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21454B1 -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장치 - Google Patents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1454B1
KR100621454B1 KR1020040062231A KR20040062231A KR100621454B1 KR 100621454 B1 KR100621454 B1 KR 100621454B1 KR 1020040062231 A KR1020040062231 A KR 1020040062231A KR 20040062231 A KR20040062231 A KR 20040062231A KR 100621454 B1 KR100621454 B1 KR 100621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argo crane
driver seat
present
sea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2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3595A (ko
Inventor
박일훈
Original Assignee
박일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일훈 filed Critical 박일훈
Priority to KR1020040062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1454B1/ko
Publication of KR20060013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3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1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1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52Details of compartments for driving engines or motors or of operator's stands or cabins
    • B66C13/54Operator's stands or cab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덮개를 이중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반원형으로 형성되므로 구조적으로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외부 영향에 의한 저항을 최소화함으로서 안정성이 향상되고 사용하기 편리하며, 몸체 전면에 차단막이 형성되어 바람이나 빗물 등에 의하여 시야가 좁아지거나 크레인 작동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는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장치에 관한 것이다.
덮개, 제 1덮개편, 제 2덮개편, 회전축, 고정핀, 걸림턱, 차단막

Description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장치{A COVER FOR OPERATING-SEAT ON CARGO CRAN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걸림턱과 고정핀의 작동을 도시한 부분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장치의 작동모습을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장치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 발명의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장치
12: 몸체 14: 덮개
14a: 제 1덮개편 14b: 제 2덮개편
15: 개폐 손잡이 16: 고정부
18: 회전축 20: 걸림턱
22: 삽입홈 24: 고정핀
26: 출입문 28: 차단막
본 발명은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덮개를 이중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반원형으로 형성되므로 구조적으로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외부 영향에 의한 저항을 최소화함으로서 안정성이 향상되고 사용하기 편리하며, 덮개장치 몸체의 전면부에 차단막이 형성되어 바람이나 빗물 등에 의하여 운전자의 시야가 좁아지거나 크레인 작동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는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장치는 운전석 실내 환기 및 통풍이 가능하도록 평면으로 형성된 덮개장치의 뚜껑을 열 수 있게 제작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구조에 따르면, 뚜껑 전체를 여닫을 때 회전 중심이 되는 덮개의 후단부에서 하중을 모두 받게 되므로 구조적으로 무리하게 많은 하중이 집중되고, 덮개를 많이 열어서 개방할수록 바람의 영향 등에 의하여 저항을 많이 받게 되어 구조적인 안정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덮개를 이중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반원형으로 형성되므로 구조적으로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외부 영향에 의한 저항을 최소화함으로서 안정성이 향상되고 사용하기 편리한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몸체 전면부에 차단막이 형성되어 바람이나 빗물 등의 영향으로 인하여 운전자의 시야가 좁아지거나 크레인 작동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는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장치는, 일측에 출입문을 구비한 몸체가 카고 크레인 차량의 외부 일측에 설치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개폐되며, 열었을 때 운전자석의 운전자가 완전히 노출되도록, 원기둥의 4분의 1에 해당하는 기둥형상의 덮개편이 2단으로 형성된 반원 기둥형 덮개가 상기 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덮개의 개방 폭을 조절하도록 덮개편의 이중 결합부위에 고정핀이 설치되며; 상기 덮개를 닫은 상태에서 몸체에 고정되도록 덮개와 몸체에 고정부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로서 자석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물질이 몸체 내부로 유입되거나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몸체의 전면에 차단막이 설치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따르면, 일측에 출입문(26)을 구비한 몸체(12)의 상부에 덮개(14)가 설치된다.
상기 덮개(14)는 원기둥의 4분의 1에 해당하는 기둥형상의 덮개편(14a, 14b)이 2단으로 구성됨으로서 반원 기둥형으로 형성된다. 제 1덮개편(14a)의 일부가 제 2덮개편(14b)에 삽입되는데, 2개의 덮개편(14a, 14b)이 겹쳐지는 이중 결합부위의 하부에는 회전축(18)이 설치되어 덮개(14)가 개폐되는 회전 중심의 역할을 하게 된다. 즉, 회전축(18)을 중심으로 덮개(14)를 회전시켜 열었을 때 운전자석의 운전자가 완전히 노출되도록 작동한다.
상기 제 1덮개편(14a)과 제 2덮개편(14b)의 이중 결합부위에 삽입홈(22)을 구비하여 고정핀(24)이 설치된다. 고정핀(24)을 설치한 상태에서는 2개의 덮개편(14a, 14b)이 함께 회전하고, 고정핀(24)을 제거한 상태에서는 각각 별도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덮개(14)를 원활하게 여닫기 위해서 제 1덮개편(14a) 내부에 개폐 손잡이(15)가 형성된다. 상기 제 1덮개편(14a)은 운전자가 작업을 하기 용이하도록 투명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12)의 일측에는 운전자가 운전석에 탑승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출입문(26)이 구비된다. 그리고, 이물질이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지 않도록 몸체(12) 전면의 4변을 따라 차단막(28)이 설치된다. 상기 차단막(28)은 운전자의 시야를 가 리지 않고 몸체(12)에 무리한 하중이 전달되지 않도록, 투명하고 가벼운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비닐이나 폴리 카보네이트를 이용하여 차단막(28)을 제작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2에 따르면, 제 1덮개편(14a)과 제 2덮개편(14b)은 이중 결합부위에 구비된 삽입홈(22)에 고정핀(24)을 설치함으로서 결합된다. 또한, 몸체(12)에 설치된 회전축(18)에 함께 고정 결합됨으로서, 회전축(18)을 중심으로 덮개(14)가 회전하여 개폐되도록 작동한다.
덮개(14)는 몸체(12)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어야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몸체(12)가 덮개(14)를 닫은 상태로 지지하기 어려우므로 몸체(12)에 고정부(16)를 설치하여 제 2덮개편(14b)과 결합되도록 한다. 즉, 제 2덮개편(14b)과 몸체(12)가 고정/결합되도록 함으로서 덮개(14) 전체를 닫은 상태로 지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운전자가 덮개(14)를 수월하게 여닫을 수 있도록 고정부(16)는 자석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덮개편(14a) 및 몸체에 각각 자석을 부착하여 결합시킬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에 따르면, 제 1덮개편(14a)과 제 2덮개편(14b)의 상부 내측에는 각각 걸림턱(20)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20)은 고정핀(24)과 함께 2개의 덮개편(14a, 14b)이 함께 움직이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걸림턱과 고정핀의 작동을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4에 따르면, 덮개(14)를 완전히 개방할 때에는 제 1덮개편(14a)과 제 2덮개편(14b)을 결합시키고 있는 고정핀(24)을 제거하게 된다. 그런 후, 다시 덮개(14)를 닫을 때에는, 이미 고정핀(24)이 제거된 상태이므로 제 1덮개편(14a)과 제 2덮개편(14b)이 함께 닫히지 않고 제 1덮개편(14a)만 닫히게 된다.
그런데, 걸림턱(20)을 설치함으로서 고정핀(24)이 없어도 제 1덮개편(14a)을 닫음으로서 제 2덮개편(14b)도 함께 닫히게 된다. 고정핀(24)은 덮개(14)를 닫는 과정에서 다시 설치할 수도 있고, 덮개(14)를 완전히 닫은 후 설치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장치의 작동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에 따르면 개폐 손잡이(15)와 고정핀(24)만 사용하면 덮개(14)를 열 수 있게 된다.
덮개(14)가 닫힌 상태에서 제 1덮개편(14a)과 제 2덮개편(14b)은 고정핀(24)과 회전축(18)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으므로 동시에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개폐 손잡이(15)를 뒤로 젖히면 덮개(14)가 닫힌 상태의 모양을 유지하면서 제 1덮개편(14a)과 제 2덮개편(14b)이 동시에 움직여 운전석의 절반만 개방된다.
이 때, 고정핀(24)을 제거하면 제 1덮개편(14a)만 젖혀져서 덮개(14)가 완전히 개방된다.
별도의 복잡한 장치를 사용하지 않아도 손쉽게 덮개(14)를 개방하여 운전자가 쾌적한 환경에서 작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고정핀(24) 대신 유압장치를 설치할 수도 있고, 레버를 조작하여 작동되는 고정장치를 설치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에 따르면, 본 발명의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장치는 운전자가 크레인을 작동하기 수월하도록 카고 크레인 차량의 외부 일측에 설치된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덮개를 이중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반원형으로 형성되므로 구조적으로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외부 영향 에 의한 저항을 최소화함으로서 안정성이 향상되고 사용하기 편리하고, 몸체 전면부에 차단막이 형성되어 바람이나 빗물 등에 의하여 시야가 좁아지거나 크레인 작동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장치에 있어서,
    일측에 출입문(26)을 구비한 몸체(12)가 카고 크레인 차량의 외부 일측에 설치되고,
    회전축(18)을 중심으로 개폐되며, 열었을 때 운전자석의 운전자가 완전히 노출되도록, 원기둥의 4분의 1에 해당하는 기둥형상의 덮개편(14a, 14b)이 2단으로 형성된 반원 기둥형 덮개(14)가 상기 몸체(12)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덮개(14)의 개방 폭을 조절하도록 덮개편(14a,14b)의 이중 결합부위에 고정핀(24)이 설치되며,
    상기 덮개(14)를 닫은 상태에서 몸체(12)에 고정되도록 상기 덮개와 몸체(12)에 고정부(16)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6)로서 자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이물질이 몸체(12) 내부로 유입되거나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몸체(12) 전면에 차단막(28)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장치.
KR1020040062231A 2004-08-07 2004-08-07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장치 KR100621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2231A KR100621454B1 (ko) 2004-08-07 2004-08-07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2231A KR100621454B1 (ko) 2004-08-07 2004-08-07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2557U Division KR200369039Y1 (ko) 2004-08-07 2004-08-07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3595A KR20060013595A (ko) 2006-02-13
KR100621454B1 true KR100621454B1 (ko) 2006-09-19

Family

ID=37122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2231A KR100621454B1 (ko) 2004-08-07 2004-08-07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14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9452A (ko) 2014-01-28 2015-08-05 박일훈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 장치
KR101615110B1 (ko) * 2015-09-10 2016-04-25 주식회사 금명특장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4865B1 (ko) * 2013-03-06 2014-11-24 이동희 차량용 크레인 조종석 캐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9452A (ko) 2014-01-28 2015-08-05 박일훈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 장치
KR101615110B1 (ko) * 2015-09-10 2016-04-25 주식회사 금명특장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3595A (ko) 2006-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57598A1 (fr) Malle arrière pour véhicule découvrable
KR20090064667A (ko) 히든타입 아웃사이드핸들
KR100621454B1 (ko)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장치
US20070001479A1 (en) Vehicle door
KR200369039Y1 (ko)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장치
US4889175A (en) Torque window
US20100071266A1 (en) Window operating mechanism
KR20120016504A (ko) 차량의 후방카메라 오염방지장치
KR100844667B1 (ko) 버스 플랩도어의 핸들구조
JP3105874B2 (ja) ド ア
JP2588687Y2 (ja) マンホール蓋
JPH11152976A (ja) 取手構造
JP2000270419A (ja) 垂直自立盤
JP2509328Y2 (ja) 開弁表示機能付バルブハンドル
JP2001113946A (ja) 建設機械のキャブ
KR20040080059A (ko)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부의 록킹 구조
JPH05118173A (ja) キヤビンドアのロツク解除装置
JP2010024670A (ja) アシスト機構付引手及びサッシ窓
JP4967177B2 (ja) 外部から操作できないルーバ面格子のロック機構
JP3703910B2 (ja) 溝蓋の開閉機構
JP2534038Y2 (ja) 断路器用手動操作装置
JPH0730266U (ja) 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解錠鍵
JPH086586Y2 (ja) 車両用開閉体のロック装置
JPH07117463A (ja) 車両用ベンチレータ
JP2009079363A (ja) ドアストッパ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8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8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8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