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98301B1 - 배터리 팩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8301B1
KR100998301B1 KR1020070113804A KR20070113804A KR100998301B1 KR 100998301 B1 KR100998301 B1 KR 100998301B1 KR 1020070113804 A KR1020070113804 A KR 1020070113804A KR 20070113804 A KR20070113804 A KR 20070113804A KR 100998301 B1 KR100998301 B1 KR 100998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circuit board
protective circuit
battery
battery pac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3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7778A (ko
Inventor
김형신
허종화
서경원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3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8301B1/ko
Priority to US12/239,039 priority patent/US7862919B2/en
Priority to EP08168379.9A priority patent/EP2058878B1/en
Priority to CN2008101747952A priority patent/CN101431168B/zh
Publication of KR20090047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7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8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830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7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s, computers, hand tools or pacema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incorporated circuit board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96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erminals of battery p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98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wiring of battery p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01M2200/106P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팩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리튬 폴리머 셀 및 리튬 이온 셀을 물리적으로 결합시키고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소형의 세트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고용량의 배터리 팩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배터리 팩은 서로 다른 종류의 제1 및 제2 셀로 이루어지는 전지 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셀은 물리적으로 결합되고 전기적으로 병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배터리 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 배터리 팩을 수용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또는 공급하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은 서로 다른 종류의 제1 셀 및 제2 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셀은 물리적으로 결합되고 전기적으로 병렬로 연결되는 전지 집합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대면적의 두께가 얇은 리튬 폴리머 셀과 소면적의 두께가 두꺼운 리튬 이온 셀을 물리적으로 결합 및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함으로써, 배터리 실장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으며, 소형의 세트에 사용할 수 있는 고용량의 배터리 팩을 제공할 수 있다.
리튬 이온 셀, 리튬 폴리머 셀, 병렬, 배터리 팩, 전자기기

Description

배터리 팩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Battery pack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터리 팩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리튬 폴리머 셀 및 리튬 이온 셀을 물리적으로 결합시키고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소형의 세트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고용량의 배터리 팩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전자, 통신, 컴퓨터 산업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캠코더, 휴대폰, 노트북 PC 등이 널리 사용됨에 따라 가볍고 오래 사용할 수 있으며, 신뢰성이 높은 고성능의 이차전지 개발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다.
또한, 환경 및 에너지 문제의 해결 방안의 하나로 전기 자동차의 실현과 심야유휴전력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대형 이차전지의 개발이 심각히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많은 각광을 받고 있고, 그 이용 범위가 널리 확대되는 것이 리튬 이차전지이다.
리튬 이차전지는 양극판, 음극판 및 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지는 전극 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캔에 수용한 후, 캔의 개구부를 캡 조립체로 밀봉하여 형성되는 베 어 셀에 PTC 소자, 서멀 퓨즈 및 보호회로모듈 등의 안전장치가 구비되는 보호회로기판을 연결한 배터리 팩 형태로 전자기기에 장착하여 사용된다.
배터리 팩은 베어 셀 및 안전장치 등을 보호하기 위해 외장 케이스에 수납되는 하드팩(hard pack) 형태 또는 핫멜트 수지로 베어 셀과 보호회로기판 사이의 간극을 채우고 얇은 외장재로 튜빙, 라벨링을 실시하는 이너팩(inner pack) 형태로 사용된다.
리튬 이차전지는 전해질 형태에 따라 유기용매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 금속 전지 및 리튬 이온 전지와 고체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 폴리머 전지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전극 조립체 및 전해액을 수용하는 캔의 형태에 따라 원통형, 각형 및 파우치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체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하는 폴리머 전지인 경우에는 외형이 파우치형으로 형성되고, 유기용매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 이온 전지인 경우에는 외형이 원통형 또는 각형으로 형성된다.
종래에는 폴리머 셀은 파우치형으로 형성되므로, 대면적의 두께가 얇은 특징을 갖게 되며, 리튬 이온 셀은 원통형 또는 각형으로 형성되므로, 소면적의 두께가 두꺼운 특징을 갖는다.
폴리머 셀은 대용량을 필요로 하는 기기보다는 휴대폰이나 MP3 같은 소형의 기기에 사용하였으며, 원통형의 리튬 이온 셀은 대용량의 전지를 필요로 하는 기기에 사용하여 왔으나, 휴대폰이나 MP3와 같은 소형의 전자기기도 그 기능이 다양화되고 사용 빈도도 증가됨에 따라 대용량을 갖는 전지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터리 팩은 서로 다른 종류의 제1 및 제2 셀로 이루어지는 전지 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셀은 물리적으로 결합되고 전기적으로 병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배터리 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 배터리 팩을 수용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또는 공급하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은 서로 다른 종류의 제1 셀 및 제2 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셀은 물리적으로 결합되고 전기적으로 병렬로 연결되는 전지 집합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 셀은 각형이고, 상기 제2 셀은 파우치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 셀은 리튬 이온 셀이고, 상기 제2 셀은 리튬 폴리머 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보호회로기판은 전지 집합체와 외부연결 단자부 사이에 위치하는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부를 포함하는 1차 보호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스위칭 소자는 상기 외부연결 단자부와 하나의 전류 경로를 가지며, 상기 전지 집합체와는 상기 제1 셀과 연결되는 제1 경로 및 상기 제2 셀과 연결되는 제2 경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셀 또는 상기 제2 셀 중 하나만 충전 또는 방전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대면적의 두께가 얇은 리튬 폴리머 셀과 소면적의 두께가 두꺼운 리튬 이온 셀을 물리적으로 결합 및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함으로써, 배터리 실장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으며, 소형의 세트에 사용할 수 있는 고용량의 배터리 팩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의 거리,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으며,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 들을 나타낸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리튬 이온 셀과 리튬 폴리머 셀의 결합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3은 도1의 배터리 팩의 결합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배터리 팩(100)은 리튬 이온 셀(10), 리튬 폴리머 셀(20), 리튬 이온 셀(10)과 리튬 폴리머 사이에 개재되는 양면 접착 테이프(30), 보호회로기판(40) 및 셀과 보호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 리드(50) 및 제2 리드(60)를 구비한다.
또한, 제1 리드(50) 및 제2 리드(60)를 외부와 절연시키기 위한 커버레이(70), 상부 및 하부 케이스(80, 9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리튬 이온 셀(10)이 각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리튬 이온 셀(10)은 전극 조립체를 딥 드로잉 등의 방법을 통해 형성한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질의 캔에 수용한 후, 캔의 상단부를 캡 조립체로 마감하고, 전해액을 주입하여 형성된다.
이때, 리튬 이온 셀(10)의 상단부에는 통상 음극 단자 역할을 하는 캡 업(11)이 돌출되어 있고, 캡 플레이트에는 양극 단자(15)가 구비되어 있으며, 양극 단자(15)에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 13)가 형성될 수 있다.
양극 단자(15)는 니켈 등의 재질로 형성되어, 캡 플레이트 상에 레이저 용접 등의 방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캡 플레이트 상에 절연재가 구비되어 캡 플레이트와 직접 연결하기 어 려운 경우, 절연재 상에 양극 단자(15)를 구비시키고, 캔과 연결되는 연결 탭(17)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극 단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상기 리튬 폴리머 셀(20)이 파우치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리튬 폴리머 셀(20)은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공간을 구비하는 파우치 외장재의 하면에 전극 조립체를 수용한 후, 파우치 외장재의 상면을 이용하여 상기 하면을 덮은 후, 밀봉함으로써 형성된다.
이때, 파우치 외장재 외부에는 보호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양극 탭(21) 및 음극 탭(23)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양면 접착 테이프(30)는 상기 리튬 이온 셀(10)과 상기 리튬 폴리머 셀(20) 사이에 개재되어, 리튬 이온 셀(10)과 리튬 폴리머 셀(20)을 서로 물리적으로 결합시킨다.
이때, 양면 접착 테이프(30)는 중심부를 제거한 형상인 노치된 형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충전시 캔의 중심부가 부풀어 올라옴으로써 증가되는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보호회로기판(40)은 결합된 리튬 이온 셀(10) 및 리튬 폴리머 셀(20)의 일측에 구비되며, 배선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PCB : Printed Cricuit Board)에 보호회로, 충방전 소자부, PTC, 퓨즈 등의 보호소자를 구비하며, 외부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외부 연결 단자부(41)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외부연결 단자부(41)는 하나 또는 다수개의 단자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원단, 접지단, 입출력 단자, 서미스터 단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리튬 이온 셀(10) 및 리튬 폴리머 셀(20)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양극 단자(43) 및 음극 단자(45)를 구비한다.
이때, 보호회로기판(40)에 구비되는 양극 단자(43) 및 음극 단자(45)는 각각 하나씩 구비되어, 하나의 양극 단자(43)에 리튬 이온 셀(10)의 양극 단자(15)와 리튬 폴리머 셀(20)의 양극 탭(21)이 모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나의 음극 단자(45)에 리튬 이온 셀(10)의 음극 단자(11)와 리튬 폴리머 셀(20)의 음극 탭(23)이 모두 전기적으로 연결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보호회로기판(40)에 구비되는 양극 단자(43) 및 음극 단자(45) 각각이 다수개 구비되어, 서로 다른 양극 단자(43)에 리튬 이온 셀(10)의 양극 단자(15)와 리튬 폴리머 셀(20)의 양극 탭(21)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서로 다른 음극 단자(45)에 리튬 이온 셀(10)의 음극 단자(11)와 리튬 폴리머 셀(20)의 음극 탭(23)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리튬 이온 셀(10)의 양극 단자(15) 및 리튬 폴리머 셀(20)의 양극 탭(21)은 보호회로기판(40)에 구비되는 하나의 양극 단자(4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리튬 이온 셀(10)의 음극 단자(11)와 리튬 폴리머 셀(20)의 음극 탭(23)은 보호회로기판(40)에 구비되는 서로 다른 음극 단자(4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형태일 수도 있다.
반대로, 리튬 이온 셀(10)의 양극 단자(15) 및 리튬 폴리머 셀(20)의 양극 탭(21)은 보호회로기판(40)에 구비되는 서로 다른 양극 단자(4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리튬 이온 셀(10)의 음극 단자(11) 및 리튬 폴리머 셀(20)의 음극 탭(23) 은 보호회로기판(40)에 구비되는 하나의 음극 단자(4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형태일 수도 있다.
따라서, 보호회로기판(40)에 연결된 리튬 이온 셀(10)과 리튬 폴리머 셀(20)은 전기적으로 병렬 관계를 가지며, 코어 팩 형태의 이차 전지가 된다.
병렬로 연결된 리튬 이온 셀(10) 및 리튬 폴리머 셀(20)은 외부 장치와 연결되면, 충전 또는 방전을 실시한다.
즉, 외부 장치가 충전기 등의 전원 장치이면, 셀은 충전 동작이 일어나고, 외부 장치가 부하이면, 방전 동작이 일어난다.
이때, 병렬 연결된 리튬 이온 셀(10) 및 리튬 폴리머 셀(20)에서 충전 및 방전 동작이 동시에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보호회로기판에 구비되는 보호회로에 의해 순차적으로 충전 및 방전 동작이 발생한다.
즉, 어느 하나의 셀에서 충전 또는 방전 동작이 이루어지는 경우, 다른 하나의 셀에서는 충전 및 방전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리튬 이온 셀(10) 및 리튬 폴리머 셀(20)의 순차적 제어는 보호회로기판에 구비되는 보호회로에서뿐만 아니라, 배터리를 채용하는 전자기기에 의해서도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충전 및 방전 동작의 상세한 설명은 도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회로 구성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보호회로기판(40)은 리튬 이온 셀(10)과 리튬 폴리머 셀(20)이 결착되기 전에 어느 하나의 셀과 연결된 후, 리튬 이온 셀(10)과 리튬 폴리머 셀(20)이 결합되 고 나서 다른 하나의 셀과 연결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보호회로기판(40)은 리튬 이온 셀(10)과 리튬 폴리머 셀(20)이 결착된 후, 리튬 이온 셀(10) 및 리튬 폴리머 셀(20)과 연결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제1 리드(50) 및 제2 리드(60)는 보호회로기판(40)과 셀과의 전기적 접속을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하나의 리드는 셀의 양극 단자와 보호회로기판의 양극 단자를 연결하고, 다른 하나의 리드는 셀의 음극 단자와 보호회로기판의 음극 단자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리드(50)는 보호회로기판(40)의 양극 단자(43)와 리튬 이온 셀(10)의 양극 단자(15)를 연결하고, 제2 리드(60)는 보호회로기판(40)의 음극 단자(45)와 리튬 이온 셀(10)의 음극 단자인 캡 업(11)을 연결하여, 보호회로기판(40)과 리튬 이온 셀(10)의 전기적 접속을 위해 사용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때, 제1 리드(50) 및 제2 리드(60)는 양면 접착 테이프(30)의 일부분에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회로 보호형 절연 필름인 커버레이(70)를 제1 리드(50) 및 제2 리드(60) 위에 부착하여 외부와 절연시키고, 셀과의 결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리튬 이온 셀(10), 리튬 폴리머 셀(20) 및 보호회로기판(30)이 서로 물리적으로 결합되고, 전기적으로 연결된 후, 상부 케이스(80) 및 하부 케이스(90)로 이루어지는 외부 케이스에 수납하여, 도3과 같은 배터리 팩(100)이 완성된다.
이때, 상부 케이스(80)에는 보호회로기판(40)에 형성되는 외부연결 단자부(41)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홀(81)이 형성된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로서, 배터리 팩은 전지 집합체(200), 보호회로기판(300) 및 외부연결 단자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전지 집합체(200)는 서로 다른 종류의 제1 셀(210) 및 제2 셀(220)이 병렬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제1 셀이 리튬 이온 셀이면, 제2 셀은 리튬 폴리머 셀일 수 있으며, 제1 셀이 리튬 폴리머 셀이면, 제2 셀은 리튬 이온 셀일 수 있다.
제1 셀(210) 및 제2 셀(220)의 양극은 보호회로기판(300)에 구비되는 스위칭 소자(330)를 통해 외부연결 단자부(400)의 전원단(B+)과 연결되며, 제1 셀(210) 및 제2 셀(220)의 음극은 보호회로기판(300)에 구비되는 충방전 소자부(320)를 통해 외부연결 단자부(400)의 접지단(B-)과 연결된다.
전지 집합체(200)는 그 내부의 각종 정보 즉, 셀의 충전 전위 및 셀에 흐르는 전류량 등의 셀 관련 정보를 1차 보호회로(310)에 전송하며, 2차 보호회로(340)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2차 보호회로(340)에도 전송한다.
보호회로기판(300)은 인쇄회로기판(PCB : Printed Circuit Board)에 전기 소자를 스폿 용접, 솔더링 등의 방법으로 배치시켜 형성되며, 1차 보호회로(310), 충방전 소자부(320), 스위칭 소자(330)를 구비하며, 2차 보호회로(340), 퓨즈(350) 및 온도 센서(3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1차 보호회로(310)는 전지 집합체(200)의 신호를 수신하며, 충방전 제어 부(311)와 스위칭 제어부(313)을 구비하여, 수신되는 전지 집합체(200)의 정보에 따라 충전 및 방전 동작을 제어한다.
1차 보호회로(310)의 충방전 제어부(311)는 과충전, 과방전 또는 과전류 발생시에, 충방전 소자부(320)를 오프시키기 위한 충전 제어 신호 또는 방전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충전 또는 방전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전기적 흐름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1차 보호회로(310)의 스위칭 제어부(313)는 제1 셀(210) 및 제2 셀(220) 중 어느 하나의 셀에서만 충전 또는 방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스위칭 소자(230)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충방전 소자부(320)는 전지 집합체(200)와 전원단(B+) 또는 전지 집합체(200)와 접지단(B-) 사이인 대전류 경로에 구비되며, 1차 보호회로(310)의 충방전 제어부(311)의 제어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충전 소자(321) 및 방전 소자(323)를 구비한다.
즉, 전지 집합체(200)가 외부연결 단자부(400)를 통해 외부 전원 장치와 연결되고, 충전 소자(321)가 온되면, 전지 집합체(200)는 충전되며, 전지 집합체(210)가 외부연결 단자부(400)를 통해 부하와 연결되고, 방전 소자(323)가 온되면, 전지 집합체(200)는 방전하여 부하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과방전, 과충전 및 과전류 등의 이상 동작 발생시에는 충방전 제어부(21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오프되어, 방전 및 충전 동작을 차단한다.
충전 소자(321) 및 방전 소자(323)는 전력 소비가 적고 구현이 용이한 모스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MOS FET : 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N형 모스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NMOS FET) 또는 P형 모스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PMOS FET)일 수 있다.
스위칭 소자(330)는 전지 집합체(100)와 외부연결 단자부(400) 사이의 대전류 경로에 구비되며, 1차 보호회로(310)의 스위칭 제어부(313)의 제어 신호에 의해 동작한다.
스위칭 소자(330)는 외부연결 단자부(400)와는 하나의 전류 경로를 가지며, 전지 집합체(200)와는 제1 셀(210)과 연결되는 제1 경로 및 제2 셀(220)과 연결되는 제2경로를 갖는다.
따라서, 스위칭 소자(330)는 스위칭 제어부(313)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경로 또는 제2 경로를 선택하도록 스위칭되어, 제1 셀(210) 또는 제2 셀(220) 중 하나의 셀만이 외부연결 단자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따라서, 충전 또는 방전 시에, 제1 셀(210) 또는 제2 셀(220) 중 하나의 셀에서만 충전 또는 방전이 일어난다.
스위칭 소자(330)로는 스위칭이 편리하고 전력 소모가 적은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 : Field Effect Transito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차 보호회로(340)는 전지 집합체(20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며, 과전류 등의 이상 동작이 발생하면, 전지 집합체(200)와 전원단(B+) 또는 전지 집합체(200)와 접지단(B-) 사이의 대전류 경로에 구비되는 퓨즈(350)를 끊어 전기적 흐름을 차단하여 발화, 폭발 등의 안전 사고를 예방한다.
퓨즈(350)는 전지 집합체(200)와 외부연결 단자부(400) 사이의 대전류 경로에 구비되며, 과충전, 과방전 또는 과전류 등의 이상 동작이 발생하는 경우, 강제로 융단되어 회로를 개방하여 전기적 흐름을 차단한다.
퓨즈(350)는 2차 보호회로(340)에 연결되어 2차 보호회로(34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며, 셀프 컨트롤 프로텍터(SCP : Self Control Protector)일 수 있다.
퓨즈(350)는 통상적인 배터리 팩의 제조 공정에서 사용되는 온도가 110℃ 미만이고, 배터리 팩이 내부 온도가 130℃를 초과하면 스웰링(swelling) 현상에 의해 발열 또는 폭발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110℃ 내지 130℃에서 녹아 끊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도 센서(360)는 온도에 따라 저항이 변하는 소자로서, 전지 집합체(200)와 외부연결 단자부(400) 사이의 대전류 경로에 구비된다.
온도 센서(360)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로 구성될 수 있으며, 과열, 과전류 등의 이상 동작으로 인해 온도가 상승되면 저항이 증가되어, 전기적 흐름을 감소시킴으로써, 배터리 팩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외부연결 단자부(400)는 하나 또는 다수개의 단자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원단(B+), 접지단(B-), 입출력 단자, 서미스터 단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4에서는 외부연결 단자부(400)가 보호회로기판(300)과 별도의 구성 요소로 설명하고 있으나, 구조적으로 보호회로기판(300)의 일측에 구비된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로서, 서로 병렬로 연결되는 제1 코어 팩(510) 및 제2 코어 팩(530)과 외부연결 단자부(550)를 구비한다.
제1 코어 팩(510)은 제1 셀(511) 및 제1 보호회로기판(513)을 구비하며, 제1 셀(511) 및 제1 보호회로기판(513)은 도4의 제1 셀(210) 및 보호회로기판(300)과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코어 팩(530)은 제2 셀(531) 및 제2 보호회로기판(533)을 구비하며, 제2 셀(531) 및 제2 보호회로기판(533)은 도4의 제2 셀(220) 및 보호회로기판(300)과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제1 코어 팩(510)과 제2 코어 팩(530)은 서로 병렬로 연결되어, 제1 코어 팩(510)의 양극 단자(P1+)와 제2 코어 팩(530)의 양극 단자(P2+)가 외부연결 단자부(550)의 전원단(B+)와 연결되며, 제1 코어 팩(510)의 음극 단자(P1-)와 제2 코어 팩(530)의 음극 단자(P2-)가 외부연결 단자부(550)의 접지단(B-)과 연결된다.
도4에서는 서로 다른 두 셀이 하나의 보호회로기판과 연결된데 반해, 도5에서는 서로 다른 두 셀이 각각 서로 다른 보호회로기판과 연결되어 전기적 안전성을 확보하게 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보호회로기판(513, 533) 중 어느 하나가 손상되는 경우, 손상된 보호회로기판과 연결되는 셀만 동작을 하지 않도록 하고, 다른 셀은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보호회로기판을 구비하는 경우보다 안정적인 전원 확보가 가능하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전자기기(600) 및 이에 구비되는 배터리 팩(100)을 도시하고 있다.
전자기기(600)는 배터리 팩(10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휴대용 단말기 등의 부하일 수 있으며, 배터리 팩(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장치일 수 있다.
전자기기(600)는 배터리 팩(100)을 수용하기 위한 배터리 수용부(610)를 구비하며, 배터리 수용부(610) 일측에는 배터리 팩(100)의 외부연결 단자부(41)와 연결하기 위한 외부 단자부(615)를 구비한다.
배터리 팩(100)은 전자기기(600)의 배터리 수용부(610)에 구비되는 경우, 소면적의 두께가 두꺼운 리튬 이온 셀(10)이 대면적의 두께가 얇은 리튬 폴리머 셀(20)보다 먼저 삽입되어, 배터리 수용부(610)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배터리 팩(100)의 외부연결 단자부(41)와 전자기기(600)의 배터리 수용부(610)에 구비되는 외부 단자부(615)는 서로 접속됨으로써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과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리튬 이온 셀과 리튬 폴리머 셀의 결합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3은 도1의 배터리 팩의 결합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 리튬 이온 셀 11 : 캡 업
13 : PTC 15 : 양극 단자
17 : 연결 탭 20 : 리튬 폴리머 셀
21 : 양극 탭 23 : 음극 탭
30 : 양면 접착 테이프 40, 300 : 보호회로기판
41, 400 : 외부연결 단자부 43 : 양극 단자
45 : 음극 단자 50 : 제1 리드
60 : 제2 리드 70 : 커버레이
80 : 상부 케이스 81 : 홀
90 : 하부 케이스 100 : 배터리 팩
200 : 전지 집합체 210, 511 : 제1 셀
220, 531 : 제2 셀 310 : 1차 보호회로
311 : 충방전 제어부 313 : 스위칭 제어부
320 : 충방전 소자부 321 : 충전 소자
323 : 방전 소자 330 : 스위칭 소자
340 : 2차 보호회로 350 : 퓨즈
360 : 온도 센서 510 : 제1 코어 팩
513 : 제1 PCB 530 : 제2 코어 팩
533 : 제2 PCB 600 : 전자기기
610 :배터리 수용부 615 : 외부 단자
B+ : 전원단 B- : 접지단

Claims (25)

  1. 서로 다른 종류의 제1 및 제2 셀로 이루어지는 전지 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셀은 물리적으로 결합되고 전기적으로 병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셀과 상기 제2 셀은 양면 접착 테이프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셀은 각형이고, 상기 제2 셀은 파우치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셀은 리튬 이온 셀이고, 상기 제2 셀은 리튬 폴리머 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은
    상기 전지 집합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외부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외부연결 단자부를 포함하는 보호회로기판;
    상기 전지 집합체와 상기 보호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 리 드 및 제2 리드;
    상기 제1 리드 및 상기 제2 리드 위에 부착되는 커버레이; 및
    상기 전지 집합체와 상기 보호회로기판을 수용하는 외부 케이스를 더 구비하는 배터리 팩.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회로기판은 상기 제1 셀과 상기 제2 셀에 공통적으로 연결되는 하나의 보호회로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회로기판은 두 개가 구비되며, 하나는 상기 제1 셀과 연결되는 제1 보호회로기판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셀과 연결되는 제2 보호회로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회로기판은 상기 제1 셀 및 상기 제2 셀이 연결되는 하나 또는 다수개의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회로기판은 상기 하나의 양극 단자에 상기 제1 셀 및 상기 제2 셀의 양극을 연결하고, 상기 하나의 음극 단자에 상기 제1 셀 및 상기 제2 셀의 음극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회로기판은 서로 다른 양극 단자에 상기 제1 셀 및 상기 제2 셀의 양극을 연결하고, 서로 다른 음극 단자에 상기 제1 셀 및 상기 제2 셀의 음극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회로기판은 상기 하나의 양극 단자에 상기 제1 셀 및 상기 제2 셀의 양극을 연결하고, 서로 다른 음극 단자에 상기 제1 셀 및 상기 제2 셀의 음극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회로기판은 서로 다른 양극 단자에 상기 제1 셀 및 상기 제2 셀의 양극을 연결하고, 하나의 음극 단자에 상기 제1 셀 및 상기 제2 셀의 음극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회로기판은
    상기 전지 집합체와 상기 외부연결 단자부 사이에 위치하는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부를 포함하는 1차 보호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소자는 상기 외부연결 단자부와 하나의 전류 경로를 가지며, 상기 전지 집합체와는 상기 제1 셀과 연결되는 제1 경로 및 상기 제2 셀과 연결되는 제2 경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셀 또는 상기 제2 셀 중 하나만 충전 또는 방전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6. 배터리 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 배터리 팩을 수용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또는 공급하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은 서로 다른 종류의 제1 셀 및 제2 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셀은 물리적으로 결합되고 전기적으로 병렬로 연결되는 전지 집합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셀은 리튬 이온 셀이고, 상기 제2 셀은 리튬 폴리머 셀이고,
    상기 제1 셀이 상기 배터리 수용부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셀이 상기 제1 셀 상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셀은 각형이고, 상기 제2 셀은 파우치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은
    상기 전지 집합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외부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외부연결 단자부를 포함하는 보호회로기판;
    상기 전지 집합체와 상기 보호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 리드 및 제2 리드;
    상기 제1 리드 및 상기 제2 리드 위에 부착되는 커버레이; 및
    상기 전지 집합체와 상기 보호회로기판을 수용하는 외부 케이스를 더 구비하는 전자기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회로기판은 상기 제1 셀과 상기 제2 셀에 공통적으로 연결되는 하나의 보호회로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회로기판은 두 개가 구비되며, 하나는 상기 제1 셀과 연결되는 제1 보호회로기판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셀과 연결되는 제2 보호회로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회로기판은 상기 제1 셀 및 상기 제2 셀이 연결되는 하나 또는 다수개의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회로기판은
    상기 전지 집합체와 상기 외부연결 단자부 사이에 위치하는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부를 포함하는 1차 보호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소자는 상기 외부연결 단자부와 하나의 전류 경로를 가지며, 상기 전지 집합체와는 상기 제1 셀과 연결되는 제1 경로 및 상기 제2 셀과 연결되는 제2 경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셀 또는 상기 제2 셀 중 하나만 충전 또는 방전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070113804A 2007-11-08 2007-11-08 배터리 팩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Active KR100998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804A KR100998301B1 (ko) 2007-11-08 2007-11-08 배터리 팩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US12/239,039 US7862919B2 (en) 2007-11-08 2008-09-26 Battery pack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EP08168379.9A EP2058878B1 (en) 2007-11-08 2008-11-05 Battery pack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2008101747952A CN101431168B (zh) 2007-11-08 2008-11-05 电池组和使用该电池组的电子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804A KR100998301B1 (ko) 2007-11-08 2007-11-08 배터리 팩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778A KR20090047778A (ko) 2009-05-13
KR100998301B1 true KR100998301B1 (ko) 2010-12-03

Family

ID=40380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3804A Active KR100998301B1 (ko) 2007-11-08 2007-11-08 배터리 팩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862919B2 (ko)
EP (1) EP2058878B1 (ko)
KR (1) KR100998301B1 (ko)
CN (1) CN10143116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4788B1 (ko) 2009-08-25 2011-11-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87344B1 (en) * 2004-07-22 2017-02-22 BrightVolt, Inc. Improved battery tab and packaging design
JP5011678B2 (ja) * 2005-08-12 2012-08-29 ソニー株式会社 二次電池
US9099726B2 (en) * 2010-01-19 2015-08-04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128125B1 (ko) * 2010-05-24 2012-03-22 넥스콘 테크놀러지 주식회사 태비 방식의 배터리 보호회로 제조방법
EP2688179B1 (en) * 2011-06-30 2016-08-03 Furukawa Electric Co., Ltd. Power supply apparatus and power supply method
KR101914559B1 (ko) * 2012-02-03 2018-11-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US20130236768A1 (en) * 2012-03-08 2013-09-12 Lg Chem, Ltd. Battery pack of stair-like structure
KR20130113301A (ko) 2012-04-05 2013-10-15 주식회사 엘지화학 계단 구조의 전지셀
KR20130133640A (ko) 2012-05-29 2013-12-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코너부 형상이 다양한 단차를 갖는 전극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전지팩 및 디바이스
DE102012011083A1 (de) * 2012-06-02 2013-12-05 Audi Ag Speicherelement umfassend mehrere Lithium-Zellen
KR101483505B1 (ko) 2012-11-13 2015-01-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단차 구조가 형성된 전극조립체
KR102016753B1 (ko) * 2013-02-05 2019-10-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20140100032A (ko) 2013-02-05 2014-08-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단차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셀
KR101596269B1 (ko) 2013-02-13 2016-02-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신규한 구조의 전지셀
KR101586201B1 (ko) * 2013-02-13 2016-01-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엇갈린 배열 구조의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지셀
JP5835246B2 (ja) * 2013-02-27 2015-12-24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池ユニット
KR101572836B1 (ko) * 2013-03-04 2015-12-01 주식회사 엘지화학 단차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셀
US9954203B2 (en) 2013-03-08 2018-04-24 Lg Chem, Ltd. Stepped electrode group stack
US9786874B2 (en) 2013-03-08 2017-10-10 Lg Chem, Ltd. Electrode having round corner
TWI491099B (zh) * 2013-08-29 2015-07-01 Htc Corp 電池結構、電子裝置及電池結構的製造方法
KR101520391B1 (ko) * 2014-02-11 2015-05-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팩
KR102249889B1 (ko) * 2014-04-07 2021-05-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용 보호 장치
KR102316436B1 (ko) * 2014-11-17 2021-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종의 배터리 셀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403869B2 (en) 2015-04-13 2019-09-03 Cps Technology Holdings, Llc Adhesive tape for positioning battery cells in a battery module
JP6888634B2 (ja) * 2016-12-06 2021-06-1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二次電池
WO2018105276A1 (ja) * 2016-12-06 2018-06-1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二次電池
US10879715B2 (en) * 2017-03-08 2020-12-29 Mediatek Inc. Method for improving temperature management of battery pack
CN109510255B (zh) * 2018-10-31 2021-08-27 深圳欣旺达智能科技有限公司 双电池快充结构和移动终端
CN111029508A (zh) * 2019-12-30 2020-04-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电池组件及电子设备
CN113130858B (zh) * 2019-12-31 2022-12-30 华为技术有限公司 硅基负极材料及其制备方法、电池和终端
CN111834576A (zh) * 2020-08-04 2020-10-27 珠海冠宇电源有限公司 一种电芯混合并联电池
CA3189101A1 (en) * 2020-08-10 2022-02-17 Pifa Shen A battery module and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comprising such battery module
CN114914617A (zh) * 2021-02-09 2022-08-16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电池和电子设备
CN113707979A (zh) * 2021-08-27 2021-11-26 深圳市海雅达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结构
CN116937723B (zh) * 2022-04-08 2024-07-02 荣耀终端有限公司 电池控制电路、电子设备及充电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2225A (en) * 1975-10-28 1976-11-16 Mauratron Incorporated Printed circuit board battery pack
US5162164A (en) * 1989-06-12 1992-11-10 Globe-Union Inc. Dual battery system
US5652043A (en) * 1995-12-20 1997-07-29 Baruch Levanon Flexible thin layer open electrochemical cell
US5614331A (en) * 1995-12-22 1997-03-25 Wilson Greatbatch Ltd. Medium and high discharge rate combination battery and method
JPH11332023A (ja) 1998-05-14 1999-11-30 Nissan Motor Co Ltd 電気自動車用バッテリー
JP2001268814A (ja) * 2000-03-17 2001-09-28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電源供給装置、電気機器および電力供給方法
JP3858986B2 (ja) 2002-03-26 2006-12-2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源装置
DE60307750T2 (de) * 2002-05-08 2006-12-14 Nissan Motor Co., Ltd., Yokohama Sekundärzellenmodul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JP3940342B2 (ja) 2002-09-13 2007-07-0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二次電池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37547A (ko) 2002-10-29 2004-05-07 (주)포스앤테크 이차 전지팩
JP4096718B2 (ja) 2002-11-28 2008-06-0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バイポーラ電池、バイポーラ電池の製造方法、組電池および車両
KR100958647B1 (ko) * 2002-12-18 2010-05-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형 이차전지 유니트
JP4373109B2 (ja) 2003-03-07 2009-11-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積層型電池パック
KR100560158B1 (ko) 2003-09-29 2006-03-16 주식회사 코캄 고 안전성 리튬 이차 전지 및 그 제조방법
EP1673828B1 (en) * 2003-10-14 2013-05-08 Black & Decker Inc. Protection methods, protection circuits and protective devices for secondary batteries, a power tool, charger and battery pack adapted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fault conditions in the battery pack
US20060043925A1 (en) * 2004-06-30 2006-03-02 Tuin Jacobus N Battery cap for a battery cell of a mobile electronic device
TWI243500B (en) 2004-07-08 2005-11-11 Antig Tech Co Ltd Rechargeable battery device with a connection interface
KR20060022972A (ko) 2004-09-08 2006-03-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팩
JP4716719B2 (ja) 2004-12-03 2011-07-06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池パック
KR100905391B1 (ko) * 2004-12-24 2009-06-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모듈의 단자 연결부재
KR100570726B1 (ko) 2005-07-22 2006-04-12 주식회사 린포스 온도보상한 내환경성이 우수한 초저온 슈퍼전지팩
JP4561542B2 (ja) * 2005-09-02 2010-10-13 ソニー株式会社 二次電池
KR101264427B1 (ko) 2006-07-31 2013-05-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배터리 팩 및 그것의 충전 방법
ATE549756T1 (de) 2006-10-16 2012-03-15 Lg Chemical Ltd Hochleistungs-sekundärbatteriesystem mit asymmetrischen geladenen zellen
KR200437547Y1 (ko) 2006-10-18 2007-12-11 이용돈 저전압 구동방지회로가 내장된 스위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4788B1 (ko) 2009-08-25 2011-11-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US9147863B2 (en) 2009-08-25 2015-09-29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31168A (zh) 2009-05-13
EP2058878A1 (en) 2009-05-13
US20090123829A1 (en) 2009-05-14
US7862919B2 (en) 2011-01-04
CN101431168B (zh) 2011-11-09
KR20090047778A (ko) 2009-05-13
EP2058878B1 (en) 2018-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8301B1 (ko) 배터리 팩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100929036B1 (ko) 배터리 팩의 보호회로,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및 이의동작방법
EP1946394B1 (en) No-welding type battery pack
EP2200107B1 (en) Battery Pack
US8228033B2 (en) Protective circuit board having groove and battery pack using the same
JP4537355B2 (ja) Ptc素子を備えた二次電池
CN102208593B (zh) 二次电池组
EP2337120B1 (en)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pack
EP3128574A1 (en) Circuit board for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EP2760064B1 (en) Battery pack
US8668996B2 (en) Battery pack
US9653760B2 (en) Battery pack
JP5055824B2 (ja) 電池
KR20050087632A (ko) 리튬이온 배터리용 피시엠 보호캡
KR100870356B1 (ko) 이차전지
US20140349141A1 (en) Battery pack
KR100581661B1 (ko) 리튬이온 폴리머 배터리용 피시엠 및 그 성형방법
KR20090030711A (ko) 베어 셀 및 이를 포함한 이차 전지
KR101483130B1 (ko) 전지 팩
KR200342450Y1 (ko) 리튬이온 폴리머 배터리용 피시엠
KR20090026645A (ko) 이차 전지
KR20160104995A (ko)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0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4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1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11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0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0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0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