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50950B1 - 착용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착용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0950B1
KR101550950B1 KR1020107027845A KR20107027845A KR101550950B1 KR 101550950 B1 KR101550950 B1 KR 101550950B1 KR 1020107027845 A KR1020107027845 A KR 1020107027845A KR 20107027845 A KR20107027845 A KR 20107027845A KR 101550950 B1 KR101550950 B1 KR 101550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region
hook element
loop
element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7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1876A (ko
Inventor
아키요시 기노시타
가요코 다나카
야스히코 겐모치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21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1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0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095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56Applying tabs, strips, tapes, loops; Knotting the ends of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62Mechanical fastening means ; 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 A61F13/622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 A61F13/625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characterised by the hoo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용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기계적 패스너의 후크 요소를 강고하게 샤시에 부착할 수 있고, 후크 요소와 루프 요소의 상호 결합력을 강고하게 할 수 있는 착용 물품을 제공한다. 이 착용 물품에서, 기저귀(1)의 앞뒤 허리 영역(8, 9)에는, 가로 방향(X)으로 대향하고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측방 가장자리부(11, 12)가 각각 형성된다. 제1 측방 가장자리부(11)의 내면 시트(6)에는 지지 부재(13, 14)가 부착되고, 이 지지 부재(13, 14)를 통해 후크 요소(15, 16)가 부착되어 있다. 제2 측방 가장자리부(12)의 내면 시트(6)에는 루프 요소(17, 18)가 부착되어 있다. 제1 및 제2 후크 요소(15, 16)는, 그 전체 영역에 걸쳐 가압 처리에 의해 형성된 변형부(19)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착용 물품 및 그 제조 방법{WEARING ARTICL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착용 물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회용 기저귀, 배변 트레이닝 팬츠, 요실금 브리프, 기저귀 커버 등의 착용 물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에서, 기저귀의 측방 가장자리부를 착탈 가능하게 한 구조로서,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표 제2006-55669호 공보(특허문헌 1)가 공지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에 의하면, 기저귀는 앞뒤 허리부 및 가랑이부를 포함하는 샤시와, 뒤허리부의 측방 가장자리부로부터 연장되는 이형(耳形) 패널을 포함한다. 이형 패널에는 후크 부재를 부착하고, 후크 부재를 앞허리부의 루프 부재에 결합함으로써 앞뒤 허리부의 측방 가장자리를 연결하여 팬츠 형상으로 만들 수 있다.
일본 특허 공표 제2006-55669호 공보
후크 부재를 이형 패널에 접합하기 위해서는, 후크 부재와 이형 패널 사이에 접착제를 개재시키고, 후크 부재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부분적으로 가열 가압 처리한다. 후크 부재와 이형 패널은 접착제에 의해 접합될 뿐만 아니라, 후크 부재의 가열 가압에 의해 후크 부재를 열용융하고 용융 부분을 이형 패널에 접합하여, 후크 부재와 이형 패널의 접합을 한층 더 강고하게 하였다.
후크 부재가 열용융에 의해 변형되면, 그 용융된 부분에서는 결합 기능을 상실하고, 루프 부재와 결합하지 않게 되어, 후크 부재와 루프 부재의 전체적인 결합력이 저하된다. 저하된 결합력을 담보하고자 하면, 후크 부재 및 루프 부재의 면적을 크게 해야 하며, 그만큼 비용의 증가를 초래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후크 부재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가열 가압 처리를 하는 경우에는, 높은 처리 정밀도가 요구되고, 제조 스피드가 저하되는 등, 제조 비용의 증가가 우려된다.
본 발명에서는, 비용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기계적 패스너의 후크 요소를 강고하게 샤시에 부착할 수 있고, 후크 요소와 루프 요소의 상호 결합력을 강고하게 할 수 있는 착용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착용 물품에 관한 제1 발명과, 착용 물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제2 발명을 포함한다.
제1 발명은,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과, 신체측 내면 및 착의측 외면과, 앞허리 영역 및 뒤허리 영역 중 한쪽인 제1 허리 영역과, 상기 앞허리 영역 및 뒤허리 영역 중 다른 한쪽인 제2 허리 영역,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허리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크로치(crotch) 영역을 포함하는 샤시; 상기 제1 허리 영역의 상기 가로 방향으로 대향하고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측방 가장자리부에 위치하며 기계적 패스너 기능을 갖는 제1 결합 영역과, 상기 제2 허리 영역의 상기 가로 방향으로 대향하고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측방 가장자리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결합 영역과 이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기계적 패스너 기능을 갖는 제2 결합 영역으로 구성되는 기계적 패스너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 영역은 후크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결합 영역은 루프 요소를 포함하는 착용 물품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착용 물품에서, 상기 후크 요소는, 상기 샤시에 접합되는 베이스면과, 상기 베이스면으로부터 기립하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선단에 형성된 헤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크 요소의 전체 영역에 걸쳐 간헐적으로 상기 후크 요소의 적어도 상기 헤드부가 가압 변형된 변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하나로서, 상기 변형부는, 상기 세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상기 가로 방향으로 복수개 연장되어 스트라이프형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한 다른 실시형태의 하나로서, 상기 변형부는, 상기 축부에서의 가압 변형도 포함한다.
바람직한 다른 실시형태의 하나로서, 상기 후크 요소와 상기 샤시 사이에는 접착 수단을 형성하고, 상기 접착 수단을 통해 상기 후크 요소가 상기 샤시에 접합된다.
바람직한 다른 실시형태의 하나로서, 상기 제1 결합 영역은 지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부재를 통해 상기 후크 요소가 부착된다.
제2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착용 물품의 제조 방법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상기 샤시의 상기 제1 결합 영역 및 상기 후크 요소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상기 접착 수단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1 결합 영역과 상기 후크 요소의 상기 베이스면을 포개는 공정과, 상기 제1 결합 영역 및 상기 후크 요소를 서로 가압하여 상기 후크 요소에 상기 변형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하나로서, 상기 제1 결합 영역 및 상기 후크 요소를 가압하는 공정 이전에, 상기 후크 요소와 상기 루프 요소를 결합하여, 상기 후크 요소의 베이스면을 상기 제1 결합 영역에 접합하는 공정과, 상기 샤시의 상기 제1 허리 영역과 상기 제2 허리 영역이 서로 겹치도록 접고, 상기 루프 요소의 베이스면을 상기 제2 결합 영역에 접합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후크 요소는, 제1 결합 영역에 접합되는 베이스면과, 베이스면으로부터 기립하는 축부와, 축부의 선단에 형성된 헤드부를 포함하며, 후크 요소의 전체 영역에 걸쳐 간헐적으로 후크 요소의 적어도 헤드부가 가압 변형된 변형부를 형성하고, 변형부에 의해 루프 요소에 대한 결합력을 강고하게 한다. 변형부는, 후크 요소의 전체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그 일부에 한정하여 형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변형부의 형성을 위한 정밀도가 요구되지 않아, 그만큼 비용 저감으로 이어진다.
변형부는, 스트라이프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했기 때문에, 변형부가 후크 요소의 전체 영역에 걸쳐 분산 형성된다. 따라서, 후크 요소 전체 영역에 걸쳐 루프 요소와의 결합력을 강고하게 할 수 있다.
변형부는, 축부에서의 가압 변형도 포함하는 것으로 했기 때문에, 한층 더 루프 요소와의 결합을 강고하게 할 수 있다.
후크 요소와 제1 결합 영역의 사이에는 접착 수단을 형성하고, 접착 수단을 통해 후크 요소와 제1 결합 영역이 접합되는 것으로 했다. 후크 요소와 샤시의 접합후에 변형부가 형성됨으로써, 변형부의 형성과 동시에 후크 요소와 샤시의 결합을 강고하게 할 수 있다.
후크 요소는, 지지 부재를 통해 부착되는 것으로 했기 때문에, 샤시와 별도 부재인 지지 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부재를 샤시로부터 돌출시킬 수 있고, 후크 요소와 루프 요소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1 결합 영역 또는 후크 요소에 접착 수단을 형성하는 공정과, 접착 수단이 도포된 제1 결합 영역과 후크 요소의 베이스면을 포개는 공정과, 제1 결합 영역 및 후크 요소를 서로 가압하여 후크 요소에 변형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했기 때문에, 변형부를 착용 물품의 제조시에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후크 요소와 루프 요소를 결합하고 나서 변형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했기 때문에, 가압에 의해 후크 요소와 루프 요소의 결합을 한층 더 강고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기저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기저귀의 전개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는 기저귀의 제조 방법의 설명도.
도 5는 결합체의 단면도.
도 6은 롤러의 사시도.
도 1∼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성인용 기저귀를 그 일례로서 설명한다. 도 1은 기저귀(1)의 착용 상태에서 양측 가장자리 중 한쪽을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기저귀(1)의 전개도로서 설명을 위해 그 일부를 파단하고 있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기저귀(1)는 흡액성을 갖는 샤시(2)와 기계적 패스너(3)를 포함한다. 샤시(2)는, 세로 방향(Y) 및 가로 방향(X)과, 신체측 내면(4) 및 착의측 외면(5)을 갖는다. 샤시(2)는, 신체측 내면(4)을 형성하는 내면 시트(6)와, 착의측 외면(5)을 형성하는 외면 시트(7)와, 내면 시트(6)의 신체측 내면에 위치하는 흡액 구조체(20)를 포함한다. 내면 시트(6)는 액체 투과성의 섬유 부직포 등을, 외면 시트(7)는 액체 불투과성의 플라스틱 필름 등을, 흡액 구조체(20)는 플러프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혼합물 등을 이용할 수 있고, 각각 당해 기술분야의 관용 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샤시(2)는, 앞허리 영역(8)과, 뒤허리 영역(9), 그리고 앞뒤 허리 영역(8, 9)의 사이에 있는 크로치 영역(10)을 포함한다.
앞허리 영역(8)에는, 가로 방향(X)으로 대향하고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측방 가장자리부(11)가 형성되고, 뒤허리 영역(9)에는, 가로 방향(X)으로 대향하고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측방 가장자리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측방 가장자리부(11)는 지지 부재[이형(耳形) 부재](13, 14)를 포함한다. 즉, 제1 측방 가장자리부(11) 각각의 내면 시트(6)에는, 세로 방향(Y)으로 가늘고 긴 지지 부재[이형(耳形) 부재](13, 14)가 부착되며, 이 지지 부재(13, 14)를 통해 제1 결합 영역이 형성되고, 기계적 패스너의 후크 요소(15, 16)가 샤시(2)에 부착되어 있다. 지지 부재(13, 14)는, 섬유 부직포 등의 재료로 형성되고, 그 한쪽의 측방 가장자리(13a, 14a)가 내면 시트(6)의 제1 측방 가장자리부(11)에 접착제, 서멀 또는 초음파 본딩에 의해 접합되고, 다른 한쪽의 측방 가장자리(13b, 14b)가 제1 측방 가장자리부(11)로부터 가로 방향(X)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후크 요소(15, 16)는, 지지 부재(13, 14)의 돌출된 부분으로서, 착의측 외면에 접착 수단인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후크 요소(15, 16)는, 세로 방향(Y)으로 이분할되어 있고 각각 상부(15a, 16a)와 하부(15b, 16b)가 사이에 공간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지지 부재(13, 14)는, 제1 측방 가장자리부(11)의 세로 방향(Y)의 길이 치수와 거의 동일한 치수를 가지며, 후크 요소(15, 16)는 지지 부재(13, 14)의 세로 방향(Y)의 거의 전체 영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후크 요소(15, 16)는, 지지 부재(13, 14)의 세로 방향(Y)의 양단부 가장자리와 후크 요소(15, 16)의 상부(15a, 16a)와 하부(15b, 16b)의 각각의 사이의 약간의 부분을 제외하고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어 있다. 앞뒤 허리 영역(8, 9)은 각각의 가로 방향(X)의 길이 치수가 거의 같게 형성되어 있다. 앞허리 영역(8)의 제1 측방 가장자리부(11)에 지지 부재(13, 14)를 접합함으로써, 앞허리 영역(8)의 가로 방향(X)의 치수는, 뒤허리 영역(9)의 가로 방향(X)의 치수보다, 지지 부재(13, 14)의 대략 폭치수 만큼 크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가로 방향(X)에서 치수의 차가 있는 것은, 후술하는 착용 물품의 제조에서 바람직하지만, 꼭 그렇게 될 필요는 없다.
제2 측방 가장자리부(12) 각각의 내면 시트(6)에는, 제2 결합 영역이 형성되며, 기계적 패스너의 루프 요소(17, 18)가 접착제, 서멀 또는 초음파 본딩 등의 접합 수단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루프 요소(17, 18)는 뒤허리 영역(9)의 제2 측방 가장자리부(12)의 세로 방향(Y)의 길이 치수와 거의 동일한 치수를 가지며, 그 세로 방향(Y)의 거의 전체 영역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후크 요소(15, 16)와 루프 요소(17, 18)는 서로 이탈 가능하게 결합하고, 이들 후크 요소(15, 16) 및 루프 요소(17, 18)로서는,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착용 물품의 기술분야에서 관용되고 있는 「벨크로(등록상표)」나 「매직테이프(등록상표)」를 이용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후크 요소(15, 16)는, 그 전체 영역에 걸쳐 가압 처리에 의해 형성된 변형부(19)를 포함한다. 변형부(19)는, 세로 방향(Y)으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가로 방향(X)으로 복수개 연장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크 요소(15, 16)는, 지지 부재(13, 14)에 접합되는 베이스면(26)과, 베이스면(26)으로부터 기립하는 축부(27)와, 축부(27)의 선단에 형성된 헤드부(28)를 포함한다. 헤드부(28)는 축부(27)보다 표면적이 커, 전체적으로 버섯 형상을 이루고 있다. 헤드부(28)가 루프 요소(17, 18)의 루프에 들어감으로써, 후크 요소(15, 16)와 루프 요소(17, 18)가 서로 결합된다.
후크 요소(15, 16)의 변형부(19) 이외의 비변형부(29)에서는, 축부(27)가 베이스면(26)에 대하여 거의 수직으로 형성되고, 헤드부(28)의 축선이 베이스면(26)과 거의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변형부(19)에서는, 축부(27)가 휘어지고, 헤드부(28)의 축선이 베이스면(26)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이 헤드부(28)가 경사짐으로써, 헤드부(28)와 축부(27) 사이의 일부에서 각 축선이 예각으로 교차하게 된다. 이들 헤드부(28)와 축부(27)의 축선이 예각이 된 경우에는, 헤드부(28)가 루프 요소(17, 18)의 루프에 대하여 걸리기 쉬워지거나, 또는 한번 걸린 헤드부(28)가 잘 빠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변형부(19)에서는 후크 요소(15, 16)와 루프 요소(17, 18)의 결합력이 강고해진다. 또한, 헤드부(28)가 경사져 있어 루프 요소(17, 18)의 루프 간극에 들어가기 쉬워진다. 후크 요소(15, 16)의 일부인 변형부(19)의 헤드부(28)가 루프 간극에 들어감으로써, 이들 결합을 한층 더 강고하게 할 수 있다.
변형부(19)에 대한 가압의 방법 등에 따라서는, 헤드부(28)는 여러 방향 및 각도로 경사진다. 이와 같이 여러가지 방향 및 각도로 경사짐으로써, 어떠한 상황이라 하더라도, 기계적 패스너(3)의 결합력을 강고하게 할 수 있다. 즉, 결합한 후크 요소(15, 16)와 루프 요소(17, 18)에는, 그 착용 상태 등에 따라 여러 전단 방향의 힘이 작용하거나, 박리 방향의 힘이 작용하지만, 여러 방향으로 경사진 헤드부(28) 중 어느 하나가 루프 요소(17, 18)에 맞물리도록 결합할 수 있어, 강고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변형부(19)의 면적은, 후크 요소(15, 16)의 전체에 대하여 5∼40%가 되도록 되어 있다. 도 3에서는, 헤드부(28)뿐만 아니라 축부(27)도 변형되지만, 헤드부(28)만이 변형되어 베이스면(26)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해도 좋다.
변형부(19)는, 가압 처리에 의해 형성하고, 가열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후크 요소(15, 16)가 열용융되지 않아, 헤드부(28) 및 축부(27)가 용착되는 일이 없다. 헤드부(28) 및 축부(27)가 용착되면, 루프에 걸리는 헤드부(28)의 부분이 상실되어, 후크 요소(15, 16)와 루프 요소(17, 18)의 결합력이 저감된다.
후크 요소(15, 16)는 접착 수단인 접착제(30)를 통해 지지 부재(13, 14)에 접합되어 있다. 후크 요소(15, 16)를 지지 부재(13, 14)에 접합하고 나서 가압하도록 하면, 변형부(19)를 형성할 수 있고, 가압 부분에서는 후크 요소(15, 16)와 지지 부재(13, 14)의 접착력도 증가하여, 이들의 접합을 강고하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결합한 후크 요소(15, 16)와 루프 요소(17, 18)를 떼어내려 하는 경우에 후크 요소(15, 16)와 지지 부재(13, 14) 사이에 큰 박리력이 작용하더라도, 이들이 박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단, 후크 요소(15, 16)와 지지 부재(13, 14)를 동시에 가압 처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접착 수단으로서 접착제(30) 이외의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접착 수단으로서 접착제(30)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가압에 의해 결합력이 강고해지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뒤 허리 영역(8, 9)에는,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는 허리 탄성 부재(21)가 신장 상태로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허리 탄성 부재(21)는 허리 개구측에 위치하는 제1 탄성 부재(21a)와, 제1 탄성 부재(21a)보다 크로치 영역(10)에 위치하는 제2 탄성 부재(21b)를 포함하며, 이들 제1 및 제2 탄성 부재(21a, 21b)는 내외면 시트(6, 7) 사이에 개재되고, 내외면 시트(6, 7) 중 적어도 한쪽에 접착제, 서멀 또는 초음파 본딩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허리 탄성 부재(21)는, 복수개의 실형, 스트랜드형, 또는 테이프형 등의 고무에 의해 형성된다. 제2 탄성 부재(21b)는, 세로 방향(Y)으로 거의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앞뒤 허리 영역(6, 7)의 거의 전체 영역에 걸쳐 부착됨으로써, 앞뒤 허리 영역(6, 7)을 가로 방향(X)으로 탄성화하고 있다. 앞뒤 허리 영역(6, 7)을 탄성화함으로써, 앞뒤 허리 영역(6, 7)이 착용자에게 피트되어, 뇨 등이 새는 것을 방지하고, 착용 외관을 양호하게 하였다.
허리 탄성 부재(21)는, 앞허리 영역(8)에서는 지지 부재(13, 14)와 교차하지 않도록 지지 부재의 가로 방향(X) 내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후크 요소(15, 16)는, 지지 부재(13, 14)의 가로 방향(X)으로 돌출된 부분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허리 탄성 부재(21)는 앞허리 영역(8)에서는 후크 요소(15, 16)에 겹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뒤허리 영역(9)에서는, 루프 요소(17, 18)의 가로 방향(X) 내측까지 허리 탄성 부재(21)가 연장되어, 이들 루프 요소(17, 18)에는 겹치지 않는다. 허리 탄성 부재(21)가 후크 요소(15, 16) 및 루프 요소(17, 18)에 겹치지 않도록 함으로써, 허리 탄성 부재(21)의 수축으로 후크 요소(15, 16)와 루프 요소(17, 18)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주름이 발생함으로써, 결합 면적이 좁아지거나, 결합이 불안정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후크 요소(15, 16)와 루프 요소(17, 18)를 강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측방 가장자리부(11, 12)의 세로 방향(Y) 사이에는 레그측 가장자리부(22)가 형성되고, 이 레그측 가장자리부(22)는, 크로치 영역(10)에 형성되어, 가로 방향(X)의 치수를 이등분하는 세로중심선(P-P)을 향하여 만곡되어 있다. 레그측 가장자리부(22)를 따라서 레그 탄성 부재(23)가 신장 상태로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레그 탄성 부재(23)는, 내외면 시트(6, 7)의 사이에 개재되고, 이들 내외면 시트(6, 7)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접착제, 서멀 또는 초음파 본딩 등의 접합 수단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레그 탄성 부재(23)는 복수개의 실형, 스트랜드형 또는 테이프형 등의 고무에 의해 형성되고, 이들 고무의 수축력에 의해, 레그측 가장자리부(22)가 착용자에게 피트되어 뇨 등이 새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허리 탄성 부재(21) 및 레그 탄성 부재(23)는, 천연 고무 또는 폴리우레탄 등의 합성 고무를 이용할 수 있고, 고무 대신, 탄성을 갖는 섬유 부직포나 플라스틱 시트 등, 일반적인 여러 탄성 부재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기저귀(1)에서, 후크 요소(15, 16)에 루프 요소(17, 18)를 결합함으로써, 앞뒤 허리 영역(8, 9)을 서로 연결하고, 허리 개구(24)와 한 쌍의 레그 개구(25)를 형성하여 풀온ㆍ팬츠 형상으로 만들 수 있다. 이러한 기저귀(1)는, 앞뒤 허리 영역(8, 9)의 연결 상태에서 허리 개구(24)를 통해 레그 개구(25)로 다리를 넣고 기저귀(1)를 끌어올리도록 하여 착용할 수 있다. 또한, 앞뒤 허리 영역(8, 9)을 연결하기 전에 착용자의 허리부에 대고, 그 후 후크 요소(15, 16)에 루프 요소(17, 18)를 결합함으로써, 앞뒤 허리 영역(8, 9)을 연결하여 팬츠 형상으로 만들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저귀(1)는, 풀온ㆍ팬츠 타입과 오픈 타입의 병용이 가능한 편리성을 갖는다.
두 경우 모두, 후크 요소(15, 16)를 상부(15a, 16a)와 하부(15b, 16b)로 분할하고 있기 때문에, 어느 한쪽씩 루프 요소(17, 18)에 결합할 수 있어, 일련의 긴 후크 요소를 단번에 루프 요소에 결합하는 경우에 비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한번 결합한 후에 어긋남을 바로잡거나, 배설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결합을 해제하는 경우에, 상하부 중 어느 한쪽의 후크 요소만을 떼어내었다가 다시 결합하면 되기 때문에, 후크 요소를 전부 다시 결합하는 경우에 비해 간편하다.
상기와 같은 기저귀(1)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저귀(1)의 샤시(2)는 섬유 웹에 의해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마지막으로 절단함으로써 개개의 제품이 된다. 웹의 반송 방향을 화살표 A로 나타내고 있다.
제1 공정(a)에서는, 외면 시트(7)를 형성하는 제1 웹(31)이 반송되고, 이 제1 웹(31)에 허리 탄성 부재(21) 및 레그 탄성 부재(23)가 신장 상태로 반송 방향에서 연속적으로 부착된다. 여기서는, 탄성 부재(21, 23)를 접합하기 위한 접착제 등의 접합 수단은 생략하고 있다.
제2 공정(b)에서는, 내면 시트(6)를 형성하는 제2 웹(32)이 제1 웹(31) 상으로 반송되어, 이들 제1 웹(31)과 제2 웹(32)이 접합된다. 이 제2 공정(b) 이후, 도면 중에서 허리 탄성 부재(21)의 도시를 생략하고, 레그 탄성 부재(23)만 파선으로 나타낸다.
제3 공정(c)에서는, 레그 탄성 부재(23)에 의해 형성된 원을 따라서 제1 및 제2 웹(31, 32)에 원형의 구멍(36)을 형성하고, 이 구멍(36)의 가장자리를 레그측 가장자리부(22)로 한다. 구멍(36)은 파선으로 나타낸 절단 예정선(35) 상에 형성된다.
제4 공정(d)에서는, 반송 방향에서 구멍(36)과 구멍(36)의 사이에, 흡액 구조체(20)를 부착한다. 흡액 구조체(20)는 제2 웹(32)에 도시 생략된 접합 수단에 의해 접합된다.
제5 공정(e)에서는, 후크 요소(15, 16)와 루프 요소(17, 18)가 결합된 결합체(37)의 상태로 부착된다. 후크 요소(15, 16)는 지지 부재(13, 14)에 접합되고, 후크 요소(15, 16)에 루프 요소(17, 18)가 결합되어, 결합체(37)를 형성하고 있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결합체(37)의 V-V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13, 14)는 각각 3겹으로 접히고, 후크 요소(15, 16)가 접합된 면에서는 지지 부재(13, 14)가 반송 방향으로 연속되어 있다. 또한, 루프 요소(17, 18)도 반송 방향으로 연속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의 결합체(37)가 제2 웹(32)에 반송된다. 제1 및 제2 웹(31, 32)은 반송 방향의 일단(33) 및 타단(34)을 형성하며, 일단(33)측이 기저귀(1)의 앞허리 영역(8)이 되고, 타단(34)측이 뒤허리 영역(9)이 된다. 결합체(37)의 지지 부재(13, 14)가, 제2 웹(32)의 타단(34)측에 도시 생략된 접합 수단을 통해 접합된다. 반송 방향에서 후크 요소(15, 16)의 사이와, 반송 방향에서 루프 요소(17, 18)의 사이가, 절단 예정선(35)에서 마지막에 절단됨으로써, 개개의 제품이 된다.
제6 공정(f)에서는, 제1 및 제2 웹(31, 32)의 일단(33)과 타단(34)을 서로 포개어, 이들을 2겹으로 접는다. 이 때 흡액 구조체(20), 후크 요소(15, 16) 및 루프 요소(17, 18)가 내측이 되도록 하여 접는다. 루프 요소(17, 18)에는 도시 생략된 접합 수단을 형성하여, 제1 및 제2 웹(31, 32)이 접혔을 때, 루프 요소(17, 18)를 일단(33)측에 접합하도록 하고 있다.
제7 공정(g)에서는, 결합한 후크 요소(15, 16) 및 루프 요소(17, 18)에 대하여 제1 웹(31)측으로부터 가압 처리를 하여 변형부(19)를 형성한다. 가압 처리는, 도 6에 나타낸 롤러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롤러는 제1 롤러(38)와 제2 롤러(39)를 포함하며, 제1 롤러(38)에는 프레스 패턴(40)을 형성하고, 제2 롤러(39)에는 프레스 패턴을 형성하지 않는다. 제1 롤러(38)에 후크 요소(15, 16)측이 위치하고, 제2 롤러(39)에 루프 요소(17, 18)측이 위치하도록 하여, 제1 및 제2 웹(31, 32)을 세팅하고, 제1 및 제2 롤러(38, 39)의 회전에 의해 후크 요소(15, 16)에 변형부(19)를 형성한다. 프레스 패턴(40)은 반송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볼록부(41)를 형성하고, 이들 볼록부(41)에서 후크 요소(15, 16)에 대한 압력이 높아짐으로써, 변형부(19)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변형부(19)는, 스트라이프형으로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고 세로 방향(Y)으로 이격되어 복수 형성되게 된다. 프레스 패턴(40)은 후크 요소(15, 16)가 부착된 위치에 대응하여, 제1 롤러(38)에 형성되고, 프레스 패턴(40)과 제2 롤러(39)의 클리어런스는, 약 0.1∼2.0 mm로 하고 있다. 단, 이 클리어런스는, 후크 요소(15, 16)의 두께가 약 0.5 mm일 때의 것이며, 이 후크 요소(15, 16)의 두께나 다른 부재의 두께, 강성 등에 따라서는, 프레스 패턴(40)과 제2 롤러(39)의 클리어런스를 변경할 수 있다.
제8 공정(h)에서는, 접은 상태로, 절단 예정선(35)을 따라서 제1 및 제2 웹(31, 32)을 절단한다. 이와 같이 절단함으로써 기저귀(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연속하는 제1 및 제2 웹(31, 32)에 의해 기저귀(1)를 형성하고, 후크 요소(15, 16) 및 루프 요소(17, 18)를 부착하여, 변형부(19)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스피드를 향상시킬 수 있다.
기저귀(1)의 제조시에 후크 요소(15, 16)와 루프 요소(17, 18)를 강고하게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나 사용전에 이들 결합이 어긋나거나 해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후크 요소(15, 16)를 지지 부재(13, 14)에 부착하고, 후크 요소(15, 16)에 루프 요소(17, 18)를 부착하여 결합체(37)를 형성하고 나서 샤시(2)를 형성하는 제2 웹(32)에 부착하도록 하고 있지만, 후크 요소(15, 16)를 제2 웹(32)의 타단(34)측에 부착하고, 루프 요소(17, 18)를 일단(33)측에 부착하고 나서, 웹을 2겹으로 접어 이들 후크 요소(15, 16)와 루프 요소(17, 18)를 결합하도록 해도 좋다.
제1 및 제2 웹(31, 32)에 의해 형성되는 내외면 시트(6, 7), 후크 요소(15, 16) 및 루프 요소(17, 18)가 적층된 상태로 제1 및 제2 롤러(38, 39)로 가압되도록 하고 있지만, 후크 요소(15, 16)만, 또는 내외면 시트(6, 7)와 후크 요소(15, 16)의 적층체의 상태로 가압되도록 해도 좋다. 단, 후크 요소(15, 16)와 루프 요소(17, 18)를 결합한 상태로 가압함으로써, 이들의 결합을 보다 강고하게 할 수 있다.
프레스 패턴(40)으로서 스트라이프형의 것을 이용하고 있지만, 후크 요소(15, 16)에 부분적으로 변형부(19)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원형이나 각형의 도트 형상의 것이나 물결 형상의 것 등, 다른 형상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롤러(38, 39)에 의해 변형부(19)를 형성함으로써, 반송되는 웹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가압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제1 롤러(38)에 프레스 패턴(40)을 형성하고 있지만, 제2 롤러(39)에도 프레스 패턴(40)에 대응하는 패턴을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 기저귀(1)의 제조 방법에서, 흡액 구조체(20)를 반송하는 타이밍이나, 레그측 가장자리부를 형성하는 구멍(36)을 형성하는 타이밍 등은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후크 요소(15, 16)로서 버섯 형상의 것을 이용하고 있지만, 갈고리형의 것 등, 일반적인 후크 요소를 이용할 수 있다. 어느 것이든, 그 헤드부를 가압에 의해 변형시킴으로써, 후크 요소의 배향을 랜덤으로 할 수 있어, 루프 요소와의 결합을 강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가압의 시간이나 힘에 의해, 변형부(19)의 형상을 바꿀 수 있어, 선택한 루프 요소에 따라서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앞허리 영역(8)에 후크 요소(15, 16)를 부착하고, 뒤허리 영역(9)에 루프 요소(17, 18)를 부착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그 반대이어도 좋다. 즉, 앞허리 영역(8)을 제1 허리 영역으로 하고, 뒤허리 영역(9)을 제2 허리 영역으로 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앞허리 영역(8)을 제2 허리 영역, 뒤허리 영역(9)을 제1 허리 영역으로 해도 좋다. 단, 강성이 높은 후크 요소가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지 않도록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크 요소에 의해 착용자의 피부에 상처가 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기저귀(1)는, 샤시(2)와는 별개체인 흡액 구조체(20)를 갖고 있지만, 샤시(2)의 내외면 시트(6, 7)의 사이에 흡액성의 코어를 개재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1 측방 가장자리부(11)가 지지 부재(13, 14)를 포함하며, 지지 부재(13, 14)를 통해 후크 요소(15, 16)가 부착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형태로서 후크 요소(15, 16)가 직접 샤시(2)에 부착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후크 요소(15, 16)를 앞허리 영역(8)의 외면 시트(7)에 접합할 수 있어, 지지 부재(13, 14)를 마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만큼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1 : 기저귀
2 : 샤시
3 : 기계적 패스너
4 : 신체측 내면
5 : 착의측 외면
6 : 내면 시트
7 : 외면 시트
8 : 앞허리 영역
9 : 뒤허리 영역
10 : 크로치 영역
11 : 제1 측방 가장자리부(전방측 가장자리부)
12 : 제2 측방 가장자리부(후방측 가장자리부)
13 : 지지 부재
14 : 지지 부재
15 : 후크 요소
16 : 후크 요소
17 : 루프 요소
18 : 루프 요소
19 : 변형부
26 : 베이스면
27 : 축부
28 : 헤드부

Claims (7)

  1.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과, 신체측 내면 및 착의측 외면과, 앞허리 영역 및 뒤허리 영역 중 한쪽인 제1 허리 영역과, 상기 앞허리 영역 및 뒤허리 영역 중 다른 한쪽인 제2 허리 영역,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허리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크로치 영역을 포함하는 샤시; 및
    상기 제1 허리 영역의 상기 가로 방향으로 대향하고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측방 가장자리부에 위치하며 기계적 패스너 기능을 갖는 제1 결합 영역과, 상기 제2 허리 영역의 상기 가로 방향으로 대향하고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측방 가장자리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결합 영역과 이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기계적 패스너 기능을 갖는 제2 결합 영역으로 구성되는 기계적 패스너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 영역은 후크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결합 영역은 루프 요소를 포함하는 착용 물품으로서,
    상기 후크 요소는, 상기 샤시에 접합되는 베이스면과, 상기 베이스면으로부터 기립하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선단에 형성된 헤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크 요소의 전체 영역에 걸쳐 간헐적으로 상기 후크 요소의 적어도 상기 헤드부가 가압 변형된 변형부가 형성되고,
    상기 변형부는, 상기 세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상기 가로 방향으로 복수개 연장되어 스트라이프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물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는, 상기 축부에서의 가압 변형도 포함하는 것인 착용 물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요소와 상기 샤시 사이에는 접착 수단을 형성하고, 상기 접착 수단을 통해 상기 후크 요소가 상기 샤시에 접합되는 것인 착용 물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영역은 지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부재를 통해 상기 후크 요소가 부착되는 것인 착용 물품.
  6. 제4항에 기재된 착용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샤시의 상기 제1 결합 영역과 상기 후크 요소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상기 접착 수단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1 결합 영역과 상기 후크 요소의 상기 베이스면을 포개는 공정과,
    상기 후크 요소에 상기 변형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 결합 영역 및 상기 후크 요소를 서로 가압하는 공정
    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하는 공정에서, 상기 변형부는, 세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가로 방향으로 복수개 연장되어 스트라이프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착용 물품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영역과 상기 후크 요소의 상기 베이스면을 포개는 공정 이후, 상기 제1 결합 영역 및 상기 후크 요소를 가압하는 공정 이전에,
    상기 후크 요소와 상기 루프 요소를 결합하여, 상기 후크 요소의 베이스면을 상기 제1 결합 영역에 접합하는 공정과,
    상기 샤시의 상기 제1 허리 영역과 상기 제2 허리 영역이 서로 겹치도록 접고, 상기 루프 요소의 베이스면을 상기 제2 결합 영역에 접합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인 착용 물품의 제조 방법.
KR1020107027845A 2008-05-15 2009-03-23 착용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5509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28915A JP5497995B2 (ja) 2008-05-15 2008-05-15 着用物品
JPJP-P-2008-128915 2008-05-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876A KR20110021876A (ko) 2011-03-04
KR101550950B1 true KR101550950B1 (ko) 2015-09-07

Family

ID=41318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7845A Expired - Fee Related KR101550950B1 (ko) 2008-05-15 2009-03-23 착용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8172822B2 (ko)
EP (1) EP2289474B1 (ko)
JP (1) JP5497995B2 (ko)
KR (1) KR101550950B1 (ko)
CN (1) CN102076299B (ko)
AR (1) AR071771A1 (ko)
AU (1) AU2009247403B2 (ko)
CL (1) CL2009001119A1 (ko)
EA (1) EA201071188A1 (ko)
MY (1) MY152747A (ko)
TW (1) TWI480032B (ko)
WO (1) WO20091392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96939B2 (ja) * 2008-07-15 2014-09-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着用物品の製造方法および着用物品
JP2011235076A (ja) * 2010-04-14 2011-11-24 Livedo Corporation おむつカバーおよび使い捨ておむつ
US9636263B2 (en) * 2013-03-15 2017-05-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refastenable absorbent articles
US20140259563A1 (en) * 2013-03-15 2014-09-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ubassemblies comprising folded fastening tab members
PL4046615T3 (pl) * 2021-02-22 2023-07-24 Fameccanica.Data S.P.A. Poprzecznie rozciągliwy ciągły laminat elastyczny i sposób jego wytwarzania
CN112932801B (zh) * 2021-04-16 2024-11-12 美佳爽(中国)有限公司 一次性吸收物品腰围封闭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5650A (ja) 1999-02-08 2000-08-15 Ykk Corp 平板状基材表面に起立する合成樹脂製突起物の二次成形装置
JP2005319142A (ja) 2004-05-11 2005-11-17 Daio Paper Corp メカニカルテープのオス材、吸収性物品および止着式紙おむつ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6815A (en) * 1987-01-26 1989-07-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diaper having an improved fastening device
JP2597861B2 (ja) 1987-12-14 1997-04-09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紙おむつ
US5897545A (en) * 1996-04-02 1999-04-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lastomeric side panel for use with convertible absorbent articles
US5669901A (en) * 1996-04-18 1997-09-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n improved mechanical fastening system
US6761711B1 (en) 1998-12-18 2004-07-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with refastenable side seams
US6849067B2 (en) * 1999-11-22 2005-02-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with refastenable side seams
JP3892372B2 (ja) 2002-09-06 2007-03-14 Ykk株式会社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とその製造装置
JP4704826B2 (ja) * 2004-08-31 2011-06-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パンツ型着用物品の製造方法
JP2006150068A (ja) * 2004-10-25 2006-06-15 Hakujuji Co Ltd 使い捨て吸収性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812295B2 (ja) * 2004-12-22 2011-11-09 ファーメッカニカ.データ・ソシエタ・ペル・アチオニ 吸収性衛生製品のクロージャ・エレメント、その製造方法、その使用方法、および吸収性衛生製品
JP4799033B2 (ja) * 2005-03-31 2011-10-19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7727215B2 (en) * 2006-07-06 2010-06-01 Unicharm Corporation Wearing article
JP5037868B2 (ja) * 2006-07-06 2012-10-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着用物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5650A (ja) 1999-02-08 2000-08-15 Ykk Corp 平板状基材表面に起立する合成樹脂製突起物の二次成形装置
JP2005319142A (ja) 2004-05-11 2005-11-17 Daio Paper Corp メカニカルテープのオス材、吸収性物品および止着式紙おむ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L2009001119A1 (es) 2010-04-16
US20110066129A1 (en) 2011-03-17
JP2009273730A (ja) 2009-11-26
CN102076299B (zh) 2013-08-21
AR071771A1 (es) 2010-07-14
WO2009139226A1 (ja) 2009-11-19
JP5497995B2 (ja) 2014-05-21
TWI480032B (zh) 2015-04-11
MY152747A (en) 2014-11-28
CN102076299A (zh) 2011-05-25
TW201012446A (en) 2010-04-01
KR20110021876A (ko) 2011-03-04
EP2289474B1 (en) 2014-05-14
AU2009247403B2 (en) 2014-07-03
US8172822B2 (en) 2012-05-08
EP2289474A4 (en) 2013-02-20
EA201071188A1 (ru) 2011-06-30
AU2009247403A1 (en) 2009-11-19
EP2289474A1 (en) 2011-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95163B1 (en) Absorptive article
JP5297675B2 (ja) 止着テープおよびこの止着テープを備えた使い捨ておむつ、ならびにこれらの製造方法
JP4981664B2 (ja) 着用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05580B1 (ko) 착용 물품의 제조 방법 및 착용 물품
KR101550950B1 (ko) 착용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JP2002178428A (ja) 伸縮性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紙おむつ
JP2008012115A (ja) パンツ型着用物品
CN102933375A (zh) 接缝结构及制备接缝的方法
US8734418B2 (en) Pant-type wearing articl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5346176B2 (ja) パンツ形状の着用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236668B1 (ko) 일회용 착용 물품
JP2003290287A (ja) 使い捨てのパンツ型おむ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457827B2 (ja) パンツ型の着用物品
JP6697011B2 (ja)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4675132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4516849B2 (ja) オムツの製造方法
JP5930585B2 (ja) パンツ型の着用物品
JP2017185156A (ja)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1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2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1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9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9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