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71102B1 - 실흡인장치 및 실흡인,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실흡인장치 및 실흡인,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1102B1
KR100471102B1 KR10-1999-0053172A KR19990053172A KR100471102B1 KR 100471102 B1 KR100471102 B1 KR 100471102B1 KR 19990053172 A KR19990053172 A KR 19990053172A KR 100471102 B1 KR100471102 B1 KR 100471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suction
compressed air
pipe
guide mechanis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3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2386A (ko
Inventor
쿠보타야수히코
Original Assignee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35317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40523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101121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211814A/ja
Application filed by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52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2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1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110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7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f yarn-winding machines
    • B65H54/71Arrangements for severing filamentar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86Arrangements for taking-up waste material before or after winding or depositing
    • B65H54/88Arrangements for taking-up waste material before or after winding or depositing by means of pneumatic arrangements, e.g. suction gu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7/00Replacing or removing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 B65H67/04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take-up packages and or replacing by cores, formers, or empty receptacles a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Transferring material between adjacent full and empty take-up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placing, Conveying, And Pick-Finding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Guides For Winding Or Rewinding, Or 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Coiling Of Filamentary Material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실의 흡입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실흡인장치 및 실걸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Y)의 트래버스평면(P)을 향하도록 실흡인로(15)의 흡인구(14)를 개구시킨 실흡인장치(13)로서, 트래버스평면(P)과 교차되지 않는 대기위치(E)와 트래버스평면(P)과 교차하는 안내위치(F) 사이에서 진퇴하는 실안내기구(16)를 설치하고, 실안내기구(16)는, 안내위치(F)로 전진된 때에 트래버스평면(P)으로부터 흡인구(14)의 근방에 이르는 자세로 되는 실안내면(16c, 16c)을 구비하고 있다. 실안내기구(16)에 대기위치(E)로 후퇴했을 때에 흡인구(14)를 덮는 뚜껑부(16a)를 구비하고 있다. 실안내기구(16)의 전진조작을 공급되는 압축공기력으로 행하는 조작기구(19)와, 흡인구(14)의 흡인을 공급되는 압축공기력으로 행하는 실흡인로(15)에, 개폐밸브(24)를 구비한 공통의 압축공기로(22)를 접속하였다.

Description

실흡인장치 및 실흡인, 절단장치{YARN SUCTION DEVICE AND YARN SUCTION-CUTTING DEVICE}
본 발명은, 실을 트래버스시켜서 권취하는 실권취장치에 있어서의 실흡인 및 실절단에 관한 것이다.
우선, 제1종래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종래, 실걸기장치(1)는, 도 5에 표시하듯이, 실절단장치(2), 실흡인장치(3), 및 실걸기암(10)을 구비하고, 트래버스평면(P)위를 트래버스하면서 보빈(B)으로 권취되는 실(Y)을 실절단장치(2)로 절단하는 것과 동시에, 절단된 실(Y)의 상류측을 실흡인장치(3)로 흡인하고, 흡인중인 실(Y)을 요동하는 실걸기암(10)으로 걸어서 공보빈단부로 건네 주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흡인장치(3)는, 트래버스평면(P)을 향하도록 흡인구(4)를 개구시킨 실흡인로(5)와, 흡인구(4)를 개폐하기 위해 설치된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하는 판형상 뚜껑(6)을 구비하고 있다. 실절단장치(2)는, 흡인구(4)보다 실주행방향(화살표 C방향)의 하류측에서, 또한 트래버스평면(P)의 내측부근의 위치에 실안내면(7) 및 절단부(8)를 구비한 안내·절단기구(9)를 설치하는 것과 동시에, 안내·절단기구(9)를 트래버스평면(P)과 교차되지 않는 하방의 대기위치와 트래버스평면(P)과 교차하는 상방의 안내·절단위치 사이에서 진퇴하도록 되어 있다.
도핑(doffing)을 위해 실(Y)을 절단할 때에는, 실흡인장치(3)의 판형상 뚜껑(6)을 닫음위치(도면에서 실선으로 표시하는 위치)로 회전시켜서 흡인구(4)를 개구시키는 것과 동시에, 실절단장치(2)의 안내·절단기구(9)를 안내·절단위치까지 상승시킨다. 트래버스하는 실(T)은, 그 상태에서 실절단장치(2)의 안내·절단기구(9)를 타넘은 후에 역방향으로 트래버스이동하면, 실절단장치(2)의 실안내면(7)으로 포착되는 것과 동시에 절단부(8)에서 절단되고, 절단된 상류측이 실흡인장치(3)의 흡인구(4)로 흡인된다. 공보빈에 실(Y)을 걸 때에는, 실절단장치(2)의 안내·절단기구(9)를 대기위치까지 강하시킨 후에, 흡인중인 실(Y)을 요동하는 실걸기암(10)으로 걸어서 공보빈단부로 건네주는 것과 동시에, 실흡인장치(3)의 판형상 뚜껑(6)을 닫음위치(도면에서 2점쇄선으로 표시하는 위치)로 회전시켜서 흡인구(4)를 닫는다.
다음에 제2종래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종래, 연신가연기 등에 있어서는, 실을 트래버스시키면서 권취하고, 권취량이 소정량에 달하면, 실절단장치에 의해서 실을 절단하고, 그 절단된 실을 절단장소의 상류측에서 흡인포착하는 실흡인장치를 구비한 실권취장치가 알려져 있다. 실흡인장치의 흡인구에 흡인포착된 실은, 실걸기장치의 실걸기암에 의해서 공보빈단부로 건네진 후, 그 공보빈에 대한 통상의 권취동작이 개시된다. 이 종류의 실흡인장치는, 기대 길이방향을 따라서 메인흡인관을 배치하고, 흡인구가 트래버스평면을 향하도록 메인흡인관에서 각 추마다 지관을 분기시키고 있다. 메인흡인관의 일단에는 블로어가 설치되고, 이 블로어에 의해서 관내로 발생된 부압에 의해서 지관의 흡인구로 흡인력을 발생시키고, 그 흡인구로부터 주행하는 실을 흡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렇지만, 블로어에 의해서 발생된 부압만으로는, 고속권취의 경우, 각 지관의 흡인구로부터 흡입된 실을 느슨하게 하지 않고 팽팽하게 하기 위한 장력을 충분히 발생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높은 장력하의 실인 경우, 흡인구의 하류측에서 절단된 실의 흡인미스가 발생하는 것이 있다. 즉, 블로어에 의해서 흡인을 행하는 경우, 블로어로부터의 거리에 따라서 흡인구에서의 흡인력이 다르고, 블로어로부터 먼 추에 있어서 확실한 흡인이 행해지지 않는다는 문제도 있었다. 실의 흡인포착을 확실하게 행하기 위해 블로어를 대형화시키면, 소비전력이 커지게 되는 동시에, 실권취장치 전체의 대형화 및 복잡화를 초래하게 된다.
여기에서, 고속권취중인 실을 느슨하지 않게 흡입하도록, 상기 블로어에 부가하여, 각 지관마다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을 형성하고, 지관내에 하류측을 향해서 압축공기를 분사함으로써, 흡인구에 흡인력을 발생시키도록 한 것이 개발되어 있다. 이 경우, 흡인구 근방에서는 강한 흡인력이 발생하고, 실을 확실하게 흡입하는 것과 동시에, 압축공기분사위치보다 하류측에서는, 분사된 압축공기에 의해서 흡입된 실밥은 막히지 않고 확실하게 메인흡인관내로 배출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압축공기분사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블로어에 의한 공기류는 메인흡인관내에서 실밥을 반송하는 역할을 다하는 것이면 충분하고, 따라서 블로어용량을 작게 할 수 있다.
압축공기분사에 의해서 흡인구에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예로서, 지관내와 외부를 폐쇄 또는 개방하는 개폐부재를 설치하고, 실을 흡입할 필요가 없는 때에 압력손실을 방지할 수 있고, 실을 흡입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상기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으로부터 분사되는 압축공기를 사용하여 개폐부재를 작동시키는 것이 있다. 이 경우,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과 개폐부재작동용의 조작기구를 공통의 압축공기공급관에 접속하고, 소정의 타이밍에 의해서 개폐밸브를 조작함으로써, 공통의 압축공기공급관을 통하여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 및 조작기구의 양방에 동시에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다음에, 제3종래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종래, 실을 트래버스하면서 권취를 행하고, 권취량이 소정량에 도달하면, 실절단장치에 의해서 실을 절단하고, 그 절단된 실을 절단개소의 상류측에서 흡인포착하는 실흡인장치를 구비한 실권취장치가 알려져 있다. 실흡인장치의 흡인구에 흡인포착된 실은, 실걸기장치의 실걸기암에 의해서 공보빈단부로 건네진 후, 그 공보빈에 대한 통상의 권취동작이 개시된다. 이 종류의 실흡인장치는, 실권취장치의 기대 길이방향을 따라 메인흡인관을 배치하고, 흡인구가 트래버스평면을 향하여 메인흡인관으로부터 각 추마다 지관을 분기시키고 있다. 메인흡인관의 일단에는 블로어가 설치되고, 이 블로어에 의해서 메인흡인관내에 발생된 부압에 의해서, 지관의 흡인구에 흡인력을 발생시키고, 그 흡인구로부터 주행하는 실을 흡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실흡인장치의 일례로서, 일본특허공개 평6-40661호 공보에는, 다수의 흡인구를 전체 길이에 걸쳐서 보유하고 있고, 또한 실밥포집용기 및 흡인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블로어와 접속된 1개의 메인흡인관을 구비하고, 각 흡인구가 지관으로서 구성되어 있고, 그 지관이 메인흡인관의 외주벽에 기밀하게 장착되어 있는 실흡인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이 실흡인장치에서는, 각 지관의 지름을 메인흡인관의 지름보다 큰폭으로 작게 구성하여, 지관내로 고속의 흡인류를 발생시켜서 실의 흡인포착을 확실하게 행하도록 하는 동시에, 흡인력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동시에 다수의 흡인구를 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일본특허공개 평6-40661호 공보에 기재된 실흡인장치에서는, 메인흡인관내의 공기류에 의해서 지관내로 공기류를 발생시키므로, 지관내로부터 메인흡인관내로의 합류의 저항이 큰 경우, 공기류의 원활한 합류가 행해지지 않는 일이 있다. 즉, 예를 들면, 지관의 축선이 메인흡인관의 축선과 직교하고 있는 경우, 메인흡인관내의 공기류에 의해서, 지관내로부터 메인흡인관내로의 공기류의 합류가 막히는 일이 있다. 그래서, 일본특허공개 평6-40661호 공보에는, 메인흡인관으로의 흡입구영역에 있어서, 실이 메인흡인관내의 흡인류방향의 운동성분을 보유하도록, 지관의 축선을 메인흡인관의 축선에 대하여 경사시킴으로써, 메인흡인관으로의 지관의 흡입구에 있어서 공기력적인 공기막힘이동압력을 피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개평 6-40661호 공보에 기재된 실흡인장치에서는, 각 지관의 흡인구에서의 흡인력(지관내의 공기유속)을 증대시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지관의 지름을 작게할 필요가 있다. 지관의 지름을 작게하면, 절단된 실을 흡인구에서 확실하게 흡인포착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는 동시에, 흡입된 실밥이 지관내의 도중에서 막힐 가능성이 커진다.
여기에서, 지관의 도중에, 공기류가 메인흡인관을 향하는 방향의 운동성분을 보유하도록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고속권취의 경우에서도 각 지관의 흡인구로부터 흡입된 실을 잡아당기는 장력을 충분히 발생시키도록 한 것이 있다. 이 경우, 메인흡인관에 접속된 블로어의 용량은, 지관으로부터 메인흡인관으로 배출된 실밥을 반송한다면 충분한 정도로 작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지관내로의 압축공기분사에 의해서 흡인구에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경우, 지관내로부터 메인흡인관내로 합류된 공기류는 메인흡인관의 대향하는 내주면에 접한 후에 확산된다. 이 확산은 메인흡인관내의 공기류의 방향과 관계없이 일어나고, 예를 들면, 지관의 축선과 메인흡인관의 축선이 직교하고 있는 경우, 메인흡인관내의 공기류의 상류측을 향하여 확산된 공기류와, 메인흡인관내에 있어서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하는 공기류가 간섭함으로써, 메인흡인관내로 상류측으로부터의 실밥의 반송을 막는 작용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공기막음작용이 발생하면, 이 막음위치 상류에 관내를 상류측으로부터 반송되어 온 실밥이 퇴적되어, 메인흡인관내에서의 원활한 실밥반송이 불가능하게 된다.
우선, 도 11을 사용하여 설명된 제1종래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제1과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종래예에 있어서의 실흡인장치(3)는, 권취중인 실(Y)을 판형상 뚜껑(6)에 접촉되지 않도록, 흡인구(4)를 트래버스평면(P)으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있으므로, 트래버스평면(P)위에서 절단된 실(Y)을 흡인구(4)로 흡입하지 않는 것이 있다. 특히, 고속권취하(예를 들면, 1200m/min)에서는, 실장력이 높아지므로, 흡입되지 않는 것이 현저하게 된다.
그러나, 절단된 실(Y)의 흡입을 실패했을 때에는, 실걸기암(10)으로 실을 걸 수 없으므로, 다시 자동권취하기 위한 복구에 많은 시간을 요하고, 권취작업능률을 현저하게 저하시키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실의 흡입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실흡인장치 및 실흡인, 절단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다음에, 제2종래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제2과제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2종래예와 같이,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 및 조작기구의 양방에 동시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경우, 노즐구멍으로부터의 압축공기분사에 의한 흡인력으로 개폐부재가 정상으로 폐쇄상태에서 개방상태로 이동하지 않는 일이 있다. 즉, 예를 들면, 지관의 흡인구에 요동가능한 개폐부재를 설치한 경우, 노즐구멍으로부터의 압축공기분사에 의해서 흡인구에는 지관내를 향하는 흡인력을 발생시키지만, 개폐부재는 그 흡인력에 저항하여 요동되어 열리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는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으로부터의 압축공기분사와 개폐부재의 개방동작이 동시 또는 개방동작이 늦게 행하여지므로, 노즐구멍으로부터의 압축공기분사에 의해서 발생된 흡인력이 개폐부재의 개방동작을 방해하고, 개방부재의 개방동작이 늦어지거나 혹은 개방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실권취장치에 있어서 주행중인 실을 절단하여 흡인할 때, 지관내로의 압축공기분사에 의한 흡인력에 방해가 되지 않게 개폐부재를 확실하게 개방할 수 있는 실흡인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다음에, 제3종래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제3과제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일본특허공개 평6-40661호 공보에 기재된 실흡인장치에 있어서, 지관의 축선을 메인흡인관의 축선에 대하여 경사시키는 것은, 메인흡인관내의 공기류에 의한 막음작용에 의해서, 지관내의 출구근방에 실밥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즉, 메인흡인관내의 공기류에 의해서 지관내에 공기류를 발생시키는 타입의 실흡인장치에서는, 지관내로부터 메인흡인관내로 합류된 공기류에 의해서 메인흡인관내에 실밥이 퇴적된다고 하는 문제는 발생되지 않는다. 메인흡인관내에서는 아니고 지관내에 실밥이 막혀도, 메인흡인관내의 공기류가 원활하게 흐르고 있는 한, 상류측에 있는 다른 지관으로부터 흡입된 실밥은 정상으로 메인흡인관내를 반송된 후에 회수된다. 따라서, 특정한 지관내에서 실밥의 막힘이 발생하여도, 다른 권취 추로부터의 실의 흡인제거는 정상으로 행해진다.
그러나, 흡인구로부터 흡인된 실의 흡입을 보다 확실하게 행하기 위해 지관내에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경우, 분사되는 압축공기를 소정치 이상으로 설정하여 두면, 지관내에서의 실밥의 막힘은 방지할 수 있지만, 지관의 축선과 메인흡인관의 축선의 관계에 따라서, 상술된 바와 같이 메인흡인관내에서의 실밥의 퇴적이 발생하고, 이것에 의해서 상류측으로부터의 실밥반송이 정상으로 행해지지 않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즉, 이 경우에는 메인흡인관내에서의 원활한 공기류가 저해되어서 다른 권취 추로부터의 실의 흡인제거가 정상으로 행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흡인구로부터의 실의 흡인포착을 보다 확실하게 행하기 위해 지관의 도중에 압축공기분사를 행하는 경우에, 상시 메인흡인관내의 원활한 공기류를 유지함으로써, 메인흡인관내에서의 실밥의 퇴적을 방지하고, 전체 지관에 흡입된 실밥을 확실하게 메인흡인관의 하류단까지 반송시켜 회수할 수 있는 실흡인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실의 흡입을 확실하게 행하기 위하여,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이 채용한 수단은, 실의 트래버스평면을 향하도록 실흡인로의 흡인구를 개구시킨 실흡인장치에 있어서, 트래버스평면과 교차하지 않는 대기위치와 트래버스평면과 교차하는 안내위치 사이에서 진퇴하는 실안내기구를 설치하고, 그 실안내기구는, 안내위치로 전진했을 때에 트래버스평면으로부터 상기 흡인구의 근방으로 도달하는 자세로 되는 실안내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흡인장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실안내기구를 대기위치로 후퇴시켰을 때에는, 실이 실안내기구에 접촉하지 않고 트래버스평면위를 트래버스하면서 통과하고, 실안내기구를 안내위치로 전진시켰을 때에는, 트래버스하면서 통과하는 실이 실안내면에서 포착되는 것과 동시에, 포착된 실이 트래버스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실안내면으로 안내되어 흡인구의 근방으로 인도된다.
구조의 간략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청구항 2에 기재된 본 발명이 채용한 수단은,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안내기구에, 상기 대기위치로 후퇴했을 때에 상기 흡인구를 덮는 뚜껑부를 구비한 실흡인장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실안내기구에 뚜껑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실안내기구를 대기위치로 후퇴시켰을 때에는, 흡인구를 뚜껑부로 덮고, 실안내기구를 안내위치로 전진시킨 때에는 흡인구를 개구시킨다.
구조의 간략화를 도모하기 위해 청구항 3에 기재된 본 발명이 채용한 수단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실안내기구의 전진조작을 공급되는 압축공기력으로 행하는 조작기구와, 상기 흡인구에서의 흡인을 공급되는 압축공기로 행하는 실흡인로에, 개폐밸브를 구비한 공통의 압축공기로를 접속시킨 실흡인장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개폐밸브를 열었을 때에는, 압축공기가 조작기구 및 실흡인로에 공급됨으로써, 실안내기구를 조작기구로 전진조작하는 것과 동시에 흡인구를 흡인상태로 한다.
흡입이 확실하게 행해진 상태에서 실을 절단하기 위해 청구항 4에 기재된 본 발명이 채용한 수단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실흡인장치와, 포착된 실을 절단부까지 안내하는 실안내기구를 상기 트래버스평면과 교차하지 않는 대기위치와 실포착위치 사이에서 진퇴하도록 설치된 실절단장치를 구비한 실흡인, 절단장치로서, 상기 실흡인장치의 실안내기구를 안내위치로 전진시킨 후에, 그 실절단장치의 실안내기구를 실포착위치로 전진시키도록 상기 실흡인장치 및 그 실절단장치의 각 기동을 제어하는 제어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흡인, 절단장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어기구로 실흡인장치의 실안내기구를 기동시킨 후에, 실절단장치의 실안내기구를 기동시킴으로써, 실을 실흡인장치의 실안내면에서 포착하여 흡인구의 근방으로 인도시킨 후에 실절단장치로 절단하므로, 절단된 실을 흡인구로 확실하게 흡인시킬 수 있다.
상기 제2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메인흡인관으로부터 실흡인구를 보유하는 복수개의 지관을 분기시킨 실흡인장치에 있어서, 메인흡인관을 향하는 운동성분을 보유하도록 지관내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과, 외부에 대하여 지관내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부재를 구비하고, 개폐부재의 개방동작이 개시된 후에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으로부터의 압축공기분사를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개폐부재의 개방동작이 개시된 후에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으로부터의 압축공기분사를 행하도록 하였으므로, 즉, 개폐부재의 개폐동작 개시시에는 아직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으로부터의 압축공기분사가 행하여지지 않으므로, 압축공기분사에 의한 흡인력이 발생하기 전에 개폐부재의 개방동작이 개시되고, 압축공기분사에 의한 흡인력으로 개폐부재의 개방동작이 방해되지 않는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공급된 압축공기에 의해서 상기 개폐부재를 폐쇄상태에서 개방상태로 작동시키는 조작기구를 보유하고, 그 조작기구와 상기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이 개폐밸브를 구비한 공통의 압축공기공급관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공통의 압축공기공급관을 통하여,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 및 개폐부재 작동용의 조작기구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므로, 간단한 구조에 의해서 노즐구멍으로부터의 압축공기분사 및 개폐부재의 개방동작이 실현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조작기구는 상기 개폐밸브 및 상기 압축공기공급관을 통하여 공급된 압축공기에 의해서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이동되는 이동부재를 보유하고, 개방위치로 이동되는 이동부재에 압압되어 개폐부재가 개방되도록 구성되고, 이동부재가 폐쇄위치일 때에는 상기 압축공기공급관과 상기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은 이동부재로 차단되고, 이동부재가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압축공기공급관과 상기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이 연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실의 흡인을 행할 때에 소정의 타이밍이 되면, 개폐밸브가 개방되어 압축공기가 압축공기공급관을 통하여 조작기구에 공급된다. 이 공급개시의 시점에서는, 폐쇄위치에 있는 이동부재에 의해서 차단되어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에는 압축공기가 공급되지 않는다. 조작기구의 이동부재가 개폐부재를 여는 방향으로 소정거리만큼 이동하면, 이동부재에 압압되어서 조작기구의 개폐부재가 개방되는 것과 동시에, 압축공기공급관과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이 연통하고,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에도 압축공기가 공급되게 된다. 조작기구 및 그 주변구조를 조정함으로써, 조작기구의 이동부재가 어느 정도 이동하면 압축공기공급관과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이 연통하지만, 즉, 개폐부재용의 조작기구의 작동개시 후,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으로부터의 압축공기분사개시까지의 시간을 원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부재는, 개폐부재의 개방을,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으로부터의 압축공기분사에 선행시키는 시간차형성부재로 되어 있다.
상기 제3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복수 추로 이루어진 실권취장치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메인흡인관으로부터 흡인구를 보유하는 복수개의 지관을 각 추마다 분기시키고, 권취패키지에 권취중인 실을 절단부로 절단함으로써, 절단개소보다 상류측의 실을 흡인구로 흡인하는 실흡인장치에 있어서, 메인흡인관을 향하는 방향으로 지관의 흡인구로부터 종단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지관내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을 보유하고, 지관은,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으로부터 분사된 압축공기가, 메인흡인관내의 공기류의 하류측을 향하는 운동성분을 가지고 메인흡인관내로 합류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지관의 흡인구로부터 종단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으로부터 지관내로 압축공기를 분사함으로써, 흡인구에 강한 흡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지관으로부터의 압축공기는 메인흡인관내의 공기류의 하류측을 향하여 메인흡인관내에 합류하므로, 지관으로부터 메인흡인관으로 배출되는 공기류가 메인흡인관내의 공기류를 방해하지 않고, 메인흡인관내에 있어서 실밥반송을 위한 원활한 공기류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지관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류에 의해서, 메인흡인관내의 하류측을 향하는 공기류를 증폭시켜 실반송능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지관의 내경은,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의 분사위치로부터 메인흡인관에 이를 때까지 점점 지름이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의 분사위치에서는 지관의 내경은 작아지므로, 분사위치의 바로 하류측에서의 공기유속이 커져서 실의 흡입이 확실하게 행해지는 것과 동시에, 그 소경부로부터 메인흡인관과의 합류부를 향하여 지관의 내경이 점점 확대되므로, 분사된 공기에 의한 공기류를 지관내에서 원활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지관의 내경은, 메인흡인관의 내경보다 작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각 지관의 내경을 메인흡인관의 내경보다 작게하여, 지관내에 강한 흡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으로부터 분사된 압축공기를 원활하게 메인흡인관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흡인장치 및 실흡인, 절단장치(이하, 「본 발명 장치」라고 함)를 도면에 표시하는 제1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장치는, 예를 들면 1600m/분의 실속도로 합섬사의 권취를 행하는 연신가연기에 사용할 수 있다. 연신가연기에서는, 급사패키지로부터 해서(解舒)된 합섬사는, 실이송장치에 의해서 권취의 중단 중도 포함하여 상시 하류측으로 계속 보내진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장치의 제1실시형태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장치를 구비한 실걸기장치의 상면도, 도 2는 실걸기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도 2의 D-D선에 있어서의 실절단가능한 상태를 표시하는 부분단면도, 도 4는 도 2의 D-D선에 있어서의 절단불가능한 상태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실걸기장치(11)는, 실절단장치(12), 실흡인장치(13), 및 실걸기암(10)을 구비하고, 트래버스평면(P)위를 트래버스하면서 보빈(B)으로 권취되는 실(Y)을 실절단장치(12)로 절단하는 것과 동시에, 절단된 실(Y)의 상류측을 실흡인장치(13)로 흡인하고, 실흡인중인 실(Y)을 요동하는 실걸기암(10)으로 걸어서 공보빈단부(Ba)로 건네주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실흡인장치(13)는, 실(Y)의 트래버스평면(P)을 향하도록 흡인구(14)를 개구시킨 본체부(17), 본체부(17)에 전진후퇴요동가능하게 축받이(17a)된 실안내기구(16), 본체부(17)와 실안내기구(16) 사이에 배치되어 실안내기구(16)를 후퇴방향으로 압압하는 스프링(18), 및 본체부(17)와 실안내기구(16) 사이에 배치되어 실안내기구(16)를 전진방향으로 압압하기 위한 조작기구(19)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17)는, 상면에 개구시킨 흡인구(14)와 하단에 접합시킨 실배출관(20)을 연통시키는 실흡인로(15), 개폐밸브(24)를 구비한 압축공기배관(21)에 연통되는 압축공기로(22), 및 압축공기로(22)와 실흡인로(15)를 연통시키는 것과 동시에 실흡인로(15)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노즐구멍(23)을 구비하고, 개폐밸브(24)를 여는 것에 따라 노즐구멍(23)으로부터 실흡인로(15)로 압축공기를 분사함으로써, 흡인구(14)에 흡인압을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다. 본체부(17)는, 노즐구멍(23)으로부터 분출된 압축공기가 실흡인로(15)에서 선회류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어, 선회류에 의해서 실흡인로(15)의 하류측에서 안정된 공기유속을 유지하여, 실(Y)을 확실하게 흡인포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실안내기구(16)는, 트래버스평면(P)과 교차하지 않는 대기위치(E)(도 4에 표시하는 위치)와 트래버스평면(P)과 교차하는 안내위치(F)(도 3에 표시하는 위치) 사이에서 진퇴하도록, 보빈(B)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축으로 하여 전진후퇴요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실안내기구(16)는, 대기위치(E)로 후퇴된 때에 흡인구(14)를 폐쇄하는 뚜껑부(16a)와, 뚜껑부(16a)의 길이방향 양 가장자리에 연속하는 절곡편부(16b, 16b)를 구비하고, 각 절곡편(16b)의 하단 가장자리부에 썰매형상의 실안내면(16c)을 형성하고 있다. 실안내기구(16)의 양 실안내면(16c, 16c)은, 안내위치(F)(도 3에 표시하는 위치)로 전진했을 때에 트래버스평면(P)으로부터 상기 흡인구(14)의 근방으로 도달하는 자세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실안내면(16c)은, 안내위치(F)에 있을 때에 포착된 실(Y)의 상방을 덮는 부분을 보유하고, 권취장력이 높은 굵은 실의 경우, 절단시에 실(Y)이 상방으로 튀어오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실안내기구(16)를 대기위치(E)(도 4에 표시하는 위치)로 후퇴시켰을 때에는, 실(Y)은 실안내기구(16)에 접촉하지 않고 트래버스평면(P)위를 트래버스하면서 통과한다. 실안내기구(16)를 안내위치(F)(도 3에 표시하는 위치)로 전진시켰을 때에는, 트래버스하면서 통과하는 실(Y)은, 트래버스방향의 한쪽으로 진행할 때, 실안내면(16c, 16c)에서 포착되는 것과 동시에, 포착된 상태에서 트래버스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실안내면(16c, 16c)으로 안내되어 흡인구(14)의 근방으로 인도된다. 그리고, 절곡편부(16b)는 뚜껑부(16a)의 길이방향 한쪽 가장자리에만 있어도 된다.
상기 실안내기구(16)는, 실안내면(16c, 16c)과 뚜껑부(16a)를 일체화시킴으로써, 구조의 간략화를 도모하고 있지만, 뚜껑부(16a)를 생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실흡인장치(13)는 도면에 표시를 생략하였지만, 뚜껑부(16a) 대신에 실흡인로(15)의 도중에 개폐밸브를 설치하고, 그 개폐밸브와 실흡인장치(13)를 공통의 구동원에 의해서 동시 또는 대략 동시에 연동시켜 작동시킴으로써, 실안내기구(16)가 대기위치(E)일 때에는 그 개폐밸브를 닫고, 실안내기구(16)가 안내위치(F)일 때에는 그 개폐밸브를 열어서 흡인구(14)를 흡인상태로 한다.
상기 조작기구(19)는, 본체부(17)에 천공된 삽입구멍(26)에 피스톤(25)을 상하이동가능하게 배치하는 것과 동시에, 삽입구멍(26)에 압축공기로(22)를 연통시키고 있다. 조작기구(19)는, 압축공기배관(21)의 개폐밸브(24)를 열었을 때, 압축공기로(22)로부터 삽입구멍(26)으로 인도된 압축공기로, 피스톤(25)을 상승시켜서 실안내기구(16)를 안내위치(F)까지 압압하는 것과 동시에 압축되는 스프링(18)에 반발탄성력을 모으게 한다. 개폐밸브(24)를 닫아서 압축공기의 공급을 정지시켰을 때, 조작기구(19)는, 스프링(18)의 반발탄성력으로 실안내기구(16) 및 피스톤(25)이 압압되는 것과 동시에, 삽입구멍(26)의 잔류공기가 압축공기로(22) 및 노즐구멍(23)을 통해서 실흡인로(15)로 배출됨으로써, 실안내기구(16)를 대기위치(E)로 후퇴시킨다.
상기 실절단장치(12)는, 포착된 실(Y)을 절단부(28)까지 안내하는 실안내기구(29)를, 트래버스평면(P)과 교차하지 않는 대기위치(G)(도 2 참조)와 실포착위치(H) 사이에서 진퇴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실포착위치(H)란, 상기 실흡인장치(13)의 실안내기구(16)의 실안내면(16c, 16c)으로 안내되면서 트래버스 이동하는 실(Y)을 포착할 수 있는 높이위치를 말한다. 그 실안내기구(29)는, 상기 실흡인장치(13)의 실안내기구(16)보다 실주행방향의 하류측으로 또한 실(Y)의 일부가 실안내기구(16)(흡인구(14) 근방)에 포착된 상태에서 그 실(Y)이 절단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실(Y)의 도입방향(도 1에서 화살표 K방향)이 상기 실흡인장치(13)의 실안내기구(16)에 있어서의 실(Y)의 도입방향(도 1에서 화살표 M방향)과 반대방향이 되도록 되어 있다. 그 실안내기구(29)는, 실포착위치(H)로 전진했을 때, 상기 실흡인장치(13)의 실안내기구(16)에 포착된 상태에서 실안내기구(29)를 향해서 트래버스이동하는 실(Y)을 수취하도록 되어 있다. 실안내기구(29)는, 요동기구(30)에 형성되어 있다. 요동기구(30)는, 도 2에 표시하듯이 고정브래킷(31)에 요동가능하게 축받이(32)되고, 조작기둥(33)을 통해서 에어실린더 또는 솔레노이드 등으로 이루어진 조작기구(도면에 표시를 생략함)로 조작되고, 실안내기구(29)를 대기위치(G)와 실포착위치(H) 사이에서 진퇴하도록 되어 있다. 요동기구(30)는, 날이 있는 도구 또는 열선 등으로 이루어진 절단부(28)가 설치되어 있어, 실안내기구(29)로 안내되고 있는 실(Y)을 절단하도록 되어 있다.
실(Y)은, 실흡인장치(13)의 실안내기구(16)를 안내위치(F)로 전진시킨 상태일 때, 도 1의 도면에서 오른쪽방향으로 트래버스가이드(34)로 트래버스시켜 이동되어 가면, 실안내기구(16)의 실안내면(16c, 16c)에서 포착되고, 더 오른쪽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실안내기구(16)를 중심으로 하는 트래버스상태로 된다. 실안내기구(16)로 포착된 후, 실(Y)은, 도면에서 왼쪽방향으로 트래버스되어 이동될 때, 실절단장치(12)의 실안내기구(29)가 실포착위치(H)로 전진하고 있을 때에는 실절단장치(12)에서 포착되어 절단되고, 실절단장치(12)의 실안내기구(29)가 대기위치(G)로 후퇴하고 있을 때에는 절단되지 않고 트래버스상태를 계속한다. 실안내기구(29)가 대기위치(G)로 후퇴하고 있을 때에는, 실안내기구(16)를 트래버스하는 지점으로 하여 도면에서 왼쪽방향으로 트래버스중인 실(Y)은, 소정위치를 넘은 후에는 절단되지 않은 채로 실안내기구(16)에 의한 포착이 해제된다.
상기 실절단장치(12) 및 상기 실흡인장치(13)로 이루어진 실흡인, 절단장치는, 제어기구(도면에서 표시를 생략함)의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조작되도록 되어 있다. 제어기구는, 보빈(B)에 소정량의 실이 권취되고, 도핑될 때에는, 실흡인장치(13)의 실안내기구(16)를 안내위치(F)로 전진시킨 후에, 실절단장치(12)의 실안내기구(29)를 실포착위치(H)로 전진시키도록 실흡인장치(13) 및 실절단장치(12)의 각 기동을 제어하고, 보빈교환 후, 공보빈단부(Ba)로의 실걸기가 종료되어 통상의 권취가 개시된 때에는 실흡인장치(13)의 실안내기구(16) 및 실절단장치(12)의 실안내기구(29)를 대기위치까지 후퇴시키도록 회로구성되어 있다.
상기 보빈교환 및 상기 공보빈단부(Ba)로의 실걸기 중에는, 상류로부터 실(Y)의 이송이 계속되어 행하여지므로, 실(Y)에 필요한 장력을 얻기 위해서 흡인구(14)로의 흡인을 계속하고, 실걸기 후에 흡인구(14)에 연속하는 실(Y)을 절단하고, 그 소정시간 후(절단위치로부터 흡인구(14)까지의 실(Y)이 배출되는 데 필요한 시간 후)에 실안내기구(16)를 대기위치(E)로 후퇴시킨다.
상기 실절단장치(12) 및 실흡인장치(13)로 이루어진 실흡인, 절단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각 기동을 제어함으로써, 실(Y)을 실흡인장치(13)의 실안내면(16c, 16c)에서 포착하여 흡인구(14)의 근방으로 도입시킨 후에 실절단장치(12)의 실안내기구(29)로 실(Y)을 포착하여 절단하므로, 절단된 실을 흡인구(14)로 확실하게 흡인시킬 수 있다. 한번 흡인포착된 실(Y)은, 실흡인장치(13)의 노즐구멍(23)으로부터 압축공기로(22)로 분출되는 공기류에 의해서, 느슨해지지 않고 확실하게 흡인상태가 유지된다. 실걸기장치(11)는, 보빈교환후, 흡인구(14)로 흡인되고 있는 실(Y)을 요동하는 실걸기암(10)으로 걸어서 공보빈단부(Ba)로 건네 주고, 그 실(Y)이 보빈(B)에 권취됨으로써, 실걸기가 종료된다. 실걸기가 종료되면, 트래버스 동작과 함께 통상의 권취가 개시된다.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실흡인장치의 제2실시형태를 도 5~도 10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실흡인장치는, 다수개의 추를 기대 길이방향으로 병렬로 설치하여 구성된 실권취장치에 사용할 수 있다. 실권취장치는, 도면에 표시하지 않은 정장장치에서 권취패키지에 대한 권취량이 소정량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면, 주행하는 실(Y)을 절단하여 흡인유지시킨 후, 보빈교환하고, 새로운 공보빈단부(Ba)에 실걸기를 행하는 실걸기장치(1)를 각 추마다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면, 이와 같은 실권취장치로서, 합섬필라멘트사를 약 1600m/분의 실주행속도(권취속도)로 권취하는 연신가연기가 있다.
실걸기장치(101)는 실절단장치(102), 실흡인장치(103)의 흡입부, 및 실걸기암(104)를 구비하고, 트래버스평면(P)위를 트래버스가이드(125)에 의해서 트래버스하면서 보빈(B)으로 권취되는 실(Y)을 실절단장치(102)로 절단하는 것과 동시에, 절단된 실(Y)의 상류측을 실흡인장치(103)로 흡인하고, 흡인중인 실(Y)을 요동하는 실걸기암(104)으로 걸어서 공보빈단부(Ba)로 건네 주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실권취장치는, 크레이들에 유지된 다 감긴 보빈(B)을 공보빈(B)으로 교환하는 보빈교환장치(도면에 표시를 생략함)를 구비하고 있다.
실흡인장치(103)는, 실권취장치의 기대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메인흡인관(111)과, 각 추마다 대응하도록 메인흡인관(111)으로부터 분기된 복수개의 지관(106)을 구비하고 있다. 지관(106)은 각 추마다 설치된 실흡인장치(103)의 흡입부에 속해있고, 그 흡입부는, 실(Y)의 트래버스평면(P)을 향하도록 흡인구(105)를 개구시킨 지관(106)을 보유하는 본체부(107), 본체부(107)에 전진후퇴요동가능하게 축받이(107a)된 실안내기구(108), 본체부(107)와 실안내기구(108) 사이에 배치되어 실안내기구(108)를 후퇴방향으로 압압하는 탄성체(스프링)(109), 및 본체부(107)와 실안내기구(108) 사이에 배치되어 실안내기구(108)를 전진방향으로 압압하는 조작기구(에어실린더)(110)를 구비하고 있다. 지관(106)에는, 상면에 개구된 흡인구(105)와 하단에 접합된 메인흡인관(111)을 연통시키는 실흡인로(112)가 형성되어 있다.
도 9에 표시하듯이, 1개의 메인흡인관(111)에 대하여, 복수개의 지관(106)이 동일한 평면위에 위치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도 9의 예에서는, 가장 하류측의 지관(106)만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표시하지만, 동시에 1개 이상의 상류측(도 9의 오른쪽)의 지관(106)이 개방되어 있어도 된다. 메인흡인관(111)의 일단에는, 실밥회수용기(126)를 향하는 공기류를 메인흡인관(111)내로 발생시키기 위한 블로어(127)가 설치되어 있다. 지관(106)으로부터 배출된 실밥은, 관내의 공기류를 따라 메인흡인관(111)내를 실권취장치의 기대 길이방향(도 9의 좌우방향)을 따라 반송된 후, 실밥회수용기(126)로 회수된다. 그리고, 전체의 지관(106)의 흡인구(105)가 폐쇄되어 있는 경우에도 메인흡인관(111)내로 공기류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메인흡인관(111)의 상류단에는 소정 크기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지관(106)의 도중, 즉, 지관(106)의 흡인구(105)로부터 종단까지의 사이에는, 공기류가 메인흡인관(111)을 향하는 운동성분을 보유하도록, 실흡인로(112)내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113)이 형성되어 있다.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113)은,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축방향에서 보면 단면이 원형상인 실흡인로(112)의 접선방향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113)으로부터의 분출류에 의해서 실흡인로(112)내에 선회류를 형성하여, 분사위치보다 하류측의 실흡인로(112)내에서 안정된 공기유속을 유지하여, 실(Y)을 확실하게 흡인포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블로어(127)만으로 흡인구(105)에 흡인력을 발생시키도록 한 경우, 메인흡인관(111)내에 실밥이 막히면, 그 개소보다 상류측의 지관(106)의 흡인구(105)에는 흡인력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각 지관(106)에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113)을 설치함으로써, 메인흡인관(111)내에서 실밥의 막힘이 발생되어도 임의의 흡인구(105)에 흡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단, 메인흡인관(111)내에 있어서, 지관(106)과의 합류부에 실밥이 막혀서, 지관(106)의 출구를 막게 되면,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113)으로부터 압축공기를 분사시켜도, 그 지관(106)의 흡인구(105)에는 큰 흡인력은 발생되지 않는다.
실흡인로(112)는, 흡인구(105)로부터 점점 지름이 축소된 테이퍼부(112a), 그 테이퍼부(112a)와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113)의 압축공기분사위치 사이의 직선형상 세경부(112b), 및 압축공기분사위치로부터 메인흡인관(111)으로의 합류부까지 점점 지름이 확대된 확경부(112c)를 보유하고 있다. 이와 같이, 실흡인로(112)는,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113)의 분사위치로부터 메인흡인관(111)에 도달할 때까지 점점 지름이 확대되어 있다. 또한, 실흡인로(112)의 지름(지관(106)의 내경)은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메인흡인관(111)의 내경보다 작게 되어 있다.
또한, 실흡인로(112)와 메인흡인관(111)의 접합부에 있어서, 실흡인로(112)의 축선은 메인흡인관(111)의 축선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도록 경사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실흡인로(112)내의 공기류가 메인흡인관(111)에 합류할 때, 메인흡인관(111)의 하류측(도 7, 도 9의 왼쪽)을 향하는 운동성분을 보유하도록 되어 있다. 실흡인로(112)의 하단부는 메인흡인관(111)의 하류측을 향해서 만곡되어 있다. 이 만곡의 정도는, 예를 들면 실흡인로(112)와 메인흡인관(111)의 합류부에 있어서, 실흡인로(112)의 축선과 메인흡인관(111)의 축선이 이루는 각도를 대략 45도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관(106)의 도중에 분사된 압축공기가, 메인흡인관(111)의 공기류와 동일한 방향의 운동성분을 가지고 메인흡인관(111)내로 합류되므로, 메인흡인관(111)내에 있어서, 상류측으로부터의 실밥반송의 막힘작용이 발생하는 일 없이, 실밥의 퇴적이나 막힘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체부(107)에는 삽입구멍(114)이 천공되어 있고, 그 삽입구멍(114)에 피스톤(이동부재)(115)이 폐쇄위치와 개방위치 사이에서 상하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삽입구멍(114)에는, 외부의 압축공기원(도면에 표시를 생략함)과 접속되고, 개폐밸브(116)를 구비한 압축공기공급관(117)이 직접 접속되어 있다.
또한, 삽입구멍(114)은, 지관(106)의 주위에 형성된 오목부(118)를 통하여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113)에 연통가능하게 되어 있다. 조작기구(110)는, 압축공기공급관(117)의 개폐밸브(116)를 열었을 때, 그 압축공기공급관(117)으로부터 삽입구멍(114)으로 도입된 압축공기에 의해서, 피스톤(115)을 개방위치로 상승시켜서 실안내기구(108)를 안내위치(F)까지 압압하는 것과 동시에 압축되는 탄성체(109)에 반발탄성력을 모으게 한다. 개폐밸브(116)를 닫아서 압축공기의 공급을 중지했을 때, 탄성체(109)의 반발탄성력으로 실안내기구(108)가 대기위치(E)로 후퇴되는 것과 동시에 피스톤(115)이 폐쇄위치로 압압되고, 삽입구멍(114)의 잔류공기가 오목부(18) 및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113)을 통해서 실흡인로(112)로 배출된다. 그리고, 개폐밸브(116)는 외부의 제어장치(도면에 표시를 생략함)에 접속되어 있고, 그 제어장치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서 소정의 타이밍에서 밸브를 열거나 또는 밸브를 닫는다.
압축공기공급관(117)은, 삽입구멍(114) 및 오목부(118)을 통하여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113)에 연통가능하게 되어 있다. 삽입구멍(114)에 압축공기가 공급되지 않고, 탄성체(109)의 작용에 의해서 조작기구(110)의 피스톤(115)이 폐쇄위치(차단위치)에 있을 때(도 8참조), 피스톤(115)의 일부(하단부)는 삽입구멍(114)과 오목부(118)의 연통을 차단시킨 상태로 된다. 따라서, 삽입구멍(114)에 대한 압축공기의 공급개시시점(피스톤(115)이 폐쇄위치에 있는 시점)에서는, 피스톤(115)에 의해서 차단되어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113)으로부터의 압축공기분사는 행해지지 않는다. 삽입구멍(114)에 대한 압축공기공급에 의해서, 삽입구멍(114)내에서 피스톤(115)이 개방위치까지 이동되면(도 7참조), 그 이동개시 직후에, 피스톤(115)으로의 차단이 해제되어 삽입구멍(114)과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113)이 연통된다. 따라서, 압축공기공급관(117)로부터 공급된 압축공기가, 삽입구멍(114) 및 오목부(118)를 통하여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113)으로부터 분사되도록 된다.
이와 같이, 소정의 타이밍에서 개폐밸브(116)가 열리면, 우선 삽입구멍(114)으로의 압축공기공급에 의해서 피스톤(115)이 폐쇄위치에서 상방으로 이동을 개시한다. 이 개시시점에서는, 피스톤(115)에 의해서 차단되어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113)으로부터의 압축공기분사는 행해지지 않는다. 피스톤(115)이 폐쇄위치에서 소정 거리만큼 이동하면, 삽입구멍(114)과 오목부(118)가 연통되고, 압축공기공급관(117)으로부터 공급된 압축공기가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113)으로부터 분사된다. 즉, 실안내기구(108)의 개방동작과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113)으로부터의 압축공기분사에는, 공통의 구동원으로서 압축공기공급관(117)으로부터의 압축공기가 사용되고, 피스톤(115)의 상승에 의한 실안내기구(108)의 개방동작 후에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113)으로부터의 압축공기분사가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실안내기구(108)의 개방동작에 대하여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113)으로부터의 압축공기의 분사를 조금 늦게 작동시키는 지연수단이 구성된다. 그리고, 피스톤(115)이 폐쇄위치에서 조금이라도 이동하면, 즉, 실안내기구(108)가 폐쇄위치에서 조금이라도 열린 상태로 되면, 그 개구부분으로부터 외부의 공기를 취입하므로, 지관(106)내에 발생된 흡인력에 의해서, 그 후의 실안내기구(108)의 개방동작이 방해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실안내기구(108)가 조금이라도 열린 순간에는 흡인구(105)에 흡인력이 발생하므로, 실안내기구(108)가 개방될 때에는 신속하게 실(Y)을 흡인포착할 수 있다. 또한, 피스톤(115)이 개방위치까지 이동했을 때, 즉, 실안내기구(108)가 완전하게 개방되었을 때에 흡인구(105)에 흡인력이 발생하도록 하여도 좋다.
실안내기구(108)는, 트래버스평면(P)과 교차하지 않는 대기위치(E)(도 8에 표시함)와, 트래버스평면(P)과 교차하는 안내위치(F)(도 7에 표시함) 사이에서 진퇴하도록 전진후퇴요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실안내기구(108)는, 보빈(B)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되는 수평축둘레로 요동가능하고, 트래버스방향의 한측으로부터 트래버스중인 실(Y)이 도입된다. 실안내기구(108)는, 대기위치(E)로 후퇴했을 때에 흡인구(105)를 덮는 뚜껑부(108a)(개폐부재)와, 뚜껑부(108a)의 길이방향 양 가장자리에 연속하는 절곡편부(108b, 108b)를 구비하고, 각 절곡편부(108b)의 하단 가장자리부에 썰매형상의 실안내면(108c)이 형성되어 있다.
실안내기구(108)의 양 실안내면(108c, 108c)은, 안내위치(F)(도 7에 표시하는 위치)로 전진했을 때에 트래버스평면(P)으로부터 상기 흡인구(105)의 근방에 달하는 자세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실안내면(108c)은, 안내위치(F)에 있을 때에 포착된 실(Y)의 상방을 덮는 부분을 보유하고, 특히 권취장력이 높은 굵은 실의 경우, 절단시에 실(Y)이 상방으로 튀어오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실안내기구(108)를 대기위치(E)(도 8에 표시하는 위치)로 후퇴시켰을 때에는, 실(Y)은 실안내기구(108)에 접촉하지 않고 그 상방의 트래버스평면(P)위를 트래버스하면서 통과한다. 실안내기구(108)를 안내위치(F)(도 7에 표시하는 위치)로 전진시켰을 때에는, 트래버스중인 실(Y)은, 트래버스방향의 한측으로부터 도입되어 실안내면(108c, 108c)에서 포착되는 것과 동시에, 포착된 상태에서 트래버스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실안내면(108c, 108c)으로 안내되어 흡인구(105)의 근방으로 도입된다. 또한, 절곡편부(108b)는, 뚜껑부(108a)의 길이방향 한쪽 가장자리에만 설치하여도 좋다.
실안내기구(108)는, 실안내면(108c)과 뚜껑부(108a)를 일체화시킴으로써, 제조의 간략화를 도모하고 있지만, 뚜껑부(108a)를 생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실흡인장치(103)는, 도면에는 표시를 생략하였지만, 요동식의 뚜껑부(108a) 대신에, 예을 들면 흡인구(105) 또는 실흡인로(112)의 도중에 슬라이드식의 개폐부재를 설치하고, 공통의 구동원에 의해서, 개폐부재의 개방동작 후에,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113)으로부터의 압축공기분사가 행해지도록 한다. 이것에 의해서, 실안내면(108c)와 뚜껑부(108a)를 일체화시킨 경우와 동일 양상으로, 실안내기구(108)가 대기위치(E)인 때에는 개폐부재를 폐쇄시키고, 실안내기구(108)가 안내위치(F)인 때에는 개폐부재를 개방시켜서 흡인구(105)를 흡인상태로 할 수 있고, 이 때, 실흡인로(112)내에 발생되는 흡인력에 의해서 개폐부재의 개방동작이 방해되지 않는다.
실절단장치(102)는, 포착된 실(Y)을 절단부(119)까지 안내하는 실안내기구(120)를, 트래버스평면(P)과 교차하지 않는 대기위치(G)(도 2 참조)와, 트래버스평면(P)과 교차하는 실포착위치(H) 사이에서 진퇴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실포착위치(H)란, 실흡인장치(102)의 실안내기구(108)에서 포착되고, 그 실안내면(108c)을 트래버스 지점으로 하여 트래버스 이동시키는 실(Y)을 포착할 수 있는 높이위치를 말한다. 실안내기구(120) 및 절단부(119)는, 실흡인장치(102)의 실안내기구(108)(흡인구(105)의 근방)로 포착된 상태에서 그 실(Y)이 절단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트래버스중인 실(Y)의 도입방향(도 1의 화살표 K방향)이 실흡인장치(102)의 실안내기구(108)에 있어서의 실(Y)의 도입방향(도 5에서 화살표 M방향)과 반대방향이 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실안내기구(120)는, 실포착위치(H)로 전진했을 때, 실흡인장치(102)의 실안내기구(108)에서 포착된 상태에서 실안내기구(120)를 향해서 트래버스 이동하는 실(Y)을 수취하도록 되어 있다. 실안내기구(120)는, 요동기구(121)에 형성되어 있다. 요동기구(121)는, 도 6에 표시하듯이, 고정브래킷(122)에 요동가능하게 축받이(123)되고, 조작기둥(124)을 통하여 에어실린더 또는 솔레노이드 등으로 이루어진 조작기구(도면에 표시를 생략함)로 조작되고, 실안내기구(120)를 대기위치(G)와 실포착위치(H) 사이에서 진퇴시키도록 되어 있다. 요동기구(121)는, 날이 있는 도구 또는 열선 등으로 이루어진 절단부(119)가 설치되고, 실안내기구(120)로 안내되어 가는 실(Y)을 그 트래버스 동작을 이용하여 절단하도록 되어 있다.
도 10을 사용하여, 실절단장치(102) 및 실흡인장치(103)의 흡입부 등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권취량을 계측하면서, 그 계측값이 정장에 도달할 때까지, 트래버스 가이드(125)에서 실(Y)을 좌우방향(도 5의 좌우방향)으로 트래버스하면서 통상의 권취가 행해진다. 권취량의 계측값이 정장에 도달하면, 개폐밸브(116)가 열린다. 개폐밸브(116)가 열리면, 압축공기공급관(117)으로부터 삽입구멍(114)에 압축공기가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서, 탄성체(109)의 미는 힘에 저항하여 조작기구(110)의 피스톤(115)이 압압되어 실안내기구(108)가 안내위치(F)로 전진하는 것과 동시에, 이것에 조금 늦게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113)으로부터 실흡인로(112)내로 압축공기분사가 행해진다. 실안내기구(108)가 트래버스평면(P)에 교차하는 안내위치(F)로 전진하면, 오른쪽방향으로 트래버스중인 실(Y)의 일부가 실안내기구(108)에 포착되고, 포착된 실(Y)은 실안내기구(108)의 위치를 지점으로 트래버스되도록 된다.
개폐밸브(116)를 연 후, 소정시간(t1)이 경과하면, 조작기구(도면에 표시를 생략함)를 작동시켜서 실안내기구(120)를 대기위치(G)에서 실포착위치(H)로 전진시킨다. 실포착위치(H)로 전진된 실안내기구(120)에 의해서, 실안내기구(108)를 지점으로 하여 왼쪽방향으로 트래버스중인 실(Y)이 절단부(119)에서 절단된다. 또한, 시간(t1)은, 개폐밸브(116)를 여는 것과 동시에 뚜껑부(108a)가 개방되고, 그 개방동작의 개시에 조금 늦게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113)으로부터의 압축공기분사가 행해지고, 흡인구(105)에 흡인력이 발생된 후에 실안내기구(120)가 실포착위치(H)로 전진하도록 적당한 시간으로 설정되어 있다.
실이 절단되면, 절단개소보다 하류측의 실(Y)은 보빈(B)에 권취되는 것과 동시에, 절단개소보다 상류측의 실(Y)은 흡인구(105)에서 자동적으로 흡인된다. 실안내기구(120)의 전진작동후, 소정시간(t2)이 경과하면, 크레이들에 유지되어 있는 많이 감긴 보빈(B)을 공보빈(B)으로 교환하는 보빈교환을 행하고, 그 후, 실걸기암(104)을 작동시켜 흡인구(105)로부터 흡인되고 있는 실(Y)을 걸어서 공보빈단부(Ba)로의 실걸기를 행한다. 그리고, 시간(t2)는, 실안내기구(120)가 전진된 후, 트래버스 실(Y)의 절단부(119)에서의 절단이 종료된 후에, 보빈교환이 행해지도록 적당한 시간으로 설정되어 있다. 실걸기가 완료되면, 트래버스 동작의 재개와 동시에 공보빈(B)에 대한 통상의 권취가 개시된다. 이 때, 실안내기구(108) 및 실안내기구(120)는 모두 대기위치로 후퇴되어 있고, 트래버스중인 실(Y)이 양 안내기구(108, 120)에 간섭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실의 절단후에도 실이송장치(도면에 표시를 생략함)에 의한 상류측으로부터의 실이송은 계속하여 행해지므로, 실(Y)에 필요한 장력을 부여하기 위해서, 실걸기가 완료될 때까지 흡인구(105)로부터의 실(Y)의 흡인은 계속하여 행해진다.
실절단장치(102), 실흡인장치(103)의 흡입부 및 실걸기암(104)의 각 기동은, 제어기구(도면에 표시를 생략함)의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조작된다. 예를 들면, 실안내기구(120)의 후퇴동작에 대해서는, 절단후 바로 대기위치(G)로 후퇴될 수 있다. 또한, 실안내기구(108)는, 실걸기 완료후, 흡인구(105)에 연속하는 실(Y)을 실절단장치(102)와는 다른 별도의 절단장치(도면에 표시를 생략함)로 절단하여 소정시간 후(절단장치로부터 흡인구(105)까지의 실(Y)이 배출되는 데에 필요한 시간 후)에, 개폐밸브(116)를 열어서 대기위치(E)로 후퇴시키면 좋다. 이 때, 실안내기구(108)의 후퇴와 거의 동시에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113)으로부터의 압축공기분사도 정지된다.
실절단장치(102) 및 실흡인장치(103)의 흡입부를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함으로써, 실(Y)을 실안내기구(108)의 실안내면(108c, 108c)에서 포착하고, 트래버스 동작을 이용하여 실안내면(108c)을 따라서 흡인구(105)의 근방으로 도입한 후에 실절단장치(102)에 의해서 실(Y)을 포착하여 절단하므로, 절단된 실(Y)의 일부는 반드시 흡인구(105)의 근방에 있어, 절단된 실(Y)을 흡인구(105)로 확실하게 흡인시킬 수 있다. 절단후에도 실(Y)은 계속하여 보내지고 있지만,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113)으로부터 분사된 압축공기에 의해서 하류측으로 끌어당겨, 느슨해지지 않게 흡인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지관(106)내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뚜껑부재(108a))의 개방동작이 개시된 후, 조금 늦게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113)으로부터의 압축공기분사가 행해지도록 하였으므로, 지관(106)내에 강한 흡인력이 발생하기 전에 개폐부재의 개폐동작을 행할 수 있고, 메인흡인관(111)을 향하는 흡인력에 의해서 개폐부재의 개방동작이 늦어지거나 혹은 저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실시형태에서는, 1개의 개폐밸브(116)만을 전환시킴으로써, 개폐부재의 개방동작에 대하여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113)으부터의 압축공기분사가 늦게 작동하도록 하였으로, 개폐밸브(116)가 1개밖에 필요하지 않게 되어 구조가 간단하게 된다. 단, 개폐부재의 개방동작용의 개폐밸브와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113)으로부터의 압축공기분사용의 개폐밸브를 별도로 설치하여, 각 개폐밸브를 시간차를 두어서 열도록 할수도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장치는, 실안내면에서 포착된 실을 흡인구의 근방으로 도입하여, 높은 장력의 실의 흡입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본 발명장치는, 실안내기구와 뚜껑부를 일체화시켜 구조를 간략화함으로써, 제조비용의 감소를 도모하는 것과 동시에 쉽게 취급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본 발명장치는, 실안내기구의 전진조작과 흡인구에서의 흡인을 개폐밸브를 구비한 공통의 압축공기로에서 행하도록 구조를 간략화함으로써, 제조비용의 감소를 도모하는 것과 동시에 쉽게 취급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본 발명장치는, 제어기구로 실흡인장치의 실안내기구를 기동시킨 후에 실절단장치의 실안내기구를 기동시키므로, 실의 흡입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형태로 실을 절단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압축공기분사에 의한 흡인력으로 개폐부재의 개방동작이 방해되지 않아서, 도핑시에 실을 절단·흡인하는 때에는 정상의 개폐부재의 개방동작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공통의 압축공기공급관을 통하여,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 및 개폐부재작동용의 조작기구에 압축공기를 공급함으로써, 간단한 구조에 의해서 노즐구멍으로부터의 압축공기분사 및 개폐부재의 개방동작을 연동하여 행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개폐부재를 개방시키도록 이동하는 조작기구의 이동부재가, 개방위치로 이동되지 않는한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으로부터의 압축공기분사가 행해지지 않으므로, 간단한 구조에 의해서, 확실하게 개폐부재의 개방동작과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으로부터의 압축공기분사를 소정의 타이밍에서 실행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지관의 도중에 압축공기를 분사함으로써, 메인흡인관내의 공기류만으로 지관내에 공기류를 발생시키는 경우나, 지관의 출구 바로 뒤에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지관내에 공기류를 발생시키는 경우에 비해서, 지관의 흡인구에 강한 흡인력을 확실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지관의 도중에 압축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지관내에서의 실밥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관으로부터의 압축공기는 메인흡인관내의 공기류의 하류측을 향하여 메인흡인관내로 합류되므로, 지관으로부터 합류된 공기류는 그 거의 전체가 메인흡인관내의 하류측에 확산된다. 따라서, 메인흡인관내에서의 막음작용을 방지하여 실밥의 퇴적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메인흡인관내로 합류된 공기류에 의해서, 메인흡인관내의 공기류를 증폭시켜, 관내의 실반송능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으로부터의 분사위치근방에서 유속이 커져서 실의 끌어당김을 확실하게 행하는 것과 동시에, 분사위치를 넘은 후에는, 그다지 유속은 커지지 않지만, 원활한 공기류에 의해서 실밥을 확실하게 메인흡인관으로 배출할 수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지관내의 유속을 크게 하여 흡인구에 강한 흡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으로부터 분사된 압축공기를 지관내로부터 원활하게 메인흡인관으로 배출할 수 있다.
도 l은 본 발명장치의 제1실시형태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장치를 구비한 실걸기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2는 동일한 실걸기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D-D선에 있어서의 실절단가능한 상태를 표시하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D-D선에 있어서의 실절단불가능한 상태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실흡인장치의 흡입부를 구비한 실걸기장치의 제2실시형태를 표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실걸기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D-D선에 있어서의 실절단가능한 상태를 표시하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통상의 권취상태를 표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9는 실흡인장치를 표시하는 일부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실절단장치 및 실흡인장치의 흡입부의 작동시의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11은 종래의 실걸기장치의 상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실걸기장치 12 : 실절단장치
13 : 실흡인장치 14 : 흡인구
15 : 실흡인로 16 : 실안내기구
16a : 뚜껑부 16c : 안내면
19 : 조작기구 22 : 압축공기로
24 : 개폐밸브 P : 트래버스평면
E : 대기위치 F : 안내위치
B : 보빈 Ba : 공보빈단부
Y : 실 101 : 실걸기장치
102 : 실절단장치 103 : 실흡인장치
104 : 실걸기암 105 : 흡인구
106 : 지관 107 : 본체부
107a : 축받이 108 : 실안내기구
109 : 스프링 110 : 조작기구
111 : 메인흡인관 112 : 실흡인로
112a : 테이퍼부 112b : 세경부
112c : 확경부 113 :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
114 : 삽입구멍 115 : 피스톤
116 : 개폐밸브 117 : 압축공기공급관
118 : 오목부 119 : 절단부
120 : 실안내기구 121 : 요동기구
122 : 고정브래킷 123 : 축받이
124 : 조작기둥 125 : 트래버스가이드
126 : 실밥회수용기 127 : 블로어

Claims (11)

  1. 실의 트래버스평면을 향하도록 실흡인로의 흡인구를 개구시킨 실흡인장치에 있어서, 트래버스평면과 교차되지 않는 대기위치와 트래버스평면과 교차되는 안내위치 사이에서 진퇴하는 실안내기구를 설치하고, 그 실안내기구는, 안내위치로 전진했을 때에 트래버스평면으로부터 상기 흡인구의 근방에 이르는 자세로 되는 실안내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흡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안내기구는, 상기 대기위치로 후퇴했을 때에 상기 흡인구를 폐쇄하는 뚜껑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흡인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안내기구의 전진조작을 공급되는 압축공기력으로 행하는 조작기구와, 상기 흡인구에서의 흡인을 공급되는 압축공기로 행하는 실흡인로에, 개폐밸브를 구비한 공통의 압축공기로를 접속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흡인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실흡인장치와, 포착된 실을 절단부까지 안내하는 실안내기구를 상기 트래버스평면과 교차되지 않는 대기위치와 실포착위치 사이에서 진퇴하도록 설치된 실절단장치를 구비한 실흡인, 절단장치로서, 상기 실흡인장치의 실안내기구를 안내위치로 전진시킨 후에, 그 실절단장치의 실안내기구를 실포착위치로 전진시키도록 상기 실흡인장치 및 그 실절단장치의 각 기동을 제어하는 제어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흡인, 절단장치.
  5. 메인흡인관으로부터 실흡인구를 보유하는 복수개의 지관을 분기시킨 실흡인장치에 있어서, 공기의 흐름이 메인흡인관을 향하는 운동성분을 갖도록 지관내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과, 외부에 대하여 지관내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부재를 구비하고, 개폐부재의 개방동작이 개시된 후에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으로부터의 압축공기분사를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흡인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공급된 압축공기에 의해서 상기 개폐부재를 폐쇄상태에서 개방상태로 작동시키는 조작기구를 보유하고, 그 조작기구와 상기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이 개폐밸브를 구비한 공통의 압축공기공급관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흡인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기구는 상기 개폐밸브 및 상기 압축공기공급관을 통하여 공급된 압축공기에 의해서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이동되는 이동부재를 보유하고, 개방위치로 이동되는 이동부재에 압압된 폐쇄부재가 개방되도록 구성되고, 이동부재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압축공기공급관과 상기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은 이동부재로 차단되고, 이동부재가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압축공기공급관과 상기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이 연통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흡인장치.
  8. 복수개의 추로 이루어진 실권취장치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메인흡인관으로부터 흡인구를 보유하는 복수개의 지관을 각 추마다 분기시키고, 권취패키지에 권취중인 실을 절단부로 절단함으로써, 절단개소보다 상류측의 실을 흡인구로 흡인하는 실흡인장치에 있어서, 메인흡인관을 향하는 방향으로, 지관의 흡인구에서 종단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지관내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을 보유하고, 지관은,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으로부터 분사된 공기가 메인흡인관내의 공기류의 하류측을 향하는 운동성분을 가지고 메인흡인관내로 합류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흡인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관의 내경은, 압축공기분사노즐구멍의 분사위치에서 메인흡인관에 이를때까지 점점 지름이 확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흡인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관의 내경은, 메인흡인관의 내경보다 작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흡인장치.
  11. 제 3항에 기재된 실흡인장치와, 포착된 실을 절단부까지 안내하는 실안내기구를 상기 트래버스평면과 교차되지 않는 대기위치와 실포착위치 사이에서 진퇴하도록 설치된 실절단장치를 구비한 실흡인, 절단장치로서, 상기 실흡인장치의 실안내기구를 안내위치로 전진시킨 후에, 그 실절단장치의 실안내기구를 실포착위치로 전진시키도록 상기 실흡인장치 및 그 실절단장치의 각 기동을 제어하는 제어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흡인, 절단장치.
KR10-1999-0053172A 1998-11-26 1999-11-26 실흡인장치 및 실흡인, 절단장치 Expired - Lifetime KR1004711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335317 1998-11-26
JP33531798A JP3405236B2 (ja) 1998-11-26 1998-11-26 糸吸引装置及び糸吸引・切断装置
JP11011210A JP2000211814A (ja) 1999-01-19 1999-01-19 糸吸引装置
JP99-11210 1999-0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2386A KR20000052386A (ko) 2000-08-25
KR100471102B1 true KR100471102B1 (ko) 2005-03-07

Family

ID=26346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3172A Expired - Lifetime KR100471102B1 (ko) 1998-11-26 1999-11-26 실흡인장치 및 실흡인, 절단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1004534A3 (ko)
KR (1) KR1004711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06402A1 (de) * 2003-02-15 2004-08-26 Rieter Ingolstadt Spinnereimaschinenbau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Warten einer Arbeitsstelle einer Textilmaschine
CN112141814A (zh) * 2020-09-22 2020-12-29 青岛宏大纺织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新型抓纱盖装置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5046A (en) * 1977-11-30 1979-08-21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Doffing apparatus in spinning machine
JPS60248575A (ja) * 1984-03-27 1985-12-09 バルマ−ク・バルメル・マシ−ネンフアブリ−ク・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巻取り装置
JPH0570042A (ja) * 1991-09-13 1993-03-23 Murata Mach Ltd ワインダのヤーントラツプ
JPH05294663A (ja) * 1992-04-23 1993-11-09 Sumitomo Electric Ind Ltd 吸引切断装置
US5284010A (en) * 1989-06-19 1994-02-08 Barmag Ag Method for doffing a yarn winding machine
US5423170A (en) * 1992-04-11 1995-06-13 Barmag Ag Suction apparatus for withdrawing advancing yarns to a waste container
JPH10259526A (ja) * 1997-03-19 1998-09-29 Teijin Seiki Co Ltd 糸条巻取装置
JPH10273269A (ja) * 1997-03-28 1998-10-13 Toray Ind Inc 糸条パッケージの表面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2000159436A (ja) * 1998-11-26 2000-06-13 Murata Mach Ltd 糸吸引装置及び糸吸引・切断装置
JP2000211814A (ja) * 1999-01-19 2000-08-02 Murata Mach Ltd 糸吸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60344D1 (en) * 1984-03-27 1987-08-20 Barmag Barmer Maschf Winding machine
IT1265443B1 (it) * 1993-12-24 1996-11-22 Menegatto Srl Dispositivo di aspirazione di filato in macchine tessili
JPH08133595A (ja) * 1994-11-15 1996-05-28 Ishikawa Seisakusho Ltd 糸条巻取機の吸引装置
WO1999057051A1 (de) * 1998-04-30 1999-11-11 Barmag Ag Absaugeinrichtung zum absaugen eines kontinuierlich anlaufenden fadens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5046A (en) * 1977-11-30 1979-08-21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Doffing apparatus in spinning machine
JPS60248575A (ja) * 1984-03-27 1985-12-09 バルマ−ク・バルメル・マシ−ネンフアブリ−ク・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巻取り装置
US5284010A (en) * 1989-06-19 1994-02-08 Barmag Ag Method for doffing a yarn winding machine
JPH0570042A (ja) * 1991-09-13 1993-03-23 Murata Mach Ltd ワインダのヤーントラツプ
US5423170A (en) * 1992-04-11 1995-06-13 Barmag Ag Suction apparatus for withdrawing advancing yarns to a waste container
JPH05294663A (ja) * 1992-04-23 1993-11-09 Sumitomo Electric Ind Ltd 吸引切断装置
JPH10259526A (ja) * 1997-03-19 1998-09-29 Teijin Seiki Co Ltd 糸条巻取装置
JPH10273269A (ja) * 1997-03-28 1998-10-13 Toray Ind Inc 糸条パッケージの表面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2000159436A (ja) * 1998-11-26 2000-06-13 Murata Mach Ltd 糸吸引装置及び糸吸引・切断装置
JP2000211814A (ja) * 1999-01-19 2000-08-02 Murata Mach Ltd 糸吸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2386A (ko) 2000-08-25
EP1004534A2 (en) 2000-05-31
EP1004534A3 (en) 2000-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72702B1 (en) Spinning device and method
JP4896732B2 (ja) 被覆弾性糸の製造及び供給スプールの自動交換に関する方法及び装置
CN106395503B (zh) 一种应用在纺织机器上的方法以及纺织机器
CZ194193A3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introducing ends of fibers in a device for connecting ends of fibers
JPS6116711B2 (ko)
US5556046A (en) Apparatus for prepositioning a yarn end on spinning cops for subsequent unwinding in a bobbin winding machine
KR100471102B1 (ko) 실흡인장치 및 실흡인, 절단장치
JP2013006674A (ja) 糸端処理装置、ボビン処理装置、及び糸巻取システム
JP5840421B2 (ja) 巻返し機及び巻返し機を運転する方法
JP4180565B2 (ja) テクスチャード加工機械
JP3405236B2 (ja) 糸吸引装置及び糸吸引・切断装置
JP2000211814A (ja) 糸吸引装置
JP2000211815A (ja) 糸吸引装置
KR940010039B1 (ko) 공기 분사식 직기의 불량실 제거 장치
JP4103301B2 (ja) 自動ワインダ
JP3211549B2 (ja) 口出し装置
JPH0124055Y2 (ko)
ITMI20000350A1 (it) Dispositivo per staccare il filo di avvolgimento posteriore dalla superficie di spole di filatura
JP2715591B2 (ja) ジェットルームにおける給糸処理装置
JP3972618B2 (ja) 糸継装置を備える糸条巻取機
JP2584991Y2 (ja) ジェットルームにおける給糸処理装置
TW202413756A (zh) 纖維屑回收裝置
JPH0959831A (ja) パッケージからの糸端吸引装置
JPH02209374A (ja) 糸継方法
JP2013230916A (ja) 風綿回収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糸巻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11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204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911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6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2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3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9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2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2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1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00526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