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79487B1 - 토크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토크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9487B1
KR100779487B1 KR1020030048596A KR20030048596A KR100779487B1 KR 100779487 B1 KR100779487 B1 KR 100779487B1 KR 1020030048596 A KR1020030048596 A KR 1020030048596A KR 20030048596 A KR20030048596 A KR 20030048596A KR 100779487 B1 KR100779487 B1 KR 100779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oltage
detection
torque detection
torqu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8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9355A (ko
Inventor
백승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30048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9487B1/ko
Priority to EP03255467A priority patent/EP1498714A1/en
Priority to US10/666,153 priority patent/US6807871B1/en
Priority to JP2003331946A priority patent/JP3893122B2/ja
Priority to CNB031601375A priority patent/CN1268904C/zh
Publication of KR20050009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9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9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948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3/00Measuring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or mechanical efficiency, in general
    • G01L3/02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 G01L3/04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 G01L3/10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involv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indica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22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he force applied to control members, e.g. control members of vehicles, triggers
    • G01L5/221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he force applied to control members, e.g. control members of vehicles, triggers to steering wheels, e.g. for power assisted stee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3/00Measuring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or mechanical efficiency, in general
    • G01L3/02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 G01L3/04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 G01L3/10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involv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indicating
    • G01L3/101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involv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indicating involving magnetic or electromagnetic means
    • G01L3/105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involv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indicating involving magnetic or electromagnetic means involving inductive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조향 장치의 토크 검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온도 보상 코일 및 토크 검출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의 위상이 불안정하더라도 항상 정확한 토크 검출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토크 검출 장치는 동기 검파기와 브리지 회로부, 신호 변환부를 포함한다. 동기 검파기는 미리 설정된 직류 레벨을 가진 일정한 주파수의 교류 전압 신호를 검파하여 교류 전압 신호의 반파 신호만으로 이루어지는 검파 출력 신호를 발생시킨다. 브리지 회로부는 스티어링 휠의 회전과 온도 변화에 따라 인덕턴스가 변화하는 토크 검출 코일과 주변 온도의 변화에 따라 인덕턴스가 변환하는 온도 보상 코일이 직렬 연결되고, 직렬 연결된 두 코일의 양단에 검파 출력 신호와 직류 전압이 인가되며, 두 코일의 접점에서 인덕턴스 변화에 따라 유기되는 제 1 검출 전압이 얻어진다. 신호 변환부는 미리 정해진 코일과 저항의 각 접점에서 얻어지는 검출 전압의 각각의 피크 값의 차를 증폭하여 토크 검출 신호를 발생시킨다.

Description

토크 검출 장치{TORQUE DETECTOR}
도 1은 종래의 토크 검출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종래의 토크 검출 장치의 교류 전압의 위상 변화와 샘플링 펄스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종래의 토크 검출 장치의 교류 전압의 위상 변화에 따른 샘플 홀드 회로의 출력 전압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토크 검출 장치의 블록도.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토크 검출 장치의 교류 전압 신호와 샘플링 펄스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토크 검출 장치의 샘플링 펄스와 검파 출력 신호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토크 검출 장치의 온도 보상 코일과 토크 검출 코일의 인덕턴스 변화에 따른 제 1 검출 전압의 크기 변화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토크 검출 장치의 제 1 저항 및 제 2 저항의 접속점에서 얻어지는 제 2 검출 전압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토크 검출 장치에서 검출 전압의 위상 변화에 따른 제 2 피크 검출기의 제 1 피크 검출 전압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L1 : 온도 보상 코일
L2 : 토크 검출 코일
V1 : 교류 전압 신호
V2 : 검파 출력 신호
VC : 제 1 검출 전압
VE : 제 2 검출 전압
VP3 : 제 1 피크 검출 전압
VP4 : 제 2 피크 검출 전압
본 발명은 차량의 조향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티어링 휠의 토크를 검출하기 위한 차량 조향 장치의 토크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향 장치의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Power Steering System)은 별도의 보조 구동 장치를 통해 차륜에 보조 조향력을 제공함으로써 차량의 저속 주행 및 정차 중에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에 가해야 할 조향력을 경감시켜 스티어링 휠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한다. 전자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EPS, Electronic Power Steering System)은 저속 및 정차 중에는 큰 보조 조향력을 제공하고 고속에서는 상대적으로 작은 보조 조향력만을 제공함으로써 저속 주행 및 정차 중의 조향력 경감과 고속 주행 시의 주행 안정성을 모두 만족시킨다.
전자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에서, 스티어링 휠의 회전 방향 및 각도에 따라 보조 조향력의 방향과 크기가 결정되며, 이를 위해 토크 센서(Torque Sensor)가 이용된다. 토크 센서의 토크 검출 원리는 스티어링 휠의 회전에 따른 토크 검출 코일 주변의 자속 변화를 이용한 것이다. 차량의 차륜 구동 축과 스티어링 휠 구동 축 사이에는 토션바(Torsion Bar)가 설치되며, 스티어링 휠의 회전에 의해 토션바의 비틀림이 발생한다. 토션바의 비틀림은 토크 검출 코일 주변의 자속을 변화시키고, 이 자속의 변화에 의해 토크 검출 코일의 인덕턴스 크기가 변화하여 토크 검출 코일에 유기되는 전압의 크기가 바뀐다. 이 유기 전압의 증가 또는 감소하는 방향과 크기는 스티어링 휠의 회전 방향 및 각도를 알 수 있는 지표가 된다.
도 1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8-68703에 개시되어 있는 종래의 토크 검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낸 종래의 토크 검출 장치에서, 전류 증폭 회로(31)에서 출력되는 교류 전압과 반전 전류 증폭기(32)에서 출력되는 반전 교류 전압이 코일 회로부(L1, L2)의 양단에 인가된다. 또 브리지 회로(L1, L2, R1, R2)에서 검출된 토크 검출 전압 및 기준 전압의 차가 증폭된 다음 동기 검파 및 샘플링을 거쳐 토크 검출 신호(TS)가 얻어진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종래의 토크 검출 장치의 교류 전압(VB)의 위상 변화 와 샘플링 펄스 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류 전압(VB)과 샘플링 펄스 신호(SPa)의 위상이 서로 일치해야 정확한 동기 검파 및 샘플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만약 VB'과 VB"처럼 샘플링 펄스 신호(SPa)와 위상이 일치하지 않으면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은 샘플링 오류가 발생한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종래의 토크 검출 장치의 교류 전압의 위상 변화에 따른 샘플 홀드 회로의 출력 전압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류 전압(VB)의 위상이 도 2의 VB"처럼 샘플링 클럭 신호(SPa)의 위상에서 벗어나면 도 3의 VSA"처럼 부정확한 피크 값이 샘플링될 수 있다. 샘플링 타임(tS)에서 정확한 피크 값을 샘플링하지 못하면 전압-전류 변환회로(39)에서 출력되는 토크 검출 신호(TS)는 더 이상 신뢰할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른 토크 검출 장치는 온도 보상 코일 및 토크 검출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의 위상이 온도 드리프트 등의 외란에 의해 불안정하더라도 항상 정확한 토크 검출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토크 검출 장치는 동기 검파기와 브리지 회로부, 신호 변환부를 포함한다. 동기 검파기는 미리 설정된 직류 레벨을 가진 일정한 주파수의 교류 전압 신호를 검파하여 교류 전압 신호의 반파 신호만으로 이루어지는 검파 출력 신호를 발생시킨다. 브리지 회로부는 스티어링 휠의 회전과 온도 변화에 따라 인덕턴스가 변화하는 토크 검출 코일과 온도 변화에 의해서만 인덕턴스가 변화하는 온도 보상 코일이 직렬 연결되고, 직렬 연결된 두 코일의 양단에 검파 출력 신호와 직류 레벨이 인가되며, 두 코일과 저항의 접점에서 인덕턴스 변화에 따라 유기되는 제 1 및 제 2 검출 전압이 각각 얻어진다. 이때 저항의 접점은 항상 인덕턴스 변화에 따른 검출 전압의 크기가 일정하기 때문에 기준 전압 역할을 하게 된다. 신호 변환부는 제 1 및 제 2 검출 전압의 각각의 피크 값의 차로부터 토크 검출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토크 검출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토크 검출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진기(402)는 미리 설정된 직류 레벨(VDC)로 바이어스되어 일정한 주파수의 발진 신호(VOSC)를 발생시킨다. 전류 증폭기(404)는 발진기(402)에서 출력되는 발진 신호(VOSC)의 전류 성분을 증폭하되, 전압 성분의 위상과 진폭은 그대로 유지되는 교류 전압 신호(V1)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이 교류 전압 신호(V1)는 발진기(402)에서 발생하는 발진 신호(VOSC)의 위상과 진폭, 직류 레벨이 모두 동일하다.
샘플링 펄스 발생기(406)는 발진기(402)에서 출력되는 발진 신호(VOSC)를 입력받아 샘플링 펄스(VR)를 발생시킨다. 이 샘플링 펄스(VR)는 교류 전압 신호(V1 )와 위상이 같다. 동기 검파기(408)는 전류 증폭기(404)와 샘플링 펄스 발생기(406)로부터 각각 교류 전압 신호(V1)와 샘플링 펄스(VR)를 입력받아 교류 전압 신호(V1 )에서 샘플링 펄스(VR)와 위상이 같은 부분만을 편검파하여 검파 출력 신호(V2)로서 출력한다.
브리지 회로부(428)는 온도 보상 코일(L1)과 토크 검출 코일(L2)이 직렬 연결되는 코일 회로부(L1, L2)와 제 1 저항(R1) 및 제 2 저항(R2)이 직렬 연결되는 저항 회로부(R1, R2)로 구성된다. 코일 회로부(L1, L2)의 양단 및 저항 회로부(R1, R2)의 양단에는 동기 검파기(408)에서 출력되는 검파 출력 신호(V2)와 미리 설정된직류 레벨(VDC)이 인가된다. 온도 보상 코일(L1)과 토크 검출 코일(L2)이 연결되는 접점에서는 스티어링 휠의 토크를 가늠할 수 있는 제 1 검출 전압(VC)이 얻어진다.
브리지 회로부(428)를 통한 스티어링 휠의 토크 검출 원리는 다음과 같다. 차륜의 구동 축과 스티어링 휠의 구동 축 사이에는 토션바(Torsion Bar)가 마련되며, 스티어링 휠이 회전하면 이 토션바의 비틀림이 발생한다. 이 토션바의 비틀림이 토크 검출 코일(L2) 주변의 자속을 변화시키고, 이 자속의 변화에 의해 토크 검출 코일(L2)의 인덕턴스가 변화한다. 따라서 이 토크 검출 코일(L2)의 인덕턴스 변화로부터 스티어링 휠의 토크를 가늠한다.
온도 보상 코일(L1)은 토크 검출 코일(L2)에서 순수한 토션바의 비틀림에 의한 인덕턴스 변화만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보상 장치이다. 코일 회로부(L1, L2) 의 토크 검출 코일(L2)의 인덕턴스는 스티어링 휠의 회전과 온도 변화에 따라 변화하지만, 온도 보상 코일(L1)의 인덕턴스는 온도 변화에 의해서만 변화할 뿐 스티어링 휠의 회전과는 무관하다. 따라서 온도 보상 코일(L1)에서의 인덕턴스 변화는 주변의 온도 변화 등의 외란에 의한 것이므로, 토크 검출 코일(L2)의 인덕턴스에서 온도 보상 코일(L1)의 인덕턴스를 상쇄시키면 주변 온도의 변화 등에 의한 인덕턴스 변화가 배제되어 순수한 스티어링 휠의 회전에 의한 인덕턴스의 변화만을 검출할 수 있다. 브리지 회로부(428)의 제 1 저항(R1) 및 제 2 저항(R2)의 접속점에서는 L1=L2일 때의 제 1 검출 전압(VC)과 동일한 위상과 진폭의 제 2 검출 전압(VE)이 얻어진다. 스티어링 휠의 토크 검출은 코일 회로부(L1, L2)의 제 1 검출 전압(VC)과 저항 회로부(R1, R2)의 제 2 검출 전압(VE)을 비교하여 그 차를 획득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토크 검출 장치는, 브리지 회로부(428)에서 얻어진 제 1 검출 전압(VC)과 제 2 검출 전압(VE)의 각각의 피크 값을 차동 증폭하여 토크 검출 신호(TS)를 발생시킨다. 도 4의 제 1 피크 검출기(410)는 제 2 검출 전압(VE)의 피크 값을 검출하여 제 2 피크 검출 전압(VP4)을 발생시키고, 제 2 피크 검출기(412)는 제 1 검출 전압(VC)의 피크 값을 검출하여 제 1 피크 검출 전압(VP3)을 발생시킨다. 제 1 및 제 2 피크 검출기(410, 412)에서 각각 출력되는 제 2 피크 검출 전압(VP4) 과 제 1 피크 검출 전압(VP3)의 차는 차동 증폭기(414)에 의해 증폭된 후, 전압-전류 변환기(416)에서 전류 형태로 변환됨으로써 토크 검출 신호(TS)가 만들어진다. 이 토크 검출 신호(TS)는 조향 장치에 보조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의 구동에 이용될 수 있다. 도 4에서, 저항(R1', R2')과 제 3 및 제 4 피크 검출기(418, 420), 차동 증폭기(422), 전압-전류 변환기(424)는 페일-세이프(fail-safe)용 보조 회로이다.
도 5는 전류 증폭기(404)에서 출력되는 교류 전압 신호(V1)와 샘플링 펄스 발생기(406)에서 출력되는 샘플링 펄스(VR)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교류 전압 신호(V1)와 샘플링 펄스(VR)의 위상이 서로 일치함을 알 수 있다. 도 6은 동기 검파기(408)에서 출력되는 검파 출력 신호(V2)와 샘플링 펄스 발생기(406)에서 출력되는 샘플링 펄스(VR)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기 검파기(408)에서의 편검파에 의해 교류 전압 신호(V1)에서 직류 전압(VDC) 레벨 이상에 해당되는 부분만으로 이루어지는 검파 출력 신호(V2)가 만들어진다.
도 7은 온도 보상 코일(L1)과 토크 검출 코일(L2)의 인덕턴스 변화에 따른 제 1 검출 전압(VC)의 크기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이 회전하지 않을 때에는 L1=L2가 되어 기준 크기의 제 1 검출 전압(VC1)이 얻어진다. 이와 달리, 스티어링 휠이 반시계 방향(CCW)으로 회전하면 토션바의 작용에 의해 L1<L2가 되어 기준 크기의 제 1 검출 전압(VC1)보다 큰 제 1 검출 전압(VC2)이 얻어지고, 스티어링 휠이 시계 방향(CW)으로 회전하면 토션바의 작용에 의해 L1>L2가 되어 기준 크기의 제 1 검출 전압(VC1)보다 작은 제 1 검출 전압(VC3)이 얻어진다. 도 8은 제 1 저항(R1) 및 제 2 저항(R2)의 접속점에서 얻어지는 제 2 검출 전압(VE)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제 2 검출 전압(VE)과 제 1 검출 전압(VC)의 차를 통해 스티어링 휠의 토크를 가늠한다.
이와 같은 스티어링 휠의 회전 방향과 코일 회로부(L1, L2)의 인덕턴스, 제 1 검출 전압(VC)의 상호 관계를 다음의 표 1에 나타내었다.
회전방향 인덕턴스 V C : V E
CW L1 < L2 VC> VE
고정 L1 = L2 VC= VE
CCW L1 > L2 VC< VE

[표]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토크 검출 장치에서 제 1 검출 전압(VC)의 위상 변화에 따른 제 2 피크 검출기(412)의 제 1 피크 검출 전압(VP3)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 2 피크 검출기(412)는 제 1 검출 전압(VC)의 피크 값을 검출하고, 검출된 피크 값에 해당되는 미리 설정된 직류 레벨(VDC)의 제 1 피크 검출 전압(VP3)을 출력한다. 따라서 코일 회로부(L1, L2)의 임피던스 변화에 의한 제 1 검출 전압(VC)의 위상 변화의 영향을 받지 않고 항상 동일한 제 1 피크 검출 전압(VP3)을 얻을 수 있어 토크 검출 신호(TS)의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토크 검출 장치는 발진 신호를 미리 동기 검파하여 온도 보상 코일 및 토크 검출 코일에 인가하고, 두 코일 사이의 접점에서 얻어지는 검출 전압과 기준 전압의 각각의 피크 값을 차동 증폭함으로써 위상 변화에 따른 토크 검출 신호의 왜곡을 방지한다.

Claims (5)

  1. 미리 설정된 직류 레벨을 가진 일정한 주파수의 교류 전압 신호를 검파하여 검파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동기 검파기와;
    스티어링 휠의 회전에 대응하여 인덕턴스가 변화하는 토크 검출 코일과 온도 변화에 대응하여 인덕턴스가 변화하는 온도 보상 코일이 직렬 연결되고, 상기 직렬 연결된 두 코일의 양단에 상기 검파 출력 신호와 상기 미리 설정된 직류 레벨이 각각 인가되며, 상기 두 코일의 접점에 상기 인덕턴스 변화에 의한 제 1 검출 전압이 유기되고, 상기 두 코일에 각각 연결되어 접속된 두 저항의 접속점에서 두 코일의 인덕턴스가 동일할 때 제 2 검출전압이 유기되는 브리지 회로부와;
    상기 제 2 검출 전압과 상기 제 1 검출 전압의 각각의 피크 값의 차에 대응하는 크기의 토크 검출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변환부를 포함하는 토크 검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검파기는,
    상기 교류 전압 신호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직류 레벨 이상의 반파 신호만을 상기 검파 출력 신호로서 출력하는 토크 검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 전압 신호와 동위상의 샘플링 펄스를 발생시키는 샘플링 펄스 발생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기 검파기가 상기 샘플링 펄스에 동기되어 상기 교류 전압 신호를 검파하는 토크 검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변환부는,
    상기 제 1 검출 전압과 상기 제 2 검출전압의 각각의 피크 값을 검출하는 피크 검출기와;
    상기 피크 검출기에서 검출되는 상기 두 피크 값의 차를 증폭하는 차동 증폭기와;
    상기 차동 증폭기에서 증폭된 전압 신호를 전류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토크 검출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압-전류 변환기를 포함하는 토크 검출 장치.
  5. 샘플링 펄스를 발생시키는 샘플링 펄스 발생기와;
    상기 샘플링 펄스와 동위상의 미리 설정된 직류 레벨을 가진 교류 전압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교류 전압 신호를 검파하여 상기 교류 전압 신호의 반파 신호만으로 이루어지는 검파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동기 검파기와;
    스티어링 휠의 회전에 대응하여 인덕턴스가 변화하는 토크 검출 코일과 온도 변화에 대응하여 인덕턴스가 변화하는 온도 보상 코일이 직렬 연결되고, 상기 직렬 연결된 두 코일의 양단에 상기 검파 출력 신호와 상기 미리 설정된 직류 레벨이 각각 인가되며, 상기 두 코일의 접점에 상기 인덕턴스 변화에 의한 제 1 검출 전압이 유기되고, 상기 두 코일에 각각 연결되어 접속된 두 저항의 접속점에서 두 코일의 인덕턴스가 동일할 때 제 2 검출전압이 유기되는 브리지 회로부와;
    상기 제 2 검출전압과 상기 제 1 검출 전압의 각각의 피크 값의 차에 대응하는 크기의 토크 검출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변환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휠의 토크 검출 장치.
KR1020030048596A 2003-07-16 2003-07-16 토크 검출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779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8596A KR100779487B1 (ko) 2003-07-16 2003-07-16 토크 검출 장치
EP03255467A EP1498714A1 (en) 2003-07-16 2003-09-02 Torque detector
US10/666,153 US6807871B1 (en) 2003-07-16 2003-09-19 Torque detector
JP2003331946A JP3893122B2 (ja) 2003-07-16 2003-09-24 トルク検出装置
CNB031601375A CN1268904C (zh) 2003-07-16 2003-09-26 扭矩检测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8596A KR100779487B1 (ko) 2003-07-16 2003-07-16 토크 검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9355A KR20050009355A (ko) 2005-01-25
KR100779487B1 true KR100779487B1 (ko) 2007-11-26

Family

ID=33157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8596A Expired - Fee Related KR100779487B1 (ko) 2003-07-16 2003-07-16 토크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807871B1 (ko)
EP (1) EP1498714A1 (ko)
JP (1) JP3893122B2 (ko)
KR (1) KR100779487B1 (ko)
CN (1) CN126890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2003B1 (ko) * 2004-11-16 2006-09-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조향장치용 토크센서
KR100597121B1 (ko) * 2004-12-10 2006-07-0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조향장치용 토크센서
KR100597120B1 (ko) * 2004-12-10 2006-07-0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조향장치용 토크센서
US7363827B2 (en) * 2005-10-21 2008-04-29 Stoneridge Control Devices, Inc. Torque sensor system including an elliptically magnetized shaft
US7469604B2 (en) * 2005-10-21 2008-12-30 Stoneridge Control Devices, Inc. Sensor system including a magnetized shaft
US8181539B2 (en) * 2009-07-06 2012-05-22 Delatorre Leroy C Pressure isolated strain gauge torque sensor
US8353215B2 (en) 2009-07-13 2013-01-15 Delatorre Leroy C Torque output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WO2012176357A1 (ja) 2011-06-21 2012-12-27 日本精工株式会社 トルク検出装置の異常診断方法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CN104807574A (zh) * 2015-04-25 2015-07-29 成都诚邦动力测试仪器有限公司 一种基于电压补偿的扭矩传感器
CN109313006B (zh) 2016-05-17 2021-02-02 康斯博格股份有限公司 用于高准确度磁位置感测的系统、方法和物体
CA3046180C (en) 2016-12-12 2023-01-03 Kongsberg Inc. Dual-band magnetoelastic torque sensor
CN107490447A (zh) * 2017-09-01 2017-12-19 中国科学院长春光学精密机械与物理研究所 转动轴系扰动力矩均匀性测量装置
CN108760133A (zh) * 2018-07-23 2018-11-06 武汉楚冠捷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扭矩传感器
US10983019B2 (en) 2019-01-10 2021-04-20 Ka Group Ag Magnetoelastic type torque sensor with temperature dependent error compensation
JP2022548852A (ja) 2019-09-13 2022-11-22 カーアー グループ アーゲー 高調波による磁気誤差を低減するための磁気弾性トルクセンサアセンブリ
WO2021161066A1 (en) 2020-02-11 2021-08-19 Ka Group Ag Magnetoelastic torque sensor with local measurement of ambient magnetic fiel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3200B2 (ja) * 1989-02-13 1996-08-07 ヒューズ・エアクラフト・カンパニー 走査型センサ用測定および制御システム
JP2652208B2 (ja) * 1988-07-29 1997-09-10 光洋精工株式会社 トルクセンサ
KR19980078163A (ko) * 1997-04-25 1998-11-16 오상수 차량용 조향장치의 토오크 센서
JP3316567B2 (ja) * 1994-08-30 2002-08-19 光洋精工株式会社 トルク検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66787A (en) * 1971-07-01 1973-10-23 Brown Brothers & Co Ltd Accelerometer for measuring angular accelerations
US3877300A (en) * 1972-01-31 1975-04-15 Indikon Company Inc Measurement of parameters on a rotating member
JPS6275328A (ja) * 1985-09-30 1987-04-07 Toshiba Corp トルクセンサ
US5307690A (en) * 1991-07-29 1994-05-03 Kubota Corporation Temperature compensating device for torque measuring apparatus
JP3131667B2 (ja) * 1992-09-07 2001-02-05 光洋精工株式会社 トルクセンサ
JP3281943B2 (ja) * 1994-03-25 2002-05-13 光洋精工株式会社 トルク検出装置
JP3596060B2 (ja) 1994-12-19 2004-12-02 アラコ株式会社 吐出ノズル
US5449049A (en) 1995-02-03 1995-09-12 Kelsey-Hayes Anti-lock brake system using engine torque to detect the transition of the driven wheels from a low friction to a high friction road surface
US6456090B1 (en) * 1999-09-27 2002-09-24 Nsk Ltd. Torque sensor
JP3643947B2 (ja) * 1999-10-08 2005-04-27 光洋精工株式会社 トルク検出装置
JP3616917B2 (ja) * 2000-07-21 2005-02-02 光洋精工株式会社 トルクセンサ
JP2003050167A (ja) * 2001-08-07 2003-02-21 Showa Corp トルクセンサの温度補償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52208B2 (ja) * 1988-07-29 1997-09-10 光洋精工株式会社 トルクセンサ
JP2523200B2 (ja) * 1989-02-13 1996-08-07 ヒューズ・エアクラフト・カンパニー 走査型センサ用測定および制御システム
JP3316567B2 (ja) * 1994-08-30 2002-08-19 光洋精工株式会社 トルク検出装置
KR19980078163A (ko) * 1997-04-25 1998-11-16 오상수 차량용 조향장치의 토오크 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68904C (zh) 2006-08-09
JP3893122B2 (ja) 2007-03-14
EP1498714A1 (en) 2005-01-19
US6807871B1 (en) 2004-10-26
JP2005037345A (ja) 2005-02-10
CN1576814A (zh) 2005-02-09
KR20050009355A (ko) 2005-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9487B1 (ko) 토크 검출 장치
JP3593050B2 (ja) 位置検出装置の異常検出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US6346812B1 (en) Conditioner circuit for magnetic field sensor
US10505482B2 (en) Magnetic pole direction detection device
JP2000088578A (ja) 角速度センサ
JP2000146722A (ja) トルクセンサ
JPS6327235B2 (ko)
JPH0688757A (ja) トルクセンサ
JP4677366B2 (ja) モータ制御装置における状態検出装置
US20100148763A1 (en) Minimizing magnetic interference in a variable reluctance resolver
KR100415076B1 (ko) 각속도 검출 방법 및 진동 자이로스코프
JP3316567B2 (ja) トルク検出装置
EP1635449A2 (en) Apparatus for correcting current value of three-phase electric motor and correcting method
JP3051903B2 (ja) トルクセンサ
US7155985B2 (en) Torque sensor for vehicle steering system
JP3096788B2 (ja) 金属検出装置
KR20050045551A (ko) 토크 검출 장치
KR100597121B1 (ko) 차량의 조향장치용 토크센서
JP4246191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制御装置
JPH10300595A (ja) 車両用操向装置のトルクセンサ
JP3985428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806730B2 (ja) トルクセンサの零点誤差の補正方法
JP3643947B2 (ja) トルク検出装置
KR100597120B1 (ko) 차량의 조향장치용 토크센서
JPH0534219A (ja) トルクセンサの零点ドリフトの補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7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1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307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4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1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1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2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2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