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15851B1 - 폐기물 선별기 - Google Patents

폐기물 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5851B1
KR102315851B1 KR1020210011892A KR20210011892A KR102315851B1 KR 102315851 B1 KR102315851 B1 KR 102315851B1 KR 1020210011892 A KR1020210011892 A KR 1020210011892A KR 20210011892 A KR20210011892 A KR 20210011892A KR 102315851 B1 KR102315851 B1 KR 102315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specific gravity
wind
flow path
forming struct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1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중
최형진
오영환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엔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엔시 filed Critical (주)에이치엔시
Priority to KR1020210011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58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5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585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7/00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 B07B7/01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using gr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7/00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 B07B7/08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using centrifugal force
    • B07B7/10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using centrifugal force having air recirculating within th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9/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creening or sifting 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General arrangement of plant, e.g. flow sheet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분류된 폐기물을 일괄적으로 처리하기 용이하도록, 바람의 순환 경로를 형성하는 유로 형성 구조물, 상기 순환 경로로 바람을 발생시키는 송풍기, 폐기물을 상기 순환 경로 상의 일 지점에 공급하는 폐기물 공급부, 상기 공급된 폐기물이 바람에 의해 날아간 정도에 따라 세 영역 중 하나에 안착되도록 공간을 마련하는 폐기물 수집부, 상기 폐기물 수집부의 세 영역 중 적어도 두 영역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폐기물 수집부로 폐기물이 안착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안착 가이드부 및 상기 안착 가이드부의 상단에 구비된 롤러를 포함하는 폐기물 선별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폐기물 선별기{WASTE SORTING DEVICE}
본 발명은 일괄적인 폐기물 처리를 위해, 폐기물을 특정 성질에 따라 분류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폐기물은 특정 기준에 따라 유사한 성질의 것들로 분류되어 처리될 수 있다. 유사한 성질의 것들로 분류하는 이유는 분류 이후 재활용, 소각 및 매립 등의 후처리를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함이다.
폐기물의 분류를 위한 기준 중 하나로서 폐기물 비중이 있다. 비중의 크기에 따라 폐기물을 고비중 폐기물, 중비중 폐기물 및 저비중 폐기물의 세 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고비중 폐기물은 통상 금속 물질을 포함하는 불가연물을 포함하고, 중비중 폐기물은 합성수지 또는 섬유 등의 가연물을 포함한다. 저비중 폐기물은 비닐 또는 종이와 같이 재활용 또는 소각이 가능한 가연물을 포함한다.
폐기물이 위 세 종류로 분류되면 일괄적인 처리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고비중 폐기물은 재활용 과정을 거칠 수 있고, 중비중 폐기물은 소각 과정을 거칠 수 있으며, 저비중 폐기물은 재활용 또는 소각 과정을 거칠 수 있다.
폐기물을 비중에 따라 분류하기 위해, 송풍기를 이용하는 폐기물 선별기를 사용할 수 있다. 송풍기를 이용하는 폐기물 선별기는 폐기물에 바람을 공급하고, 바람에 의해 날아간 폐기물의 이동 거리의 차이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람에 의해 고철과 같은 비중이 큰 폐기물은 상대적으로 가까운 거리에 떨어지고, 비닐과 같은 비중이 작은 폐기물은 상대적으로 먼 거리에 떨어지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폐기물 처리 장치는 일반적으로 비중이 큰 폐기물(상술한 고비중 폐기물과 중비중 폐기물을 포함한다)과 작은 폐기물(상술한 저비중 폐기물을 포함한다)로만 분류할 뿐, 비중이 큰 폐기물을 고비중 폐기물과 중비중 폐기물을 구분하여 분류하지 못한다. 비중이 큰 폐기물과 작은 폐기물은 그 비중의 편차가 확연히 커서 송풍기만으로 분류가 가능하지만 고비중 폐기물과 중비중 폐기물은 비중의 차이가 크지 않아 분류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종래의 시스템은 고비중 폐기물과 중비중 폐기물로 추가적으로 분류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 종래의 송풍기를 이용한 폐기물 선별기는 폐기물의 모양, 상태 등과 같은 변수가 많아 의도하지 않은 영역으로 날아가거나, 분류의 경계 부근에 있는 폐기물들이 그 경계 등에 퇴적되어 분류가 제대로 수행되지 않고, 송풍 효율을 떨어뜨리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은 폐기물 분리 장치가 고비중 폐기물과 중비중 폐기물을 구분하여 분류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본 발명은 고비중 폐기물과 중비중 폐기물을 분류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퇴적 문제 등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추가적인 분류 작업을 최소화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폐기물 퇴적 문제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바람의 순환 경로를 형성하는 유로 형성 구조물, 상기 순환 경로로 바람을 발생시키는 송풍기, 폐기물을 상기 순환 경로 상의 일 지점에 공급하는 폐기물 공급부, 상기 공급된 폐기물이 바람에 의해 날아간 정도에 따라 세 영역 중 하나에 안착되도록 공간을 마련하는 폐기물 수집부, 상기 폐기물 수집부의 세 영역 중 적어도 두 영역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폐기물 수집부로 폐기물이 안착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안착 가이드부 및 상기 안착 가이드부의 상단에 구비된 롤러를 포함하는 폐기물 선별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폐기물 수집부의 세 영역은 상기 송풍기에 의해 생성된 바람의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구비되는 고비중 폐기물 안착부, 중비중 폐기물 안착부 및 저비중 폐기물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 가이드부는 상기 고비중 폐기물 안착부와 상기 중비중 폐기물 안착부의 사이에 구비되는 폐기물 선별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안착 가이드부는 상기 고비중 폐기물 안착부로 폐기물을 가이드하는 고비중 폐기물 슈트 및 상기 중비중 폐기물 안착부로 폐기물을 가이드하는 중비중 폐기물 슈트를 포함하는 폐기물 선별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고비중 폐기물 슈트 및 상기 중비중 폐기물 슈트 중 적어도 하나는 힌지 회전하여 각도 조절되는 폐기물 선별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롤러는 상기 고비중 폐기물 안착부 또는 중비중 폐기물 안착부를 향해 구름 방향을 갖는 폐기물 선별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순환 경로 상에 구비되어 복수의 개방 영역을 가져 바람은 통과시키고 폐기물을 1차적으로막아 낙하시키는 전방 폐기물 차단부 및 상기 순환 경로 상에서 상기 전방 폐기물 차단부의 후방에 구비되어 폐기물을 2차적으로막고 막힌 폐기물이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회전하는 후방 폐기물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폐기물 선별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후방 폐기물 차단부 후면 영역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후방으로 이동한 폐기물을 낙하시키는 분리기를 더 포함하는 폐기물 선별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순환 경로 상의 일 지점에 구비되어 상기 바람이 순환 경로를 순환하도록 바람을 생성시키는 드럼 스크린 및 상기 드럼 스크린을 통과한 바람이 상기 송풍기로 복귀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순환 파이프를 더 포함하는 폐기물 선별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드럼 스크린 및 상기 순환 파이프 사이에 구비되어 공기는 상기 순환 파이프로 보내고, 공기 이외의 이물질은 수집하는 집진부를 더 포함하는 폐기물 선별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유로 형성 구조물은, 상기 송풍기 및 상기 폐기물 수집부를 실장하는 제1 유로 형성 구조물, 상기 제1 유로 형성 구조물과 구분되어 구비되고, 상기 집진부 및 상기 순환 파이프를 구비하는 제2 유로 형성 구조물 및 상기 제1 유로 형성 구조물로부터 상기 제2 유로 형성 구조물로 공기가 흐르는 경로를 형성하는 복귀 연결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복귀 연결 통로는, 상기 제1 유로 형성 구조물로부터 바람이 빠져나오는 출구가 상기 제2 유로 형성 구조물로 바람이 유입되는 입구보다 더 낮게 형성하는 폐기물 선별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선별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폐기물의 분류를 세분화하여 후처리를 곧바로 진행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폐기물 분리를 위한 경계에 폐기물이 퇴적되어 분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를 방지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저비중 폐기물이 원하지 않는 영역에 퇴적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공기 순환이 막히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폐기물 선별기의 측면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A영역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B 영역 정면도이다.
도 4(a)는 도 1의 C 영역 확대도이고, 도 4(b)는 도 1의 C 영역 정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본 발명과 관련된 폐기물 선별기의 상면 개념도 및 배면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폐기물 선별기(100)의 측면 개념도이다.
폐기물 선별기(100)는 폐기물 공급부(110)를 포함한다. 폐기물 공급부(110)는 분류되기 이전의 건조된 폐기물을 전달받아 송풍기(120)가 발생시키는 바람이 지나는 순환 경로에 공급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폐기물 공급부(110)는 전달받은 폐기물을 순환 경로의 일 지점까지 이동시킴으로써 폐기물을 공급한다.
폐기물 공급부(110)는 이송 컨베이어(1101)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분류되지 않은 건조된 폐기물은 이송 컨베이어(1101) 상에 공급되고, 이송 컨베이어(1101)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여 순환 경로의 일 지점에 도달하게 된다. 이동한 지점에서 송풍기(120)의 바람에 의해 바로 날아갈 수도 있고, 또는 더 이동하여 낙하 할 수도 있다. 폐기물 공급부(110)의 이송 컨베이어(1101)는 복수의 폐기물이 한꺼번에 바람에 의해 날아가지 않고 순차적으로 바람에 맞을 수 있도록 하여 각각의 폐기물이 충분한 바람을 맞을 수 있도록 역할 한다.
폐기물 선별기(100)는 송풍기(120)를 포함한다. 송풍기(120)는 바람을 발생시켜 순환 경로의 일 지점에 도달한 폐기물 날릴 수 있도록 폐기물에 힘을 공급한다. 송풍기(120)의 바람을 맞은 폐기물은 폐기물의 형상, 또는 비중에 따라 이동하는 거리가 결정된다. 폐기물의 바람이 닿는 면적이 작거나 폐기물의 비중이 클수록 가까이 이동하고, 폐기물의 바람이 닿는 면적이 크거나 폐기물의 비중이 작을수록 멀리 이동한다.
송풍기(120)는 폐기물 공급 벨트에서 낙하하기 직전, 또는 낙하하는 폐기물에 바람을 생성한다. 송풍기(120)가 형성하는 바람의 방향은 후술하는 고비중 폐기물 안착부(131), 중비중 폐기물 안착부(132) 및 저비중 폐기물 안착부(133)의 배치 방향과 실질적으로(substantially) 평행할 수 있다.
송풍기(120)에 의해 생성된 바람은 폐기물 선별기(100) 내부에 형성된 순환 경로를 따라 이동한다. 송풍기(120)에 의해 생성된 바람은 폐기물 선별기(100) 내에서 순환하여 폐루프(closed loop)를 형성하여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공기가 폐기물 선별기(100)의 외부로 빠져나가면 악취 또는 유해물질 등이 함께 빠져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유로 형성 구조물(101)은 폐기물 선별기(100)의 외부와 내부를 구획하여 송풍기(120)가 형성한 바람의 순환 경로의 경계를 형성한다. 순환 경로는 폐기물을 날리기 위한 가압 영역 및 가압 영역을 지난 바람이 다시 송풍기(120)로 돌아오는 복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기(120)는 예를 들어 컴프레셔(compressor)일 수 있다.
드럼 스크린(121)은 순환 경로 상의 일 지점에 구비되어 송풍기(120)를 떠나 약해진 바람을 다시 송풍기(120)로 복귀하는데 충분한 힘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 바람이 순환 경로를 순환하도록 한다. 특히, 가압 영역에서 복귀 영역으로 돌아올 때 공기 순환의 힘이 특히 많이 약해질 것이므로 드럼 스크린(121)은 가압 영역과 복귀 영역의 경계 부근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폐기물 수집부(130)는 구분되는 세 영역을 포함하여 분류되는 세 종류의 폐기물에 대응할 수 있다. 세 영역은 송풍기(120)의 바람 방향을 따라 차례대로 고비중 폐기물 안착부(131), 중비중 폐기물 안착부(132) 및 저비중 폐기물 안착부(133)가 될 수 있다. 폐기물은 비중에 따라 날아가는 거리가 달라져 비중에 따라 고비중 폐기물 안착부(131), 중비중 폐기물 안착부(132) 및 저비중 폐기물 안착부(133) 중 어느 하나에 안착한다. 고비중 폐기물 안착부(131)에는 고비중 폐기물이, 중비중 폐기물 안착부(132)에는 중비중 폐기물이, 저비중 폐기물 안착부(133)에는 저비중 폐기물이 안착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비중 폐기물은 통상 돌, 금속 물질(고철) 및 유리 등을 포함하는 불가연물을, 중비중 폐기물은 합성수지 또는 섬유 등의 가연물을, 저비중 폐기물은 비닐 또는 종이와 같이 재활용 또는 소각이 가능한 가연물을 주로 포함한다.
저비중 폐기물은 고비중 폐기물 및 중비중 폐기물과 달리 비중이 작을뿐만 아니라 보통 얇고 넓은 형태로 구비되므로 바람을 맞는 방향, 형상 등에 따라 날아가는 거리의 편차가 크다. 따라서 저비중 폐기물 안착부(133)는 고비중 폐기물 안착부(131) 또는 중비중 폐기물 안착부(132)보다 길게 구비되어 불확실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각 폐기물 수집부(131, 132, 133)는 이송 컨베이어(1301)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폐기물 수집부(131, 132, 133)에 안착된 폐기물은 이송 컨베이어(1301)를 통해 각 특정 지점에 수집되어 작업자가 처리하기 용이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A영역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1의 B 영역 정면도이며, 도 4(a)는 도 1의 C 영역 확대도이고, 도 4(b)는 도 1의 C 영역 정면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본 발명과 관련된 폐기물 선별기(100)의 상면 개념도 및 배면 개념도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을 함께 참조한다.
폐기물 선별기(100)는 안착 가이드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 가이드부(140)는 낙하되는 폐기물이 폐기물 수집부(130)에 안착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안착 가이드부(140)는 크게 아래의 세 가지 역할을 수행한다.
첫째, 안착 가이드부(140)는 폐기물 수집부(130) 중 고비중 폐기물 안착부(131) 및 중비중 폐기물 안착부(132)를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고비중 폐기물 안착부(131)와 중비중 폐기물 안착부(132)는 저비중 폐기물 안착부(133)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영역에 구비된다. 왜냐하면 고비중 폐기물과 중비중 폐기물은 바람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기 때문에 바람에 의한 이동 거리의 차가 크지 않고, 따라서 고비중 폐기물 안착부(131)에 수집될 폐기물들이 중비중 폐기물 안착부(132)에 수집되거나, 중비중 폐기물 안착부(132)에 수집될 폐기물들이 고비중 폐기물 안착부(131)에 수집될 수 있기 때문이다. 안착 가이드부(140)는 격벽의 역할을 하여 고비중 폐기물은 고비중 폐기물 안착부(131)에, 중비중 폐기물은 중비중 폐기물 안착부(132)에 수집된다. 고비중 폐기물이 고비중 폐기물 안착부(131)로 떨어질 궤적으로 낙하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송풍기(120)의 바람, 또는 낙하중인 다른 폐기물과의 충돌 등에 의해 중비중 폐기물 안착부(132)로 낙하되는 것과 같은 상황을 막는다. 안착 가이드부(140)는 중비중 폐기물에 대해서도 유사한 작용을 한다..
둘째, 안착 가이드부(140)는 폐기물이 의도하지 않은 영역으로 낙하하지 않고 각 안착부(131, 132, 133) 중 하나에 낙하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 폐기물은 안착부(131, 132, 133) 중 하나에 안착하여야 함에도 안착부(131, 132, 133)가 폐기물 선별기(100)의 모든 낙하 영역에 걸쳐 구비될 수 없다. 따라서 안착 가이드부(140)는 경사면을 갖는 슈트(141)를 가져 안착부 외의 영역에 안착되거나 의도하지 않은 다른 안착부에 안착되지 않도록 한다.
셋째, 안착 가이드부(140)는 폐기물이 낙하할 때 완충 역할을 수행한다. 폐기물은 폐기물 수집부(130)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으므로 낙하시 폐기물 수집부(130)에 충격을 가할 수 있다. 특히, 폐기물 수집부(130)가 이송 컨베이어(1301)를 포함하는 경우 파손 또는 고장의 가능성이 커진다. 안착 가이드부(140)는 낙하하는 폐기물을 일차적으로 받아 폐기물 수집부(130)에 큰 충격을 주지 않고 전달한다.
슈트(141)는 안착 가이드부(140)를 형성한다. 슈트(141)는 지면에 대해 일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기능들을 수행한다. 슈트(141)는 지면에 대해 기울어진 판상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폐기물 수집부(130)의 너비, 폐기물의 크기, 무게 등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슈트(141)는 힌지(142)를 통해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슈트(141)는 낙하하는 폐기물과 부딪히는 경우에도 파손되지 않을 정도로 충분한 강성을 가질 수 있다. 동시에,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탄성의 성질을 갖는 물질로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슈트(141)는 철,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고무와 같은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이 중 적어도 두개의 물질이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슈트(141)는 고강도의 철에 폐기물이 낙하하는 경사면이 고무로 덮힌 판형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안착 가이드부(140)는 폐기물 수집부(130)의 각 안착부(131, 132, 133)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안착 가이드부(140)는 고비중 폐기물 안착부(131) 및 중비중 폐기물 안착부(132) 사이에 반드시 구비되어야 한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비중 폐기물 안착부(131) 및 중비중 폐기물 안착부(132)는 저비중 폐기물 안착부(133)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안착 영역을 형성하며, 폐기물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커 곧바로 낙하하는 경우 장치의 손상 또는 고장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고비중 폐기물 안착부(131) 및 중비중 폐기물 안착부(132) 사이에 구비되는 안착 가이드부(140)는 고비중 폐기물 안착부(131)로 기울어진 고비중 폐기물 슈트(141a) 및 중비중 폐기물 안착부(132)로 기울어진 중비중 폐기물 슈트(141b)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슈트(141a, 141b)는 경사의 정도가 가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특히 두 슈트(141a, 141b)는 수평 바(bar), 또는 고임목에 의해 특정 각도로 고정될 수 있다. 수평 바 또는 고임목은 동시에 낙하하는 폐기물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으로 인해 슈트(14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안착 가이드부(140)는 중비중 폐기물 안착부(132) 및 저비중 폐기물 안착부(133) 사이에도 구비될 수 있다(미도시).
롤러(143)는 안착 가이드부(140)에, 특히 안착 가이드부(140)의 상단에 구비될 수 있다. 롤러(143)는 안착부(131, 132, 133)에 수집되거나 순환 경로 상에서 이동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안착 가이드부(140)에 걸리는 문제를 방지한다. 특히, 안착 가이드부(140)에 걸리는 폐기물이 누적되는 경우 이는 다른 폐기물의 분류도 방해하는 문제를 일으킨다.
롤러(143)가 구비됨으로써 폐기물이 안착 가이드부(140), 특히 안착 가이드부(140)의 상단에 걸리더라도 롤러(143)의 회전에 폐기물 수집부(130)로 유도되어 굴러 떨어지거나 순환 경로로 자연스럽게 다시 합류하여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롤러(143)는 외부의 힘작용에 의해 수동적으로 회전하는 기구적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렇게 구현된 롤러(143)는 폐기물이 고비중 폐기물 안착부(131) 쪽에 치우쳐 맞닿는 경우 이 폐기물이 고비중 폐기물 안착부(131)로 낙하하도록 하며, 폐기물이 중비중 폐기물 안착부(132) 쪽에 치우쳐 맞닿는 경우 이 폐기물이 중비중 폐기물 안착부(132)로 낙하하도록 한다.
또는, 롤러(143)는 모터와 같은 내부 액추에이터(actuator)에 의해 지속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회전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롤러(143)의 경우 폐기물이 안착 가이드부(140)에 걸리는 것을 원천적으로 막아준다는 장점이 있다. 또 이 롤러(143)에 퇴적되는 것이 비닐 등과 같은 비중이 낮은 저비중 폐기물인 경우 이를 순환 경로로 다시 보내주기 위해 일 방향으로(도면을 기준으로는 시계 방향) 회전시키도록 구동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롤러(143)는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각각 회전하는 복수의 롤러(143)로 구현될 수도 있다.
폐기물 선별기(100)는 전방 폐기물 차단부(150)를 더 포함한다. 전방 폐기물 차단부(150)는 바람의 순환 경로상 일 지점에 구비되어 폐기물이 더 날아가지 않고 걸려 낙하되도록 막아준다. 전방 폐기물 차단부(150)는 특히 저비중 폐기물 안착부(133)의 상부에 구비되어 저비중 폐기물이 걸리도록 한다. 이는 고비중 폐기물과 중비중 폐기물은 상대적으로 비행거리가 짧아 변수가 크지 않으나, 저비중 폐기물은 임의의 경로로 날아갈 확률이 크기 때문이다.
전방 폐기물 차단부(150)는 복수의 개방 영역(1501)을 가져 바람은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폐기물은 전방 폐기물 차단부(150)에 걸려 아래로 떨어지고 바람은 개방 영역(1501)을 통해 전방 폐기물 차단부(150)를 그대로 통과하게 된다. 전방 폐기물 차단부(150)는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된 복수의 바(bar, 15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바(151)는 세로로 평행하게 구비될 수도 있고 가로로 평행하게 구비될 수도 있으며, 또는 가로-세로 격자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복수의 바(151)의 간격은 충분히 이격되어 바람 순환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되, 너무 벌어져 폐기물이 통과하여 지나가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방 폐기물 차단부(150)의 복수의 바(151)가 형성하는 차단면은 바람의 순환 경로와 만나는 지점에서 순환 경로 방향과 최대한 수직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최소의 면적으로 순환 경로에 수직한 방향에 대해 최대의 영역에 효과를 미치게 하기 위함이다.
또는, 차단면은 지면에 수직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전방 폐기물 차단부(150)의 복수의 세로 바(151)는 폐기물 선별기(100)의 유로 형성 구조물(101) 천장 또는 고정부에 매달려 구비될 수 있다. 즉, 전방 폐기물 차단부(150)의 상측은 고정부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152) 결합하여 고정단(1511)을 형성하고 하측은 자유단(1512)을 형성하여 외력에 의해 틸팅되는 거동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폐기물이 날아와 차단면을 가압하면 전방 폐기물 차단부(150)가 틸팅되고, 폐기물이 자연스럽게 미끄러져 후하단으로 낙하할 수 있다(도 1 기준). 즉, 폐기물 및 전방 폐기물 차단부(150)가 부딪힐 때 완충 역할을 하게 된다.
폐기물 선별기(100)는 후방 폐기물 차단부(160)를 더 포함한다. 후방 폐기물 차단부(160)는 전방 폐기물 차단부(150)의 순환 경로 상 후방에 위치하여 폐기물을 막는다. 즉, 전방 폐기물 차단부(150)는 폐기물을 1차적으로 막고, 후방 폐기물 차단부(160)는 폐기물을 2차적으로 막는다. 후방 폐기물 차단부(160)가 막는 폐기물은 전방 폐기물 차단부(150)의 개구부를 통과한 폐기물들일 수도 있고, 또는 전방 폐기물 차단부(150)가 구비된 이외의 영역을 통해 날아온 폐기물일 수도 있다.
후방 폐기물 차단부(160)는 드럼(161)과 드럼(161)을 둘러싸 차단면을 형성하는 메쉬 망(162)을 포함한다. 메쉬 망(162)은 바람은 통과하고 폐기물은 걸러지는 그물 형태를 띨 수 있다. 드럼(161)은 상단 및 하단에 각각 구비되고, 메쉬 망(162)이 상단 드럼(161) 및 하단 드럼(161)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단일의 드럼(161)에 의해 구현되는 경우보다 넓은 차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폐기물은 후방 폐기물 차단부(160)의 전면 영역에 위치하는 메쉬 망(162)에 흡착되고, 드럼(161)의 회전에 의해 메쉬 망(162)도 함께 회전하여 후방 폐기물 차단부(160)의 후면 영역으로 이동한다. 후면 영역으로 이동한 폐기물은 메쉬 망(162)으로부터 박리되어 저비중 폐기물 안착부(133)의 폐기물들이 모이는 저비중 폐기물 수집기(163)로 모인다.
분리기는 후방 폐기물 차단부(160)의 후면 영역의 폐기물이 잘 박리되도록 공기를 분사한다. 분리기가 구비됨에 따라 폐기물이 후방 폐기물 차단부(160)에 퇴적되어 공기 순환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분리기는 후방 폐기물 차단부(160)의 메쉬 망(162) 후면 영역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공기를 분사한다.
분리기는 충분한 압력으로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드럼 스크린(121)은 공기가 순환 경로의 초기 지점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추가적인 유량을 형성한다. 드럼 스크린(121)이 빨아들인 공기는 순환을 위해 다시 송풍기(120)가 있는 순환 경로의 일 지점으로 복귀하게 된다. 유로 형성 구조물(101)은 순환 파이프(171)를 구비할 수 있다. 순환 파이프(171)는 순환 경로 중 복귀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할 수 있다. 순환 파이프(171)의 일단은 드럼 스크린(121) 측을, 타단은 송풍기(120) 측을 향하게 구비되어 드럼 스크린(121)을 통과한 바람이 송풍기(120)로 복귀하는 경로를 형성한다.
집진부(172)는 드럼 스크린(121)과 순환 파이프(171) 사이에 구비되어 공기는 순환 파이프(171)로 보내고, 공기 이외의 미세물질 등을 포함하는 미세물질은 별도의 공간으로 모은다. 일 예로, 집진부(172)는 싸이클론 집진기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집진부(172)에 의해 이물질은 하방으로 떨어져 미세물질 수집기(173)에 수집되고, 공기는 상방으로 흘러 순환 파이프(171)로 유입된다.
싸이클론 집진기는 제트스크러버, 사이클론스크러버와 같은 습식 장치, 또는 코트렐과 같은 전기를 사용하는 건식 장치 중 어느 일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송풍기(120) 및 폐기물 수집부(130)는 제1 유로 형성 구조물(101a)에, 집진부(172), 미세물질 수집기(173) 및 순환 파이프(171)는 제2 유로 형성 구조물(101b) 상에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제1 유로 형성 구조물(101a)과 제2 유로 형성 구조물(101b)은 폐기물 선별기(100)의 정면 또는 배면을 기준으로 구분된 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집진부(172) 및 미세물질 수집기(173)가 구비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함과 동시에 저비중 폐기물과 미세물질을 구분하여 수집하기 위함이다. 다만 순환 경로를 연속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제1 유로 형성 구조물(101a) 및 제2 유로 형성 구조물(101b)은 연결 통로(174)를 가질 수 있다. 제1 유로 형성 구조물(101a)로부터 제2 유로 형성 구조물(101b)로 공기가 흐르는 경로를 형성하는 복귀 연결 통로(1741), 제2 유로 형성 구조물(101b)로부터 제1 유로 형성 구조물(101a)로 공기가 흐르는 경로를 형성하는 공급 연결 통로(1742)로 정의한다.
복귀 연결 통로(1741)에 있어서, 제1 유로 형성 구조물(101a)로부터 바람이 빠져나오는 출구(1741a)는 제2 유로 형성 구조물(101b)로 바람이 유입되는 입구(1741b)보다 더 낮게 구비될 수 있다. 이는 공기와 미세물질만이 제2 유로 형성 구조물(101b)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폐기물 선별기 101: 유로 형성 구조물
101a: 제1 유로 형성 구조물 101b: 제2 유로 형성 구조물
110: 폐기물 공급부 120: 송풍기
121: 드럼 스크린 130: 폐기물 수집부
1301: 이송 컨베이어 131: 고비중 폐기물 안착부
132: 중비중 폐기물 안착부 133: 저비중 폐기물 안착부
140: 안착 가이드부 141: 슈트
141a: 고비중 폐기물 슈트 141b: 중비중 폐기물 슈트
142: 힌지 143: 롤러
150: 전방 폐기물 차단부 151: 바
1511: 바 고정단 1512: 바 자유단
152: 힌지 160: 후방 폐기물 차단부
161: 드럼 162: 메쉬 망
163: 저비중 폐기물 수집기 171: 순환 파이프
172: 집진부 173: 미세물질 수집기
174: 연결 통로 1741: 복귀 연결 통로
1741a: 출구 1741b: 입구
1742: 공급 연결 통로

Claims (10)

  1. 바람의 순환 경로를 형성하는 유로 형성 구조물;
    상기 순환 경로로 바람을 발생시키는 송풍기;
    폐기물을 상기 순환 경로 상의 일 지점에 공급하는 폐기물 공급부;
    상기 공급된 폐기물이 바람에 의해 날아간 정도에 따라 세 영역 중 하나에 안착되도록 공간을 마련하는 폐기물 수집부;
    상기 폐기물 수집부의 세 영역 중 적어도 두 영역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폐기물 수집부로 폐기물이 안착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안착 가이드부;
    상기 안착 가이드부의 상단에 구비된 롤러;
    상기 순환 경로 상에 구비되어 복수의 개방 영역을 가져 바람은 통과시키고 폐기물을 1차적으로 막아 낙하시키는 전방 폐기물 차단부;
    상기 순환 경로 상에서 상기 전방 폐기물 차단부의 후방에 구비되어 폐기물을 2차적으로 막고 막힌 폐기물이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회전하는 후방 폐기물 차단부;
    상기 순환 경로 상의 일 지점에 구비되어 상기 순환 경로를 순환하는 바람을 생성시키는 드럼 스크린;
    상기 드럼 스크린을 통과한 바람이 상기 송풍기로 복귀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순환 파이프; 및
    상기 드럼 스크린 및 상기 순환 파이프 사이에 구비되어 공기는 상기 순환 파이프로 보내고, 공기 이외의 이물질은 수집하는 집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 형성 구조물은,
    상기 송풍기 및 상기 폐기물 수집부를 실장하는 제1 유로 형성 구조물;
    상기 제1 유로 형성 구조물과 구분되어 구비되고, 상기 집진부 및 상기 순환 파이프를 구비하는 제2 유로 형성 구조물; 및
    상기 제1 유로 형성 구조물로부터 상기 제2 유로 형성 구조물로 공기가 흐르는 경로를 형성하는 복귀 연결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복귀 연결 통로는, 상기 제1 유로 형성 구조물로부터 바람이 빠져나오는 출구가 상기 제2 유로 형성 구조물로 바람이 유입되는 입구보다 더 낮도록 구비되는 폐기물 선별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 수집부의 세 영역은 상기 송풍기에 의해 생성된 바람의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구비되는 고비중 폐기물 안착부, 중비중 폐기물 안착부 및 저비중 폐기물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 가이드부는 상기 고비중 폐기물 안착부와 상기 중비중 폐기물 안착부의 사이에 구비되는 폐기물 선별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가이드부는 상기 고비중 폐기물 안착부로 폐기물을 가이드하는 고비중 폐기물 슈트 및 상기 중비중 폐기물 안착부로 폐기물을 가이드하는 중비중 폐기물 슈트를 포함하는 폐기물 선별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고비중 폐기물 슈트 및 상기 중비중 폐기물 슈트 중 적어도 하나는 힌지 회전하여 각도 조절되는 폐기물 선별기.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고비중 폐기물 안착부 또는 중비중 폐기물 안착부를 향해 구름 방향을 갖는 폐기물 선별기.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폐기물 차단부 후면 영역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후방으로 이동한 폐기물을 낙하시키는 분리기를 더 포함하는 폐기물 선별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10011892A 2021-01-27 2021-01-27 폐기물 선별기 Active KR102315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892A KR102315851B1 (ko) 2021-01-27 2021-01-27 폐기물 선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892A KR102315851B1 (ko) 2021-01-27 2021-01-27 폐기물 선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5851B1 true KR102315851B1 (ko) 2021-10-22

Family

ID=78276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892A Active KR102315851B1 (ko) 2021-01-27 2021-01-27 폐기물 선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585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4483A (ko) * 2001-10-23 2003-05-09 한승기 폐기물 흡입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기물 선별 시스템
KR100876542B1 (ko) * 2007-12-12 2008-12-31 (주)에이씨아이케미칼아시아 공기 분사식 쓰레기 선별장치
KR20160079506A (ko) * 2014-12-26 2016-07-06 (주)유성 풍력을 이용한 연료재료 선별장치
KR20180118866A (ko) * 2017-04-24 2018-11-01 (주)에이씨아이케미칼아시아 송풍에 의한 비중선별 및 진동에 의한 탄도선별이 병행 수행되는 비중 발리스틱 선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4483A (ko) * 2001-10-23 2003-05-09 한승기 폐기물 흡입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기물 선별 시스템
KR100876542B1 (ko) * 2007-12-12 2008-12-31 (주)에이씨아이케미칼아시아 공기 분사식 쓰레기 선별장치
KR20160079506A (ko) * 2014-12-26 2016-07-06 (주)유성 풍력을 이용한 연료재료 선별장치
KR20180118866A (ko) * 2017-04-24 2018-11-01 (주)에이씨아이케미칼아시아 송풍에 의한 비중선별 및 진동에 의한 탄도선별이 병행 수행되는 비중 발리스틱 선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25198A (en) Apparatus and method of air classifying municipal solid wastes
US10464761B1 (en) Ejector hood
KR0129104B1 (ko) 고체폐기물분별처리시스템의 분별처리장치
JP7574608B2 (ja) 選別装置
KR102315851B1 (ko) 폐기물 선별기
US3929293A (en) Shredder crusher material reducer
US3972808A (en) Pneumatic classifier with particle removal system
KR101904148B1 (ko) 유속조절이 가능한 풍력선별기
JP2002177890A (ja) 風力選別装置
KR200255197Y1 (ko) 송풍기를 이용한 건식 건설폐기물선별장치
KR102630107B1 (ko) 폐기물 재활용 스크린선별기를 갖는 풍력선별기
KR101939255B1 (ko) 컨베이어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2074634B1 (ko) 폐기물 선별 장치
KR102797458B1 (ko) 입도 비중 선별이 가능한 폐기물 선별기
KR100452857B1 (ko)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쓰레기 분리장치
JP6335846B2 (ja) 風力選別システム
JP4182049B2 (ja) 風力選別装置
KR200329222Y1 (ko)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쓰레기 분리장치
CN115041497B (zh) 一种焚烧炉渣的分选处理系统
CN110918599A (zh) 垃圾分类机器人装置
KR100448651B1 (ko) 송풍기를 이용한 건식 건설폐기물선별장치
JP3208793B2 (ja) 風選機
KR101053468B1 (ko) 풍력을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류 선별장치
KR100559483B1 (ko) 재활용 골재 생산 시스템
US2003899A (en) Cleaning and sizing of co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3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101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2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5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0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10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