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64070B1 - 습윤성 폴리올레핀 섬유 및 직물 - Google Patents

습윤성 폴리올레핀 섬유 및 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4070B1
KR100764070B1 KR1020037006745A KR20037006745A KR100764070B1 KR 100764070 B1 KR100764070 B1 KR 100764070B1 KR 1020037006745 A KR1020037006745 A KR 1020037006745A KR 20037006745 A KR20037006745 A KR 20037006745A KR 100764070 B1 KR100764070 B1 KR 100764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t
butyl
bis
fibers
fabric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6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1403A (ko
Inventor
리쉥-싱
레지오앤드루죠셉
멘지조지에이치.
데보르데이비드
맥나마라존제임스
유타후아
호세이더글라스웨인
Original Assignee
시바 스폐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바 스폐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시바 스폐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30061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1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4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407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filaments produced in association with filament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25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4Particle-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5Filamentary, e.g. stra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6Ethers; Acetals; Ketals; Ortho-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0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1F6/0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polyolefi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0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1F6/0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polyolefins
    • D01F6/06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polyolefins from polypropylene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06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olefin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82Addition polymers
    • D04H1/4291Olefin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in association with fibre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of staple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9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using a bath, e.g. extruding into an open bath to coagulate or cool th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2Applications used for fi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2Polyalkylene oxi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29Bicomponent, conjugate, composite or collateral fibers or filaments [i.e., coextruded sheath-core or side-by-side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008Fabric composed of a fiber or strand which is of specific structural defin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311Coating or impregnation is a lubricant or a surface friction reducing agent other than specified as improving the "hand" of the fabric or increasing the softnes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352Coating or impregnation functions to soften the feel of or improve the "hand" of the fabr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418Coating or impregnation increases electrical conductivity or anti-static qua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484Coating or impregnation is water absorbency-increasing or hydrophilicity-increasing or hydrophilicity-impar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976Including strand which is stated to have specific attributes [e.g., heat or fire resistance, chemical or solvent resistance, high absorption for aqueous composition, water solubility, heat shrinkability,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96Including strand or fiber material which is stated to have specific attributes [e.g., heat or fire resistance, chemical or solvent resistance, high absorption for aqueous compositions, water solubility, heat shrinkability,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 Woven Fabric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 Cell Separator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a) 폴리올레핀; 및 (b) 하기 화학식(I)의 화합물 한개 이상을 포함하는 용융 블렌드를 포함하는 것으로부터 제조된 폴리올레핀 부직 및 직조 섬유, 필라멘트 및 직물은 탁월한 영구적 습윤성을 나타낸다:
R1 ― (친수성 올리고머) (I)
식중에서,
R1은 22 내지 40개 탄소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고 또 친수성 올리고머는 에틸렌 옥시드, 프로필렌 옥시드,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에피클로로히드린,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에틸렌 이민, 카프로락톤, 비닐 알코올 및 비닐 아세테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량체로 유도된 2 내지 10개 단량체 단위체로 구성된 호모- 또는 코-올리고머임. 상기 직물은 일회용 기저귀, 배변훈련 팬츠, 여성용 냅킨, 탐폰, 요실금 케어제품, 습윤 또는 건조 와이프, 상처 드레싱, 외과적 케이프, 필터 메디얼, 전지 격리판 등에 유용하다.
습윤성, 폴리올레핀 섬유, 직물, 필라멘트,

Description

습윤성 폴리올레핀 섬유 및 직물{wettable polyolefin fibers and fabrics}
본 발명은 영구적 습윤성을 나타내는 신규 올레핀 중합체 직조 또는 부직 섬유에 관한 것이다. 이들 섬유는 기저귀, 여성 위생용품 및 요실금 케어제품과 같은 위생재에 유용하다.
폴리올레핀, 특히 폴리프로필렌은 직물(woven fabrics) 및 부직포(non-woven fabrics)를 제조하기 위해 다량으로 사용된다. 카드 웨브(web), 스펀본드 (spunbond), 멜트블로운(meltblown) 또는 그의 복합재료와 같은 폴리올레핀 부직포는 일회용 기저귀, 여성위생용품 및 요실금 케어제품과 같은 위생재의 성분으로서 바람직하다. 특히 폴리프로필렌을 기본으로 한 폴리올레핀 직물의 알려진 이점은 비교적 낮은 원료비, 제조의 용이성, 기준중량비(basis weight ratio)에 대한 바람직한 강도 및 연질성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위생재는 자신의 중량의 몇배나 되는 액체를 흡수할 수 있는 재료의 흡수성 코어성분을 함유한다. 통상 이러한 물품은 코어의 한쪽면에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바깥쪽(outer) 커버링 또는 라이닝 및 코어의 다른 면에 환경과 접촉하는 외부(exterior)층을 포함한다. 내부 라이닝에 사용되는 직물에는 연질성과 액체 투과성이 요구된다. 액체 투과성은 액체가 직물을 통과하여 내 부 흡수성 코어로 들어가게하는 형태를 취해야 하지만, 그 과정중에 액체를 실질적으로 흡수해서는 안된다. 내부 라이닝, 즉 흡수성 코어의 커버 쉬트에 대한 다른 바람직한 특징은 유아용 기저귀에서 흔히 생기는 것과 같은 장시간 착용과 반복되는 액체 방출후에도 액체 투과성으로 남아있어야하는 것이다. 내부 라이닝 직물에 대해 아주 많이 요구되는 사항이지만 제공하기 어려운 다른 특징은 내부 라이닝 직물이, 유아가 젖은 기저귀 상태로 앉을 때와 같이 압력이 가해질 때에도, 흡수성 코어에 모아진 액체가 사용자의 피부로 다시 흘러나오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셀룰로오스 재료로 제조된 부직포 및 복합재료는 반복적인 방뇨(방출) 후에도 액체를 통과시키고 흡수하지만, 압력하에서 보유 액체가 다시 흘러나오지 않게 하지 못한다.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올레핀과 같은 열가소성 섬유는 경제적, 심미적 및 강도 이유로 인하여 상술한 사용 목적에 바람직한 것으로 이미 알려져있었다. 그러나, 폴리프로필렌은 그 성질상 소수성이다. 직물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섬유 또는 필라멘트로 방적되면, 생겨난 직물은 소수성 또는 비습윤성이다. 따라서, 이러한 직물이 위생재의 내부 라이닝 직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게되어야한다면, 습윤성 직물로 되기 위하여, 즉 액체의 통과 또는 전달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어느 정도 특별한 처리를 받거나 변형되어야한다.
설명을 위해, 흡수라는 것은 물질이 부가된 물에 의해 실제로 팽윤되는 것을 의미한다는 것을 유념해야한다. 대조적으로, 본 명세서에 정의한 바와 같이, 습윤성은, 습윤성 물질을 유동 통과하거나 관통하는 액체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섬유와 같은 고체의 표면상에서 물층의 형성을 허용하는 표면장력의 변화를 나 타낸다.
TRITON X-100 (롬 앤드 하스 제조)과 같은 특정 계면활성제가 수용액 또는 현탁액으로서 소수성 섬유, 필라멘트 또는 부직포의 표면에 가해져서 섬유, 필라멘트 또는 직물을 습윤성으로 만들지만, 흡수성으로는 되지 않게 한다는 것은 당해 공업에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국소 처리는 발포 스프레이법, 침지- 및 압착 또는 그라비아 롤과 같은 당업자에게 익숙한 방법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계면활성제 용액 또는 현탁액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된 잔류하는 물이나 용매를 제거하기 위해 어느 정도의 가열단계가 필요하다. 이러한 단계는 제조비용과 복잡성을 상당히 부가한다. 또한 열가소성수지는 열 노출에 의해 변형될 수 있으므로 가열공정을 주의깊게 모니터링해서 직물특성이 악영향을 받지 않도록 해야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계면활성제는 섬유나 필라멘트 표면에 화학적으로 강하게 결합되지 않으므로, 그러한 국소처리는 내구성을 갖지 않는다. 이러한 계면활성제는 반복되는 액체 배출 동안 씻겨져나가거나 사용중에 스쳐떨어져나가기 쉽다.
이러한 결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코로나 방전처리를 이용하여 섬유나 필라멘트 표면의 전기화학적 능력을 변경하여왔다. 그 효과는 표면을 보다 반응성으로 만들고, 그 결과 소수성 표면은 보다 습윤성으로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전기적 능력 변화는 영구적인 것이 아니고, 수분 환경에 저장하는 것과 같은 환경적 영향을 특히 받기 쉽다.
계면활성제가 중합체에 공유결합되는 표면 화학처리를 이용하는 것도 또 다른 진보된 사항이다.
열가소성 중합체가 섬유, 필라멘트 또는 부직포로 압출되기 전에 열가소성 중합체에 화학물질을 혼입하는 것도 다른 방법이다. 실옥산과 같은 이러한 화학물질이 상기 목적을 위해 제안되어 왔다. 여기서, 그 목적은 섬유 또는 필라멘트의 습윤성에서 영구적 변화를 부여하는 것이다. 실시 모델 이론에 따르면 용융 첨가제는 용융 중합체에 분산되게되고, 섬유 또는 필라멘트가 급냉되는 동안, 중합체가 식으면 매트릭스에 결합된다고 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추가 가공 효과로 인하여, 첨가제는 섬유나 필라멘트의 표면에 대하여 블루밍이라 불리는 현상에 대처하여 영구적 습윤성을 부여한다.
베르크브라이터와 스린니바스는 Macromolecules 25(1992), 636-643에서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표면을 변형하기 위한 "인트랩먼트 작용화(entrapment functionalization)"법을 개시하고 있다. 폴리에틸렌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고 이들을 미사용 폴리에틸렌과 긴밀하게 혼합한다. 이 혼합물로부터 제조된 중합체 필름을 분석하면 폴리(에틸렌 글리콜) 단위체가 필름의 최외층에서 주로 종료됨을 보며준다.
미국특허 5,464,691호는 폴리올레핀 필름의 표면 에너지를 변형하기 위한 트리-블록 양쪽성 수지의 사용을 개시한다. 양쪽성 수지는 2개의 탄화수소 부분과 하나의 극성 부분으로 구성된다. 탄화수소 부분은 예컨대 장쇄 지방족 카르복시산, 지방족 알코올 등으로부터 유도되고, 또 극성 부분은 텔레켈릭(telechelic) 디올, 예컨대 폴리에틸렌 글리콜로부터 유도된다.
미국특허 5,240,985호; 미국특허 5,272,196호; 미국특허 5,281,438호; 미국 특허 5,328,951호는 폴리올레핀의 표면에너지를 증가시키기 위한 양쪽성 물질의 사용을 개시하고 있다. 양쪽성 물질은 중심의 소수성 성분 1개 및 친유성 성분 2개로 구성된다. 소수성 성분은 예컨대 폴리글리콜로부터 유도되고 또 친유성 성분은 예컨대 지방산 또는 지방족 알코올로부터 유도된다.
미국특허 5,262,233호는 장쇄 알코올의 폴리(에틸렌 옥시드)일 수 있는 무적제(anti-fogging agent)를 그 안에 혼입할 수 있는 농업용 필름을 개시하고 있다.
미국특허 3,048,266호는 그 안에 에틸렌 옥시드 부가생성물의 에스테르 또는 에테르를 혼입시킨 무적(antifog) 특성을 갖는 폴리올레핀을 개시하고 있다.
미국특허 5,001,015호는 대전방지제로서 폴리알콕실레이트와 지방알코올의 반응생성물을 포함하는 대전방지 특성을 갖는 폴리올레핀 필름을 개시하고 있다.
미국특허 4,304,234호는 프로필렌 옥시드 및/또는 에틸렌 옥시드의 부가생성물과 같은 극성 화합물과의 처리에 의해 폴리올레핀 필라멘트의 습윤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미국특허 5,804,625호는 1개 이상의 플루오로지방족 기-함유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1개 이상의 비이온성, 비플루오르화된 폴리옥시에틸렌 기-함유 계면활성제를 그 안에 혼입시킨 소수성 열가소성 섬유의 제조를 개시하고 있다.
미국특허 6,239,047호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레일 에테르 첨가제를 그 안에 혼입시킨 습윤성 폴리올레핀 섬유를 개시하고 있다.
WO-A-00/28143호는 알킬에톡실레이트류의 화합물이 적용된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친수성 마무리 처리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EP-A-0 888 786호, EP-A-0 800 833호 및 WO-A-00/22061호는 각각 에톡실레이트화된 모노알코올과 같은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향상된 심지현상(wicking)을 갖는 부직물품에서 접착제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WO-A-01/14621호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마이크로섬유 및 상용화제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부직재료를 개시하고 있다.
위생재, 아기 기저귀 등에서 사용하기 위해 습윤성이 개량된 직물에 대한 수요는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특히, 직물 및 부직 섬유로부터 제조되며 필요한 연질성을 갖는 소수성 폴리올레핀 직물에 대하여도 향상된 습윤성이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특정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아주 우수한 습윤특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a) 폴리올레핀; 및
(b) 하기 화학식(I)의 화합물 한개 이상을 포함하는 용융 블렌드를 포함하는 습윤성 폴리올레핀 섬유 또는 필라멘트에 관한 것이다:
R1 ― (친수성 올리고머)
식중에서,
R1은 22 내지 40개 탄소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고 또 친수성 올리고머는 에틸렌 옥시드, 프로필렌 옥시드,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에피 클로로히드린,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에틸렌 이민, 카프로락톤, 비닐 알코올 및 비닐 아세테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량체로 유도된 2 내지 10개 단량체 단위체로 구성된 호모- 또는 코-올리고머임.
상기 친수성 올리고머는 예컨대 2, 3, 4, 5, 6, 7, 8, 9 또는 10개 단량체 단위체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I)의 화합물에서, R1은 예컨대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또는 4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다.
화학식(I)의 화합물은, 예컨대 친수성 올리고머가 에틸렌 옥시드로부터 유도될 때, 하기 화학식(Ia)의 화합물로 표시될 수 있다:
Figure 112003017573448-pct00001
식중에서, x는 2 내지 10이고 또 R1은 22 내지 40개 탄소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측쇄 알킬임. 용어 "x"는 예컨대 2, 3, 4, 5, 6, 7, 8, 9 또는 10이다.
화학식(I)의 화합물은 AB 디블록 양쪽성 코-올리고머로 기재될 수 있다. R1의 알킬의 사슬길이 및 친수성 올리고머의 단량체 단위체의 갯수는 별개 값일 수 있다. 다르게는, 화학식(I)의 본 발명의 화합물의 경우, R1의 알킬의 사슬길이 및 친수성 올리고머의 단량체 단위체의 갯수는 평균값일 수 있다.
화학식(Ia)의 화합물의 특정 예는 하기 화학식(Ib)의 에톡실레이트화된 지방족 알코올이고, 이때 R1은 평균 3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직쇄 알킬이고 또 x는 평균 2.5이다:
Figure 112003017573448-pct00002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학식(I)의 화합물 2개 또는 그 이상의 첨가제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른 공지된 양쪽성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추가의 첨가제는 AtmerR 502, 2몰의 에톡실레이트화된 스테아릴 알코올, C18H37(OCH2CH2)2OH, C.A.Registry No. 9005-00-9와 같은 에톡실레이트화된 지방족 알코올일 수 있다. AtmerR 는 유니퀘마사의 상표명이다. AtmerR 502는 본 발명의 화학식(I)의 화합물이 아닌 에톡실레이트화된 지방족 알코올의 일례이다.
화학식(Ib)의 화합물은 베이커 페트롤라이트사로부터 UnithoxR 402, CAS #97953-22-5로 구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용융압출 공정에 의해 제조되어 섬유 또는 필라멘트를 형성한다. 실이나 스테이플 섬유용 연속적 필라멘트 스피닝 및 스펀본드 제조 및 멜트블로운 제조와 같은 부직 공정과 같은 공지 기술에 따라서, 작은 개구를 통하여 용융 중합체를 압출하는 것에 의해 섬유나 필라멘트를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이렇게 형성된 섬유나 필라멘트는 연신되어 분자 배향을 유발하여 결정성에 영향을 주게되어, 직경 감소와 물리적 특성 향상을 초래한다. 스펀본딩 및 멜브블로우잉과 같은 부직 공정에서는 섬유나 필라멘트가 직접적으로 이동성 플랫 콘베이어와 같은 포라미너스(foraminous) 표면상으로 퇴적되어서 비제한적인 열적, 기계적 또는 화학적 본딩법을 포함한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통합된다. 공정들이나 상이한 공정으로부터의 직물을 조합하여 특정의 바람직한 특징을 갖는 복합재 직물을 생성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예는 스펀본드 및 멜브블로운을 조합하여 SMS로 가장 잘 알려진 라미네이트 직물을 생성하는 것으로, SMS는 스펀본드 직물 외부층 2개 및 멜트블로운 직물 내부층 1개를 의미하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상기 공정 각각 또는 양쪽은 스테이플 섬유 카딩 공정 또는 부직 스테이플 섬유 카딩 공정으로부터 얻은 접착포와 임의 순서로 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기재된 라미네이트 직물에서, 층들은 일반적으로 상술한 방법중의 하나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통합된다.
본 발명은 용융 압출된 이성분 섬유에도 적용가능하며, 이때 성분의 하나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올레핀이다.
폴리올레핀의 부직포는 카드 섬유 구조를 갖거나 또는 섬유나 필라멘트가 임의 배열로 분포되어 있는 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부직포는 고수압직조법 또는 스펀레이스 기술을 비롯한 다수의 공지 방법의 하나에 의해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부직포로부터 제조할 물품의 최종 용도에 따라서 에어 레잉(air laying) 또는 멜트-블로잉 필라멘트, 배트 드로우잉, 스티치본딩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상 유형의 습윤성 직물에 가장 유용한 스펀본드 필라멘트 크기는 약 1.0 내지 약 3.2 데니어이다. 멜트블로운 섬유의 직경은 전형적으로 15 미크론 미만이고, 예상되는 용도에 가장 전형적인 섬유 직경은 5 미크론 미만이며, 서브미크론 레벨까지 하회할 수 있다. 복합재 구조중의 웨브는 다양한 기준중량(basis weight)으로 가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약 210 내지 약 240℃ 범위의 온도에서 전형적으로 압출된 열가소성 폴리프로필렌 섬유는 원래 소수성이어서 이들은 본질적으로 비-다공성이고 물 분자를 끌어당기거나 결합할 수 없는 연속적 분자 사슬로 구성된다. 그 결과, 미처리 폴리프로필렌 직물은, 열린 포어 구조를 갖더라도, 물이나 소변과 같은 액체가 직물로 흘러가는 것 또는 한면에서 다른 면으로 가는 것을 방지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학식(I)의 특정 에톡실레이트화된 양쪽성 물질을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열가소성 폴리올레핀에 용융상태로 혼입되어 폴리올레핀과 함께 압출되어 섬유와 필라멘트를 형성하고, 이것을 급냉시키고 약화시켜 직물을 형성하고, 다르게는 후속하는 또는 동시에 생기는 가공단계로 처리될 수 있다.
화학식(I)의 화합물은 용융 압출될 중합체 펠릿과 함께 배합될 수 있다.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화합물은 예비배합되거나 활석과 같은 소량의 무기 분말을 함유할 수 있는 낮은 MFR 폴리프로필렌에 배합될 수 있다.
화학식(I)의 화합물을 폴리올레핀에 혼합하는 것은 화학식(I)의 화합물을, 롤밀링과 같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수법에 의해 용융 중합체에 혼합시키거나, 밴 배리형 혼합기에서 혼합하거나, 또는 압출기 배럴 등에서 혼합하는 것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열 이력(승온에서 유지되는 시간)은 화학식(I)의 화합물을, 중합체 덩어리에서 화학식(I)의 화합물의 실질적으로 균일한 분포를 달성하기 위해, 가열되지 않은 중합체와 혼합하는 것에 의해 단축됨으로써, 용융 온도에서 긴밀한 혼합에 필요한 시간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유리하게는, 화학식(I)의 화합물은 특정 예에 바람직할 수 있는 다른 첨가제와 실질적으로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부가될 수 있다. 화학식(I)의 화합물은 또한 다른 첨가제와 미리 블렌딩될 수 있고 이 블렌드는 다시 중합체에 부가된다. 특정 경우, 화학식(I)의 화합물은 추가의 첨가제를 보조하는 추가의 이점을 가짐으로써 폴리올레핀에 보다 용이하거나 균일하게 분산되거나 용해되게된다. 보다 용이한 뱃치-대-뱃치 품질 제어를 위하여, 중합체/첨가제 블렌드의 농축 마스터뱃치를 적용한 다음 일부분씩 중합체의 추가량에 배합되어 최종 소망하는 배합물을 얻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마스터뱃치 또는 니트 첨가제는 새로 제조된 중합체에 주입되는 반면에, 중합체는 여전히 용융상태이고 중합 용기 또는 트레인을 떠난 후에도 용융상태이며, 용융 중합체가 냉각되어 고체로 되거나 다른 공정에 들어가기 전에 배합될 수 있다.
성분(b)의 화합물은 전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성분(a)의 폴리올레핀의 중량을 기준하여 0.1% 내지 15%의 양으로 존재한다. 많은 용도에서, 화학식(I)의 화합물의 전형적인 양은 성분(a)의 중량을 기준하여 1% 내지 7%이다.
화학식(I)의 화합물을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올레핀 섬유나 필라멘트에 혼입하 면 이들 천연적으로 소수성 물질의 습윤성을 향상시킴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은 또한 영구적이어서 그로부터 제조된 섬유나 필라멘트 및 직물은 노화나 취급되는 동안 습윤성을 잃지 않는다. 향상된 습윤성은 장기간에 걸쳐서도 성능 손실없이 반복적인 방뇨(배출)에도 안정하다.
본 발명은 직물 또는 부직포,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직물을 목적으로한다. 본 발명은 또한 통상의 직물 공정에서 직물을 짜거나 편물을 짜기 위한 직조용 실이나 직물/편물용 실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첨가제는 부직포의 특성, 예컨대 기준중량, 섬유 직경, 섬유의 접착 정도 및 유형과 이미 기재한 SMS 구조와 같은 복합재 구조의 상승작용 효과와 영향에 영향을 주는 다른 인자와 무관하게 효과적이다.
본 발명은 단일 성분 섬유에 제한되지 않는다. 폴리올레핀 이성분 섬유, 특히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의 좌우 또는 외장-코어 섬유는 어느 유형의 단일 성분 섬유와 실제적으로 동일한 이점을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폴리에틸렌 성분에만 용융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이 특히 효과적일 수 있는데, 이는 더욱 부드러운 중합체가 본 발명의 화학식(I)의 첨가제가 보다 효과적으로 성분 섬유나 필라멘트의 표면으로 가게 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섬유나 필라멘트로부터 제조된 습윤성 직물은 특히 예컨대 위생재, 특히 일회용 기저귀, 배변훈련 팬츠, 여성 위생제품이나 요실금 케어 제품의 피부와 접촉하는 내부 라이닝 직물로서 유용하다. 이러한 직물은 또한 습윤 및 건조 와이프(wipes), 상처 드레싱, 외과적 케이프, 필터 메디얼, 전지 격리판 등에 유용하다.
기저귀의 구조는 예컨대 미국특허 5,961,504호, 미국특허 6,031,147호 및 미국특허 6,110,849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들은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된다.
또한, 용융 압출된 폴리올레핀 필름에 습윤성을 부여하는 것이 흔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멍이 뚫린 형태의 필름은 위생재의 커버 쉬트로서 널리 사용된다.
위생재의 커버스톡의 경우, 웨트백(wetback) 특성의 향상은 서로 결합된 2개 이상의 직물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예는 2개의 스펀본드 층 또는 SMS 직물을 포함하며, 이때 멜트블로운 층은 화학식(I)의 첨가제를 갖지 않는다.
본 발명의 직물은 약 0.5 내지 약 10 메가라드의 감마 조사에 노출되는 것에 의해 멸균될 수 있다. 감마선 조사에 의한 멸균은 병원용 옷 등에 대해서도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폴리올레핀 직조 섬유 및 부직 섬유는 또한 이례적인 인쇄성도 나타낸다. 고유한 소수성 성질로 인하여, 폴리올레핀 섬유 및 직물은 표준인쇄 수법의 인쇄성에 대하여 문제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이러한 문제점도 물론 극복한다.
성분(a)의 폴리올레핀의 예는 다음과 같다:
1. 모노올레핀 및 디올핀의 중합체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부트-1-엔, 폴리-4-메틸펜트-1-엔, 폴리이소프렌 또는 폴리부타디엔, 뿐만 아 니라 시클로올레핀(예컨대, 시클로펜텐 또는 노르보르넨)의 중합체, 폴리에틸렌(선택적으로 교차 결합될 수 있음), 예컨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고밀도 및 고분자량 폴리에틸렌(HDPE-HMW), 고밀도 및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HDPE-UHMW), 중간밀도 폴리에틸렌(M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 (VLDPE) 및 (ULDPE).
폴리올레핀 즉, 앞 단락에서 예시된 모노올레핀의 중합체,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은 다양하게, 특히 하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a) 라디칼 중합 반응(정상적으로는 고압 및 고온하에서)
b) 정상적으로는 주기율표의 Ⅳb,Ⅴb,VIb 또는 Ⅷ 금속족 1이상을 포함하는 촉매를 사용하는 촉매 중합반응. 이같은 금속은 일반적으로 1이상의 리간드, 예컨대 p- 또는 s-배위될 수 있는 산화물, 할로겐화물, 알코올레이트, 에스테르, 에테르, 아민, 알킬, 알켄일 및/또는 아릴을 가진다. 이같은 금속 착물은 유리 형태이거나 기재(예컨대 , 활성 염화 마그네슘, 염화 티탄(Ⅲ), 알루미나 또는 산화 실리콘)상에 고정될 수 있다. 이같은 촉매는 중합반응 매질에서 가용성 또는 불용성일 수 있다. 촉매는 중합반응에서 독립적으로 사용되거나 추가의 활성제(예컨대 금속이 주기율표 Ia,IIa 및/또는 IIIa족의 원소인 금속 알킬, 금속 수소화물, 금속 알킬 할로겐화물, 금속 알킬 산화물 또는 금속 알킬옥산)가 사용될 수 있다. 활성제는 추가의 에스테르, 에테르, 아민 또는 실릴 에테르기를 사용하여 편리하게 개질될 수 있다. 상기 촉매 시스템을 일반적으로 Phillips, Standard Oil Indiana, Ziegler(-Natta), TNZ(DuPont), 메탈로센 또는 단자리 촉매(SSC)라고 칭한다.
2. 1)이하에서 언급된 중합체의 혼합물 예컨대,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이소부틸렌,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의 혼합물(예컨대, PP/HDPE, PP/LDPE) 및 다양한 형태의 폴리에틸렌의 혼합물(예컨대, LDPE/HDPE).
3. 모노올레핀 및 디올레핀 서로간 또는 다른 비닐 단위체와의 공중합체, 예컨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과 이들의 혼합물, 프로필렌/부트-1-엔 공중합체, 프로필렌/이소부틸렌 공중합체, 에틸렌/부트-1-엔 공중합체, 에틸렌/헥센 공중합체, 에틸렌/메틸펜텐 공중합체, 에틸렌/헵텐 공중합체,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프로필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이소부틸렌/이소프렌 공중합체, 에틸렌/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알킬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일산화탄소와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이들의 염(이오노머), 뿐만 아니라 에틸렌과 프로필렌 및 디엔(예컨대, 헥사디엔, 디시클로펜타디엔 또는 에틸리덴-노르보르넨)의 삼량체; 및 이같은 공중합체 간 그리고 이같은 공중합체와 상기 1)에서 언급한 중합체의 혼합물 예컨대, 폴리프로필렌/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LDPE/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LDPE/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EAA), LLDPE/EVA, LLDPE/EAA 및 교대의 또는 랜덤 폴리알킬렌/일산화탄소 공중합체 및 다른 중합체(예컨대, 폴리아미드)와 이들의 혼합물.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은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동종중합체와 공중합체 및 폴리에틸렌 동종중합체와 공중합체이다.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H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및 폴리프로필렌 랜덤 및 충격 공중합체이 다.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올레핀 중합체의 블랜드 또는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섬유, 필라멘트 및 직물은 이들에 혼입되거나 도포된 자외선 흡수제, 입체장애 아민 광 안정화제, 산화방지제, 가공조제 및 기타 첨가제와 같은 같은 적합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우에 따라 이하에 수록한 물질 또는 그의 혼합물과 같은 다양한 통상의 안정화제 공첨가제를 약 0.01 내지 약 10%, 바람직하게는 약 0.025 내지 약 5%, 특히 약 0.1 내지 약 3중량%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1. 산화방지제
1.1. 알킬화 모노페놀, 예를들어 2,6-디-삼차부틸-4-메틸페놀, 2-삼차부틸-4,6-디메틸페놀, 2,6-디-삼차부틸-4-에틸페놀, 2,6-디-삼차부틸-4-n-부틸페놀, 2,6-디-삼차부틸-4-이소부틸페놀, 2,6-디-시클로펜틸-4-메틸페놀, 2-(α-메틸시클로헥실)- 4,6-디메틸페놀, 2,6-디-옥타데실-4-메틸페놀, 2,4,6-트리시클로헥실페놀, 2,6-디-삼차부틸-4-메톡시메틸페놀, 직쇄 또는 측쇄에서 분지된 노닐페놀 예컨대, 2,6-디-노닐-4-메틸페놀, 2,4-디메틸-6-(1'-메틸-운데크-1'-일)-페놀, 2,4-디메틸-6-(1'-메틸-헵타데크-1'-일)-페놀, 2,4-디메틸-6-(1'-메틸트리데크-1'-일)-페놀 및 이들의 혼합물.
1.2. 알킬티오메틸페놀, 예를들어 2,4-디-옥틸티오메틸-6-삼차부틸페놀, 2,4-디-옥틸티오메틸-6-메틸페놀, 2,4-디옥틸티오메틸-6-에틸페놀, 2,6-디-도데실티오메틸- 4-노닐페놀.
1.3. 히드로퀴논 및 알킬화 히드로퀴논, 예를들어 2,6-디-삼차부틸-4-메톡시페놀, 2,5-디-삼차부틸-히드로퀴논, 2,5-디-삼차아밀히드로퀴논, 2,6-디페닐-4-옥타데실옥시페놀, 2,6-디-삼차부틸-히드로퀴논, 2,5-디-삼차부틸-4-히드록시아니솔,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아니솔,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 스테아레이트, 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아디페이트.
1.4. 토코페롤, 예를들어 α-토코페롤, β-토코페롤, γ-토코페롤, δ-토코페롤 및 이들의 혼합물 (비타민E).
1.5. 히드록시화 티오디페닐 에테르, 예를들어 2,2'-티오비스(6-삼차부틸-4-메틸페놀), 2,2'-티오비스(4-옥틸페놀), 4,4'-티오비스(6-삼차부틸-3-메틸페놀), 4,4'-티오비스(6-삼차부틸-2-메틸페놀), 4,4'-티오비스(3,6-디-이차아밀페놀), 4,4'-비스 (2,6-디메틸-4-히드록시페닐)디술피드.
1.6. 알킬리덴 비스페놀, 예를들어 2,2'-메틸렌비스(6-삼차부틸-4-메틸페놀), 2,2' -메틸렌비스(6-삼차부틸-4-에틸페놀), 2,2'-메틸렌비스[4-메틸-6-(α-메틸시클로헥실)-페놀], 2,2'-메틸렌비스(4-메틸-6-시클로헥실페놀), 2,2'-메틸렌비스(6-노닐- 4-메틸페놀), 2,2'-메틸렌비스(4,6-디-삼차부틸페놀), 2,2'-에틸리덴비스(4,6-디-삼차부틸페놀), 2,2'-에틸리덴비스(6-삼차부틸-4-이소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 [6-(α-메틸벤질)-4-노닐페놀], 2,2'-메틸렌비스[6-(α,α-디메틸벤질)-4-노닐페 놀], 4,4'-메틸렌비스(2,6-디-삼차부틸페놀), 4,4'-메틸렌비스(6-삼차부틸-2-메틸페놀), 1,1-비스(5-삼차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부탄, 2,6-비스(3-삼차부틸-5-메틸-2-히드록시벤질)-4-메틸페놀, 1,1,3-트리스(5-삼차부틸-4-히드록시-2-메틸페 닐)부탄, 1,1-비스(5-삼차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3-n-도데실머캅토부탄, 에틸렌글리콜 비스[3,3-비스(3'-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부티레이트], 비스(3-삼차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디시클로펜타디엔, 비스[2-(3'-삼차부틸-2'-히드록시 -5'-메틸벤질)-6-삼차부틸-4-메틸페닐]테레프탈레이트, 1,1-비스-(3,5-디메틸-2-히드록시페닐)부탄, 2,2-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5-삼차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4-n-도데실머캅토부탄, 1,1,5,5-테트라(5-삼차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펜탄.
1.7. O-, N- 및 S-벤질 화합물, 예를들어 3,5,3',5'-테트라-삼차부틸-4,4'-디히드록시-디벤질 에테르, 옥타데실-4-히드록시-3,5-디메틸벤질머캅토아세테이트, 트리데실-4-히드록시-3,5-디-삼차부틸벤질머캅토아세테이트, 트리스(3,5-디-삼차부틸- 4-히드록시벤질)아민, 비스(4-삼차부틸-3-히드록시-2,6-디메틸벤질)디티오테레프탈레이트, 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술피드, 이소옥틸-3,5-디-삼차부틸 -4-히드록시벤질 머캅토아세테이트.
1.8. 히드록시벤질화 말로네이트, 예를 들어 디옥타데실-2,2-비스(3,5-디-삼차부틸 -2-히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디-옥타데실-2-(3-삼차부틸-4-히드록시-5-메틸벤질)-말로네이트, 디-도데실머캅토에틸-2,2-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닐]-2,2-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1.9. 방향족 히드록시벤질 화합물, 예를들어 1,3,5-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2,4,6-트리메틸벤젠, 1,4-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2,3,5 ,6-테트라메틸벤젠, 2,4,6-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페놀.
1.10. 트리아진 화합물, 예를들어 2,4-비스(옥틸머캅토)-6-(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아닐리노)-1,3,5-트리아진, 2-옥틸머캅토-4,6-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아닐리노)-1,3,5-트리아진, 2-옥틸머캅토-4,6-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녹시)-1,3,5-트리아진, 2,4,6-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녹시)-1, 2,3-트리아진, 1,3,5-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1,3,5-트리스(4-삼차부틸-3-히드록시-2,6-디메틸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2,4,6-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에틸)-1,3,5-트리아진, 1,3,5-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헥사히드로-1,3,5-트리아진, 1,3,5-트리스(3, 5-디시클로헥실-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1.11. 벤질 포스포네이트, 예를들어 디메틸-2,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 포스포네이트, 디에틸-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디옥타데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디옥타데실-5-삼차부틸-4-히드록시-3-메틸벤질 포스포네이트,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폰산 모노에틸 에스테르의 칼슘 염.
1.12. 아실아미노페놀, 예를들어 4-히드록시라우르아닐리드, 4-히드록시스테아르아닐리드, 옥틸 N-(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카르바메이트.
1.13. 1가 또는 다가 알코올,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n-옥탄올, i-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 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사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히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과 β-(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
1.14. 1가 또는 다가 알코올, 예를들어 메탄올, 에탄올, n-옥탄올, i-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사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히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과 β-(5-삼차부틸-4-히드록시-3-메틸페닐)-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 3,9-비스[2-{3-(3-삼차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닐옥시}-1,1-디메틸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
1.15. 1가 또는 다가 알코올, 예를들어 메탄올, 에탄올, 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사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히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과 β-(3,5-디시클로헥실-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
1.16. 1가 또는 다가 알코올, 예를들어 메탄올, 에탄올, 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사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히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과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 아세트산의 에스테르.
1.17. β-(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아미드, 예를 들어 N,N'-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헥사메틸렌디아미드, N,N'-비스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피로피오닐)트리메틸렌디아미드, N,N'-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오피오닐)히드라지드, N,N'-비스[2-(3-[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오피오닐옥시)에틸]옥사미드 (NaugardR XL-1, 유니로얄 사 공급).
1.18. 아스코르브산 (비타민 C)
1.19. 아민 산화방지제, 예컨대 N,N'-디-이소프로필-p-페닐렌디아민, N,N'-디-이차부틸-p-페닐렌디아민, N,N'-비스(1,4-디메틸펜틸)-p-페닐렌디아민, N,N'-비스(1-에틸-3-메틸펜틸)-p-페닐렌디아민, N,N'-비스(1-메틸헵틸)-p-페닐렌디아민, N,N'- 디시클로헥실-p-페닐렌디아민, N,N'-디페닐-p-페닐렌디아민, N,N'-비스(2-나프틸)-p-페닐렌디아민, N-이소프로필-N'-페닐-p-페닐렌디아민, N-(1,3-디메틸부틸)-N'-페닐 -p-페닐렌디아민, N-(1-메틸헵틸)-N'-페닐-p-페닐렌디아민, N-시클로헥실-N'-페닐 -p-페닐렌디아민, 4-(p-톨루엔술파모일)-디페닐아민, N,N'-디메틸-N,N'-디-이차부틸-p-페닐렌디아민, 디페닐아민, N-알릴디페닐아민, 4-이소프로폭시디페닐아민, N-페닐-1-나프틸아민, N-(4-삼차옥틸페닐)-1-나프틸아민, N-페닐-2-나프틸아민, 옥틸화 디페닐아민, 예컨대, p,p'-디-삼차옥틸디페닐아민, 4-n-부틸아미노페놀, 4-부티릴아미노페놀, 4-노난오일아미노-페놀, 4-도데칸오일아미노페놀, 4-옥타데칸오일아미노페놀, 비스(4-메톡시페닐)아민, 2,6-디-삼차부틸-4-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2, 4'-디-아미노디페닐메탄, 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N,N,N',N'-테트라메틸-4,4'-디 -아미노디페닐메탄, 1,2-비스[(2-메틸페닐)아미노]에탄, 1,2-비스(페닐아미노)프로판, (o-톨릴)비구아니드, 비스[4-(1',3'-디메틸부틸)페닐]아민, 삼차옥틸화 N-페닐-1-나프틸아민, 모노- 및 디알킬화 삼차부틸/삼차옥틸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노닐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노닐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도데실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이소프로필/이소헥실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삼차부틸디페닐아민의 혼합물, 2,3-디-히드로-3,3-디메틸-4H-1,4-벤조티아진, 페노티아진, 모노 및 디알킬화 삼차부틸/삼차옥틸페노타이진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삼차옥틸-페노티아진의 혼합물, N-알릴페노티아진, N,N,N',N'-테트라페닐-1,4-디아미노부트-2-엔.
2. UV 흡수제 및 광안정화제
2.1. 2-(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예를들어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5'-디-삼차부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5'-삼차부틸 -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1,1,3,3-테트라메틸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5'-디-삼차부틸-2'-히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2'히드록시-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이차부틸 -5'-삼차부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5'-디-삼차아밀-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5'-비스-(α,α-디메틸벤질)-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2'-히드록시-5'-(2-옥틸옥시카르보닐에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5'-[2-(2-에틸헥실옥시)-카르보닐에틸]-2'-히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2'-히드록시-5'-(2-메톡시카르보닐에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2'-히드록시-5'-(2-메톡시카르보닐에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2'-히드록시-5'-(2-옥틸옥시카르보닐에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5'-[2-(2-에틸헥실옥시)카르보닐에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도데실-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2'-히드록시-5'-(2-이소옥틸옥시카르보닐에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메틸렌-비스[4-(1, 1,3,3-테트라메틸부틸)-6-벤조트리아졸-2-일페놀]; 2-[3'-삼차부틸-5'-(2-메톡시카르보닐에틸)-2'-히드록시-페닐]-2H-벤조트리아졸과 폴리에틸렌글리콜 300의 에스테르 교환반응 생성물;
Figure 112003017573448-pct00003
, 이때 R은 3'-삼차부틸-4'-히드록시-5'-2H-벤조트리아졸-2-일페닐, 2-[2'-히드록시-3'-(α,α-디메틸벤질)-5'-(1,1,3,3-테트라메틸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임; 2-[2'-히드록시-3'-(1,1,3,3-테트라메틸부틸) -5'-(α,α-디메틸벤질)페닐]벤조트리아졸.
2.2. 2-히드록시벤조페논, 예를들어 4-히드록시, 4-메톡시, 4-옥틸옥시, 4-데실옥시, 4-도데실옥시, 4-벤질옥시, 4,2',4'-트리히드록시 및 2'-히드록시-4,4'-디메톡시 유도체.
2.3. 비치환 또는 치환된 벤조산의 에스테르, 예를들어 4-삼차부틸-페닐 살리실레이트, 페닐 살리실레이트, 옥틸페닐 살리실레이트, 디벤조일 레조르시놀, 비스(4-삼차부틸-벤조일)레조르시놀, 벤조일 레조르시놀, 2,4-디-삼차부틸페닐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헥사데실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옥타데실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2-메틸-4,6-디-삼차부틸페닐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2.4. 아크릴레이트, 예를들어 에틸 α-시아노-β,β-디페닐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α-시아노-β,β-디페닐아크릴레이트, 메틸 α-카르보메톡시신나메이트, 메틸 α-시아노-β-메틸-p-메톡시-신나메이트, 부틸 α-시아노-β-메틸-p-메톡시-신나메이트, 메틸 α-카르보메톡시-p-메톡시-신나메이트 및 N-(β-카르보메톡시-β-시아노비닐)-2-메틸인돌린.
2.5. 니켈 화합물, 예를들어 적절한 경우 부가적인 리간드(예 : n-부틸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또는 N-시클로헥실디에탄올아민)가 있는 2,2'-티오-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의 니켈 착물(예컨대 1:1 또는 1:2 착물), 니켈 디부틸 디티오카르바메이트, 4-히드록시-3,5-디-삼차부틸 벤질 포스폰산 모노알킬 에스테르(예 : 메틸 에스테르 또는 에틸 에스테르)의 니켈 염, 케톡심(예 : 2-히드록시-4-메틸페 닐 운데실케톡심)의 니켈 착물, 적절한 경우 부가적인 리간드가 있는 1-페닐-4-라우로일-5-히드록시 피라졸의 니켈 착물.
2.6. 입체 장애 아민, 예를들어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숙시네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옥틸옥시-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 n-부틸-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 말로네이트, 1-(2-히드록시에틸)-2,2,6,6-테트라메틸-4-히드록시피페리딘과 숙신산의 축합 생성물,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과 4-삼차옥틸아미노-2,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의 선형 또는 시클릭 축합 생성물, 트리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니트릴로트리아세테이트, 테트라키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시레이트, 1,1'-(1,2-에탄디일)비스(3,3,5,5-테트라메틸피페라지논), 4-벤조일-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4-스테아릴옥시-2,2, 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비스(1,2,2,6,6-펜타메틸피페리딜)-2-n-부틸-2-(2-히드록시-3,5-디-삼차부틸벤질)말로네이트, 3-n-옥틸-7,7,9,9-테트라메틸-1,3,8-트리아자스피로[4.5]데칸-2,4-디온, 비스(1-옥틸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옥틸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숙시네이트,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과 4-모르폴리노-2,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의 선형 또는 시클릭 축합 생성물, 2-클로로-4,6-비스(4-n-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1,3,5-트리아진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의 축합 생성물, 2-클로로-4,6-디-(4-n-부틸아미노-1,2,2,6,6-펜타 메틸피페리딜 )-1,3,5-트리아진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의 축합 생성물, 8-아세틸-3-도데실-7,7,9,9-테트라메틸-1,3,8-트리아자스피로[4.5]데칸-2,4-디온, 3-도데실-1-(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피롤리딘-2,5-디온, 3-도데실-1-(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피롤리딘-2,5-디온, 4-헥사데실옥시 및 4-스테아릴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의 혼합물,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티렌디아민 및 4-시클로헥실아민-2,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의 축합 생성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 및 2,4,6-트리크로로-1,3,5-트리아진의 축합 생성물, 뿐만 아니라 4-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 리딘(CAS Reg.No.[136504-96-6]); N,N-디부틸아민 및 4-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CAS Reg.No.[192268-64-7]); N-(2,2,6, 6-테트라메틸-4-피페리딜)-n-도데실숙신이미드, N-(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n-도데실숙신이미드, 2-운데실-7,7,9,9-테트라메틸-1-옥사-3,8-디아자-4-옥소-스피로[4,5]데칸, 7,7,9,9-테트라메틸-2-시클로운데실-1-옥사-3,8-디아자-4-옥소스피로[4,5]데칸 및 에피클로로히드린의 반응생성물, 1,1-비스(1, 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카르보닐)-2-(4-메톡시페닐)에텐, N,N'-비스-포르밀-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 4-메톡시메틸렌말론산과 1,2,2,6,6-펜타메틸-4-히드록시피페리딘의 디에스테르, 폴리-[메틸프로필-3-옥시-4-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실옥산, 말레산 무수물-α-올레핀 공중합체와 2,2,6,6-테트라메틸-4-아미노피페리딘 또는 1,2,2,6,6-펜타메틸-4-아미노피페리딘의 반응 생성물.
상기 입체장애 아민은 성분 I-a), I-b), I-c), I-d), I-e), I-f), I-g), I- h), I-i), I-j), I-k) 또는 I-l)로서 GB-A-2 301 106호에 기재된 화합물중의 하나일 수 있고, 특히 상기 GB-A-2 301 106호의 68 내지 73 페이지에 수록된 광 안정화제 1-a-1, 1-a-2, 1-b-1, 1-c-1, 1-c-2, 1-d-1, 1-d-2, 1-d-3, 1-e-1, 1-f-1, 1-g-1, 1-g-2 또는 1-k-1일 수 있다.
상기 입체장애 아민은 EP-A-0 782 994호에 기재된 화합물중의 하나, 예컨대 상기 문헌의 청구항 10 또는 38에 또는 실시예 1-12 또는 D-1 내지 D-5에 기재된 화합물일 수 있다.
2.7. 히드록시-치환된 알콕시기에 의해 N-원자상에서 치환된 입체장애 아민, 예를들어 1-(2-히드록시-2-메틸프로폭시)-4-옥타데카노일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1-(2-히드록시-2-메틸프로폭시)-4-헥사데카노일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1-옥실-4-히드록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과 t-아밀알코올로부터 얻은 탄소 라디칼과의 반응생성물, 1-(2-히드록시-2-메틸프로폭시)-4-히드록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1-(2-히드록시-2-메틸프로폭시)-4-옥소-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비스(1-(2-히드록시-2-메틸프로폭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세바케이트, 비스(1-(2-히드록시-2-메틸프로폭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아디페이트, 비스(1-(2-히드록시-2-메틸프로폭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숙시네이트, 비스(1-(2-히드록시-2-메틸프로폭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글루타레이트 및 2,4-비스{N-[1-(2-히드록시-2-메틸프로폭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N-부틸아미노}-6-(2-히드록시에틸아미노)-s-트리아진과 같은 화합물.
2.8. 옥사미드, 예를들어 4,4'-디옥틸옥시옥사아닐리드, 2,2'-디에톡시옥사아닐리드, 2,2'-디옥틸옥시-5,5'-디-삼차부톡사아닐리드, 2,2'-디도데실옥시-5,5'-디-삼차부톡사아닐리드, 2-에톡시-2'-에톡사아닐리드, N,N'-비스(3-디메틸아미노프로필)옥사아미드, 2-에톡시-5-삼차부틸-2'-에톡사아닐리드 및 그와 2-에톡시-2'-에틸- 5,4'-디-삼차부톡사닐리드와의 혼합물, o- 및 p-메톡시-이중 치환된 옥사아닐리드의 혼합물 및 o- 및 p-에톡시-이중치환된 옥사아닐리드의 혼합물.
2.9. 2-(2-히드록시페닐)-1,3,5-트리아진, 예를들어 2,4,6-트리스(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4-디히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4-비스(2-히드록시-4-프로필옥시페닐)-6-(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4,6-비스(4-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 -히드록시-4-트리데실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라아진, 2-(2-히드록시-4-도데실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2-히드록시-3-부틸옥시-프로폭시)페닐]-4,6-비스(2,4-디메틸)-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2-히드록시-3-옥틸옥시-프로필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1,3,5-트리아진, 2-[4-(도데실옥시/트리데실옥시-2-히드록시프로폭시)-2-히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2-히드록시-3-도데실옥시-프로폭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 (2-히드록시-4-헥실옥시)페닐-4,6-디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메톡시페닐)-4,6-디페닐-1,3,5-트리아진, 2,4,6-트리스[2-히드록시-4-(3-부톡시-2-히드록 시-프로폭시)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페닐)-4-(4-메톡시페닐)-6-페닐- 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3-(2-에틸헥실-1-옥시)-2-히드록시프로필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3. 금속 탈활성화제, 예를들어 N,N'-디페닐옥사아미드, N-살리실알-N'-살리실로일히드라진, N,N'-비스(살리실로일)히드라진, N,N'-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히드라진, 3-살리실로일아미노-1,2,4-트리아졸, 비스(벤질리덴)옥살릴 디히드라지드, 옥사아닐리드, 이소프탈로일 디히드라지드, 세바코일 비스페닐히드라지드, N,N'-디아세틸아디포일 디히드라지드, N,N'-비스(살리실로일)옥살릴 디히드라지드, N,N'-비스(살리실로일)티오프로피오닐 디히드라지드.
4. 포스파이트 및 포스포나이트, 예를들어 트리페닐 포스파이트, 디페닐 알킬 포스파이트, 페닐 디알킬 포스파이트,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트리라우릴 포스파이트, 트리옥타데실 포스파이트, 디스테아릴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트리스 (2,4-디-삼차부틸페닐)포스파이트, 디이소데실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 (2,4-디-삼차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6-디-삼차부틸-4-메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디이소데실옥시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삼차부틸-6-메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6-트리스-삼차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트리스테아릴 소르비톨 트리포스파이트, 테트라키스(2,4-디-삼차부틸페닐)4,4'-비페닐렌 디포스포나이트, 6-이소옥틸옥시-2,4,8,10-테트라-삼차부틸-12H-디벤즈[d,g]-1,3,2-디옥사포스포신, 비스(2,4-디-삼차부틸-6-메틸페닐)메틸 포스파이트, 비스(2,4-디-삼차부틸-6-메틸페닐)에틸 포스파이트, 6-플루오로-2,4,8,10-테트라-삼차부틸-12-메틸-디벤즈[d,g]-1,3,2-디옥사포스포신, 2,2',2"-니트릴로[트리에틸트리스(3,3',5,5'-테트라-삼차-부틸-1, 1'-비페닐-2,2'-디일)포스파이트], 2-에틸헥실(3,3',5,5'-테트라-삼차-부틸-1,1'-비페닐-2,2'-디일)포스파이트, 5-부틸-5-에틸-2-(2,4,6-트리-삼차-부틸페녹시)-1,3,2-디옥사포스피란.
특히 바람직한 것은 이하의 포스파이트이다:
트리스(2,4-디-삼차부틸페닐)포스파이트 (IrgafosR 168, 시바 가이기 제조),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Figure 112003017573448-pct00004
Figure 112003017573448-pct00005
Figure 112003017573448-pct00006
5. 히드록실아민, 예를들어 N,N-디벤질히드록실아민, N,N-디에틸히드록실아민, N,N-디옥틸히드록실아민, N,N-디라우릴히드록실아민, N,N-디테트라데실히드록실아민, N,N-디헥사데실히드록실아민, N,N-디옥타데실히드록실아민, N-헥사데실-N-옥타데실히드록실아민, N-헵타데실-N-옥타데실히드록실아민, 수소화 수지로 부터 유도된 N,N-디알킬히드록실아민.
6. 니트론, 예를들어 N-벤질-알파-페닐-니트론, N-에틸-알파-메틸-니트론, N-옥틸-알파-헵틸-니트론, N-라우릴-알파-운데실-니트론, N-테트라데실-알파-트리데실-니트론, N-헥사데실-알파-펜타데실-니트론, N-옥타데실-알파-헵타데실-니트론, N-헥사데실-알파-헵타데실-니트론, N-옥타데실-알파-페타데실-니트론, N-헵타데실-알파 -헵타데실-니트론, N-옥타데실-알파-헥사데실-니트론, 수소화 수지아민으로부터 유도된 N,N'-디알킬히드록실아민으로부터 유도된 니트론.
7. 아민 산화물, 예를들어 미국특허 5,844,029호 및 미국특허 5,880,191호에 기재된 아민 산화물 유도체, 디데실 메틸 아민 옥시드, 트리데실 아민 옥시드, 트리도 데실 아민 옥시드 및 트리헥사데실 아민 옥시드.
8. 벤조푸라논 및 인돌리논, 예를들어 US-A-4 325 863호, US-A-4 338 244호, US- A-5 175 312호, US-A-5 216 052호, US-A-5 252 643호, DE-A-4 316 611호, DE-A-4 316 622호, DE-A-4 316 876호, EP-A-0 589 839호 또는 EP-A-0 591 102호에 개시된 것 또는 3-[4-(2-아세톡시에톡시)페닐]-5,7-디-삼차부틸-벤조푸란-2-온, 5,7-디-삼차부틸-3-[4-(2-스테아로일옥시에톡시)페닐]벤조푸란-2-온, 3,3'-비스[5,7-디-삼차부틸-3-(4-[2-히드록시에톡시]-페닐)벤조푸란-2-온], 5,7-디-삼차부틸-3-(4-에톡시페닐)벤조푸란-2-온, 3-(4-아세톡시-3,5-디메틸페닐)-5,7-디-삼차부틸-벤조푸란-2-온, 3-(3,5-디메틸-4-피발로일옥시페닐)-5,7-디-삼차부틸-벤조푸란-2-온, 3-(3,4-디메틸페닐)-5,7-디-삼차부틸벤조푸란-2-온, 3-(2,3-디메틸페닐)-5,7-디-삼차부틸벤조푸란-2-온.
9. 티오상승제, 예를들어 디라우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또는 디스테아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10. 과산화물 분해화합물, 예를들어 β-티오디프로핀산의 에스테르, 예컨대 라우릴, 스테아릴, 미리스틸 또는 트리데실 에스테르, 머캅토벤즈이미다졸 또는 2-머캅토벤즈이미다졸의 아연염, 디부틸디티오카밤산 아연, 디옥타데실 디술피드,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β-도데실메르캅토)프로피온에이트.
11. 폴리아미드 안정화제, 예를들어 요오다이드 및/또는 인 화합물과 조합된 구리 염 및 2가 망간의 염.
12. 염기성 공안정화제, 예를들어 멜라민, 폴리비닐피롤리돈, 디시안디아미드, 트 리알릴 시아누레이트, 우레아 유도체, 히드라진 유도체, 아민,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고급 지방산의 알칼리금속 및 알칼리토금속 염, 예컨대 스테아르산 칼슘, 스테아르산 아연, 베헨산 마그네슘,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리시놀레산 나트륨, 팔미트산 칼륨, 피로카테콜산 안티몬 또는 피로카테콜산 주석.
13. 핵 생성제, 예를들어 무기물질(예;활석), 금속 산화물(예; 이산화 티탄 또는 산화마그네슘),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토금속의 인산염, 탄산염 또는 황산염; 유기 화합물(모노- 또는 폴리카르복시산) 및 이들의 염, 예컨대 4-삼차부틸벤조산, 아디프산, 디페닐아세트산, 숙신산 나트륨 또는 벤조산 나트륨; 중합성 화합물, 예컨대 이온성 공중합체("이오노머"). 1,3: 2,4-비스(3',4'-디메틸벤질리덴)소르비톨, 1,3: 2,4-디(파라메틸디벤질리덴)소르비톨, 및 1,3: 2,4-디(벤질리덴)소르비톨이 특히 바람직하다.
14. 충전재 및 강화제, 예를들어 탄산칼슘, 실리케이트, 유리 섬유, 유리 구, 석면, 활석, 카올린, 운모, 황산바륨, 금속 산화물 및 수산화물, 카본 블랙, 흑연, 나무 분말 및 기타 천연 생성물의 분말 또는 섬유, 합성 섬유.
15. 분산제, 예를들어 폴리에틸렌 옥시드 왁스 또는 무기오일.
16. 다른 첨가제, 예를들어 가소제, 윤활제, 유화제, 안료, 유동 첨가제, 촉매, 유동조절제, 형광증백제, 미끄럼제, 가교제, 가교 촉진제, 할로겐 파괴방지제, 연기 억제제, 방염제, 대전방지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비스벤질리덴 소르비톨과 같은 정화제, 2,2'-p-페닐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과 같은 벤조옥사지논 UV 흡수제, CyasorbR 3638 (CAS #18600-59-4) 및 취입제.
본 발명의 용융 블렌드는 효과적인 미세다공성 막, 관통 필름 또는 네트로 형성될 수 있음을 고려해야한다. 즉, 섬유, 필라멘트 또는 직물이 아닌 다른 습윤성 폴리올레핀 물품.
본 발명은 하나의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및 화학식(I)의 화합물 한개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복수의 섬유로 용융 압출한 다음 그 섬유들을 냉각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섬유, 필라멘트 또는 직물 또는 부직포에 영구적인 습윤성을 부여하는 방법에도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섬유는 복수의 연속적 필라멘트로 연신가공되고, 웨브는 상기 필라멘트로부터 형성되며 또 상기 필라멘트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되어 직물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섬유 또는 필라멘트는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2성분 섬유 또는 필라멘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는 폴리올레핀 섬유, 필라멘트 또는 직물 또는 부직포에 영구적인 습윤성을 부여하기 위한 화학식(I)의 화합물의 용도이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을 어떠한 의미로든 제한하지 않는다. 첨가제 양은 중량%로 기록한다.
실시예 1: 폴리프로필렌 부직 섬유
8.5 kg의 폴리프로필렌 펠릿, Exxon Polybond 3155 PP 및 1.5 kg의 화학식(Ib)
Figure 112003017573448-pct00007
(Ib)의 화합물의 건조 혼합물을 TURBULA Mixer Type T10B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15% 농도의 혼합물을 Leistritz MIC 27/GL-32D 2축 스크류 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 배합하였다. 상기 압출기 가열대역은 190-220℃이고, 스크류 속도는 400 RPM이었고 또 공급 속도는 25 RPM 이었다. 용융 중합체 및 첨가제를 2개 개구 원형 다이를 통하여 배출시켰다. 용융 물질을 급냉시키고 냉수중에서 고화시켰다. 고화된 스트랜드를 CONAIR/JETRO 304 펠릿화기로 공급하였다.
농축 펠릿을 40 kg의 추가의 Exxon Polybond 3155 PP 펠릿으로 희석시키고 Marion SPS 1224 믹서로 혼합하여 3중량%의 첨가제 농도를 얻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3% 첨가제 펠릿으로부터 REICOFIL II Spunbonder 를 사용하여 하기 조건하에서 부직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제조하였다:
압출기 온도: 200-215℃,
스크린 변화 온도: 205℃,
스핀 펌프 온도: 215℃ 및 속도: 18.6 rpm,
223-240℃의 온도 구배를 갖는 4,000개 홀 스피너렛(spinneret),
138℃에서 최저 롤이고 140℃에서 최대 롤인 본더 압력: 291 PSI
냉각공기 속도: 3020 rpm, 및 흡입 공기 속도: 2510 rpm, 및
수집 권취 속도는 20 g/m2 중량을 갖는 부직섬유를 생성하도록 조정된다.
생성한 부직섬유를 시간에 따른 액체 접촉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투과성 및 내구성, 공지 체적의 모의 요(9.0 g NaCl/L)가 부직섬유를 통과하는데 걸린 시간을 평가하였다. INDA(International Nonwoven & Disposables Association) 표준 시험법은 Lenzing Lister 모델 1997을 이용한 #IST 70.3 (98)이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샘플을 연속적인 배출과 시간지연 복수회 배출을 Lenzing Lister 장치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더 짧은 시간간격은 소망하는 더 신속한 액체 통과를 의미한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마지막으로, 샘플을 INDA 표준 시험법 #IST 10.1 (95) 파트 8을 이용하여 모의 요의 흡수능에 대해 평가하였다. 이 방법은 시간 지연 흡수능을 측정하는데도 이용되었다. 흡수능은 건조 샘플의 중량에 대한 샘플에 의해 유지되는 액체중량의 비이다. 결과는 하기와 같다.
시간에 따른 INDA 액체 공격
시험법 #IST 70.3(98), 결과 초 단위.
바탕시험(첨가제없음) 화학식(Ib)의 첨가제 3%
> 1,000 초 3.63 초
> 1,000 3.64
4.21
상기 시험 결과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탁월한 습윤성을 갖는 부직 폴리프로필렌을 제공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연속적인 공격
공격 사이에 최대 30초를 두고, 3%의 화학식(Ib)의 첨가제를 갖는 세개의 동 일한 부직 샘플상에서 실시하였다. 결과 초 단위.
Figure 112003017573448-pct00008
시험하는 동안 연속적인 공격의 결과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단시간 간격을 두고 반복되는 액체 방출을 효과적으로 통과시킨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것은 화학식(Ib)의 내구성 또는 영구성을 나타낸다.
시간 지연 다수회 공격
통과당 1시간 건조하며, 결과는 초로 나타내고, 3%의 화학식(Ib)의 첨가제를 갖는 5개의 동일한 부직 샘플상에서 실시하였다.
Figure 112003017573448-pct00009
시험하는 동안 시간 지연 다수회 공격의 결과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공격당 장시간의 기간 동안 다수회 액체 방출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이것은 화학식(Ib)의 첨가제의 내구성 또는 영구성을 나타낸다.
흡수능
INDA 표준 시험 #10.1 (95) 파트 8을 실시하며, 그 결과는 건조 샘플의 중량 에 대한 샘플에 유지되는 모의 요의 중량비이다.
바탕시험 - 첨가제 없음: 0.4 3%의 화학식(Ib)의 첨가제: 8.8
이들 결과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놀랄만한 친수성을 나타낸다.
시간 지연 흡수능
INDA 표준시험 #10.1 (95) 파트 8, 샘플을 모의 요로 포화시키고, 24시간 동안 공기 건조시키며 다시 포화 시켰다. 건조 샘플의 중량에 대한 샘플에 유지된 모의 요의 중량의 원래 비를 유지하는 %를 결과로 나타낸다. 3%의 화학식(Ib)의 첨가제를 사용하여 부직 샘플상에서 시험을 실시하였다.
Figure 112003017573448-pct00010
이들 결과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모의 dy에 다수회 노출시킨 후 이들의 친수성을 효과적으로 유지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2: 폴리프로필렌 인쇄성
폴리프로필렌 및 5중량%의 화학식(Ib)의 첨가제를 용융블렌딩하고 필라멘트로 스펀한 다음 카펫으로 짰다. 이 카펫을 색지수(C.I.) 에시드 옐로우 216:1, C.I. 에시드 레드 266 및 C.I. 에시드 블루 40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짙은 갈색 트리크로마틱 색상을 갖도록 인쇄하였다. 이 인쇄 페이스트는 구아 검과 같은 점증제를 함유한다. 인쇄후, 염료의 도포량을 스티머에서 고정한다. 고정시킨 후, 카펫을 냉각수로 헹구어낸다. 본 발명의 섬유로 제조된 카펫은 탁월한 인쇄성을 나타낸다.
실시예 3: 폴리프로필렌 부직 섬유
화학식(Ib)의 화합물을 화학식(Ib)의 화합물 및 AtmerR 502, 2몰의 에톡실레이트화된 스테아릴 알코올의 1:1 혼합물로 교체하여 실시예 1을 반복하였다. 시간에 따른 액체 공격, 연속적 공격, 시간 지연 다수회 공격 및 시간 지연 흡수능 시험에 대해 탁월한 결과가 발견되었다.
실시예 4: 알칼리성 전지 격리판 - % KOH 흡수
폴리프로필렌 부직물질을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제조하였다. 배합물을 기본한 첨가제의 중량은 하기 표에 나타낸다. 부직물질을 4 인치2 부분으로 절단하였다. 부직물질을 167 mL의 40% KOH 용액중에 실온에서 침지시켰다. 5분후, 샘플을 빼내고 공기에서 1분간 건조시켰다. 샘플의 중량을 달아 초기 % KOH 흡수(습윤 중량 - 건조 중량/건조 중량 x 100). 습윤 샘플을 커버가 달린 비이커중 신선한 40% KOH 용액에 다시 침지시켰다. 비이커를 70℃ 오븐에 놓았다. 7일 후 샘플을 빼내고 탈이온수로 헹구었다. 샘플을 1일동안 공기 건조시키고 중량을 달아 70℃에서 7일후 % KOH 흡수능을 제공하였다.
Figure 112003017573448-pct00011
* 첨가제를 갖지 않는 부직 폴리프로필렌은 과량의 물 비이드를 갖지만, 흡수하는 것은 아니다. 이것은 본 발명의 친수성 부직 물질이 70℃에서 7일간 어닐링한 후에도 KOH 용액 흡수를 잘 나타내는 것으로부터 알 수 있다. 이들 결과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알칼리성 전지 격리판 용도에서의 사용가능성을 나타낸다. UnithoxR 420은 본 발명의 화학식(Ib)의 화합물과 동일하다.

Claims (16)

  1. (a) 폴리올레핀; 및
    (b) 하기 화학식(Ia)의 화합물 한개 이상을 포함하는 용융 블렌드를 포함하는 습윤성 폴리올레핀 섬유 또는 필라멘트:
    Figure 112007043414940-pct00013
    (Ia)
    식중에서,
    R1은 22 내지 40개 탄소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고, 또
    x는 2 내지 10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용융 블렌드가 부가적으로 화학식(Ia)가 아닌 에톡실레이트화된 지방족 알코올을 포함하는 섬유 또는 필라멘트.
  7. 제1항에 있어서, 용융 블렌드가 부가적으로 하기 화학식(Ic)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섬유 또는 필라멘트:
    C18H37(OCH2CH2)2OH (Ic)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하나의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및 제 1항에 따른 화학식(Ia)의 화합물 한개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복수의 섬유로 용융 압출한 다음 그 섬유들을 냉각시키고,
    상기 섬유는 복수의 연속적 필라멘트로 연신 가공되고, 상기 필라멘트로부터 웨브를 형성하며 또 상기 필라멘트를 부분적으로 접착하여 직물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섬유, 필라멘트 또는 직물 또는 부직포에 영구적인 습윤성을 부여하는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037006745A 2000-11-22 2001-11-13 습윤성 폴리올레핀 섬유 및 직물 Expired - Lifetime KR1007640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5257300P 2000-11-22 2000-11-22
US60/252,573 2000-11-22
US27416101P 2001-03-08 2001-03-08
US60/274,161 2001-03-08
US31128701P 2001-08-09 2001-08-09
US60/311,287 2001-08-09
US32263801P 2001-09-17 2001-09-17
US60/322,638 2001-09-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1403A KR20030061403A (ko) 2003-07-18
KR100764070B1 true KR100764070B1 (ko) 2007-10-08

Family

ID=27500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6745A Expired - Lifetime KR100764070B1 (ko) 2000-11-22 2001-11-13 습윤성 폴리올레핀 섬유 및 직물

Country Status (24)

Country Link
US (2) US8207070B2 (ko)
EP (1) EP1339899B1 (ko)
JP (1) JP4695328B2 (ko)
KR (1) KR100764070B1 (ko)
CN (1) CN1243858C (ko)
AT (1) ATE317921T1 (ko)
AU (2) AU2184702A (ko)
BR (1) BR0115519B1 (ko)
CA (1) CA2429380C (ko)
CZ (1) CZ305377B6 (ko)
DE (1) DE60117300T2 (ko)
DK (1) DK1339899T3 (ko)
ES (1) ES2257468T3 (ko)
HU (1) HU225565B1 (ko)
IL (2) IL155650A0 (ko)
IN (1) IN211806B (ko)
MX (1) MXPA03004515A (ko)
NO (1) NO331094B1 (ko)
PL (1) PL213368B1 (ko)
PT (1) PT1339899E (ko)
RU (1) RU2280111C2 (ko)
SK (1) SK286899B6 (ko)
TW (1) TW546427B (ko)
WO (1) WO200204253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3495B1 (ko) * 2014-12-31 2018-03-02 주식회사 휴비스 폴리올레핀계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07070B2 (en) 2000-11-22 2012-06-26 Techmer Pm, Llc Wettable polyolefin fibers and fabrics
ES2263032T3 (es) * 2002-12-11 2006-12-01 Corovin Gmbh Materiales polileofina hidrofilos y procedimiento de procuccion correspondiente.
US20050096620A1 (en) * 2003-10-31 2005-05-05 Bernhard Awolin Tampon having liquid-resistant base
US20050245157A1 (en) * 2004-04-30 2005-11-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Nonwoven fabrics comprising strata with differing levels or combinations of additives and process of making the same
US20060003154A1 (en) * 2004-06-30 2006-01-05 Snowden Hue S Extruded thermoplastic articles with enhanced surface segregation of internal melt additive
US7285595B2 (en) * 2004-06-30 2007-10-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ynergistic fluorochemical treatment blend
EP1794360A4 (en) * 2004-09-28 2008-03-19 Pgi Polymer Inc SYNTHETIC NONWOVENS
JP4767672B2 (ja) * 2004-12-06 2011-09-07 三井化学株式会社 親水性部と疎水性部を有する成形体の製造方法
US8022133B2 (en) * 2005-01-28 2011-09-20 Milliken & Company Co-additiv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applying co-additive compositions into nucleated polymer compounds
US20060212072A1 (en) * 2005-03-16 2006-09-21 Cuevas Brian J Polyolefin sutures having enhanced durability
US20070010148A1 (en) * 2005-07-11 2007-01-11 Shaffer Lori A Cleanroom wiper
US20070010153A1 (en) * 2005-07-11 2007-01-11 Shaffer Lori A Cleanroom wiper
US20100311920A1 (en) 2005-08-26 2010-12-09 Cid Centro De Investigacion Y Desarrollo Tecnologico Sa De Cv Using Reactive Block Copolymers as Chain Extenders and Surface Modifiers
JP2009512905A (ja) * 2005-10-24 2009-03-26 アキュロ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化学ワイプ
US20070141936A1 (en) * 2005-12-15 2007-06-21 Bunyard William C Dispersible wet wipes with improved dispensing
WO2008012236A1 (en) * 2006-07-27 2008-01-31 Ciba Holding Inc. Biocatalytic hydrophilization of polyolefines
US20100311849A1 (en) 2006-08-23 2010-12-09 Cid Centro De Investigacion Y Desarrollo Tecnologico Sa De Cv Using Reactive Block Copolymers as Chain Extenders and Surface Modifiers
CN100455342C (zh) * 2006-12-29 2009-01-28 浙江大学 一种亲水性聚乙烯中空纤维微孔膜及其制备方法
JP5631205B2 (ja) * 2007-06-11 2014-11-26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Basf Se 抗菌性ポリオレフィン及びポリエステル組成物
WO2009043946A1 (es) * 2007-10-02 2009-04-09 Dow Global Technologies Inc. Métodos para la reducción de aditivos polares necesarios para uso en poliolefinas
CN102046870A (zh) * 2008-05-29 2011-05-04 三井化学株式会社 混纤纺粘非织造布及其用途
DK2319970T3 (en) * 2008-08-25 2014-02-24 Mitsui Chemicals Inc Fiber, nonwovens and their use
WO2010114820A2 (en) 2009-04-03 2010-10-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ocessing aids for olefinic webs, including electret webs
PL2443190T3 (pl) * 2009-06-15 2014-04-30 Basf Se Trwała kompozycja dodatku antystatycznego
US8236886B2 (en) * 2009-07-30 2012-08-07 Equistar Chemicals, Lp Adhesive compositions
KR20120116387A (ko) 2009-08-27 2012-10-22 폴리머스 씨알씨 리미티드 나노 은-산화아연 조성물
WO2011035190A1 (en) * 2009-09-18 2011-03-24 Nano Terra Inc. Polyolefin fibers for use as battery separator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EP2316498A1 (en) 2009-10-30 2011-05-04 Unomedical A/S A medical hollow tube article
CN101798711B (zh) * 2010-03-26 2011-06-15 山东爱地高分子材料有限公司 超高分子量聚乙烯纤维的无断点直纺连续生产方法
RU2441953C1 (ru) * 2010-07-22 2012-02-1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Моск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ксти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А.Н. Косыгина"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синтетических волокнистых материалов для повышения их гигиеничности
EP2471856A1 (en) 2010-12-30 2012-07-04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olyolefin compositions
CN102336960A (zh) * 2011-07-20 2012-02-01 江苏兆鋆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改善聚丙烯亲水性的方法及得到产品的应用
US20140051812A1 (en) 2012-08-15 2014-02-20 Brian Burmaster Polymeric surface oxidation using peracids
CN103030863B (zh) * 2012-12-28 2018-04-06 广东美联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透气母粒及利用该母粒制造透气膜的方法
US9205006B2 (en) 2013-03-15 2015-12-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nonwoven substrates having fibrils
US9504610B2 (en) * 2013-03-15 2016-11-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for forming absorbent articles with nonwoven substrates
US20160002411A1 (en) 2013-04-19 2016-01-07 Basf Se Improving the chemical stability of membranes
WO2014170423A2 (en) 2013-04-19 2014-10-23 Basf Se Water filtration process
MX383673B (es) * 2013-06-12 2025-03-14 Kimberly Clark Co Fibras de poliolefina porosas.
CN103421235B (zh) * 2013-07-30 2016-06-01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聚丙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5637116A (zh) * 2013-08-09 2016-06-01 阿姆泰克研究国际公司 瞬时可润湿的聚合物纤维片
US10569227B2 (en) 2013-10-15 2020-02-25 Basf Se Improving the chemical stability of filtration membranes
DE102014205133A1 (de) 2014-03-19 2015-09-24 Robert Bosch Gmbh Batteriepack mit einer Anzahl von Batteriemodulen
CA2959817A1 (en) 2014-09-10 2016-03-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onwoven web
MX365116B (es) * 2014-09-17 2019-05-23 Bastos Viegas S A Hisopo quirúrgico compuesto de tela no tejida y red de polímero textil.
EP3591001A1 (en) 2014-11-20 2020-01-08 Cytec Industries Inc. Stabilizer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using same for protecting organic materials from uv light and thermal degradation
WO2017045198A1 (en) 2015-09-18 2017-03-23 Dow Global Technologies Llc High performance anti-dripping agent used in greenhouse film
CA3017187A1 (en) 2016-03-09 2017-09-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activatable material
WO2018160284A2 (en) * 2017-02-28 2018-09-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echinque for forming porous fibers
US11090407B2 (en) 2017-03-09 2021-08-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hermoplastic polymeric materials with heat activatable compositions
GB2579151A (en) * 2017-07-28 2020-06-10 Kimberly Clark Co Absorbent article having a reduced humidity level
JP7305621B2 (ja) 2017-09-11 2023-07-10 フレセニウス メディカル ケア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微多孔膜およびその作製方法
JP6545881B1 (ja) 2018-05-28 2019-07-17 竹本油脂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用添加剤、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ポリオレフィン系合成繊維不織布、及びポリオレフィン系合成繊維不織布の製造方法
RU192457U1 (ru) * 2019-06-26 2019-09-1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лгоград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ВолгГТУ) Фильтровальный материал
CN111282347A (zh) * 2020-03-31 2020-06-16 佛山市润境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蒸发机组滤芯及其生产方法
CN114438604B (zh) * 2022-02-16 2022-11-25 山东道恩斯维特科技有限公司 双组分非织造布的生产设备
CN120092045A (zh) 2022-10-18 2025-06-03 塞特工业公司 协同稳定剂组合物以及使用其保护有机材料免于uv线和热降解的方法
CN115957569B (zh) * 2022-12-09 2023-08-18 广州领音航复合材料有限公司 Cn95空调滤清器
EP4397397A1 (en) 2023-01-04 2024-07-10 Novamem AG Method of manufacturing a microporous polymer structu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49246B1 (en) * 1980-04-17 1985-06-05 Sandvik Aktiebolag Rotary drill bit
US5654086A (en) * 1995-08-01 1997-08-05 Chisso Corporation Durable hydrophilic fibers, cloth articles and molded articles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615683A (ko) 1961-03-29
DE2109030B2 (de) 1971-02-25 1973-01-25 Allied Chemical Corp., New York, N.Y. (V.StA.) Faden aus einem polyamid oder polyester
DE2924539C2 (de) 1979-06-19 1983-01-13 Fa. Carl Freudenberg, 6940 Weinheim Spinnvlies aus Polyolefin-Filamenten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S4578414A (en) * 1984-02-17 1986-03-25 The Dow Chemical Company Wettable olefin polymer fibers
US5001015A (en) 1986-10-14 1991-03-19 W. R. Grace & Co.-Conn. Antistatic polyolefin compositions and antistatic polyolefin films made therefrom, including oriented films
DK245488D0 (da) * 1988-05-05 1988-05-05 Danaklon As Syntetisk fiber samt 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deraf
US5348736A (en) * 1989-06-21 1994-09-20 Colgate-Palmolive Company Stabilized hair-treating compositions
US5281438A (en) 1989-10-02 1994-01-25 Arizona Chemical Company Additive for increasing the surface energy of molding and extrusion grade polyethylene
US5328951A (en) 1989-10-02 1994-07-12 Arizona Chemical Company Additive for increasing the surface energy of molding and extrusion grade polyethylene
US5240985A (en) 1989-10-02 1993-08-31 Arizona Chemical Company Additive for increasing the surface energy of molding and extrusion grade polyethylene
US5272196A (en) 1989-10-02 1993-12-21 Arizona Chemical Company Additive for increasing the surface energy of molding and extrusion grade polymers
US5262233A (en) 1991-02-19 1993-11-16 Mitsubishi Petrochemical Co., Ltd. Agricultural film
US5241042A (en) * 1991-12-13 1993-08-31 Milliken Research Corporation Finish for textile fibers containing polyalphaolefin and nonionic emulsifiers having a plurality of hydrocarbon chains
FR2706492B1 (fr) 1993-06-16 1995-09-29 Peaudouce Matériau non-tissé composite, procédé de fabrication et son application à tout article d'hygiène absorbant.
US5614574A (en) 1994-07-12 1997-03-25 Lyondell Petrochemical Company Wettable polyolefin fiber compositions and method
US5464691A (en) 1994-07-22 1995-11-07 Arizona Chemical Company Laminated barrier film
US5733822A (en) * 1995-08-11 1998-03-31 Fiberweb North America, Inc. Composite nonwoven fabrics
US5985193A (en) * 1996-03-29 1999-11-16 Fiberco., Inc. Process of making polypropylene fibers
US5685758A (en) 1996-04-12 1997-11-11 National Starch And Chemical Investment Holding Corporation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s with improved wicking properties
US5804625A (en) 1996-05-21 1998-09-0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Fluorochemical and hydrocarbon surfactant blends as hydrophilic additives to thermoplastic polymers
US5698322A (en) 1996-12-02 1997-12-1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ulticomponent fiber
EP0931805A1 (en) 1997-03-28 1999-07-28 Mitsui Chemicals, Inc. Triblock oligomers,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s, and antifog moldings
US6070107A (en) * 1997-04-02 2000-05-30 Stratasys, Inc. Water soluble rapid prototyping support and mold material
CA2241613A1 (en) 1997-07-02 1999-01-02 Rosina Khan Absorbent articles comprising a polyether-containing hot melt adhesive, and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s comprising polyethers in combination with surfactants
US6110849A (en) * 1997-12-19 2000-08-29 Kimberly-Clark Worlwide, Inc. Thermoplastic composition including polyethylene oxide
US6146757A (en) * 1998-06-29 2000-11-14 Techmer Pm Wettable polymer fibers, compositions for preparaing same and articles made therefrom
CN1322231A (zh) 1998-10-09 2001-11-14 H·B·富勒许可和金融公司 包括表面活性剂的热熔型粘合剂组合物
DE19851687A1 (de) 1998-11-10 2000-05-11 Cognis Deutschland Gmbh Verfahren zur hydrophilen Ausrüstung von Fasern auf Basis von Polyolefinen oder Polyester unter Einsatz von Alkylethoxylaten
US6153701A (en) 1998-11-20 2000-11-28 International Paper Company Wettable polypropylene composition and related method of manufacture
US6239047B1 (en) 1999-02-19 2001-05-29 Polymer Group, Inc. Wettable soft polyolefin fibers and fabric
WO2001014621A1 (en) 1999-08-25 2001-03-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iodisintegratable nonwovens with fluid management properties and disposable absorbent products containing same
US6218009B1 (en) * 1999-11-30 2001-04-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Hydrophilic binder fibers
DK1152027T3 (da) * 2000-05-04 2004-11-15 Ciba Sc Holding Ag Polyolefinfilmsammensætninger med permanente antidugegenskaber
US8207070B2 (en) 2000-11-22 2012-06-26 Techmer Pm, Llc Wettable polyolefin fibers and fabric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49246B1 (en) * 1980-04-17 1985-06-05 Sandvik Aktiebolag Rotary drill bit
US5654086A (en) * 1995-08-01 1997-08-05 Chisso Corporation Durable hydrophilic fibers, cloth articles and molded articl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3495B1 (ko) * 2014-12-31 2018-03-02 주식회사 휴비스 폴리올레핀계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70111A1 (en) 2012-10-25
MXPA03004515A (es) 2003-09-10
NO20032275L (no) 2003-07-18
AU2184702A (en) 2002-06-03
ATE317921T1 (de) 2006-03-15
IL155650A (en) 2009-11-18
US8663517B2 (en) 2014-03-04
EP1339899A1 (en) 2003-09-03
SK7832003A3 (en) 2003-11-04
DK1339899T3 (da) 2006-05-01
TW546427B (en) 2003-08-11
RU2280111C2 (ru) 2006-07-20
PL361668A1 (en) 2004-10-04
CN1476494A (zh) 2004-02-18
US20020169429A1 (en) 2002-11-14
HU225565B1 (en) 2007-03-28
WO2002042530A1 (en) 2002-05-30
CN1243858C (zh) 2006-03-01
IN2003CH00931A (ko) 2005-04-22
DE60117300D1 (de) 2006-04-20
EP1339899B1 (en) 2006-02-15
NO331094B1 (no) 2011-10-03
US8207070B2 (en) 2012-06-26
ES2257468T3 (es) 2006-08-01
AU2002221847B2 (en) 2007-08-02
NO20032275D0 (no) 2003-05-20
BR0115519A (pt) 2003-09-16
JP4695328B2 (ja) 2011-06-08
CA2429380C (en) 2010-01-05
PT1339899E (pt) 2006-06-30
BR0115519B1 (pt) 2010-05-18
CA2429380A1 (en) 2002-05-30
DE60117300T2 (de) 2006-11-09
CZ305377B6 (cs) 2015-08-26
HUP0400656A2 (en) 2004-09-28
SK286899B6 (sk) 2009-07-06
IL155650A0 (en) 2003-11-23
CZ20031734A3 (cs) 2003-10-15
JP2004523666A (ja) 2004-08-05
PL213368B1 (pl) 2013-02-28
IN211806B (ko) 2007-12-28
KR20030061403A (ko) 2003-07-18
RU2003116889A (ru) 2005-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4070B1 (ko) 습윤성 폴리올레핀 섬유 및 직물
DE60117301T2 (de) Anfärbbare polyolefinfasern und -flächengebilde
AU2002221847A1 (en) Wettable polyolefin fibers and fabrics
AU2002221899A1 (en) Dyeable polyolefin fibers and fabrics
AU2005263715B2 (en) Wettable polyester fibers and fabrics
JP2009516781A (ja) 湿潤性ポリエステル繊維及び布
ZA200303766B (en) Dyeable polyolefin fibers and fabrics.
ZA200303672B (en) Wettable polyolefin fibers and fabrics.
KR20070035566A (ko) 습윤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직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51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10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5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9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0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ublication date: 200804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1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7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0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1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2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0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