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22888B1 - 대입열용접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대입열용접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2888B1
KR100622888B1 KR1020047004838A KR20047004838A KR100622888B1 KR 100622888 B1 KR100622888 B1 KR 100622888B1 KR 1020047004838 A KR1020047004838 A KR 1020047004838A KR 20047004838 A KR20047004838 A KR 20047004838A KR 100622888 B1 KR100622888 B1 KR 100622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less
steel
toughness
heat inpu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4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0485A (ko
Inventor
오이겐지
이찌미야가쯔유끼
오까쯔미쯔히로
Original Assignee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40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0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2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288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400kJ/㎝ 를 초과하는 대입열용접의 용접 열영향부에서 우수한 인성이 얻어지는 강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C: 0.03∼0.15질량%, Si: 0.05∼0.25질량%, Mn: 0.5∼2.0질량%, P: 0.03질량% 이하, S: 0.0005∼0.0030질량%, Al: 0.005∼0.1질량%, Ti: 0.004∼0.03질량%, N: 0.0020∼0.0070질량%, Ca: 0.0005∼0.0030질량% 를 함유하고, 또한 Ca, O, S 의 각 함유량은 아래의 (1)식을 만족시켜 함유하며, 잔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조성으로 하는 강판이다.
0.3≤ACR≤0.8 (1)
{여기에서, ACR=(Ca-(0.18+130×Ca)×0)/1.25/S 이고,
Ca, O, S 는 각 성분의 함유량(질량%)을 나타냄}

Description

대입열용접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STEEL PRODUCT FOR HIGH HEAT INPUT WELDING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본 발명은 조선, 건축, 토목 등의 각종 구조물에서 사용되는 강재, 특히 용접 입열량(入熱量)이 400kJ/㎝ 을 초과하는 대입열용접(大入熱溶接)에 적합한 강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선, 건축, 토목 등의 분야에서 사용되는 강재는 일반적으로 용접 접합에 의해 원하는 형상의 구조물로 만들어진다. 이들 구조물에서는, 안전성의 관점에서 사용되는 강재의 모재 인성은 물론, 용접부의 인성이 우수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이들 구조물이나 선박은 점점 대형화되어, 사용되는 강재의 고강도화·후육화(厚肉化)에 수반하여 용접 시공에는 잠호용접(submerged arc welding), 일렉트로가스 용접 및 일렉트로슬래그 용접 등의 고능률적인 대입열용접이 적용되고 있다. 이 때문에, 대입열용접에 의해 용접 시공하였을 때 용접부의 인성이 우수한 강재가 필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용접 입열량이 커지면 용접 열영향부의 조직이 조대화되기 때문에 용접 열영향부의 인성은 저하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대입열용접에 의한 인성의 저하에 대하여 지금까지도 많은 대책이 제안되어 왔다.
예를 들어, TiN 의 미세분산에 의한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조대화 억제나 페라이트 변태핵으로서의 작용을 이용하는 기술은 이미 실용화되어 있다. 또, Ti 의 산화물을 분산시키는 기술(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7-51243호)이나 BN 의 페라이트핵 생성능을 조합하는 기술(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2-170459호)도 개발되어 있다. 그리고, Ca(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0-204863호)나 REM(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2-260041호)을 첨가하여 황화물의 형태를 제어함으로써 높은 인성을 얻는 것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TiN 을 석출시키고 용접부의 조직을 미세화시켜 인성을 개선하는 것을 주체로 이용하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2-170459호, 동 공보 소60-204863호의 종래 기술에서는, TiN 이 용해되는 온도영역으로 가열되는 용접 열영향부에서는 TiN 가 갖는 상기 작용이 없어져, 조직이 고용 Ti 및 고용 N 에 의해 취화(脆化)되어 인성이 현저하게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으며, 그 때문에 B 의 첨가에 의해 고용된 N 을 BN 으로서 고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B 의 첨가는 TiN 이 고용되는 영역에서는 HAZ 인성 향상에 효과적이지만 TiN 이 고용되지 않는 영역(가열 온도가 약 1350℃ 이하)에서는 N 과 관련되지 않는 고용 B 가 용접 냉각시에 담금질성을 현저하게 높임으로써 용접 열영향부의 조직을 단단한 베이나이트 주체로 하여 인성을 현저하게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2-170459호에서는 B 의 악영향을 없애기 위하여 추가로 Al 첨가량을 저감시키는 대책을 취하고 있으나, Al 량을 0.010% 이상 첨가하지 않으면, 강의 용제시에 충분한 탈산이 가능하지 않아 강 중의 개재물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충분한 인성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2-260041호에서는 TiN 이 고용된 영역을 REM 첨가에 의해 REM 의 황·산화물로 미세조직으로 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는데, 강의 용제시에 REM 을 충분히 미세분산시키는 것은 매우 곤란하며, 용접 열영향부의 고온으로 가열된 영역에서는 충분한 인성 확보가 곤란하였다.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7-51243호의 기술에서는, 통상의 Al 탈산과 달리 Ti 에 의해 탈산하여 Ti 의 산화물 또는 복합산화물을 강 중에 분산시킴으로써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성장 억제를 도모하고자 한 것이다. 그 결과, 강 중에는 오스테나이트의 입자 성장을 억제하기 위한 산화물의 분산이 가능한 반면, 산화물을 균일 미세하게 분산시키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와 TiN 에 비하여 Ti 산화물은 조대하여 샤르피의 흡수에너지를 저하시킨다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다. 따라서, 입열량이 400kJ/㎝ 를 초과하는 대입열용접에서는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성장을 충분히 억제하는 것은 곤란하며, 용접 열영향부의 높은 인성을 확보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0-204863호에 기재된 Ca 를 첨가하는 기술이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2-260041호에 기재된 REM 을 첨가하는 기술에서는, 300kJ/㎝ 정도까지의 입열량이라면 높은 인성의 확보가 가능하지만, 400kJ/㎝ 을 초과하는 대입열용접에서는 이들 기술에서도 용접 열영향부의 높은 인성을 모재와 동등한 레벨로 확보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그래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이 안고 있던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여 400kJ/㎝ 을 초과하는 대입열용접을 하여도 모재와 동등한 레벨의 양호한 용접 열영향부 인성을 얻을 수 있는 강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발명자들은 각종 검토를 거듭한 결과, 400kJ/㎝ 을 넘는 대입열로 용접한 용접 열영향부의 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황화물의 형태 제어에 필요한 Ca 를 적정하게 함유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즉, 대입열용접 열영향부의 인성 향상에는, 고온 영역에서의 오스테나이트의 조대화를 억제하고, 그 후의 냉각 과정에서의 페라이트 변태를 촉진시키는데 필요한 페라이트 변태핵을 미세하게 분산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종래 기술에서는 이들 모두가 불충분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강판을 용제할 때의 응고단계에서 CaS 를 정출(晶出)시키도록 하였다. CaS 는 산화물에 비하여 저온에서 정출되기 때문에, 미세하게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특히 중요한 것은, Ca, S 의 함유량 및 강 중 용존산소량을 제어함으로써 CaS 의 정출후 고용 S 량을 확보하면, CaS 의 표면 위에 MnS 가 석출되는 것을 알아내었다. MnS 는 그 자체가 페라이트핵 생성능을 가지고 있는 것 외에 그 주위에 Mn 의 희박대를 형성하여 페라이트 변태를 촉진하는 작용을 하고 있다. 또, MnS 위에는 추가로 TiN, AlN 등의 페라이트 생성핵이 석출됨으로써 한층 더 페라이트 변태가 촉진된다는 것도 알아내었다. 이상의 방책을 취함으로써 대입열용접시의 고온하에서도 용해되지 않는 페라이트 변태 생성핵을 미세하게 분산시킬 수 있고, 용접 열영향부의 조직을 미세한 페라이트와 펄라이트의 조직으로 하여 고인성화를 달성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C: 0.03∼0.15 질량%,
Si: 0.05∼0.25 질량%,
Mn: 0.5∼2.0 질량%,
P: 0.03 질량%이하,
S: 0.0005∼0.0030 질량%,
Al: 0.015∼0.1 질량%,
Ti: 0.004∼0.03 질량%,
N: 0.0020∼0.0070 질량%,
Ca: 0.0005∼0.0030 질량%를 함유하고,
또한 Ca, O, S 의 각 함유량은 아래의 (1)식을 만족시켜 함유하며, 잔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입열용접용 강재이다.
0.3≤ACR≤0.8 (1)
{여기에서, ACR=(Ca-(0.18+130×Ca)×O)/1.25/S 이고,
Ca, O, S 는 각 성분의 함유량(질량%)을 나타냄}
또 본 발명은, 강 조성이 추가로,
B: 0.0004∼0.0010질량%, V: 0.2질량% 이하, Nb: 0.05질량% 이하, Cu: 1.0질량% 이하, Ni: 1.5질량% 이하, Cr: 0.7질량% 이하, Mo: 0.7질량% 이하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조성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입열용접용 강재이다.
또한, 본 발명은 용강의 조성이
C: 0.03∼0.15 질량%,
Si: 0.05∼0.25 질량%,
Mn: 0.5∼2.0 질량%,
P: 0.03 질량%이하,
S: 0.0005∼0.0030 질량%,
Al: 0.015∼0.1 질량%,
Ti: 0.004∼0.03 질량%,
N: 0.0020∼0.0070 질량%,
Ca: 0.0005∼0.0030 질량%를 함유하고,
또한 Ca, O, S 의 각 함유량은 아래의 (1)식을 만족시켜 함유하며, 잔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용강을 연속 주조 또는 조괴(造塊)-분괴(分塊) 공정을 거쳐 강편으로 하며, 이것을 재가열하여 열간압연하거나 또는 상기 열간압연 후에 가속냉각, 직접 담금질(quenching)-뜨임(tempering), 재가열 담금질-뜨임, 재가열 불림(normalizing)-뜨임의 공정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입열용접용 강재의 제조방법이다.
0.3≤ACR≤0.8 (1)
{여기에서, ACR=(Ca-(0.18+130×Ca)×O)/1.25/S 이고,
Ca, O, S 는 각 성분의 함유량(질량%)을 나타냄}
또, 본 발명은 용강의 조성이 추가로,
B: 0.0004∼0.0010질량%, V: 0.2질량% 이하, Nb: 0.05질량% 이하, Cu: 1.0질량% 이하, Ni: 1.5질량% 이하, Cr: 0.7질량% 이하, Mo: 0.7질량% 이하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조성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입열용접용 강재의 제조방법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각 성분의 한정 이유에 관하여 설명한다.
C: 0.03∼0.15질량%
C 량은 구조용 강으로서 필요한 강도를 얻기 위하여 하한을 0.03질량% 로 하고, 용접 내균열성을 열화시키기 때문에 상한을 0.15질량% 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0.10질량% 가 바람직하다.
Si: 0.05∼0.25질량%
Si 는 제강상 0.05질량% 이상이 필요하고, 0.25질량% 를 초과하면 모재의 인성을 열화시키는 것 외에 대입열용접 열영향부에 섬형상의 마르텐사이트 (Martensite-Austenite) 를 생성시켜 열영향부의 인성을 열화시킨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13∼0.22질량% 가 바람직하다.
Mn: 0.5∼2.0질량%
Mn 은 모재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0.5질량% 이상은 필요하며, 2.0질량% 를 초과하면 용접부의 인성을 현저하게 열화시킨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8∼1.6질량% 가 바람직하다.
P: 0.03질량% 이하
P 는 0.03질량% 를 초과하면 용접부의 인성을 열화시킨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S: 0.0005∼0.0030질량%
S 는 필요한 CaS 및 MnS 를 생성하기 위하여 0.0005질량% 이상 필요하며, 0.0030질량% 를 초과하면 모재의 인성을 열화시킨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5∼0.0025질량% 가 바람직하다.
Al: 0.015∼0.1질량%
Al 은 강의 탈산에 있어 0.015질량% 이상은 필요하며, 0.1질량% 를 초과하여 함유하면 모재의 인성을 저하시키는 동시에 용접 금속의 인성을 열화시킨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0.06질량% 가 바람직하다.
Ti: 0.004∼0.03질량%
Ti 는 응고시에 TiN 이 되어 석출되며, 용접 열영향부에서의 오스테나이트의 조대화 억제나 페라이트 변태핵이 되어 고인성화에 기여한다. 0.004질량% 를 만족시키지 않으면 그 효과가 적고, 0.03질량% 를 초과하면 TiN 입자의 조대화에 의해 기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8∼0.02질량% 가 바람직하다.
N: 0.0020∼0.0070질량%
N 은 TiN 의 필요량을 확보하는 면에서 필요한 원소이며, 0.0020질량% 미만에서는 충분한 TiN 량을 얻을 수 없고, 0.0070질량% 를 초과하면 용접 열사이클에 의해 TiN 이 용해되는 영역에서의 고용 N 량의 증가에 의해 인성이 현저하게 저하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30∼0.0055질량% 가 바람직하다.
Ca: 0.0005∼0.0030질량%
Ca 는 S 의 고정에 의한 인성 개선 효과를 갖는 원소이다. 이러한 효과를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적어도 0.0005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0.0030질량% 를 초과 함유하더라도 효과는 포화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0.0005질량% 내지 0.0030질량% 의 범위에 한정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0∼0.0020질량% 가 바람직하다.
O: 0.0045질량% 이하
O 는 0.0045질량% 를 초과하면 개재물량이 증가하여 강의 청정도가 나빠지므로 인성을 저하시킨다.
0.3≤ACR≤0.8 (여기에서, ACR=(Ca-(0.18+130×Ca)×0)/1.25/S, 또, Ca, O, S: 각 원소의 함유량(질량%))
Ca 및 S 는 0.3≤ACR≤0.8 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함유시킬 필요가 있다. 도 1 에는 본 발명 강의 기본조성에 Ca 를 다양하게 첨가하여 2 종류의 입열조건을 모의한 재현 열사이클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800-500℃ 의 냉각시간이 153초 또는 270초 어느 경우에도 0.3≤ACR≤0.8 에서 현격히 인성이 향상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vTrs 로 약 30℃ 향상). 0.3≤ACR≤0.8 의 범위에서는 도 2 의 현미경 사진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CaS 상에 MnS 가 석출된 복합 황화물의 형태 또는 추가로 TiN 이 석출된 것이 된다.
ACR 의 값이 0.3 을 만족시키지 않으면 CaS 가 정출되지 않기 때문에 S 는 MnS 단독인 형태로 석출된다. 이 MnS 는 강판제조시의 압연으로 신장되어 모재의 인성 저하를 야기하는 동시에, 본 발명에서 주안으로 하는 용접 열영향부에서 MnS 가 용융되기 때문에 미세분산이 달성되지 않는다. 한편, ACR 의 값이 0.8 을 초과하면 S 가 거의 Ca 에 의해 고정되어 페라이트 생성핵으로서 작용하는 MnS 가 CaS 위에 석출되지 않기 때문에 충분한 기능이 발휘되지 않는다. 도 3 에 ACR 과 석출되는 황산물의 관계를 모식도로 나타낸다. 또, 본 발명 강에서의 ACR 의 적정 범위에서는 CaS 와 MnS 의 복합 황화물 및 TiN 이 동시 석출된 것이 평균 입경 0.1∼5㎛ 의 크기에서 5×102∼1×104개/㎟ 존재함으로써 용접 열영향부에서의 페라이트-펄라이트 변태가 촉진되어, 조직 미세화에 의한 용접 열영향부의 고인성화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모재의 강도 향상 기능이 있는 B, V, Nb, Cu, Ni, Cr, Mo 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시킬 수 있다.
B: 0.0004∼0.0010질량%
B 는 강판을 제조할 때 담금질성(硬化能; hardenability)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0004질량% 이상 필요한데, 0.0010질량% 를 초과하여 첨가하면 담금질성이 증가하여 용접 열영향부의 인성이 열화된다.
V: 0.2질량% 이하
V 는 모재의 강도·인성의 향상으로서 작용하는데, 그 효과는 0.01질량% 이상 첨가하여 얻어진다. 0.2질량% 를 초과하면 오히려 인성의 저하를 초래한다.
Nb: 0.05질량% 이하
Nb 는 모재의 강도, 인성 및 이음매의 강도를 확보하는데 효과적인 원소이지만, 그 효과는 0.007질량% 이상 첨가하여 얻어진다. 0.05질량% 를 초과하여 함유하면 용접 열영향부의 인성이 열화된다.
Ni: 1.5질량% 이하
Ni 는 모재의 고인성을 유지하면서 강도를 상승시키는데, 그 효과는 0.10질량% 이상 첨가하여 얻어진다. 1.5질량% 를 초과해도 효과가 포화되므로 이 함유량을 상한으로 하였다.
Cu: 1.0질량% 이하
Cu 는 Ni 와 동일한 작용을 하고 있는데, 그 효과는 0.10질량% 이상 첨가하여 얻어진다. 1.0질량% 를 초과하면 열간 취성이 생겨 강판의 표면성상을 열화시킨다.
Cr: 0.7질량% 이하
Cr 은 모재의 고강도화에 효과적인 원소인데, 그 효과는 0.05질량% 이상 첨가하여 얻어진다. 다량으로 첨가하면 인성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상한을 0.7질량% 로 한다.
Mo: 0.7질량% 이하
Mo 는 모재의 고강도화에 효과적인 원소인데, 그 효과는 0.05질량% 이상 첨가하여 얻어진다. 다량으로 첨가하면 인성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상한을 0.7질량% 로 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특히 Ca, S 를 한정된 범위로 조정하여 함유시킴으로써 대입열용접에서의 용접 열영향부의 인성이 우수한 강재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강재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다. 먼저 용선(molten steel)을 전로에서 정련하여 강으로 만든 후, RH 탈가스를 행하여 연속 주조 또는 조괴-분괴 공정을 거쳐 강편으로 한다. 이것을 1250℃ 이하의 온도로 재가열하고, 열간압연으로 가열 온도로부터 650℃의 온도영역에서 소정의 판두께로 압연한 후, 공랭 또는 1∼40℃/s 의 냉각속도로 가속냉각하여 200℃∼600℃에서 냉각정지시키고, 그 후 공랭하거나 또는 상기 열간압연 후에 650℃ 이상의 온도영역으로부터 직접 담금질하여 500℃±150℃에서 뜨임하는 방법. 850℃에서 950℃까지의 온도영역으로 재가열 담금질하고, 500℃±150℃에서 뜨임, 1000℃ 이하의 온도로 재가열 불림, 650℃ 이하로 뜨임 등의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 탠덤 로울러(tandem roller)에 의한 열간압연에서도 통상 사용되는 제조조건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강판 치수는 판두께 6㎜ 이상의 두꺼운 강판 또는 열간압연 강판이다.
또한, 본 발명의 강판에 적용되는 용접방법에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아크 용접, 잠호용접, 일렉트로슬래그 용접, 일렉트로가스 용접, 기타 열원의 용접방법도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1
다음으로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100㎏ 의 고주파용해로에서 표 1 및 표 2 에 나타내는 조성의 강을 용제하여 두께 100㎜ 의 슬래그로 하였다. 이 슬래그를 1150℃ 로 1시간 가열한 후, 930℃ 이상의 온도영역에서 전체 압하량의 50% 를 압연한 후, 900℃ 내지 700℃의 온도영역에서 20㎜ 두께의 강판을 만들어 10℃/s 의 냉각속도로 가속 냉각하였다.
이들 강판으로부터 용접 열사이클후의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폭 80㎜×길이 80㎜×두께 15㎜의 시험편을 채취하여 1400℃ 로 가열한 후 800∼500℃의 냉각속도를 1℃/s (일렉트로가스 용접에서의 입열량 450kJ/㎝ 의 용접 열영향부에 상당) 로 한 용접 열사이클을 부여하고, 용접 열영향부의 인성을 2㎜V 노치 샤르피 시험으로 평가하였다. 표 3 에, 얻은 용접 열영향부의 인성을 모재의 강도·인성과 함께 나타낸다. 또, 모재의 강도는 압연재의 압연방향으로부터 판두께 1/2t부에서 JISZ2201 시험편을 각 2 개 채취하고 JISZ2241 에 준거해서 시험하여 그 평균값을 구하였다. 인성은 압연재의 압연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JISZ2201 의 V 노치 시험편을 1/2t 의 위치에서 각 3 개 채취하고, JISZ2242 에 준거해서 취성-연성 파면 천이 온도(vTrs)를 측정하였다. 또한, 모재와 용접 열영향부의 인성(파면 천이 온도)은 vTrs 가 -40℃ 이하를 양호하다고 판정하였다.
표 3 으로부터, 발명예에서는 모두 vTrs≤-40℃ 의 양호한 용접 열영향부 인성이 얻어졌다. 이것에 대하여, 비교예에서는 용접 열영향부의 인성이 뒤떨어지고 그 중에는 모재의 인성도 뒤떨어지는 것이 있었다. 이들 비교예는 (Ca-(0.18+130×Ca)×0)/1.25/S 의 값, Ca, Ti, C, Mn, Si, S, N, Cu, Cr, Mo, V, B 등의 각 성분 함유량 중 어느 하나가 본 발명 범위를 벗어난 것이었다. 발명예의 강 16 과 비교예 23 의 강에 관하여 열간압연으로 판두께 60㎜t 인 강판을 제작하고 일렉트로가스 용접 450kJ/㎝ 의 입열로 용접 이음매를 만들어 판두께 1/4t 부의 대표적인 용접 열영향부의 마이크로 조직을 관찰하였다. 도 4 에 발명예의 강 16, 도 5 에 비교예 23 의 강의 마이크로 사진을 나타낸다. 도 5 의 비교강 23 에서는 용접 열영향부의 조립화가 현저한데 비하여, 도 4 의 본 발명강 16 은 용접 열영향부의 마이크로 조직을 모재와 동등할 때까지 미세화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강 16 에서는 대입열용접 열영향부의 인성이 모재와 동등 레벨이라는 것을 알았다.
Figure 112004013594628-pct00001
Figure 112004013594628-pct00002
Figure 112004013594628-pct00003
실시예 2
본 발명강의 강 2 에 관하여 판두께 50㎜ 의 강판을 열간압연으로 제작하고 입열 700kJ/㎝ 의 일렉트로슬래그 용접 이음매를 만들어 용접 열영향부의 인성을 평가하였다. 강판의 화학조성, 용접조건, 모재 및 용접 열영향부의 기계적 특성을 표 4 에 나타낸다. 기계적 시험에서는 용접 열영향부의 본드(fusion line)에서 1㎜ 와 3㎜ 용접금속에서 떨어진 위치에 노치가 오도록 시험편을 채취하여 vTrs 를 구하였다. 어느 위치에서도 표 3 의 실시예의 재현 열사이클로 얻어진 인성과 거의 동등하여 모재 수준의 우수한 특성이 얻어졌다.
Figure 112004013594628-pct00004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400kJ/㎝ 을 초과하는 대입열용접을 하여도 우수한 용접 열영향부 인성을 갖는 강재가 얻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잠호용접, 일렉트로가스 용접, 일렉트로슬래그 용접 등의 대입열용량에 의해 시공되는 대형 구조물의 품질 향상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 당연히 400kJ/㎝ 이하의 입열 범위에서도 우수한 용접 열영향부 인성을 갖는다.

Claims (4)

  1. C: 0.03∼0.15질량%,
    Si: 0.05∼0.25질량%,
    Mn: 1.40∼2.0질량%,
    P: 0.03질량% 이하,
    S: 0.0005∼0.0030질량%,
    Al: 0.015∼0.1질량%,
    Ti: 0.004∼0.03질량%,
    N: 0.0020∼0.0070질량%,
    Ca: 0.0005∼0.0030질량% 를 함유하고,
    또한 Ca, O, S 의 각 함유량은 아래의 (1)식을 만족시켜 함유하며, 잔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입열용접용 강재.
    0.3≤ACR≤0.8 (1)
    {여기에서, ACR=(Ca-(0.18+130×Ca)×0)/1.25/S 이고,
    Ca, O, S 는 각 성분의 함유량(질량%)을 나타냄}
  2. 제 1 항에 있어서, 강 조성이 추가로,
    B: 0.0004∼0.0010질량%, V: 0.2질량% 이하, Nb: 0.018질량% 이하, Cu: 1.0질량% 이하, Ni: 1.5질량% 이하, Cr: 0.7질량% 이하, Mo: 0.7질량% 이하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조성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입열용접용 강재.
  3. C: 0.03∼0.15질량%,
    Si: 0.05∼0.25질량%,
    Mn: 1.40∼2.0질량%,
    P: 0.03질량% 이하,
    S: 0.0005∼0.0030질량%,
    Al: 0.015∼0.1질량%,
    Ti: 0.004∼0.03질량%,
    N: 0.0020∼0.0070질량%,
    Ca: 0.0005∼0.0030질량% 를 함유하고,
    또한 Ca, O, S 의 각 함유량은 아래의 (1)식을 만족시켜 함유하며, 잔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용강을 연속 주조 또는 조괴-분괴 공정을 거쳐 강편으로 하며, 이것을 재가열하여 열간압연하거나 또는 상기 열간압연 후에 가속냉각, 직접 담금질 뜨임, 재가열 담금질-뜨임, 재가열 불림-뜨임의 공정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입열용접용 강재의 제조방법.
    0.3≤ACR≤0.8 (1)
    {여기에서, ACR=(Ca-(0.18+130×Ca)×0)/1.25/S 이고
    Ca, O, S 는 각 성분의 함유량(질량%)을 나타냄}
  4. 제 3 항에 있어서, 용강의 조성이 추가로,
    B: 0.0004∼0.0010질량%, V: 0.2질량% 이하, Nb: 0.018질량% 이하, Cu: 1.0질량% 이하, Ni: 1.5질량% 이하, Cr: 0.7질량% 이하, Mo: 0.7질량% 이하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조성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입열용접용 강재의 제조방법.
KR1020047004838A 2002-09-04 2002-09-04 대입열용접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Expired - Lifetime KR1006228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2/008977 WO2004022807A1 (ja) 2002-09-04 2002-09-04 大入熱溶接用鋼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0485A KR20040040485A (ko) 2004-05-12
KR100622888B1 true KR100622888B1 (ko) 2006-09-14

Family

ID=31972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4838A Expired - Lifetime KR100622888B1 (ko) 2002-09-04 2002-09-04 대입열용접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533392B1 (ko)
KR (1) KR100622888B1 (ko)
CN (1) CN100402688C (ko)
WO (1) WO200402280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1712A (ko) 2015-04-10 2016-10-20 동국제강주식회사 초대입열 용접용 강판의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초대입열 용접용 강판
WO2018117449A1 (ko) * 2016-12-22 2018-06-28 주식회사 포스코 수소유기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인장강도 450mpa급 후육 강재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24988B2 (ja) * 2005-05-30 2013-01-23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耐遅れ破壊特性に優れた引張強度900MPa以上の高張力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722393B1 (ko) * 2005-12-26 2007-05-28 주식회사 포스코 미세 복합석출물을 이용한 대입열 용접부 인성이 우수한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722388B1 (ko) * 2005-12-26 2007-05-28 주식회사 포스코 대입열 용접에 적용되는 용접용 강재 및 이의 제조 방법,그리고 대입열 용접에 의해 제조된 용접 구조물
KR100957940B1 (ko) * 2007-12-13 2010-05-13 주식회사 포스코 대입열 충격인성이 우수한 용접이음부를 포함하는용접구조용강
JP5439887B2 (ja) * 2008-03-31 2014-03-1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張力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1736194B (zh) * 2008-11-19 2012-11-28 攀钢集团研究院有限公司 一种车轮钢及其制备方法和车轮
US9757780B2 (en) 2009-03-25 2017-09-12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Electric resistance welded steel pipe excellent in deformability and fatigue properties after quenching
CN101899614B (zh) * 2010-08-27 2012-07-04 攀钢集团钢铁钒钛股份有限公司 一种含V、Nb复合微合金化的热轧钢板及其制备方法
JP5480215B2 (ja) * 2011-09-08 2014-04-23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引張強さ780MPa以上の低降伏比厚肉円形鋼管用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引張強さ780MPa以上の低降伏比厚肉円形鋼管
JP5857693B2 (ja) * 2011-12-05 2016-02-10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大入熱用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185809B1 (ko) 2016-02-03 2020-12-02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대입열 용접용 강재
CN105839003B (zh) * 2016-05-31 2017-09-26 江阴兴澄特种钢铁有限公司 一种正火态交货的180~200mm厚EH36钢板及其制备方法
CN107385353B (zh) * 2017-06-19 2019-06-25 江阴兴澄特种钢铁有限公司 一种海洋平台用250mm 特厚EH36钢板及其制备方法
CN108063108A (zh) * 2018-01-22 2018-05-22 广安市嘉乐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mb桥堆焊接机
KR102209581B1 (ko) * 2018-11-29 2021-01-28 주식회사 포스코 용접열영향부 인성이 우수한 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0189762A1 (ja) * 2019-03-19 2020-09-2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マンガン鋼鋳片の製造方法、高マンガン鋼鋼片および高マンガン鋼鋼板の製造方法
CN111519098B (zh) * 2020-05-12 2021-06-15 首钢集团有限公司 一种低碳钢及控制低碳钢中夹杂物的脱氧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7628A (ja) * 1984-12-28 1986-07-17 Nippon Steel Corp 高靭性耐サワ−鋼管用ホツトコイルの製造方法
JPS61270333A (ja) * 1985-05-23 1986-11-29 Sumitomo Metal Ind Ltd 溶接部cod特性の優れた高張力鋼の製造方法
JPS62112722A (ja) * 1985-11-13 1987-05-23 Nippon Steel Corp 耐水素誘起割れ性及び耐硫化物応力腐食割れ性の優れた鋼板の製造方法
JP2655911B2 (ja) * 1989-04-07 1997-09-24 川崎製鉄株式会社 耐水素誘起割れ性および耐硫化物応力腐食割れ性に優れるラインパイプ用鋼
JPH07173536A (ja) * 1993-12-16 1995-07-11 Nippon Steel Corp 耐サワー性の優れた高強度ラインパイプ用鋼板の製造法
JPH0995731A (ja) * 1995-10-02 1997-04-08 Nkk Corp 低温用建築向け鋼材の製造方法
EP1143023B1 (en) * 1999-10-12 2005-06-01 Nippon Steel Corporation Steel for welded structure purpose exhibiting no dependence of haz toughness on heat inpu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02235114A (ja) * 2001-02-05 2002-08-23 Kawasaki Steel Corp 大入熱溶接部靱性に優れた厚肉高張力鋼の製造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1712A (ko) 2015-04-10 2016-10-20 동국제강주식회사 초대입열 용접용 강판의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초대입열 용접용 강판
WO2018117449A1 (ko) * 2016-12-22 2018-06-28 주식회사 포스코 수소유기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인장강도 450mpa급 후육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73256A (ko) * 2016-12-22 2018-07-02 주식회사 포스코 수소유기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인장강도 450MPa급 후육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889189B1 (ko) * 2016-12-22 2018-08-16 주식회사 포스코 수소유기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인장강도 450MPa급 후육 강재 및 그 제조방법
CN110114490A (zh) * 2016-12-22 2019-08-09 株式会社Posco 具有450MPa级抗拉强度和优异的抗氢致开裂性的厚壁钢板及其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33392A1 (en) 2005-05-25
KR20040040485A (ko) 2004-05-12
CN100402688C (zh) 2008-07-16
CN1561403A (zh) 2005-01-05
EP1533392B1 (en) 2017-08-02
WO2004022807A1 (ja) 2004-03-18
EP1533392A4 (en) 2005-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2888B1 (ko) 대입열용접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JP5076658B2 (ja) 大入熱溶接用鋼材
KR101386042B1 (ko) 대입열 용접용 강재
JP5079419B2 (ja) 溶接熱影響部の靱性が優れた溶接構造物用鋼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溶接構造物の製造方法
KR101176612B1 (ko) 대입열 용접 열 영향부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후강판의 제조 방법 및 대입열 용접 열 영향부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후강판
KR100839262B1 (ko) 대입열 용접에 의한 용접 열영향부의 저온 인성이 우수한두꺼운 고강도 강판
JP5842314B2 (ja) 大入熱溶接用鋼
US20190352749A1 (en) Steel material for high heat input welding
KR100953787B1 (ko) 초대입열 용접에 있어서의 용접 열 영향부의 인성이 우수한강판
KR100997341B1 (ko) 대입열 용접에 있어서의 용접 열영향부의 인성이 우수한강판
KR20160127808A (ko) 고장력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WO2016009595A1 (ja) 大入熱溶接用鋼板の製造方法
JP2002256379A (ja) 大入熱溶接用鋼材
JP2005213534A (ja) 溶接熱影響部靭性に優れた鋼材の製造方法
JP5772620B2 (ja) テーパプレートの製造方法
JP5233365B2 (ja) 大入熱溶接用鋼材
JP5233364B2 (ja) 大入熱溶接用鋼材
US10300564B2 (en) Weld joint
JPH01159356A (ja) 溶接熱影響部靭性の優れた高張力鋼
JP5493658B2 (ja) 大入熱溶接熱影響部靱性に優れた非調質厚肉高張力鋼の製造方法。
WO2013128650A1 (ja) 大入熱溶接用鋼材
CN116171335B (zh) 钢板
JP5659949B2 (ja) 溶接熱影響部の靱性に優れた厚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857693B2 (ja) 大入熱用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4103742A (ja) 溶接用低温高靭性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40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04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9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9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8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1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1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1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1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2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19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30304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