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40006279B1 - 잉크리본 유지장치 - Google Patents

잉크리본 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6279B1
KR940006279B1 KR1019890011269A KR890011269A KR940006279B1 KR 940006279 B1 KR940006279 B1 KR 940006279B1 KR 1019890011269 A KR1019890011269 A KR 1019890011269A KR 890011269 A KR890011269 A KR 890011269A KR 940006279 B1 KR940006279 B1 KR 940006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ribbon
web
holding device
elastic piece
co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1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0378A (ko
Inventor
다께시 다시로
이꾸죠오 스기우라
Original Assignee
도오꾜오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고바야시 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8110249U external-priority patent/JPH081884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655708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00555B2/ja
Application filed by 도오꾜오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고바야시 쥰 filed Critical 도오꾜오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00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6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27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5/00Other apparatus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or incorporated in, ink-ribbon mechanisms
    • B41J35/02Frames or holders for unwound short lengths of ink rib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02Supporting web roll
    • B65H16/04Supporting web roll cantileve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04Kinds or types
    • B65H75/08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3Supporting web roll
    • B65H2301/4132Cantilever arrangement

Landscapes

  • Impression-Transfer Materials And Handling Thereof (AREA)
  • Winding Of Webs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Unwinding Web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잉크리본 유지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를 도시한 리본구동축에 권심을 장착하는 과정을 도시한 종단측면도.
제2도는 리본구동축에 권심을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종단측면도.
제3도는 리본구동축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제4도는 권심에 감긴 잉크리본의 평면도.
제5도는 권심의 사시도.
제6도는 권심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를 도시한 리본구동축을 권심에 장착하는 과정을 도시한 종단측면도.
제8도는 리본구동축에 권심을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종단측면도.
제9도는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레이블 프린터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제10도는 리본구동축과 리본관을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은 프린터 등에 사용되는 잉크리본 등의 웨브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 종류의 웨브유지장치의 일예를 제9도에 도시한다. 즉, 가압판(30)과 더어멀헤드(31)와의 사이에 통한 레이블용지(32)와 잉크리본(1)을 한방향으로 이송하면서 인자하는 레이블 프린터에 있어서는, 잉크리본(1)을 유지하는 리본관(33)을 축(34,35)에 장착하고, 적어도 한쪽의 축(34)을 모우터에 의해 구동하여 그 회전력을 리본관(33)에 전달하기 위해, 축(34,35)의 외주에 복수의 돌기선(36)을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리본관(33)의 내주면에 돌기선(36)과 맞물리는 복수의 오목선(37)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장치에 있어서, 리본관(33)의 장착에 있어서는,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리본관(33)에 형성된 오목선(37)을 축(34,35)에 형성된 돌기선(36)에 맞추어서 끼워넣지 않으면 안된다.
그 때문에, 리본관(33) 설치의 조작성이 나쁘다.
그 위에, 그 맞춤은 눈으로 볼 수 없는 위치에서 행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손으로 더듬어서 행하는 작업으로 되어 극히 조작하기 어렵다.
또한, 리본관(33)의 내주면에 복수의 오목선(37)을 형성하는데는 어느 정도의 두께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리본관(33)을 합성수지에 의해 성형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리본관(33)은 잉크리본(1)과 같이 소모품이기 때문에, 소비하는 리본관(33)의 수도 많고 사용자에 있어서는 운전비가 높아진다.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웨브구동축에 대한 권심의 설치를 간단하게 행할 수가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웨브구동축에 대한 권심의 설치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의 목적은, 종이와 같은 염가인 소재에 의한 권심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하의 설명에 의해 명백하여질 것이다.
본 발명은, 구동부에 연결되어서 프레임에 편지(片持) 상태로 회전자유롭게 유지된 웨브구동축을 설치하고, 장척형상의 웨브가 감기게 되는 원통형 권심의 일단에 걸어맞춤부를 형성하고, 상기 웨브구동축의 상기 프레임측의 일단에 권심의 상기 걸어맞춤부에 끼워맞춤되는 걸어맞춤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웨브구동축의 타단에 이 웨브구동축의 축받이 방향에 향하여 돌출하고 외주방향으로 확대되어 열리는 테이퍼 형상의 탄성편을 형성하고, 이 탄성편의 선단에 상기 권심의 끝가장자리에 맞닿는 맞닿음부를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권심을 웨브구동축에 끼워맞춤시켰을 때에 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춤 돌출부와의 걸어맞춤에 의해 웨브구동축의 회전을 권심에 전달할 수 있는 상태로 할 수가 있고, 또, 웨브구동축에 권심을 끼워맞출 때에는 스스로의 탄성에 의해 외주방향으로 돌출하는 탄성편의 맞닿음부에서 권심의 끝가장자리를 가압함으로써 권심의 축방향의 고정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축방향의 빠짐방지도 자동적이고, 또한, 권심은 그의 단부에 걸어맞춤부를 형성함으로써 웨브구동축에 대한 회전력을 받을 수가 있기 때문에, 종이재료 등에 의한 얇은 두께의 원통형의 염가인 권심을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5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부호 1은 폭이 넓고 장척형상의 웨브로서의 잉크리본이고, 이 잉크리본(1)이 감긴 원통형의 종이제품의 권심(2)의 일단에는, 잉크리본(1)을 감기 시작할때에 그 잉크리본(1)의 일단을 고정하여 권심(2)을 회전하기 위한 걸어맞춤부(3)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부(3)는 권심(2)의 끝가장자리에 형성된 각형의 복수개의 노치에 의한 것이다.
부호 4는 일부 밖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프린터의 프레임이고, 이 프레임(4)에는 웨브구동축으로서의 리본구동축(5)이 편지상태로 회전자유롭게 유지되어 있다.
이 리본구동축(5)은 프레임(4)에 고정한 축받이(6)에 회전자유롭게 지지되어서 모우터(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된 회전축(7)과, 이 회전축(7)의 외주에 고정된 외통(8)과, 회전축(7)에 회전정지되어서 축방향에 대하여는 미끄럼운동자유롭게 끼워맞춤된 미끄럼운동축(9)으로 이루어진다.
회전축(7)의 선단에 나사맞춤된 턱부착볼트(10)에는 미끄럼운동축(9)을 프레임(4)측에 가압하는 스프링(11)이 감겨있다.
또한, 상기 외통(8)의 기부에는 플랜지(12)가 형성되고, 이 플랜지(12)에는 상기 걸어맞춤부(3)에 걸어맞춤하는 1개 또는 복수개의 걸어맞춤 돌출부(13)가 형성되어 있다.
또, 미끄럼운동축(9)은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되고, 그 선단에는 회전축(7)의 축받이(6)의 방향으로 향하여 점점 확대되어 열리는 테이퍼 형상을 하여 스스로의 탄성에 의해 외주방향으로 가압된 복수의 탄성편(14)이 형성되고, 이들의 탄성편(14)의 선단에는 상기 권심(2)의 끝가장자리에 맞닿는 맞닿음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은 미끄럼운동축(9)은 스프링(11)에 의해 프레임(4)측에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편(14)은 외통(8)의 안쪽으로 끼워맞춤된다.
이 상태에서는, 권심(2)은 리본구동축(5)의 선단에서 프레임(4)측에 끼워맞춤될 때에 탄성편(14)의 저항을 받는 일이 없다.
걸어맞춤부(3)와 걸어맞춤 돌출부(13)를 걸어맞춤시키면서 권심(2)을 리본구동축(5)에 충분히 끼워맞춤하고, 스프링(11)의 힘에 저항하여 미끄럼운동축(9)을 잡아당기면, 탄성편(14)이 스스로의 탄성으로 바깥쪽으로 복귀하고,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의 맞닿음부(15)에서 권심(2)의 끝가장자리를 가압하고, 권심(2)의 축방향의 움직임을 고정한다.
따라서, 모우터에 의해 회전축(7)을 회전시키면, 그 회전은 외통(8) 및 미끄럼운동축(9)에 전달되고, 그 위에, 걸어맞춤 돌출부(13)와 걸어맞춤부(3)와의 끼워맞춤부에서 권심(2)으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권심(2)은 그의 단부에 걸어맞춤부(3)를 형성함으로써 리본구동축(5)에 대한 회전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종이재료 등에 의한 얇은 두께 원통형의 염가인 권심(2)을 사용할 수가 있다.
그 위에, 잉크리본(1)의 단부를 고정하기 위해 형성한 걸어맞춤부(3)를 이용하여 리본구동축(5)의 걸어맞춤 돌출부(13)에 끼워맞춤함으로써, 권심(2)의 구조가 복잡화되는 일없이, 보다 한층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탄성편(14)은 축소방향으로 가압된 미끄럼운동축(9)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권심(2)의 길이가 제조상의 치수의 편차정도의 변화가 있어도 축방향의 움직임을 고정할 수 있다.
다음에, 제6도에 도시한 것은, 권심(2)의 변형예이고, 걸어맞춤부(3)가 V자형상의 노치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 경우 리본구동축(5)측의 걸어맞춤돌축부(13)의 형상도 V자형의 것으로 한다.
또한, 제7도 및 제8도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와 동일부분은 동일부호를 사용한다.
본 실시예는 외통(8)을 미끄럼운동축(9)과 일체적으로 형성한 것이고, 그 외통(8)은 턱부착볼트(10)에 의해 회전축(7)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탄성편(14)은 회전축(7)의 축심에 대하여 대칭위치에 설치되고, 통상의 상태에서는 회전축(7)의 축받이(6) 방향으로 향하여 돌출하고 외주방향으로 확대되어 열리는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권심(2)의 끼워넣기에 있어서는, 탄성편(14)이 끝이가는 테이퍼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 탄성편(14)의 존재는 끼워넣기의 방해로 되는 일이 없고, 권심(2)이 걸어맞춤부(3)가 걸어맞춤 돌출부(13)에 걸어맞춤한 정규의 위치에 달하면 권심(2)에 의해 중심가까이로 변형하고 있던 탄성편(14)은 권심(2)의 내면에서 자유로 되고, 바깥쪽으로 자동복귀하여 학대되어 열리고 그 맞닿음부(15)가 권심(2)의 끝가장자리에 맞닿는다.
이것에 의해, 권심(2)은 회전정지되고, 또한 빠짐이 방지되면서 유지된다.
또, 상술의 제1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미끄럼운동축(9)이 스프링(11)에서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권심(2)의 축방향길이에 다소의 변동이 있어도 축방향으로 움직이는 일이 없는 설치상태를 얻을 수가 있으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축방향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는 범위로 치수상의 정밀도를 가지게 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는, 권심(2)의 축방향의 간극은 어느 정도 허용되기 때문에, 장치의 정밀도 및 권심의 치수정밀도는 무리없는 상태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여 설치된 권심(2)을 떼는 경우에는 탄성편(14)을 밖으로부터 밀고 중심가까이로 변위시켜서 권심(2)을 뽑아낸다.
또, 어느 실시예에 있어서도, 걸어맞춤부(3)를 1개의 노치로 하고, 걸어맞춤 돌출부(13)를 그 노치에 끼워맞추는 1개의 돌기에 의해 형성하여도 좋다.

Claims (13)

  1. 구동부에 연결되고 프레임에 설치되어 편지상태로 회전자유롭게 유지되는 웨브구동축과, 걸어맞춤부가 형성된 원통형 권심의 일단에 감기게 되는 장척형상의 웨브로 이루어진 잉크리본 유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웨브구동축의 상기 프레임측의 일단에는 상기 권심의 상기 걸어맞춤부에 끼워맞추어지는 걸어맞춤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웨브구동축의 타단에는 이 웨브구동축의 축받이 방향으로 향하여 돌출하고 외주방향으로 확대되어 열리는 테이퍼 형상의 탄성편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탄성편의 선단에는 상기 권심의 끝가장자리에 맞닿는 맞닿음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리본 유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끼워 넣어진 권심의 끝가장자리에 맞닿는 맞닿음부는 선단에 형성된 탄성편의 웨브구동축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리본 유지장치.
  3. 구동부에 연결되고 프레임에 설치되어 편지상태로 회전자유롭게 유지되는 웨브구동축과, 걸어맞춤부가 형성된 원통형 권심의 일단에 감기게 되는 장척형상의 웨브로 이루어진 잉크리본 유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웨브구동축의 상기 프레임측의 일단에는 상기 권심의 상기 걸어맞춤부에 끼워맞춤되는 걸어맞춤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웨브구동축의 타단에는 이 웨브구동축의 축받이방향으로 향하여 돌출하고 외주방향으로 확대되어 열리는 테이퍼 형상의 탄성편을 구비한 미끄럼운동축이 상기 프레임측에 가압하여 미끄럼운동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편의 선단에는 상기 권심의 끝가장자리에 맞닿는 맞닿음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리본 유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탄성편은 웨브구동축의 축심에 대하여 대칭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리본 유지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걸어맞춤부는 복수개의 노치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리본 유지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춤 돌출부는 복수개의 V자형상의 노치 및 돌기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리본 유지장치.
  7. 구동부에 연결되고 프레임에 설치되어 편지상태에서 회전자유롭게 유지되는 웨브구동축과, 노치가 형성된 원통형 권심의 일단에 감기는 장척형상의 잉크리본으로 이루어진 잉크리본 유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웨브구동축의 상기 프레임측의 일단에는 상기 권심의 상기 노치에 끼워맞춤되는 돌출부가 전둘레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웨브구동축의 타단에는 이 웨브구동축의 축받이 방향으로 향하여 돌출하여 외주방향으로 확대되어 열리는 테이퍼 형상의 탄성편이 형성되어 있고, 이 탄성편의 선단에는 상기 잉크리본의 끝가장자리에 맞닿는 맞닿음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리본 유지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탄성편은 웨브구동축의 축심에 대하여 대칭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리본 유지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권심의 일단의 전둘레에는 복수개의 노치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리본 유지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노치와 돌출부는 복수개의 V자형상의 노치 및 돌기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리본 유지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탄성편은 웨브구동축의 축심에 대하여 대칭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리본 유지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걸어맞춤부는 복수개의 노치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리본 유지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춤 돌출부는 복수개의 V자형상의 노치 및 돌기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리본 유지장치.
KR1019890011269A 1988-08-23 1989-08-08 잉크리본 유지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9400062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110249 1988-08-23
JP1988110249U JPH081884Y2 (ja) 1988-08-23 1988-08-23 リボン保持装置
JP89-165570 1989-06-28
JP1-165570 1989-06-28
JP16557089A JPH07100555B2 (ja) 1989-06-28 1989-06-28 ウェブ保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0378A KR910000378A (ko) 1991-01-29
KR940006279B1 true KR940006279B1 (ko) 1994-07-14

Family

ID=26449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1269A Expired - Fee Related KR940006279B1 (ko) 1988-08-23 1989-08-08 잉크리본 유지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984915A (ko)
EP (1) EP0360400B1 (ko)
KR (1) KR940006279B1 (ko)
AU (1) AU622211B2 (ko)
DE (1) DE6890783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57066A (en) * 1992-10-02 1997-08-12 Zebra Technologies Corporation Thermal demand printer
JPH02163247A (ja) * 1988-12-14 1990-06-22 Mitsubishi Electric Corp ファクシミリ装置
DE69130367T2 (de) * 1990-03-30 1999-04-01 Kabushiki Kaisha Tec, Shizuoka Transferdrucker
US5238314A (en) * 1990-07-13 1993-08-24 Tokyo Electric Co., Ltd. Transfer printer with ribbon lock
EP0479294B1 (en) * 1990-10-05 1995-09-20 Sharp Kabushiki Kaisha Paper feeding device capable of quickly replacing recording paper
US5366175A (en) * 1993-10-07 1994-11-22 James River Paper Company, Inc. Apparatus for dispensing web material from a coreless roll having anti-theft device
US5370339A (en) * 1993-12-01 1994-12-06 James River Paper Company, Inc. Apparatus for dispensing web material from a coreless roll and for resisting end-wise removal of the roll until substantial depletion thereof
US5991963A (en) * 1997-02-11 1999-11-30 Micro Care Corporation Supply roll member, sheet material dispenser apparatus, and stencil wiping assembly including the same
DE19723076C2 (de) * 1997-06-02 2000-01-20 Pelikan Produktions Ag Egg Verbindung eines Endteils mit einem Karton-Rohrkern
FR2783692B1 (fr) * 1998-09-28 2000-11-17 Maurice Granger Appareil distributeur de materiau d'essuyage dans une position frontale de la bobine
EP1033684A1 (en) * 1999-03-01 2000-09-06 Wayfarer Transit Systems Ltd Paper dispenser
US6302604B1 (en) * 2000-01-05 2001-10-16 Zih Corp. Rack and pinion medium roll support
WO2004063066A1 (de) * 2003-01-15 2004-07-29 Cfs Germany Gmbh Etikettenrollen-wechselsystem
US20050258301A1 (en) * 2004-05-04 2005-11-24 Zih Corporation Apparatus for centering media on a spindle
TWI288710B (en) * 2005-08-19 2007-10-21 Hi Touch Imaging Tech Co Ltd Fixing element capable of fixing a ribbon roller in a ribbon cartridge
JP4726618B2 (ja) * 2005-12-06 2011-07-20 株式会社東京精密 テープ保持装置
US8568046B2 (en) 2007-09-17 2013-10-29 Avery Dennison Corporation Mounting assembly and method of loading and/or unloading rolls
TWM335472U (en) * 2008-01-07 2008-07-01 Tsc Auto Id Technology Co Ltd Carbon ribbon shaft of barcode printer
JP6297514B2 (ja) 2015-03-19 2018-03-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2017088386A (ja) * 2015-11-16 2017-05-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熱転写シートまたは受像シート用ボビン、ボビンとシートの組合体および熱転写プリンタ
CN115611101A (zh) * 2022-11-11 2023-01-17 河南科技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导联线收卷装置及心电图机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81189A (en) * 1948-12-31 1954-06-15 Ind Rayon Corp Spool holding device
GB1058733A (en) * 1964-08-14 1967-02-15 Rank Bush Murphy Ltd Improved film spool mounting means
US3420468A (en) * 1967-05-10 1969-01-07 James Paul Rhoades Crochet caddy
US3701318A (en) * 1970-04-15 1972-10-31 Mohawk Data Sciences Corp Skew control apparatus for feeding a wide-web ribbon in a high speed printer
DE2225555C3 (de) * 1972-05-26 1981-07-30 W. Schlafhorst & Co, 4050 Mönchengladbach Spulenhalter
JPS59162079A (ja) * 1983-03-04 1984-09-12 Seiko Epson Corp インクリボンカセツト
JPH07115516B2 (ja) * 1985-02-15 1995-12-13 株式会社サト− カ−ボンリボンの移送案内装置
JPS6256178A (ja) * 1985-09-05 1987-03-11 Toshiba Corp インクリボンの巻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22211B2 (en) 1992-04-02
EP0360400B1 (en) 1993-07-28
EP0360400A3 (en) 1990-06-27
DE68907832D1 (de) 1993-09-02
AU4000689A (en) 1990-03-01
KR910000378A (ko) 1991-01-29
US4984915A (en) 1991-01-15
DE68907832T2 (de) 1994-02-24
EP0360400A2 (en) 1990-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6279B1 (ko) 잉크리본 유지장치
EP2036845A2 (en) Mounting assembly and method of loading and/or unloading rolls
KR20030074095A (ko) 기록지 롤 홀더 장치
JPH07100555B2 (ja) ウェブ保持装置
US6619658B2 (en) Media-conveying apparatus in printer
US4728967A (en) Recording apparatus having a tapered roller platen for exerting a uniform pressing force against recording elements
KR910016496A (ko) 전사식 프린터
KR920008595B1 (ko) 잉크리본의 부착방법 및 그 장치
JPH0724843U (ja) 帯状体の巻取機構
US4049110A (en) Print wheel mounting assembly
KR970069371A (ko) 잉크젯 프린트/플로터에서의 롤공급 매체용 조절 가능한 스핀들 조립체
US7100859B2 (en) Holder device of recording paper roll
JP4181870B2 (ja) 紙管支持軸
JPH065316Y2 (ja) ロール紙支持装置
JP2515442Y2 (ja) プリンタにおける印字用紙のガイド装置及びガイド片
JP3898690B2 (ja) サーマルリボン用筒体
JPH081884Y2 (ja) リボン保持装置
JP2008247506A (ja) ボビン着脱装置
EP0705709A1 (en) A device for skew correction in printers
EP0764544B1 (en) Positioning device for a document processing device
JPS61241175A (ja) ラベルプリンタ
JP2599828B2 (ja) 回動軸支持装置
JPH07214850A (ja) インクリボンの芯管
KR880001753Y1 (ko) 타자기의 타자지 밀착대 해제장치
KR830000751B1 (ko) 핸드레이블러등의 인자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0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5071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50715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