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56854B1 - 비디오 카메라 장치 - Google Patents

비디오 카메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6854B1
KR100256854B1 KR1019890002159A KR890002159A KR100256854B1 KR 100256854 B1 KR100256854 B1 KR 100256854B1 KR 1019890002159 A KR1019890002159 A KR 1019890002159A KR 890002159 A KR890002159 A KR 890002159A KR 100256854 B1 KR100256854 B1 KR 100256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terchangeable lens
main body
lens
camer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2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3498A (ko
Inventor
다까다신지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890013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3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6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685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03B17/14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interchangea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3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for controlling interchangeable camera parts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 G11B2220/91Helical scan format, wherein tracks are slightly tilted with respect to tape direction, e.g. VHS, DAT, DVC, AIT or exabyte
    • G11B2220/913Digital audio tape [DAT] forma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 Lens Barrels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 Color Television Image Signal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촬영렌즈가 교환가능한 비디오 카메라 등의 카메라 장치 및 이 카메라 장치에 적용 되는 교환렌즈 장치를 구현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촬영렌즈와, 상기 촬영렌즈의 각 조절기능에 따라서 설치되며, 이들 각 조절기능에 대응하는 제어 대상을 구동 제어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 수단의 구동위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위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검출 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위치 정보를 위치 검출 신호로서 외부로 출력하는 신호 처리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환 렌즈 장치 및 카메라 장치
A.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카메라 장치에 쓰이는 교환렌즈 장치 및 이 교환렌즈 장치를 이용하는 비디오 카메라등의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B.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촬영렌즈가 교환가능한 비디오 카메라 등의 카메라 장치 및 이 카메라 장치에 적용 되는 교환렌즈 장치에 관한 것이며, 교환렌즈 장치내와 카메라 장치 본체내의 쌍방에 신호 처리 수단을 구비하며, 카메라 장치 본체측의 신호 처리 수단은 교환 렌즈 장치에 의한 상의 광학적 정보로부터 위치 제어 신호를 생성해서 교환렌즈 장치측의 신호 처리 수단으로 전송하며, 교환렌즈 장치측의 신호 처리수단은 전송되는 위치 제어 신호를 토대로 촬영렌즈의 각 기능을 구동 제어하는 구동수단을 제어함과 더불어 이 촬영 렌즈의 각 기능의 구동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검출신호를 카메라 장치 본체측의 신호 처리수단으로 전송하므로써, 각종의 교환렌즈 장치를 교환해서 이용할 때, 그 교환렌즈 장치마다 구동수단의 특성등이 다를 경우에도 그 교환렌즈 장치내의 신호 처리수단이 위치 제어신호에 따라서 적정한 제어를 행하도록 한 것이다.
C. 종래 기술
종래, 비디오, 카메라 장치 등의 카메라 장치는 카메라 장치 본체와 이 카메라 장치 본체에 착탈자재로 부착된 교환 렌즈 장치를 구비하며, 1대의 카메라 장치 본체에 대해서 복수의 교환 렌즈 장치로부터 선택한 교환렌즈 장치를 적절히 교환하여 이용할 수 있게 한것이 제안되고 있다.
또, 이같은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교환렌즈 장치로 형성되는 상으로부터 초점을 맞추는 상태, 광량등의 광학적 정보를 검출하고, 이 광학적 정보를 토대로 상기 교환렌즈 장치의 촬영렌즈의 각 기능을 제어하고 초점을 맞추는 상태 또는 죄임의 위치등이 자동적으로 조절 되어지도록 된(소위 자동 초점이나 자동노출의 기능을 가진다)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같은 기능을 가지는 카메라 장치에 있어선 카메라 장치 본체내에 상기 광학적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이 설치되며, 그 검출수단이 출력하는 검출 신호에 기준한 구동전압이 상기 교환렌즈 장치측에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교환렌즈 장치에는 이 교환 렌즈 장치의 촬영렌즈의 각기능, 즉 초점 조절이나 죄임 조절등을 구동 제어한다. 예컨대 모터등의 소정의 구동수단이 설치된다. 이 구동수단이 상기 구동 전압에 의해서 구동 제어됨으로서 초점을 맞추는 상태 또는 죄임의 위치등이 자동적으로 조절된다.
D.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그런데 상술과 같이 카메라 장치 본체로부터 교환렌즈 장치측으로 구동전압을 공급하고 있는 카메라 장치에 있어선 촬영렌즈의 각 기능의 각각에 대응한 예컨대, 전기 접점등의 전류 전송로를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촬영렌즈의 조절해야 할 기능이 증가되면 이 증가에 따라서 상기 전류 전송로도 증가시켜야 되며, 설치의 대형화 또는 고가격화를 초래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 각종의 교환렌즈 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구동수단의 특성을 거의 동등하게 할 필요가 있다. 그때문에 각 교환렌즈 장치의 촬영렌즈의 초점거리나 중량에 적합한 최적 제어를 행하기 곤란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의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되는 것이며 각 교환렌즈에 대한 최적한 상태의 자동적인 구동제어를 할 수 있는 카메라 장치 및 이 카메라 장치에 쓰이는 교환렌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으로 구성된 비디오 카메라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회로도.
제2a도는 상기 비디오 카메라 장치의 교환 렌즈 장치의 카메라 장치 본체로의 장치면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제2b도는 상기 비디오 카메라 장치의 카메라 장치 본체의 교환 렌즈 장치가 장치되는 장치면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제3도는 상기 비디오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전송되는 신호의 포맷의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는 모식도.
제4도는 본 발명에 관계하는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신호의 전송을 수직 동기 신호로 동기해서 행하도록 했을 경우의 신호의 전송을 설명하는 타임챠트.
제5a도는 신호의 전송을 광학적 전송수단으로 행하도록한 본 발명에 관계하는 교환 렌즈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제5b도는 상기 교환 렌즈 장치를 쓰는 카메라 장치 본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교환 렌즈 장치 2 : 카메라 장치 본체
3 : 촬영 렌즈 4 : 구동 수단
5 : 검출 수단 6 : 신호 처리 수단이되는 렌즈측 cpu
11 : 본체측 신호 처리 수단이되는 본체측 cpu
SL: 위치 제어 신호 SS: 위치 검출 신호
SD: 검출 신호
E.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술의 과제를 해결하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계되는 교환렌즈 장치는 촬영렌즈와 이 촬영렌즈의 초점조절, 죄임조절 및 초점 거리조절 등의 각 조절기능에 따라 설치되며, 이들 각 조절기능에 대응하는 제어 대상인 특정 렌즈나 죄임기구 등을 구동 제어하는 구동수단과,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위치 제어 신호에 기준해서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검출 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위치 정보를 위치 검출신호로서 외부로 출력하는 신호 처리수단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이 교환렌즈 장치에 있어서, 광학적 전송 수단은 위치 제어 신호를 공급하고 위치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또, 본 발명에 관계하는 카메라 장치는 상기 교환렌즈 장치와, 이 교환렌즈 장치가 교환가능한 상태로 장치되는 카메라 장치 본체로되며, 이 카메라 장치 본체는 상기 교환렌즈 장치의 구동수단의 구동위치를 제어하는 위치 제어신호를 생성해서 상기 교환렌즈 장치측에 출력함과 더불어, 상기 교환렌즈 장치로부터 위치 검출 신호가 공급되는 본체측 신호처리 수단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 장치가 비디오 카메라 장치일 경우에 있어선 상기 본체측 신호 처리수단과 상기 교환 렌즈 장치의 신호처리 수단과의 신호의 수수(授受)는 이 카메라 장치가 생성하는 수직 동기신호에 동기해서 행해진다.
F. 작용
본 발명에 관계하는 장치에 있어선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신호 처리 수단이 설치되고 있으므로 외부로부터의 교환렌즈 장치로 공급되는 위치 제어 신호로선 상기 구동수단을 직접으로 구동 제어하는 신호가 아니며 예컨대, 이 교환렌즈 장치에 있어서의 촬영렌즈나 죄임등의 위치를 표현하는 신호를 쓸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교환렌즈 장치의 신호처리 수단과의 신호의 수수를 광학적 전송수단을 거쳐서 행하도록 함으로서 신호의 전기적 전송에 있어서 일어나는 접촉 불량이나 단락등의 사고가 회피되며, 보다 정확한 신호의 수수가 행해지도록 된다.
또, 본 발명에 관계하는 카메라 장치에 있어선 상기 교환렌즈 장치와, 이 교환렌즈 장치가 교환가능하게 장치되는 카메라 장치 본체의 각각에 신호 처리수단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본체측 신호처리 수단과 상기 교환 렌즈 장치의 신호 처리 수단과의 신호의 수수로 상기 교환렌즈 장치의 구동 수단이 제어된다.
또한, 카메라 장치가 비디오, 카메라 장치일 경우에 상기 각 신호처리 수단과의 신호 수수를 이 카메라 장치가 생성하는 수직 동기 신호에 동기시킴으로서 상기 각 신호 처리수단에 있어서의 신호 처리는 용이해진다.
G.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선 본 발명으로 촬영렌즈가 교환가능한 비디오 카메라 장치를 구성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비디오 카메라 장치는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교환렌즈 장치(1)가 착탈자재로 장치되는 카메라 장치 본체(2)를 갖추고 있다.
상기 교환렌즈 장치(1)는 촬영렌즈(3)를 가진다. 이 촬영렌즈(3)는 소정 개수의 렌즈가 조합되어 있고, 이중의 일부 또는 전부의 렌즈는 광축 방향으로 가동 자재로되어 있으며, 초점 위치의 조절(소위 포커스 조절)이나 초점거리의 조절(소위 줌조절)이 행해질 수 있는 조절기능을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촬영 렌즈(3)에는 죄임기구(조리개)가 설치되고 있으며, 이 촬영렌즈(3)를 투과하는 광량의 조절(소위 노출조절)이 행해질 수 있는 조절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촬영렌즈(3)의 상기 각 조절 기능에 대응하는 제어 대상인 특정 렌즈 또는 죄임기구 등은 각각에 대응하는 조절링의 수동에 의한 회전 조작으로 직접적으로 구동 제어됨과 더불어 상기 각 조절 기능에 대응하는 예컨대, 복수의 모터등으로 되는 구동 수단(4)으로 각 조절 기능마다에 구동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조절기능의 제어대상(또는 상기 구동수단(4))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수단(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수단(4)은 이 교환렌즈 장치(1)내에 설치되는 신호 처리수단이 되는 렌즈측(cpu, 6)으로 제어되도록 되어있다.
또, 상기 검출수단(5)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상기 각 기능의 제어대상에 대한 위치 정보이며 상기 렌즈측(cpu, 6)으로 전송된다. 또, 상기 렌즈측(cpu, 6)에는 이 교환렌즈 장치(1)에 고유인 정보, 예컨대 촬영렌즈 (3)의 초점거리나 구경비 또는 상기 구동수단(4)에 관한 정보등이 기억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교환렌즈 장치(1)내에 예컨대 초점 검출장치 등의 자동 제어기구(7)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각 조절기능의 제어 대상은 이 자동 제어 기구(7)에 의해서도 상기 구동수단(4)을 거쳐서 구동제어 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 장치 본체(2)에는 상기 촬영 렌즈(3)의 초점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촬영렌즈(3)로 얻어지는 상을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촬상소자(8)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는 영상 신호처리 회로를 거쳐서 기록수단(9)과 광학 정보 검출수단 (10)으로 전송된다.
상기 기록수단(9)은 자기식, 광학식 또는 기타 방식의 기록헤드를 가지며, 소정의 기록매체에 대해서 상기 영상신호에 기준한 기록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광학 정보 검출수단(10)은 상기 영상신호로부터 여러가지 광학적 정보를 검출하며, 검출신호(SD)로서 이 카메라 장치 본체(2)내에 설치되는 본체측 신호 처리수단이 되는 본체측(cpu, 11)으로 전송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광학적 정보는 상기 촬영렌즈(3)로 형성되는 상의 상기 촬상소자(8)의 수광면에서의 초점을 맞추는 상태 및 광량등이다. 이 초점이 맞춰진 상태를 검출하는데엔 예컨대, 상기 영상 신호중의 고주파 성분을 검출하고 이 고주파 성분의 레벨이 극대로 되는 상태를 초점이 맞춰진 상태로 하여 검출하는 방식이 쓰인다. 또, 상기 광량은 상기 영상 신호의 레벨을 검출함으로서 검출된다.
또, 상기 본체측(cpu, 11)에는 이 카메라 장치 본체(2)에 설치되는 수동조작용 스위치(12)로부터 스위치의 조작상태에 따라서 조작신호(SH)가 공급된다. 이 수동조작용 스위치(12)는 상기 촬영렌즈(3)의 조절 기능중, 예컨대 소위 줌조절과 같이 상기 영상 신호의 상태에 관계없이 이 카메라 장치를 조작하는 촬영자의 의사에 기준해서 조절된 조절기능을 조작하기 위해 쓰이는 것이다.
상기 본체측(cpu, 11)은 보내지는 검출신호(SD) 및 조작신호(SH)에 기준해서 상기 촬영렌즈(3)의 각 조절기능의 제어대상의 위치(또는 상기 교환렌즈 장치 (1)의 구동수단(4)의 구동위치)를 제어하는 위치제어 신호(SL)를 생성한다. 이 위치 제어 신호 (SL)는 상기 각 조절기능의 제어 대상이 구동제어되어야 할 위치를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되어있다. 이 위치제어 신호(SL)는 상기 렌즈측(cpu, 6)으로 보내어진다.
그리고, 상기 렌즈측(cpu, 6)으로부터는 상기 검출 수단(5)으로부터 보내어지는 위치 정보를 포함한 위치 검출 신호(SS) 및 상기 렌즈측(cpu, 6)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교환렌즈 장치(1)에 고유인 정보가 상기 본체측(cpu, 11)로 전송된다.
상기 렌즈측(cpu, 6)과 상기 본체측(cpu, 11) 사이의 상술과 같은 신호의 수수는 제2a도 및 제2b도도에 도시하듯이 상기 교환렌즈 장치(1)와 상기 카메라 장치 본체(2)에 설치되는 복수의 전기접점(13)을 거쳐서 행해진다. 이 전기접점(13)은 상기 촬영렌즈 장치(1)와 상기 카메라 장치 본체(2)가 서로 장치되는 각각의 장치면(14a), (14b)에 서로 대응해서 설치되고 있으며, 대응하는 접점끼리 접촉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상기 위치 제어신호(SL) 및 상기 위치 검추신호 (SS)의 타이밍 제어에 쓰이는 기준 클록신호(CK)는 상기 카메라 장치본체(2)에 있어서 상기 본체측(cpu, 11)에 공급됨과 더불어 상기 전기접점(13)을 거쳐서 상기 렌즈측(cpu, 6)에 공급된다.
또, 이 카메라 장치를 구성하는 각부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15)은 상기 카메라 장치 본체(2)내에 설치하며, 상기 교환렌즈 장치(1)로의 전원의 공급은 상기 전기접점 (13)을 거쳐서 행한다.
그리고, 상기 렌즈측(cpu, 6)과 상기 본체측(cpu, 11)과의 사이에 수수되는 신호는 제3a도에 도시하듯이 제어코드(CC), 어드레스 코드(CA) 및 제1도 내지 제4도의(합계 4 바이트)제어 데이타(D1),(D2),(D3),(D4)로 된다.
상기 제어코드(CC)는 8비트로되며 페이지 지정 비트(2비트), 리드 및 라이트 지정비트(각 1비트), 데이타 바이트수 지정비트(3비트)를 포함한다. 이 제어코드(CC)로 지정되는 페이지는 제3b도에 도시하듯이 4페이지(P0내지 P3)로 나뉘고 있으며, 이들 페이지의 각각에 리드용 데이타 영역과, 라이트용 데이타 영역이 확보되어 있다. 이 각 페이지는 페이지(P0)가 상기 교환렌즈장치(1)의 고유의 정보(예컨대, 초점거리나 구경비 등)의 전송용 페이지(P1)가 상기 위치 검출 신호(SS), 상기 위치 제어신호(SL) 및 제어 신호의 전송용 등에 대응되어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리드는 상기 교환 렌즈 장치(1)로부터 상기 카메라 장치 본체(2)로서 상기 위치 검출신호(SS)등의 전송을 의미하며, 라이트는 상기 카메라 장치 본체(2)로부터 상기 교환렌즈 장치(1)로의 상기 위치 제어신호(SL) 등의 전송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리드 지정비트 및 라이트 지정비트로 상기 리드용 데이타 영역과 라이트용 데이타 영역중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 지정된다.
상기 데이타 바이트수 지정비트는 전송되는 데이타의 바이트 수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어드레스 코드(CA)의 어드레스 공간은 제3b도에 도시하듯이 상기 리드용 및 라이트용 데이타 영역의 각각에 대해서 (OOH) 내지 (FFH)(H는 16진수임을 나타낸다)의 어드레스가 붙여져 있다. 이 어드레스 코드(CA)는 상기 리드용 또는 라이트용 데이타 영역에서의 전송되는 데이타의 어드레스(OOH 내지 FFH)를 나타내고 있으며, 예컨대, 제3c도는 페이지(P1)의 (4OH) 내지 (4FH)의 어드레스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 상기 교환렌즈 장치(1)의 구동수단(4)은 상기 촬영렌즈(3)의 각 조절기능에 대응하는 제1 내지 제4의 모터 (M1),(M2),(M3),(M4)를 갖추며, 상기 검출 수단 (5)은 상기 각각의 모터에 대응하는 검출기능을 갖추고 있다고 하면, 어드레스 (40)는 (40H) 내지 (43H)의 4바이트(D1내지 D2)의 제어 데이타가 상기 제1의 모터(M1)에 대한 위치 제어신호(SL) 또는 이 모터에 대응하는 위치 검출신호 (SS)로 되며, 이하 마찬가지로 어드레스(44H) 내지 (47H)의 4바이트, 어드레스(48H) 내지 (4BH)의 4바이트, 어드레스(4CH) 내지 (4FH)의 4바이트의 각각의 데이타가 상기 제 2 내지 제 4의 모터(M2))M3),(M4)에 대응하고 있다.
그리고, 상술과 같은 제 1 내지 제 4의 제어 데이타 (D1),(D2),(D3),(D4)는 제3d도에 도시하듯이 라이트 모드일 때엔 제 1의 데이타(D1)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 (4)을 동작시키는지 어떤지를 지시하며(1비트), 전송하는 위치 제어신호(SL)로 표현하는 상기 구동수단(4)의 구동위치가 절대적인 표시인지 상대적인 표시인지를 나타내며, 또, 상기 구동위치의 방향을 나타내며(1비트), 또한, 상기 구동 수단(4)의 구동속도의 지시 (4비트)를 행한다. 제 3 및 제 4의 제어 데이타(D8),(D4) 합계 16비트는 이 데이타에 대응하는 조절기능에 대한 상기 구동수단(4)의 구동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로 되어 있다. 또한, 제 2의 데이타(D2)는 예비의 데이타 영역으로 되어 있다. 또, 도시하지 않으나 리드 모드(read mode)일 때에는 상기 제 1의 제어 데이타 (D1)에서의 구동속도의 지시는 이 데이타에 대응하는 조절기능의 조절 정밀도(비트 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쓰인다.
이같이 본 발명으로 구성된 비디오.카메라 장치에 있어선 우선 상기 교환렌즈 장치(1)가 상기 카메라 장치 본체(2)에 장치되었을 때, 상기 본체측(cpu, 11)의 지시로 이 교환렌즈 장치(1)의 고유의 정보에 대한 신호의 전송이 행해진다. 즉, 페이지(P0)의 리드용 데이타 영역상의 소정의 어드레스가 지정되며, 제 1 내지 제 4의 제어 데이타 (D1),(D2), (D3),(D4)가 상기 렌즈측(cpu, 6)으로부터 상기 본체측(cpu, 11)으로 전송된다. 이렇게 하여 장치된 교환렌즈 장치(1)에 대한 예컨대 초점거리, 구경비, 자동 제어 기구(7)의 유무, 구동수단(4)이 가지고 있는 모터의 수등의 정보가 상기 본체측(cpu, 11)에 입력된다.
그리고, 상기 촬영렌즈(3)로 상기 촬상소자(8)상에 상이 형성되며, 상기 광학 정보 검출수단(10)으로 상기 검출 신호( SD)가 생성되며, 또는 상기 조작신호(SH)가 출력되면 상기 본체측(cpu, 11)이 상기 각 조절기능의 구동위치에 대해서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제어신호(SL)를 생성한다.
이때, 페이지(P1)의 라이트용 데이타 영역의 소정의 어드레스가 지정되며, 각 어드레스의 데이타에 기준해서 소정의 신호가 생성된다. 이 위치 제어신호(SL)는 상기 렌즈측(cpu, 6)에 전송된다. 이 렌즈측(cpu, 6)은 전송된 위치 제어신호(SL) 따라서 상기 구동수단(4)을 구동 제어한다. 그러면, 상기 검출수단(5)은 상기 촬영렌즈(3)의 각 조절기능의 구동위치를 검출해서 위치 정보로서 상기 렌즈측(cpu, 6)으로 전송한다.
이 렌즈측(cpu, 6)은 상기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검출 신호(SS)를 생성한다. 여기에서, 이 렌즈측(cpu, 6)은 페이지 (P1)의 리드용 데이타 영역의 소정의 어드레스를 지정하며, 각 어드레스의 데이타에 기준한 소정의 신호를 생성해서 상기 본체측 (cpu, 11)으로 전송한다.
상기 본체측(cpu, 11)은 상기 검출신호(SD) 및 상기 조작 신호(SH)와 상기 렌즈측(cpu, 6)으로부터 전송 되는 위치 검출신호(SS)에 기준하며, 새로운 위치 제어 신호(SL)를 생성해서 상기 렌즈측(cpu, 6)으로 전송한다. 이같이 상기 렌즈측(cpu, 6)과 상기 본체측(cpu, 11) 사이에 소정의 신호 수수가 행해지게 됨으로서 상기 교환렌즈 장치(1)의 각 조절 기능의 조절, 즉 소위 포커스 조절, 노출조절 및 줌조절 등이 행해진다.
또한, 상기 본체측(cpu, 11)은 상기 위치 제어신호(SL)를 전송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소정의 시간을 경과해도 상기 각 조절기능의 구동위치가 상기 위치 제어 신호(SL)에 따른 변화를 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 상기 위치 검출신호(SS)로 검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구동수단(4)이 정지되는 것같은 위치 측면신호(SL)를 전송한다. 이같은 경우에는 상기 촬영렌즈(3)의 조절 기능이 대응하는 조작링으로 고정되어 있든가 또는 상기 구동수단(4)의 고장등이 생각되므로 상기 구동 수단(4)이 구동되는 것같은 위치 제어신호(SL)의 공급을 속행하면 상기 구동수단(4)등에 기계적으로 과잉 부담을 강요하게 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술과 같은 렌즈측(cpu, 6)과 본체측(cpu, 11)과의 신호의 수수를 상기 영상 신호로 형성되는 수직 동기신호(SV)에 동기시켜서 행한다. 즉, 제4도에 도시 하듯이 상기 수직 동기 신호(SV)에 동기한 칩 셀렉트 신호(CS)를 생성하며, 상기 위치 제어신호(SL) 및 상기 위치 검출신호 (SS)의 전송은 이 칩 셀렉트 신호(CS)에 동기해서 행하도록 한다.
또, 상기 기준 클록신호(CK)도 상기 칩 셀렉트 신호(CS)에 동기해서 전송된다.
이같이 상기 각 신호(SL),(SS)의 전송을 상기 칩 셀렉트 신호에 대응해서 행함으로서 상기 렌즈측 및 본체측(cpu, 6, 11)에 있어선 신호가 전송되고 있는지 어떤지를 항상 감시할 필요가 없어짐과 더불어 신호가 전송되지 않는 기간내에 이미 전송된 신호에 기준하는 연산처리 및 구동수단(4)의 구동 제어를 행할 수 있다. 그때문에 소프트 웨어는 간소화되며, 프로그램 작성이나 디백(deback)의 수고가 경감된다. 또, 신호처리의 고속화가 도모해짐과 동시에 신호가 전송되는 타이밍이 명확화 되지않으므로 신호의 전송 오류의 검출이 용이해지며 정확한 신호 전송이 행해지게 된다.
또, 상기 렌즈측(cpu, 6)과 상기 본체측(cpu, 11)과의 신호의 수수를 광학적 전송수단을 거쳐서 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제5a도 및 제5b도에 도시하듯이 상기 각 장치면(14a), (14b)에 각각 발광소자(16a),(16b)와 수광 소자 (17a),(17b)를 설치한다. 상기 교환렌즈 장치(1)측의 발광소자(16a)와 수광소자(17a)는 각각에 대응하는 카메라 장치 본체(2)측의 수광소자(17b)와 발광소자(16b)로 소위 포토 커플러(photo-coupler)를 구성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각 발광소자(16a),(16b)를 상기 위치 검출 신호(SS) 및 위치 제어 신호(SL)에 따라서 펄스형으로 발광시키고 이 발광에 의한 빛을 상기 각 수광 소자(17a),(17b)에 의해 수광함으로서 각 신호의 전송을 행한다.
이같이 신호의 전송이 광학적으로 행해짐으로서 신호를 전기 접점등의 전기적인 전송수단을 거쳐서 보내는 경우에 일어나기 쉬운 접촉 불량이나 단락등의 사고가 회피되며, 신호수수가 보다 정확하게 행해진다.
H. 발명의 효과
상술과 같이 본 발명에 관계하는 교환렌즈 장치에 있어선 신호 처리수단이 설치되며, 이 교환렌즈 장치에 있어선 상기 신호 처리 수단이 이 촬영렌즈 장치내에 설치되는 구동수단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교환렌즈 장치를 쓰는 카메라 장치에 있어선 교환렌즈 장치측과 카메라 장치 본체측의 쌍방에 신호 처리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그때문에, 카메라 장치 본체측의 신호 처리 수단으로 부터 상기 교환렌즈 장치측으로 전송되는 위치제어 신호로선 상기 교환렌즈 장치에 있어서의 촬영렌즈의 각 조절기능의 제어대상, 즉 특정의 렌즈나 죄임등의 위치를 표현하는 신호를 쓸 수 있다.
즉, 본 발명으로 촬영렌즈가 교환 가능으로된 카메라 장치를 구성하면, 각종의 교환렌즈 장치의 촬열 렌즈를 자동적으로 구동 제어하는 경우에 있어서 각 교환렌즈 장치에 대해서 촬영렌즈의 중량이나 구동 수단의 특성에 적합한 양호한 구동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으로 비디오 카메라 장치를 구성하는 경우엔 상기 각 신호 처리 수단사이의 신호의 수수를 이 카메라 장치가 생성하는 수직 동기 신호에 동기해서 행하도록 하면 상기 각 신호 처리수단에서의 신호처리가 보다 용이한 것으로되며, 상기 신호 처리 수단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즉, 상기 교환 렌즈 장치의 신호 처리장치 및 본체측 신호 처리장치에 있어선 신호가 보내지고 있는지 어떤지를 항상 감시할 필요가 없어짐과 더불어 신호가 전송되어 있지 않은 기간내에 이미 전송된 신호에 기준하는 연산처리 및 구동수단의 구동제어를 행할 수 있다. 그때문에 소프트 웨어는 간소화되며 프로그램 작성이나 디백(deback)의 수고가 경감된다. 또, 신호처리의 고속화가 도모해짐과 더불어 신호가 전송되는 타이밍이 명확화됨으로 신호의 전송 에러의 검출이 용이해지며, 정확한 신호전송이 행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위치 제어 신호의 전송을 광학적 전송 수단으로 행하면, 신호를 전기 접점등의 전기적 전송수단을 거쳐서 전송하는 경우에 일어나기 쉬운 접촉 불량이나 단락등의 사고가 회피되며 가일층 정확한 신호전송이 행해진다.

Claims (4)

  1. 촬영렌즈와,상기 촬영렌즈의 각 조절기능에 따라서 설치되며, 이들 각 조절기능에 대응하는 제어 대상을 구동 제어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 수단의 구동위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위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검출 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위치 정보를 위치 검출 신호로서 외부로 출력하는 신호 처리수단을 구비하는 교환 렌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제어 신호의 공급과 상기 위치 검출 신호의 출력이 광학적 전송수단에 의해 행해지는 교환 렌즈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의 교환렌즈 장치와, 상기 교환렌즈 장치가 교환가능한 상태로 장착되는 카메라 장치 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카메라 장치 본체는 상기 교환 렌즈 장치의 구동수단의 구동위치를 제어하는 상기 위치 제어 신호를 생성해서 상기 교환렌즈 장치측에 출력함과 더불어 상기 교환렌즈 장치로부터 상기 위치 검출 신호를 공급받는 본체측 신호처리 수단을 구비하는 카메라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측 신호 처리수단과 교환렌즈 장치의 신호 처리 수단사이의 신호의 수수는 상기 카메라 장치가 생성하는 수직 동기신호에 동기해서 행해지는 카메라 장치.
KR1019890002159A 1988-02-26 1989-02-24 비디오 카메라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2568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2274 1988-02-26
JP63042274A JPH01218268A (ja) 1988-02-26 1988-02-26 交換レンズ装置及びカメラ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3498A KR890013498A (ko) 1989-09-23
KR100256854B1 true KR100256854B1 (ko) 2000-05-15

Family

ID=12631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2159A Expired - Fee Related KR100256854B1 (ko) 1988-02-26 1989-02-24 비디오 카메라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967281A (ko)
EP (1) EP0334470B1 (ko)
JP (1) JPH01218268A (ko)
KR (1) KR100256854B1 (ko)
CA (1) CA1330497C (ko)
DE (1) DE68910352T2 (ko)
ES (1) ES2045403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23297B2 (ja) * 1988-06-23 1997-06-25 コニカ株式会社 制御機能分割型カメラ
JP2851853B2 (ja) * 1988-07-07 1999-01-27 キヤノン株式会社 交換レンズシステム
US4959728A (en) * 1988-08-31 1990-09-25 Canon Kabushiki Kaisha Interchangeable lens and interchangeable lens system
JP2851858B2 (ja) * 1988-11-30 1999-01-27 キヤノン株式会社 交換レンズシステム,交換レンズ式カメラ及びレンズユニット
US5402174A (en) * 1988-09-18 1995-03-28 Canon Kabushiki Kaisha Camera apparatus having focus detecting sensitivity based on absolute focal length
US5003399A (en) * 1988-11-17 1991-03-26 Sony Corporation Camera with exchangeable lens device
EP0382222B1 (en) * 1989-02-09 1996-12-04 Canon Kabushiki Kaisha Camera apparatus
KR940001483B1 (ko) * 1989-03-29 1994-02-23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촬상장치 및 그 노출 제어방법 및 장치
EP0424678B1 (en) * 1989-09-27 1996-09-04 Canon Kabushiki Kaisha Camera system controlling interchangeable lenses
JP2840322B2 (ja) * 1989-09-27 1998-12-24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のデータ通信システム
US5194956A (en) * 1989-10-24 1993-03-16 Sony Corporation Lens and aperture control apparatus
JPH0786586B2 (ja) * 1990-02-17 1995-09-20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システム,交換レンズ及び光学付属品
JP2771009B2 (ja) * 1990-03-02 1998-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交換レンズシステム
JP3082945B2 (ja) * 1991-01-11 2000-09-04 キヤノン株式会社 交換レンズ式カメラシステム
US5221964A (en) * 1991-08-05 1993-06-22 Dalsa Inc Electronically expandable modular ccd camera
DE4219331A1 (de) * 1992-06-10 1993-12-16 Arnold & Richter Kg Steuersystem für eine Kamera
JP3105376B2 (ja) * 1993-03-31 2000-10-30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ビデオカメラの露出制御装置
JP3579455B2 (ja) * 1994-05-06 2004-10-20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画像入力装置
US6721012B2 (en) * 1997-09-12 2004-04-13 Fuji Photo Optical Co., Ltd. Lens unit of TV camera
US6989865B1 (en) * 1997-12-19 2006-01-24 Canon Kabushiki Kaisha Optical equipment and it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7136096B1 (en) 1998-03-11 2006-11-1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JP3962616B2 (ja) * 2001-04-24 2007-08-22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機器
AT413455B (de) * 2002-01-18 2006-03-15 Christian Ing Mag Tschida System mit einer kamera, passive zubehörkomponente und steuereinrichtung hiefür
JP4963569B2 (ja) * 2006-06-02 2012-06-27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撮像システム及びレンズユニット
JP2008299250A (ja) * 2007-06-04 2008-12-11 Olympus Corp 撮像装置
JP5106064B2 (ja) * 2007-11-27 2012-12-26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レンズユニット
JP2009258618A (ja) * 2008-03-27 2009-11-05 Olympus Corp フィルタ切替装置、撮影レンズ、カメラ、および撮影システム
JP4626682B2 (ja) * 2008-07-18 2011-02-09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04704U (ko) * 1980-01-15 1981-08-15
DE3120830C2 (de) * 1980-06-11 1985-02-14 Asahi Kogaku Kogyo K.K., Tokio/Tokyo Kamera mit Wechselobjektiven
JPS57200017A (en) * 1981-06-03 1982-12-08 Sony Corp Aperture locking device
JPS59216380A (ja) * 1983-05-25 1984-12-06 Sony Corp ビデオカメラ
JPS59223418A (ja) * 1983-06-02 1984-12-15 Asahi Optical Co Ltd カメラの中間アダプタ装置
US4616264A (en) * 1984-08-28 1986-10-07 Vicon Industries, Inc. Auto focus system
US4851897A (en) * 1985-05-22 1989-07-2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ickup system having a lens assembly and means for providing information relating to the spectral characteristic of the lens assembly
JPH07119868B2 (ja) * 1985-06-20 1995-12-20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交換レンズの距離情報出力装置
US4837594A (en) * 1985-08-05 1989-06-06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Automatic focusing device and automatic exposure control device
US4728980A (en) * 1985-08-05 1988-03-01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Automatic focusing device and automatic exposure control device
JPH0711657B2 (ja) * 1985-10-11 1995-02-08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
DE3776368D1 (de) * 1986-02-17 1992-03-12 Philips Nv Kamera zur aufnahme von fernsehbildern, photographischen oder kinematographischen bildern mit automatischer fokussierungsvorrichtung.
JPS63144331A (ja) * 1986-12-09 1988-06-16 Minolta Camera Co Ltd スチルカメラ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34470A1 (en) 1989-09-27
JPH01218268A (ja) 1989-08-31
DE68910352T2 (de) 1994-03-03
DE68910352D1 (de) 1993-12-09
EP0334470B1 (en) 1993-11-03
ES2045403T3 (es) 1994-01-16
CA1330497C (en) 1994-07-05
KR890013498A (ko) 1989-09-23
US4967281A (en) 1990-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6854B1 (ko) 비디오 카메라 장치
US4570185A (en) Automatic focusing apparatus for video camera
EP0443463B1 (en) Camera
US5053798A (en) Automatic focusing device
JP2008216439A (ja) カメラシステム
EP0473199A3 (en) Zoom lens drive system for lens shutter type of camera
JP2831995B2 (ja) カメラシステム及び交換レンズ
US5546233A (en) Lens barrel using a surface wave motor
JPH0149921B2 (ko)
US5455650A (en) Photographic converter
US4413893A (en) Interchangeable lens barrel
JP6677224B2 (ja) 交換レンズおよびカメラボディ
JP2530597B2 (ja) カメラ
KR200379161Y1 (ko) 비디오 카메라 장치
JPS6444428A (en) Zoom camera
JPS6444429A (en) Zoom camera
JP2941966B2 (ja) カメラシステム及び交換レンズ装置
JPS58224318A (ja) 自動合焦装置
JPH05203864A (ja) 撮像装置
JP2005173266A (ja) カメラアクセサリ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JPS58150921A (ja) 自動合焦カメラ
JP2605697B2 (ja) ビデオカメラ
US20250159344A1 (en) Image pickup apparatus and lens apparatus
JPS5993410A (ja) オートフォーカス用テレコンバータ鏡胴
JPH07322128A (ja) 複眼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AMND Amendment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3-3-V10-V11-apl-PJ0201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t.27 status event code: A-6-3-E10-E12-rex-PB09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B0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t.27 status event code: N-3-6-B10-B17-rex-PB0601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19981020

Effective date: 19991029

PJ1301 Trial decision

St.27 status event code: A-3-3-V10-V15-crt-PJ1301

Decision date: 19991029

Appeal event data comment text: Appeal Kind Category :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Ground Text : 1989 2159

Appeal request date: 19981020

Appellate body name: Patent Examination Board

Decision authority category: Office appeal board

Decision identifier: 1998101003398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6-3-E10-E12-rex-PS090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PS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S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3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0022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00226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