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40002692B1 - 방향족 폴리아미드 섬유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방향족 폴리아미드 섬유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692B1
KR940002692B1 KR1019860010760A KR860010760A KR940002692B1 KR 940002692 B1 KR940002692 B1 KR 940002692B1 KR 1019860010760 A KR1019860010760 A KR 1019860010760A KR 860010760 A KR860010760 A KR 860010760A KR 940002692 B1 KR940002692 B1 KR 940002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water
fibers
dye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10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6247A (ko
Inventor
모우이드 고라시 하미드
Original Assignee
이.아이.듀퐁드 네모아 앤드 캄파니
도날드 에이·호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6/910,941 external-priority patent/US4755335A/en
Application filed by 이.아이.듀퐁드 네모아 앤드 캄파니, 도날드 에이·호에스 filed Critical 이.아이.듀퐁드 네모아 앤드 캄파니
Publication of KR870006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6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96Humidity control, or oiling,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leaving the spinnerett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32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D06M13/46Compounds containing quaternary nitrogen atoms
    • D06M13/463Compounds containing quaternary nitrogen atoms derived from monoamin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0Physical treatment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during manufacture, i.e. during a continuous production process before the filaments have been collected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1/00Chemical after-treatment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during manufacture
    • D01F11/04Chemical after-treatment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during manufacture of synthetic polymers
    • D01F11/08Chemical after-treatment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during manufacture of synthetic poly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amides
    • D01F6/605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amides from aromatic 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01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hydrogen, water or heavy water; with hydrides of metals or complexes thereof; with boranes, diboranes, silanes, disilanes, phosphines, diphosphines, stibines, distibines, arsines, or diarsines or complexes thereof
    • D06M11/05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hydrogen, water or heavy water; with hydrides of metals or complexes thereof; with boranes, diboranes, silanes, disilanes, phosphines, diphosphines, stibines, distibines, arsines, or diarsines or complexes thereof with water, e.g. steam; with heavy wat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1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to be treated
    • D06M2101/16Synthetic fibres, other than mineral fibres
    • D06M2101/30Synthetic polymers consisting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2101/34Polyamides
    • D06M2101/36Aromatic 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45Shrinking resistance, anti-felting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loring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Chemical Treatment Of Fibers During Manufacturing Processe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방향족 폴리아미드 섬유의 제조방법
도면은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하는데 적합한 장치의 주요 부재를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본 발명은 방향족 폴리아미드 섬유, 보다 상세하게는 이러한 섬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 말하면, 본 발명은 섬유 구조를 통하여 염료를 섬유속의 미세 기공속으로 거의 전부 분산시키는데 충분한 시간 동안 약 110 내지 140℃, 바람직하게는 약 120℃의 증기를 사용하여, 건조시키기 전에 방사상태인 무정형 수팽윤성 섬유를 가열함으로써 폴리(메타-페닐렌 이소프탈아미드) 섬유의 섬유 구조물을 수용성 염료를 사용하여 염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외선 차단제(ultraviolet light screener)와 같은 유기 수불용성 물질은 수용성 염료와 혼합한 다음 가열하기 전에 수팽윤성 섬유에 패딩할 수 있다. 염료는 110 내지 140℃의 온도에서 섬유 구조속으로 효과적으로 분산되는 반면, 당해 구조물은 섬유 기공속으로 차단제를 승화시키기 위하여 섬유의 유리전이온도 이하의 승화온도에서 증기를 사용하여 가열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후에, 이 섬유는 섬유속의 기공을 붕괴시켜 내부에 염료를 고착시키기에 충분한 시간동안 약 165℃의 증기를 사용하여 추가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온도에서 섬유는 또한 결정화되어 섬유 구조는 계속적인 세탁 수축에 대하여 안정화된다.
분산염료를 포함한 각종 수불용성 물질은 이러한 방법(예를들면, 수팽윤성의 미건조 섬유를 염료 함유 분산제와 접촉시킨 다음, 증기를 사용하여 165℃로 가열)으로 섬유속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승화단계는 앞서 기술된 분산단계에 이어진다.
방향족 폴리아미드 섬유는 당해 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이들 섬유는 인장강도가 높고, 난연성 및 내열성이 있으며, 굴곡수명이 양호하며, 또한 융점이 아주 높다. 따라서, 이들 섬유는 보호의복으로서 유용한 직물로 형성시키거나 기타의 많은 용도에 특히 적합하다.
제조된 방향족 폴리아미드 섬유는 많은 목적하는 특성을 가지고는 있지만, 이들 섬유는 또한 소정 용도의 경우, 섬유의 특성들을 특정의 최종 용도에 알맞도록 개선하기 위하여 여러 단계들을 거칠 필요가 있다고 또한 알려져 있다. 일례로서, 염료, 자외선 차단제, 난연제, 대전방지제 또는 발수제와 같은 각종 첨가제를 기본 제조 도중에 또는 후속 가공단계 도중에 섬유속으로 혼입시켜 이들의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이후에 "MPD-I 섬유"로 언급되는 폴리(메타-페닐렌 이소프탈아미드) 중합체의 방향족 폴리아미드 섬유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스위니(sweeny)의 미합중국 특허 제3,287,324호에 상세히 기술된 이러한 섬유는 여러가지 유용한 특성을 가지고 잇다,. 그러나, 이들 섬유는 염색하기에 아주 힘든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염색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기술이 개발되었다. 당해 업계에 잘 알려져 널리 사용되는 대표적인 용액으로 섬유를 염색하는 경우에는, 아세토페논과 같은 캐리어의 존재하에 수용에서 섬유를 염색한다. 이는 당해 섬유를 염색할 수 있는 방법이긴 하지만, 캐리어의 가격이 비싸며 이를 제거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 다른 용액은 모울드(Moulds)와 밴스(Vance)의 영국 특허 제1,438,067호에 기재되어 있는데, 이 특허는 이들 섬유를 염색하기 전에 수욕으로 통과시킴으로써 미건조된 MPD-I 섬유내로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레이트 침지제를 흡수시킴을 교시하고 있다. 침지제는 건조시 수팽윤성 섬유의 붕괴를 방지하는 "구조 지지제"로서 작용한다. 건조 침지된 섬유는 이후에 수성 염욕석에서 쉽게 착색될 수 있는 반면, 침지제 없이 건조된 상응하는섬유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아세토페논 등의 염료 캐리어의 사용을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훨씬 더 격렬한 조건하에서만 착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방사상태인 수팽윤성의 미건조 MPD-I 섬유를 특정 온도 범위내로 가열된 증기를 사용하여 가열함으로써ㅡ 섬유를 효과적으로 염색할 수 있다는 놀라운 발견에 따라, 선행 기술에서 발견된 여러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섬유는 염료를 섬유 기공속으로 분산시키는데 충분한 시간동안 약 110 내지 140℃의 온도로 가열된 증기를 사용하여 섬유를 가열함으로써 수용성 염료를 사용하여 염색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추가로, 이러한 분산단계 이후에 섬유를 계속해서 약 165℃의 증기를 사용하여 다시 가열함으로써 섬유를 붕괴시켜 염료를 알맞게 고착시킬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후자의 단계는 섬유를 결정화시키고 계속적인 세탁 수축에 대하여 섬유를 안정화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자외선 차단제와 같은 각종 유기 수불용성 물질은 수용성 염료와 혼합한 다음 승화 가열단계에 의해 섬유 기공속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시, 증기를 사용하여 가열하는 동안 섬유 기공은 열리며 열린 기공속으로 수불용성 물질을 승화시키기 위해서는 약 110내지 150℃의 승화온도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모든 경우에 있어서, 주요 단계로서 증기를 사용하여, 폴리(메타-페닐렌 이소프탈아미드) 섬유의 수팽윤성 섬유 구조를 건조시키기 전에 이들을 수용성 염료로 염색하거나, 또는 유기 수불용성 물질을 염료와 혼합하거나 또는 단독으로 섬유에 가하고, 염료 및/또는 다름 침지제를 섬유 기공속으로 고착시켜 방향족 폴리아미드 섬유를 제조하는 개선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는 임계 증기온도(예 ; 110 내지 140℃)를 사용하여 염료를 섬유 기공속으로 분산시키고 165℃ 이하의 온도를 사용하여 수불용성 물질을 섬유 기공속으로 승화시킴으로써 달성된다. 165℃ 이하의 온도에서 염료는 또한 섬유내로 고착되어 계속적인 세탁 수축에 대해 섬유를 안정화시킨다. 이들 방법은 섬유 제조 및 염색 분야에 고도의 가능성을 제공하며 또한 이 분야에서 오랫동안 제기된 여러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실제적인 수단을 제공한다.
요컨대, 본 발명은 폴리(메타-페닐렌 이소프탈아미드)와 용매의 용액을 방사구금 내의 오리피스를 통해 압출하여 섬유구조를 일체로 한정하는 무정형 섬유(이 섬유는 내부에 미세 기공을 가짐)를 형성시키는 단계 ; 무정형 섬유를 수성 압출욕과 접촉시킴으로써 섬유가 수팽윤 상태에 있는 동안 용매를 제거는 단계 ; 수팽윤된 섬유를 수용성 물질을 함유하는 수용액과 접촉시키는 단계 및 섬유 구조 전체의 섬유 기공속으로 수용성 물질을 거의 전부 분산시키기에 충분한 시간동안 약 110 내지 140℃의 증기를 사용하여 수팽윤된 섬유를 가열하는 단계들을 포함하는 합성섬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수팽윤 섬유는 약 120℃의 증기를 사용하여 가열하여 섬유 구조 전체의 섬유 기공속으로 수용성 물질을 분산시킨다.
섬유속에 분산되는 수용성 물질은 염료가 바람직하다. 예를들면, 계면활성제일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섬유 구조는 분산후 건조된다. 다른 수용성 유기 또는 무기염도 사용할 수 있다., 수용성 비이온성 유기 화합물 또는 수용성 수지도 또한 섬유속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태양에서, 물질을 염색하는 경우, 수팽윤성의 염료 함유 섬유는 섬유 기공을 붕괴시키고 섬유속의 염료를 완전하게 고착시키고 섬유를 결정화시키며 계속적인 세탁 수축에 대하여 안정화시키기에 충분한 시간동안 섬유의 유리전이온도 이상의 증기를 사용하여 추가로 가열한다.
수용성 물질 또는 염료를 섬유속으로 고착시키는 단계에서, 섬유는 약 150 내지 165℃의 증가를 사용하여 가열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165℃의 증기를 사용하여 가열한다.
다른태양에서, 본 발명은 폴리(메타-페닐렌 이소프탈아미드)와 용매의 용액을 방사구금속의 오리피스를 통해 압출하여 섬유 구조를 일체로 한정하는 무정형 섬유(이 섬유는 내부에 미세 기공을 가짐)을 형성시키는 단계 ; 무정형 섬유를 수성 압출욕과 접촉시킴으로써 섬유가 수팽윤 상태에 있는 동안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 수팽윤된 섬유를 당해 섬유의 유리전이온도 이하의 증기속에서 승화하는 유기 수불용성 물질 및 수용성 염료를 함유하는 수성 혼합물과 접촉시키는 단계 ; 섬유 구조 전체의 섬유 기공속으로 수용성 염료를 거의 모두 분산시키기에 충분한 시간동안 약 110 내지 140℃의 증기를 사용하여 수팽윤된 섬유를 가열하는 단계 ; 섬유 구조 전체의 섬유 기공속으로 수불용성 물질을 승화시키기에 충분한 시간동안 수팽윤된 섬유를 섬유의 유리전이온도 이하의 승화온도의 증기를 사용하여 가열하는 단계 및 수팽윤된 섬유를 섬유 기공을 붕괴시키고 섬유혹에 염료를 확고하게 고착시키고 계속적인 세탁 수축에 대하여 섬유를 안정화시키기에 충분한 시간동안 섬유의 유리전이온도 이상의 증기를 사용하여 가열하는 단계들을 포함하는 합성섬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랍직하게는, 이 방법에서 수팽윤 섬유는 약 110 내지 150℃의 승화온도의 증기를 사용하여 가열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수불용성 물질은, 예를들면, 자외선 차단제 또는 분산염료일 수 있다. 차단제 또는 분산염료가 수팽윤 섬유의 열린 기공속으로 승화된 후, 바람직하게는 약 165℃의 증기를 사용하여 섬유를 가열함으로써 섬유 기공을 밀폐시켜 내부에 염료를 고착시킨다.
본 발명은 임계온도 범위로 가열된 증기를 사용하여 수팽윤된 미건조 방향족 폴리아미드 섬유속으로 염료와 같은 수용성 및 수불용성 물지을 분산 및 승화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선행 기술보다 개선된 방법을 제공한다. 이들 섬유는 전형적으로 건조시킨 후에 염색한다. 본 발명은 이동수단으로서 가압된 증기만을 사용하여 건조시키기 전에 이들 섬유내로 수용성 수불용성 물질을 염색 도는 혼입하는 신규의 방법을 제공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편리하고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방향족 폴리아미드 섬유의 개선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수용성 물질 및, 경우에 따라, 수불용성 물질을 MPD-I 무정형 합성섬유의 섬유 구조속으로 분산 또는 승화시켜 이의 특성을 향상시킨다. 분산 및 승화단계 도중에, 섬유는 열린 기공을 통해 수팽윤된다. 임계 온도의 증기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방법을 완결한다.
요컨대, 본 발명의 섬유는, 예를 들면, 쿠올레크(Kwolek), 모간(Morgan), 및 소렌손(Sorenson)의 미합중국 특허 제3,063,966호, 힐(Hill)쿠올레크및 스위니(Sweeny)의 미합중국 특허 제3,094,511호 및 스위니의 미합중국 특허 제3,287,324호에 기술되 바와 같은 방향족 폴리아미드 중합체로부터 제조된다. 이들 특허 및 이의 교시는 본 출원에서 참고문헌으로 삽입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발명에서, "방향족 폴리아미드"란 용어는 분자량이 커서 섬유를 형성하기에 충분한 합성 중합체 물질을 의미하며, 또한 주로 다음의 반복 구조단위로 특징지워진다.
Figure kpo00001
상기식에서,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저급 알킬이며, Ar1및 A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비치환된 2가 방향족 라디칼 또는 치환된 2가 방향족 라디칼일 수 있으며, 이들 2가 방향족 라디칼의 쇄 연장결합은 서로 메타 위치에 주로 배열되며 또한 특정한 방향족 핵에 결합된 치환체는 하나 이상의 저급 알킬, 저급 알콕시, 할로겐, 니트로, 저급 카브알콕시 또는 중합 도중에 폴리아미드를 형성하지 않는 다른 그룹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이들 중합체는 위에서 언급한 미합중국 특허 제3,094,511호, 제3,287,324호 또는 제3,063,966호에 교시된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한 방향족 폴리아미드는 폴리(메타-페닐렌 이소프탈아미드)이다.
본 발명의 일부를 형성하는 기본 미처리된 수팽윤된 MPD-I 섬유를 제조함에 있어, 상기한 특허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 방향족 폴리아미드는, 예를들면, 미합중국 특허 제3,063,966호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메틸아세트아미드와 같은 각종 용매와 혼합되어 방사용액을 형성한다. 당해 방사용액을 방사구금속의 오리피스를 통하여 압출시킴으로써 섬유 또는 필라멘트가 형성된다. 이러한 섬유는 건식 방사 또는 습식 방사되어 수팽윤 섬유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각각의 경우에, 방사된 섬유는 거의 무정형이다.
"건식 방사"는 방사용액을 가열된 셀(cell)속에 얇은 스트림 형태로 압출시키는 방법을 말하는데, 여기서 충분한 용매가증발되어 , 이들 스트림이, 자체 지지성이 있는 잔류 용매를 인지가능한 양으로 함유하더라도 충분히 "건조"상태인 개개의 필라멘트로 전환되도록 한다. "습식 방사"는 중합체 방사용액이, 응고욕으로 부터 수행될 수 있는 자체-지지성 필라멘트 형태로 중합체를 침전시키는 액체 응고욕 내에서 생성되거나 또는 당해 응고욕속으로 이송되는 얇은 스트림 형태로 존재하는 방법 뿐만 아니라 후속 공정을 포함한다. 응고욕의 조성, 필라멘트와 욕의 접촉온도 및 시간에 따라, 필라멘트는 연전히 이들이 욕을 빠져나올때 최초 중합체 용매를 인지가능한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건식 방사 또는 습식 방사된 섬유는 건식 방사 증발 셀 내에서 고화되거나 습식 방사 침전욕에서 응고된 후 상당량의 용매를 함유한다. 용매를 제거하기 위하여, 섬유는 당해 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수성 압출욕과 접촉시킨다. 그 결과, 섬유는 "수팽윤"되며, 수분 함량은 35%이상이다.
방향족 폴리아미드 중합체의 무정형 수팽윤 섬유를 형성하는 상기 단계는 당해 업계에 알려져 있으며, 이들 섬유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추가로 처리 또는 가공하는데 적합하다.
특히, 바람직한 방법에서 미건조된 이들 수팽윤 섬유는 수용성 물질을 함유하는 수용액과 접촉된 후, 110 내지 140℃의 증기로 가열하여 섬유 구조 전체의 섬유 기공속으로 수용성 물질을 분산시킨다. 섬유속에 분산된 물질은 염료가 바람직하다. 또한 계면활성제일 수도 잇다.
다른 바람직한 태양에서 물질을 염색하는 경우, 수팽윤된, 염료 함유 섬유는 섬유 기공을 붕괴시키고 염료를 섬유속에 완전히 고착시키고 섬유를 결정화시키고 계속적인 세탁 수축에 대하여 섬유를 안정화시키기에 충분한 시간동안 섬유의 유리전이온도 이상의 증기를 사용하여 열처리한다. 150 내지165℃의 온도를 사용하면 이들 목적이 달성될 것이다.
또 다른 태양에서, 상기한 형태의 미건조된 무정형 MPD-I 섬유는 섬유의 유리전이온도 이하의 증기속에서 승화하는유기 수불용성 물질과 수용성 물지[예; 염료]을 둘다 함유하는 수성 혼합물과 접촉시킨다. 이후에, 수팽윤 섬유는 110 내지 140℃의 증기로 가열하여 수용성 염료를 섬유 기공속으로 분산시키고 유리전이온도 이하의 승화온도에서 섬유의 열린 기공속으로 수불용성 물질을 승화시킨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증기속에서 승화하는 유기 수불용성 물질"이란 용어는 증기에 의해 활성화되어 섬유의 표면으로부터 섬유기공속으로 이동하는 부류의 수불용성 유기 물질을 말하며, "승화 온도"란 용어는 물질이 활성화되어 이동하는 온도를 말한다. 분산 및 승화단계가 끝난 후, 섬유는 섬유 기공을 붕괴시키고 섬유속에 물질을 완전히 고착시키고 계속적인 세탁 수축에 대하여 섬유를 안정화시키는데 충분한 시간동안 섬유의 유리전이온도 이상의 증기를 사용하여 추가로 열처리한다.
간단히 기술하면 중합체 섬유의 유리전이온도(Tg)는 섬유를 형성하는 중합체의 무정형상의 특성을 나타낸다. 섬유는 급격히 제한된 온도보다는 비교적 좁은 온도범위인 유리전이온도 이하에서, 초기에 형성된 동일 구조의 배열을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다. 유리전이온도 이상에서, 섬유는 응력의 이완, 섬유내 기공의 붕괴 및 섬유를 형성하는 중합체의 결정화와 같은 구조내 변화를 일으키기 쉽다. 포화 증기내의 폴리(메타-페닐렌 이소프탈아미드)의 경우, 유리전이온도는 약 150℃이다. 계면활성제를 폴리(메타-페닐렌 이소프탈아미드)의 섬유내로 분산시키는 경우에는 섬유의 유리전이온도가 영향을 받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섬유"란 용어는 스테이플 섬유 및 연속 필라멘트를 포함한다. 연속 필라멘트는 다수의 필라멘트를 함유하는 토우 형태 또는 얀 형태일 수 있다.
도면은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하는데 적합한 장치의 주요 부재를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면에서, 토우[부호(1)로 나타냄]로 불리우는 큰 번들속의 방사된 미건조된 수팽윤 섬유의 섬유 구조는 공급원(2)으로부터 공급된 다음 가이드 롤(3)을 거쳐 닙 롤(nip roll)(4,4')로 통과한다.
일정 농도의 수성 욕(5)은 닙 롤 입구에 유지된다. 수팽윤 섬유의 토우(1)는 섬유의 토우내로 분산 또는 승화될 물질[예: 수용성 염료, 계멸활성제 또는 자외선 차단제]을 함유하는 욕(5)과 접촉된다. 미건조된 토우 상의 물질의 흡수율은 토우의 속도와 닙 롤 사이에 가해진 압력을 적합하게 조절하여 조정할 수 있다.
소정량의 물질로 피복된 토우(1)는 닙 롤(4,4') 사이를 통과하는 토우의 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이동하는 벨트(6)위에 놓여진다. 이후에 토우는 이동 벨트(6)로부터 취출된 다음, 가이드 롤(7)로 이동되고, 적합하게는 두개 이상의 가열 영역(9,10)을 갖는 신장된 원통형 튜브인 중기 챔버[이는 상이한 온도 및 적절한 압력하에 가열된 증기를 공급할 수 있다](8)를 통과한다. 증기 챔버(8)의 입구 및 출구는, 예를들면, 챔버로부터 증기의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몇겹의 증기 챔버에 토우를 공급함으로써, 증기의 누출이 방지되도록 적합하게 밀봉한다. 마찬가지로, 가열 챔버(9,10) 사이에 상이한 온도 및 압력하의 증기의 통과는 적합한 장치에 의해, 예를들면 챔버를 통해 토우를 중첩시켜 통과시킴으로써 방지된다.
토우는 소정의 임계온도에서 이들 영역(9,10)에서 가열되어 수용성 물질을 분산시키고 불용성 물질을 섬유속으로 승화시킨 다음, 섬유를 추가로 가열하여 계속적인 세탁 수축에 대하여 섬유 구조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이후에, 가공된 토우는 롤(11,11') 또는 다른 적합한 장치에 의해 챔버(8)로부터 취출된 다음 콘테이너(12) 속에 집적된다. 토우의 선별 증기처리는 처리시 필요로 하는 특성을 갖는 MPD-I섬유를 제공한다.
다음 실시예는 본 발명을 추가로 설명할 것이다.
[실시예 1]
A, 폴리(메타페닐렌 이소프탈아미드)(MPD-I)의 미건조 필라멘트의 제조
19%의 MPD-I, 70%의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9%의 염화칼슘 및 2%의 물을 함유하는여과 용액으로부터 고유점도가 1.5인 MPD-I의 필라멘트를 건식 방사한다. 방사상태의 필라멘트를 건조탑(drying tower)으로부터 꺼내고 물로 예비세척하여 무수 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60%의 DMAc, 15%의 염화칼슘 및 100 내지 150%의 물을 함유하도록 한다. 필라멘트를 세척하고, 90℃에서 역류 압출-연신공정으로 4배 연신시키는데, 여기서 클로라이드 함량으로서 측정된 염화칼슘과 DMAc 함량은 각각 약 0.1%와 0.5%로 감소된다. 습윤 필라멘트를 집속하여 토우를 만들고, 제조된 토우를 통상의 대전방지 가공처리한 다음, 증기의 존재하에 약 80℃의 온도에서 스터퍼 박스 권축기에서 권축시킨다. 이어서, 여전히 습윤상태로 있는 (무수 통우의 중량과 거의 동등한 양의 물을 함유하는) 토우를 플라스틱-내장 카드보드 박스(cardboard box)에 수집한다. 개개 필라멘트의 선밀도는 약 1.55데시텍스(1.7dpf)이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있어서, 미건조 필라멘트의 선밀도는 무수 필라멘트의 중량을 기준으로 한것이다.
B. 상기 A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된 미건조 MPD-I 필라멘트의 120킬로텍스(1,100,000데니어) 토우 2개를 소정의 온도에서 소정의 노출시간 동안 토우를 증기에 노출시키도록 장치된 연속 토우 염색장치의 가이드를 통해 크리일링(creeling)한다. 토우를 우선 203KPa(2기압)의 압력하에 20m/분의 속도로 증기 챔버의 입구에서 닙 롤 사이에 도입시키는데, 여기서 수성 염료 용액을 토우에 패딩(padding)시켜 토우속의 개개 필라멘트를 상기 용액을 사용하여 피복시킨다. 언급된 염료 용액은 70g/1의 C.I(칼라 인덱스) No. Acid Black 58 염료(수용성 염료), 100g/1의 C.I.No.Acid Black 218 염료(수용성 염료), 8g/1의 셀룰로오즈계 호제 및 5g/1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며, pH 7이 수득될 때까지 필요한 만큼 아세트산 또는 가성 소다를 가하여 pH를 조절한다. 토우에 대한 염료 용액의 픽업율은 30중량%이다. 이어서, 토우를 직사각형 증기 챔버 속에 팩킹(packing)시키고, 체인의 각 측부에서 1개의 토우를 약 1m/분의 속도로 이동시키는 체인에 의해 증기 챔버를 통해 이동시킨다. 용액을 사용하여 피복시킨 필라멘트를 증기 챔버의 제1영역에서 120℃의 증기에 2분간 노출시키고, 이어서 제2영역에서 165℃의 증기에 5분간 노출시킨다. 토우를 증기 챔버에서 취출하여 물로 세척한다. 염료의 필라멘트내로의 흡착성은 매우 양호하며, 따라서 필라멘트의 표면에 잔류하여 세척단계에서 제거하여야 할 염료는 매우 적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토우를 세척한 다음, 이를 강제 공기 건조기속에 도입하고, 여기서 이의 수분함량을 7% 수분으로 감소시킨다. 건조기의 출구에서 토우에 대한 마무리 가공을 실시한다. 토우는 암회색으로 건조된다. 토우의 수축율을 측정한 결과, 2.4%였다.
[실시예 2]
(A), 토우에 패딩된 염료 ; 증기처리하지 않음
실시예 1의 (A)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된 미건조 MPD-I 필라멘트의 120킬로텍스(1,100,000데니어) 토우를 실시예 1의 (B)에서와 같은 토우 염색장치의 닙 톨에 통과시키며, 여기서 수성 염료 용액은 토우에 패딩된다. 패딩 용액은 394.4g(6.26중량%)의 C.I.No.Acid Black 58 염료(수용성 염료)와 5902g(93.74중량%)의 물을 함유한다. 염료가 패딩딘 토우의 샘플을 수집하여, 증기처리하지 않고 즉시 물로 세척한다. 토우는 염료에 의해 다소 착색되기는 하였으나 거의 염색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B) . 토우에 패딩된 염료 ; 100℃ 증기로 처리된 토우
미건조 필라멘트의 토우를 본 실시예 (A)에서의 Acid Black 58 염료의 6.26% 수용액을 사용하여 패딩하고, 이어서 토우를 증기 챔버속에 넣어 100℃의 증기에 2분가 노출시킨다. 이어서, 토우는 증기 챔버로부터 취출하여 즉시 물로 세척한다. 토우는 염료에 의해 착색되기는 하였으나 색조가 너무 밝아서 토우는 거의 착색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C). 토우에 패딩된 염료 ; 110℃ 증기로 처리된 토우
토우를 110℃의 증기에 2분간 노출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실시예의 (B)를 반복한다. 토우를 증기 챔버로부터 취출하여 물로 세척하는 경우, 토우는 탐회색으로 염색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C)에서의 110℃증기의 효과와 (B)에서의 100℃ 증기의 효과를 비교해 볼때, 증기의 온도가 110℃로 증가함에 따라 색조가 형성되기 시작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D). 토우에 패딩된 염료; 120℃ 증기로 처리된 토우
토우를 120℃의 증기에 2분간 노출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실시예의 (B)를 반복한다. 토우를 증기 챔버로부터 취출하여 물로 세척하는 경우, 토우가 중간 색조의 회색으로 염색되는 것으로 관찰된다. 또한, 염료가 토우중의 필라멘트속으로 매우 양호하게 흡착됨으로써, 필라멘트의 표면에 잔류하여 세척단계에서 제거해야 할 염료는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E) 토우에 패딩된 염료 ; 140℃ 증기로 처리된 토우
토우를 140℃의 증기에 2분간 노출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실시예의 (B)를 반복한다. 토우를 증기 팸버로부터 취출하여 물로 세척하는 경우, 토우는(D)에서 제조된 토우에서 관찰되었던 색조와 거의 동일한 중간 색조의 회색으로 염색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F)토우에 패딩된 염료 ; 165℃ 증기로 처리된 토우
토우를 165℃의 증기를 사용하여 2분간 노출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의 (B)를 반복한다. 토우를 증기 챔버로부터 취출하여 물로 세척하는 경우, 토우는 매우 밝은 색조의 회색으로 염색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염료의 토우 필라멘트내로의 흡착성이 약하며 토우 필라멘트의 표면에 잔류하여 세척단계에서 제거되는 염료가 다량이다.
(G). 토우에 패딩된 염료 ; 120℃ 증기로 처리된 다음 165℃의 증기로 처리된 토우
토우를 우선 120℃의 증기에 2분동안 노출시킨다음, 120℃의 증기 영역으로부터 165℃의 증기에 5분 동안 노출시키는 다른 영역으로 직접 통과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실시예의 (B)를 반복한다. 토우를 증기실에서 취출하여 물로 세척하는 경우, 토우는 중간 색조의 회색으로 염색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염료의 토우 필라멘트내로의 흡착성이 매우 양호하며, 따라서 필라멘트의 표면에 잔류하여 세척단게에서 제거해야 할 염료는 매우 적다.
(H). 증기 처리된 필라멘트의 수축
본 실시예의 상기 각 항에서의 증기처리된 토우로부터 채취한 필라멘트들의 수축율을 측정했다. 수축율은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2
[필라멘트 수축율의 측정]
무수 필라멘트 토우중의 필라멘트의 수축율을 측정하기 위해서, 토우로부터 5개 이상의 필라멘트를 채취하고, 채취한 각 필라멘트를 50㎝(20in)의 길이로 절단한다. 절단된 각 필라멘트의 정확한 길이는 이를 매우 낮은 장력인 약 0.1텍시텍스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측정한다. 이어서, 절단된 필라멘트를 자유롭게 이완시킨 상태로 285℃의 오븐속에서 가열하고, 냉각시킨 다음, 이것을 길이의 최초 측정시에 사용했던 것과 동일한 낮은 장력하에 유지시킨 상태에서 이의 길이를 측정한다. 이의 최초 길이와 최종 길이와의 차이를 이의 최초 길이로 나누고, 여기에 100을 곱하여 각 필라멘트에 대하여 수축율(%)을 산출한다. 결과는 토우로 부터 채취한 필라멘트들의 수축율(%)의 평균치로 기재한다.
[실시예 3]
토우를 120℃의 증기에 2분동안 노축시키고 세척한 다음, 회색으로 염색된 토우를 습윤상태로 유지시켜 토우 염색장치의 닙 롤에 다시 통과시키며, 여기서 다른 수성 염료 용액이 통우에 패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의 (D)를 반복한다. 토우에 패딩된 용액은 420g(6.20중량%)의 C.I.No.Basic Red 29 염료(수용성 염료)와 635g(93.8중량%)의 물을 함유한다. 염료가 패딩된 토우를 증기 챔버로 통과시키고, 120℃의 증기에 2분 동안 노출시킨다. 이어서, 토우를 토우 염색장치로부터 취출시켜 즉시 물로 세척한다. 토우는 중간 색조의 적회색으로 염색되며, 적색염료가 토우 필라멘트로 매우 양호하게 흡착되며, 따라서 필라멘트 표면에 잔류하여 세척제거되어야 하는 적색 염료는 매우 적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토우를 120℃의 증기에 노출시킨 다음, 165℃의 증기에 노출시키고 세척한 후에 회색으로 착색된 토우를 습윤상태로 유지시켜 토우 염색장치의 닙 롤에 다시 통과시키며, 여기서 다른 수성 염료 용액이 토우에 패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의 (G)를 반복한다. 용액은 위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수성 염료 용액인 C.I.Basic Red 29 염료의 6.20중량% 수용액이다. 이러한 수성 염료 용액이 패딩된 토우를 토우 염색장치에 넣고 120℃의 증기에 2분동안 노출시킨다. 이어서, 토우를 증기 챔버로부터 취출하여 즉시 물로 세척한다. 토우는 여전히 중간 색조의 회색으로 염색되어 있고 가시성의 적색색조는 토우에서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적색 염료의 토우 필라멘트내로의 흡착성은 매우 약하여 대부분의 적색 염료가 세척단계에서 제거된다.
[실시예 4]
(A). 계면활성제가 처리된 토우의 100℃의 증기 처리
실시예 1의 (A)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된 미건조 MPD-I 필라멘트의 120킬로텍스(1,100,000데니어)토우를 실시예 1의 (B)에서와 동일한 토우 속도와 닙 롤 압력에서 토우 염색장치의 닙 롤에 통과시키며, 여기서 수용성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인 이소프로필암모늄 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염(이성체 혼합물)의 26중량% 수용액이 토우에 패딩된다. 토우에 대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픽업율은 토우의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50중량%이다. 이어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용액이 패딩된 토우를 토우 염색장치의 증기 챔버에 통과시키며, 여기서 100℃ 증기에 2분 동안 노출시킨다. 이어서, 증기 처리된 토우를 90°내지 110℃의 공기 오븐속에서 건조시킨다. 건조된 토우는 약 16내 지 17중량%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한다. 토우를 이의 촉감 및 외관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많은 계면활성제가 필라멘트의 표면에 잔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 계면활성제가 처리된 토우의 120℃ 증기 처리
토우를 120℃ 증기에 2분동안 노출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실시예의 (A)를 반복한다. 토우를 이의 촉감 및 외관에 대하여 조사해 본 결과, 거의 모든 계면활성제가 필라멘트에 분산되는 것으로나타났다.
[실시예 5]
계면 활성제 함유 MPD-I 스테이플 섬유의 제조
실시예 1의 (A)에 기술되 바와 같이 제조된 미건조 MPD-I 필라멘트의 120킬로텍스(1,100,000데니어) 토우 2개를, 이 실시예와 동일한 일반 절차 및 하기 예외 절차에 따라서, 실시예 1의 (B)에 기술된 연속 토우 염색장치의 가이드를 통해 크리일링시킨다. 닙 롤 상부의 풀(pool)에 함유된 수성 욕은 80° 내지 95℃로 유지시키며, 당해 욕은 용액의 통기가 최소가 디도록 매우 약하게 교반하면서 수용성 음이언성 계면활성제인 이소프로필암모늄 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염(이성체 혼합물)의 93중량% 수용액 128.4kg(283lb)을 고온(90 내지 95℃)의 물 350ℓ에 가하여 제조한 것이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계산된 농도는 25.4중량%이다. 토우를 17m/분의 속도로 닙 롤에 통과시키고, 닙 롤 압력을 152kPa(1.5기압)으로 유지시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용액을 토우에 패딩시킴으로써, 토우중의 개개 필라멘트가 용액으로 피복되도록 하였다. 이어서, 토우를 직사각형의 증기 챔버속에 패킹시키고 체인의 각 측부에서 1개의 토우를 1.3m/분의 속도로 이동시키는 체인에 의하여 증기 챔버로 이동시킨다. 증기 챔버내에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용액으로 피복된 필라멘트를 120℃(게이지 압력 ; 약 1기압)의 증기에 대략 6분간의 노출시간동안 노출시키는데, 여기서 증기 챔버는 단일 영역으로서 작동된다. 증기 챔버로부터 배출시키기 직전에, 토우를 증기 챔버속으로 주입된 냉수에 노출시켜 과량의 계면활성제를 세척 제거한다. 토우를 증기 챔버에서 취출한 다음, 이를 강제 공기 건조기를 통해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며, 여기서 토우는 100 내지 130℃에서 건조시킨다. 토우로부터 채취한 섬유 샘플을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하여 계면활성제 함량을 분석한다. MPD-I 섬유는 계면활성제 함유 섬유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11.5 내지 12.8중량%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스테이플 섬유 배합물의 제조, 사의제조 및 직물의 제조
폴리(p-페닐렌 테레프탈아미드)(PPD-T) 필라멘트의 무수 토우와 함게 건조된 MPD-I 토우를 절단하여 절단 길이가 5㎝(2in)인 스테이플 섬유를 형성시켜 스테이플 섬유 배합물을 제조하는데, 이때 PPD-T 스테이플 섬유에 대한 MPD-I스테이플 섬유의 비율은 95 : 5(중량 비율)이었다. PPD-T 필라멘트는, 블레이드(Blades)의 미합중국 특허 제3,767,756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된, 모듈러스가 약 600,000㎏/㎠(약 9,000,000psi)이고 선밀도가 1.65tex(1.5dpf)인 필라멘트로서 시판된다[참조; E.I.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에서 시판하는 Type 29"Kevlar"아라미드 섬유]. 이어서, 통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면사 시스템 상의 스테이플 섬유 배합물로부터 591덱시텍스(20/2 면사 번수)의 투 플라이 스펀사를 제조한다. 이러한 스펀사로부터 통상의 방법으로 경사에서 18엔드/㎝(45ends/in), 위사에서 17엔드/㎝(42ends/in)의 구조를 가진 255g/㎡(7.5oz/yd2)의 평직물을 직조한다.
95중량%의 MPD-I 섬유를 함유하는 제직된 직물을 압출법으로 분석한다. MPD-I 섬유는 대략 10.9%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직물의 염색]
평직물을 광폭 세정기 내의 21℃(70℉) 수용에 통과시켜 습윤시킨다. 이어서, 습윤 직물의 로프를 38℃(100℉)의 물, 비이온성 폴리에테르 계면활성제 및 3.5의 pH를 수득하기 위한 포름산이 충진된 압력 벡(beck)속에 위치시킨다. 온도를 약 1.7℃/분(3℉/분)의 속도로 99℃(210℉)로 증가시키고, 99℃(200℉)에서 20분간 유지시킨 다음, 80℃(180℉)로 냉각시킨다. 로프를 고온의 정련욕속에서 이동시키면서, 섬유 중량을 기준으로 6중량%의 양이온성 배합 블랙 염료 제형[Ciba-Geigy Corp. 에서 시판하는 Astrazon Black R-New]을 상기 욕에 가한다. pH를 3.5로 다시 조정한다. 욕을 1.7℃/분의 속도로 127℃(260℉)로 승온시키고, 127℃에서 60분 동안 유지시킨다. 욕을 70℃(160℉)로 냉각시킨다. 염욕을 배수시키고, 직물을 60℃(140℉)에서 깨끗한 물로 10분동안 세척한다. 욕을 배수시키고, 벡을 38℃(100℉)에서 물과 0.5g/1의 아세트산으로 충진시킨다. 온도를 1.7℃/분의 속도로 70℃(160℉)로 상승시키고, 70℃에서 20분간 유지시킨다. 이어서, 욕을 배수시키고, 직물을 냉수로 세척한다. 직물을 121℃(250℉)의 텐터 프레임(tenter frame)에서 건조시킨다. 직물은 암흑색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6]
토우를 선택된 노출시간동안 선택된 온도에서 증기에 노출시킬 수 있도록 장치된 연속 토우 염색장치의 가이드를 통하여, 실시예 1의 (A)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된 미건조 MPD-I 필라멘트의 120킬로텍스(1,100,000데니어) 토우 2개를 크리일링시킨다. 토우를 우선 203kPa(2기압)의 압력하에 12.5m/분의 속도로 증기 챔버의 입구에서 닙 롤 사이에 공급하며, 여기서 수성 염료 혼합물을 토우에 패딩하여, 토우중의 개개 필라멘트를 언급된 혼합물을 사용하여 피복시킨다. 언급된 혼합물은 염료, 세룰로오즈계 호제 및 분산 된 수불용성 자외선(UV) 차단제와 함께 용액중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며, 86.4g/1의 C.I.No.Acid Green 60 염료(수용성 염료), 14.7g/1의 C.I.No.Acid Red 404 염료(수용성 염료), 7.4g/1의 C.I.No.Acid Orange 60 염료(수용성 염료), 6g/1의 셀룰로오즈계 호제, 132g/1의 40% 활성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페이스트(Ciba-Geigy에서 시판하는 "Tinuvin" P 페이스트, 융점이 약 129° 내지 134℃인 수불용성 자외선 차단제 ) 및 필요한 pH가 수득될 때까지 필요한 만큼의 아세트산을 가하여 pH 5로 조절한 62.7g/1 수용성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조성을 갖는다,
토우에 대한 염료 용액의 픽업율은 30중량%이다. 이어서, 토우를 직사각형 증기 챔버에 충진시키고, 체인의 각 측부에서 1개의 토우를 약 1m/분의 속도로 이동시키는 체인에 의하여 증기 채버를 통해 이동시킨다. 수성 염료 혼합물로 피복된 필라멘트를 증기 챔버의 제1영역에서 120℃의 증기에 2분동안 노출시킨 다음, 제2영역에서 165℃의 증기에 5분 동안 노출시킨다. 토우를 증기 챔버에서 취출하여 물로 세척한다.
염료가 필라멘트내로 매우 양호하게 흡착되며, 따라서 필라멘트의 표면에 잔류하여 세척단계에서 제거해야 할 염료는 매우 적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토우를 세척한 후에, 이를 강제 공기 건조기에 도입시키는데, 여기서 이의 수분 함량은 7% 수분으로 감소된다. 건조기의 출구에서 토우를 마무리 가공한다. 토우는 석회색(stone gray)으로 명명되는 암색조의 색상으로 건조된다. 이렇게 건조된 섬유를 "시험용 섬유"로 명명한다.
토우에 패딩되는 수성 염료 혼합물에 수불용성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시키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와 동일한 절차를 반복한다. 이와 같은 변형 절차에 의해 제조된 토우도 역시 동일한 암색조의 석회색으로 염색된다, 당해 변형방법으로는 제조된 염색된 토우를 "대조용 섬유"로 명명한다.
시험용 섬유와 대조용 섬유의 카아딩된 스테이플 패딩 샘플을 AATCC 방법 16E-1982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자외선에 노출시키며 이 방법은 회색 등급에 대한 고정된 표준값에 대하여 샘플을 1 내지 5범위의 평가치를 반단계로 등급화함으로써 주관적으로 평가하는데, 5의 평가치는 감지할 만한 변화가 없을을 의미하고, 1의 평가치는 원래의 색조로부터 가장 큰 변화가 있었음을 의미한다. 결과는 하기와 같다:
노출시간에 따른 등급
Figure kpo00003

Claims (15)

  1. a. 폴리(메타-페닐렌 이소프탈아미드)와 용매의 용액을 방사구금속의 오리피스를 통해 압출하여 섬유구조를 일체로 한정하는 무정형 섬유(당해 섬유는 내부에 미세 기공을 갖는다)를 형성시키는 단계, b. 무정형 섬유를 수성 압출욕과 접촉시킴으로써 섬유가 수팽윤 상태에 있는 동안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 c. 수팽윤 섬유를 수용성 물질을 함유하는 수용액과 접촉시키는 단계 및 d. 110 내지 140℃의 증기를 사용하여 수팽윤 섬유를 가열함으로써 섬유 구조 전체의 섬유 기공속으로 수용성 물질을 분산시키는 단계들을 포함하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섬유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단계(d)에서 120℃ 증기를 사용하여 수팽윤 섬유를 가열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수용성 물질이 계면활성제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수용성 물질이 염료인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를 섬유속에 분산시킨 후, 섬유 구조를 건조시키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섬유의 유리전이온도 이상의 증기를 사용하여 추가로 가열하여 수팽윤, 염료 함유 섬유의 기공을 붕괴시키으로써 섬유속에 염료를 확고하게 고착시키고 섬유를 결정화시키고 계속적인 세탁 수축에 대해 섬유를 안정화시키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150 내지 165℃의 증기를 사용하여 가열함으로써 기공을 붕괴시키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165℃의 증기를 사용하여 섬유를 가열하는 방법.
  9. a. 폴리(메타-페닐렌 이소프탈아미드)와 용매의용액을 방사구금속의 오리피스를 통해 압출하여 섬유 구조를 일체로 한정하는 무정형 섬유(당해 섬유는 내부에 미세 기공을 갖는다)를 형성시키는 단계, b. 무정형 섬유를 수성 압출욕과 접촉시킴으로써 섬유가 수팽윤상태에 있는 동안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 c. 섬유의 유리전이온도 이하의 증기속에서 승화하는 유기 수불용성 물질 및 수용성 염료를 함유하는 수성 혼합물과 수팽윤 섬유를 접촉시키는 단계, d. 110 내지 140℃의 증기를 사용하여 수팽윤 섬유를 가열함으로써 섬유 구조 전체의 섬유 기공속으로 수용성 염료를 분산시키는 단계, e. 섬유의 유리전이온도 이하의 승화온도의 증기를 사용하여 수팽윤 섬유를 가열함으로써 섬유 구조 전체의 섬유 기공속으로 수불용성 물질을 승화시키는 단계 및 f. 섬유의 유리전이온도 이상의 증기를 사용하여 수팽윤 섬유를 가열함으로써 섬유 기공을 붕괴시키고 섬유속에 염료를 확고하게 고착시켜 계속적인 세탁 수축에 대하여 섬유를 안정화시키는 단계들을 포함하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섬유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110 내지 150℃의 승화온도의 증기를 사용하여 수팽윤 섬유를 가열시키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수불용성 물질이 자외선 차단제인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수불용성 물질이 분산염료인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수팽윤 섬유를 165℃의 증기를 사용하여 가열하는 방법.
  14. a. 폴리(메타-페닐렌 이소프탈아미드)와 용매의 용액을 방사구금속의 오리피스를 통해 압출하여 섬유구조를 일체로 한정하는 무정형 섬유(당해 섬유는 내부에 미세 기공을 갖는다)를 형성시키는 단계, b. 무정형 섬유를 수성 압출욕과 접촉시킴으로써 섬유가 수팽윤 상태에 있는 동안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 c. 수팽윤 섬유를 수용성 물질을 함유하는 수용액과 접촉시키는 단계 및 d. 110 내지 140℃의 온도의 증기를 사용하여 수팽윤 섬유를 가열함으로써 섬유 구조 전체의 섬유 기공속으로 수용성 물질을 분산시키는 단계들을 포함하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섬유의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수용성 물질이 염료이며, 섬유의 유리전이온도 이상의 증기를 사용하여 염료 함유 수팽윤 섬유를 추가로 가열하여 섬유 기공을 붕괴시키고 섬유속에 염료를 확고하게 고착시키고 섬유를 결정화시켜 계속적인 세탁 수축에 대하여 섬유를 안정화시키는 방법.
KR1019860010760A 1985-12-16 1986-12-16 방향족 폴리아미드 섬유의 제조방법 KR9400026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0894685A 1985-12-16 1985-12-16
US808,946 1985-12-16
US90555686A 1986-09-12 1986-09-12
US905,556 1986-09-12
US910,940 1986-09-26
US06/910,941 US4755335A (en) 1986-09-12 1986-09-26 Method of improving impregnation of poly (meta-phenylene isophthalamide) fibers
US910,941 1986-09-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6247A KR870006247A (ko) 1987-07-10
KR940002692B1 true KR940002692B1 (ko) 1994-03-30

Family

ID=27420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10760A KR940002692B1 (ko) 1985-12-16 1986-12-16 방향족 폴리아미드 섬유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228224B1 (ko)
JP (1) JP2626974B2 (ko)
KR (1) KR940002692B1 (ko)
CA (1) CA1282213C (ko)
DE (1) DE3671047D1 (ko)
ES (1) ES2015883B3 (ko)
MX (1) MX16084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340008C (en) * 1988-08-18 1998-08-25 Tony Dominic Zatkulak Process of treating shrinkable fibers
DE69305913T2 (de) * 1992-05-07 1997-05-07 Teijin Ltd Aromatische Polyamidfäden mit verbesserter Wetterwiderstandsfähigkeit
JP2971338B2 (ja) * 1994-09-09 1999-11-02 帝人株式会社 易染性メタ型芳香族ポリアミド繊維
US5852087A (en) * 1996-02-13 1998-12-22 Teijin Limited Easily dyeable meta-linkage-containing aromatic polyamide fibers
JP2003074341A (ja) * 2001-08-31 2003-03-12 Futaba Industrial Co Ltd 排気管製造方法
JP4647680B2 (ja) 2008-09-29 2011-03-09 帝人テクノプロダクツ株式会社 易染色性メタ型全芳香族ポリアミド繊維
JP6632111B2 (ja) * 2014-12-19 2020-01-15 東レ・デュポン株式会社 湿潤剤が付与されたアラミド繊維およびそれを染色したアラミド繊維
JP7017039B2 (ja) * 2017-02-20 2022-02-08 東洋紡株式会社 着色ポリエチレン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60054A (en) * 1969-09-08 1973-09-18 Du Pont Process for preparing porous aromatic polyamide fibers
JPS4962722A (ko) * 1972-10-24 1974-06-18
IT1024071B (it) * 1973-04-09 1978-06-20 Du Pont Processo per l'impregnazione di fibre tessili di polimero lineare sintetico difficilmente fusibile e fibre prparate con detto processo
DE2550518A1 (de) * 1975-11-11 1977-05-12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stabilisierter faeden aus aromatischen polyamiden
JPS542295A (en) * 1977-06-09 1979-01-09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Slag cooling apparatus
US4525168A (en) * 1984-01-27 1985-06-25 Professional Chemical & Color, Inc. Method of treating polyaramid fi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671047D1 (de) 1990-06-13
ES2015883B3 (es) 1990-09-16
EP0228224A3 (en) 1988-02-03
EP0228224A2 (en) 1987-07-08
KR870006247A (ko) 1987-07-10
JPS62184127A (ja) 1987-08-12
EP0228224B1 (en) 1990-05-09
MX160847A (es) 1990-06-05
CA1282213C (en) 1991-04-02
JP2626974B2 (ja) 1997-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55335A (en) Method of improving impregnation of poly (meta-phenylene isophthalamide) fibers
KR880001030B1 (ko) 방향족 폴리아마이드 섬유 및 이의 안정화 방법
US4883496A (en) Process for dyeing crystalline aromatic polyamide fibers with water-insoluble dyes
US5096459A (en) Method of dyeing aromatic polyamide fibers with water-soluble dyes
KR101548762B1 (ko) 대전방지성 아크릴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JP2913204B2 (ja) カチオン性染料で染色可能なポリ(p―フエニレンテレフタラミド)繊維の製造方法
DE2417344A1 (de) Verfahren zum impraegnieren von textilfasern aus schwerschmelzbaren synthetischen polymeren
KR940002692B1 (ko) 방향족 폴리아미드 섬유의 제조방법
US3097415A (en) Acrylonitrile fiber and process for
US5074889A (en) Aromatic polyamide fibers and method of printing such fibers with acid dyes in the presence of hexamethylene diamine dihydrochloride impregnated in fiber
Moore et al. Dyeability of Nomex® aramid yarn
US3760054A (en) Process for preparing porous aromatic polyamide fibers
US4162275A (en) Flame-resistant fiber
US4919869A (en) Apparatus for and process of treating shrinkable fibers
US3695992A (en) Porous aromatic polyamide fiber
DE2044281C3 (de) Poröse Fäden oder Fasern aus aromatischem Polyamid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RU2136791C1 (ru) Текстильные волокна из сульфированного поли(п-фенилентерефталамида)
JP2003530479A (ja) ポリアミドの特性を改善する方法
US3249591A (en) Homopolyamide of recurring bis (paraaminocyclohexyl) methane-azelamide units
CA1340008C (en) Process of treating shrinkable fibers
JP2979058B2 (ja) 結晶性芳香族ポリアミド繊維を水不溶性染料で染色する方法
Ugbolue et al. The dyeability and properties of some structurally modified poly (ethylene terephthalate) filaments
JPH0827623A (ja) ポリベンザゾール繊維及び繊維布帛
JPH0333213A (ja) 改善された染色堅牢性及び断面を有する親水性のアクリル繊維及び糸
GB2322142A (en) Lyocell fabric treat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612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112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8612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311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40304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406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407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407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1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12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12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11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3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3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3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32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27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32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