) 2009-02-25 2014-04-02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画像表示装置
KR101663840B1 (ko) * 2010-03-01 2016-10-07 가부시키가이샤 제이올레드 유기 el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2782892B (zh) * 2010-03-12 2015-07-01 夏普株式会社 发光装置的制造方法、发光装置、照明装置、背光灯、液晶面板、显示装置、显示装置的制造方法、显示装置的驱动方法及液晶显示装置
JP2012255840A (ja) * 2011-06-07 2012-12-27 Japan Display West Co Ltd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WO2013031509A1 (en) * 2011-08-26 2013-03-0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device, electronic device, ligh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light-emitting device
TWI681233B (zh) * 2012-10-12 2020-01-01 日商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液晶顯示裝置、觸控面板及液晶顯示裝置的製造方法
KR20150011235A (ko) * 2013-07-22 2015-01-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73459A (ja) * 2005-09-09 2007-03-22 Seiko Epson Corp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そ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87000A1 (en) 2017-06-29
JP2017120749A (ja) 2017-07-06
KR20170078519A (ko) 2017-07-07
US10128465B2 (en) 2018-11-13
JP6557601B2 (ja) 2019-08-07
TWI632715B (zh) 2018-08-11
TW201735416A (zh) 2017-10-01
CN106935623A (zh) 2017-07-07
CN106935623B (zh) 2020-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3275B1 (ko)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JP6510609B2 (ja) 貫通穴を介して基板の前面と背面を接続した平面表示装置
TWI715561B (zh) 有機發光顯示設備
JP6114664B2 (ja) 有機el表示装置
KR100366526B1 (ko)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장치의 밀봉 구조
KR101430173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660007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JP4171258B2 (ja) 有機elパネル
KR101678745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KR101932361B1 (ko)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장치
JP6133173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KR20160006861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180151837A1 (en) Display device
JP2002299044A (ja)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US20110018788A1 (en) Organic el display device
WO2014185113A1 (ja)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
KR101671515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US10050226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KR101948173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소자
KR20160107395A (ko) 표시 장치
KR10235584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4947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4522459B2 (ja) 有機elパネル
KR20110067366A (ko) 유기전계발광소자
JP2012099313A (ja) 有機el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1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