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52979B1 - 스펀본드계 부직포 및 위생 재료 - Google Patents

스펀본드계 부직포 및 위생 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2979B1
KR100752979B1 KR1020057005215A KR20057005215A KR100752979B1 KR 100752979 B1 KR100752979 B1 KR 100752979B1 KR 1020057005215 A KR1020057005215 A KR 1020057005215A KR 20057005215 A KR20057005215 A KR 20057005215A KR 100752979 B1 KR100752979 B1 KR 100752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pattern
fiber
convex
spunbon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5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3696A (ko
Inventor
마사루 오고
마사루 시마무라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세이 셍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81444A external-priority patent/JP471663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96882A external-priority patent/JP4716639B2/ja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세이 셍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세이 셍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53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3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2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297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filaments produced in association with filament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of the pad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of the pad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of the pad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2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yarns or filaments produced by wel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열가소성 합성 섬유 연속 필라멘트의 웹으로 구성된 부직포이며, 부직포의 표면과 이면 사이를 관통하는 부분적 열압 융착 섬유영역 패턴 및 부직포 구조의 양면에 비결합 섬유의 고밀도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엠보스 오목 또는 볼록 패턴에 의해 부직포의 구조가 고정되어 있고, 부직포의 볼록 엠보스 패턴의 면을 포함하는 부직포의 두께에 대한 부직포 구조의 저밀도영역이 차지하는 부직포의 두께의 비로 표시되는 숭고율이 100∼400%인 스펀본드계 부직포이다. 친수제가 부여된 이 부직포는 1회용 기저귀 등의 위생 재료로서 유용하다.
열가소성 합성 섬유, 스펀본드계 부직포, 비연속 패턴, 엠보스 패텀, 일회용 위생 재료

Description

스펀본드계 부직포 및 위생 재료{SPUN-BONDED NONWOVEN FABRIC AND SANITARY SUPPLIES}
본 발명은 스펀본드계 부직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직포 구조가 부분적 열압 융착의 비연속 패턴과 비결합 섬유의 고밀도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오목 또는 볼록 엠보스 패턴에 의해 고정된 유연하고, 숭고(嵩高)한 스펀본드계 부직포로서, 1회용 위생 재료 및 1회용 위생 재료에 유용한 개선된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
기저귀나 생리대 등에 사용되는 위생 재료는 일반적으로 소변이나 배출물을 투액하는 톱 시트, 흡수체 및 방수성을 갖는 백 시트, 그리고 방수성을 살린 입체 개더라 불리우고 있는 누설 방지용 커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위생 재료에 사용하는 소재로서는, 얇고, 강력함을 가지며, 아울러 피부에 직접 닿기 위한 소프트한 촉감을 갖는 점 및 생산성, 가격 등의 면에서 부직포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위생 재료의 하나인 1회용 기저귀의 톱 시트는 피부에 직접 닿는 재료이므로, 소프트한 촉감과 함께, 소변 등을 순식간에 투과하고, 웨트 백(wet back)이 적고, 수회 소변을 반복 투과하기 위한 내구성 투액 성능 등이 요구되어 왔다.
현재는 복합계 단섬유 등을 이용한 숭고한 섬유를, 열풍 또는 부분 열압 융착하여 접합한 것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열풍으로 접합한 부직포는 부피와 쿠션성을 갖지만, 충분한 쿠션성을 얻기 위해서는 부직포를 높은 평량으로 할 필요가 있으며, 게다가 그 표면이 복합 섬유로 구성되고, 열풍에 의한 융착에 의해, 부직포 구조를 고정하므로, 거칠고 딱딱하고 뻣뻣한 촉감의 부직포가 된다.
또한, 단섬유를 부분적 열압 융착한 포인트본드 타입의 부직포는 강력함이 낮고, 두께도 얇고, 단섬유의 섬유단이 피부를 자극하는 문제도 있다.
한편, 스펀본드법에 의한 부직포는 필라멘트의 웹을 부분적 열압 융착하고, 필요에 따라서 친수화 처리하여 제조되므로, 생산성이 높고, 강력함도 높아, 소프트한 촉감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섬유의 형상, 배열의 면에서, 일반적으로는 평면적이고 단섬유 부직포에 비하여 투액성, 웨트 백 특성 등의 성능도 충분하지는 않았다. 스펀본드 부직포의 부피의 개량 방법으로서는, 흡액성 코어부에 접하여, 상면 시트와 하면 시트로 이루어지는 표면 시트를 적층하고, 이 상면 시트에 의해 오목부의 개공 도액관을 형성하는 방법(일본 특허공개 평6-304203호 공보), 심초형 복합 섬유 또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 섬유 등의 2성분 섬유로 이루어지는 웹을 열 엠보스 가공하여 요철을 부형(賦形) 지지하는 방법(일본 특허공개 평11-286863호 공보), 심초형 복합 섬유 또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 섬유 등의 2성분 섬유로 이루어지는 웹에 열 엠보스 가공을 실시하여 요철을 부형하고, 요철 부형의 볼록부 정점을 필름 형상화하는 방법(일본 특허공개 평11-347062호 공보)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은 구멍을 뚫거나, 부형 고정하는 것으로, 부직포는 유연성이 결여된 것이었다.
본 발명자의 발명에 따른 일본 특허공고 소63-17944호 공보에 기재된 발명은 섬도(纖度) 0.5d∼5d의 필라멘트 웹으로 구성되고, 부분 결합부와 비결합성 요철 변형을 갖는 부직포이다. 그러나, 이 발명은 비결합성 부분의 섬유를 절곡하여, 요철을 몰딩하고, 섬유를 비벼 풀어서 숭고하게, 유연화하는 기술인데, 위생 재료로서 필요한 투액성 등의 특성에 관한 개시가 없다.
위생 재료의 다른 아이템인 입체 개더에 대해서는, 특히 누설 방지용 커프, 백 시트 등에는 방수성을 갖는 부직포로서 필라멘트 웹과 멜트블로우 섬유를 적층하고, 전자가 갖는 강력함과 후자의 미세한 커버링성, 방수성의 양 특성을 살린 적층 부직포가 사용되고 있다.
이 적층 부직포는 종래의 단일체의 필라멘트 웹과 비교하여, 커버링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한층 낮은 평량에서 그 기능을 갖게 된다. 그러나, 필라멘트 웹이 있는 것의 멜트블로우 섬유웹의 종이적인 형태가 한층 강해지고, 게다가 멜트블로우 섬유의 웹의 접착성도 어우러져서, 페이퍼 라이크(종이같은) 촉감으로 딱딱하고, 특히 저평량으로 됨에 따라서 펄럭펄럭한 얇은 부직포가 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부피의 개량방법으로서는, 투액성 코어부에 접하여, 상면 시트와 하면 시트로 이루어지는 표면 시트를 적층하고, 이 상면 시트에 의해 오목부의 개공 도액관을 형성하는 방법(일본 특허공개 6-304203호 공보), 심초형 복합 섬유 또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 섬유 등의 2성분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에 열 엠보스 가공을 실시하여 요철을 부형 지지하는 방법(일본 특허공개 평11-286863호 공보), 심초형 복합 섬유 또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 섬유 등의 2성분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에 열 에너지 가공을 실시하여 요철을 부형하고, 요철 부형의 볼록부 정점을 필름 형상화하는 방법(일본 특허공개 평11-347062호 공보) 등이 공지이기는 하지만, 이들 방법은 구멍을 뚫거나, 부형 고정하는 것이므로, 부직포는 유연성이 결여된다.
본 발명자의 출원에 따른 특허출원공고 공보(일본 특허공고 소63-17944호 공보)에는, 섬도 0.5d∼5d의 필라멘트 웹으로 구성되고, 부분 결합부과 비결합성 요철 변형을 갖는 부직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공고공보에는 멜트블로우 섬유웹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기재는 없고, 본 발명에서 나타낸 멜트블로우 섬유웹의 접착성 개선 효과에 대해서도 개시되어 있지 않다.
도 1(I)는 본 발명의 스펀본드계 부직포의 평면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II)는 부분적 열압 융착 섬유영역 패턴만으로 부직포 구조가 고정되고 부직포면의 비결합 섬유영역에 요철 가공을 실시하고 있지 않는 스펀본드계 부직포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1(III)는 본 발명의 스펀본드계 부직포의 단면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스펀본드계 부직포에 있어서의 연속적으로 이어진 비결합 섬유의 고밀도영역의 격자 오목 무늬, 즉 부직포 구조의 제1 면에 특히 연속적으로 이어진 격자 오목 무늬 패턴이 형성된 실시 양태를, 부분적 열압 융착 섬유영역 패턴의 도시를 생략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비결합 섬유의 고밀도영역 오목 무늬가 비연속인 본 발명의 스펀본드계 부직포이고, 도 2의 예와 마찬가지로 부분적 열압 융착 섬유영역 패턴의 도시를 생략하여 도시한다.
도 4는 비결합 섬유의 고밀도영역 귀갑(龜甲) 오목 무늬가 연속적으로 이어져서 형성된 본 발명의 스펀본드계 부직포이고, 도 2의 예와 마찬가지로 부분적 열압 융착 섬유영역 패턴의 도시를 생략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과 비교예 1, 5 및 6에 의한 스펀본드계 부직포의 제반 하중하의 두께와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8과 비교예 8의 스펀본드계 부직포의 제반 하중하의 두께를 비교하는 도면이다.
도 7(I)는 본 발명의 일례로서의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를 도시하고, 도 7(II)는 도 7(I)의 비결합 섬유의 구역에 요철 가공을 실시하기 전의 스펀본드 부직포의 구조를 도시한 현미경 사진의 확대도이다.
도 8(I)는 다른 예로서의 멜트블로우 섬유웹을 부가한 본 발명의 스펀본드계 부직포의 구조, 도 8(II)는 도 8(I)의 비결합 섬유 구역에 요철 가공이 적용되기 전의 스펀본드계 부직포의 구조를 도시한 현미경 사진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 숭고하고 소프트한 촉감, 고투수성을 가지며, 웨트 백이 적고, 강력함이 우수한, 1회용 기저귀 등의 제조에 유용한 위생 재료로서의 개량된 스펀본드계 부직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높은 생산성하에서 제조할 수 있는 스펀본드법에 의해, 개량된 스펀본드계 부직포의 위생 재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부직포의 기본적인 구성은 열가소성 합성 섬유 연속 필라멘트의 웹을 주체로 이용하여 구성된 부직포이고, 부직포의 표면과 이면 사이를 관통하여 일체화하고 있는 부분적 열압 융착 섬유영역 패턴 및 부직포 구조의 양면에 비결합 섬유의 고밀도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엠보스 볼록 또는 오목 패턴에 의해 부직포의 구조가 고정되어 있으며, 부직포의 볼록 엠보스 패턴의 면을 포함하는 부직포의 두께에 대한 부직포 구조의 비결합 섬유 저밀도영역이 차지하는 부직포의 두께의 비로 표시되는 숭고(嵩高)율이 1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펀본드계 부직포이다.
열가소성 합성 섬유 필라멘트층에 멜트블로우 섬유층을 부가한 부직포 구조를 채용하는 것도 본 발명의 스펀본드계 부직포의 바람직한 기본 양태 중 하나이다.
즉 적어도 1층의 열가소성 합성 섬유 연속 필라멘트 웹과 적어도 1층의 멜트블로우 섬유의 웹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복합 웹으로 형성된 부직포이고, 부직포의 표면과 이면 사이를 관통하는 부분적 열압 융착 섬유영역 패턴 및 부직포 구조의 양면에 비결합 섬유의 고밀도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엠보스 볼록 또는 오목 무늬에 의해 부직포의 구조가 고정되어 있으며, 부직포의 볼록 엠보스 패턴의 면을 포함하는 부직포에 두께에 대한 부직포 구조의 비결합 섬유의 저밀도영역이 차지하는 부직포의 두께의 비로 표시되는 숭고율이 100% 이상인 스펀본드계 부직포로 함으로써, 위생 재료로서 요망되는 숭고성(벌크성, bulkness), 유연성이라는 기본적 성능을 한층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펀본드계 부직포(1)의 기본 구조를 도 1에 모식도로 도시한다. 도 1(I), 도 1(II)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직포 구조가 (A)부분적 열압 융착 섬유영역 엠보스 패턴(이하, 간단히 부분적 열융착부라고 하기도 함) 및 (B)비결합 섬유의 고밀도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엠보스 볼록 또는 오목 패턴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A) 및 (B)의 패턴은 모식적으로 도시한 패턴이고, 실제 패턴은 (A)와 (B) 모두 형상과 피치 모두 바꿀 수 있다. 그리고, (A) 및 (B)의 각 패턴은 부직포 구조의 표면과 이면에 각각 독립하여 비연속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부직포 구조는 상기 (A) 및/또는 (B)에 접하여, 부가적으로 (C)의 비결합 섬유의 저밀도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A)부분적 열압 융착 섬유영역 엠보스 패턴은 열 엠보스에 의해 부여되고, (B)비결합 섬유의 고밀도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엠보스 볼록 또는 오목 패턴은 저온하 또는 섬유를 융착하지 않는 온도하에서 부여된 엠보스 패턴이고, 부직포의 상면(제1 면)과 하면(제2 면)에서 반대방향으로 몰딩되는 패턴이다(도 1(III), 도 2∼도 4 참조). 본 발명의 스펀본드계 부직포의 한 구체예를 도 7에 도시한다. 도 7(I)에서 (A), (B) 및 (C)의 엠보스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부직포 구조를 볼 수 있다. 도 8(I)는 멜트블로우 섬유웹의 적층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스펀본드계 부직포의 예이고, 도 7의 예와 마찬가지로, (A), (B) 및 (C)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부직포 구조를 볼 수 있다. 이상, 도 7 및 도 8로부터, 상술한 상기 (A), (B) 및 (C)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부직포 구조의 고정 구조의 구체적 양태는 명료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스펀본드계 부직포에 있어서, 숭고율은 부직포의 볼록 엠보스 패 턴의 면을 포함하는 부직포의 두께(b)에 대한 부직포 구조의 비결합 섬유의 저밀도영역이 차지하는 부직포의 두께(a)의 비, 즉 다음 식에 의해 산출되는 값으로 표시된다(도 1(III) 참조).
숭고율(%)=(b/a)×100
여기서, 비결합 섬유의 저밀도영역의 두께(a)는 저온하의 요철 엠보스 가공전의 두께이고, 따라서 숭고율은 요철 가공 전후의 두께의 차에 의거하여 산출해도 무방하다. 숭고율은 부직포의 유연성을 결정하는 관점에서 중요하고, 이것은 저온하의 요철 가공이 부직포 구조에 러빙 작용을 부여하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본 발명의 스펀본드계 부직포에, 부가적으로, 친수화제를 비결합 섬유의 고밀도영역(B)에 주로 함유시킴으로써, 위생 재료로서 원하는 성능, 벌키, 유연, 투수, 웨트 백의 4가지 특성을 동시에 만족하는 만족스런 부직포로 개질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스펀본드계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로서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또는 그의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섬유가 섬유 자체의 보수성이 낮은 점, 웨트 백 특성에 있어서 바람직하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또는 그의 공중합체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섬유가 탄력이 있고 보슬보슬한 느낌이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고, 나일론 6, 66, 610, 12 또는 그의 공중합체 등의 폴리아미드계 섬유가 촉촉한 유연성이 있는 부직포를 얻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서, 이들 복합 섬유, 혼합 섬유, 게다가 그 밖의 특수 기능을 갖는 섬유와의 혼합도 가능하다.
부직포는 표면이 소변으로 젖었을 때, 또한 사용시의 몸의 움직임 등에 대응할 수 있는 강력함이 필요하고, 또한 생산성의 점에서도, 연속 장섬유(필라멘트)를 웹으로 하고, 이것을 접합함으로써 형성되는 스펀본드법에 의한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스펀본드법에 의한 부직포는 섬유 길이가 길기 때문에 실용상의 강도를 가지며, 통기성이 우수하고, 아울러 습식법 또는 건식법에 의한 경우와 달리, 유제(油劑) 처리 등을 행하지 않고 섬유가 그대로 시트화되어 있으므로 섬유 특유의 발수성 등의 성질을 살릴 수 있다.
부직포 구조내의 섬유웹의 접합은 부직포의 강도 및 유연성, 섬유 자체의 촉감을 지니게 하기 위해서는, 부분적 열압 융착법에 의해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분적 열압 융착에 있어서의 열압 융착 면적율은 강도 유지, 유연성의 점에서 5∼40%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25%이다. 부분적 열압 융착은 초음파 웰더 등 외에, 구성 섬유의 융점 이하로 가열된 열 엠보스 롤러 사이에 웹을 통과하는 등으로 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직포 구조의 표리가 일체화되고, 예를 들면 핀포인트 형상, 직사각형 형상 등의 부침(浮沈) 모양이 부직포 전체면에 산점한다. 당연히, 이 열압 융착부는 압착되고, 필름의 성질을 띠지만, 그 주변의 섬유는 사용되는 섬유 특유의 촉감을 갖고 있다.
이 부분 열압 융착만에 의한 부직포는 섬유의 구성, 엠보스의 형상, 배치에 따라서, 그 두께는 변하지만, 통상의 둥근 단면 섬유의 무권축(無捲縮) 섬유에서는 두께가 크다고는 말할 수 없다. 특히 스펀본드법에 의한 통상의 웹에서는 그 형성시의 섬유의 배열도 평면적이고, 벌크성이 없는 것이다.
한편, 부분 열압 융착이란 열과 압력에 의해 부분적으로 접착된 것으로 구성 섬유의 융점 이하의 온도에서 엠보스 패턴 형상으로 부분적으로 압력을 가함으로써 형성시킨다. 융점 온도 이상에서 융착되어 필름으로 된 것과 달리 섬유 형상을 남기면서 접착된 "필름의 성질을 띠는" 부분이고, 비결합성 요철 가공으로 형성되는 고밀도 부분과 구별하는 의미로 부분 열압 융착으로 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펀본드계 부직포는 부분적 열압 융착부에 의해 표리 일체화된 부직포에 있어서, 일면에는 열압 융착부의 패턴과는 다른, 비결합 섬유의 고밀도영역의 오목부를 가지며, 반대면에서는 비결합 섬유의 고밀도영역의 볼록부를 갖는 부직포 구조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부직포 구조는 점재하는 부분적 열압 융착부에 의해 표리 일체화되어 있지만, 그 밖의 부분은 비결합 섬유의 고밀도영역의 볼록 또는 오목 엠보스 패턴과 비결합 섬유의 저밀도영역과 섬유 밀도가 다른 2개의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이 저온 엠보스 몰딩 가공의 러빙 작용을 받아서 섬유 자체가 움직이기 쉬운 구조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소프트한 촉감이고 게다가 벌키한 부직포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비결합 섬유의 고밀도영역이란, 도 1∼도 3의 B로 나타낸 구역으로서, 섬유간의 융착 또는 접착이 이루어지지 않은 구역이고, 요철 가공용 엠보스 롤러의 요철부가 압축됨으로써, 섬유가 압축되어 밀집된, 밀도높은 섬유 영역을 말하고, 예를 들면 섬유 체적 분율로 표시하면 15∼35%의 범위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비결합 섬유의 고밀도영역의 면적율은 5∼50%, 바람직하게는 5∼25%이다. 여기서, 부분 열압 융착부의 산출은 열압 융착된 엠보스 패턴의 형상으로부터 산출된다. 시료인 부직포를 현미경으로 확대하고, 서로서로 융착되어 필름의 성질을 띠는 것으로 보이는 부분의 윤곽으로부터, 그 크기와 피치를 측정하고, 그 면적을 구하고, 시료 전체의 면적에 대한 면적율을 산출하였다.
비결합 섬유의 저밀도영역이란 도 1의 C로 나타낸 영역이고 섬유의 융착 또는 접착이 없는, 요철 가공용 엠보스 롤러에 의한 압축을 받지 않는 부분에 해당하고, 비결합 섬유의 고밀도영역에 비하여 섬유가 밀집되어 있지 않으며, 대체로 요철 가공전의 섬유 집합 밀도를 갖는 영역이다. 따라서, 이 저밀도 영역의 섬유는 숭고하고, 움직임의 자유도가 있으며, 섬유 본래의 소프트한 감촉을 갖는다. 예를 들면, 비결합 섬유의 저밀도영역의 섬유 체적 분율은 5∼15%의 범위이다. 비결합 섬유의 고밀도영역의 면적은 엠보스 무늬가 가압되어 형성된 섬유의 고밀도영역에서 구성 섬유가 찌부러지거나, 부분적으로 변형되어 있는 궤적을 본뜨고, 그 면적을 구하고, 시료 전체의 면적에 대한 면적율을 산출한다. 비결합 섬유의 고밀도영역의 섬유 형상으로서는, 간단히 구성 섬유에 잘록함이 보이거나, 또는 변형이 적은 섬유도 포함하였다.
비결합 섬유의 고밀도영역은 얇은 두께로 섬유가 밀집하고, 친수화제로 처리한 것은 친수화제가 고밀도영역에 많이 함유되기 때문에, 액의 투과성이 양호하고, 외표면이 평활하고, 매끈매끈한 소프트한 감촉을 준다.
비결합성의 저밀도영역은 고밀도영역에 비하여 두껍고, 섬유의 집합 밀도가 낮고, 유연하고 숭고하고, 액의 투과성은 양호하지만, 액의 웨트 백에 대하여 배리어적으로 작용하고, 액의 웨트 백 특성(웨트 백)이 양호하다.
상기의 작용에 관하여 도 1∼도 3의 단면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도 3은 본 발명의 부직포의 구조적인 특징을 알기 쉽게 모식도로 도시한 것이다.
(A) 부분 열압 융착부는 부직포 전체의 강력함을 유지하기 위하여 작용하는 영역이고, 적정한 면적율을 갖는 것이다.
(B) 비결합성 고밀도영역은 B의 영역이고, 부직포의 표면에서 돌출한 형상을 갖고, 이 때문에 부직포 전체를 벌키하게 하는 작용을 갖는다. 게다가, 이 B의 영역에 친수화제가 많이 함유됨으로써, 이 부분의 친수성이 대폭 향상되고, 이 B의 영역을 통한 액의 투과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갖는다.
(C) 비결합성 저밀도영역은 C의 영역이고, 섬유의 자유도가 높고, 유연성이 풍부하고, 소프트한 촉감을 주는 작용을 갖는다. 게다가, C의 영역은 벌키 효과에 의해 흡수체로부터의 액의 돌아감에 대하여 배리어적으로 작용하고, 웨트 백 특성이 향상된다는 작용을 갖는다.
또한, B와의 경계에서는 구부러지기 쉬운 성질을 주는 작용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특징으로서, (A), (B) 및 (C)의 각 영역이 각각 상기한 작용을 가지며, 전체적으로 위생 재료에 적합한 작용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부직포는 종래 기술에서 나타낸 복합 섬유를 이용하고, 접합이나 열풍 처리 등으로 서로 융착되어 딱딱하고, 까슬까슬한 부직포와는 전혀 상이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유도를 갖는 섬유층에, 비결합성이고 아울러 요철 변형을 부여함으로써, 부분적인 변형(늘어남)이 가해진 섬유층으로 할 수 있으며, 이 때문에 쿠션성이 양호하고, 따라서 하중을 가했을 때, 압축되기 어려운 특성을 갖는다. 이 때문에, 하중하에서도 벌크성이 있고, 다공성이 되기 때문에, 액이 침투하기 쉽고(투액 속도가 빠르고), 또한 일단 투과하여, 흡수된 액의 웨트 백이 어려워지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직포에 부여되는 요철 변형은 부분 결합되어 있는 결합부의 패턴과 부분적으로 일치하지 않는 임의 형상의 오목 또는 볼록 변형이고, 오목 또는 볼록부의 형상, 크기, 깊이는 결합 패턴과 관련하여 유연성 효과에 중요하다.
오목 또는 볼록부의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면 직선, 곡선, 각, 원, 바둑판 형상, 그 밖의 연속적으로 이어져서 배치되거나, 또는 비연속인 것이 고려되지만, 유연성 효과의 점에서, 오목 또는 볼록부의 깊이는 0.2∼5㎜로 깊은 것일수록 효과가 커진다. 또한, 비연속의 볼록부 가압면의 크기는 0.1∼5㎜이고, 또한 오목 또는 볼록부의 피치는 0.5∼5㎜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본 발명의 부직포의 전체의 평면 관찰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2 및 도 3에, 부직포에 각형상의 엠보스를 실시한 예를 도시한다. 도 2 및 도 3은 비결합 요철 가공의 패턴의 2가지 예를 도시하고, 도면에서, 열융착부의 패턴 및 그 분포는 생략하여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3과 같이 볼록부가 점재하는 엠보스 무늬를 가압함으로써 고밀도영역에서 비연속적으로 산재하는 오목부가 형성되게 된다. 또한, 도 2와 같이 볼록부가 연속하는 엠보스 무늬의 가압에 의해, 고밀도영역이 연속된 상태에서, 비가압부는 섬유층이 솟아오른 상태로 된다. 연속 무늬에 의한 변형의 피치는 그 무늬에 따르지만, 1∼5㎜가 바람직하고, 오목부의 크기는 폭이 0.02∼3㎜인 선 또는 점선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밀도영역을 형성함에 따른 벌키 효과로 두께는 증가하여, 부직포 구조의 숭고성이 향상되어 있으며, 하중에 대한 두께 변화도 적다. 본 발명자들은 부직포에 친수화제를 부여하면 비결합 섬유의 고밀도영역에 있어서 친수화제의 농도가 높아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부직포는 겉보기 두께가 큰 편이 유연해지지만, 요철 변형의 피치 및 오목부의 크기는 너무 두께를 크게 하지 않는 편이, 섬세한 섬유 감촉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부직포의 숭고율은 100%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05∼400%이고, 110∼300%가 더욱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20∼200%이다. 숭고율이 커지면, 하중에 대한 두께의 저하도 적어지고, 부직포의 쿠션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스펀본드계 부직포의 하중에 대한 두께 변화를, 도 5, 도 6에 예시한다. 본 발명의 스펀본드계 부직포는 각 하중에 대하여 두께가 크고, 숭고하고, 하중에 대한 압축 특성이 양호하다고 말할 수 있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스펀본드계 부직포가, 예를 들면 1회용 기저귀의 톱 시트로서 이용된 경우, 사용 시간의 경과에 따른 두께의 저하도 적고, 기저귀 사용중의 유연, 숭고 특성이 지속되는 효과가 크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젖은 상태에서도 두께의 저하가 적고, 액의 흡수체로부터의 돌아감에 대하여 숭고성이 크기 때문에, 양호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스펀본드 부직포의 오목 또는, 비결합 섬유의 볼록 엠보스 패턴을 부여하는 방법은 예를 들면 표면에 오목, 볼록 또는 요철 모양을 가지며, 양자가 꼭 끼워맞춰지도록 된 롤러 사이, 한쪽의 표면에 오목, 볼록 모양을 갖는 롤러와 가요성 롤러 사이에서 가압하거나, 또는 판 사이에서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특수한 방법으로서 협소한 틈새의 롤러 사이에서 포를 일정 비율로 강제적으로 오버피드시키고, 작은 주름 형상의 몰딩을 하는 방법도 있다.
도 4는 각각이 표면에 둥근형의 요철 모양을 가져 양자가 꼭 끼워맞춰지도록 되어 있는 2개의 롤러 사이를 통과함으로써 요철 변형을 부여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오목, 볼록 몰딩의 조건에서 특히 주의해야 할 것은 처리시의 온도와 부직포에 가하는 압력이다. 처리시의 온도는 상온이어도 무방하지만, 필요에 따라서 가온하여 가소화하고 몰딩하기 쉽게 하거나, 형태의 안정성을 취할 목적으로 섬유의 결합이나 세트가 생기지 않는 범위에서 온도를 높여서 처리해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의 경우는 30∼11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엠보스 처리 압력은 온도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몰딩이 충분히 행해지는 압력으로 설정하는 것은 당연하다. 한편, 이 몰딩을 행함으로써 압축된 부분의 섬유 단면의 변형이 일어나는데, 이러한 부분적 변형 효과에 의해, 더욱 유연함을 주기 때문에, 더욱 고압의 처리를 하는 것도 유효하다. 물론, 압축부에서의 섬유간의 가고정이나 열압 융착이 일어나지 않는 조건을 채용해야만 한다.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의 경우에는 20∼15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스펀본드계 부직포에서는, 부직포의 일면에 몰딩 형성된 비결합 섬유의 고밀도영역 오목부가, 반대면에서도 비결합성의 고밀도 섬유로 볼록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일면에 오목부가 연속된 고밀도영역을 형성하는 경우, 타면에서는 고밀도영역이 볼록부로 되도록, 다른 구역보다도 돌출한 볼록 형상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부직포 전체의 겉보기 두께를 웹의 두께 이상으로 함과 아울러, 친수화제를 특정 부위에 부여시키는 관점에서 중요하다.
본 발명의 스펀본드계 부직포의 친수화 처리는 통상 희석한 친수화제 용액을 사용하여, 침지법, 분무법, 코팅법(롤 코터, 그라비아 코터, 다이 등) 등의 공지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부직포는 친수화제의 부여후, 열풍, 열 롤러 등의 건조 수단을 이용하여 건조한다.
친수화 처리에 있어서, 먼저 부여되어 있는 고밀도영역과 그 이외의 부분에서는 처리제의 부착 분포가 상이하다고 생각된다. 처리제액을 부여했을 때, 액은 섬유의 저밀도, 이른바 거친 부분에 외관상 많이 포함되게 되지만, 부직포가 건조됨에 따라서, 마르기 쉬운 부분에 액이 이동한다. 이 때문에, 비결합 섬유의 고밀도영역은 부직포의 두께가 얇은데 비해, 처리제의 부착이 많아지고, 액이 통과하기 쉬워진다고 생각하고 있다. 또한, 일단 투과한 액은 저밀도영역이 압축되기 어렵고 벌키하기 때문에, 흡수층으로부터 멀어지게 되고, 웨트 백이 어렵다. 이와 같이, 친수화제는 주로 비결합 섬유의 고밀도영역에 많이 함유되는 결과로 되고, 본 발명의 스펀본드계 부직포에 특유한 액의 투과성의 향상, 웨트 백 특성의 향상, 액 흐름의 개선 등의 효과가 얻어진다.
친수화 처리에 앞서,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등을 실시해 두는 것도 친수화 정도를 향상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코로나 처리 등의 처리는 인쇄의 전처리 등으로서, 젖음 특성의 개량 등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처리로 무방하고, 예를 들면 고주파 발생 발진기 등에 의해, 방전 전극과 처리 롤러 사이에 고주파 전력을 공급하여 방전시키고, 부직포를 이 사이에 통과하여 처리한다. 필요한 젖음성 및 처리 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처리면의 표면 장력이 37∼40mN/m으로 되도록 방전 조건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한 경우에는 부직포 자체의 젖음성은 상이하기 때문에, 필요 성능을 얻기 위하여 친수화제의 부여량을 조정하는 것은 당연하다. 부직포의 표면 장력이 37∼40mN/m의 범위이면, 친수화제와 부직포의 표면 섬유간의 친화성이 현저히 향상되고, 친수화제를 저농도로 게다가 균일하게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친수화제의 부여는 비결합 섬유영역의 요철 가공후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요철 가공 이전에 적용해도 특히 문제는 없다.
친수화제 처리를 거친 본 발명의 스펀본드계 부직포 위생 재료에 사용함에 있어서는, 위생 재료로서 목적으로 하는 특성 레벨에 따라서, 부여해 두는 성능, 또는 이용법을 선택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부직포의 표리의 촉감의 차이도 관련된다. 몰딩된 오목, 볼록 패턴에 있어서의 섬유 고밀도영역은 상호 접합되어 있지 않지만, 다른 것에 비하여 고정되기 때문에, 기저귀의 톱 시트로서 사용함에 있어서는, 부직포의 면에서는 직접 피부에 닿지 않는 피부 반대면의 흡수체측에 배치하거나, 친수성을 중시할 때는 고밀도영역을 톱 시트의 피부면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 한 양태이다.
본 발명의 스펀본드계 부직포는 부직포 구조에 적어도 1층의 필라멘트 웹과, 적어도 1층의 멜트블로우 웹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2층 이상의 적층체를 이용하는 양태가 있다.
이 경우, 부직포에 사용하는 섬유로서는, 상기에 기재한 섬유 소재가 유효하다. 필요에 따라서, 이들 복합 섬유, 혼합 섬유, 게다가 그 밖의 특수 기능을 갖는 섬유와의 혼합도 유효하다. 필라멘트 웹끼리가 층 사이에서 상이한 소재이어도 유효하고, 또한, 필라멘트 웹과 멜트블로우 섬유웹이 상이한 소재이더라도 무방하다.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폴리아미드계 섬유 등의 물과의 친화성을 갖는 소재는 방수, 발수성의 점에서, 필요에 따라서 실리콘계, 불소계, 또는 왁스계 등의 방수제, 발수제에 의한 처리 또는 첨가에 의한 개량을 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부직포는 사용시의 몸의 움직임 등에 대응할 수 있는 강력함이 필요하고, 생산성의 점에서도 적어도 1층의 필라멘트 웹과, 적어도 1층의 멜트블로우 섬유웹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2층 이상의 적층체로 하고, 이것을 연속적으로 접합함으로써 형성되는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이 적층 구조는 간단히 필라멘트 웹과 멜트블로우 섬유웹의 적층이어도 무방하지만, 표면 강도가 약한 멜트블로우 섬유의 웹을 보충하기 위하여, 통상, 필라멘트 웹층 사이에 멜트블로우 섬유웹층을 적층한 것이 사용되고, 게다가 각 층을 복층으로 하는 것이 유용하다. 또한, 각각의 웹을 접합한 후에 적층한 것이어도 무방하다.
스펀본드계 부직포를 구성하는 필라멘트는 0.5∼5dtex이고, 섬유 길이가 길 기 때문에 실용상의 강도를 가지며, 통기성이 우수하고, 아울러 습식법 또는 건식법에 의한 경우와 달리, 유제 처리 등을 행하지 않고 섬유가 그대로 시트화되어 있으므로 섬유 특유의 발수성 등의 성질을 살릴 수 있다.
멜트블로우 섬유웹은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고 소56-3351호 공보, USP3,978,185, USP3,825,380 등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1∼6㎛의 가느다란 섬유로 형성되어 있으며, 커버링성이 우수하고,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소재에서는, 더욱 발수, 방수 효과에 기여한다. 멜트블로우 섬유웹은 가느다란 섬유이기 때문에, 결정 배향성이 낮으므로 필라멘트 웹보다도 접합하기 쉽다. 그러나, 반면, 단일체로 사용한 경우에는 접합하더라도 강력함은 약하고, 페이퍼 라이크(종이 같은) 감촉으로 딱딱한 것으로 된다. 이 때문에, 필라멘트 웹과 멜트블로우 섬유웹을 적층함으로써, 각각의 결점을 보충하고, 실용상의 강력함, 커버링성, 발수성, 방수성이 우수한 것으로 된다.
웹의 접합, 고정은 부직포의 강도 및 유연성, 섬유 자체의 촉감을 지니게 하기 위해서는, 열 엠보스 롤러를 사용하는 부분 열압 융착에 의해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분 열압 융착에 있어서의 열압 융착 면적율은 강도 유지, 유연성의 점에서 5∼40%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25%이다. 부분 열압 융착은 초음파법에 의해, 또는 가열 엠보스 롤러 사이에 웹을 통과함으로써 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표리 일체화되고, 예를 들면 핀포인트 형상, 타원 형상, 다이아몬드 형상, 직사각형 형상 등의 부침 모양이 부직포 전체면에 산점한다. 당연히, 열압 융착부는 압착되고, 필름의 성질을 띠지만, 그 주변의 섬유, 특히 필라멘트 웹은 사용되는 섬유 특유의 촉감을 남기게 된다.
필라멘트 웹층을 접합하는 조건에서는, 멜트블로우 섬유웹층은 아주 가느다랗고, 그 섬유 형성시 등의 특성으로부터, 열에 의해 페이퍼 라이크(종이같은) 촉감으로 되어, 부직포 전체적으로는 종이같은 딱딱함을 갖는 것으로 된다. 또한, 이 부분 열압 융착에 의한 부직포는 섬유의 구성, 엠보스의 형상, 배치에 따라서, 그 두께는 변하지만, 멜트블로우 섬유웹층 특유의 접착 효과가 생기고, 두께는 얇아지고, 벌크성이 없는 것으로 된다. 벌크성의 개량 방법으로서는, 종래의 기술의 항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구멍을 뚫거나, 부형 고정하는 방법이 있지만, 이들은 본 발명과 같이, 적어도 1층의 필라멘트 웹과 적어도 1층의 멜트블로우 섬유웹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2층 이상의 적층체를, 표면에 산재하는 비연속의 부분적 열압 융착부에 의해 표리 일체화한 부직포를, 비결합성의 요철 변형에 의해 부피 또는 소프트성을 얻고자 하는 것이 아니고, 또한 멜트블로우 섬유웹층의 접착 효과를 개선하는 것이 아니다.
부직포 구조에 멜트블로우 섬유웹을 적층하는 설계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포인트는 적어도 1층의 필라멘트 웹과 적어도 1층의 멜트블로우 섬유웹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2층 이상의 적층체를, 표면에 산재하는 비연속의 부분적 열압 융착부에 의해 표리 일체화한 부직포에 대하여, 부가적으로 엠보스 가공 등에 의해 비결합 요철 변형을 부여하는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점재하는 열압 융착부의 섬유는 부분적으로 결합하여 표리 일체화되어 있지만, 그 밖의 부분의 비결합성 요철부의 섬유는 섬유 자체의 소프트한 촉감을 갖도록 한 점에 있다.
멜트블로우 섬유웹층에 있어서는, 다소의 접착 효과가 있더라도, 열압 융착부와는 달리, 가고정된 상태라고 생각되며, 복합 섬유가 접합을 위한 열처리로 서로 서로 융착되어 딱딱하고, 까슬까슬한 것과는 전혀 다르다. 게다가, 자유도를 갖는 섬유에 비결합성이고 아울러 요철 변형력을 부여함으로써, 부분적인 변형(늘어남)이 가해진 섬유층으로 함으로써, 충분한 숭고성이 얻어진다. 이것은 하중을 가했을 때, 원래의 섬유층과는 달리, 압축되기 어려운 특성을 갖게 된다. 즉 선이 절곡하기 쉬운 경향이 있으며, 소프트함, 벌크성(두께)이 나타나게 된다.
도 6에, 실시예 8과 비교예 8에 관하여, 하중에 대한 부직포의 두께 변화 곡선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하중을 가하고 있더라도, 압축되기 어려운 특성을 갖고 있으며, 하중에 대한 숭고성의 저하가 적은 부직포라고 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펀본드계 부직포에 부여되는 비결합 섬유로 이루어지는 고밀도 섬유영역의 요철 엠보스 패턴은 부분 결합되어 있는 결합부의 패턴과 부분적으로 일치하지 않는 임의 형상의 비결합성의 오목 또는 볼록 변형이고, 오목 또는 볼록부의 형상, 크기, 깊이는 결합 패턴과 관련하여 유연성 효과에 중요하다. 예를 들면, 형상으로서는, 직선, 곡선, 각, 원, 바둑판 형상, 그 밖의 연속적 또는 비연속의 것이 고려되는데, 유연성 효과의 점에서, 오목 또는 볼록부의 깊이는 0.2∼5㎜가 바람직하고, 게다가 요철이 깊은 것일수록 효과가 커진다.
비연속의 패턴의 가압면의 크기는 0.1∼5㎜, 또한 오목 또는 볼록부의 피치는 0.5∼5㎜가 바람직하다. 도 1(I), 도 3의 패턴에서는 볼록부가 점재하는 엠보스 무늬를 가압하여 고밀도영역에서 비연속적으로 산재하는 오목부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도 2, 도 4의 볼록 무늬가 연속되는 엠보스 무늬의 가압에 의해, 고밀도영역의 오목부가 연속된 상태에서, 비가압부의 섬유층이 솟아난 상태로 된다. 연속되는 엠보스 무늬에 의한 변형 피치는 1∼5㎜가 바람직하고, 오목부의 크기는 폭이 0.02∼3㎜인 선 또는 점선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몰딩 요철 패턴을 형성한 스펀본드계 부직포에 있어서, 부분 열압 융착부는 몰딩 요철 패턴과는 부분적으로 일치하지 않는 패턴으로, 비결합 섬유의 고밀도영역, 비결합섬유의 저밀도영역(도 1∼도 4의 C 참조)에 배치되게 된다.
비결합 섬유 고밀도영역의 요철의 가압부의 면적율은 양호한 유연성, 섬유 촉감을 얻는 관점에서, 5∼40%가 바람직하고, 5∼25%가 더욱 바람직하다. 실용면을 고려하면, 겉보기 두께는 당연히 큰 편이 유연하게 되지만, 변형의 피치, 오목부의 크기는 너무 크게 하지 않는 편이 치밀한 효과가 얻어지고, 비결합성 변형을 부여하기 전후의 숭고율로 100%이상이 바람직하고, 105%이상이면 더욱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30%이상이다.
오목 또는 볼록 패턴을 부여하는 방법은 부분 열융착을 열 엠보스 가공으로 부여한 스펀본드계 부직포를 예를 들면 표면에 오목, 볼록 또는 요철 모양을 가지며, 양자가 꼭 끼워맞춰지도록 된 롤러 사이, 한쪽의 표면에 오목, 볼록 모양을 갖는 롤러와 페이퍼 롤러, 고무 롤러, 수지 롤러 등의 가요성 롤러 사이에서 가압하거나, 또는 판 사이에서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수한 방법으로서 협소한 틈새의 롤러 사이에 포를 일정 비율로 강제적으로 오버피드시키고, 작은 주름 형상의 몰딩을 하는 방법도 있다.
오목, 볼록 몰딩의 조건에서 특히 주의할 점은 처리시의 온도와 포에 가하는 압력이다. 특히 본 발명의 멜트블로우 섬유층을 포함하는 부직포의 양태에서는, 단순한 필라멘트 웹만의 부직포에 비하여, 변형 효과를 받기 쉽다. 이 때문에, 소프트성에는 멜트블로우 섬유층의 접착 효과를 억제하기 위하여, 가공 온도는 필라멘트 웹의 단일체에 비하여, 낮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섬유 소재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을 소재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60℃이하의 온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0℃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필요에 따라서 적극적으로 냉각하는 것도 유효하다.
한편, 섬유의 결합이나 세트가 생기지 않는 범위에서 온도를 높여서 가소화하고 몰딩하기 쉽게 하거나, 형태의 안정성을 취하는 처리를 해도 무방하다. 처리시의 압력은 온도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변형이 충분히 행해지는 압력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이 변형 부여를 행함으로써 압축된 부분의 섬유 단면의 변형이 일어나는데, 더욱 유연함을 주기 위하여, 더욱 고압의 처리를 하는 것도 유효하다. 물론, 압축부에서의 섬유의 가고정이나 열압 융착이 일어나지 않도록 충분히 주의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로서, 일면이 가압된 볼록부의 고밀도영역이고, 반대면이 고밀도로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예를 들면 일면에는 연속된 오목부(고밀도영역)을 형성하는 경우, 타면에서는 이 고밀도영역이 볼록부로 되도록, 다른 영역보다 돌출된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 전체의 겉보기 두께를 웹의 두께 이상으로 하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와 같이 고밀도∼저밀도영역이 접합되지 않고 형성되기 때문에, 직물 전체적으로, 두껍게, 또한 굽힘력으로 용이하게 구부러지기 쉬워지기 때문에, 소프트한 것이 되고, 얇고, 평면적으로 종이 등과는 전혀 상이한 촉감을 갖는 것으로 된다. 이 처리 효과를 더욱 강하게 하기 위하여, 다단으로 처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부직포는 필요에 따라서, 제전제, 유연제, 친수화제, 윤활제 등의 각종 처리제를 부여하여 사용하는 것도 유효하다.
본 발명의 스펀본드계 부직포를 위생 재료에 사용할 때에는, 위생 재료로서 목적으로 하는 특성 레벨에 따라서, 부여해 두는 성능, 또는 이용법을 선택한다. 부직포의 표리의 촉감의 차이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즉 가압된 고밀도영역은 접합되어 있지 않지만, 다른 곳에 비하여 고정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이 면을 직접 피부에 닿지 않는 측에 배치하거나, 볼록부의 활용 등을 고려하여 배치하는 것도 바람직한 양태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저온하의 요철 가공은 스펀본드계 부직포의 제조 공정내에서 온 라인으로 행해지는 것이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만, 예를 들면 기저귀의 생산, 가공 라인의 일부에 도입하여 오프 라인으로 가공할 수도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측정법, 평가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1) 부직포의 평량
평방 10㎝의 부직포를 수매 채취하고, 그 중량을 1㎡당의 중량으로 나타낸다.
(2) 부직포의 두께
나카야마 덴키 산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압축 탄성 시험기 E-2형을 사용하고, 측정 면적 4㎠에서 1.3, 10, 37.5, 50, 100g/㎠의 각 하중하에서 측정하였다.
(3) 부직포의 숭고율
본 발명의 비결합 섬유의 고밀도영역을 부여하기 전후의 부직포의 두께(10g/㎠ 하중하)의 변화율을 숭고율로 하였다.
(4) 부직포의 강력함 및 5% 신장시 응력
폭 3㎝, 길이 20㎝의 시험편을, 시마츠 세이사쿠쇼 가부시키가이샤제 텐시론을 사용하여, 판폭 100㎜, 시험 속도 300m/분으로 인장 시험을 행하고, 종방향, 횡방향의 강력함 및 5% 신장시 응력을 측정하였다.
(5) 부직포의 굽힘 유연도
유연성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다음 방법으로 측정한 굽힘 유연도로써 나타낸다.
측정 방법은 시험편의 측정 방향의 한쪽 단부 1㎝를 남겨서, 시험편에 직각 방향으로 전폭에 걸쳐서 스케일로 누르고, 시험편의 타단부에 접은 금을 내지 않고, 루프를 형성시킨 상태에서, 스케일로 누른 단부 위에 올려놓는다. 스케일로 누른 측의 단부를 손으로 누른 채, 시험편 위에 스케일을 미끄러지게 하면서 루프내로 이동시킨다.
시료의 반발력으로 루프가 늘어난 점을 종점으로 하고, 이 점으로부터 루프 측단부까지의 길이를 임계 길이(㎜)로 하고, 표리의 평균값으로 표시한다. 짧은 것일수록 유연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6) 투수 성능의 측정면
투수 성능은 부직포를 1회용 위생 재료의 톱 시트로서 사용하고, 피부면으로 사용하는 측을 투수 성능의 측정면으로 했다. 표 1의 "투수 성능 측정면"의 란에 나타낸 "상면" 또는 "하면"은 각각 피부면으로 사용하는 측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7) 순간 투수 속도
흡수체로서 화장지 10매를 포갠 위에 측정기(약 800g, 평방 10cm에서 중앙에 직경 25㎜의 구멍을 형성하고, 그 중앙을 향해 2개의 전극을 형성하여 타이머에 접속한 것)을 배치하고, 측정은 시험포 평방 10cm(이상)을 흡수체와 측정기 사이에 배치하고, 포의 상방 15㎜의 스포이트로부터 생리 식염수를 1방울(0.1㏄/방울) 적하한다. 적하로부터 직물 표면 통과 종료까지의 시간을 전극으로 계측하고, 순간 투수 속도(초)로 하였다.
(8) 5㏄ 투수 속도(초/5㏄), 웨트 백 양(g)
흡수체로서, 흡수체의 특성을 일정화하기 위하여, 특정 여과지((Eaton Dikeman사제 "939" 평방 10㎝×3매 포갬)을 측정기((6)순간 투수 속도 측정기와 동일)의 아래에 배치한다. 이 흡수체 위에 시험포(평방 10㎝)를 배치한다. 먼저, 이 상부 25㎜로부터 5㏄의 인공 소변을 적하한다. 인공 소변은 생리 식염수에 비 이온 활성제를 첨가하여 45±3다인/㎝(mN/m)으로 조정한 것으로, 적하 속도는 3.3초/25㏄로 하였다. 적하로부터 직물 표면 통과 종료까지의 시간을 전극으로 측정하고, 5㏄ 투수 속도(초/5㏄)로 하였다.
이어서, 이대로 인공 소변을 추가하고, 흡수체에 포함되는 액량이 일정화되도록, 전체 액량이 흡수체 중량의 약 4배로 한다. 이 상태에서 시험포 위로부터 800g/평방 10㎝의 하중을 3분간 인가하고, 흡수체 중의 액의 분포를 일정화시킨다. 이어서, 시험포 위에, 미리 칭량한 여과지(Eaton Dikeman사제 "631" 평방 12.5㎝×2매)를 포개고, 신속히 3600g/평방 10㎝(영유아의 기저귀에 가해지는 하중에 상응)을 2분간 가하여 여과지의 중량 증가를 측정하고, 웨트 백 양(g)으로 하였다.
(9) 액 흐름
45°의 경사대 위에 흡수체로서 화장지 10매를 배치하고, 그 위에 시험포를 밀착시키고, 포의 상방 15㎜의 스포이트로부터 생리식염수를 1방울(0.1㏄/방울) 적하한다. 직물 표면의 적하부로부터 통과 종료까지 흐른 길이를 측정하고, 액 흐름(㎜)으로 하였다.
(10) 내구 투수 투과율
평면에 흡수체로서 화장지 10매를 배치하고, 그 위에 시험포를 밀착시킨다. 포의 상방 15㎜의 스포이트로부터 생리식염수를 1방울(0.1㏄/방울) 적하한다. 적하액이 2초 이내에 흡수된 것을 투과로 한다. 표면이 마른 후, 동일 위치에 재차 1방울 적하하고, 2회째의 시험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반복하여 3회째의 시험으로 한다. 동일 시료의 10 내지 40개소에 대하여 시험하고, 적하한 수에 대한 통과수 의 비율을 내구 투수 투과율(%)로 하였다.
(11) 섬도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직경을, 현미경(키엔스사 고배율 마이크로스코프 VH-8000)으로 측정하고, 둥근 단면 섬유로 하여 섬유 폴리머의 밀도로부터 산출한 섬도(dtex: 필라멘트 10000m 길이의 무게)로 나타내었다. 한편, 멜트 블록 섬유웹의 섬도는 섬유 직경으로 나타내었다.
(12) 부직포의 유연화율
본 발명의 비결합 섬유의 고밀도영역을 부여하기 전후의 세로 방향의 유연도의 변화율(처리후/처리전)을 유연화율로 하였다. 이 유연화율은 수치가 작을수록 유연 효과가 크다는 것을 나타낸다.
(13) 내수압
부직포의 치밀함, 방수성을 나타내는 척도로서 내수압으로써 나타낸다. 시험편(평방 20㎝)을 채취하고, JIS-L-1092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산화 티탄을 함유한 폴리프로필렌(JIS-K7210의 표 1의 조건에서 측정한 MFR=40)을 원료로 하고, 둥근 단면의 노즐로부터 용융 압출된 장섬유를 노즐의 근방에서 측방으로부터 냉각하면서, 에어 흡입기 등의 견인 인취 장치로 인취하였다. 견인 인취 장치를 나온 실의 라인은 대전 장치를 통과시켜서 개섬(開纖)시킨 후, 이동하는 금망 콘베이어 위에 웹으로서 포집하였다.
이 웹을 135℃로 가열한 엠보스/플랫 롤러 사이에 통과하고, 직경 0.43㎜의 원형 경사 45°, 경사 피치 1.5㎜의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한 핀포인트 무늬(면적율 약 7%)로 부분 열압 융착하여 핀포인트의 산점 모양을 갖는 부직포를 얻었다.
얻어진 스펀본드 부직포의 구성 섬유는 2.8dtex(실시예 1) 및 2.0dtex(실시예 2)의 둥근 단면 실로, 부분 열압 융착 면적율 7%, 평량은 각각 20g/㎡였다.
이 부직포를 1변 0.9㎜, 선폭 0.1㎜의 연속선 형상의 하니컴(honeycomb) 형상 무늬(귀갑 오목 무늬:도 4 참조)(가압 면적율 12.5%, 무늬 피치 세로 2.8㎜, 가로 3.2㎜, 깊이 0.7㎜)의 엠보스 롤러(100℃)와 표면 경도 50도(JIS-A 경도)의 고무 롤러 사이에 통과하고, 선압 100㎏/㎝으로 무늬를 가압하였다. 귀갑 주변이 가압되어 고밀도영역을 가지며, 중앙부가 솟아오른 유연한 부직포가 얻어졌다.
이 부직포에 그라비아 방식으로,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의 블록 공중합 폴리에테르,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을 주체로 배합한 활성제로 이루어지는 친수화제를 0.45wt% 부여하고, 위생 재료용 부직포로 하였다. 부직포의 성능 평가 결과를 표 1, 표 2에 나타낸다.
이 부직포의 표면인 비결합 섬유의 저밀도영역(엠보스 오목 무늬면)을 톱 시트의 피부면측에 배치하여, 제작한 1회용 기저귀는 종래의 부직포로 구성된 것보다, 고밀도영역의 사이에서 섬유층이 솟아올라서, 소프트하고, 웨트 백 특성이 개량된 보슬보슬하고 유연한 부직포의 촉감을 갖는 양호한 것이었다. 미세 데시텍스(decitex)의 실시예 2는 더욱 매끄럽고 소프트함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3, 실시예 4]
비결합성의 가압하는 엠보스 무늬를, 실시예 1과는 반대의 비연속적으로 산재하는 귀갑 볼록 무늬(1변 0.45㎜, 가압 면적율 25%, 무늬 피치 세로 2.8㎜, 가로 3.2㎜, 깊이 0.6㎜)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2.8dtex, 평량 20g/㎡의 본 발명 부직포를 얻었다. 부직포의 성능 평가 결과를 표 1, 표 2에 나타낸다.
이 부직포를 톱 시트로 하고, 실시예 3에 대해서는 부직포의 저밀도영역의 연속 볼록(부직포의 표면)을 톱 시트의 피부면측으로 사용하여, 실시예 4에 대해서는 반대인 부직포의 이면의 고밀도영역의 비연속의 볼록 무늬면을 톱 시트의 피부면측으로 사용하여 1회용 기저귀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종래의 부직포에 비하여, 소프트함이 우수하고, 웨트 백 성능도 양호하였다. 또한, 이 부직포의 표리를 반대로 하여 톱 시트로 한 것(실시예 4)은 고밀도영역이 점형상으로 솟아오른 것으로, 표면의 매끄러움에 보슬보슬한 느낌이 더해진 촉감의 것이었다.
[실시예 5]
비결합성의 가압하는 엠보스 무늬를 비연속적으로 산재하는 격자 볼록 무늬(1변 0.3㎜×0.7㎜, 가압 면적율 22%, 깊이 0.6㎜)로 하고, 이 무늬와 끼워맞추는 격자 오목 무늬를 갖는 롤러와 조합한 사이로 통과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2.0dtex, 평량 18g/㎡의 본 발명 부직포를 얻었다. 부직포의 성능 평가 결과를 표 1, 표 2에 나타낸다.
이 부직포의 저밀도영역의 연속 볼록면(부직포의 표면)을 톱 시트의 피부면을 향하여 사용한 1회용 기저귀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종래의 부직포에 비하여, 소프트함이 우수하고, 웨트 백 특성도 양호하였다.
[실시예 6 및 7]
친수화제를 부여하기 전에, 코로나 처리를 행하고, 코로나 처리 조건은 실온 22℃의 분위기하에서 방전량 30W·분/㎡(방전도 2.2W/㎠)로 행하고, 그 결과 부직포의 표면 장력은 37mN/m이고, 코로나 처리에 의한 젖음성의 향상을 고려하여 친수화제의 부착을 0.3wt%로 한 이외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하여 본 발명의 위생 재료용 부직포를 제작하고, 실시예 6 및 실시예 7을 얻었다. 얻어진 부직포를 톱 시트로 한 1회용 위생 재료는 종래의 부직포로 구성된 것보다, 소프트하고, 친수화제의 부착이 적지만, 실시예 1 및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투수 성능이 우수하고, 처리제가 적은 점에서, 더욱 보술보슬하고 유연한 부직포의 촉감을 갖는 양호한 것이었다.
[비교예 1, 2, 3 및 4]
실시예 1, 2, 5 및 7에 있어서, 비결합성 가압을 행하지 않고, 친수화제를 부여한 것을 각각 비교예 1, 2, 3, 및 4로 하였다.
[비교예 5, 6]
톱 시트의 비교로서, 시판 기저귀의 톱 시트로서 실용되고 있는 단섬유 포인트본드 부직포(19g/㎡: 비교예 5). 2성분 단섬유 열풍 접착 부직포(18g/㎡: 비교예 6)을 사용하고, 그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5015861886-pct00001
Figure 112005015861886-pct00002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실시예의 것은 비교예의 것에 비하여, 숭고하고, 하중시의 두께 변화도 적고, 유연성이 있으며, 순간 투수성, 웨트 백 특성, 액 흐름성, 투수 내구성 등의 투수 성능에 있어서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본 발명의 위생 재료용 부직포는 숭고성이 양호하고, 숭고율은 110% 이상이고, 하중을 가했을 때의 두께 변화가 적고, 하중에 대한 압축성이 우수하고, 유연함과 아울러, 양호한 투수성, 투수 내구성을 나타낸다.
[실시예 8, 실시예 9]
폴리프로필렌(JIS-K7210의 표 1의 조건에서 측정한 MFR-40)을 원료로 하고, 둥근 단면의 노즐로부터 용융 압출된 장섬유를 노즐의 근방에서 측방으로부터 냉각하면서, 에어 흡입기 등의 견인 인취 장치로 인취하였다. 견인 인취 장치를 나온 실의 라인은 대전 장치를 통과시켜서 개섬시킨 후, 이동하는 금망 콘베이어 위에 필라멘트 웹(2.8dtex(실시예 8) 및 1.2dtex(실시예 9), 각각 6.5g/㎡)으로서 포집하였다.
이 웹상에, 폴리프로필렌(JIS-K7210의 표 1의 조건에서 측정한 MFR=700)을 원료로 하고, 토출 노즐 양 근방의 슬릿으로부터 고압 고온풍을 불어넣는 멜트블로우 섬유 방식의 웹(섬경 1.8㎛, 1g/㎡) 2매를 적층하였다. 게다가 이 위에,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작성한 필라멘트 웹을 적층 포집하여, 적층 웹(15g/㎡)으로 하였다. 이 웹을 130℃로 가열한 엠보스/플랫 롤러 사이에 통과하고, 장경 약 0.9㎜, 단경 약 0.5㎜, 면적 0.36㎟의 타원형 무늬를 경사 30°로 세로 약 3㎜, 가로 약 1.7㎜의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한 경사 비백 무늬(압착 면적율 약 15%)의 패턴을 갖는 가열한 엠보스 롤러 사이로 통과하고, 부분 열압 융착하여 타원 포인트 형상의 산점 모양(경사 비백 무늬)를 갖는 부직포를 얻었다.
이 부직포를 1변 0.9㎜, 선폭 0.1㎜의 연속 선형상의 하니컴 형상 무늬(귀갑 오목 무늬)(가압 면적율 12.5%, 깊이 0.7㎜)의 엠보스 롤러(40℃)와 표면 경도 50도(JIS-A 경도)의 고무 롤러 사이에 통과하고, 선압 100㎏/㎝으로 무늬를 가압하였다. 귀갑 무늬 주변이 가압되어 고밀도영역을 가지며, 중앙부가 솟아오른 유연한 부직포가 얻어졌다. 부직포의 성능 평가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필라멘트 웹의 섬도를 1.2dtex(실시예 9)로 한 부직포는 표면 섬유의 매끄러운 감촉도 더해져서 한층 소프트한 부직포이다.
이들 부직포를 입체 개더로서 제작한 1회용 기저귀는 종래의 유연화 처리를 하지 않은 부직포로 구성된 것보다, 소프트하고, 두께감이 있는 양호한 것이었다. 또한, 이 부직포에 미세 다공 PE 필름을 라미네이트하여 백 시트로 한 1회용 기저귀는 종래의 유연화 처리를 하지 않은 적층 부직포에서는 얻을 수 없었던 촉감이 소프트한 것으로 충분히 실용화할 수 있는 강도, 표면 강도를 갖는 것이었다.
[실시예 10, 실시예 11]
비결합성 요철 변형을 얻기 위하여, 가압하는 엠보스 무늬를 실시예 8과는 반대인 비연속적으로 산재하는 귀갑 볼록 무늬(1변 0.45㎜, 가압 면적율 25%, 깊이 0.6㎜)로 한 이외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하여, 평량 15g/㎡(실시예 10) 및 17g/㎡(실시예 11)의 본 발명 부직포를 얻었다. 부직포의 성능 평가 결과를 표 3 및 표 4에 나타낸다.
이 부직포를 입체 개더로 한 1회용 기저귀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종래의 유연화 처리를 하지 않은 부직포로 구성된 것보다, 소프트함이 우수하고, 두께감도 양호하였다. 또한, 이 부직포의 표리를 반대로 하여 미세 다공 PE 필름을 라미네이트하여 백 시트로 한 것은 비결합 섬유의 고밀도감이 점 형상으로 솟아오른 것으로, 표면의 매끄러움에 사각사각한 느낌이 더해진 촉감이 양호한 것이었다.
[실시예 12]
비결합성 요철 변형을 얻기 위하여, 가압하는 엠보스 무늬를 비연속적으로 산재하는 격자 볼록 무늬(1변 0.3㎜×0.7㎜, 가압 면적율 22%, 깊이 0.6㎜)로 하고, 이 무늬와 끼워맞추는 격자 오목 무늬를 갖는 롤러와 조합한 사이에 통과한 이외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하여, 평량 15g/㎡의 본 발명 부직포를 얻었다. 부직포의 성능 평가 결과를 표 3 및 표 4에 나타낸다.
이 부직포를 미세 다공 PE 필름을 라미네이트하여 백 시트로 한 1회용 기저귀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종래의 부직포에 비하여, 소프트함이 우수하고, 두께감도 양호하였다.
[실시예 13]
비결합성 요철 변형을 얻기 위하여, 가압하는 엠보스 무늬를 연속한 사선 볼록 무늬(선폭 0.2㎜, 간격 0.5㎜, 가압 면적율 29%, 깊이 0.6㎜)로 하고, 표면 경도 60도(JIS-A 경도), 두께 15㎜의 고무 롤러와 조합한 사이로 통과한 이외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하여, 평량 17g/㎡의 본 발명 부직포를 얻었다. 부직포의 성능 평가 결과를 표 3 및 표 4에 나타낸다.
이 부직포는 경사지게 절곡되는 경향이 있으며, 유연화 처리전의 부직포에 비하여, 소프트함이 우수하고, 두께감도 양호한 부직포였다.
[실시예 14]
원료 폴리머인 폴리프로필렌(JIS-K7210의 표 1의 조건에서 측정한 MFR=40)을 폴리프로필렌 랜덤 코폴리머(PE 3%, MFR=35)로 한 필라멘트 웹(1.8dtex, 6.5g/㎡)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하여, 평량 15g/㎡의 본 발명 부직포를 얻었다. 부직포의 성능 평가 결과를 표 3 및 표 4에 나타낸다.
이 부직포는 표면 촉감이 폴리에틸렌과 같은 매끈한 느낌을 가지며, 유연화 처리전의 부직포에 비하여, 한층 소프트함이 우수하고, 두께감도 양호한 부직포였다.
[실시예 15]
실시예 8에 있어서, 일면의 필라멘트 웹층을 외측에 1.2dtex(3.3g/㎡), 내측에 2.8dtex(3.3g/㎡)의 웹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하여, 평량 15g/㎡의 본 발명의 부직포를 얻었다. 얻어진 부직포는 표면층이 매끄러움을 갖는 두께감이 있는 부직포였다.
[실시예 16, 실시예 17]
필라멘트 웹용의 원료 폴리머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점도 ηsp/C=0.75) 및 나일론 6(상대 점도 ηrel=2.7)로 하고, 멜트블로우 섬유용 폴리머를 각각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점도 ηsp/C=0.42) 및 나일론 6(상대 점도 ηrel=2.3)으로 하여, 필라멘트 웹(2.0dtex, 8.3g/㎡), 멜트블로우 섬유웹(섬경 각각 PET=2.4㎛, 3.4g/㎡, N6=1.6㎛, 3.4g/㎡)로 하고, 직조 패턴 엠보스 무늬(평방 0.5㎜, 압착 면적율 15%) 엠보스/플랫 롤러의 사이에 통과하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라멘트의 웹은 205℃, 나일론 6 필라멘트의 웹은 186도로, 부분 열압 융착한 이외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하여 각각 평량 20g/㎡의 본 발명 부직포를 얻었다. 부직포의 성능 평가 결과를 표 3 및 표 4에 나타낸다.
이들 부직포는 각각 유연화 처리전의 부직포에 비하여, 소프트함이 우수하고, 두께감도 양호한 부직포이고, 특히 실시에 16의 폴리에스테르 부직포는 그 효과가 현저하게 보여졌다.
이들 부직포는 위생 재료뿐만 아니라, 포장재, 인쇄재, 간이 의복재 등에도 사용할 수 있는, 종래에 없는 소프트한 부직포였다.
[비교예 8∼14]
실시예 8, 9, 11, 14, 15, 16 및 17에 대응하는 비결합성 요철 유연화 처리전의 부직포를 각각의 비교예 8, 9, 10, 11, 12, 13 및 14로 하고, 그 특성으로 표 3,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5015861886-pct00003
Figure 112005015861886-pct00004
표 3 및 표 4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실시예의 것은 숭고율, 인장 강력, 신장시 응력, 유연성에 있어서 비교예의 것에 비하여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펀본드계 부직포는 숭고성이 우수하고, 유연하고 강도도 우수하여, 위생 재료용 부직포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의 스펀본드계 부직포에, 부가적으로, 친수화제를 (B)의 영역에 주로 함유시킴으로써, 1회용 기저귀의 톱 시트 등의 위생 재료로서 원하는 성능, 숭고, 유연, 투수, 웨트 백의 4가지 특성을 동시에 만족한다.

Claims (23)

  1. 열가소성 합성 섬유 연속 필라멘트의 웹으로 구성된 부직포이고, 부직포의 표면과 이면 사이를 관통하여 일체화하는 부분적 열압 융착 섬유영역 무늬 및 부직포 구조의 양면에 비결합 섬유의 고밀도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엠보스 오목 또는 볼록 무늬가 독립적으로 존재하며, 이들 무늬들에 의해 부직포의 구조가 고정되어 있으며, 부직포의 볼록 엠보스 무늬의 면을 포함하는 부직포의 두께에 대한 부직포 구조의 저밀도영역이 차지하는 부직포의 두께의 비로 표시되는 숭고율이 1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펀본드계 부직포.
  2. 제1항에 있어서, 비결합 섬유의 고밀도영역이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펀본드계 부직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비결합 섬유의 고밀도영역이 비연속적으로 산재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펀본드계 부직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숭고율이 105∼4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펀본드계 부직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부분적 열압 융착 섬유영역 패턴의 면적율이 5∼40%이고, 비결합 섬유의 고밀도영역의 오목 또는 볼록 패턴부의 면적율이 5∼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펀본드계 부직포.
  6. 적어도 1층의 열가소성 합성 섬유 연속 필라멘트 웹과 적어도 1층의 멜트블로우 섬유의 웹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복합 웹으로 형성된 부직포이고, 부직포의 표면과 이면 사이를 관통하여 일체화하는 부분적 열압 융착 섬유영역 무늬 및 부직포 구조의 양면에 비결합 섬유의 고밀도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엠보스 오목 또는 볼록 무늬가 독립적으로 존재하며, 이들 무늬들에 의해 부직포의 구조가 고정되어 있으며, 부직포의 볼록 엠보스 무늬의 면을 포함하는 부직포의 두께에 대한 부직포 구조의 저밀도영역이 차지하는 부직포의 두께의 비로 표시되는 숭고율이 1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펀본드계 부직포.
  7. 제6항에 있어서, 비결합 섬유의 고밀도영역이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펀본드계 부직포.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비결합 섬유의 고밀도영역이 비연속적으로 산재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펀본드계 부직포.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숭고율이 105∼4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펀본드계 부직포.
  10.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에 있어서, 부분적 열압 융착 섬유영역 패턴의 면적율이 5∼40%이고, 비결합 섬유의 고밀도영역의 오목 패턴 또는 볼록 패턴의 면적율이 5∼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펀본드계 부직포.
  11. 열가소성 합성 섬유 연속 필라멘트의 웹으로 구성된 부직포이고, 부직포의 표면과 이면 사이를 관통하여 일체화하는 부분적 열압 융착 섬유영역 무늬 및 부직포 구조의 양면에 비결합 섬유의 고밀도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엠보스 오목 또는 볼록 무늬가 독립적으로 존재하며, 이들 무늬들에 의해 부직포의 구조가 고정되어 있으며, 부직포의 볼록 엠보스 무늬의 면을 포함하는 부직포의 두께에 대한 부직포 구조의 저밀도영역이 차지하는 부직포의 두께의 비로 표시되는 숭고율이 100% 이상이고, 아울러 친수화제가 부여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펀본드계 부직포 위생 재료.
  12. 제11항에 있어서, 친수화제가, 주로 비결합 섬유의 고밀도영역에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펀본드계 부직포 위생 재료.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숭고율이 105∼4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펀본드계 부직포 위생 재료.
  14.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부분적 열압 융착 섬유영역 패턴의 면적율이 5∼40%이고, 상기 비결합 섬유의 고밀도영역의 패턴 오목 또는 볼록부의 면적율이 5∼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펀본드계 부직포 위생 재료.
  15.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스펀본드계 부직포 위생 재료가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한 후, 친수화제가 부여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펀본드계 부직포 위생 재료.
  16. 적어도 1층의 열가소성 합성 섬유 연속 필라멘트의 웹과 적어도 1층의 멜트블로우 섬유의 웹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복합 웹으로 형성된 부직포이고, 부직포의 표면과 이면 사이를 관통하는 부분적 열압 융착 섬유영역 무늬 및 부직포 구조의 양면에 비결합 섬유의 고밀도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엠보스 오목 또는 볼록 무늬가 독립적으로 존재하며, 이들 무늬들에 의해 부직포의 구조가 고정되어 있으며, 부직포의 볼록 엠보스 무늬의 면을 포함하는 부직포의 두께에 대한 부직포 구조의 저밀도영역이 차지하는 부직포의 두께의 비로 표시되는 숭고율이 100% 이상이고, 아울러 친수화제가 부여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펀본드계 부직포 위생 재료.
  17. 제16항에 있어서, 친수화제가, 주로 비결합 섬유의 고밀도영역에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펀본드계 부직포 위생 재료.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숭고율이 105∼4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펀본드계 부직포 위생 재료.
  19.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부분적 열압 융착 섬유영역 패턴의 면적율이 5∼40%이고, 상기 비결합 섬유의 고밀도영역의 패턴 오목 또는 볼록부의 면적율이 5∼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펀본드계 부직포 위생 재료.
  20.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스펀본드계 부직포 위생 재료에서, 부직포가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한 후, 친수화제가 부여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펀본드계 부직포 위생 재료.
  21. 제11항, 제12항, 제16항 및 제17항 중의 어느 한 항의 스펀본드계 부직포 위생 재료가 그 부직포의 비결합 섬유의 고밀도영역의 오목 또는 볼록 무늬를 갖는 면이 톱 시트의 피부면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펀본드계 부직포 1회용 위생 재료.
  22. 제11항, 제12항, 제16항 및 제17항 중의 어느 한 항의 스펀본드계 부직포 위생 재료가 그 부직포의 비결합 섬유의 고밀도영역의 오목 또는 볼록 무늬를 갖는 면을 톱 시트의 피부반대면으로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 위생 재료.
  23. 제6항 또는 제7항의 스펀본드계 부직포를 입체 개더부 및/또는 백 시트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 위생 재료.
KR1020057005215A 2002-09-26 2003-09-22 스펀본드계 부직포 및 위생 재료 Expired - Fee Related KR1007529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81444A JP4716638B2 (ja) 2002-09-26 2002-09-26 柔軟な衛生材料用不織布及び使い捨て衛生材料
JPJP-P-2002-00281444 2002-09-26
JP2002296882A JP4716639B2 (ja) 2002-10-10 2002-10-10 衛生材料用不織布
JPJP-P-2002-00296882 2002-10-10
PCT/JP2003/012106 WO2004029349A1 (ja) 2002-09-26 2003-09-22 スパンボンド系不織布及び衛生材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3696A KR20050053696A (ko) 2005-06-08
KR100752979B1 true KR100752979B1 (ko) 2007-08-30

Family

ID=32044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5215A Expired - Fee Related KR100752979B1 (ko) 2002-09-26 2003-09-22 스펀본드계 부직포 및 위생 재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100752979B1 (ko)
CN (1) CN100575584C (ko)
AU (1) AU2003266572A1 (ko)
TW (1) TWI238708B (ko)
WO (1) WO20040293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0520058B1 (pt) * 2005-03-03 2018-01-16 Ahlstrom Corporation Processo e instalação para manufaturar textura não-tecida; textura não-tecida e utilização de textura não-tecida
KR100639727B1 (ko) * 2005-09-20 2006-11-01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천공된 서지층을 가지는 흡수 제품
CN1969783B (zh) * 2005-11-21 2010-05-05 福建恒安集团有限公司 一次性吸收物品
JP5114087B2 (ja) * 2007-04-17 2013-01-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不織布、及び、吸収性物品
CN101674793B (zh) * 2007-05-24 2013-10-02 花王株式会社 吸收性物品的正面片材、其制造方法以及吸收性物品
JP5383063B2 (ja) * 2008-03-04 2014-01-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2251347A (zh) * 2011-01-13 2011-11-23 昆山市宝立无纺布有限公司 一种双色无纺布及其制作工艺
CN102251345B (zh) * 2011-01-13 2013-10-02 昆山市宝立无纺布有限公司 一种亲水无纺布及其制作工艺
US9408761B2 (en) 2011-03-25 2016-08-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ticle with nonwoven web component formed with loft-enhancing calendar bond shapes and patterns
CN102551577B (zh) * 2011-12-15 2014-06-18 金红叶纸业集团有限公司 一种湿巾生产设备、工艺及湿巾
WO2013091150A1 (en) * 2011-12-23 2013-06-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hree-dimensional sheet material and absorbent articles including such material
CN103448307B (zh) * 2012-05-29 2018-04-27 东洋纺株式会社 一种树脂涂层无纺布
USD714560S1 (en) 2012-09-17 2014-10-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heet material for an absorbent article
JP5875157B2 (ja) * 2012-09-28 2016-03-02 花王株式会社 繊維シート
CN103757822B (zh) * 2014-01-28 2018-08-28 嘉兴学院 一种泡泡型柔软无纺布及其制造方法
WO2016040122A1 (en) 2014-09-12 2016-03-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onwoven material having discrete three-dimensional deformations with differential opacity regions
US10064766B2 (en) 2014-09-12 2018-09-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onwoven material having discrete three-dimensional deformations that are configured to collapse in a controlled manner
JP2017529915A (ja) 2014-09-12 2017-10-12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吸収性物品
US20160076182A1 (en) 2014-09-12 2016-03-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Making Nonwoven Material Having Discrete Three-Dimensional Deformations With Wide Base Openings Using Forming Members With Surface Texture
JP2018506396A (ja) 2015-01-02 2018-03-08 エスセーアー・ハイジーン・プロダクツ・アーベー 吸収性物品
RU2691358C2 (ru) * 2015-05-12 2019-06-11 Кикуо ЯМАДА Тканевая основа для одноразового текстильного изделия и одноразовое текстильное изделие с ее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CN106283466A (zh) * 2015-06-04 2017-01-04 福懋兴业股份有限公司 多重压花布及其制造方法
JP6320349B2 (ja) * 2015-06-30 2018-05-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不織布及びそ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CN107847377A (zh) 2015-07-31 2018-03-27 宝洁公司 利用成型非织造布的吸收制品包装件
US10858768B2 (en) 2015-07-31 2020-12-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haped nonwoven
RU2673772C1 (ru) 2015-07-31 2018-11-29 Дзе Проктер Энд Гэмбл Компани Формирующий ленточный конвейер для формованного нетканого материала
JP6701336B2 (ja) * 2015-12-17 2020-05-27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The Procter & Gamble Company 成形不織布
EP3216434A1 (en) 2016-03-08 2017-09-13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topsheet/acquisition web laminate
US11261003B2 (en) 2016-03-10 2022-03-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ckage with raised portions
US11299325B2 (en) 2016-03-10 2022-04-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ckages with raised portions
US11299332B2 (en) 2016-03-10 2022-04-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ckages with raised portions
EP3239378B1 (de) 2016-04-29 2019-02-13 Reifenhäuser GmbH & Co. KG Maschinenfabrik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vliesen aus endlosfilamenten
US10888471B2 (en) 2016-12-15 2021-01-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haped nonwoven
EP3558189B1 (en) 2016-12-20 2021-06-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aking elastomeric laminates with elastic strands provided with a spin finish
JP6714501B2 (ja) * 2016-12-26 2020-06-24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DE112018000617T5 (de) * 2017-01-31 2019-11-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Geformte Vliesstoffe und diese enthaltende Artikel
RU2725401C1 (ru) 2017-01-31 2020-07-02 Дзе Проктер Энд Гэмбл Компани Формованный нетканый материал
CN110191693B (zh) 2017-01-31 2022-01-04 宝洁公司 成型非织造布
CN106937903A (zh) * 2017-03-07 2017-07-11 广东鑫雁科技有限公司 一种卫生用品芯体材料热压复合方法
EP3592548B1 (en) 2017-03-09 2024-04-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hree-dimensional materials having apertures and voids
JP6462758B2 (ja) * 2017-04-19 2019-01-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スパンレース不織布
EP3645775B1 (en) 2017-06-30 2021-07-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making a shaped nonwoven
US11214893B2 (en) 2017-06-30 2022-01-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haped nonwoven
EP3425099A1 (de) * 2017-07-03 2019-01-09 Axel Nickel Meltblown-vliesstoff mit verbesserter stapelbarkeit und lagerbarkeit
US11129753B2 (en) 2017-09-01 2021-09-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aking elastomeric laminates
US11147718B2 (en) 2017-09-01 2021-10-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eamed elastomeric laminate structure, fit, and texture
US11925537B2 (en) 2017-09-01 2024-03-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eamed elastomeric laminate structure, fit, and texture
US11547613B2 (en) 2017-12-05 2023-01-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retch laminate with beamed elastics and formed nonwoven layer
CN111328356B (zh) * 2017-12-28 2022-09-09 尤妮佳股份有限公司 纤维无纺布片
CN107997879B (zh) * 2017-12-28 2023-07-18 瑞光(上海)电气设备有限公司 凹凸压花装置及其所使用的辊和无纺布的制造方法
CN108652832B (zh) * 2018-03-28 2020-11-24 嘉兴学院 一种经期裤及其制备方法
CA3101057A1 (en) 2018-06-12 2019-12-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onwoven fabrics and absorbent articles having shaped, soft and textured nonwoven fabrics
JP7321191B2 (ja) 2018-06-19 2023-08-04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機能形成されたトップシートを有する吸収性物品
EP3856109A1 (en) 2018-09-27 2021-08-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Garment-like absorbent articles
CN109825948A (zh) * 2019-01-17 2019-05-31 福建金坛实业有限公司 一种不易变形的干爽无纺布
TWI731294B (zh) * 2019-01-22 2021-06-21 南六企業股份有限公司 立體花紋之熱風不織布在線製程及其製品
JP6557440B1 (ja) * 2019-01-25 2019-08-07 三井化学株式会社 スパンボンド不織布、スパンボンド不織布の製造方法、エンボスロール
GB2596718A (en) * 2019-03-18 2022-01-05 Procter & Gamble Shaped nonwovens that exhibit high visual resolution
US11999150B2 (en) 2019-05-03 2024-06-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onwoven webs with one or more repeat units
US12053357B2 (en) 2019-06-19 2024-08-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function-formed top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US11819393B2 (en) 2019-06-19 2023-11-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function-formed top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N114746598B (zh) 2019-12-10 2024-01-19 宝洁公司 具有视觉可辨别的图案和改善的纹理感知的非织造纤维网
US12268579B2 (en) 2020-03-13 2025-04-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eamed elastomeric laminate performance and zones
CN113398660B (zh) * 2020-03-16 2024-02-02 东丽纤维研究所(中国)有限公司 一种过滤材料及其用途
CN112281307B (zh) * 2020-10-16 2022-10-28 连云港柏德实业有限公司 一种无纺布及其制备方法
JP7686001B2 (ja) * 2022-03-31 2025-05-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不織布、及び当該不織布の製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40153A (en) * 1980-04-01 1981-11-02 Asahi Chemical Ind Strong and flexible nonwoven fabric
JPH0288058A (ja) * 1988-09-26 1990-03-28 Oji Paper Co Ltd 衛生用品の表面材
JPH11286863A (ja) * 1998-04-06 1999-10-19 Mitsui Chem Inc 立体賦形不織布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6168A (ja) * 1997-05-15 1999-02-09 Polymer Processing Res Inst 衛生材料およびメディカル用不織布
JP4005276B2 (ja) * 1999-08-20 2007-11-07 大和紡績株式会社 スパンレース不織布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40153A (en) * 1980-04-01 1981-11-02 Asahi Chemical Ind Strong and flexible nonwoven fabric
JPH0288058A (ja) * 1988-09-26 1990-03-28 Oji Paper Co Ltd 衛生用品の表面材
JPH11286863A (ja) * 1998-04-06 1999-10-19 Mitsui Chem Inc 立体賦形不織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3266572A1 (en) 2004-04-19
KR20050053696A (ko) 2005-06-08
WO2004029349A1 (ja) 2004-04-08
TWI238708B (en) 2005-09-01
CN100575584C (zh) 2009-12-30
CN1685099A (zh) 2005-10-19
TW200406178A (en) 2004-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2979B1 (ko) 스펀본드계 부직포 및 위생 재료
JP4716638B2 (ja) 柔軟な衛生材料用不織布及び使い捨て衛生材料
JP5241914B2 (ja) 積層構造体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07635521B (zh) 吸收性物品
JP3868892B2 (ja)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
US6733610B2 (en) Method of making absorbent article employing surface layer with continuous filament
KR101445951B1 (ko) 유체 취급 구역을 포함하는 흡수용품
RU2724844C1 (ru)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RU2723405C1 (ru)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JP5006654B2 (ja) 伸縮性不織布
JP2004533300A (ja) 繊維層から作られた積層体
JPH06158501A (ja) フィルム積層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と製造装置
JP2007070790A (ja) 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MXPA05005751A (es) Trama texturizada inversa.
JP6778308B2 (ja) 親水性嵩高不織布
JP6408194B1 (ja) 積層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吸収性物品及び吸汗シート
JPH11286863A (ja) 立体賦形不織布
JPH0446146B2 (ko)
JPH0288058A (ja) 衛生用品の表面材
RU2735657C1 (ru)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JP4716639B2 (ja) 衛生材料用不織布
JP5771518B2 (ja) 不織布
CN113811647B (zh) 吸收性物品用层叠无纺布
JPH0446147B2 (ko)
KR101164697B1 (ko) 음순간 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32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04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8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8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8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2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0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3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2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