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30006609B1 - 현상장치 - Google Patents

현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6609B1
KR930006609B1 KR1019900008051A KR900008051A KR930006609B1 KR 930006609 B1 KR930006609 B1 KR 930006609B1 KR 1019900008051 A KR1019900008051 A KR 1019900008051A KR 900008051 A KR900008051 A KR 900008051A KR 930006609 B1 KR930006609 B1 KR 930006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developing
sleeve
developing apparatus
carrying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8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8766A (ko
Inventor
히로유끼 시라이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야마지 게이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야마지 게이조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18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8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6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60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 G03G15/0898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for preventing toner scattering during operation, e.g. se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현상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이미지 형성장치의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상장치의 단면도.
제3도는 부분적으로 절단된 현상장치의 부분투시도.
제4도는 봉합부재의 투시도.
제5도는 봉합부재와 날 사이의 장착을 예시하는 현상장치의 부분투시도.
제6도는 슬리브가 없는 현상장치의 투시도
제7도, 제8도 및 제9도는 슬리브의 측면에서 보여지는 날과 봉합부재의 전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감성 드럼 2 : 대전기
3c : 현상제 운반부재 8 : 현상 슬리브
9 : 봉합부재 9a : 돌출부
11 : 조절날 11a : 지지판
11b : 자유단 11c : 고정단
20 : 처리장치 21 : 프린터
22 : 반도체 레이저 25 : 이미지 전송로울러
28 : 이송 로울러 29,30 : 가이드
221 : 가이드 레일
본 발명은 전자사진복사기 또는 전자사진 레이저빔 프린터와 같은 정전기록장치에서 정전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상장치에 있어서, 통상적으로는 롤러의 형태인 현상제부재는 이미지 포함부재가 배치되는 현상영역에 현상제를 운반시키기 위하여 회전한다. 현상영역에서, 현상제는 정전잠상을 현상하기 위하여 현상제 운반부재로부터 이미지 포함부재에 공급이 된다.
현상제 운반부재의 주변표면의 운반의 부분이 현상제 공급실에 노출되고 접하게 되어, 그 현상제는 현상제 운반부재의 주변표면상에 공급되게 된다. 현상제 운반부재상에 가해진 현상제는 조절부재에 의하여 층두께 조절동작을 받으며, 그래서 현상영역으로 운반된다.
조절부재에 대하여는, 예를들어 미국특허 제4,387,664호에서 현상제 운반부재에 접촉되는 탄성판이 제안되어 있는바, 이 탄성부재는 현상제 운반부재에 접촉하게 되고 현상제는 그 사이에 형성된 니프(nip)를 통과하게되어 현상제의 층두께가 조절된다. 이 방법은 현상제의 일정하게 얇은층이 형성될 수 있고 그 현상제가 마찰전기적으로 충분히 대전될 수 있기 때문에 장점이 있다. 현상제 운반부재의 길이방향의 양끝을 통하여 현상제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국특허 제4,387,664호에는 현상제 공급실의 측벽상에 장착된 봉합부재가 제안되어 있는바, 이 봉합부재는 일반적으로 현상제 운반부재의 원주의 반쪽에 걸쳐 현상제 운반부재의 각 끝단에 접촉된다. 그와 유사한 방법이 예를들어, 미국특허 제4,341,179호 및 제4,373,468호에서도 또한 개시되어 있다.
조절부재와 현상제 운반부재사이에 갭(gap)이 있게되면, 조절부재는 단단한 물질로 될수도 있으며, 봉합부재는 각각의 끝면에 강한 압력으로 접하게 될수도 있고, 따라서 조절부재와 봉합부재사이에 갭이 제공되도록 요구되지 않는다.
그러나, 조절부재가 현상제 운반부재와 접촉하기 때문에 탄성물질로 이루어지는 곳에서는 봉합부재가 조절부재의 끝면에 강한 힘으로 접하게 된다면, 조절부재는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만약 변형이 발생하면 형성된 현상제층의 두께는 일정하지 않게 형성될수 있다. 더구나 이 문제점을 해결할 목적으로 유출방지용 봉합부재가 약한 힘으로 조절부재의 끝면의 각각에 접하게 된다고 할지라도, 접촉의 압력은 길이방향 양끝에서 현상제의 유출방지가 신뢰성있게 되지 않기 때문에 이와같은 결과로 일정하지 않다. 추가적으로는 조절수단등과 같은 현상장치의 부분의 용적상의 정확도가 더욱 높게 되도록 요구되어 생산성, 비용등과 같은 입장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다른한편, 예를들어 미국특허 제4,785,319호는 이미지 형성장치에 부착가능하게 장착되며 이미지 포함부재와 현상장치는 포함하는 처리장치와 더욱이 하나의 장치로서 지지수단에 의하여 지지되는 대전기 또는 청소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와같은 처리장치는 고품질의 이미지가 처리장치를 교환하는 것에 의하여 장시간동안 유지될 수 있으며 동시에 전문가에 의한 유지보수의 필요성이 감소되므로 바람직하게 된다. 그러나, 처리장치는 조작자의 수동조작에 의하여 이미지 형성장치의 주 어셈블리로부터 장착 또는 탈착되기 때문에 장치의 크기가 작아야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에따라, 그 안에 있는 현상장치도 또한 소형화되어야 한다. 따라서 현상제 운반부재의 크기도 소형화되어야 한다.
현상제의 충분한 마찰전기전하를 유지하는 동안에 얇은 층에 작은 크기를 가지는 현상제 운반부재상의 현상제층을 조절하기 위하여, 층두께 조절부재로서 현상제 운반부재에 접촉되는 탄성판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러나, 현상제가 현상제 운반부재의 말단을 통하여 유출된다면, 유출된 현상제는 처리장치의 내부와 이미지 형성장치의 주요 어셈블리까지도 오염시키며, 그리하여 처리장치를 이용하는 이점을 감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목적은 현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인데, 상기 현상장치는 조절부재의 길이방향단에서 현상제의 유출이 유출방지 봉합부재에 의하여 방지될 수 있으며, 또한 그 생산성이 저렴하고 양호한 것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목적은 현상장치와 더불어 일체화된 것으로서의 이미지 포함부재를 가지는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인데, 상기 현상장치는 현상제 운반부재에 접촉된 현상제 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제 운반부재의 단부를 통하는 현상제의 유출은 처리장치의 내부 또는 이미지 형성장치의 내부의 오염을 감소하도록 방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취해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음 기술을 고려할 때 더욱 명백해진다.
제1도에는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예시적 이미지 형성장치로써 레이저 빔 프린터가 도시되어 있다. 레이저 빔 프린터는 이후에 상세하게 기술될 처리장치(20)를 포함한다. 처리장치(20)는, 작동자의 수동작동에 의하여, 프린터(21)의 주요 어셈블리내에 구비된 가이드레일(221)을 따라서 프린터의 주요 어셈블리로 분리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작동자는 서어비스 수명이 도달한 후 프린터 주요어셈블리로부터 장치(20)를 끄집어내고, 프린터의 주요어셈블리에 새로운장치(20)를 설치한다.
장치(20)는 드럼형태로 전자사진광감성부재(1)를 포함한다. 광감성부재(1)는 레이저빔(L)에 의하여 주사되며, 그에의해 정전기 잠상이 주지된 과정을 통하여 광감성부재(1)상에 형성된다. 반도체레이저(22)는 초기 판독기, 또는 컴퓨터 등으로부터 공급된 기록 이미지 신호에 따라서 변조된 레이저 빔(L)을 발생한다.
레이저 빔(L)은 회전다각미러등과 같은 주사수단에 의하여 편향된다. 레이저 빔은 렌즈(24)를 통하여 광감성부재(1)에 입사한다. 광감성부재(1)위에 형성된 정전기 잠상은 이후에 언급될 현상장치에 의하여 현상된다. 현상수단에 의한 현상방법으로 제공된 눈에 보이는 이미지는 광감성부재(1)에서 종이와 같은 전송물질(26)에 전송된다.
전송물질(26)은 이미지 전송로울러(25)를 향하여 카세트(27)로부터 이송로울러(28)에 의해 가이드(29)를 통하여 이송된다. 전송된 이미지를 수신한 후, 전송물질(26)은 가이드(30)를 통하여 이미지 고정장치(31)에 이송된다. 이미지 고정장치(31)는 전송물질에 이미지를 고정하고 전송물질은 장치외부에 방출된다.
전압원(32)은, 장치(20)가 현상동작중에 현상슬리브에 진동바이어스전압을 공급하기 위하여 프린터(21)의 주요 어셈블리에 장착될 경우 현상장치의 현상 슬리브와 접속된다.
제2도는 처리장치(2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처리장치에 있는 다양한 부재가 프레임(10)에 의해 한 장치로서 지지된다.
장치(20)의 후측에 형성된 슬리트형상의 노광창(6)을 통하여 레이저 빔(L)은 실제로 수평하게 장치(20)에 투사되며, 광학경로(17)를 통하여 이미지 노광위치(19)에 있고 대전기(2)로 충전되는 광감성부재(이미지 포함부재)에 입사한다. 레이저 빔(L)의 투영에 의하여, 정전기 잠상은 광감성부재위에 형성된다. 광감성부재(1)는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하여 구동된다. 이미지 전송이후에 광감성부재(1)위에 남아있는 잔여 현상제는 날(4)(청소수단)에 의하여 제거된다. 날(4)과 노광위치(19)사이의 위치에서, 대전기(2)가 배치되며 접촉형 대전부재를 포함한다.
대전기(2)는 코로나 충전기의 형태일 수 있다.
이미지 정보빔(L)을 유도하는 광학경로(17)하에서, 일성분 현상제(T)를 포함하는 현상제 용기(3)가 있다. 장치(20)는 실린더의 형태로 회전가능한 현상슬리브(8)를 포함한다. 그 원주행정에 있어서 현상제 공급실(7)의 내부에 부분적으로는 노출하며, 부분적으로는 광감성부재(1)에 직면해 있다.
현상제 공급실(7)로, 현상제는 용기(3)의 격벽(3a)에 형성된 개구(3b)를 통하여 화살표로 지시된 방향으로 회전하는 현상제 운반부재(3c)에 의하여 공급된다. 현상슬리브(8)는 화살표로 지시된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다. 현상제 공급실(7)에서 현상제 양조절부재(조절날)(11)와 현상제 유출방지부재인(봉합부재)(9)가 구비된다.
자성 현상제는 일성분 현상제(T) 또는 자성이송입자와 토너입자를 포함하는 2성분 현상제로써 이용될 때 슬리브(8)는 비-자성이며, 자석은 슬리브(8)내에 설치된다. 비-자성 현상제가 일성분 현상제로써 이용될때 자석은 필요하지 않으며, 현상슬리브(8)는 고체 로울러의 형태일 수 있다.
현상제 공급실(7)에 있는 현상제(T)는 정전기 인력 또는 자기인력 등에 의하여 슬리브(8)에 부착된다.
슬리브(8)에 인가된 현상제의 층 두께는 광감성 부재(1)와 현상영역에서 슬리브(8) 사이의 최소 틈새보다 작은 두께로, 위치(N)의 한 측면에 있는 슬리브(8)에 전기적으로 압착된 탄성물질의 조절날(11)에 의하여 조절된다. 그리하여, 본 실시예에서, 소위 비-접촉현상 동작이 실행된다.
비-접촉현상에서 현상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진동 바이어스 전압(예컨대,DC바이어스의 AC전압)이 현상영역(D)으로 현상제를 운반하는 현상 슬리브(8)에 인가되며, 이에 의하여, 주기적으로 선택적 방향을 가지는 진동전계가 현상영역(D)에 형성된다. DC 바이어스 전압은 슬리브(8)에 인가된다.
광감성 드럼(1)과 슬리브(8) 사이의 최소 틈새는 현상영역(D)에서 바람직하게 0.05-0.7㎜이다. 슬리브상에 있는 현상제의 박층을 형성하는 날(11)은 0.5 내지 1.5㎜의 두께를 가지는 고무판(우레탄 고무,실리콘 고무), 0.02 내지 0.2㎜의 두께를 가지는 탄성금속판(인,청동,스테인레스 등), 0.05-0.5㎜의 두께를 가지는 합성 수지판(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같은 판은 충분한 곡률탄성을 가진다.
그들 사이에서, 고무판은 균일한 압력으로 슬리브의 표면에 압착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날(11)은 접착제등에 의하여 지지판위에 고정된다. 도면, 제3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지지판(11a)은 양수직단에서 현상제 공급실(7)의 활모양 내부단벽(10a) 사이에서 연장하는 장착부(10b)의 말단부에 나사(12)에 의하여 고정된다. 날(11)은 제2도에 도시되었듯이 현상제 공급실(7)에서 구부러져 있으며, 슬리브(8)에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있다.
현상제는 날(11)과 슬리브(8) 사이에 형성된 니프를 통하여 진행하는 동안에 층두께로 조절되며, 더욱이 이 진행중에 현상제는 잠상을 현상시키는데 충분한 정도로 슬리브와 날과의 마찰에 의하여 마찰 전기적으로 대전된다.
상기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날(11)은 슬리브(8)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슬리브(8)에 시계방향으로 접촉된다. 특히, 날(11)의 자유단(11b)은 날이 지지판(11a)에 고정된 고정단(11c)의 윗방향 흐름이 된다. 이러한 배열에 있어서, 현상제층의 두께는 작게 된다. 그러나 날(11)은 슬리브(8)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동일방향으로 즉, 도시된 예와 반대방향으로 슬리브(8)에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날(11)의 자유단(11b)은 슬리브(8)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고정단(11c)로부터 아랫방향에 설치된다.
상기 도시된 실시예에서, 날(11)의 측면은 슬리브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아래를 향하여 날(11)의 자유단(11b)으로부터 약간 아랫방향의 위치에서 슬리브(8)에 접촉된다. 그러므로, 미소한 갭과 슬리트가 날(11)의 자유단(11b)과 슬리브(8) 표면사이에 형성된다. 현상제가 갭을 통하여 날(11)과 슬리브(8) 사이에 형성된 니프로 들어가기 때문에, 날(11)이 슬리브 회전방향으로, 슬리브에 반대방향으로 접촉될때, 갭이 형성되는 것이 중요하다.
반면에 조절날(11)이 동일 방향으로 슬리브에 접촉될때 자유단(11b)은 날(11)의 측면이 슬리브(8)에 접촉된다면, 슬리브(8)에 접촉될 수도 있고 그렇지 못할 수도 있다.
슬리브(8)의 대향길이방향의 양단을 통하여 현상제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현상제 유출방지 봉합부재(9)는 길이방향의 양단에 인접하고 날(11)의 대향길이 방향의 양단 외부에 있는 슬리브(8)와 함께 미끄럼 접촉부에 제공된다. 도면 제2도에서와 같이, 봉합부재(9)는 슬리브(8)의 외주표면에 압착되며, 현상영역(D)을 통과하는 슬리브(8)의 현상제가 슬리브의 회전에 의하여 공급실(7)로 귀환하는 입구로부터 현상제가 현상제 영역(D)을 향하여 공급실(7)로부터 방출되는 출구까지 영역에서 그 주위로 둘러싸여진다.
제2도, 제3도,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되었듯이, 봉합부재(9) 각각은 현상제 공급실(7)의 활모양 내부단벽(10a) 각각을 따라서 접착되며, 그 상단부는 현상제 공급실(7)의 장착부(10b)의 말단부에 고정된 조절날(11)의 지지판(11a)에 의하여 한정되며, 봉합부재 각각은 활모양의 내부단벽부(10a)에 고정된다. 그리하여 봉합부재(9)는 현상제 공급실(7)의 측면벽과 슬리브(8) 사이에서 샌드위치되므로 어느정도 탄성적으로 압박되어진다.
봉합부재(9)는 펠트 또는 양모, 테트라플루오에틸렌 수지섬유 등, 또 우레탄 거품고무와 같은 다공성의 물질(거품물질 또 연속 기공물질), 고어텍스(상표명 침투성 테트라플루오에틸렌수지)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봉합부재(9) 각각은 유연성이 있다. 본실시예에서, 봉합부재(9)가 광감성부재(1)에 직면한 개구에 인접한 조절날(11)의 맞은편 길이방향의 말단부로부터 현상제의 유출을 막는 것을 보증하도록, 봉합부재(9)는 제4도에 도시되었듯이, 조절날(11)을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9a)가 구비되어 있다. 돌출부(9a)는 조절날(11)을 향하여, 즉 조절날(11)이 현상 슬리브(8)의 주변 표면에 접촉된 위치에서 슬리브의 길이방향의 중심부를 향하여 돌출된다.
그러므로 제2도,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되었듯이 봉합부재(9)가 현상제 공급실(7)의 활모양 내부벽 부분(10a)에 설치될때, 돌출부(9a)는 조절날(11)이 현상슬리브(8)의 외부 주변표면과 접촉되어 있는 위치에서 현상제 공급실(7)의 활모양 내부벽 부분(10a)로부터 연속되는 내부벽부에 의하여 조절날(11)에 강제하게 되는데, 이에 의하여 돌출부(9a)는 탄성적으로 압착되고 변형된다.
이에 의하여, 조절날(11)의 길이방향의 말단부는 봉합부재(9)의 돌출부(9a)와 현상슬리브(8)의 주변표면사이에 샌드위치되는 방법으로 돌출부(9a)로 덮여진다. 제7도에 도시되었듯이 봉합부재(9)와 조절날(11)사이의 간격(S)은 조절날(11)의 길이방향의 말단부가 현상 슬리브(8) 표면에 접촉되는 위치에서 봉합부재(9)의 돌출부(9)에 의하여 실제로 봉합된다. 외부를 향하여 갭(S)를 통한 현상제 유출이 방지됨은 확실하다.
제8도에 도시되었듯이, 봉합부재(9)의 길이를 따라서 연장하는 컷트 또는 슬리트(13)는 날(11)의 자유단에 인접한 돌출의 기초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돌출부(9a)의 구비로부터 생겨난 조절날(11)의 길이방향단부에 압력이 감소되며, 그리하여 현상제층의 두께의 균일성이 강화되고, 더욱이 현상 슬리브(8)를 구동하도록 요구된 구동 토크가 감소될 수 있다.
제9도에 도시되었듯이, 점점가늘게된 표면(9b)은 그 아랫방향의 부분이 슬리브(8)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그 윗방향의 부분보다 슬리브(8)의 길이방향의 중심부에 더 근접하도록 되어있는 돌출부(9a)의 자유단, 점점가늘게된 표면(9b)에 형성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현상제의 흐름은 점점가늘게된 표면(9b)을 따라서 슬리브(8)의 길이방향의 중심부를 향하여 흐르며 이에 의하여 현상 슬리브(8)의 맞은편 길이방향의 단에 인접한 봉합부재(9)에 의하여 유출방지가 더 확실해진다.
제7도, 제8도 및 제9도에서 화살표(A)는 본 실시예에서 슬리브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현상제의 운동방향을 지시한다. 봉합부재(9)의 돌출부(9a)는 날(11)의 자유단(11b)에 접촉되는 것이 아니라 날(11)의 고정단(11C)을 향하여 자유단(11b)으로부터 약간 떨어진날(11)의 말단부에 접촉되는데, 왜냐하면, 날(11)의 자유단(11b)이 슬리브(8)에 봉합부재에 의해 강제되게 되면, 자유단(11b) 아래의 현상제 유출의 양은 현상제 층두께에서 가능한 비균일성 결과로 날의 길이에 따라 균일하게 되지 못한다. 현상제의 층 두께의 조절중에, 현상제의 박층은 날(11)과 슬리브(8) 사이의 니프에 존재하며, 그러므로 날(11)은 엄격한 의미로 슬리브(8)에 접촉되지 않는다. 그러나, 현상제가 날(11)과 슬리브(8) 사이에 존재하지 않을 때 날(11)은 탄성적으로 슬리브에 접촉되며 더욱이 날(11)은 슬리브(8)에 접촉되도록 탄성적으로 강제되며, 따라서 날(11)이 슬리브(8)에 "접촉"되고 현상제는 니프 또는 그 사이의 "접촉부"를 통과하는 것이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다.
이전 실시예에서 현장장치도 광감성 부재를 포함하는 처리장치에 포함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미지 형성장치의 주요 어셈블리에 고정된 현상장치, 광감성부재로부터 독립적으로 이미지 형성장치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현상장치에 응용가능하다.
이미지 정보광에 광감성 부재를 노광하는 수단에 대하여, 광방출 다이오드의 어레이는 레이저빔을 대신하여 이용될 수 있다. 추가의 선택적 방법으로서, 광감성 부재는 재생되는 원형을 통하여 반사되거나 통과된 빛으로 노광된다. 이미지 포함부재는 기록 신호에 일치하여 변조된 이온의 흐름이 잠상을 형성하도록 인가되는 절연 표면을 가지는 부재이다.
본 발명이 여기에 기술된 구조를 참조하여 기수되는 반면에, 상세한 설명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본 출원은 개량의 목적과 다음 청구범위내에서와 같은 변경이나 수정을 포함할 수 있다.

Claims (8)

  1. 이미지 포함부재위에 형성된 정전기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장치에 있어서, 현상제 공급실 ; 상기 현상제 공급실에 최소한의 부분에 직면하여 배치되고, 이미지 포함부재가 운반하는 현상영역으로 상기 현상제 공급실에 공급된 현상제를 운반시키는 현상제 운반부재 ; 상기 현상제 운반부재에 의하여 상기 현상영역에 운반된 현상제의 층두께를 조절하는 상기 현상제 운반부재에 접촉되는 조절판 및 ; 상기 현상제 운반부재의 말단부에 현상제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상기 현상제 운반부재의 말단부에 접촉되는 봉합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봉합부재는 상기 조절부재가 상기 현상제 운반부재에 접촉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현상제 운반부재의 중심부를 향하여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조절판의 말단부를 샌드위치하는 상기 현상제 운반부재와 서로 작용하도록 상기 조절부재의 말단부에 겹쳐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은 탄성판이며, 상기 봉합부재는 유연성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조절판의 자유단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상기 조절판과 겹쳐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의 자유단과 상기 현상제 운반부재 사이에 갭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5. 제2항,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절제부가 형성된 기초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6. 제2항,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길이는 현상제의 운반방향에 대하여 윗방향부분보다는 아랫방향부분에서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7. 제2항,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은 고무, 금속판 스프링 또는 합성수지물질로 형성되며, 상기 봉합부재는 펠트 또는 다공성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8. 제2항,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은 상기 현상제 운반부재의 운반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상기 현상제 운반부재에 접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KR1019900008051A 1989-05-31 1990-05-31 현상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9300066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38777 1989-05-31
JP1138777A JP2646393B2 (ja) 1989-05-31 1989-05-31 現像装置
JP1-138777 1989-05-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8766A KR900018766A (ko) 1990-12-22
KR930006609B1 true KR930006609B1 (ko) 1993-07-21

Family

ID=15229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8051A Expired - Fee Related KR930006609B1 (ko) 1989-05-31 1990-05-31 현상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134960A (ko)
EP (1) EP0400557B1 (ko)
JP (1) JP2646393B2 (ko)
KR (1) KR930006609B1 (ko)
CN (1) CN1025517C (ko)
DE (1) DE69014151T2 (ko)
ES (1) ES2063196T3 (ko)
HK (1) HK51295A (ko)
SG (1) SG25495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7137B2 (ja) * 1989-12-05 1998-11-18 株式会社リコー クリーナ・トナー・マガジン及び電子写真式記録装置
US5623328A (en) * 1990-04-27 1997-04-22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system on which process cartridge is mountable
JP3064436B2 (ja) * 1991-02-06 2000-07-12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
JPH0714458U (ja) * 1991-06-07 1995-03-10 旭光学工業株式会社 現像装置のドクターブレード装着構造及びドクターギャップ調整構造
JP3000493B2 (ja) * 1991-07-15 2000-01-17 株式会社リコー クリーナ・トナー・マガジン
US5585895A (en) * 1991-12-19 1996-12-17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and process cartridge with it
US5283619A (en) * 1991-12-20 1994-02-01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having same
US5223068A (en) * 1992-01-27 1993-06-29 Raymond Baley Reconditioned and resealed toner cartridge, the method of making the same, and a table saw used in this method
US5525183A (en) * 1992-01-27 1996-06-11 Bay-Bro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nditioning and resealing a toner cartridge
JPH05281841A (ja) * 1992-03-30 1993-10-29 Ricoh Co Ltd 現像装置
JPH05289484A (ja) * 1992-04-10 1993-11-05 Fuji Xerox Co Ltd 現像装置
JPH06282122A (ja) * 1992-04-16 1994-10-07 Canon Inc ブレード部材、ブレード部材取り付け方法、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て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DE69314889T2 (de) * 1992-08-31 1998-04-02 Kabushiki Kaisha Tec, Shizuoka In einem elektrophotographischen Gerät verwendeten Entwicklungs- und Reinigungsvorrichtung
JP2597024Y2 (ja) * 1992-11-06 1999-06-28 ミノルタ株式会社 現像装置
US5475467A (en) * 1993-04-19 1995-12-12 Canon Kabushiki Kaisha Sealing member, and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ame
JPH06348096A (ja) * 1993-06-03 1994-12-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写真印刷装置
US5387967A (en) * 1993-09-23 1995-02-07 Xerox Corporation Single-component electrophotographic development system
JP3093918B2 (ja) * 1993-11-25 2000-10-03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GB2286062B (en) * 1994-01-19 1998-04-01 Xerox Corp Cartridge sealing strip cleaning
US5426493A (en) * 1994-04-22 1995-06-20 National Laser Technologies, Inc. Removable lid apparatus for toner cartridge and method of use
US5592268A (en) * 1994-07-22 1997-01-07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Mechanism to prevent toner leakage from an image forming unit
JPH08179625A (ja) * 1994-12-21 1996-07-12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5546162A (en) * 1995-06-02 1996-08-13 Steven Bruce Michlin Conversion device and kit for converting a doctor blade to a spreader blade
US5805965A (en) * 1995-11-14 1998-09-08 Ricoh Company, Ltd. Developing device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developer distribution features
KR200150173Y1 (ko) * 1995-12-13 1999-07-01 윤종용 현상기의 독터 갭 조정 장치
JP3372747B2 (ja) * 1996-02-09 2003-02-0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JP3079038B2 (ja) * 1996-06-10 2000-08-2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EP1324151B1 (en) 1997-01-31 2008-02-20 Seiko Epson Corporation Developing unit
US5742875A (en) * 1997-02-10 1998-04-21 Xerox Corporation Roll seal blade support for a xerographic development unit using magnetic toner
JPH1152721A (ja) * 1997-08-08 1999-02-26 Sharp Corp 現像装置
US5907747A (en) * 1998-02-02 1999-05-25 Ward Sealing, Inc. Prefilled, presealed toner cartridge insert
JP2000056561A (ja) * 1998-08-04 2000-02-25 Canon Inc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0131940A (ja) * 1998-10-27 2000-05-12 Canon Inc 現像装置、現像カ−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6341206B1 (en) * 1999-06-10 2002-01-2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mage developing apparatus having developer seal
US6336014B1 (en) * 1999-06-18 2002-01-0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developing device with sealing members for preventing toner leakage
US6496668B2 (en) 1999-07-14 2002-12-17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developing device with sealing members for preventing toner leakage
US6321050B1 (en) * 1999-07-14 2001-11-2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developing device with sealing members for preventing toner leakage
JP4474002B2 (ja) * 2000-02-04 2010-06-0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745511B2 (ja) * 2001-02-09 2011-08-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KR100433543B1 (ko) * 2002-02-07 2004-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
US6937835B2 (en) * 2002-08-28 2005-08-30 Seiko Epson Corporation Developer charging unit, developing device, image-forming apparatus, and computer system
JP4366067B2 (ja) * 2002-11-07 2009-11-1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7068961B2 (en) * 2003-08-20 2006-06-27 Seiko Epson Corporation Develop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system, sealing mem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aling member
KR100520932B1 (ko) * 2003-11-24 2005-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토너층 규제 블레이드 및 이를 채용한현상유닛
US7013104B2 (en) 2004-03-12 2006-03-14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regulating system having toner regulating member with metallic coating on flexible substrate
JP4454402B2 (ja) * 2004-06-14 2010-04-21 株式会社沖データ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236729B2 (en) 2004-07-27 2007-06-26 Lexmark International, Inc. Electrophotographic toner regulating member with induced strain outside elastic response region
JP4356021B2 (ja) * 2005-03-09 2009-11-04 村田機械株式会社 現像装置
JP2007065531A (ja) * 2005-09-02 2007-03-15 Murata Mach Ltd 現像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0726441B1 (ko) * 2005-11-22 2007-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JP4325612B2 (ja) * 2005-11-29 2009-09-02 村田機械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現像装置の組立方法
US20070242973A1 (en) * 2006-04-12 2007-10-18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445488B2 (ja) * 2006-05-26 2010-04-07 藤倉ゴム工業株式会社 現像ブレード
JP4998158B2 (ja) * 2007-09-04 2012-08-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418314B2 (ja) 2009-12-25 2014-02-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521659B2 (ja) 2009-12-25 2014-06-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装置
JP5440451B2 (ja) * 2010-08-31 2014-03-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装置
JP5404751B2 (ja) * 2011-01-11 2014-02-0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CN102096356A (zh) * 2011-02-25 2011-06-15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碳粉盒
JP5405554B2 (ja) * 2011-12-13 2014-02-05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8843021B2 (en) * 2012-10-30 2014-09-23 Clover Technologies Group, Llc Toner cartridge seal refurbishment system and method
CN103019072B (zh) * 2012-12-17 2014-03-26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密封刮片、显影组件及鼓组件
JP6465673B2 (ja) * 2015-01-29 2019-02-0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1634057S (ko) 2018-12-11 2020-06-08
JP1634056S (ko) 2018-12-11 2020-06-08
JP1634059S (ko) 2018-12-11 2020-06-08
JP1634058S (ko) * 2018-12-11 2020-06-08
CN113075870B (zh) * 2021-04-09 2024-07-23 珠海市源呈数码科技有限公司 显影盒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09012A (en) * 1972-11-24 1974-05-07 Xerox Corp Developer seal
GB2081135B (en) * 1977-09-10 1982-09-08 Canon Kk Developing apparatus for electrostatic image
JPS5459943A (en) * 1977-10-21 1979-05-15 Canon Inc Developing device
JPS5479637A (en) * 1977-12-08 1979-06-25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Cleaning blade for drum of electrophotographic copier
JPS5492254A (en) * 1977-12-28 1979-07-21 Canon Inc Cleaning device for electrophotography
US4341179A (en) * 1979-03-01 1982-07-27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JPS55151673A (en) * 1979-05-17 1980-11-26 Canon Inc Developing device
US4575221A (en) * 1982-05-20 1986-03-11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kit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S6033578A (ja) * 1983-08-04 1985-02-20 Toshiba Corp 現像装置
JPS6054149U (ja) * 1983-09-20 1985-04-16 株式会社東芝 現像装置
US4676192A (en) * 1983-09-30 1987-06-30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Dry process developing apparatus
JPS61129664A (ja) * 1984-11-29 1986-06-17 Toshiba Corp 現像装置
JPS61185773A (ja) * 1985-02-14 1986-08-19 Toshiba Corp 現像装置
JPS62143073A (ja) * 1985-12-17 1987-06-26 Fuji Xerox Co Ltd 一成分現像装置
JPS62192768A (ja) * 1986-02-19 1987-08-24 Fuji Xerox Co Ltd 一成分現像装置
JPS62192770A (ja) * 1986-02-20 1987-08-24 Fuji Xerox Co Ltd 一成分現像装置
JPS62208073A (ja) * 1986-03-10 1987-09-12 Fuji Xerox Co Ltd 現像装置
JP2617915B2 (ja) * 1986-04-18 1997-06-11 株式会社リコー 静電潜像の現像装置
US4785319A (en) * 1986-08-05 1988-11-15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graphic apparatus
JPS63202773A (ja) * 1987-02-19 1988-08-22 Minolta Camera Co Ltd 間隔規制部材
KR920003245B1 (ko) * 1987-03-24 1992-04-25 마츠시타 덴끼 산교오 가부시끼가이샤 현상장치
JPS6450179A (en) * 1987-08-20 1989-02-27 Tdk Corp Picture data fetching and processing device
JPH01193881A (ja) * 1988-01-29 1989-08-03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の現像器
JP2629945B2 (ja) * 1988-02-24 1997-07-1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JP2773184B2 (ja) * 1989-02-10 1998-07-09 ミノルタ株式会社 現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517C (zh) 1994-07-20
DE69014151T2 (de) 1995-04-20
DE69014151D1 (de) 1994-12-22
EP0400557A3 (en) 1991-11-06
JPH034255A (ja) 1991-01-10
EP0400557A2 (en) 1990-12-05
SG25495G (en) 1995-08-18
ES2063196T3 (es) 1995-01-01
EP0400557B1 (en) 1994-11-17
JP2646393B2 (ja) 1997-08-27
HK51295A (en) 1995-04-13
CN1047736A (zh) 1990-12-12
US5134960A (en) 1992-08-04
KR900018766A (ko) 199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6609B1 (ko) 현상장치
US6336014B1 (en) Image developing device with sealing members for preventing toner leakage
US5223893A (en) Process cartridge detachably mountable to image forming apparatus
US5084733A (en) Developing apparatus having developer layer regulation means
US4792831A (en) Dry-type developing apparatus with elastic sheet
KR101734631B1 (ko) 클리닝 디바이스,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US6671477B2 (en)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2258607A (ja)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5016560A (en) Device for image toner distribution on a developing device
JP3782691B2 (ja) 画像形成装置用の弾性ブレード、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899065B2 (ja) 現像装置とそれを有するプロセスユニット
JP2000181223A (ja)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トリッジ
JP3242557B2 (ja) 現像装置
CN101246342B (zh) 显影装置以及具有该装置的成象设备
JP7536573B2 (ja)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362059A (ja) 現像装置
JPH07230199A (ja) 画像形成装置及び帯電装置
JP2003076144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0293516A (ja) 電子写真装置のプロセスユニット
JPH01150179A (ja) 現像装置
JPH09138573A (ja) 静電潜像現像装置
JPH05281844A (ja) 画像形成装置の弾性ブレード、現像容器及び現像装置
JPH09138575A (ja) 静電潜像現像装置
JP2005010271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09211966A (ja) 現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5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7-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4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6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9072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90722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