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36371B1 - 계단 구조의 전지셀 - Google Patents

계단 구조의 전지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6371B1
KR101636371B1 KR1020140105862A KR20140105862A KR101636371B1 KR 101636371 B1 KR101636371 B1 KR 101636371B1 KR 1020140105862 A KR1020140105862 A KR 1020140105862A KR 20140105862 A KR20140105862 A KR 20140105862A KR 101636371 B1 KR101636371 B1 KR 101636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assembly
battery case
battery
electrode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5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4803A (ko
Inventor
김영훈
권성진
김기웅
김동명
류승민
안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140114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4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6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637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63Cells or batteries with horizontal or inclin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01M10/446Initial charging meas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1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31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e.g. gas permeability, size or heat resistance
    • H01M50/133Thickn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01M50/557Plate-shaped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09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with liquid, e.g. electrolytes
    • H01M50/627Filling po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 Y10T29/4911Electric battery cell making including sea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되어 있는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전지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전지셀로서,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상부 케이스 및/또는 상기 하부 케이스에 전극조립체의 장착을 위한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지케이스, 및 다수의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이 평면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으로 적층되어 있고 그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은 평면 크기가 서로 다른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전지케이스의 수납부는 상기 전극조립체의 외면 형상에 대응하는 계단 형상의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계단 구조의 전지셀 {Battery Cell of Stair-like Structure}
본 발명은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되어 있는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전지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전지셀로서,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상부 케이스 및/또는 상기 하부 케이스에 전극조립체의 장착을 위한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지케이스, 및 다수의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이 평면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으로 적층되어 있고 그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은 평면 크기가 서로 다른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전지케이스의 수납부는 상기 전극조립체의 외면 형상에 대응하는 계단 형상의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의 증가로, 이차전지의 수요 또한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에너지 밀도와 작동전압이 높고 보존과 수명 특성이 우수한 리튬 이차전지는 각종 모바일 기기는 물론 다양한 전자제품의 에너지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리튬 이차전지는 그것의 외형에 따라 크게 원통형 전지, 각형 전지, 파우치형 전지 등으로 분류되며, 전해액의 형태에 따라 리튬이온 전지,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등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모바일 기기의 소형화에 대한 최근의 경향으로 인해, 두께가 얇은 각형 전지, 파우치형 전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형태의 변형이 용이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하며 중량이 작은 파우치형 전지에 대한 관심이 높은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파우치형 전지는 수지층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 내부에 전극조립체와 전해질이 밀봉되어 있는 전지를 말한다. 전지케이스에 수납되는 전극조립체는 젤리-롤형(권취형), 스택형(적층형), 또는 복합형(스택/폴딩형)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도 1에는 스택형 전극조립체를 포함하고 있는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구조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파우치형 이차전지(10)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20)의 내부에, 양극, 음극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분리막으로 이루어진 전극조립체(30)가 그것의 양극 및 음극 탭들(31, 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두 개의 전극리드(40, 4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밀봉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지케이스(20)는 전극조립체(30)가 안착될 수 있는 오목한 형상의 수납부(23)를 포함하는 케이스 본체(21)와 그러한 본체(21)에 일체로서 연결되어 있는 커버(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전지케이스는 전극조립체가 안착될 수 있는 오목한 형상의 수납부를 포함하는 하부 케이스와 그러한 하부 케이스의 덮개로서 전극조립체를 밀봉하는 상부 케이스로 이루어져 있을 수도 있다
전지케이스(20)는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최외각을 이루는 외측 수지층(20a), 물질의 관통을 방지하는 차단성 금속층(20b), 및 밀봉을 위한 내측 수지층(20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스택형 전극조립체(30)는 다수의 양극 탭들(31)과 다수의 음극 탭들(32)이 각각 융착되어 전극리드(40, 41)에 함께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 본체(21)의 상단부(24)와 커버(22)의 상단부가 열융착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열융착될 때 그러한 열융착기와 전극리드(40, 41) 간에 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전극리드(40, 41)와 전지케이스(20)와의 밀봉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극리드(40, 41)의 상하면에 절연필름(50)이 부착될 수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슬림한 타입 또는 다양한 디자인 트랜드로 인하여 새로운 형태의 전지셀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전지셀들은 동일한 크기 또는 용량의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전지셀이 적용되는 디바이스의 디자인을 고려하여 신규한 구조로 만들기 위해서는, 전지셀의 용량을 줄이거나 더 큰 크기로 디바이스의 디자인을 변경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디자인 변경 과정에서 전기적 연결 방식이 복잡해짐으로 인해 소망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전지셀의 제작이 어려워지는 문제점도 있을 수 있다.
더욱이, 전극조립체의 형상에 따라 전지케이스를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점도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전지셀이 적용되는 디바이스의 모양에 따라 적용 가능한 전극조립체, 전지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지셀을 디바이스의 다양한 공간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설계하여, 디바이스의 내부 공간의 활용도를 극대화시키고, 일반적으로 장방형의 구조를 가지는 디바이스의 외형 구조에서 벗어나 여러가지 외형을 가지는 디바이스에서도 효율적으로 장착이 가능한 전지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러한 전지셀의 제조가 가능할 수 있는 구조 및 제조 방법의 전극조립체 및 전지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은,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되어 있는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전지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전지셀로서,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상부 케이스 및/또는 상기 하부 케이스에 전극조립체의 장착을 위한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지케이스, 및
다수의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이 평면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으로 적층되어 있고 그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은 평면 크기가 서로 다른 전극조립체, 반지름 또는 장축의 길이가 서로 다른 2개의 전극 롤들을 포함하는 하나의 와인딩형 전극조립체, 반지름 또는 장축의 길이가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와인딩형 전극조립체들을 적층한 구조의 복합 전극조립체 및 다수의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이 평면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으로 적층되어 있고 그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은 평면 크기가 서로 다르며, 전극들 및/또는 유닛셀들의 평면과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시트형의 분리필름이 감싸고 있는 스택 앤 폴딩형 전극조립체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전극조립체 또는 복합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전지케이스의 수납부는 상기 전극조립체의 외면 형상에 대응하는 계단 형상의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은 상기와 같은 특정한 구조에 기반하여 다양한 용량 및 크기를 가진 전지셀로 제작될 수 있고, 이러한 전지셀을 장착하는 디바이스의 제조에 있어서, 전지셀이 디바이스의 다양한 공간에 장착될 수 있으므로, 디바이스 내부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상기 계단 형상의 단차 구조는 적층면의 면적이 서로 다른 n 개의 전극군들이 적층된 경우, 단의 개수는 n 단일 수 있다. 이 때, n은 2이상의 자연수이고, n은 디바이스의 용량 내지 디바이스의 외주면의 곡률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전극 조립체가 포함하는 평면 크기가 서로 다른 전극들 및/또는 유닛셀들의 수는, 당업자가 전지셀이 장착되는 디바이스이 형상 및 필요한 용량에 따라 그 수를 조정할 수 있다. 2개 내지 3개의 단위셀들로 구성된 전극조립체는 물론, 4개 이상의 단위셀들로 이루어진 전극조립체를 구성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다수의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이 평면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으로 적층되어 있고 그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은 평면 크기가 서로 다른 전극조립체, 즉 적층형 전극조립체는, 양극판과 음극판 중 어느 하나가 분리판들 사이에 개재되어 있고, 양극판, 음극판, 분리판들은 적층된 상태에서 양극판과 음극판 중 어느 하나의 분리판이 최외각을 구성하도록 접합(laminate)되어 있는 구조의 제 1 전극군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적층형 전극조립체는 분리판들이 최외각을 구성하도록, 양극판, 음극판, 분리판이 적층된 상태에서 접합(laminate)되어 있는 제 2 전극군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분리판들 중 하나는 제 2 분리막을 구성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전극군은, 양극판, 분리판, 음극판, 분리판이 순차적으로 스택된 상태로 접합(laminate)된 구조 또는 음극판, 분리판, 양극판, 분리판이 순차적으로 스택된 상태로 접합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적층형 전극조립체는, 양극판과 음극판이 최외각을 구성하고, 분리판이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개재되도록, 양극판, 음극판, 분리판이 적층된 상태에서 접합되어 있는 제 3 전극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층형 전극조립체는, 양극판과 음극판 중 어느 하나와 하나의 분리판이 적층된 상태에서 접합되어 있는 제 4 전극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층형 전극조립체는, 상기 제 1 전극군들 만이 적층된 구조일 수도 있고, 제 2 전극군들 만이 적층된 구조일 수도 있으며, 제 3 전극군들 만이 적층된 구조일 수도 있고, 제 4 전극군들 만이 적층된 구조일 수도 있으며, 이들의 조합일 수도 있다.
상기 제 1 전극군의 최상단 또는 최하단에는 제 2 전극군이 스택되어 있을 수 있다.
제 2 전극군들만이 적층되어 있는 구조는 제 2 전극군들 사이에 양극판 또는 음극판 중 어느 하나가 개재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군 내지 제 4 전극군에는 양극판, 분리판, 음극판의 스택 구조를 더욱 견고히 유지하는 고정 부재가 더 부가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제 1 전극군 또는 제 2 전극군과는 별개의 외부 부재로서, 전극군의 외주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감싸고 있는 점착 테이프 또는 접착 테이프일 수 있다.
상기 전극군의 외주면은, 전극군의 측면, 평면, 전면, 후면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전극군을 구성하는 분리판의 일부일 수 있고, 이 경우, 분리판의 말단을 열융착시킴으로써 전극군을 고정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분리판의 말단은 양극판과 음극판의 크기, 즉, 가로길이 또는 세로길이에 비해 길게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연장된 분리판의 말단은 서로 열융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제 1 전극군 또는 제 2 전극군을 고정시킬 수 있는 기능을 할 수 있는 부재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한 제 1 전극군과 제 2 전극군을 포함하여 적층형 전극조립체를 구성하는 경우, 양극판, 음극판, 분리판이 단순히 스택되어 있는 구조의 적층형 전극조립체에 비해 양산성 내지 양품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전극군 단위로 양극판, 분리판, 음극판이 서로 접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스웰링으로 인한 부피팽창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한 제 1 전극군과 제 2 전극군을 포함하여 적층형 전극조립체를 구성하는 경우, 폴딩 공정으로 구현되는 전극조립체의 어라인 불량이나 공정설비를 제거하고, 하나의 라미네이터만을 가지고 제 1 전극군 또는 제 2 전극군의 형성을 완료하고, 단순 스택으로 적층형 전극조립체를 구현할 수 있게 되는 바, 폴딩 공정시 발생하는 전극 손상이 감소되며, 전해액 젖음성이 향상될 수 있고, 외부로 노출되는 분리판을 단면 유무기 복합 분리막(SRS 분리막)을 적용할 수 있게 되어 셀의 두께가 감소함과 동시에 공정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서로 다른 크기의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이 상하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전지용량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콤팩트 한 구조로 잉여 공간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평면 크기가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은,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의 두께, 너비(가로 길이) 및 폭(세로 길이) 중의 적어도 하나가 다른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의 크기 차이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전극들 또는 유닛셀의 두께, 너비(가로 길이) 및 폭(세로 길이) 중의 적어도 하나가 다른 구조일 수 있다.
첫 번째 예에서, 두 개의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을 비교할 때, 너비와 폭이 동일한 조건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전극 또는 유닛셀의 두께는 상대적으로 큰 전극 또는 유닛셀의 두께의 20% 내지 95%의 범위, 더욱 구체적인 예에서 30 내지 90%의 범위일 수 있다.
두 번째 예에서, 두 개의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을 비교할 때, 두께와 폭이 동일한 조건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전극 또는 유닛셀의 너비는 상대적으로 큰 전극 또는 유닛셀의 너비의 20% 내지 95%의 범위, 더욱 구체적인 예에서 30% 내지 90%의 범위일 수 있다.
세 번째 예에서, 두 개의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을 비교할 때, 두께와 너비가 동일한 조건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전극 또는 유닛셀의 폭은 상대적으로 큰 전극 또는 유닛셀의 폭의 20% 내지 95%의 범위, 더욱 구체적인 예에서 30% 내지 90%의 범위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예들은 일부 예에 지나지 않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극 또는 유닛셀의 ‘두께’는 상기 전극 또는 유닛셀이 적층되는 방향으로의 높이를 의미하고, 상기 ‘너비(가로 길이)’ 및 ‘폭(세로 길이)’는 각각 상기 전극 또는 유닛셀이 적층되는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의 가로 및 세로의 길이를 의미한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유닛셀은, 1개 이상의 양극과 1개 이상의 음극이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로 적층된 구조에서 양면에 위치한 전극의 종류가 동일한 유닛셀, 또는 양면에 위치한 전극의 종류가 다른 유닛셀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유닛셀들은 전극 단자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일 수도 있다.
상기 유닛셀들의 적층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전극조립체의 하부로부터 상부쪽으로 유닛셀의 크기가 작아지는 배열로 적층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크기가 서로 다른 전지셀들을 적층한 구조의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사공간을 최소화하여 동일한 크기 대비 전지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매우 바람직하다.
상기 전지셀은, 예를 들어, 파우치형 케이스에 전극조립체가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전지셀일 수 있지만, 그것 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파우치형 전지셀은, 구체적으로, 수지층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전지케이스에 전극조립체가 전지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된 전극단자들과 연결된 상태로 내장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전지케이스는 계단 형상의 단차가 형성될 수 있는 소정의 유연성을 가지는 두께로 제조된다. 상기 전지케이스의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단차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유연성의 부족으로 파손의 위험이 있으며, 전지셀 자체의 부피 및 무게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고, 반대로 전지케이스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외부충격 등에 의해 전지케이스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전지케이스는 단차를 형성함에 있어서 적절한 유연성을 가지면서도, 외부충격에 충분한 내구성을 가지는 50 내지 200 μm 의 두께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전지케이스를 구성하는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는 서로 독립적인 부재들일 수도 있고, 일측 단부가 연결되어 있는 실질적으로 하나의 부재일 수도 있다.
상기 전지케이스의 수납부의 계단 형상의 단차는 여러가지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면에 계단 형상의 단차가 형성된 다이에 전지케이스를 삽입하고 압력을 가하여 수납부에 계단 형상의 단차를 형성시키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크기의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이 적층된 전극조립체를 전지케이스의 수납부에 삽입하고, 상기 수납부 내부에 진공을 인가하여 상기 수납부가 수축함으로써 계단 형상의 단차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극조립체는 평면 크기가 다른 다수의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이 적층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반지름 또는 장축의 길이가 서로 다른 2개의 전극 롤들을 포함하는 하나의 와인딩형 전극조립체일 수도 있으며, 또는 반지름 또는 장축의 길이가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와인딩형 전극조립체들을 적층한 구조일 수도 있다.
이러한 전극조립체를 전지케이스의 수납부에 장착하고, 상기 수납부에 진공을 가하면 전극조립체의 외형에 대응하여 전지케이스가 수축하면서 변형됨으로써 계단 형상의 단차를 형성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진공 인가 방식은 전극조립체의 디자인이 바뀔 때마다 새로운 전지케이스를 제조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응력이 국부적으로 집중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전지케이스의 수납부는 전극조립체가 안착될 수 있는 충분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계단 형상의 단차 형성 부위가 수직 단면상으로 단차 형상에 대응하여 곡면 형상으로 이루는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진공의 인가 시, 상기 수납부의 곡면 부위와 전극조립체 사이의 잉여 공간이 제거되도록 상기 수납부의 곡면 부위가 전극조립체에 밀착될 때, 상기 수납부가 수축되는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 상기 전지케이스의 수납부는 전극조립체의 상단 크기에 대응하는 평면 부위를 포함하는 반구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수납부의 반구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부위가 변형되어 계단 형상의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전지케이스의 수납부는, 예를 들어 몰딩에 의하여 대략 전극조립체의 외형에 대응하는 1 차 계단 형상의 단차를 형성시키고, 상기 전지케이스 내부에 진공을 인가하여 2 차 계단 형상의 단차를 형성시켜 계단 형상의 단차를 완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진공의 인가 과정에서 무리한 변형에 의한 전지케이스의 파손을 방지하고, 전지케이스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에도 계단형 단차를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는 잇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지케이스의 수납부를 변형시켜 계단 형상의 단차를 형성시킬 때, 전극 조립체의 외형에 대응하는 구조의 계단형 누름 부재를 사용하여 전지케이스의 수납부를 압박한 후 또는 압박과 동시에 전지케이스 내부에 진공을 인가하여 계단 형상의 단차를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계단 형상의 단차를 형성시키는 과정에서 상기와 같은 계단형 누름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단차 형성 과정에서의 불량률을 줄이고, 보다 정확한 형상의 계단 형상의 단차를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전지셀은 리튬이온 전지 또는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셀일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전지셀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첫 번째 구체적인 제조 방법은,
전극조립체를 수납하는 수납부가 형성된 전지케이스를 제조하는 과정,
평면 크기가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을 포함하는 다수의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을 평면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으로 적층하여 전극조립체를 제조하거나 시트형의 양극과 시트형의 음극 사이에 시트형의 분리막이 개재되도록 시트형의 양극, 시트형의 분리막, 시트형의 음극을 순서대로 적층한 후 일단과 타단을 모두 시계방향으로 권취하거나 또는 모두 일단과 타단을 모두 반시계 방향으로 권취하여 2개의 전극 롤들을 포함하는 하나의 와인딩형 전극조립체를 제조하거나, 또는 시트형의 양극과 시트형의 음극 사이에 시트형의 분리막이 개재되도록 시트형의 양극, 시트형의 분리막, 시트형의 음극을 순서대로 적층한 후 일단을 권취하여 제조한 와인딩형 전극조립체 2개 이상을 평면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으로 적층하여 복합 전극조립체를 제조하거나 시트형의 분리막에 양극판, 음극판 및 스택형 전극조립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극성체를 배열한 후, 시트형의 분리막을 권취하거나 폴딩하여 스택 앤 폴딩형 전극조립체를 제조하는 과정,
상기 전지케이스의 수납부에 상기 전극조립체를 장착하고, 전지케이스의 일측 외주면을 제외한 나머지 외주면을 실링하는 과정,
상기 전지케이스의 실링되지 않은 일측 외주면을 통해 전지케이스 내부에 전해액을 주입하여 전극조립체를 함침시키는 과정,
상기 전지케이스의 실링되지 않은 일측을 통하여 진공을 인가하여 전지케이스와 전극조립체 사이의 잉여 공간을 제거하는 과정, 및
전지케이스를 밀봉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두 번째 구체적인 제조 방법은,
전극조립체를 수납하는 수납부가 형성된 전지케이스를 제조하는 과정,
평면 크기가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을 포함하는 다수의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을 평면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으로 적층하여 전극조립체를 제조하거나 시트형의 양극과 시트형의 음극 사이에 시트형의 분리막이 개재되도록 시트형의 양극, 시트형의 분리막, 시트형의 음극을 순서대로 적층한 후 일단과 타단을 모두 시계방향으로 권취하거나 또는 모두 일단과 타단을 모두 반시계 방향으로 권취하여 2개의 전극 롤들을 포함하는 하나의 와인딩형 전극조립체를 제조하거나, 또는 시트형의 양극과 시트형의 음극 사이에 시트형의 분리막이 개재되도록 시트형의 양극, 시트형의 분리막, 시트형의 음극을 순서대로 적층한 후 일단을 권취하여 제조한 와인딩형 전극조립체 2개 이상을 평면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으로 적층하여 복합 전극조립체를 제조하거나 시트형의 분리막에 양극판, 음극판 및 스택형 전극조립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극성체를 배열한 후, 시트형의 분리막을 권취하거나 폴딩하여 스택 앤 폴딩형 전극조립체를 제조하는 과정,
상기 전지케이스의 수납부에 상기 전극조립체를 장착하고, 전지케이스의 일측 외주면을 제외한 나머지 외주면을 실링하는 과정,
상기 전지케이스의 실링되지 않은 일측을 통하여 진공을 인가하여 전지케이스와 전극조립체 사이의 잉여 공간을 제거하는 과정,
상기 전지케이스의 실링되지 않은 일측 외주면을 통해 전지케이스 내부에 전해액을 주입하여 전극조립체를 함침시키는 과정, 및
전지케이스를 밀봉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시적인 전지셀 제조 방법들에서, 상기 전극조립체를 함침시키는 과정 이후에, 전지셀을 1회 또는 그 이상 충방전 하여 전지셀을 활성화 시키는 과정, 및 상기 활성화 과정에서 발생한 가스를 제거하는 과정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참고로, 리튬 이차전지는, 예를 들어, 양극 활물질로 LiCoO2 등의 리튬 전이금속 산화물과 음극 활물질로 탄소 재료를 사용하며, 음극과 양극 사이에 폴리올레핀계 다공성 분리막을 개재하고, LiPF6 등의 리튬염을 포함하는 비수성 전해액을 넣어서 제조하게 된다. 충전시에는 양극 활물질의 리튬 이온이 방출되어 음극의 탄소층으로 삽입되고, 방전시에는 반대로 음극 탄소층의 리튬 이온이 방출되어 양극 활물질로 삽입되며, 이때 비수성 전해액은 음극과 양극 사이에서 리튬 이온을 이동시키는 매질 역할을 한다. 이러한 리튬 이차전지는 기본적으로 전지의 작동 전압 범위에서 안정해야 하고, 충분히 빠른 속도로 이온을 전달할 수 있는 성능을 가져야 한다.
그러나, 계속적인 충방전 과정에서 음극 활물질의 표면에서 전해액이 분해되면서 가스가 발생하며, 초기 충방전 과정에서 음극 활물질 표면에 SEI 막이 형성되어 추가적인 가스 발생을 억제한다. 따라서, 전지셀 활성화 과정은 이러한 SEI 막의 형성을 위해 필요하며, 최종적인 전지셀의 제조 이전에 반드시 요구된다.
이 때, 상기 수납부 내부에 진공을 인가하여 전지케이스와 전극조립체 사이의 잉여 공간을 제거하는 과정은 상기 가스를 제거하는 과정과 동시에 실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수납부 내부에 진공을 인가함으로써, 전지셀 활성화 과정에서 발생된 가스를 제거하고, 동시에 전지케이스 수납부를 변형시켜 계단 형상의 단차를 형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지케이스의 수납부에 계단 형상의 단차를 형성하는 과정은 별도의 장비가 필요없을 뿐 만 아니라 기존의 공정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지케이스의 실링되지 않은 일측을 통하여 진공을 인가하여 전지케이스와 전극조립체 사이의 잉여 공간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전극 조립체의 외형에 대응하는 구조의 계단형 누름 부재를 사용하여 전지케이스의 수납부를 압박한 후 또는 압박과 동시에 전지케이스 내부에 진공을 인가하여 계단 형상의 단차를 형성시킬 수 있다. 계단 형상의 단차 형성 과정에서 상기와 같은 계단형 누름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형상의 계단 형상의 단차를 형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지셀을 전원으로 포함하고 있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바, 상기 디바이스는 휴대폰, 휴대용 컴퓨터, 스마트폰, 태플릿 PC, 스마트 패드, 넷북, LEV(Light Electronic Vehicle),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및 전력저장장치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지셀을 단위전지로서 둘 이상 포함하고 있는 전지팩을 제공한다. 즉, 상기 전지셀을 단위전지로서 둘 이상을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한 구조의 전지팩을 제공하고, 이러한 전지팩은 휴대폰, 휴대용 컴퓨터, 스마트폰, 태플릿 PC, 스마트 패드, 넷북, LEV(Light Electronic Vehicle),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및 전력저장장치 등의 디바이스에 사용될 수 있다.
이들 디바이스의 구조 및 그것의 제작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은 계단형 단차를 형성시킴으로써, 전지셀의 장착 공간 확보를 용이하게 하고, 디바이스 내부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바이스에 고용량의 전지셀 사용이 가능하며, 디바이스를 더욱 소형화 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전극조립체와 전지케이스와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디자인의 변경에 불구하고 소망하는 전지셀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지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는 수납부가 형성된 전지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몰딩에 의하여 수납부에 1 차 계단 형상의 단차가 형성된 전지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6은 크기가 다른 유닛셀들이 적층된 전극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전지케이스의 수납부가 변형되는 과정에 관한 모식도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의 사시도이다;
도 11는 도 10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전극군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전극군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전극조립체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제 1 전극군의 고정구조의 모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전극군의 제조공정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크기가 다른 전극군들이 적층된 구조의 전극조립체의 모식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의 수직 단면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전지셀(100)은 전극조립체(120)가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 전지케이스(110)에 내장되어 있는 구조로서, 전극조립체(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리드(130)가 전지케이스(110)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전지케이스(110)는 상부 케이스(111) 및 하부 케이스(112)로 구성되며, 상부 케이스(111)에는 전극조립체(120)의 장착을 위한 수납부(116)가 형성되어 있다.
전극조립체(120)는 크기가 다른 다수의 유닛셀들(122, 124, 126)이 평면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으로 적층되어 있고, 전지케이스(110)의 수납부는 다수의 유닛셀들(122, 124, 126)이 적층된 구조의 외면 형상에 대응하여 계단 형상의 단차(114)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조의 전지셀(100)은 다양한 용량 및 크기를 가지는 전지셀로 제작될 수 있고, 종래의 전지셀이 장착되기 곤란했던 공간까지 용이하게 장착 가능할 뿐 만 아니라, 디바이스의 내부 구조에 따라서 한정된 공간에서 더 큰 용량을 가지는 전지셀을 장착할 수 있으므로 디바이스 내부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도 4에는 수납부가 형성된 전지케이스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몰딩에 의하여 수납부에 1차 계단 형상의 단차가 형성된 전지케이스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크기가 다른 유닛셀들이 적층된 전극조립체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전극조립체(120)는 전극조립체(120)의 하부로부터 상부쪽으로 유닛셀들(122, 124, 126)이 크기가 작아지는 배열로 적층된 구조를 이루고 있고, 전지케이스(110)의 수납부(116)는 유닛셀들(122, 124, 126)이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진 전극조립체(120)가 충분히 안착될 수 있는 크기로서 단차가 형성될 곡면 부위(117)를 포함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수납부(116)는 상단에 전극조립체(120)의 상단 크기에 대응하는 평면 부위를 포함하는 반구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전지케이스(110’)의 수납부(116’)는 몰딩에 의해 대략 전극조립체의 외형에 대응하는 계단 형상의 단차(114’)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전지케이스(110’)의 계단 형상의 단차(114’)는 전극조립체(120)가 충분히 안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추후 진공의 인가 과정에서 잉여 공간이 제거되면서 전극조립체(120)에 더욱 밀착된 계단 형상의 단차를 형성한다.
도 7 내지 도 9에는 전지케이스의 수납부가 변형되는 과정에 관한 모식도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을 도 4 및 도 6과 함께 참조하면, 전지케이스(110)의 수납부(116)에 전극조립체(120)를 장착하고 전지케이스(110)의 일측 외주면(119)을 제외한 나머지 외주면을 열융착 실링한 후, 전지케이스(110)의 실링되지 않은 일측을 통하여 진공을 인가하여 전지케이스(110)의 수납부(116)와 전극조립체(120) 사이의 잉여 공간(140)을 제거한다. 진공의 인가 시, 수납부(116)의 곡면 부위(117)가 전극조립체(120)에 밀착되고, 따라서 크기가 다른 유닛셀이 적층된 구조의 외형에 대응하도록 수납부(116)에 계단 형상의 단차(114)가 형성된다.
전지케이스(110)의 수납부(116)는 전극조립체(120)의 상부에 위치한 유닛셀의 크기에 대응하는 평면 부위(118) 및, 계단 형상의 단차(114)를 형성하는 곡면 부위(117)를 포함한다.
한편, 전지셀(100)의 제조 과정에서, 전지케이스(110)에 전극조립체(120)를 수납하고 전해액을 주입하여 전극조립체(120)를 함침시키고, 전지셀을 1회 또는 그 이상 충방전 하여 전지셀을 활성화 시킨 후, 활성화 과정에서 발생한 가스를 제거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가스를 제거하는 과정과, 수납부(116) 내부에 진공을 인가하여 전지케이스(110)와 전극조립체(120) 사이의 잉여 공간(140)을 제거하고 계단 형상의 단차(114)를 형성시키는 과정을 동시에 실행함으로써, 제조 공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8에는 계단형 누름 부재를 사용하여 계단 형상의 단차를 형성시키는 과정에 관한 모식도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도 9와 함께 참조하면, 전지케이스(110)의 실링되지 않은 일측을 통하여 진공을 인가하여 전지케이스(110)와 전극조립체(120) 사이의 잉여 공간(140)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전극조립체(120)의 외형에 대응하는 구조의 계단형 누름 부재(150)를 사용하여 전지케이스(110)의 수납부(116)를 압박한 후 또는 압박과 동시에 전지케이스(110) 내부에 진공을 인가하여 계단 형상의 단차(114)를 형성시킨다. 계단 형상의 단차(114) 형성 과정에서 계단형 누름 부재(150)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형상의 계단 형상의 단차(114)를 형성시킬 수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도 10의 수직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전지셀(200)은 각각 길이(AL, BL, CL)와 용량이 다른 전극조립체들(212, 214, 216)이 수직 적층되어 전지케이스(220) 내부에 내장되어 있다. 또한, 수직 적층된 형상은 전지케이스(220) 외부로 돌출된 전극단자(270) 쪽으로 두께가 증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전극조립체들(212, 214, 226)의 용량은 각 전극조립체들(212, 214, 216)의 길이(AL, BL, CL), 높이(AH-BH, BH-CH, CH) 및 폭(도시하지 않음)의 곱에 비례한다.
전지셀(200)의 특이한 구조에서, 크기가 다른 전극조립체들(212, 214, 216)에 의해 우측 상단에 여유 공간(S3)이 생성되고, 이는 상기 전극조립체들(212, 214, 216)의 길이, 높이 및 폭에 반비례한다.
이러한 공간은 적용 디바이스의 불규칙한 내부공간 또는 또 다른 부품들에 의한 간섭 등의 조건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서, 두께가 증가하는 방향 및 적층 두께 증가 정도 역시 적용 상황에 맞도록 유연하게 설계 변경할 수 있다.
제 1 전극군은 도 12에 도시된 구조와 같이 분리판(310), 양극판(320), 분리판(330), 음극판(34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상태로 접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제 2 전극군은, 도 13에 도시되는 구조와 같이, 분리판(410), 음극판(420), 분리판(43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상태로 접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도 14는 도 12의 제 1 전극군들이 적층된 제 1 전극군 적층체의 최상단에 도 13의 제 2 전극군이 적층된 구조의 적층형 전극조립체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에는, 도 12의 제 1 전극군에 고정부재가 더 부가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전극군(300)의 측면 또는 전면에는 고정부재(T1)가 더 부가되어 있다.
단순 적층구조로 인해 적층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적층된 구조의 측면에 별개의 부재를 이용하여 고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부재는 도 15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전극군(300)의 전면을 테이핑하는 방식으로 구현하거나, 15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전극군(300)의 측면만을 고정하는 고정부재(T2)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전극군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공정 모식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분리판(310), 양극판(320), 분리판(330), 음극판(340)의 재료(시트형 구조로 로딩되는 로딩유닛을 이용)를 동시에 로딩하며, 중간층으로 이용되는 양극판(320)을 설계된 크기로 절단하여 로딩하며, 이후 상부와 하부에 배치된 분리판(310, 330)이 동시에 로딩됨과 동시에 음극판(340) 재료가 함께 라미네이터(L1, L2)로 로딩되게 된다.
이후 라미네이터에서는 열과 압력으로 2개의 전극판과 2개의 분리판이 접착된 구조체 즉 제 1 전극군으로 구현하게 되며, 이후 절단기(C3)를 통해 절단하여 제 1 전극군을 완성 후, 두께검사(a), 비전검사(b), 쇼트검사(c) 등의 검사 공정이 추가로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이렇게 형성된 제 1 전극군은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고정하거나, 적층을 통해 다수의 제 1 전극군이 적층된 구조물로 형성한 후, 도 13의 제 2 전극군을 적층하고,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하는 공정을 통해 적층형 전극조립체를 완성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7에는 크기가 다른 전극군들이 적층된 전극조립체(500)의 구조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 1 전극군(510)은 제 2 전극군(520)보다 평면상의 크기가 큰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제 1 전극군(510)상에 제 2 전극군(520)이 적층되어 계단 형상의 단차를 형성하고 있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계단 형상의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전지셀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전극조립체를 수납하는 수납부가 형성된 전지케이스를 제조하는 과정;
    평면 크기가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을 포함하는 다수의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을 평면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으로 적층하여 전극조립체를 제조하는 과정;
    상기 전지케이스의 수납부에 상기 전극조립체를 장착하고, 전지케이스의 일측 외주면을 제외한 나머지 외주면을 실링하는 과정;
    상기 전지케이스의 실링되지 않은 일측 외주면을 통해 전지케이스 내부에 전해액을 주입하여 전극조립체를 함침시키는 과정;
    상기 전지케이스의 실링되지 않은 일측을 통하여 진공을 인가하여 전지케이스와 전극조립체 사이의 잉여 공간을 제거하는 과정; 및
    전지케이스를 밀봉하는 과정;
    을 포함하고,
    상기 전지케이스의 실링되지 않은 일측을 통하여 진공을 인가하여 전지케이스와 전극조립체 사이의 잉여 공간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상기 전극 조립체의 외형에 대응하는 구조의 계단형 누름 부재를 사용하여 전지케이스의 수납부를 압박한 후 전지케이스 내부에 진공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제조 방법.
  15. 삭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를 함침시키는 과정 이후에, 전지셀을 1회 또는 그 이상 충방전 하여 전지셀을 활성화 시키는 과정, 및 상기 활성화 과정에서 발생한 가스를 제거하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제조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를 제거하는 과정과 상기 진공을 인가하여 전지케이스와 전극조립체 사이의 잉여 공간을 제거하는 과정은 동시에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제조 방법.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KR1020140105862A 2012-04-05 2014-08-14 계단 구조의 전지셀 Active KR1016363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35303 2012-04-05
KR1020120035303 2012-04-05
KR1020120127726A KR20130113301A (ko) 2012-04-05 2012-11-12 계단 구조의 전지셀
KR1020120127726 2012-11-12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8283A Division KR20130113366A (ko) 2012-04-05 2013-03-15 계단 구조의 전지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4803A KR20140114803A (ko) 2014-09-29
KR101636371B1 true KR101636371B1 (ko) 2016-07-05

Family

ID=4963395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7726A Pending KR20130113301A (ko) 2012-04-05 2012-11-12 계단 구조의 전지셀
KR1020130028283A Ceased KR20130113366A (ko) 2012-04-05 2013-03-15 계단 구조의 전지셀
KR1020140105862A Active KR101636371B1 (ko) 2012-04-05 2014-08-14 계단 구조의 전지셀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7726A Pending KR20130113301A (ko) 2012-04-05 2012-11-12 계단 구조의 전지셀
KR1020130028283A Ceased KR20130113366A (ko) 2012-04-05 2013-03-15 계단 구조의 전지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9300006B2 (ko)
EP (1) EP2802025B1 (ko)
JP (2) JP2015508223A (ko)
KR (3) KR20130113301A (ko)
CN (1) CN104303332B (ko)
TW (1) TWI496335B (ko)
WO (1) WO201315124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8832A (ko) * 2016-10-07 2018-04-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서로 다른 크기의 단위셀들을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2619B1 (ko) * 2012-03-23 2012-10-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케이스
PL2808933T3 (pl) 2012-05-23 2019-09-30 Lg Chem, Ltd. Sposób wytwarzania zespołu elektrodowego i zawierające go ogniwo elektrochemiczne
TWI532233B (zh) 2012-05-23 2016-05-01 Lg化學股份有限公司 電極組及包含其之電化學電池
EP2816656B1 (en) * 2013-02-15 2016-07-27 LG Chem, Ltd. Electrode assembly and polymer secondary battery cell comprising same
PL2876721T3 (pl) 2013-02-15 2023-01-09 Lg Energy Solution, Ltd. Zespół elektrodowy
WO2014126430A1 (ko) 2013-02-15 2014-08-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머 이차전지 셀
USD709440S1 (en) * 2013-03-08 2014-07-22 Lg Chem, Ltd. Battery for portable terminal
USD716221S1 (en) 2013-09-02 2014-10-28 Lg Chem, Ltd. Battery for portable terminal
USD709441S1 (en) * 2013-03-08 2014-07-22 Lg Chem, Ltd. Battery for portable terminal
USD715733S1 (en) 2013-03-08 2014-10-21 Lg Chem, Ltd. Battery for portable terminal
USD716721S1 (en) * 2013-03-08 2014-11-04 Lg Chem, Ltd. Battery for portable terminal
USD712346S1 (en) * 2013-03-08 2014-09-02 Lg Chem, Ltd. Battery for portable terminal
USD716222S1 (en) 2013-09-02 2014-10-28 Lg Chem, Ltd. Battery for portable terminal
USD709443S1 (en) * 2013-03-08 2014-07-22 Lg Chem, Ltd. Battery for portable terminal
USD709822S1 (en) * 2013-03-08 2014-07-29 Lg Chem, Ltd. Battery for portable terminal
USD716724S1 (en) 2013-09-02 2014-11-04 Lg Chem, Ltd. Battery for portable terminal
USD712825S1 (en) * 2013-03-08 2014-09-09 Lg Chem, Ltd. Battery for portable terminal
USD715732S1 (en) 2013-09-02 2014-10-21 Lg Chem Ltd. Battery for portable terminal
USD709442S1 (en) * 2013-03-08 2014-07-22 Lg Chem, Ltd. Battery for portable terminal
USD716723S1 (en) 2013-03-08 2014-11-04 Lg Chem, Ltd. Battery for portable terminal
USD712345S1 (en) 2013-03-08 2014-09-02 Lg Chem, Ltd. Battery for portable terminal
USD716722S1 (en) * 2013-03-08 2014-11-04 Lg Chem, Ltd. Battery for portable terminal
KR102018256B1 (ko) * 2013-04-18 2019-10-14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차 전지용 배터리 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US20140321033A1 (en) * 2013-04-26 2014-10-30 Motorola Mobility Llc Enhanced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battery pack
WO2014189319A1 (ko) 2013-05-23 2014-11-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조립체의 제조 방법
TWD159817S (zh) * 2013-07-05 2014-04-11 威力能源股份有限公司 曲面電池
US9300003B2 (en) 2013-08-05 2016-03-29 Lg Chem, Ltd. Meandering correction apparatus for electrode assembly
KR101587322B1 (ko) * 2013-08-05 2016-01-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조립체용 사행보정장치
TWI491099B (zh) * 2013-08-29 2015-07-01 Htc Corp 電池結構、電子裝置及電池結構的製造方法
USD716223S1 (en) * 2013-11-19 2014-10-28 Lg Chem, Ltd. Battery for portable terminal
KR101868643B1 (ko) * 2013-11-29 2018-06-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세스 홈이 형성된 배터리 셀의 제작방법
EP2913865B1 (en) * 2014-01-06 2017-08-30 Lg Chem, Ltd. Stepped battery,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ame
KR101538272B1 (ko) * 2014-01-06 2015-07-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스텝드 배터리와 이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KR101688569B1 (ko) * 2014-02-06 2016-12-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단차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셀 및 절연저항 불량 확인 방법
JP2016076475A (ja) * 2014-08-06 2016-05-12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二次電池を有する電子機器及び眼鏡型デバイス
KR101725903B1 (ko) * 2014-09-19 2017-04-11 주식회사 엘지화학 계단 구조의 전극조립체에 대응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지셀
KR101776885B1 (ko) 2014-09-25 2017-09-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둘 이상의 케이스 부재들을 포함하는 각형 전지셀
KR101725901B1 (ko) * 2014-10-07 2017-04-11 주식회사 엘지화학 계단 구조의 전극조립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지셀
KR101723035B1 (ko) * 2014-10-22 2017-04-04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스 센서를 포함하는 전지셀
KR102497815B1 (ko) * 2014-10-24 2023-02-09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시계줄
KR102497816B1 (ko) * 2014-10-24 2023-02-08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시계줄
KR101870314B1 (ko) 2015-04-16 2018-06-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탭들과 전극 리드의 탭-리드 결합부가 공간부에 위치하는 전극조립체
KR20170002013A (ko) * 2015-06-29 2017-01-06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06669B1 (ko) * 2015-08-13 2019-08-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를 적용한 전지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제조방법
JP6785457B2 (ja) * 2016-02-29 2020-11-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積層型非水電解質二次電池
US11171375B2 (en) * 2016-03-25 2021-11-09 Enevate Corporation Stepped electrochemical cells with folded sealed portion
US10367175B2 (en) * 2016-04-22 2019-07-30 Bosch Bettery Systems LLC Multicavity battery module
WO2017208510A1 (ja) * 2016-05-31 2017-12-0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蓄電デバイス
WO2017208509A1 (ja) * 2016-05-31 2017-12-0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蓄電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16643B1 (ko) 2016-09-19 2019-08-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KR102395482B1 (ko) * 2016-11-07 2022-05-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JP6620729B2 (ja) * 2016-11-18 2019-12-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二次電池の製造方法
KR102264685B1 (ko) * 2016-11-30 2021-06-15 (주)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조립체 제조장치 및 전극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187172B1 (ko) * 2016-12-01 2020-12-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커브드 케이스용 금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커브드 이차전지 제조방법
WO2018105276A1 (ja) 2016-12-06 2018-06-1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二次電池
JP6828751B2 (ja) 2017-01-12 2021-02-1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二次電池
CN110088967B (zh) * 2017-01-13 2022-07-22 株式会社村田制作所 二次电池
WO2018173700A1 (ja) * 2017-03-24 2018-09-2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二次電池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KR102278994B1 (ko) * 2017-05-24 2021-07-2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2075618B1 (ko) 2017-09-14 2020-02-10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파우치 필름 포밍 장치
CN108206247B (zh) * 2017-10-20 2021-05-11 西安中兴新软件有限责任公司 一种电芯、电子设备和电芯的封装方法
KR102383163B1 (ko) * 2017-11-13 2022-04-0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
GB2574023A (en) * 2018-05-23 2019-11-27 Robert Murray Smith Method of construction of an elongated bipolar plate battery
EP3651226B1 (en) 2018-11-09 2021-09-29 Lg Chem, Ltd. Pouch forming method and pouch forming device
US10992005B2 (en) * 2018-12-06 2021-04-27 Robert Bosch Battery Systems Llc Deep pouch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CN209822691U (zh) * 2019-04-25 2019-12-20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
CN110380100B (zh) * 2019-07-24 2021-05-25 蜂巢能源科技有限公司 电芯的制造方法
US11600882B1 (en) * 2019-09-19 2023-03-07 Apple Inc. Thin battery pack architecture
EP4040579B1 (en) * 2019-12-09 2025-06-11 LG Energy Solution, Ltd. Method of manufacturing pouch-shaped battery cell using protective film and pouch-shaped battery cell manufactured using the same
WO2021118331A1 (ko) * 2019-12-09 2021-06-1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고정지그를 이용한 파우치형 전지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파우치형 전지셀
JP7569496B2 (ja) 2020-06-22 2024-10-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密閉型電池
JP6893575B1 (ja) * 2020-10-12 2021-06-23 エナックス株式会社 シート状二次電池及びシート状二次電池の製造方法
CN114188639B (zh) * 2021-12-17 2022-06-24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复合材料模块化电池结构、装置及制备方法
CN115832443B (zh) * 2022-02-10 2023-12-12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用电设备、电池、电池单体及其制造方法
JP2025515976A (ja) * 2022-04-29 2025-05-21 エルジー エナジー ソリューション リミテッド パウチ型電池ケース及びそれを含むパウチ型二次電池、パウチ型電池ケースの製造方法、そしてパウチ型電池ケース製造用成形ジグ
WO2024254742A1 (zh) * 2023-06-12 2024-12-19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池及包含其的用电设备
CN116544523B (zh) * 2023-07-04 2024-02-27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化学装置及用电终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8275A (ja) * 1999-06-25 2001-01-30 Mitsubishi Chemicals Corp 立体自由形状バッテリー装置
JP3611765B2 (ja) * 1999-12-09 2005-01-19 シャープ株式会社 二次電池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6278331A (ja) * 2005-03-28 2006-10-12 Samsung Sdi Co Ltd パウチ状のリチウム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20015236A1 (en) * 2010-07-16 2012-01-19 Apple Inc. Design and construction of non-rectangular batteries

Family Cites Families (1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02310A (en) 1953-09-22 1955-02-15 Mallory & Co Inc P R Battery construction
DE1252292B (de) 1964-10-02 1967-10-19 VARTA AKTIENGESELLSCHAFT, Frankfurt/M Vorrichtung zum Belegen von Elektroden fur Akkumulatoren mit Scheidermarenal
US4092464A (en) 1976-07-19 1978-05-30 P. R. Mallory & Co. Inc. Flexible cells and batteries formed therefrom
US4964877A (en) 1986-01-14 1990-10-23 Wilson Greatbatch Ltd. Non-aqueous lithium battery
JP2783811B2 (ja) 1988-08-20 1998-08-06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池及びその極板の製造方法
JPH05234598A (ja) 1992-02-21 1993-09-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蓄電池の渦巻状極板群
JPH06260209A (ja) 1993-03-01 1994-09-16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鉛蓄電池
JPH08508604A (ja) 1993-04-07 1996-09-10 ウィリアム ブラウン ミラー 電池における改良または電池に関する改良
JPH08171930A (ja) 1994-12-16 1996-07-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 池
JP3622285B2 (ja) 1995-08-28 2005-02-23 日本電池株式会社 蓄電池用極板の製造方法
JPH0982361A (ja) 1995-09-08 1997-03-28 Sony Corp 角形非水電解液二次電池
US5652074A (en) 1996-01-11 1997-07-29 Gnb Technologies, Inc. Battery grids, a method for making such battery grids and lead-acid batteries using such battery grids
JP3511443B2 (ja) 1996-12-20 2004-03-29 株式会社リコー 電池装置
JP3997573B2 (ja) * 1997-01-28 2007-10-24 三菱電機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040078A (en) 1997-03-06 2000-03-21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Free form battery apparatus
US6224995B1 (en) 1997-03-06 2001-05-01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Three dimensional free form battery apparatus
JP3637408B2 (ja) 1997-03-27 2005-04-13 宇部興産株式会社 シート状電極とこれを用いた電池
JP3737600B2 (ja) 1997-04-28 2006-01-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包装体製造装置
WO1999031748A1 (fr) * 1997-12-15 1999-06-2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Accumulateur aux ions lithium
KR200207948Y1 (ko) 1998-09-03 2001-01-15 김순택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
JP2000133317A (ja) 1998-10-26 2000-05-12 Mitsubishi Chemicals Corp 自由形状電池装置
JP4288737B2 (ja) * 1999-01-13 2009-07-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扁平電池
CN100353584C (zh) 1999-04-08 2007-12-0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电池用包装材料、电池包装用袋体及其制造方法
JP2000306607A (ja) * 1999-04-19 2000-11-02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非水電解質電池
US6300002B1 (en) 1999-05-13 2001-10-09 Moltech Power Systems, Inc. Notched electrode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0404883B1 (ko) 1999-12-13 2003-11-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 화학 소자를 위한 고분자 전해질
KR100515572B1 (ko) 2000-02-08 2005-09-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첩 전기화학 셀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515571B1 (ko) 2000-02-08 2005-09-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첩 전기 화학 셀
US6635381B2 (en) 2000-05-11 2003-10-21 Wilson Greatbatch Ltd. Electrochemical lithium ion secondary cell having a scalloped electrode assembly
KR100365824B1 (ko) 2000-05-13 2002-12-26 한국 파워셀 주식회사 리튬이온 이차전지
US6498951B1 (en) 2000-10-13 2002-12-24 Medtronic, Inc. Implantable medical device employing integral housing for a formable flat battery
US7163762B2 (en) 2000-11-21 2007-01-16 Sony Corporation Polymer electrolyte battery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JP2002199910A (ja) 2000-12-18 2002-07-16 Reynolds Consumer Products Inc 横断配置された咬合子およびスライダーの供給具を使用する再封止可能なパッケージの製造方法
JP4124972B2 (ja) 2001-02-23 2008-07-23 Necトーキン株式会社 積層型リチウムイオン電池
JP3822445B2 (ja) 2001-02-28 2006-09-20 Tdk株式会社 電気化学デバイス
US6610443B2 (en) 2001-03-19 2003-08-26 Wilson Greatbatch Ltd. One-piece header assembly for hermetic battery terminal feedthrough, fill and closure designs
JP5159007B2 (ja) 2001-05-11 2013-03-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池用極板の製造方法
CN1799162A (zh) 2001-06-07 2006-07-05 三菱化学株式会社 锂二次电池
JP2002367679A (ja) * 2001-06-11 2002-12-20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非水電解質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4233826B2 (ja) 2001-08-10 2009-03-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イン形電池とその製造方法
CN1316645C (zh) 2001-08-24 2007-05-16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制造锂电池的方法、锂电池和电器
US6946220B2 (en) 2001-10-19 2005-09-20 Wilson Greatbatch Technologies, Inc. Electrochemical cell having a multiplate electrode assembly housed in an irregularly shaped casing
US7960054B2 (en) 2002-01-10 2011-06-14 Excellatron Solid State Llc Packaged thin film batteries
KR100440934B1 (ko) * 2002-02-06 2004-07-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JP3680797B2 (ja) * 2002-02-08 2005-08-10 日本電池株式会社 非水電解質電池
JP2003303622A (ja) 2002-04-10 2003-10-24 Sony Corp 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111219A (ja) * 2002-09-18 2004-04-08 Nissan Motor Co Ltd ラミネート二次電池、複数のラミネート二次電池からなる組電池モジュール、複数の組電池モジュールからなる組電池ならびにこれらいずれかの電池を搭載した電気自動車
KR100922742B1 (ko) 2002-12-17 2009-10-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형 케이스와, 이를 적용한 리튬 이차 전지
KR100958647B1 (ko) 2002-12-18 2010-05-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형 이차전지 유니트
US7479349B2 (en) 2002-12-31 2009-01-20 Cardiac Pacemakers, Inc. Batteries including a flat plate design
US7083878B2 (en) 2003-02-27 2006-08-01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Nonaqueous electrolytic solution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JP4565810B2 (ja) * 2003-03-31 2010-10-20 三洋電機株式会社 ラミネート電池
JP4155100B2 (ja) * 2003-05-16 2008-09-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二次電池の製造方法
KR20050020357A (ko) 2003-08-22 2005-03-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한 파우치형 이차 전지
KR100553753B1 (ko) 2003-10-16 2006-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형 이차전지
JP2005169728A (ja) 2003-12-09 2005-06-30 Murata Mfg Co Ltd 成形品のゲート処理方法及びゲート処理装置
WO2005074054A1 (en) 2004-01-30 2005-08-11 Lg Chem, Ltd. Battery having specific package structure
CN1681146A (zh) 2004-03-29 2005-10-12 三星Sdi株式会社 电极封装及使用该电极封装的二次电池
KR100601510B1 (ko) 2004-09-22 2006-07-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6127882A (ja) 2004-10-28 2006-05-18 Nissan Motor Co Ltd 薄型電池および組電池
JP2006134604A (ja) 2004-11-02 2006-05-25 Ngk Spark Plug Co Ltd 蓄電装置の製造方法
KR100670492B1 (ko) 2004-11-29 2007-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용 캔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
JP2008529208A (ja) 2005-01-20 2008-07-31 オティコン アクティーセルスカプ 再充電可能なバッテリーを備えた補聴器及び再充電可能なバッテリー
JP4932263B2 (ja) 2005-01-28 2012-05-16 Nec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積層型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US7981548B2 (en) 2005-01-28 2011-07-19 Nec Energy Devices, Ltd. Multilayer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king same
JP4905861B2 (ja) 2005-02-10 2012-03-28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エネルギーデバイス電極用バインダ樹脂エマルション及びこれを用いたエネルギーデバイス電極並びにエネルギーデバイス
WO2006123892A1 (en) 2005-05-17 2006-11-23 Lg Chem, Ltd. Polymer binder for electrochemcal device comprising multiply stacked electrochemical cells
KR100821442B1 (ko) 2005-05-31 2008-04-10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비수전해질 2차전지 및 전지모듈
US20060286456A1 (en) 2005-06-20 2006-12-21 Zhiguo Fu Nano-lithium-ion batteries and methos for manufacturing nano-lithium-ion batteries
JP4561542B2 (ja) 2005-09-02 2010-10-13 ソニー株式会社 二次電池
KR100825207B1 (ko) 2005-12-22 2008-04-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KR100896133B1 (ko) 2006-01-17 2009-05-08 주식회사 엘지화학 향상된 안전성의 이차전지
US7785741B2 (en) 2006-02-28 2010-08-31 Medtronic, Inc. Flat electrochemical cells and method for manufacture
KR100925857B1 (ko) 2006-03-14 2009-11-06 주식회사 엘지화학 향상된 안전성의 다중 중첩식 전기화학 셀
KR100884945B1 (ko) 2006-04-03 2009-02-23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이차전지
KR100894409B1 (ko) * 2006-05-15 2009-04-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케이스에 분리막을 고정시켜 안전성을 향상시킨이차전지
KR100874387B1 (ko) * 2006-06-13 2008-12-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둘 이상의 작동 전압을 제공하는 중첩식 이차전지
KR100866767B1 (ko) 2006-07-10 2008-11-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안전부재
KR100879893B1 (ko) 2006-07-10 2009-01-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실링부의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ATE502407T1 (de) * 2006-08-21 2011-04-15 Lg Chemical Ltd Sekundärbatterie des beuteltyps mit verbesserter sicherheit und ausgezeichneter herstellungsprozesseigenschaft
KR101264430B1 (ko) 2006-09-08 2013-05-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의 파우치
JP4164541B2 (ja) 2006-10-10 2008-10-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負極
KR100829553B1 (ko) 2006-11-22 2008-05-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전지의 스택 구조체
JP5157354B2 (ja) * 2006-11-30 2013-03-0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バイポーラ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80058772A (ko) 2006-12-22 2008-06-26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
JP2008269819A (ja) * 2007-04-17 2008-11-06 Sony Corp 非水電解液二次電池
KR101209010B1 (ko) 2007-04-26 2012-12-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스택형 전극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JP4402134B2 (ja) 2007-05-30 2010-01-20 Necトーキン株式会社 積層型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987300B1 (ko) 2007-07-04 2010-10-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 및 그것의 제조방법
KR100917736B1 (ko) 2007-09-14 2009-09-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용 파우치 및 파우치형 전지
KR100998301B1 (ko) 2007-11-08 2010-12-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100964017B1 (ko) 2007-12-13 2010-06-15 지에스나노텍 주식회사 전극의 표면적 및 전극과 전해질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킨박막형 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FR2925768B1 (fr) 2007-12-21 2012-06-08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Batterie multipolaire a etancheite interplaque amelioree
JP5408686B2 (ja) 2008-03-11 2014-02-05 Nec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積層型電池
KR101049841B1 (ko) 2008-03-12 2011-07-15 주식회사 엘지화학 휘어진 형상의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JP2010076980A (ja) 2008-09-26 2010-04-08 T Rad Co Ltd 改質器
DE102009006117A1 (de) 2009-01-26 2010-07-29 Li-Tec Battery Gmbh Elektrochemische Energiespeicherzelle
KR20100137290A (ko) 2009-06-22 2010-12-30 에너원코리아 주식회사 와인딩 방식의 전극적층체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전극적층체
US8568929B2 (en) 2009-09-02 2013-10-29 Samsung Sdi Co., Ltd.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separators having crossing pores and rechargeable battery
JP2011070975A (ja) * 2009-09-26 2011-04-07 Nissin Electric Co Ltd ラミネート型電池の押圧構造
JP2011081931A (ja) 2009-10-05 2011-04-21 Hitachi Maxell Ltd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EP2529429B1 (en) 2010-01-26 2018-03-28 Cymbet Corporation Battery arrays, constructions and method
KR101264527B1 (ko) 2010-03-19 2013-05-14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JP5383571B2 (ja) 2010-03-26 2014-01-0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電極板製造装置
JP2011210524A (ja) * 2010-03-30 2011-10-20 Sanyo Electric Co Ltd 積層式電池
WO2011126310A2 (ko) 2010-04-06 2011-10-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스택 타입 셀, 개선된 바이-셀, 이들을 이용한 이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1191635B1 (ko) * 2010-05-24 2012-10-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용 파우치, 그의 제조 방법 및 상기 파우치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US9040187B2 (en) 2010-07-13 2015-05-26 Apple, Inc. Battery pack with cells of different capacities electrically coupled in parallel
KR101217780B1 (ko) 2010-10-19 2013-0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케이블형 이차전지
US8592065B2 (en) 2010-11-02 2013-11-26 Apple Inc. Rechargeable battery with a jelly roll having multiple thicknesses
KR101326630B1 (ko) 2010-12-02 2013-11-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노칭 장치 및 이를 사용하여 생산되는 이차전지
KR101223729B1 (ko) 2010-12-16 2013-01-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용 케이스, 이를 구비한 이차 전지 및 상기 이차전지 제조방법
US20120183825A1 (en) 2011-01-14 2012-07-19 Seung-Hun Lee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5844052B2 (ja) 2011-02-04 2016-01-13 三洋電機株式会社 積層式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768137B2 (ja) 2011-10-14 2015-08-26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シート状電極の製造方法
US9276287B2 (en) 2011-10-28 2016-03-01 Apple Inc. Non-rectangular batterie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20130062153A (ko) 2011-12-02 2013-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병변 주변 정보를 이용한 병변 진단 장치 및 방법
WO2013141279A1 (ja) 2012-03-21 2013-09-26 新神戸電機株式会社 角形非水電解液蓄電セル用極板
KR20130133640A (ko) 2012-05-29 2013-12-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코너부 형상이 다양한 단차를 갖는 전극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전지팩 및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8275A (ja) * 1999-06-25 2001-01-30 Mitsubishi Chemicals Corp 立体自由形状バッテリー装置
JP3611765B2 (ja) * 1999-12-09 2005-01-19 シャープ株式会社 二次電池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6278331A (ja) * 2005-03-28 2006-10-12 Samsung Sdi Co Ltd パウチ状のリチウム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20015236A1 (en) * 2010-07-16 2012-01-19 Apple Inc. Design and construction of non-rectangular batteri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8832A (ko) * 2016-10-07 2018-04-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서로 다른 크기의 단위셀들을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KR102246030B1 (ko) * 2016-10-07 2021-04-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서로 다른 크기의 단위셀들을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44373B2 (ja) 2020-02-12
TWI496335B (zh) 2015-08-11
US9548517B2 (en) 2017-01-17
WO2013151249A1 (ko) 2013-10-10
EP2802025A1 (en) 2014-11-12
KR20130113366A (ko) 2013-10-15
KR20130113301A (ko) 2013-10-15
KR20140114803A (ko) 2014-09-29
US20140011070A1 (en) 2014-01-09
EP2802025B1 (en) 2017-03-08
JP2015508223A (ja) 2015-03-16
JP2017092047A (ja) 2017-05-25
CN104303332A (zh) 2015-01-21
EP2802025A4 (en) 2015-09-30
US9300006B2 (en) 2016-03-29
US20160181667A1 (en) 2016-06-23
CN104303332B (zh) 2018-06-08
TW201345018A (zh) 2013-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6371B1 (ko) 계단 구조의 전지셀
US9478773B2 (en) Battery cell of asymmetric structure and battery pack employed with the same
US9741974B2 (en) Battery cell having round corner
KR101402657B1 (ko) 비정형 구조의 전지팩
KR101596269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신규한 구조의 전지셀
KR20130135204A (ko) 단차를 갖는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전지팩 및 디바이스
KR101725901B1 (ko) 계단 구조의 전극조립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지셀
KR101580086B1 (ko) 복합 구조로 형성된 전극조립체
KR20170103355A (ko) 젤리-롤형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KR101725903B1 (ko) 계단 구조의 전극조립체에 대응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지셀
EP2916365B1 (en) Electric device comprising round corner
US9484560B2 (en) Electric device having a round corner and including a secondary battery
KR101876614B1 (ko) 복합 구조로 형성된 전극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814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30315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3002828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6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4I

Patent event date: 20140814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9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3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9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3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10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604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3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10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6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6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