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75409B1 -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5409B1
KR0175409B1 KR1019950042281A KR19950042281A KR0175409B1 KR 0175409 B1 KR0175409 B1 KR 0175409B1 KR 1019950042281 A KR1019950042281 A KR 1019950042281A KR 19950042281 A KR19950042281 A KR 19950042281A KR 0175409 B1 KR0175409 B1 KR 0175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layer
gate pad
mask
pad metal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2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0921A (ko
Inventor
이정길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42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5409B1/ko
Priority to US08/665,321 priority patent/US5903326A/en
Publication of KR970030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0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5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54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60Insulated-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
    • H10D30/67Thin-film transistors [TF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 매수를 줄임으로서 제조 비용을 낮추고 수율을 높일 수 있눈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회토류 금속계 합금인 Al-Nd합금막 또는 알루미늄-백금 합금으로 제1 게이트 패드 금속층을 형성한다. 그리고, 게이트 패드 금속층(202-1) 위에 형성된 보호막, 그리고 양극 산화막을 게이트 패드 금속층의 일부가 드러나도록 동시에 사진 식각함으로써 마스킹 공정 횟수를 줄인다. 또한 양극 산화 공정을 하지 않아 양극 산화에 따른 마스킹 공정 횟수를 줄인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방법
제1도의 (a)-(g)는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게이트 패드부의 제조 공정 순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제2도의 (a)-(g)는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박막 트랜지스터부의 제조 공정 순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제3도의 (a)-(f)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게이트 패드부의 제조 공정 순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제4도의 (a)-(f)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박막 트랜지스터부의 제조 공정 순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제5도의 (a)-(f)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게이트 패드부의 제조 공정 순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제6도의 (a)-(f)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박막 트랜지스터부의 제조 공정 순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제7도의 (a)-(e)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게이트 패드부의 제조 공정 순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제8도의 (a)-(e)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박막 트랜지스터부의 제조 공정 순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제9도의 (a)-(f)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게이트 패드부의 제조 공정 순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제10도의 (a)-(f)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박막 트랜지스터부의 제조 공정 순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말하면 마스크 공정 횟수를 줄임으로써 제조 비용을 낮추고 수율을 높일 수 있으며,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화소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화소 단위가 행렬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게이트 라인 및 데이타 라인이 각각 화소 행과 화소 열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공통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컬러 필터 기관, 그리고 그 사이에 봉입되어 있는 액정 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이때,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게이트 전극은 상기 게이트 라인을 통해 게이트 구동 드라이부로부터 게이트 구동 신호를 전달받아 반도체층에 채널을 형성시키고, 이에 따라 데이타 구동드라이브로부터의 데이타 신호가 상기 데이타 라인을 통해 소스 전극에 전달되고 반도체층과 드레인 전극을 거쳐 화소 전극에 전달된다.
이와 같은 액정 표시 장치는 사용 분야가 더욱 증대되면서 높은 수율과 제조 원가의 절감을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특히, 마스킹 공정은 수율과 제조 비용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사진 식각 공정의 횟수를 줄이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아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제1도의 (a)-(g)는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게이트 패드부의 제조 공정 순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제2도의 (a)-(g)는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박막 트랜지스터부의 제조 공정 순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제1도의 (a) 및 제2도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10) 위에 알루미늄막을 적층하고 제1 마스크를 이용하여 사진 식각하여 게이트선 그리고 게이트선의 일부 또는 분지(分地)인 제1 게이트 패드 금속층(12-1) 및 게이트 전극(12-2)을 형성한다.
다음, 제1도의 (b) 및 제2도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마스크를 이용하여 양극 산화막(14)을 형성한다. 이때 제1 게이트 패드 금속층(12-1)은 양극 산화하지 않는다.
다음, 제1도의 (c) 및 제2도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막, 반도체막, 외인성 반도체막을 차례로 적층한 후, 제3 마스크를 이용하여 제2도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의 두 층을 사진 식각하여 반도체막(16)과 외인성 반도체막(18)의 패턴을 형성한다.
다음, 제1도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마스크를 이용하여 제1 게이트 패드 금속층(12-1) 위의 절연막(20)을 식각한다.
다음, 제1도의 (e) 및 제2도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롬 등의 도전막을 적층한 후 제5 마스크를 사용하여 데이터선(도시하지 않음)과 그 일부 또는 분지인 소스 전극(22-1) 및 데이터 패드(도시되지 않음), 드레인 전극(22-3) 그리고, 제1 게이트 패드 금속층(12-1) 위의 제2 게이트 패드 금속층(22-1)을 형성하고, 이를 마스크로 하여 반도체막(16)이 드러나도록 외인성 반도체막(18)의 식각한다.
다음, 제1도의 (f) 및 제2도의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막(24)을 적층한 후 제6 마스크를 이용하여 드레인 전극(22-3) 및 제2 게이트 패드 금속층(22-1)이 드러나도록 사진 식각한다.
다음, 제1도의 (g) 및 제2도의 (g)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 도전막을 적층한 후 제7 마스크를 이용하여 화소 전극(26)을 형성한다.
이때 제2 게이트 패드 금속층(22-1) 위에도 투명 도전막을 남겨두어 3층의 게이트 패드를 형성한다.
이와같이, 여러 차례의 마스킹 공정을 수행하면 그 횟수에 따라 제조 비용이 늘어나고 마스킹 공정 중에 발생하는 불순물에 의해 수율도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 7매 마스크를 사용하는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가판의 제조 방법은 공정 수가 너무 많으므로 마스킹 공정 횟수를 줄여 수율을 높이고 제조 원가를 낯추어야 한다.
또한, 게이트 패드 금속층은 저저항 물질이어야 하고, 후속 열처리 공정으로 인한 힐록(hillock) 현상이 일어나지 않아야 하며, 시각 특성이 좋아야 하는 세 가지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게이트 패드 금속층이 저저항 특성을 갖추어야 하는 이유는 표시 장치의 대화면 고정세를 위해서는 RC 딜레이가 적어야 하기 때문이며, 둘째로, 힐록 현상이 일어나지 않아야 하는 이유는 힐록 현상이 일어나면 누설 전류가 발생하기 때문이며, 셋째로 식각 특성이 좋아야 하는 이유는 식각액의 선택이 용이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알루미늄으로 형성한 종래의 게이트 패드 금속층은 저저항 특성을 갖고 있으며 식각 특성도 좋으나 힐록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인 마스킹 횟수를 줄이면서 게이트 패드의 특성을 우수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방법은, 기판 위에 도전막을 적층하고 제1 마스크를 이용하여 사진 식각하여 제1 게이트 패드 금속층 및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제1단계, 상기 게이트 전극을 제2 마스크를 이용하여 양극 산화하여 양극 산화막을 형성하는 제2 단계, 절연막과 반도체막을 차례로 적층한 후 제3 마스크를 이용하여 사진 식각하여 반도체막의 패턴을 형성하는 제3 단계, 도전물질을 적층한 후 제4 마스크를 이용하여 사진 식각하여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제4단계, 보호막을 적층한 후 제5 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절연막과 함께 사진식각하여 상기 드레인 전극 위에 컨택 구멍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1 게이트 패드 금속층의 일부가 드러나도록 하는 제5 단계, 투명 도전 물질을 적층한 후 제6 마스크를 이용하여 식각하여 상기 제1 게이트 패드 금속층과 접속되는 제2 게이트 패드 금속층 및 상기 드레인 전극과 접속되는 화소 전극을 형성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보호막을 적층한 후 절연막과 함께 동시에 사진식각함으로써 마스킹 공정의 수를 1회 줄일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다른 제조 방법은, 기판 위에 도전막을 적층하고 제 1마스크를 이용하여 사진 식각하여 제1 게이트 패드 금속층 및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제1 단계, 절연막과 반도체막을 차례로 적층한 후 제2 마스크를 이용하여 사진 식각하여 반도체막의 패턴을 형성하는 2단계, 상기 1 게이트 패드 금속층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절연막을 제3 마스크를 이용하여 사진 식각하여 상기 제1 게이트 패드 금속층의 일부가 드러나도록 하는 제3 단계, 도전물질을 적층한 후 제4 마스크를 이용하여 사진 식각하여 상기 제1 게이트 패드 금속층 위의 제2 게이트 패드 금속층과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제4단계, 보호막을 적층한 후 제5 마스크를 이용하여 사진 식각하여 상기 드레인 전극 위에 컨택 구멍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2 게이트 패드 금속층의 일부가 드러나도록 하는 제5 단계, 투명 도전 물질을 적층한 후 제6 마스크를 이용하여 사진 식각하여 상기 제2 게이트 패드 금속층과 접속되는 제3 게이트 패드 금속층 및 상기 상기 드레인 전극과 접속되는 화소 전극을 형성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게이트 패드 금속층 및 게기트 전극 위에 양극 산화막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마스킹 공정의 수를 1회 줄일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또 다른 제조 방법은, 기판 위에 도전막을 적층하고 제 1마스크를 이용하여 시진 식각하여 제1 게이트 패드 금속층 및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제1 단계, 절연막과 반도체막을 차례로 적층한 후 제2 마스크를 이용하여 마스크를 이용하여 사진 식각하여 반도체막의 패턴을 형성하는 2단계, 도전물질을 적층한 후 제3 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절연막과 함께 사진 식각하여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제3단계, 보호막을 적층한 후 제4 마스크를 이용하여 사진 식각하여 상기 드레인 전극 위에 컨택 구멍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1 게이트 패드 금속층의 일부가 드러나도록 하는 제4 단계, 투명 도전 물질을 적층한 후 제5 마스크를 이용하여 사진 식각하여 상기 제1 게이트 패드 금속층과 접속하는 제2 게이트 패드 금속층 및 상기 드레인 전극과 접속되는 화소 전극을 형성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보호막과 절연막을 동시에 사진 식각함으로써 마스킹 공정의 수를 1회 줄이며, 또한 게이트 패드 금속층 및 게이트 전극 위에 양극 산화막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마스킹 공정의 수를 1회 더 줄일 수 있다.
앞에서 나온 세 방법에서 제1 게이트 패드 금속층과 게이트 전극은 알루미늄-희토류 금속계 합금 또는 알루미늄-백금 합금으로 형성함으로써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또 다른 제조 방법은, 기판 위에 Al막과 Ta막을 차례로 적층하고 제 1마스크를 이용하여 사진 식각하여 제1 게이트 패드 금속층 및 상기 제2 게이트 패드 금속층 위의 제2 게이트 패드 금속층과, 하부 게이트 전극 및 상기 하부 게이트 전극층 위에 상부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제1 단계, 상기 제2 게이트 패드 금속층 및 상기 상부 게이트 전극을 양극 산화하여 양극 산화막을 형성하는 제2 단계, 절연막과 반도체막을 차례로 적층한 후 제2 마스크를 이용하여 사진 식각하여 반도체막의 패턴을 형성하는 3단계, 도전물질을 적층한 후 제3 마스크를 이용하여 사진 식각하여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제4단계, 보호막을 적층한 후 제4 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절연막 및 양극 산화막과 함께 사진 식각하여 상기 드레인 전극 위에 컨택 구멍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2 게이트 패드 금속층의 일부가 드러나도록 하는 제5 단계, 투명 도전 물질을 적층한 후 제5 마스크를 이용하여 사진 식각하여 상기 제2 게이트 패드 금속층과 접속하는 상기 드레인 전극과 접속되는 제3 게이트 패드 금속층 및 화소 전극을 형성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전면에 걸쳐 양극 산화한 다음, 보호막을 적층한 후 절연막 및 양극 산화막을 동시에 식각하여 마스킹 공정의 수를 2회 줄일수 있다. 또한 제2 게이트 패드 금속층으로 Ta을 사용함으로써 직접접하고 있는 제3 게이트 패드 금속층과 산화 반응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게이트 패드부의 특성이 좋아 진다.
아하,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의 (a)-(f)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게이트 패드부의 제조 공정 순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제4도의 (a)-(f)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박막 트랜지스터부의 제조 공정 순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3도는 (a) 및 재4도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100) 위에 도전막을 적층하고 제1 마이크를 이용하여 사진 식각하여 게이트선, 그리고 그 일부 또는 분지인 제1 게이트 패드 금속층(102-1) 및 게이트 전극(102-2)을 형성한다.
이때, 도전막은 알루미늄-희토류 금속계 합금 또는 알루미늄-백금 합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Al-Nd 합금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Al-Nd 합금은 비저항이 4.05μΩ·㎝로 비저항이 3.15μΩ·㎝인 알루미늄보다는 높으나, 그래도 비교적 낮은 저저항 특성을 갖고 있고, 힐록 발생이 없으며, 알루미늄 시각액과 동일한 식각액, 예를 들면, CH3COOH/HNO3/H3PO4/물 등을 사용할 수 있어 식각액 선택이 용이하다.
제3도의 (b) 및 제4도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선 및 게이트 전극(102-2)을 제2 마스크를 이용하여 양극 산화하여 양극 산화막(104)을 형성한다. 이때 제1 게이트 패드 금속층(102-1)은 양극 산화하지 않는다.
제3도의 (c) 및 제4도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막(106)과 반도체 그리고 외인성 반도체를 차례로 적츨한 후 제3 마스크를 이용하여 위의 두 층을 사진 식각하여 박막 트랜지스터의 반도체막(108) 및 외인성 반도체막(110)을 형성한다.
제3도의 (d) 및 제4도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전 물질을 적층한 후 제4 마스크를 이용하여 사진 식각하여 데이터선(도시하지 않음)과 그일부 또는 분지인 데이터 패드(도시하지 않음) 및 소스 전극(112-1), 그리고 드레인 전극(112-2)을 형성한다.종래와는 달리 이 과정에서 게이트 패드 금속층을 형성하지 않는다.
그리고 데이터선, 데이터 패드, 소스 전극(112-1), 드레인 전극(112-2)을 데이터 배선을 마스크로 하여 반도체막(108)의 일부가 드러나도록 외인성 반도체(110)을 패터닝한다.
제3도의 (e) 및 제4도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막(114)을 적층항 후 제5 마스크를 이용하여 사진 식각하여 드레인 전극(112-2) 위에 건택 구멍을 형성하고 동시에 제1 게이트 패드 금속층(102-1)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절연막(106)과 보호막(114)을 제1 게이트 패드 금속층(102-1)의 일부가 드러나게 동시에 사진 식각한다.
제3도의 (f) 및 제4도(f)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 도전 물질인 ITO를 적층한 후 제6 마스크를 이용하여 사진 식각하여, 드레인 전극(112-2)과 접속하는 화소 전극(116-2)과 제1게이트 패드 금속층(102-1)과 접속되는 제2 게이트 패드 금속층(116-1)을 형성한다.
만약 제1 패드 금속층(102-1)으로 알루미늄을 사용하면 접하고 있는 ITO막 또는 제2 게이트 패드 금속층(116-1)과의 사이에서 산화 반응이 이어나기 때문에 게이트 패드부의 불량을 가져온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게이트 패드 금속층(102-1)을 Al-Nd 합금으로 형성하면 ITO로 형성되어 있는 제2 게이트 패드 금속층(116-1)과 직접 접한다 하더라도 Al-Nd 합금막은 산화 반응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게이트 패드부의 산화막이 형성되지 않는다.
한편, 제1 게이트 패드 금속층(102-1)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절연막(106)과 보호막(114)을 제1 게이트 패드 금속층(102-1)의 일부가 드러나게 동시에 사진 식각함으로써 마스킹 공장 횟수를 1회 줄인다.
다음,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5도의 (a)-(f)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게이트 패드부의 제조 공정 순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제6의 (a)-(f)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공정 순서를 나타낸 박막 트랜지스터부의 단면도이다.
제2 실시예에서 양극 산화 공정을 거치지 않는다는 점과 절연막과 보호막을 따로 패터닝한다는 점이 제1 실시예와 다르다.
제5도의 (a) 및 제6도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200) 위에 도전막인 알루미늄-희토류 금속계 합금 또는 알루미늄-백금 합금을 적층하고 제1 마스크를 이용하여 사진 식각하여 게이트선, 그리고 그일부 또는 분지인 제1 게이트 패드 금속층(202-1) 및 게이트 전극(202-2)을 형성한다.
제5도의 (b) 및 제6도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극 산화를 실시하지 않고 절연막(204)과 반도체막(206), 그리고 외인성 반도체막(208)을 차례로 적층한 후 제2 마스크를 사용하여 반도체막(206)과 외인성 반도체막(208)을 패터닝한다.
제5도의 (c) 및 제6도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게이트 패드 금속층(202-1)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절연막(204)을 제3 마스크를이용하여 사진 식각하여 제1 게이트 패드 금속층(202-1)의 일부가 드러나도록 한다.
제5도의 (d) 및 제6도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롬 등의 도전막을 적층한 후 제4 마스크를 이용하여 제2 게이트 패드 금속층(210-1)과 데이터선(도시하지 않음)과 그 분지 또는 일부인 데이터 패드(도시하지 않음), 그리고 소스 잔극(210-2) 및 드레인 전극(210-3)형성하고, 이를 마스크로하여 외인성 반도체(208)을 식각한다.
제5도의 (e) 및 제6도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막(212)을 적층한 후 제5 마스크를 이용하여 사진 식각하여 드레인 전극(210-3) 위에 컨택 구멍을 형성함과 동시에 제2 게이트 패드 금속층(210-1)의 일부가 드러나도록 제2 게이트 패드 금속층(210-1) 위에 형성되어 있는 보호막(212)을 사진 식각한다.
제5도의 (f) 및 제6도의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 도전 물질을 적층한 후 제6 마스크를 이용하여 사진 식각하여 제2 게이트 패드 금속층(202-1)과 접속되는 제3 게이트 패드 금속층(214-1) 및 드레인 전극(210-3)과 접속하는 화소 전극(214)을 형성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양극 산화 공정을 하지 않아 양극 산화에 따른 미스크 공정을 줄인다.
다음,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7도의 (a)-(f)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게이트 패드부의 제조 공정 순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제8도의 (a)-(f)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박막트랜지스터부의 제조 공정 순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의 특징을 합한 것으로서, 5매의 마스크로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을 제조한다.
제7도의 (a) 및 제8도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300) 위에 알루미늄-회토류 금속계 합금 또는 알루미늄-백금을 적층하고 제1 마스크를 이용하여 사진 식각하여 게이트선, 그리고 그 일부 또는 분지인 제1 게이트 패드 금속층(302-1) 및 게이트 전극(302-2)을 형성한다.
제7도의 (b) 및 제8도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막(304)과 반도체막(306), 그리고 외인성 반도체막(308)을 차례로 적층한 후 반도체막(306)과 외인성 반도체막(308)을 제2 마스크를 이용하여 패터닝한다.
제7도의 (c) 및 제8도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전 물질인 크롬을 적층한 후 제3 마스크를 이용하여 사진 식각하여 데이터선(도시하지 않음)과 그 분지 또는 일부인 데이터 패드(도시하지 않음), 그리고, 소스 전극(310-1) 및 드레인 전극(310-2)을 형성한다.
다음, 데이터선, 데이터 패드, 소스 전극(310-1) 및 드레인 전극(310-2)등이 데이터 배선을 마스크로 하여 반도체막(308)의 일부가 드러나도록 외인성 반도체(308)을 패터닝힌다.
제7도의 (d) 및 제8도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막(312)을 적층한 후 제4 마스크를 이용하여 절연막(304)과 함께 식각하여 드레인 전극(310-2) 위에 컨택 구멍을 형성함과 동시에 제1 게이트 패드 금속층(302-1)의 일부가 드러나도록 한다.제7도의 (e) 및 제8도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 도전 물질인 ITO를 적층한 후 제5 마스크를 이용하여 사진 식각하여 제1 게이트 패드 금속층(302-1)과 접속되는 제2 게이트 패드 금속층(314-1) 및 드레인 전극(302-2)과 연결되는 화소 전극(314-2)을 형성한다.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제1 게이트 패드 금속층(102-1)을 Al-Nd 합금으로 형성하여 산화 반응이 일어 나지 않으므로 게이트 패드부의 산화막이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제1 게이트 패드 금속층(102-1)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절연막(106)과 보호막(114)을 동시에 사진 식각하고 양극 산화 공정을 생략함으로써 마스킹 공정 횟수를 종래보다 2회 줄인다.
다음,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9도의 (a)-(f)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게이트 패드부의 제조 공정 순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제10도의 (a)-(f)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공정 순서를 나타낸 트랜지스터부의 단면도이다.
제4 실시예에서는 양극 산화 공정에서 사용되는 마스크를 없앤다.
제9도의 (a) 및 제10도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400) 위에 Al과 Ta를 차례로 적층하고 제1 마스크를 이용하여 사진 식각하여 Al과 Ta 이중층으로 된 게이트선, 그리고 그 분지 또는 그 일부인 제1 게이트 패드 금속층(401-1) 및 제2 게이트 패드 금속층(402-1) 및 하부 게이트 전극층(401-2)과 상부게이트 전극층(402-2)을 형성한다.
제9도의 (b) 및 제10도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선, 제2 게이트 패드 금속층(402-1) 및 상부 게이트 전극(402-2)을 양극 산화하여 양극 산화막(403)인 Ta2O5막을 형상한다. 이때 게이트 패드부도 함께 양극 산화하는 것이 다른 실시예와 다른 점이다.
제9도의 (c) 및 제10도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막(404)과 반도체막(406), 그리고 외인성 반도체막(408)을 차례로 적층한 후 반도체막(406) 그리고 외인성 반도체(408)을 제 2 마스크를 이용하여 패터닝한다.
제9도의 (d) 및 10도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전 물진인 크롬을 적층한 후 제3 마스크를 이용하여 사진 식각하여 박막 트랜지스터부의 데이터선(도시하지 않음)과 그 분지 또는 일부인 데이터 패드(도시하지 않음), 그리고, 소스 전극(410-1) 및 드레인 전극(410-2)을 형성한다. 다음, 소스 전극(410-1) 및 드레인 전극(410-2)등 데이터 배선을 마스크로 하여 반도체막(406)의 일부가 드러나도록 외인성 반도체막(408)을 패터닝힌다.
제9도의 (e) 및 제10도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막(412)을 적층한 후 제4 마스크를 이용하여 절연막(404) 및 양극 신화막(403)과 함께 식각하여, 드레인 전극(410-2) 위에 컨택 구멍을 형성함과 동시에 게이트 패드부의 Ta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2 게이트 패드 금속층(402-1)의 일부가 드러나도록 한다. 이때 식각은 압력과 알에프(RF) 전압을 조정하여 CH4와 O2가스의 분위기에서 통상의 방법으로 건식 식각한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9도의 (f) 및 제10도의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 도전 물질을 적층한 후 제5 마스크를 이용하여 사진 식각하여 제2 게이트 패드 금속층(402-1)과 접속되는 제3 게이트 패드 금속층(414-1) 및 드레인 전극(410-2)과 접속되는 화소 전극(414-2)을 형성한다.
만약 제1도전막인 Al막으로만 게이트 패드부의 게이트 패드 금속층을 형성한다면, Al막은 산화되기 쉽기 때문에 Al막 위에 형성되어 있는 ITO막의 산소 성분에 의해 Al막이 산화되어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이 어려워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게이트 패드부의 Al막 위에 산화가 잘 되지 않는 Ta막을 형성하면 산화막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더불어 제1 게이트 패드 금속층(401-1) 및 제2 게이트 패드 금속층(402-1)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절연막(404)과 보호막(412) 및 양극 산화막(403)을 동시에 하나의 마스크를 이용하여 사진 식각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마스크를 이용히는 회수를 줄여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을 형성함으로써 마스킹 공정 횟수를 줄여 원가 절감 및 수율 향상을 가져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기판 위에 도전막을 적층하고 제1 마스크를 이용하여 사진 식각하여 제1 게이트 패드 금속층 및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제1단계, 상기 게이트 전극을 제2 마스크를 이용하여 양극 산화하여 양극 산화막을 형성하는 제2 단계, 절연막과 반도체막을 차례로 적층한 후 제3 마스크를 이용하여 사진 식각하여 반도체막의 패턴을 형성하는 제3 단계, 도전물질을 적층한 후 제4 마스크를 이용하여 사진 식각하여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제4단계, 보호막을 적층한 후 제5 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절연막과 함께 사진식각하여 상기 드레인 전극 위에 컨택 구멍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1 게이트 패드 금속층의 일부가 드러나도록 하는 제5 단계, 투명 도전 물질을 적층한 후 제6 마스크를 이용하여 식각하여 상기 제1 게이트 패드 금속층과 접속되는 제2 게이트 패드 금속층 및 상기 드레인 전극과 접속되는 화소 전극을 형성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도전막은 알루마늄-회토류 금속계 합금 또는 알루미늄-백금 합금으로 사용하여 형성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방법.
  3. 제2항에서, 상기 도전막은 Al-Nd 합금으로 형성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서, 상기 반도체막 위에 외인성 반도체을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방법.
  5. 기판 위에 도전막을 적층하고 제 1마스크를 이용하여 사진 식각하여 제1 게이트 패드 금속층 및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제1 단계, 절연막과 반도체막을 차례로 적층한 후 제2 마스크를 이용하여 사진 식각하여 반도체막의 패턴을 형성하는 2단계, 상기1 게이트 패드 금속층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절연막을 제3 마스크를 이용하여 사진 식각하여 상기 제1 게이트 패드 금속층의 일부가 드러나도록 하는 제3 단계, 도전물질을 적층한 후 제4 마스크를 이용하여 사진 식각하여 상기 제1 게이트 패드 금속층 위의 제2 게이트 패드 금속층과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제4단계, 보호막을 적층한 후 제5 마스크를 이용하여 사진 식각하여 상기 드레인 전극 위에 컨택 구멍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2 게이트 패드 금속층의 일부가 드러나도록 하는 제5 단계, 투명 도전 물질을 적층한 후 제6 마스크를 이용하여 사진 식각하여 상기 제2 게이트 패드 금속층과 접속되는 제3 게이트 패드 금속층 및 상기 상기 드레인 전극과 접속되는 화소 전극을 형성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방법.
  6. 제5항에서, 상기 도전막은 알루미늄-회토류 금속계 합금 또는 알루미늄-백금 합금으로 형성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서, 상기 도전막은 Al-Nd 합금으로 형성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방법.
  8. 제5항에서, 상기 반도체막 위에 외인성 반도체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방법.
  9. 기판 위에 도전막을 적층하고 제 1마스크를 이용하여 사진 식각하여 제1 게이트 패드 금속층 및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제1 단계, 절연막과 반도체막을 차례로 적층한 후 제2 마스크를 이용하여 마스크를 이용하여 사진 식각하여 반도체막의 패턴을 형성하는 2단계, 도전물질을 적층한 후 제3 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절연막과 함께 사진 식각하여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제3단계, 보호막을 적층한 후 제4 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절연막과 함께 사진 식각하여 상기 드레인 전극 위에 컨택 구멍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1 게이트 패드 금속층의 일부가 드러나도록 하는 제4 단계, 투명 도전 물질을 적층한 후 제5 마스크를 이용하여 식각하여 상기 제1 게이트 패드 금속층과 접속되는 제2 게이트 패드 금속층 및 상기 드레인 전극과 접속되는 화소 전극을 형성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서, 상기 도전막은 알루미늄-희토류 금속계 합금 또는 알루미늄-백금 합금으로 사용하여 형성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방법.
  11. 제10항에서, 상기 도전막은 Al-Nd 합금으로 형성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방법.
  12. 제9항에서, 상기 반도체막 위에 외인성 반도체을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방법.
  13. 기판 위에 Al막과 Ta막을 차례로 적층하고 제 1마스크를 이용하여 사진 식각하여 제1 게이트 패드 금속층 및 상기 제1 게이트 패드 금속층 위의 제2 게이트 패드 금속층과, 하부 게이트 전극 및 상기 하부 게이트 전극층 위에 상부 게이트 전극층을 형성하는 제1 단계, 상기 제2 게이트 패드 금속층 및 상기 제2 게이트 전극을 양극 산화하여 양극 산화막을 형성하는 제2 단계, 절연막과 반도체막을 차례로 적층한 후 제2 마스크를 이용하여 사진 식각하여 반도체막의 패턴을 형성하는 3단계, 도전물질을 적층한 후 제3 마스크를 이용하여 사진 식각하여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제4단계, 보호막을 적층한 후 제4 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절연막 및 양극 산화막과 함께 사진 식각하여 상기 드레인 전극 위에 컨택 구멍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2 게이트 패드 금속층의 일부가 드러나도록 하는 제5 단계, 투명 도전 물질을 적층한 후 제5 마스크를 이용하여 사진 식각하여 상기 제2 게이트 패드 금속층과 접속하는 제3 게이트 패드 금속층 및 상기 드레인 전극과 접속되는 화소 전극을 형성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방법.
  14. 제13항에서, 상기 반도체막 위에 외인성 반도체을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방법.
KR1019950042281A 1995-11-20 1995-11-20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방법 KR0175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2281A KR0175409B1 (ko) 1995-11-20 1995-11-20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방법
US08/665,321 US5903326A (en) 1995-11-20 1996-06-18 Trainable RF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household applian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2281A KR0175409B1 (ko) 1995-11-20 1995-11-20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0921A KR970030921A (ko) 1997-06-26
KR0175409B1 true KR0175409B1 (ko) 1999-02-18

Family

ID=19434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2281A KR0175409B1 (ko) 1995-11-20 1995-11-20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903326A (ko)
KR (1) KR01754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1216A (en) * 1996-03-27 1998-03-24 Image Quest Technologies, Inc. Method of making an active matrix display incorporating an improved TFT
US6746959B2 (en) * 1996-07-26 2004-06-08 Lg Philips Lcd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CN1148600C (zh) * 1996-11-26 2004-05-05 三星电子株式会社 薄膜晶体管基片及其制造方法
US6940566B1 (en) 1996-11-26 2005-09-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s including organic passivation layer contacting a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layer between source and drain regions
KR100229613B1 (ko) * 1996-12-30 1999-11-15 구자홍 액정 표시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0248123B1 (ko) * 1997-03-04 2000-03-15 구본준 박막트랜지스터및그의제조방법
KR100303446B1 (ko) * 1998-10-29 2002-10-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박막트랜지스터기판의제조방법
KR100421901B1 (ko) * 1998-12-10 2004-04-1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반사형액정표시장치의반사판
KR100486719B1 (ko) * 1998-12-12 2005-08-1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및그제조방법
JP2001053283A (ja) * 1999-08-12 2001-02-23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半導体装置及びその作製方法
JP3374911B2 (ja) * 1999-09-30 2003-02-10 日本電気株式会社 透過液晶パネル、画像表示装置、パネル製造方法
JP4118484B2 (ja) * 2000-03-06 2008-07-1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JP2001257350A (ja) * 2000-03-08 2001-09-21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作製方法
JP4118485B2 (ja) * 2000-03-13 2008-07-1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JP4700160B2 (ja) 2000-03-13 2011-06-15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
JP4683688B2 (ja) 2000-03-16 2011-05-1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液晶表示装置の作製方法
JP4393662B2 (ja) 2000-03-17 2010-01-0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液晶表示装置の作製方法
US6900084B1 (en) * 2000-05-09 2005-05-3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display device
US7170405B2 (en) * 2000-12-26 2007-01-30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a power line carrier and an appliance
US20030046377A1 (en) * 2000-12-27 2003-03-06 Wolfgang Daum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iance service diagnostics
US7071037B2 (en) * 2001-03-06 2006-07-0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6990317B2 (en) * 2002-05-28 2006-01-24 Wireless Innovation Interference resistant wireless sensor and control system
US7340509B2 (en) 2002-07-18 2008-03-04 General Electric Company Reconfigurable appliance control system
US7322745B2 (en) * 2002-07-23 2008-01-29 Rapiscan Security Products, Inc. Single boom cargo scanning system
US20060073464A1 (en) * 2004-09-17 2006-04-06 Baldus Ronald F Location determinative electronic training methodology and related architecture
KR20080019398A (ko) * 2006-08-28 2008-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 제조 방법
TW201039217A (en) * 2009-04-17 2010-11-01 Chunghwa Picture Tubes Ltd Sensor structure of touch panel and method for determining touch signal generating by sensor structure of touch panel
CN102751240B (zh) * 2012-05-18 2015-03-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薄膜晶体管阵列基板及其制造方法、显示面板、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8851B2 (ja) * 1989-08-23 1996-06-19 日本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用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とその製造方法
JPH055898A (ja) * 1991-06-27 1993-01-14 Casio Comput Co Ltd 薄膜素子形成パネル
KR950008931B1 (ko) * 1992-07-22 1995-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패널의 제조방법
JP3098345B2 (ja) * 1992-12-28 2000-10-16 富士通株式会社 薄膜トランジスタマトリクス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5491347A (en) * 1994-04-28 1996-02-13 Xerox Corporation Thin-film structure with dense array of binary control units for presenting ima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0921A (ko) 1997-06-26
US5903326A (en) 1999-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5409B1 (ko)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방법
JP5240964B2 (ja) 薄膜トランジスタ表示板及びその製造方法
US5555112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multilayer gate busline composed of metal oxide and semiconductor
JP3717078B2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
TWI385803B (zh) 薄膜電晶體陣列面板及其製造方法
KR970003741B1 (ko)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US7341898B2 (en) Thin film transistor circuit device,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thin film transistor circuit device
JP3763381B2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0340308B1 (ko) 표시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0618361B1 (ko) 내식성 및 내열성 향상을 위해 다층 금속막 스택을포함하는 배선
JPH061314B2 (ja) 薄膜トランジスタアレイ
KR950008931B1 (ko) 표시패널의 제조방법
KR0145900B1 (ko)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디스플레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308437B1 (ko)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JPS6349914B2 (ko)
JPH06102528A (ja) 薄膜トランジスタマトリックスの製造方法
KR100212272B1 (ko)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TWI754323B (zh) 元件陣列基板及其製作方法
JP3663743B2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0169398B1 (ko)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방법
JP2000035592A (ja) 液晶表示装置
JPS61203484A (ja) 表示装置用駆動回路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372303B1 (ko) 액정디스플레이패널및그제조방법
KR100206554B1 (ko)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0175384B1 (ko)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11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11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9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1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11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0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0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0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0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0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0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1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1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1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5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15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31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20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1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30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