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25635B1 - 초순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와, 전자 부품 부재류의 세정 방법 및 세정 장치 - Google Patents

초순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와, 전자 부품 부재류의 세정 방법 및 세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5635B1
KR101525635B1 KR1020107009297A KR20107009297A KR101525635B1 KR 101525635 B1 KR101525635 B1 KR 101525635B1 KR 1020107009297 A KR1020107009297 A KR 1020107009297A KR 20107009297 A KR20107009297 A KR 20107009297A KR 101525635 B1 KR101525635 B1 KR 101525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hange resin
anion exchange
ultrapure water
boron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9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5970A (ko
Inventor
다케오 후쿠이
다카유키 모리베
히토시 홋타
히로시 모리타
Original Assignee
쿠리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288733A external-priority patent/JP549943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288734A external-priority patent/JP5320723B2/ja
Application filed by 쿠리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쿠리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75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5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5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563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41/00Anion exchange; Use of material as anion exchangers; Treatment of material for improving the anion exchange properties
    • B01J41/04Processes using organic excha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47/00Ion-exchange processe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B01J47/02Column or bed processes
    • B01J47/04Mixed-bed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49/00Regeneration or reactivation of ion-exchangers; Apparatus therefor
    • B01J49/50Regeneration or reactivation of ion-exchangers;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regeneration reagents
    • B01J49/57Regeneration or reactivation of ion-exchangers;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regeneration reagents for anionic exchang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egassing, i.e. liberation of dissolved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ultrafiltration or micro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re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02F2001/42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using anionic exchang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02F2001/42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using mixed be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2Non-contaminated water, e.g. for industrial water supply
    • C02F2103/04Non-contaminated water, e.g. for industrial water supply for obtaining ultra-pure 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붕소 농도가 1 ng/L 이하 또는 금속 농도가 0.1 ng/L 이하인 초순수를 안정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초순수 제조 장치와, 이것을 이용한 초순수 제조 방법, 전자 부품 부재류의 세정 방법 및 세정 장치를 제공한다. 음이온 교환 수지와 양이온 교환 수지를 구비한 혼상식(混床式, mixed bed) 탈이온 장치(16)를 최후단의 탈이온 장치로서 설치한 초순수 제조 장치에서, 상기 음이온 교환 수지로서, 붕소 함유량이 50 ㎍/L-음이온 교환 수지(습윤 상태) 이하인 것을 확인한 음이온 교환 수지 또는 양이온 용출량이 100 ㎍/L-음이온 교환 수지(습윤 상태)인 음이온 교환 수지를 이용한다.

Description

초순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와, 전자 부품 부재류의 세정 방법 및 세정 장치{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ULTRAPURE WATER,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ELECTRONIC COMPONENT MEMBERS}
본 발명은 초순수 제조 방법과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도체 제조 공업 등에서의 전자 부품 부재류의 세정에 적합한 초순수 제조 방법과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초순수 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된 초순수를 이용한 전자 부품 부재류의 세정 방법과 세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초순수를 범용하고 있는 반도체, 약품 제조 등의 분야에서, 최근 점점 더 고순도의 수질이 요구되고 있다. 반도체 기판이나 각종 전자 재료를 세정하는 물(초순수)이나 약액 중의 불순물은, 반도체 등의 실리콘 기판의 전기적 특성에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엄격히 관리되고 있다.
초순수는 일반적으로, 하천수, 지하수 및 공업 용수 등의 피처리수를 전처리 공정에서 처리하여 피처리수 중의 현탁물 및 유기물의 대부분을 제거하고, 계속해서, 이러한 전처리수를 일차계 순수 제조 장치 및 이차계 순수 제조 장치(서브 시스템이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음)에서 순차 처리함으로써 제조된다. 이차계 순수 제조 장치에서는, 1차 순수 중에 잔존하는 극미량의 이온, 유기물, 미립자 등을 제거하기 위해, 자외선 조사, 이온 교환, 한외 여과막 등을 더 조합시켜 처리하여, 최종적으로 원하는 초순수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초순수 제조 장치에서는, 비재생형 이온 교환 수지가, 일차계 순수 제조의 혼상식(混床式, mixed bed) 장치나 이차계 순수 제조의 이온 교환 장치에 이용되고 있다. 비재생형의 이온 교환 수지를 이용할 때의 이점은 처리수가 고순도로 된다는 것과, 약액에 의한 재생 설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또한, 이차계 순수 제조 장치에서는, 혹시라도 재생용의 약액이 사용 지점으로 유입되거나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특별한 컨디셔닝으로 정제하여 고도로 재생한 이온 교환 수지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얻어진 초순수는, 예컨대 반도체 제조 공업에서의 웨이퍼 세정 등을 행하는 사용 지점에 공급된다. 이러한 초순수는, 불순물을 전혀 함유하지 않는 것은 아니며, 초미량이나마 존재하여, 반도체 디바이스 등의 제품에 영향을 끼친다. 디바이스의 집적도가 높아짐에 따라, 초순수에 포함되는 초미량 성분을 무시할 수 없게 되어, 종래의 초순수보다 더 높은 순도를 갖는 초순수를 필요로 하고 있다.
종래, 초순수의 수질(금속 불순물 농도)로서, 요구 사양은, 1 ng/L 이하로 되어 있지만, 보다 고순도, 즉 금속 불순물 농도 0.1 ng/L 이하가 요구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8-84986에는, 붕소 선택성 이온 교환 수지를 이용함으로써, 붕소 농도 1 ng/L 이하의 초순수를 제조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붕소 선택성 이온 교환 수지의 후단(後段) 또는, 이 이온 교환 수지와 혼합하여, 혼상식 이온 교환 수지가 사용되면, 상기 혼상식 이온 교환 수지에 이용되는 음이온(anion) 교환 수지로부터의 붕소 용출에 의해, 초순수 중의 붕소 농도가 상승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96839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96839에는, 이차계 순수 장치 내에 이용되는 비재생형 이온 교환 수지의 양이온 수지 중의 나트륨형 화합물(R-Na)의 분율을 0.01% 이하로 함으로써, 이온 교환 수지로부터 처리수에 유출되는 나트륨 이온을 매우 낮은 레벨로 억제하도록 한 초순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와, 이것을 이용한 전자 부품 부재류의 세정 방법 및 세정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96839
실제의 초순수 시스템에서는 음이온 교환 수지와 양이온 교환 수지를 혼합한 혼상식 탈이온 장치를 최종단(最終段)에 사용하고 있다. 초순수의 수질은, 이 혼상식 탈이온 장치의 음이온 교환 수지로부터의 금속 용출의 영향을 크게 받아, 단순히 양이온 교환 수지 중의 금속 농도를 컨트롤하는 것만으로는, 금속 농도 0.1 ng/L 이하까지 안정적으로 처리하는 것은 곤란하다.
본 발명은, 붕소 농도가 1 ng/L 이하인 초순수를 안정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초순수 제조 장치와, 이것을 이용한 초순수 제조 방법, 전자 부품 부재류의 세정 방법 및 세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 농도가 0.1 ng/L 이하인 초순수를 안정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초순수 제조 장치와, 이것을 이용한 초순수 제조 방법, 전자 부품 부재류의 세정 방법 및 세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2 목적으로 한다.
제1 양태의 초순수 제조 장치는, 음이온 교환 수지를 갖는 탈이온 장치를 구비한 초순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교환 수지로서, 미리 붕소 함유량을 분석 평가하여, 규정값 이하인 것을 확인한 음이온 교환 수지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2 양태의 초순수 제조 장치는, 제1 양태에 있어서, 상기 규정값이 50 ㎍/L-음이온 교환 수지(습윤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3 양태의 초순수 제조 장치는, 제1 또는 제2 양태에 있어서, 상기 탈이온 장치가, 상기 음이온 교환 수지와 양이온 교환 수지를 갖는 혼상식 탈이온 장치이며, 최후단의 탈이온 장치로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4 양태의 초순수 제조 방법은, 미리 붕소 용출량을 분석 평가하여, 규정값 이하인 것을 확인한 음이온 교환 수지를 이용한 탈이온 장치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5 양태의 초순수 제조 방법은, 제1 내지 제3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기재된 초순수 제조 장치를 이용한 것이다.
제6 양태의 초순수 제조 방법은, 제4 또는 제5 양태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교환 수지로서, 붕소 농도가 10 ㎍/L 이하인 알칼리제로 재생함으로써 붕소 함유량을 상기 규정값 이하로 한 음이온 교환 수지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7 양태의 초순수 제조 방법은, 제6 양태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교환 수지로서, 상기 알칼리제로 재생한 후, 붕소 농도가 2 ㎍/L 이하인 물로 세정한 음이온 교환 수지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8 양태의 전자 부품 부재류의 세정 방법은, 제1 내지 제3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기재된 초순수 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된 초순수를 이용하여 전자 부품 부재류를 세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9 양태의 전자 부품 부재류의 세정 장치는, 제1 내지 제3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기재된 초순수 제조 장치를 세정용수 제조 장치로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1∼제9 양태에서는, 음이온 교환 수지로부터의 붕소 용출량이 현저히 적어지고, 이 결과, 붕소 농도가 1 ng/L 이하인 초순수를 안정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규정값으로서는, 50 ㎍/L-음이온 교환 수지(습윤 상태), 특히 10 ㎍/L-음이온 교환 수지(습윤 상태)가 적합하다.
또한, 이 음이온 교환 수지를 갖는 혼상식 탈이온 장치를 초순수 제조 장치에서의 최후단의 탈이온 장치로서 설치함으로써, 붕소 농도가 충분히 1 ng/L를 하회하는 초순수를 안정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제10 양태의 초순수 제조 장치는, 음이온 교환 수지를 이용한 탈이온 장치를 최후단의 탈이온 장치로서 설치한 초순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교환 수지로서, 미리 양이온 용출량을 분석 평가하여, 규정값 이하인 것을 확인한 음이온 교환 수지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11 양태의 초순수 제조 장치는, 제10 양태에 있어서, 상기 탈이온 장치가 음이온 교환 수지와 양이온 교환 수지를 구비한 혼상식 탈이온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12 양태의 초순수 제조 장치는, 제10 또는 제11 양태에 있어서, 상기 규정값이 100 ㎍/L-음이온 교환 수지(습윤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13 양태의 초순수 제조 장치는, 제11 또는 제12 양태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교환 수지로서 H형 전환율이 99.95% 이상인 것을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14 양태의 초순수 제조 방법은, 미리 양이온 용출량을 분석 평가하여, 규정값 이하인 것을 확인한 음이온 교환 수지를 이용한 탈이온 장치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15 양태의 초순수 제조 방법은, 제10 내지 제13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의 초순수 제조 장치를 이용한 것이다.
제16 양태의 전자 부품 부재류의 세정 방법은, 제10 내지 제13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기재된 초순수 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된 초순수를 이용하여 전자 부품 부재류를 세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17 양태의 전자 부품 부재류의 세정 장치는, 제10 내지 제 13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기재된 초순수 제조 장치를 세정용수 제조 장치로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10∼제13 양태에서는, 최후단의 탈이온 장치로서 혼상식 탈이온 장치를 설치한 초순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혼상식 탈이온 장치의 음이온 교환 수지로서 양이온 용출량이 규정값 이하인 것을 이용함으로써, 음이온 교환 수지로부터의 금속 용출량이 현저히 적어지고, 이 결과, 금속 농도가 0.1 ng/L 이하인 초순수를 안정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규정값으로서는, 100 ㎍/L-음이온 교환 수지(습윤 상태), 특히 50 ㎍/L-음이온 교환 수지(습윤 상태)가 적합하다.
또한, 양이온 교환 수지로서 H형 전환율이 99.95% 이상인 것을 이용함으로써, 양이온 교환 수지로부터의 금속 이온, 특히 나트륨 이온의 용출량도 적어져, 금속 이온의 농도가 충분히 0.1 ng/L를 하회하는 초순수를 안정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초순수 제조 장치의 흐름도이다.
도 2는 초순수 제조 장치의 흐름도이다.
도 3은 초순수 제조 장치의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초순수 제조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최후단의 탈이온 장치로서 혼상식 탈이온 장치를 설치한 것이다. 이러한 초순수 제조 장치의 전체 흐름의 일례를 도 1∼도 3에 나타낸다.
도 1∼도 3의 각 초순수 제조 장치는 모두, 전처리 시스템(1), 1차 순수 시스템(2) 및 서브 시스템(3)으로 구성된다.
응집, 가압 부상(침전), 여과 장치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처리 시스템(1)에서는, 원수(原水) 중의 현탁 물질이나 콜로이드 물질을 제거한다. 역침투(RO)막 분리 장치, 탈기 장치 및 이온 교환 장치[혼상식, 2상(床)3탑식 또는 4상5탑식]를 구비하는 1차 순수 시스템(2)에서는 원수 중의 이온이나 유기 성분을 제거한다. 또한, RO막 분리 장치에서는, 염류의 제거와 함께, 이온성, 콜로이드성의 TOC를 제거한다. 이온 교환 장치에서는, 염류의 제거와 함께, 이온 교환 수지에 의해 흡착 또는 이온 교환되는 TOC 성분을 제거한다. 탈기 장치(질소 탈기 또는 진공 탈기)에서는 용존 산소를 제거한다.
도 1의 초순수 제조 장치에서는,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1차 순수(통상의 경우, TOC 농도 2 ppb 이하의 순수)를, 서브 탱크(11), 펌프(P), 열교환기(12), UV 산화 장치(13), 촉매식 산화성 물질 분해 장치(14), 탈기 장치(15), 혼상식 탈이온 장치(이온 교환 장치)(16) 및 미립자 분리막 장치(17)에 순차적으로 통수(通水)시켜, 얻어진 초순수를 사용 지점(18)으로 보낸다.
UV 산화 장치(13)로서는, 통상, 초순수 제조 장치에 이용되는 185 ㎚ 부근의 파장을 갖는 UV를 조사하는 UV 산화 장치, 예컨대 저압 수은 램프를 이용한 UV 산화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이 UV 산화 장치(13)에서, 1차 순수 중의 TOC가 유기산, 또한 CO2로 분해된다. 또한, 이 UV 산화 장치(13)에서는 과잉으로 조사된 UV에 의해, 물로부터 H2O2가 발생된다.
UV 산화 장치의 처리수는, 계속해서 촉매식 산화성 물질 분해 장치(14)에 통수된다. 촉매식 산화성 물질 분해 장치(14)의 산화성 물질 분해 촉매로서는, 산화 환원 촉매로서 알려진 귀금속 촉매, 예컨대 금속팔라듐, 산화팔라듐, 수산화팔라듐 등의 팔라듐(Pd) 화합물 또는 백금(Pt), 그 중에서도 환원 작용이 강력한 팔라듐 촉매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 촉매식 산화성 물질 분해 장치(14)에 의해, UV 산화 장치(13)에서 발생한 H2O2와 그 외의 산화성 물질이 촉매에 의해 효율적으로 분해 제거된다. 그리고, H2O2의 분해에 의해, 물이 생성되기는 하지만, 음이온 교환 수지나 활성탄과 같이 산소를 생성시키는 경우는 거의 없어, DO 증가의 원인이 되지는 않는다.
촉매식 산화성 물질 분해 장치(14)의 처리수는, 계속해서 탈기 장치(15)에 통수된다. 탈기 장치(15)로서는, 진공 탈기 장치, 질소 탈기 장치나 막 타입 탈기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이 탈기 장치(15)에 의해, 수중의 DO나 CO2가 효율적으로 제거된다.
탈기 장치(15)의 처리수는 계속해서 혼상식 이온 교환 장치(16)에 통수된다. 혼상식 이온 교환 장치(16)로서는, 음이온 교환 수지와 양이온 교환 수지를 이온 부하에 따라 혼합 충전한 비재생형 혼상식 이온 교환 장치를 이용한다. 이 혼상식 이온 교환 장치(16)에 의해, 수중의 양이온 및 음이온이 제거되어, 물의 순도가 높아진다.
혼상식 이온 교환 장치(16)의 처리수는 계속해서 미립자 분리막 장치(17)에 통수된다. 미립자 분리막 장치(17)로서는, 통상의 초순수 제조 장치에 이용되는 UF막 분리 장치 등을 이용할 수 있고, 이 미립자 분리막 장치(17)에서 수중의 미립자, 예컨대 혼상식 이온 교환 장치(16)로부터의 이온 교환 수지의 유출 미립자 등이 제거되며, 이에 따라, TOC, CO2, DO, H2O2, 이온성 물질 및 미립자가 고도로 제거된 고순도의 초순수를 얻을 수 있다.
도 1의 구성은 본 발명의 초순수 제조 장치의 일례로서, 본 발명의 초순수 제조 장치는, 종래의 장치와 마찬가지로 전처리 시스템, 1차 순수 시스템, 서브 시스템으로 구성되고, 그 일련의 구성 단위 장치 중 서브 시스템에 있어서, 최후단의 이온 교환 수지로서 혼상식 이온 교환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한은, 각종 기기를 조합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2와 같이, UV 산화 장치(13)로부터의 UV 조사 처리수를 그대로 혼상식 탈이온 장치(16)에 도입하여도 좋다. 도 3과 같이, 촉매식 산화성 물질 분해 장치(14) 대신에 음이온 교환탑(19)을 설치하여도 좋다.
도시하지는 않지만, 혼상식 이온 교환 장치의 뒤에 RO막 분리 장치를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원수를 pH 4.5 이하의 산성 하에서, 또한, 산화제 존재 하에서 가열 분해 처리하여 원수 중의 요소 및 다른 TOC 성분을 분해한 후, 탈이온 처리하는 장치를 편입시킬 수도 있다. UV 산화 장치나 혼상식 이온 교환 장치, 탈기 장치 등은 다단(多段)으로 설치되어도 좋다. 또한, 전처리 시스템(1)이나 1차 순수 시스템(2)에 대해서도, 도면에 나타내는 것으로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여러가지 장치의 조합을 채용할 수 있다.
≪음이온 교환 수지의 붕소 용출량을 규정값 이하로 하는 양태≫
[음이온 교환 수지의 붕소 함유량]
이 양태에서는, 초순수 제조 장치의 최후단의 혼상식 탈이온 장치(16)의 음이온 교환 수지로서, 붕소 함유량이 규정값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L-음이온 교환 수지(습윤 상태)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L-음이온 교환 수지(습윤 상태) 이하인 것을 이용한다.
이와 같이 붕소 농도가 낮은 음이온 교환 수지는, 시판의 음이온 교환 수지 또는 사용한 음이온 교환 수지를, 붕소 농도가 10 ㎍/L 이하, 바람직하게는 5 ㎍/L 이하인 저붕소 농도 알칼리제를 이용하여 재생 처리하고, 계속해서 붕소 농도가 2 ng/L 이하, 바람직하게는 1 ng/L 이하인 저붕소 농도 초순수를 이용하여 세정(린스)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알칼리제로서는, NaOH, KOH, LiOH, NH3, 테트라메틸암모늄히드록사이드, 모노에탄올 등이 예시되지만, 그 중에서도 NaOH가 적합하다.
[음이온 교환 수지의 붕소 함유량 측정법]
음이온 교환 수지의 붕소 함유량의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평가 대상 음이온 교환 수지를 붕소 농도 2 ng/L 이하의 초순수로 세정 후, 그 100 mL를 청정한 플라스틱 용기에 채취하고, 이것에 농도 4%의 시약 특급 질산 500 mL를 부가하여, 1시간 진탕한다. 진탕 후의 질산 중 붕소 농도를 분석한다.
이 분석값으로부터, 붕소 함유량을 산출한다. 이 산출에 있어서는, 음이온 교환 수지 중의 붕소의 전체량이 질산 중에 용출되는 것으로 한다. 질산 중의 붕소량(㎍)을 음이온 교환 수지량(L)으로 나눔으로써, 붕소 함유량이 산출된다. 이 붕소 함유량이 50 ㎍/L-음이온 교환 수지 이하이면 합격품으로 한다.
또한, 혼상식 탈이온 장치에 이용하는 양이온 교환 수지로서는, 금속 용출량, 특히 나트륨 용출량을 적게 하기 위해, H형 전환율이 99.95% 이상인 것이 적합하다.
혼상식 탈이온 장치에서의 음이온 교환 수지의 전체 수지에 대한 비율(체적%)은, 80%∼30%, 특히 75%∼50% 정도가 적합하다.
[실시예 및 비교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시판의 음이온 교환 수지(A)에 대해서 붕소 농도 1 ㎍/L의 NaOH 4 wt% 수용액으로 재생하고, 붕소 농도 2 ng/L 이하의 초순수로 세정한 후, 100 mL을 청정한 폴리프로필렌 제조 용기에 채취하였다. 이것에, 고순도 질산(4%) 500 mL를 첨가하여 (5 스트로크/초)의 진탕으로 1시간 진탕한 후에, 질산 중의 붕소 농도를 유도 결합 플라즈마 질량 분석법(ICPMS)에 따라 측정하였다.
이하의 식으로부터, 수지 중의 나트륨 농도를 산출하였다.
수지의 붕소 함유량=[ICPMS 분석값(㎍/L)×질산량(0.5 L)]/수지량(0.1 L)
이 음이온 교환 수지에 대해서 초순수로 세정한 후, 500 mL를 계량하고, H형 전환율이 99.95% 이상인 양이온 교환 수지 500 mL와 혼합하여, 아크릴제 컬럼(직경 40 ㎜, 높이 800 ㎜)에 충전하여 혼상식 탈이온 장치를 제작하였다.
제작한 혼상식 탈이온 장치에 초순수(붕소 농도 약 2 ng/L)를 유속 2.7 mL/분(SV160)으로 통수시키고, 통수 후의 액 중의 붕소 농도를 유도 결합 플라즈마 질량 분석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상기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재생용 NaOH 수용액으로서 붕소 농도 25 ㎍/L의 것을 이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비교예 2>
별도의 시판의 음이온 교환 수지(B)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비교예 3>
또 다른 시판의 음이온 교환 수지(C)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음이온
교환 수지
음이온 교환 수지의
붕소 함유량(㎍/L-AR)
혼상식 탈이온 장치 처리수의 붕소 농도(ng/L)
실시예 1 A 30 0.6
비교예 1 A 300 1.6
실시예 2 B 60 0.75
비교예 2 B 250 1.4
실시예 3 C 90 0.95
비교예 3 C 200 1.2
표 1의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음이온 교환 수지로서 붕소 함유량이 50 ㎍/L-음이온 교환 수지(습윤 상태) 이하인 것을 선정하고, 이것을 서브 시스템의 혼상식 탈이온 장치에 사용함으로써, 붕소 농도 1 ng/L 이하의 초순수가 제조된다.
≪음이온 교환 수지로부터의 양이온 용출량을 규정값 이하로 하는 양태≫
이 양태에서는, 초순수 제조 장치의 최후단의 혼상식 탈이온 장치(16)의 음이온 교환 수지로서, 양이온 용출량이 규정값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 ㎍/L-음이온 교환 수지(습윤 상태)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L-음이온 교환 수지(습윤 상태) 이하인 것을 이용한다. 이 양이온 용출량의 측정 및 평가 방법은 다음과 같다.
[양이온 용출량의 측정 및 평가 방법]
평가 대상 음이온 교환 수지를 초순수로 세정한 후, 그 100 mL를 청정한 플라스틱 용기에 채취하고, 이것에 농도 4%의 분석용 고순도 염산 500 mL를 부가하여, 1시간 진탕한다. 진탕 후의 염산 중의 금속 농도를 분석한다.
이 분석값으로부터, 단위 수지량당의 금속 용출량을 산출한다. 이 용출량이 100 ㎍/L-음이온 교환 수지 이하이면 합격품으로 한다.
혼상식 탈이온 장치에 이용하는 양이온 교환 수지로서는, 금속 용출량, 특히 나트륨 용출량을 적게 하기 위해, H형 전환율이 99.95% 이상인 것이 적합하다.
혼상식 탈이온 장치에서의 음이온 교환 수지의 전체 수지에 대한 비율(체적%)은, 80%∼30%, 특히 75%∼50% 정도가 적합하다.
[실시예 및 비교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4∼7, 비교예 4, 5>
시판의 음이온 교환 수지(D∼I)에 대해서 초순수로 세정한 후, 각각 100 mL를 청정한 폴리프로필렌제 용기에 채취하였다. 이것에, 고순도 염산(4%) 500 mL를 첨가하여 (5 스트로크/초)의 진탕으로 1시간 진탕한 후에, 염산 중의 금속 농도를 유도 결합 플라즈마 질량 분석법(ICPMS)에 따라 측정하였다.
이하의 식으로부터, 수지 중의 나트륨 농도를 산출하였다.
수지 중의 나트륨 농도=[ICPMS 분석값(㎍/L)×염산량(0.5 L)]/수지량(0.1 L)
각 음이온 교환 수지에 대해서 초순수로 세정한 후, 500 mL를 계량하고, H형 전환율이 99.95% 이상인 양이온 교환 수지 500 mL과 혼합하여, 아크릴제 컬럼(직경 40 ㎜, 높이 800 ㎜)에 충전하여 혼상식 탈이온 장치를 제작하였다.
제작한 혼상식 탈이온 장치에 초순수(Na 농도 약 0.1 ng/L)를 유속 833 mL/분(SV50)으로 통수시키고, 통수 후의 액 중의 금속 농도를 사전 농축한 뒤에 유도 결합 플라즈마 질량 분석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상기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음이온
교환 수지
염산 진탕액 중의 Na
(㎍/L-AR)
혼상식 탈이온 장치 처리수(ng/L)
비교예 4 D 440 0.2
실시예 4 E 0.3 0.02
실시예 5 F 10 0.03
실시예 6 G 40 0.05
실시예 7 H 80 0.08
비교예 5 I 120 0.1
표 2의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음이온 교환 수지로서 양이온 용출량이 100 ㎍/L-음이온 교환 수지(습윤 상태) 이하인 것을 선정하고, 이것을 서브 시스템의 혼상식 탈이온 장치에 사용함으로써, 금속 농도 0.1 ng/L 이하의 초순수가 제조된다.
본 발명을 특정한 양태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의도와 범위를 벗어나는 일 없이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 분명하다.
또한, 본 출원은, 2007년 11월 6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특허 출원 제2007-288733) 및 2007년 11월 6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특허 출원 제2007-288734)에 기초하고 있으며, 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원용된다.

Claims (12)

  1. 음이온 교환 수지를 갖는 탈이온 장치를 구비한 초순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교환 수지로서, 나트륨 용출량이 40 ㎍/L-음이온 교환 수지(습윤 상태) 이하인 음이온 교환 수지 또는 붕소 함유량이 60 ㎍/L-음이온 교환 수지(습윤 상태) 이하인 음이온 교환 수지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음이온 교환 수지의 나트륨 용출량은, 음이온 교환 수지를 초순수로 세정한 후, 그 100mL를 폴리프로필렌제 용기에 채취하고, 고순도 염산(4%) 500mL를 첨가하여 진탕(5 스트로크/초)에서 1시간 진탕시킨 후, 염산 중의 금속 농도를 유도 결합 플라즈마 질량 분석법(ICPMS)에 따라 측정하고,
    음이온 교환 수지의 붕소 함유량은, 음이온 교환 수지를 붕소 농도 2 ng/L 이하의 초순수로 세정 후, 그 100 mL를 플라스틱 용기에 채취하고, 농도 4%의 시약 특급 질산 500 mL를 부가하여, 1시간 진탕하며, 진탕 후의 질산 중의 붕소 농도를 분석하여, 질산 중의 붕소량(㎍)을 음이온 교환 수지량(L)으로 나눔으로써 산출하는 것인 초순수 제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교환 수지로서 H형 전환율이 99.95% 이상인 것을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순수 제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이온 장치는, 상기 음이온 교환 수지와 양이온 교환 수지를 갖는 혼상식(混床式, mixed bed) 탈이온 장치이며, 최후단의 탈이온 장치로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순수 제조 장치.
  6. 삭제
  7. 삭제
  8. 나트륨 용출량이 40 ㎍/L-음이온 교환 수지(습윤 상태) 이하인 음이온 교환 수지 또는 붕소 농도가 10 ㎍/L 이하인 알칼리제로 재생함으로써 붕소 함유량을 60 ㎍/L-음이온 교환 수지(습윤 상태) 이하로 한 음이온 교환 수지를 이용한 탈이온 장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순수 제조 방법으로서,
    음이온 교환 수지의 나트륨 용출량은, 음이온 교환 수지를 초순수로 세정한 후, 그 100mL를 폴리프로필렌제 용기에 채취하고, 고순도 염산(4%) 500mL를 첨가하여 진탕(5 스트로크/초)에서 1시간 진탕시킨 후, 염산 중의 금속 농도를 유도 결합 플라즈마 질량 분석법(ICPMS)에 따라 측정하고,
    음이온 교환 수지의 붕소 함유량은, 음이온 교환 수지를 붕소 농도 2 ng/L 이하의 초순수로 세정 후, 그 100 mL를 플라스틱 용기에 채취하고, 농도 4%의 시약 특급 질산 500 mL를 부가하여, 1시간 진탕하며, 진탕 후의 질산 중의 붕소 농도를 분석하여, 질산 중의 붕소량(㎍)을 음이온 교환 수지량(L)으로 나눔으로써 산출하는 초순수 제조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초순수 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된 초순수를 이용하여 전자 부품 부재류를 세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 부재류의 세정 방법.
  12. 제1항,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초순수 제조 장치를 세정용수 제조 장치로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 부재류의 세정 장치.
KR1020107009297A 2007-11-06 2008-11-04 초순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와, 전자 부품 부재류의 세정 방법 및 세정 장치 Active KR1015256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88733A JP5499433B2 (ja) 2007-11-06 2007-11-06 超純水製造方法及び装置並びに電子部品部材類の洗浄方法及び装置
JPJP-P-2007-288733 2007-11-06
JP2007288734A JP5320723B2 (ja) 2007-11-06 2007-11-06 超純水製造方法及び装置並びに電子部品部材類の洗浄方法及び装置
JPJP-P-2007-288734 2007-11-06
PCT/JP2008/070039 WO2009060827A1 (ja) 2007-11-06 2008-11-04 超純水製造方法及び装置並びに電子部品部材類の洗浄方法及び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5970A KR20100075970A (ko) 2010-07-05
KR101525635B1 true KR101525635B1 (ko) 2015-06-03

Family

ID=40625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9297A Active KR101525635B1 (ko) 2007-11-06 2008-11-04 초순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와, 전자 부품 부재류의 세정 방법 및 세정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00288308A1 (ko)
KR (1) KR101525635B1 (ko)
CN (1) CN101939262A (ko)
TW (1) TWI439424B (ko)
WO (1) WO20090608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64817B2 (ja) * 2009-03-31 2014-08-06 栗田工業株式会社 イオン交換樹脂の再生方法及び超純水製造装置
JP6022765B2 (ja) * 2011-12-20 2016-11-09 オルガノ株式会社 液体管理システム
NL2009751C2 (nl) * 2012-11-02 2014-05-08 Vitens N V Werkwijze voor het duurzaam zuiveren van water en een daarvoor geschikte inrichting.
US9511233B2 (en) 2013-11-21 2016-12-06 Medtronic, Inc. Systems and methods for leadless cardiac resynchronization therapy
JP5895962B2 (ja) * 2014-03-31 2016-03-30 栗田工業株式会社 イオン交換樹脂のホウ素汚染防止方法
US10131552B2 (en) * 2015-01-06 2018-11-20 Amperage Energy Inc. Ion exchange system for removing sulfate ions from water
JP6737583B2 (ja) * 2015-11-16 2020-08-12 野村マイクロ・サイエンス株式会社 水処理装置、超純水製造装置及び水処理方法
KR102542839B1 (ko) * 2018-05-17 2023-06-14 오르가노 코포레이션 초순수의 제조방법, 초순수 제조 시스템 및 이온 교환체 충전모듈
CN108940385A (zh) * 2018-07-25 2018-12-07 南开大学 一种高效脱氟改性树脂的制备方法
JP7192519B2 (ja) * 2019-01-22 2022-12-20 栗田工業株式会社 ホウ素超高純度除去型超純水製造装置及びホウ素超高純度除去超純水の製造方法
JP6786659B2 (ja) * 2019-04-26 2020-11-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液体収納容器
JP7610380B2 (ja) * 2020-09-25 2025-01-08 オルガノ株式会社 純水製造装置及び純水製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5487B1 (ko) * 1994-07-22 1999-04-01 마에다 히로카츠 순수 또는 초순수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JP3215277B2 (ja) * 1995-03-02 2001-10-02 オルガノ株式会社 ほう素を除去した純水又は超純水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3248205B2 (ja) * 1990-11-22 2002-01-21 三菱化学株式会社 超純水製造用イオン交換樹脂、その製造法、及びこれを用いる超純水の製造法
JP2005296839A (ja) * 2004-04-13 2005-10-27 Japan Organo Co Ltd 超純水製造方法と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部品部材類の洗浄方法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19345A (ja) * 1987-11-02 1989-05-11 Tokyo Organ Chem Ind Ltd 強塩基性陰イオン交換樹脂の溶出物の低減方法
US5292439A (en) * 1990-11-22 1994-03-08 Mitsubishi Kasei Corporation Method for preparing ultrapure water
JP3173049B2 (ja) * 1991-08-20 2001-06-04 日本錬水株式会社 超純水製造用陰イオン交換樹脂及びそれを用いた超純水製造方法
JP3426072B2 (ja) * 1996-01-17 2003-07-14 オルガノ株式会社 超純水製造装置
JP2003334550A (ja) * 2001-10-04 2003-11-25 Mitsubishi Chemicals Corp 超純水及びその製造方法
JP3864934B2 (ja) * 2003-06-12 2007-01-10 栗田工業株式会社 純水製造装置
JP2007083132A (ja) * 2005-09-21 2007-04-05 Dow Global Technologies Inc 陰イオン交換樹脂からの有機物溶出低減方法
JP2007152235A (ja) * 2005-12-05 2007-06-21 Nomura Micro Sci Co Ltd 液浸露光装置用超純水の製造方法及び装置
WO2008053826A1 (en) * 2006-10-31 2008-05-08 Kurita Water Industries Ltd. Method of increasing purity of ultrapure water and apparatus theref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8205B2 (ja) * 1990-11-22 2002-01-21 三菱化学株式会社 超純水製造用イオン交換樹脂、その製造法、及びこれを用いる超純水の製造法
KR0185487B1 (ko) * 1994-07-22 1999-04-01 마에다 히로카츠 순수 또는 초순수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JP3215277B2 (ja) * 1995-03-02 2001-10-02 オルガノ株式会社 ほう素を除去した純水又は超純水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2005296839A (ja) * 2004-04-13 2005-10-27 Japan Organo Co Ltd 超純水製造方法と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部品部材類の洗浄方法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88308A1 (en) 2010-11-18
TWI439424B (zh) 2014-06-01
KR20100075970A (ko) 2010-07-05
CN101939262A (zh) 2011-01-05
TW200936511A (en) 2009-09-01
WO2009060827A1 (ja) 2009-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5635B1 (ko) 초순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와, 전자 부품 부재류의 세정 방법 및 세정 장치
US5470461A (en) Apparatus for producing pure water
US20040050786A1 (en) Method of removing organic impurities from water
KR101978080B1 (ko) 순수의 제조 방법 및 장치
CN108779006B (zh) 超纯水制造系统
WO2018096700A1 (ja) 超純水製造システム及び超純水製造方法
JP4385407B2 (ja) テトラアルキルアンモニウムイオン含有液の処理方法
TWI391331B (zh) 純水製造裝置
WO2016136650A1 (ja) 水中微粒子の除去装置及び超純水製造・供給システム
JP6165882B2 (ja) アニオン交換体、アニオン交換体とカチオン交換体の混合物、アニオン交換体とカチオン交換体とからなる混合床、それらの製造方法、及び過酸化水素水の精製方法
JP6082192B2 (ja) 純水製造装置
JP5499433B2 (ja) 超純水製造方法及び装置並びに電子部品部材類の洗浄方法及び装置
JP5320723B2 (ja) 超純水製造方法及び装置並びに電子部品部材類の洗浄方法及び装置
KR20180058706A (ko) 금속 오염 방지제, 금속 오염 방지막, 금속 오염 방지 방법 및 제품 세정 방법
JP7157142B2 (ja) 陰イオン交換樹脂及びこれを用いた水処理方法
JP3968678B2 (ja) テトラアルキルアンモニウムイオン含有液の処理方法
JPH09253638A (ja) 超純水製造装置
US12168618B2 (en) Phospate recovery by acid retardation
JP5564817B2 (ja) イオン交換樹脂の再生方法及び超純水製造装置
US20060201882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eating wastewater containing hydrogen peroxide
JP7261711B2 (ja) 超純水製造システム及び超純水製造方法
JP5895962B2 (ja) イオン交換樹脂のホウ素汚染防止方法
JP2004149361A (ja) イオン交換ゼオライトの製造方法
CN116282364A (zh) 含有Ca硬度的水的处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2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11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9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5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5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