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80091B1 - 방적기의 피이싱방법 - Google Patents

방적기의 피이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0091B1
KR100280091B1 KR1019970008374A KR19970008374A KR100280091B1 KR 100280091 B1 KR100280091 B1 KR 100280091B1 KR 1019970008374 A KR1019970008374 A KR 1019970008374A KR 19970008374 A KR19970008374 A KR 19970008374A KR 100280091 B1 KR100280091 B1 KR 100280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roller
sliver
spindle
spin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8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5001A (ko
Inventor
유우지 이마무라
Original Assignee
무라타 쥰이치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4663896A external-priority patent/JP293301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466419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302540A/ja
Application filed by 무라타 쥰이치,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무라타 쥰이치
Publication of KR970075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5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0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0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15/00Piecing arrangements ; Automatic end-finding, e.g. by suction and reverse package rotation; Devices for temporarily storing yarn during piecing
    • D01H15/002Piecing arrangements ; Automatic end-finding, e.g. by suction and reverse package rotation; Devices for temporarily storing yarn during piecing for false-twisting spinn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Abstract

항상 회전하고 있는 드래프트로울러(3)와 정지된 드래프트로울러(2)와의 사이에서 슬라이버(S)를 절단한 후, 종사(Y')를 가연장치(T)의 스핀들(8)에 삽통하고, 계속하여, 드래프트로울러의 재구동, 가연장치의 재구동 및 종사의 주행개시에 의하여 피이싱을 실시하도록 한 방적기의 피이싱방법에 있어서, 절단된 슬라이버의 이삭끝형상인 선단부(Sa)를 구성하는 대략 전부의 섬유를, 종사에 휘감기게하여 이음매부분을 형성하도록 한 방적기의 피이싱방법에 관한 것이다.
절단된 슬라이버의 이삭끝형상인 선단부를 구성하는 섬유의 대부분을, 이음매부분으로 관여시킬 수 있으므로, 피이싱의 성공률이 향상함과 아울러, 강도적으로도 강한 이음매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적기의 피이싱방법
본 발명은, 절단된 실을 연결하기 위한 방적기의 피이싱방법에 관한 것이다.
권취측의 실끝을, 방적기의 가연장치에 도입해두고, 그후, 방적을 재개하므로서, 가연장치에 공급되는 슬라이버의 선단부와, 가연장치에 도입된 권취측의 실(이하, 단순히, 「종사」라 함.)의 실끝 등을, 방적과정에서 연결하여 합치도록한 피이싱방법이 알려져 있다.
가연장치를 보유하는 일례로서의 방적기의 일부 단면을 함유하는 측면도인 도 4와 도 5, 절단된 이삭끝형상인 슬라이버의 선단부와 그 선단부가 연신된 상태를 표시하는 평면도인 도 6 및 연신된 상태의 슬라이버 선단부와 종사와의 종래의 이음매부분의 평면도인 도 7을 사용하여, 본 발명이 해결할려고 하는 과제에 대하여 설명한다.
D는 드래프트장치이고, 일례로서 4선식의 드래프트장치(D)가 표시되어있다. 드래프트장치(D)는, 백로울러(1), 서어드로울러(2), 에이프런벨트를 보유하는 미들로울러(3) 및 프런트로울러(4)의 4선으로 구성되어있다.
5는, 서어드로울러(2)와 미들로울러(3)와의 사이로 배설된 콘덴서이다. 드래프트장치(D)에 공급된 슬라이버(S)는, 드래프트장치(D)에 의하여 연신된 후에, 후술하는 가연장치에 공급되어서 실(Y)이 생성된다.
가연장치(T)는, 선회공기류를 생성하는 공기방적노즐(6)과, 그것을 지지하는 노즐블록(7)과, 공기방적노즐(6)의 내부(6a)에, 그 선단부(8a)를 위치시킨, 삽통공(8b)을 보유하는 스핀들(도사관)(8)과, 그것을 지지하는 스핀들지지부재(9)로부터 주로 구성된다. 공기방적노즐(6)의 내부(6a)가, 공기방적노즐(6)의 내부(6a)로 공급되는 슬라이버(S)를 구성하는 섬유와, 스핀들(8)의 삽통공(8b)으로 삽통되어서 공기방적노즐(6)의 내부(6a)에 안내되어있는 종사(Y')와의 연결합침이 실시되는 피이싱영역으로 된다.
공기방적노즐(6)에는, 선회흡기류를 발생하기 위한 복수의 공기분사공(6b)이 천설되어있다.
10은, 노즐블록(7)과 스핀들지지부재(9)와의 사이로 형성되는 공기실이고, 공기실(10)은, 흡인공(11)을 개재하여, 도시되어있지 않는 약한 흡인압으로 공기를 흡인하는 공기흡인원에 연결되어있고, 방적중은, 공기방적노즐(6)의 공기분사공(6b)에서 분출되는 공기의 도주구멍으로서 작용함과 아울러, 방적중에 공기실(10)내로 발생하는 부유섬유 등을 흡인제거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12는, 노즐블록(7)측의 스핀들지지부재(9)의 측벽으로 형성된 슬릿이고, 또, 13은, 스핀들지지부재(9)의 슬릿(12)에 대향하여, 스핀들지지부재(9)측의 노즐블록(7)의 측벽에 형성된 슬릿이다. 후술하듯이, 노즐블록(7)과 스핀들지지부재(9) 등이 결합됐을 때에, 스핀들(8)의 삽통공(8b)으로 삽통되고, 그 선단부(8a)에서 나오는 종사(Y')가, 슬릿(12,13)에 들어가며, 노즐블록(7)의 측벽과 스핀들지지부재(9)의 측벽 등에 의하여 협지되지 않도록 구성되어있다.
14는 실린더이고, 실린더(14)의 피스톤로드(15)의 선단에, 스핀들지지부재(9)의 하부프레임(16)이 부착되어있다. 따라서, 실린더(14)를 작동시켜서, 스핀들지지부재(9)를 좌우로 이동시키므로서, 스핀들지지부재(9)를, 노즐블록(7)으로부터 멀어지거나 혹은 노즐블록(7)과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있다. 17은 스핀들(8)의 삽통공(8b)으로 삽통되며, 그 선단부(8a)에서 인출되고, 그후, 슬릿(12,13)으로 삽통되어있는 종사(Y')를 흡인유지하기 위한 흡인부재이다.
18은, 항상 회전구동되어있는 딜리버리로울러(19)에 접리자재한 닙로울러이고, 딜리버리로울러(19)에 닙로울러(18)를 접촉시켜서, 방출된 실(Y)을, 도시되어있지 않는 권취장치방향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되어있다.
방적기가 실(Y)을 방출하고 있는 가동상태에 있어서는, 드래프트장치(D)에 공급된 슬라이버(S)는, 드래프트장치(D)에 의하여 연신된 후에, 가연장치(T)에 의하여 가연되어서, 실(Y)이 생성되게된다. 즉, 가연장치(T)의 공기방적노즐(6)에 공급된 슬라이버(S)를 구성하는 섬유는, 공기분사공(6b)으로부터 분출된 선회공기류에 의하여 선회되면서, 선단부(8a)로부터 스핀들(8)의 삽통공(8b)에 들어가고 실(Y)로 생성된다.
실의 절단이 발생한 경우에는, 도시하지않는 검출센서로부터 검출신호가 발신되며, 그것에 따라, 백로울러(1)에 접속된 도시되어있지 않는 클러치를 개재하여 백로울러(1) 및 서어드로울러(2)의 회전이 정지되어서 슬라이버(S)의 공급이 정지된다. 가연장치(T)는, 의연하게 가동을 계속하고 있다. 정지된 서어드로울러(2)와, 구동을 계속하는 미들로울러(3)와의 사이에 있어서, 즉시, 슬라이버(S)가, 도 6(a)에 표시되어있듯이, 그 선단부(Sa)가 이삭끝형상으로 잘게 찢어진다. 또, 소정시간후, 공기분사공(6b)에서의 공기의 분출을 정지시켜서, 가연장치(T)의 가동을 정지시킨다. 또, 닙로울러(18)를 딜리버리로울러(19)로부터 배반시킨다.
계속하여, 실린더(14)를 작동시켜서, 피스톤로드(15)를 진출시켜, 스핀들지지부재(9)를, 노즐블록(7)으로부터 배반시킴과 아울러, 권취패키지에 말려들게하며, 공지의 삭션마우스에 의하여 권취패키지로부터 인출된 종사(Y') 혹은 다른 패키지로부터 되감기된 종사(Y')를, 스핀들(8)의 삽통공(8b)으로 삽통하여, 그 선단부(8a)로부터 인출한다. 계속하여, 실린더(14)를 작동시켜서, 피스톤로드(15)를 후퇴시켜, 스핀들지지부재(9)와 노즐블록(7)을 결합한다. 노즐블록(7)과 스핀들지지부재(9)가 결합하여도, 종사(Y')는 상기된 슬릿(12,13)으로 들어가므로, 노즐블록(7)의 측벽과 스핀들지지부재(9)의 측벽에 의하여 협지되는 일은 없다.
슬릿(12,13)으로 삽입된 종사(Y')는 소정의 길이흡인부재(17)로 삽입되어서 흡인유지된다.
그후, 정지되어있던 백로울러(1) 및 서어드로울러(2)의 회전을 재개하고, 백로울러(1) 및 서어드로울러(2)에 협지되어, 그 선단부(Sa)가 서어드로울러(2)와 미들로울러(3)와의 사이로 위치하고 있는 슬라이버(S)를 이송한다. 백로울러(1) 및 서어드로울러(2)의 재차 구동의 직후에, 닙로울러(18)를 딜리버리로울러(19)에 접촉시켜서, 닙로울러(18)와 딜리버리로울러(19)에 의하여 종사(Y')를 주행시킴과 아울러, 가연장치(T)를 재차 가동하며, 즉, 공기분사공(6b)으로부터 공기를 분출시킨다. 그랬더니, 프런트로울러(4)에서 송출된 슬라이버(S)를 구성하는 섬유가, 공기방적노즐(6)의 도입구(6c)로 도입되어서, 스핀들(8)의 선단부(8a) 부근에 있어서, 주행을 개시한 종사(Y')에 휘감겨지는 피이싱이 수행되게 된다.
그런데, 정지되었던 백로울러(1) 및 서어드로울러(2)를 재차 구동하면, 도 6(a)에 표시되어있듯이, 서어드로울러(2)와 미들로울러(3) 사이에서 잘게 찢어진 이삭끝형상인 슬라이버(S)의 선단부(Sa)가, 미들로울러(3) 방향으로 이동하고, 미들로울러(3) 및 프런트로울러(4)에 의하여 연신되고, 도 6(b)에 표시되어있듯이, 가늘고 긴 바늘형상부분(Sb)으로 된다. 예컨대, 서어드로울러(2)와 미들로울러(3)와의 드래프트비가 40∼50배이고, 서어드로울러(2)와 미들로울러(3) 사이에서 잘게찢어진 이삭끝형상인 슬라이버(S)의 선단부(Sa)의 길이가 10㎜라고 하면, 미들로울러(3) 및 프런트로울러(4)에 의하여 연신된 가늘고 긴 바늘형상부분(Sb)의 길이는, 400∼500㎜에도 된다.
또, 보통 스핀들(8)의 삽통공(8b)으로 삽통되어서 흡인부재(17)에 흡인유지되어있는 종사(Y')의 스핀들(8)의 선단부(8a)로부터의 길이는, 보통, 200㎜ 정도로 되어있으므로, 실의 연결부분의 상태는, 도 7에 표시되어있듯이, 종사(Y')에는 가늘고 긴 바늘형상부분(Sb)의 선단부(Sb')가 휘감기고 있는데 불과하다.
따라서 종사(Y')에 휘감겨진 가늘고 긴 바늘형상부분(Sb)의 선단부(Sb')가, 종사(Y')로부터 빠져나오고, 재차, 실의 절단이 발생하거나, 혹은, 종사(Y')에 휘감겨져 있지않는 가늘고 긴 바늘형상부분(Sb)의 강도적으로 약한 곳에서, 재차, 실의 절단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된 종래의 방적기의 피이싱방법이 보유하는 과제를 해결함과 아울러, 굵기나 형상의 양호한 이음매부분을 형성할 수 있는 방적기의 피이싱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방법에 의하여 형성되는 이음매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방법에 의하여 형성되는 다른 이음매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방법에 의하여 형성되는 더욱이 다른 이음매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4는, 가연장치를 보유하는 일례로서의 방적기의 일부 단면을 함유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똑같이 가연장치를 보유하는 일례로서의 방적기의 일부 단면을 함유하는 측면도이다.
도 6은, 절단된 이삭끝형상인 슬라이버의 선단부와 그 선단부가 연신된 상태를 표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연신된 상태의 슬라이버 선단부와 종사와의 종래의 이음매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례로서의 방적기의 일부 단면을 함유하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피이싱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 8과 마찬가지의 방적기 등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피이싱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 8과 마찬가지의 방적기 등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피이싱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 8과 마찬가지의 방적기 등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피이싱방법에 사용되는 에어서커부재의 헤드부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피이싱방법에 사용되는 에어서커부재의 헤드부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슬라이버의 절단부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재차 절단된 슬라이버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하여 형성된 이음매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하여 형성된 이음매부분의 평면도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1로는, 항상 회전하고 있는 드래프트로울러와 정지된 드래프트로울러와의 사이에서 슬라이버를 절단한 후, 종사를 가연장치의 스핀들에 삽통하고, 계속하여, 드래프트로울러의 재차 구동, 가연장치의 재차 구동 및 종사의 주행개시에 의하여 피이싱을 실시하도록 한 방적기의 피이싱방법에 있어서, 절단된 슬라이버의 이삭끝형상인 선단부를 구성하는 대략 전부의 섬유를, 종사에 휘감기게하여 이음매부분을 형성하도록 한 것이고, 제2로는, 종사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종사에, 절단된 슬라이버의 이삭끝형상인 선단부를 구성하는 섬유를 접촉시켜, 계속하여 종사의 주행을 개시한 것이고, 제3으로는, 주행하고 있는 종사에, 절단된 슬라이버의 이삭끝형상인 선단부를 구성하는 섬유를 접촉시키도록 한 것이다.
(실시예)
아래에서, 본 발명방법에 의하여 형성된 이음매부분의 평면도인 도 1 내지 도 3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피이싱할 때에는, 종사(Y')는, 스핀들(8)의 삽통공(8b)으로 삽통되고, 그 선단부(8a)로부터 인출되며, 그리고 결합된 노즐블록(7)과 스핀들지지부재(9)의 슬릿(12,13)을 거쳐서 흡인부재(17)로 삽입되어서 흡인유지되어 있다. 그후, 정지되었던 백로울러(1) 및 서어드로울러(2)의 구동을 재개하고, 그 직후에, 닙로울러(18)를 딜리버리로울러(19)에 접촉시켜서 종사(Y')를 주행시킴과 아울러, 가연장치(T)를 재차 가동하므로서, 공기방적노즐(6)의 내부(6a)로 공급된 슬라이버(S)를 구성하는 섬유가 종사(Y')에 휘감기며 피이싱이 실시되게 된다.
그런데, 실의 절단이 발생한 경우에는, 백로울러(1)와 서어드로울러(2)의 회전이 정지되어서, 슬라이버(S)는 정지된 서어드로울러(2)와, 회전을 계속하는 미들로울러(3)와의 사이에 있어서, 도 6(a)에 표시되어 있듯이, 그 선단부(Sa)가 이삭끝형상으로 잘게 찢어지지만, 이런 이삭끝형상인 선단부(Sa)의 길이(La)는, 사용되어있는 슬라이버나 방적기의 구동조건 등이 동일하면, 대략 일정된 길이를 보유하고 있다. 또, 이 선단부(Sa)는, 미들로울러(3) 및 프런트로울러(4)에 의하여 연신되고, 도 6(b)에 표시되어있듯이, 가늘고 긴 바늘형상부분(Sb)으로 형성되지만, 이 길이(Lb)는, 미들로울러(3)와 프런트로울러(4)에 의한 드래프트비(R)에, 상기한 이삭끝형상인 선단부(Sa)의 길이(La)를 곱한 것, 즉, Lb=La×R로 된다.
또, 피이싱할 때에는, 닙로울러(18)를 딜리버리로울러(19)에 접촉시켜서 종사(Y')를 주행시킴과 아울러, 이것과 대략 동시에, 가연장치(T)를 재차 가동시킨다. 그리고, 이 닙로울러(18)와 딜리버리로울러(19) 등에 의한 종사(Y')의 주행개시된 소정시간전에, 정지되었던 백로울러(1) 및 서어드로울러(2)의 회전을 재개하게 된다. 이 소정시간은, 절단되어서, 서어드로울러(2)와 미들로울러(3) 사이로 위치하고 있는 슬라이버(S)의 이삭끝형상인 선단부(Sa)를 구성하는 섬유가, 미들로울러(3) 및 프런트로울러(4)에 의하여 연신되어서, 스핀들(8)의 선단부(8a)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t)이다.
따라서, 슬라이버(S)의 이삭끝형상인 선단부(Sa)를 구성하는 섬유의 종사(Y')에 휘감겨지게되는 스핀들(8)의 선단부(8a)로부터, 흡인부재(17)로 흡인유지되어있는 종사(Y')의 선단까지의 길이(Ly)를, 상기한 미들로울러(3)와 프런트로울러(4)에 의한 드래프트비(R)에, 상기한 이삭끝형상인 선단부(Sa)의 길이(La)를 곱한 것, 즉, 가늘고 긴 바늘형상부분(Sb)의 길이(Lb)=La×R로 대략 동일한 길이로 한다. 또, 서어드로울러(2)와 미들로울러(3) 사이로 위치하고 있는 슬라이버(S)의 이삭끝형상인 선단부(Sa)를 구성하는 섬유가, 미들로울러(3) 및 프런트로울러(4)에 의하여 연신되어서, 스핀들(8)의 선단부(8a)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t)만큼, 백로울러(1)와 서어드로울러(2)의 회전개시를, 닙로울러(18)와 딜리버리로울러(19) 등에 의한 종사(Y')의 주행개시보다 선행시키게하면, 도 1에 표시되어있듯이, 미들로울러(3) 및 프런트로울러(4)에 의하여 연신된, 가늘고 긴 바늘형상부분(Sb)이, 대략 전체길이가, 종사(Y')에 휘감기고, 도 7에 표시되어있듯이, 방출되는 실에, 가늘고 강도적으로 약한 부분이 형성되는 일은 없다.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닙로울러(18)를 딜리버리로울러(19)에 접촉시켜서 종사(Y')의 주행이 시작하는 시점에서, 슬라이버(S)의 이삭끝형상인 선단부(Sa)를 구성하는 섬유가, 스핀들(8)의 선단부(8a)에 위치하고, 확실하게 주행할려고 하고 있는 종사(Y')가 도달하게 된다. 즉, 슬라이버(S)의 이삭끝형상인 선단부(Sa)를 구성하는 섬유가, 스핀들(8)의 선단부(8a)에 도달한 시점에서, 종사(Y')의 주행이 개시하게 된다.
스핀들(8)의 선단부(8a)에서 나오고 있는 종사(Y')에, 보다 확실하게, 슬라이버(S)의 이삭끝형상인 선단부(Sa)를 구성하는 섬유를 휘감기게하기 위해서는, 슬라이버(S)의 이삭끝형상인 선단부(Sa)를 구성하는 섬유가, 스핀들(8)의 선단부(8a)에 도달한 시점에서, 소정시간, 종사(Y')의 주행이 정지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슬라이버(S)의 이삭끝형상인 선단부(Sa)를 구성하는 섬유가, 정지하고 있는 종사(Y')에 휘감겨진 후에, 닙로울러(18)를 딜리버리로울러(19)에 접촉시켜서 종사(Y')의 주행을 개시한다. 슬라이버(S)의 이삭끝형상인 선단부(Sa)를 구성하는 섬유가, 스핀들(8)의 선단부(8a)에 도달한 시점에서는, 종사(Y')가 정지하고 있으므로, 상기한 선단부(Sa)를 구성하는 섬유의 최초의 부분은, 종사(Y')와 충돌하여, 혹모양부분(S)을 형성하게 된다. 이 혹모양부분(S)이, 도 2에 표시되어있듯이, 종사(Y')에 휘감겨서, 후속하는 슬라이버(S)를 구성하는 섬유의 종사(Y')에 휘감겨진 거점을 형성하고, 보다 확실한 피이싱을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소정시간, 종사(Y')는 정지해있으므로, 이 부분은, 스핀들(8)의 선단부(8a)로부터, 흡인부재(17)에 흡인유지되어있는 종사(Y')의 선단까지의 길이를, 상기한 길이(La×R)보다 짧게하여도 좋다.
상기한 바와같이, 슬라이버(S)의 이삭끝형상인 선단부(Sa)를 구성하는 섬유가, 정지하고 있는 종사(Y')와 접촉하고 있으므로, 주행하고 있는 종사(Y')에 접촉하는 것보다, 더 확실하게, 슬라이버(S)의 이삭끝형상인 선단부를 구성하는 섬유가, 종사(Y')에 휘감길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사용하는 슬라이버(S)가 보풀이 적게일고, 혹은 그 표면이 미끌어지기 쉬운 경우에 유효하다. 또, 슬라이버(S)의 이삭끝형상인 선단부(Sa)를 구성하는 섬유가, 스핀들(8)의 선단부(8a)에 위치한 시점에서, 이미, 종사(Y')의 주행이 시작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이미, 종사(Y')의 주행이 시작하고 있으므로, 슬라이버(S)의 이삭끝형상인 선단부(Sa)를 구성하는 섬유는, 종사(Y')의 표면상을 활주하여 휘감기기 어렵고, 슬라이버(S)의 이삭끝형상인 선단부(Sa)를 구성하는 섬유의 최초의 부분은, 공기방적노즐(6)의 공기분사공(6b)으로부터의 분출공기에 의하여 형성되는 선회류에 의하여 실모양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와같이 형성된 실모양부분이, 도 3에 표시되어있듯이, 주행하고 있는 종사(Y')에 휘감겨져서 피이싱이 실시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미리 종사(Y')는 주행을 개시하고 있으므로, 스핀들(8)의 선단부(8a)로부터, 흡인부재(17)로 흡인유지되어있는 종사(Y')의 선단까지의 길이는, 상기한 길이 Lb=La×R보다 길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구성되어있으므로, 아래에 기재하는 효과를 성취할 수 있다.
절단된 슬라이버의 이삭끝형상인 선단부를 구성하는 섬유의 대부분을, 이음매부분으로 관여시킬 수 있으므로, 피이싱의 성공률이 향상함과 아울러, 강도적으로도 강한 이음매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를 도 8 내지 도 17에 따라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1로는, 항상 회전하고 있는 드래프트로울러와 정지된 드래프트로울러와의 사이에서 슬라이버를 절단한 후, 종사를 가연장치의 스핀들에 삽통하고, 계속하여, 정지된 드래프트로울러를, 소정시간 구동한 후 정지시켜, 그후에, 정지된 드래프트로울러의 재구동, 가연장치의 재구동 및 종사의 주행개시에 의하여 피이싱을 실시하도록 한 것이고, 제2로는, 가연장치의 스핀들에 삽통된 종사의 선단부분을 해섬하도록 한 것이고, 제3으로는, 슬라이버를 구성하는 섬유가 휘감겨진 부분 사이로, 섬유가 휘감겨져 있지않는 부분을 존재시키도록하여 이음매를 구성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례로서의 방적기의 일부 단면을 함유하는 측면도인 도 8, 본 발명의 피이싱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 8과 마찬가지의 방적기 등의 측면도인 도 9 내지 도 11, 본 발명의 피이싱방법에 사용되는 에어서커부재의 헤드부의 수직단면도인 도 12, 본 발명의 피이싱방법에 사용되는 에어서커부재의 헤드부의 사시도인 도 13, 슬라이버의 절단부의 평면도인 도 14 및 재차 절단된 슬라이버의 평면도인 도 15 및 본 발명에 의하여 형성된 이음매의 평면도인 도 16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취지를 초과하지 않는한, 하등, 본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최초로, 본 발명의 피이싱방법이 적용되는 방적기에 대하여, 도 8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D는, 드래프트장치이고, 일례로서 4선식의 드래프트장치(D)가 표시되어있다. 드래프트장치(D)는, 백로울러(101), 서어드로울러(102), 에이프론벨트를 보유하는 미들로울러(103) 및 프런트로울러(104)의 4선으로 구성되어있다.
105는, 서어드로울러(102)와 미들로울러(103)와의 사이로 배설된 콘덴서이고, 드래프트장치(D)에 공급된 슬라이버(106)는, 드래프트장치(D)에 공급되어서 연신된 후에, 후술하는 가연장치(T)에 공급되어서 실(Y)이 생성되게 된다.
가연장치(T)는, 공기압분사에 의하여 선회공기류를 발생하는 공기방적노즐(107)과, 그것을 지지하는 노즐블록(108)과, 공기방적노즐(107)의 내부(107a)에, 그 선단부(109a)를 위치시킨, 삽통공(109b)을 보유하는 스핀들(도사관)(109)과, 그것을 지지하는 스핀들지지부재(110) 등에서 주로 구성되어있다. 공기방적노즐(107)의 내부(107a)가, 공기방적노즐(107)의 내부(107a)에 공급되는 슬라이버(106)를 구성하는 섬유와, 스핀들(109)의 삽통공(109b)으로 삽통되어서 공기방적노즐(107)의 내부(107a)로 안내되어있는 종사(Y')와의 연결합침이 실시되는 피이싱영역으로 된다.
공기방적노즐(107)에는, 선회공기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복수의 공기분사공(107b)이 천설되어있다. 111은, 노즐블록(108)과 스핀들지지부재(110)와의 사이로 형성되는 공기실이고, 공기실(111)은, 흡인공(12)을 개재하여, 도시되어있지 않는 약한 흡인압으로 공기를 흡인하는 공기흡인원에 연결되어있고, 방적중은, 공기방적노즐(107)의 공기분사공(107b)에서 분출되는 공기의 도주구멍으로서 기능함과 아울러, 방적중에 공기실(111)내로 발생하는 부유섬유 등을 흡인제거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113은, 노즐블록(108)측의 스핀들지지부재(110)의 측벽에 형성된 슬릿이고, 또, 114는, 스핀들지지부재(110)의 슬릿(113)과 대향하고, 스핀들지지부재(110)측의 노즐블록(108)의 측벽에 형성된 슬릿이다. 후술하듯이, 노즐블록(108)과 스핀들지지부재(110)가 결합되었을 때에, 스핀들(109)의 삽통공(109b)으로 삽통되고, 그 선단부(109a)에서 인출된 종사(Y')가 슬릿(113,114)으로 들어가고, 노즐블록(108)의 측벽과 스핀들지지부재(110)의 측벽 등에 의하여 협지되지않도록 구성되어있다.
115는 실린더이고, 실린더(115)의 피스톤로드(116)의 선단으로, 스핀들지지부재(110)의 하부프레임(117)이 부착되어있다. 따라서, 실린더(115)를 작동시켜서, 스핀들지지부재(110)를 좌우로 이동시키므로서, 스핀들지지부재(110)를, 노즐블록(108)으로부터 이간하거나 혹은 노즐블록(108)과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있다.
118은, 항상 회전구동되어있는 딜리버리로울러(19)에 접리자재한 닙로울러이고, 딜리버리로울러(119)에 닙로울러(118)를 접촉시켜서, 방출된 실(Y) 혹은 피이싱작업할 때의 종사(Y')를, 도시되어있지않는 권취장치방향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되어있다.
방적기가 실(Y)을 방출하고 있는 가동상태에 있어서는, 드래프트장치(D)에 공급된 슬라이버(106)는, 드래프트장치(D)에 의하여 연신된 후에, 가연장치(T)에 의하여 가연되어서, 실(Y)이 생성하게 된다. 즉, 가연장치(T)의 공기방적노즐(107)에 공급된 슬라이버(106)를 구성하는 섬유는, 공기분사공(107)으로부터 분출되는 선회공기류에 의하여 선회되면서, 선단부(109a)에서 스핀들(109)의 삽통공(109b)으로 들어가며, 실(Y)로 생성된다. 생성된 실(Y)은, 항상 회전구동되어있는 딜리버리로울러(119)와 그 딜리버리로울러(119)에 접촉하고 있는 닙로울러(118) 등에 의하여 송출되며, 도시되어있지않는 권취패키지에 감겨진다.
실의 절단이 발생한 경우에는, 도시하지않은 실의 절단검출센서로부터 검출신호가 발신되고, 그것에 따라, 백로울러(101)에 접속된, 도시되어있지않은 클러치를 개재하여 백로울러(101) 및 서어드로울러(102)의 회전이 정지되어서 슬라이버(106)의 공급이 정지된다. 가연장치(T)는, 의연하게 가동을 계속하고 있다. 정지된 서어드로울러(102)와, 회전을 계속하는 미들로울러(103)와의 사이에 있어서, 즉시, 슬라이버(106)가 그 선단이 붓의 이삭끝형상으로 잘게 찢어진다. 또, 소정시간후, 공기분사공(107b)으로부터의 공기의 분출을 정지시켜서, 가연장치(T)의 가동을 정지시킨다. 또, 닙로울러(118)를, 회전구동하고 있는 딜리버리로울러(119)에서 이간시킨다.
계속하여, 실린더(115)를 작동시켜서, 피스톤로드(116)를 진출시켜, 스핀들지지부재(110)를 노즐블록(108)으로부터 떨어져나가게함과 아울러, 권취패키지에 말려들게하여, 공지의 삭션마우스에 의하여 권취패키지에서 인출된 종사(Y') 혹은 별도로 준비된 패키지로부터 인출된 종사(Y')의 선단부를, 한쌍의 구동로울러(120,121)에 의하여 잡아두고 있는 트랜스퍼아암부재(A)를, 스핀들(109)의 실배출구(109c)에 접근하여 배치한다. 한편, 스핀들지지부재(110)와 노즐블록(108)과의 사이에는, 후술하는 에어서커부재(S)의 헤드부(S')를 스핀들(109)의 선단부(109a)에 접근하도록 배치한다.
그후, 헤드부(S')의 흡인동작 및 트랜스퍼아암부재(A)의 구동로울러(120,121)에 의한 종사(Y')의 송출동작에 의하여, 스핀들(109)의 삽입공(109b)에 종사(Y')를 삽통함과 아울러, 필요에 따라서, 후술하도록 헤드부(S')에 의하여 종사(Y')의 해섬작업을 실시한다(도 9 및 도 10을 참조할 것).
계속하여, 도 11에 표시되어있듯이, 종사(Y')를 흡인유지하고 있는 에어서커부재(S)를 하강시킴과 아울러, 실린더(115)를 작동시켜서, 피스톤로드(116)를 후퇴시켜, 스핀들지지부재(110)와 노즐블록(108)을 결합한다. 노즐블록(108)과 스핀들지지부재(110)가 결합하여도, 종사(Y')는 슬릿(113,114)으로 들어가므로, 노즐블록(108)의 측벽과 스핀들지지부재(110)의 측벽 등에 의하여 협지되는 일은 없다.
상기한 스핀들(109)의 삽입공(109b)으로의 종사(Y')의 삽통작업후에서, 닙로울러(118)와 딜리버리로울러(119)에 의한 종사(Y')의 주행개시 및 가연장치(T)의 재가동에 의한 피이싱작업개시전에, 정지되었던 백로울러(101) 및 서어드로울러(102)를, 소정시간 구동시킨 후 정지시키므로써, 재차, 항상 회전하고 있는 미들로울러(103)와 재차 정지된 서어드로울러(102)와의 사이에서, 슬라이버(106)의 절단부(b1)를 절단하고, 절단된 이삭끝형상부분(b3)을 형성한다. 도 11에 표시되어있듯이, 절단된 이삭끝형상부분(b3)이, 미들로울러(103) 혹은/ 및 프런트로울러(104)에 협지되어있듯이, 재차 회전되는 백로울러(101) 및 서어드로울러(102)의 구동시간을 조정한다. 재차 회전되는 백로울러(101) 및 서어드로울러(102)의 구동시간이 길면,절단된 이삭끝형상부분(b3)이, 공기방적노즐(107)의 도입구(107c)까지 도달해버리고, 그 도입구(107c)에 막혀서, 피이싱이 실시못하게 된다고하는 트러블이 발생하게 된다.
그후, 재차 정지된 백로울러(101) 및 서어드로울러(102)의 회전을 재개하여, 절단된 이삭끝형상부분(b3) 및 짧은 이삭끝형상인 절단부(b2)가 서어드로울러(102)와 미들로울러(103)와의 사이로 위치하여 있는 슬라이버(106)를 함께 이송한다.
또, 백로울러(10) 및 서어드로울러(102)의 구동직후에, 닙로울러(118)를 딜리버리로울러(119)에 접촉시켜서, 닙로울러(118)와 딜리버리로울러(119)에 의하여 종사(Y')를 협지하여 주행시킴과 아울러, 가연장치(T)를 재가동, 즉, 공기분사공(107b)으로부터 공기를 분출시킨다.
그랬더니, 우선 최초로, 절단된 이삭끝형상부분(b3)이 공기방적노즐(107)의 도입구(107c)에 도입되어서, 절단된 이삭끝형상부분(b3)을 구성하는 섬유가, 스핀들(109)의 선단부(109a) 부근에 있어서, 주행을 개시한 종사(Y')에 휘감겨진다. 절단된 이삭끝형상부분(b3)을 구성하는 섬유가, 주행을 개시한 종사(Y')에 휘감겨진 후에, 후속하는 짧은 이삭끝형상인 절단부(b2)를 보유하는 슬라이버(106)를 구성하는 섬유가 종사(Y')에 휘감겨질 때까지의 사이는, 종사(Y')에 휘감겨지는 섬유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종사(Y')만으로 되고, 그후, 짧은 이삭끝형상인 절단부(b2)를 보유하는 슬라이버(106)를 구성하는 섬유가 종사(Y')에 휘감겨지고, 피이싱이 실시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이음매는, 도 16(a)에 표시되어있듯이, 종사(Y')에는, 짧은 이삭끝형상인 절단부(b2)를 보유하는 슬라이버(106)를 구성하는 섬유가, 종사(Y')에 휘감겨져서 형성된 피이싱부분(p1)과, 종사(Y')만의 부분(p2) 및 절단된 이삭끝부분(b3)을 구성하는 섬유가 종사(Y')에 휘감겨져서 형성된, 상기한 피이싱부분(p1)에서 분리된 부분(p3) 등이 존재하게 된다. 상기한 피이싱부분(p1)에서 분리된 부분(p3)은, 단지, 종사(Y')에 감겨져있을 뿐이므로, 권취패키지에 감겨질 때까지의 사이에 날려져서 제거되는 경우가 있고, 또, 분출공기를 닿게하므로서, 종사(Y')에서 제거할 수 있다.
물론, 종사(Y')에 부착시킨 대로 하여둘 수도 있다.
그런데, 피이싱작업할 때에, 닙로울러(118)와 딜리버리로울러(119)에 의하여 협지되어서 주행하고 있는 종사(Y')에, 슬라이버(106)를 구성하는 섬유를 보다 확실하게 부착시키기 위하여, 스핀들(109)에 삽통된 종사(Y')를 해섬하여, 보풀을 일으키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한 피이싱부분(p1)에서 분리된 부분(p3)에 위치하는 종사(Y')는 해섬하는 일없이, 분리된 부분(p3)이 제거하기 쉽게 되도록 하며, 또, 피이싱부분(p1)에 위치하는 종사(Y')는 해섬하여, 보풀이 일어서게 되므로서, 짧은 이삭끝형상인 절단부(b2)를 보유하는 슬라이버(106)를 구성하는 섬유가, 종사(Y')의 보풀이 일어선 섬유 등이 섞여져서 휘감기며, 보다 확실한 피이싱은 실시됨과 아울러, 강도가 보다 큰 이음매가 형성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스핀들(9)에 삽통된 종사(Y')의 선단부분을, 소정의 길이, 해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도 12 및 도 13을 사용하여, 상기된 종사(Y')의 흡인 및 해섬을 실시하는 에어서커부재(S)에 대하여 설명한다.
S1은, 에어서커부재(S)의 헤드부(S')의 틀체이고, 틀체(S1)에는 속이 비어있는 원통체(S2)가 부착되어있고, 원통체(S2)의 외주에 설치된 둘레홈(S3,S4,S5)에는, 각각, O링(S6,S7,S8)이 삽입되어있다. S9는, 원통체(S2)의 원통형상커버이고, 원통형상커버(S9)에는 투명한 구멍(S10)이 천설되어있다. 또, 원통체(S2) 내주에 설치된 둘레홈(S11)과 원통형상커버(S9)의 외주에 설치된 소경부(S12) 사이에는 O링(S13)이 삽입되어있다. S14는 속이비어있는 원통체(S2)내로 배치되어있는 접동노즐이고, 접동노즐(S14)의 원통형상측벽(S15)에는 구멍(S16)이 천설되어있다.
S17 및 S18은, 원통형상측벽(S15)에 원통형상측벽(S15)과 직교하도록 돌설된 링부재이고, 원통체(S2)의 내벽에 근접하도록 배치되어있고, 링부재(S17,S18)와 원통체(S2) 사이의 공간에는 도시되어있지 않는 적당한 마찰계수를 보유하는 부재를 삽입하고, 접동노즐(S14)이, 에어서커부재(S)의 경동 등에 의하여 간단히 움직이는 일이 없도록 구성되어있다. 또한, 이와같은 공간은, S19로서 표시되어있듯이, 원통형상커버(S9) 등에도 적당한 필요에 따라서 설치되며, 적당한 마찰계수를 보유하는 부재를 삽입할 수 있다.
접동노즐(S14)의 외벽은, 원통형상측벽(S15)에 계속하여 원뿔형상외벽(S20) 및 원통형상측벽(S15)에서 소경의 원통형상측벽(S21)에 의하여 구성되어있고, 소경의 원통형상측벽(S21)은 원통형상커버(S9)의 투공(S10)의 내벽에 접촉하지 않도록 투공(S10)내로 삽입되어있다.
S22는 접동노즐(S14)내로 설치되어있는 실을 통하는 구멍(S23)이 천설되어있는 대략 원뿔형상인 내부노즐이고, 내부노즐(S22)의 외벽에는 내부노즐(S22)의 축선에 평행한 핀(S24)이 적당수 설치되어있다. S25는, 접동노즐(S14)에 부착되어있는 원통형상커버이고, 원통형상커버(S25)에는 투공(S25')이 천설되어있다. 접동노즐(S14)의 내주에 설치된 둘레홈(S26)과 원통형상커버(S25)의 외주에 설치된 소경부(S25") 사이에는 O링(27)이 삽입되어있다.
S28 및 S29는, 원통체(S2)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천설된 2개의 구멍(S30,S31)에 대향하여 틀체(S1)에 부착된 공기공급관이고, 공기공급관(S28) 및 원통체(S2)에 천설된 구멍(S30)은, 접동노즐(S14)의 원통형상측벽(S15)에 돌설된 링부재(S18)와, 원통체(S2)의 가장자리부(S32)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S33)과 대향하도록 천설되어있다.
S34는, 상기한 틀체(S1)에 연달아 설치된 틀체(S35)에 배설된 해섬관이고, 해섬관(S34)에는 경사된 구멍(S36)이 천설되어있다. S37은, 해섬관(S34)과 틀체(S35)와의 사이에 감착되어있는 주위에 오목부(S37') 및 해섬관(S34)으로 천설된 구멍(S36)으로 연통가능한 구멍(S37")을 보유하는 중간원통체이고, S38은 공기공급관이다. 또한, 중간원통체(S37)에, 해섬관(S34)으로 천설된 구멍(S36)에 연통가능한 구멍(S37")을 또하나 90°의 각도를 취한 곳으로 천설하고, 해섬관(S34)을 90°회전시키므로서, 해섬관(S34)내에서 발생하는 선회공기류의 선회방향을 변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같은 구성을 보유하는 헤드부(S')의 접동노즐(S14)은, 보통, 완전하게 원통체(S2)내로 수납되어있지만, 헤드부(S')의 접동노즐(S14)이, 노즐블록(108)으로부터 분리되어있는 스핀들지지부재(110)에 배설되어있는 스핀들(109)의 선단부(109a)에 근접하여 배치되었을 때에는, 우선, 공기공급관(S29)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면, 접동노즐(S14)과 원통체(S2)와의 사이로 형성되어있는 공간에 압축공기가 송치되고, 압축공기가 접동노즐(S14)의 원통형상측벽(S15)에 돌설된 링부재(S17)를 압압하고, 접동노즐(S14)을 도 12에 있어서, 좌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서, 접동노즐(S14)에 부착되어있는 원통형상커버(S25)를 원통체(S2)에서 돌출시켜, 원통형상커버(S25)의 투공(S25')으로 스핀들(9)의 선단부(9a)를 감합시킨다.
스핀들(109)의 삽통공(109b)으로 종사(Y')를 삽통한 후, 원통체(S2)에서 돌출된 원통형상커버(S25)를, 재차, 원통체(S2)내로 수납하기 위해서는, 공기공급관(S29)으로의 압축공기의 공급을 정지한 후, 공기공급관(S28)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한다. 그랬더니, 압축공기는, 접동노즐(S14)의 원통형상측벽(S15)으로 돌설된 링부재(S18)와, 원통체(S2)의 가장자리부(S32) 등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S33)으로 들어가며, 원통형상커버(S25)가 부착되어있는 접동노즐(S14)을, 도 12에 있어서, 우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원통체(S2)에서 돌출된 원통형상커버(S25)를, 재차 원통체(S2)내로 수납한다.
공기공급관(S29)으로부터 공급된 압축공기는, 원통형상커버(S25)를 원통체(S2)에서 돌출시킴과 아울러, 접동노즐(S14)의 원통형상측벽(S15)으로 천설된 구멍(S16)으로부터 접동노즐(S14)과 내부노즐(S22)과의 사이로 형성되어있는 공간으로 들어가며, 원통형상커버(S9)에 천설된 투공(S10)으로부터 배출되므로, 내부노즐(S22)의 실을 통하는 구멍(S23)으로 흡인공기류를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내부노즐(S22)의 외벽에 설치된 핀(S24)은 접동노즐(S14)과 내부노즐(S22)과의 사이로 형성되어있는 공간을 흐르는 공기가 선회공기류로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S39는, 흡인구(S39')가 해섬관(S34)의 배출구(S34')에 접근하여 배치된 흡인관이고, 흡인관(S39)은, 헤드부(S')의 틀체(S1)에 부착되어있다. 흡인관(S39)은, 도시되어있지 않는 공기흡인원에 접속되어있고, 해섬관(S34)으로 삽입되어서 선단부분이 해섬된 종사(Y')를 흡인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에, 헤드부(S')의 흡인공기류 배출측으로 위치하는 원통형상커버(S9)에 천설된 투공(S10)으로 배설되어있는 커터부(h)에 대하여 설명한다.
h1은, 원통형상커버(S9)에 천설된 투공(S10)으로 삽착되는 대략 원통형상인 고정날 받침부재이고, 고정날 받침부재(h1)의 플랜지부(h1')와 원통형상커버(S9)의 내벽으로 설치된 층계부(S9')와의 사이에는, 고정날 받침부재(h1)를 원통형상커버(S9)로부터 밀어내는 방향으로 부세된 압축스프링(h2)이 배설되어있다. h3은, 고정날 받침부재(h1)의 플랜지부(h1')에 설치된 오목부(h1")에 장착된 도우넛형상인 고정날이고, 고정날(h3)의 중앙부에 천설된 투공(h3')의 가장자리부(h3")에 칼날이 형성되어있다.
h4는, 헤드부(S')의 틀체(S1)에 입설된 지주(h5)에 한쪽 끝이 원추형 접합된 가동날 받침부재이고, 가동날 받침부재(h4)에 설치된 오목부(h4')에는, 고정날(h3)과 접촉하도록 가동날(h6)이 장착되어있다. 가동날(h6)에는, 상기된 고정날(h3)과 마찬가지로, 고정날(h3)의 투공(h3')과 대략 동심원적으로 배치되는 투공(h6')이 천설되어있고, 가동날(h6)에 천설된 투공(h6')의 가장자리부(h6")에 칼날이 형성되어있다. h7은 틀체(S35)에 입설된 지주이고, 지주(h7)의 선단부는, 가동날 받침부재(h4)에 천설된 초승달형상인 가이드구멍(h4")과 감합되어있다. 그리고, 가동날 받침부재(h4)의 자유단부에는, 틀체(S35)에 적당한 프레임(S35')을 개재하여 배설된 실린더(h8)의 피스톤로드(h9)가 원추형 접합되어있다.
따라서, 실린더(h8)를 작동시켜서, 피스톤로드(h9)를 진퇴자재하게 하므로서, 가동날 받침부재(h4)를 지주(h5)를 중심으로 회동시켜서, 고정날(h3)의 투공(h3')과 가동날(h6)에 천설된 투공(h6') 등으로 삽통된 종사(Y')를 절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있다. 상기한 커터부재(h)에 의하면, 종사(Y')를 흡인한 상태, 즉, 흡인공기류를 작용시킨대로 종사(Y')를 절단할 수 있고, 가위형상인 커터와 같이, 종사(Y')가 도피하는 일없이 확실하게 종사(Y')를 절단할 수 있으며, 더욱이, 일정 길이로 절단할 수 있다.
다음에, 도 9 내지 도 13을 사용하여, 피이싱작업에 있어서의 에어서커부재(S)에서 구체적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실의 절단이 발생한 경우에는, 실린더(115)를 작동시켜서, 스핀들지지부재(110)를, 노즐블록(108)에서 떨어져나가게한다. 그리고, 종사(Y')의 선단부를 한쌍의 구동로울러(120,121)에 의하여 잡아두고 있는 트랜스퍼아암부재(A)를, 스핀들(109)의 실배출구(109c)에 접근하여 배치함과 아울러, 스핀들지지부재(110)와 노즐블록(108)과의 사이에는, 에어서커부재(S)를, 도 9에 표시되어있듯이, 원통체(S2)내로 수납되어있는 원통형상커버(S25)의 투공(S25')이, 스핀들(109)의 선단부(9a) 부근에 위치하도록 배치한다.
계속하여, 공기공급관(S29)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면, 접동노즐(S14)과 원통체(S2)와의 사이로 형성되어있는 공간으로 압축공기가 송치되어서, 압축공기가 접동노즐(S14)의 원통형상외벽(S15)으로 돌설된 링부재(S17)를 압압하고, 접동노즐(S14)을, 도 12에 있어서, 좌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 접동노즐(S14)에 부착되어있는 원통형상커버(S25)를 원통체(S2)에서 돌출시켜, 원통형상커버(S25)의 투공(S25')에 스핀들(109)의 선단부(109a)를 감합시킨다.
또, 공기공급관(S29)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면, 상기한 바와같이, 내부노즐(S22)의 실을 통하는 구멍(S23)으로 흡인공기류가 발생하므로, 트랜스퍼아암부재(A)의 구동로울러(120,121)를 회전시켜서, 그 구동로울러(120,121)에 협지되어있는 종사(Y')를 송출하면, 종사(Y')는, 내부노즐(S22)의 실을 통하는 구멍(S23)으로 발생하고 있는 흡인공기류에 의하여, 스핀들(109)의 삽통공(109b)으로 삽통된다. 종사(Y')가 스핀들(109)의 삽통공(109b)으로 삽통된 후에, 트랜스퍼아암부재(A)의 구동로울러(120,121)의 회전을 정지시켜서, 종사(Y')의 송출을 정지한다. 계속하여, 실린더(h8)를 작동시켜서, 피스톤로드(h9)를 진출시켜서 가동날 받침부재(h4)를 회동시켜서, 가동날(h6)과 고정날(h3)에 의하여, 실을 통하는 구멍(S23)으로부터 튀어나오고 있는 종사(Y')를 절단한다.
계속하여, 공기공급관(S29)으로의 압축공기의 공급을 정지한 후, 공기공급관(S28)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한다. 그랬더니, 압축공기는, 접동노즐(S14)의 원통형상측벽(S15)으로 돌설된 링부재(S18)와, 원통체(S2)의 가장자리부(S32) 등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S33)으로 들어가며, 원통형상커버(S25)가 부착되어있는 접동노즐(S14)을, 도 15에 있어서, 우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속이 비어있는 원통체(S2)로부터 돌출된 원통형상커버(S25)를, 재차, 원통체(S2)내로 수납한다.
계속하여, 도 10에 표시되어있듯이, 에어서커부재(S)를, 에어서커부재(S)의 헤드부(S')의 해섬관(S34)이, 스핀들(109)의 아래쪽으로 위치할 때까지 하강시킴과 아울러, 해섬관(S34)으로 종사(Y')가 꼬이는 방향과는 반대의 노즐블록(108)방향으로 향하는 선회공기류를 발생시켜서, 해섬관(S34)으로 종사(Y')의 선단부분을 흡인시킴과 아울러, 종사(Y')의 선단부분의 해섬을 실시하고, 종사(Y')를 보풀이 일어나게 한다.
종사(Y')의 선단부분의 해섬작업이 종료된 시점에서, 해섬관(S34)으로의 공기공급관(S38)에서의 공기의 공급을 중시시켜, 해섬관(S34)에 의한 해섬작업을 정지한다.
계속하여, 트랜스퍼아암부재(A)의 구동로울러(120,121)의 회전을 재개시켜서, 종사(Y')의 송출을 개시하므로서, 이음매를 형성하는 소정길이의 종사(Y')를 송출하며, 송출된 종사(Y')를 해섬관(S34)의 종사(Y')의 배출구(S34')로 접근하여 배치된 흡인관(S39)으로 흡인한다.
이음매를 형성하는 소정길이의 종사(Y')가 흡인관(S39)으로 흡인된 시점에서, 트랜스퍼아암부재(A)의 구동로울러(118,119)의 회전을 정지시켜서, 종사(Y')의 송출을 정지함과 아울러, 트랜스퍼아암부재(A)는, 소정의 대기위치로 복귀된다. 또한, 트랜스퍼아암부재(A)의 구성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의 선출원인 특원평4-325021호(실개평6-173129호 공보)나 특원평6-284269호 등에 명시되어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종사(Y')를 잡아둠과 아울러, 종사(Y')를 주행시킬 수 있는 기구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다.
그후, 도 11에 표시하듯이, 흡인관(S39)에 의하여, 그 선단부분이 해섬된 종사(Y')를 흡인유지하고 있는 에어서커부재(S)를, 더욱이 하강시킴과 아울러, 실린더(115)를 작동시켜서, 피스톤로드(116)를 후퇴시켜, 스핀들지지부재(110)와 노즐블록(108)을 결합한다.
계속하여, 정지되었던 백로울러(101) 및 서어드로울러(102)를, 소정시간 구동시킨후 정지시키므로서, 재차, 항상 회전하고 있는 미들로울러(103)와 재차 정지된 서어드로울러(102)와의 사이에서, 슬라이버(106)의 절단부(b1)를 절단하고, 절단된 이삭끝형상부분(b3)을 형성한다. 도 11에 표시되어있듯이, 절단된 이삭끝형상부분(b3)은, 미들로울러(103) 혹은/ 및 프런트로울러(104)에 협지되도록, 재차 회전되는 백로울러(101) 및 서어드로울러(102)의 구동시간을 조정한다.
그후, 재차 정지된 백로울러(101) 및 서어드로울러(102)의 회전을 재개하여, 절단된 이삭끝형상부분(b3) 및 짧은 이삭끝형상인 절단부(b2)가 서어드로울러(102)와 미들로울러(103)와의 사이로 위치하고 있는 슬라이버(106)를 함께 이송한다.
또, 백로울러(101) 및 서어드로울러(102)의 구동 직후에, 닙로울러(118)를 딜리버리로울러(119)에 접촉시켜서, 닙로울러(118)와 딜리버리로울러(119)에 의하여 종사(Y')를 협지하여 주행시킴과 아울러, 가연장치(T)를 재가동시켜서 피이싱작업을 실시한다.
피이싱작업은, 우선 최초로, 절단된 이삭끝형상부분(b3)이, 공기방적노즐(107)의 도입구(107c)로 도입되어서, 절단된 이삭끝형상부분(b3)을 구성하는 섬유가, 스핀들(109)의 선단부(109a) 부근에 있어서, 주행을 개시한 해섬되어있지 않는 종사(Y')에 나선형상으로 휘감겨진다. 절단된 이삭끝형상부분(b3)을 구성하는 섬유가, 주행을 개시한 종사(Y')에 휘감겨진 후, 후속하는 짧은 이삭끝형상인 절단부(b2)를 보유하는 슬라이버(106)를 구성하는 섬유가, 해섬된 종사(Y')에 나선형상으로 휘감길 때까지의 동안은, 종사(Y')에 휘감기는 섬유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종사(Y')만으로 되고, 그후, 짧은 이삭끝형상인 절단부(b2)를 보유하는 슬라이버(106)를 구성하는 섬유가 종사(Y')에 나선형상으로 휘감겨져서, 피이싱이 실시하게 된다. 이와같이, 피이싱부분을 형성하는 짧은 이삭끝형상인 절단부(b2)를 보유하는 슬라이버(106)를 구성하는 섬유와 종사(Y')와의 휘감김이 실시되는 종사(Y')의 선단부분은, 해섬되어 보풀이 일어난 상태로 되어있으므로, 슬라이버(106)를 구성하는 섬유와, 종사(Y')의 보풀이 일어난 섬유 등이 섞어서 휘감겨지며, 보다 확실한 피이싱이 실시됨과 아울러, 강도가 보다큰 이음매가 형성된다.
선단부분이 해섬된 종사(Y')를 사용하여 형성된 이음매가 도 16(b)에 표시되어있다.
종사(Y')에는, 짧은 이삭끝형상인 절단부(b2)를 보유하는 슬라이버(106)를 구성하는 섬유가, 해섬된 종사(Y')에 휘감겨져서 형성된 피이싱부분(p1)과, 종사(Y')만의 부분(p2) 및 절단된 이삭끝형상부분(b3)을 구성하는 섬유가, 해섬되어있지 않는 종사(Y')에 휘감겨져서 형성된, 상기한 피이싱부분(p1)에서 분리된 부분(p3)으로 이음매가 형성되어있다. 종사(Y')만의 부분(p2)의 종사(Y')는, 해섬되어있어도, 또, 해섬되어있지 않아도 좋다.
본 실시예에 의하여 형성된 이음매는, 짧은 이삭끝형상인 절단부(b2)를 보유하는 슬라이버(6)를 구성하는 섬유가, 해섬된 종사(Y')에 휘감겨져서 형성된 피이싱부분(p1)과, 종사(Y')만의 부분(p2) 및 절단된 이삭끝형상부분(b3)을 구성하는 섬유가, 해섬되어있지 않는 종사(Y')에 휘감겨져서 형성된 부분(p3)으로 형성되어있으므로, 해섬되어있지 않는 종사(Y')에 휘감겨져서 형성된 부분(p3)의 제거를 쉽게 실시할 수 있다. 또, 피이싱부분(p1)은, 섬유밀도가 높고 짧은 이삭끝형상인 절단부(b2)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음매가 가늘어져서 형상이 나빠지거나 혹은 이음매의 강도가 저하되는 것 같은 일은 없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아래에 기재되는 것 같은 효과를 성취한다.
절단된 이삭끝형상부분을 제거하는 일없이, 피이싱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피이싱시간을 단축할 수 있음과 아울러, 장치의 간소화를 실현할 수 있다.
종사의 선단부분을 해섬하였으므로, 피이싱의 성공률이 향상함과 아울러, 강도가 증대된 이음매가 형성할 수 있다.
절단된 이삭끝형상부분을 구성하는 섬유가 휘감겨진 부분이, 피이싱부분에서 분리하여 있으므로, 이음매에서의 절단된 이삭끝형상부분을 구성하는 섬유는 휘감겨진 부분의 제거가 쉽게 된다.
또한, 슬라이버(106)의 이삭끝형상인 선단부(106a)를 구성하는 섬유의 종사(Y')의 휘감겨짐이 실시되는 스핀들(109)의 선단부(109a)로부터, 에어서커부재(S)의 해섬관(S34)을 거쳐서 흡인관(S39)으로 흡인유지되어있는 종사(Y')의 선단까지의 길이 전체에 걸쳐서, 종사(Y')를 상기된 해섬관(S34)에 의하여 해섬해서, 종사(Y')를 보풀이 일어나게하므로서, 도 17과 같이 종사(Y')의 표면에서 보풀이 일어선 섬유와, 슬라이버(106)의 이삭끝형상인 선단부(106a)를 구성하는 섬유와의 섬유끼리의 서로의 얽힘이 야기되며, 확실하게 피이싱을 실시할 수 있음과 아울러, 종사(Y')의 표면에서 보풀이 선 섬유와, 슬라이버(6)를 구성하는 섬유와의 섬유끼리의 서로의 얽힘에 의하여, 마치 1개의 실을 형성하도록 이음매부분이 형성되므로, 형상이 양호한 실의 이음부분이 형성된다.
이음매부분을 형성하는 종사의 대략 전부를 해섬하므로서, 보다 안정된 확실한 피이싱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가연장치의 스핀들에 삽통된 종사를 절단하므로서, 종사의 선단부 위치가 특정되므로, 종사의 해섬부분을 임의로 제어할 수 있다.

Claims (8)

  1. 항상 회전하고 있는 드래프트로울러와 정지된 드래프트로울러와의 사이에서 슬라이버를 절단한 후, 종사를 가연장치의 스핀들에 삽통하고, 계속하여, 드래프트로울러의 재구동, 가연장치의 재구동 및 종사의 주행개시에 의하여 피이싱을 실시하도록 한 방적기의 피이싱방법에 있어서, 절단된 슬라이버의 이삭끝형상인 선단부를 구성하는 대략 전부의 섬유를, 종사에 휘감기게하여 이음매부분을 형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기의 피이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종사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계속하여 종사의 주행을 개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기의 피이싱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주행하고 있는 종사에, 절단된 슬라이버의 이삭끝형상인 선단부를 구성하는 섬유를 접착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기의 피이싱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항상 회전하고 있는 드래프트로울러와 정지된 드래프트로울러와의 사이에서 슬라이버를 절단한 후, 종사를 가연장치의 스핀들에 삽통하고, 계속하여, 정지된 드래프트로울러를, 소정시간, 구동된 후 정지시켜, 그후, 정지된 드래프트로울러의 재가동, 가연장치의 재구동 및 종사의 주행개시에 의하여 피이싱을 실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기의 피이싱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가연장치의 스핀들에 삽통된 종사의 선단부분을 해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기의 피이싱방법.
  6.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상 회전하고 있는 드래프트로울러와 정지된 드래프트로울러와의 사이에서 슬라이버를 절단한 후, 종사를 가연장치의 스핀들에 삽통하고, 계속하여, 드래프트로울러의 재구동, 가연장치의 재구동 및 종사의 주행개시에 의하여 피이싱을 실시하도록 한 방적기의 피이싱방법에 있어서, 이음매부분을 형성하는 종사의 적어도 일부분을 해섬함과 아울러 흡인유지하고, 그 종사를, 절단된 슬라이버의 이삭끝형상인 선단부를 구성하는 섬유와 휘어감기게하여 이음매부분을 형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기의 피이싱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이음매부분을 형성하는 종사의 대략 전부를 해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기의 피이싱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가연장치의 스핀들에 삽통된 종사를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기의 피이싱방법.
KR1019970008374A 1996-05-16 1997-03-12 방적기의 피이싱방법 KR1002800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4663896A JP2933012B2 (ja) 1996-05-16 1996-05-16 紡績機のピーシング方法
JP14664196A JPH09302540A (ja) 1996-05-16 1996-05-16 紡績機のピーシング方法
JP96-146638 1996-05-16
JP96-146641 1996-05-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5001A KR970075001A (ko) 1997-12-10
KR100280091B1 true KR100280091B1 (ko) 2001-03-02

Family

ID=26477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8374A KR100280091B1 (ko) 1996-05-16 1997-03-12 방적기의 피이싱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802831A (ko)
EP (1) EP0807700A3 (ko)
KR (1) KR100280091B1 (ko)
CN (1) CN1165878A (ko)
TW (1) TW34160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73961B2 (ja) * 1997-01-13 1999-11-08 村田機械株式会社 紡績機のピーシング方法及びその装置
TW504526B (en) * 1998-12-25 2002-10-01 Murata Machinery Ltd Hairiness suppressing device for automatic winder
JP2002155435A (ja) * 2000-11-15 2002-05-31 Murata Mach Ltd 紡績機におけるピーシング方法及びその装置
EP1219737B2 (de) * 2000-12-22 2012-01-18 Maschinenfabrik Rieter Ag Verfahren zum Ansetzen eines in einer Spinnstelle gebildeten Garnes oder zum Anspinnen, sowi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ausgerüstete Spinnstelle
EP1375709B1 (de) * 2002-06-21 2014-08-06 Maschinenfabrik Rieter Ag Ansetzverfahren oder Anspinnen für Spinnstellen von Luftspinnmaschinen
EP1564317A1 (de) * 2004-02-10 2005-08-17 Maschinenfabrik Rieter Ag Verfahren zum Erreichen einer Konstanten Ansetzermasse bei Vortex-Luftspinnverfahren
US9018295B2 (en) * 2008-12-12 2015-04-28 Acushnet Company Cationic polyurea cover compositions for a multi-layer golf ball
CN103437011B (zh) * 2013-08-19 2015-12-23 广东溢达纺织有限公司 耐磨纱线接头及其制备方法
CH709953A1 (de) * 2014-07-30 2016-02-15 Rieter Ag Maschf Verfahren zum Betrieb einer Luftspinnmaschine.
JP7425695B2 (ja) * 2019-07-30 2024-01-31 Tmtマシナリー株式会社 合繊糸用糸継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44757A1 (de) * 1987-03-02 1989-01-05 Schubert & Salzer Maschin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nspinnen einer mit einem pneumatischen drallorgan arbeitenden spinnvorrichtung
DE3807014C2 (de) * 1988-03-04 1997-03-20 Rieter Ingolstadt Spinnerei Verfahren zum Ansetzen eines Faserbandes an ein ablaufendes Faserband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DE3821570A1 (de) * 1988-06-25 1989-12-28 Fritz Stahlecker Verfahren zum verspleissen der enden von zwei doppelfaeden
DE4121980A1 (de) * 1991-07-03 1993-01-07 Fritz Stahlecke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nsetzen eines faserbandes
JPH07122167B2 (ja) * 1992-03-16 1995-12-25 村田機械株式会社 紡績装置の糸継ぎ方法
JP2596298B2 (ja) * 1992-12-04 1997-04-02 村田機械株式会社 紡績機のピーシング方法
JP2616428B2 (ja) * 1994-01-25 1997-06-04 村田機械株式会社 紡績機の糸継ぎ方法
JP2658901B2 (ja) * 1994-09-05 1997-09-30 村田機械株式会社 紡績装置
KR100296977B1 (ko) * 1996-01-30 2001-11-22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방적기의피이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5001A (ko) 1997-12-10
TW341605B (en) 1998-10-01
EP0807700A3 (en) 1998-07-29
US5802831A (en) 1998-09-08
EP0807700A2 (en) 1997-11-19
CN1165878A (zh) 1997-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0091B1 (ko) 방적기의 피이싱방법
US551137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iecing a sliver and at least one of a leading yarn and a bobbin yarn
JP2642180B2 (ja) 空気圧式撚り機構と共に作動する紡糸装置で紡糸を始める方法および装置
JP2865470B2 (ja) ミシンの糸通し装置
US4108388A (en) Method for catching, severing and rethreading a thread and an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method
JPS6142708B2 (ko)
JP3355214B2 (ja) ミシンの糸通し装置
KR100260219B1 (ko) 방적방법 및 방적장치
EP1151951A3 (d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Kreuzspulen herstellenden Textilmaschine
JP2933012B2 (ja) 紡績機のピーシング方法
JPH11106147A (ja) マルチスプライサー
JPH09310234A (ja) 紡績機のピーシング方法
JPH06287824A (ja) 紡績装置の糸継ぎ方法
KR100471102B1 (ko) 실흡인장치 및 실흡인, 절단장치
JP2656373B2 (ja) オーバーロックミシンの空環保持装置
JPH055769U (ja) パツケージの糸端口出し装置
JPH06287823A (ja) 紡績装置の糸継ぎ方法
JPH09302541A (ja) 紡績機のピーシング装置
JPH0314928B2 (ko)
JPH10102327A (ja) オープンエンド精紡機の糸継ぎ準備方法及び装置
JPH0346970A (ja) 糸端解撚方法
JPH0540875Y2 (ko)
JP3536810B2 (ja) 紡績装置
JP2003113539A (ja) 紡績装置及び紡績装置における糸継ぎ方法
JPH075097Y2 (ja) 空気式糸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31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11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703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10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11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1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4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