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36221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6221B1
KR100336221B1 KR1019990010740A KR19990010740A KR100336221B1 KR 100336221 B1 KR100336221 B1 KR 100336221B1 KR 1019990010740 A KR1019990010740 A KR 1019990010740A KR 19990010740 A KR19990010740 A KR 19990010740A KR 100336221 B1 KR100336221 B1 KR 100336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rtment
cooler
vegetable
chamber
refrigera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0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2607A (ko
Inventor
노나카히카루
이데히데히사
사에키도모야스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죠
Publication of KR20000022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2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6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622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5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speed
    • F25B2600/0251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speed with on-off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11Fan speed control
    • F25B2600/112Fan speed control of evaporator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F25D2317/0413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by 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1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through special compart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3Bot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실내에 야채실을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냉장고(1)에는 냉장실(2) 및 야채실(3)이 연통하여 설치되어 있고, 야채실(2)의 배면에는 냉장용 냉각기(26)가 배치되어 있고, 냉매가 냉동용 냉각기(51)로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고, 냉장용 냉각기(26)에 의해 생성된 냉기는 냉장용 냉각팬(28)에 의해 냉장실(2)을 통하여 야채실(3)에도 순환 송풍되도록 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냉장용 냉작팬(28)은 냉장용 냉각기(26)로의 냉매의 공급이 정지되고 나서 소정 시간만 연장하여 구동되며, 이에 의해 냉장용 냉각기(26)에 부착된 성에가 증발하게 되어, 냉장실(2)로 송풍되는 냉기에 포함되는 습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야채용기(30)로서 상면 개방타입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져, 야채용기의 비용을 줄일 수 있음과 동시에 야채실의 공간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실내에 야채실을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냉장고에서는 냉각기에서 생성한 냉기를 냉동실로 순환 송풍함과 동시에, 냉장실(예를 들면 2℃)의 설정 온도에 따라서 냉장실로의 분출구를 댐퍼에 의해 개폐함으로써 냉기를 적절하게 냉장실에도 순환 송풍하도록 하고 있었다.
그런데, 냉장고에 야채실을 설치한 경우, 냉각기에 의해 냉각됨으로써 건조한 냉기를 야채실에 송풍한 것에서는 야채가 단시간에 건조해 버리기 때문에, 야채실에 수납되는 야채용기의 상면을 투습성 커버로 덮음으로써, 야채용기내를 적절한 습도(약 90%)로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투습성 커버는 비용이 높기 때문에, 그 삭감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야채실은 인출구조로 되어 있어, 그 상부 공간은 유효하게 이용되지 못하기 때문에, 그 이용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야채용기의 비용을 줄일 수 있음과 동시에 야채실의 공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단면도.
도 2는 냉장고의 사시도,
도 3은 냉장고의 문 및 수납용기를 뺀 상태에서 나타내는 냉장고의 정면도,
도 4는 냉장용 냉각기실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야채실의 단면도,
도 6은 야채용기의 사시도,
도 7은 칠드케이스의 단면도,
도 8은 냉각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9는 냉각유닛의 동작 타이밍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야채용기를 인출한 상태에서 나타내는 도 5 상당도,
도 11은 칠드케이스의 커버를 밀어넣은 상태에서 나타내는 도 5 상당도,
도 12는 칠드케이스를 밀어넣은 상태에서 나타내는 도 5 상당도,
도 13은 칠드케이스 및 커버의 안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 4 상당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냉장고 2: 냉장실
3: 야채실 20: 냉장용 냉각기실
21: 냉장실 냉각기실 커버 26: 냉장용 냉각기
28: 냉장용 팬(냉각팬) 30: 야채용기
31: 칠드케이스(저온저장용기) 36: 커버
49: 리브 51: 냉동용 냉각기
53: 냉각유닛
본 발명의 냉장고는, 냉장실내에 야채실을 설치하고, 상기 야채실의 배면에 냉각기실 커버에 의해 구획된 냉각기실을 설치하고, 상기 냉각기실에 수납되어 냉매가 공급되는 냉장용 냉각기를 설치하며, 상기 냉장용 냉각기에서 생성된 냉기를 상기 냉장실 및 상기 야채실로 순환 송풍하는 냉각팬을 설치하고, 상기 냉장용 냉각기로의 냉매의 공급을 정지한 때는 상기 냉각팬의 구동을 계속함으로써, 상기 냉장용 냉각기에 부착된 성에를 증발시키는 가습운전을 실행하는 냉각 유닛을 설치하고, 상기 야채실에 수납된 상면 개방타입의 야채용기를 구비한 것이다(청구항 1).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냉각기실에 수납된 냉장용 냉각기에 냉매가 공급되면, 냉장용 냉각기가 냉각된다. 이 상태에서 냉각팬이 구동되면, 냉장용 냉각기에서 생성된 냉기가 냉장실을 통해서 야채실에도 송풍되기 때문에, 야채실의 온도가 저하한다.
그리고, 냉장실의 온도가 설정 온도까지 저하하면, 냉각유닛은 냉장용 냉각기로의 냉매의 공급을 정지하지만, 냉각팬을 구동을 계속함으로써 가습운전을 실행한다.
이 때, 냉장용 냉각기는 냉매의 공급에 의해 성에가 붙어 있기 때문에, 냉각유닛이 가습운전을 실행한 때는 냉장용 냉각기에 부착되어 있는 성에가 증발한다. 이에 의해 냉장실 및 야채실을 순환 송풍하는 냉기의 습도가 상승하기 때문에, 야채실에 수납되어 있는 야채가 건조해지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야채용기로서 비용이 싼 상면 개방타입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냉각 유닛은 냉장용 냉각기로의 냉매의 공급을 정지하고 나서 냉각팬의 구동을 소정시간 계속함으로써 가습운전을 실행하도록 하여도 좋다(청구항 2).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냉각유닛은 냉장용 냉각기로의 냉매의 공급을 정지한 때는 그 타이밍에서 냉각팬의 구동을 소정 시간 계속함으로써 가습운전을 실행한다. 이에 의해 냉장실 및 야채실을 순환 송풍하는 냉기의 습도를 단시간에 높이면서 냉기의 순환송풍에 의한 냉장용 냉각기의 과도한 온도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냉장실내의 하부에 야채실이 설치되고, 상기 냉장실과 상기 야채실과는 투명 간막이판으로 간막이되어 있어도 좋다(청구항 3).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냉장실과 야채실과는 투명 간막이판으로 간막이되어 있기 때문에, 냉장실의 문을 개방하면, 투명 간막이판을 통해서 야채실에 수납되어 있는 애채를 확인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이 경우, 냉장실과 야채실과는 대략 동일 온도이기 때문에, 투명 간막이판이 흐려지는 일은 없다.
또 야채실기의 상부에 저온저장용기를 배치하고, 상기 저온저장용기내에 냉각팬에 의해 송풍된 냉기의 일부를 직접적으로 송풍하도록 하여도 좋다(청구항 4).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야채용기의 상부에는 사용되지 않는 공간이 존재하기 때문에, 그 공간에 저온저장용기를 배치함으로써 야채실의 공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여기에서 저온저장용기내에는 냉각팬에 의해 송풍된 냉기의 일부가 직접적으로 송풍되기 때문에, 저온저장용기의 온도를 야채실보다도 낮은 온도로 조정할 수 있다.
또, 냉각기실 커버의 앞면에는 냉장실에서 야채실로 송풍된 냉기가 상기 냉각기실 커버의 앞면을 따라서 송풍되는 것을 방지하는 리브가 앞쪽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하여도 좋다(청구항 5).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냉장실에서 야채실로 송풍되면, 야채실의 배면에 위치하는 냉각기실 커버의 앞면을 따라서 송풍되도록 하지만, 냉각기실의 앞면에는 리브가 앞쪽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냉각기실 커버의 앞면을 따라서 송풍되는 냉기의 송풍 경로가 리브에 의해 앞쪽으로 변경된다. 이에 의해 냉기가 냉장용 냉각기에 쇼트리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냉각효율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냉각기실은 냉장용 냉각기의 앞면측에 배치된 단열재와 냉각기실 커버와의 사이의 간격에 의해 상기 냉장용 냉각기에 이르는 냉기의 흡입로를 형성하도록구성되어 있어도 좋다(청구항 6).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냉각기실내에 배치된 냉장용 냉각기의 앞면은 단열재가 배치되어 있고, 이에 의해 야채실과의 단열이 도모되고 있다.
또한, 냉장실에서 야채실로 송풍되는 냉기는 냉각기실 커버에 형성된 흡입구에서 냉각기실내로 흡입된다. 이 때, 냉각기실 커버와 단열재와의 간격에 의해 냉장용 냉각기에 이르는 흡입로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냉각기실의 구조를 간단화할 수 있고, 냉각기실의 비용을 저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냉장고는 압축기의 구동에 의해 냉동용 냉기를 생성하는 냉동용 냉각기 및 냉장용 냉기를 생성하는 냉장용 냉각기를 갖는 냉동사이클을 설치하고, 상기 냉장용 냉각기를 배치한 냉장실을 설치하고, 상기 냉동용 냉각기를 배치한 냉동실을 설치하고, 상기 냉장용 냉각기에서 생성된 냉기를 상기 냉장실로 순환 송풍하는 냉각팬을 설치하고, 상기 냉장용 냉각기로의 냉매의 공급을 정지한 때는 상기 냉각팬의 구동을 계속함으로써 상기 냉장용 냉각기에 부착된 성에를 증발시키는 가습운전을 실행하는 냉각유닛을 설치하고, 상기 냉장실내에 설치된 야채실을 설치하며, 상기 야채실에 수납된 상면 개방타입의 야채용기를 설치한 것이다(청구항 7).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냉각유닛은 냉동용 냉각기와 냉장용 냉각기로 선택적으로 냉매를 공급하기 때문에, 하나의 냉각기에서 냉장실과 냉동실을 냉각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냉각유닛으로서는 저출력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냉장고 전체의 사시도이다. 이 도 2에 있어서 냉장고(1)에는 위쪽에서부터 냉장실(2), 야채실(3), 제빙실(4), 온도전환실(5), 냉동실(6)이 설치되어 있고, 각각 문(7∼11)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도 1은 냉장고의 단면구조를 나타내고, 도 3은 문 및 수납용기를 뺀 냉장고의 정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들 도 1 및 도 3에 있어서, 냉장고 본체(12)는 앞면이 개구하는 장방형 상자형상을 이루고 있고, 수지제의 내부상자와 강판제의 외부상자의 사이에 우레탄폼 등의 발포성 단열재를 충진하여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냉장고 본체(12)의 중간부에는 단열 간막이벽(1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냉장고 본체(12)에 있어서 단열 간막이벽(13)의 위쪽과 아래쪽에서는 다른 온도 공간으로 설정되어 있다. 즉, 냉장실(2)과 야채실(3)과는 동일 온도 공간으로 설정되고, 제빙실(4) 및 냉동실(6)은 동일 온도 공간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온도 전환실(5)은 제빙실(4) 및 냉동실(6)과 단열 간막이벽에 의해 구획되어 있고, 제빙실(4) 및 냉동실(6)로부터 독립한 온도 공간으로 설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냉장실(2)의 배면 및 천정상면을 따라서 송풍덕트(14)가 설치되어 있고, 송풍덕트(14)의 선단 개구부(15) 및 중간 분출구(16)를 통해서 냉장실(2) 전체로 송풍되도록 되어 있다.
냉장실(2)의 하부에는 인출식 칠드케이스(17)가 배치되어 있다. 이 칠드케이스(17)의 내부단부에는 커버(18)와의 사이에 통풍구(19)가 형성되어 있고, 그 통풍구(19)가 송풍덕트(14)의 중간 분출구(16)와 대향하고 있다. 따라서 송풍덕트(14)로부터 송풍되는 냉기의 일부는 칠드케이스(17)에 직접적으로 송풍되도록 되어 있다.
야채실(3)의 배면에는 냉장용 냉각기실(20)(이하, R에버실)이 형성되어 있다.
즉, R에버실(20)을 단면으로 하여 상세하게 도시한 도 4에 있어서 R에버실(20)의 앞면에는 냉장용 냉각기실 커버(21)(이하, R에버실 커버)가 배치되어 있고, 그 R에버실 커버(21)에 의해 야채실(3)의 배면벽이 형성되어 있다. R에버실 커버(21)의 상부에는 분출구(22)가 형성되고, 그 아래쪽에는 복수의 흡입구(23)가 형성되어 있다.
R에버실 커버(21)의 이면에는 단열재(24)가 첨가 부착되어 있다. 이 단열재(24)에 있어서 R에버실 커버(21)의 흡입구(23)의 뒤쪽이 되는 부위는 R에버실 커버(21)의 이면에서 안쪽으로 이간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R에버실 커버(21)와 단열재(24)에 의해 흡입로(25)가 형성되어 있다. 단열재(24)와 냉장고 본체(12)와의 사이에는 냉장용 냉각기(26)(이하, R에버)가 배치되어 있고, 흡입구(23)로부터 흡입된 냉기가 흡입로(25)를 통해서 R에버(26)를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단열재(24)의 상부에는 송풍로를 형성하는 단열재(27)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그 단열재(27)에 냉장용 팬(28)(냉각팬에 상당, 이하 R팬)이 붙여 고정되어 있다. 이 R팬(28)은 단열재(27)의 배면측에서 붙여 고정되어 있고, 이에 의해 R팬(28)의 송풍방향은 도면 가운데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뒤쪽이 된다. 이 단열재(27)에는 분출구(29)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그 분출구(29)가 R에버실 커버(21)에 형성된 분출구(22)와 연통하고 있다. 따라서, R팬(28)에 의한 송풍된 냉기의 일부는 야채실(3)에도 직접 송풍되도록 되어 있다.
야채실(3)에는 문(8)과 일체화된 야채용기(30)가 수납되어 있고, 문(8)이 인출되는 것에 따라서 도시하지 않은 활차로 안내되어 앞쪽으로 인출되도록 되어 있다.
도 5는 야채실(3)을 단면으로 하여 도시하고 있다. 이 도 5에 있어서, 야채용기(30)의 상부에는 칠드케이스(31)(저온저장용기에 상당)가 탑재되어 있다. 즉, 야채용기(30)의 측벽 내면에는 활차용 비드(32)(도 6 참조)가 형성되어 있고, 그 활차용 비드(32)에 칠드케이스(31)의 바닥면에 설치된 활차(33)가 전동 가능하게 얹어 설치되어 있다. 이 활차용 비드(32)의 전단에는 함몰형상의 스토퍼부(34)가 형성되어 있고, 칠드케이스(31)의 활차(33)가 스토퍼부(34)에 빠진 상태에서 정위치로 위치 결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야채용기(30)의 바닥면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단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칠드케이스(31)의 용적을 확보하면서, 야채용기(30)에 크기가 다른 야채를 효율적으로 수납하기 위함이다. 또, 야채용기(30)의 앞부분에는 패트병의 수납에 적합한수납부(35)가 형성되어 있다.
칠드케이스(31)를 나타내는 도 7에 있어서, 칠드케이스(31)의 상단 둘레가장자리부에는 손잡이부(31a)와 일체화된 칼라(collar)부(31b)가 형성되어 있고, 그 칼라부(31b)에 커버(36)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탑재되어 있다.
여기에서 전후방향을 지향한 칼라부(31b)의 전단에는 돌기형상의 제 1 스토퍼부(37)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제 1 스토퍼부(37)로부터 소정 크기 뒤쪽이 되는 부위에 돌기형상의 제 2 스토퍼부(38)가 형성되어 있고, 커버(36)의 둘레가장자리단부가 제 1 스토퍼부(37)에 걸려진 상태에서는 칠드케이스(31)의 상면이 커버(36)에서 폐쇄됨과 동시에, 커버(36)가 뒤쪽으로 슬라이드된 상태에서는 커버(36)의 둘레가장자리부가 제 2 스토퍼부(38)에 걸림으로써 칠드케이스(31)의 상면이 반정도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 경우, 제 1 스토퍼부(37)와 제 2 스토퍼부(38) 사이는 높이가 0.5mm이고 폭이 2mm의 돌출부(39)(도 6 참조)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 칠드케이스(31)의 상단에는 L자형상의 걸기부(40)가 형성되어 있고, 그 걸기부(40)에 의해 커버(36)가 뜨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또, 칠드케이스(31)의 상단 뒷부분 및 커버(36)의 뒷부분에는 각각 안내부(41, 42)가 옆쪽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그 안내부(41, 42)가 야채실(3)의 내벽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내부상자 비트(43)(도 6 참조)에 삽입되어 있음으로써 칠드케이스(31) 및 커버(36)가 내부상자(43)를 따라서 슬라이드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칠드케이스(31)가 커버(36)로 폐쇄된 상태에서는 칠드케이스(31)의 후단부에 형성된 절개부(44)와 커버(36)의 후단부에 의해 통풍구(45)가 형성되는것이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칠드케이스(31)가 정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통풍구(45)에 R에버실 커버(21)의 앞면에 형성된 분출구(22)가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칠드케이스(31)의 커버(36)의 전단부에는 손잡이를 겸한 구멍(46)이 형성되어 있고, 칠드케이스(31)에 송풍된 냉기는 그 구멍(46)을 통해서 야채실(3)로 송풍되도록 되어 있다.
도 5로 되돌아와서 냉장실(2)과 야채실(3)과는 투명 간막이판(47)으로 간막이되어 있고, 그 투명 간막이판(47)의 후단부에 연통구(48)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냉장실(2)과 야채실(3)과는 연통하고 있고, 냉장실(2)로 송풍된 냉기는 야채실(3)에도 송풍되도록 되어 있다.
R에버실 커버(21)에 있어서 분출구(22)의 위쪽에는 리브(49)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칠드케이스(31)가 야채실(3)의 정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그 리브(49)의 아래쪽에 칠드케이스(31)의 커버(36)의 내부단부가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냉장실(2)로부터 투명 간막이판(47)의 연통구(48)를 통해서 야채실(3)로 송풍되는 냉기가 야채실(3)의 배면을 따라서 R에버실(20)에 쇼트리턴하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동실(6)의 배면에는 냉동용 냉각기실(50)(이하, F에버실)이 형성되어 있고, 그 F에버실(50)에 냉동용 냉각기(51)(이하, F에버) 및 냉동용 냉각팬(52)(이하, F팬)이 배치되어 있다. F팬(52)의 구동상태에서는 F에버(51)에서 생성된 냉기는 F팬(52)에 의해 제빙실(4), 온도전환실(5) 및 냉동실(6)로 순환 송풍된다.
여기에서 온도전환실(5)의 주위는 발포스티롤로 이루어지는 단열 간막이벽에 의해 구획되어 있고, 온도전환실(5)이 제빙실(4) 및 냉동실(6)로부터 독립하여 온도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온도전환실(5)에는 온도센서(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고, 댐퍼(도시하지 않음)의 개폐에 따라서 냉기가 온도전환실(5)로 송풍됨으로써 소정의 설정온도로 조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설정 온도로서는 사용자의 사용 용도에 따라서 설정되도록 되어 있고, 그 사용용도로서는 냉동실(약 -18℃), 부분냉동실(약 -3℃), 칠드실(약 0℃), 냉장실(약 2℃), 야채실(약 3℃), 와인냉각실(약 8℃)이 설정되어 있다.
도 8은 냉장고(1)의 냉각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도 8에 있어서 냉각유닛(53)은 인버터압축기(54), 응축기(55), R에버(26), F에버(51)를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냉장고(1)의 바닥면에 설치된 기계실에는 인버터 압축기(54)가 배치되어 있고, 그 인버터압축기(54)의 토출측은 냉장고(1)의 바닥면에 배설된 응축기(55)의 유입측에 접속되고, 응축기(55)의 유출측에는 삼방향밸브(56)의 유입측과 접속되어 있다. 삼방향밸브(56)의 한쪽 유출구는 냉장용 캐퍼러리(57)를 통해서 R에버(26)와 접속되고, 다른쪽 유출구는 냉동용 캐퍼러리(58)를 통해서 F에버(51)과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R에버(26)의 유출측과 F에버(51)의 유입측이 접속되어 있음과 동시에 F에버(51)의 유출측은 인버터압축기(54)의 흡입측과 접속되어 있다.
도 9는 냉각유닛(53)의 제어타이밍을 나타내고 있다. 이 도 9에 있어서, 냉각유닛(53)은 냉장실(2)의 온도가 설정 온도인 2℃보다도 높게 된 때는 냉장실 냉각모드(이하, R냉각모드)를 실행하고, 냉동실(6)의 온도가 -20℃보다도 높아진 때는 냉동실 냉각모드(이하, F냉각모드)를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즉, R냉각모드를 실행한 때는 삼방향밸브(56)의 전환에 의해 냉매를 R에버(26)에 공급한 상태에서 인버터압축기(54)를 140W의 출력으로 운전하고, F냉각모드를 실행한 때는 삼방향밸브(56)의 전환에 의해 냉매를 F에버(51)에 공급한 상태에서 인버터압축기(54)를 90W의 출력으로 운전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냉각유닛(53)은 R팬(28) 및 F팬(52)을 R냉각모드 및 F냉각모드의 실행에 따라서 구동하지만, R팬(28)에 있어서는 R에버(26)로의 냉매의 공급을 정지한 후에 있어서도 소정 시간(예를 들면 5분간)만 계속해서 구동하는 가습운전을 실시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은 R에버(26)에 부착한 성에를 증발시킴으로써 냉장고(1)의 송풍되는 냉기의 습도를 높이기 위함이고, 이렇게 냉장실(2)로 송풍되는 냉기의 습도를 높인 점이 본 냉장고의 특징이 되고 있다.
또, R에버(26) 및 F에버(51)에 선택적으로 냉매를 공급함으로써 이들 각 에버(26, 51)를 시분할로 냉각하는 것이기 때문에, 1개의 냉각기에서 냉장실 및 냉동실을 냉각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냉각유닛의 냉동능력이 낮아도 해결되고, 그 만큼 압축기로서 저출력, 바꿔 말하면 저소비전력의 압축기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해져, 이 점도 본 냉장고의 특징이 되고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냉장실(2)의 온도가 설정 온도인 2℃를 상회한 때는 냉각유닛(53)은 R냉각모드를 실행한다. 즉, 삼방향밸브(56)를 전환함으로써 냉매를 R에버(26)로 공급한 상태에서 인버터압축기(54)를 140W의 출력으로 운전한다. 이러한 운전상태에서는 R에버(26)는 약 -18℃로 냉각되기 때문에, R냉각모드의 실행에 따라서 R팬(28)이 구동한 상태에서는 약 -18℃의 냉기가 냉장실(2)로 송풍된다.
여기에서 냉장실(2)과 야채실(3)과는 투명 간막이판(47)으로 간막이되어 있지만, 투명 간막이판(47)의 소정 부위에는 연통구(48)가 형성되어 연통하고 있기 때문에, R냉각모드의 실행에 의해 냉장실(2)로 송풍된 냉기는 야채실(3)에도 송풍되게 되고, 야채실(3)의 온도가 저하한다. 이 경우, 야채실(3)로 송풍되는 냉기는 냉장실(2)을 통과할 때에 약간 열을 흡수하여 온도 상승하는 것이기 때문에, 냉장실(2)이 2℃로 냉각된 상태에서는 야채실(3)의 온도는 냉장실(2)의 온도보다도 약간 높은 3℃로 냉각된다.
한편, 냉동실(6)의 온도가 설정 온도인 -20℃를 상회한 때는 냉각유닛(53)은 F냉각모드를 실행한다. 즉, 삼방향밸브(56)를 전환함으로써 냉매를 F에버(51)에 공급한 상태에서 인버터압축기(54)를 90W의 출력으로 운전한다. 이러한 운전상태에서는 F에버(51)는 약 -25℃로 냉각되기 때문에, F냉각모드의 실행에 따라서 F팬(52)이 구동한 상태에서는 약 -25℃의 냉기가 제빙실(4) 및 냉동실(6)로 송풍된다.
또한, 온도전환실(5)에 있어서는 설정된 사용 용도에 따른 온도로 댐퍼의 개폐에 따라서 약 -25℃의 냉기가 송풍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설정용도에 따른 온도로 조정된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서는 냉각유닛(53)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R냉각모드의 실행이 종료한 경우는 소정 시간(예를 들면 5분간)만 R팬(28)의 구동을 계속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R냉각모드의 실행에 의해 약 -18℃로 냉각되어 있던 R에버(26)에는 냉매의 공급정지상태에서 냉장실(2) 및 야채실(3)을 순환 송풍하고 있던 약 2∼3℃의 냉기가 송풍되게 되기 때문에, R에버(26)에 부착하고 있는 성에가 단시간에 증발하게 된다. 이 결과, 냉장실(2) 및 야채실(3)을 순환 송풍하는 냉기의 습도는 약 35%에서 70%이상으로 단시간에 상승하게 된다.
이렇게 고습도의 냉기가 야채실(3)로 송풍되는 결과, 상면 개방타입의 야채용기(30)에 수납되어 있는 야채가 건조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야채의 장기 보존이 가능해진다.
한편, 야채용기(3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칠드케이스(31)에는 R에버(26)로부터 약 -18℃의 냉기가 직접 송풍되고 있다. 이 때, 칠드케이스(31)는 커버(36)에 의해 폐쇄되어 있음과 동시에, 커버(36)에는 리턴용 구멍(46)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칠드케이스(31)에 송풍된 냉기는 커버(36)에 형성된 구멍(46)을 통하여 야채실(3)로 송풍된다. 이에 의해 칠드케이스의 온도는 야채실(3)의 온도(약 3℃)보다도 1∼2℃ 낮은 온도(약 1∼2℃)로 냉각된다. 이 경우, 커버(36)에 형성된 구멍(46)은 손잡이로도 겸용하고 있기 때문에, 커버(36)에 손잡이를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다.
이렇게 R에버(26)에서의 냉기의 일부를 야채실(3)내의 칠드케이스(31)로 송풍하도록 구성한 결과, R팬(28)의 흡입측 압력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R에버(26)로부터의 냉기 모두를 냉장실(2)로 송풍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R팬(28)의 압력 손실차를 줄일 수 있어,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런데, 야채용기(30)를 인출한 때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야채용기(30)의 상부에 탑재된 칠드케이스(31)도 일체로 인출된다. 이 상태에서 칠드케이스(31)에 수납된 식품을 꺼낼 때는 칠드케이스(1)를 덮고 있는 커버(36)를 안쪽으로 민다. 그러면, 칠드케이스(31)의 제 1 스토퍼부(37)에 걸려 있던 커버(36)가 제 1 스토퍼부(37)를 타고 넘기 때문에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36)가 안쪽으로 슬라이드하여 제 2 스토퍼부(38)에 걸린 곳에서 커버(36)가 칠드케이스(31)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다. 이 때, 커버(36)는 칠드케이스(31)의 칼라부(31b)에 형성된 높이 0.5mm이고 폭이 2mm인 돌출부(39)상을 미끄럼 접촉하면서 슬라이드하기 때문에, 커버(36)의 슬라이드 시에 발생하는 상처가 돌출부(39)에 대응한 극히 좁은 범위로 한정되게 된다. 이에 의해 칠드케이스(31) 전체가 투명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고 해도, 칠드케이스(31)의 미관이 악화하는 일은 없다.
또, 야채용기(30)에 수납되어 있는 야채를 꺼낼 때는 야채용기(30)의 상부에 위치하는 칠드케이스(31)를 안쪽으로 민다. 그러면, 칠드케이스(31)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있는 활차(33)가 야채용기(30)의 내벽면에 형성되어 있는 활차용 비드(32)의 스토퍼부(34)에서 탈출하여 활차용 비드(32)위를 진행하고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활차용 비드(32)의 내부단에 맞닿은 곳에서 위치결정한다. 이 상태에서는 칠드케이스(31)의 상면은 커버(36)에 의해 완전히 폐쇄된다.
또한, 칠드케이스(31)의 커버(36)가 폐쇄상태, 또는 반개방상태에서 칠드케이스(31)를 안쪽으로 이동한 때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칠드케이스(31)에 형성된 안내부(41)가 커버(36)에 형성된 안내부(42)에 맞닿게 되기 때문에, 칠드케이스(31)의 안쪽으로의 이동에 따라서 커버(36)가 내부상자 비드(43)를 따라서 안쪽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야채용기(30)를 야채실(3)에 수납하기 위해서 야채용기(30)를 안쪽으로 이동하면, 칠드케이스(31)가 정지한 상태에서 야채용기(30)가 안쪽으로 이동하여, 칠드케이스(31)의 활차(33)가 야채용기(30)의 활차용 비드(32)의 스토퍼부(34)의 후단부에 위치한 곳에서 칠드케이스(31)가 야채용기(30)와 일체로 야채실(3)내에 위치결정되게 된다.
이러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냉각유닛(53)으로서 F에버(51)에 더하여 R에버(26)를 독립하여 설치함과 동시에, 냉장실(2)의 아래쪽으로 야채실(3)을 연통하여 설치하여, R냉각모드의 종료시에 R팬(28)의 운전을 소정 시간 계속함으로써 R에버(26)에 부착한 성에를 단시간에 증발시키는 가습모드를 실행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냉장실(2) 및 야채실(3)을 순환 송풍하는 냉기의 습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야채용기의 상면을 투습성 커버로 덮는 종래 구성과 비교하여 투습성 커버를 생략할 수 있어 야채용기(30)의 비용을 저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투습성 커버의 배치공간을 삭감하여 야채실(3)의 공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 냉장실(2)과 야채실(3)과의 사이를 투명 간막이판(47)으로 간막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냉장실(2)의 문(7)을 개방한 때에, 투명 간막이판(47)을 통하여 야채용기(30)에 수납되어 있는 야채를 확인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야채용기(30)의 상부에 칠드케이스(31)를 탑재하여 R에버(26)로부터의 냉기를 칠드케이스(31)에 직접적으로 송풍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야채용기(30)의 상부 공간을 이용하여 칠드실의 확대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R에버실(20)에 있어서는 단열재(24)의 배치를 궁리하여 R에버실 커버(21)와 단열재(24)에 의해 R에버(26)에 이르는 흡입로(25)를 형성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R에버실(20)의 구성을 간단화할 수 있어, 비용을 줄일 수 있음과 동시에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데에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 2 실시형태는 R에버실(20)의 R팬(28)을 R에버실(20)을 형성하기 위한 단열재의 앞면측에서 붙여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R에버실 커버(21)의 이면에 첨가 접착된 단열재(59)에는 흡입로(60)를 형성하기 위한 단열재(61)가 일체화되어 있고, 그 단열재(61)에 R팬(28)이 앞면측에서 장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R팬(28)의 구동상태에서는 냉기는 도면 가운데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앞쪽으로 송풍된다.
한편, 단열재(59)에는 분출구(62)가 형성되어 있고, 그 분출구(62)가 R에버실 커버(21)에 형성된 분출구(22)와 연통하고 있어, 이에 의해 R팬(28)의 구동상태에서는 R에버실 커버(21)의 분출구(22)로부터 냉기가 칠드케이스(31)로 송풍된다.
이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R에버실(20)을 형성하기 위한 단열재(61)에 R팬(28)을 앞면측에서 붙여 고정함으로써 송풍로가 반대방향이 되게 하여도, 단열재(61)의 형상을 궁리하여 송풍로를 형성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R에버실(20)의 구성을 간단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과 같이 변형 또는 확장할 수 있다.
냉장실(2) 및 야채실(3)만을 구비한 냉장고에 적용하여도 좋다.
R에버로의 냉매공급이 정지된 상태에서 R냉각팬을 구동할 때에 R냉각팬의 회전수를 높일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냉장실 및 야채실에 순환 송풍되는 냉기의 습도를 단시간에 높을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냉장고에 의하면, 냉각기실에 배치된 냉장용 냉각기에서 생성된 냉기를 냉각팬으로 송풍함으로써, 냉장실 및 야채실로 순환 송풍할 때에, 냉장용 냉각기로의 냉매의 공급이 정지된 상태에서 냉각팬을 구동함으로써 냉장용 냉각기에 부착된 성에를 증발시킴으로써 냉장실 및 야채실을 순환 송풍하는 냉기의 습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야채실에 수납된 야채용기로서 상면 개방타입을 사용할 수 있어, 야채용기의 비용을 줄일 수 있음과 동시에 야채실의 공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7)

  1. 압축기의 구동에 의해 냉동용 냉기를 생성하는 냉동용 냉각기 및 냉장용 냉기를 생성하는 냉장용 냉각기를 갖는 냉동사이클,
    냉장실내에 설치된 야채실,
    상기 야채실의 배면에 냉각기실 커버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냉장실용 냉각기가 수납된 냉장실용 냉각기실,
    상기 냉장실용 냉각기에 생성된 냉기를 상기 냉장실 및 상기 야채실로 순환송풍하는 냉장실용 냉각팬,
    냉동실의 배면에 구획되고, 냉동실용 냉각기가 수납된 냉동실용 냉각실,
    상기 냉동실용 냉각기에서 생성된 냉기를 상기 냉동실에 순환송풍하는 냉동실용 냉각팬,
    상기 냉장실용 냉각기로의 냉매의 공급을 정지하고, 냉동실용 냉각기로의 냉매의 공급으로 전환한 때에 상기 냉장실용 냉각팬의 구동은 계속함으로써 상기 냉장실용 냉각기에 부착된 성에를 증발시키는 가습운전을 실행하는 냉각유닛, 및
    상기 야채실에 수납된 상면 개방타입의 야채용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냉각유닛은 냉장용 냉각기로의 냉매의 공급을 정지하고 나서 냉각팬의 구동을 소정 시간 계속함으로써 가습운전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냉장실내의 하부에 야채실이 설치되고,
    상기 냉장실과 상기 야채실과는 투명 간막이판으로 간막이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야채용기의 상부에 저온저장용기를 배치하고,
    상기 저온저장용기내에 냉각팬에 의해 송풍된 냉기의 일부를 직접적으로 송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냉각기실 커버의 앞면에는 냉장실에서 야채실로 송풍된 냉기가 상기 냉각기실 커버의 앞면을 따라서 송풍되는 것을 방지하는 리브가 앞쪽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냉각기실은 냉장용 냉각기의 앞면측에 배치된 단열재와 냉각기실 커버와의 사이의 간격에 의해 상기 냉장용 냉각기에 이르는 냉기의 흡입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삭제
KR1019990010740A 1998-09-18 1999-03-29 냉장고 Expired - Lifetime KR1003362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264858 1998-09-18
JP26485898A JP3559715B2 (ja) 1998-09-18 1998-09-18 冷蔵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607A KR20000022607A (ko) 2000-04-25
KR100336221B1 true KR100336221B1 (ko) 2002-05-09

Family

ID=17409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0740A Expired - Lifetime KR100336221B1 (ko) 1998-09-18 1999-03-29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559715B2 (ko)
KR (1) KR100336221B1 (ko)
CN (1) CN1156666C (ko)
TW (1) TW4750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61306A1 (de) * 2001-12-13 2003-06-26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Kältegerät mit regelbarer Entfeuchtung
JP4268849B2 (ja) * 2003-09-10 2009-05-27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JP5103452B2 (ja) * 2009-09-09 2012-12-19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JP2014062669A (ja) * 2012-09-20 2014-04-10 Mitsubishi Electric Corp 冷蔵庫
JP6361020B2 (ja) * 2013-12-20 2018-07-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蔵庫
CN104521864A (zh) * 2015-01-07 2015-04-22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无水保活装置及具有该无水保活装置的制冷家电
CN105806007B (zh) * 2015-01-20 2019-02-01 青岛海尔特种电冰柜有限公司 制冷设备
DE102015222229A1 (de) * 2015-11-11 2017-05-11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kältegerät mit einem Frischhaltebehälter, dessen Frontwand eine Außenwand des Geräts ist
JP6625426B2 (ja) * 2015-12-25 2019-12-25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CN107439675B (zh) * 2017-09-22 2020-07-03 河北企美农业科技有限公司 蔬菜冷藏方法
CN111473571B (zh) * 2019-01-23 2023-04-18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冰箱的控制方法和冰箱
JP6754875B2 (ja) * 2019-08-08 2020-09-16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JP7465686B2 (ja) * 2020-03-18 2024-04-11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CN111486634A (zh) * 2020-04-03 2020-08-04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制冷设备及其控制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7109501B2 (ja) * 2020-06-05 2022-07-29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CN113915845A (zh) * 2020-07-08 2022-01-11 青岛海尔特种电冰箱有限公司 用于冷藏冷冻装置的控制方法及冷藏冷冻装置
CN115574531A (zh) * 2021-06-21 2023-01-06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冷藏冷冻装置的控制方法、冷藏冷冻装置
CN115574534A (zh) * 2021-06-21 2023-01-06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冷藏冷冻装置的控制方法及冷藏冷冻装置
CN115574533A (zh) * 2021-06-21 2023-01-06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冷藏冷冻装置的控制方法及冷藏冷冻装置
CN115574532A (zh) * 2021-06-21 2023-01-06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冷藏冷冻装置的控制方法及冷藏冷冻装置
JP2023097038A (ja) * 2021-12-27 2023-07-07 アクア株式会社 冷蔵庫及び食肉熟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48691A (zh) 2000-03-29
TW475050B (en) 2002-02-01
CN1156666C (zh) 2004-07-07
JP2000088432A (ja) 2000-03-31
JP3559715B2 (ja) 2004-09-02
KR20000022607A (ko) 2000-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6221B1 (ko) 냉장고
US20120011879A1 (en) Refrigerator
WO2018121664A1 (zh) 冰箱
JP2017072325A (ja) 冷蔵庫
JP5868070B2 (ja) 冷蔵庫
JP5417382B2 (ja) 冷蔵庫
JP3219692B2 (ja) 冷蔵庫
CN104422232B (zh) 冰箱
JP2006275297A (ja) 冷蔵庫
JP4641967B2 (ja) 貯蔵庫
JP3594544B2 (ja) 冷蔵庫
JP5941838B2 (ja) 冷蔵庫
JP7456854B2 (ja) 冷蔵庫
JP2018155488A (ja) 冷蔵庫
JP2000292046A (ja) 冷蔵庫
KR20090074961A (ko) 방열 기능을 구비한 냉장고 및 방열제어방법
JP4641968B2 (ja) 貯蔵庫
KR100200895B1 (ko) 냉장고
KR100549080B1 (ko) 냉장고
KR100451344B1 (ko)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냉장고의 급속냉동장치
KR200292004Y1 (ko) 냉장고
KR100195449B1 (ko) 냉장고의 얼음 디스펜서
KR20010061676A (ko) 냉장고의 신선실 겸용 야채박스
JP2007170778A (ja) 冷蔵庫
KR200345580Y1 (ko) 냉장고의 온도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3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12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111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012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11228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111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20325

Appeal identifier: 2001101004160

Request date: 20011228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20201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1228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10306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2032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20227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4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04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3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3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1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0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0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2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2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30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28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