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27935B1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7935B1
KR100527935B1 KR10-2002-0070414A KR20020070414A KR100527935B1 KR 100527935 B1 KR100527935 B1 KR 100527935B1 KR 20020070414 A KR20020070414 A KR 20020070414A KR 100527935 B1 KR100527935 B1 KR 100527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ine
pixel
signal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0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0140A (ko
Inventor
이나다가츠히코
하나자와야스유키
모리타데츠오
나가야마고헤이
다카하시히데유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30040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0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7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793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14Control of polarity reversal in gener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8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688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suitable for active matrices on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7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the drivers handling digital grey scale data, e.g. use of D/A conver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97Special arrangements with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of display data in the drivers for data electrodes, in a pre-processing circuitry delivering display data to said drivers or in the matrix panel, e.g. multiplexing plural data signals to one D/A converter or demultiplexing the D/A converter output to multiple colum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있어서, 신호선 구동회로는, 임의의 화소전극에 대해 수평주사방향으로 인접하는 양측의 화소전극에 인가되는 영상신호의 극성이 서로 다른 것으로 하고, 또 그 임의의 화소전극에 대해 수직주사방향으로 인접하는 양측의 화소전극에 인가되는 영상신호의 극성이 서로 다르도록 한다. 복수의 신호선을 하나의 신호선군이 소정수의 신호선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신호선군으로 구분했을 때의 신호선군마다 신호선 구동용 IC는 영상신호를 출력하고, 신호선 절환회로는 1수평주사기간내에 각 신호선군에서의 모든 신호선을 순차적으로 절환한다. 신호선 구동용 IC는 플렉시블 배선기판상에 실장되고, 플렉시블 배선기판은 어레이기판의 접속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신호선 절환회로는 화소TFT와 동일한 제조공정으로 어레이기판상에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직교하는 복수의 신호선과 복수의 주사선 각각의 교차부에 화소가 배치되고, 화소마다 화소전극과 트랜지스터가 배치된 액티브 매트릭스형의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티브 매트릭스형의 액정표시장치에서의 각 화소전극으로의 영상신호의 기입방식으로서 라인반전 구동방식과 H/V반전 구동방식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도 1a와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V라인반전 구동방식에서는 수직주사방향에 대해 병렬로 배선된 신호선마다 극성의 정부(正負)를 반전시킨 영상신호를 출력하고, 각 신호선을 매개로 각 화소에 영상신호를 기입한다. 임의의 n번째의 프레임으로부터 n+1번째의 프레임으로 이행할 때에는 모든 화소에서의 영상신호의 극성을 반전시킨다. 즉, 1수직주사기간마다 영상신호의 극성을 반전시킨다. 도 1a와 도 1b에 있어서, +는 정극성의 영상신호가 기입된 정극성 화소, -는 부극성의 영상신호가 기입된 부극성 화소이다. V라인반전 구동방식에서는, 예컨대 공통전위를 5V로 한 경우, 정극성에는 9V, 부극성에는 1V의 전압이 인가된다.
도 2a와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H/V반전 구동방식에서는 신호선마다 영상신호의 극성을 반전시키고, 1수평주사기간마다 영상신호의 극성을 반전시킨다. n번째의 프레임으로부터 n+1번째의 프레임으로 이행할 때에는 모든 화소에서의 영상신호의 극성을 반전시킨다.
그렇지만, V라인반전 구동방식에서는 어떤 원인에 의해 신호선의 전위가 변동하면, 신호선과 화소전극 사이에 커플링(coupling) 용량이 존재하기 때문에, 화소전극의 전위도 변동한다. 또, V라인반전 구동방식에서는 어떤 화소와 그 화소에 대해 수평주사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화소의 극성이 서로 반대이다. 이 때문에, 배경색으로 중간조색(halftone color)을 이용하여 화면 중앙부에 보색의 장방형 윈도우 패턴을 표시한 경우, 각 화소에서 화소전극의 전위 변동량이 다르다. 그 결과, 윈도우 패턴의 상하와 좌우에서 중간조색 러스터(luster)의 계조(階調)가 달라져 버려 종(縱) 크로스토크(crosstalk)라 불리는 표시얼룩이 발생한다.
H/V반전 구동방식에서는, 그 대책으로서 1수평주사기간마다 영상신호의 극성을 반전시킨다. 이에 따라, 각 화소전극의 전위변동이 1수평주사기간마다 캔슬되기 때문에 종 크로스토크를 개선할 수 있다. 그러나, 영상신호의 극성을 반전시키는 주기가 짧아 소비전력이 증가한다.
또, 많은 퍼스널 컴퓨터의 OS로 채용되고 있는 Windows(등록상표)의 종료화면은 도 3a와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은 흑색 표시화소군과 중간조 표시화소군을 번갈아 나타내는 바둑판모양 패턴이다. H/V반전 구동방식을 이용한 경우, 중간조 표시화소에 대해서는 도 3a의 n번째의 프레임에서는 부극성 화소수 쪽이 많은 것에 대해 도 3b의 n+1번째의 프레임에서는 정극성 화소수 쪽이 많다. 이와 같이 중간조 표시화소의 극성에 치우침이 생기고, 또 정극성 화소와 부극성 화소에서 휘도가 다르기 때문에, 이 치우침이 플리커(flicker)로서 시인(視認)되기 쉬워진다. 또, 수평주사방향의 각 행에서는 중간조 표시의 정극성 화소와 부극성 화소의 수가 달라 극성에 치우침이 있다. 이 때문에, 화소전극이나 신호선 등이 형성된 어레이기판에 대향하여 배치된 대향기판의 표면에 형성된 대향전극의 전위변동의 영향에 의해 횡(橫) 크로스토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액티브 매트릭스형의 액정표시장치에서는 화소마다 박막 트랜지스터 (이하,「화소 TFT(Thin Film Transistor)라 칭함)가 배치되어 있고, 화소TFT로서 비정질 실리콘 TFT 혹은 다결정 실리콘 TFT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가 알려져 있다.
비정질 실리콘 TFT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신호선 구동회로 및 주사선 구동회로를 플렉시블 배선기판상에 형성한 테이프ㆍ캐리어ㆍ패키지(TCP)가 이용된다. 이 TCP가 어레이기판의 접속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면, 신호선 구동회로 및 주사선 구동회로가 어레이기판상의 각 화소TFT에 접속되어 화소TFT가 구동가능하게 된다.
비정질 실리콘 TFT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어레이기판상의 신호선에 TCP로부터 영상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배선이 필요하지만, 화소의 고정세화(高精細化)에 따라 배선수가 많아지기 때문에, 배선 사이에 충분한 피치를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다.
한편, 다결정 실리콘 TFT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에서는 화소TFT로서의 구동능력이 높기 때문에, 신호선 구동회로 및 주사선 구동회로를 화소TFT와 동일한 제조공정으로 어레이기판상에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어레이기판의 외부에는, 예컨대 디지털ㆍ아날로그 변환기라는 신호선 구동회로의 일부가 TCP로서 설치된다.
다결정 실리콘 TFT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에서는 비정질 실리콘 TFT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와 비교하여 TCP와 어레이기판을 접속하는 배선의 수를 대폭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어 외부접속부품을 줄여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 한편으로, 다결정 실리콘 TFT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어레이기판의 대형화에 따라 어레이기판상에서 인회(引回)되는 배선이 길어지기 때문에, 영상신호가 열화하여 표시얼룩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소비전력이면서 종 크로스토크, 횡 크로스토크, 플리커의 발생을 방지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소를 고정세화한 경우에도 배선 사이의 피치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어레이기판상에서의 배선이 길어지는 것에 의한 표시얼룩을 방지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의 특징은, 복수의 신호선과 복수의 주사선의 각 교차부에서 신호선 및 주사선에 접속된 화소 트랜지스터와, 상기 각 교차부에서 화소 트랜지스터에 접속된 화소전극, 복수의 출력단자를 갖추고서 각 출력단자에 소정 주기로 극성반전되는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선 구동용 IC 및, 각각의 상기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상기 신호선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소정 주기에 동기해서 선택하여 그 출력단자로부터의 영상신호출력을 공급함으로써, 임의의 화소전극에 대해 수평주사방향으로 인접하는 양측의 화소전극에 인가되는 영상신호의 극성이 서로 다르고, 또한 상기 임의의 화소전극에 대해 수직주사방향으로 인접하는 양측의 화소전극에 인가되는 영상신호의 극성이 서로 다르도록 한 영상신호를 화소전극으로 신호선을 매개로 출력하는 신호선 절환회로를 갖추어 구성된 점에 있다.
삭제
(발명의 실시형태)
제1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의 액정표시장치는 일례로서 다결정 실리콘 TFT가 화소 트랜지스터로서 이용되고, 유효영역을 대각 14인치 사이즈의 액티브 매트릭스형으로 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액정표시장치(1)는 어레이기판(100)과, 이 어레이기판(100)상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배치된 대향기판(200) 및, 이들 어레이기판(100)과 대향기판(200) 사이에 끼여 배향막을 매개로 배치된 액정층을 구비한다. 어레이기판(100)과 대향기판(200)은 밀봉재(400)에 의해 맞서게 된다.
어레이기판(100)은 주사선 구동회로(150)와, 신호선 절환회로(170), 수평주사방향(행방향)으로 병렬로 배선된 복수의 주사선(Y), 수직주사방향(열방향)으로 병렬로 배선된 복수의 신호선(X), 각 주사선(Y)과 각 신호선(X) 각각의 교차부에 설치된 화소TFT(110), 화소전극(120), 보조용량소자(130a) 및, 보조용량소자(130 b)를 구비한다.
화소TFT(110)는 다결정 실리콘막을 반도체층으로 하는 다결정 실리콘 TFT이다. 화소TFT(110)의 게이트전극은 주사선(Y)에 접속되고, 드레인전극은 신호선 (X)에 접속되며, 소스전극은 화소전극(120)에 접속된다. 화소전극(120)과 어레이기판(100) 사이에 보조용량소자(130a)가 형성되고, 화소전극(120)과 대향기판(200) 사이에 보조용량소자(130b)가 형성된다.
주사선 구동회로(150)는 주사선(Y)을 매개로 화소전극(110)에 구동신호를 공급한다. 이 주사선 구동회로(150)는 화소TFT(110)와 동일한 제조공정에 의해 어레이기판(100)상에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어레이기판(100)의 접속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일 구성의 TCP(500-1, 500-2, 500-3, 500-4; 이하, TCP(500-1∼500-4)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경우에는'TCP(500-N)'으로 나타냄)와, 어레이기판(100)상에 화소TFT(110)와 동일한 제조공정으로 형성된 신호선 절환회로(170)에 의해 신호선 구동회로가 구성된다. 신호선 구동회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영상신호의 극성을 제어하여 출력한다.
TCP(500-N)는 플렉시블 배선기판상에 신호선 구동용 IC(Integrated Circuit; 511) 등이 실장된 구성이다. TCP(500-N)의 한쪽 측변은 어레이기판(100)의 한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다른쪽 측변은 외부의 PCB(Printed Circuit Board; 600)에 접속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TCP(500-N)는 신호선 구동용 IC(511) 외에, PCB의 접속단자에 접속되는 PCB측 패드(513)와, 어레이기판(100)의 접속단자에 접속되는 어레이측 패드(515) 및, 이들 패드 사이를 접속하는 각종 배선(531, 533, 535, 537)을 구비한다. PCB측 패드(513) 및 어레이측 패드(515)는 이방성 도전필름(anisotoropic conductive film)을 매개로 각각 PCB(600)와 어레이기판(10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신호선 구동용 IC(511)는 어레이기판(100)의 신호선 절환회로(170)에 대해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PCB(600)에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클럭신호 및 각종 제어신호를 출력함과 더불어, 영상신호를 제어신호에 동기시켜 출력하는 제어회로(610), 전원회로 등이 실장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호선 구동용 IC(511)는 PCB(600)로부터 전송되어 온 클럭신호, 제어신호를 시프트 레지스터(shift resister; 521)에 의해 시프트하고, 데이터 레지스터(523)에 의해 영상신호를 일시적으로 격납(格納)하며, D/A컨버터(525)에 의해 영상신호를 디지털신호로부터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신호선 절환회로(117)로 출력한다. 이 때, 신호선 구동용 IC(511)는 영상신호의 극성을 제어함과 더불어, 복수의 신호선을 하나의 신호선군이 소정수의 신호선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신호선군으로 구분했을 때의 신호선군마다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에서는, 각 신호선군에서의 신호선의 소정수를 2로 한다.
신호선 절환회로(170)는 1수평주사기간내에 각 신호선군에서의 모든 신호선을 순차적으로 절환한다. 구체적인 구성으로서, 신호선 절환회로(170)는 신호선 구동용 IC(511)로부터 전송되어 온 영상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자(1C, 2C, …)와, 신호선(X1, X2, X3, X4, …)에 각각 접속된 출력단자(1A, 1B, 2A, 2B, …), 입력단자(1C)에 대해 출력단자(1A 또는 1B)를 절환하여 접속하는 스위치(SW1) 및, 입력단자(2C)에 대해 입력단자(2A 또는 2B)를 절환하여 접속하는 스위치(SW2)를 구비한다. 한편, 도 6에서는 최상단의 게이트선에서의 화소를 화소 1, 화소 2, 화소 3, 화소 4로 하고, 2단째의 게이트선에서의 화소를 화소 5, 화소 6, 화소 7, 화소 8로 하여 나타낸다.
다음으로, 각 화소로 영상신호를 기입할 때의 신호선의 구동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구동방식에서는 임의의 화소전극에 대해 수평주사방향으로 인접하는 양측의 화소전극에 인가되는 영상신호의 극성이 서로 다른 것으로 하고, 또 그 임의의 화소전극에 대해 수직주사방향으로 인접하는 양측의 화소전극에 인가되는 영상신호의 극성이 서로 다르도록 영상신호의 극성이 제어된다. 한편, 도 7a 및 도 7b에 대해서도 최상행의 화소를 화소 1, 화소 2, 화소 3, 화소 4로 하고, 2행째의 화소를 화소 5, 화소 6, 화소 7, 화소 8로 나타낸다.
본 구동방식에서는 n번째 프레임의 최상행의 1수평주사기간에 있어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치(SW1)에 1수평주사기간의 전반에서 온(ON)으로 되고 후반에서 오프(OFF)로 되는 스위치신호(S1)가 입력된다. 이에 따라, 신호선 절환회로 (170)의 입력단자(1C)는 1수평주사기간의 전반에 출력단자(1A)에 접속되고, 후반에 출력단자(1B)에 접속된다.
또, 스위치(SW2)에는 1수평주사기간의 전반에서 온으로 되고 후반에서 오프로 되는 스위치신호(S2)가 입력된다. 이에 따라, 신호선 절환회로(170)의 입력단자(2C)는 1수평주사기간의 전반에 출력단자(2A)에 접속되고, 후반에 출력단자(2B)에 접속된다.
이 때, 신호선 구동용 IC(511)는 입력단자(1C)에 대해 1수평주사기간의 전반에는 신호선(X1)에 출력해야 할 영상신호를 출력하고, 후반에는 신호선(X2)에 출력해야 할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이 영상신호의 극성은 1수평주사기간의 전반에서는 정극성이고, 후반에서는 부극성이다. 신호선 절환회로(170)는 1수평주사기간의 전반에는 출력단자(1A)를 매개로 신호선(X1)에 정극성의 영상신호를 출력하고, 후반에는 출력단자(1B)를 매개로 신호선(X2)에 부극성의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또, 신호선 구동용 IC(511)는 입력단자(2C)에 대해서는 1수평주사기간의 전반에는 신호선(X3)에 출력해야 할 영상신호를 출력하고, 그 후반에는 신호선(X4)에 출력해야 할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이 영상신호의 극성은 1수평주사기간의 전반에서는 부극성이고, 후반에서는 정극성이다. 신호선 절환회로(170)는 1수평주사기간의 전반에는 출력단자(2A)를 매개로 신호선(X3)에 부극성의 영상신호를 출력하고, 후반에는 출력단자(2B)를 매개로 신호선(X4)에 정극성의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소(1)에는 정극성의 영상신호가 기입되어 유지되고, 화소(2)에는 부극성의 영상신호가 기입되어 유지된다. 또, 화소 (3)에는 부극성의 영상신호가 기입되어 유지되고, 화소(4)에는 정극성의 영상신호가 기입되어 유지된다. 이후, 그 외의 행에서의 화소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처리함으로써 각 화소의 극성분포를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은 극성분포로 한다.
n번째 프레임으로부터 도 7b에 나타낸 n+1번째 프레임으로 이행할 때에는 모든 화소에 대한 극성을 반전시킨다.
이와 같이 1수평주사기간의 전반과 후반에서 영상신호를 기입하는 화소를 분산함으로써 화소전극의 전위가 변동하는 것에 따른 표시열화를 시인하기 어렵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화소의 극성분포를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낸 것 대신에, 예컨대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은 극성분포로 해도 좋다. 이 경우도, 신호선 구동회로에 의해 임의의 화소전극에 대해 수평주사방향으로 인접하는 양측의 화소전극에 인가되는 영상신호의 극성을 서로 다른 것으로 하고, 또 그 임의의 화소전극에 대해 수직주사방향으로 인접하는 양측의 화소전극에 인가되는 영상신호의 극성이 서로 다르도록 극성을 제어한다.
이 경우의 n번째 프레임의 최상행의 1수평주사기간에 있어서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치(SW1)에 1수평주사기간의 전반에서 온으로 되고, 후반에서 오프로 되는 스위치신호(S1)가 입력되고, 스위치(SW2)에는 마찬가지의 스위치신호 (S2)가 입력된다. 이에 따라, 신호선 절환회로(170)의 입력단자(1C)는 1수평주사기간의 전반에 출력단자(1A)에 접속되고, 후반에 출력단자(1B)에 접속된다. 입력단자(2C)는 1수평주사기간의 전반에 출력단자(2A)에 접속되고, 후반에 출력단자 (2B)에 접속된다.
신호선 구동용 IC(511)는 입력단자(1C)에 대해 1수평주사기간의 전반과 후반에서 모두 정극성의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신호선 절환회로(170)는 1수평주사기간의 전반에는 출력단자(1A)를 매개로 신호선(X1)에 정극성의 영상신호를 출력하고, 후반에는 출력단자(1B)를 매개로 신호선(X2)에 정극성의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신호선 구동용 IC(511)는 입력단자(2C)에 대해서는 1수평주사기간의 전반과 후반에서 모두 정극성의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신호선 절환회로(170)는 1수평주사기간의 전반에는 출력단자(2A)를 매개로 신호선(X3)에 부극성의 영상신호를 출력하고, 후반에는 출력단자(2B)를 매개로 신호선(X4)에 부극성의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소(1)에는 정극성의 영상신호가 기입되어 유지되고, 화소(2)에는 정극성의 영상신호가 기입되어 유지된다. 또, 화소 (3)에는 부극성의 영상신호가 기입되어 유지되고, 화소(4)에는 부극성의 영상신호가 기입되어 유지된다.
이어서, 2행째의 1수평주사기간에 있어서는 스위치신호(S1)는 1수평주사기간의 전반에서 오프로 되고, 후반에서 온으로 된다. 이 스위치신호(S1)가 스위치 (SW1)에 입력되고, 입력단자(1C)는 1수평주사기간의 전반에는 출력단자(1B)에 접속된 상태가 유지되며, 후반에는 출력단자(1A)에 접속된다. 또, 스위치신호(S2)도 1수평주사기간의 전반에서 오프로 되고, 후반에서 온으로 된다. 이 스위치신호(S2)가 스위치(SW2)에 입력되고, 입력단자(2C)는 1수평주사기간의 전반에는 입력단자 (2B)에 접속된 상태가 유지되며, 후반에는 입력단자(2A)에 접속된다.
신호선 구동용 IC(511)는 1수평주사기간의 전반에서 입력단자(1C)에 부극성의 영상신호를 출력하고, 신호선 절환회로(170)는 이 영상신호를 출력단자(1B)를 매개로 신호선(X2)에 출력한다. 그 후반에서는, 신호선 구동용 IC(511)는 입력단자(1C)에 정극성의 영상신호를 출력하고, 신호선 절환회로(170)는 이 영상신호를 출력단자(1A)를 매개로 신호선(X1)에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신호선 구동용 IC(511)는 1수평주사기간의 전반에서 입력단자 (2C)에 대해 정극성의 영상신호를 출력하고, 신호선 절환회로(170)는 이 영상신호를 출력단자(2B)를 매개로 신호선(X4)에 출력한다. 그 후반에서는, 신호선 구동용 IC(511)는 입력단자(2C)에 부극성의 영상신호를 출력하고, 신호선 절환회로(170)는 이 영상신호를 출력단자(2A)를 매개로 신호선(X3)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소(5)에는 정극성의 영상신호가 기입되어 유지되고, 화소(6)에는 부극성의 영상신호가 기입되어 유지된다. 또, 화소 (7)에는 부극성의 영상신호가 기입되어 유지되고, 화소(8)에는 정극성의 영상신호가 기입되어 유지된다.
이후, 그 외의 행에서의 화소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처리함으로써, 각 화소의 극성분포를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은 극성분포로 한다. n번째 프레임으로부터 도 9b에 나타낸 n+1번째 프레임으로 이행할 때에는 모든 화소에 대한 극성을 반전시킨다.
이와 같이 1수평주사기간의 전반과 후반에서 영상신호를 기입하는 화소를 분산함으로써 화소전극의 전위가 변동하는 것에 따른 표시열화를 시인하기 어렵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1a 및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구동방식에 의해 Windows(등록상표)의 종료화면을 표시시켰을 때는 임의의 1수평주사기간내(1행내)에 있어서 흑색표시화소 이외의 중간조 표시화소에 대한 정극성 화소와 부극성 화소의 수가 균등하게 되어 치우침이 없기 때문에, 횡 크로스토크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 n번째 프레임과 n+1번째 프레임에서 중간조 표시화소에 대해 정극성 화소와 부극성 화소의 수가 거의 균등하게 되어 치우침이 없기 때문에, 플리커가 발생하는 일이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임의의 화소전극에 대해 수평주사방향으로 인접하는 양측의 화소전극에 인가되는 영상신호의 극성이 서로 다른 것으로 하고, 또 그 임의의 화소전극에 대해 수직주사방향으로 인접하는 양측의 화소전극에 인가되는 영상신호의 극성이 서로 다르도록 극성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2수평주사기간마다(2행마다) 화소의 극성이 반전되고, 신호선과 화소전극간의 커플링 용량에 기인하는 화소전극의 전위변동이 캔슬되기 때문에, 종 크로스토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1수평주사기간중에 있어서 정극성 화소와 부극성 화소의 수가 균등하게 되어 치우침이 없기 때문에, 횡 크로스토크의 발생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n번째 프레임과 n+1번째 프레임에서 정극성 화소와 부극성 화소의 수가 균등하게 되어 치우침이 없기 때문에, 플리커가 발생하는 일이 없어 양호한 표시품위를 얻을 수 있다. 또, 수직주사방향에서의 영상신호의 정부(正負) 반전주기가 2수평주사기간마다로 되기 때문에, H/V반전 구동방식과 비교하여 소비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신호선을 하나의 신호선군이 2개의 신호선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신호선군으로 구분했을 때의 신호선군마다 신호선 구동용 IC에 의해 영상신호를 출력하고, 신호선 절환회로(170)에 의해 1수평주사기간내에 각 신호선군에서의 2개의 신호선을 순차적으로 절환한다. 이에 따라, 화소를 고정세화해도 영상신호를 신호선 절환회로(170)까지 반송하는 배선의 갯수를 신호선의 갯수보다도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배선의 피치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 신호선 구동용 IC(511)에서의 영상신호의 출력단자의 수를 신호선의 갯수보다도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신호선 구동용 IC(511)의 갯수를 저감시킬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신호선 구동용 IC(511)를 플렉시블 배선기판상에 실장하고, 이 플렉시블 배선기판을 어레이기판(100)의 접속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또, 신호선 절환회로(170)를 화소TFT(110)와 동일한 제조공정에 의해 어레이기판(100)상에 일체적으로 형성한다. 이에 따라, 신호선 구동회로를 구성하는 모든 회로를 어레이기판(100)상에 형성한 경우와 비교해서 배선이 길어지는 것에 따른 영상신호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신호선 절환회로(170)의 각 스위치(SW)에 있어서 1개의 입력단자에 대해 2개의 출력단자를 설치하고, 2개의 신호선을 절환하여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입력단자의 수를 신호선의 수의 1/4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1개의 입력단자에 대해 4개의 출력단자를 설치하고, 1수평주사기간내에 각 신호선군에서의 4개의 신호선을 순차적으로 절환한다.
최후로, 도 5에 나타낸 TCP(500-N)의 구성에 대해 보충하여 설명한다. TCP(500-N)는 PCB(600)로부터 신호선 구동용 IC(511)로의 입력신호의 갯수에 대응하여 설치된 입력신호용 배선군(531)과, 신호선 구동용 IC(511)로부터의 출력신호의 갯수에 대응하여 설치된 출력신호용 배선군(533), 액정표시장치용의 전원배선, 신호선 절환회로(170)의 스위치(SW)용의 전원배선, 스위치신호(S)용의 배선 등으로 이루어진 배선군(535, 537)을 구비한다.
PCB측 패드(513)에 대응한 PCB(600)상의 배선수 및 배선간의 피치는 어레이측 패드(515)에 대응한 어레이기판(100)상의 배선수 및 배선간의 피치와 각각 동일하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신호용 배선군(531) 및 출력신호용 배선군 (533)은 거의 같은 갯수로 분배된 배선군(535, 537) 사이에 배치된다. 배선군 (535, 537)은 어레이기판(100)의 측변 양단의 접속단자에 접속된 TCP 500-1, 500-4 및 어레이기판(100)상의 양단에 설치된 주사선 구동회로(150)로의 전원배선이나 제어신호용 배선을 형성한다. 물론, 주사선 구동회로(150)가 어레이기판(100)상의 한쪽 끝에만 설치된 경우에는 이것에 대응하는 한쪽 TCP 500-1 또는 500-4에만 전원배선이나 제어신호용 배선을 갖추면 좋다.
이와 같이, TCP(500-N)상에 주사선 구동회로(150)용 전원배선 및 스위치신호 (S)용 배선, 액정표시장치용 전원배선 등을 신호선 구동용 IC(511)의 입력신호용 배선이나 출력신호용 배선과 더불어 형성함으로써, 새로 배선부재를 준비할 필요가 없어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2실시형태
제2실시형태에서는 각 화소의 전위변동에 기인하는 표시얼룩을 방지하기 위한 액정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의 액정표시장치의 기본적인 구성 및 구동방식은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 제1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동방식의 것을 여기에서는 2H2V반전 구동방식이라고 부른다.
먼저, 화소의 전위변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에 나타낸 화소의 등가회로에서의 기호는 각각,
Cp1: 화소와 그 화소에 접속된 신호선 사이의 커플링 용량
Cp2: 화소와 그 화소에 대해 수평주사방향으로 인접하는 화소에 접속된 신호선 사이의 커플링 용량
Cp3: 화소와 그 화소에 대해 수직주사방향으로 인접하는 화소 사이의 커플링 용량
Clc: 액정용량
Cs: 보조용량
Csig: 신호선의 전용량
Vcom: 대향전극의 전위
Vcs: 보조용량선의 전위이다.
화소의 전위는 그 화소에 접속된 신호선의 전위변동(dVsig.s), 그 화소에 대해 수평주사방향으로 인접하는 화소에 접속된 신호선의 전위변동(dVsig.n), 수직주사방향으로 인접하는 화소의 전위변동(dVpix)에 의해 다음 식으로 나타내어지는 변동을 받는다.
Vs=Cp1/Cload ×dVsig.s
Vn=Cp2/Cload ×dVsig.n
Vv=Cp3/Cload ×dVpix
여기에서, Cload=Cp1+Cp2+2Cp3+Clc+Cs이다.
수직주사방향으로 인접하는 화소(1), 화소(5)에 대해 화소(1)의 전위를 Vp1, 화소(5)의 전위를 Vp5로 한다. 신호선과 화소 사이의 커플링 용량에 기인하는 각각의 전위변동량(dVp1, dVp5)은 도 13으로부터,
dVp1=-1/2Vn-1/2Vs+Vv
dVp5=1/2Vn-1/2Vs-Vv로 된다. 화소(1)와 화소(5)의 전위변동량의 차(dVp)는 다음 식으로 나타내어진다.
dVp=dVp5-dVp1=Vn-2Vv=Cp2/Cload ×dVsig.n-2 ×Cp3/Cload ×dVpix
이 dVp값이 크면, 화소(1)와 화소(5)간의 전위차가 커져 표시얼룩의 원인이 된다. 이 때문에, dVp=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dVp값을 0에 가깝게 하기 위해 커플링 용량(Cp2)을 감소시키는 수법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의 액정표시장치의 기본적인 구성 및 구동방식은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사선(Y)에 병렬로 보조용량선(140), 보조용량선(140')이 배치된다. 화소전극(120)은 신호선(X) 및 신호선(X')과, 이것에 직교하는 보조용량선(140) 및 보조용량선(140')으로 둘러싸이도록 배치된다. 화소전극 (120)은 화소TFT(110)를 매개로 신호선(X)에 접속된다.
화소전극(120)과 신호선(X')의 경계부분에 정전 차폐성을 갖는 실드(shield)전극(180)이 형성된다. 이 실드전극(180)은 보조용량선(140)의 일부를 신호선(X')을 따라 뻗어나오게 함으로써 형성된다. 보조용량선(14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실드전극(180')이 형성된다.
한편, 도 14의 A-B-C 라인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 도 15 및 도 14의 D-E 라인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 도 16에 있어서 160은 소스전극배선, 190은 배향막, 210은 대향전극, 220은 유리기판, 230은 배향막이다.
본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실드전극(180, 180')에 고정전위를 제공함으로써, 소위 실드효과를 발생시켜 커플링 용량(Cp2)을 감소시킨다. 또, dVp가 0으로 되도록 실드전극(180, 180')의 고정전위를 조정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화소전극(120)과 신호선(X) 사이에 실드전극 (180)을 설치함으로써 커플링 용량(Cp2)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직주사방향으로 인접하는 화소간의 전위변동량의 차(dVp)를 저감시킬 수 있어 양호한 표시품질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dVp가 0으로 되도록 실드전극(180)에 제공하는 고정전위를 조정함으로써, 표시얼룩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제3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직주사방향으로 인접하는 화소전극간에 정전용량을 형성함으로써, 커플링 용량(Cp3)을 크게 하여 dVp가 0으로 되도록 정전용량의 값을 조정한다. 이에 따라, 수직주사방향으로 인접하는 화소간의 전위변동량의 차 dVp=Cp2/ Cload ×dVsig.n-2 ×Cp3/Cload ×dVpix값을 0에 가깝게 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의 액정표시장치의 기본적인 구성 및 구동방식은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소TFT(110)의 소스전극에 접속되는 소스전극배선(160)이 화소전극(120)에 대해 수직주사방향으로 인접하는 화소전극(120')까지 뻗어나온다. 이에 따라, 양화소전극간에 정전용량이 형성된다. 한편, 도 17에 있어서 도 14와 동일물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직주사방향으로 인접하는 화소전극간에 정전용량을 형성함으로써, 커플링 용량(Cp3)을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수직주사방향으로 인접하는 화소간의 전위변동량의 차(dVp)를 저감시킬 수 있어 표시얼룩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화소간의 전위변동량의 차(dVp)가 0으로 되도록 정전용량의 값을 조정함으로써, 표시얼룩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7에 실드전극(180, 180')이 나타내어져 있다. 이 경우, 커플링 용량(Cp2)과 커플링 용량(Cp3) 쌍방을 조정할 수 있다. 물론, 실드전극(180, 180')을 설치하지 않고, 소스전극배선(160)에 의해 커플링 용량(Cp3)만을 조정하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소비전력이면서 종 크로스토크, 횡 크로스토크, 플리커의 발생을 방지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화소를 고정세화한 경우에도 배선 사이의 피치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어레이기판상에서의 배선이 길어지는 것에 의한 표시얼룩을 방지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V라인반전 구동방식을 이용했을 때의 임의의 n번째 프레임에서의 각 화소의 극성을 나타낸 극성분포도이고,
도 1b는 그 때의 n+1번째 프레임에서의 각 화소의 극성을 나타낸 극성분포도,
도 2a는 H/V반전 구동방식을 이용했을 때의 임의의 n번째 프레임에서의 각 화소의 극성을 나타낸 극성분포도,
도 2b는 그 때의 n+1번째 프레임에서의 각 화소의 극성을 나타낸 극성분포도,
도 3a는 H/V반전 구동방식을 이용하여 OS의 종료화면을 표시시켰을 때의 임의의 n번째 프레임에서의 각 화소의 극성을 나타낸 극성분포도,
도 3b는 그 때의 n+1번째 프레임에서의 각 화소의 극성을 나타낸 극성분포도,
도 4는 제1실시형태에서의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액정표시장치에 이용되는 TCP(500-N)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도 4에 나타낸 액정표시장치에 이용되는 신호선 구동용 IC 및 신호선 절환회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
도 7a는 제1실시형태의 신호선 구동방식을 이용했을 때의 임의의 n번째 프레임에서의 각 화소의 극성을 나타낸 극성분포도,
도 7b는 그 때의 n+1번째 프레임에서의 각 화소의 극성을 나타낸 극성분포도,
도 8은 도 7a의 각 화소에 영상신호를 기입할 때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낸 타이밍 차트,
도 9a는 제1실시형태의 다른 신호선 구동방식을 이용했을 때의 임의의 n번째 프레임에서의 각 화소의 극성을 나타낸 극성분포도,
도 9b는 그 때의 n+1번째 프레임에서의 각 화소의 극성을 나타낸 극성분포도,
도 10은 도 9a의 각 화소에 영상신호를 기입할 때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낸 타이밍 차트,
도 11a는 도 7a의 극성분포를 이용하여 OS의 종료화면을 표시시켰을 때의 n번째 프레임에서의 극성분포도,
도 11b는 그 때의 n+1번째 프레임에서의 극성분포도,
도 12는 제2실시형태에서의 액정표시장치의 임의의 1화소의 등가회로를 나타낸 회로도,
도 13은 제2실시형태에서의 화소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낸 타이밍 차트,
도 14는 제3실시형태에서의 액정표시장치의 화소전극과 그 주변부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평면도,
도 15는 도 14에 A-B-C 라인으로 나타낸 위치의 단면도,
도 16은 도 14에 D-E 라인으로 나타낸 위치의 단면도,
도 17은 주사선 방향으로 인접하는 화소전극 사이에 정전용량을 형성했을 때의 화소전극과 그 주변부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부호의 설명>
1 -- 액정표시장치, 100 -- 어레이기판,
110 -- 화소TFT, 120 -- 화소전극,
130a -- 보조용량소자, 130b -- 보조용량소자,
140 -- 보조용량선, 150 -- 주사선 구동회로,
160 -- 소스전극배선, 170 -- 신호선 절환회로,
180 -- 실드전극, 190 -- 배향막,
200 -- 대향기판, 210 -- 대향전극,
220 -- 유리기판, 230 -- 배향막,
400 -- 밀봉재,
500-1∼N -- TCP(Tape Carrier Package),
511 -- 신호선 구동용 IC, 513 -- PCB측 패드,
515 -- 어레이측 패드, 521 -- 시프트 레지스터,
523 -- 데이터 레지스터, 525 -- D/A컨버터,
531 -- 배선, 533 -- 배선,
535 -- 배선, 537 -- 배선,
600 -- PCB(Printed Circuit Board), 610 -- 제어회로,
Y -- 주사선, X -- 신호선,
1C, 2C -- 입력단자, 1A, 2A -- 출력단자,
1B, 2B -- 출력단자, SW1, SW2 -- 스위치,
S1, S2 -- 스위치신호.

Claims (8)

  1. 복수의 신호선과 복수의 주사선의 각 교차부에서 신호선 및 주사선에 접속된 화소 트랜지스터와,
    상기 각 교차부에서 화소 트랜지스터에 접속된 화소전극,
    복수의 출력단자를 갖추고서, 각 출력단자에 소정 주기로 극성반전되는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선 구동용 IC 및,
    각각의 상기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상기 신호선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소정 주기에 동기해서 선택하여 그 출력단자로부터의 영상신호출력을 공급함으로써, 임의의 화소전극에 대해 수평주사방향으로 인접하는 양측의 화소전극에 인가되는 영상신호의 극성이 서로 다르고, 또한 상기 임의의 화소전극에 대해 수직주사방향으로 인접하는 양측의 화소전극에 인가되는 영상신호의 극성이 서로 다르도록 한 영상신호를 화소전극으로 신호선을 매개로 출력하는 신호선 절환회로를 갖추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선 구동용 IC는 상기 어레이기판의 접속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플렉시블 배선기판상에 실장되고,
    상기 신호선 절환회로는 상기 화소 트랜지스터와 동일한 제조공정에 의해 상기 어레이기판상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화소전극과 신호선의 경계부분에 실드전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전극은 상기 주사선에 병렬로 배선된 보조용량선의 일부가 상기 신호선을 따라 뻗어나온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7. 제1항, 제4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직주사방향으로 인접하는 화소전극간에 정전용량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용량은 상기 화소 트랜지스터의 소스전극에 접속되는 소스전극배선이 상기 화소전극 사이까지 뻗어나온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02-0070414A 2001-11-14 2002-11-13 액정표시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5279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48968 2001-11-14
JP2001348968 2001-11-14
JP2002156027A JP4031291B2 (ja) 2001-11-14 2002-05-29 液晶表示装置
JPJP-P-2002-00156027 2002-05-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0140A KR20030040140A (ko) 2003-05-22
KR100527935B1 true KR100527935B1 (ko) 2005-11-09

Family

ID=26624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0414A Expired - Fee Related KR100527935B1 (ko) 2001-11-14 2002-11-13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088328B2 (ko)
JP (1) JP4031291B2 (ko)
KR (1) KR100527935B1 (ko)
TW (1) TWI28431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37683B1 (en) * 2002-12-27 2017-03-0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IC card and booking account system using the IC card
US7652359B2 (en) * 2002-12-27 2010-01-2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Article having display device
JP4583044B2 (ja) * 2003-08-14 2010-11-17 東芝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US7566001B2 (en) * 2003-08-29 2009-07-2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IC card
KR20050035385A (ko) * 2003-10-13 2005-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JP4612349B2 (ja) * 2003-11-11 2011-01-12 東芝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4559091B2 (ja) * 2004-01-29 2010-10-06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表示装置用駆動回路
KR100599971B1 (ko) * 2004-02-27 2006-07-12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JP2005250132A (ja) * 2004-03-04 2005-09-15 Sanyo Electric Co Ltd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
JP2005257929A (ja) * 2004-03-10 2005-09-22 Sanyo Electric Co Ltd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
KR100977224B1 (ko) 2004-03-26 2010-08-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061631B1 (ko) 2004-03-30 2011-09-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구동장치 및 방법
JP2006084860A (ja) * 2004-09-16 2006-03-30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
JP4196999B2 (ja) * 2005-04-07 2008-12-17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の駆動回路、液晶表示装置、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電子機器
KR101165844B1 (ko) * 2005-06-30 2012-07-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JP4883989B2 (ja) 2005-11-21 2012-02-22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の動作方法、液晶表示装置、表示パネルドライバ、及び表示パネルの駆動方法
JP4823312B2 (ja) * 2006-08-02 2011-11-24 シャープ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および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
JP2008046485A (ja) 2006-08-18 2008-02-28 Nec Electronics Corp 表示装置、表示パネルの駆動装置、及び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2008185644A (ja) * 2007-01-26 2008-08-14 Nec Electronics Corp 液晶表示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2008203791A (ja) * 2007-02-22 2008-09-04 Ricoh Co Ltd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KR101224459B1 (ko) * 2007-06-28 2013-01-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2009109652A (ja) * 2007-10-29 2009-05-21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液晶表示装置
KR101469033B1 (ko) * 2008-01-08 2014-12-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250525B2 (ja) * 2009-10-16 2013-07-3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セントラル 表示装置
CN102725676B (zh) * 2010-01-29 2015-10-07 夏普株式会社 液晶显示装置
JP2011164281A (ja) * 2010-02-08 2011-08-25 Toshiba Mobile Display Co Ltd 表示装置
TWI424236B (zh) 2010-04-01 2014-01-21 Au Optronics Corp 顯示面板
JP2010204674A (ja) * 2010-04-02 2010-09-16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WO2013040377A1 (en) * 2011-09-16 2013-03-21 Kopin Corporation Power saving drive mode for bi - level video
US9047838B2 (en) * 2012-03-14 2015-06-02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liquid crystal display column inversion using 3-column demultiplexers
KR102099262B1 (ko) 2012-07-11 2020-04-09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액정 표시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JP2014134685A (ja) * 2013-01-10 2014-07-24 Japan Display Inc 液晶表示装置
KR102037688B1 (ko) * 2013-02-18 2019-10-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5158997A (zh) * 2015-08-31 2015-12-16 深超光电(深圳)有限公司 薄膜晶体管阵列基板
JP6613786B2 (ja) 2015-10-13 2019-12-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回路装置、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CN110720117B (zh) * 2017-06-02 2021-10-12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
CN110750017B (zh) * 2018-07-23 2022-11-18 咸阳彩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面板及液晶显示器
CN116052574B (zh) 2023-01-28 2023-06-30 惠科股份有限公司 显示驱动结构、显示驱动方法和显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5619A (ja) * 1992-12-07 1994-06-24 Fujitsu General Ltd 液晶パネルの駆動方法
JPH10104576A (ja) * 1996-09-25 1998-04-24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H11282008A (ja) * 1998-03-30 1999-10-15 Advanced Display Inc 液晶表示装置
KR20010080830A (ko) * 2000-01-17 2001-08-25 윤종용 플리커링을 줄이기 위한 액정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8821A (ja) * 1986-09-11 1988-03-28 Fujitsu Ltd アクテイブマトリクス型液晶パネルの駆動方法
JPH0681287B2 (ja) * 1988-07-15 1994-10-12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投射装置
JPH03172085A (ja) * 1989-11-30 1991-07-25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TW277129B (ko) * 1993-12-24 1996-06-01 Sharp Kk
JP3688786B2 (ja) * 1995-07-24 2005-08-31 富士通ディスプレイ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トランジスタマトリクス装置
US5959599A (en) * 1995-11-07 1999-09-2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Active matrix type liquid-crystal display unit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JPH1032772A (ja) * 1996-07-17 1998-02-03 Casio Comput Co Ltd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3520396B2 (ja) * 1997-07-02 2004-04-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と表示装置
US6400350B1 (en) * 1997-11-13 2002-06-0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Method for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US5953088A (en) * 1997-12-25 1999-09-14 Kabushiki Kaisha Toshiba Liquid crystal display with shield electrodes arranged to alternately overlap adjacent pixel electrodes
JP3980167B2 (ja) * 1998-04-07 2007-09-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Tft電極基板
JP3734629B2 (ja) * 1998-10-15 2006-01-11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表示装置
KR100653751B1 (ko) * 1998-10-27 2006-12-05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표시 패널의 구동 회로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0330363B1 (ko) * 1999-03-18 2002-04-01 니시무로 타이죠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
JP3365357B2 (ja) * 1999-07-21 2003-01-08 日本電気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
KR100344186B1 (ko) * 1999-08-05 2002-07-19 주식회사 네오텍리서치 액정표시장치의 소오스 구동회로 및 그 구동방법
JP2002040486A (ja) * 2000-05-19 2002-02-06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そ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US7019808B2 (en) * 2000-09-21 2006-03-28 Citizen Watch Co., Ltd. Image device
JP2003050568A (ja) * 2001-08-07 2003-02-21 Sharp Corp マトリクス型画像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5619A (ja) * 1992-12-07 1994-06-24 Fujitsu General Ltd 液晶パネルの駆動方法
JPH10104576A (ja) * 1996-09-25 1998-04-24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H11282008A (ja) * 1998-03-30 1999-10-15 Advanced Display Inc 液晶表示装置
KR20010080830A (ko) * 2000-01-17 2001-08-25 윤종용 플리커링을 줄이기 위한 액정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031291B2 (ja) 2008-01-09
JP2003215540A (ja) 2003-07-30
KR20030040140A (ko) 2003-05-22
US20030090450A1 (en) 2003-05-15
TW200300546A (en) 2003-06-01
TWI284311B (en) 2007-07-21
US7088328B2 (en) 2006-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7935B1 (ko) 액정표시장치
JP3092537B2 (ja) 液晶表示装置
KR100339799B1 (ko) 평면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0268817B1 (ko) 액티브매트릭스형액정표시장치
KR100360157B1 (ko) 어레이기판 및 어레이기판의 검사방법
US20060187159A1 (en) Display device and driver
US8013850B2 (en) Electrooptic device, driving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US6437775B1 (en) Flat display unit
KR100648141B1 (ko) 표시 장치 및 상기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US7002563B2 (en) Driving method for flat-panel display device
KR100428597B1 (ko) 평면 패널 표시 장치
JP4349446B2 (ja) 電気光学装置、駆動回路および電子機器
JP4664466B2 (ja) 表示装置
US6670936B1 (en) Liquid crystal display
JP4649333B2 (ja) 平面表示装置用アレイ基板
JP3803020B2 (ja) 液晶表示装置
CN100550113C (zh) 驱动电路,显示设备和显示设备的驱动方法
JP2001312255A (ja) 表示装置
JP4551519B2 (ja) 表示装置
JP4230752B2 (ja) 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4811445B2 (ja) 電気光学装置、駆動回路および電子機器
JP2003029658A (ja) 表示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1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8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1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1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2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2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2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