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09687B1 - 사이드트리머의 반곡 교정장치 - Google Patents

사이드트리머의 반곡 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9687B1
KR100909687B1 KR1020020071374A KR20020071374A KR100909687B1 KR 100909687 B1 KR100909687 B1 KR 100909687B1 KR 1020020071374 A KR1020020071374 A KR 1020020071374A KR 20020071374 A KR20020071374 A KR 20020071374A KR 100909687 B1 KR100909687 B1 KR 100909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ixed
strip
roll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1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3706A (ko
Inventor
황순범
김민수
전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71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9687B1/ko
Publication of KR20040043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3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9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9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15/0007Cutting or shearing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3/00Accessories for 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 B23D33/02Arrangements for holding, guiding, and/or feeding work during the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15/0007Cutting or shearing the product
    • B21B2015/0021Cutting or shearing the product in the rolling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aightening Metal Sheet-Like Bodies (AREA)
  • Shear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립의 사이드트리밍시 유발되는 반곡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이드트리머의 인접측 바닥면에 고정된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된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승하강가능하게 삽설되는 이동프레임과; 상기 이동프레임의 하단과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판에 매달리는 형태로 고정된 에어실린더와; 상기 이동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되고 구동수단에 의해 스트립의 폭방향으로 좌우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면서 그 하단면을 가압하도록 배치된 한쌍의 가이드롤과; 상기 스트립의 상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사이드트리머 설비에 지지되고 작동실린더에 의해 상하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롤프레임과; 상기 롤프레임의 하단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스누버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사이드트리밍되는 스트립의 텐션에 따라 스트립의 상하면에서 눌러주고 받쳐주는 장력을 그에 대응되게 가변시킴으로써 루프현상을 억제하고, 이를 통해 C형 반곡을 제거함과 동시에 제품의 품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사이드트리머의 반곡 교정장치{DEVICE FOR CORRECTING STRIP CURVE OF SIDE TRIMMER}
도 1 및 도 2는 종래 사이드트리머의 반곡 교정장치를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 장치의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장치의 요부 사시도 및 요부 분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베이스프레임 110....고정프레임
112....위치감지센서 114....텐션메터
120....이동프레임 130....에어실린더
140....구동모터 150....체인
170....롤프레임 172....롤고정대
174....스누버롤 180....작동실린더
210....지지판 220a,b....스크류샤프트
230a,b....종동기어 240a,b....활주판
250a,b....가이드롤
본 발명은 스트립의 사이드트리밍시 유발되는 반곡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출측 사이드트리밍 작업시 입,출측에서의 루프발생 방지 및 스트립의 센터부에서 유발되는 C형 반곡(CURVE OR WAVE)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사이드트리머의 반곡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이드트리머(SIDE TRIMMER)는 스트립의 폭을 수요자가 요구하는 사양에 맞추기 위한 스트립 에지부 절단설비로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입측의 패스라인롤(11)이 받쳐주고 출측의 패스라인롤(12)은 상부에서 누르며 스트립(20)의 센터 하부에서는 고정형태의 서포트롤(21)이 상기 스트립(20)을 받쳐주는 형태로 구비되어 스트립의 사이드트리밍 작업이 수행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사이드트리머 설비에 구비된 이들 텐션조절수단들은 스트립에 걸리는 텐션부하의 정도는 물론 폭, 두께 정보와는 무관하게 단순히 얹혀지거나 하부에서 국부적으로 떠 받치는 형태로만 배치되어 있었기 때문에 텐션의 변화에 따라 유발되는 루프현상을 적극적으로 억제할 수 없었다.
즉, 상기 스트립(20)이 트리밍될 때에 특히 입측 및 출측 패스라인롤(11,12) 사이에서 루프를 형성하게 되면서 트리밍된 칩(13)이 이탈되어 슈트(14)를 손상시킴은 물론 C형 반곡을 유발시켜 스트립(20)의 양 에지부에 웨이브를 발생시키는 불량을 초래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한 것으로, 사이드트리밍되는 스트립의 텐션에 따라 스트립의 센터 상하부를 적절히 가압하도록 하여 루프현상을 억제함으로써 C형 반곡을 제거함과 동시에 제품의 품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사이드트리머의 반곡 교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은, 사이드트리머의 인접측 바닥면에 고정된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된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승하강가능하게 삽설되는 이동프레임과; 상기 이동프레임의 하단과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판에 매달리는 형태로 고정된 에어실린더와; 상기 이동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되고 구동수단에 의해 스트립의 폭방향으로 좌우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면서 그 하단면을 가압하도록 배치된 한쌍의 가이드롤과; 상기 스트립의 상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사이드트리머 설비에 지지되고 작동실린더에 의해 상하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롤프레임과; 상기 롤프레임의 하단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스누버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트리머의 반곡 교정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장치의 요부 사시도 및 분해도이다.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스트립(S)이 통판되는 사이드트리머 설비의 인접 하방 바닥면에 베이스프레임(100)이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상측에는 고정프레임(110)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프레임(110)상에는 이를 따라 인출입되면서 승하강가능한 이동프레임(120)이 구비되고, 상기 이동프레임(120)의 상면에는 다수의 가이드롤(250a,b)을 갖는 작동부(200)가 구비된다.
베이스프레임(100)은 사각판상의 부재가 서로 거리를 두고 'H'빔 형상을 가지며 그 길이방향 일부가 절단되고 각 부분이 바닥면에 견고히 볼트고정된 형태를 취한다.
특히, 베이스프레임(100)의 절단된 중앙부에는 그 상판측에 볼트고정되어 공중에 떠있는 형태로 에어실린더(130)가 고정되며, 상기 에어실린더(130)에 연결된 실린더로드(132)는 상향 연장된 후 상기 고정프레임(110)을 관통하여 이동프레임(120)의 하단면에 연결 고정된다.
고정프레임(110)은 그 하단면 양측에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상판 상면과 대응되게 사각판상의 비교적 넓은 면적을 갖는 플랜지(116)가 직교되게 고정되고, 이 플랜지(116)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면에 밀착고정되는 형태로 입설된다.
특히, 상기 플랜지(116)와 베이스프레임(100) 사이에는 텐션메터(114)가 개재되어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하중이 상기 텐션메터(114)로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이동프레임(120)의 상단에 구비된 작동부(200)의 가이드롤(250a,b)이 스트립(S)과 접촉되면서 전달되는 텐션이 실린더로드(132)를 타고 에어실린더(130)측으로 전달되고 이때, 에어실린더(130)는 베이스프레임(100)에 고 정되어 있으므로 실질적으로 상기 텐션에 의한 힘은 상기 플랜지(116)와 베이스프레임(100) 사이에 개재된 텐션메터(114)에 작용하게 되므로 그때의 텐션을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상단 외주면 일측에는 위치감지센서(112)가 이를 고정하는 부재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이동프레임(120)의 일측면에는 상기 위치감지센서(112)에 대응 검지될 수 있는 감지판(122)이 고정된다.
그리하여, 상기 위치감지센서(112)는 상기 감지판(122)의 위치에 따라 상기 이동프레임(120)의 승하강 정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이동프레임(120)의 상단에 인접한 일측면에는 지지브라켓에 의해 지지되는 구동모터(140)가 고정되고, 상기 구동모터(140)의 회전축상에는 도면번호를 병기하지 않은 구동기어가 고정되며, 회전축의 단부에는 피엘지(142)가 설치된다.
상기 피엘지(142)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수를 검출할 수 있는 공지된 센싱수단이며, 구동기어에는 체인(150)이 치합설치된다.
한편, 스트립(S)의 상부측에는 사이드트리머 설비중 어느 일부에 고정되는 한쌍의 지지대(160)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160)를 가로질러 스트립(S)의 폭보다 더 긴 고정대(162)가 연결된다.
상기 고정대(162)의 상면에는 작동실린더(180)가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그와 직교되는 고정대(162)의 일측면에는 롤프레임(170)이 힌지결합된다.
아울러, 상기 작동실린더(180)에 고정된 실린더로드가 연장된 후 그 단부가 상기 롤프레임(170)의 상면 어느 일부에 힌지결합됨으로써 상기 작동실린더(180)의 전후진동작에 대응되게 상기 롤프레임(170)이 상기 고정대(162)의 회전기점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롤프레임(170)의 선단 하면에는 롤고정대(172)가 고정되고, 상기 롤고정대(172)에는 스누버롤(174)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스누버롤(174)는 진행하는 스트립(S)을 사이에 두고 상기 가이드롤(250a,b)의 직상방에 배치되도록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작동부(200)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이동프레임(120)의 상면에 고정되는 지지판(210)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판(210)의 상면에는 그 중앙을 중심으로 대략 이등분되게 한쌍의 스크류샤프트(220a,b)가 베어링블록(22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 배설된다.
상기 스크류샤프트(220a,b)는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마주보는 축 단부에는 미세한 간극을 두고 종동기어(230a,b)가 고정된다.
상기 종동기어(230a,b)에는 상술한 체인(150)이 감겨진다.
아울러, 상기 스크류샤프트(220a,b)에는 각각 동일한 구조를 갖는 활주판(240a,b)이 이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활주판(240a,b)의 상면 양단에는 베어링수단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한쌍의 가이드롤(250a,b)이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관계는 다음과 같다.
먼저, 사이드트리밍시 스트립의 강종 및 절단폭에 따른 적정 텐션값을 미리 다수회에 걸친 실험을 통해 테이블화하고 이를 정량화하여 제어부와 같은 수단에 세팅시키도록 한다.
트리밍 작업을 위해 스트립이 사이드트리머 설비로 진입되어 오면 해당 강종에 대한 정보 즉, 강종, 절단폭, 두께 등에 대한 데이터값을 수신하여 그에 대응되는 텐션값을 갖도록 에어실린더(130)를 상승작동시킨다.
즉, 에어실린더(130)의 상승동작에 의해 이와 연결된 이동프레임(120)이 고정프레임(110)을 가이더로 하여 상승되고, 이에 따라 한쌍의 가이드롤(250a,b)이 스트립(S)의 하단면을 가압 접촉하게 된다.
이때에는 스트립(S)의 상부에서 가압하고 있는 스누버롤(174)이 배치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가이드롤(250a,b)은 스트립(S)을 핀치하게 되고 이때의 스트립(S) 장력(텐션)은 텐션메터(114)에 의해 측정된다.
따라서, 상기 텐션메터(114)의 지시치를 살피면서 해당 강종과 절단폭에 가장 적당한 텐션이 설정되도록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다수의 위치감지센서(112)를 이용하여 에어실린더(130)의 승강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텐션 조정에 앞서 해당 스트립의 절단폭 정보를 토대로 미리 구동모터(140)를 구동시켜 체인(150)을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체인(150)과 연결된 종동기어(230a,b)가 회전되고 이와 연결된 스크류샤프트(220a,b)가 회전되어 가이드롤(250a,b)을 그 중앙 홈포지션으로부터 스트립(S)의 폭에 대응되는 위치까 지 이동시켜 넓은 폭으로 하방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이때, 상기 가이드롤(250a,b)을 이동시키는 활주판(240a,b)의 움직거리는 구동모터(140)의 회전축상에 설치된 피엘지(142)에 의해 회전축의 회전수를 검출함으로써 쉽게 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활주판(240a,b)의 움직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스누버롤(174)은 고정대(162)와 롤프레임(170)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고정된 작동실린더(180)에 의해 소프트하게 하향회전시킬 수 있으며 스트립(S)을 강제적으로 가압하는 것이 아니라 수평방향으로의 분력이 생기므로 무리한 압하력을 억제할 수 있어 스트립(S)을 상부에서 눌러주는 것이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스트립(S)의 사이드트리밍시 지속적인 텐션의 변화가 있으므로 상기 에어실린더(130)는 텐션메터(114)의 측정값에 따라 신축적으로 변동되어 작동되며, 그때마다 해당 텐션값에 대응되게 이동프레임(120)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위치감지센서(112)와 연계동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스트립 패스라인의 수평을 적절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되어 트리밍시 유발되는 칩에 의한 설비의 손상이나 스트립 떨림에 의한 변형, 웨이브(C 형 반곡)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이드트리밍되는 스트립의 텐션에 따라 스트립의 상하면에서 눌러주고 받쳐주는 장력을 그에 대응되게 가변시 킴으로써 루프현상을 억제하고, 이를 통해 C형 반곡을 제거함과 동시에 제품의 품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사이드트리머의 인접측 바닥면에 고정된 베이스프레임(10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면에 고정된 고정프레임(110)과;
    상기 고정프레임(110)에 승하강가능하게 삽설되는 이동프레임(120)과;
    상기 이동프레임(120)의 하단과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상판에 매달리는 형태로 고정된 에어실린더(130)와;
    상기 이동프레임(120)의 상면에 고정되고 구동수단에 의해 스트립(S)의 폭방향으로 좌우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면서 그 하단면을 가압하도록 배치된 한쌍의 가이드롤(250a,b)과;
    상기 스트립(S)의 상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사이드트리머 설비에 지지되고 작동실린더(180)에 의해 상하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롤프레임(170)과;
    상기 롤프레임(170)의 하단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스누버롤(174)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이동프레임(120)의 일측면에 고정되고 구동기어를 갖는 구동모터(140)와;
    상기 구동모터(140)의 회전축의 단부에 설치되는 피엘지(142)와;
    상기 이동프레임(120)의 상면에 고정된 지지판(210)과;
    상기 지지판(210)에 그 길이방향으로 이분할되며 서로 대향되게 배설되며 마주보는 일단에는 종동기어(230a,b)를 갖고 회전가능하게 배설된 한쌍의 스크류샤프트(220a,b)와;
    상기 구동기어와 종동기어(230a,b)를 동력전달가능하게 연결하는 체인(150)과;
    상기 스크류샤프트(220a,b)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치합되는 한쌍의 활주판(240a,b)과;
    상기 활주판(240a,b)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한쌍의 가이드롤(250a,b)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트리머의 반곡 교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00)과 고정프레임(110) 사이에는 상기 가이드롤(250a,b)로 전달된 스트립(S)의 텐션하중을 검출하여 상기 에어실린더(130)의 승하강을 제어하는 텐션메터(114)가 부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트리머의 반곡 교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일면 상단부에는 다수의 위치감지센서(112)가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상기 이동프레임(120)의 일면 일부에는 상기 위치감지센서(112)에 검지가능한 감지판(122)이 설치되어 상기 에어실린더(130)에 의해 승하강되는 이동프레임(120)의 승하강정보를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트리머의 반곡 교정장치.
  4. 삭제
KR1020020071374A 2002-11-16 2002-11-16 사이드트리머의 반곡 교정장치 KR100909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1374A KR100909687B1 (ko) 2002-11-16 2002-11-16 사이드트리머의 반곡 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1374A KR100909687B1 (ko) 2002-11-16 2002-11-16 사이드트리머의 반곡 교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3706A KR20040043706A (ko) 2004-05-27
KR100909687B1 true KR100909687B1 (ko) 2009-07-29

Family

ID=37340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1374A KR100909687B1 (ko) 2002-11-16 2002-11-16 사이드트리머의 반곡 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96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6428A (ko) * 2018-09-28 2020-04-07 주식회사 포스코 냉연루퍼의 스트립 사행교정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532B1 (ko) * 2005-03-08 2012-05-15 주식회사 포스코 통판 스트립의 반곡 교정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2024A (ja) * 1986-10-28 1988-05-17 Mitsubishi Heavy Ind Ltd テンシヨンレベラの平坦度矯正装置
JPH03178716A (ja) * 1989-12-04 1991-08-02 Sumitomo Heavy Ind Ltd サイドトリマの板支持装置
JPH1034234A (ja) * 1996-07-22 1998-02-10 Kawasaki Steel Corp 金属帯の連続処理設備
JPH10118831A (ja) * 1996-10-25 1998-05-12 Minami Denshi Kogyo Kk 基板の耳取り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基板の前処理システム
KR20010035980A (ko) * 1999-10-05 2001-05-07 이구택 강판의 반곡을 측정하는 반곡측정장치를 이용한 텐션레벨러의 미세조정방법
KR20020025599A (ko) * 2000-09-29 2002-04-04 이구택 사이드 트리머의 스트립 에지부 평탄유지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2024A (ja) * 1986-10-28 1988-05-17 Mitsubishi Heavy Ind Ltd テンシヨンレベラの平坦度矯正装置
JPH03178716A (ja) * 1989-12-04 1991-08-02 Sumitomo Heavy Ind Ltd サイドトリマの板支持装置
JPH1034234A (ja) * 1996-07-22 1998-02-10 Kawasaki Steel Corp 金属帯の連続処理設備
JPH10118831A (ja) * 1996-10-25 1998-05-12 Minami Denshi Kogyo Kk 基板の耳取り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基板の前処理システム
KR20010035980A (ko) * 1999-10-05 2001-05-07 이구택 강판의 반곡을 측정하는 반곡측정장치를 이용한 텐션레벨러의 미세조정방법
KR20020025599A (ko) * 2000-09-29 2002-04-04 이구택 사이드 트리머의 스트립 에지부 평탄유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6428A (ko) * 2018-09-28 2020-04-07 주식회사 포스코 냉연루퍼의 스트립 사행교정 시스템
KR102139650B1 (ko) * 2018-09-28 2020-08-11 주식회사 포스코 냉연루퍼의 스트립 사행교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3706A (ko) 200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57301B1 (en) Displacement-type shape sensor for multi-roll leveler
US4398678A (en) Variable-width web slitting and winding apparatus
CA2721569C (en) Plastic film stretching apparatus
KR100909687B1 (ko) 사이드트리머의 반곡 교정장치
CA1317327C (en) Apparatus for correctly feeding continuous strips with a shaped side outline to blanking machines
KR102109765B1 (ko) 절단선 가공이 가능한 철판 롤링장치
KR100878669B1 (ko) 스트립 에지 스크랩 권취장치
KR200476379Y1 (ko) 무부하 공급장치
KR200186044Y1 (ko) 조질압연기의 자동 압하력 제어장치
KR101008034B1 (ko) 바 센터링 교정장치
US6637086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automatic bow adjustment
KR20000012618U (ko) 스트립 장력 감지에 의한 압연롤 제어장치
KR100530325B1 (ko) 가변식 스트립 선단부 절곡장치
CN213997204U (zh) 冷轧带钢横向厚度测量设备
CN112605162A (zh) 风阀叶片全自动滚压成型装置
KR100878621B1 (ko) 스크랩 코일과 슬리브의 자동분리장치
KR102290781B1 (ko) 에지절단장치 및 에지절단장치의 장력제어방법
KR100797265B1 (ko) 밴딩 슬라브 터닝 유도 장치
KR100760568B1 (ko) 스트립의 권취위치 조정장치
KR100498066B1 (ko) 박판주조기의 박판사행 교정장치
KR200189822Y1 (ko) 롤 간격 조정이 용이한 레벨러
JP2506248B2 (ja) 鋼板の矯正装置
JP2676129B2 (ja) 延反機に於ける解反装置
JPH035017A (ja) 帯板スリット材のスリット隙間調整装置
KR100973891B1 (ko) 연속 소둔로에서 스트립 위치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1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11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211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2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7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7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