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3207B1 - 폐기물 흡입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기물 선별 시스템 - Google Patents
폐기물 흡입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기물 선별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23207B1 KR100423207B1 KR10-2001-0065436A KR20010065436A KR100423207B1 KR 100423207 B1 KR100423207 B1 KR 100423207B1 KR 20010065436 A KR20010065436 A KR 20010065436A KR 100423207 B1 KR100423207 B1 KR 1004232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ste
- conveyor
- suction
- mesh
- disposed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9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6148 magnetic separa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3562 lightweight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771208 Buchanania arborescen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19 recyclable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9/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creening or sifting 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General arrangement of plant, e.g. flow sheets
- B07B9/02—Combinations of similar or different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7)
- 폐기물을 이송하는 진동 스크린 장치(1)와, 상기 진동 스크린 장치(1)의 상부에 배치되어 공기를 흡입하므로서 폐기물에 포함된 나무, 종이 등 상대적으로 가벼운 경량물을 흡입하는 흡입장치(20)와, 상기 진동 스크린 장치(1)와 흡입장치 (20) 사이에 배치되어 흡입장치(20)에 의해 진동 스크린 장치(1)에서 부상된 경량물이 부착되는 메쉬 컨베이어(30)와, 상기 흡입장치(20)의 공기흡입범위를 벗어난 위치에서 메쉬 컨베이어(3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메쉬 컨베이어 (30)로 공기를 송풍하므로서 상기 메쉬 컨베이어(30)에서 경량물을 분리하는 송풍기(40)와, 상기 송풍기(40)에 의해 분리된 경량물을 수집하는 수집통(50)과, 진동 스크린 장치(1)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진동 스크린 장치(1)의 진동에 의해 하부로 떨어지는 작은 직경의 폐기물을 수집하는 하부 컨베이어(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흡입 분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진동 스크린 장치(1)는 스크린(4)의 투입부(5)와 배출부(6) 사이의 경사가 수평면(7)에 대해 소정의 각도(a : 15°)만큼 경사지게 배치되어 폐기물이 진동에 의해 이동하게 되고, 메쉬 직경이 다른 4개의 스크린(4a, 4b, 4c, 4d)이 서로 이격되어 상하로 배치되며, 제 1 스크린(4a)의 메쉬 직경은 20 ∼ 25mm이고, 제 2스크린(4b)의 메쉬 직경은 15 ∼ 20mm이고, 제 3 스크린(4c)의 메쉬 직경은 10 ∼ 15mm이고, 제 4 스크린(4d)의 메쉬 직경은 5 ∼ 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흡입 분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흡입장치(20)는 메쉬 컨베이어(30)의 상부에 호퍼(21)가 배치되고, 상기 호퍼(21)에 덕트(22)가 연결되고, 토출구(23)에 근접하게 상기 덕트(22) 내부에 흡입팬(24)이 설치되며, 상기 호퍼(21)는 공기 흡입압을 효과적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노즐(26)이 메쉬 컨베이어(30)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되고, 메쉬 컨베이어(30)에서 약 20cm 내지 30cm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흡입 분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메쉬 컨베이어(30)는 진동 스크린 장치(1)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설치되어 구동롤러(31)와 종동롤러(32) 사이를 순환운동하는 메쉬벨트 (33)와, 상기 메쉬벨트(33)에 메쉬벨트(33)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 (35)로 구성되며, 상기 메쉬벨트(33)는 구동 롤러(31)와 종동롤러(32)에 장착되는 2개의 가이드체인(33a, 33b) 사이에 철망(33c)이 배치되고, 상기 철망(33c)의 외부면에 다수개의 스톱퍼(34)가 일정간격으로 부착되며, 상기 철망(33c)의 메쉬 직경(D)은 5 ∼ 25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흡입 분리장치.
- 폐기물을 이송하는 이송 컨베이어(70)와, 상기 이송 컨베이어(70)의 상부에 배치되어 공기를 흡입하므로서 폐기물에 포함된 나무, 종이 등 상대적으로 가벼운 경량물을 흡입하는 흡입장치(20)와, 상기 이송 컨베이어(70)와 흡입장치(20) 사이에 배치되어 흡입장치(20)에 의해 이송 컨베이어(70)에서 부상된 경량물이 부착되는 메쉬 컨베이어(30)와, 상기 흡입장치(20)의 공기흡입범위를 벗어난 위치에서 메쉬 컨베이어(3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메쉬 컨베이어(30)로 공기를 송풍하므로서 상기 메쉬 컨베이어(30)에서 경량물을 분리하는 송풍기(40)와, 상기 송풍기(40)에 의해 분리된 경량물을 수집하는 수집통(5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흡입 분리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이송 컨베이어(70)는 폐기물을 이송하는 오목한 형상의 이송벨트(71)와, 상기 이송벨트(71)를 지지하는 라운드 형상으로 배치된 3종류의 롤러(72, 73, 7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흡입 분리장치.
- 건설현장이나 재개발지역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을 크러셔(301 : crusher)가 1차 파쇄하고, 상기 크러셔(301) 하부에 제 1 컨베이어(303)가 배치되어 파쇄된 폐기물을 제 2 컨베이어(305)로 운반하고, 상기 제 2 컨베이어(305)의 상부에 제 1 자력 선별기(307)가 배치되어 상기 폐기물로부터 자성체를 분리하고, 상기 제 2 컨베이어(305) 다음에 폐기물 흡입 분리장치(100)가 배치되어 폐기물을 나무, 종이 등과 같은 소각용 폐기물, 크기가 작은 알갱이 또는 분말 형태의 매립용 폐기물, 크기가 큰 재활용 폐기물로 분리하고, 상기 폐기물 흡입 분리장치(100) 다음에 배치된 제 3 컨베이어(309)의 상부에 제 2 자력 선별기(311)가 배치되어 재활용 폐기물에서 자성체를 선별하고, 상기 제 3 컨베이어(311)에 죠 크러셔(313 : jaw crusher)가 연결되어 상기 재활용 폐기물을 조쇄하고, 상기 죠 크러셔(313) 다음에 폐기물 흡입 분리장치(200)가 배치되어 제 4 컨베이어(315) 상의 재활용 폐기물을 다시 선별하고, 상기 폐기물 흡입 분리장치(200) 다음에 배치된 제 5 컨베이어 (317)의 상부에 제 3 자력선별기(319)에 장착되어 상기 재활용 폐기물에서 자성체를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선별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65436A KR100423207B1 (ko) | 2001-10-23 | 2001-10-23 | 폐기물 흡입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기물 선별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65436A KR100423207B1 (ko) | 2001-10-23 | 2001-10-23 | 폐기물 흡입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기물 선별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34483A KR20030034483A (ko) | 2003-05-09 |
KR100423207B1 true KR100423207B1 (ko) | 2004-03-18 |
Family
ID=29565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65436A KR100423207B1 (ko) | 2001-10-23 | 2001-10-23 | 폐기물 흡입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기물 선별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423207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59932B1 (ko) * | 2007-01-04 | 2007-09-18 | 서봉리사이클링(주) |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
KR101136058B1 (ko) | 2009-09-18 | 2012-04-18 | (주)에이씨아이케미칼아시아 | 스크린 순환벨트 방식의 비닐류 선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닐류 쓰레기 선별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43483B1 (ko) * | 2006-03-17 | 2008-07-07 | (주)에이씨아이케미칼아시아 | 쓰레기 선별기 |
KR100736440B1 (ko) * | 2006-07-25 | 2007-07-09 | 주식회사 삼흥이엔테크 |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의 이물질 선별구조 |
KR101939255B1 (ko) * | 2017-06-26 | 2019-01-18 | (주)씨엔텍코리아 | 컨베이어의 이물질 제거장치 |
KR200495517Y1 (ko) * | 2019-01-07 | 2022-06-13 | 엠엔테크(주) |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 |
KR102315851B1 (ko) * | 2021-01-27 | 2021-10-22 | (주)에이치엔시 | 폐기물 선별기 |
KR102624733B1 (ko) * | 2021-10-01 | 2024-01-12 | 이재만 | 에어 흡착을 이용한 종량제 및 폐비닐 봉지 선별기 |
KR102757593B1 (ko) * | 2023-03-29 | 2025-01-21 | 유니온 주식회사 | 분말유동화 호퍼 |
-
2001
- 2001-10-23 KR KR10-2001-0065436A patent/KR10042320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59932B1 (ko) * | 2007-01-04 | 2007-09-18 | 서봉리사이클링(주) |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
KR101136058B1 (ko) | 2009-09-18 | 2012-04-18 | (주)에이씨아이케미칼아시아 | 스크린 순환벨트 방식의 비닐류 선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닐류 쓰레기 선별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34483A (ko) | 2003-05-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59932B1 (ko) |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 |
JP5465589B2 (ja) | 廃棄物選別処理装置 | |
JP5717806B2 (ja) | 袋体入り汚染物の解体選別設備 | |
CN110947483B (zh) | 生活垃圾联合筛分设备 | |
KR100733631B1 (ko) | 건설폐기물의 분쇄 및 이물질 제거장치 | |
KR101949321B1 (ko) | 광학선별기를 이용한 재활용 쓰레기를 대단위로 선별하는 방법과 그 방법을 이용한 폐수지를 종류별로 선별하는 장치 | |
KR101434571B1 (ko) | 쓰레기 재활용 자원선별시스템 | |
KR20130138626A (ko) | 폐건축물에서 발생된 폐골재에 섞인 이물질 선별장치 | |
JP2006167653A (ja) | 軽量搬送物の選別装置 | |
KR100423207B1 (ko) | 폐기물 흡입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기물 선별 시스템 | |
JP2018075521A (ja) | 選別装置 | |
KR100971723B1 (ko) | 폐기물 선별분리 시스템 | |
KR100934035B1 (ko) | 쓰레기 선별장치 | |
JP2004202369A (ja) | 集塵装置における混入物除去装置 | |
KR100404147B1 (ko) | 쓰레기 분리용 선별장치 | |
KR100528131B1 (ko) | 개량된 쓰레기 선별장치 | |
CN210045577U (zh) | 一种固体垃圾分拣机装置 | |
KR200264677Y1 (ko) | 쓰레기 분리용 선별장치 | |
KR200194453Y1 (ko) | 쓰레기 분리용 선별장치 | |
JP3208793B2 (ja) | 風選機 | |
CN211914613U (zh) | 新型综合垃圾处理装置 | |
CN107442433A (zh) | 建筑垃圾落体风选机 | |
JP3942591B2 (ja) | 分別装置 | |
CN222491039U (zh) | 陈腐垃圾筛分系统 | |
JPH06198210A (ja) | 集塵装置の回収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10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2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3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403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30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03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