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60219B1 - 방적방법 및 방적장치 - Google Patents

방적방법 및 방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0219B1
KR100260219B1 KR1019950028775A KR19950028775A KR100260219B1 KR 100260219 B1 KR100260219 B1 KR 100260219B1 KR 1019950028775 A KR1019950028775 A KR 1019950028775A KR 19950028775 A KR19950028775 A KR 19950028775A KR 100260219 B1 KR100260219 B1 KR 100260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nning
air
pressure
yarn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8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0925A (ko
Inventor
켄지 바바
신이치 사토미
유우지 이마무라
Original Assignee
무라타 쥰이치
무라타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타 쥰이치, 무라타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무라타 쥰이치
Publication of KR960010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0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021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4/00Open-end spinning machines or arrangements for imparting twist to independently moving fibres separated from slivers; Piecing arrangements therefor; Covering endless core threads with fibres by open-end spinning techniqu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4/00Open-end spinning machines or arrangements for imparting twist to independently moving fibres separated from slivers; Piecing arrangements therefor; Covering endless core threads with fibres by open-end spinning techniques
    • D01H4/48Piecing arrangements; Control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1/00Spinning or twisting machines in which the product is wound-up continuously
    • D01H1/11Spinning by false-twisting
    • D01H1/115Spinning by false-twisting using pneumatic mea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4/00Open-end spinning machines or arrangements for imparting twist to independently moving fibres separated from slivers; Piecing arrangements therefor; Covering endless core threads with fibres by open-end spinning techniques
    • D01H4/02Open-end spinning machines or arrangements for imparting twist to independently moving fibres separated from slivers; Piecing arrangements therefor; Covering endless core threads with fibres by open-end spinning techniques imparting twist by a fluid, e.g. air vorte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Abstract

방적부 내에 형성된 이음매 부분의 실의 장력이 강한 피싱이 가능한 방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급된 단섬유속(L)에 소정의 공기압에 의한 선회기류를 작용시켜서, 상기한 단심유속을 개설하면서 가연하여 실(Y)을 형성하는 방적부(Sp)와, 그 방적부(Sp) 내에 방적 후의 실 끝(Y')을 역으로 통과시켜서, 방적재개를 가능하게 하는 피싱부(P)가 있는 방적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상기한 방적 재개 후의 소정시간의 사이에, 상기한 소정의 공기압보다 고압으로 하는 고압부여수단을 설치한 것을 요지로 하고, 상기한 고압부여수단은, 상기한 소정의 공기압을 제공하는 제1공기회로(213)와, 상기한 소정의 공기압보다 고압공기를 공급하는 제2공기회로(212)는, 이들 제1 및 제2공기회로의 전환수단(204,205)으로 된 것이다.

Description

방적방법 및 방적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방적부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2도는 방적부의 노즐부재의 확대 단면도이다.
제3도는 피싱부를 포함하는 방적기 전체의 개요도이다.
제4도는 방적부에 대해 실 끝을 역으로 통과시키는 상태를 표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제5도는 방적부에 대해 실 끝을 역으로 통과시키는 상태를 표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제6도는 공기회로의 구성을 표시하는 배관도이다.
제7도는 공기의 출력을 표시하는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4,205 : 전환수단 212 : 제2회로
213 : 제1회로 L : 단섬유속
P : 피싱부 Sp : 방적부
Y : 실 b : 패키지
본 발명은, 드래프트장치에 의해 끌어당긴 무연(無撚)의 섬유속(纖維束)에 선회기류를 작용시켜 상기한 섬유속을 개섬(開纖)하면서 꼬아넣어 실을 형성하는 방적부와, 그 방적부 내에 방적 후의 실 끝을 역으로 통과시켜서, 방적 재개를 가능하게 하는 피싱부가 있는 방적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적 재개시에 이음매 부분의 실의 장력이 강한 피싱이 가능한 방적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섬유속(슬라이버 (sliver))으로부터 방적사를 형성하는 방적부와, 방적후의 실 끝을 역으로 통과시켜서 실잇기(이하, 피싱이라 한다)를 하고 방적 재개를 가능하게 하는 피싱부가 있는 방적장치에 있어서, 방적장치의 종래예로서, 일본국 특허공개 평6-173129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 방적장치는, 공급된 섬유속에 소정의 공기압을 공기노즐로부터 분출하여 형성한 전회기류를 작용시켜서 섬유속을 개섬하고, 이것을 펼치면서 꼬아넣어 방적사를 형성하는 방적부를 구비하고 있다. 통상의 공기방적장치에 의한 방적사는 결속사(結東絲)로 불리우듯이 , 심사(志絲)의 주위에 섬유가 꼬여있는 것인데, 이 방적장치에 의한 방적사는 링방적기에 의한 실제 연사(撚絲)에 가까운 우수한 방적사를 고속으로 얻을 수 있다.
이 방적부에서는 공기노즐 등에 섬유나 섬유 중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이 쌓인 경우와 같이 방적사 형성과정에서 방적사의 방출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자동적으로 공기노즐 등에 쌓인 섬유 등을 제거하는 처리를 실시하고, 방적 후 패키지측의 실 끝을 역으로 통과시켜서 실잇기를 하고 방적 재개를 가능하게 하는 피싱부를 구비하여, 자동적인 방적 재개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피싱부는 패키지에 감겨진 방적사를 흡인하는 수단, 패키지를 역회전시키는 수단, 흡입된 방적사를 안내해서 절단하는 수단, 방적부의 노즐부재로부터 분리된 방추부재의 방적사의 출구측으로 방적사를 이송하는 수단, 그 방추부재의 단섬유속의 입구측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실꿰기 및 개섬(開纖)을 하는 수단으로 된 것이다. 즉, 방적사의 끝을 방적부에 역으로 통과시켜서, 그 선단을 개섬하고, 이것에 단섬유속을 공급하고, 양자를 꼬아서 실잇기를 한다.
그러나, 방적부와 피싱부를 조합하므로써 방적을 재개하는 것은 가능 하지만, 이음매 부분의 실의 장력이 충분하지 않고, 경우에 따라서는 인장하면 빠지듯이 끊어지는 “끊어짐”으로 불리워지는 현상이 빈번히 일어
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에서의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이음매 부분의 실의 장력이 강한 피싱이 가능한 방적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방적장치는, 공급된 섬유속에 소정의 공기압에 의한 선회기류를 작용시켜고, 상기한 섬유속을 개섬하면서 꼬아넣어서 실을 형성하는 방적부와, 그 방적부 내에 패키지측의 실 끝을 역으로 통과시켜서 , 방적재개를 가능하게 하는 피싱부가 있는 방적 장치 에 있어서, 상기한 방적재개 후의 소정의 시간동안, 상기한 소정의 공기압을 고압으로 하는 고압부여수단을 설치한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고압부여수단은, 상기한 소정의 공기압을 공급하는 제1공기회로와, 상기한 소정의 공기압으로부터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제2공기회로와, 이들 제1 및 제2공기회로의 전환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환수단은 제1공기회로가 온되기 전에 제2공기회로가 오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방적재개시에는, 패키지측의 실 끝의 개섬된 섬유가 근본이 되고, 새로 이 공급된 섬유속의 개설된 섬유를 합쳐 꼬아갈 필요가 있지만, 방적재개 직후의 선회기류의 작용이 부족하여, 꼬임이 불충분하게 되기 때문에, 실의 이음매 부분이 통과하는 소정의 시간동안에는 공기압을 고압으로 하여 선회기류의 작용을 상승시킨다. 실의 이음매 부분 이외의 부분에 강력한 선회기류를 계속 작용시키면 실이 지나치게 조여지기 때문에, 고압부여수단에 의한 고압은 실의 이음매 부분이 통과하는 소정의 시간동안에 한한다.
그리고, 상기한 고압부여수단을 상기한 소정의 공기압을 공급하는 제1공기회로와, 상기한 소정의 공기압보다 높은 압력의 공기를 공급하는 제2공기회로와, 이들 제1 및 제2공기회로의 전환수단으로 구성하면 , 전환수단으로 소정의 공기압과 고압공기로 간단히 전환된다.
또한, 상기한 전환수단을 제1공기회로가 오프되기 전에 제2공기회로가 온되도록 하면, 고압공기로부터 소정의 공기압으로의 전환시에 공기가 중단되지 않는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제1도 내지 제5도에 의해 방적장치의 전체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방적부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제2도는 방적부의 노즐부재의 확대 단면도, 제3도는 피싱부를 포함한 방적장치 전체의 개요도, 제4도 및 제5도는 방적부에 대해 실 끝이 역으로 통과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먼저, 방적부의 구성 및 방적과정을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 방적부(Sp)는, 노즐부재(N)와 방추부재(5)로 이루어져 있다. 참조부호 (D)는 방적부(Sp)의 상류에 설치된 드래프트장치이고, 섬유속이 가늘어질 때까지 인장한다. 슬라이버(L)는 슬라이버 가이드(T)를 거쳐서 드래프트장치 (D)에 공급된다. 이 드래프트장치(D)는, 백를러 (Rb), 제3롤러 (Rt), 에이프론(apron)을 가지는 제2롤러(Rs) 및 프론트 롤러(Rf)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드래프트장치(D)에 있어서 , 당겨진 슬라이버(L)는 노즐부재(N) 및 방추부재(5)로 이루어진 방적부(Sp)에 공급되어 방적부(Sp)에서 방적사(Y)로 형성된다. 방추부재(S)는 실린더(Cs)의 로드(r)의 선단의 지지부재(h)에사 지지되어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 노즐부재(N)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2도는, 제1도에 표시되어 있는 노즐부재(N)의 노즐(n) 및 방추부재(5)의 중공방추(5)의 일부를 확대한 부분 단면도이고, 노즐(n)에는 원통형상 중공실(中空室)(1)의 주벽의 접선방향을 따라 중공방추(5)의 원추형상 선단부(2)를 향해 경사진 복수, 예를 들면, 4개의 공기분사공(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공통로(4)의 입구부에 대항하게 배치된, 중공방추(S)의 중공통로(4)의 입구부의 직경보다 작은 바늘형상 가이드부재(5)가 노즐(n)의 프론트롤러(Rf)측의 내벽(6)에 부착되어 있다. 한편, 중공방추(s)는, 도면에는 표시되지 않은 공기터빈 또는 구동벨트 등의 적당한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데, 비회전의 중공방추(s)의 경우에는 방적사 통로 내부로 선회기류를 분출하는 꼬임 노즐이 통로의 입구 근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그 꼬임 노즐을 설치하지 않은 회전하지 않는 중공방추를 사용하는 방적도 가능하다.
드래프트장치(D)의 프론트롤러(Rf)로부터 송출된 슬라이버(L)는, 공기분사공(3)으로부터의 분출공기(211)의 작용으로 발생되는 노즐(n)의 슬라이버 도입공(7) 부근의 흡인공기류에 의해 노즐(n) 내의 원통형상 중공실(1)에 흡입된다. 그리고, 중공실(1)에 흡인된 슬라이버(L)를 구성하는 섬유(f)는 바늘형상 가이드부재(5)의 주위를 따라 공급되며, 중공방추(5)의 원추형상 선단부(2) 부근에서 섬유(f1)는 공기분사공(3)으로부터 분출된 중공방추(s)의 외주에 있어서, 고속으로 선회하고 있는 공기류의 작용을 받아, 슬라이버(L)로부터 분리되어 확대되면서 선회공기류의 방향으로 가연(假撚)된다.
이때, 슬라이버(L)로부터 분리된 확대된 섬유(fl)는, 바늘형상 가이드(5)가 심섬유의 형성을 저지함과 동시에, 선회기류의 작용을 받아서 중공방추(5)의 외주에 균등하게 배분되기 때문에, 심재로 되는 섬유가 거의 존재하지 않고, 따라서, 거의 섬유의 꼬임이 걸리어 감겨붙는 실제 꼬임 형상의 방적사(Y)로 된다. 또, 선회공기류에 의해 걸려진 가연은 프론트 롤러(Rf)방향으로 전파하려고 하지만, 바늘형상 가이드(5)에 의해 그 전파가 저지되고, 따라서, 프론트롤러(Rf)로부터 송출된 직후의 슬라이버(L)가 가연에 의해 꼬여지지 않는다.상술한 바와 같이 꼬여서 걸린 섬유(fl)는 방적사(Y)로 차례차례 성형되어, 중공방추(5)의 중공통로(4)를 통해서 방적사 권취부의 방향으로 송출된다.
다음에, 제3도∼제5도에 의해 방적장치의 피싱부를 설명한다. 측면도인 제3도에서, 방적장치는 상기한 방적유닛(U)이 다수 배열된 것으로, 피싱부(P)는 이 방적장치의 길이방향을 따라 주행하고, 실 끊어짐이 발생한 방적유닛(U)을 검출해서 실잇기를 행하는 것이다.(9a)는 이것을 위하여 바닥에 설치한 하부레일,(8a)는 피싱장치(P)에 설치되어 있는 적당한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구동 되는, 하부레일(9a)위를 주행하는 차륜,(9b)는 방적기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레일,(8b) 및(8c)는 이 상부레일(9b)을 협지(狹持)하도록 피싱장치(P)의 상부에 설치된 차륜이다. 방적유닛(U)은 상술한 드래프트장치(D)에 인접하여 방적부(Sp)가 배치되어 있고, 방적부(Sp)에 의 해 형성 된 방적사(Y)는, 닙롤러(Rn) 및 딜리버리롤러(Rd)로 된 방적사 송출부재(H), 슬래브캐쳐(slab catcher)(Z) 등을 거쳐 방적사 권취부(W)에 공급되어, 패키지(b)에 권취된다.
한편, 피싱부(P)는 실끊어짐을 일으킨 방적유닛(U)의 패키지(b)로부터 이것에 권취되어 있는 방적사(Y)를 되감기 위해 패키지(b)를 마찰롤러(d)로부터 떨어짐과 동시에 그 위치에 패키지(b)를 지지하기 위한 패키지 압출부재(J), 마찰롤러(d)로부터 분리된 패키지(b)를 권취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역회전시키기 위한 패키지 역회전부재(Rw) 패키지(b)로부터 방적사(Y)의 절단 끝을 인출하기 위한 안내부재(Su), 패키지(b)로부터 인출된 방적사(Y)를 안내하여 소정의 위치에 지지하기 위한 안내부재(Gu), 패키지로부터 인출된 방적사(Y)를 소정의 위치에서 절단, 파지하며, 방적부(Sp)의 방추부재(S)의 아래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부재(Ta) 및 패키지(b)로부터 인출된 방적사(Y)를 방적부(Sp)의 방추부재(S)의 중공방추(s)에 실꿰기를 함과 동시에 실이 끼워진 방적사(Y)의 선단부를 해섬하기 위한 공기포대부재(As)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피싱부(P)에 의한 실잇기를 설명한다. 어떤 방적유닛(U)의 슬래브캐쳐(Z)에 의한 실절단 또는 방적부(S) 내의 원인에 의한 실끊김이 발생하면, 제1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먼저, 방적부(Sp)의 실린더(Cs)를 작동시켜 로드(r)를 진출시켜 방추(S)를 이점쇄선위치(S')까지 후퇴시켜 노즐부재(N)로부터 분리한다. 다음에, 피싱부(P)는 다음의 작동을 실시한다. 즉, 제3도에 있어서, 패키지 압출부재(J)가 방적유닛의 실끊김을 일으킨 패키지(7)로부터 이곳에 감겨진 방적사(Y)를 되감기위해 패키지(b)를 마찰롤러(d)로부터 분리시킴과 동시에, 그 위치에서 패키지(b)를 지지한다. 다음에, 패키지 역회전부재(Rw)가 마찰롤러(d)로부터 분리된 패키지(b)를 감는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역회전시킨다. 안내부재(Gu)가 패키지(b)에서 방적사(Y)의 절단사를 인출한다. 다음에, 안내부재(Gu)가 패키지(b)로부터 인출된 방적사(Y)를 안내하여 소정의 위치에서 지지한다. 다음에, 이송부재(Ta)가 패키지로부터 인출된 방적사(Y)를 소정의 위치에서 절단하여 파지하며, 이점쇄선위치에 표시된 바와 같이, 방적부(Sp)의 방추부재(S)의 아래방향까지 이송한다.
다음에 제4도에서, 공기포대부재(As)를 도면에 표시하는 위치로 진출시켜서, 실이 통과하는 구멍(200)을 방추부재(S)의 중공방추(s)에 접합하고, 도면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실이 통과하는 구멍(200) 내에 노즐부재(N)방향으로 흡인공기류(201)을 발생시켜서 패키지측의 방적사(Y)를 흡입하고, 중공방추(s) 내의 실꿰기를 행한다. 이때, 이 흡인공기류(201)의 발생에 맞추어, 패키지로부터 방적사(Y)를 송출한다. 방적사(Y)가 중공방추(S)의 선단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나오면, 방적사(Y)의 송출을 정지함과 동시에, 흡입공기류의 발생을 정지한다. 다음에, 에어사커부재를 이 점쇄선위치까지 후퇴시켜서(화살표 ① 참조), 해섬관(解纖管)(202)을 중공방추(s)에 접합하고, 그 해섬관(202)의 주위로부터 공기류를 송입하므로써, 해섬관(202) 내에서 섬유사(Y)의 꼬임방향과는 반대방향(화살표 203 참조)의 선회공기류를 발생시켜서, 중공방추(s)의 선단부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나온 방적사(Y)의 선단부를 꼬임을 풀어 섬유가 해섬된 수선(種先)형상 선단부를 형성한다. 다음에 공기포대부재(As)를 제3도의 대기 위치까지 후퇴시킨다. 이 것에 의해, 제5도에 표시하듯이, 방적사(Y)의 선단부에는 섬유가 해섬된 상태로 된다. 뒤이어, 실린더(Cs)를 작동시키고, 로드(r)를 후퇴시켜서(화살표 ② 참조), 제1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방추(S)를 노즐부재(N)에 접합한다. 이때, 방추(S)의 이동거리에 대응하여 방적사(Y)가 패키지로부터 송출되어, 방적사(Y)의 중공방추(s)의 선단으로 부터 나온 부분의 길이가 소정의 길이로 유지된다. 다음에, 방적유닛이 전술한 방적을 개시하는데, 다음의 공기회로에 의한 선회기류에 의해 실잇기가 실시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요점인 노즐부재에 대한 공기회로와 그 작동을 제6도 및 제7도에 의해 설명한다. 제6도는 공기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배관도 제7도는 공기출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제6도에 있어서, 공기회로는 1차측과 2차측을 연결하여 통해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위치와 1차측을 차단함과 동시에, 2차측을 대기에 연결하여 통하는 차단위치가 있는 전환밸브(205)가 있으며, 3.5∼5kg/㎠의 소정 압력의 공기(A2)가 공급되는 소정 압력 공기회로(제1회로)(213)와, 상기한 전환밸브(205)와 동일한 구성의 전환밸브(204)를 구비하고, 6∼7kg/㎠의 고압공기가 공급되는 고압공기회로(제2회로)(212)가, 셔틀밸브(208)의 1차측에 접속되고, 셔틀밸브(208)의 2차측이 공기분사공(3)에 접속되어서 이루어진다.
셔틀밸브(208)는, 소정의 공기압력의 제1회로(213) 및 고압공기의 제2회로(212) 중의 어느 한 쪽이 고압측의 공기를 우선하여 공기분사공(3)에 공급한다. 또, 전환밸브(204,205)는, 지령신호(206,207)에 의해, 여자코일(204a,205a)을 여자, 또는 소자(消磁)하는 것에 의해 개폐하게 된다.
도면에 표시한 상태에서는, 고압공기의 제2회로(212), 소정압력 공기의 제1회로(213)와 함께 차단상태로 되어, 공기분출공(3)에는 공기가 공급되지 않는다. 한편, 지령신호(206,207)는 드래프트장치(D)의 기동신호 또는 닙롤러(Rn) 및 딜리버리롤러(Rd)로 구성된 방적사 송출부재(H)의 기동신호와 동시에 또는 전후에 발신되는 것으로, 즉, 방적사의 시작과 선회기류의 발생을 동기시킨다.
이 공기회로는 방적재개시에는 다음의 동작을 실시한다. 즉, 방적이 재개되면, 먼저, 전환밸브(204)가 신호(206)에 의해 여자된 공급위치로 전환되며, 고압공기(A1)가 셔틀밸브(208)를 거쳐 화살표(209)와 같이 출력되고, 셔틀밸브(208)는 이 고압공기(A1)를 공기분사공(3)으로 출력한다. 이어서, 전환밸브(205)가 신호(207)에 의해 여자되어 공급위치로 전환되며, 소정압력의 공기(A2)가 셔틀밸브(208)를 거쳐 화살표(210)와 같이 출력되는데, 셔틀밸브(208)는 동일한 고압공기(A1)를 출력한다. 전환밸브(204)를 전환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전환밸브(204)는 신호(206)에 의해 소자되어 차단위치로 전환하며, 그 2차측이 대기와 연결되어 통하기 때문에 셔틀밸브(208)는 통상압력 공기회로측으로 전환하여, 통상압력 공기(A2)를 공기분사공(3)으로 공급한다. 이와 같이, 고압공기 회로(212)와 통상압력 공기회로(213)를 구비하고, 이들을 전환하는 구성으로 하기 때문에, 쉽게 소정의 시간동안만 고압공기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상태를 제7도에 의해 설명한다. 제7도에서,(t1)의 시각에서 방적이 재개되면, 고압공기회로로부터 고압공기가 출력(ON)된다(부호(209) 참조). 이어서,(t2)의 시각에서 소정 압력의 공기회로로부터 소정압력의 공기가 출력(ON)된다(부호(210) 참조).(t3)의 시각에서 방적재개 후 소정시간(T)이 경과하면, 고압공기의 공급이 정지(ON)된다. 이 소정의 시간(T)은 방적의 속도에 의하지만, 실잇기부분이 통과하기 까지가 좋고, 10∼500ms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공기분사공에는,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방적재개와 동시에 소정압력의 공기만을 출력했지만(부호(214) 참조), 방적재개 후 극히 짧은 시간(T)동안만 고압공기가 정확하게 출력되며(부호(211) 참조), 또, 고압공기로부터 소정압력의 공기로의 전환시에 중간에 차단되지 않고 출력된다. 이 때문에, 실의 절단이 일어나지 않는다.
제2도에서, 방적 개시시에 이와 같이 공기분사공(3)으로부터 분출되는공기(화살표(211) 참조)가 잠시동안 통상압력보다 고압으로 유지된 결과, 선회공기류를 형성하기 때문에 과도상태의 시간이 단축되고, 신속히 정상상태로 이행된다. 이 때문에, 패키지로부터 역으로 통과된 실(Y')의 수선형상의 선단부(Fl')에 신속하게 일반적인 방적사(Y)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므로, 잘 끊어지는 일(실의 강도는 높지만, 실의 장력이 없어 잡아당기면 끊어짐)이 없이, 이음매가 깨끗하고 실의 장력의 유지율이 높은 실잇기(피싱)가 이루어진다.
즉, 방적개시에 있어서, 패키지측 실 끝의 선단부분에 감긴 섬유의 권취력이 통상의 방적시보다 강하기 때문에, 이음매 부분에서의 실의 장력 설정된다. 이들의 시간은 시퀀스 등의 제어장치에 의한 설정이 가능하다.
이러한 효과의 측정예를 표 1의 대비표에 의해 설명한다. 이 효과의 측정은 폴리에스테르코튼(T/C36)의 방적사에 대해 실시한 것이다. 표 1에서, 피싱의 성공률은 종래 80%였던 것이 85∼92%로 향상되었다. 잘 끊어지는 일의 발생율은 종래 50%였던 것이 0%로 되었다. 실의 장력의 일반적인 부분에 대한 유지력은 종래 0∼70%였던 것이 60∼80%로 되었다.
[표 1]
본 발명의 방적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방적재개시에 소정의 공기압력보다 높은 고압공기에 의한 선회기류를 작용시키도록 한 것으로, 간단한 구성의 기기를 부가한 것만으로 피싱성공율의 향상 및 실의 장력의 유지율 향상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8)

  1. 선회기류 작용영역에 공급되는 섬유속에 소정의 공기압에 의한 선회기류를 작용시켜서, 상기한 섬유속을 가연하여 방적사를 형성 하는 방적 방법에 있어서, 패키지(b)측의 실 끝을 상기한 선회기류 작용영역까지 역으로 통과시킨 뒤, 섬유속을 공급하여 방적을 개시함과 동시에, 상기한 방적개시 후 또는 그 전후의 소정시간 동안, 상기한 공기압을 통상의 방적시의 공기압보다 높은 공기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패키지(b)측의 실 끝을 상기 선회기류 작용영역까지 역으로 통과시킨 뒤, 섬유속을 공급하여 방적을 개시할 때, 상기한 패키지(b)측의 실 끝에, 공급되는 섬유속이 최초로 감기는 동안에는 상기한 공기압을 통상의 방적시의 공기압보다 높은 공기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방법 .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방적개시가 패키지(b)측 실의 주행개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압공기의 분사 개시시기가 상기한 방적개시와 거의 동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압공기의 차단 이전에 통상압력의 공기를 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방법.
  6. 선회기류 작용영역에 공급되는 섬유속에 소정의 공기압에 의한 선회기류를 작용시켜서, 상기한 섬유속을 가연하여 방적사를 형성하는 방적부와, 그 방적부 내에 패키지측의 실 끝을 역으로 통과시켜, 방적개시를 가능하게 하는 피싱부를 가지는 방적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방적개시 후 또는 그 전후의 소정시간 동안, 상기한 공기압을 통상의 방적시의 공기압보다 높은 공기압으로 하는 고압부여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방적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압부여수단은, 상기한 소정 공기압을 공급하는 제1공기회로(213)와, 상기한 소정의 공기압보다 고압의 공기압을 공급하는 제2공기회로(212)와, 이들 제1 및 제2공기회로(213,212)의 전환수단(204,205)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방적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한 전환수단(204,205)은, 제1공기회로(213)가 오프되기 전에 제2공기회로(212)가 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 장치.
KR1019950028775A 1994-09-05 1995-09-04 방적방법 및 방적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2602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38445A JP2658901B2 (ja) 1994-09-05 1994-09-05 紡績装置
JP94-238445 1994-09-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925A KR960010925A (ko) 1996-04-20
KR100260219B1 true KR100260219B1 (ko) 2000-07-01

Family

ID=17030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8775A Expired - Fee Related KR100260219B1 (ko) 1994-09-05 1995-09-04 방적방법 및 방적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673547A (ko)
JP (1) JP2658901B2 (ko)
KR (1) KR100260219B1 (ko)
CN (1) CN1128813A (ko)
DE (1) DE19532619A1 (ko)
TW (1) TW27918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30010B2 (ja) * 1996-05-16 1999-08-03 村田機械株式会社 紡績機のピーシング方法及びその装置
TW341605B (en) * 1996-05-16 1998-10-01 Murada Kikai Kk Piecing method for a spinning machine
JP2973961B2 (ja) * 1997-01-13 1999-11-08 村田機械株式会社 紡績機のピーシング方法及びその装置
DE19927838B4 (de) * 1999-06-18 2008-01-31 Oerlikon Textile Gmbh & Co. Kg Vorrichtung zur Herstellung gesponnener Fäden
JP4062869B2 (ja) * 2000-09-01 2008-03-19 村田機械株式会社 コアヤーン製造装置及びコアヤーン製造方法
DE10346226A1 (de) * 2003-09-23 2005-04-14 Wilhelm Stahlecker Gmbh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gesponnenen Fadens aus einem Stapelfaserverband
DE10349651A1 (de) * 2003-10-20 2005-05-19 Wilhelm Stahlecker Gmbh Luftdüsen-Spinnvorrichtung
DE102004052510A1 (de) * 2004-10-21 2006-04-27 Wilhelm Stahlecker Gmbh Luftdüsenspinnmaschine
CZ2007178A3 (cs) * 2007-03-08 2008-09-17 Rieter Cz A. S. Zpusob a zarízení k zavádení konce príze do sprádací trysky tryskového doprádacího stroje
JP2016017254A (ja) * 2014-07-10 2016-02-01 村田機械株式会社 紡績機及び紡績方法
CH709953A1 (de) * 2014-07-30 2016-02-15 Rieter Ag Maschf Verfahren zum Betrieb einer Luftspinnmaschine.
CN105568455B (zh) * 2016-03-09 2018-03-27 苏州华策纺织科技有限公司 一种断线自动接线器
EP3835467B1 (de) * 2019-12-09 2025-07-02 Saurer Intelligent Technology AG Verfahren zur reinigung einer luftspinnvorrichtung einer spinnstelle und eine solche luftspinn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90601C1 (de) * 1985-11-21 1991-10-24 Schubert & Salzer Maschin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Wiederanspinnen einer mit einem Streckwerk und einem pneumatischen Drallorgan arbeitenden Spinnvorrichtung
JPH0689485B2 (ja) * 1989-11-14 1994-11-09 村田機械株式会社 紡績糸の製造装置
US5159806A (en) * 1989-11-14 1992-11-03 Murata Kikai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producing spun yarns
DE4105108C2 (de) * 1990-02-20 1995-01-05 Murata Machinery Ltd Pneumatische Spinnvorrichtung
US5263310A (en) * 1990-02-20 1993-11-23 Murata Kikai Kabushiki Kaisha Spinning apparatus
JPH0465535A (ja) * 1990-07-04 1992-03-02 Murata Mach Ltd 紡績装置
JPH069027Y2 (ja) * 1990-09-18 1994-03-09 村田機械株式会社 紡績装置
JPH07122167B2 (ja) * 1992-03-16 1995-12-25 村田機械株式会社 紡績装置の糸継ぎ方法
CH685946A5 (de) * 1992-06-25 1995-11-15 Rieter Ag Maschf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tomatischen Ansetzen eines neu zu spinnenden Garnes an ein bestehendes Garnende.
JP2596298B2 (ja) * 1992-12-04 1997-04-02 村田機械株式会社 紡績機のピーシング方法
JP2596297B2 (ja) * 1992-12-04 1997-04-02 村田機械株式会社 紡績機のピーシング装置
JPH06220728A (ja) * 1993-01-25 1994-08-09 Murata Mach Ltd 紡績機のピーシング方法
JPH06240520A (ja) * 1993-02-17 1994-08-30 Murata Mach Ltd 紡績装置
JP2616428B2 (ja) * 1994-01-25 1997-06-04 村田機械株式会社 紡績機の糸継ぎ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673547A (en) 1997-10-07
JPH0881835A (ja) 1996-03-26
CN1128813A (zh) 1996-08-14
KR960010925A (ko) 1996-04-20
TW279183B (ko) 1996-06-21
DE19532619A1 (de) 1996-03-07
JP2658901B2 (ja) 1997-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62869B2 (ja) コアヤーン製造装置及びコアヤーン製造方法
JP4801146B2 (ja) ジェット紡糸機における紡績再開法、並びに紡糸装置及びジェット紡糸機
US551137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iecing a sliver and at least one of a leading yarn and a bobbin yarn
US5419110A (en) Piecing method and apparatus in a spinning machine
TWI770227B (zh) 用於操作噴氣式紡紗裝置的方法,導紗通道及包含此導紗通道的噴氣式紡紗機
KR100260219B1 (ko) 방적방법 및 방적장치
JP3064951B2 (ja) 糸通し装置
US20020139102A1 (en) Core yarn, and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1316631B1 (en) Spinning device and spinning method
US4653260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preparing a cut-to-length thread end for the re-piecing of an open-end spinning machine
JP3682583B2 (ja) コアヤーン製造装置
JP2002155435A (ja) 紡績機におけるピーシング方法及びその装置
US4620413A (en) Method of yarn piecing a spinning unit
JP3760802B2 (ja) コアヤーン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278034A (ja) 紡績装置
JPH0860461A (ja) ピーシング方法
JPH0314928B2 (ko)
JP3562396B2 (ja) 紡績装置
JP2002069761A (ja) 紡績方法
JP2003113539A (ja) 紡績装置及び紡績装置における糸継ぎ方法
JPH06287824A (ja) 紡績装置の糸継ぎ方法
JPH06287823A (ja) 紡績装置の糸継ぎ方法
JP2003268637A (ja) 紡績装置及び該紡績装置における糸継ぎ方法
JPH11107066A (ja) 紡績機のピーシング装置
JP2001073235A (ja) 空気紡績装置及びその糸継ぎ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90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4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509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12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3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4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04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4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