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52152B1 - 녹화 옹벽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녹화 옹벽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2152B1
KR100752152B1 KR1020060137489A KR20060137489A KR100752152B1 KR 100752152 B1 KR100752152 B1 KR 100752152B1 KR 1020060137489 A KR1020060137489 A KR 1020060137489A KR 20060137489 A KR20060137489 A KR 20060137489A KR 100752152 B1 KR100752152 B1 KR 100752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bag
greening
geogrid
retaining wa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7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호
서동수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서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서동수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20060137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21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2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215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7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eans incorporating sheet piles or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4Geogr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되는 위치에 합성수지 재질의 지오그리드를 포설하는 단계와; 상기 지오그리드 상면 적당위치에 상하단이 개방된 사각통체 또는 사각틀체인 성형틀을 위치시키고, 성형틀 내측에 상단이 개방된 사각통체인 흙부대를 셋팅하는 단계와; 상기 흙부대 내측에 토사를 충진시켜 다지고, 흙부대 후방측에 인근까지 흙부대의 다짐높이로 토사를 1차로 포설하여 다지는 단계와; 상기 성형틀을 흙부대 외측면에서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지오그리드 전방측에서 수직절곡하여 흙부대를 감싸고 일단을 후방측으로 연장시키며, 흙부대의 후방측에서 흙부대의 상단까지 토사를 2차로 포설하여 다지는 단계와; 상기 흙부대의 전방측에 녹화팩이나 녹화마대를 적층하여 지오그리드나 흙부대에 체결고정하는 단계와; 다시 그 상면에 지오그리드를 포설하고, 상기 성형틀과 흙부대를 하부의 흙부대 상면에서 약간 후방측으로 셋팅하여 전단계를 순차적으로 반복 수행함으로써 필요한 녹화 옹벽의 높이를 설정하여 이루어지는 녹화 옹벽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보강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파손으로 인한 염려가 전혀 없을 뿐만 아니라 손상이 억제되며, 랩핑이 매우 손쉬워 시공이 간편하며, 시공 후, 녹화율이 매우 뛰어나고, 콘크리트 및 철근을 사용하지 않고도 옹벽의 구조적인 기능과 강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하천 유역 및 유수지역의 유실방지공사에 매우 적합한 환경친화적인 효과가 있다.
녹화 옹벽, 성형틀, 흙부대, 지오그리드, 녹화팩

Description

녹화 옹벽의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of breast wall for tree planting}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녹화 옹벽의 시공방법에 따른 녹화 옹벽의 시공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녹화 옹벽의 시공방법 중 지오그리드가 포설되는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녹화 옹벽의 시공방법 중 흙부대를 형성시켜 토사 첫째단의 선단부를 형성시키기 위한 준비과정을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녹화 옹벽의 시공방법 중 토사의 전방측에 흙부대를 견고하게 다지고 성형틀을 흙부대 외측면에서 제거하는 과정을 보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녹화 옹벽의 시공방법으로 토사의 첫째단이 완성된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녹화 옹벽의 시공방법으로 둘째단의 토사층을 형성하고 첫째단과 둘째단 전방측에 녹화팩을 적층시킨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녹화 옹벽의 시공방법으로 흙부대를 포함하는 토사층과 녹화팩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시킨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 8은 도 7의 공간부에 석재나 폐골재를 투입하여 충전시킨 모습을 보인 사 용상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녹화 옹벽 10 : 흙부대
11 : 토사 20 : 성형틀
30 : 지오그리드 40 : 첫째단
41 : 1차토사 42 : 2차토사
40a : 둘째단 50 : 녹화팩
60 : 석재 61 : 공간부
70 : 체결수단
본 발명은 녹화 옹벽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강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파손으로 인한 염려가 전혀 없을 뿐만 아니라 손상이 억제되며, 랩핑이 매우 손쉬워 시공이 간편하며, 시공 후, 녹화율이 매우 뛰어나고, 콘크리트 및 철근을 사용하지 않고도 옹벽의 구조적인 기능과 강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하천 유역 및 유수지역의 유실방지공사에 매우 적합한 환경친화적인 녹화 옹벽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강토 공법은 오래전부터 흙을 주체로 한 성토층 속에 인장력이 큰 스트립 형태 혹은 판 상의 보강재를 일정한 간격 또는 전체적으로 해당하는 부위를 포설하 고, 흙 메움으로 이들을 매설하여 하나의 새로운 복합구조체를 형성시키는 공법으로서, 그 큰 목적으로서는 흙을 사용한 토질 구조물을 기계적으로 안정화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널리 이용되는 공법이다.
이런 보강토 공법을 이용한 시공에는 연직벽체를 구축하기 위한 보강토 옹벽(MSEW,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Walls)과, 보강사면(RSS, Reinforced Steep Slopes, 또는 Reinforced Soil Slopes)을 그 예로 둘 수 있는바, 옹벽과 같은 기능을 하는 보강토 옹벽을 시공하기 위한 경사각은 지역에 따라서 대략 80°이상의 직경사도로부터 90°의 수직을 이루고, 보강사면은 설계경사도에 따라서 70°이하의 경사도를 이루도록 구축한다.
상기 보강토 옹벽시공은 연직벽체의 수직도, 보강사면시공은 경사도를 유지하기 위해 기초 시공 전 상태와 시공단계에서의 규준틀(Leading Frame 또는 Better Board)이 설치된다.
상기 규준틀은 토층시공에 따른 각도를 기준하기 위한 것으로, 완경사부터 급경사에 이르는 지점의 최초 지반으로부터 설치되고, 토층이 연속적으로 시공되는 상태에서는 토층의 전면측 높이를 따라 설치되어 사용된다.
한편, 연직벽체나 사면의 시공에 따른 토층의 형성은 시공되는 위치로부터 전면부에 목재 또는 철망(Wire Mesh) 및 철근 등의 재질을 이용하여 가이드 프레임(Guide Frame)을 설치하고, 토체에 저항할 수 있는 보강재가 설치된 상태에서 프레임의 배면측으로는 토공(채움 및 다지기)을 실시하여 토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토층의 형성은, 기초지반으로 설정된 위치에 규준틀을 세우고, 규준틀을 토대로 성토부분의 지면으로는 가이드 프레임이 설치된다. 또한, 가이드 프레임은 철근을 격자형태로 엮거나, 또는 목재를 이용하여 형틀을 만든 것으로, 규준틀의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시킨 것이며, 시공하고자 하는 사면의 시작점에 횡으로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이 놓이는 지면으로부터는 보강재가 설치되며, 상기 보강재는 지오그리드(Geogrid)나 지오텍스타일(Geotextile)을 토층에 포설하거나, 보강재 전면을 감싸서 시공할 경우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상부로 보강재 일부분을 제쳐 둔 상태에서 가이드 프레임의 배면으로는 흙을 채우고 다져주며, 토체의 상부측, 즉 가이드 프레임의 전면측으로 제쳐둔 보강재를 보강토체 측으로 보내어 그 위에 일정량(두께 8∼15㎝정도)의 토공을 실시하여 토층을 형성시켜 준다.
상기 토층을 형성한 상태에서의 그 상면으로는 또 다른 가이드 프레임과 보강재를 설치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토공의 반복적인 작업으로 수직 또는 경사도를 갖는 보강토체를 연속적으로 시공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연속적으로 실시되는 보강토체의 시공에 있어, 시공되는 보강토체의 소정 높이에 별도의 소정길이를 갖는 다른 규준틀을 경사도와 동일한 방향이 되게 결속하여 이를 보고서 시공의 각도를 측정하면서 시공한다.
이후 상기와 같이 가이드 프레임과 보강재의 설치로서 토공을 실시하여 시공을 완성할 수 있다.
한편, 분리형 보강토 옹벽을 시공하기 위한 연직벽체의 시공에 대한 규준틀 은 토층의 전면에 대해 수직으로 규준틀을 설치하고, 철근을 직각으로 엮어 제작한 가이드 프레임을 설치하여 가면서 상기와 같이 보강재와 토공으로서 지면으로부터 수직되는 벽체를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녹화 옹벽은 보강재가 외부로 노출되어 화재시 또는 외부에서 칼이나 기타 날카로운 장비로 인한 파손시 옹벽구조물 자체에 심각한 붕괴위험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블록식의 경우에는 횡방향 토압을 어느 정도 지지할 수 있으나, 랩핑(wrapping)이 매우 어려워 일반적으로 스틸 메쉬를 이용하는 실정이며, 녹화율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강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파손으로 인한 염려가 전혀 없을 뿐만 아니라 손상이 억제되며, 랩핑이 매우 손쉬워 시공이 간편하며, 시공 후, 녹화율이 매우 뛰어나고, 콘크리트 및 철근을 사용하지 않고도 옹벽의 구조적인 기능과 강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하천 유역 및 유수지역의 유실방지공사에 매우 적합한 환경친화적인 녹화 옹벽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공되는 위치에 합성수지 재질의 지오그리드를 포설하는 단계와;
상기 지오그리드 상면 적당위치에 상하단이 개방된 사각통체 또는 사각틀체 인 성형틀을 위치시키고, 성형틀 내측에 상단이 개방된 사각통체인 흙부대를 셋팅하는 단계와;
상기 흙부대 내측에 토사를 충진시켜 다지고, 흙부대 후방측에 인근까지 흙부대의 다짐높이로 토사를 1차로 포설하여 다지는 단계와;
상기 성형틀을 흙부대 외측면에서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지오그리드 전방측에서 수직절곡하여 흙부대를 감싸고 일단을 후방측으로 연장시키며, 흙부대의 후방측에서 흙부대의 상단까지 토사를 2차로 포설하여 다지는 단계와;
상기 흙부대의 전방측에 녹화팩이나 녹화마대를 적층하여 녹화팩이나 녹화마대를 지오그리드나 흙부대와 별도의 체결고리나 첵ㄹ클립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고정하는 단계와;
다시 그 상면에 지오그리드를 포설하고, 상기 성형틀과 흙부대를 하부의 흙부대 상면에서 약간 후방측으로 셋팅하여 전단계를 순차적으로 반복 수행함으로써 필요한 녹화 옹벽의 높이를 설정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상기 지오그리드로 감싸인 흙부대와, 전방측의 녹화팩이나 녹화마대 사이에는 석재나 폐골재를 투입하여 충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 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녹화 옹벽의 시공방법에 따른 녹화 옹벽의 시공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녹화 옹벽의 시공방법 중 지오그리드가 포설되는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녹화 옹벽의 시공방법 중 흙부대를 형성시켜 토사 첫째단의 선단부를 형성시키기 위한 준비과정을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녹화 옹벽의 시공방법 중 토사의 전방측에 흙부대를 견고하게 다지고 성형틀을 흙부대 외측면에서 제거하는 과정을 보인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녹화 옹벽의 시공방법으로 토사의 첫째단이 완성된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녹화 옹벽의 시공방법으로 둘째단의 토사층을 형성하고 첫째단과 둘째단 전방측에 녹화팩을 적층시킨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 녹화 옹벽의 시공방법은, 녹화율을 보다 증대시킴으로써 녹화 옹벽의 구조를 더욱 견고하게 지속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시공방법으로,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녹화 옹벽의 시공방법 중 지오그리드가 포설되는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측단면도로, 시공되는 위치 바닥면에 전면적으로 합성수지 재질의 격자형상 또는 수평면 형상의 지오그리드(30)를 포설시켜서 불안정한 사면구간에서 활동저항 증대를 보강시키며, 토사(41,42)와의 상호 결속으로 마찰력을 증대시키고, 하부의 하중을 균등하게 분포시켜 부등침하를 방지시킨다.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녹화 옹벽의 시공방법 중 흙부대를 형성시켜 토사 첫째단의 선단부를 형성시키기 위한 준비과정을 보인 측단면도로, 상기 합성수지 재질의 지오그리드(30) 상면의 적당위치에 상,하단이 개방된 사각통체 또는 사각틀체인 성형틀(20)을 위치시키고, 그 성형틀(20) 내측에 상단이 개방된 사각통체인 흙부대(10)를 삽입하여 토사(41,42)의 첫째단(40) 쌓기를 준비한다. 이때, 성형틀(20)이나 흙부대(1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녹화 옹벽의 시공방법 중 토사의 전방측에 흙부대를 견고하게 다지고 성형틀을 흙부대 외측면에서 제거하는 과정을 보인 측단면도로, 상기 흙부대(10) 내측에 토사(11)를 충진시켜 사각형상으로 견고하게 다진 후, 흙부대(10)를 감싸는 성형틀(20)을 제거하고, 흙부대(10) 후방측에 근접되게 흙부대(10)의 다짐높이로 토사(41)를 1차로 포설하여 다진다.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녹화 옹벽의 시공방법으로 토사의 첫째단이 완성된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로, 상기 지오그리드(30) 선단을 전방측에서 상측으로 수직절곡하되, 흙부대(10)의 정면 및 상면과 밀착되어 감싸면서 일단을 후방측으로 연장시킨다. 그 다음, 흙부대(10)의 후방측에 흙부대(10)의 상단 높이까지 토사(42)를 2차로 포설하여 다지면, 토사(41,42)의 첫째단이 완성된다. 이때, 매 단마다 별도의 다짐장비를 이용하여 다짐을 해주어야 함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녹화 옹벽의 시공방법으로 둘째단의 토사층을 형성하고 첫째단과 둘째단 전방측에 녹화팩을 적층시킨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로, 토사(41,42)층의 첫째단(40)과 둘째단(40a)을 상기한 방법으로 형성시킨 다음, 첫째단(40)과 둘째단(40a)을 보호하고 보강시키기 위해서 상기 흙부대(10)의 전방측에 녹화팩(50)이나 녹화마대를 적층하고 이 녹화팩(50)을 지오그리드(30)나 흙부대(10)에 체결고리나 체결클립과 같은 체결수단으로 체결고정시키면 되고, 녹화팩(50)의 상하부 간에도 상기 체결수단으로 체결고정시키면 된다.
상기 녹화팩(50)은 초본류 발아가 적절하게 이루어지도록 폴리에스터(polyester)나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합성수지 계열 또는 유리섬유 등의 재질로 구성된 토목섬유로, 내부에는 토사(11)가 충진되어 대략 40∼55kg의 무게를 갖는다. 물은 자유로이 유,출입되는 반면, 녹화팩(50) 내부에 채워진 토립자의 유출은 방지되고, 투수를 유도하여 침식작용은 방지된다.
또, 다시 그 상면에 지오그리드(30)를 포설하고, 상기 성형틀(20)과 흙부대(10)를 하부의 흙부대(10) 상면에서 약간 후방측으로 셋팅하여 전단계를 순차적으로 반복 수행함으로써 필요한 녹화 옹벽(1)의 높이를 설정하여서 본 발명의 녹화 옹벽(1)이 완성된다.
도 7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녹화 옹벽의 시공방법으로 흙부대를 포함하는 토사층과 녹화팩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시킨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공간부에 석재나 폐골재를 투입하여 충전시킨 모습을 보인 사용상태 측단면도로, 상기 지오그리드(30)로 감싸인 흙부대(10)와 전방측의 녹화팩(50)이나 녹화마대 사이에는 공간부(61)를 형성시키고, 그 공간부(61)에는 석재(60)나 폐골재를 투 입하여 충전시킴으로써, 보다 원활한 물빠짐을 유도할 수도 있다. 이때에도 흙부대(10)나 지오그리트(30)는 녹화팩(50)과 상기 별도의 체결고리나 체결클립과 같은 체결수단(70)으로 체결고정시킴이 바람직하다.
상기 흙부대(10)의 전방측에 녹화팩(50)이나 녹화마대를 적층하여 지오그리드(30)나 흙부대(10)에 체결고정시킨 이후에 전방측의 녹화팩(50)이나 녹화마대 상면과 석재(60)나 폐골재 상면 및 흙부대(10) 상면과 2차로 포설된 토사(42) 상면에까지 지오그리드(30)를 포설시켜 녹화팩(50)이나 녹화마대의 지지력을 더욱 보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완성된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따른 녹화 옹벽(1)에는 시드 스프레이(seed spray)와 관수 및 방제를 하여 녹화팩(50)의 식생이 보다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하면 된다.
이렇게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따른 녹화 옹벽(1)은 콘크리트 및 철근을 사용하지 않고도 토사(11)가 충전되어 다져진 흙부대(10)가 옹벽의 구조적인 기능과 강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하천 유역 및 유수지역의 토사유실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보강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파손으로 인한 염려가 전혀 없을 뿐만 아니라 손상이 억제되며, 랩핑이 매우 손쉬워 시공이 간편하며, 시공 후, 녹화율이 매우 뛰어나고, 콘크리트 및 철근을 사용하지 않고도 옹벽의 구조적인 기능과 강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하천 유역 및 유수지역의 토사유실 방지공사에 매우 적합한 환경친화적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4)

  1. 시공되는 위치에 합성수지 재질의 지오그리드를 포설하는 단계와;
    상기 지오그리드 상면 적당위치에 상하단이 개방된 사각통체이나 사각틀체 또는 원형통체인 성형틀을 위치시키고, 성형틀 내측에는 이에 대응되는 사각통체나 원형통체로 상단이 개방된 흙부대를 셋팅하는 단계와;
    상기 흙부대 내측에 토사를 충진시켜 다지고, 흙부대 후방측에 인근까지 흙부대의 다짐높이로 토사를 1차로 포설하여 다지는 단계와;
    상기 성형틀을 흙부대 외측면에서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지오그리드 전방측에서 수직절곡하여 흙부대를 감싸고 일단을 후방측으로 연장시키며, 흙부대의 후방측에서 흙부대의 상단까지 토사를 2차로 포설하여 다지는 단계와;
    상기 흙부대의 전방측에 녹화팩이나 녹화마대를 적층하여 녹화팩이나 녹화마대를 지오그리드나 흙부대와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고정시키되 상기 지오그리드로 감싸인 흙부대와, 전방측의 녹화팩이나 녹화마대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석재나 폐골재를 투입하여 충전시키는 단계와;
    다시 그 상면에 지오그리드를 포설하고, 상기 성형틀과 흙부대를 하부의 흙부대 상면에서 약간 후방측으로 셋팅하여 전단계를 순차적으로 반복 수행함으로써 필요한 녹화 옹벽의 높이를 설정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 옹벽의 시공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흙부대의 전방측에 녹화팩이나 녹화마대를 적층하여 지오그리드나 흙부대에 체결고정하는 단계 이후에 전방측의 녹화팩이나 녹화마대 상면과 석재나 폐골재 상면 및 흙부대 상면과 2차로 포설된 토사 상면에까지 지오그리드를 포설시켜 녹화팩이나 녹화마대의 지지력을 보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 옹벽의 시공방법.
KR1020060137489A 2006-12-29 2006-12-29 녹화 옹벽의 시공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752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7489A KR100752152B1 (ko) 2006-12-29 2006-12-29 녹화 옹벽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7489A KR100752152B1 (ko) 2006-12-29 2006-12-29 녹화 옹벽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2152B1 true KR100752152B1 (ko) 2007-08-27

Family

ID=38615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7489A Expired - Fee Related KR100752152B1 (ko) 2006-12-29 2006-12-29 녹화 옹벽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215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688B1 (ko) * 2010-04-14 2010-10-26 파센리테이닝(주) 옹벽 식생백의 체결고정을 위한 연결부재
KR101111161B1 (ko) * 2009-02-12 2012-03-15 함흥식 토목섬유 콘테이너를 이용한 수충부 세굴방지공법
KR101231130B1 (ko) 2010-09-28 2013-02-14 그린인프라 주식회사 골재 컨테이너 및 이를 사용한 골재부 형성방법
KR101773959B1 (ko) * 2016-06-02 2017-09-13 주식회사 본이앤씨 교대로 직접 전달되는 뒤채움재의 토압을 차단하는 보강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CN110644529A (zh) * 2019-09-23 2020-01-03 西南科技大学城市学院 一种反包式建渣土工袋挡土墙、施工方法及应用
CN113186950A (zh) * 2021-04-27 2021-07-30 福建永宏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高填边坡生态防护施工方法
KR20220043446A (ko) * 2020-09-29 2022-04-05 김헌수 옹벽 구조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03460A1 (en) 1992-12-24 1994-06-29 RDB PLASTOTECNICA S.p.A. Internally reinforced geotechnical structure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350625B1 (ko) 2000-01-17 2002-08-30 (주) 경화엔지니어링 모래포대를 이용한 분리식 보강토 옹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03460A1 (en) 1992-12-24 1994-06-29 RDB PLASTOTECNICA S.p.A. Internally reinforced geotechnical structure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350625B1 (ko) 2000-01-17 2002-08-30 (주) 경화엔지니어링 모래포대를 이용한 분리식 보강토 옹벽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1161B1 (ko) * 2009-02-12 2012-03-15 함흥식 토목섬유 콘테이너를 이용한 수충부 세굴방지공법
KR100989688B1 (ko) * 2010-04-14 2010-10-26 파센리테이닝(주) 옹벽 식생백의 체결고정을 위한 연결부재
KR101231130B1 (ko) 2010-09-28 2013-02-14 그린인프라 주식회사 골재 컨테이너 및 이를 사용한 골재부 형성방법
KR101773959B1 (ko) * 2016-06-02 2017-09-13 주식회사 본이앤씨 교대로 직접 전달되는 뒤채움재의 토압을 차단하는 보강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CN110644529A (zh) * 2019-09-23 2020-01-03 西南科技大学城市学院 一种反包式建渣土工袋挡土墙、施工方法及应用
KR20220043446A (ko) * 2020-09-29 2022-04-05 김헌수 옹벽 구조물
WO2022071666A1 (ko) * 2020-09-29 2022-04-07 김헌수 옹벽 구조물
KR102485557B1 (ko) * 2020-09-29 2023-01-06 김헌수 옹벽 구조물
GB2613704A (en) * 2020-09-29 2023-06-14 Su Kim Hun Retaining wall structure
JP7509999B2 (ja) 2020-09-29 2024-07-02 ス キム ハン 擁壁構造物
GB2613704B (en) * 2020-09-29 2024-09-04 Su Kim Hun Retaining wall structure
CN113186950A (zh) * 2021-04-27 2021-07-30 福建永宏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高填边坡生态防护施工方法
CN113186950B (zh) * 2021-04-27 2022-06-14 福建永宏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高填边坡生态防护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4933B1 (ko) 식생토낭과 고정부재를 이용한 자연 친화적인 옹벽의시공방법 및 그 설치구조
KR100752152B1 (ko) 녹화 옹벽의 시공방법
KR100679873B1 (ko) 녹화 옹벽의 시공방법
CN104532857A (zh) 柔性减胀生态护坡构造
US20070036615A1 (en) Freestanding wall structures made using sandbags
CN204356788U (zh) 柔性减胀生态护坡构造
KR100815837B1 (ko) 하부가 개방되고 측면판 후부가 경사진 친환경블럭을 이용한 친환경 보강토옹벽 시공방법
CN114182745A (zh) 高液限土生态挡墙生态护坡路基及施工方法
KR100874961B1 (ko) 보강토 옹벽용 철망
KR101963362B1 (ko) 완전배수형 개비온 보강토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
JP3431783B2 (ja) 法面、壁面等の保護構造
KR101235826B1 (ko) 보강토 옹벽블록 시공방법
KR102116085B1 (ko) 환경친화적 옹벽구조물
JP3472708B2 (ja) 法面及び護岸擁壁用構造物及びその施工法
KR100968518B1 (ko) 강화 녹화옹벽 시공방법
KR101276567B1 (ko) 사면보강용 식생옹벽
KR100995097B1 (ko) 옹벽 블록 시공방법
US20050265791A1 (en) Wall structure for retaining soils
KR101525942B1 (ko) 표층개량재를 이용한 사면 보강 옹벽공법
KR101288888B1 (ko) 지오그리드와 네일을 이용한 사면복구공법
KR101149038B1 (ko) 수평지오그리드와 수직지오그리드를 이용한 연약지반 강화시공방법
JPH0369721A (ja) 急勾配盛士
KR100794669B1 (ko) 보강토 옹벽용 철망 및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
KR20080000510U (ko) 건설용 보강 마대
KR102064538B1 (ko) 일체형 개비온 보강토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2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701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7061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702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70711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61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70814

Appeal identifier: 2007101007637

Request date: 20070711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70711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711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70426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7081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70813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8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8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3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