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95073B1 - 가열조리기 - Google Patents

가열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5073B1
KR100395073B1 KR10-2001-0044519A KR20010044519A KR100395073B1 KR 100395073 B1 KR100395073 B1 KR 100395073B1 KR 20010044519 A KR20010044519 A KR 20010044519A KR 100395073 B1 KR100395073 B1 KR 100395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heating
cooking
type
abnormalit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4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6667A (ko
Inventor
나가야카리츠히코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20036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6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5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507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기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가진 가열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온도센서를 구비한 제 1가스풍로를 가진 가스테이블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는 환기 풍량 조절기능을 가진 환기 부재와 적외선에 의한 통신이 가능한 적외선 신호 송신부를 통해서 환기 장치에 대해 환기의 개시와 정지와 환기 풍량을 지시하는 환기지시수단과 제 1가스 풍로에 의한 가열 조리의 종류를 파악하는 조리 종류 파악수단을 구비한다.
환기지시수단은 가열조리의 개시에 응해서 환기의 개시를 환기 부재 연동유니트에 지시하고, 가열 조리중 및 가열조리 종료후에 있어 환기 풍량을 조리 종류 파악수단에 의해 파악된 가열조리의 종류에 응하여 결정해서 환기 부재 연동유니트에 지시한다.
이에 본 발명은 환기 장치에 대해서 가열조리시 환기 풍량을 적절하게 지시할 수 있는 가열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열조리기{Heating apparatus for cooking}
본 발명은 환기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가진 가열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에 있어서는, 가스풍로와 가스레인지등의 가스조리기, 혹은 전기풍로와 전자레인지등의 전기조리기라고 했던 가열조리기의 상방 위치에 환기 부재 등의 환기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열조리기를 사용해서 가열조리를 할 때에 환기장치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조리물에서 발생하는 유연(油煙)과 수증기 등을 배기할 수 있다.
또, 가스조리기를 사용할 때에는 가스 연소시에 환기장치를 작동시켜서 실내를 환기하는 것이 불가결이다.
여기에서 가열조리기의 작동에 연동해서 환기장치를 작동시키도록 한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이 종류의 시스템으로서 예를 들면 가열조리기가 가스풍로인 경우에는 가스풍로측에 점화손잡이와 화력조절 손잡이의 조작상태를 검출해서 가스풍로의 작동상태를 검지하는 작동상태 검지수단을 설치하고, 환기장치측에 검지수단의 검지신호에 응해서 환기 운전을 행하는 환기 운전 제어수단을 설치해서, 작동상태 검지수단과 환기운전 제어수단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것에 의해 가스풍로가 작동을 개시한 것과 가스풍로로의 연료가스의 공급량이 상기 작동상태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되어 검지신호가 상기 환기 운전 제어수단에 전달되고, 이것에 응해서 상기 환기 운전 제어수단은 환기 부재의 환기 풍량을 조절해서 환기 운전을 실행한다.
그러나, 본원 발명자들은 연료가스의 공급량과 필요한 환기 풍량과는 꼭 비례하는 것은 아니고, 연료가스의 공급량에 응해서 환기 풍량을 설정하면 환기 풍량이 부족하거나, 거꾸로 환기 풍량이 과잉되어서 쓸데없는 환기가 행해지는 경우가 있는 것을 지견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환기장치에 대해서 가열조리시에 환기 풍량을 적절하게 지시할 수 있는 가열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 가열조리기의 일 실시예에서 가스테이블과 그 가스테이블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는 환기 부재를 도시한 도,
도 2는 본 발명 가열조리기의 일 실시예에서 가스테이블의 제어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 가열조리기의 일 실시예에서 가스테이블의 전면에 설치된 조작패널의 외관도,
도 4는 본 발명 가열조리기의 일 실시예에서 환기 부재 연동유니트의 제어블럭도,
도 5는 본 발명 가열조리기의 일 실시예에서 환기 부재의 풍량 설정의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스 테이블 2 : 제 1풍로
3 : 제 2풍로 4 : 제 3풍로
5 : 그릴 10 : 조작패널
20 : 환기부재 21 : 환기 부재 연동유니트
30 : 컨트롤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조리물을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환기 풍량 조절기능을 가진 환기장치와 통신가능하고, 그 환기장치에 대해서 환기의 개시와 정지와 환기 풍량을 지시하는 환기지시수단을 구비한 가열조리기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에 의한 가열조리의 종류를 파악하는 조리종류파악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환기지시수단은 가열조리의 개시에 응해서 환기의 개시를 상기 환기장치에 지시함과 동시에 가열조리중에 있어 환기 풍량을 상기 조리종류 파악수단에 의해 파악된 가열조리의 종류에 응하여 결정해서 상기 환기장치에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관련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조리 종류 파악수단에 의해 상기 가열수단에 의한 가열조리의 종류가 파악된다.
여기에서 상기 가열수단에 의한 가열량이 동일할지라도 가열조리의 종류에 의해 요구되는 환기 풍량이 서로 다르다.
예를 들어 삶는 조리와 볶는 조리에서는 볶는 조리쪽이 다량의 유연(油煙)을 배기하기 때문에 환기 풍량을 많이 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 상기 조리종류 파악수단에 의해 파악된 가열조리의 종류에 응해서 상기 환기지시수단이 가열조리중에 있어 환기 풍량을 결정해서 상기환기장치에 지시하는 것에 의해 과잉되거나 부족함 없이 적절한 환기 풍량으로 상기 환기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 상기 환기지시수단은 가열조리의 종료에서부터 제 1소정시간이 경과한 때 상기 환기장치에 대해서 환기정지를 지시하고, 제 1소정시간과 제 1소정시간 중에 있어 환기 풍량을 상기 조리종류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가열조리의 종류에 응해서 결정하고, 그 환기 풍량을 상기 환기 장치에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관련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환기지시수단은 가열조리가 종료에서 부터 제 1소정시간이 경과한 때에 상기 환기장치에 대해서 환기의 정지를 지시하는 것에 의해서 가열조리의 종료후에 조리물에서 발생한 유연(油煙)과 수증기를 배기하고 있다.
그리고, 가열조리종료후에 조리물에서 발생한 유연(油煙)과 수증기의 양은 가열조리의 종류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가열조리종료후에 요구되는 환기 시간와 환기풍량은 가열조리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된다.
거기에서 상기 환기지시수단에 의해 가열조리의 종류에 응해서 상기 제 1소정시간과 상기 환기풍량을 결정하는 것에 의해서 과잉되거나 부족함이 없이 적절한 환기 풍량과 환기시간에 의해 환기를 할 수 있다.
또,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가열조리의 종류가 설정되는 조리종류설정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조리종류파악수단은 그 조리종류설정 스위치의 조작에 응해서 가열조리의 종류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관련한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가열조리기가 상기 조리종류 설정 스위치로서 예를 들어 튀김조리처럼 온도조절조리를 지정하기 위한 스위치를 구비한 경우에 상기 조리종류 파악수단은 그 스위치의 조작에 응해서 가열조리의 종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 조리물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조리종류 파악수단은 가열조리 중에 있어 그 온도 검출수단의 온도검출에 응해서 가열조리의 종류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관련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조리종류 파악수단은 상기 온도검출수단의 검출온도에 응해서 예를 들어 상기 온도검출수단의 온도가 거의 일정하게 된 때는 삶는 조리가 행해지고 있다고 판단하고, 또, 상기 온도검출수단의 검출온도가 급속히 상승하는 경우에는 볶음 조리가 행해지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 상기 온도검출수단의 검출온도에서 복수종류의 가열조리의 이상을 식별해서 검지하고, 그 이상을 검지한 때에 상기 가열수단에 의한 가열을 정지하는 가열이상 처리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환기지시수단은 그 가열이상 처리수단에 의해 상기 가열수단에 의한 가열이 정지하고 나서 제 2소정시간이 경과한 때에 상기 환기장치에 대해서 환기의 정지를 지시하고, 제 2소정시간과 제 2소정시간 중에 있어 환기 풍량을 상기 가열이상 처리수단에 의해 식별된 가열조리의 이상의 종류에 응해서 결정하고, 그 환기 풍량을 상기 환기장치에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관련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가열이상 처리수단은 상기 온도검출수단의 검출온도에서 복수종류의 가열조리의 이상을 식별한다.
여기에서, 상기 가열이상 처리수단에 의해 상기 가열수단에 의한 가열이 정지된 후에도 조리물에서는 어느 정도의 유연(油煙)과 수증기가 발생하지만, 이 유연과 수증기의 양은 가열조리의 이상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다.
거기에서 상기 환기지시수단은 상기 가열이상 처리수단에 의해 식별된 가열이상의 종류에 응해서 상기 제 2소정시간과 제 2소정시간에 있어 환기 풍량을 결정한다.
그것에 의해 가열조리의 이상의 종류에 응해서 적절한 환기 풍량과 환기시간에 의해 환기를 할 수 있다.
또, 상기 가열이상처리수단은 상기 온도검출수단의 검출온도가 소정의 상한온도를 초과한 때에 상기 가열조리의 이상으로서 과열이상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관련한 발명에 의하면 조리물이 이상으로 과열된 때에 상기 가열이상처리수단에 의해 상기 과열이상이 검지되고, 상기 가열처리수단에 의한 가열이 정지되고,그 과열이상에 응한 적절한 환기 풍량과 상기 제 2소정시간에 의해 상기 환기장치에 의한 환기가 행해진다.
또, 상기 가열이상 처리수단은 상기 온도 검출수단의 검출온도가 일정 상태에서 상승으로 전환된 때, 상기 가열조리의 이상으로서 눌어붙는 이상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관련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삶는 조리중에 눌어붙음이 발생한 때에, 상기 가열이상 처리수단에 의해 상기 눌어붙는 이상이 검지되어 상기 가열처리수단에 의한 가열이 정지되고, 그 눌어붙는 이상에 응해서 적절한 환기풍량과 상기 제 2소정시간에 의해, 상기 환기장치에 의한 환기가 행해진다. 또, 상기 가열수단은 버너에 의해 조리물을 가열하고, 그 버너의 연소불꽃의 유무를 검출하는 불꽃 검출수단을 구비해서 상기 가열이상 처리수단은 가열조리중에 상기 불꽃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버너의 실화가 검지된 때에 상기 가열이상으로서 실화이상을 검지하고, 상기 가열수단에 의한 가열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관련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열조리중에 조리물의 끓어 넘침 등이 발생해서 상기 버너가 실화한 때에도 상기 환기지시수단에 의해 상기 환기장치에 대해서 실화이상에 응한 상기 제 2소정시간과 환기 풍량이 지시되어서 환기가 행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예에 대해서 도 1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가스테이블과 그 가스테이블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는 환기 부재를 도시한 도, 도 2는 가스테이블의 제어 블록도, 도 3은 가스테이블 전면에 설치한 조작패널 외관도, 도 4는 환기 부재 연동 유니트의 제어블럭도, 도 5는 환기 부재의 풍량 설정의 설명도이다.
도 1을 참조해서 설명하면 가스테이블(1)(본 발명의 가열조리기에 해당한다.)은 천정면에 제 1풍로(2)(본 발명의 가열수단에 해당한다.)와; 제 2풍로(3)와 제 3풍로(4)를 구비하고, 전면에 그릴(5)을 구비하고 있다.
또, 전면에는 그릴(5)의 점화/소화를 행하기 위한 그릴점화버튼(6)과; 그릴(5)의 화력을 조절하기 위한 그릴 조절레버(7)와; 제 1풍로(2)의 점화/소화를 행하기 위한 제 1풍로 점화버튼(8)과; 제 1 풍로(2)의 화력을 조절하기 위한 제 1풍로 조절레버(9)와; 제 1풍로(2)에 의한 온도조절조리를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등이 설치된 조작패널(10)과; 제 2풍로(3)의 점화/소화를 행하기 위한 제 2풍로 점화버튼(11)과 제 2풍로의 화력을 조절하기 위한 제 2풍로 조절레버(12)와; 제 3풍로(4)의 점화/소화를 행하기 위해 제 3풍로 점화버튼(13)과; 제 3풍로(4)의 화력을 조절하기 위한 제 3풍로 조절레버(14)와; 환기 부재 연동유니트(21)에 대해서 적외선 신호를 송신하는 적외선 송신 신호부(15)가 구비되어 있다.
환기 부재 연동유니트(21)는 기설의 환기 부재(20)의 작동을 가스테이블(1)에서 원격조작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고, 상용전원 콘센트(22)에서 전력 공급을 받아서 작동하고, 환기 부재(20)의 전원플러그(23)가 접속되는 소켓(24)과; 가스테이블(1)의 적외선신호 송신부(15)에서 송신된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신호수신부(25)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환기 부재 연동유니트(21)는 가스테이블(1)의 적외선 신호송신부(15)에서 수신한 적외선 신호에 응해서 환기 부재(20)의 작동의 개시/정지와 환기 부재(20)의 회전수(환기 부재에 의한 환기 풍량에 대응한다.)를 제어한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해서 가스테이블(1)의 구성과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가스테이블(1)은 CPU와 메모리 등으로 된 전자 유니트인 컨트롤러(30)에 의해 전체의 작동이 제어된다.
컨트롤러(30)는 제 1풍로(2)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 1풍로 제어수단(31)과; 제 2풍로(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 2풍로 제어수단(32)과; 제 3풍로(4)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 3풍로 제어수단(33)과; 그릴(5)의 작동을 제어하는 그릴제어수단(34)과; 온도조절 조리기능을 가진 제 1풍로에 의해 실행되는 가열조리의 종류를 파악하는 조리종류 파악수단(35)과; 환기 부재(20)의 작동을 적외선신호 송신부(15)를 통해서 지시하는 환기지시수단(36)을 구비한다.
또, 제 1풍로(2)에는 제 1풍로버너(55)와 제 1풍로(2)에 점화하기 위한 제 1풍로 점화전극(40)과 제 1풍로(2)의 연소불꽃의 유무를 검지하기 위해 제 1풍로 열전대(41)(본 발명의 불꽃검출수단에 해당한다.)가 설치되어 있고, 동일한 형태로 제 2풍로(3)에는 제 2풍로버너(56)와 제 2풍로 점화전극(42)과 제 2풍로 열전대(43)(본 발명의 불꽃검출수단에 해당한다.)가 설치되고, 제 3풍로(4)에는 제 3풍로버너(57)와 제 3풍로 점화전극(44)과 제 3풍로 열전대(45)(본 발명의 불꽃검출수단에 해당한다.)가 설치되고, 그릴(5)에는 그릴버너(58)와 그릴점화전극(46)과 그릴 열전대(47)(본 발명의 불꽃검출수단에 해당한다.)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1풍로 점화전극(40), 제 2풍로 점화전극(42), 제 3풍로 점화전극(44) 및 그릴 점화전극(46)은 고전압을 인가하는 이그나이터(48)와 접속되어 있다.
또, 제 1풍로(2), 제 2풍로(3), 제 3풍로(4) 및 그릴(5)로 연료가스의 공급/차단이 각각 제 1 풍로 전자밸브(50), 제 2풍로 전자밸브(51), 제 3풍로 전자밸브(52) 및 그릴 전자밸브(53)에 의해 전환된다.
또한, 제 1풍로(2)에는 조리물A의 온도를 제어하면서 가열하는 온도조절조리를 행하기 위해서 조리물A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54)(본 발명의 온도검출수단에 해당한다.)와 연료가스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바이패스 전자밸브(59)가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에 의해 제 1풍로 점화버튼(8)의 점화조작이 되면, 그것에 응해서 이그나이터(48)에서 제 1풍로 점화전극(40)에 고전압이 인가되어 불꽃방전이 발생하고, 제 1풍로 전자밸브(50)가 개방되어 제 1풍로(2)의 점화처리가 된다.
제 1풍로 제어수단(31)은 제 1풍로 열전대(41)의 출력전압으로 제 1풍로(2)가 착화한 것을 검출한 때는 제 1풍로 전자밸브(50)를 개방상태로 지지해서 제 1풍로(2)의 연소를 지지한다.
한편, 제 1풍로 열전대(41)의 출력전압으로 제 1풍로(2)의 착화가 검지 된 때에는 제 1풍로 제어수단(31)은 제 1풍로 전자밸브(50)를 개방해서 연료가스의 공급을 차단한다.
같은 형태로 사용자에 의해 제 2풍로 점화버튼(11)의 점화조작이 되면, 제 2풍로(3)의 점화처리가 되어서 제 2풍로 제어수단(32)에 의해 착화검지가 행해지고, 제 3풍로 점화버튼(13)의 점화조작이 되면, 제 3풍로(3) 점화처리가 되어서 제 3풍로 제어수단(33)에 의해 착화검지가 행해지고, 그릴점화버튼(6)의 점화조작이 되면, 그릴(5)의 점화처리가 되어서 그릴제어수단(34)에 의해 착화검지가 행해진다.
조리종류 파악수단(35)은 조작패널(10)에 의해 설정된 온도조절조리의 종류와 가열조리중의 온도센서(54)의 검출온도로부터 실행되어 있는 가열조리의 종류를 파악한다.
또, 환기지시수단(36)은 제 1풍로 점화버튼(8), 제 2풍로 점화버튼(11), 제 3 점화버튼(13) 및 그릴 점화버튼(6)의 조작상태를 검지하고, 제 1풍로(2), 제 2풍로(3), 제 3풍로(4) 및 그릴(5)의 내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해서 점화조작이 된 때에 적외선신호 송신부(15)를 통해서 환기 부재(20)의 작동개시를 지시하는 적외선신호를 환기 부재 연동유니트(21)에 송신한다.
게다가, 환기지시수단(36)은 제 1풍로(2), 제 2풍로(3), 제 3풍로(4) 및 그릴(5)의 내부에서 연소하고 있는 것의 개수와 제 1풍로(2)에 의해 실행되고 있는 가열조리의 종류에 응해서 환기 부재(20)의 환기 풍량을 지시하는 적외선신호를 적외선 신호송신부(15)를 통해서 환기 부재 연동유니트(21)에 송신한다.
여기에서 도 3을 참조하면, 조작패널(10)에는 온도조절조리와 타이머조리의 설정을 행하기 위한 조리 스위치부(60)와 환기 부재(20)의 작동의 개시와 정지를 지시하는 환기 부재 스위치부(61)가 구비되어 있다.
조리 스위치부(60)에는 튀김 등의 기름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해서 가열조리를 행하는 튀김조리를 설정하기 위한 튀김스위치(62)와; 취반조리를 설정하기 위한 취반스위치(63) 및 끓이기와 타이머 가열을 설정하기 위한 타이머 스위치(64)가 설치되어 있다.
튀김 스위치(62)를 누를 때마다 설정온도가 200℃, 180℃, 160℃로 변경되고, 그것에 응해서 튀김LED(65)의 점등개소가 전환한다.
또, 취반스위치(63)를 누를 때마다 취반모드가 온수, 취사, 불림으로 변경되고, 그것에 응해서 취반 LED(66)의 점등개소가 전환한다.
또, 타이머 스위치(64)를 누를 때마다 타이머시간 10분, 타이머시간 3분, '끓이기' 가열로 변경되고, 그것에 응해서 타이머 LED(67)의 점등개소가 전환한다.
또, 끓이기 가열은 온도센서(54)의 검출온도가 상승으로 일정하게(비등온도) 이행한 때에 조리물이 비등했다고 검지해서 제 1풍로(2)에 의한 가열을 정지한다.
또, 도 3의 우측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패널(10)은 가스테이블(1)의 전면패널(66)에 대해서 15°상방으로 기울어져 설치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가스 테이블(1)의 전면에서 조리를 하는 사용자에 대해서 조작패널(10)을 보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적외선 신호송신부(15)가 상방으로 경사져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적외선 신호송신부(15)에서 송신된 적외선 신호가 사용자의 몸 등에 반사해서 환기 부재 연동유니트(21)에 쉽게 도달된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해서 환기 부재 연동유니트(21)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환기 부재 연동유니트(21)는 플러그(71)를 통해서 공급된 AC100V의 상용전원에 의해 작동하고, 상용전원으로 회로의 작동용 전력을 생성하는 전원회로(72)와; 전체의 작동을 제어하는 CPU(73)와; 적외선신호수 신부(25)와; 릴레이(74) 및 회전수 제어회로(75)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환기 부재(20)의 전원플러그(23)와 소켓(24)을 통해서 접속된 적외선 신호수신부(25)가 가스 테이블(1)에서 환기 부재(20)의 작동개시를 지시하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한 때에 CPU(73)는 릴레이(74)를 구동시켜 회전수 제어회로(75)로 전력공급을 개시하고, 환기 부재(20)를 작동시킨다.
또, 적외선 신호수신부(25)가 가스 테이블(1)에서 환기 부재(20)의 작동정지를 지시하는 적외선신호를 수신한 때에, CPU(73)는 릴레이(74)를 구동시켜 회전수 제어회로(75)로 전력공급을 차단하고, 환기 부재(20)를 정지시킨다.
또, CPU(73)는 적외선신호수신부(25)가 가스테이블(1)에서 환기 풍량을 지시하는 적외선신호를 수신한 때에, 그 환기 풍량에 응한 회전수를 지시하는 신호를 회전수 제어회로(75)에 출력하고, 회전수 제어회로(75)는 그 신호에 응한 회전수로 환기부재(20)가 작동하도록 환기부재(20)에 공급하는 전력을 제어한다.
이처럼 기설의 환기부재(20)를 환기 부재 연동유니트(21)로 접속하는 것에 의해서, 가스 테이블(1) 측에서 환기부재(20)의 작동의 개시/정지와 환기 풍량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해서 조리종류 파악수단(35)에 의한 가열조리종류의 파악방법과 환기지시수단(36)에 의한 환기 풍량의 결정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a는 '기구사용상황' , '조리종류' , '작동내용'이라고 하는 3개의 파라메타에서 환기 부재(20)에 의한 환기 풍량을 결정하는 기준이 되는 점수(환기점수)와 환기 시간과 환기 풍량의 변화패턴을 결정하기 위한 대응표이다.
환기지시수단(36)은 우선 '기구사용상태' 즉, 제 1풍로(2), 제 2풍로(3), 제 3풍로(4) 및 그릴(5)의 사용상태를 파악하고, 제 1풍로(2)에서 제 3풍로(4)에 대해서는 1대 사용할 때마다 5점, 그릴(5)이 사용되고 있을 때는 10점을 '환기점수'로 가산한다.
계속해서, 조리종류 파악수단(35)은 제 1풍로(2)에 의해 실행되고 있는 '조리종류'가 '튀김' , '볶음' , '삶기' 중의 어느 것인가를 파악하고, 또, 그릴(5)이 사용되고 있는 때는 '조리종류'가 '생선구이'라고 파악한다.
환기지시수단(36)은 '튀김'에 대해서는 조작패널(10)의 튀김 스위치(62)의 조작의 유무로부터 파악한다.
또, '볶음' , '삶기'에 대해서는 환기지시수단(36)은 온도센서(54)에 의한 조리물의 검출온도의 변화상황으로부터 파악한다.
즉, 온도센서(54)의 검출온도의 상승이 완만해서 상승후에 거의 일정온도로 안정한 때는 '삶기'라고 파악하고, 온도센서(54)의 검출온도가 급속하게 상승하는 경우에는 '볶음'으로 파악한다.
그리고 환기지시수단(36)은 '튀김'이라고 파악한 경우에는 5점, '복음'이라고 파악한 경우에는 4점, '삶기'라고 파악한 경우에는 3점을 각각 '환기점수'에 가산한다.
또, 생선구이에 대해서는 상술한 기구사용상황의 파악시에 이미 그릴(5)의 사용에 대해서 '환기점수'의 최대치인 10점이 가산되어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환기점수'의 가산은 행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해서 가산된 '환기점수'의 합계치를 도 5b에 도시한 대응표에 대조해서 넣고, 환기지시수단(36)은 환기 부재 연동유니트(21)에 대해서 지시하는 환기 부재(20)의 환기 풍량을 5단계(100%(최대환기풍량), 80%, 50%, 30%, 0%(정지))로 표시한다.
또, 환기지시수단(36)은 가열조리가 종료해서 풍로(제 1풍로(2), 제 2풍로(3), 제 3풍로(4))와 그릴(5)이 소화된 후에도 조리물에서 잇따라서 발생하는 수증기와 유연을 배기하기 위해서 환기 부재(20)의 작동을 계속시키지만, 이 소화후의 환기 풍량과 환기시간과 환기 풍량의 변화 패턴을 조리종류에 따라서 결정한다.
여기에서 소화후에 환기 풍량의 변화패턴은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①과 ②라고 하는 2종류로 설정되어 있다.
①은 '튀김' 조리에 대응한 것이고, 환기지시수단(36)은 소화시(t10)에서 (t11)까지 소화시의 풍량으로 환기 부재(20)를 작동시키는 것을 환기 부재 연동유니트(21)에 대해서 지시하고, t11에서 환기 풍량이 50%로 감소하기까지 환기 풍량을 서서히 감소시킨다.
또, t11에서 t12까지의 경과시간이 본 발명의 제 1소정시간에 해당한다.
이처럼 튀김조리 종료시의 환기 풍량을 유지해서 소화후에도 어느 정도 환기 부재(20)를 계속해서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조리유에서 발생하는 오일미스트를 확실하게 배기할 수 있다.
또, ②는 '생선구이' , '볶음' , '삶기'의 각 조리에 대응한 것이고, 환기지시수단(36)은 소화시(t20)에서 조리물의 냉각에 따라서 점점 감소하는 수증기와 유연의 양에 응해서 30%까지 환기 풍량을 서서히 감소시킨다.
이처럼 조리물의 냉각에 응해서 환기 부재(20)의 풍량을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과잉되거나 부족함 없이 효율 좋게 환기를 할 수 있다.
또, t20에서 t21까지의 경과시간이 본 발명의 제 1소정시간에 해당한다.
게다가, 환기지시수단(36)은 풍로(제 1풍로(2), 제 2풍로(3), 제 3풍로(4))와 그릴(5)이 가열조리의 이상에 의해 정지한 경우에 이상요인에 의해서 소화후의 환기 부재(20)의 환기 풍량, 환기 시간 및 환기 풍량의 변화패턴을 결정한다.
제 1풍로 제어수단(31)은 제 1풍로(2)의 연소중에 온도센서(54)의 검출 온도가 소정의 상한온도를 초과한 때에 조리물이 과잉으로 가열되었다고 판단해서 제 1풍로를 소화한다.(도 5a의 하이컷(본 발명의 과열이상에 해당한다.))
또, 제 1풍로(2)에 의한 가열조리중에 온도센서(54)의 검출온도가 일정 상태에서 상승으로 전환된 때에는 제 1풍로 제어수단(31)은 '삶기' 조리시에 조리물이 눌어붙었다고 판단하고, 제 1풍로 전자밸브(50)를 닫아서 제 1풍로(2)를 소화한다.(도 5a의 눌어붙는 이상)
또, 제 1풍로 제어수단(31)은 가열조리중에 제 1풍로 열전대(41)의 출력전압으로 제 1풍로(2)의 실화를 검지한 때에 타다말고 꺼진 현상이 발생했다고 판단하고(도 5a의 타다말고 꺼지는 이상), 제 1풍로 전자밸브(50)를 닫아서 제 1풍로를 소화한다.
같은 형태로 제 2풍로 제어수단(32)은 제 2풍로 열전대(43)의 출력전압에서 제 2풍로(3)의 실화를 검지한 때에, 제 2풍로 전자밸브(51)를 닫아서 제 2풍로(3)를 소화하고, 제 3풍로 제어수단(33)은 제 3풍로 열전대(45)의 출력전압에서 제 3풍로(4)의 실화를 검지한 때에 제 3풍로 전자밸브(52)를 닫아서 제 3풍로(4)를 소화하고, 그릴제어수단(34)은 그릴 열전대(47)의 출력전압에서 그릴(5)의 실화를 검지한 때에 그릴 전자밸브(53)를 닫아서 그릴(5)을 소화한다.
이처럼 가열조리중에 하이컷, 눌어붙음, 불꺼짐을 이상요인으로 한 이상정지가 발생한 경우 소화후에도 조리물에서 수증기와 유연이 어느 정도 발생하지만, 발생한 수증기와 유연의 양은 이상정지 요인에 의해 다르다.
예를 들어 눌어붙음의 경우는 제 1풍로(2)를 소화하면 비교적 단시간에 수증기와 유연의 발생은 해결되지만, 튀김조리중과 볶음조리중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 하이컷의 경우에는 고온으로 가열된 기름에서 오일 미스트가 발생하는 시간이 길게 된다.
여기에서 환기지시수단(36)은 도 5a에서 도시하는 것처럼 이상요인에 응해서 환기후에 환기 부재(20)의 환기 풍량과 환기 시간(본 발명의 제 2소정시간에 해당한다.) 및 환기 풍량의 변화패턴을 결정하고, 그것들을 지시하는 적외선신호를 적외선신호 송신부(15)를 통해서 환기 부재 연동유니트(21)에 송신하고, 그것에 의해 과잉되거나 부족함 없는 효율적인 환기를 행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조리종류 파악수단(35)은 '튀김' 조리가 실행되고 있는 것을 조작패널(10)에 설치된 튀김 스위치(62)의 조작상황에서 판단했지만, 온도센서(54)의 검출온도에서 '튀김'조리를 판별해도 좋다.
이 경우 조리종류 파악수단(35)은 온도센서(54)의 검출온도가 고온(예를 들어 180??)로 안정해서 있을 때에, '튀김' 조리가 실행되어 있다고 판단한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조리종류 파악수단(35)은 '볶음'과 '삶음'을 온도센서(54)의 검출온도에서 인식했지만, 조작패널(10)에 '볶음' 및 '삶기'를 지정하는 스위치를 설치하고, 사용자가 그 스위치를 조작한 때에 '볶음' 및 '삶기' 조리가 행해지고 있다고 파악하도록 해도 좋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가열조리중에 있어서 환기 부재(20)의 환기풍량과 가열조리 종료후에 있어서 환기 부재(20)의 환기 풍량 및 환기 시간을 가열조리의 종류에 응해서 결정했지만, 가열조리 실행중에 있어서 환기 부재(20)의 환기 풍량만을 가열조리의 종류에 응해서 결정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가열조리중에 있어서 환기 부재(20)의 환기풍량을 가열조리의 종류에 응해서 결정하는 처리를 하고, 이상소화후의 환기 부재(20)의 환기 풍량과 환기 시간을 이상소화의 요인에 응해서 결정하는 처리를 했지만, 가열조리중에 있어서 환기 부재(20)의 환기 풍량만을 가열조리의 종류에 응해서 결정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가열수단으로서 연료가스를 열원으로 하는 풍로와 그릴을 도시했지만, 등유와 전기를 열원으로 해도 좋다.
또, 환기 부재(20)를 환기 부재 연동유니트(21)에 접속하는 것에 의해 가스 테이블(1)에서 환기 부재(2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했지만, 가스테이블(1)과 통신을 행해서 기능을 구비한 환기 부재를 사용해도 좋다.
또한, 적외선이 아닌 전파에 의한 무선통신에 의해서 가스 테이블과 환기 부재를 통신 가능하게 해도 좋고, 무선이 아닌 유선에 의해서 가스 테이블과 환기 부재를 통신가능하게 해도 좋다.
이상과 같은 구성과 작용에 의한 본 발명 가열조리기는 환기장치에 대해서 가열조리시 적절한 환기 풍량을 지시하여 과잉 또는 부족하지 않게 환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가열조리중에 있어서 환기 부재의 환기 풍량과 가열조리 종료후에 있어서 환기 부재의 환기 풍량 및 환기 시간을 가열조리의 종류에 응해서 결정했지만, 가열조리 실행중에 있어서 환기 부재의 환기 풍량만을 가열조리의 종류에 응해서 결정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가열조리중에 있어서 환기 부재의 환기 풍량을 가열조리의 종류에 응해서 결정하는 처리를 하고, 이상소화후의 환기부재의 환기풍량과 환기 시간을 이상소화의 요인에 응해서 결정하는 처리를 했지만, 가열조리중에 있어서 환기 부재의 환기 풍량만을 가열조리의 종류에 응해서 결정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8)

  1. 조리물을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환기 풍량의 조절기능을 가진 환기 장치와 통신가능하고, 그 환기 장치에 대해서 환기 개시와 정지와 환기 풍량을 지시하는 환기지시 수단을 구비한 가열조리기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에 의한 가열조리의 종류를 파악하는 가열종류 파악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환기지시수단은 가열조리의 개시에 대응해서 환기의 개시를 상기 환기장치에 지시함과 동시에 가열조리중에 있어서 환기 풍량을 상기 조리종류 파악수단에 의해 파악된 가열조리의 종류에 대응해서 결정하여 상기 환기장치에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지시수단은 가열조리의 종료부터 제 1 소정시간이 경과한 때에 상기 환기장치에 대해서 환기정지를 지시하고, 그 제 1소정시간과 그 제 1소정시간 중에 있어서,
    환기 풍량을 상기 조리종류 파악수단에 의해 파악된 가열조리의 종류에 대응해서 결정하고, 그 환기 풍량을 상기 환기 장치에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가열조리의 종류가 설정되는 조리종류 설정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조리종류 파악수단은 그 조리종류설정스위치의 조작에 대응해서 가열조리의 종류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조리물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조리 종류 파악수단은 가열조리중에 있어서 그 온도검출수단의 검출온도에 대응해서 가열조리의 종류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검출수단의 검출온도에서 복수종류의 가열조리의 이상을 식별해서 검지하고, 그 이상을 검지한 때에 상기 가열수단에 의한 가열을 정지하는 가열이상 처리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환기지시수단은 그 가열이상 처리수단에 의해 상기 가열수단에 의한 가열이 정지한 후 제 2소정시간이 경과한 때에 상기 환기장치에 대해서 환기의 정지를 지시하고, 제 2소정시간과 제 2소정 시간중에 있어서 환기 풍량을 상기 가열이상 처리수단에 의해 식별된 가열조리의 이상의 종류에 대응해서 결정하고, 그 환기 풍량을 상기 환기장치에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이상 처리수단은 상기 온도검출수단의 검출온도가 소정의 상한온도를 초과한 때에 상기 가열조리의 이상으로서 과열이상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이상 처리수단은 상기 온도검출수단의 검출온도가 일정의 상태에서 전환한 때에 상기 가열조리의 이상으로서 눌어붙음 이상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버너에 의해 조리물을 가열하고, 그 버너의 연소불꽃의 유무를 검출하는 불꽃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가열이상 처리수단은 상기 불꽃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버너의 실화가 검출된 때에 상기 가열이상으로서 실인이상을 검지하고,상기 가열수단에 의한 가열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KR10-2001-0044519A 2000-11-09 2001-07-24 가열조리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3950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42066A JP3898435B2 (ja) 2000-11-09 2000-11-09 加熱調理器
JPJP-P-2000-00342066 2000-1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6667A KR20020036667A (ko) 2002-05-16
KR100395073B1 true KR100395073B1 (ko) 2003-08-21

Family

ID=18816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4519A Expired - Fee Related KR100395073B1 (ko) 2000-11-09 2001-07-24 가열조리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3898435B2 (ko)
KR (1) KR100395073B1 (ko)
CN (1) CN1202376C (ko)
HK (1) HK1045557B (ko)
TW (1) TW5586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15498B2 (ja) * 2004-11-19 2006-08-3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換気制御装置
JP4635658B2 (ja) * 2005-03-11 2011-02-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自走式掃除機
JP4956150B2 (ja) * 2006-11-16 2012-06-20 株式会社ハーマン 換気連動装置
JP5215029B2 (ja) * 2008-04-30 2013-06-19 株式会社ハーマン 加熱調理器
JP5107222B2 (ja) * 2008-12-15 2012-12-26 大阪瓦斯株式会社 換気設備
CN101871657B (zh) * 2009-04-22 2014-01-22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灶具和抽油烟机组合、其通讯联系建立方法及其控制方法
CN101871660B (zh) * 2009-04-22 2012-04-18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灶具和抽油烟机组合及其控制方式
JP2011112251A (ja) * 2009-11-25 2011-06-09 Fuji Industrial Co Ltd 室内循環式レンジフード
JP2011153780A (ja) * 2010-01-28 2011-08-11 Panasonic Corp 高周波加熱調理装置
JP2011033335A (ja) * 2010-10-15 2011-02-17 Mitsubishi Electric Corp 加熱調理器
JP6074691B2 (ja) * 2011-02-25 2017-02-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レンジフード
JP2014153041A (ja) * 2013-02-14 2014-08-25 Rinnai Corp 加熱調理システム
JP5766746B2 (ja) * 2013-05-30 2015-08-19 リンナイ株式会社 加熱調理装置
JP6229149B2 (ja) * 2013-06-27 2017-11-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
CN104344430B (zh) * 2013-07-25 2018-09-04 林内株式会社 烹调装置
KR101623524B1 (ko) 2014-04-07 2016-05-23 주식회사 제너시스 연소 제어 방법
JP6392079B2 (ja) * 2014-10-30 2018-09-19 株式会社ハーマン 加熱調理システム
PL3320404T3 (pl) * 2015-07-06 2020-11-30 Koninklijke Philips N.V. System i sposób obróbki powietrza
JP2017040430A (ja) * 2015-08-19 2017-02-23 東京瓦斯株式会社 レンジフード
JP2019066073A (ja) * 2017-09-29 2019-04-25 サンデン・リテールシステム株式会社 店舗集中制御システム
JP6965195B2 (ja) * 2018-03-27 2021-11-10 東京瓦斯株式会社 厨房換気ユニットおよび厨房換気方法
JP7121985B2 (ja) * 2018-08-06 2022-08-19 富士工業株式会社 レンジフード
CN112426025B (zh) * 2020-10-21 2022-04-05 华帝股份有限公司 一种烹饪设备烹饪结束后的排气控制方法和烹饪设备
CN116336511A (zh) * 2021-12-22 2023-06-27 广东万和电气有限公司 油烟机的风量自动调节方法、装置、油烟机和存储介质
KR102576076B1 (ko) * 2021-12-23 2023-09-0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조리기기의 후드 팬 자동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45557B (zh) 2005-10-28
JP2002147764A (ja) 2002-05-22
CN1353277A (zh) 2002-06-12
TW558623B (en) 2003-10-21
KR20020036667A (ko) 2002-05-16
CN1202376C (zh) 2005-05-18
HK1045557A1 (en) 2002-11-29
JP3898435B2 (ja) 2007-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5073B1 (ko) 가열조리기
JP6822803B2 (ja) 加熱調理器
CN105202592A (zh) 一种燃气灶智能控温控时装置及其燃气灶
JP6681262B2 (ja) 調理システム
JP2019090544A (ja) ガスコンロ
KR101166904B1 (ko) 중화 렌지용 컨트롤러
JP3854407B2 (ja) 換気扇の制御装置
JP5940575B2 (ja) 加熱調理器
KR102263780B1 (ko) 스마트 자동 버너 제어 시스템
JP2004293953A (ja) 人感センサー付きコンロ
CN111998398A (zh) 灶具、烟机、烟灶联动系统以及用于其的方法
JP6986484B2 (ja) 加熱調理器の情報報知システム
JP3859351B2 (ja) 換気扇の風量監視装置
JP2006064239A (ja) 換気連動装置と調理装置
JP6998272B2 (ja) 加熱調理システム
JP3180079B2 (ja) 加熱調理器
JP2017003245A (ja) 加熱調理器
JP2005155927A (ja) 換気連動装置と調理装置
TWM557339U (zh) 瓦斯爐蒸料理的控制裝置
TWI626406B (zh) 瓦斯爐蒸料理的控制方法及裝置
JP2001090952A (ja) ガスコンロ
JP6948962B2 (ja) 換気システム
JP3745115B2 (ja) 加熱調理器
JP3824419B2 (ja) 換気扇の運転制御装置
JP2006052862A (ja) コン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7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7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8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08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7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7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8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8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