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68518B1 - 강화 녹화옹벽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강화 녹화옹벽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8518B1
KR100968518B1 KR1020100007894A KR20100007894A KR100968518B1 KR 100968518 B1 KR100968518 B1 KR 100968518B1 KR 1020100007894 A KR1020100007894 A KR 1020100007894A KR 20100007894 A KR20100007894 A KR 20100007894A KR 100968518 B1 KR100968518 B1 KR 100968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retaining wall
reinforced concrete
slope
anch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7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00007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85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8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851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08Gab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4Arranging seed on carriers, e.g. on tapes, on cords ; Carrier compositions
    • A01C1/044Sheets, multiple sheets or ma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7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cast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깎기 또는 쌓기 비탈면이나 호안 비탈면에 시공되는 옹벽에 관한 것으로서, 비탈면에 철근콘크리트기둥을 시공하고 철근콘크리트기둥 사이를 식생공간으로 구성한 강화 녹화옹벽과 그 옹벽의 바람직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강화 녹화옹벽은, 깎기 또는 쌓기 비탈면이나 호안 비탈면에 시공되는 옹벽으로서, 안정화된 비탈면을 따라 시공되는 한편 좌우로 비탈면을 따라 띄엄띄엄 시공되는 철근콘크리트기둥; 상기 철근콘크리트기둥 전면에 돌출되게 정착 설치되는 앵커; 상기 철근콘크리트기둥 전면에서 철근콘크리트기둥 사이를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한편 상기 앵커에 구속 설치되는 식생매트; 상기 식생매트를 덮으면서 상기 앵커에 고정 설치되는 보호철망; 및, 비탈면과 상기 식생매트 사이에 채워지는 식생토;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강화 녹화옹벽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d green retaining wall}
본 발명은 깎기 또는 쌓기 비탈면이나 호안 비탈면에 시공되는 옹벽에 관한 것으로서, 비탈면에 철근콘크리트기둥을 시공하고 철근콘크리트기둥 사이를 식생공간으로 구성한 옹벽의 바람직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둑, 호안(護岸), 깎기(절토), 쌓기(성토) 등의 비탈면(법면)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비탈면 보호공사를 실시한다. 비탈면 보호공사에는 비탈면의 경사도에 따라 다양한 방법이 있다.
급경사의 깎기 비탈면의 경우에는 소일네일, 어스앵커, 락볼트 등의 비탈면 보강공으로 비탈면을 안정화시킨 후에 격자블록으로 보호하거나 씨앗뿜어붙이기 등으로 보호한다. 격자블록 보호방식은 비탈면 보호효과에서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블록이 커서 시공이 어렵고 급비탈면에 시공하기 때문에 블록 내 공간에 복토 후 식재할 경우 대부분 유실되는 문제가 있다. 씨앗뿜어붙이기 방식은 유기질토와 안정액, 씨앗을 혼합하여 비탈면에 취부하는 방식으로 전면을 녹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호우시 쉽게 유실될 뿐만 아니라 갈라짐 현상이 심하고 용수가 많은 곳은 적용하기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
기울기가 약간 급한 쌓기 비탈면의 경우에는 통상 블록쌓기, 돌쌓기 또는 보강토옹벽으로 시공하나, 이들 방법들은 공사비가 비싸고 녹화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경사가 급한 비탈면을 지닌 저수호안, 수충부, 만곡부의 호안 비탈면의 경우에는 식생블록이나 돌망태옹벽으로 시공한다. 식생블록 시공방식은 홍수시 이탈 및 단차발생이 심하여 이를 방지하고자 중량이 무거운 것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고가의 자재와 고가의 장비를 이용해야 하는 등 공사비가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돌망태옹벽 시공방식은 채움돌 사이의 연결구조가 취약하고 국부적인 배부름 현상이 발생하기 쉽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비탈면 보호공사의 문제를 개선하고자 개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기술적 과제를 갖는다.
첫째, 본 발명은 전면 전체 또는 일부를 식생공간으로 구현하면서도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비탈면 보호공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깎기 또는 쌓기 비탈면은 물론 호안 비탈면 등 다양한 비탈면에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비탈면 보호공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셋째, 비탈면의 굴곡구간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비탈면 보호공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넷째, 거푸집 설치 및 콘크리트 공사를 간단하게 진행할 수 있는 비탈면 보호공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안정화된 비탈면 전면에 기둥거푸집을 설치하고 기둥철근을 배근하고 기둥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을 통해 철근콘크리트기둥을 비탈면을 따라 띄엄띄엄 시공하되 기둥거푸집 전면을 관통 돌출하도록 앵커를 설치하여 앵커가 철근콘크리트기둥 전면에 돌출 정착하도록 시공하는 제1단계; 철근콘크리트기둥 전면에서 철근콘크리트기둥 사이를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식생매트와 식생매트를 덮는 보호철망을 앵커에 고정 설치하고 비탈면과 식생매트 사이에 식생토를 다짐하면서 채우는 제2단계; 그리고, 옹벽 높이로 상기 제2단계를 반복 실시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녹화옹벽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비탈면에 철근콘크리트기둥을 시공하고 철근콘크리트기둥 사이를 식생공간으로 구성하기 때문에 친환경적이면서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녹화옹벽을 시공할 수 있다.
둘째, 자력으로 안정화되거나 각종 비탈면 보강공(소일네일, 어스앵커, 락볼트 등)으로 안정화된 상태의 비탈면에 적용하기 때문에, 깎기 또는 쌓기 비탈면은 물론 호안 비탈면에도 유리하게 적용하면서 녹화옹벽을 시공할 수 있다. 특히 비탈면 보강공이 시공된 비탈면에 적용할 경우 비탈면 보강공의 두부를 옹벽 구체의 일부인 철근콘크리트기둥에 매입 시공하기 때문에 비탈면 보강공과 옹벽 구체의 일체성을 강화하면서 비탈면 보호효과를 강화할 수 있다.
셋째, 철근콘크리트기둥을 띄엄띄엄 시공하기 때문에 비탈면의 굴곡 구간은 철근콘크리트기둥을 시공하지 않고 식생공간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식생공간은 비교적 형상 변경이 자유로운 식생매트, 보호철망, 식생토로 구현함으로써 비탈면의 굴곡 구간에 유연하게 대응하면서 녹화옹벽을 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띄엄띄엄 시공된 철근콘크리트기둥의 유지보수가 간단하다.
넷째, 비탈면에 철근콘크리트기둥을 시공하기 위해 조립식의 기둥거푸집을 제안하기 때문에 철근콘크리트공사를 간단하게 진행하면서 녹화옹벽을 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강화 녹화옹벽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강화 녹화옹벽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시공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화 녹화옹벽 시공방법에서 채움돌과 식생토를 단계별로 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강화 녹화옹벽 시공방법에 이용되는 기둥거푸집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강화 녹화옹벽 시공방법에서 도 4의 기둥거푸집을 이용하여 철근콘크리트기둥을 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강화 녹화옹벽 시공방법에 이용되는 기둥거푸집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강화 녹화옹의 시공방법에서 도 6의 기둥거푸집을 이용하여 철근콘크리트기둥을 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강화 녹화옹벽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강화 녹화옹벽은 깎기 또는 쌓기 비탈면(S)이나 호안 비탈면(S)에 옹벽을 시공함에 있어 철근콘크리트기둥(10)을 시공하고 철근콘크리트기둥(10) 사이를 식생공간으로 구성한다는데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기둥(10), 앵커(20), 식생매트(31), 보호철망(32), 식생토(41)를 필수적인 구성으로 포함하는 한편, 보강그리드(42), 돌망태(33), 채움돌(43)을 선택적인 구성으로 포함한다.
철근콘크리트기둥(10)은 안정화된 비탈면(S)을 따라 시공되는 한편 좌우로 비탈면(S)을 따라 띄엄띄엄 시공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서 안정화된 비탈면(S)이란 안식각 이하의 경사도를 가지거나 소일네일, 어스앵커, 락볼트 등의 비탈면 보강공(S4)으로 보강됨에 따라 안정화된 지반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 안정화된 비탈면(S)은 직접적인 지반 표면(S1)이 될 수 있는 것은 물론 지반 표면(S1)에 부직포(S2)나 배수판(S3) 등이 처리된 상태가 될 수 있으며, 특히 소일네일에 의한 비탈면 보강공(S4)으로 보강된 경우에는 숏크리트(S41)로 표면 처리된 상태가 된다.
도 1(a)에서는 철근콘크리트기둥(10)이 숏크리트(S41)로 표면 처리된 비탈면(S)에 시공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도 1(b)에서는 철근콘크리트기둥(10)이 부직포(S2)와 배수판(S3)이 처리된 비탈면(S)에 시공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도 1(c)에서는 철근콘크리트기둥(10)이 어떠한 것도 처리되지 아니한 상태의 비탈면(S)에 시공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도 1(a)(b)(c)에서는 철근콘크리트기둥(10)이 비탈면 보강공(S4)으로 보강된 비탈면(S)에 시공된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철근콘크리트기둥(10)은 그 내부에 비탈면 보강공(S4)의 돌출 두부가 매입되도록 시공된다. 비탈면 보강공(S4)의 돌출 두부가 철근콘크리트기둥(10)에 매입됨에 따라 철근콘크리트기둥(10)은 지압판으로 역할할 것으로 기대된다. 즉 비탈면 보강공(S4)의 돌출 두부와 철근콘크리트기둥(10)이 일체화되기 때문에 지반 내부에서 비탈면 보강공(S4)에 인장력이 작용할 때 그 인장력이 철근콘크리트기둥(10)으로 전달되면서 비탈면(S)을 누르는 지압력으로 전환되는 것이다.
철근콘크리트기둥(10)은 도 1에서와 같이 전면으로 갈수록 점점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 단면 형상이 바람직한데, 이는 철근콘크리트기둥(10)의 전면 노출을 최소화하여 옹벽 전면의 녹화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철근콘크리트기둥(10)은 도 1(c)에서와 같이 전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하는 연속홈(13)이 형성되도록 시공할 수 있는데, 이는 앵커(20)의 외부 돌출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앵커(20)는 철근콘크리트기둥(10) 전면에 돌출되게 정착 설치되는 구성이다. 앵커(20)는 시공 완료된 철근콘크리트기둥(10)에 천공하여 정착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철근콘크리트기둥(10) 시공과정에서 기둥콘크리트(12)에 매입시키면서 정착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철근콘크리트기둥(10) 시공과정에서 앵커(20)를 기둥콘크리트(12)에 매입시키는 경우라면, 앵커(20)는 철근콘크리트기둥의 기둥철근(11)을 배근하기 위한 철근스페이서(RS)와 일체화된 형태로 마련할 수 있다(도 4 참조). 도 1(c)에서와 같이 철근콘크리트기둥(10) 전면에 연속홈(13)이 형성된 경우라면 앵커(20)는 연속홈(13)에 위치하면서 주변의 기둥콘크리트(12) 부분보다 돌출하지 않게 정착 설치되도록 한다.
도 1에서는 볼트와 너트 및 와셔의 조립으로 구성된 앵커(20)를 확인할 수 있는데, 이러한 앵커(20)는 보호철망(32) 내지 돌망태(33)를 조립식으로 용이하게 고정 설치하기 위해 제안된 예이다. 도 1(a)(c)에서는 정착볼트(21)와 고정너트(22) 및 고정와셔(23)로 구성된 앵커(20)를 확인할 수 있고, 도 1(b)에서는 조절너트(2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앵커(20)를 확인할 수 있다. 앵커(20)에서 고정와셔(23)는 이웃하는 앵커 상호 간을 동시에 연결할 수 있도록 장방형 판재로 준비할 수 있다(도 2b 참조). 특히 도 1(c)에서와 같이 정착볼트(21)와 고정너트(22)의 조립이 연속홈(13) 내부에서 이루어진다면 정착볼트(21)가 노출되지 않아 미관상 유리할 뿐만 아니라 옹벽 주변 보행자의 통행시 보행자의 스침에 의한 위험을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식생매트(31)는 철근콘크리트기둥(10) 전면에서 철근콘크리트기둥(10) 사이를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한편 앵커(20)에 구속 설치되는 구성이다. 식생매트(31)는 식물의 활착을 유도하기 위한 구성이 된다. 본 발명에서 식생매트(31)는 통상 녹화공법에 적용하는 초본류의 씨앗이 심어진 형태의 것은 물론 잔디매트도 포함한다.
식생매트(31)는 도 1(a)(c)에서와 같이 철근콘크리트기둥(10) 전면에 밀착하게 설치하는 것은 물론, 도 1(b)에서와 같이 정착볼트(21)의 길이를 적절히 조절하고 아울러 조절너트(24)를 적절히 이용하면서 철근콘크리트기둥(10) 전면에서부터 소정 거리 이격하게 설치할 수도 있다.
보호철망(32)은 식생매트(31)를 덮으면서 앵커(20)에 고정 설치되는 구성으로, 식생매트(31)를 보호하는 한편 옹벽 전면을 구성하는 구성이 된다. 오랜 시간이 지나 식물 활착이 활발해지면 식생매트(31)가 부식되거나 분해되므로 이를 감안하면 보호철망(32)은 실질적으로 옹벽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구성이 된다고도 할 수 있다.
보호철망(32)은 식생매트(31)와 함께 식생공간을 형성하게 되는데, 식생공간에 식생토(41)가 채워지면 보호철망(32)에 식생토(41)에 의한 토압이 작용하기 때문에 보호철망(32)은 식생토(41)에 의한 토압을 견딜 수 있는 충분한 강성을 가지는 자재로 준비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옹벽의 전면을 구성하면서 항시 외기에 노출되기 때문에 보호철망(32)은 내식성이 우수한 자재로 준비할 필요가 있다. 그러한 자재에는 익스펜디드 메탈(expanded metal)이 있다.
도 1(a)(b)에서와 같이 철근콘크리트기둥(10) 전면이 평평하게 형성되는 경우라면 보호철망(32) 또한 평평하게 마련하면 될 것이나, 도 1(c)에서와 같이 철근콘크리트기둥(10) 전면에 연속홈(13)이 형성되는 경우라면 보호철망(32)은 연속홈(13)에 끼워져 앵커(20)에 고정되도록 적절히 절곡시켜 마련해야 할 것이다.
식생토(41)는 식생매트(31)와 보호철망(32)에 의해 형성된 식생공간에 채워지는 구성으로, 식물 생장의 기반이 되는 구성이 된다. 즉, 비탈면(S)과 식생매트(31) 사이에 채워지는 것이다.
식생토(41)가 채워지면 곧 녹화옹벽으로 완성된다. 도 1(a)(c)는 철근콘크리트기둥(10) 사이에 식생토(41)가 채워짐에 따라 철근콘크리트기둥(10) 전면이 노출되는 녹화옹벽으로 완성되고 있고, 도 1(b)는 철근콘크리트기둥(10)이 완전히 매입되도록 식생토(41)가 채워짐에 따라 옹벽 전면이 식생환경으로 조성된 녹화옹벽으로 완성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녹화옹벽에서 보호철망(32)이 앵커(20)에 의해 철근콘크리트기둥(10)에 연결 결속되기 때문에, 식생토(41)에 의한 토압은 보호철망(32)을 통해 최종적으로 철근콘크리트기둥(10)에 전달되어 안정화된 상태로 유지된다. 다만 식생토(41)에 의한 토압이 보호철망(32)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이 녹화옹벽의 구조적인 안정성과 효율적인 구조설계를 위해 바람직할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도 1(b)에서와 같이 식생토(30)의 채움 면적이 넓은 경우에는 보강그리드(42)를 적절히 이용할 것을 제안한다.
보강그리드(42)는 식생토(41) 내부에 수평으로 매설되는 구성으로, 식생토(41)를 층간 구분하는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보강그리드(42)가 설치됨에 따라 식생토(41)에 의한 횡방향의 변형은 보강그리드(42)와 토사입자의 마찰력과, 인장력을 받는 보강그리드(42)의 구속에 의해 억제된다. 보강그리드(42)는 보호철망(32)에 연결하면서 설치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보강그리드(42)가 보호철망(32)을 붙잡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보호철망(32)의 배부름 현상을 유리하게 억제할 수 있다(도 3(c) 참조).
한편 호안 비탈면(S)과 같은 경우에는 수위변경에 따라 옹벽 하부가 물에 잠기게 되기도 하는데, 이를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는 옹벽을 상부옹벽과 하부옹벽 2단으로 구분할 것을 제안한다. 상부옹벽은 앞서 살펴본 식생매트(31), 보호철망(32), 식생토(41)로 구성하여 실질적인 녹화옹벽으로 완성하고, 하부옹벽은 돌망태(33)와 채움돌(43)로 구성하여 유수를 정화시키고 물고기 서식공간으로 제공한다(도 2c, 도 3(a) 참조).
돌망태(33)는 철근콘크리트기둥(10) 상호 간을 연결하면서 앵커(20)에 고정 설치되는 구성으로, 앞서 살펴본 식생매트(31)와 보호철망(32)을 대체하는 구성이 된다. 채움돌(43)은 비탈면(S)과 돌망태(33) 사이에 채워지는 구성으로, 앞서 살펴본 식생토(41)를 대체하는 구성이 된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강화 녹화옹벽의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시공순서도이고, 도 3은 채움돌(43)과 식생토(41)를 단계별로 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이들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강화 녹화옹벽의 시공방법을 단계적으로 살펴본다.
(1)제1단계-철근콘크리트기둥과 앵커 시공단계(도 2a 및 도 2b)
안정화된 비탈면(S) 전면에 기둥거푸집(100)을 설치하고 기둥철근(11)을 배근하고 기둥콘크리트(12)를 타설하는 과정을 통해 철근콘크리트기둥(10)을 비탈면(S)을 따라 띄엄띄엄 시공한다. 이때 기둥거푸집(100) 전면을 관통 돌출하도록 앵커(20)를 설치하여 앵커(20)가 철근콘크리트기둥(10) 전면에 돌출 정착하도록 시공한다(도 2b). 기둥거푸집(100)에 의한 철근콘크리트기둥(10)의 시공방법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7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안정화된 비탈면(S)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다. 도 2a에서는 지반 표면(S1)에 부직포(S2)나 배수판(S3) 등을 처리하는 한편 비탈면 보강공(S4)으로 보강하여 안정화시킨 상태와 비탈면(S) 하부에 기초(F)를 시공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지반조건에 따라 부직포(S2), 배수판(S3), 기초(F)를 생략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나아가 숏크리트(S41)로 표면 처리할 수도 있다.
도 2b에서는 기초(F) 위 배수판(S3) 전면으로 비탈면 보강공(S4)이 시공된 위치에 철근콘크리트기둥(10)을 시공하고 있다. 철근콘크리트기둥(10)은 시공할 옹벽의 구조계산에 따라 배치간격과 단면을 결정하도록 한다. 다만 철근콘크리트기둥(10)의 시공성을 고려한다면 철근콘크리트기둥(10)은 비탈면(S)에서 굴곡 구간(비탈면이 휘어지는 유선 구간 등)에 위치하지 않도록 배치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제2단계-녹화단계(도 2c 및 도 3 참조)
철근콘크리트기둥(10) 전면에서 철근콘크리트기둥(10) 사이를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식생매트(31)와 식생매트(31)와 식생매트(31)를 덮는 보호철망(32)을 앵커(20)에 고정 설치하고 비탈면(S)과 식생매트(31) 사이에 식생토(41)를 다짐하면서 채운다(도 2c). 상부옹벽과 하부옹벽을 구분하는 경우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소정 높이까지 돌망태(33)를 설치하고 채움돌(43)을 채우는 과정을 진행한 후에 그 위로 녹화단계를 실시하도록 한다.
본 단계는 도 3에서와 같이 보강그리드(42)를 더 설치하면서 진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식생토(41)를 1차 채움하여 다짐하는 단계(도 3(b)); 식생토(41) 위에 보강그리드(42)를 수평으로 포설하는 단계(도 3(c)); 보강그리드(42) 위에 식생토(41)를 2차 채움하여 다짐하는 단계(도 3(d));로 세분하여 진행하면 된다. 식생매트(31)와 보호철망(32)의 단위 높이에 따라 다짐작업과 보강그리드(42) 설치작업을 반복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3)제3단계-반복단계(도 2d 참조)
녹화단계(제2단계)를 시공할 옹벽 높이로 상향하여 반복 실시한다. 즉, 옹벽 전 구간에 걸쳐 제1단의 녹화과정(식생매트와 보호철망 설치, 식생토 채움)을 실시하고, 제1단 위로 제2단의 녹화과정을 반복 실시하는 것이다. 이로써 도 2d에서와 같이 전면 전체 또는 일부가 식생공간으로 구현된 녹화옹벽이 완성된다.
도 4 내지 도 7은 철근콘크리트기둥(10)을 용이하게 시공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기둥거푸집(100)과 그 기둥거푸집(100)을 이용하여 철근콘크리트기둥(10)을 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기둥거푸집(100)에 대해 두 가지 실시예를 제안한다.
도 4는 기둥거푸집(100)의 제1실시예로서 후면평판(110a)과 조립틀(120)로 구성된 예이다. 후면평판(110a)은 철근콘크리트기둥(10)의 후면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비탈면(S) 전면에 놓이도록 설치되는 구성이며, 비탈면에 배수판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배수판이 후면평판(110a)을 대신할 수 있다. 조립틀(120)은 철근콘크리트기둥(10)의 후면 이외의 다른 면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상기 후면평판(110a)에 제1결속구(130)에 의해 조립식으로 고정 설치되는 한편 횡방향으로 분할된 둘 이상의 구성각편(120a, 120b)이 제2결속구(140)에 의해 조립 구성되는 구성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립틀의 각 구성각편(120a, 120b)은 철근콘크리트기둥(10)의 표면을 형성시키기 위한 면형성부(121)와 구성각편의 상호 조립과 구성각편(120a. 120b)의 후면평판(110a)에의 조립을 위한 결속날개(122, 123)로 구성하면 되며, 결속날개(122, 123)에는 제1,2결속구의 체결을 위한 통공(122a, 123a)을 적절히 마련하면 된다. 이와 같은 제1실시예에 따른 기둥거푸집(100)은 콘크리트 타설에 따른 부력을 후면평판(110a)과 조립틀(120)의 결속력으로 지지하는 방식이 되는데, 후면평판(110a)을 생략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다만 후면평판(110a)을 생략한다면 조립틀(120)은 앵커를 이용하여 비탈면(S)에 확고하게 정착 설치해야 할 것이며, 그래야 조립틀(120)이 받는 부력을 안전하게 비탈면(S)으로 전달하여 조립틀(120)의 설치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기둥거푸집(100)은 조립틀(120)이 받는 부력을 후면평판(110a)이 지지하는 구조가 되며, 특히 후면평판(110a)은 콘크리트에 함유된 시멘트페이스트가 지반 내부로 스며들지 않고 그대로 콘크리트 경화에 작용하게 하여 철근콘크리트기둥(10)이 설계강도로 시공할 수 있게 하는 역할도 한다. 조립틀(120)은 시공할 철근콘크리트기둥(10) 단면에 부합하게 마련하면 되며, 도 4에서는 두 개의 구성각편(120a, 120b)으로 구성되는 한편 하나의 구성각편(120a)이 철근콘크리트기둥(10) 전면에 연속홈(13)을 형성하기 위한 형태로 이루어진 조립틀(120)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고정못(나사도 가능함)으로 마련한 제1결속구(130), 볼트와 너트로 마련한 제2결속구(140)를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기둥거푸집(100)을 이용하여 철근콘크리트기둥(10)을 시공하는 방법을 보여주는데, 이에 따라 철근콘크리트기둥(10)을 시공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먼저 후면평판(110a)을 설치하고 조립틀(120)의 일부 구성각편(120a)을 설치하면서 기둥거푸집(100)을 설치한다(도 5(a)). 이어 조립틀(120)의 나머지 구성각편(120b)을 조립한 다음(도 5(b)), 기둥거푸집(100) 내부에 기둥콘크리트(12)를 타설한다(도 5(c)). 기둥거푸집(100)에서 후면평판(110a)은 비탈면(S)에 나사못 등으로 고정 설치하는 것은 물론 별도 고정하지 않은 채 그대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후면평판(110a)의 고정 여부는 비탈면의 경사도에 따라 기둥거푸집(100)의 설치안정성을 고려하여 결정하면 된다. 기둥거푸집(100) 설치 과정 중에 기둥거푸집(100) 내부에 기둥철근(11)을 배근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이다. 기둥콘크리트(12)는 비탈면(S) 상부에서 펌프로 흘려 내려주는 방식으로 타설하면 되며, 아울러 나무망치 등으로 조립틀(120)을 두드려 다짐작업을 진행할 수도 있다. 기둥콘크리트(12)는 하부평판과 조립틀(120) 사이에 채워지며, 이에 따라 기둥콘크리트(12)에 함유된 시멘트페이스트는 비탈면(S)으로 유출되지 않은 채 그대로 기둥콘크리트(12) 경화에 작용한다. 기둥콘크리트(12)가 양생된 후에는 기둥거푸집(100)에서 조립틀(120)을 탈형 제거하도록 하며, 이로써 철근콘크리트기둥(10)이 완성된다(도 5(d)). 도 5(d)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둥거푸집(100)에서 후면평판(110a)은 제거되지 않고 영구적으로 존치된다.
한편, 도 5(a)에서는 앵커(20)가 조립틀(120)에 고정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앵커(20)를 철근콘크리트기둥(10)에 일체로 정착시키기 위함이다. 앵커(20)는 기둥거푸집의 조립틀(120) 전면을 관통 돌출하도록 조립틀(120)에 고정 설치된다. 도 5(a)에서는 정착볼트(21)를 한 쌍의 너트를 적절히 이용하여 설치한 앵커를 확인할 수 있으며, 아울러 기둥철근(11)의 배근을 고려하여 기둥철근(11)을 배근하기 위한 철근스페이서(25)가 앵커의 정착볼트(21)와 일체로 제작 준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기둥거푸집(100)의 제2실시예로서 후면각재(110b)와 조립틀(120)로 구성된 예이며, 도 7은 도 6의 기둥거푸집(100)을 이용하여 철근콘크리트기둥(10)을 시공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제2실시예에 따른 기둥거푸집은 전체적으로 앞서 살펴본 제1실시예에 따른 기둥거푸집과 동일하고, 다만 후면평판(110a) 대신에 후면각재(110b)가 이용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비탈면(S) 전면에 후면평판(110a)을 설치하는 대신에, 후면각재(110b) 한 쌍을 철근콘크리트기둥(10)의 후면 너비 간격으로 이격하게 비탈면(S) 전면에 고정 설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후면각재(110b) 한 쌍은 후면평판(110a)과 달리 비탈면에 직접 고정 설치되는데, 왜냐하면 후면평판(110a)과는 달리 후면각재(110b)는 조립틀(120)이 받는 콘크리트 부력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기둥거푸집(100)은 소일네일에 의해 보강하면서 숏크리트(S41)로 표면 처리된 비탈면(S)에 유리하게 적용할 수 있다. 숏크리트(S41)가 경화하기 전에 후면각재(110b)를 숏크리트(S41) 표면에 설치하여 고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1실시예와 비교할 때 제2실시예는 철근콘크리트기둥(10)의 후면을 직접적으로 형성하지 않는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이므로, 전반적으로 앞서 살펴본 제1실시예의 기둥거푸집과 동일한 방법으로 철근콘크리트기둥(10)을 시공하게 된다.
한편, 도 7(a)에서는 비탈면 보강공(S4)에 기둥철근(11)이 긴결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보는 바와 같이 비탈면 보강공(S4)의 돌출 두부에 철근정착판(S42)을 연결 설치한 후 철근정착판(S42)에 주철근(11a)을 기대게 배근하고 띠철근(11b)으로 둘러 감는 방식으로 기둥철근(11)을 배근하고 있다. 이러한 배근으로 비탈면 보강공(S4)의 철근콘크리트기둥(10)에 대한 정착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부가 및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철근콘크리트기둥
11: 기둥철근
12: 기둥콘크리트
13: 연속홈
20: 앵커
21: 정착볼트
22: 고정너트
23: 고정와셔
24: 조절너트
25: 철근스페이서
31: 식생매트
32: 보호철망
33: 돌망태
41: 식생토
42: 보강그리드
43: 채움돌
100: 기둥거푸집
110aa: 후면평판
110b: 후면각재
120: 조립틀
120a, 120b: 구성각편
130, 140: 결속구
F: 기초
S: 비탈면
S1: 지반 표면
S2: 부직포
S3: 배수판
S4: 비탈면 보강공
S41: 숏크리트
S42: 철근정착판

Claims (10)

  1. 깎기 또는 쌓기 비탈면(S)이나 호안 비탈면(S)에 옹벽을 시공함에 있어,
    안정화된 비탈면(S) 전면에 기둥거푸집(100)을 설치하고 기둥철근(11)을 배근하고 기둥콘크리트(12)를 타설하는 과정을 통해 철근콘크리트기둥(10)을 비탈면(S)을 따라 띄엄띄엄 시공하되, 기둥거푸집(100) 전면을 관통 돌출하도록 앵커(20)를 설치하여 앵커(20)가 철근콘크리트기둥(10) 전면에 돌출 정착하도록 시공하는 제1단계;
    철근콘크리트기둥(10) 전면에서 철근콘크리트기둥(10) 사이를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식생매트(31)와 식생매트(31)를 덮는 보호철망(32)을 앵커(20)에 고정 설치하고, 비탈면(S)과 식생매트(31) 사이에 식생토(41)를 다짐하면서 채우는 제2단계; 그리고,
    옹벽 높이로 상기 제2단계를 반복 실시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단계의 기둥거푸집(100)은,
    철근콘크리트기둥(10)의 후면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비탈면(S) 전면에 놓이도록 설치되는 후면평판(110a);
    철근콘크리트기둥(10)의 후면 이외의 다른 면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상기 후면평판(110a)에 제1결속구(130)에 의해 조립식으로 고정 설치되는 한편 횡방향으로 분할된 둘 이상의 구성각편(120a, 120b)이 제2결속구(140)에 의해 조립 구성되는 조립틀(12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며,
    상기 제1단계는,
    후면평판(110a)을 설치하고 조립틀(120)의 일부 구성각편(120a)을 설치하면서 기둥거푸집(100)을 설치하는 제1A단계;
    조립틀(120)의 나머지 구성각편(120b)을 조립하는 제1B단계;
    기둥거푸집(100) 내부에 기둥콘크리트(12)를 타설하는 제1C단계;
    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A단계 또는 제1B단계는 기둥거푸집(100) 내부에 기둥철근(11)을 배근하고 기둥거푸집의 조립틀(120) 전면을 관통 돌출하도록 앵커(20)를 조립틀(120)에 고정 설치하는 과정을 포함하면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녹화옹벽 시공방법.
  2. 깎기 또는 쌓기 비탈면(S)이나 호안 비탈면(S)에 옹벽을 시공함에 있어,
    안정화된 비탈면(S) 전면에 기둥거푸집(100)을 설치하고 기둥철근(11)을 배근하고 기둥콘크리트(12)를 타설하는 과정을 통해 철근콘크리트기둥(10)을 비탈면(S)을 따라 띄엄띄엄 시공하되, 기둥거푸집(100) 전면을 관통 돌출하도록 앵커(20)를 설치하여 앵커(20)가 철근콘크리트기둥(10) 전면에 돌출 정착하도록 시공하는 제1단계;
    철근콘크리트기둥(10) 전면에서 철근콘크리트기둥(10) 사이를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식생매트(31)와 식생매트(31)를 덮는 보호철망(32)을 앵커(20)에 고정 설치하고, 비탈면(S)과 식생매트(31) 사이에 식생토(41)를 다짐하면서 채우는 제2단계; 그리고,
    옹벽 높이로 상기 제2단계를 반복 실시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단계의 기둥거푸집(100)은,
    철근콘크리트기둥(10)의 후면 너비 간격으로 이격하게 비탈면(S) 전면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후면각재(110b);
    철근콘크리트기둥(10)의 측면과 전면을 형성하기 위한 부분으로, 상기 한 쌍의 후면각재(110b)에 제1결속구(130)에 의해 조립식으로 고정 설치되는 한편 횡방향으로 분할된 둘 이상의 구성각편(120a, 120b)이 제2결속구(140)에 의해 조립 구성되는 조립틀(12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며,
    상기 제1단계는,
    후면각재(110b)를 고정 설치하고 조립틀(120)의 일부 구성각편(120a)을 설치하면서 기둥거푸집(100)을 설치하는 제1A단계;
    조립틀(120)의 나머지 구성각편(120b)을 조립하는 제1B단계;
    기둥거푸집(100) 내부에 기둥콘크리트(12)를 타설하는 제1C단계;
    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A단계 또는 제1B단계는 기둥거푸집(100) 내부에 기둥철근(11)을 배근하고 기둥거푸집의 조립틀(120) 전면을 관통 돌출하도록 앵커(20)를 조립틀(120)에 고정 설치하는 과정을 포함하면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녹화옹벽 시공방법.
  3. 제2항에서,
    상기 제1단계 앞서 숏크리트로 마무리하면서 소일네일에 의한 비탈면 보강공(S4)으로 비탈면(S)을 안정화시키는 단계;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1A단계는 후면각재(110b)를 경화하기 전의 숏크리트 표면에 설치하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녹화옹벽 시공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2단계는,
    식생토(41)를 1차 채움하여 다짐하는 제2A단계;
    식생토(41) 위에 보강그리드(42)를 수평으로 포설하는 제2B단계;
    보강그리드(42) 위에 식생토(41)를 2차 채움하여 다짐하는 제2C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녹화옹벽 시공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1단계와 제2단계 사이에, 철근콘크리트기둥(10) 전면에서 돌망태로 철근콘크리트기둥(10) 사이를 연결하도록 배치한 돌망태를 앵커에 고정 설치하고 비탈면(S)과 돌망태 사이에 채움돌을 채우는 하부옹벽 시공단계;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2단계는, 상기 하부옹벽 시공단계를 통해 시공된 하부옹벽 위로 실시하여 상부옹벽을 시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녹화옹벽 시공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00007894A 2010-01-28 2010-01-28 강화 녹화옹벽 시공방법 Active KR100968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894A KR100968518B1 (ko) 2010-01-28 2010-01-28 강화 녹화옹벽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894A KR100968518B1 (ko) 2010-01-28 2010-01-28 강화 녹화옹벽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8518B1 true KR100968518B1 (ko) 2010-07-08

Family

ID=42645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7894A Active KR100968518B1 (ko) 2010-01-28 2010-01-28 강화 녹화옹벽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85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57813A (zh) * 2021-03-10 2022-05-10 美丽华夏生态环境科技有限公司 岩土工程磁性桩体设计及边坡加固新方法
KR102542373B1 (ko) 2023-03-14 2023-06-13 에스와이건설 주식회사 녹화 토낭을 이용한 녹화 구조물
KR20240100065A (ko) * 2022-12-22 2024-07-01 국립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지압판 이동형 옹벽 구축 방법 및 이를 위한 지압판 유닛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9028A (ja) * 1995-11-08 1997-07-22 Shimizu Corp 法面保護工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H10183649A (ja) * 1996-12-21 1998-07-14 Takaaki Endo 緑化擁壁の構築方法
KR100306045B1 (ko) * 1999-03-31 2001-10-29 이영렬 식생호안 시공재와 이를 이용한 식생호안의 축조공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9028A (ja) * 1995-11-08 1997-07-22 Shimizu Corp 法面保護工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H10183649A (ja) * 1996-12-21 1998-07-14 Takaaki Endo 緑化擁壁の構築方法
KR100306045B1 (ko) * 1999-03-31 2001-10-29 이영렬 식생호안 시공재와 이를 이용한 식생호안의 축조공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57813A (zh) * 2021-03-10 2022-05-10 美丽华夏生态环境科技有限公司 岩土工程磁性桩体设计及边坡加固新方法
KR20240100065A (ko) * 2022-12-22 2024-07-01 국립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지압판 이동형 옹벽 구축 방법 및 이를 위한 지압판 유닛
KR102785502B1 (ko) * 2022-12-22 2025-03-21 국립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지압판 이동형 옹벽 구축 방법
KR102542373B1 (ko) 2023-03-14 2023-06-13 에스와이건설 주식회사 녹화 토낭을 이용한 녹화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3236B1 (ko) 사면보강을 위한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사면보강공법
KR100793985B1 (ko) 콘크리트 격자형 사면보강 공법 및 사면 보강 구조
KR100737768B1 (ko) 식생게비온판넬
KR101077949B1 (ko) 보강토 옹벽블록 및 그 시공 방법
JP2017155574A (ja) 擁壁の構築方法
KR100968518B1 (ko) 강화 녹화옹벽 시공방법
KR100764019B1 (ko) 식생 가능한 토사벽 설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342130B1 (ko) 도로 사면의 친환경 녹화 보강 구조물
KR101963362B1 (ko) 완전배수형 개비온 보강토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
JP7109840B1 (ja) 盛土補強壁及び盛土補強壁の構築方法
KR102116085B1 (ko) 환경친화적 옹벽구조물
KR100665338B1 (ko) 소일네일링(앵커)에 의하여 고정되는 격자형 조립식 옹벽
JP2001172936A (ja) 地面防護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90035951A (ko) 배수가 용이한 합벽식 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684340B1 (ko) 연안의 세굴방지구조 및 그것의 설치방법
JP3643114B2 (ja) コンクリート積みブロック擁壁及びコンクリート積みブロック擁壁の構築方法
KR20100026042A (ko) 식생블럭식 영구화를 위한 사면 보강장치
JP3427066B2 (ja) 土木用ブロックの製造方法
KR102064538B1 (ko) 일체형 개비온 보강토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064537B1 (ko) 일체형 개비온 보강토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
JP2547946B2 (ja) 補強土構造
KR200387012Y1 (ko) 조경 겸용 조립식 옹벽
KR200424468Y1 (ko) 소일네일링에 의하여 고정되는 격자형 조립식 옹벽
KR101058628B1 (ko) 조경석을 이용한 옹벽 시공 구조
KR102548639B1 (ko) 상부망 결속형 석재 피복 구조물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1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12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4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6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7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2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1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1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2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522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