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60004479B1 -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 Google Patents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4479B1
KR960004479B1 KR1019900008235A KR900008235A KR960004479B1 KR 960004479 B1 KR960004479 B1 KR 960004479B1 KR 1019900008235 A KR1019900008235 A KR 1019900008235A KR 900008235 A KR900008235 A KR 900008235A KR 960004479 B1 KR960004479 B1 KR 960004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olyester film
particles
particle size
biaxially stretch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8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0873A (ko
Inventor
세이지 사까모또
Original Assignee
다이아호일 가부시끼가이샤
다까미야 다다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아호일 가부시끼가이샤, 다까미야 다다시 filed Critical 다이아호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00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4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47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6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5/73Base layers, i.e. all non-magnetic layers lying under a lowermost magnetic recording layer, e.g. including any non-magnetic layer in between a first magnetic recording layer and either an underlying substrate or a soft magnetic underlayer
    • G11B5/739Magnetic recording media substrates
    • G11B5/73923Organic polymer substrates
    • G11B5/73927Polyester substrate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6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5/73Base layers, i.e. all non-magnetic layers lying under a lowermost magnetic recording layer, e.g. including any non-magnetic layer in between a first magnetic recording layer and either an underlying substrate or a soft magnetic underlayer
    • G11B5/739Magnetic recording media substrates
    • G11B5/73923Organic polymer substrates
    • G11B5/73927Polyester substrate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 G11B5/73929Polyester substrate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comprising naphthalene ring compounds, e.g. polyethylene naphthalate substr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Product with molecular orient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4Polymeric or resinous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6Heavy metal or aluminum or compound thereof
    • Y10T428/257Iron oxide or aluminum ox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9Silicic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gnetic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제1도는 실시예 1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 횡단면의 트랜스미션(transmission)전자 현미경사진이다.
본 발명은 탁월한 내마모성 및 표면손상 저항성을 갖는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자기 기록 매체용으로 적합한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물리적 성질 및 화학적 성질이 탁월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여러가지 제품의 기초 재료로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 무엇보다도, 특히 기계적 강도, 치수 안정성 및 평면성이 탁월한 2축 연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은 축전기 유전체 및 자기 기록 매체의 기초 필름을 비롯한 여러가지 목적을 위하여 사용된다.
점점더 광범위하게 사용되어온 자기 기록 매체용 필름에 있어서의 주된 문제점은 내마모성에 있다.
필름을 높은 속도하에 금속핀과 접촉시킬 경우 그들 사이의 마찰이 커져서 필름위에 손상 부위가 생기며 마모에 의하여 필름에서 벗겨져나간 분말(닳아버린 분말)이 생기게 된다.
본 발명자는 일본국 특허 출원 공개 제1-306220(1989)호에서, 모오스 경도가 큰 산화알루미늄 입자를 필름에 혼합하는 필름의 내마모성 개선안을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는, 산화알루미늄과 같은 입자를 필름에 혼합할 경우 새로운 문제가 야기된다는 것을 발견하였었다. 이러한 입자를 함유하는 필름은 금속핀과 접촉되는 중에 닳아버린 분말의 생산 및 필름의 손상을 방지하는데 매우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지만, 자기층이 위에 피복되어 있는 필름을 감을 경우, 자기층과 접촉되는 기초 필름의 표면에 존재하는 입자는 종종 자기층 표면에 손상을 일으켜서 전자기적 성질을 열화시킨다. 이러한 단점은 필름의 연신 조건이 엄격할 경우, 즉 종방향 또는 횡방향에서의 연신비가 클 경우 더욱 현저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 결과, 본 발명자는 산화알루미늄 입자의 특정 응집괴를 사용함으로써 이 문제가 해결된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발견을 기초로 하여 완성된 것이다.
본 발명은 5 내지 40mm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산화알루미늄의 1차 입자(primary particle)로 된 응집괴(이 응집괴의 평균 입자 크기는 50 내지 400mm임)가 0.05 내지 3중량% 함유된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나와 있는 폴리에스테르는 주된 출발 물질로서 테레프탈산 및 2,6-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과 같은 방향족 디카르복시산 또는 그의 에스테르 및 에틸렌글리콜로부터 얻어지는 호모폴리에스테르 또는 코폴리에스테르이다. 공중합성 성분으로는, 이소프탈산, 프탈산, 아디프산 및 세바스산등의 디카르복시산, p-히드록시메톡시벤조산등의 히드록시카르복시산, 그리고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밑 네오펜틸글로콜등의 디올이 있다. 이들 공중합성 성분들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된다. 구성 반복 단위의 80몰% 이상이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위 혹은 에틸렌 2,6-나프탈레이트 단위이고, 고유점도[η]가 0.55 내지 0.75인 폴리에스테르가 본 발명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인용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전술한 폴리에스테르로부터 얻어지는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다.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기 위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폴리에스테를 일반적으로 270 내지 320℃의 온도에서 쉬이트로 용융 압출시키고 40 내지 80℃에서 급냉시켜 무정형 쉬이트를 얻는다. 그런다음, 무정형 쉬이트를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동시에 혹은 연속적으로 연신시킨다. 연신비는 보통 종방향에서 2 내지 6이고, 횡방향에서 2 내지 6이며, 연신 온도는 80 내지 150℃이다. 이후 연신 필름을 160 내지 250℃에서 열처리하여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는다[일본국 특허 출원 공고 제30-5639호(1955)에 기재된 방법]. 종방향 및 횡방향에서의 각 연신은 단일 단계 혹은 다단계에서 실시될 수 있으며, 다단계 연신의 매 연신작업 사이에 열처리를 해줄 수 있다. 2축 연신 단계와 후속 열처리 단계 사이에서 종방향, 횡방향 혹은 양쪽 방향으로 재연신을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특정 입자 크기의 특정 형태를 갖는 산화알루미늄을 사용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산화알루미늄의 미세한 1차 입자를 적절히 응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응집괴를 사용한다. 이러한 응집괴를 사용하는 경우, 필름 형성중에 연신웅력이 적합하게 분산되는 까닭에 입자가 필름 표면에서 벗겨져 나가지 않는 것 같으며, 또한, 응집괴가 필름 표면에 비교적 완만한 돌출부위에 제공하기 때문에 균일한 1차 입자로부터 예기되지 않는 양호한 마찰 특성이 얻어진다.
이러한 응집괴를 사용하는 장점중 한가지는 필름을 반복 주행시킨후에 마찰계수가 낮은 수준에서 유지될수 있다는 것이다. 필름의 양호한 취급성을 위하여 필름의 마찰계수를 감소시키는 것이 필요하지만, 본 발명자의 경험으로 미루어 볼때, 균일한 미세 입자를 함유하는 필름의 마찰계수는 필름을 반복 주행시킴에 따라 점차 증가된다. 산화알루미늄 입자의 응집괴를 사용하면 통상적인 기술에서의 이같은 결점을 극복할 수 있게 되며, 필름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산화알루미늄 응집괴의 평균 입자 크기는 50 내지 400nm,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300mm이다. 만일 평균입자 크기가 50nm미만이라면 금속핀에 대한 필름의 내마모성이 약간 열등하며, 반복 주행후의 필름의 마찰계수가 증가된다. 400n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필름과 접촉되는 자기층 표면위에 손상 부위들이 생겨서 전자기적 특성이 열화된다.
응집괴를 구성하는 산화알루미늄 1차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는 5 내지 40nm이다. 이러한 평균 입자 크기가 5nm미만인 경우에는, 응집괴가 종종 서로 단단히 결합하여서, 연신 응력에 의해서도 응집 결합체가 분리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유리한 효과를 발휘하기가 어려워진다. 40n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응집괴가 분리되고 필름표면에서 미끄려져 나가 전자기적 특성을 열화시킨다.
본 발명에서 규정된 응집괴를 사용하는 효과는 고강도 필름에서 가장 유리하게 발휘된다. 이 효과는 전술한 필름-형성 공정에서 무정형 쉬이트가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강하게 연신될 때, 다시 말하여, 커다란 연신 응력이 필름내의 응집괴 입자상에 작용할 때 특히 현저하게 나타난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효과는 종방향 또는 횡방향에서의 F-5값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경우 12.0kg/㎟ 이상, 바람직하게는 14.0kg/㎟ 이상이고, 폴리에틸렌 2,6-나프탈레이트 필름의 경우에는 15.0kg/㎟ 이상, 바람직하게는 20.0kg/㎟ 이상일 때 특히 괄목할만하다.
본 발명에 적합한 산화알루미늄 입자의 예로는, 열분해에 의하여 얻어지는 산화알루미늄 입자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입자는 통상 무수 염화알루미늄의 화염 가수분해에 의하여 생산되며, 그로써 생산된 입자는 5 내지 40nm의 입자 크기를 갖는 것들을 포함하고, 때로는 1μm를 초과하는 입자 크기를 갖는 거칠은 응집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적합한 입자 크기를 갖는 응집괴는 그러한 거칠은 응집괴를 분쇄함으로써 쉽게 얻어질 수 있다.
거칠은 응집괴를 분쇄하기 위하여, 롤밀, 볼밀, 진동 로드밀, 진동 볼밀, 팬밀, 롤러밀, 충격밀, 교반 연마밀, 유체 역학 에너지 밀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초음파 분산도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너무 강한 초음파 분산은 입자를 1차 입자 또는 그에 가까운 입자로 불편하게 분산시키기 때문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분쇄와 더불어 분류 및 여과같은 처리도 채틱될 수 있다.
산화알루미늄의 응집괴에서 산화알루미늄의 일부분, 예컨대 30중량%는 Si, Ti, Fe, Na, K등의 산화물로 대체할 수 있다. 응집괴의 표면은 실란 커플링제 및 티탄 커플링제와 같은 여러가지 표면 처리제에 의하여 개조될 수 있다.
응집괴를 폴리에스테르에 혼합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응집괴를 폴리에스테르 생산의 초기 단계에서 에틸렌글리콜 슬러리 형태로 반응계에 첨가하는 방법 및 응집괴를 필름 형성 이전에 폴리에스테르와 직접 혼합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먼저 방법이 용이하고 편리한 까닭에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기준으로 한 응집괴의 함량은 0.05 내지 3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8중량%이다. 함량이 0.05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금속핀에 대한 표면 손상 저항성의 개선이 불충분해진다. 응집괴를 3중량%보다 많이 첨가하면 필름이 자기층과 접촉될 때 자기층의 표면에 손상 부위를 만들 때가 많으므로 역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 따라 특정 산화알루미늄 응집괴를 폴리에스테르에 혼합함으로써, 필름이 금속핀과 접촉될 때 표면손상을 거의 입지 않으며 필름이 자기층과 접촉될때 자기층의 표면에 손상 부위를 거의 만들지 않는 극히 탁월한 내마모성의 필름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반복 주행후의 마찰계수가 초기 마찰계수와 매우 다르다는 유익한 특색을 더 갖고 있다. 더 낮은 초기 마찰계수를 필름에 제공해 주기 위하여 다른 종류의 입자를 함유시킬 수 있다.
산화알루미늄 응집괴와 함께 첨가될 수 있는 입자의 한가지 예는 소위 부착 입자(내부 입자)이다. 부착입자는 폴리에스테르 생산중에 미세 입자로서 부착된 금속 화합물이다. 예컨대 에스테르 교환 반응 또는 에스테르화 반응중에 혹은 반응전이나 반응후에 반응계에 존재하는 알칼리금속 혹은 알칼리금속 화합물의 부착 입자를 들수 있다. 알칼리금속 또는 알칼리금속 화합물은 인 화합물 존재 또는 부재하여 0.1 내지 5μm의 입자크기를 갖는 불활성 미세 입자로서 부착된다. 부착 입자가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기준으로 0.01 내지 1중량%의 비율로 존재하면 필름의 주행 성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산화알루미늄 응집괴와 함께 첨가될 수 있는 입자에 대한 또다른 예는 소위 첨가 입자(외부 입자)이다. 첨가 입자는 폴리에스테르 생산중에 외부에서 첨가된 입자를 뜻한다. 예컨대, 카올린, 탈크, 탄소, 황화몰리브텐, 석고, 암염, 불화칼슘, 제올라이트, 인산칼슘, 이산화규소 및 산화티탄 입자가 있다.
첨가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는 산화알루미늄 응집괴의 입자 크기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고, 그 범위는 0.1 내지 3μm이다. 첨가 입자의 양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기준으로 0.05 내지 2중량%이다.
내열성 중합체의 미세 분말을 첨가 입자로 사용할 수도 있다. 그 전형적인 예는 분자내에 단 하나의 지방족 불포화 결합을 갖는 모노비닐 화합물과 분자내에 2 이상의 지방족 불포화 결합을 가교기로서 갖는 화합물로 된 공중합체의 미세 분말이다.[일본국 특허 공고 제59-5216호(1984)에 기재됨]. 내열성 중합체의 미세분말은 전술한 것들로만 한정되지 않으며, 열경화성 페놀 수지, 열경화성 에폭시수지, 열경화성 우레아 수지, 벤조구안아민 수지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같은 불소 수지가 사용될 수도 있다. 내열성 중합체의 미세분말의 평균 입자 크기는 0.05 내지 5μm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사용량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기준으로 0.01 내지 3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탁월한 내마모성을 가지며, 여러가지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자기 기록 매체의 기초 필름용으로 적합하다.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비데오 테이프용 기초 필름으로서만이 아니라 오디오 테이프용 기초 필름으로서 사용될 때에도 그의 탁월한 효과를 발휘한다, 이러한 분야에서 최근 통상적인 것보다 2배 더 빠른 속도의 더빙 시스템을 갖는 기계가 보급되면서(예컨대 트윈 카세트 테이프 레코다 및 콤펙트 오디오 시스템), 테이프는 높은 속도하에 금속핀, 자기 헤드등과 접촉된다. 본 발명의 장점은 이 경우에 효과적으로 나타난다.
본 발명을 하기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따라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에서 "부"는 "중량부"를 나타낸다.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에 나와 있는 성질은 다음과 같이 측정한다.
(1) 평균 입자 크기
필름내 1차 입자 및 산화알루미늄 응집괴의 입자 크기는 트랜스미션 전자현미경을 통해 필름의 단면을 관찰함으로써 얻어진다. 동일한 구의 부피 분포에서 50%부피 분율에 해당되는 직경을 1차 입자 또는 응집괴의 평균 입자 크기로 간주한다.
건조 입자의, 그리고 슬러리내 1차 입자 또는 응집괴의 입자 크기는 주사 전자현미경을 사용함으로써 측정한다.
(2) 금속핀에 대한 내마모성
필름을 135°의 접촉각 및 50g의 인장력하에 경질크롬-도금 금속핀(직경 : 6mm, 표면 조도 : 3S)과 접촉시키면서 4m/초의 속도로 주행시킨다.
필름의 접촉표면은 알루미늄을 부착시키고 하기의 다섯 등급에 따라 표면 손상정도를 육안으로 판정한다.
등급 1 : 손상부위가 많이 관찰되고 그 대부분은 깊은 것이다.
등급 2 : 비교적 많은 손상부위가 관찰되며 그중 일부는 깊은 것이다.
등급 3 ; 비교적 적은 손상부위가 관찰되며, 그중 깊은 것은 몇개 안된다.
등급 4 : 손상부위가 조금밖에 관찰되지 않는다.
등급 5 : 손상부위가 거의 관찰되지 않는다.
(3) 기초 필름 표면에 기인하는 자기층 표면의 마모 정도
기초 필름 표면과 접촉됨으로 인한 자기층 표면의 손상 정도를 모텔을 사용, 관찰하고 전자기적 특성을 측정한다.
먼저 자기 테이프를 생산한다.
볼밀안에서 자기 미세 분말 200부, 폴리우레탄 수지 30부, 니트로셀룰로스 10부, 비닐콜로라이드-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10부, 레시틴 5부, 시클로헥산온 100부, 메틸이소부틸케톤 100부 및 메틸에틸케톤 300부를 48시간동안 혼합하고 분산시킨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5부를 분산액에 첨가하여 자기 피복 조성물을 제조한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쪽 표면에 자기 피복 조성물을 적용한후 피복물이 충분히 건조되어 경화되기 전에 자성 배향을 해준다. 이후 피복물을 건조시키면 2μm두께의 자기층이 형성된다. 피복된 필름을 수퍼칼렌더에 의하여 표면처리해 주고 1.27㎝(1/2인치)의 너비로 잘라서 비데오 테이프를 얻는다.
이로써 얻어진 자기 테이프를 135°의 접촉각 및 100g의 인장력하에 직경 30㎜의 금속핀(이 위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감기게 됨)과 접촉시키면서 5m/초의 속도로 주행시킨다.
자기층 표면에서의 손상 정도를 하기의 다섯 등급에 따라 육안으로 판정한다.
등급 1 ; 손상부위가 많이 관찰되고 그 대부분은 깊은 것이다.
등급 2 ; 비교적 많은 손상부위가 관찰되며 그중 일부는 깊은 것이다.
등급 3 : 비교적 적은 손상부위가 관찰되며 그중 깊은 것은 몇개 안된다.
등급 4 ; 손상부위가 조금밖에 관찰되지 않는다.
등급 5 : 손상부위가 거의 관찰되지 않는다.
위에서 얻어진 자기 테이프의 전자기적 특성을 마쯔시따 일렉트릭 인더스트리알 캄퍼니 리미티드에 의해 생산된 비데오 테크 모델 NV-3700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VTR 헤드 출력
VTR헤드 출력을 동기검정기에 의하여 4HMZ의 주파수하에 측정한다. 블랭크는 0dB로 보며, 상대값을 dB로 표시한다.
드롭 아우트의 수
4.4MHZ의 녹음 시그날을 갖는 비데오 테이프를 녹음 재생시키고, 오꾸라 인더스트리 가부시기가이샤에서 생산된 드롭-아우트 계수기에 의하여 약 20분동안 드롭-아우트의 수를 측정하고, 분당 드롭-아우트의 수를 사용한다.
(4) 마찰계수의 측정
자기 테이프 기초 필름의 운동 마찰계수를 ASTM D-1894의 방법에 따라 측정한다. 동일한 자기 테이프를 대상으로 테이프 감기와 재감기를 되풀이하면서 측정을 50회 반복한다.
(5) F-5값
5% 신장률하에서의 응력(kg/㎠)으로 F-5값을 표시한다. 응력은 인스트론 인장 시험기에 의하여 측정한다.
종방향으로 150mm, 횡방향으로 6.25mm인 시험편 다섯개를 2축 연신 필름에서 잘라내고, 50mm/분의 인장 속도, 50mm의 척(chuck)간격 및 50mm의 게이지 간격하에 인장 시험을 실시한다.
신장률이 5%인 시점에서의 하중을 얻어진 S-S커브로부터 읽어내고 하기 방정식에 따라 F-5값을 계산한다:
Figure kpo00001
결과는 다섯번의 측정에 대한 평균값으로 나타낸다.
[실시예1]
평균 입자 직경이 20mm인 산화알루미늄 1차 입자를 포함하는 응집괴를 에틸렌글리콜에 분산시키고 모래 연마기에 의하여 접차로 분산시킴으로써 평균 입자 크기가 80nm인 응집괴를 얻는다.
이와는 별도로,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100부, 에틸렌글리콜 65부 및 아세트산마그네슘 0.09부를 반응기에 집어넣고, 가열하에 메틴올을 제거하면서 에스테르 교환 반응이 일어나도록 한다. 반응 개시후 4시간이 지나면 온도를 230℃로 상승시킨다(여기서 에스테르 교환반응은 거의 완료된다).
이후, 평균 입자 크기가 80nm인 산화알루미늄 응집괴 0.25중량%와 평균 입자 크기가 400nm인 산화규소 입자 0.1중량%, 그리고 또 산성 인산에틸 0.4부 및 삼산화안티몬 0.04부를 첨가하고, 통상의 방법에 의해 중합을 실시하여 고유점도가 0.63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얻는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를 건조시킨후 290℃의 압출기로부터 쉬이트 형태로 압출시키고, 정전 접촉 방법에 의하여 급냉시켜 두께 150μm의 무정형 쉬이트를 얻는다. 무정형 쉬이트를 종방향으로 3.8배, 횡방향으로 3.6배 연신시키고, 다시 종방향으로 1.06배 재연신시켜, 종방향에서 보강된 9.8μm 두께의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는다.
이로써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종방향 및 횡방향에서의 F-5값은 각각 14.1kg/㎟ 및 10.2kg/㎟이다. 금속핀에 대한 필름의 내미모성 및 자기층으로 피복된 필름의 성질을 평가하여 표1에 나타내었다.
필름의 횡단면에 대한 트랜스미션 전자 현미경사진이 제1도에 나와 있다. 현미경사진은 다음과 같이 얻어진다. 필름을 에폭시 수지에 끼워넣고 마이크로톰에 의하여 절단하여, 200nm 두께의 샘플을 제조한다. 샘플 필름의 종방향을 따라 100kV의 가속 전압하에서 트랜스미션 전자현미경 H9000(제조원 : 히다찌 리미티드)에 의하여 26000X 로 샘플의 횡단면에 대한 현미경사진을 취한다.
[실시예 2 및 비교실시예1 내지 3]
필름내에 함유되는 입자의 성분을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변환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2축 연신 필름을 얻는다. 필름의 성질을 평가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kpo00002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과 2에서 얻어진 필름은 금속핀과의 접촉에 의해서 표면손상을 거의 입지 않으며, 자기층이 기초 필름과의 강력한 접촉에 의해서 표면손상을 입지 않는 까닭에 탁월한 전자기적 특성을 갖는 자기 테이프를 제공해줄 수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평균 입자 크기가 0.3μm이고 옹집되는 성향을 갖지 않는 산화리탄 입자를 주 입자로서 사용한 비교실시예 1에서는, 얻어진 필름이 열등한 내마모성을 가졌다. 평균 입자 크기가 0.35μm이고 옹집되는 성향을 갖지 않는 산화알루미늄의 1차 입자를 주입자로 사용한 비교실시예 2에서는, 얻어진 필름이 자기층의 표면을 쉽게 손상시켰다.
비교실시예 3에서는 1차 입자의 크기가 본 발명에 규정된 범위내에 있지만 응집괴의 평균 입자 크기가 본 발명에 규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산화알루미늄 응집괴가 사용되었다. 얻어진 필름의 내마모성은 다소 개선되었지만, 본 발명의 필름보다는 열등하였다.
또한 실시예 1과 2, 그리고 비교실시예 3에서 얻어진 자기 테이프를 대상으로 반복 주행 시험을 실시했을때 비교실시예 3의 자기 테이프의 마찰계수는 표 2에 나와 있는 바와 같이 점차로 증가되었다.
Figure kpo00003

Claims (6)

  1. 5 내지 40nm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산화알루미늄 1차 입자로 이루어진 평균 입자 크기 50 내지 400nm의 응집괴가, 필름을 기준으로 0.05 내지 3중량% 함유된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0.1 내지 5μm 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부착 입자가 필름을 기준으로 0.01 내지 1중량% 함유되어 있는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0.1 내지 3μm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첨가 입자 0.05 내지 2중량%가 더 함유되어 있는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0.05 내지 5μm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내열성 중합체의 미세 분말 0.01 내지 3중량%가 더 함유되어 있는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종방향 또는 횡방향에서의 F-5값이 12.0kg/㎟ 이상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인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종방향 또는 횡방향에서의 F-5값이 15.0kg/㎟ 이상인 폴리에틸렌 2,6-나프탈레이트 필름인 2축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9900008235A 1989-06-02 1990-06-02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Expired - Lifetime KR9600044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40782/89 1989-06-02
JP1-140782 1989-06-02
JP14078289A JP2856283B2 (ja) 1989-06-02 1989-06-02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0873A KR910000873A (ko) 1991-01-30
KR960004479B1 true KR960004479B1 (ko) 1996-04-06

Family

ID=15276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8235A Expired - Lifetime KR960004479B1 (ko) 1989-06-02 1990-06-02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096773A (ko)
EP (1) EP0401689B1 (ko)
JP (1) JP2856283B2 (ko)
KR (1) KR960004479B1 (ko)
DE (1) DE69004621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0550B1 (ko) * 2017-08-10 2019-01-22 애경화학 주식회사 박막 고점착성을 가지는 oca용 아크릴 점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4699A (en) * 1989-01-11 1994-02-08 Toray Industries, Inc.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DE69023351T2 (de) * 1989-01-11 1996-04-04 Toray Industries Biaxial orientierter Polyesterfilm.
US5368932A (en) * 1990-12-13 1994-11-29 Teijin Limited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for magnetic recording media containing theta or mixed alpha plus gamma aluminum oxide and inert organic particles
JP2528215B2 (ja) * 1990-12-13 1996-08-28 帝人株式会社 磁気記録媒体用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2675217B2 (ja) * 1991-10-31 1997-11-12 帝人株式会社 ポリエチレン―2,6―ナフタレートフィルム
JPH07119297B2 (ja) * 1991-02-22 1995-12-20 ダイアホイルヘキスト株式会社 磁気記録媒体用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フィルム
JP2576321B2 (ja) * 1991-09-25 1997-01-29 東レ株式会社 二軸配向積層フイルム
US5336079A (en) * 1991-03-06 1994-08-09 Toray Industries, Inc. Biaxially oriented laminated film comprising particles in a specific ratio of particle density
JP2690411B2 (ja) * 1991-05-01 1997-12-10 帝人株式会社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2729189B2 (ja) * 1991-09-03 1998-03-18 ダイアホイルヘキスト株式会社 磁気記録媒体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5128490A (ja) * 1991-11-07 1993-05-25 Diafoil Co Ltd 磁気記録媒体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3055278B2 (ja) * 1991-12-27 2000-06-26 三菱化学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株式会社 二軸配向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EP0903375B1 (en) * 1992-01-24 2004-08-11 Toray Industries, Inc. Thermoplastic polyester composition and film made therefrom
EP0579121B1 (en) * 1992-07-13 1998-12-16 Diafoil Hoechst Co., Ltd Polyester film
CA2103840A1 (en) * 1992-08-12 1994-02-13 Iwao Okazaki Biaxially oriented film
WO1994013481A1 (en) * 1992-12-09 1994-06-23 Hoechst Aktiengesellschaft Biaxially oriented copolyester film primed with vinyl acetate polymers
WO1994013486A1 (en) * 1992-12-09 1994-06-23 Hoechst Aktiengesellschaft Copolyester compositions,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and biaxially oriented copolyester films
JPH08504469A (ja) * 1992-12-09 1996-05-14 ヘキスト・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二軸配向penbbフィルムからの電気絶縁材
EP0674590A4 (en) * 1992-12-09 1996-02-28 Hoechst Ag COATED BIAXIAL ORIENTED COPOLYESTER FILM.
WO1994013482A1 (en) * 1992-12-09 1994-06-23 Hoechst Aktiengesellschaft A biaxially oriented two-layer copolyester film for capacitor dielectric use
KR950003339A (ko) * 1993-07-15 1995-02-16 박홍기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US5382650A (en) * 1993-12-20 1995-01-1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atalysts for polyester production
US5580652A (en) * 1994-03-22 1996-12-03 Skc Limited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containing an aluminum hydrate
DE69526638T2 (de) * 1994-08-30 2002-12-12 Toray Industries, Inc. Biaxial orientierter polyesterfilm und dessen herstellungsverfahren
US6106926A (en) * 1995-10-25 2000-08-22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Thermoplastic raw material and film produced therefrom
US5858527A (en) * 1995-10-30 1999-01-12 Skc Limited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JP3464333B2 (ja) * 1996-03-07 2003-11-10 帝人株式会社 磁気記録媒体用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2001212877A (ja) * 2000-02-03 2001-08-07 Toray Ind Inc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FR2807049B1 (fr) * 2000-03-29 2002-06-21 Tergal Fibres Compositions a base de polyesters presentant des proprietes thermomecaniques ameliorees et procede de fabrication de ces compositions
US6709740B2 (en) 2001-08-16 2004-03-23 Toray Plastics, (America), Inc. Easy handling ultraclear thermoplastic film
US6706387B2 (en) 2001-08-16 2004-03-16 Toray Plastics (America), Inc. Easy handling ultraclear thermoplastic film
WO2008021884A2 (en) * 2006-08-08 2008-02-21 Toray Plastics (America) , Inc. Lumirror Divison Anti-iridescent easy handling ultraclear thermoplastic film
KR101468937B1 (ko) * 2008-09-05 2014-12-11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DE102011006758A1 (de) * 2011-04-05 2012-10-11 Osram Ag Druckbares Farbgemisc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arbigen Aufdrucks und Verwendung des Farbgemische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21156A (en) * 1972-01-03 1974-06-28 Celanese Corp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US4092289A (en) * 1973-07-25 1978-05-30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Limited Polyester composition
US4320207A (en) * 1979-01-25 1982-03-16 Diafoil Company Limited Polyester film containing fine powder of crosslinked polymer
JPS57189822A (en) * 1981-05-20 1982-11-22 Toray Ind Inc Biaxially stretched polyester film
JPS585937A (ja) * 1981-07-03 1983-01-13 株式会社東芝 回路遮断保護装置
US4603073A (en) * 1983-12-22 1986-07-2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Opaque polyester film containing fine carbon black particles
US4727108A (en) * 1985-10-21 1988-02-23 Diafoil Company, Limited Polyester compositions and process of preparing polyester films from them
US4818581A (en) * 1986-08-27 1989-04-04 Teijin Limited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AT390578B (de) * 1988-03-31 1990-05-25 Evg Entwicklung Verwert Ges Vielpunkt-schweissmaschine
EP0345644B1 (en) * 1988-06-04 1994-11-02 Diafoil Hoechst Co., Ltd Polyester film for magnetic recording media
JPH0232151A (ja) * 1988-07-21 1990-02-01 Diafoil Co Ltd ポリエステル組成物
JPH06104731B2 (ja) * 1989-01-11 1994-12-21 東レ株式会社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0550B1 (ko) * 2017-08-10 2019-01-22 애경화학 주식회사 박막 고점착성을 가지는 oca용 아크릴 점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0873A (ko) 1991-01-30
DE69004621D1 (de) 1993-12-23
JPH036239A (ja) 1991-01-11
EP0401689A1 (en) 1990-12-12
EP0401689B1 (en) 1993-11-18
JP2856283B2 (ja) 1999-02-10
US5096773A (en) 1992-03-17
DE69004621T2 (de) 1994-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4479B1 (ko)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EP0460640A1 (en) Polyester film for magnetic recording media
US4654249A (en) Biaxially drawn, filled polyester film substrates
KR100598008B1 (ko)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EP1270669B1 (en) Biaxially oriented, unidirectionally long polyethylene-2,6-naphthalate film and magnetic tape therefrom
JP3244233B2 (ja)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組成物およびフィルム
JP2771356B2 (ja) ポリエチレン―2,6―ナフタレートフィルム
JP2675216B2 (ja) ポリエチレン―2,6―ナフタレートフィルム
JP3254258B2 (ja) ポリエチレン−2,6−ナフタレートフィルム
JPH11322970A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3542905B2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3227843B2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3351821B2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440375B2 (ko)
KR0155609B1 (ko) 자기기록매체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JP2991272B2 (ja) 2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1126340A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H0684445B2 (ja) 磁気記録媒体用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1247450A (ja)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組成物
JPH0516224A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H06297661A (ja) 磁気記録媒体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639537B2 (ja) 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4282226A (ja) 2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6200064A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280455A (ja)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006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306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006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60314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607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607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607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2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1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3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3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3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3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3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40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2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2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23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23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