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03323B1 - 양하장치 - Google Patents

양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3323B1
KR101603323B1 KR1020147026821A KR20147026821A KR101603323B1 KR 101603323 B1 KR101603323 B1 KR 101603323B1 KR 1020147026821 A KR1020147026821 A KR 1020147026821A KR 20147026821 A KR20147026821 A KR 20147026821A KR 101603323 B1 KR101603323 B1 KR 101603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watertight
air
conveying means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6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6085A (ko
Inventor
카츠미 마스다
요네오 무라이
이사오 토메이
Original Assignee
우베고산카이운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오케이엠
세이와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911609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60332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우베고산카이운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오케이엠, 세이와코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우베고산카이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46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6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3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3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soli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양하장치(100)는, 분립체 운반선(1)에 설치되고, 분립체 등의 화물을 수직방향으로 이송하는 버킷 엘리베이터(110)와, 홀드(2)의 바닥부 중앙부(2c)에 선체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배치된 동시에 버킷 엘리베이터(110)와 접속되어, 분립체 등의 화물을 버킷 엘리베이터(110)의 하단 측을 향해서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는 플로우 컨베이어(120)와, 홀드(2)의 바닥부(2a)에 바닥부 중앙부(2c)를 향해서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홀드(2) 내의 분립체를 플로우 컨베이어(120)를 향해서 이송하는 에어 슬라이더(140)를 구비한다. 분립체 운반선(1)은, 수밀한 복수의 홀드(2)를 구비하고, 이들 플로우 컨베이어(120) 및 에어 슬라이더(140)의 접속부에는, 접속부를 수밀하게 폐쇄 가능한 수밀 배출 게이트(13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양하장치{UNLOA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시멘트, 플라이애쉬, 탄산 칼슘(탄칼), 슬래그, 클링커(clinker) 등의 무기재의 분립체(粉粒體)의 화물이나, 곡물 등을 포함하는 유기재의 분립체의 화물을 반송하는 분립체 운반선에 적용 가능한 양하장치(揚荷裝置: unloading apparatus)에 관한 것이다.
시멘트, 플라이애쉬, 탄칼, 슬래그, 클링커나 곡물 등의 분립체의 화물을 운반하는 화물운반선으로서,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분체 수송선이 알려져 있다. 이 분체 수송선은, 선박 바닥 구조로서, 복수로 구획된 선창(船倉) 내의 바닥부 중앙부의 분체 도입로를 향해서 포재(布材)를 구비한 경사부를 지니고, 이 포재의 바닥부로부터 압축 공기를 취출함으로써 유체의 유동성을 확보하여 분체 도입로에 반송하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압축 공기에 의해서 분체 도입로에 유도된 분체는, 분체 도입로에 설치된 반송 컨베이어에 의해서 선체의 전후 방향으로 반송되고, 수직 이송 수단에 의해 셀러 펌프(cellar pump)까지 반송된 뒤에 양하된다. 이들로부터, 이 분체 수송선은, 구획된 선창, 그 선박 바닥 구조나 분체 도입로, 반송 컨베이어 등에 의해 구성된 양하장치를 구비한다고 할 수 있다.
JP 2002-356194 A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종래 기술의 분체 수송선에서는, 양하장치를 구성하는 분체 도입로가 복수의 선창을 연통하여 선체의 전후 방향으로 뻗는 구조이다. 이 때문에, 손상 시 복원성(데미지 스태빌리티(Damage Stability): DS)이 양호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즉, 예를 들어, 복수의 선창 중 적어도 하나에 바닷물이 침입해서 침수되면, 분체 도입로를 개재해서 각 선창에 바닷물이 도달해 버려, 모든 선창이 침수되어 버리므로, 선창 내에 실은 분체를 제품으로서 취급할 수 없게 되는 동시에, 손상 시 복원성이 양호하지 않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소하여, 손상 시 복원성이 양호하고, 또한 선창으로부터 분립체를 안정적으로 내릴 수 있는 양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하장치는, 분립체를 복수로 구획된 선창 내에 적재하여 운반하는 분립체 운반선에 설치되어, 상기 선창 내로부터 상기 분립체를 내리는 양하장치로서, 격벽에 의해 내부가 수밀하게 되도록 구획된 상기 선창 내로부터 반출된 분립체를 수직방향으로 이송하는 수직 이송 수단과, 상기 선창의 바닥부 중앙부에 상기 분립체 운반선의 선체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배치된 동시에 상기 수직 이송 수단과 접속되어, 상기 선창 내의 분립체를 상기 수직 이송 수단의 하단 측을 향해서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는 수평 이송 수단과, 상기 선창의 바닥부에 상기 바닥부 중앙부를 향해서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선창 내의 분립체를 상기 수평 이송 수단을 향해서 이송하는 선창 내 이송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수평 이송 수단 및 상기 선창 내 이송 수단의 접속부는, 수밀 수단에 의해 폐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수직 이송 수단이 세로형 스크류 컨베이어 또는 세로형 버킷 엘리베이터(bucket e1evator)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 이송 수단이 플로우 컨베이어(flow conveyor)로 이루어지며, 상기 선창 내 이송 수단이 에어 슬라이더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손상 시 복원성이 양호하고 또한 선창으로부터 분립체를 안정적으로 내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양하장치를 적용한 분립체 운반선의 구조를 도시한 측방향 단면도;
도 2는 상기 양하장치를 적용한 분립체 운반선의 구조를 도시한 상방 평면도;
도 3은 상기 양하장치를 적용한 분립체 운반선의 구조를 도시한 폭방향 단면도;
도 4는 상기 양하장치를 적용한 분립체 운반선의 구조를 도시한 폭방향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양하장치를 적용한 분립체 운반선의 구조를 도시한 일부 확대 단면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양하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양하장치를 적용한 분립체 운반선의 구조를 도시한 측방향 단면도이다. 또한, 도 2는 이 양하장치를 적용한 분립체 운반선의 구조를 도시한 상방 평면도이다. 도 3은 이 분립체 운반선의 폭방향 단면도, 도 4는 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하장치(100)는 분립체 운반선(1)에 설치되어 있다. 양하장치(100)는, 예를 들어, 분립체 운반선(1)의 선창인 홀드(hold)(2) 내에 적재된 시멘트, 플라이애쉬, 탄산 칼슘(탄칼), 슬래그, 클링커 등의 무기재의 분립체나, 곡물 등을 포함하는 유기재의 분립체 등의 화물을 수직방향으로 이송하는 수직 이송 수단의 버킷 엘리베이터(110)를 구비한다.
또, 양하장치(100)는, 홀드(2)의 바닥부 중앙부(2c)에 분립체 운반선 선체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배치된 동시에 버킷 엘리베이터(110)와 접속되어, 분립체 등의 화물을 버킷 엘리베이터(110)의 하단 측을 향해서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는 수평 이송 수단인 플로우 컨베이어(120)를 구비한다.
또한, 양하장치(100)는, 홀드(2)의 바닥부(2a)에 바닥부 중앙부(2c)를 향해서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홀드(2) 내의 분립체를 플로우 컨베이어(120)를 향해서 이송하는 선창 내 이송 수단의 에어 슬라이더(140)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들 플로우 컨베이어(120) 및 에어 슬라이더(140)의 접속부에는 접속부를 수밀하게 폐쇄 가능한 수밀 배출 게이트(13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분립체 운반선(1)은, 본 예에서는 선박 바닥을 구성하는 선각 밑판(3) 위에 배치된 밸러스트 탱크(ballast tank)(4)와, 이 밸러스트 탱크(4)의 상판인 홀드(2)의 밑판(4a)를 구비하고, 선수부(6)와 선미부(7) 사이에, 예를 들어, 선체 전후 방향에 4개, 그리고 선체 폭방향에 2개씩 구획된 8개의 홀드(2)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홀드(2)는, 격벽(2b)에 의해 선체의 전후 방향 및 폭방향으로 수밀 상태로 구획되어 있다.
분립체 운반선(1)의 선적장치는, 예를 들어, 홀드(2) 내에 적재되는 화물(적하물)을 육상으로부터 분립체 운반선(1)에 받아들이는 수납 에어 슬라이드(150)를 개재해서 접속된 중앙 분배 탱크(152)와, 이 중앙 분배 탱크(152)에 접속된 분배 에어 슬라이드(153)와, 이 분배 에어 슬라이드(153)로부터 분기되는 홀드 선적부(154)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중앙 분배 탱크(152)는, 선체의 전후 방향의 거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분배 에어 슬라이드(153)는, 중앙 분배 탱크(152)로부터 선수부(6)의 방향 및 선미부(7)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중앙 분배 탱크(152) 측에서부터 이들 방향으로 경사져서 내려가도록 4개 설치되고, 각 홀드(2)의 상부에 설치된 홀드 선적부(154)와 중앙 분배 탱크(152)를 연결한다.
분배 에어 슬라이드(153)에 연결된 홀드 선적부(154)는, 각 홀드(2)에 대해서 설치되어 있고, 홀드 선적부(154)와 분배 에어 슬라이드(153) 사이에 설치된 게이트(155)의 개방 조작에 의해, 시멘트 등의 분립체가 홀드 선적부(154) 바로 아래의 홀드(2) 내에 낙하하여, 적재된다. 이때, 분립체는 유동화된 상태에서 홀드(2) 내에 낙하되므로, 적재 표면은 거의 수평화된다.
또한, 중앙 분배 탱크(152)나 분배 에어 슬라이드(153) 등의 구조는 공지이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에어 슬라이드는, 예를 들어, 덕트 내에 경사진 캔버스를 배치하고, 이 캔버스의 아래 쪽으로부터 공기를 공급해서 분립체를 유동화시키면서 이동시키는 것이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립체 운반선(1)의 양하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은 홀드(2)의 밑판(4a) 위에 설치된 에어 슬라이더 부착 밑판(5)의 위쪽에 설치된 선창 내 이송 수단의 홀드용의 에어 슬라이더(140)와, 각 홀드(2)의 바닥부 중앙부(2c)에 설치되고, 에어 슬라이더(140)에 의해 홀드(2) 내를 선체의 폭방향으로 수평방향으로 이송되어온 분립체를, 선체의 전후 방향으로 이송하는 플로우 컨베이어(120)와, 예를 들어, 플로우 컨베이어(120)의 선수부(6) 측의 단부와 접속되어, 그 하단 측으로부터 플로우 컨베이어(120)에 의해 이송되어온 분립체를 수직방향으로 이송하는 버킷 엘리베이터(110)를 구비한다.
또, 양하장치(100)는, 버킷 엘리베이터(110) 근방에 있어서, 예를 들어, 선체의 폭방향으로 복수 배치된 셀러 펌프(160)와, 이들 셀러 펌프(160)와 버킷 엘리베이터(110)의 상단 측을 접속하는 셀러 펌프(160)에의 급송관(161)과, 셀러 펌프(160) 내의 분립체를 양하시키기 위한 수송관(양하관)(162)을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에어 슬라이더 부착 밑판(5)은, 홀드(2) 내로부터의 분립체의 누설이나 밑판(4a) 측으로부터의 바닷물의 침입 등이 없도록, 수밀 구조로 홀드(2)의 바닥부(2a)의 전체 면에 설치되어 있다. 에어 슬라이더(140)는, 밑판(4a)과 에어 슬라이더 부착 밑판(5) 사이의 공간부에 배치된, 공기 배관(149)이나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공기 공급 밸브(에어 슬라이더 밸브)를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공기 배관(149)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는, 공기 공급 밸브를 개재해서 에어 슬라이더(140)의 에어 슬라이더 박스(148) 내에 공급되어, 에어 슬라이더 캔버스(147)를 통해서 홀드(2) 내로 취출된다. 또한, 공기는 공기 공급 밸브의 적어도 일부에 접속된 복수의 통기 밸브를 개재해서 홀드(2) 내에 공급된다. 통기 밸브는 홀드(2) 내의 통기 압력을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 플로우 컨베이어(120)와 에어 슬라이더(140)의 접속부에는, 에어 슬라이더(140)로부터의 분립체를 플로우 컨베이어(120)에 배출하기 위한 수밀 수단인 수밀 배출 게이트(130)가 배치되어 있다. 수밀 배출 게이트(130)는, 전동식 또는 공동식(空動式)의 실린더를 구비하는 나이프 게이트 밸브나 나비형 밸브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에어 슬라이더(140)는, 홀드(2)의 선체 측면 측의 격벽(2b) 측으로부터 수밀 배출 게이트(130) 쪽으로 약간 경사져서 흘러 내리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유동화된 홀드(2) 내의 분립체를 수밀 배출 게이트(130)의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수밀 배출 게이트(130)는, 도시하지 않은 자동제어장치 또는 수동제어장치에 의해 폐쇄 조작됨으로써, 홀드(2) 내의 에어 슬라이더(140)와 플로우 컨베이어(120)의 접속부를 수밀하게 폐쇄한다. 이것에 의해, 각 홀드(2)는 각각 수밀하게 구획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양하장치(100)는, 플로우 컨베이어(120)에 의해서 각 홀드(2)가 선체의 전후 방향으로 연통되어 있어도, 수밀 배출 게이트(130)에 의해 플로우 컨베이어(120)와 에어 슬라이더(140)를 수밀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홀드(2) 중 어느 것인가에 바닷물이 침입해도, 수밀 배출 게이트(130)를 폐쇄 조작함으로써 다른 홀드(2) 내에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손상 시 복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플로우 컨베이어(120), 에어 슬라이더(140) 및 버킷 엘리베이터(110) 등은 기존의 구조의 것을 이용하고, 수밀 배출 게이트(130)만을 신규로 설치하는 것만으로 양하장치(100)를 실현할 수 있으므로, 염가로 구성할 수 있다.
또, 버킷 엘리베이터(110) 대신에, 세로형 스크류 컨베이어 등의 수직 이송 수단을 채용하거나, 플로우 컨베이어(120)로서 체인 컨베이어나 가로형 스크류 컨베이어 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수밀 배출 게이트(130)를 그 개방도에 따라서 분립체의 플로우 컨베이어(120)에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조정밸브로서 동작시키거나, 에어 슬라이더(140)의 통기를 제어해서 이 유량을 조정하거나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양하장치(100)에 따르면, 수밀 배출 게이트(130)의 구조를 나이프 게이트 밸브 등의 기존의 수밀 수단에 의해 구성하고, 게이트의 개구 형상을 직사각 형상, 원 형상 등 각종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플로우 컨베이어(120)와 에어 슬라이더(140)의 접속 부분에 이들의 접속을 위한 데드 스페이스가 불필요하게 되고, 보다 간단한 구조로 손상 시 복원성을 향상시키는 양하장치(100)를 실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양하장치를 적용한 분립체 운반선의 구조를 도시한 일부 확대 단면도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하장치(100A)는, 버킷 엘리베이터(110)와 플로우 컨베이어(120)의 접속부에 수밀 배출 게이트(130)가 추가로 구비되어 있는 점이, 앞서의 실시형태에 따른 양하장치(100)와 상이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각 홀드(2)의 부분과 선수부(6)를 수밀 상태로 구획하여, 손상 시 복원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 이 경우에는, 플로우 컨베이어(120)와 에어 슬라이더(140)의 접속부에 수밀 배출 게이트(130)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지만, 보다 적합하게는 각 홀드(2)를 수밀 상태로 구획할 수 있는 구성이 양호하다.
1: 분립체 운반선 2: 선창(홀드)
2a: 바닥부 2b: 격벽
3: 선각 밑판 4: 밸러스트 탱크
4a: 밑판 5: 에어 슬라이더 부착 밑판
6: 선수부 7: 선미부
100: 양하장치 110: 버킷 엘리베이터
120: 플로우 컨베이어 130: 배출 게이트
140: 에어 슬라이더

Claims (2)

  1. 분립체(粉粒體)를 복수로 구획된 선창 내에 적재하여 운반하는 분립체 운반선에 설치되어, 상기 선창 내로부터 상기 분립체를 내리는 양하장치(揚荷裝置: unloading apparatus)로서,
    격벽에 의해 내부가 수밀하게 되도록 구획된 상기 선창 내로부터 반출된 분립체를 수직방향으로 이송하는 수직 이송 수단;
    상기 선창의 바닥부 중앙부에 상기 분립체 운반선 선체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배치된 동시에 상기 수직 이송 수단과 접속되어, 상기 선창 내의 분립체를 상기 수직 이송 수단의 하단 측을 향해서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는 수평 이송 수단; 및
    상기 선창의 바닥부에 상기 바닥부 중앙부를 향해서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선창 내의 분립체를 공기류에 의해 유동화시켜서 상기 수평 이송 수단을 향해서 이송하는 에어 슬라이더를 포함하되,
    상기 수평 이송 수단 및 상기 에어 슬라이더의 접속부는 수밀 나비형 밸브에 의해 폐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이송 수단은 세로형 스크류 컨베이어 또는 세로형 버킷 엘리베이터(bucket e1evator)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 이송 수단은 플로우 컨베이어(flow conveyor)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하장치.
KR1020147026821A 2012-03-05 2012-03-05 양하장치 KR1016033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55575 WO2013132579A1 (ja) 2012-03-05 2012-03-05 揚荷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6085A KR20140146085A (ko) 2014-12-24
KR101603323B1 true KR101603323B1 (ko) 2016-03-14

Family

ID=49116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6821A KR101603323B1 (ko) 2012-03-05 2012-03-05 양하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814461B2 (ko)
KR (1) KR101603323B1 (ko)
CN (1) CN104203744B (ko)
WO (1) WO20131325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55299B2 (ja) * 2015-05-15 2017-06-28 宇部興産海運株式会社 揚荷装置
JP2017013574A (ja) * 2015-06-30 2017-01-19 宇部興産海運株式会社 揚荷装置
JP6470786B2 (ja) * 2017-04-19 2019-02-13 宇部興産海運株式会社 揚荷装置
JP6772206B2 (ja) * 2018-01-31 2020-10-21 宇部興産海運株式会社 揚荷装置
SG10201909072XA (en) * 2019-09-27 2021-04-29 Eng Soon Goh Mixed Cargoes Barge
CN113353198A (zh) * 2021-07-13 2021-09-07 中集船舶海洋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散装水泥船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7278A (ja) * 2007-09-14 2009-04-02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粉粒体運搬船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86209780U (zh) * 1986-12-03 1987-09-09 彭志平 自卸式散装物料运输船
JP3491165B2 (ja) * 1992-09-04 2004-01-26 株式会社 商船三井 ばら積船のセルフアンローディングシステム
JP3383681B2 (ja) * 1992-11-13 2003-03-04 太平洋セメント株式会社 粉体貨物を荷役輸送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3523612B2 (ja) 2001-05-31 2004-04-26 双栄海運株式会社 粉体輸送船
CN101239652A (zh) * 2007-02-06 2008-08-13 周兆弟 自卸散装货船及散装料的自卸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7278A (ja) * 2007-09-14 2009-04-02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粉粒体運搬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814461B2 (ja) 2015-11-17
JPWO2013132579A1 (ja) 2015-07-30
WO2013132579A1 (ja) 2013-09-12
CN104203744A (zh) 2014-12-10
CN104203744B (zh) 2016-10-26
KR20140146085A (ko) 2014-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3323B1 (ko) 양하장치
JP2009067278A (ja) 粉粒体運搬船
DK2032426T3 (en) System and method for unloading of bulk material from a ship
KR101603322B1 (ko) 양하장치
JP5173892B2 (ja) 船舶
KR101258925B1 (ko) 덕트킬을 이용한 화물하역장치를 갖는 선박
RU2608013C1 (ru) Универсальная машина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и загрузки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в электролизер
US330510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ships
JP6056034B2 (ja) 揚荷装置
JP6484211B2 (ja) 揚荷装置
JP3211318U (ja) 揚荷装置
RU232843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епрерывной подачи порошкообразного твердого материала в пневмотранспортный трубопровод
JP4699618B2 (ja) ばら物運搬船
CN103857280A (zh) 应用于运输大量动物的船上的进行装填、保存和分配饲料的系统
JP6056030B2 (ja) 粉粒体運搬船及びその粉粒体流動化方法
JP6470786B2 (ja) 揚荷装置
JP4562646B2 (ja) 粉体積載船の船体構造
JP2018070158A (ja) 揚荷装置
JP6056029B2 (ja) 粉粒体運搬船
JP6056028B2 (ja) 粉粒体運搬船
WO2019168105A1 (ja) ばら物貯蔵設備及びばら積み船
JP4552172B2 (ja) ばら物運搬船
JPS629197Y2 (ko)
JP2017013574A (ja) 揚荷装置
JP6456866B2 (ja) 粉粒体の貯蔵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2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3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3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