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5110B1 -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 - Google Patents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15110B1 KR101615110B1 KR1020150128494A KR20150128494A KR101615110B1 KR 101615110 B1 KR101615110 B1 KR 101615110B1 KR 1020150128494 A KR1020150128494 A KR 1020150128494A KR 20150128494 A KR20150128494 A KR 20150128494A KR 101615110 B1 KR101615110 B1 KR 1016151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upper frame
- driver
- lower frame
- upper por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52—Details of compartments for driving engines or motors or of operator's stands or cabi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52—Details of compartments for driving engines or motors or of operator's stands or cabins
- B66C13/54—Operator's stands or cab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Description
이러한, 크레인의 회전반 상측으로 연결된 기둥의 상측에는 운전석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운전석의 전방에는 다수의 운전바가 설치되어 있어 운전자가 운전석에 앉은 자세로 각종 운전바를 동작시킴으로서, 넓은 시야를 확보하고 운전을 통하여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최근에는 차량에 설치하는 크레인의 운전석에 설치되어 운전석을 보호하여 작업이 편리하도록 하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부 프레임을 하측으로 회전이동시켜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이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제10-1037948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제10-1037948호(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의 경우 상기 상부 프레임을 하측으로 회전이동시켜 폴딩하는 과정 중에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부가 차량 운전공간을 형성하는 캡의 상부에 접하면서 간섭을 받기 때문에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케빈의 높이를 최소화한 상태로 폴딩할 수 없는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차량이 이동하는 과정 중에 상기 케빈이 흔들리는 문제점이 있고, 아울러,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상기 케빈의 수리 보수시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 프레임의 일측부에 일측 수직부재와, 상기 일측수직부재의 상부에 형성되는 일측 수평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의 타측부에 상기 일측 수직부재의 상하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타측 수직부재와, 상기 타측 수직부재의 상부에 형성되는 타측 수평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조 프레임의 일측부의 하부가 상기 하부 프레임의 타측 수평부재의 일단부에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부 프레임의 타측 수평부재의 일단부에 수평방향의 가이드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 프레임의 일측부의 하부에 상기 하부 프레임의 타측 수평부재의 일단부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슬릿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슬릿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축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상부 프레임의 일측과 상측을 개방할 수 있도록 상단부가 상기 상부 프레임의 타측부 상부에 축고정되는 출입문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출입문의 상부에 일측이 축고정되고,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부에 타측이 축고정되는 실린더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상부 프레임이 폴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상부 프레임의 폴딩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출입문이 상부 프레인의 일측과 상측을 개방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10은 차량의 크레인의 운전석에 설치된 본 발명의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이 폴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1은 차량의 크레인의 운전석에 설치된 본 발명의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이 언폴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은 차량용 크레인의 운전석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하부 프레임(10), 상부 프레임(20) 및 보조 프레임(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하부 프레임(10)은 차량용 크레인의 운전석을 수용한 상태로 상기 운전석의 바닥판(도 10 및 도 11의 3)에 고정설치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타측부는 상기 하부프레임의 일측부보다 높게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 프레임(20)의 일측부의 하부는 상기 하부 프레임(20)의 일측부의 상부에 축고정된다.
다음으로, 상기 보조 프레임(30)의 상단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20)의 타측부의 상부에 축고정된다.
상기 보조 프레임(30)의 일측부의 하부는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타측부의 상부에 일정한 방향 즉,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일측부에는 일측 수직부재(110)와 일측 수평부재(1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수직부재(110)는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일측부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수평부재(120)는 상기 일측 수직부재(110)의 상부에 일체형으로 수평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타측부에는 타측 수직부재(130)와 타측 수평부재(1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수직부재(130)는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타측부 상부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수직부재(130)의 상하길이는 상기 일측 수직부재(110)의 상하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수평부재(140)는 상기 타측 수직부재(130)의 상부에 일체형으로 수평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보조 프레임(30)의 일측부의 하부는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타측 수평부재(140)의 일단부에 일정한 방향 즉,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타측 수평부재(140)의 일단부에는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일측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형성되는 수평방향의 가이드슬릿(14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 프레임(30)의 일측부의 하부 내면에는 상기 보조 프레임(30)의 내측방향으로 각각 일정길이로 돌출형성되는 가이드축(30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축(301)은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타측 수평부재(140)의 일단부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슬릿(141)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슬릿(141)을 따라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일측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할 수 있다.
도 3은 상부 프레임이 폴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상부 프레임의 폴딩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작업자는 상기 상부 프레임(20)의 타측부를 상기 상부 프레임(20)의 하부방향으로 회전이동시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프레임(20)의 상부와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상부가 동일수평선을 이루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20)을 폴딩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폴딩된 상기 상부 프레임(20)의 타측부를 상기 상부 프레임(20)의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시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프레임(20)을 언폴딩시킬 수 있다.
작업자가 상기 상부 프레임(20)을 폴딩 및 언폴딩하는 과정 중에 상기 보조 프레임(30)의 가이드축(301)이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타측 수평부재(140)의 가이드슬릿(141)을 따라 좌우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상부 프레임(20)이 보다 원활하게 폴딩 및 언폴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부 프레임(20)의 폴딩 및 언폴딩 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일측 수직부재(110)의 내면 상측과 상기 상부 프레임(20)의 일측부 내면 상측 사이에 실린더부재(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부재(50)의 실린더몸체(510)의 하부는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일측 수직부재(110)의 내면 상측에 축고정될 수 있고, 상기 실린더부재(50)의 로드(520)의 상측은 상기 상부 프레임(20)의 일측부 내면 상측에 축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부재(50)는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타측 수평부재(140)의 내면 일측과 상기 상부 프레임(20)의 타측부 내면 상측 사이에도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린더부재(50)의 실린더몸체(510)의 하부는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타측 수평부재(140)의 내면 일측에 축고정될 수 있고, 상기 실린더부재(50)의 로드(520)의 상측은 상기 상부 프레임(20)의 타측부 내면 상측에 축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20)이 폴딩되는 과정 중에 상기 실린더부재(50)의 로드(520)의 길이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점차 줄어들 수 있고, 상기 상부 프레임(20)이 언폴딩되는 과정 중에 상기 실린더부재(50)의 로드(520)의 길이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점차 늘어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출입문이 상부 프레인의 일측과 상측을 개방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프레임(20)의 일측과 상기 상부 프레임(20)의 상측을 개폐하는 출입문(4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출입문(40)의 상단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20)의 타측부의 상부에 축고정될 수 있다.
상기 출입문(40)의 상단부를 기준으로 작업자는 상기 출입문(40)의 하단부를 상기 상부 프레임(20)의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시켜 상기 상부 프레임(20)의 일측과 상기 상부 프레임(20)의 상측을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출입문(40)의 상단부를 기준으로 작업자는 상기 출입문(40)의 하단부를 상기 상부 프레임(20)의 하부방향으로 회전이동시켜 상기 상부 프레임(20)의 일측과 상기 상부 프레임(20)의 상측을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출입문(40)이 상기 상부 프레임(20)의 일측과 상기 상부 프레임(20)의 상측을 개방 및 폐쇄한 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출입문(40)의 상부 중간부 외면과 상기 상부 프레임(20)의 타측 상부 외면 사이에도 상기 실린더부재(50)가 상기 상부 프레임(2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부재(50)의 실린더몸체(51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은 상기 상부 프레임(20)의 타측 상부 외면에 축고정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부재(50)의 로드(520)의 일측은 상기 출입문(40)의 상부 중간부 외면에 축고정될 수 있다.
상기 출입문(40)의 하단부가 상기 상부 프레임(20)의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되는 과정 중에 상기 실린더부재(50)의 로드(520)의 길이는 점차 늘어날 수 있고, 상기 출입문(40)의 하단부가 상기 상부 프레임(20)의 하부방향으로 회전이동되는 과정 중에 상기 실린더부재(50)의 로드(520)의 길이는 점차 줄어들 수 있다.
상기 실린더부재(50)는 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 전동실린더, 가스실린더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상기 상부 프레임(20)의 폴딩 및 언폴딩 상태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유지 및 상기 출입문(40)이 상기 상부 프레임(20)의 일측과 상기 상부 프레임(20)의 상측을 개방 및 폐쇄한 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실린더부재(50)는 특히, 가스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은 일실시예와 동일하게 상기 하부 프레임(10), 상기 상부 프레임(20) 및 상기 보조 프레임(30)으로 구성되되, 상기 하부 프레임(10), 상기 상부 프레임(20) 및 상기 보조 프레임(30)의 형상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의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일측부에 상기 하부프레임(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2개의 상기 상부 프레임(20)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의 일측내에 형성되는 공간(201)내에는 상기 공간(201)을 개폐하기 위한 보조출입문(6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출입문(60)의 일측은 상기 공간(201)의 일측 주변에 위치하는 상기 상부 프레임(20)의 일측부위에 축결합될 수 있다.
도 10은 차량의 크레인의 운전석에 설치된 본 발명의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이 폴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1은 차량의 크레인의 운전석에 설치된 본 발명의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이 언폴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상부 프레임(20)의 타측부를 상기 상부 프레임(20)의 하측으로 회전이동시켜 폴딩하는 과정 중에 상기 상부 프레임(20)의 하부가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 운전공간을 형성하는 캡(5)의 상부에 간섭을 받지 않기 때문에 상기 상부 프레임(20)의 상부와 하부 프레임(10)의 상부가 동일수평선을 이루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20)을 폴딩하여 본 발명인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의 상하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차량이 이동하는 과정 중에 본 발명인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이 흔들릴 우려가 없고, 나아가 상기 상부 프레임(20), 상기 하부 프레임(10) 및 보조 프레임(30) 중 훼손된 부위에 해당하는 부위만 교체보수할 수 있어 교체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30; 보조 프레임.
Claims (6)
- 차량용 크레인의 운전석에 설치되는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에 있어서,
차량용 크레인의 운전석을 수용한 상태로 상기 운전석의 바닥판에 고정설치되고, 일측부보다 타측부가 높게 형성되며, 일측부에 일측 수직부재 및 상기 일측수직부재의 상부에 형성되는 일측 수평부재가 구비되고, 타측부에 상기 일측 수직부재의 상하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타측 수직부재 및 상기 타측 수직부재의 상부에 형성되는 타측 수평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타측 수평부재의 일단부에 수평방향의 가이드슬릿이 형성되는 하부 프레임과;
일측부의 하부가 상기 하부 프레임의 일측부의 상부에 축고정되고, 타측부가 하부방향으로 회전이동되어 상부와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가 동일수평선을 이루도록 폴딩되고, 타측부가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되어 언폴딩되는 상부 프레임과;
상단부가 상기 상부 프레임의 타측부의 상부에 축고정되고, 일측부의 하부가 상기 하부 프레임의 타측 수평부재의 일단부에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일측부의 하부에 상기 하부 프레임의 타측 수평부재의 일단부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슬릿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이 폴딩 및 언폴딩되는 과정 중에 상기 가이드슬릿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축이 형성되는 보조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일측과 상측을 개방할 수 있도록 상단부가 상기 상부 프레임의 타측부 상부에 축고정되는 출입문과;
상기 출입문의 상부에 일측이 축고정되고,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부에 타측이 축고정되는 실린더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8494A KR101615110B1 (ko) | 2015-09-10 | 2015-09-10 |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8494A KR101615110B1 (ko) | 2015-09-10 | 2015-09-10 |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15110B1 true KR101615110B1 (ko) | 2016-04-25 |
Family
ID=55918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28494A Active KR101615110B1 (ko) | 2015-09-10 | 2015-09-10 |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15110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231013A (zh) * | 2018-09-06 | 2019-01-18 | 辽宁工业大学 | 智能化可变高度随车吊操作室及其控制方法 |
KR20190114681A (ko) * | 2018-03-30 | 2019-10-10 | 디와이 주식회사 | 접이식 캐빈 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21454B1 (ko) * | 2004-08-07 | 2006-09-19 | 박일훈 |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장치 |
KR101037948B1 (ko) * | 2010-08-13 | 2011-05-30 | 김석곤 |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 |
-
2015
- 2015-09-10 KR KR1020150128494A patent/KR101615110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21454B1 (ko) * | 2004-08-07 | 2006-09-19 | 박일훈 |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장치 |
KR101037948B1 (ko) * | 2010-08-13 | 2011-05-30 | 김석곤 |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14681A (ko) * | 2018-03-30 | 2019-10-10 | 디와이 주식회사 | 접이식 캐빈 장치 |
KR102440718B1 (ko) | 2018-03-30 | 2022-09-07 | 디와이이노베이트 주식회사 | 접이식 캐빈 장치 |
CN109231013A (zh) * | 2018-09-06 | 2019-01-18 | 辽宁工业大学 | 智能化可变高度随车吊操作室及其控制方法 |
CN109231013B (zh) * | 2018-09-06 | 2024-01-23 | 辽宁工业大学 | 智能化可变高度随车吊操作室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016137887A (ru) | Конструкция багажного отсека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промышленного назначения,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грузового автомобиля | |
CN103826892A (zh) | 机动车后盖板 | |
WO2014006975A1 (ja) | テールゲート付き車両 | |
EP3556719B1 (en) | Forklift side door | |
KR101615110B1 (ko) |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 | |
KR20150129434A (ko) | 중량물 상,하차용 화물차의 리프트장치 | |
JP5295032B2 (ja) | 貨物用コンテナ | |
CN110191820B (zh) | 货车车厢的盖装置 | |
KR100830570B1 (ko) | Psd용 구동부 커버의 개폐 장치 | |
US11247735B2 (en) | Expandible height cargo bed system with mid-bed access | |
CN101652520B (zh) | 安装于建筑设备的上部框架下侧处的隔室 | |
US10384523B2 (en) | Convertible top having link arrangements for adjusting a convertible-top element | |
KR20210004034A (ko) | 화물차 적재함의 리프트 게이트 | |
JP5973950B2 (ja) | 作業機の上部構造 | |
US20190217903A1 (en) | Box for Pick-up Truck Vehicles | |
US9522591B1 (en) | Sealing arrangement for a vehicle top surface element | |
KR101572839B1 (ko) | 트럭의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 | |
KR102327556B1 (ko) | 건설기계의 캐빈 | |
KR101646878B1 (ko) | 더블캡 차량의 승하차용 자동스텝장치 | |
KR101701095B1 (ko) | 적재함 보호 덮개장치 | |
JP4049573B2 (ja) | 壁面開閉装置付き車両荷台カバー構体 | |
KR20160051958A (ko) | 이동식 공구박스를 구비한 지게차 | |
KR102071637B1 (ko) | 건설중장비용 가변형 조종실 | |
KR102269565B1 (ko) | 수송을 위한 구조 가변형 틀 장치 | |
KR102299049B1 (ko) | 중장비 차량의 동력실 실링 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9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4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4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42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