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43483B1 - 쓰레기 선별기 - Google Patents

쓰레기 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3483B1
KR100843483B1 KR1020070014445A KR20070014445A KR100843483B1 KR 100843483 B1 KR100843483 B1 KR 100843483B1 KR 1020070014445 A KR1020070014445 A KR 1020070014445A KR 20070014445 A KR20070014445 A KR 20070014445A KR 100843483 B1 KR100843483 B1 KR 100843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aste
suction
discharge
rotar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4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4463A (ko
Inventor
지의현
Original Assignee
(주)에이씨아이케미칼아시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60024588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60030089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60024589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60030090A/ko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씨아이케미칼아시아 filed Critical (주)에이씨아이케미칼아시아
Publication of KR20070094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4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3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348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7/00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 B07B7/12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with pulsating air curr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1/00Arrangement of accessories in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B07B11/04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1/00Arrangement of accessories in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B07B11/06Feeding or discharg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8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07B4/02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f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07B4/02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fall
    • B07B4/06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fall using revolv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9/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creening or sifting 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General arrangement of plant, e.g. flow sheets
    • B07B9/02Combinations of similar or different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혼합 폐 플라스틱 또는 생활폐기물 등과 같은 혼합 쓰레기에 포함된 면 형태 또는 초경량 쓰레기를 흡입력에 의해 선별 분리하기 위한 쓰레기선별기가 개시된다. 상기 쓰레기선별기는 표면에 복수개의 연통홀을 구비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축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 회전유닛과 상기 회전유닛의 내측에 구비되며, 자세가 고정된 고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범위 내의 연통홀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부를 가진다. 따라서, 투입된 혼합 쓰레기에서 면 형상의 쓰레기나 초경량 쓰레기를 흡착하여 분리함으로써 쓰레기의 처리작업을 효율화 시킬 수 있고, 일정 구간에서 흡입력을 제공함으로써 쓰레기를 선별하도록 하여 상대적으로 저비용으로도 높은 선별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gure R1020070014445
쓰레기, 흡입력, 선별, 분리

Description

쓰레기 선별기{SORTING APPARATUS FOR WASTE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선별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Ⅰ-Ⅰ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선별기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쓰레기 선별기가 포함된 쓰레기 선별분리시스템의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회전유닛 110:연통홀
200:고정유닛 210:흡입부
220:배출부 225:분리부재
300:안내유닛 330:제 2차 이송유닛
350:제 1차 이송유닛 400:구동유닛
본 발명은 진공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흡입력에 의해 쓰 레기를 선별하는 진공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쓰레기는 악취를 내며, 쥐, 파리 등이 번식하게 되어 생활환경을 악화시키고 공중위생상으로도 유해하다. 또한 귀중한 생활 공간을 차지함으로써 사람들에게 불편을 주며 미관을 해치고 불쾌감을 준다. 이처럼 쓰레기는 환경을 훼손하기 때문에 용기에 담아 수집, 운반, 중간처리, 최종처리 등 일련의 과정을 거쳐 폐기되어야 한다.
한국에서는 폐기물관리법(1991. 03. 08, 법률 4363호)에 의하여, 도시에서 발생되는 일반폐기물은 구청장, 시장, 군수 등 지방자치단체장이 그것을 적절하게 수집, 처리할 책임이 있으며, 공장 등에서 발생되는 특정폐기물은 그 사업소의 책임자에게 처리책임이 있다. 쓰레기의 수집, 운반, 처리, 처분 등에 관한 상세한 내용은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에 명시되어 있다. 일반폐기물을 합리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그것을 배출하는 각 가정이나 건물에서 쓰레기를 정확히 분리하여 수거에 응하여야 한다. 쓰레기는 운반비용과 매토면적(埋土面積) 등을 절약하기 위하여 운반차량 또는 중간수집지점에서 압축되기도 한다. 또한 도시에서는 수집관을 통하여 쓰레기를 운반하는 일도 있다.
2003년부터 생산자 책임 재활용 제도(EPR)가 확대 시행됨에 따라 갈수록 증가 일로에 있는 폐기물의 재활용문제는 시급한 현안이 되고 있다.
수집된 쓰레기는 성분 별로 분류하여 재생 가능한 물질을 생산공장에 보내서 원료로 재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자원절약과 환경보전적 측면에서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서 혼합된 쓰레기로부터 필요한 물질만을 선별 분리하는 것이 더욱 더 중요해 졌다.
하지만, 상기의 선별 분리작업을 시행하는데 있어 종래의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종래의 블로어(BLOWER)를 이용한 비중 선별은 단순히 저압 고풍량의 팬을 이용하여 선별을 하고, 발생된 바람을 별도의 정화 장치 없이 대기 중으로 방출하여 작업장의 대기 오염이 심각하며, 상기의 바람을 포집하는 필터를 장착한다고 해도 수시로 막힘 현상이 발생하여 연속적으로 작업하는데 어려움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사람이 일일이 선별하거나 고가의 장비를 사용하더라도, 경제성이 떨어지거나 과부하가 자주 초래되어 유지보수가 어렵고 선별능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셋째, 블로어 외에 진공 흡착을 통한 선별분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종래에는 진공과 배출 구간을 분리하기 위한 별도의 진공 밸브가 외부에 부착된 상태로 회전하기 때문에 공기의 누출을 막기 위하여 고도의 정밀도를 유지하여야 했기 때문에, 열악한 현장의 환경으로 인하여 고도의 진공을 유지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더불어 제작상의 난이도가 높아 생산 원가가 높을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장의 대기 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연속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쓰레기 선별기를 제공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제성이 향상되도록 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여 과부하가 초래되는 것을 방지하고, 선별능력을 높일 수 있는 쓰레기 선별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현장의 환경에 관계없이 선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구조적으로 단순한 구조로 제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는 쓰레기 선별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쓰레기 선별기는 회전유닛과 고정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유닛은 표면에 복수개의 연통홀이 형성되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회전유닛의 내측에 구비되며, 자세가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된다. 즉, 외측에 구비되는 상기 회전유닛이 회전하더라도 내측에 구비되는 상기 고정유닛은 회전하지 않도록 구비된다.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회전유닛의 연통홀과 연통하여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범위 내의 연통홀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부 및 상기 흡입부를 제외한 일정 각도 범위 내의 연통홀에 배출력을 제공하는 배출부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연통홀은 상기 회전유닛의 표면에 그물망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쓰레기 선별기는 상기 회전유닛의 상부로 선별 대상 쓰레기를 안내하는 안내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회전유닛은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축 방향으로 길쭉한 기둥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또한 그 단면이 하나 이상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회전유닛의 연통홀과 연통하여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흡입부를 제외한 일정 각도 범위 내의 연통홀에 배출력을 제공하는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흡입부를 형성하는 각도가 상기 배출부를 형성하는 각도보다 상대적으로 큰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유닛에 흡입력 또는 배출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구동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회전유닛이 회전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회전구동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더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이하 설명에서는 구성 및 기능이 거의 동일하여 동일하게 취급될 수 있는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특정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선별기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선별기를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2는 도 1의 Ⅰ-Ⅰ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쓰레기 선별기(10)는 회전유닛(100), 고정유닛(200), 구동유닛(400), 회전구동유닛(150), 회전축(130), 안내유닛(300), 제 1이 송유닛(350) 및 제 2이송유닛(330)을 포함한다.
상기 안내유닛(300)은 각종 형상의 선별 대상 쓰레기들을 상기 회전유닛(100)의 상부로 안내한다. 상기 안내유닛(300)은 일반적으로 컨베이어벨트를 사용하나,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수집된 쓰레기를 직접 쓰레기 선별기(10)에 투입하거나, 앞선 선별 단계(미도시)에서 선별된 쓰레기를 상부에서 낙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회전유닛(100)의 외부 표면에는 연통홀(110)이 형성된다. 상기 연통홀(110)은 원형의 천공된 형상이 복수개 나열되어 그물망의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통홀(110)의 형상이 그물망의 형태로 제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축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홈의 형태도 가능하며, 축방향과 나란한 방향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연통홀(110)의 형상이 원형이 아닌 사각형 또는 다각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회전유닛(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원형인 형태를 예시하고 있지만, 이와 달리 단면을 다각형으로 형성하거나, 좌우 측부는 원형으로 구성하고 중앙부는 다각형으로 형성하는 등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여기서, 회전유닛(100)의 단면을 다각형으로 구성하는 경우 쓰레기가 회전유닛(100)의 외면과 원활히 흡착할 수 있도록 8각형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유닛(100)의 회전 중심에는 회전축(130)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과 동심으로 상기 회전축(130)의 외측으로 회전구동축(120)이 상기 회전유닛에 장착된다.
상기 고정유닛(200)은 흡입부(210)를 포함한다. 상기 흡입부(210)는 상기 회전축(130)을 중심으로 상기 안내유닛(300)의 종단 하부 부근으로부터 상기 제 1이송유닛(350)의 종단 상부 부근까지 일정 각도를 이루며 구비된다. 상기 흡입부(210)는 상기 회전유닛(100)의 표면에 구비된 상기 연통홀(110)에 회전축방향으로 흡입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유닛(400)은 상기 고정유닛(200)에 구비된 상기 흡입부(210)와 연통되어 상기 흡입부(210)에 흡입력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구동유닛(400)은 진공펌프가 사용되나,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회전구동유닛(150)은 상기 회전유닛(100)에 장착된 회전구동축(120)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회전유닛(100)이 도 2에 도시된 기준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2이송유닛(330)은 상기 안내유닛(300)에서 상기 회전유닛(100)의 상부로 안내되어 상기 회전유닛(100)에 구비된 상기 연통홀(110)의 흡입력에 흡착되지 않은 쓰레기를 외부로 이송한다.
상기 제 1이송유닛(350)은 상기 안내유닛(300)에서 상기 회전유닛(100)의 상부로 안내되어 상기 회전유닛(100)에 구비된 상기 연통홀(110)의 흡입력에 흡착되어 회전하는 상기 회전유닛(100)의 표면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흡입부(210)가 끝나는 지점(C1)에서 낙하하는 쓰레기를 소정의 보관장소(미도시)로 이송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 1이송유닛(350) 및 제 2이송유닛(330)은 컨베이어 벨트로 제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일정한 수용부를 가진 보관함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일정한 흐름을 가지는 수용액의 유동을 이용하여 쓰레기를 이송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쓰레기 선별기에 안내되는 쓰레기의 선별 흐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혼합 쓰레기가 상기 안내유닛(300)에 제공된다. 상기 혼합쓰레기는 후술하게 되는 쓰레기 선별 분리 시스템(40; 도4참조)의 일부인 송풍유닛(420; 도 4 참조) 에 의해 먼저 비중으로 분리된 혼합쓰레기로 상대적으로 비중이 가벼운 상태로 분류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쓰레기는 상기 안내유닛(300)에 의해 상기 회전유닛(100)의 상부로 이송된다(S21).
다음, 회전하고 있는 상기 회전유닛(100)의 상부로 안내된 상기 쓰레기는 상대적으로 하중이 무겁거나 입체 형상으로 형성된 쓰레기와 상대적으로 하중이 가볍거나 또는 면 형상으로 형성된 쓰레기로 분리된다(S22). 상기 쓰레기의 분리작업에는 그 효율성과 경제성을 높이기 위하여 중력을 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에 따라, 상기 쓰레기를 상기 회전유닛(100)의 상부로 이송하여 중력의 영향에 의해 자유낙하 시킴으로써 1차 분류하게 되고, 이 때, 상기 회전유닛(100)에 구비된 상기 연통홀(110)의 흡입력이 작용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하중이 가볍거나 또는 면 형상으로 형성된 쓰레기는 상기 회전유닛(100)의 표면에 흡착된다.
다음, 상기 상대적으로 하중이 무겁거나 입체 형상으로 형성된 쓰레기는 하부로 낙하한다(S23).
다음, 상기 S23의 쓰레기는 상기 제 2이송유닛(330)에 낙하되고, 상기 쓰레기는 상기 제 2이송유닛(330)에 의해 외부로 이송된다(S24).
여기서, 상기 S22단계에서 분리된 상기 상대적으로 하중이 가볍거나 또는 면 형상으로 형성된 쓰레기는 상기 회전유닛(100)의 상기 연통홀(110)의 흡입력에 흡착되어 중력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낙하하지 않고, 상기 회전유닛(1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흡입부(210)가 종료되는 시점(C1)까지 상기 회전유닛(100)의 표면에 흡착되어 회전한다(S33).
다음, 상기 흡착되어 회전한 쓰레기는 상기 흡입부(210)가 종료되는 지점(C1)이후에 상기 제 1이송유닛(350)으로 낙하하여(S331), 상기 제 1이송유닛(350)에 의해 소정의 장소로 이송된다(S34).
이에 따라, 면 형으로 형성된 쓰레기 또는 초경량의 쓰레기와 그 반대인 입체형으로 형성된 쓰레기와 상대적으로 하중이 무거운 쓰레기들은 선별 분리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선별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선별기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쓰레기 선별기(30)는 회전유닛(100), 고정유닛(200), 구동유닛(400), 회전구동유닛(150), 회전축(130), 안내유닛(300), 제 1이송유닛(350) 및 제 2이송유닛(330)을 포함한다.
상기 쓰레기 선별기(3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쓰레기 선별기(30)와 상기 고정유닛(200)의 일부 구성 및 상기 구동유닛(400)의 일부 구성을 제외한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고, 고정유닛(200)에 구비된 배출부(220)와 분리부재(225) 및 상기 구동유닛(400)의 구성과 역할에 대해서만 상술하기로 하며 필요에 따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고정유닛(200)은 흡입부(210)와 상기 배출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흡입부(210)는 제 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배출부(220)는 회전축(130)을 중심으로 상기 흡입부(210) 구간이 차지한 일정각도를 침범하지 않도록 구비되며, 상기 흡입부(210)가 끝나는 지점(C2)에서부터 상기 흡입부(210)가 시작되는 지점(C1), 즉 상기 안내유닛(300)의 하부까지의 구간에 구비된다.
상기 배출부(220)는 상기 연통홀(110)에 회전축방향으로 배출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여기서 상기 구동유닛(400)은 상기 고정유닛(200)에 구비된 상기 배출부(220)와 연통되어 상기 배출부(220)에 배출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유닛(400)은 상기 흡입부(210)에서 흡입되는 공기(a1)를 외부로 배출하지 않고, 상기 배출부(220)로 배출하는 것(a2)으로 구동력을 연통하여 전달함으로써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쓰레기의 선별 흐름에서, 상기 흡입부(210)가 종료되는 지점(C1) 이후에 제 1이송유닛(350)으로 낙하하는 단계(S331)에서 일반적으로 상기 회전유닛(100)의 표면에 흡착된 쓰레기는 연통홀(110)에서 배출된 배출력에 의해 좀 더 효율적으로 상기 회전유닛(100)에서 분리된다.
또한, 상기의 배출력에도 불구하고 상기 회전유닛(100)의 표면에서 분리되지 않거나, 상기 연통홀(110)에 미세한 슬러지 또는 기타 이물이 끼어 상기 연통홀(110)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배출부(220)가 종료되는 지점(C2)에 길이방향으로 분리부재(225)가 구비된다.
상기 분리부재(225)는 일반적으로 브러쉬 등이 쓰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상기 회전유닛(10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형성된 갈퀴나 칼날을 대체하여 구비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쓰레기 선별기가 포함된 쓰레기 선별분리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한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쓰레기 선별 분리 시스템(40)은 배송유닛(410), 송풍유닛(420), 1차 보관유닛(430) 및 쓰레기 선별기(450)를 포함한다.
이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배송유닛(410)은 일반적으로 상용되는 컨베이어 벨트로 제시되며, 상기 송풍유닛(420)은 송풍구(421)를 포함한다. 상기 배송유닛(410)의 종단 하부에는 1차 보관유닛(430)이 구비되며, 상기 쓰레기 선별기(450)의 전 단계에 배치된다.
상기 쓰레기 선별기(450)는 안내유닛(301), 회전유닛(100), 고정유닛(200), 제 2차 이송유닛(330) 및 2차 보관유닛(351)을 포함한다. 상기 안내유닛(301)은 도 1내지 3에서 도시된 안내유닛(300)과는 구별되며 컨베이어 벨트의 형태가 아닌 판상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2차 보관유닛(351)은 도 1내지 3에서 도시된 제 1차 이송유닛(350)과 기본적으로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지만, 보관함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술한 바와 같 이 상기 쓰레기 선별기(450)에서 선별된 쓰레기 중 상대적으로 하중이 가볍거나 또는 면 형상의 쓰레기를 보관한다.
상기 쓰레기 선별 분리시스템(40)에 투입된 쓰레기의 흐름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선별 대상 쓰레기를 상기 쓰레기 선별분리시스템(40)에 제공한다(S41).
다음, 상기 제공된 선별 대상 쓰레기를 상기 송풍유닛(420)에 구비된 상기 송풍구(421)에서 일정 압력을 바람을 뿜어주는 것으로 선별 대상 쓰레기에서 상대적으로 하중이 가벼운 쓰레기를 상기 쓰레기 선별기로 안내한다(S43).
여기서, 상기 선별 대상 쓰레기 중 유리병 또는 상대적으로 하중이 무거운 쓰레기는 상기 송풍구(421)에서 뿜어지는 바람에 날려가지 않고, 중력에 의해 상기 1차 보관유닛으로 낙하한다(S42). 이것으로 상기 선별 대상 쓰레기는 상기 송풍유닛(420)에 의해 하중 별로 1차 분류된다.
다음, 상기 1차 분류된 쓰레기 중 상대적으로 하중이 가벼운 쓰레기는 상기 쓰레기 선별기(450)로 안내된 후, 상기 쓰레기 선별기(450)에 구비되는 상기 회전유닛(100)의 상부로 낙하되어, 상대적으로 하중이 가볍거나 면 형상의 쓰레기는 상기 회전유닛(100)의 연통홀(미도시, 도 1내지 3참조)의 흡입력에 흡입되어 상기 제 2차 보관유닛으로 낙하된다(S45).
다음, 상기 쓰레기 선별기(450)로 안내된 상기 쓰레기 중 상대적으로 하중이 무겁거나 입체 형상의 쓰레기는 상기 2차 이송유닛(330)으로 낙하(S44)하여 외부로 이송된다(S46).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흡입력에 의해 쓰레기를 선별함으로써 별도의 대기 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장의 대기 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고, 작업 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연속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순한 구조의 쓰레기 선별기를 제공함으로써, 고가의 장비나 사람이 일일이 수작업으로 쓰레기를 선별하는 작업을 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경제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선별능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진공과 배출 구간을 분리하여 구비된 고정유닛을 구비함으로써 구조적으로 단순한 구조로 제조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작업 환경에 관계없이 선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생산원가를 낮춤으로써 비교적 낮은 비용으로도 높을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흡입력에 의해 쓰레기를 선별하는 쓰레기 선별기에 있어서,
    표면에 복수개의 연통홀이 형성되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축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 회전유닛; 및
    상기 회전유닛의 내측에 구비되며, 자세가 고정된 고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회전유닛의 연통홀과 연통하여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범위 내의 연통홀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부 및 상기 흡입부를 제외한 일정 각도 범위 내의 연통홀에 배출력을 제공하는 배출부를 가지는 쓰레기 선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닛의 상부로 선별 대상 쓰레기를 안내하는 안내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선별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닛의 단면은 원형과 다각형의 단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선별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연통홀은 상기 회전유닛의 표면에 그물망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선별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의 각도 범위 내에서 상기 회전유닛의 외측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흡입부와 상기 배출부를 순차적으로 거치며 상기 회전유닛 상에 남아있는 쓰레기를 상기 회전유닛과 분리시키는 분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선별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흡입부를 형성하는 각도는 상기 배출부를 형성하는 각도보다 상대적으로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선별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에 공기 흡입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선별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흡입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상기 배출부로 제공하도록 상기 흡입부 및 상기 배출부와 연통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쓰레기 선별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닛이 회전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회전구동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선별기.
KR1020070014445A 2006-03-17 2007-02-12 쓰레기 선별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8434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4588A KR20060030089A (ko) 2006-03-17 2006-03-17 진공 선별기
KR1020060024589 2006-03-17
KR1020060024588 2006-03-17
KR1020060024589A KR20060030090A (ko) 2006-03-17 2006-03-17 진공선별을 이용한 혼합폐플라스틱 및 생활폐기물선별분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4463A KR20070094463A (ko) 2007-09-20
KR100843483B1 true KR100843483B1 (ko) 2008-07-07

Family

ID=3868834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4445A Expired - Fee Related KR100843483B1 (ko) 2006-03-17 2007-02-12 쓰레기 선별기
KR1020070014446A Ceased KR20070094464A (ko) 2006-03-17 2007-02-12 공기분사식 쓰레기 선별기 및 이를 포함하는 쓰레기선별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4446A Ceased KR20070094464A (ko) 2006-03-17 2007-02-12 공기분사식 쓰레기 선별기 및 이를 포함하는 쓰레기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8434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37101A (ja) * 2010-09-14 2013-09-30 バルンシュテット,ディルク バルク品の流れの中の平面状固体及び三次元固体を分離する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605B1 (ko) * 2009-03-04 2009-09-29 (주)이오니아이엔티 2단 컨베이어를 이용한 재활용품 선별장치
KR101136058B1 (ko) * 2009-09-18 2012-04-18 (주)에이씨아이케미칼아시아 스크린 순환벨트 방식의 비닐류 선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닐류 쓰레기 선별방법
KR200454419Y1 (ko) * 2010-12-09 2011-07-04 (주)네비엔 풍력 비중 선별장치
KR101940583B1 (ko) * 2017-04-24 2019-01-22 (주)에이씨아이케미칼아시아 송풍에 의한 비중선별 및 진동에 의한 탄도선별이 병행 수행되는 비중 발리스틱 선별장치
KR102299101B1 (ko) * 2019-12-18 2021-09-06 강성호 발리스틱 선별 처리시스템
WO2023052852A1 (en) * 2021-10-02 2023-04-06 Moradi Kortaviji Fereshteh System for seaparating and removing lightweight impurities from an impure mixtur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44276A (ja) * 1991-01-29 1992-09-01 Baba Seiki Kk ゴミ選別仕分装置
JPH05286508A (ja) * 1992-04-13 1993-11-02 Toho Sheet & Frame Co Ltd ゴミ処理装置におけるドラム型吸引式回転選別装置
KR20030034483A (ko) * 2001-10-23 2003-05-09 한승기 폐기물 흡입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기물 선별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44276A (ja) * 1991-01-29 1992-09-01 Baba Seiki Kk ゴミ選別仕分装置
JPH05286508A (ja) * 1992-04-13 1993-11-02 Toho Sheet & Frame Co Ltd ゴミ処理装置におけるドラム型吸引式回転選別装置
KR20030034483A (ko) * 2001-10-23 2003-05-09 한승기 폐기물 흡입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기물 선별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37101A (ja) * 2010-09-14 2013-09-30 バルンシュテット,ディルク バルク品の流れの中の平面状固体及び三次元固体を分離す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4464A (ko) 2007-09-20
KR20070094463A (ko) 2007-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3483B1 (ko) 쓰레기 선별기
KR100986635B1 (ko) 풍력비중선별기
US10525481B2 (en) Intelligent closed type domestic waste sorting bus
KR101940451B1 (ko) 건조 유기성폐기물 선별기
CN112050224B (zh) 一种垃圾焚烧发电的系统及方法
KR100862015B1 (ko) 건설 폐기물의 처리장치
CN1280019C (zh) 一种垃圾分选方法及采用该方法的垃圾分选系统
KR100876542B1 (ko) 공기 분사식 쓰레기 선별장치
RU2724551C2 (ru) Способ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обработки смеси отходов, включающие разделение и компостирование указанной смеси
KR100921159B1 (ko) 가축 배설물 수거장치
KR101653304B1 (ko) 풍력을 이용한 연료재료 선별장치
KR102259772B1 (ko) 트롬멜 선별기
CN103894394B (zh) 太阳能社区生活垃圾分类处理站
CN113695036A (zh) 一种固废资源化处理用多级破碎装置
KR101799687B1 (ko) 불연성 감량화 정밀 선별장치
JP6335846B2 (ja) 風力選別システム
KR100423207B1 (ko) 폐기물 흡입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기물 선별 시스템
CN101497077B (zh) 城市生活垃圾灭菌除臭自动分类系统
KR101782094B1 (ko) 축류 유동형 다단식 집진장치
JP7150377B1 (ja) 使用済み衛生用品の収集・処理ステーション
JP3163451U (ja) 風力選別装置
KR101087261B1 (ko) 정밀선별 공정과 분진 및 악취 회수공정을 포함하는 매립폐기물 처리방법 및 장치
KR101320446B1 (ko) 쓰레기 자동 집하시스템
KR100404147B1 (ko) 쓰레기 분리용 선별장치
KR100766908B1 (ko) 폐기물 선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708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3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6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6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6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