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0625B1 - 모래포대를 이용한 분리식 보강토 옹벽 - Google Patents
모래포대를 이용한 분리식 보강토 옹벽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50625B1 KR100350625B1 KR1020000001936A KR20000001936A KR100350625B1 KR 100350625 B1 KR100350625 B1 KR 100350625B1 KR 1020000001936 A KR1020000001936 A KR 1020000001936A KR 20000001936 A KR20000001936 A KR 20000001936A KR 100350625 B1 KR100350625 B1 KR 1003506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il
- sand
- wall
- reinforcement
- sand ba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9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filled, bag-like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1—Mort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5)
- 전면벽(10)의 뒷부분을 이루는 성토부의 뒷채움흙(20)속에 인장력이 강하고 마찰유발력이 큰 그리드형의 섬유보강재(30)가 일정한 높이마다 층층이 설치되어서 성토체의 점착력 및 내부저항력이 증가되도록 한 보강토 옹벽을 구축함에 있어서,상기 성토부의 앞부분 경계면을 따라 모래포대(41)를 쌓고 그 모래포대(41)의 뒷부분에 뒷채움흙(20)을 쌓으면서 다짐하는 방식으로 앞부분이 모래포대벽(40)으로 이루어지는 성토체를 구축하되, 상기 보강재(30)들의 앞부분을 일정높이마다의 상하층 모래포대(41) 사이에 물리도록 설치하여서, 상기 보강재(30)들의 앞부분은 상하층 모래포대(41)에 의해 고정되고 뒷부분은 뒷채움흙(20) 속에 묻히는 성토체를 완성한 후에, 그 모래포대벽(40)의 전면에 붙여서 상기 전면벽(10)을 구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포대를 이용한 분리식 보강토 옹벽.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30)들은 그 선단부가 그것을 물고 있는 모래포대(41)들의 사이로 빠져나와 모래포대벽(40)의 전면을 감싸면서 상부로 연장되어 상부층의 보강재(30)를 물고 있는 모래포대(41)들의 사이에 함께 물려지도록 설치되어서, 그 모래포대벽(40)의 전면부가 전체적으로 보강재(30)에 의해 덮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포대를 이용한 분리식 보강토 옹벽.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벽(10)은 뿜어붙이는 방식으로 일정두께를 갖도록형성하되, 그 뿜어 붙이는 방식은 시멘트몰탈을 분사하여 콘크리트 표면을 만드는 숏크리트 방식, 모래포대벽(40)의 전면에 식생매트를 설치하고 흙과 식물씨앗을 혼합한 재료를 분사하여 녹생토 표면을 만드는 방식, 폴리에스터와 같은 섬유와 흙을 혼합한 재료를 분사하여 섬유혼합보강토 표면을 만드는 방식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식이 선택적으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포대를 이용한 분리식 보강토 옹벽.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벽(10)은 자연석 또는 인공석재를 이용하여 구축하되, 쌓기를 시행할 때 자연석 또는 석재의 사이를 몰탈 또는 콘크리트로 채워서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포대를 이용한 분리식 보강토 옹벽.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벽(10)은 콘크리트 블록(55) 또는 콘크리트 패널을 쌓아서 축조하되, 상기 보강재(30)가 물려지는 상하층 모래포대(41)의 사이에 연결용보강재(56)를 함께 물려놓고 전방으로 연장시킨 후, 그 전방으로 연장된 연결용보강재(56)의 선단부를 상하층 블록(55)들 사이에 끼워 넣고 고정하며, 그 블록(55)과 모래포대벽(40)의 사이에는 모래 또는 자갈등의 입상골재(57)를 채워넣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포대를 이용한 분리식 보강토 옹벽.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01936A KR100350625B1 (ko) | 2000-01-17 | 2000-01-17 | 모래포대를 이용한 분리식 보강토 옹벽 |
KR2020000001161U KR200185875Y1 (ko) | 2000-01-17 | 2000-01-17 | 모래포대를 이용한 분리식 보강토 옹벽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01936A KR100350625B1 (ko) | 2000-01-17 | 2000-01-17 | 모래포대를 이용한 분리식 보강토 옹벽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01161U Division KR200185875Y1 (ko) | 2000-01-17 | 2000-01-17 | 모래포대를 이용한 분리식 보강토 옹벽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73504A KR20010073504A (ko) | 2001-08-01 |
KR100350625B1 true KR100350625B1 (ko) | 2002-08-30 |
Family
ID=1963893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01161U Expired - Fee Related KR200185875Y1 (ko) | 2000-01-17 | 2000-01-17 | 모래포대를 이용한 분리식 보강토 옹벽 |
KR1020000001936A Expired - Fee Related KR100350625B1 (ko) | 2000-01-17 | 2000-01-17 | 모래포대를 이용한 분리식 보강토 옹벽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01161U Expired - Fee Related KR200185875Y1 (ko) | 2000-01-17 | 2000-01-17 | 모래포대를 이용한 분리식 보강토 옹벽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200185875Y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52152B1 (ko) | 2006-12-29 | 2007-08-27 | 김광호 | 녹화 옹벽의 시공방법 |
KR100976912B1 (ko) | 2008-06-03 | 2010-08-18 | 윤위석 | 조경 및 흙막이 축조공법 |
KR20180120497A (ko) * | 2017-04-27 | 2018-11-06 |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 조골재가 코팅된 비정형 보강부재를 이용한 긴급보강공법 |
KR20180120496A (ko) * | 2017-04-27 | 2018-11-06 |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 비정형 보강부재를 이용한 긴급보강공법 |
KR20190061300A (ko) * | 2017-11-27 | 2019-06-05 |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 투수성 및 불투수성 비정형 보강부재를 이용한 긴급보강공법 |
KR20190096000A (ko) | 2018-02-08 | 2019-08-19 | 주식회사 누리종합기술단 | 골재 채움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45304B1 (ko) * | 2001-09-08 | 2004-08-21 |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 폐타이어를 이용한 분리형 보강토 옹벽 공법 |
KR100736827B1 (ko) * | 2004-05-06 | 2007-07-09 | 파센리테이닝(주) | 6면체 포대의 링크형 유닛을 이용한 연결기구 |
KR100736832B1 (ko) * | 2004-05-06 | 2007-07-10 | 파센리테이닝(주) | 6면체 포대의 연결기구 |
KR100736836B1 (ko) * | 2004-05-06 | 2007-07-10 | 파센리테이닝(주) | 6면체 포대의 역t형 연결유닛 |
KR100736839B1 (ko) * | 2004-05-06 | 2007-07-10 | 파센리테이닝(주) | 6면체 포대를 이용한 옹벽축조 방법 |
KR100752781B1 (ko) * | 2005-09-30 | 2007-08-29 | 신승종 | 지지결합부재와, 이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및 그 축조방법 |
KR100557703B1 (ko) | 2005-10-18 | 2006-03-10 | 신승종 | 결합부재와, 이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및 그 축조방법 |
KR101111161B1 (ko) * | 2009-02-12 | 2012-03-15 | 함흥식 | 토목섬유 콘테이너를 이용한 수충부 세굴방지공법 |
KR101839576B1 (ko) * | 2015-12-15 | 2018-03-20 |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지오그리드가 적용된 호안 제방 |
CN111502757A (zh) * | 2020-05-21 | 2020-08-07 | 深圳市工勘岩土集团有限公司 | 一种防空洞巷道封堵结构 |
CN111622260B (zh) * | 2020-06-09 | 2021-03-02 | 河北工业大学 | 一种模块式加筋土挡墙极限状态墙面水平位移的确定方法 |
CN111894670A (zh) * | 2020-09-09 | 2020-11-06 | 长沙矿山研究院有限责任公司 | 袋式堆叠泄水充填挡墙及其构筑方法 |
CN114398708B (zh) * | 2022-01-14 | 2024-06-25 | 上海园林(集团)有限公司 | 一种用于提高区域水资源环境保护性能的滨水园林景观构建方法 |
CN116791634A (zh) * | 2023-04-17 | 2023-09-22 | 广州航海学院 | 一种生态护坡结构与施工方法 |
-
2000
- 2000-01-17 KR KR2020000001161U patent/KR200185875Y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0-01-17 KR KR1020000001936A patent/KR100350625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52152B1 (ko) | 2006-12-29 | 2007-08-27 | 김광호 | 녹화 옹벽의 시공방법 |
KR100976912B1 (ko) | 2008-06-03 | 2010-08-18 | 윤위석 | 조경 및 흙막이 축조공법 |
KR20180120497A (ko) * | 2017-04-27 | 2018-11-06 |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 조골재가 코팅된 비정형 보강부재를 이용한 긴급보강공법 |
KR20180120496A (ko) * | 2017-04-27 | 2018-11-06 |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 비정형 보강부재를 이용한 긴급보강공법 |
KR102001210B1 (ko) * | 2017-04-27 | 2019-07-17 |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 비정형 보강부재를 이용한 긴급보강공법 |
KR102001211B1 (ko) * | 2017-04-27 | 2019-07-17 |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 조골재가 코팅된 비정형 보강부재를 이용한 긴급보강공법 |
KR20190061300A (ko) * | 2017-11-27 | 2019-06-05 |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 투수성 및 불투수성 비정형 보강부재를 이용한 긴급보강공법 |
KR102182499B1 (ko) * | 2017-11-27 | 2020-11-24 |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 투수성 및 불투수성 비정형 보강부재를 이용한 긴급보강공법 |
KR20190096000A (ko) | 2018-02-08 | 2019-08-19 | 주식회사 누리종합기술단 | 골재 채움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73504A (ko) | 2001-08-01 |
KR200185875Y1 (ko) | 2000-06-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350625B1 (ko) | 모래포대를 이용한 분리식 보강토 옹벽 | |
KR100924933B1 (ko) | 식생토낭과 고정부재를 이용한 자연 친화적인 옹벽의시공방법 및 그 설치구조 | |
US20070036615A1 (en) | Freestanding wall structures made using sandbags | |
JP2007530833A (ja) | 補強土擁壁システム及び構築方法 | |
KR100327465B1 (ko) | 분리형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방법 | |
KR100815837B1 (ko) | 하부가 개방되고 측면판 후부가 경사진 친환경블럭을 이용한 친환경 보강토옹벽 시공방법 | |
KR101452187B1 (ko) | 일체형 전면 블록을 포함하는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 방법 | |
KR20190142927A (ko) | 옹벽구조물 | |
CN114197502B (zh) | 一种可循环利用的坡积层绿色防护格室及其施工方法 | |
CN216475115U (zh) | 一种可循环利用的坡积层绿色防护格室 | |
KR200402396Y1 (ko) | 식재용 옹벽 블록 | |
KR100995097B1 (ko) | 옹벽 블록 시공방법 | |
KR200448481Y1 (ko) | 식재 가능한 절토사면 옹벽 구조 | |
JP2750363B2 (ja) | 急勾配盛土 | |
KR100885909B1 (ko) | 토목 섬유망을 이용한 자립식 가시설 옹벽 및 이 시공 방법 | |
KR200223114Y1 (ko) | 암 절취사면용 옹벽 보강구조 | |
JPH0369721A (ja) | 急勾配盛士 | |
CN207812204U (zh) | 深厚淤泥质软土路基加固结构 | |
KR102484636B1 (ko) | 옹벽구조 | |
KR101190280B1 (ko) | 조경석이 고정된 옹벽 구조체 | |
KR102472346B1 (ko) | 친환경 매트리스 개비온 철망조립체의 제조방법 | |
KR100995094B1 (ko) | 옹벽 블록 시공방법 | |
CN114263197B (zh) | 一种绿色环保生态护坡结构及其施工方法 | |
KR102755450B1 (ko) |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 | |
KR20200007228A (ko) |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1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6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208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8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208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08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12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20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02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9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