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52620B1 - 공기입 타이어 - Google Patents

공기입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2620B1
KR101552620B1 KR1020157017032A KR20157017032A KR101552620B1 KR 101552620 B1 KR101552620 B1 KR 101552620B1 KR 1020157017032 A KR1020157017032 A KR 1020157017032A KR 20157017032 A KR20157017032 A KR 20157017032A KR 101552620 B1 KR101552620 B1 KR 101552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pitch
tread
pitch length
pc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7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0651A (ko
Inventor
요시후미 코이시카와
Original Assignee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80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0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62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4Tread patterns in which the raised area of the pattern consists only of continuous circumferential ribs, e.g. zig-za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18Tread patterns irregular patterns with particular pitch sequ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06Patterns comprising block rows or discontinuou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5/00Inflatable pneumatic tyres or inne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41Circumferential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81Blind or isolated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81Blind or isolated grooves
    • B60C2011/0383Blind or isolated grooves at the centre of the t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86Continuous ribs
    • B60C2011/0388Continuous ribs provided at the equatorial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86Continuous ribs
    • B60C2011/0393Narrow ribs, i.e. having a rib width of less than 8 m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2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 B60C11/1204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with special shape of the sipe
    • B60C2011/1209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with special shape of the sipe straight at the tread su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6Optimisation of rolling resistance, e.g. weight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번잡한 설계에 의하지 않고 얻어지고, 조종 안정 성능 및 구름 저항 성능이 개선된, 공기입(空氣入)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트레드(tread) 센터부에서는, 타이어 둘레 방향 피치 길이에 관하여, 적어도 3개의 피치 베리에이션(pitch variation)을 가지고, 피치 수를 n으로 하였을 경우에, 각각의 피치 길이 Pc를 긴 것으로부터 차례로 Pc1, Pc2, Pc3, ..., Pcn으로 하였을 때에, Pc1/Pc2≥Pc2/Pc3≥,...,≥Pcn-1/Pcn, 또한, Pc1/Pc2>Pcn-1/Pcn의 관계를 만족한다.

Description

공기입 타이어{PNEUMATIC TIRE}
본 발명은, 트레드(tread) 패턴에 피치 베리에이션(pitch variation)을 채용한 공기입(空氣入)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 트레드 패턴에 피치 베리에이션을 채용한 공기입 타이어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내지 3 참조). 특허 문헌 1에 개시(開示)된 기술은, 피치 길이와, 가로 홈의 경사 각도와, 가로 홈의 홈 면적을 특정하여, 웨트(wet) 성능을 개선한 기술이다.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기술은, 피치 열(列)의 피치 비율을 특정하여, 노이즈 성능을 개선한 기술이다. 특허 문헌 3에 개시된 기술은, 피치 길이와 가로 홈의 홈 폭을 특정하여, 노이즈 성능을 개선한 기술이다.
특허 문헌 1 :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1-291714호 특허 문헌 2 :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1-213348호 특허 문헌 3 :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7-168572호
특허 문헌 1, 3에 개시된 기술에 있어서는, 피치 길이의 외에, 가로 홈의 경사 각도나 면적, 혹은, 가로 홈의 홈 폭을 특정하지 않으면 안되어, 설계가 번잡하다. 또한, 이들의 기술에 의하여는, 웨트 성능이나 노이즈 성능은 개선되지만, 그 외의 성능, 예를 들어, 건조 노면에서의 조종 안정 성능이나 구름 저항에 관한 성능이 개선될지 여부에 관하여는 불명하다.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기술에 있어서는, 피치 길이로부터 일의적으로 정해지는, 복수의 피치 간의 피치 비율만이 특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처음부터 노이즈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피치 베리에이션을 채용한 것에 기초하여, 당해 노이즈 성능은 개선되지만, 건조 노면에서의 조종 안정 성능이나 구름 저항 성능에 관하여는, 개선될지 여부가 불명하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피치 길이 이외의 인자(因子), 예를 들어, 가로 홈의 경사 각도, 홈 면적 및 홈 폭에 개량을 가하는 것 없이, 즉, 번잡한 설계에 의하지 않고 얻어지고, 건조 노면에서의 조종 안정 성능 및 구름 저항 성능이 개선된,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는, 타이어 트레드부에, 둘레 방향으로 연재(延在)하는 적어도 2개의 주(主)홈을 구비하는 것과 함께, 상기 주홈과 교차하는 복수 개의 타이어 폭 방향 홈을 구비한다. 상기 주홈 중 타이어 폭 방향 최외측(最外側)의 주홈의 타이어 폭 방향 중심선보다도 타이어 폭 방향 내측의 영역은, 트레드 센터부이고, 상기 주홈 중 타이어 폭 방향 최외측의 주홈의 타이어 폭 방향 중심선으로부터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의 트레드 단부(端部)까지의 영역은, 트레드 숄더부이다. 상기 트레드 센터부에서는, 상기 타이어 폭 방향 홈과, 상기 타이어 폭 방향 홈에 타이어 둘레 방향의 일방(一方)에서 서로 이웃하는 육부(陸部)로 이루어지는 영역에 있어서의, 타이어 둘레 방향 피치 길이에 관하여, 적어도 3개의 피치 베리에이션을 가진다. 피치 수를 n으로 하였을 경우에, 각각의 피치 길이 Pc를 긴 것으로부터 차례로 Pc1, Pc2, Pc3, ..., Pcn으로 하였을 때에, Pc1/Pc2≥Pc2/Pc3≥,...,≥Pcn-1/Pcn, 또한, Pc1/Pc2>Pcn-1/Pcn의 관계를 만족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에서는, 피치 길이 이외의 인자에 개량을 가하지 않고, 피치 길이에 기초하는 피치 길이비(比)에만 개량을 가하고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는, 번잡한 설계에 의하지 않고 얻어지고, 게다가, 건조 노면에서의 조종 안정 성능 및 구름 저항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의 트레드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트레드부의 트레드 센터부(TC)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트레드부의 트레드 숄더부(TS)(도 1에 있어서의 우측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의 실시 형태(이하에 도시하는, 기본 형태 및 부가적 형태 1 내지 3)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덧붙여, 이들의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구성 요소에는, 당업자가 치환 가능한 또한 용이한 것, 혹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포함된다. 나아가, 상기 실시 형태에 포함되는 각종 형태는, 당업자가 자명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조합할 수 있다.
[기본 형태]
이하에, 본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에 관하여, 그 기본 형태를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타이어 직경 방향이란, 공기입 타이어의 회전축과 직교하는 방향을 말하고, 타이어 직경 방향 내측이란 타이어 직경 방향에 있어서 회전축을 향하는 측, 타이어 직경 방향 외측이란 타이어 직경 방향에 있어서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을 말한다. 또한, 타이어 둘레 방향이란, 상기 회전축을 중심축으로 하는 둘레 방향을 말한다. 나아가, 타이어 폭 방향이란, 상기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을 말하고, 타이어 폭 방향 내측이란 타이어 폭 방향에 있어서 타이어 적도면(CL)(타이어 적도선)을 향하는 측,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이란 타이어 폭 방향에 있어서 타이어 적도면(CL)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을 말한다. 덧붙여, 타이어 적도면(CL)이란, 공기입 타이어의 회전축에 직교하는 것과 함께, 공기입 타이어의 타이어 폭의 중심을 통하는 평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의 트레드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공기입 타이어(1)는, 트레드부(10)를 가지고 있다. 트레드부(10)는, 고무재(트레드 고무)로 이루어지고, 공기입 타이어(1)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가장 외측에서 노출하여, 그 표면이 공기입 타이어(1)의 윤곽이 된다. 이 트레드부(10)의 표면은, 공기입 타이어(1)를 장착하는 차량(도시하지 않음)이 주행하였을 때에 노면과 접촉하는 면인 트레드 표면(12)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트레드 표면(12)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재하는 홈(14, 16, 18)과,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경사하는 타이어 폭 방향 홈(20, 22, 24)과, 사이프(26)가 각각 설치되고, 동 도면에 도시하는 트레드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홈 14 내지 24 및 사이프(26)의 구체적 구성은, 이하와 같다. 덧붙여, 이하의 홈 14 내지 24 및 사이프(26)에 관한 기재는, 타이어 적도면(CL)의 일방 측에 관한 기재이지만, 도 1에 도시하는 예는 그 타방 측에 관하여도 같은 구성이다.
즉, 트레드 표면(12)에는,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재하는 둘레 방향 주홈(14)(타이어 폭 방향 내측의 둘레 방향 주홈(14a),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의 둘레 방향 주홈(14b))이 설치되어 있다. 둘레 방향 주홈(14b)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에는, 둘레 방향 주홈(14a, 14b)보다도 폭이 좁은 둘레 방향 부(副)홈(16)이 설치되어 있다. 둘레 방향 부홈(16)의 한층 더 타이어 폭 방향 외측에는, 타이어 둘레 방향에서 단속적으로 연재하고, 둘레 방향 부홈(16)과 마찬가지로 폭이 좁은 단속 홈(18)(타이어 폭 방향 내측의 단속 홈(18a),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의 단속 홈(18b))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트레드 표면(12)에는, 둘레 방향 주홈(14a, 14b)의 타이어 폭 방향 중 적어도 일방 측으로부터 연재하여 이들 둘레 방향 주홈(14a, 14b)과 인접하는 육부 내에서 종단(終端)하고,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경사하는, 복수의 분기(分岐) 홈(20)이 설치되어 있다. 둘레 방향 부홈(16)과 단속 홈(18b)을 연통하여, 대략 타이어 폭 방향으로 연재하는, 폭 방향 주홈(22)이 설치되어 있다. 단속 홈(18b)으로부터 타이어 폭 방향 내측으로 연재하여 육부 내에서 종단하고, 폭 방향 주홈(22)보다도 폭이 좁은 폭 방향 부홈(24)이, 타이어 둘레 방향에서 폭 방향 주홈(22)과 번갈아 설치되어 있다.
나아가, 둘레 방향 주홈 14a, 14a 사이에서는, 분기 홈(20)끼리를 연통시키는 사이프 26a와, 둘레 방향 주홈 14a로부터 타이어 폭 방향 내측으로 연재하여 육부 내에서 종단하는 사이프 26b가, 타이어 둘레 방향에서 번갈아 설치되어 있다. 둘레 방향 주홈 14a, 14b 사이에서는, 둘레 방향 주홈 14a와 연통하는 분기 홈(20)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 단부로부터 이 분기 홈(20)과 동일 방향으로 연재하는 사이프 26c와, 둘레 방향 주홈 14a로부터 사이프 26c와 동일 방향으로 연재하는 사이프 26d와, 둘레 방향 주홈 14b와 연통하는 분기 홈(20)의 타이어 폭 방향 내측 단부로부터 이 분기 홈(20)과 동일 방향으로 연재하는 사이프 26e가, 타이어 둘레 방향에서 규칙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둘레 방향 주홈 14b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에서는, 둘레 방향 주홈 14b로부터 폭 방향 주홈(22)까지 연재하는 사이프 26f와, 둘레 방향 주홈 14b로부터 폭 방향 부홈(24)까지 연재하는 사이프 26g가, 타이어 둘레 방향에 있어서 번갈아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제 아래, 도 1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는, 타이어 적도면(CL)의 양측에서, 타이어 폭 방향 최외측의 둘레 방향 주홈(14b)의 타이어 폭 방향 중심선보다도 타이어 폭 방향 내측의 영역을, 트레드 센터부(TC)로 한다. 또한, 타이어 폭 방향 최외측의 둘레 방향 주홈(14b)의 타이어 폭 방향 중심선으로부터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의 트레드 단부까지의 영역을, 트레드 숄더부(TS)로 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트레드 센터부(TC)에서는, 분기 홈(20)과, 분기 홈(20)에 타이어 둘레 방향의 일방에서 서로 이웃하는 육부로 이루어지는 영역에 있어서의, 타이어 둘레 방향 피치 길이에 관하여, 적어도 3개의 피치 베리에이션을 가진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트레드부의 트레드 센터부(TC)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덧붙여, 도 2에 도시하는 각 홈의 배열 태양(態樣)(특히 타이어 둘레 방향 길이비)은, 도 1에 있어서는 정확하게는 반영되어 있지 않고, 트레드 센터부(TC)에 있어서의 각 홈의 배열 태양에 관하여는, 도 2에 따르는 것으로 한다. 도 2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트레드 센터부(TC)에 있어서의 타이어 둘레 방향 피치 길이란, 분기 홈(20a(20a1, 20a2, ....)) 중 어느 하나, 예를 들어 분기 홈 20a1에 착목하였을 경우에, 분기 홈 20a1의 타이어 폭 방향 최내단(最內端)에 있어서의 그 타이어 둘레 방향 중점으로부터, 당해 분기 홈 20a1과 타이어 둘레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동일 형상의 분기 홈 20a2의 타이어 폭 방향 최내단에 있어서의 그 타이어 둘레 방향 중점까지의, 타이어 둘레 방향 치수를 말한다.
여기에서, 타이어 둘레 방향 피치 길이를 특정하는데 있어서 기준으로 하는 분기 홈(20)은, 도 2에 도시하는 분기 홈 20a에 한하지 않고, 동 도면에 도시하는 다른 분기 홈 20b, 20c, 20d, 20e, 20f, 20g, 20h 중 어느 하나여도 무방하다.
도 2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는, 트레드 센터부(TC)에 있어서, 적어도 3개의 피치 베리에이션을 가진다. 예를 들어, 기준이 되는 분기 홈을 분기 홈(20h)(분기 홈 20h1, 분기 홈 20h2, 분기 홈 20h3)으로 하였을 경우에, 피치 Pc(기준: 분기 홈 20h1), 피치 Pc'(기준: 분기 홈 20h2), 피치 Pc"(기준: 분기 홈 20h3)의 3개의 피치를 가진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피치 수를 n으로 하였을 경우에, 각각의 피치 길이 Pc를 긴 것으로부터 차례로 Pc1, Pc2, Pc3, ..., Pcn으로 하였을 때에, Pc1/Pc2≥Pc2/Pc3≥,...,≥Pcn-1/Pcn(제1 요건), 또한, Pc1/Pc2>Pcn-1/Pcn(제2 요건)의 관계를 만족한다. 도 2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피치 Pc, 피치 Pc', 피치 Pc"의 순으로 길기 때문에, 상기 Pc가 피치 Pc1에, 상기 Pc'가 피치 Pc2에, 상기 Pc"가 피치 Pc3에 각각 상당하여, Pc/Pc'≥Pc'/Pc", 또한, Pc/Pc'>Pc'/Pc"의 관계, 즉 단지, Pc/Pc'>Pc'/Pc"의 관계가 성립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하는 공기입 타이어(1)에서는, 트레드 센터부(TC)에 있어서, 복수의 둘레 방향 피치 길이가 규정되고, 이것에 기초하여, 이들의 피치 길이 중, 값이 가까운 것끼리의 몫(제산(除算)에 의한 결과)을 복수 산출하여, 이들의 몫의 대소 관계가 규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둘레 방향 피치 길이에 기초하여, 최장 피치 길이 측에서의 상기 몫과 최단 피치 길이 측에서의 상기 몫과의 대소 관계도 규정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둘레 방향 피치 길이가 큰 쪽에서는, 값이 가까운 둘레 방향 피치 길이끼리의 몫을 커지는 경향으로, 반대로, 둘레 방향 피치 길이가 작은 쪽에서는, 값이 가까운 둘레 방향 피치 길이끼리의 몫을 작아지는 경향으로 규정하고 있다. 또한, 최장 피치 길이 측에서의 상기 몫이, 최단 피치 길이 측에서의 상기 몫보다도 크게 규정되어 있다.
즉, 상기 제1 요건 및 제2 요건에 의하여, 트레드 센터부(TC)에 있어서, 최소 피치 길이를 길게 하는 것과 함께 최대 피치 길이를 짧게 하고 타이어 둘레 방향 전체적으로 피치 길이 차(差)를 억제하여 강성차를 작게 하고 있다. 그 결과, 건조 노면에서의 조종 안정 성능과 구름 저항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공기입 타이어(1)에서는, 피치 길이 이외의 인자에 개량은 가하여지지 않고, 피치 길이에 기초하는 피치 길이비에만 개량이 가하여지고 있다. 즉, 도 1에 도시하는 공기입 타이어(1)는, 피치 베리에이션을 채용하는 종래 기술(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3)과 같이, 피치 길이 이외에, 가로 홈의 경사 각도나 면적, 혹은, 가로 홈의 홈 폭을 특정하여 얻어지는 것은 아니다. 이 때문에, 도 1에 도시하는 공기입 타이어는, 번잡한 설계에 의하지 않고 얻을 수 있다.
이상에 의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는, 트레드 센터부에 있어서의 복수의 둘레 방향 피치 길이를 제어하는 것만으로, 번잡한 설계에 의하지 않고, 건조 노면에서의 조종 안정 성능과 구름 저항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덧붙여, 이상에 도시하는,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는, 도시하지 않지만, 종래의 공기입 타이어와 마찬가지의 자오(子午) 단면 형상을 가진다. 여기에서, 공기입 타이어의 자오 단면 형상이란, 타이어 적도면과 수직인 평면 상에 나타나는 공기입 타이어의 단면 형상을 말한다.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는, 타이어 자오 단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타이어 직경 방향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비드(bead)부, 사이드 월(side wall)부 및 트레드부를 가진다. 그리고, 공기입 타이어는, 예를 들어, 타이어 자오 단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트레드부로부터 양측의 비드부까지 연재하여 한 쌍의 비드 코어의 둘레에서 감아 돌려진 카커스(carcass)층과, 상기 카커스층의 타이어 직경 방향 외측으로 순차 형성된, 벨트층 및 벨트 보강층을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는, 통상의 각 제조 공정, 즉, 타이어 재료의 혼합 공정, 타이어 재료의 가공 공정, 그린 타이어의 성형 공정, 가류 공정 및 가류 후의 검사 공정 등을 거쳐 얻어지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특히, 가류용 금형의 내벽에, 소망(所望)의 피치 베리에이션에 대응하는 오목부 및 볼록부를 형성하고, 이 금형을 이용하여 가류를 행한다.
[부가적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의 상기 기본 형태에 대하여, 임의 선택적으로 실시 가능한, 부가적 형태 1 내지 3을 설명한다.
(부가적 형태 1)
부가적 형태 1은, 기본 형태에 대하여, 한층 더 트레드 숄더부(TS)에 개량을 가한 형태이다. 즉, 본 형태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트레드 숄더부(TS)에서는, 폭 방향 주홈(22)과, 폭 방향 주홈(22)에 타이어 둘레 방향의 일방에서 서로 이웃하는 육부로 이루어지는 영역에 있어서의, 타이어 둘레 방향 피치 길이에 관하여, 적어도 3개의 피치 베리에이션을 가진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트레드부의 트레드 숄더부(TS)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덧붙여, 도 3에 도시하는 각 홈의 배열 태양(특히 타이어 둘레 방향 길이비)은, 도 1에 있어서는 정확하게는 반영되어 있지 않고, 트레드 숄더부(TS)에 있어서의 각 홈의 배열 태양에 관하여는, 도 3에 따르는 것으로 한다. 도 3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트레드 숄더부(TS)에 있어서의 타이어 둘레 방향 피치 길이란, 폭 방향 주홈(22(22a, 22b, 22c, 22d)) 중 어느 하나, 예를 들어 폭 방향 주홈 22a에 착목하였을 경우에, 폭 방향 주홈 22a의 타이어 폭 방향 최외단(最外端)에 있어서의 그 타이어 둘레 방향 중점으로부터, 당해 폭 방향 주홈 22a와 타이어 둘레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동일 형상의 폭 방향 주홈 22b의 타이어 폭 방향 최외단에 있어서의 그 타이어 둘레 방향 중점까지의, 타이어 둘레 방향 치수를 말한다.
여기에서, 타이어 둘레 방향 피치 길이를 특정하는데 있어서 기준으로 하는 홈은, 도 3에 도시하는 폭 방향 주홈(22)에 한하지 않고, 동 도면에 도시하는 폭 방향 부홈(24(24a, 24b, 24c))이어도 무방하다.
도 3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는, 트레드 숄더부(TS)에 있어서, 적어도 3개의 피치 베리에이션을 가진다. 예를 들어, 기준이 되는 홈을 폭 방향 주홈(22)(폭 방향 주홈 22a, 22b, 22c)으로 하였을 경우에, 피치 Ps(기준: 폭 방향 주홈 22a), 피치 Ps'(기준: 폭 방향 주홈 22b), 피치 Ps"(기준: 폭 방향 주홈 22c)의 3개의 피치를 가진다.
그리고, 본 형태(부가적 형태 1)에 있어서는, 피치 수를 n으로 하였을 경우에, 각각의 피치 길이 Ps를 긴 것으로부터 차례로 Ps1, Ps2, Ps3, ..., Psn으로 하였을 때에, Ps1/Ps2≤Ps2/Ps3≤,...,≤Psn-1/Psn(제3 요건), 또한, Ps1/Ps2<Psn-1/Psn(제4 요건)의 관계를 만족한다. 도 3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피치 Ps, 피치 Ps', 피치 Ps"의 순으로 길기 때문에, 상기 Ps가 피치 Ps1에, 상기 Ps'가 피치 Ps2에, 상기 Ps"가 피치 Ps3에 각각 상당하여, Ps/Ps'≤Ps'/Ps", 또한, Ps/Ps'<Ps'/Ps"의 관계, 즉 단지, Ps/Ps'<Ps'/Ps"의 관계가 성립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형태(부가적 형태 1)의 공기입 타이어(1)에서는, 트레드 숄더부(TS)에 있어서, 복수의 둘레 방향 피치 길이가 규정되고, 이것에 기초하여, 이들의 피치 길이 중, 값이 가까운 것끼리의 몫(제산에 의한 결과)을 복수 산출하여, 이들의 몫의 대소 관계가 규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둘레 방향 피치 길이에 기초하여, 최장 피치 길이 측에서의 상기 몫과 최단 피치 길이 측에서의 상기 몫과의 대소 관계도 규정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둘레 방향 피치 길이가 큰 쪽에서는, 값이 가까운 둘레 방향 피치 길이끼리의 몫을 작아지는 경향으로, 반대로, 둘레 방향 피치 길이가 작은 쪽에서는, 값이 가까운 둘레 방향 피치 길이끼리의 몫을 커지는 경향으로 규정하고 있다. 또한, 최장 피치 길이 측에서의 상기 몫이, 최단 피치 길이 측에서의 상기 몫보다도 작게 규정되어 있다.
즉, 상기 제3 요건 및 상기 제4 요건에 의하여, 트레드 숄더부(TS)에 있어서, 최소 피치 길이를 짧게 하는 것과 함께 최대 피치 길이를 길게 하여 복수의 피치 길이를 전체적으로 불규칙하게 하고 있다. 그 결과, 노이즈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형태(부가적 형태 1)의 공기입 타이어(1)에서는, 트레드 센터부(TC)에 있어서 가장 작은 피치 길이 Pcn과, 트레드 숄더부(TS)에 있어서 가장 작은 피치 길이 Psn이, Pcn>Psn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2, 3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는, Pc">Ps"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트레드 센터부(TC), 트레드 숄더부(TS)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도, 피치 길이가 작은 부분이 많을수록, 타이어 폭 방향 홈(도 1에 있어서의 분기 홈(20)이나 폭 방향 홈(22, 24))의 면적이 많아지는 것으로부터, 특히 그 부분에 있어서 강성이 낮아지는 경향에 있다. 또한, 타이어 전체에서 보았을 경우, 건조 노면에서의 조종 안정 성능이나 구름 저항 성능을 높이려면, 접지면으로서 가장 공헌하는 트레드 센터부(TC)의 강성을, 트레드 숄더부(TS)의 강성에 비하여 높게 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상기와 같이, 트레드 센터부(TC)에 있어서의 최소 피치 길이 Pcn을, 트레드 숄더부(TS)에 있어서의 최소 피치 길이 Psn보다도 크게 하는 것으로, 트레드 숄더부(TS)에 비하여, 트레드 센터부(TC)의 강성이 작은 부분을 줄일 수 있다. 그 결과, 특히, 건조 노면에서의 조종 안정성이나 구름 저항 성능이 큰 폭으로 개선된다.
나아가, 본 형태(부가적 형태 1)의 공기입 타이어(1)에서는, 트레드 센터부(TC)에 있어서, 타이어 둘레 상에서의 피치 길이 Pc1의 피치 수가, 타이어 둘레 상에서의 Pcn의 피치 수보다도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트레드 센터부(TC)와 트레드 숄더부(TS)와의 사이에 있어서, 피치 길이가 가장 작은 부분, 환언하면, 가장 강성이 작은 부분을 조정하기에 즈음하여, 그 조정 개소를 트레드 센터부(TC)에 많이 포함하게 할 수 있어, 타이어 둘레 상에서의 강성차가 작아진다. 그 결과, 특히, 건조 노면에서의 조종 안정성이나 구름 저항 성능이 큰 폭으로 개선된다.
마찬가지로, 본 형태(부가적 형태 1)의 공기입 타이어(1)에서는, 트레드 숄더부(TS)에 있어서, 타이어 둘레 상에서의 피치 길이 Ps1의 피치 수가, 타이어 둘레 상에서의 Psn의 피치 수보다도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트레드 센터부(TC)와 트레드 숄더부(TS)와의 사이에 있어서, 피치 길이가 가장 작은 부분, 환언하면, 가장 강성이 작은 부분을 조정하기에 즈음하여, 그 조정 개소를 트레드 숄더부(TS)에 많이 포함하게 할 수 있어, 타이어 둘레 상에서의 강성차가 작아진다. 그 결과, 특히, 건조 노면에서의 조종 안정성이나 구름 저항 성능이 큰 폭으로 개선된다.
(부가적 형태 2)
부가적 형태 2는, 기본 형태(및 부가적 형태 1)에 대하여, 나아가, 트레드 센터부(TC)와 트레드 숄더부(TS)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개량을 가한 형태이다. 즉, 도 1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는, 피치 수가 n인 경우에, 트레드 센터부(TC)에 있어서의 피치 길이비 Pck-1/Pck(k는 2 내지 n까지의 자연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이하, 「센터부 인접 피치 길이비」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와, 트레드 숄더부(TS)에 있어서의 피치 길이비 Psk-1/Psk(k는 2 내지 n까지의 자연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이하, 「숄더부 인접 피치 길이비」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중 적어도 일방이, 1.05 내지 1.20의 범위인 것(부가적 형태 2)이 바람직하다.
센터부 인접 피치 길이비와 숄더부 인접 피치 길이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1.05 이상으로 하는 것으로, 이 값이 적용된 부분 TC, TS에 있어서는, 치수가 가까운 피치 길이 간의 치수를 어느 정도 다르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당해 부분 TC, TS에 있어서 발생하는 소리의 주파수를 분산시켜, 같은 주파수대의 소리의 증폭 작용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트레드 센터부(TC) 및 트레드 숄더부(TS)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있어서, 노이즈 자체를 작게 할 수 있어, 노이즈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센터부 인접 피치 길이비와 숄더부 인접 피치 길이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1.20 이하로 하는 것으로, 이 값이 적용된 부분 TC, TS에 있어서는, 치수가 가까운 피치 길이 간의 치수가 필요 이상으로 다른 것이 없다. 이것에 의하여, 당해 부분 TC, TS에 있어서 강성이 국소적으로 작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트레드 센터부(TC) 및 트레드 숄더부(TS)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있어서, 건조 노면에서의 조종 안정 성능이나 구름 저항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부가적 형태 3)
부가적 형태 3은, 기본 형태(및 부가적 형태 1 및 부가적 형태 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하여, 나아가, 트레드 센터부(TC)와 트레드 숄더부(TS)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개량을 가한 형태이다. 즉, 도 1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는, 트레드 센터부(TC)에 있어서의, 타이어 둘레 상에서의 최대 피치 길이 Pc1과 최소 피치 길이 Pcn과의 비 Pc1/Pcn(이하, 「센터부 최대 최소 피치 길이비」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과, 트레드 숄더부(TS)에 있어서의, 타이어 둘레 상에서의 최대 피치 길이 Ps1과 최소 피치 길이 Psn과의 비 Ps1/Psn(이하, 「숄더부 최대 최소 피치 길이비」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중 적어도 일방이, 1.20 내지 2.00의 범위인 것(부가적 형태 3)이 바람직하다.
센터부 최대 최소 피치 길이비와 숄더부 최대 최소 피치 길이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1.20 이상으로 하는 것으로, 이 값이 적용된 부분 TC, TS에 있어서는, 복수의 피치 길이 간에 격차를 가지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당해 부분 TC, TS에 있어서 발생하는 소리의 주파수를 분산시켜, 같은 주파수대의 소리의 증폭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트레드 센터부(TC) 및 트레드 숄더부(TS)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있어서, 노이즈 자체를 작게 할 수 있어, 노이즈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센터부 최대 최소 피치 길이비와 숄더부 최대 최소 피치 길이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2.00 이하로 하는 것으로, 이 값이 적용된 부분 TC, TS에 있어서는, 복수의 피치 길이 간의 격차가 필요 이상으로 커질 것은 없다. 이것에 의하여, 당해 부분 TC, TS에 있어서 강성이 국소적으로 작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트레드 센터부(TC) 및 트레드 숄더부(TS)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있어서, 건조 노면에서의 조종 안정 성능이나 구름 저항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실시예
타이어 사이즈를 215/45R17 87W로 하고,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트레드 패턴을 가지고, 피치 수가 5이고, 센터부 피치 길이비(피치비 Ce), 숄더부 피치 길이비(피치비 Sh), 센터부 최대 최소 피치 길이비(대소 피치비 Ce) 및 숄더부 최대 최소 피치 길이비(대소 피치비 Sh)가 표 1에 도시하는 값의, 종래예 및 실시예 1 내지 7의 공기입 타이어를 각각 제작하였다.
이와 같이 제작한, 각 타이어를 17x7J인 림(rim)에 공기압 230kPa로 조립하고, 배기량 1800CC의 세단형 차량(프런트 엔진?프런트 드라이브 방식)에 장착하여, 조종 안정 성능, 구름 저항 성능 및 노이즈 성능을 평가하였다. 이들의 결과를 표 1에 병기한다.
(조종 안정 성능)
조종 안정 성능에 관하여, 건조 노면을 시속 120km로 주행하였을 때의, 패널리스트에 의한 관능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종래예를 기준(100)으로 한 지수 평가를 행하였다. 이 평가는, 지수가 클수록, 조종 안정 성능이 높은 것을 나타낸다.
(구름 저항)
구름 저항은, ISO의 규정에 준거하여, 구름 저항의 값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이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종래예를 기준(100)으로 한 지수 평가를 행하였다. 이 평가는, 지수가 클수록, 구름 저항이 작은 것을 나타낸다.
(노이즈 성능)
노이즈 성능에 관하여는, 평활 노면에 있어서, 시속 100km로 주행하였을 때의 오버올(overall)값을 계측하여 종래예를 기준(100)으로 한 지수 평가를 행하였다. 이 평가는, 지수가 클수록, 노이즈 성능이 우수한 것을 나타낸다.
Figure 112015061742842-pct00001
표 1에 의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상기 피치비 Ce, 및 최장 피치 길이 측에서의 피치 길이비와 최단 피치 길이 측에서의 피치 길이비와의 대소 관계(Pc1/Pc2와 Pc4/Pc5와의 대소 관계)가 소정 범위 내이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의 공기입 타이어에 관하여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지 않는, 종래예의 공기입 타이어보다도, 조종 안정 성능, 구름 저항 성능 및 노이즈 성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이하의 태양을 포함한다.
(1) 타이어 트레드부에, 둘레 방향으로 연재하는 적어도 2개의 주홈을 구비하는 것과 함께, 상기 주홈과 교차하는 복수 개의 타이어 폭 방향 홈을 구비하고, 상기 주홈 중 타이어 폭 방향 최외측의 주홈의 타이어 폭 방향 중심선보다도 타이어 폭 방향 내측의 영역을 트레드 센터부로 하는 것과 함께, 상기 주홈 중 타이어 폭 방향 최외측의 주홈의 타이어 폭 방향 중심선으로부터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의 트레드 단부까지의 영역을 트레드 숄더부로 하였을 경우에, 상기 트레드 센터부에서는, 상기 타이어 폭 방향 홈과, 상기 타이어 폭 방향 홈에 타이어 둘레 방향의 일방에서 서로 이웃하는 육부로 이루어지는 영역에 있어서의, 타이어 둘레 방향 피치 길이에 관하여, 적어도 3개의 피치 베리에이션을 가지고, 피치 수를 n으로 하였을 경우에, 각각의 피치 길이 Pc를 긴 것으로부터 차례로 Pc1, Pc2, Pc3, ..., Pcn으로 하였을 때에, Pc1/Pc2≥Pc2/Pc3≥,...,≥Pcn-1/Pcn, 또한, Pc1/Pc2>Pcn-1/Pcn의 관계를 만족하는, 공기입 타이어.
(2) (1)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 숄더부에서는, 상기 타이어 폭 방향 홈과, 상기 타이어 폭 방향 홈에 타이어 둘레 방향의 일방에서 서로 이웃하는 육부로 이루어지는 영역에 있어서의, 타이어 둘레 방향 피치 길이에 관하여, 적어도 3개의 피치 베리에이션을 가지고, 피치 수를 n으로 하였을 경우에, 각각의 피치 길이 Ps를 긴 것으로부터 차례로 Ps1, Ps2, Ps3, ..., Psn으로 하였을 때에, Ps1/Ps2≤Ps2/Ps3≤,...,≤Psn-1/Psn, 또한, Ps1/Ps2<Psn-1/Psn의 관계를 만족하는, 공기입 타이어.
(3) (2)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 센터부에 있어서 가장 작은 피치 길이 Pcn과, 상기 트레드 숄더부에 있어서 가장 작은 피치 길이 Psn이, Pcn>Psn의 관계를 만족하는, 공기입 타이어.
(4)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 센터부에 있어서, 타이어 둘레 상에서의 피치 길이 Pc1의 피치 수가, 타이어 둘레 상에서의 Pcn의 피치 수보다도 적은, 공기입 타이어.
(5)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 숄더부에 있어서, 타이어 둘레 상에서의 피치 길이 Ps1의 피치 수가, 타이어 둘레 상에서의 Psn의 피치 수보다도 적은, 공기입 타이어.
(6)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피치 수가 n인 경우에, 상기 트레드 센터부에 있어서의 피치 길이비 Pck-1/Pck(k는 2 내지 n까지의 자연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트레드 숄더부에 있어서의 피치 길이비 Psk-1/Psk(k는 2 내지 n까지의 자연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중 적어도 일방이, 1.05 내지 1.20의 범위인, 공기입 타이어.
(7)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 센터부에 있어서의, 타이어 둘레 상에서의 최대 피치 길이 Pc1과 최소 피치 길이 Pcn과의 비 Pc1/Pcn과, 상기 트레드 숄더부에 있어서의, 타이어 둘레 상에서의 최대 피치 길이 Ps1과 최소 피치 길이 Psn과의 비 Ps1/Psn 중 적어도 일방이, 1.20 내지 2.00의 범위인, 공기입 타이어.
1: 공기입 타이어
10: 트레드부
12: 트레드 표면
14: 둘레 방향 주홈
16: 둘레 방향 부홈
18: 단속 홈
20: 분기 홈
22: 폭 방향 주홈
24: 폭 방향 부홈
26: 사이프
CL: 타이어 적도면
TC: 트레드 센터부
TS: 트레드 숄더부

Claims (7)

  1. 타이어 트레드(tread)부에, 둘레 방향으로 연재(延在)하는 적어도 2개의 주(主)홈을 구비하는 것과 함께, 상기 주홈과 교차하는 복수 개의 타이어 폭 방향 홈을 구비하고,
    상기 주홈 중 타이어 폭 방향 최외측(最外側)의 주홈의 타이어 폭 방향 중심선보다도 타이어 폭 방향 내측의 영역을 트레드 센터부로 하는 것과 함께, 상기 주홈 중 타이어 폭 방향 최외측의 주홈의 타이어 폭 방향 중심선으로부터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의 트레드 단부(端部)까지의 영역을 트레드 숄더부로 하였을 경우에,
    상기 트레드 센터부에서는, 상기 타이어 폭 방향 홈과, 상기 타이어 폭 방향 홈에 타이어 둘레 방향의 일방(一方)에서 서로 이웃하는 육부(陸部)로 이루어지는 영역에 있어서의, 타이어 둘레 방향 피치 길이에 관하여, 적어도 3개의 피치 베리에이션(pitch variation)을 가지고, 피치 수를 n으로 하였을 경우에, 각각의 피치 길이 Pc를 긴 것으로부터 차례로 Pc1, Pc2, Pc3, ..., Pcn으로 하였을 때에, Pc1/Pc2≥Pc2/Pc3≥,...,≥Pcn-1/Pcn, 또한, Pc1/Pc2>Pcn-1/Pcn의 관계를 만족하는, 공기입 타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 숄더부에서는, 상기 타이어 폭 방향 홈과, 상기 타이어 폭 방향 홈에 타이어 둘레 방향의 일방에서 서로 이웃하는 육부로 이루어지는 영역에 있어서의, 타이어 둘레 방향 피치 길이에 관하여, 적어도 3개의 피치 베리에이션을 가지고, 피치 수를 n으로 하였을 경우에, 각각의 피치 길이 Ps를 긴 것으로부터 차례로 Ps1, Ps2, Ps3, ..., Psn으로 하였을 때에, Ps1/Ps2≤Ps2/Ps3≤,...,≤Psn-1/Psn, 또한, Ps1/Ps2<Psn-1/Psn의 관계를 만족하는, 공기입 타이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 센터부에 있어서 가장 작은 피치 길이 Pcn과, 상기 트레드 숄더부에 있어서 가장 작은 피치 길이 Psn이, Pcn>Psn의 관계를 만족하는, 공기입 타이어.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 센터부에 있어서, 타이어 둘레 상에서의 피치 길이 Pc1의 피치 수가, 타이어 둘레 상에서의 Pcn의 피치 수보다도 적은, 공기입 타이어.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 숄더부에 있어서, 타이어 둘레 상에서의 피치 길이 Ps1의 피치 수가, 타이어 둘레 상에서의 Psn의 피치 수보다도 적은, 공기입 타이어.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치 수가 n인 경우에, 상기 트레드 센터부에 있어서의 피치 길이비 Pck-1/Pck(k는 2 내지 n까지의 자연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트레드 숄더부에 있어서의 피치 길이비 Psk-1/Psk(k는 2 내지 n까지의 자연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중 적어도 일방이, 1.05 내지 1.20의 범위인, 공기입 타이어.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 센터부에 있어서의, 타이어 둘레 상에서의 최대 피치 길이 Pc1과 최소 피치 길이 Pcn과의 비 Pc1/Pcn과, 상기 트레드 숄더부에 있어서의, 타이어 둘레 상에서의 최대 피치 길이 Ps1과 최소 피치 길이 Psn과의 비 Ps1/Psn 중 적어도 일방이, 1.20 내지 2.00의 범위인, 공기입 타이어.
KR1020157017032A 2013-01-31 2014-01-28 공기입 타이어 Expired - Fee Related KR1015526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17206 2013-01-31
JP2013017206 2013-01-31
PCT/JP2014/051829 WO2014119567A1 (ja) 2013-01-31 2014-01-28 空気入りタイ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651A KR20150080651A (ko) 2015-07-09
KR101552620B1 true KR101552620B1 (ko) 2015-09-11

Family

ID=51262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7032A Expired - Fee Related KR101552620B1 (ko) 2013-01-31 2014-01-28 공기입 타이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649887B2 (ko)
JP (1) JP5614515B1 (ko)
KR (1) KR101552620B1 (ko)
CN (1) CN104903121B (ko)
DE (1) DE112014000628B4 (ko)
WO (1) WO20141195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32089B2 (ja) * 2013-02-26 2015-06-10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WO2015060127A1 (ja) * 2013-10-22 2015-04-30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CA159198S (en) * 2014-05-01 2015-07-27 Hankook Tire Co Ltd Tire
USD765584S1 (en) * 2014-11-03 2016-09-06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Tire for automobile
JP6366525B2 (ja) * 2015-02-27 2018-08-01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FR3035820A1 (fr) * 2015-05-07 2016-11-11 Michelin & Cie Bande de roulement comportant un bloc presentant une pluralite de decoupure
USD795793S1 (en) * 2016-08-03 2017-08-29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CN108116167B (zh) 2016-11-28 2019-12-03 东洋橡胶工业株式会社 充气轮胎
JP7608783B2 (ja) * 2019-11-18 2025-01-07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
CN112810387B (zh) * 2019-11-18 2023-10-17 住友橡胶工业株式会社 轮胎
EP4164898B1 (fr) * 2020-06-11 2025-02-26 Compagnie Generale Des Etablissements Michelin Pneumatique émettant un bruit réduit
JP7547863B2 (ja) * 2020-08-25 2024-09-10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
DE102020215799A1 (de) * 2020-12-14 2022-06-15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Fahrzeugluftreifen mit mittiger Umfangsrippe
JP2025037529A (ja) * 2023-09-06 2025-03-1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2012A (ja) 2001-06-26 2003-01-08 Toyo Tire & Rubber Co Ltd 空気入りタイヤ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41942B1 (fr) * 1983-03-03 1985-10-18 Michelin & Cie Reduction du bruit de roulage des enveloppes de pneumatique
JPH01285405A (ja) * 1988-05-11 1989-11-16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
JP2819510B2 (ja) * 1988-11-04 1998-10-30 住友ゴム工業 株式会社 自動車用タイヤ
AT398730B (de) 1990-04-25 1995-01-25 Semperit Ag Fahrzeugluftreifen
EP0466998B1 (en) * 1990-07-20 1994-11-02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treads
JP2618198B2 (ja) * 1994-04-14 1997-06-11 オーツタイヤ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H11217006A (ja) * 1998-02-03 1999-08-10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3354483B2 (ja) 1998-04-10 2002-12-09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US6363984B1 (en) 1999-10-25 2002-04-02 Kumho & Co, Inc Tire tread pitch sequencing for reduced noise
IT1314248B1 (it) * 1999-12-01 2002-12-06 Pirelli Pneumatico per ruote di veicoli.
JP2003054222A (ja) 2001-08-20 2003-02-26 Toyo Tire & Rubber Co Ltd 空気入りタイヤ
AU2003286829A1 (en) 2002-11-01 2004-06-07 Bridgestone/Firestone North American Tire, Llc Method for designing tire noise pitch sequence
JP4331150B2 (ja) * 2005-09-15 2009-09-1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2007168572A (ja) 2005-12-21 2007-07-05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JP2007237816A (ja) * 2006-03-06 2007-09-20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WO2010067699A1 (ja) * 2008-12-12 2010-06-17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JP5321093B2 (ja) * 2009-01-26 2013-10-23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5471511B2 (ja) * 2010-01-27 2014-04-16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CN102398478A (zh) * 2010-09-14 2012-04-04 青岛黄海橡胶股份有限公司 轿车轮胎胎面
JP5146564B2 (ja) * 2011-05-10 2013-02-20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5932618B2 (ja) * 2012-11-20 2016-06-0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2012A (ja) 2001-06-26 2003-01-08 Toyo Tire & Rubber Co Ltd 空気入りタ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903121B (zh) 2016-07-27
JPWO2014119567A1 (ja) 2017-01-26
US9649887B2 (en) 2017-05-16
DE112014000628T5 (de) 2015-11-05
JP5614515B1 (ja) 2014-10-29
DE112014000628B4 (de) 2018-11-15
CN104903121A (zh) 2015-09-09
KR20150080651A (ko) 2015-07-09
WO2014119567A1 (ja) 2014-08-07
US20150375571A1 (en) 2015-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2620B1 (ko) 공기입 타이어
AU2014388518B2 (en) Pneumatic tire
JP5564224B2 (ja) 空気入りタイヤ
US10065456B2 (en) Pneumatic tire
JP6394594B2 (ja) 空気入りタイヤ
RU2657606C1 (ru) Пневматическая шина
US20200189322A1 (en) Tire tread
JP2011255685A (ja) 空気入りタイヤ
CN109910522B (zh) 充气轮胎
JP6051893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6571993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6089737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6051894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6089736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6098347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6136559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6089946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7030564A (ja) 自動二輪車用空気入りタイヤ
JP2015113062A (ja) 空気入りタイヤ
JP6634709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5048023A (ja) 空気入りタイヤ
JP6098345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6634708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6098346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1116277A (ja) タイヤ、該タイヤを使用したリム組み方法、及び、該タイヤとリムの組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2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9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9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