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6548A - Pcsk9 억제제 및 이의 이용 방법 - Google Patents
Pcsk9 억제제 및 이의 이용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16548A KR20210116548A KR1020217025810A KR20217025810A KR20210116548A KR 20210116548 A KR20210116548 A KR 20210116548A KR 1020217025810 A KR1020217025810 A KR 1020217025810A KR 20217025810 A KR20217025810 A KR 20217025810A KR 20210116548 A KR20210116548 A KR 2021011654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ound
- disclosed
- alkyl
- prepared
- methy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7/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06—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s, e.g. 1,2-oxazines
- A61K31/5375—1,4-Oxazines, e.g. morpholine
- A61K31/5377—1,4-Oxazines, e.g. morpholine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timolo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 C07D239/7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239/72—Quinazolines; Hydrogenated quinazolines
- C07D239/78—Quinazolines; Hydrogenated quinazolines with hetero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 C07D239/84—Nitrogen atom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3/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4—Ortho-condensed system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10—Spiro-condensed system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4—Ortho-condensed system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10—Spiro-condensed system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ring system both one or more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59/00, C07D463/00, C07D477/00 or C07D489/00
- C07D49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ring system both one or more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59/00, C07D463/00, C07D477/00 or C07D489/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1/10—Spiro-condensed systems
- C07D491/107—Spiro-condensed systems with only one oxygen atom as ring hetero atom in the oxygen-containing r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9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5/04—Ortho-condensed system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8/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98/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8/04—Ortho-condensed system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8/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98/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8/10—Spiro-condensed system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ecific properties of organic compounds
- C07B2200/05—Isotopically modified compounds, e.g. labell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Oxygen Or Sulfur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yridin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헤테로아릴 화합물 및 이의 제약 제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원에 기술된 신규한 헤테로환식 화합물을 이용하는, 심혈관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방법, 및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의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관련 출원]
본 출원은 2019년 1월 18일에 출원된 미국 출원 제62/794,234호의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는 전체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전구단백질 전환효소 서브틸리신/켁신 9"라고도 하는 PCSK9는 분비성 전구단백질 전환효소 패밀리의 구성원이며, 콜레스테롤 대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PCSK9는 촉매 활성과 무관하게 LDL 수용체의 증진된 분해를 통해 순환하는 LDL 콜레스테롤의 수준을 증가시킨다. 분비된 PCSK9는 세포 표면에서 LDL 수용체(LDLR)의 표피 성장 인자 도메인 A(EGFA)에 결합하고 PCSK9/LDL 수용체 복합체는 엔도좀/리소좀 구획으로 내재화된다. 후기 엔도좀/리소좀의 산성 pH에서 LDL 수용체에 대한 PCSK9의 증진된 결합 친화도는 LDL 수용체의 재활용을 감소시키고, 대신 리소좀 분해를 위해 LDL 수용체를 표적으로 한다. 유전 연관 연구는 PCSK9의 기능 상실 돌연변이가 낮은 혈장 LDL-C 수준 및 유해 심혈관 사건의 발병률의 감소와 관련이 있음을 증명하였다.
LDL 수용체에 대한 PCSK9의 효과와 관련된 또 다른 생물학적 경로는 패혈성 쇼크의 발병이다. 패혈성 쇼크는 제어되지 않는 전신성 염증 반응 및 후속 기관 부전을 유발하는 심각한 미생물 감염(패혈증)의 종종 치명적인 합병증이다. 패혈증은 지질다당류(LPS; 그람 음성 박테리아)와 같은 병원성 지질 모이어티를 함유하는 미생물 세포벽에서 발생된다. LPS는 포유동물의 선천적 면역 수용체[톨 유사 수용체(TLR)]에 대한 강력한 리간드이므로, 패혈성 염증 반응(패혈성 쇼크 또는 패혈증)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PCSK9는 간의 LDL 수용체에 의한 LPS 흡수를 줄여서, 유리 LPS가 패혈증을 유발하는 병원체에 대한 신체의 면역 반응을 과도하게 자극하게 한다. 따라서, PCSK9를 억제하는 것은 간 LDL 수용체를 유지하여 패혈증에 대한 전신 병원체 제거 및 해독을 달성하는 데 유익하다. 그러나 항생제 치료법 외에 패혈증이나 패혈성 쇼크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법은 현재 없다.
심혈관 질환의 경우, PCSK9를 억제하기 위한 옵션은 거의 없다. 스타틴은 실제로 LDLR 및 PCSK9 유전자를 모두 상향 조절하는 전사 인자인 SREBP-2의 증가된 발현을 통해 HepG2 세포와 인간 1차 간세포에서 PCSK9를 상향 조절한다. 증가된 수준의 PCSK9는 세포 표면의 LDL 수용체의 양을 감소시키므로, 스타틴 용량을 늘리는 것으로 비례적인 LDL-콜레스테롤 저하 효과를 달성할 수 없었다.
세포 외 PCSK9에 선택적으로 결합하고 LDL 수용체와의 상호작용을 방지하는 2종의 단클론 항체(mAb)인 알리로쿠맙과 에볼로쿠맙은 최근 LDL-C 수준 저하에 대해 FDA 승인을 받았다. 임상 시험에서, 알리로쿠맙은 위약에 비해 LDL 수준의 약 50% 감소를 보여주었다. 문헌[Elbitar et al., Expert Opin Therapeutic Patents 2016 26:1377-1392]. 에볼로쿠맙을 복용하는 환자들은 LDL 수준의 약 60 내지 75%의 감소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약물의 효능은 PCSK9 억제제가 고콜레스테롤혈증 및 기타 심혈관 질환 환자에게 효과적인 치료법이 될 가능성을 보여준다. 그러나 두 항체 약물 모두 정맥 내 투여가 필요하며, 신체에서 알레르기 반응이나 기타 유해한 면역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심혈관 질환은 종종 일시적일 수 있는 감염과 달리 평생에 걸친 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투약 및 투여의 용이성은 유지 약물 치료에 대한 환자의 순응도에 대한 핵심 요소가 된다. 소분자 PCSK9 억제제로 달성될 수 있는 증가된 효능 및 더 큰 투여 용이성을 갖는 PCSK9 억제제가 필요하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이 본원에 개시되며,
[화학식 I]
화학식에서,
A는 H, 할로, 하이드록시, 알킬, 티오알킬, 알케닐, 알콕시, 아실옥시, 시아노, 시클로알킬, -C(O)OR6, 및 -C(O)NR6R7로부터 선택되고;
B는 H, 알킬, 및 할로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A 및 B는 이들이 부착되는 탄소 원자와 함께 5 또는 6원의 헤테로아릴을 형성하고;
X는 NR5 또는 O이고;
R1 및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H 및 알킬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n이 0인 경우, R1 및 R1’은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4 내지 8원의 시클로알킬 또는 시클로알케닐 고리를 형성하고;
R2는 H, 할로, 알킬, 알콕시, 아미도알킬, 아미노알킬, 하이드록시알킬, 알킬아미노, 시아노, 및 하이드록시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1 및 R2는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3 내지 8원의 시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시클릴 고리를 형성하거나; 또는
R1’ 및 R2는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3 내지 8원의 시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시클릴 고리를 형성하고;
R2’은 H, 할로, 알킬, 알콕시, 아미도알킬, 아미노알킬, 및 시아노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2 및 R2’은 이들이 부착되는 탄소 원자와 함께 3 내지 8원의 시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시클릴 고리를 형성하고;
각각의 R3 및 R4는 독립적으로 H 또는 알킬이거나; 또는
R2 및 R3은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3 내지 8원의 시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시클릴 고리를 형성하고;
R5는 H 또는 알킬이거나; 또는
R1 및 R5는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6 내지 8원의 시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시클릴 고리를 형성하거나; 또는
R2 및 R5는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5 내지 8원의 시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시클릴 고리를 형성하고;
각각의 R6 및 R7은 독립적으로 H 또는 알킬이고;
Y는 아릴,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고;
n은 0 또는 1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유효량의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화합물(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합물, 예컨대,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하나 이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심혈관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서 대상체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제약 제제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병태 또는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PCSK9의 억제로부터 이익을 얻는 질환 및 병태를 치료하는 방법이 본원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 질환은 심혈관 질환, 예를 들어 고콜레스테롤혈증, 고지혈증, 고지질단백혈증, 고중성지방혈증, 이상지질혈증, 이상지질단백혈증, 죽상동맥경화증, 간 지방증, 대사 증후군 및 관상동맥 질환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원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치료할 수 있는 다른 질환 및 병태는 패혈증 및 패혈성 쇼크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보조 요법 단독의 능력을 넘어 심혈관 치료 이익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단클론 항체, 스타틴 및 기타 심혈관제와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병용 요법이 본원에 제공된다. 또한, 보조 요법 단독의 능력을 넘어 패혈증 및 패혈성 쇼크의 발생 및 중증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항생제와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병용 요법이 본원에 제공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이 본원에 개시되며,
[화학식 I]
화학식에서,
A는 H, 할로, 하이드록시, 알킬, 티오알킬, 알케닐, 알콕시, 아실옥시, 시아노, 시클로알킬, -C(O)OR6, 및 -C(O)NR6R7로부터 선택되고;
B는 H, 알킬, 및 할로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A 및 B는 이들이 부착되는 탄소 원자와 함께 5 또는 6원의 헤테로아릴을 형성하고;
X는 NR5 또는 O이고;
R1 및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H 및 알킬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n이 0인 경우, R1 및 R1’은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4 내지 8원의 시클로알킬 또는 시클로알케닐 고리를 형성하고;
R2는 H, 할로, 알킬, 알콕시, 아미도알킬, 아미노알킬, 하이드록시알킬, 알킬아미노, 시아노, 및 하이드록시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1 및 R2는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3 내지 8원의 시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시클릴 고리를 형성하거나; 또는
R1’ 및 R2는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3 내지 8원의 시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시클릴 고리를 형성하고;
R2’은 H, 할로, 알킬, 알콕시, 아미도알킬, 아미노알킬, 및 시아노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2 및 R2’은 이들이 부착되는 탄소 원자와 함께 3 내지 8원의 시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시클릴 고리를 형성하고;
각각의 R3 및 R4는 독립적으로 H 또는 알킬이거나; 또는
R2 및 R3은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3 내지 8원의 시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시클릴 고리를 형성하고;
R5는 H 또는 알킬이거나; 또는
R1 및 R5는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6 내지 8원의 시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시클릴 고리를 형성하거나; 또는
R2 및 R5는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5 내지 8원의 시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시클릴 고리를 형성하고;
각각의 R6 및 R7은 독립적으로 H 또는 알킬이고;
Y는 아릴,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고;
n은 0 또는 1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이 본원에 개시되며,
[화학식 I']
화학식에서,
A는 H, 할로, 알킬, 티오알킬, 알케닐, 알콕시, 아실옥시, 시아노, 시클로알킬, -C(O)OR6, 및 -C(O)NR6R7로부터 선택되고;
B는 H, 알킬, 및 할로로부터 선택되고;
R1 및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H 및 알킬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n이 0인 경우, R1 및 R1’은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4 내지 8원의 시클로알킬 고리를 형성하고;
R2는 H, 할로, 알킬, 알콕시, 아미도알킬, 아미노알킬, 하이드록시알킬, 알킬아미노, 시아노, 및 하이드록시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1 및 R2는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3 내지 8원의 시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시클릴 고리를 형성하거나; 또는
R1’ 및 R2는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3 내지 8원의 시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시클릴 고리를 형성하고;
R2’은 H, 할로, 알킬, 알콕시, 아미도알킬, 아미노알킬, 및 시아노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2 및 R2’은 이들이 부착되는 탄소 원자와 함께 3 내지 8원의 시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시클릴 고리를 형성하고;
각각의 R3 및 R4는 독립적으로 H 또는 알킬이거나; 또는
R2 및 R3은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3 내지 8원의 시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시클릴 고리를 형성하고;
R5는 H 또는 알킬이거나; 또는
R1 및 R5는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6 내지 8원의 시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시클릴 고리를 형성하거나; 또는
R2 및 R5는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5 내지 8원의 시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시클릴 고리를 형성하고;
각각의 R6 및 R7은 독립적으로 H 또는 알킬이고;
Het은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이고;
n은 0 또는 1이다.
아래 및 본원의 구현예 전부는 화학식 I 및 화학식 I' 모두의 구현예로 이해되어야 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제1항에 있어서, A는 H, 하이드록시, 티오알킬, 알킬, 알콕시, 아실옥시, 시아노, 시클로알킬, -C(O)OR6, 및 -C(O)NR6R7로부터 선택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A는 H이지만, 다른 구현예에서, A는 알킬, 예컨대, 티오알킬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A는 -SCH3, -SCHF2, 및 -OCHF2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A는 알콕시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A는 시클로알킬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B는 H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A 및 B는 이들이 부착되는 탄소 원자와 함께 피롤릴 또는 티에닐 고리를 형성하고, 이는 치환되지 않거나 하나 이상의 알킬로 치환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X는 바람직하게는 NR5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Y는 바람직하게는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R1 및 R1'은 각각 H이다. 그러나 n이 0인 경우, R1 및 R1’은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4 내지 8원의 시클로알킬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시클로알킬은 단환식 또는 이환식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R1 및 R1’은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4 내지 8원의 시클로알케닐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시클로알킬 고리는 시클로펜틸 고리, 예컨대, S,S-시클로펜틸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시클로알킬 고리는 하이드록실 또는 하이드록시알킬로 치환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R2는 H, 할로, 알킬, 알콕시, 아미도알킬, 아미노알킬, 알킬아미노, 시아노, 및 하이드록실로부터 선택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R2는 C1-3 알킬이다. R2는 아미노, 아미도, 시아노, 하이드록시, 및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R2’은 C1-3알킬이지만, 다른 구현예에서는, R2’은 H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R1 및 R2는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3 내지 8원의 시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시클릴 고리를 형성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R1’ 및 R2는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3 내지 8원의 시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시클릴 고리를 형성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R2 및 R2’은 이들이 부착되는 탄소 원자와 함께 3 내지 8원의 시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시클릴 고리를 형성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R3은 C1-3알킬이지만, 다른 구현예에서는, R3은 H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R4는 H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R2 및 R3은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3 내지 8원의 시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시클릴 고리를 형성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R1 및 R5는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6 내지 8원의 시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시클릴 고리를 형성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R2 및 R5는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5 내지 8원의 시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시클릴 고리를 형성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Y는 단환식 헤테로아릴, 예컨대(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 피리디닐, 피라지닐, 피리미디닐, 및 티아졸릴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Y는 단환식 헤테로아릴, 예컨대(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 피리디닐, 피라지닐, 및 피리미디닐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Y는 트리아제닐, 옥사졸릴, 이속사졸릴,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및 트리아졸릴로부터 선택된다. 단환식 헤테로아릴은 치환되지 않을 수 있거나, 또는 알킬, 티오알킬, 알콕시, 알콕시카르보닐, 아미도, 카르복시, 시아노, 할로, 헤테로아릴, 니트로, 설폰아미도, 및 티오알킬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Y는 단환식 헤테로아릴로서, 이는 치환되지 않을 수 있거나, 또는 알킬, 티오알킬, 알콕시, 알콕시카르보닐, 아미도, 카르복시, 시아노, 할로, 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시클릴, 니트로, 설폰아미도, 및 티오알킬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단환식 헤테로아릴은 페닐, 피리디닐, 2-하이드록시피리디닐, 피페리디노닐, 2-하이드록시-1-메틸피리디닐, 트리아졸릴, 이미다졸리디노닐, 피리미도닐, 2-하이드록시이소퀴놀리닐, 3-하이드록시피리다지닐, 피롤리디노닐, 피라졸릴, 및 모르폴리노닐로부터 선택되는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로 치환된다. 특정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Y는 6원의 단환식 헤테로아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단환식 헤테로아릴은 할로, CN, 알킬, 알콕시, 하이드록시, 카르복시, -CO2알킬, 및 테트라졸릴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는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로 치환된다. 특정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단환식 헤테로아릴은 X에 대해 A의 파라 위치에 배치된다.
다른 구현예에서, Y는 이환식 헤테로아릴, 예컨대(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 벤조티아졸릴, 벤즈이미다졸릴, 벤즈옥사졸릴, 트리아졸로피리디닐, 티아졸로피리디닐, 퀴놀리닐, 및 퀴녹살리닐이다. 이환식 헤테로아릴은 치환되지 않을 수 있거나, 또는 알킬, 할로알킬, 하이드록시알킬, 티오알킬, 알콕시, 알콕시카르보닐, 아미도, 카르복시, 시아노, 할로, 헤테로아릴, 니트로, 및 설폰아미도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이환식 헤테로아릴은 치환되지 않거나, 또는 티오알킬, 알콕시카르보닐, 아미도, 카르복시, 할로, 및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Y는 화학식 -C(O)NR8R9 또는 -NR9C(O)R10의 아미도 치환기로 치환되며, 이때,
R8 및 R9는 각각 독립적으로 H, 알킬, 헤테로시클릴 및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8 및 R9는 이들이 부착되는 질소 원자와 함께 4, 5, 6, 또는 7원의 헤테로환식 또는 헤테로아릴 고리를 형성하고;
R10은 알킬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Y는 화학식 -S(O)2NR8R9 또는 -NR9S(O)2R10의 설폰아미도 치환기로 치환되며, 이때
R8 및 R9는 각각 독립적으로 H, 알킬, 및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8 및 R9는 이들이 부착되는 질소 원자와 함께 4, 5, 6, 또는 7원의 헤테로환식 고리를 형성하고;
R10은 알킬이다.
화학식 I의 가변적인 Y의 전술한 모든 구현예는 또한 화학식 I'의 가변적인 Het의 구현예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R8 및 R9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메틸, 에틸, 트리아졸릴, 및 피라졸릴으로부터 선택된다. R8 및 R9 중 하나 또는 둘 다가 알킬인 구현예에서, 각각의 알킬은 독립적으로 치환되지 않거나, 또는 메틸, 메톡시, 카르복시, 시아노, 하이드록시, 디메틸아미노, 에톡시카르보닐, 페닐, 메톡시페닐, 옥사디아졸릴, 테트라졸릴, 2-메틸-테트라졸릴, 트리아졸릴, 1-메틸트리아졸릴, 4-메틸트리아졸릴, 및 2,4-디하이드로-3H-1,2,4-트리아졸-3-오닐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R8 및 R9는 이들이 부착되는 질소 원자와 함께 아지라딘, 이소티아졸리딘-1,1-디옥사이드, 아제티딘, 티아졸-4(5Hn)-온, 모르폴린, 피페리딘, 피페라진, 피롤리딘, 티오모르폴린-1,1-디옥사이드, 2-옥사-6-아자스피로[3.3]헵탄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환식 고리를 형성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R8 및 R9는 이들이 부착되는 질소 원자와 함께 2,8-디아자스피로[5,5]운데센, 테트라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 옥타하이드로피라지노[2,1-c][1,4]옥사진, 테트라하이드로피리도[3,4-d]피리미딘, 2-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 테트라하이드로피롤로[3,4-c]피라졸, 티오모르폴린, 2-옥사-7-아자스피로[3.5]노난, 2,8-디아자스피로[4.5]데칸-3-온, 테트라하이드로-1,7-나프티리딘, 1-옥사-4,9-디아자스피로[5.5]운데칸-3-온, 테트라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 피리미딘, 8-옥사-2-아자스피로[4.5]데칸, 헥사하이드로-3H-옥사졸로[3,4-a]피라진-3-온, 1-옥사-7-아자스피로[3.5]노난, 옥타하이드로시클로펜타[c]피롤, 테트라하이드로-[1,2,4]트리아졸로[4,3-a]피라진, 2,7-디아자스피로[4.4]노난, 2,6-디아자스피로[3.4]옥탄, 7-옥사-2-아자스피로[3.5]노난, 1-옥사-8λ2-아자스피로[4.5]데칸, 2-옥사-6-아자스피로[3.3]헵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옥사디아졸, 트리아졸, 피리디논, 테트라하이드로-[1,2,4]트리아졸로[4,3-a]피라진-3(2H)-온, 피페리디논, 3,6-디아자비시클로[3.1.1]헵탄, 5-옥사-2,7-디아자스피로[3.5]노난, 피라졸, 및 피리다진-3(2H)-온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환식 고리를 형성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헤테로환식 고리는 치환되지 않거나, 또는 알킬, 알콕시카르보닐, 할로, 하이드록시, 시아노, 카르복시, 및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헤테로환식 고리는 치환되지 않거나, 또는 메틸, 에톡시카르보닐, 할로, 하이드록시, 시아노, 카르복시, 및 옥세타닐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위에 제시된 임의의 화합물(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합물, 예컨대,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하나 이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인간 대상체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제약 제제를 제공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제약 제제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병태 또는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개시된 임의의 화합물은 본원에 개시된 임의의 질환 또는 병태의 치료를 위한 의약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정의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원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 및 학술 용어는 본 개시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다음의 참고문헌은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 다수에 대한 일반적인 정의를 당업자에게 제공한다: 문헌[Singleton et al., Dictionary of Microbiology and Molecular Biology (2nd ed. 1994)]; 문헌[The Cambridge Dictionary of Science and Technology (Walker ed., 1988)]; 문헌[The Glossary of Genetics, 5th Ed., R. Rieger et al. (eds.), Springer Verlag (1991)]; 및 문헌[Hale & Marham, The Harper Collins Dictionary of Biology (1991)].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하기 용어들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아래에서 그 용어들에 부여된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서, "~를 포함하다(comprise)", "~를 포함하는(comprising)", "~를 함유하는" 및 "~를 갖는" 등은 미국 특허법에서 부여된 의미를 가질 수 있고, "~를 포함하다(include)", "~를 포함하는(including)" 등을 의미할 수 있고; "본질적으로 구성된" 또는 "본질적으로 구성된다"는 마찬가지로 미국 특허법에서 부여된 의미를 가지며, 이 용어는, 열거된 것의 기본적이거나, 신규한 특징이 열거된 것을 초과하는 존재에 의해 변화되지 않는 한, 열거된 것을 초과하는 존재를 허용하나, 종래 기술의 구현예를 배제하는 개방형이다.
구체적으로 언급되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는 한,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또는"은 포괄적인 것으로 이해된다. 구체적으로 언급되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는 한,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단수형("a", "an", 및 "the")은 단수형 또는 복수형으로 이해된다.
용어 "아실"은 당해 분야에서 알려져 있고, 일반식 하이드로카빌C(O)-, 바람직하게는 알킬C(O)-로 표시되는 기를 지칭한다.
용어 "아실아미노"는 당해 분야에서 알려져 있고, 아실 기로 치환된 아미노 기를 지칭하고, 예를 들어 화학식 하이드로카빌C(O)NH-로 표시될 수 있다.
용어 "아실옥시"는 당해 분야에서 알려져 있고, 일반식 하이드로카빌C(O)O-, 바람직하게는 알킬C(O)O-로 표시되는 기를 지칭한다.
용어 "알콕시"는 산소가 부착된 알킬 기, 바람직하게는 저급 알킬 기를 지칭한다. 대표적인 알콕시 기는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tert-부톡시 등을 포함한다.
용어 "알콕시알킬"은 알콕시 기로 치환된 알킬 기를 지칭하며, 일반식 알킬-O-알킬로 표시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알케닐"은 적어도 1개의 이중 결합을 함유하는 지방족 기를 지칭하고, "비치환된 알케닐" 및 "치환된 알케닐"을 모두 포함하려는 것이며, 후자는 알케닐 기의 1개 이상의 탄소 상의 수소를 대체하는 치환기를 갖는 알케닐 모이어티를 지칭한다. 이러한 치환기는 하나 이상의 이중 결합에 포함되거나 포함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탄소에서 발생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치환기는 안정성이 금지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하기에 논의되는 바와 같이 알킬 기에 대해 고려되는 모든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1개 이상의 알킬, 카보시클릴, 아릴, 헤테로시클릴, 또는 헤테로아릴 기에 의한 알케닐 기의 치환이 고려된다.
"알킬" 기 또는 "알칸"은 완전 포화된 직쇄 또는 분지형 비방향족 탄화수소이다. 전형적으로, 직쇄 또는 분지형 알킬 기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1 내지 약 20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1 내지 약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 직쇄 및 분지쇄 알킬 기의 예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sec-부틸, tert-부틸, 펜틸, 헥실, 펜틸 및 옥틸을 포함한다. C1-C6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기는 또한 "저급 알킬"기로 지칭된다.
더욱이, 명세서, 실시예 및 청구범위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용어 "알킬"(또는 "저급 알킬")은 "비치환된 알킬" 및 "치환된 알킬"을 모두 포함하려는 것으로, 후자는 탄화수소 골격의 1개 이상의 탄소 상의 수소를 대체하는 치환기를 갖는 알킬 모이어티를 지칭한다. 이러한 치환기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예를 들어, 할로겐, 하이드록실, 카르보닐(예컨대, 카르복실, 알콕시카르보닐, 포르밀 또는 아실), 티오카르보닐(예컨대, 티오에스테르, 티오아세테이트, 또는 티오포르메이트), 알콕시, 포스포릴, 포스페이트, 포스포네이트, 포스피네이트, 아미노, 아미도, 아미딘, 이민, 시아노, 니트로, 아지도, 설프하이드릴, 알킬티오, 설페이트, 설포네이트, 설파모일, 설폰아미도, 설포닐, 헤테로시클릴, 아르알킬, 또는 방향족 또는 헤테로방향족 모이어티를 포함할 수 있다. 탄화수소쇄 상에서 치환된 모이어티는 적절한 경우 그 자체로 치환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치환된 알킬의 치환기는 아미노, 아지도, 이미노, 아미도, 포스포릴(포스포네이트 및 포스피네이트 포함), 설포닐(설페이트, 설폰아미도, 설파모일 및 설포네이트 포함), 및 실릴 기의 치환 및 비치환된 형태뿐만 아니라, 에테르, 알킬티오, 카르보닐(케톤, 알데히드, 카르복실레이트 및 에스테르 포함), -CF3, -C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치환된 알킬이 아래에 기술되어 있다. 시클로알킬은 알킬, 알케닐, 알콕시, 알킬티오, 아미노알킬, 카르보닐 치환된 알킬, -CF3, -CN 등으로 추가로 치환될 수 있다.
아실, 아실옥시, 알킬, 알케닐, 알키닐, 또는 알콕시와 같은 화학적 모이어티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 용어 "Cx-y"는 쇄에 x 내지 y개의 탄소를 함유하는 기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용어 "Cx-y알킬"은 트리플루오로메틸 및 2,2,2-트리플루오로에틸 등과 같은 할로알킬 기를 포함한, 쇄에 x 내지 y개의 탄소를 함유하는 직쇄 알킬 및 분지쇄 알킬 기를 포함한, 치환 또는 비치환 포화 탄화수소 기를 지칭한다. C0 알킬은 이 기가 말단 위치에 있을 경우 수소를, 내부에 있을 경우 결합을 나타낸다. 용어 "C2-y알케닐" 및 "C2-y알키닐"은 길이가 유사하고 전술한 알킬과 치환이 가능하지만 각각 적어도 하나의 이중 또는 삼중 결합을 함유하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불포화 지방족 기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알킬아미노"는 적어도 1개의 알킬 기로 치환된 아미노 기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알킬티오"는 알킬 기로 치환된 티올 기를 지칭하며, 일반 화학식 알킬S-로 표시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알키닐"은 적어도 1개의 삼중 결합을 함유하는 지방족 기를 지칭하고, "비치환된 알키닐" 및 "치환된 알키닐"을 모두 포함하려는 것이며, 후자는 알키닐 기의 1개 이상의 탄소 상의 수소를 대체하는 치환기를 갖는 알키닐 모이어티를 지칭한다. 이러한 치환기는 하나 이상의 삼중 결합에 포함되거나 포함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탄소에서 발생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치환기는 안정성이 금지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위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알킬 기에 대해 고려되는 모든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1개 이상의 알킬, 카보시클릴, 아릴, 헤테로시클릴, 또는 헤테로아릴 기에 의한 알키닐 기의 치환이 고려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아미드"는 다음 기를 지칭하며
이때, 각각의 R11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하이드로카빌 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2개의 R11은 이들이 부착되는 N 원자와 함께 고리 구조에 4 내지 8개의 원자를 갖는 헤테로사이클을 완성한다.
용어 "아민" 및 "아미노"는 당해 분야에서 알려져 있고, 비치환 및 치환된 아민 및 이의 염, 예를 들어, 다음의 화학식에 의해 표시될 수 있는 모이어티를 지칭하고
이때, 각각의 R11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하이드로카빌 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2개의 R11은 이들이 부착되는 N 원자와 함께 고리 구조에 4 내지 8개의 원자를 갖는 헤테로사이클을 완성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아미노알킬"은 아미노 기로 치환된 알킬 기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아르알킬"은 아릴 기로 치환된 알킬 기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아릴"은 고리의 각각의 원자가 탄소인 치환 또는 비치환된 단일 고리 방향족 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고리는 5 내지 7원의 고리, 더욱 바람직하게는 6원의 고리이다. 용어 "아릴"은 또한 2개 이상의 탄소가 2개의 인접한 고리에 공통인 2개 이상의 고리를 갖는 다환식 고리 시스템을 포함하며, 이때, 고리 중 적어도 1개는 방향족이고, 예를 들어, 다른 고리는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시클로알키닐, 아릴, 헤테로아릴, 및/또는 헤테로시클릴일 수 있다. 아릴 기는 벤젠, 나프탈렌, 페난트렌, 페놀, 아닐린 등을 포함한다.
용어 "카바메이트"는 당해 분야에서 알려져 있고, 다음 기를 지칭하며
이때, R11 및 R12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하이드로카빌 기, 예를 들어 알킬 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R11 및 R12는 개재 원자(들)와 함께 고리 구조에 4 내지 8개의 원자를 갖는 헤테로사이클을 완성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탄소환" 및 "탄소환식"은 고리의 각각의 원자가 탄소인 포화 또는 불포화 고리를 지칭한다. 탄소환이라는 용어는 방향족 탄소환과 비 방향족 탄소환을 모두 포함한다. 비 방향족 탄소환은 모든 탄소 원자가 포화된 시클로알칸 고리와 적어도 1개의 이중 결합을 함유하는 시클로알켄 고리를 모두 포함한다.
용어 "탄소환"은 5 내지 7원의 단환식 및 8 내지 12원의 이환식 고리를 포함한다. 이환식 탄소환의 각각의 고리는 포화, 불포화 및 방향족 고리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탄소환은 1개, 2개 또는 3개 이상의 원자가 2개의 고리 사이에 공유되는 이환식 분자를 포함한다. 용어 "융합된 탄소환"은 각각의 고리가 다른 고리와 2개의 인접한 원자를 공유하는 이환식 탄소환을 지칭한다. 융합된 탄소환의 각각의 고리는 포화, 불포화 및 방향족 고리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방향족 고리, 예를 들어 페닐은 포화 또는 불포화 고리, 예를 들어 시클로헥산, 시클로펜탄 또는 시클로헥센에 융합될 수 있다. 원자가가 허용하는 한 포화, 불포화 및 방향족 이환식 고리의 임의의 조합은 탄소환식의 정의에 포함된다. 예시적인 "탄소환"은 시클로펜탄, 시클로헥산, 비시클로[2.2.1]헵탄, 1,5-시클로옥타디엔, 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 비시클로[4.2.0]옥트-3-엔, 나프탈렌 및 아다만탄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융합된 탄소환은 데칼린, 나프탈렌, 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 비시클로[4.2.0]옥탄, 4,5,6,7-테트라하이드로-1H-인덴 및 비시클로[4.1.0]헵트-3-엔을 포함한다. "탄소환"은 수소 원자를 보유할 수 있는 임의의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 치환될 수 있다.
"시클로알킬" 기는 완전 포화된 환식 탄화수소이다. "시클로알킬"은 단환식 및 이환식 고리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단환식 시클로알킬 기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3 내지 약 10개의 탄소 원자, 더욱 전형적으로는 3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 이환식 시클로알킬의 제2의 고리는 포화, 불포화 및 방향족 고리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시클로알킬은 1개, 2개 또는 3개 이상의 원자가 2개의 고리 사이에 공유되는 이환식 분자를 포함한다. 용어 "융합된 시클로알킬"은 각각의 고리가 다른 고리와 2개의 인접한 원자를 공유하는 이환식 시클로알킬을 지칭한다. 융합된 이환식 시클로알킬의 제2의 고리는 포화, 불포화 및 방향족 고리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시클로알케닐" 기는 1개 이상의 이중 결합을 함유하는 환식 탄화수소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카보시클릴알킬"은 탄소환 기로 치환된 알킬 기를 지칭한다.
용어 "카보네이트"는 당해 분야에 알려져 있고, -OCO2-R10 기를 지칭하며, 이때, R10은 하이드로카빌 기를 나타낸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카르복시"는 화학식 -CO2H로 표시되는 기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에스테르"는 -C(O)OR10 기를 지칭하며, 이때, R10은 하이드로카빌 기를 나타낸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에테르"는 산소를 통해 또 다른 하이드로카빌 기에 연결된 하이드로카빌 기를 지칭한다. 따라서, 하이드로카빌 기의 에테르 치환기는 하이드로카빌-O-일 수 있다. 에테르는 대칭 또는 비대칭일 수 있다. 에테르의 예는 헤테로사이클-O-헤테로사이클 및 아릴-O-헤테로사이클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에테르는 일반식 알킬-O-알킬로 표시될 수 있는 "알콕시알킬" 기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할로" 및 "할로겐"은 할로겐을 의미하고, 클로로, 플루오로, 브로모 및 요오도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헤트아르알킬" 및 "헤테로아르알킬"은 헤트아릴 기로 치환된 알킬 기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헤테로알킬"은 탄소 원자 및 적어도 1개의 헤테로원자의 포화 또는 불포화 쇄를 지칭하고, 이때, 2개의 헤테로원자는 인접하지 않는다.
용어 "헤테로아릴" 및 "헤트아릴"은 치환 또는 비치환 방향족 단환식 구조, 바람직하게는 5원 내지 7원의 고리, 더욱 바람직하게는 5원 내지 6원의 고리를 포함하고, 이의 고리 구조는 적어도 1개의 헤테로원자, 바람직하게는 1개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 더욱 바람직하게는 1개 또는 2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한다. 용어 "헤테로아릴" 및 "헤트아릴"은 또한 2개 이상의 탄소가 2개의 인접한 고리에 공통인 2개 이상의 환식 고리를 갖는 다환식 고리 시스템을 포함하며, 이때, 고리 중 적어도 1개는 헤테로방향족이고, 예를 들어 다른 환식 고리는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시클로알키닐, 아릴, 헤테로아릴 및/또는 헤테로시클릴일 수 있다. 헤테로아릴 기는 예를 들어, 피롤, 퓨란, 티오펜, 이미다졸, 옥사졸, 티아졸, 피라졸, 피리딘, 피라진, 피리다진 및 피리미딘 등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헤테로원자"는 탄소 또는 수소 이외의 임의의 원소의 원자를 의미한다. 바람직한 헤테로원자는 질소, 산소 및 황이다.
용어 "헤테로시클릴", "헤테로사이클" 및 "헤테로환식"은 치환 또는 비치환 비 방향족 고리 구조, 바람직하게는 3원 내지 10원의 고리, 더욱 바람직하게는 3원 내지 7원의 고리를 지칭하고, 이의 고리 구조는 적어도 1개의 헤테로원자, 바람직하게는 1개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 더욱 바람직하게는 1개 또는 2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한다. 용어 "헤테로시클릴" 및 "헤테로환식"은 또한 2개 이상의 탄소가 2개의 인접한 고리에 공통인 2개 이상의 환식 고리를 갖는 다환식 고리 시스템을 포함하며, 이때, 고리 중 적어도 1개는 헤테로환식이고, 예를 들어, 다른 환식 고리는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시클로알키닐, 아릴, 헤테로아릴 및/또는 헤테로시클릴일 수 있다. 헤테로시클릴 기는 예를 들어 피페리딘, 피페라진, 피롤리딘, 모르폴린, 락톤, 락탐 등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헤테로시클릴알킬"은 헤테로사이클 기로 치환된 알킬 기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하이드로카빌"은 =O 또는 =S 치환기를 갖지 않는 탄소 원자를 통해 결합되고, 전형적으로 적어도 1개의 탄소-수소 결합 및 주로 탄소 골격을 갖지만, 선택적으로 헤테로원자를 포함할 수 있는 기를 지칭한다. 따라서, 메틸, 에톡시에틸, 2-피리딜 및 트리플루오로메틸과 같은 기는 본원의 목적을 위해 하이드로카빌인 것으로 간주되지만, 아세틸(연결 탄소에서 =O 치환기를 가짐) 및 에톡시(탄소가 아니라 산소를 통해 연결됨)와 같은 치환기는 아니다. 하이드로카빌 기는 아릴, 헤테로아릴, 탄소환, 헤테로시클릴, 알킬, 알케닐, 알키닐, 및 이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하이드록시알킬"은 하이드록시 기로 치환된 알킬 기를 지칭한다.
용어 "저급"은 화학 모이어티, 예컨대 아실, 아실옥시, 알킬, 알케닐, 알키닐, 또는 알콕시와 함께 사용될 때, 치환기에서 10개 이하, 바람직하게는 6개 이하의 비수소 원자가 있는 기를 포함하려는 것이다. "저급 알킬"은 예를 들어, 10개 이하, 바람직하게는 6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킬 기를 지칭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원에서 정의되는 아실, 아실옥시, 알킬, 알케닐, 알키닐 또는 알콕시 치환기는, 예컨대 하이드록시알킬 및 아르알킬(이 경우, 예를 들어, 아릴 기 내의 원자는 알킬 치환기 내의 탄소 원자를 계수할 때 계수되지 않음)의 언급에서, 이들이 단독으로 나타나든 또는 다른 치환기와 조합되어 나타나든, 각각 저급 아실, 저급 아실옥시, 저급 알킬, 저급 알케닐, 저급 알키닐 또는 저급 알콕시이다.
용어 "폴리사이클릴", "다환" 및 "다환식"은 2개 이상의 원자가 2개의 인접한 고리에 공통인, 예를 들어, 고리가 "융합된 고리"인 2개 이상의 고리(예를 들어,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시클로알키닐, 아릴, 헤테로아릴 및/또는 헤테로시클릴)를 지칭한다. 다환의 각각의 고리는 치환 또는 비치환일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다환의 각각의 고리는 고리에서 3개 내지 10개, 바람직하게는 5개 내지 7개의 원자를 함유한다.
용어 "실릴"은 3개의 하이드로카빌 모이어티가 부착된 규소 모이어티를 지칭한다.
용어 "치환된"은 골격의 1개 이상의 탄소에서 수소를 대체하는 치환기를 갖는 모이어티를 지칭한다. "치환" 또는 "~로 치환된"은 이러한 치환이 치환된 원자 및 치환기의 허용된 원자가에 따르고, 치환이 예컨대 재배열, 고리화, 제거 등에 의해 예를 들어 자발적으로 변환을 겪지 않는 안정적인 화합물을 가져온다는 함축된 단서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환된"은 유기 화합물의 모든 허용 가능한 치환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광범위한 측면에서, 허용 가능한 치환기는 유기 화합물의 비환식 및 환식, 분지 및 비분지, 탄소환식 및 헤테로환식, 방향족 및 비 방향족 치환기를 포함한다. 허용 가능한 치환기는 1개 이상이고, 적절한 유기 화합물에 대해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상, 질소와 같은 헤테로원자는 수소 치환기 및/또는 헤테로원자의 원자가를 만족하는 본원에 기술된 유기 화합물의 임의의 허용 가능한 치환기를 가질 수 있다. 치환기는 본원에 기술된 임의의 치환기, 예를 들어, 할로겐, 하이드록실, 카르보닐(예컨대, 카르복실, 알콕시카르보닐, 포르밀 또는 아실), 티오카르보닐(예컨대, 티오에스테르, 티오아세테이트, 또는 티오포르메이트), 알콕시, 포스포릴, 포스페이트, 포스포네이트, 포스피네이트, 아미노, 아미도, 아미딘, 이민, 시아노, 니트로, 아지도, 설프하이드릴, 알킬티오, 설페이트, 설포네이트, 설파모일, 설폰아미도, 설포닐, 헤테로시클릴, 아르알킬, 또는 방향족 또는 헤테로방향족 모이어티를 포함할 수 있다. 치환기는 적절한 경우 그 자체가 치환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비치환된"으로 구체적으로 기재되지 않은 한, 본원에서 화학 모이어티에 대한 언급은 치환된 변이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아릴" 기 또는 모이어티에 대한 언급은 치환된 변이형 및 비치환된 변이형 둘 다를 함축적으로 포함한다.
용어 "설페이트"는 당해 분야에 알려져 있고, -OSO3H 기 또는 이의 제약상 허용 가능한 염을 지칭한다.
용어 "설폰아미드"는 당해 분야에 알려져 있고, 다음의 일반 화학식에 의해 표시되는 기를 지칭하며,
이때, R11 및 R12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하이드로카빌, 예를 들어 알킬을 나타내거나, 또는 R11 및 R12는 개재 원자(들)와 함께 고리 구조에 4 내지 8개의 원자를 갖는 헤테로사이클을 완성한다.
용어 "설폭사이드"는 당해 분야에 알려져 있고, -S(O)-R10 기를 지칭하며, 이때, R10은 하이드로카빌 기를 나타낸다.
용어 "설포네이트"는 당해 분야에 알려져 있고, SO3H 기 또는 이의 제약상 허용 가능한 염을 지칭한다.
용어 "설폰"은 당해 분야에 알려져 있고, -S(O)2-R10 기를 지칭하며, 이때, R10은 하이드로카빌을 나타낸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티오알킬"은 티올 기로 치환된 알킬 기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티오에스테르"는 -C(O)SR10 또는 -SC(O)R10 기를 지칭하며, 이때, R10은 하이드로카빌을 나타낸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티오에테르"는 산소가 황으로 대체된 에테르에 해당한다.
용어 "우레아"는 당해 분야에 알려져 있고, 다음의 일반 화학식에 의해 표시될 수 있으며,
이때, R11 및 R12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하이드로카빌, 예를 들어 알킬을 나타내거나, 또는 R12 및 개재 원자(들)와 함께 R11의 존재는 고리 구조에 4 내지 8개의 원자를 갖는 헤테로사이클을 완성한다.
용어 "보호기"는 분자의 반응성 기능 기에 부착되는 경우, 기능 기의 반응성을 가리거나 감소시키거나 방지하는 원자단을 지칭한다. 전형적으로, 보호기는 합성 과정 중에 원하는 대로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보호기의 예는 문헌[Greene and Wuts,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Chemistry, 3rd Ed., 1999, John Wiley & Sons, NY] 및 문헌[Harrison et al., Compendium of Synthetic Organic Methods, Vols. 1-8, 1971-1996, John Wiley & Sons, NY]에서 찾아볼 수 있다. 대표적인 질소 보호기는 포르밀, 아세틸, 트리플루오로아세틸, 벤질, 벤질옥시카르보닐("CBZ"), tert-부톡시카르보닐("Boc"), 트리메틸실릴("TMS"), 2-트리메틸실릴-에탄설포닐("TES"), 트리틸 및 치환된 트리틸 기, 알릴옥시카르보닐, 9-플루오레닐메틸옥시카르보닐("FMOC"), 니트로-베라트릴옥시카르보닐("NVOC")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대표적인 하이드록실 보호기는 하이드록실 기가 아실화(에스테르화)되거나 또는 알킬화된 것, 예컨대 벤질 및 트리틸 에테르, 뿐만 아니라 알킬 에테르,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 에테르, 트리알킬실릴 에테르(예를 들어, TMS 또는 TIPS 기), 글리콜 에테르, 예컨대 에틸렌 글리콜 및 프로필렌 글리콜 유도체, 및 알릴 에테르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모든 제약상 허용 가능한 동위원소 표지된 화합물을 포함하며, 이때, 1개 이상의 원자는 동일한 원자 수를 갖지만, 자연계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원자 질량 또는 질량 수와는 상이한 원자 질량 또는 질량 수를 갖는 원자로 대체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이러한 동위원소 표지된 물질(예를 들어, 조성물의 화합물의 동위원소 분포가 천연의 또는 전형적인 동위원소의 분포와는 상이한 화합물)이 강화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에 포함시키기에 적합한 동위원소의 예는 수소의 동위원소, 예컨대, 2H 및 3H, 탄소의 동위원소, 예컨대, 11C, 13C 및 14C, 염소의 동위원소, 예컨대, 36Cl, 불소의 동위원소, 예컨대, 18F, 요오드, 예컨대, 123I 및 125I, 질소의 동위원소, 예컨대, 13N 및 15N, 산소의 동위원소, 예컨대, 15O, 17O 및 18O, 인의 동위원소, 예컨대, 32P, 및 황의 동위원소, 예컨대, 35S를 포함한다.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은 특정 동위원소 표지된 화합물, 예를 들어, 방사성 동위원소를 포함하는 것들은 약물 및/또는 기질 조직 분포 연구에 유용하다. 방사성 동위원소 삼중 수소, 즉, 3H 및 탄소-14, 즉, 14C는 혼입 및 검출 준비 수단에서의 이들의 용이성을 고려할 때, 이러한 목적에 유용하다.
중수소, 즉, 2H와 같은 무거운 동위원소로의 치환은 더 큰 대사 안정성에서 비롯된 특정 치료 이점, 예를 들어, 증가된 생체 내 반감기 또는 감소된 투여량 요건을 제공할 수 있으며, 따라서, 특정 상황에서 선호될 수 있다.
양전자 방출 동위원소, 예컨대, 11C, 18F, 15O 및 13N으로의 치환은 기질 수용체 점유도를 조사하기 위한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술(PET) 연구에 유용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라세미일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나의 거울상 이성질체가 강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약 30% 초과의 ee, 약 40% ee, 약 50% ee, 약 60% ee, 약 70% ee, 약 80% ee, 약 90% ee, 또는 심지어 약 95% 이상의 ee를 가질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1개 초과의 입체중심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특정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부분입체이성질체가 강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약 30% 초과의 de, 약 40%의 de, 약 50%의 de, 약 60%의 de, 약 70%의 de, 약 80%의 de, 약 90%의 de, 또는 심지어 약 95% 이상의 de를 가질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치료 제제는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하나의 거울상 이성질체를 우세하게 제공하도록 강화될 수 있다. 거울상 이성질체가 강화된 혼합물은 예를 들어, 하나의 거울상 이성질체를 적어도 약 60 몰%, 또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75, 약 90, 약 95, 또는 심지어 약 99 몰% 포함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하나의 거울상 이성질체가 강화된 화합물에는 다른 거울상 이성질체가 실질적으로 없고, 이때, 실질적으로 없다는 것은 예를 들어, 조성물 또는 화합물 혼합물에서, 다른 거울상 이성질체의 양과 비교하여, 해당 물질이 약 10% 미만, 또는 약 5% 미만, 또는 약 4% 미만, 또는 약 3% 미만, 또는 약 2% 미만, 또는 약 1% 미만을 구성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조성물 또는 화합물 혼합물이 약 98 g의 제1 거울상 이성질체 및 약 2 g의 제2 거울상 이성질체를 함유하는 경우, 이는 약 98 몰%의 제1 거울상 이성질체 및 단지 약 2%의 제2 거울상 이성질체를 함유한다고 할 것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치료 제제는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하나의 부분입체 이성질체를 우세하게 제공하도록 강화될 수 있다. 부분입체 이성질체가 강화된 혼합물은 예를 들어, 하나의 부분입체 이성질체를 적어도 약 60 몰%, 또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75, 약 90, 약 95, 또는 심지어 약 99 몰% 포함할 수 있다.
투여가 고려되는 "대상체"라는 용어는 인간(즉, 임의의 연령 집단의 남성 또는 여성, 예를 들어, 소아과 대상체(예를 들어, 유아, 아동, 청소년) 또는 성인 대상체(예를 들어, 청년, 중년의 성인 또는 노인)) 및/또는 다른 영장류(예를 들어, 시노몰구스 원숭이, 레서스 원숭이); 포유동물(상업적으로 관련된 포유동물, 예컨대, 소, 돼지, 말, 양, 염소, 고양이, 및/또는 개 포함); 및/또는 상업적으로 관련된 조류, 예컨대, 닭, 오리, 거위, 메추라기, 및/또는 칠면조를 포함한 조류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한 대상체는 인간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장애 또는 병태를 "예방"하는 치료제는, 통계적 샘플에서, 미처리 대조군에 비해 처리된 샘플에서 장애 또는 병태의 발생을 감소시키거나, 미처리 대조군 샘플에 비해 장애 또는 병태의 하나 이상의 증상의 발생을 지연시키거나 이의 중증도를 감소시키는 화합물을 지칭한다.
용어 "치료하는"은 예방적 및/또는 치료적 처치를 포함한다. 용어 "예방적 또는 치료적" 처치는 당해 분야에 알려져 있고, 대상체에게 개시된 조성물의 하나 이상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것이 원치 않는 병태(예를 들어, 대상체의 질환 또는 다른 원치 않는 상태)의 임상적 표출 전에 투여되는 경우, 처치는 예방적이지만(즉, 이는 원치 않는 병태를 발생시키는 것에 대해 대상체를 보호함), 이것이 원치 않는 병태의 표출 후에 투여되는 경우, 처치는 치료적이다(즉, 이는 기존의 원치 않는 병태 또는 이의 부작용을 감소시키거나 경감시키거나 안정화시키는 것으로 의도됨).
용어 "전구약물"은 생리적 조건 하에 본 발명의 치료적 활성제(예를 들어, 화학식 I의 화합물)로 전환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전구약물을 제조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원하는 분자를 드러내도록 생리적 조건 하에 가수분해되는 하나 이상의 선택된 모이어티를 포함시키는 것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전구약물은 대상체의 효소 활성에 의해 전환된다. 예를 들어, 에스테르 또는 카보네이트(예를 들어, 알코올 또는 카르복시산의 에스테르 또는 카보네이트)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전구약물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위에 표시된 제형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일부 또는 전부는 예를 들어, 상응하는 적합한 전구약물로 대체될 수 있고, 이때, 모 화합물의 하이드록실은 에스테르 또는 카보네이트 또는 카르복실산으로 제시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유효량"은 원하는 생물학적 효과를 달성하기에 충분한 양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치료적 유효량"은 원하는 치료 효과를 달성하기에 충분한 양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치료적 유효량은 암의 적어도 하나의 징후 또는 증상을 개선하기에 충분한 양을 지칭할 수 있다.
치료 방법에 대한 "반응"은 무엇보다도 부정적 증상의 감소 또는 개선, 질환 또는 이의 증상의 진행의 감소, 유익한 증상 또는 임상적 결과의 증가, 부작용의 약화, 질환의 안정화, 질환의 부분적인 또는 완전한 치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용 방법
PCSK9 유전자는 상염색체 우성 고콜레스테롤혈증이 있는 대상체의 DNA에 대한 유전자 맵핑 기술을 사용하여 확인되었다(문헌[Abifadel, et al. Nat. Genet. 2003 34:154-6]). 암호화된 단백질은 간, 장, 신장 및 신경계에서 주로 발현되는 세린 프로테아제이다. 임의의 특정 이론에 구애됨을 바라지 않지만, 유전자 돌연변이에 대한 연구에서는 이의 추정되는 역할이 촉매 활성과 무관하게 세포 표면에서 LDL 수용체를 감소시키는 데 있음을 보여주었다. (문헌[Abifadel, et al. Expert Opin. Ther. Pat. 2010 20:1547-71]). 수용체에 대한 PCSK9의 결합은 리소좀 분해를 초래한다. 이 증진된 분해는 순환하는 저밀도 지단백 LDL(LDL-c)의 양을 증가시킨다. PCSK9는 스타틴, SREBP-1a 및 SREBP-2, LXR 효능제, 및 인슐린에 의해 상향 조절되지만, 식이 콜레스테롤, 글루카곤, 에티닐에스트라디올, 케노데옥시콜산 및 담즙산 활성화 파르네소이드 X 수용체(FXR)에 의해 하향 조절된다(문헌[Maxwell, et al. J. Lipid Res. 2003 44:2109-19]; 문헌[Persson et al. Endocrinology 2009 150:1140-6]; 문헌[Langhi et al. FEBS Lett. 2008 582:949-55]). 증가된 수준의 PCSK9는 세포 표면의 LDL 수용체의 양을 감소시키므로, 스타틴 용량을 늘리는 것으로 비례적인 LDL-콜레스테롤 저하 결과를 달성할 수 없다. 따라서, PCSK9를 억제하여 LDL-c를 낮추는 것으로부터 이익을 얻는 광범위한 심혈관 질환 및 병태를 치료하는 방법이 본원에 개시되어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PCSK9를 억제하는 방법은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발생하며, 이에 의해 PCSK9에 의해 매개되는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한다.
또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제약상 허용 가능한 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PCSK9에 의해 매개되는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이 본원에 개시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제약상 허용 가능한 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PCSK9에 의해 매개되는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이 본원에 개시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제약상 허용 가능한 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PCSK9에 의해 매개되는 질환 또는 장애를 예방하는 방법이 본원에 개시된다. PCSK9의 억제를 통한 심혈관 사건의 예방은 예를 들어, 문헌[Robinson et al., Artherosclerosis 2015 243:593-597]에 기술되어 있다.
예시적인 심혈관 질환 및 병태는 이상지질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고중성지방혈증, 고지혈증, 저알파지단백혈증, 대사 증후군, 당뇨 합병증, 죽상동맥경화증, 뇌졸중, 혈관성 치매, 만성 신장 질환, 관상심장 질환, 관상동맥 질환, 망막병증, 염증, 혈전증, 말초 혈관 질환 또는 울혈성 심부전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특정 구현예에서, 예시적인 심혈관 질환 및 병태는 고콜레스테롤혈증, 고지혈증, 고지질단백혈증, 고중성지방혈증, 이상지질혈증, 이상지질단백혈증, 죽상동맥경화증, 간 지방증, 대사 증후군 및 관상동맥 질환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특정 구현예에서, 질환은 고콜레스테롤혈증, 예컨대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또는 상염색체 우성 고콜레스테롤혈증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질환은 고지질혈증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질환은 관상동맥 질환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개시된 치료 방법은 LDL-콜레스테롤 및 VLDL-콜레스테롤과 같은 순환하는 혈청 콜레스테롤의 높은 수준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개시된 방법은 순환 혈청 중성지방, 순환 혈청 지단백질 A, 순환 혈청 LDL 및 죽종형성 지단백질을 감소시키는 데 유용하다. 특정 구현예에서, 개시된 화합물 및 조성물로 치료되는 질환 또는 병태는 죽상동맥경화증 및 죽상동맥경화성 플라크 형성을 포함한다. PCSK9 유전자에서 기능 획득 돌연변이를 갖는 대상체는 또한 PCSK9의 억제를 통해 돌연변이에 대응하는 개시된 화합물 및 조성물로 치료하는 것이 유익하다.
PCSK9의 억제는 또한 대상체에서 패혈증을 치료하는 데 치료적 이익을 보여주었다. 패혈성 쇼크는 제어되지 않는 전신성 염증 반응 및 후속 기관 부전을 유발하는 심각한 미생물 감염(패혈증)의 종종 치명적인 합병증이다. 패혈증은 지질다당류(LPS; 그람 음성 박테리아)와 같은 병원성 지질 모이어티를 함유하는 미생물 세포벽에서 발생된다. LPS는 포유동물의 선천적 면역 수용체[톨 유사 수용체(TLR)]에 대한 강력한 리간드이므로 패혈성 염증 반응(패혈성 쇼크 또는 패혈증)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PCSK9는 간의 LDL 수용체에 의한 LPS 흡수를 줄여서, 유리 LPS가 패혈증을 유발하는 병원체에 대한 신체의 면역 반응을 과도하게 자극한다. PCSK9를 억제하는 것은 간 LDL 수용체를 유지하여 패혈증에 대한 전신 병원체 제거 및 해독을 달성하는 데 유익하다(예를 들어, 문헌[Walley et al Sci. Translat. Med. 2014 6:1-10] 참고).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제약상 허용 가능한 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를 치료하는 방법이 본원에 개시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개시된 치료 방법은 LPS 흡수를 증가시키는 데 유용하다. 특정 구현예는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에 의해 유도된 염증 반응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병용 치료
개시된 화합물 및 조성물은 높은 수준의 LDL 및 중성지방의 치료에 적합한 다른 작용제와 같은 다른 치료제와 함께 투여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하나 이상의 추가 치료제를 본 발명의 화합물과 함께 투여하는 것은 상승 효과를 제공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하나 이상의 추가 치료제를 공동 투여하는 것은 부가 효과를 제공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PCSK9에 의해 매개되는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은 PCSK9 억제제를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제(들)와 공동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PCSK9 억제제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이다. 다른 치료제는 알리로쿠맙, 에볼로쿠맙, 보코시주맙, RG7652, LY3015014 및 mAb316P와 같은 단클론 항체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예시적인 항체는 WO/2015/140079, WO/2015/142668, WO/2015/123423, WO/2015/073494, WO/2015/054619, WO/2014/197752, WO/2014/194111, WO/2014/194168, WO/2014/028354, WO/2013/039969, WO/2013/016648, WO/2012/101251, WO/2012/101253, WO/2012/101252, WO/2014/209384, WO/2014/150983, WO/2014/144080, WO/2013/166448, WO/2012/154999, WO/2013/008185, WO/2015/200438, WO/2014/107739, WO/2013/188855, WO/2013/169886, WO/2013/148284, WO/2013/091103, WO/2013/039958, WO/2012/177741, WO/2012/168491, WO/2012/170607, WO/2012/109530, WO/2012/088313, WO/2012/054438, WO/2011/072263, WO/2011/053759, WO/2011/053783, 및 WO/2011/037791에 기술된 것들을 포함한다. 개시된 화합물 및 조성물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치료제는 베르베린 및 퀘르세틴과 같은 콜레스테롤 저하 활성으로 알려진 식물성 알칼로이드 및 플라바노이드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에제팀베 및 폴리코사놀과 같은 콜레스테롤 저하 소분자는 추가 치료제로서 투여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BMS-962476 및 피브로넥틴 기반의 스캐폴드 도메인 단백질과 같은 폴리펩티드는 개시된 화합물 및 조성물과 조합하여 투여될 수 있다. 추가의 예시적인 화합물은 WO/2014/150326, WO/2014/150395, WO/2014/139008, WO/2014/140210, WO/2014/127316, WO/2014/005224, WO/2013/177536, WO/2011/152508, WO/2011/130354, WO/2011/006000, 및 WO/2015/077154에 기술된 것들을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추가 치료제는 아토르바스타틴, 세리바스타틴, 플루바스타틴, 로바스타틴, 메바스타틴, 피타바스타틴, 프라바스타틴, 로수바스타틴 및 심바스타틴과 같은 스타틴일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개시된 화합물은 HMG-CoA 환원효소와 함께 투여될 수 있다.
임의의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가 본 발명의 병용 양태에서 사용될 수 있다. 3-하이드록시-3-메틸글루타릴-조효소 A(HMG-CoA)의 메발로네이트로의 전환은 콜레스테롤 생합성 경로의 초기 및 속도 제한 단계이다. 이 단계는 효소 HMG-CoA 환원효소에 의해 촉매된다. 스타틴은 HMG-CoA 환원효소가 이 전환을 촉매하는 것을 억제한다.
용어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는 효소 HMG-CoA 환원효소에 의해 촉매되는 하이드록시메틸글루타릴-조효소 A의 메발론산으로의 생물전환을 억제하는 화합물을 지칭한다. 이러한 억제는 표준 분석법(예를 들어, 문헌[Meth. Enzymol. 1981; 71:455-509] 및 그 안에 인용된 참고문헌)에 따라 당업자가 용이하게 결정한다. 다양한 이러한 화합물이 아래에서 기술되고 참조되지만, 다른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가 당업자에게 공지될 것이다. 미국 특허 제4,231,938호(이의 개시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됨)는 로수바스타틴과 같은 아스페르길루스 속에 속하는 미생물의 배양 후 단리된 특정 화합물을 개시한다. 또한, 미국 특허 제4,444,784호(이의 개시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됨)는 심바스타틴과 같은 전술한 화합물의 합성 유도체를 개시한다. 또한, 미국 특허 제4,739,073호(이의 개시 내용은 참고로 포함됨)는 플루바스타틴과 같은 특정 치환된 인돌을 개시한다. 또한, 미국 특허 제4,346,227호(이의 개시 내용은 참고로 포함됨)는 프라바스타틴과 같은 ML-236B 유도체를 개시한다. 또한, EP-491226A(이의 개시 내용은 참고로 포함됨)는 세리바스타틴과 같은 특정 피리딜디하이드록시헵텐산을 개시한다. 또한, 미국 특허 제5,273,995호(이의 개시 내용은 참고로 포함됨)는 아토르바스타틴과 같은 특정 6-[2-(치환된-피롤-1-일)알킬]피란-2-온 및 이의 임의의 제약상 허용 가능한 형태(즉, LIPITOR®)를 개시한다. 추가의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는 로수바스타틴 및 피타바스타틴을 포함한다.
본원에 참고로 포함되는 미국 특허 제5,273,995호에 개시된 아토르바스타틴 칼슘(즉, 아토르바스타틴 헤미칼슘)은 현재 Lipitor®로 판매된다.
스타틴은 또한 U.S. RE37,314 E에 개시된 로수바스타틴, EP 304063 BI 및 US 5,011,930에 개시된 피티바스타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되는 U.S. 4,444,784에 개시된 심바스타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되는 U.S. 5,502,199에 개시된 세리바스타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되는 U.S. 3,983,140에 개시된 메바스타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되는 U.S. 4,448,784 및 U.S. 4,450,171에 개시된 벨로스타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되는 U.S. 4,739,073에 개시된 플루바스타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되는 U.S. 4,804,770에 개시된 컴팩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되는 U.S. 4,231,938에 개시된 로바스타틴; 유럽 특허 출원 공개 제738510 A2호에 개시된 달바스타틴; 유럽 특허 출원 공개 제363934 Al호에 개시된 플루인도스타틴; 및 본원에 참고로 포함되는 U.S. 4,450,171에 개시된 디하이드로컴팩틴과 같은 화합물을 포함한다.
임의의 HMG-CoA 합성효소 억제제가 본 발명의 병용 양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용어 HMG-CoA 합성효소 억제제는 효소 HMG-CoA 합성효소에 의해 촉매되는 아세틸-조효소 A 및 아세토아세틸-조효소 A로부터 하이드록시메틸글루타릴-조효소 A로의 생합성을 억제하는 화합물을 지칭한다. 이러한 억제는 표준 분석법(문헌[Meth Enzymol. 1975; 35:155-160]: 문헌[Meth. Enzymol. 1985; 110:19-26] 및 그 안에 인용된 참고문헌)에 따라 당업자가 용이하게 결정한다. 다양한 이러한 화합물이 아래에서 기술되고 참조되지만, 다른 HMG-CoA 합성효소 억제제가 당업자에게 공지될 것이다. 미국 특허 제5,120,729호(이의 개시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됨)는 특정 베타-락탐 유도체를 개시한다. 미국 특허 제5,064,856호(이의 개시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됨)는 미생물(MF5253)을 배양하여 제조된 특정 스피로-락톤 유도체를 개시한다. 미국 특허 제4,847,271호(이의 개시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됨)는 특정 옥세탄 화합물, 예컨대 11-(3-하이드록시메틸-4-옥소-2-옥세타일)-3,5,7-트리메틸-2,4-운데카-디엔산 유도체를 개시한다.
HMG-CoA 환원효소 유전자 발현을 감소시키는 임의의 화합물은 본 발명의 병용 양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작용제는 DNA의 전사를 차단하는 HMG-CoA 환원효소 전사 억제제 또는 HMG-CoA 환원효소를 암호화하는 mRNA의 단백질로의 번역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는 번역 억제제일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은 전사 또는 번역에 직접 영향을 미칠 수 있거나, 또는 콜레스테롤 생합성 캐스케이드에서 하나 이상의 효소에 의한 전술한 활성을 갖는 화합물로 생체 내 변환될 수 있거나, 또는 전술한 활성을 갖는 이소프렌 대사체의 축적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은 부위-1 프로테아제(S1P)의 활성을 억제하거나 옥시스테롤 수용체를 작용시키거나 SCAP를 길항시켜 SREBP(스테롤 조절 요소 결합 단백질)의 수준을 감소시킴으로써 이 효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절은 표준 분석법(문헌[Meth. Enzymol. 1985; 110:9-19])에 따라 당업자가 용이하게 결정한다. 여러 화합물이 아래에서 기술되고 참조되지만, HMG-CoA 환원효소 유전자 발현의 다른 억제제가 당업자에게 공지될 것이다. 미국 특허 제5,041,432호(이의 개시 내용은 참고로 포함됨)는 특정 15-치환된 라노스테롤 유도체를 개시한다.
HMG-CoA 환원효소의 합성을 억제하는 다른 산소화된 스테롤은 문헌[E.l. Mercer (Prog.Lip. Res. 1993;32:357-416)]에서 논의된다.
CETP 억제제로서 활성을 갖는 임의의 화합물은 본 발명의 병용 요법 양태에서 제2 화합물로서 작용할 수 있다. 용어 CETP 억제제는 HDL로부터 LDL 및 VLDL로의 콜레스테릴 에스테르 전달 단백질(CETP) 매개된 다양한 콜레스테릴 에스테르 및 중성지방의 수송을 억제하는 화합물을 지칭한다. 이러한 CETP 억제 활성은 표준 분석법(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6,140,343호)에 따라 당업자가 용이하게 결정한다. 다양한 CETP 억제제는 당업자에게 공지될 것이고,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양도된 미국 특허 제6,140,343호 및 통상적으로 양도된 미국 특허 제6,197,786호에 개시된 것이다. 또한, CETP 억제제는 미국 특허 제6,723,752호에 기술되어 있고, 이는 (2R)-3-{[3-(4-클로로-3-에틸-페녹시)-페닐]-[[3-(1,1,2,2-테트라플루오로-에톡시)-페닐]-메틸]-아미노}-1,1,1-트리플루오로-2-프로판올을 비롯한 다수의 CETP 억제제를 포함한다. 또한, 본원에 포함된 CETP 억제제는 2004년 3월 23일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10/807838호에 기술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5,512,548호는 CETP 억제제로서 활성을 갖는 특정 폴리펩티드 유도체를 개시하며, 한편, 특정 CETP 억제성 로세노노락톤 유도체 및 콜레스테릴 에스테르의 포스페이트 함유 유사체가 각각 문헌[J. Antibiot, 49(8) 815-816 (1996)] 및 문헌[Bioorg. Med. Chem. Lett.; 6:1951-1954 (1996)]에 개시되어 있다.
임의의 PPAR 조절제가 본 발명의 병용 양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용어 PPAR 조절제는 포유동물, 특히 인간에서 퍼옥시좀 증식체 활성체 수용체(PPAR) 활성을 조절하는 화합물을 지칭한다. 이러한 조절은 문헌에 공지된 표준 분석법에 따라 당업자가 용이하게 결정한다. 이러한 화합물은 PPAR 수용체를 조절함으로써 지질 및 글루코스 대사에 수반되는 핵심 유전자의 전사, 예컨대 지방산 산화 및 고밀도 지단백질(HDL) 어셈블리에 수반되는 것의 전사(예를 들어 아포지단백질 Al 유전자 전사)를 조절하여 체내 전체 지방을 감소시키고 HDL 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들의 활성 때문에, 이들 화합물은 포유동물, 특히 인간에서 중성지방, VLDL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및 이의 관련된 구성성분, 예컨대 아포지단백질 B의 혈장 수준도 감소시키면서 HDL 콜레스테롤 및 아포지단백질 A1을 증가시킨다. 이런 이유로, 이들 화합물은 죽상동맥경화증 및 심혈관 질환(저알파지단백질혈증 및 고중성지방혈증 포함)의 발병 및 발생과 관련되는 것으로 관찰되는 다양한 이상지질혈증의 치료 및 교정에 유용하다. 다양한 이러한 화합물이 아래에서 기술되고 참조되지만, 다른 것들이 당업자에게 공지될 것이다. 국제 출원 제WO 02/064549호 및 제02/064130호 및 2003년 11월 24일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10/720942호 및 2004년 3월 10일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60/552114호(이의 개시내용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됨)는 PPARa 활성화제인 특정 화합물을 개시한다.
임의의 다른 PPAR 조절제가 본 발명의 병용 양태에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PPARp 및/또는 PPARy의 조절제가 본 발명의 화합물과 조합되어 유용할 수 있다. PPAR 억제제의 예는 US 2003/0225158에 {5-메톡시-2-메틸-4-[4-(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옥시)-벤질설파닐]-페녹시}-아세트산으로서 기술되어 있다.
임의의 MTP/아포 B(마이크로좀 중성지방 전달 단백질 및/또는 아포지단백질 B) 분비 억제제가 본 발명의 병용 양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용어 MTP/아포 B 분비 억제제는 중성지방, 콜레스테릴 에스테르 및 인지질의 분비를 억제하는 화합물을 지칭한다. 이러한 억제는 표준 분석법(예를 들어 문헌[Wetterau, J. R. 1992; Science 258:999])에 따라 당업자가 용이하게 결정한다. 임플리타피드(Bayer) 및 추가 화합물, 예컨대 WO 96/40640 및 WO 98/23593(2개의 예시적 공보)에 개시된 것을 비롯한 다양한 MTP/아포 B 분비 억제제가 당업자에게 공지될 것이다.
임의의 스쿠알렌 합성효소 억제제가 본 발명의 병용 양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용어 스쿠알렌 합성효소 억제제는 효소 스쿠알렌 합성효소에 의해 촉매되는 스쿠알렌을 형성하는 2개의 분자의 파르네실피로포스페이트의 축합반응을 억제하는 화합물을 지칭한다. 이러한 억제는 표준 분석법(문헌[Meth. Enzymol. 1969; 15: 393-454] 및 문헌[Meth. Enzymol. 1985; 110:359-373] 및 그 안에 포함된 참고문헌)에 따라 당업자가 용이하게 결정한다. 다양한 이러한 화합물이 아래에서 기술되고 참조되지만, 다른 스쿠알렌 합성효소 억제제가 당업자에게 공지될 것이다. 미국 특허 제5,026,554호(이의 개시내용이 참고로 포함됨)는 자라코즈산(zaragozic acid)을 비롯한 미생물 MF5465(ATCC 74011)의 발효 생성물을 개시한다. 다른 특허 스쿠알렌 합성효소 억제제의 요약이 집대성되었다(문헌[Curr. Op. Then Patents (1993) 861-4]).
임의의 스쿠알렌 에폭시다제 억제제가 본 발명의 병용 양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용어 스쿠알렌 에폭시다제 억제제는 효소 스쿠알렌 에폭시다제에 의해 촉매되는 스쿠알렌 및 분자 산소의 스쿠알렌-2,3-에폭사이드로의 생물 전환을 억제하는 화합물을 지칭한다. 이러한 억제는 표준 분석법(문헌[Biochim. Biophys. Acta 1984; 794:466-471])에 따라 당업자가 용이하게 결정한다. 다양한 이러한 화합물이 아래에서 기술되고 참조되지만, 다른 스쿠알렌 에폭시다제 억제제가 당업자에게 공지될 것이다. 미국 특허 제5,011,859호 및 제5,064,864호(이의 개시내용이 참고로 포함됨)는 스쿠알렌의 특정 플루오로 유사체를 개시한다. EP 공개 제395,768 A호(이의 개시내용이 참고로 포함됨)는 특정 치환된 알릴아민 유도체를 개시한다. PCT 공개 제WO 9312069 A호(이의 개시내용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됨)는 특정 아미노 알코올 유도체를 개시한다. 미국 특허 제5,051,534호(이의 개시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됨)는 특정 시클로프로필옥시-스쿠알렌 유도체를 개시한다.
임의의 스쿠알렌 시클라제 억제제가 제2 구성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병용 양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용어 스쿠알렌 시클라제 억제제는 효소 스쿠알렌 시클라제에 의해 촉매되는 스쿠알렌-2,3-에폭사이드의 라노스테롤로의 생물 전환을 억제하는 화합물을 지칭한다. 이러한 억제는 표준 분석법(문헌[FEBS Lett. 1989; 244:347-350])에 따라 당업자가 용이하게 결정한다. 또한, 아래에서 기술되고 참조된 화합물은 스쿠알렌 시클라제 억제제이나, 다른 스쿠알렌 시클라제 억제제가 당업자에게 공지될 것이다. Pd 공개 제WO9410150호(이의 개시내용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됨)은 특정 1,2,3,5,6,7,8,8a-옥타하이드로-5,5,8(베타)-트리메틸-6-이소퀴놀린아민 유도체, 예컨대 N-트리플루오로아세틸-1,2,3,5,6,7,8,8a-옥타하이드로-2-알릴-5,5,8(베타)-트리메틸-6(베타)-이소퀴놀린아민을 개시한다. 프랑스 특허 공개 제2697250호(이의 개시내용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됨)는 특정 베타, 베타-디메틸-4-피페리딘 에탄올 유도체, 예컨대 1-(1,5,9-트리메틸데실)-베타,베타-디메틸-4-피페리딘에탄올을 개시한다.
임의의 조합된 스쿠알렌 에폭시다제/스쿠알렌 시클라제 억제제가 제2 구성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병용 양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용어 조합된 스쿠알렌 에폭시다제/스쿠알렌 시클라제 억제제는 스쿠알렌의 스쿠알렌-2,3-에폭사이드 중간체를 통한 라노스테롤로의 생물 전환을 억제하는 화합물을 지칭한다. 일부 분석법에서, 스쿠알렌 에폭시다제 억제제와 스쿠알렌 시클라제 억제제 간의 구별이 가능하지 않다; 그러나 이러한 분석법은 당업자가 인정한다. 그러므로 조합된 스쿠알렌 에폭시다제/스쿠알렌 시클라제 억제제에 의한 억제는 스쿠알렌 시클라제 또는 스쿠알렌 에폭시다제 억제제에 대한 전술한 표준 분석법에 따라 당업자가 용이하게 결정한다. 다양한 이러한 화합물이 아래에서 기술되고 참조되지만, 다른 스쿠알렌 에폭시다제/스쿠알렌 시클라제 억제제가 당업자에게 공지될 것이다. 미국 특허 제5,084,461호 및 제5,278,171호(이의 개시내용이 참고로 포함됨)는 특정 아자데칼린 유도체를 개시한다. EP 공개 제468,434호(이의 개시내용이 참고로 포함됨)는 특정 피페리딜 에테르 및 티오-에테르 유도체, 예컨대 2-(1-피페리딜)펜틸 이소펜틸 설폭사이드 및 2-(1-피페리딜)에틸 에틸 설파이드를 개시한다. PCT 공개 제WO 9401404호(이의 개시내용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됨)는 특정 아실-피페리딘, 예컨대 1-(1-옥소펜틸-5-페닐티오)-4-(2-하이드록시-1-메틸)-에틸)피페리딘을 개시한다. 미국 특허 제5,102,915호(이의 개시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됨)는 특정 시클로프로필옥시-스쿠알렌 유도체를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혈장 콜레스테롤 수준을 낮추는 작용을 하는 자연 발생 화합물과 조합하여 투여될 수 있다. 이들 자연 발생 화합물은 통상적으로 기능식품(nutraceutical)으로 지칭되고, 예를 들어 마늘 추출물 및 니아신을 포함한다. 서방형의 니아신이 입수 가능하고, 니아스판(Niaspan)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니아신은 다른 치료제, 예컨대 로바스타틴, 또는 또 다른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와 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로바스타틴과의 병용 요법은 애드비코르(ADVICOR™, Kos Pharmaceuticals Inc.)로 알려져 있다.
임의의 콜레스테롤 흡수 억제제가 추가 화합물로서 본 발명의 병용 양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용어 콜레스테롤 흡수 억제는 장의 루멘 내에 함유되는 콜레스테롤을 장내 세포로 진입 및/또는 장내 세포 내로부터 림프계 및/또는 혈류로 통과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화합물의 능력을 지칭한다. 이러한 콜레스테롤 흡수 억제 활성은 표준 분석법(예를 들어, 문헌[J. Lipid Res. (1993) 34: 377-395])에 따라 당업자가 용이하게 결정한다. 콜레스테롤 흡수 억제제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어 PCT WO 94/00480에 기술되어 있다. 콜레스테롤 흡수 억제제의 예는 제티아(ZETIA ™)(에제티미브)(Schering- Plough/Merck)이다.
임의의 ACAT 억제제가 본 발명의 병용 요법 양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용어 ACAT 억제제는 효소 아실 CoA:콜레스테롤 아실전달효소에 의한 식이 콜레스테롤의 세포 내 에스테르화를 억제하는 화합물을 지칭한다. 이러한 억제는 표준 분석법, 예컨대 문헌[Heider et al. Journal of Lipid Research., 24:1127 (1983)]에 따라 당업자가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이러한 화합물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510,379호는 특정 카르복시설포네이트를 개시하는 한편, WO 96/26948 및 WO 96/10559는 ACAT 억제 활성을 갖는 우레아 유도체를 개시한다. ACAT 억제제의 예는 화합물, 예컨대 아바시미베(Pfizer), CS-505(Sankyo) 및 에플루시미베(Eli Lilly and Pierre Fabre)를 포함한다.
리파제 억제제가 본 발명의 병용 요법 양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리파제 억제제는 식이 중성지방 또는 혈장 인지질의 유리 지방산 및 상응하는 글리세리드(예를 들어 EL, HL 등)로의 대사성 절단을 억제하는 화합물이다. 정상적 생리 조건 하에, 지방분해는 리파제 효소의 활성화된 세린 잔기의 아실화를 수반하는 2단계의 과정을 통해 일어난다. 이는 지방산-리파제 헤미아세탈 중간체의 생성을 초래하고, 이어서 이는 절단되어 디글리세리드를 방출한다. 추가적 탈아실화 후에, 리파제-지방산 중간체가 절단되어 유리 리파제, 글리세리드 및 지방산을 야기한다. 장에서, 생성된 유리 지방산 및 모노글리세리드는 담즙산-인지질 미셀로 혼입되고, 이는 후속적으로 소장의 브러시 보더(brush border)의 수준에서 흡수된다. 미셀은 결국 유미지립으로서 말초 순환에 진입한다. 이러한 리파제 억제 활성은 표준 분석법(예를 들어, 문헌[Methods Enzymol. 286: 190-231])에 따라 당업자가 용이하게 결정한다.
췌장의 리파제는 1- 및 3-탄소 위치에서 중성지방로부터 지방산의 대사성 절단을 매개한다. 섭취된 지방 대사의 1차 부위는 일반적으로 상부 소장에서 지방의 분해를 위해 필요한 과량으로 분비되는 췌장의 리파제에 의해 십이지장 및 근위 공장에 있다. 췌장의 리파제가 식이 중성지방의 흡수를 위해 요구되는 주요 효소이기 때문에, 억제제는 비만 및 다른 관련 병태의 치료에 있어서 유용성을 갖는다. 이러한 췌장의 리파제 억제 활성은 표준 분석법(예를 들어, 문헌[Methods Enzymol. 286: 190-231])에 따라 당업자가 용이하게 결정한다.
위의 리파제는 약 10 내지 40%의 식이성 지방의 소화를 담당하는 면역학적으로 구분되는 리파제이다. 위의 리파제는 기계적 자극, 음식 섭취, 지방이 많은 음식의 존재에 대해 또는 교감신경제에 의해 분비된다. 섭취된 지방의 위의 지방분해는 장에서 췌장의 리파제 활성을 촉발시키는 데 필요한 지방산의 공급에 있어서 생리적으로 중요하고, 또한 췌장부전증에 관련된 다양한 생리적 및 병리적 병태에서 지방 흡수를 위하여 중요하다. 예를 들어, 문헌[C.K. Abrams, et al., Gastroenterology, 92,125 (1987)] 참고. 이러한 위의 리파제 억제 활성은 표준 분석법(예를 들어, 문헌[Methods Enzymol. 286: 190-231])에 따라 당업자가 용이하게 결정한다.
다양한 위의 리파제 억제제 및/또는 췌장의 리파제 억제제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바람직한 리파제 억제제는 립스타틴, 테트라하이드로립스타틴(오를리스타트), 발리락톤, 에스테라스틴, 에베락톤 A 및 에베락톤 B로부터 선택된다. 화합물 테트라하이드로립스타틴이 특히 바람직하다. 리파제 억제제인 N-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N'-3-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우레아 및 그에 관련된 다양한 우레아 유도체가 미국 특허 제4,405,644호에 개시되어 있다. 리파제 억제제인 에스테락신이 미국 특허 제4,189,438호 및 제4,242,453호에 개시되어 있다. 리파제 억제제인 시클로-O,O'-[(1,6-헥산디일)-비스-(이미노카르보닐)]디옥심 및 그에 관련된 다양한 비스(이미노카르보닐)디옥심이 문헌[Petersen et al., Liebig's Annalen, 562, 205-229 (1949)]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다양한 췌장의 리파제 억제제가 본원에 아래에 기술되어 있다. 췌장의 리파제 억제제 립스타틴, (2S, 3S, 5S, 7Z, 10Z)-5-[(S)-2-포름아미도-4-메틸-발레릴옥시]-2-헥실-3-하이드록시-7,10-헥사데칸산 락톤, 및 테트라하이드로립스타틴(오를리스타트), (2S, 3S, 5S)-5-[(S)-2-포름아미도-4-메틸-발레릴옥시]-2-헥실-3-하이드록시-헥사데카노익 1,3 산 락톤, 및 이의 다양하게 치환된 N-포르밀류신 유도체 및 입체 이성질체가 미국 특허 제4,598,089호에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테트라하이드로립스타틴은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274,143호; 제5,420,305호; 제5,540,917호; 및 제5,643,874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된다. 췌장의 리파제 억제제, FL-386, 1-[4-(2-메틸프로필)시클로헥실]-2-[(페닐설포닐)옥시]-에탄온, 및 이에 관련된 다양하게 치환된 설포네이트 유도체가 미국 특허 제4,452,813호에 개시되어 있다. 췌장의 리파제 억제제, WAY-121898, 4-페녹시페닐-4-메틸피페리딘-1-일-카복시레이트, 및 이에 관련된 다양한 카바메이트 에스테르 및 제약상 허용되는 염이 미국 특허 제5,512,565호; 제5,391,571호; 및 제5,602,151호에 개시되어 있다. 췌장의 리파제 억제제, 발리락톤, 및 방선균류 균주 MG147-CF2의 미생물 배양에 의한 이의 제조 방법이 문헌[Kitahara, et al., J. Antibiotics, 40 (11), 1647-1650 (1987)]에 개시되어 있다. 췌장의 리파제 억제제, 에베락톤 A 및 에베락톤 B, 및 방선균류 균주 MG7-G1의 미생물 배양에 의한 이의 제조 방법이 문헌[Umezawa, et al., J. Antibiotics, 33, 1594-1596 (1980)]에 개시되어 있다. 모노글리세리드 형성 억제에 있어서 에베락톤 A 및 B의 용도는 1996년 6월 4일 공개된 일본 특허출원공개 제08-143457호에 개시되어 있다.
고콜레스테롤혈증을 비롯한 고지질혈증을 위해 시판 중이고 죽상동맥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를 보조하도록 의도된 다른 화합물은 담즙산 격리제, 예컨대 웰콜(Welchol®), 콜레스티드(Colestid®), 로콜레스트(LoCholest®) 및 퀘스트란(Questran®); 및 피브르산 유도체, 예컨대 아트로미드(Atromid®), 로피드(Lopid®) 및 트리코르(Tricor®)를 포함한다.
당뇨병과 죽상동맥경화증(예를 들어 대사증후군) 사이의 연관성을 고려해볼 때,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항당뇨병 화합물과 함께 투여될 수 있다. 당뇨병은 치료적 유효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을 당뇨병을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작용제(예를 들어 인슐린)와 조합하여, 당뇨병(특히 제II형), 인슐린 저항성, 손상된 글루코스 내성, 대사증후군 등, 또는 임의의 당뇨 합병증, 예컨대 신경병증, 신증, 망막증 또는 백내장을 앓는 환자에게 투여함으로써 치료될 수 있다. 이는 본원에 기술된 항당뇨병제(및 특정 작용제)의 부류를 포함한다.
임의의 글리코겐 포스포릴라제 억제제가 본 발명의 화합물과 조합하여 제2 작용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용어 글리코겐 포스포릴라제 억제제는 효소 글리코겐 포스포릴라제에 의해 촉매되는 글리코겐의 글루코스-1-포스페이트로의 생물 전환을 억제하는 화합물을 지칭한다. 이러한 글리코겐 포스포릴라제 억제 활성은 표준 분석법(예를 들어 문헌[J. Med. Chem. 41 (1998) 2934-2938])에 따라 당업자가 용이하게 결정한다. 다양한 글리코겐 포스포릴라제 억제제는 WO 96/39384 및 WO 96/39385에 기술된 것을 비롯하여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임의의 알도스 환원효소 억제제가 본 발명의 화합물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용어 알도스 환원효소 억제제는 효소 알도스 환원효소에 의해 촉매되는 글루코스의 소르비톨로의 생물 전환을 억제하는 화합물을 지칭한다. 알도스 환원효소 억제는 표준 분석법(예를 들어 문헌[J. Malone, Diabetes, 29:861-864 (1980). "Red Cell Sorbitol, an Indicator of Diabetic Control"])에 따라 당업자가 용이하게 결정한다. 다양한 알도스 환원효소 억제제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고, 예컨대 6-(5-클로로-3-메틸-벤조퓨란-2-설포닐)-2H-피리다진-3-온을 비롯한 미국 특허 제6,579,879호에 기술된 것이다.
임의의 소르비톨 탈수소효소 억제제가 본 발명의 화합물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용어 소르비톨 탈수소효소 억제제는 효소 소르비톨 탈수소효소에 의해 촉매되는 소르비톨의 프룩토스로의 생물 전환을 억제하는 화합물을 지칭한다. 이러한 소르비톨 탈수소효소 억제제 활성은 표준 분석법(예를 들어 문헌[Analyt. Biochem (2000) 280: 329-331])에 따라 당업자가 용이하게 결정한다. 다양한 소르비톨 탈수소효소 억제제는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728,704호 및 제5,866,578호는 화합물, 및 효소 소르비톨 탈수소효소를 억제함으로써 당뇨 합병증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임의의 글루코시다제 억제제가 본 발명의 화합물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글루코시다제 억제제는 글리코시드 가수분해효소, 예를 들어 아밀라제 또는 말타제에 의한 생물학적으로 이용 가능한 단당류, 예를 들어 글루코스로의 복합 탄수화물의 효소적 가수분해를 억제한다. 특히 고수준의 탄수화물의 섭취 후에, 글루코시다제의 신속한 대사 작용은 식이성 고혈당증의 상태를 야기하고, 이는 지방 조직 또는 당뇨성 대상체에서, 인슐린의 증진된 분비, 증가된 지방 합성 및 지방 분해의 감소를 초래한다. 이러한 고혈당증에 이어, 존재하는 증가된 수준의 인슐린으로 인해 저혈당증이 종종 발생한다. 또한, 위에 남아 있는 유미는 위액의 생성을 촉진하며, 이는 위염 또는 십이지장 궤양의 발달을 개시하거나 촉진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글루코시다제 억제제는 위를 통한 탄수화물의 통과를 가속시키고 장으로부터 글루코스의 흡수를 억제하는 데 유용하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탄수화물의 지방 조직의 지질로의 전환 및 식이성 지방의 지방 조직 침전물로의 후속적 혼입은 이로부터 야기되는 유해한 비정상의 감소 또는 방지의 수반되는 이익과 함께, 감소되거나 지연된다. 이러한 글루코시다제 억제 활성은 표준 분석법(예를 들어 문헌[Biochemistry (1969) 8: 4214])에 따라 당업자가 용이하게 결정한다.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글루코시다제 억제제는 아밀라제 억제제를 포함한다. 아밀라제 억제제는 전분 또는 글리코겐의 말토스로의 효소적 분해를 억제하는 글루코시다제 억제제이다. 이러한 아밀라제 억제 활성은 표준 분석법(예를 들어 문헌[Methods Enzymol. (1955) 1: 149])에 따라 당업자가 용이하게 결정한다. 이러한 효소적 분해의 억제는 글루코스 및 말토스를 비롯한 생물학적으로 이용 가능한 당의 양을 감소시키고 이로부터 야기된 수반되는 유해한 병태에 있어서 유익하다.
다양한 글루코시다제 억제제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고, 예가 하기에 제공되어 있다. 바람직한 글루코시다제 억제제는 아카보스, 아디포신, 보글리보스, 미글리톨, 에미글리테이트, 카미글리보스, 텐다미스테이트, 트레스타틴, 프라디미신-Q 및 살보스타틴으로부터 선택된다. 글루코시다제 억제제인 아카보스, 및 이에 관련된 다양한 아미노 당 유도체가 각각 미국 특허 제4,062,950호 및 제4,174,439호에 개시되어 있다. 글루코시다제 억제제인 아디포신은 미국 특허 제4,254,256호에 개시되어 있다. 글루코시다제 억제제인 보글리보스, 3,4-디데옥시-4-[[2-하이드록시-1-(하이드록시메틸)에틸]아미노]-2-C-(하이드록시메틸)-D-에피-이노시톨), 및 이에 관련된 다양한 N-치환된 슈도-아미노 당이 미국 특허 제4,701,559호에 개시되어 있다. 글루코시다제 억제제인 미글리톨, (2R,3R,4R,5S)-1-(2-하이드록시에틸)-2-(하이드록시메틸)-3,4,5-피페리딘트리올), 및 이에 관련된 다양한 3,4,5-트리하이드록시피페리딘이 미국 특허 제4,639,436호에 개시되어 있다. 글루코시다제 억제제인 에미글리테이트, 에틸 p-[2-[(2R,3R,4R,5S)-3,4,5-트리하이드록시-2-(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디노]에톡시]-벤조에이트), 및 이에 관련된 다양한 유도체 및 이의 제약상 허용 가능한 산 부가 염이 미국 특허 제5,192,772호에 개시되어 있다. 글루코시다제 억제제인 MDL-25637, 2,6-디데옥시-7-O-β-D-글루코피라노-실-2,6-이미노-D-글레세로-L-글루코-헵티톨), 이에 관련된 다양한 호모디사카라이드 및 이의 제약상 허용 가능한 산 부가 염이 미국 특허 제4,634,765호에 개시되어 있다. 글루코시다제 억제제인 카미글리보스, 메틸 6-데옥시-6-[(2R,3R,4R,5S)-3,4,5-트리하이드록시-2-(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디노]-a-D-글루코피라노시드 세스퀴하이드레이트, 이에 관련된 데옥시-노지리마이신 유도체, 이의 다양한 제약상 허용 가능한 염 및 이의 제조를 위한 합성법이 미국 특허 제5,157,116호 및 제5,504,078호에 개시되어 있다. 글루코시다제 억제제인 살보스타틴 및 이에 관련된 다양한 슈도사카라이드가 미국 특허 제5,091,524호에 개시되어 있다.
다양한 아밀라제 억제제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아밀라제 억제제인 텐다미스타트 및 이에 관련된 다양한 환형 펩티드가 미국 특허 제4,451,455호에 개시되어 있다. 아밀라제 억제제 AI-3688 및 이에 관련된 다양한 환형 폴리펩티드가 미국 특허 제4,623,714호에 개시되어 있다. 아밀라제 억제제인 트레스타틴(트레스타틴 A, 트레스타틴 B 및 트레스타틴 C의 혼합물로 구성됨) 및 이에 관련된 다양한 트레할로스 함유 아미노 당이 미국 특허 제4,273,765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과 조합하여 제2 작용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 추가적 항당뇨성 화합물은 예를 들어 다음을 포함한다: 비구아니드(예를 들어 메트포르민), 인슐린 분비 촉진제(예를 들어 설포닐우레아 및 글리니드), 글리타존, 비 글리타존 PPARy 효능제, PPARp 효능제, DPP-IV의 억제제, PDE5의 억제제, GSK-3의 억제제, 글루카곤 길항제, f-1,6-BPase의 억제제(Metabasis/Sankyo), GLP-1/유사체(AC 2993, 엑센딘-4로도 공지됨), 인슐린 및 인슐린 모방제(Merck natural products). 다른 예는 PKC-P 억제제 및 AGE 파괴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심혈관 작용제, 예컨대 항고혈압제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임의의 항고혈압제는 이러한 조합으로 제2 작용제로서 사용될 수 있고, 예는 본원에 제공된다. 이러한 항고혈압 활성은 표준 분석법(예를 들어 혈압 측정)에 따라 당업자가 용이하게 결정한다.
암로디핀 및 관련된 디하이드로피리딘 화합물은 강한 항허혈성 및 항고혈압제로서 참고로 본원에 포함된 미국 특허 제4,572,909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 미국 특허 제4,879,303호는 암로디핀 벤젠설포네이트 염(암로디핀 베실레이트로도 지칭됨)을 개시한다. 암로디핀 및 암로디핀 베실레이트는 강하고 지속성 있는 칼슘 채널 차단제이다. 이와 같이, 암로디핀, 암로디핀 베실레이트, 암로디핀 말레에이트 및 암로디핀의 다른 제약상 허용 가능한 산 부가 염은 항고혈압제 및 항허혈제로서 유용하다. 암로디핀 베실레이트는 현재 노바스크(Norvasc®)로 판매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칼슘 채널 차단제는 다음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베프리딜(미국 특허 제3,962, 238호 또는 미국 재발행 특허 제30,57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클레티아젬(미국 특허 제4,567,17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딜티아젬(미국 특허 제3,56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펜딜린(미국 특허 제3,262,97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갈로파밀(미국 특허 제3,261,85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미베프라딜(미국 특허 제4,808,60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프레닐아민(미국 특허 제3,152,17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세모티아딜(미국 특허 제4,786,63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테로딜린(미국 특허 제3,371,01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베라파밀(미국 특허 제3,261,85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아라니핀(미국 특허 제4,572,90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바니디핀(미국 특허 제4,220,64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베니디핀(유럽 특허 출원 공개 제106,27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클리니디핀(미국 특허 제4,672,06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에포니디핀(미국 특허 제4,885,28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엘고디핀(미국 특허 제4,952,59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펠로디핀(미국 특허 제4,264,61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이스라디핀(미국 특허 제4,466,97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라시디핀(미국 특허 제4,801,59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레카니디핀(미국 특허 제4,705,79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마니디핀(미국 특허 제4,892,87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니카디핀(미국 특허 제3,985,75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니페디핀(미국 특허 제3,485,84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닐바디핀(미국 특허 제4,338,32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니모디핀(미국 특허 제3,799,93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니솔디핀(미국 특허 제4,154,83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니트렌디핀(미국 특허 제3,799,93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신나리진(미국 특허 제2,882,27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플루나리진(미국 특허 제3,773,93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리도플라진(미국 특허 제3,267,10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로메리진(미국 특허 제4,663,32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벤시클랜(헝가리 특허 제151,86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에타파논(독일 특허 제1,265,75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및 퍼헥실린(영국 특허 제1,025,57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모든 이러한 미국 특허의 개시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항고혈압제를 함유하는 현재 판매 중인 제품의 예는 칼슘 채널 차단제, 예컨대 카디젬(Cardizem®), 아달랫(Adalat®), 칼란(Calan®), 카덴(Cardene®), 코베라(Covera®), 딜라코(Dilacor®), 디나시크(DynaCirc®), 프로카디아 엑스엘(Procardia XL®), 술라(Sular®), 티아작(Tiazac®), 바스코(Vascor®), 베렐란(Verelan®), 이솝틴(Isoptin®), 니모톱(Nimotop®), 노바스크(Norvasc®) 및 플렌딜(Plendil®);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ACE) 억제제, 예컨대 아쿠프릴(Accupril®), 알테이스(Altace®), 캅토프릴(Captopril®), 로텐신(Lotensin®), 마빅(Mavik®), 모노프릴(Monopril®), 프리니빌(Prinivil®), 유니바스크(Univasc®), 바소텍(Vasotec®) 및 제스트릴(Zestril®)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억제제(ACE 억제제)는 다음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알라세프릴(미국 특허 제4,248,88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베나제프릴(미국 특허 제4,410,52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캅토프릴(미국 특허 제4,046,889호 및 제4,105,77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세로나프릴(미국 특허 제4,452,79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델라프릴(미국 특허 제4,385,05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에날라프릴(미국 특허 제4,374,82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포시노프릴(미국 특허 제4,337,20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이마다프릴(미국 특허 제4,508,72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리시노프릴(미국 특허 제4,555,50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모벨토프릴(벨기에 특허 제893,55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페린도프릴(미국 특허 제4,508,72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퀴나프릴(미국 특허 제4,344,94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라미프릴(미국 특허 제4,587,25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스피라프릴(미국 특허 제4,470,97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테모카프릴(미국 특허 제4,699,90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및 트란돌라프릴(미국 특허 제4,933,36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모든 이러한 미국 특허의 개시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안지오텐신-II 수용체 길항제(A-II 길항제)는 다음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칸데사르탄(미국 특허 제5,196,44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에프로사르탄(미국 특허 제5,185,35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일베사르탄(미국 특허 제5,270,31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로사르탄(미국 특허 제5,138,06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및 발사르탄(미국 특허 제5,399,57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모든 이러한 미국 특허의 개시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베타-아드레날린 수용체 차단제(베타- 또는 β-차단제)는 다음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세부톨롤(미국 특허 제3,857,95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알프레놀롤(네덜란드 특허 제6,605,69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아모술라롤(미국 특허 제4,217,30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아로티놀롤(미국 특허 제3,932,40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아테놀롤(미국 특허 제3,663,607호 또는 제3,836,67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베푸놀롤(미국 특허 제3,853,92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베탁솔롤(미국 특허 제4,252,98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베반톨롤(미국 특허 제3,857,98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비소프롤롤(미국 특허 제4,171,37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보핀돌롤(미국 특허 제4,340,54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부쿠몰롤(미국 특허 제3,663,57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부페톨롤(미국 특허 제3,723,47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부푸랄롤(미국 특허 제3,929,83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부니트롤롤(미국 특허 제3,940,489호 및 제3,961,07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부프란돌롤(미국 특허 제3,309,40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부티리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프랑스 특허 제1,390,05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부토피롤롤(미국 특허 제4,252,82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카라졸롤(독일 특허 제2,240,59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카테올롤(미국 특허 제3,910,92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카베딜롤(미국 특허 제4,503,06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셀리프롤롤(미국 특허 제4,034,00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세타몰롤(미국 특허 제4,059,62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클로라놀롤(독일 특허 제2,213,04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딜레바롤(문헌[Clifton et al.,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1982, 25, 670]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에파놀롤(유럽 특허출원공개 제41,49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인데놀롤(미국 특허 제4,045,48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라베탈롤(미국 특허 제4,012,44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 레보부놀롤(미국 특허 제4,463,17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메핀돌롤(문헌[Seeman et al., Helv. Chim. Acta, Chim. Acta, 1971, 54, 24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메티프라놀롤(체코슬로바키아 특허출원 제128,47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메토프롤롤(미국 특허 제3,873,60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모프롤롤(미국 특허 제3,501,769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나돌롤(미국 특허 제3,935,26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나독솔롤(미국 특허 제3,819,70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네비발롤(미국 특허 제4,654,36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니프라딜롤(미국 특허 제4,394,38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옥스프레놀롤(영국 특허 제1,077,60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퍼부톨롤(미국 특허 제3,551,49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핀돌롤(스위스 특허 제469,002호 및 제472,40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프락톨롤(미국 특허 제3,408,38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프로네탈롤(영국 특허 제909,35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프로프라놀롤(미국 특허 제3,337,628호 및 제3,520,91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소탈롤(문헌[Uloth et al.,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1966, 9, 88]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설피날롤(독일 특허 제2,728,64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탈린돌(미국 특허 제3,935,259호 및 제4,038,31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테르타톨롤(미국 특허 제3,960,89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틸리솔롤(미국 특허 제4,129,56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티몰롤(미국 특허 제3,655,66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톨리프롤롤(미국 특허 제3,432,54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및 지베놀롤(미국 특허 제4,018,82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모든 이러한 미국 특허의 개시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알파-아드레날린 수용체 차단제(알파- 또는 a-차단제)는 다음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모설랄롤(미국 특허 제4,217,30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아로티놀롤(미국 특허 제3,932,40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다피프라졸(미국 특허 제4,252,72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독사조신(미국 특허 제4,188,39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펜스피리드(미국 특허 제3,399,19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인도라민(미국 특허 제3,527,76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라베톨롤(상기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나프토피딜(미국 특허 제3,997,66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니세르골린(미국 특허 제3,228,94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프라조신(미국 특허 제3,511,83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탐설로신(미국 특허 제4,703,06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톨라졸린(미국 특허 제2,161,93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트리마조신(미국 특허 제3,669,96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및 요힘빈(당업자에게 주지된 방법에 따라 자연적 공급원으로부터 단리될 수 있음). 모든 이러한 미국 특허의 개시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혈관 확장제"는 뇌혈관 확장제, 관상혈관 확장제 및 말초혈관 확장제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뇌혈관 확장제는 다음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벤시클랜(상기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신나리진(상기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시티콜린(문헌[Kennedy et al.,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1955, 77, 250]에 개시된 바와 같이 자연적 공급원으로부터 단리되거나 문헌[Kennedy,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1956, 222, 185]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합성될 수 있음); 시클란델레이트(미국 특허 제3,663,59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시클로니케이트(독일 특허 제1,910,48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디이소프로필아민 디클로로아세테이트(영국 특허 제862,24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에버나모닌(문헌[Hermann et al.,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1979, 101, 1540]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파수딜(미국 특허 제4,678,78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페녹세딜(미국 특허 제3,818,02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플루나리진(미국 특허 제3,773,93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이부딜라스트(미국 특허 제3,850,94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이펜프로딜(미국 특허 제3,509,16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로메리진(미국 특허 제4,663,32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나프로닐(미국 특허 제3,334,09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니카메테이트(문헌[Blicke et al.,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1942, 64, 1722]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니세르골린(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니모디핀(미국 특허 제3,799,93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파파베린(문헌[Goldberg, Chem. Prod. Chem. News, 1954, 17, 371]에서 리뷰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펜티필린(독일 특허 제860,21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티노페드린(미국 특허 제3,563,99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빈카민(미국 특허 제3,770,72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빈포세틴(미국 특허 제4,035,75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및 비퀴딜(미국 특허 제2,500,44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모든 이러한 미국 특허의 개시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관상혈관 확장제는 다음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모트리펜(미국 특허 제3,010,96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벤다졸(문헌[J. Chem. Soc. 1958, 2426]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벤푸로딜 헤미석시네이트(미국 특허 제3,355,46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벤지오다론(미국 특허 제3,012,04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클로라시진(영국 특허 제740,93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크로모나(미국 특허 제3,282,93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클로벤푸랄(영국 특허 제1,160,92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클로니트레이트(당업자에게 주지된 방법에 따라 프로판디올로부터 제조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문헌[Annalen, 1870, 155, 165] 참고); 클로리크로멘(미국 특허 제4,452,81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딜라젭(미국 특허 제3,532,685호에 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디피리다몰(영국 특허 제807,82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드로프레닐아민(독일 특허 제2,521,11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에플록세이트(영국 특허 제803,372호 및 제824,54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에리트리틸 테트라니트레이트(당업자에게 주지된 방법에 따라 에리트리톨의 질화에 의해 제조될 수 있음); 에타페논(독일 특허 제1,265,75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펜딜린(미국 특허 제3,262,97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플로레딜(독일 특허 제2,020,46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강글레펜(U.S.S.R. 제115,90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헥세트롤(미국 특허 제2,357,98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헥소벤딘(미국 특허 제3,267,10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이트라민 토실레이트(스위덴 특허 제168,30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켈린(문헌[Baxter et al., Journal of the Chemical Society, 1949, S 30]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리도플라진(미국 특허 제3,267,10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만니톨 헥사니트레이트(당업자에게 주지된 방법에 따라 만니톨의 질화에 의해 제조될 수 있음); 메디바진(미국 특허 제3,119,82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니트로글리세린;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니트레이트(당업자에게 주지된 방법에 따라 펜타에리트리톨의 질화에 의해 제조될 수 있음); 펜트리니트롤(독일 특허 제638,422-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퍼헥실린(상기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피메필린(미국 특허 제3,350,40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프레닐아민(미국 특허 제3,152,17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프로파틸 니트레이트(프랑스 특허 제1,103,11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트라피딜(동독일 특허 제55,95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트리크로밀(미국 특허 제2,769,01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트리메타지딘(미국 특허 제3,262,85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트롤니트레이트 포스페이트(당업자에게 주지된 방법에 따라, 트리에탄올아민의 질화 후에 인산으로 침전시켜 제조될 수 있음); 비스나딘(미국 특허 제2,816,118호 및 제2,980,69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모든 이러한 미국 특허의 개시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말초혈관 확장제는 다음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알루미늄 니코티네이트(미국 특허 제2,970,08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바메탄(문헌[Corrigan et al.,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1945, 67, 1894]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벤시클랜(상기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베타히스틴(문헌[Walter et al.;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1941, 63, 277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브라디키닌(문헌[Hamburg et al., Arch. Biochem. Biochem. Biophys., 1958, 76, 252]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브로빈카민(미국 특허 제4,146,64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부페니오드(미국 특허 제3,542,87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부플로메딜(미국 특허 제3,895,03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부탈아민(미국 특허 제3,338,89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세티에딜(프랑스 특허 제1,460,57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시클로니케이트(독일 특허 제1,910,48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시네파지드(벨기에 특허 제730,34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신나리진(상기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시클란델레이트(상기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디이소프로필아민 디클로로아세테이트(상기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엘레도이신(영국 특허 제984,81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페녹세딜(상기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플루나리진(상기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헤프로니케이트(미국 특허 제3,384,64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이펜프로딜(상기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일로프로스트(미국 특허 제4,692,46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이노시톨 니아시네이트(문헌[Badgett et al.,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1947, 69, 2907]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이속스수프린(미국 특허 제3,056,83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칼리딘(문헌[Biochem. Biophys. Res. Commun., 1961, 6, 210]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칼리크레인(독일 특허 제1,102,97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목시실라이트(독일 특허 제905,73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나프로닐(상기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니카메테이트(상기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니세르골린(상기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니코퓨라노스(스위스 특허 제366,52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닐리드린(미국 특허 제2,661,372호 및 제2,661,37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펜티필린(상기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펜톡시필린(미국 특허 제3,422,10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피리베딜(미국 특허 제3,299,06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프로스타글라딘 E-i(문헌[Merck Index, Twelfth Edition, Budaveri, Ed., New Jersey, 1996, p. 1353]에 언급된 임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음); 설록티딜(독일 특허 제2,334,40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톨라졸린(미국 특허 제2,161,93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및 잔티놀 니아시네이트(독일 특허 제1,102,750호 또는 문헌[Korbonits et al., Acta. Pharm. Hung., 1968, 38, 98]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모든 이러한 미국 특허의 개시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의 용어 "이뇨제"는 이뇨제 벤조티아디아진 유도체, 이뇨제 유기수은, 이뇨제 푸린, 이뇨제 스테로이드, 이뇨제 설폰아미드 유도체, 이뇨제 우라실 및 다른 이뇨제, 예컨대 아마노진(오스트리아 특허 제168,06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아밀로리드(벨기에 특허 제639,38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아부틴(문헌[Tschitschibabin, Annalen, 1930, 479, 303]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클로라자닐(오스트리아 특허 제168,06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에타크린산(미국 특허 제3,255,24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에토졸린(미국 특허 제3,072,65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하이드라카바진(영국 특허 제856,40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이소소비드(미국 특허 제3,160,64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만니톨; 메토칼콘(문헌[Freudenberg et al., Ber., 1957, 90, 957]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무졸리민(미국 특허 제4,018,89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퍼헥실린(상기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티크리나펜(미국 특허 제3,758,50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트리암테렌(미국 특허 제3,081,23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및 우레아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모든 이러한 미국 특허의 개시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이뇨제 벤조티아디아진 유도체는 다음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알티아지드(영국 특허 제902,65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벤드로플루메티아지드(미국 특허 제3,265,57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벤즈티아지드(문헌[McManus et al., 136th Am. Soc. Meeting (Atlantic City, September 1959), Abstract of papers, pp 13-0]); 벤질하이드로클로로티아지드(미국 특허 제3,108,09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부티아지드(영국 특허 제861,367호 및 제885,07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클로로티아지드(미국 특허 제2,809,194호 및 제2,937,16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클로르탈리돈(미국 특허 제3,055,90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시클로펜티아지드(벨기에 특허 제587,22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시클로티아지드(문헌[Whitehead et al., Journal of Organic Chemistry, 1961, 26, 2814]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에피티아지드(미국 특허 제3,009,91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에티아지드(영국 특허 제861,36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펜퀴존(미국 특허 제3,870,72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인다파미드(미국 특허 제3,565,91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하이드로클로로티아지드(미국 특허 제3,164,58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하이드로플루메티아지드(미국 특허 제3,254,07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메티클로티아지드(문헌[Close et al.,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1960, 82, 1132]에 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메티크랜(프랑스 특허 제M2790호 및 1,365,50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메톨라존(미국 특허 제3,360,51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파라플루티지드(벨기에 특허 제620,82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폴리티아지드(미국 특허 제3,009,91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퀴네타존(미국 특허 제2,976,28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테클로티아지드(문헌[Close et al.,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1960, 82, 1132]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및 트리클로르메티아지드(문헌[deStevens et al., Experientia, 1960, 16, 113]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모든 이러한 미국 특허의 개시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이뇨제 설폰아미드 유도체는 다음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세타졸아미드(미국 특허 제2,980,67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암부시드(미국 특허 제3,188,32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아조세미드(미국 특허 제3,665,00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부메타니드(미국 특허 제3,634,58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부타졸아미드(영국 특허 제769,75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클로르아미노펜아미드(미국 특허 제2,809,194호, 제2,965,655호 및 제2,965,65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클로펜아미드(문헌[Olivier, Rec. Trav. Chim., 1918, 37, 307]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클로파미드(미국 특허 제3,459,75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클로렉솔론(미국 특허 제3,183,24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디설파미드(영국 특허 제851,28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에톡솔아미드(영국 특허 제795,17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퓨로세미드(미국 특허 제3,058,88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메프루시드(미국 특허 제3,356,69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메타졸아미드(미국 특허 제2,783,24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피레타니드(미국 특허 제4,010,27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토라세미드(미국 특허 제4,018,92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트리파미드(일본 특허 제73 05,58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및 지파미드(미국 특허 제3,567,77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음). 모든 이러한 미국 특허의 개시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과의 조합을 위한 다른 추가 작용제는 본원에 참고로 포함되는 WO2016/055901에 기술된 PCSK9 번역 억제제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추가 치료제는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 HMG-CoA 합성효소 억제제, HMG-CoA 환원효소 유전자 발현 억제제, HMG-CoA 합성효소 유전자 발현 억제제, MTP/아포 B 분비 억제제, CETP 억제제, 담즙산 흡수 억제제, 콜레스테롤 흡수 억제제, 콜레스테롤 합성 억제제, 스쿠알렌 합성효소 억제제, 스쿠알렌 에폭시다제 억제제, 스쿠알렌 시클라제 억제제, 스쿠알렌 에폭시다제/스쿠알렌 시클라제 조합 억제제, 피브레이트, 니아신, 니아신 및 로바스타틴의 조합, 이온 교환 수지, 항산화제, ACAT 억제제, 담즙산 격리제 및 PCSK9 번역 억제제를 포함한다.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의 치료를 위하여, 개시된 방법은 항생제와 같은 추가 치료제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항생제는 아미노글리코시드, 예컨대(그러나 다음으로 한정되지 않음) 카나마이신, 아미카신, 토브라마이신, 디베카신, 겐타마이신, 시소마이신, 네틸마이신, 스트렙토마이신, 및 네오마이신 B, C 및 E이다. 다른 항생제는 카르바페넴, 예컨대(그러나 다음으로 한정되지 않음) 이미페눔, 메로페눔, 에르타페넴, 도리페눔, 파니페눔, 비아페넴, 라수페눔, 테비페눔, 레나페눔, 토모페눔, 및 티엔페눔을 포함한다.
추가의 항생제는 퀴녹솔론, 예컨대(그러나 다음으로 한정되지 않음), 시프로플록사신, 가레녹사신, 가티플록사신, 게미플록사신, 레보플록사신, 시녹사신, 날리딕신산, 목시플록사신, 옥솔린산, 피로미딘산, 피페미드산, 로속사신, 에녹사신, 플레록사신, 로메플록사신, 나디플록사신, 노르플록사신, 오플록사신, 페플록사신, 루플록사신, 발로플록사신, 그레파플록사신, 레보플록사신, 파주플록사신, 스파플록사신, 테마플록사신, 토수플록사신, 클리나플록사신, 시타플록사신, 트로바플록사신, 프룰리플록사신, 데라플록사신, JNJ-Q2, 네모녹사신, 및 자보플록사신을 포함한다.
추가의 항생제는 테트라사이클린, 예컨대(그러나 다음으로 한정되지 않음), 독시사이클린, 테트라사이클린, 클로르테트라사이클린, 옥시테트라사이클린, 데메클로사이클린, 라이메사이클린, 메클로사이클린, 메타사이클린, 미노사이클린, 롤리테트라사이클린 및 티게사이클린을 포함한다.
본원에 개시된 방법에 유용한 추가 항생제는 암피실린, 아목시실린, 오그멘틴, 피페라실린, 타조박탐, 클로람페니콜 및 티카르실린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제약 조성물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은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를 치료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포유동물, 예컨대, 인간, 또는 비 인간 포유동물이다. 대상체, 예컨대, 인간에게 투여 시, 조성물 또는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제약상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로서 투여된다. 제약상 허용 가능한 담체는 당해 분야에 주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수용액, 예컨대, 물 또는 생리적 완충 식염수 또는 다른 용매 또는 비히클, 예컨대, 글리콜, 글리세롤, 오일, 예컨대, 올리브유, 또는 주사 가능한 유기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이러한 제약 조성물이 인간 투여, 특히 침습적 투여 경로(즉, 상피 장벽을 통한 수송 또는 확산을 피하는 경로, 예컨대, 주사 또는 이식)를 위한 것인 경우, 수용액에는 발열성 물질이 없거나 실질적으로 발열성 물질이 없다. 부형제는, 예를 들어 작용제의 방출을 지연시키거나 하나 이상의 세포, 조직 또는 기관을 선택적으로 표적화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제약 조성물은 투여량 단위 형태, 예컨대, 정제, 캡슐(스프링클 캡슐 및 젤라틴 캡슐을 포함함), 과립, 재구성용 동결건조물, 분말, 용액, 시럽, 좌제, 주사제 등일 수 있다. 조성물은 또한 경피 전달 시스템, 예를 들어 피부 패치로 존재할 수 있다. 조성물은 또한 국소 투여에 적합한 용액, 예컨대, 점안액으로 존재할 수 있다.
제약상 허용 가능한 담체는, 예를 들어 화합물, 예컨대, 본 발명의 화합물을 안정화시키거나 화합물의 용해도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화합물의 흡수를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는 생리적으로 허용 가능한 작용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생리적으로 허용 가능한 작용제는, 예를 들어 탄수화물, 예컨대, 글루코스, 수크로스 또는 덱스트란, 항산화제, 예컨대, 아스코르브산 또는 글루타티온, 킬레이트제, 저분자량 단백질 또는 다른 안정화제 또는 부형제를 포함한다. 생리적으로 허용 가능한 작용제를 포함한 제약상 허용 가능한 담체의 선택은, 예를 들어 조성물의 투여 경로에 따라 다르다. 제약 조성물의 제조는 자가 유화 약물 전달 시스템 또는 자가 미세유화 약물 전달 시스템일 수 있다. 제약 조성물(제제)은 또한 리포좀 또는 다른 중합체 매트릭스일 수 있으며, 이는 그 안에,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합물이 혼입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지질 또는 다른 지질을 포함하는 리포좀은, 비교적 제조 및 투여가 간단한 무독성의 생리적으로 허용 가능하고 대사 가능한 담체이다.
어구 "제약상 허용 가능한"은 본원에서 타당한 의학적 판단의 범위 내에서 과도한 독성, 자극, 알레르기 반응 또는 다른 문제점 또는 합병증 없이 대상체의 조직과 접촉시켜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합리적인 이익/위험비(benefit/risk ratio)에 상응하는 화합물, 물질, 조성물, 및/또는 투여량 형태를 지칭하는 데 이용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어구 "제약상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제약상 허용 가능한 물질, 조성물 또는 비히클, 예컨대, 액체 또는 고체 충전제, 희석제, 부형제, 용매 또는 캡슐화 물질을 의미한다. 각각의 담체는 제형의 다른 성분과 상용성이고 대상체에게 해롭지 않다는 의미에서 "허용 가능"하여야 한다. 제약상 허용 가능한 담체로서 작용할 수 있는 물질의 일부 예는 다음을 포함한다: (1) 당, 예컨대, 락토스, 글루코스 및 수크로스; (2) 전분, 예컨대, 옥수수 전분 및 감자 전분; (3) 셀룰로스, 및 이의 유도체, 예컨대,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에틸 셀룰로스 및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4) 분말화 트래거캔스; (5) 맥아; (6) 젤라틴; (7) 활석; (8) 부형제, 예컨대, 코코아 버터 및 좌제 왁스; (9) 오일, 예컨대, 땅콩유, 면실유, 홍화유, 참기름, 올리브유, 옥수수유 및 대두유; (10) 글리콜, 예컨대, 프로필렌 글리콜; (11) 폴리올, 예컨대, 글리세린, 솔비톨, 만니톨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12) 에스테르, 예컨대, 에틸 올레에이트 및 에틸 라우레이트; (13) 한천; (14) 완충제, 예컨대, 수산화마그네슘 및 수산화알루미늄; (15) 알긴산; (16) 발열원이 없는 물; (17) 등장성 식염수; (18) 링거액; (19) 에틸 알코올; (20) 인산염 완충 용액; 및 (21) 제약 제형에서 이용되는 다른 비독성의 상용성 물질.
제약 조성물(제제)은, 예를 들어 경구(예를 들어, 수성 또는 비수성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서의 드렌치(drench), 정제, 캡슐(스프링클 캡슐 및 젤라틴 캡슐을 포함함), 볼루스, 분말, 과립, 혀에 적용하기 위한 페이스트); 구강 점막(예를 들어, 설하)을 통한 흡수; 항문, 직장 또는 질(예를 들어, 페서리, 크림 또는 폼); 비경구(예를 들어, 멸균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서 근육 내, 정맥 내, 피하 또는 척수 내를 포함함); 비강; 복강 내; 피하; 경피(예를 들어, 피부에 적용되는 패치); 및 국소(예를 들어, 피부에 적용되는 크림, 연고 또는 스프레이, 또는 점안액)를 포함한 다수의 투여 경로 중 임의의 것에 의해 대상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화합물은 또한 흡입용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화합물은 멸균수에 단순히 용해되거나 현탁될 수 있다. 적절한 투여 경로 및 이에 적합한 조성물의 상세 내용은,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6,110,973호, 제5,763,493호, 제5,731,000호, 제5,541,231호, 제5,427,798호, 제5,358,970호 및 제4,172,896호, 및 이에 인용된 특허에서 찾아볼 수 있다.
제형은 단위 투여형으로 편리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약제 업계에 주지된 임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단일 투여량 형태를 제조하기 위해 담체 물질과 조합될 수 있는 활성 성분의 양은 치료되는 대상체 및 특정 투여 방식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단일 투여량 형태를 제조하기 위해 담체 물질과 조합될 수 있는 활성 성분의 양은 일반적으로 치료 효과를 내는 조성물의 양이 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100% 중에서, 이러한 양은 활성 성분의 약 1% 내지 약 99%,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70%,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30%의 범위일 것이다.
이들 제형 또는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활성 화합물, 예컨대, 본 발명의 화합물을 담체 및 선택적으로 1종 이상의 보조 성분과 회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제형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액체 담체, 또는 미분된 고체 담체, 또는 둘 다와 균일하고 친밀하게 회합시킨 다음, 필요한 경우 생성물을 성형함으로써 제조된다.
경구 투여에 적합한 본 발명의 제형은 캡슐(스프링클 캡슐 및 젤라틴 캡슐을 포함함), 카세제(cachet), 환제, 정제, 로젠지(향미 기제, 보통 수크로스 및 아카시아 또는 트래거캔스를 사용함), 동결건조물, 분말, 과립의 형태로, 또는 수성 또는 비수성 액체 중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서, 또는 수중유 또는 유중수 액체 에멀션으로서, 또는 엘릭시르 또는 시럽으로서, 파스티유(불활성 기제, 예컨대, 젤라틴 및 글리세린, 또는 수크로스 및 아카시아를 사용함) 및/또는 구강세정액 등으로서 존재할 수 있으며, 각각은 활성 성분으로서 소정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한다. 조성물 또는 화합물은 또한 볼루스, 연약(electuary) 또는 페이스트로서 투여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체 투여량 형태(캡슐(스프링클 캡슐 및 젤라틴 캡슐을 포함함), 정제, 환제, 드라제, 분말, 과립 등)를 제조하기 위해, 활성 성분은 1종 이상의 제약상 허용 가능한 담체, 예컨대, 시트르산나트륨 또는 제2인산칼슘, 및/또는 하기 중 임의의 것과 혼합된다: (1) 충전제 또는 증량제, 예컨대, 전분, 락토스, 수크로스, 글루코스, 만니톨, 및/또는 규산; (2) 결합제, 예를 들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알긴산염, 젤라틴, 폴리비닐 피롤리돈, 수크로스 및/또는 아카시아; (3) 보습제, 예컨대, 글리세롤; (4) 붕해제, 예컨대, 한천-한천, 탄산칼슘, 감자 또는 타피오카 전분, 알긴산, 특정 실리케이트, 및 탄산나트륨; (5) 용액 지연제, 예컨대, 파라핀; (6) 흡수 촉진제, 예컨대, 4급 암모늄 화합물; (7) 습윤제, 예를 들어 세틸 알코올 및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8) 흡수제, 예컨대, 카올린 및 벤토나이트 점토; (9) 윤활제, 예컨대, 활석, 스테아르산칼슘, 스테아르산마그네슘, 고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라우릴황산나트륨, 및 이의 혼합물; (10) 착화제, 예컨대, 변형 및 비변형 시클로덱스트린; 및 (11) 착색제. 캡슐(스프링클 캡슐 및 젤라틴 캡슐을 포함함), 정제 및 환제의 경우, 제약 조성물은 또한 완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비슷한 유형의 고체 조성물은 락토스 또는 유당뿐만 아니라, 고분자량의 폴리에틸렌글리콜 등과 같은 부형제를 이용하는 연질 및 경질 충전 젤라틴 캡슐에서 충전제로 이용될 수도 있다.
정제는 선택적으로 1종 이상의 보조 성분과 함께 압축 또는 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압축 정제는 결합제(예를 들어, 젤라틴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스), 윤활제, 불활성 희석제, 보존제, 붕해제(예를 들어, 나트륨 전분 글리콜레이트 또는 가교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표면활성제 또는 분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성형 정제는 불활성 액체 희석제로 적신 분말화된 화합물의 혼합물을 적합한 기계에서 성형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정제, 및 제약 조성물의 다른 고체 투여량 형태, 예컨대, 드라제, 캡슐(스프링클 캡슐 및 젤라틴 캡슐을 포함함), 환제 및 과립은 선택적으로 코팅제 및 쉘, 예컨대, 장용 코팅제 및 제약 제형화 분야에서 잘 알려진 다른 코팅제로 스코어링되거나 제조될 수 있다. 이들은 또한 원하는 방출 프로파일, 다른 중합체 매트릭스, 리포좀 및/또는 미소구체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비율로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스를 사용하여 내부 활성 성분의 느린 방출 또는 제어된 방출을 제공하도록 제형화될 수 있다. 이들은, 예를 들어 박테리아 보유 필터를 통한 여과에 의해, 또는 사용 직전에 멸균수, 또는 일부 다른 멸균 주사용 매질에 용해될 수 있는 멸균 고체 조성물의 형태로 멸균제를 혼입함으로써 멸균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또한 선택적으로 불투명화제를 함유할 수 있고, 활성 성분(들)만을, 또는 우선적으로 위장관의 특정 부분에서, 선택적으로 지연된 방식으로 활성 성분(들)을 방출하는 조성물일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포매 조성물의 예는 중합체 물질 및 왁스를 포함한다. 활성 성분은 또한 적절한 경우 1종 이상의 전술한 부형제와 함께, 마이크로캡슐화된 형태일 수 있다.
경구 투여에 유용한 액체 투여량 형태는 제약상 허용 가능한 에멀션, 재구성용 동결건조물, 마이크로에멀션, 용액, 현탁액, 시럽 및 엘릭시르를 포함한다. 활성 성분 이외에도, 액체 투여량 형태는 당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불활성 희석제, 예를 들어 물 또는 다른 용매, 시클로덱스트린 및 이의 유도체, 가용화제 및 유화제, 예컨대, 에틸 알코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오일(특히, 면실유, 땅콩유, 옥수수유, 배아유, 올리브유, 피마자유 및 참기름), 글리세롤, 테트라하이드로퓨릴 알코올,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솔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불활성 희석제 이외에도, 경구 조성물은 또한 보조제, 예컨대, 습윤제, 유화제 및 현탁화제, 감미제, 향미제, 착색제, 방향제 및 보존제를 포함할 수 있다.
현탁액은, 활성 화합물 이외에도, 현탁화제, 예를 들어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톨 및 솔비탄 에스테르, 미결정 셀룰로스, 알루미늄 메타하이드록사이드, 벤토나이트, 한천-한천 및 트래거캔스, 및 이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직장, 질, 또는 요도 투여를 위한 제약 조성물의 제형은 좌제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1종 이상의 활성 화합물을 1종 이상의 적합한 비자극성 부형제 또는 담체(예를 들어, 코코아 버터, 폴리에틸렌 글리콜, 좌제 왁스 또는 살리실레이트를 포함함)와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으며, 실온에서는 고체이지만, 체온에서는 액체이므로, 직장 또는 질강에서 녹아 활성 화합물을 방출할 것이다.
구강 투여용 제약 조성물의 제형은 구강세정액, 또는 구강 스프레이, 또는 구강 연고로서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조성물은 카테터, 스텐트, 와이어, 또는 다른 관 내(intraluminal) 장치를 통한 전달을 위해 제형화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를 통한 전달은 특히 방광, 요도, 요관, 직장 또는 장으로의 전달에 유용할 수 있다.
질 투여에 적합한 제형은 또한 당해 분야에서 적절한 것으로 알려진 바와 같은 담체를 함유하는 페서리, 탐폰, 크림, 겔, 페이스트, 폼 또는 스프레이 제형을 포함한다.
국소 또는 경피 투여를 위한 투여량 형태는 분말, 스프레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로션, 겔, 용액, 패치 및 흡입제를 포함한다. 활성 화합물은 멸균 조건 하에서 제약상 허용 가능한 담체와 함께, 그리고 필요할 수 있는 임의의 보존제, 완충제, 또는 추진제와 함께 혼합될 수 있다.
연고, 페이스트, 크림 및 겔은 활성 화합물 이외에도 부형제, 예컨대, 동물 및 식물성 지방, 오일, 왁스, 파라핀, 전분, 트래거캔스, 셀룰로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규산, 활석 및 산화아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분말 및 스프레이는 활성 화합물 이외에도 부형제, 예컨대, 락토스, 활석, 규산, 수산화알루미늄, 규산칼슘 및 폴리아미드 분말, 또는 이들 물질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스프레이는 추가적으로 통상적인 추진제, 예컨대, 클로로플루오로하이드로카본 및 휘발성 비치환 탄화수소, 예컨대, 부탄 및 프로판을 함유할 수 있다.
경피 패치는 신체에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어된 전달을 제공하는 추가 이점을 갖는다. 이러한 투여량 형태는 적절한 매질에 활성 화합물을 용해 또는 분산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피부를 통한 화합물의 흐름을 증가시키기 위해 흡수 증진제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흐름의 속도는 속도 제어 막을 제공하거나 중합체 매트릭스 또는 겔에 화합물을 분산시킴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안과용 제형, 안연고, 분말, 용액 등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예시적인 안과용 제형은 미국 공개 제2005/0080056호, 제2005/0059744호, 제2005/0031697호 및 제2005/004074호 및 미국 특허 제6,583,124호에 기술되어 있으며, 이의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원하는 경우, 액체 안과용 제형은 눈물, 안방수 또는 유리액과 유사한 특성을 갖거나, 또는 이러한 유체와 상용성이다. 바람직한 투여 경로는 국소 투여(예를 들어, 점안액과 같은 국소 투여, 또는 임플란트를 통한 투여)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어구 "비경구 투여" 및 "비경구 투여된"이란, 장관 및 국소 투여 이외의, 일반적으로 주사에 의한 투여 방식을 의미하며, 정맥 내, 근육 내, 동맥 내, 척수강 내, 낭 내, 안와 내, 심장 내, 피 내, 복강 내, 경기관지, 피하, 표피 하, 관절 내, 피막 하, 지주막 하, 척추 내, 및 흉골 내 주사 및 주입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경구 투여에 적합한 제약 조성물은 1종 이상의 활성 화합물을 1종 이상의 제약상 허용 가능한 멸균 등장성 수성 또는 비수성 용액, 분산액, 현탁액 또는 에멀션, 또는 사용 직전에 멸균 주사용 용액 또는 분산액으로 재구성될 수 있는 멸균 분말과 조합하여 포함하며, 이는 항산화제, 완충제, 정균제, 제형을 의도된 수용자의 혈액과 등장성으로 만드는 용질, 또는 현탁화제 또는 증점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에 이용될 수 있는 적합한 수성 및 비수성 담체의 예는 물, 에탄올, 폴리올(예컨대,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 및 이의 적합한 혼합물, 식물성 오일, 예컨대, 올리브유, 및 주사 가능한 유기 에스테르, 예컨대, 에틸 올레에이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레시틴과 같은 코팅 물질의 이용에 의해, 분산액의 경우 필요한 입자 크기의 유지에 의해, 그리고 계면활성제의 이용에 의해, 적절한 유동성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조성물은 보존제, 습윤제, 유화제 및 분산제와 같은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미생물 작용 방지는 다양한 항세균제 및 항진균제, 예를 들어, 파라벤, 클로로부탄올, 페놀 소르브산 등의 포함에 의해 보장될 수 있다. 또한, 조성물에 당류, 염화나트륨 등과 같은 등장성 작용제를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주사 가능한 제약 형태의 오래 지속되는 흡수는 알루미늄 모노스테아레이트 및 젤라틴과 같은 흡수를 지연시키는 작용제의 포함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일부 사례에서는, 약물의 효과를 연장하기 위하여, 피하 또는 근육 내 주사로부터 약물의 흡수를 늦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불량한 수용해도를 갖는 결정형 또는 무정형 물질의 액체 현탁액의 사용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그러면, 이러한 약물의 흡수 속도는 그것의 용해 속도에 달려 있고, 용해 속도는 결국 결정 크기 및 결정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비경구적으로 투여되는 약물 형태의 지연된 흡수는 오일 비히클 중 약물을 용해시키거나 현탁시켜 달성된다.
주사제 데포 형태는 생분해성 중합체, 예컨대 폴리락티드-폴리글리콜리드 중 대상 화합물의 마이크로캡슐 매트릭스를 형성하여 제조된다. 중합체에 대한 약물의 비율 및 이용되는 특정 중합체의 성질에 따라, 약물 방출 속도가 제어될 수 있다. 다른 생분해성 중합체의 예는 폴리(오르토에스테르) 및 폴리(무수물)을 포함한다. 주사 가능한 데포 제형은 또한 체조직과 양립할 수 있는 리포좀 또는 마이크로에멀젼에 이러한 약물을 가두어 제조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하기 위해, 활성 화합물은 그 자체로 또는 예를 들어, 제약상 허용 가능한 담체와 조합하여 0.1 내지 99.5%(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90%)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제약 조성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도입 방법은 또한 충전식 또는 생분해성 장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단백질성 바이오의약품을 포함한, 약물의 제어된 전달을 위해 최근 몇 년 동안 다양한 서방형 중합체 장치가 개발되었고, 생체 내에서 테스트되었다. 생분해성 및 비 분해성 중합체를 모두 포함한, 다양한 생체적합성 중합체(하이드로겔을 포함함)가 특정 표적 부위에서 화합물의 지속 방출을 위한 임플란트를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환자에 대한 독성 없이, 특정 환자, 조성물, 및 투여 방식에 대해 원하는 치료 반응을 달성하기에 효과적인 활성 성분의 양을 얻기 위하여 제약 조성물에서 활성 성분의 실제 투여량 수준은 달라질 수 있다.
선택된 투여량 수준은 이용되는 특정 화합물 또는 화합물의 조합, 또는 이의 에스테르, 염 또는 아미드의 활성, 투여 경로, 투여 시간, 이용되는 특정 화합물(들)의 배설 속도, 치료 기간, 이용되는 특정 화합물(들)과 조합하여 사용되는 다른 약물, 화합물 및/또는 물질, 치료되는 대상체의 연령, 성별, 체중, 상태, 일반적인 건강 및 이전 병력, 및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유사 인자를 포함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다를 것이다.
당해 분야에서 일반적인 기술을 갖는 의사 또는 수의사는 필요한 제약 조성물의 치료적 유효량을 용이하게 결정하고 처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사 또는 수의사는 원하는 치료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보다 더 낮은 수준으로 제약 조성물 또는 화합물의 용량을 시작하고 원하는 효과가 달성될 때까지 점진적으로 투여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치료적 유효량"이란, 원하는 치료 효과를 유발하기에 충분한 화합물의 농도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화합물의 유효량은 대상체의 체중, 성별, 연령, 및 병력에 따라 다를 것임이 이해된다. 유효량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인자는 치료되는 대상체의 병태, 장애의 중증도, 화합물의 안정성, 필요하다면 본 발명의 화합물과 함께 투여되는 치료제의 또 다른 유형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작용제의 다중 투여에 의해 더 많은 총 용량이 전달될 수 있다. 효능 및 투여량을 결정하는 방법은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문헌[Isselbacher et al. (1996)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3 ed., 1814-1882], 본원에 참고로 포함됨).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에서 사용되는 활성 화합물의 적합한 1일 용량은 치료 효과를 나타내기에 효과적인 최저 용량인 화합물의 양일 것이다. 이러한 유효 용량은 일반적으로 전술한 인자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원하는 경우, 활성 화합물의 효과적인 1일 용량은 1일에 걸쳐 적절한 간격으로, 선택적으로 단위 투여량 형태로, 개별적으로 투여되는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이상의 하위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서, 활성 화합물은 1일 2회 또는 3회 투여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활성 화합물은 1일 1회 투여될 것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또 다른 유형의 치료제와 공동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어구 "공동 투여(conjoint administration)"는 이전에 투여된 치료 화합물이 여전히 신체에서 효과적인 동안 제2 화합물이 투여되도록 하는, 둘 이상의 상이한 치료 화합물의 임의의 투여 형태를 지칭한다(예컨대, 두 화합물은 대상체에서 동시에 효과적인데, 이는 두 화합물의 상승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이한 치료 화합물은 동일한 제형 또는 별개의 제형으로 부수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상이한 치료 화합물은 서로 1시간, 12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72시간, 또는 1주일 이내에 투여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치료를 받는 대상체는 상이한 치료 화합물의 병용 효과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의 1종 이상의 추가 치료제(들)과의 공동 투여는 본 발명의 화합물(예를 들어, 화학식 I 또는 Ia의 화합물) 또는 1종 이상의 추가 치료제(들)의 각각의 개별 투여에 비해 개선된 효능을 제공한다. 이의 특정 구현예에서, 공동 투여는 상가적(additive) 효과를 제공하며, 여기서 상가적 효과는 본 발명의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추가의 치료제(들)의 개별 투여의 효과 각각의 합을 지칭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에서 본 발명 화합물의 제약상 허용 가능한 염의 용도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고려되는 염으로는 알킬, 디알킬, 트리알킬 또는 테트라알킬 암모늄 염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고려되는 염으로는 L-아르기닌, 베넨타민, 벤자틴, 베타인, 수산화칼슘, 콜린, 디놀(deanol), 디에탄올아민, 디에틸아민, 2-(디에틸아미노)에탄올, 에탄올아민, 에틸렌디아민, N-메틸글루카민, 하이드라바민, 1H-이미다졸, 리튬, L-리신, 마그네슘, 4-(2-하이드록시에틸)모르폴린, 피페라진, 칼륨, 1-(2-하이드록시에틸)피롤리딘, 나트륨, 트리에탄올아민, 트로메타민 및 아연 염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고려되는 염으로는 Na, Ca, K, Mg, Zn 또는 기타 금속 염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약상 허용 가능한 산 부가 염은 또한 다양한 용매화물, 예를 들어, 물, 메탄올, 에탄올, 디메틸포름아미드 등과의 용매화물로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용매화물의 혼합물 또한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용매화물의 공급원은 결정화 용매로부터 수득되거나, 제조 또는 결정화 용매에 내재하거나, 또는 이러한 용매에 외부적으로 부가될 수 있다.
또한, 습윤제, 유화제 및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윤활제뿐만 아니라 착색제, 이형제, 코팅제, 감미제, 향미제 및 방향제, 방부제 및 항산화제가 조성물 중에 존재할 수 있다.
제약상 허용 가능한 항산화제의 예는 다음을 포함한다: (1) 수용성 항산화제, 예컨대 아스코르브산, 시스테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나트륨 바이설페이트, 나트륨 메타바이설파이트, 나트륨 설파이트 등; (2) 지용성 항산화제, 예컨대,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부틸화 하이드록시아니졸(BHA), 부틸화 하이드록시톨루엔(BHT), 레시틴, 프로필 갈레이트, 알파-토코페롤 등; 및 (3) 금속-킬레이트제, 예컨대, 시트르산,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EDTA), 솔비톨, 타르타르산, 인산 등.
실시예
유용한 생물 활성을 갖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제약상 허용 가능한 염의 예는 표 1 내지 10에 열거되어 있다. 1H NMR 스펙트럼은 400 MHz(양성자 주파수)에서 작동하는, 역상검출용 자기 차폐 경사자장 코일(self-shielded z-gradient coil) 5 mm 1H/nX 광대역 프로브헤드(probehead), 송신기 오프셋 주파수 이동을 가진 중수소 디지털 잠금 채널 유닛, 쿼드러쳐(quadrature) 디지털 검출 유닛을 갖춘 Varian MR-400 분광기에서 수행되었다. 화학적 이동은 내부 표준으로서 트리메틸실란(TMS)에 대해 δ 값으로서 ppm으로 보고된다. 커플링 상수(J 값)은 헤르츠(Hz)로 주어지고, 다중도는 다음의 약어를 사용하여 보고된다(s=단일항, d=이중항, t=삼중항, q=사중항, m=다중항, br=광범위, nd=결정되지 않음).
A. 분석 방법
방법 1(산 FA)
UPLC 설정
용매: -
A 0.1% 포름산 함유 물(PureLab Option unit을 거친 고순도)
B 0.1%(V/V)의 포름산 함유 아세토니트릴(원거리 UV 등급)
컬럼: -
Acquity UPLC HSS C18 1.8 um 100 x 2.1 mm. (플러스 가드 카트리지)
유속: -
0.5 mL/분
구배:
주입 0.5~2 uL
Waters DAD를 통한 UV 검출
시작 범위(nm)
210
종료 범위(nm)
400
분해능(nm)
1.2
MS 검출: Waters SQD2, 단일 사극자 UPLC-MS
MS 데이터에 대한 스캔 범위(m/z)
시작(m/z)
100
종료(m/z)
필요한 경우 700 또는 1500
+ve / -ve 전환 사용
이온화는 ESI임.
ESI 전압 및 온도는 다음과 같다:
공급원 150C
3.5KV 모세관
25V 원추
방법 2(염기 FA)
UPLC 설정
용매: -
아세토니트릴(원거리 UV 등급)
10 mM의 중탄산암모늄(탄산수소암모늄) 함유 물(PureLab Option Unit을 거친 고순도)
컬럼: -
Acquity UPLC BEH Shield RP18 1.7 um 100 x 2.1 mm. (플러스 가드 카트리지)
유속: -
0.5 mL/분
구배: -
A: 물 / 염기
B: MeCN / 염기
전형적인 주입 0.5~2 uL (농도 약 0.2 ~ 1 mg/mL).
Waters DAD를 통한 UV 검출
시작 범위(nm)
210
종료 범위(nm)
400
분해능(nm)
1.2
기타 파장 흔적은 DAD 데이터로부터 추출한다.
MS 검출: Waters SQD2, 단일 사극자 UPLC-MS
유동 분할기는 질량 스펙트럼에 대하여 약 300 ul/분을 나타낸다.
MS 데이터에 대한 스캔 범위(m/z)
시작(m/z)
100
종료(m/z)
필요한 경우 700 또는 1500
+ve / -ve 전환 사용
분취 역상 HPLC 조건
분취 HPLC
Waters Micromass ZQ/Sample manager 2767
광 다이오드 어레이 검출기 2996;
컬럼: XTerra Prep MS C18 Column (5 μm, 19 x 150 mm, Waters)
유속: MS 검출을 이용하여 20 mL/분
UV 파장: 254 nm.
이동상: 용매 A(물:MeCN:HCO2H 95:5:0.05); 용매 B(물:MeCN:HCO2H 5:95:0.05)
구배: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는 미리 충전된 실리카겔 또는 역상 카트리지(Biotage 또는 Interchim 제공)를 이용하는 Isolera MPLC 시스템(Biotage 제조)을 이용하여 수행한다.
B. 화학적 합성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절차는 아래에 기술되어 있다:
반응식 1
2-클로로-5-(메틸티오)피리미딘 (100B)
디메틸 디설파이드(13.96 mL, 155.4 mmol, 1.0 eq)를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퓨란(700 mL) 중 -75℃의 냉각된 5-브로모-2-클로로피리미딘(100A)(30 g, 155.4 mmol, 1.0 eq)의 용액에 질소 하에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에 1.5시간에 걸쳐 n-부틸 리튬(2.5 M, 68.4 mL, 170.9 mmol, 1.0 eq)의 용액을 적가하였고, 첨가하는 내내 내부 온도를 -70℃ 내지 -75℃로 유지하였다. 첨가를 완료한 후, 혼합물을 -75℃에서 4.5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염화암모늄 포화 용액(100 mL)을 천천히 첨가하여 ??칭시켰다. 냉각조를 제거하고 반응물을 질소 하에 18시간에 걸쳐 실온으로 가온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500 mL)로 희석하고, 물(50 mL) 및 이어서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무수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한 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수득된 미정제 담황색 오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이소헥산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0~50%로 용리)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2-클로로-5-(메틸티오)피리미딘을 왁스 같은 담황색 고체(100B)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7.39 g (29%). 1H NMR (CDCl3) d 8.48 (2H, s), 2.54 (3H, s); MS (ESI+) m/z 161 (M+H)+.
일반적인 방법 1
tert
-부틸 (2-메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카바메이트 (100C)
tert-부틸(3-아미노-2-메틸프로필)카바메이트(4.79 g, 25.52 mmol, 1.05 eq)를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50 mL) 중 2-클로로-5-(메틸티오)피리미딘(100B)(3.89 g, 24.31 mmol, 1.0 eq) 및 탄산세슘(11.85 g, 36.46 mmol, 1.4 eq)의 교반 현탁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8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 감압 하에 약 20 mL까지 농축시켰다. 액체를 에틸 아세테이트(100 mL)로 희석하고, 물(75 mL) 및 염수(50 mL)로 세척한 다음,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여 조 잔류물을 수득하고, 이를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이소헥산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0~50%로 용리)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tert-부틸(2-메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 카바메이트(100C)를 담황색 오일로 수득하였다.
수율: 6.59 g (86%). MS (ESI+) m/z 313 (M+H)+.
tert
-부틸 (S)-(2-메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 카바메이트 (100D)
라세미 tert-부틸(2-메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카바메이트(100C)(5 g)를 하기 조건을 사용하여 키랄 SFC에 의해 정제하였다: YMC 아밀로스-C 30/70 MeOH / CO2, 100 mL/분, 120 bar, 40℃, GLS 40 psi, 시스템 3900 psi, 드롭 140 bar, Stacker , DAD 245 nm.
첫 번째 용리 이성질체, 1.3분. tert-부틸 (R)-(2-메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카바메이트
수율: 2.05 g. ¹H NMR (400 MHz, CDCl3) d 8.34 (s, 2H), 5.79 (dd, J=6.7, 6.7 Hz, 1H), 5.18 (dd, J=5.8, 5.8 Hz, 1H), 3.50 - 3.39 (m, 1H), 3.33 - 3.14 (m, 2H), 3.04 - 2.94 (m, 1H), 2.36 (s, 3H), 1.94 - 1.85 (m, 1H), 1.45 (s, 9H), 0.95 (d, J=6.9 Hz, 3H). MS (ESI+) m/z 313 (M+H)+.
두 번째 용리 이성질체, 1.7분. tert-부틸 (S)-(2-메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카바메이트 (100D)
수율: 2.48 g. ¹H NMR (400 MHz, CDCl3) d 8.34 (s, 2H), 5.77 - 5.69 (m, 1H), 5.15 (dd, J =6.5, 6.5 Hz, 1H), 3.50 - 3.40 (m, 1H), 3.33 - 3.16 (m, 2H), 3.03 - 2.94 (m, 1H), 2.36 (s, 3H), 1.95 - 1.85 (m, 1H), 1.47 (s, 9H), 0.95 (d, J =6.9 Hz, 3H); MS (ESI+) m/z 313 (M+H)+.
일반적인 방법 2
(
R
)-2-메틸-
N
1
-(5-(메틸티오)피리미딘-2-일)프로판-1,3-디아민 염산염 (100E)
염화수소(15 mL, 1,4-디옥산 중 4 M)의 용액을 tert-부틸 (S)-(2-에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 카바메이트(100D)(600 mg, 2.48 mmol)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여 원하는 생성물 (R)-2-메틸-N 1-(5-(메틸티오)피리미딘-2-일)프로판-1,3-디아민 염산염(100E)을 담황색의 반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548 mg (100%) HCl 염. ¹H NMR (400 MHz, DMSO) d 8.39 (s, 2H), 8.00 - 7.96 (m, 3H), 7.72 - 7.72 (m, 1H), 3.32 - 3.18 (m, 2H), 2.88 - 2.80 (m, 1H), 2.66 - 2.55 (m, 1H), 2.38 (s, 3H), 2.13 - 2.00 (m, 1H), 0.96 (d, J=6.8 Hz, 3H); MS (ESI+) m/z 213 (M+H)+.
일반적인 방법 3
에틸 (
S
)-2-((2-메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아미노) 벤조[
d
]티아졸-6-카르복실레이트 (100F)
에틸-2-클로로벤조티아졸-6-카르복실레이트(600 mg, 2.48 mmol, 1.0 eq)를 질소 하에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20 mL) 중 (R)-2-메틸-N 1-(5-(메틸티오)피리미딘-2-일)프로판-1,3-디아민 염산염(100E)(548 mg, 2.48 mmol, 1.0 eq) 및 트리에틸아민(1.73 mL, 12.44 mmol, 5.0 eq)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48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 진공 하에 약 5 mL까지 농축시켰다. 물(25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 x 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물(20 mL) 및 염수(25 mL)로 세척한 다음,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켰다.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여 조 황색 오일을 수득하고, 이를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이소헥산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0~100%로 용리)로 정제하여 원하는 에틸 (S)-2-((2-메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아미노)벤조[d]티아졸-6-카르복실레이트(100F)를 미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647 mg (62%). ¹H NMR (400 MHz, CDCl3) d 8.37 (s, 2H), 8.27 (d, J=1.5 Hz, 1H), 7.99 (dd, J=1.8, 8.5 Hz, 1H), 7.51 (d, J=8.4 Hz, 1H), 7.02 - 6.98 (m, 1H), 5.83 (dd, J=6.7, 6.7 Hz, 1H), 4.38 (q, J=7.2 Hz, 2H), 3.67 - 3.47 (m, 2H), 3.42 - 3.24 (m, 2H), 2.37 (s, 3H), 2.20 - 2.11 (m, 1H), 1.40 (dd, J=7.2, 7.2 Hz, 3H), 1.07 (d, J=7.0 Hz, 3H); MS (ESI+) m/z 418 (M+H)+.
일반적인 방법 4
(
S
)-2-((2-메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아미노)벤조[
d
]티아졸-6-카르복시산 (실시예 1)
수산화리튬 일수화물(318 mg, 7.75 mmol, 5.0 eq)을 에탄올(7 mL) 및 물(5 mL) 중 에틸 (S)-2-((2-메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아미노) 벤조[d]티아졸-6-카르복실레이트(100F)(647 mg, 1.55 mmol, 1.0 eq)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8시간 동안 주위 온도에서 교반한 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물(5 mL)을 잔류물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염산 수용액(2 M)으로 pH 약 3까지 산성화시켰다.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물로 세척한 다음, 고진공 하에 건조시켜 원하는 생성물 (S)-2-((2-메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 아미노)벤조[d]티아졸-6-카르복시산(실시예 1)을 담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일반적인 방법 5
메틸 (
S
)-2-메틸-2-(2-((2-메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 아미노)벤조 [
d
]티아졸-6-카복사미도)프로파노에이트 (100G)
1-[비스(디메틸아미노)메틸렌]-1H-1,2,3-트리아졸로[4,5-b]피리디늄 3-옥사이드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ATU, 146 mg, 0.385 mmol, 1.5 eq)를 디메틸포름아미드(5 mL) 중 (S)-2-((2-메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아미노)벤조[d] 티아졸-6-카르복시산 (1)(100 mg, 0.257 mmol, 1.0 eq), 트리에틸아민(0.36 mL, 2.57 mmol, 10.0 eq) 및 메틸-2-아미노-2-메틸프로파노에이트 염산염(196 mg, 1.28 mmol, 4.9 eq)의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수득된 조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이소헥산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0~75%로 용리)로 정제하여 원하는 메틸 (S)-2-메틸-2-(2-((2-메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 아미노)벤조[d] 티아졸-6-카복사미도) 프로파노에이트(G)를 미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120 mg (95%).¹H NMR (400 MHz, MeOD) d 8.34 (s, 2H), 8.10 (d, J=1.8 Hz, 1H), 7.77 (dd, J=1.9, 8.5 Hz, 1H), 7.47 (d, J=8.5 Hz, 1H), 3.74 (s, 3H), 3.45 (dd, J=6.3, 22.4 Hz, 4H), 2.34 (s, 3H), 2.29 - 2.16 (m, 1H), 1.59 (s, 6H), 1.08 (d, J=6.9 Hz, 3H) NH 치환성 양성자는 관찰되지 않음.; MS (ESI+) m/z 489 (M+H)+.
(
S
)-2-메틸-2-(2-((2-메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 아미노)벤조[
d
] 티아졸-6-카복사미도)프로판산 (실시예 2)
일반적인 방법 4와 유사한 방법
수산화리튬 일수화물(50 mg, 1.22 mmol, 5.0 eq)을 에탄올 (5 mL) 및 물(5 mL) 중 메틸 (S)-2-메틸-2-(2-((2-메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아미노)벤조[d] 티아졸-6-카복사미도) 프로파노에이트(100G)(120 mg, 0.245 mmol, 1.0 eq)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1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물(3 mL)로 희석하고 염산염 산의 수용액(2 M)으로 pH 약 3으로 산성화하였다.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물로 세척한 다음, 고진공 하에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을 미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위의 절차를 이용하여 다음 실시예를 합성하였다:
[표 1]
반응식 2
일반적인 방법 6
2-클로로-
N
-(4-메톡시벤질)벤조[
d
]티아졸-6-설폰아미드 (101B).
(4-메톡시페닐)메탄아민(134 mg, 0.97 mmol, 1.05 eq)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10 mL) 중 2-클로로벤조티아졸-6-설포닐 클로라이드(101A)(250 mg, 0.932 mmol, 1.0 eq), 트리에틸아민(0.39 mL, 2.79 mmol, 3.0 eq)의 얼음 냉각 용액에 적가하고, 혼합물을 1시간 동안 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고체를 수득하고, 이를 빙냉수(10 mL), 빙냉 테트라하이드로퓨란(10 mL)으로 세척한 다음, 진공 하에 건조시켜 원하는 2-클로로-N-(4-메톡시벤질)벤조[d]티아졸-6-설폰아미드를 백색 고체(101B)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295 mg (85%). ¹H NMR (400 MHz, DMSO) d 8.56 (d, J =1.6 Hz, 1H), 8.24 (s, 1H), 8.11 (d, J =8.7 Hz, 1H), 7.90 (dd, J =1.9, 8.7 Hz, 1H), 7.10 (d, J =8.8 Hz, 2H), 6.76 (d, J =8.8 Hz, 2H), 3.98 (s, 2H), 3.67 (s, 3H); MS (ESI+) m/z 369 (M+H)+.
표 2의 중간체를 중간체 101B에 대해 기술한 것과 유사한 조건을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표 2]
(
S
)-
N
-(4-메톡시벤질)-2-((2-메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 아미노)벤조[
d
]티아졸-6-설폰아미드 (101C)
적용된 방법론은 일반적인 방법 3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였다.
수율: 298 mg, (69%). ¹H NMR (400 MHz, DMSO) d 8.56 (1H, d, J =1.6 Hz), 8.24 (1H, s), 8.11 (1H, d, J =8.7 Hz), 7.90 (1H, dd, J =1.9, 8.7 Hz), 7.10 (2H, d, J =8.8 Hz), 6.76 (2H, d, J =8.8 Hz), 3.98 (2H, s), 3.67 (3H, s); MS (ESI+) m/z 545 (M+H)+ .
(
S
)-2-((2-메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아미노)벤조[
d
] 티아졸-6-설폰아미드 (실시예 87)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5 m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5 mL) 중 N-(4-메톡시벤질)-2-((2-메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 아미노)벤조 [d]티아졸-6-설폰아미드(101C)(250 mg, 0.459 mmol, 1.0 eq)의 빙냉 용액에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얼음 위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18시간에 걸쳐 주위 온도로 가온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15 mL)으로 희석하고, 포화 탄산수소나트륨(15 mL)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유기상을 분리하고, 염수(5 mL)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다음, 감압 하에 농축 건조시켰다. 수득된 조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DCM에서 메탄올 0~10%로 용리)로 정제하여 원하는 (S)-2-((2-메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아미노) 벤조[d] 티아졸-6-설폰아미드(실시예 87)를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수율: 190 mg (97%). ¹H NMR (400 MHz, DMSO) d 8.40 (dd, J =5.5, 5.5 Hz, 1H), 8.34 (s, 2H), 8.12 (d, J =1.6 Hz, 1H), 7.66 (dd, J =2.0, 8.4 Hz, 1H), 7.51 (dd, J =6.0, 6.0 Hz, 1H), 7.44 (d, J =8.5 Hz, 1H), 7.21 (s, 2H), 3.49 - 3.42 (m, 1H), 3.31 - 3.23 (m, 3H), 2.34 (s, 3H), 2.17 - 2.07 (m, 1H), 0.96 (d, J =6.8 Hz, 3H); MS (ESI+) m/z 425 (M+H)+.
반응식 2에 기술된 절차를 이용하여, 일반적인 방법 3에 따라, 다음 실시예를 제조하였다:
[표 3]
반응식 3
2-메틸-
N
1
-(5-(메틸티오)피리미딘-2-일)프로판-1,3-디아민 염산염 (102A)
적용된 방법론은 일반적인 방법 2와 유사하였다.
염화수소(54 mL, 1,4-디옥산 중 4 M)의 용액을 tert-부틸 (2-메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 카바메이트(100C)(4.25 g, 13.60 mmol)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여 원하는 2-메틸-N 1-(5-(메틸티오)피리미딘-2-일)프로판-1,3-디아민 염산염(102A)을 담황색의 반고체로서 수득하였다. 반-조 샘플을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N
1
-(6-브로모벤조[
d
]티아졸-2-일)-2-메틸-
N
3
-(5-(메틸티오)피리미딘-2-일)프로판-1,3-디아민 (102B)
적용된 방법론은 일반적인 방법 3과 유사하였다.
6-브로모-2-클로로벤조티아졸(828 mg, 3.33 mmol, 0.95 eq)을 질소 하에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25 mL) 중 2-메틸-N 1-(5-(메틸티오)피리미딘-2-일)프로판-1,3-디아민 염산염(102A)(1.00 g, 3.51 mmol, 1.0 eq) 및 탄산세슘(3.43 g, 10.52 mmol, 3.0 eq)의 교반 현탁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7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 하에 약 3 mL까지 농축시켰다. 물(25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 x 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물(20 mL) 및 염수(25 mL)로 세척한 다음,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켰다.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여 조 황색 오일을 수득하고, 이를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이소헥산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0~100%로 용리)로 정제하여 원하는 N 1-(6-브로모벤조[d]티아졸-2-일)-2-메틸-N 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프로판-1,3-디아민(102B)을 끈적한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266 mg (18%). ¹H NMR (400 MHz, CDCl3) d 8.37 (s, 2H), 7.66 (d, J =0.6 Hz, 1H), 7.37 (d, J =1.9 Hz, 2H), 6.58 (s, 1H), 5.69 (dd, J =6.3, 6.3 Hz, 1H), 3.67 - 3.23 (m, 4H), 2.37 (s, 3H), 2.17 - 2.09 (m, 1H), 1.06 (d, J =6.9 Hz, 3H).
일반적인 방법 7
tert
-부틸 4-(2-((2-메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아미노)벤조[
d
]티아졸-6-일)-1
H
-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 (102C)
N 1-(6-브로모벤조[d]티아졸-2-일)-2-메틸-N 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프로판-1,3-디아민(102B)(50 mg, 0.12 mmol, 1.0 eq)의 용액을 질소 하에 물(0.20 mL) 및 N,N-디메틸포름아미드(0.80 mL) 중 (1-(tert-부톡시카르보닐)-1H-피라졸-4-일)보론산(27.8 mg, 0.13 mmol, 1.0 eq), 탄산세슘(58 mg, 0.18 mmol, 1.5 eq)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7 mg, 0.01 mmol, 0.05 eq)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90℃까지 가열하였다. (1-(tert-부톡시카르보닐)-1H-피라졸-4-일)보론산(27.8 mg, 0.13 mmol, 1.0 eq)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7 mg, 0.01 mmol, 0.05 eq)의 추가 분취량을 반응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추가 16시간 동안 질소 하에 90℃까지 가열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물(2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 x 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물(2 mL) 및 염수(2 mL)로 세척하고, 상 분리기를 통과시켜 건조시킨 다음,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수득된 조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이소헥산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0~75%로 용리)로 정제하여 원하는 tert-부틸 4-(2-((2-메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아미노)벤조[d]티아졸 -6-일)-1H-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102C)를 미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반-조 생성물을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N
1
-(6-(1
H
-피라졸-4-일)벤조[
d
]티아졸-2-일)-2-메틸-
N
3
-(5-(메틸티오)피리미딘-2-일)프로판-1,3-디아민 (실시예 97)
염화수소(2 mL, 1,4-디옥산 중 4 M)의 용액을 tert-부틸 4-(2-((2-메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아미노)벤조[d]티아졸-6-일)-1H-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102C) (100 mg, 0.12 mmol)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여 원하는 N 1-(6-(1H-피라졸-4-일)벤조[d]티아졸-2-일)-2-메틸-N 3-(5-(메틸티오)피리미딘 -2-일)프로판-1,3-디아민(실시예 97)을 미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반응식 3에 기술된 절차를 이용하여, 일반적인 방법 7에 따라, 다음 실시예를 제조하였다:
[표 4]
일반적인 방법 8
2-메틸-
N
1
-(5-(메틸티오)피리미딘-2-일)-
N
3
-(6-(옥사졸-2-일)벤조[
d
]티아졸-2-일)프로판-1,3-디아민 (실시예 101)
N 1-(6-브로모벤조[d]티아졸-2-일)-2-메틸-N 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프로판-1,3-디아민(102B)(90 mg, 0.21 mmol, 1.0 eq)을 질소 하에 N,N-디메틸포름아미드(0.80 mL) 중 2-(트리-n-부틸스타닐)옥사졸(0.044 mL, 0.21 mmol, 1.0 eq)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23 mg, 0.02 mmol, 0.1 eq)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90℃까지 가열하였다. 추가 분취량의 2-(트리-n-부틸스타닐)옥사졸(0.044 mL, 0.21 mmol, 1.0 eq)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23 mg, 0.02 mmol, 0.1 eq)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18시간 동안 110℃까지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물(2 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3 x 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물(2 mL) 및 염수(2 mL)로 세척하고,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여과하고, 상 분리기를 통과시켜 건조시킨 후, 진공 하에 농축 건조시켰다. 수득된 조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먼저 이소헥산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0~100%로 용리, 이어서 에틸 아세테이트에서 메탄올 0~10%로 용리)로 2회 정제하여, 반-조 잔류물을 수득하고, 이를 역상 분취용 HPLC로 추가 정제하여 원하는 2-메틸-N 1-(5-(메틸티오)피리미딘-2-일)-N 3-(6-(옥사졸-2-일)벤조[d]티아졸-2-일)프로판-1,3-디아민(101)을 미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반응식 3에 기술된 절차를 이용하여, 일반적인 방법 8에 따라, 다음 실시예를 제조하였다:
[표 5]
반응식 4
반응식 4에 기술된 절차를 이용하여, 일반적인 방법 3에 따라, 다음 실시예를 제조하였다:
[표 6]
반응식 7
tert-
부틸 (2,2-디메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카바메이트 (105A)
추가 가열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적용된 방법론은 일반적인 방법 1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였다.
tert-부틸 (3-아미노-2,2-디메틸프로필)카바메이트(0.13 g, 0.65 mmol, 1.05 eq)를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1.5 mL) 중 2-클로로-5-(메틸티오)피리미딘(100B)(0.10 g, 0.62 mmol, 1.0 eq) 및 탄산세슘(0.24 g, 0.75 mmol, 1.2 eq)의 교반 현탁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4시간 동안 8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20 mL)로 희석하고, 물(7.5 mL) 및 염수(5.0 mL)로 세척한 다음, 상 분리기를 통해 건조시켰다.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여 원하는 tert-부틸 (2,2-디메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카바메이트(105A)를 담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0.163 g (81%). ¹H NMR (400 MHz, DMSO) d 8.37 (s, 2H), 7.24 (dd, J =6.6, 6.6 Hz, 1H), 6.93 (dd, J =6.3, 6.3 Hz, 1H), 3.20 (d, J =6.8 Hz, 2H), 2.85 (d, J =8.7 Hz, 2H), 2.40 (s, 3H), 1.43 (d, J =3.3 Hz, 9H), 0.83 (s, 6H).
2,2-디메틸-
N
1
-(5-(메틸티오)피리미딘-2-일)프로판-1,3-디아민 염산염 (105B)
적용된 방법론은 일반적인 방법 2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였다.
염화수소(5 mL, 1,4-디옥산 중 4 M)의 용액을 tert-부틸 (2,2-디메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카바메이트(105A)(0.16 g, 0.50 mmol)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여 원하는 2,2-디메틸-N 1-(5-(메틸티오)피리미딘-2-일)프로판-1,3-디아민 염산염(105B)을 담황색의 반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0.13 g (100%) HCl 염. ¹H NMR (400 MHz, DMSO) d 8.39 (s, 2H), 7.95 (s, 3H), 7.70 (s, 1H), 3.25 (d, J =5.5 Hz, 2H), 2.68 - 2.61 (m, 2H), 2.38 (s, 3H), 0.96 (s, 6H).
N
1-(벤조[
d
]옥사졸-2-일)-2,2-디메틸-
N
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프로판-1,3-디아민 (실시예 164)
탄산세슘을 일반 염기로서 사용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적용된 방법론은 일반적인 방법 3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였다.
2-클로로벤족사졸(0.06 mL, 0.54 mmol, 0.1 eq)을 질소 하에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2.0 mL) 중 2,2-디메틸-N 1-(5-(메틸티오)피리미딘-2-일)프로판-1,3-디아민 염산염(105B)(0.13 g, 0.49 mmol, 1.0 eq) 및 탄산세슘(0.48 g, 1.48 mmol, 3.0 eq)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80℃ 또는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물(2.5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 x 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물(2 mL) 및 염수(2 mL)로 세척한 다음, 상 분리기를 통해 건조시켰다.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여 조 황색 오일을 수득하고, 이를 분취용 HPLC로 정제하여 원하는 N 1-(벤조[d]옥사졸-2-일)-2,2-디메틸-N 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프로판-1,3-디아민(실시예 164)을 미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반응식 7에 기술된 절차를 이용하여, 일반적인 방법 3에 따라, 다음 실시예를 제조하였다:
[표 9]
반응식 8
3-클로로-
N
-(2-클로로벤조[
d
]티아졸-6-일)프로판-1-설폰아미드 (106B)
수소화나트륨(광유 중 60%의 분산액)(326 mg, 8.15 mmol, 3.0 eq)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25 mL) 중 2-클로로벤조티아졸-6-아민(500 mg, 2.71 mmol, 1.0 eq)의 빙냉 용액에 소량씩 첨가하고, 혼합물을 얼음 냉각 하에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N,N-디메틸포름아미드(3 mL) 중 3-클로로프로판-1-설포닐 클로라이드(673 mg, 3.80 mmol, 1.4 eq)의 용액을 적가한 후, 반응 혼합물을 3시간에 걸쳐 주위 온도로 가온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염수(20 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2 x 2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담황색 오일을 수득하고, 이를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이소헥산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0~100%로 용리)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3-클로로-N-(2-클로로벤조[d]티아졸-6-일)프로판-1-설폰아미드 106B를 미백색의 검으로 수득하였다.
수율: 427 mg (48%). ¹H NMR (400 MHz, MeOD) d 7.87 - 7.84 (m, 2H), 7.38 (dd, J =2.3, 8.8 Hz, 1H), 3.67 (dd, J =6.3, 6.3 Hz, 2H), 2.27 - 2.19 (m, 2H). 비고 CH2 양성자는 MeOD에 의해 눈에 띄지 않음.
2-(2-클로로벤조[
d
]티아졸-6-일)이소티아졸리딘 1,1-디옥사이드 (106C)
수소화나트륨(광유 중 60%의 분산액)(98 mg, 2.46 mmol, 2.0 eq)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5 mL) 중 3-클로로-N-(2-클로로벤조[d]티아졸-6-일)프로판-1-설폰아미드(106B)(400 mg, 1.23 mmol, 1.0 eq)의 빙냉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빙냉 하에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염화암모늄 포화 용액(20 mL)을 조심스럽게 첨가하여 ??칭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 x 20 mL)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상을 물(20 mL), 염수(20 mL)로 세척한 다음, 진공 하에 농축시켜 검을 수득하였다. 조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이소헥산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0~100%로 용리)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106C)을 미백색 검으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220 mg (62%). ¹H NMR (400 MHz, CDCl3) d 7.92 (d, J =8.9 Hz, 1H), 7.72 (d, J =2.1 Hz, 1H), 7.38 (dd, J =2.4, 8.9 Hz, 1H), 3.84 (dd, J =6.5, 6.5 Hz, 2H), 3.43 (dd, J =7.5, 7.5 Hz, 2H), 2.63 - 2.55 (m, 2H).
2-(2-((2-메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아미노)벤조[
d
]티아졸-6-일)이소티아졸리딘 1,1-디옥사이드 (실시예 175)
적용된 방법론은 일반적인 방법 3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였다.
수율: 25 mg (15%). ¹H NMR (400 MHz, DMSO) d 8.34 (s, 2H), 8.03 (dd, J =5.6, 5.6 Hz, 1H), 7.57 (d, J =2.3 Hz, 1H), 7.51 (dd, J =5.9, 5.9 Hz, 1H), 7.35 (d, J =8.8 Hz, 1H), 7.14 (dd, J =2.4, 8.7 Hz, 1H), 3.72 (dd, J =6.5, 6.5 Hz, 2H), 3.47 (dd, J =7.5, 7.5 Hz, 2H), 3.45 - 3.38 (m, 1H), 3.30 - 3.22 (m, 3H), 2.44 - 2.36 (m, 2H), 2.35 (s, 3H), 2.13 - 2.06 (m, 1H), 0.95 (d, J =6.8 Hz, 3H); MS (ESI+) m/z 465 (M+H)+.
반응식 9
N
-(2-클로로벤조[
d
]티아졸-6-일)메탄설폰아미드 (107B)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0.055 mL, 0.706 mmol, 1.3 eq)를 무수 디클로로메탄(5 mL) 중 2-클로로벤조티아졸-6-아민(100 mg, 0.54 mmol, 1.0 eq) 및 피리딘(0.066 mL, 0.815 mmol, 1.5 eq)의 빙냉 용액에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0℃에서 15분 동안 교반한 다음, 1시간에 걸쳐 주위 온도로 가온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1 mL)로 ??칭시켰다. 유기상을 제거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담황색 오일을 수득하였고, 이를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이소헥산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0~100%로 용리)로 정제하여 원하는 N-(2-클로로벤조[d]티아졸-6-일)메탄설폰아미드(107B)를 담황색 검으로 수득하였다.
수율: 135 mg (94.8%) ¹H NMR (400 MHz, CDCl3) d 7.88 (d, J =8.8 Hz, 1H), 7.79 (d, J =2.1 Hz, 1H), 3.00 (s, 3H). 방향족 H 양성자는 CDCl3에 의해 눈에 띄지 않고, NH 치환성 양성자는 관찰되지 않음.
N
-(2-클로로벤조[
d
]티아졸-6-일)-
N
-메틸메탄설폰아미드 (107C)
수소화나트륨(광유 중 60%의 분산액)(31 mg, 0.772 mmol, 1.5 eq)을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퓨란(2 mL) 중 N-(2-클로로벤조[d]티아졸-6-일)메탄설폰아미드(107B)(135 mg, 0.515 mmol, 1.0 eq)의 빙냉 용액에 소량씩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요오도메탄(0.048 mL, 0.772 mmol, 1.5 eq)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추가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1 mL)을 첨가하고 용매를 고진공 하에 제거하여 담황색 검을 수득하고 이를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이소헥산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0~100%로 용리)로 정제하여 N-(2-클로로벤조[d]티아졸-6-일)-N-메틸메탄설폰아미드(107C)를 담황색 검으로 수득하였다.
수율: 100 mg (70%) ¹H NMR (400 MHz, CDCl3) d 7.95 (d, J =8.8 Hz, 1H), 7.86 (d, J =2.1 Hz, 1H), 7.48 (dd, J =2.3, 8.8 Hz, 1H), 3.39 (s, 3H), 2.88 (s, 3H).
N
-메틸-
N
-(2-((2-메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아미노) 벤조[
d
]티아졸-6-일)메탄설폰아미드 (실시예 176)
적용된 방법론은 일반적인 방법 3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였다.
수율: 89 mg (60%) ¹H NMR (400 MHz, CDCl3) d 8.38 (s, 2H), 7.62 (d, J =2.0 Hz, 1H), 7.51 (d, J =8.7 Hz, 1H), 7.24 (d, J =3.2 Hz, 1H), 5.74 (dd, J =6.5, 6.5 Hz, 1H), 3.34 - 3.33 (m, 6H), 2.86 (s, 3H), 2.37 (s, 3H), 2.20 - 2.10 (m, 1H), 1.06 (d, J =6.9 Hz, 3H). 모든 NH 치환성 양성자가 관찰된 것은 아님; MS (ESI+) m/z 453 (M+H)+.
반응식 10
4-(((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메틸)피롤리딘-2-온 (108B)
적용된 방법론은 일반적인 방법 1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였다.
5-아미노메틸-피롤리딘-2-온(108A)(1.0 g, 8.76 mmol, 1.0 eq)를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10 mL) 중 2-클로로-5-(메틸티오)피리미딘(100B)(1.4 g, 8.76 mmol, 1.0 eq) 및 탄산세슘(8.56 g, 26.28 mmol, 3.0 eq)의 교반 현탁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8시간 동안 50℃까지 가열한 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수득한 액체를 에틸 아세테이트(50 mL)로 희석하고, 물(10 mL) 및 염수(10 mL)로 세척한 다음, 상 분리기를 통해 건조시켰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여 조 잔류물을 수득하고, 이를 메탄올 중에서 트리튜레이션(trituration)하여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4-(((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메틸)피롤리딘-2-온(108B)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수성상을 감압 하에 농축하고, 여액과 합하고,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디클로로메탄에서 메탄올 0~10%로 용리)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4-(((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메틸)피롤리딘-2-온(108B)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두 수확물을 합하여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수율: 0.74 g (36%). ¹H NMR (400 MHz, CDCl3) d 8.35 (s, 2H), 5.79 - 5.76 (m, 1H), 5.48 (dd, J =5.5, 5.5 Hz, 1H), 3.57 - 3.50 (m, 3H), 3.20 (dd, J =5.3, 9.5 Hz, 1H), 2.89 - 2.84 (m, 1H), 2.53 - 2.46 (m, 1H), 2.37 (s, 3H), 2.16 (dd, J =6.4, 17.1 Hz, 1H).
tert
-부틸 4-(((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메틸)-2-옥소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108C)
4-디메틸아미노피리딘(5 mg, 0.04 mmol, 0.1 eq)을 디클로로메탄(4.2 mL) 중 4-(((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메틸)피롤리딘-2-온(108B)(100 mg, 0.4 mmol, 1.0 eq), 디-tert-부틸 디카보네이트(229 mg, 1.0 mmol, 2.5 eq) 및 트리에틸아민(0.146 mL, 1.00 mmol, 2.5 eq)의 교반 현탁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7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물(3.0 m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 x 5.0 mL)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상을 염수(2.5 mL)로 세척한 다음, 상 분리기를 통과시켜 건조시켰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여 조 잔류물을 수득하고, 이를 역상 크로마토그래피(아세토니트릴에 대한 0.1% 포름산 용액, 5~100%로 용리)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tert-부틸 4-(((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메틸)-2-옥소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108C)를 수득하였다.
수율: 72 mg (53%). ¹H NMR (400 MHz, DMSO) d 8.35 (s, 2H), 7.62 (t, J =6.1 Hz, 1H), 3.73 (dd, J =7.8, 10.4 Hz, 1H), 3.50 - 3.44 (m, 1H), 3.29 (d, J =6.4 Hz, 2H), 2.60 - 2.55 (m, 2H), 2.36 (s, 3H), 2.28 (dd, J =9.6, 20.9 Hz, 1H), 1.44 (s, 9H).
tert
-부틸 (4-아미노-2-(((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메틸)-4-옥소부틸)카바메이트 (108D)
수산화암모늄(2.2 mL)의 용액을 tert-부틸 4-(((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메틸)-2-옥소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108C)(72 mg, 0.21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80℃에서 1.5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다음, 디클로로메탄(3 x 5 mL)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용매를 상 분리기를 통해 건조시킨 다음, 감압 하에 제거하여 원하는 생성물 tert-부틸 (4-아미노-2-(((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메틸)-4-옥소부틸)카바메이트(108D)를 수득하였다.
수율: 61 mg (86%). ¹H NMR (400 MHz, DMSO) d 8.33 (s, 2H), 7.32 (s, 1H), 7.25 (dd, J =6.0, 6.0 Hz, 1H), 6.81 (s, 2H), 3.24 (dd, J =6.2, 6.2 Hz, 2H), 2.97 (dd, J =6.0, 6.0 Hz, 2H), 2.36 (s, 3H), 2.18 - 2.08 (m, 1H), 2.04 (d, J =6.4 Hz, 2H), 1.38 (s, 9H).
4-아미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메틸)부탄아미드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 (108E)
적용된 방법론은 일반적인 방법 2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였다.
염화수소 용액(0.7 mL, 1,4-디옥산 중 4M)을 tert-부틸 (4-아미노-2-(((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메틸)-4-옥소부틸)카바메이트(108D)(61 mg, 0.17 mmol)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여 원하는 생성물 4-아미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메틸)부탄아미드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108E)을 담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56 mg (100%) HCl 염.
4-((6-(
N
-(4-메톡시벤질)설파모일)벤조[
d
]티아졸-2-일)아미노)-3-(((5-(메틸티오) 피리미딘-2-일)아미노)메틸)부탄아미드 (177)
적용된 방법론은 일반적인 방법 3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였다.
2-클로로-N-(4-메톡시벤질)벤조[d]티아졸-6-설폰아미드(101B)(70 mg, 0.19 mmol, 1.10 eq)를 질소 하에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2.0 mL) 중 4-아미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메틸)부탄아미드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108E)(56 mg, 0.17 mmol, 1.0 eq) 및 트리에틸아민(0.072 mL, 0.51 mmol, 3.0 eq)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7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물(2.5 mL)을 첨가하고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수집한 다음, 메탄올로 세척하였다. 유기 여액을 감압 하에 농축하여 조 잔류물을 수득하고, 이를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디클로로메탄에서 메탄올 0~25%로 용리)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4-((6-(N-(4-메톡시벤질)설파모일)벤조[d]티아졸-2-일)아미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메틸)부탄아미드(실시예 177)를 미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25 mg (25%). ¹H NMR (400 MHz, DMSO) d 8.45 (dd, J =5.6, 5.6 Hz, 1H), 8.33 (s, 2H), 8.08 (d, J =1.8 Hz, 1H), 7.88 (dd, J =6.1, 6.1 Hz, 1H), 7.62 (dd, J =1.9, 8.5 Hz, 1H), 7.49 - 7.42 (m, 2H), 7.39 - 7.37 (m, 1H), 7.14 (d, J =8.7 Hz, 2H), 6.87 - 6.87 (m, 1H), 6.81 (d, J =8.7 Hz, 2H), 3.89 (d, J =6.0 Hz, 2H), 3.70 (s, 3H), 3.48 (d, J =1.1 Hz, 2H), 3.37 (dd, J =6.1, 6.1 Hz, 2H), 2.43 - 2.37 (m, 1H), 2.34 (s, 3H), 2.22 - 2.17 (m, 2H).
4-((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3-(((6-설파모일벤조[d]티아졸-2-일)아미노)메틸)부탄아미드 (178)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0.3 m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0.3 mL) 중 4-((6-(N-(4-메톡시벤질)설파모일)벤조[d]티아졸-2-일)아미노)-3-(((5-(메틸티오) 피리미딘-2-일)아미노)메틸)부탄아미드(177)(20 mg, 0.03 mmol, 1.0 eq)의 0℃의 냉각 용액에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8시간에 걸쳐 실온으로 가온되도록 하였다. 추가 분취량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1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압력 하에 농축시킨 다음, 탄산수소나트륨 포화 수용액(3 mL)을 첨가하여 조심스럽게 염기성으로 만들었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 x 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염수(3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다음,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수득한 조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디클로로메탄에서 메탄올 0~20%로 용리)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4-((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3-(((6-설파모일벤조[d] 티아졸-2-일)아미노) 메틸)부탄아미드(실시예 178)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12 mg (75%). ¹H NMR (400 MHz, DMSO) d 8.41 (dd, J =5.5, 5.5 Hz, 1H), 8.33 (s, 2H), 8.13 (d, J =1.8 Hz, 1H), 7.67 (dd, J =1.9, 8.5 Hz, 1H), 7.47 - 7.43 (m, 2H), 7.38 (s, 1H), 7.21 (s, 2H), 6.86 (s, 1H), 3.46 - 3.46 (m, 2H), 3.36 (dd, J =6.2, 6.2 Hz, 2H), 2.39 - 2.38 (m, 1H), 2.34 (s, 3H), 2.21 - 2.17 (m, 2H).
반응식 10에 기술된 절차를 이용하여 다음 실시예를 합성하였다:
[표 10]
반응식 11
4-((2-클로로벤조[d]티아졸-6-일)설포닐)모르폴린 (109B)
적용된 방법론은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대신 디클로로메탄을 용매로 사용하는 일반적인 방법 6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였다.
수율: 686 mg. ¹H NMR (400 MHz, CDCl3) d 8.25 (d, J =1.8 Hz, 1H), 8.10 (d, J =8.6 Hz, 1H), 7.85 (dd, J =1.3, 8.6 Hz, 1H), 3.75 (dd, J =4.7, 4.7 Hz, 4H), 3.04 (dd, J =4.7, 4.7 Hz, 4H); MS (ESI+) m/z 319 (M+H)+.
tert-부틸 (3-((5-(디플루오로메톡시)피리미딘-2-일)아미노)-2-메틸프로필)카바메이트 (109D)
적용된 방법론은 일반적인 방법 1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였다.
수율: 433 mg. ¹H NMR (400 MHz, CDCl3) d 8.16 - 8.15 (m, 2H), 5.05 - 5.05 (m, 1H), 3.47 - 3.38 (m, 1H), 3.31 - 3.17 (m, 2H), 3.04 - 2.95 (m, 1H), 1.96 - 1.86 (m, 1H), 1.60 - 1.58 (m, 1H), 0.96 - 0.94 (m, 3H); MS (ESI+) m/z 333 (M+H)+.
N1-(5-(디플루오로메톡시)피리미딘-2-일)-2-메틸프로판-1,3-디아민 염산염 (109E)
염화수소(2.7 mL, 1,4-디옥산 중 4 M)의 용액을 tert-부틸 (3-((5-(디플루오로메톡시)피리미딘-2-일)아미노)-2-메틸프로필)카바메이트(109D)(300 mg, 0.903 mmol)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여 조 표제 화합물 N1-(5-(디플루오로메톡시)피리미딘-2-일)-2-메틸프로판-1,3-디아민 염산염(109E)을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수율: 225 mg (정량). MS (ESI+) m/z 233 (M+H)+.
N1-(5-(디플루오로메톡시)피리미딘-2-일)-2-메틸-N3-(6-(모르폴리노설포닐) 벤조[d]티아졸-2-일)프로판-1,3-디아민 (180)
적용된 방법론은 일반적인 방법 3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였다.
수율: 225 mg. ¹H NMR (400 MHz, CDCl3) d 8.21 (s, 2H), 7.97 (d, J =1.5 Hz, 1H), 7.65 (dd, J =1.8, 8.5 Hz, 1H), 7.59 (d, J =8.5 Hz, 1H), 6.91 (s, 1H), 6.43 (t, J =71.6 Hz, 1H), 5.72 (dd, J =6.6, 6.6 Hz, 1H), 3.77 - 3.73 (m, 4H), 3.62 - 3.51 (m, 2H), 3.43 - 3.29 (m, 2H), 3.01 (dd, J =4.6, 4.6 Hz, 4H), 2.21 - 2.12 (m, 1H), 1.08 (d, J =6.9 Hz, 3H); (ESI+) m/z 515 (M+H)+.
반응식 11에 기술된 절차를 따라, 다음 실시예를 합성하였다:
[표 11]
반응식 12
tert
-부틸 (2-메틸-3-(피리딘-2-일아미노)프로필)카바메이트 (110B)
1,4-디옥산(2 mL) 중 tert-부틸 3-아미노-2-메틸프로필카바메이트(110A)(150 mg, 0.80 mmol, 1.0 eq)의 용액을 질소 하에 1,4-디옥산(10 mL) 중 2-브로모피리딘(0.076 mL, 0.80 mmol, 1.0 eq), 나트륨 tert-부톡사이드(383 mg, 3.98 mmol, 5.0 eq), 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비페닐(38 mg, 0.08 mmol, 0.1 eq) 및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0)(73 mg, 0.08 mmol, 0.1 eq)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0℃까지 7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수득한 잔류물을 물(2 mL)과 에틸 아세테이트(5 mL) 사이에 분배하였다.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한 후, 수성상을 제거하고 에틸 아세테이트(3 x 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물(2 mL) 및 염수(2 mL)로 세척한 다음, 상 분리기를 통과시켜 건조시킨 다음, 진공 하에 농축 건조시켰다. 수득한 조 잔류물을 역상 크로마토그래피(10 mM의 중탄산암모늄 수용액에서 아세토니트릴 5~95%로 용리)로 정제하여 반-순도의 원하는 tert-부틸 (2-메틸-3-(피리딘-2-일아미노)프로필)카바메이트(110B)를 미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수율: 27 mg (12%). MS (ESI+) m/z 266 (M+H)+.
2-메틸-
N
1
-(피리딘-2-일)프로판-1,3-디아민 염산염 (110C)
적용된 방법론은 일반적인 방법 2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였다.
염화수소(0.4 mL, 1,4-디옥산 중 4 M)의 용액을 tert-부틸 (2-메틸-3-(피리딘-2-일아미노)프로필)카바메이트(108B)(27 mg, 0.10 mmol)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여 원하는 생성물 2-메틸-N1-(피리딘-2-일)프로판-1,3-디아민 염산염(110C)을 담황색의 반고체로서 수득하였다. 반-조 샘플을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수율: 25 mg (추정 정량 %).
2-메틸-
N
1
-(5-(메틸티오)피리미딘-2-일)-
N
3
-(피리딘-2-일)프로판-1,3-디아민 (실시예 187)
적용된 방법론은 일반적인 방법 3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였다.
2-클로로-5-메틸설파닐-피리미딘(100B)(17 mg, 0.11 mmol, 1.05 eq)을 질소 하에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0.5 mL) 중 2-메틸-N 1-(피리딘-2-일)프로판-1,3-디아민 염산염(110C)(24 mg, 0.10 mmol, 1.0 eq) 및 탄산세슘(99 mg, 0.30 mmol, 3.0 eq)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50℃까지 16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물(2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 x 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물(2 mL) 및 염수(2 mL)로 세척한 다음, 상 분리기를 통과시켜 건조시켰다.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여 조 황색 오일을 수득하고, 이를 역상 크로마토그래피(10 mM의 중탄산암모늄 수용액에서 아세토니트릴 5~95%로 용리)로 정제하여 원하는 2-메틸-N 1-(5-(메틸티오)피리미딘-2-일)-N 3-(피리딘-2-일)프로판-1,3-디아민(실시예 187)을 끈적한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1.5 mg (5%). ¹H NMR (400 MHz, CDCl3) d 8.35 (s, 2H), 8.10 (dd, J =0.6, 3.6 Hz, 1H), 7.41 - 7.35 (m, 1H), 6.54 (dd, J =5.3, 6.8 Hz, 1H), 6.38 (d, J =8.4 Hz, 1H), 5.93 - 5.93 (m, 1H), 4.96 - 4.96 (m, 1H), 3.53 - 3.21 (m, 4H), 2.35 (s, 3H), 2.10 - 2.01 (m, 1H), 1.03 (d, J =6.9 Hz, 3H); MS (ESI+) m/z 290 (M+H)+.
반응식 13
메틸 5-((2-메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 아미노)피라진-2-카르복실레이트 (188)
적용된 방법론은 일반적인 방법 3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였다.
메틸 5-브로모피라진-2-카르복실레이트(114 mg, 0.53 mmol, 1.0 eq)를 질소 하에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2.0 mL) 중 2-메틸-N 1-(5-(메틸티오)피리미딘-2-일)프로판-1,3-디아민 염산염(102A)(150 mg, 0.53 mmol, 1.0 eq) 및 탄산세슘(514 mg, 1.58 mmol, 3.0 eq)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물(2.5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 x 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물(2 mL) 및 염수(2.5 mL)로 세척한 다음, 상 분리기를 통과시켜 건조시켰다.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여 갈색 오일을 수득하고, 이를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이소헥산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0~100%로 용리)로 정제하였다. 수득한 반-조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디클로로메탄올에서 메탄올 0~10%로 용리)로 추가 정제하여 원하는 메틸 5-((2-메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아미노) 피라진-2-카르복실레이트(실시예 188)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60 mg (32%). ¹H NMR (400 MHz, CDCl3) d 8.76 (s, 1H), 8.37 (s, 2H), 7.91 (d, J =1.4 Hz, 1H), 6.36 - 6.36 (m, 1H), 5.56 (dd, J =6.0, 6.0 Hz, 1H), 3.95 (s, 3H), 3.60 - 3.51 (m, 2H), 3.40 - 3.26 (m, 2H), 2.38 (s, 3H), 2.10 - 2.03 (m, 1H), 1.04 (d, J =6.9 Hz, 3H). MS (ESI+) m/z 349 (M+H)+.
5-((2-메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아미노)피라진-2-카르복시산 (189)
적용된 방법론은 일반적인 방법 4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였다.
수산화리튬 일수화물(23 mg, 55 mmol, 5.0 eq)을 에탄올(0.4 mL) 및 물(0.4 mL) 중 메틸 5-((2-메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아미노) 피라진-2-카르복실레이트(188)(38 mg, 0.11 mmol, 1.0 eq)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72시간 동안 주위 온도에서 교반한 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물(0.5 mL)을 잔류물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염산 수용액(2 M)으로 pH 약 3까지 산성화시켰다. 끈적한 침전물을 여과 하에 수집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3 x 3 mL)로 추출하고, 물(1 mL)로 세척한 다음, 상 분리기를 통과시켜 건조시켰다.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여 원하는 5-((2-메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아미노)피라진-2-카르복시산(실시예 189)을 담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34 mg (94%); ¹H NMR (400 MHz, DMSO) d 8.52 (s, 1H), 8.36 (s, 2H), 7.99 (s, 2H), 7.65 - 7.64 (m, 1H), 3.39 - 3.20 (m, 4H), 2.36 (s, 3H), 2.12 - 2.03 (m, 1H), 0.94 (d, J =6.8 Hz, 3H), 하나의 NH 양성자는 관찰되지 않음; MS (ESI+) m/z 335 (M+H)+.
(4-하이드록시피페리딘-1-일)(5-((2-메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 아미노) 피라진-2-일)메타논 (실시예 190)
적용된 방법론은 일반적인 방법 5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였다.
1-[비스(디메틸아미노)메틸렌]-1H-1,2,3-트리아졸로[4,5-b]피리디늄 3-옥사이드 헥사플루오로 포스페이트(HATU, 58 mg, 0.15 mmol, 1.5 eq)를 N,N-디메틸포름아미드(1 mL) 중 5-((2-메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아미노)피라진-2-카르복시산(189)(34 mg, 0.10 mmol, 1.0 eq) 및 4-하이드록시피페리딘(103 mg, 1.02 mmol, 10 eq)의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수득한 조 잔류물을 역상 분취용 HPLC로 정제하여 원하는 (4-하이드록시피페리딘-1-일)(5-((2-메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 아미노)피라진-2-일)메타논(실시예 190)을 미백색의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22 mg (53%). ¹H NMR (400 MHz, CDCl3) d 8.46 (s, 1H), 8.37 (s, 2H), 7.79 (s, 1H), 5.97 - 5.97 (m, 1H), 5.71 - 5.71 (m, 1H), 4.15 - 4.15 (m, 2H), 4.01 - 3.94 (m, 1H), 3.58 - 3.47 (m, 2H), 3.42 - 3.25 (m, 4H), 2.37 (s, 3H), 2.08 (ddd, J =11.5, 11.5, 5.1 Hz, 1H), 2.00 - 1.94 (m, 2H), 1.62 - 1.60 (m, 3H), 1.04 (d, J =6.8 Hz, 3H); MS (ESI+) m/z 418 (M+H)+.
반응식 16
5-(5-메틸-1,3,4-옥사디아졸-2-일)피리딘-2-아민 (111B)
적용된 방법론은 일반적인 방법 7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였다.
2-브로모-5-메틸-1,3,4-옥사디아졸 (0.58 g, 3.58 mmol, 1.05 eq)을 질소 하에 물(5.5 mL) 및 1,4-디옥산(22.5 mL) 중 5-(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피리딘-2-아민(111A)(0.75 g, 3.41 mmol, 1.0 eq), 탄산세슘(3.33 g, 10.22 mmol, 3.0 eq)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피노)팔라듐(0)(0.39 g, 0.34 mmol, 0.10 eq)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100℃까지 가열하였다.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고, 물(20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6 x 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물(10 mL) 및 염수(10 mL)로 세척하고, 상 분리기를 통과시켜 건조시킨 다음,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수득한 조 잔류물을 역상 크로마토그래피(10 mM의 중탄산암모늄 용액에서 아세토니트릴 5~30%로 용리)에 의해 정제하여 원하는 5-(5-메틸-1,3,4-옥사디아졸-2-일)피리딘-2-아민(111B)을 미백색의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153 mg (25%). ¹H NMR (400 MHz, DMSO) d 8.49 (d, J =2.0 Hz, 1H), 7.87 (dd, J =2.4, 8.8 Hz, 1H), 6.75 (s, 2H), 6.57 (d, J =8.8 Hz, 1H), 2.53 (s, 3H).
tert
-부틸 (2-메틸-3-((5-(5-메틸-1,3,4-옥사디아졸-2-일)피리딘-2-일)아미노)프로필) 카바메이트 (111C)
tert-부틸 N-(2-메틸-3-옥소프로필)카바메이트(111B)(225 mg, 1.21 mmol, 1.2 eq)를 무수 디클로로메탄(20 mL) 중 5-(5-메틸-1,3,4-옥사디아졸-2-일)피리딘-2-아민(114B)(153 mg, 1.00 mmol, 1.0 eq), 아세트산(0.230 mL, 4.02 mmol, 4.0 eq) 및 분자 체(유형 4Å, 250 mg)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5분 동안 교반한 다음, 나트륨 트리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532 mg, 2.51 mmol, 2.5 eq)를 한번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4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ert-부틸 N-(2-메틸-3-옥소프로필)카바메이트(225 mg, 1.21 mmol, 1.2 eq)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추가로 7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탄산수소나트륨 포화 수용액(30 mL)을 조심스럽게 첨가하여 반응을 ??칭시켰다. 혼합물을 30분 동안 격렬하게 교반한 다음, 디클로로메탄 층을 단리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검을 수득하였다. 조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이소헥산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0~100%로 용리)로 정제하여 원하는 tert-부틸 (2-메틸-3-((5-(5-메틸-1,3,4-옥사디아졸-2-일)피리딘-2-일)아미노)프로필) 카바메이트(111C)를 수득하였다. 조 샘플을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수율: 101 mg (29%).
2-메틸-
N
1
-(5-(5-메틸-1,3,4-옥사디아졸-2-일)피리딘-2-일)프로판-1,3-디아민 염산염 (111D)
적용된 방법론은 일반적인 방법 2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였다.
염화수소(1.2 mL, 1,4-디옥산 중 4 M)의 용액을 tert-부틸 (2-메틸-3-((5-(5-메틸-1,3,4-옥사디아졸-2-일)피리딘-2-일)아미노)프로필)카바메이트(110C)(101 mg, 0.29 mmol)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여 원하는 2-메틸-N 1-(5-(5-메틸-1,3,4-옥사디아졸-2-일)피리딘-2-일)프로판-1,3-디아민 염산염(111D)을 미백색의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조 샘플을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수율: 93 mg (추정 정량 %).
2-메틸-
N
1
-(5-(5-메틸-1,3,4-옥사디아졸-2-일)피리딘-2-일)-
N
3
-(5-(메틸티오) 피리미딘-2-일)프로판-1,3-디아민 (실시예 203)
적용된 방법론은 일반적인 방법 3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였다.
2-클로로-5-메틸설파닐-피리미딘(100B)(51 mg, 0.32 mmol, 1.1 eq)을 질소 하에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2.9 mL) 중 2-메틸-N 1-(5-(5-메틸-1,3,4-옥사디아졸-2-일)피리딘-2-일)프로판-1,3-디아민 염산염(111D)(93 mg, 0.29 mmol, 1.0 eq) 및 탄산세슘(283 mg, 0.87 mmol, 3.0 eq)의 교반 현탁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고, 40℃까지 추가 16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물(10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 x 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물(10 mL) 및 염수(10 mL)로 세척한 다음, 상 분리기를 통과시켜 건조시켰다.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여 황색 오일을 수득하고, 이를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이소헥산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0~100%로 용리)로 정제하여 조 잔류물을 수득하고, 이를 역상 분취용 HPLC에 의해 추가로 정제하여 원하는 2-메틸-N 1-(5-(5-메틸-1,3,4-옥사디아졸-2-일)피리딘-2-일)-N 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프로판-1,3-디아민(실시예 203)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3.5 mg (3%). ¹H NMR (400 MHz, CDCl3) d 8.70 (d, J =1.8 Hz, 1H), 8.37 (s, 2H), 8.00 (dd, J =2.3, 8.8 Hz, 1H), 6.47 (d, J =8.1 Hz, 1H), 5.79 - 5.69 (m, 2H), 3.55 - 3.25 (m, 4H), 2.59 (s, 3H), 2.37 (s, 3H), 2.12 - 2.04 (m, 1H), 1.05 (d, J =6.8 Hz, 3H) ; MS (ESI+) m/z 372 (M+H)+.
반응식 17
에틸 2-(6-(((
R
)-2-메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아미노) 피리딘 -3-일)시클로프로판-1-카르복실레이트 (112B)
반응 튜브에 (R)-2-메틸-N 1-(5-(메틸티오)피리미딘-2-일)프로판-1,3-디아민 염산염(100E)(544 mg, 2.19 mmol), 에틸 2-(6-브로모피리딘-3-일)시클로프로판-1-카르복실레이트(650 mg, 2.41 mmol), L-프롤린(101 mg, 0.875 mmol) 인산칼륨(928 mg, 4.37 mmol) 및 디메틸설폭사이드(5 m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2분 동안 질소로 살포한 후, 요오드화구리(I)(83 mg, 0.437 mmol)를 첨가하였다. 튜브를 질소 하에 밀봉하고 90℃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냉각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20 mL)로 희석하고, 셀라이트 패드를 통과시키고, 여액을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0 mL) 및 물(20 mL)로 희석하고 수성상을 분리하고 에틸 아세테이트(2 x 3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물을 물(2 x 40 mL) 및 이어서 염수(2 x 50 mL)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킨 다음, 진공 하에 농축시켜 조 표제 화합물 에틸 2-(6-(((R)-2-메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아미노)피리딘-3-일)시클로프로판-1-카르복실레이트(112B)를 담갈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주의: 정상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한 정제는 여러 인접 불순물을 분해할 수 없음).
수율: 284 mg. ¹H NMR (400 MHz, CDCl3) d 8.36 (s, 2H), 8.21 (dd, J =2.1, 6.2 Hz, 1H), 7.95 (s, 1H), 7.26 - 7.19 (m, 1H), 7.12 (d, J =8.1 Hz, 1H), 6.33 (d, J =8.6 Hz, 1H), 4.22 - 4.15 (m, 2H), 3.53 - 3.46 (m, 1H), 3.39 - 3.31 (m, 2H), 3.23 - 3.17 (m, 1H), 2.49 (ddd, J =11.8, 11.8, 11.8 Hz, 1H), 2.33 (s, 3H), 2.12 - 2.02 (m, 1H), 1.79 - 1.74 (m, 1H), 1.55 - 1.48 (m, 1H), 1.32 - 1.24 (m, 3H), 1.24 - 1.17 (m, 1H), 1.02 (d, J =6.8 Hz, 3H); MS (ESI+) m/z 402 (M+H)+.
2-(6-(((
R
)-2-메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아미노)피리딘-3-일)시클로프로판-1-카르복시산 (112C)
에탄올(6 mL) 및 물(4 mL) 중 에틸 2-(6-(((R)-2-메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 아미노)피리딘-3-일)시클로프로판-1-카르복실레이트(112B, 274 mg, 0.682 mmol)의 용액에 수산화리튬 일수화물(143 mg, 3.41 mmo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수득한 잔류물을 물(8 mL)로 희석하였다. 용액을 2 M의 염산 수용액으로 pH 약 2까지 조정한 다음, 디클로로메탄/메탄올(디클로로메탄 중 20%의 메탄올, 2 x 1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상 분리기 카트리지에 통과시킨 다음, 진공 하에 농축시켜 조 표제 화합물 2-(6-(((R)-2-메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아미노) 피리딘-3-일)시클로프로판-1-카르복시산(112C)을 갈색 오일로서 수득하였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직접 사용하였다.
수율: 280 mg. MS (ESI+) m/z 374 (M+H)+.
tert
-부틸 7-(2-(6-(((
R
)-2-메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 아미노)피리딘-3-일)시클로프로판-1-카르보닐)-2,7-디아자스피로[3.5]노난-2-카르복실레이트 (112D)
tert-부틸 2,7-디아자스피로[3.5]노난-2-카르복실레이트(65 mg, 0.281 mmol)를 디메틸포름아미드(2 mL) 중 2-(6-(((R)-2-메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아미노) 피리딘-3-일)시클로프로판-1-카르복시산(112C, 70 mg, 0.187 mmol), 1-[비스(디메틸아미노)메틸렌]-1H-1,2,3-트리아졸로[4,5-b]피리디늄 3-옥시드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ATU, 86 mg, 0.225 mmol) 및 트리에틸아민(0.26 mL, 1.87 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완료되면 반응 혼합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수득한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5 mL) 및 물(3 mL)로 희석하였다. 수성상을 분리하고 에틸 아세테이트(2 x 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물을 물(5 mL), 염수(2 x 10 mL)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킨 다음,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수득한 조 잔류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디클로로메탄 중 0~10%의 메탄올로 용리)를 사용하여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tert-부틸 7-(2-(6-(((R)-2-메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아미노)피리딘-3-일)시클로프로판-1-카르보닐)-2,7-디아자스피로[3.5] 노난-2-카르복실레이트(112D)를 미백색의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69 mg. ¹H NMR (400 MHz, CDCl3) d 8.35 (s, 2H), 7.92 (d, J =1.5 Hz, 1H), 7.15 (dd, J =2.1, 8.5 Hz, 1H), 6.34 (d, J =8.6 Hz, 1H), 5.96 (dd, J =6.2, 6.2 Hz, 1H), 5.00 (s, 1H), 3.73 - 3.63 (m, 5H), 3.49 (s, 4H), 3.38 - 3.29 (m, 2H), 3.26 - 3.18 (m, 2H), 2.37 - 2.30 (m, 4H), 2.10 - 1.98 (m, 1H), 1.89 - 1.82 (m, 1H), 1.61 - 1.53 (m, 2H), 1.44 (s, 9H), 1.29 - 1.23 (m, 2H), 1.21 - 1.14 (m, 1H), 1.02 (d, J =6.8 Hz, 3H); MS (ESI+) m/z (M+H)+.
(2-(6-(((
R
)-2-메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아미노)피리딘-3-일)시클로프로필)(2,7-디아자스피로[3.5]노난-7-일)메타논 (실시예 204)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0.2 mL)을 디클로로메탄(2 mL) 중 tert-부틸 7-(2-(6-(((R)-2-메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아미노)피리딘-3-일)시클로프로판-1-카르보닐)-2,7-디아자스피로[3.5]노난-2-카르복실레이트(112D, 69 mg, 0.119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한 다음, 디클로로메탄(3 x 5 mL)과 공비시켰다. 수득한 조 잔류물을 디메틸설폭사이드(1.5 mL)에 용해시키고 분취용 HPLC로 정제하였다. 수득한 액체를 진공 하에 건조시킨 다음, 아세토니트릴/물 혼합물로부터 동결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2-(6-(((R)-2-메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아미노)피리딘-3-일)시클로프로필)(2,7-디아자스피로[3.5]노난-7-일) 메타논(204)을 거품 같은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15 mg. ¹H NMR (400 MHz, CDCl3) d 8.54 (s, 1H), 8.35 (s, 2H), 7.89 - 7.86 (m, 1H), 7.16 (dd, J =2.0, 8.6 Hz, 1H), 6.36 (d, J =8.6 Hz, 1H), 5.98 (dd, J =6.9, 6.9 Hz, 1H), 5.49 - 5.49 (m, 1H), 3.76 (s, 4H), 3.51 - 3.43 (m, 2H), 3.39 - 3.30 (m, 3H), 3.22 (dd, J =6.6, 13.4 Hz, 2H), 2.38 - 2.31 (m, 4H), 2.11 - 2.01 (m, 1H), 1.89 - 1.79 (m, 5H), 1.59 - 1.52 (m, 1H), 1.27 - 1.14 (m, 1H), 1.03 (d, J =6.8 Hz, 3H); MS (ESI+) m/z 482 (M+H)+.
반응식 17에 기술된 절차를 따라, 다음 실시예를 합성하였다:
[표 14]
반응식 18
N 1 -(5-브로모피라진-2-일)-2-메틸- N 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프로판-1,3-디아민 (113B)
디메틸포름아미드(8 mL) 중 조 2-메틸-N-(5-(메틸티오)피리미딘-2-일)프로판-1,3-디아민 염산염(100E)(340 mg, 1.60 mmol, 1.0 eq)의 용액을 디메틸포름아미드(2 mL) 중 2,5-디브로모피라진(457 mg, 1.92 mmol, 1.2 eq) 및 탄산세슘(1.56 g, 4.80 mmol, 3.0 eq)의 현탁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8시간 동안 90℃까지 가열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수득한 잔류물을 물(20 mL)과 디클로로메탄(50 mL) 사이에 분배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수성상을 디클로로메탄(3 x 25 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염수(25mL)로 세척하고, 상 분리기를 통과시켜 건조시킨 다음, 진공 하에 농축 건조시켰다. 조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이소헥산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0~100%로 용리)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N 1-(5-브로모피라진-2-일)-2-메틸-N 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프로판-1,3-디아민(113B)을 담황색 검으로 수득하였다.
수율: 230 mg (38%). ¹H NMR (400 MHz, CDCl3) d 8.36 (s, 2H), 8.06 (d, J =1.3 Hz, 1H), 7.67 (d, J =1.4 Hz, 1H), 5.67 - 5.51 (m, 2H), 3.55 - 3.31 (m, 3H), 3.25 - 3.12 (m, 1H), 2.37 (s, 3H), 2.04 (s, 1H), 1.03 (d, J =6.9 Hz, 3H).
N
1
-(5-(2-메톡시피리딘-3-일)피라진-2-일)-2-메틸-
N
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프로판-1,3-디아민 (209)
적용된 방법론은 일반적인 방법 7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였다(주의: 디메틸포름아미드 대신 1,4-디옥산을 사용함).
N 1-(5-브로모피라진-2-일)-2-메틸-N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프로판-1,3-디아민(113B)(50 mg, 0.135 mmol, 1.0 eq)의 용액을 질소 분위기 하에 물(1 mL) 및 1,4-디옥산(2 mL) 중 2-메톡시-3-페닐보론산(23 mg, 0.149 mmol, 1.1 eq), 탄산세슘(132 mg, 0.406 mmol, 3 eq)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피노)팔라듐(0)(15.6 mg, 0.0135 mmol, 0.1 eq)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시간 동안 80℃까지 가열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물(2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 x 1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염수(10 mL)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수득한 조 잔류물을 분취용 HPLC로 정제하여 원하는 N 1-(5-(2-메톡시피리딘-3-일)피라진-2-일)-2-메틸-N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프로판-1,3-디아민(154)을 미백색의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24 mg (44%). ¹H NMR (400 MHz, CDCl3) d 8.77 (d, J =1.4 Hz, 1H), 8.37 (s, 2H), 8.18 - 8.13 (m, 2H), 7.99 (d, J =1.5 Hz, 1H), 7.01 (dd, J =4.9, 7.4 Hz, 1H), 5.69 (dd, J =6.5, 6.5 Hz, 1H), 5.55 (dd, J =6.1, 6.1 Hz, 1H), 4.04 (s, 3H), 3.59 - 3.48 (m, 2H), 3.42 - 3.25 (m, 2H), 2.37 (s, 3H), 2.19 - 2.06 (m, 1H), 1.06 (d, J =6.9 Hz, 3H); MS (ESI+) m/z 398 (M+H)+.
반응식 19
tert
-부틸 (2-메틸-3-옥소프로필)카바메이트 (114B)
주의 - 발열 반응; 데스-마틴(Dess-Martin) 페리오디난(2.94 g, 6.94 mmol, 1.3 eq)을 디클로로메탄(50 mL) 중 tert-부틸 (3-하이드록시-2-메틸프로필)카바메이트(1.0 g, 5.34 mmol, 1.0 eq )의 용액에 20분에 걸쳐 소량씩 첨가하고, 혼합물을 2시간 동안 실혼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25 mL)으로 희석하고 1 M의 나트륨 디티오나이트 수용액(2 x 10 mL) 및 중탄산나트륨 포화 수용액(2 x 10 mL)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상 분리기를 통과시켜 건조시킨 다음, 진공 하에 농축시켜 조 tert-부틸 (2-메틸-3-옥소프로필)카바메이트 (114B)를 수득하였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즉시 사용하였다.
tert
-부틸 (3-((5-브로모피리딘-2-일)아미노)-2-메틸프로필)카바메이트 (114C)
적용된 방법론은 (109D의 생성을 위한) 반응식 13에 기술된 방법과 유사하였다.
조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이소헥산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0~100%로 용리)로 정제하여 원하는 tert-부틸 (3-((5-브로모피리딘-2-일)아미노)-2-메틸프로필)카바메이트(114C)를 담황색 검으로 수득하였다
수율: 875 mg (47%) (MS (ESI+) m/z 345 (M+H)+.
tert-부틸(3-((2'-메톡시-[3,3'-비피리딘]-6-일)아미노)-2-메틸프로필)카바메이트 (114D)
적용된 방법론은 일반적인 방법 7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였다.
조 tert-부틸(3-((2'-메톡시-[3,3'-비피리딘]-6-일)아미노)-2-메틸프로필)카바메이트(114D)를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즉시 사용하였다.
수율: 110 mg, MS (ESI+) m/z 373 (M+H)+.
N
1-(2'-메톡시-[3,3'-비피리딘]-6-일)-2-메틸프로판-1,3-디아민 (114E)
적용된 방법론은 일반적인 방법 2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였다.
조 N1-(2'-메톡시-[3,3'-비피리딘]-6-일)-2-메틸프로판-1,3-디아민(114E)을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 즉시 사용하였다.
조 수율: 75 mg MS (ESI+) m/z 273 (M+H)+.
N
1
-(2'-메톡시-[3,3'-비피리딘]-6-일)-2-메틸-
N
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프로판-1,3-디아민 (210)
적용된 방법론은 일반적인 방법 1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였다.
수득한 조 잔류물을 분취용 HPLC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N1-(2'-메톡시-[3,3'-비피리딘]-6-일)-2-메틸-N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프로판-1,3-디아민을 미백색의 고체(155)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8 mg (7%). ¹H NMR (400 MHz, CDCl3) d 8.36 (s, 2H), 8.30 (d, J =2.1 Hz, 1H), 8.11 (dd, J =1.9, 5.0 Hz, 1H), 7.67 (dd, J =2.4, 8.7 Hz, 1H), 7.57 (dd, J =1.9, 7.3 Hz, 1H), 6.95 (dd, J =5.0, 7.3 Hz, 1H), 6.45 (d, J =8.4 Hz, 1H), 5.90 (dd, J =6.3, 6.3 Hz, 1H), 5.11 (dd, J =6.0, 6.0 Hz, 1H), 3.97 (s, 3H), 3.56 - 3.23 (m, 4H), 2.36 (s, 3H), 2.13 - 2.04 (m, 1H), 1.05 (d, J =6.9 Hz, 3H); MS (ESI+) m/z 397 (M+H)+.
반응식 20
tert
-부틸 (3-([3,3'-비피리딘]-6-일아미노)-2-메틸프로필)카바메이트 (115A)
적용된 방법론은 알데히드(114B)를 생성하기 위한 반응식 19(실시예 115B)와 유사하였고, 그 다음, 일반적인 방법 7과 유사한 방법론을 사용하였다.
조 N 1-([3,3'-비피리딘]-6-일)-2-메틸프로판-1,3-디아민 (115A)을 다음 단계에서 즉시 사용하였다.
수율: 253 mg (63%) ¹H NMR (400 MHz, DMSO) d 8.82 (d, J =1.8 Hz, 1H), 8.48 (dd, J =1.6, 4.8 Hz, 1H), 8.36 (d, J =2.1 Hz, 1H), 8.00 - 7.96 (m, 1H), 7.76 (dd, J =2.6, 8.7 Hz, 1H), 7.44 - 7.40 (m, 1H), 6.90 - 6.76 (m, 2H), 6.62 - 6.59 (m, 1H), 4.10 (q, J =5.3 Hz, 1H), 3.19 - 3.18 (m, 4H), 3.03 - 2.94 (m, 1H), 2.88 - 2.80 (m, 1H), 1.93 - 1.82 (m, 1H), 1.40 - 1.38 (m, 9H).
N
1
-([3,3'-비피리딘]-6-일)-2-메틸-N
3
-(5-(메틸티오)피리미딘-2-일)프로판-1,3-디아민 (211)
적용된 방법론은 (109D의 생성을 위한) 반응식 13에 기술된 방법과 유사하였다.
수득한 조 잔류물을 역상 크로마토그래피(10 mM의 중탄산암모늄 수용액에서 아세토니트릴 5~95%로 용리)에 의해 정제하여 원하는 N 1-([3,3'-비피리딘]-6-일)-2-메틸-N 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프로판-1,3-디아민(211)을 미백색의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32 mg (14%). ¹H NMR (400 MHz, CDCl3) d 8.77 (1H, d, J =2.1 Hz), 8.53 (1H, dd, J =1.6, 4.8 Hz), 8.37 - 8.35 (3H, m), 7.81 - 7.77 (1H, m), 7.63 (1H, dd, J =2.5, 8.7 Hz), 7.33 (1H, dd, J =4.6, 7.8 Hz), 6.50 (1H, d, J =8.7 Hz), 5.93 (1H, dd, J =6.1, 6.1 Hz), 5.25 (1H, dd, J =6.1, 6.1 Hz), 3.56 - 3.25 (4H, m), 2.36 (3H, s), 2.18 - 2.00 (1H, m), 1.06 (3H, d, J =6.9 Hz); MS (ESI+) m/z 367 (M+H)+.
반응식 21
2-브로모-5-((트리메틸실릴)에티닐)피리딘 (116B)
트리에틸아민(49 mL, 352.25 mmol, 25 eq)을 2-브로모-5-요오도피리딘(4.0 g, 14.09 mmol, 1.0 eq)에 첨가한 다음, 에티닐트리메틸실란(2.9 mL, 21.13 mmol, 1.5 eq), 요오드화구리(I)(270 mg, 1.41 mmol, 0.1 eq), 비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II) 디클로라이드(99 mg, 0.14 mmol, 0.01 eq)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7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켜 조 검을 수득하였고, 이를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이소헥산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0~40%로 용리)로 정제하여 중간체 2-브로모-5-((트리메틸실릴)에티닐)피리딘(116B)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2.5 g (69%). MS (ESI+) m/z 254/256 (M+H)+.
2-브로모-5-(1-(4-메톡시벤질)-1
H
-1,2,3-트리아졸-5-일)피리딘 (116C)
에탄올(20 mL) 중 2-브로모-5-((트리메틸실릴)에티닐)피리딘(116B)(250 mg, 0.983 mmol, 1.0 eq)의 용액에 1-(아지도메틸)-4-메톡시벤젠(177 mg, 1.08 mmol, 1.1 eq)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테트라하이드로퓨란(0.54 mL, 1.08 mmol, 1.1 eq) 중 1 M의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의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킨 다음,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이소헥산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0~100%로 용리)로 정제하여 2-브로모-5-(1-(4-메톡시벤질)-1H-1,2,3-트리아졸-5-일)피리딘(116C)을 미백색의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0.21 g (61%). MS (ESI+) m/z 347 (M+H)+.
tert
-부틸 (3-((5-(1-(4-메톡시벤질)-1
H
-1,2,3-트리아졸-5-일)피리딘-2-일)아미노)-2-메틸프로필)카바메이트 (116D)
디메틸 설폭사이드(5 mL) 중 2-브로모-5-(1-(4-메톡시벤질)-1H-1,2,3-트리아졸-5-일)피리딘(116C)(135 mg, 0.391, 1.0 eq)의 탈기 용액에 tert-부틸(3-아미노-2-메틸프로필)카바메이트(96 mg, 0.508 mmol, 1.3 eq), L-프롤린(18 mg, 0.156 mmol, 0.4 eq), 인산칼륨(1.6.5 mg, 0.078 mmol, 0.2 eq) 및 요오드화구리(I)(15 mg, 0.782 mmol, 0.2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90℃에서 28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20 mL)로 희석하고, 디클로로메탄(3 x 20 mL)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합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조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이소헥산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0~100%로 용리)로 정제하여 2-브로모-5-(1-(4-메톡시벤질)-1H-1,2,3-트리아졸-5-일)피리딘(116D)을 담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0.080 g (45%). MS (ESI+) m/z 453 (M+H)+.
tert
-부틸 (3-((5-(1-(4-메톡시벤질)-1H-1,2,3-트리아졸-5-일)피리딘-2-일)아미노)-2-메틸프로필)카바메이트 (116E)
적용된 방법론은 일반적인 방법 2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였다.
수율: 25 mg (29%). ¹H NMR (400 MHz, CDCl3) d 8.42 (d, J =2.0 Hz, 1H), 8.35 (s, 2H), 7.90 (dd, J =2.4, 8.7 Hz, 1H), 7.52 (s, 1H), 6.94 - 6.90 (m, 2H), 6.44 (d, J =9.0 Hz, 1H), 5.94 (dd, J =6.1, 6.1 Hz, 1H), 5.49 (s, 2H), 5.09 (dd, J =6.3, 6.3 Hz, 1H), 3.81 (s, 4H), 3.53 - 3.22 (m, 4H), 2.35 (s, 3H), 2.10 - 2.01 (m, 1H), 1.03 (d, J =6.9 Hz, 3H), (NH는 관찰되지 않음).
N
1
-(5-(1
H
-1,2,3-트리아졸-5-일)피리딘-2-일)-2-메틸-
N
3-(4-(메틸티오)페닐)프로판-1,3-디아민 (212)
적용된 방법론은 일반적인 방법 3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였다.
수율: 18 mg (96%). ¹H NMR (400 MHz, CDCl3) d 8.53 (d, J =2.1 Hz, 1H), 8.38 (s, 2H), 7.84 (s, 1H), 7.82 (dd, J =2.3, 8.7 Hz, 1H), 6.45 (d, J =8.4 Hz, 1H), 6.17 (dd, J =6.3, 6.3 Hz, 1H), 5.31 (dd, J =6.0, 6.0 Hz, 1H), 3.57 - 3.26 (m, 4H), 2.36 (s, 3H), 2.19 - 2.06 (m, 1H), 1.06 (d, J =6.8 Hz, 3H), (NH는 관찰되지 않음); MS (ESI+) m/z 457 (M+H)+.
반응식 22
tert
-부틸 (2-메틸-3-((5-(피리딘-2-일)피라진-2-일)아미노)프로필)카바메이트 (117B)
디클로로메탄(10 mL) 중 5-(피리딘-2-일)피라진-2-아민(200 mg, 1.16 mmol, 1.0 eq)의 용액에 tert-부틸 (2-메틸-3-옥소프로필)카바메이트(117B)(221 mg, 1.17 mmol, 1.0 eq), 3Å의 분자 체(750 mg), 아세트산(0.266 mL, 4.65 mmol) 및 나트륨 트리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616 mg, 2.9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25 mL)으로 희석하고 여과하였다. 유기상을 물(25 mL) 및 염수(25 mL)로 세척한 다음, 상 분리기 카트리지를 통과시켰다.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여 조 tert-부틸 (2-메틸-3-((5-(피리딘-2-일)피라진-2-일)아미노)프로필)카바메이트(117B)를 수득하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수율: 310 mg (78%).
2-메틸-
N
1
-(5-(피리딘-2-일)피라진-2-일)프로판-1,3-디아민 (117C)
적용된 방법론은 일반적인 방법 2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였다.
수율: 200 mg (100%).
2-메틸-
N
1
-(5-(메틸티오)피리미딘-2-일)-
N
3-(5-(피리딘-2-일)피라진-2-일)프로판-1,3-디아민 (213)
적용된 방법론은 일반적인 방법 1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였다.
수율: 20 mg (10%). ¹H NMR (400 MHz, CDCl3) d 9.04 (d, J =1.4 Hz, 1H), 8.62 - 8.61 (m, 1H), 8.37 (s, 2H), 8.10 (d, J =8.0 Hz, 1H), 7.94 (d, J =1.4 Hz, 1H), 7.77 - 7.72 (m, 1H), 7.20 (dd, J =4.8, 6.5 Hz, 1H), 5.75 - 5.63 (m, 2H), 3.58 - 3.50 (m, 2H), 3.42 - 3.28 (m, 2H), 2.37 (s, 3H), 2.19 - 2.06 (m, 1H), 1.06 (d, J =6.9 Hz, 3H); MS (ESI+) m/z 368 (M+H)+.
반응식 22에 기술된 절차를 따라, 다음 실시예를 합성하였다:
[표 15]
반응식 23
5-(1-메틸-1
H
-1,2,3-트리아졸-4-일)피라진-2-아민 (118B)
적용된 방법론은 일반적인 방법 7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였다(주의: 디메틸포름아미드 대신 용매로서 사용된 1,4-디옥산/물을 사용함)
수율: 158 mg (73%) m/z 176 (M+H)+.
tert
-부틸 (2-메틸-3-((5-(1-메틸-1
H
-1,2,3-트리아졸-4-일)피라진-2-일)아미노) 프로필)카바메이트 (118C)
적용된 방법론은 (109D의 생성을 위한) 반응식 13에 기술된 방법과 유사하였다.
조 tert-부틸 (2-메틸-3-((5-(1-메틸-1H-1,2,3-트리아졸-4-일)피라진-2-일)아미노) 프로필)카바메이트(118C)를 직접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수율: 101 mg (34%) MS (ESI+) m/z 347 (M+H)+.
2-메틸-
N1
-(5-(1-메틸-1
H
-1,2,3-트리아졸-4-일)피라진-2-일)프로판-1,3-디아민 (118D)
적용된 방법론은 일반적인 방법 2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였다.
조 2-메틸-N 1-(5-(1-메틸-1H-1,2,3-트리아졸-4-일)피라진-2-일)프로판-1,3-디아민(106D)을 직접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수율: 71 mg (추정) MS (ESI+) m/z 367 (M+H)+.
2-메틸-
N
1-(5-(1-메틸-1
H
-1,2,3-트리아졸-4-일)피라진-2-일)-
N
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프로판-1,3-디아민 (218)
적용된 방법론은 일반적인 방법 1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였다.
수율: 25 mg (23%). ¹H NMR (400 MHz, CDCl3) d 8.35 (s, 3H), 8.30 (s, 1H), 8.05 (dd, J =2.3, 8.9 Hz, 1H), 7.67 (s, 1H), 6.56 (d, J =9.2 Hz, 1H), 6.11 - 6.06 (m, 1H), 4.14 (s, 3H), 2.63 (s, 4H), 2.35 (s, 3H), 2.19 - 2.10 (m, 1H), 1.07 (d, J =6.8 Hz, 3H); MS (ESI+) m/z 371(M+H)+.
반응식 24
N
1
-(5-브로모피라진-2-일)-2-메틸-
N
3
-(5-(메틸티오)피리미딘-2-일)프로판-1,3-디아민 (119a)
적용된 방법론은 일반적인 방법 3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였다.
수율: 230 mg (38%). ¹H NMR (400 MHz, CDCl3) d 8.36 (s, 2H), 8.06 (d, J =1.3 Hz, 1H), 7.67 (d, J =1.4 Hz, 1H), 5.67 - 5.51 (m, 2H), 5.30 (s, 2H), 3.55 - 3.31 (m, 3H), 3.25 - 3.12 (m, 1H), 2.37 (s, 3H), 2.04 (s, 1H), 1.03 (d, J =6.9 Hz, 3H).
2-메틸-
N
1
-(5-(메틸티오)피리미딘-2-일)-
N
3
-(5-(5-(트리플루오로메틸)-1
H
-피라졸-4-일)피라진-2-일)프로판-1,3-디아민 (219)
적용된 방법론은 일반적인 방법 7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였다(주의: 1,4-디옥산/물을 사용하였고, 추가 분취량의 시약을 첨가하지 않았음)
수율: 18 mg (31%). ¹H NMR (400 MHz, DMSO) d 13.70 (s, 1H), 8.35 - 8.34 (m, 2H), 8.26 (d, J =1.0 Hz, 1H), 8.13 - 8.12 (m, 1H), 8.00 (d, J =1.5 Hz, 1H), 7.55 - 7.44 (m, 1H), 7.23 - 7.18 (m, 1H), 3.35 - 3.18 (m, 4H), 2.35 (s, 3H), 2.11 - 2.02 (m, 1H), 0.95 (d, J =6.8 Hz, 3H); MS (ESI+) m/z 426 (M+H)+.
반응식 25
tert
-부틸 (2-메틸-3-(피라졸로[1,5-
a
]피리미딘-5-일아미노)프로필)카바메이트 (120A).
5-클로로피라졸로[1,5-c]피리미딘(500 mg, 3.26 mmol, 1 eq) 및 tert-부틸 (3-아미노-2-메틸프로필)카바메이트(100E)(6.13 g, 32.56 mmol, 10 eq)를 함유하는 극초단파 바이알을 극초단파 조사 하에 30분 동안 140℃까지 가열하였다. 조 반응 혼합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이소헥산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0~100%로 용리)로 정제하여 tert-부틸 (2-메틸-3-(피라졸로[1,5-a]피리미딘-5-일아미노)프로필)카바메이트(120A)를 수득하였다
수율: 700 mg (70%). MS (ESI+) m/z 306 (M+H)+.
2-메틸-
N
1
-(피라졸로[1,5-
a
]피리미딘-5-일)프로판-1,3-디아민 (120B)
적용된 방법론은 일반적인 방법 2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였다.
MS (ESI+) m/z 229 (M+H)+.
tert
-부틸 (2-메틸-3-(피라졸로[1,5-
a
]피리미딘-5-일아미노)프로필)카바메이트 (220)
적용된 방법론은 일반적인 방법 3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였다.
수율: 20 mg (14%). ¹H NMR (400 MHz, DMSO) d 7.34 (s, 2H), 7.27 (d, J =7.6 Hz, 1H), 6.79 (d, J =1.8 Hz, 1H), 5.29 (d, J =7.6 Hz, 1H), 5.08 (d, J =1.5 Hz, 1H), 2.44 - 2.37 (m, 4H), 1.36 (s, 3H), 1.20 - 1.11 (m, 1H), (2 x NH는 관찰되지 않음); MS (ESI+) m/z 330 (M+H)+.
반응식 26
메틸 6-브로모니코틴이미데이트 (121B)
나트륨 메톡사이드(0.71 g, 13.22 mmol, 1.1 eq)를 디옥산/물(20 mL/20 mL) 중 6-브로모니코티노니트릴(121A)(2.2 g, 12.02 mmol, 1.0 eq)의 얼음 냉각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빙냉 하에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실온으로 가온되도록 하였다. 1시간 후,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200 mL) 및 물(200 mL)로 희석하였다. 유기상을 분리하고 수성상을 에틸 아세테이트(50 mL)로 추가로 추출하였다. 유기물을 합하고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여 조 메틸 6-브로모니코틴이미데이트(121B)를 수득하였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수율: 2.5 g (96%).
6-브로모-
N
'-메틸니코틴이미도하이드라자이드 (121C)
메틸 하이드라진(0.73 mL, 13.96 mmol, 1.2 eq)을 6-브로모니코틴이미데이트(121B)(2.5 g, 11.63 mmol, 1.0 eq)의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여 조 6-브로모-N'-메틸니코틴이미도하이드라자이드(121C)를 수득하였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수율: 2 g (75%).
2-브로모-5-(1-메틸-1
H
-1,2,4-트리아졸-3-일)피리딘 (121D)
포름산(10 mL, 265 mmol, 30.4 eq)을 6-브로모-N'-메틸니코틴이미도하이드라자이드(121C)(2.0 g, 8.73 mmol, 1.0 eq)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가열 환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물(100 mL)로 희석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3 x 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탄산수소나트륨 포화 수용액(50 mL)으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여 조 갈색 잔류물을 수득하고, 이를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디클로로메탄 중 0~10%의 메탄올/디클로로메탄으로 용리)로 정제하여 2-브로모-5-(1-메틸-1H-1,2,4-트리아졸-3-일) 피리딘(121D)을 미백색의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500 mg (23%). MS (ESI+) m/z 240 (M+H)+.
tert
-부틸 (2-메틸-3-((5-(1-메틸-1
H
-1,2,4-트리아졸-3-일)피리딘-2-일)아미노) 프로필)카바메이트 (121E)
적용된 방법론은 일반적인 방법 7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였다(주의: 1,4-디옥산/물을 사용하였고, 추가 분취량의 시약을 첨가하지 않았음)
수율: 125 mg
2-메틸-
N
1
-(5-(1-메틸-1
H
-1,2,4-트리아졸-3-일)피리딘-2-일)-
N
3
-(5-(메틸티오)피리미딘-2-일)프로판-1,3-디아민 (221)
적용된 방법론은 탈보호에 대해 일반적인 방법 2, 그 후, 일반적인 방법 1에 기술된 것들과 유사하였다.
수율: 25 mg (18%). ¹H NMR (400 MHz, DMSO) d 8.42 (d, J =2.0 Hz, 1H), 8.34 (s, 2H), 8.04 (s, 1H), 7.76 (dd, J =2.4, 8.8 Hz, 1H), 7.48 (dd, J =6.0, 6.0 Hz, 1H), 6.82 (dd, J =5.8, 5.8 Hz, 1H), 6.57 (d, J =8.4 Hz, 1H), 4.16 (s, 3H), 3.32 - 3.17 (m, 4H), 2.35 (s, 3H), 2.09 - 1.99 (m, 1H), 0.93 (d, J =6.7 Hz, 3H); MS (ESI+) m/z 371 (M+H)+.
반응식 27
tert
-부틸 (3-((5-브로모피리딘-2-일)아미노)-2-메틸프로필)카바메이트 (122B)
tert-부틸 N-(2-메틸-3-옥소프로필)카바메이트(100E)(1.0 g, 5.34 mmol, 1.0 eq)를 무수 디클로로메탄(50 mL) 중 5-브로모피리딘-2-아민(122A)(920 mg, 5,34 mmol, 1.0 eq), 아세트산(1.2 mL, 21.36 mmol, 4.0 eq) 및 분자 체(유형 4Å, 1.0 g)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5분 동안 교반한 다음, 나트륨 트리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2.83 g, 13.35 mmol, 2.5 eq)를 한번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탄산수소나트륨 포화 수용액(30 mL)을 조심스럽게 첨가하여 반응을 ??칭시켰다. 혼합물을 30분 동안 격렬하게 교반한 다음, 디클로로메탄 층을 분리하고 티오황산나트륨 수용액(1 M, 15 mL)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분리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반-조 tert-부틸 (3-((5-브로모피리딘-2-일)아미노)-2-메틸프로필)카바메이트(122B)를 담갈색 검으로서 수득하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반응에서 사용하였다.
수율: 875 mg (47%).
tert
-부틸 (3-((2'-메톡시-[3,3'-비피리딘]-6-일)아미노)-2-메틸프로필)카바메이트 (122C)
적용된 방법론은 일반적인 방법 7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였다.
수율: 138 mg.
N
1
-(2'-메톡시-[3,3'-비피리딘]-6-일)-2-메틸-
N
3
-(5-(메틸티오)피리미딘-2-일)프로판-1,3-디아민 (222)
적용된 방법론은 탈보호에 대해 일반적인 방법 2, 그 후, 일반적인 방법 1에 기술된 것들과 유사하였다.
수율: 57 mg. ¹H NMR (400 MHz, CDCl3) d 8.36 (s, 2H), 8.23 (d, J =2.0 Hz, 1H), 7.68 (dd, J =2.3, 8.7 Hz, 1H), 7.32 - 7.27 (m, 2H), 7.03 - 6.95 (m, 2H), 6.48 (d, J =8.7 Hz, 1H), 5.94 - 5.90 (m, 2H), 3.82 (s, 3H), 3.56 - 3.47 (m, 1H), 3.44 - 3.35 (m, 2H), 3.28 (dd, J =6.6, 13.4 Hz, 1H), 2.35 (s, 3H), 2.18 - 2.07 (m, 1H), 1.06 (d, J =6.9 Hz, 3H); MS (ESI+) m/z 396 (M+H)+.
반응식 28
6'-클로로-2
H
-[1,3'-비피리딘]-2-온 (123B)
2-아미노-5-요오도피리딘(123A)(1.12 g, 5.00 mmol, 1.0 eq)을 무수 디메틸설폰아미드(5 mL) 중 2-하이드록시피리딘(582 mg, 6.00 mmol, 1.2 eq), 탄산칼륨(760 mg, 5.50 mmol, 1.1 eq), 요오드화구리(I)(143 mg, 0.75 mmol, 0.15 eq) 및 8-하이드록시퀴놀린(110 mg, 0.75 mmol, 0.15 eq)과 합하였다. 혼합물을 질소 스트림 하에서 탈기시킨 다음, 130℃에서 2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다음, 10%의 수산화암모늄 수용액(100 mL) 및 에틸 아세테이트(50 mL)의 혼합물에 부었다. 활성탄(1 g)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여과하고, 에틸 아세테이트(2 x 50 mL)로 세척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수성상을 에틸 아세테이트(2 x 50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한 다음,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 담황색 고체를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디클로로메탄에서 메탄올 0~10%로 용리)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6'-클로로-2H-[1,3'-비피리딘]-2-온을 미백색의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23B).
수율: 245 mg, (26%). ¹H NMR (400 MHz, DMSO) d 7.88 (1H, d, J =2.5 Hz), 7.60 (1H, ddd, J =0.7, 2.1, 6.8 Hz), 7.49 (1H, ddd, J =2.2, 6.7, 9.1 Hz), 7.41 (1H, dd, J =2.7, 8.7 Hz), 6.52 (1H, dd, J =0.4, 8.8 Hz), 6.45 (1H, ddd, J =0.7, 1.3, 9.2 Hz), 6.28 (1H, ddd, J =6.7, 6.7, 1.3 Hz), 6.23 (2H, s); MS (ESI+) m/z 188 (M+H)+ .
tert
-부틸 (2-메틸-3-((2-옥소-2
H
-[1,3'-비피리딘]-6'-일)아미노)프로필)카바메이트 (123C)
적용된 방법론은 반응식 19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였다.
6'-클로로-2H-[1,3'-비피리딘]-2-온(123B)을 과량(245 mg, 1.31 mmol, 1.1 eq)으로 사용하였다. 4Å의 분자 체를 반응에 사용하였다. 조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디클로로메탄에서 메탄올 0~7%로 용리)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tert-부틸 (2-메틸-3-((2-옥소-2H-[1,3'-비피리딘]-6'-일)아미노) 프로필)카바메이트(123C)를 담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249 mg, (58%). MS (ESI+) m/z 359 (M+H)+ .
6'-((2-메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아미노)-2
H
-[1,3'-비피리딘]-2-온 (223)
적용된 방법론은 4 M HCl/1,4-디옥산-물의 (4:1) 비율을 이용한 일반적인 방법 2에 이어, 트리에틸아민(2.0 eq)과 조합한 탄산세슘(3.0 eq)을 이용한 일반적인 방법 3에 기술된 것들과 비슷하였다.
수율: 152 mg (2 단계에 걸쳐 57%).
¹H NMR (400 MHz, DMSO) d 8.35 (2H, s), 7.91 (1H, d, J =2.6 Hz), 7.61 (1H, ddd, J =0.6, 2.1, 6.8 Hz), 7.52 - 7.45 (2H, m), 7.40 (1H, dd, J =2.7, 8.9 Hz), 6.90 (1H, dd, J =5.8, 5.8 Hz), 6.57 (1H, dd, J =0.5, 8.9 Hz), 6.45 (1H, ddd, J =0.7, 1.2, 9.2 Hz), 6.28 (1H, ddd, J =6.7, 6.7, 1.4 Hz), 3.33 - 3.14 (4H, m), 2.35 (3H, s), 2.10 - 2.00 (1H, m), 0.94 (3H, d, J =6.8 Hz); MS (ESI+) m/z 383 (M+H)+ .
반응식 28에 기술된 절차를 이용하여, 다음 실시예를 합성하였다:
[표 16]
반응식 29
tert
-부틸 (2-메틸-3-((5-(2-옥소피롤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프로필) 카바메이트 (124B)
무수 디메틸설폰아미드(10 mL) 중 tert-부틸 N-(3-아미노-2-메틸프로필)카바메이트(100E)(436 mg, 2.20 mmol, 1.1 eq)의 용액을 2-브로모-5-(피롤리디논-1-일)피라진(124A)(510 mg, 2.00 mmol, 1.0 eq), 제3인산칼륨(866 mg, 4.00 mmol, 2 eq), L-프롤린(94 mg, 0.80 mmol, 0.4 eq) 및 요오드화구리(I)(76 mg, 0.40 mmol, 0.2 eq)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탈기시키고, 질소 스트림 하에 유지시킨 다음, 20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90℃에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다음, 물(50 mL) 및 에틸 아세테이트(50 mL)의 혼합물에 부었다. 층을 분리하고, 수성상을 에틸 아세테이트(2 x 50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한 다음,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디클로로메탄에서 메탄올 0~6%로 용리)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tert-부틸 (2-메틸-3-((5-(2-옥소피롤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프로필)카바메이트(124B)를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375 mg, (54%). MS (ESI+) m/z 350 (M+H)+ .
1-(5-((2-메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아미노)피라진-2-일)피롤리딘-2-온 (233)
적용된 방법론은 4 M HCl/1,4-디옥산-물의 [4:1] 비율을 이용한 일반적인 방법 2에 이어, 일반적인 방법 3에 기술된 것들과 비슷하였다.
수율: 71 mg (2 단계에 걸쳐 18%).
¹H NMR (400 MHz, CDCl3) d 9.02 (1H, d, J =1.5 Hz), 8.35 (2H, s), 7.64 (1H, d, J =1.5 Hz), 5.63 (1H, dd, J =6.2, 6.2 Hz), 5.24 (1H, dd, J =5.7, 5.7 Hz), 3.97 (2H, t, J =7.1 Hz), 3.55 - 3.46 (1H, m), 3.45 - 3.32 (2H, m), 3.28 - 3.19 (1H, m), 2.62 (2H, t, J =8.1 Hz), 2.36 (3H, s), 2.20 - 2.02 (3H, m), 1.03 (3H, d, J =6.8 Hz); MS (ESI+) m/z 374 (M+H)+ .
반응식 30
tert
-부틸 2-(2,2-디플루오로에틸)-2,7-디아자스피로[3.5]노난-7-카르복실레이트 (125B).
1,1-디플루오로-2-요오도-에탄(128 mg, 0.67 mmol, 1.2 eq)을 디메틸포름아미드(1.0 mL) 중 tert-부틸 2,7-디아자스피로[3.5]노난-7-카르복실레이트(125A)(126 mg, 0.56 mmol, 1.0 eq), 탄산칼륨(231 mg, 1.67 mmol, 3.0 eq)의 현탁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6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염수로 세척하고, 상 분리기를 통과시켜 건조시킨 다음 감압 하에 농축시켜 원하는 tert-부틸 2-(2,2-디플루오로에틸)-2,7-디아자스피로[3.5]노난-7-카르복실레이트(125B)를 담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73 mg (45%). ¹H NMR (400 MHz, CDCl3) d 5.87 - 5.57 (m, 1H), 3.41 - 3.30 (m, 4H), 3.14 (s, 4H), 2.89 - 2.77 (m, 2H), 1.76 - 1.67 (m, 4H), 1.46 (s, 9H).
2-(2,2-디플루오로에틸)-2,7-디아자스피로[3.5]노난 (125C)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1.3 mL)을 디클로로메탄(1.3 mL) 중 tert-부틸 2-(2,2-디플루오로에틸)-2,7-디아자스피로[3.5]노난-7-카르복실레이트(125B)(73 mg, 0.25 mmol, 1.0 eq)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감압 하에 농축 건조시켜 원하는 생성물 2-(2,2-디플루오로에틸)-2,7-디아자스피로[3.5]노난(125C)을 담황색 오일로서 수득하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반응에서 사용하였다.
표 17의 중간체를 중간체 125C에 대해 기술한 것과 유사한 조건을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표 17]
반응식 31
tert
-부틸 2-(2,2,2-트리플루오로에틸)-2,7-디아자스피로[3.5]노난-7-카르복실레이트 (126B).
2,2,2-트리플루오로에틸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153 mL, 1.06 mmol, 1.2 eq)를 아세토니트릴(2.0 mL) 중 tert-부틸 2,7-디아자스피로[3.5]노난-7-카르복실레이트(126A)(200 mg, 0.88 mmol, 1.0 eq), 탄산세슘(862 mg, 2.65 mmol, 3.0 eq)의 현탁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8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염수로 세척하고, 상 분리기를 통과시켜 건조시킨 다음, 감압 하에 농축시켜, tert-부틸 2-(2,2,2-트리플루오로에틸)-2,7-디아자스피로[3.5]노난-7-카르복실레이트(126B)를 끈적한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샘플을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수율: 341 mg (정량). ¹H NMR (400 MHz, CDCl3) d 3.38 - 3.30 (m, 4H), 3.19 (s, 4H), 3.01 (q, J =9.4 Hz, 2H), 1.73 - 1.69 (m, 4H), 1.45 (s, 9H).
2-(2,2,2-트리플루오로에틸)-2,7-디아자스피로[3.5]노난 (126C)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1.3 mL)을 디클로로메탄(1.0 mL) 중 tert-부틸 2-(2,2,2-트리플루오로에틸)-2,7-디아자스피로[3.5]노난-7-카르복실레이트(126B)(110 mg, 0.357 mmol, 1.0 eq)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감압 하에 농축 건조시켜 2-(2,2,2-트리플루오로에틸)-2,7-디아자스피로[3.5]노난(126C)을 담갈색 오일로서 수득하고, 100% 수율로 추정되어 이를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직접 사용하였다.
반응식 32
2-메틸-5-옥사-2,8-디아자스피로[3.5]노난 (127B)
수소화리튬알루미늄(테트라하이드로퓨란 중 1 M 용액, 1.97 mL, 1.97 mmol, 3.0 eq)을 질소 하에 테트라하이드로퓨란(4.0 mL) 중 tert-부틸 5-옥사-2,8-디아자스피로[3.5]노난-2-카르복실레이트(127A)(150 mg, 0.657 mmol, 1.0 eq)의 0℃의 냉각된 용액에 적가하였다. 반응물을 0℃에서 5분 동안 교반하고, 냉각조를 제거한 다음, 반응물을 70℃까지 16시간 동안 가열하였다(0℃ 및 35℃에서 거품 발생이 관찰되었다). 반응 혼합물을 0℃까지 냉각시키고, 물(0.075 mL), 수산화나트륨 수용액(15%, 0.075 mL) 및 그 다음 물(0.22 mL)을 서서히 첨가하여 ??칭시켰다. 냉각조를 제거하고, 반응 혼합물을 15분 동안 교반하고, 황산마그네슘을 첨가하고 추가로 40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상 분리기를 통과시켜 건조시키고,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및 디에틸 에테르로 세척한 다음, 감압 하에 농축 건조시켜 2-메틸-5-옥사-2,8-디아자스피로[3.5]노난(127B)을 담갈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샘플을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수율: 추정 100%. ¹H NMR (400 MHz, CDCl3) d 3.63 - 3.56 (m, 2H), 3.47 - 3.43 (m, 2H), 3.00 (s, 2H), 2.94 - 2.86 (m, 2H), 2.83 - 2.79 (m, 2H), 2.40 (s, 3H), NH는 관찰되지 않음.
표 18의 중간체를 중간체 127B에 대해 기술한 것과 유사한 조건을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표 18]
반응식 33
tert
-부틸 6-(디메틸카바모일)-2-아자스피로[3.3]헵탄-2-카르복실레이트 (128B)
사용된 방법은 일반적인 방법 5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여 2-(tert-부톡시카르보닐)-2-아자스피로[3.3]헵탄-6-카르복시산을 사용하여 원하는 생성물 tert-부틸 6-(디메틸카바모일)-2-아자스피로[3.3]헵탄-2-카르복실레이트(128B)를 수득하였다.
수율: 111 mg (정량). ¹H NMR (400 MHz, DMSO) d 3.87 (s, 2H), 3.70 (s, 2H), 3.23 - 3.14 (m, 1H), 2.86 (s, 3H), 2.79 (s, 3H), 2.32 - 2.24 (m, 4H), 1.37 - 1.36 (m, 9H).
N
,
N
-디메틸-2-아자스피로[3.3]헵탄-6-카복사미드 (128C)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2.1 mL)을 디클로로메탄(2.1 mL) 중 tert-부틸 6-(디메틸카바모일)-2-아자스피로[3.3]헵탄-2-카르복실레이트(128B)(110 mg, 0.357 mmol, 1.0 eq)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감압 하에 농축 건조시켜 원하는 생성물 N,N-디메틸-2-아자스피로[3.3]헵탄-6-카복사미드(128C)를 담갈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샘플을 100% 수율로 추정하여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반응식 34
메틸 (
S
)-5-플루오로-2-((2-메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아미노) 벤조[
d
]티아졸-6-카르복실레이트 (129A)
적용된 방법론은 일반적인 방법 3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였다.
수율: 134 mg (20%). ¹H NMR (400 MHz, CDCl3) d 8.38 (s, 2H), 8.13 (d, J =6.9 Hz, 1H), 7.21 (d, J =12.2 Hz, 1H), 7.12 (s, 1H), 5.62 (t, J =6.7 Hz, 1H), 3.93 (s, 3H), 3.64 - 3.46 (m, 2H), 3.42 - 3.22 (m, 2H), 2.38 - 2.38 (m, 3H), 2.18 - 2.09 (m, 1H), 1.07 (d, J =6.9 Hz, 3H); MS (ESI+) m/z 422 (M+H)+.
(
S
)-5-플루오로-2-((2-메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아미노) 벤조[
d
]티아졸-6-카르복시산 (129B)
적용된 방법론은 일반적인 방법 4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였다.
수율: 98 mg (정량).¹H NMR (400 MHz, DMSO) d 12.82 (s, 1H), 8.57 - 8.54 (m, 1H), 8.33 - 8.32 (m, 2H), 8.18 (d, J =7.4 Hz, 1H), 7.50 (t, J =6.1 Hz, 1H), 7.16 (d, J =12.5 Hz, 1H), 2.34 (s, 3H), 2.16 - 2.06 (m, 1H), 0.97 - 0.94 (m, 3H). NH 치환성 양성자는 관찰되지 않음.; MS (ESI+) m/z 408 (M+H)+.
tert
-부틸 (
S
)-6-(5-플루오로-2-((2-메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아미노)벤조[
d
]티아졸-6-카르보닐)-2,6-디아자스피로[3.4]옥탄-2-카르복실레이트 (129C)
적용된 방법론은 일반적인 방법 5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였다.
수율: 20 mg (54%). ¹H NMR (400 MHz, CDCl3) d 8.27 (d, J =1.8 Hz, 1H), 8.14 (s, 1H), 7.99 (dd, J =1.7, 8.5 Hz, 1H), 7.51 (d, J =8.5 Hz, 1H), 7.00 - 6.97 (m, 1H), 5.47 (dd, J =6.7, 6.7 Hz, 1H), 4.37 (q, J =7.2 Hz, 2H), 3.63 - 3.49 (m, 2H), 3.40 - 3.23 (m, 2H), 2.47 (s, 3H), 2.17 - 2.09 (m, 1H), 1.40 (dd, J =7.2, 7.2 Hz, 3H), 1.06 (d, J =6.9 Hz, 3H); MS (ESI+) m/z 489 (M+H)+.
(
S
)-(5-플루오로-2-((2-메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아미노)벤조[
d
]티아졸-6-일)(2,6-디아자스피로[3.4]옥탄-6-일)메타논 포르메이트 염(실시예 240)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1 m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1 mL) 중 tert-부틸 (S)-6-(5-플루오로-2-((2-메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아미노) 벤조[d] 티아졸-6-카르보닐)-2,6-디아자스피로[3.4]옥탄-2-카르복실레이트(149)(17 mg, 0.0166 mmol, 1.0 eq)의 0℃의 냉각된 용액에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수득한 조 잔류물을 분취용 HPLC(포름산 첨가제)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S)-(5-플루오로-2-((2-메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아미노)벤조[d] 티아졸-6-일)(2,6-디아자스피로[3.4]옥탄-6-일)메타논 포르메이트 염(실시예 189)을 미백색의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9 mg (100%). ¹H NMR (400 MHz, CDCl3) d 8.38 - 8.36 (m, 3H), 7.60 - 7.52 (m, 1H), 5.84 - 5.72 (m, 1H), 3.98 (d, J =9.0 Hz, 1H), 3.84 - 3.57 (m, 6H), 3.50 - 3.24 (m, 4H), 2.86 (s, 12H), 2.38 - 2.37 (m, 3H), 2.29 - 2.13 (m, 3H), 1.09 - 1.04 (m, 3H). NH 치환성 양성자는 관찰되지 않음.; MS (ESI+) m/z 502 (M+H)+.
반응식 34에 기술된 절차를 이용하여, 다음 실시예를 제조하였다:
[표 19]
반응식 35
2-((3-((5-메르캅토피리미딘-2-일)아미노)-2-메틸프로필)아미노)-
N,N
-디메틸벤조 [
d
]티아졸-6-카복사미드 (130A)
N,N-디메틸-2-((2-메틸-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필)아미노) 벤조[d] 티아졸-6-카복사미드(화합물 10, 75 mg, 0.18 mmol), 나트륨 메탄티올레이트(126 mg, 1.80 mmol, 10.0 eq 및 N-메틸피롤리딘(1.5 mL)을 질소 하에 극초단파 용기에 첨가하고, 밀봉한 다음, 1시간 동안 160℃까지 가열하였다. LCMS 분석은 원하는 티올 2-((3-((5-((디플루오로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2-메틸프로필) 아미노)-N,N-디메틸 벤조[d]티아졸-6-카복사미드(130A)로의 완전한 전환을 나타내었고, 이를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에서 직접 사용하였다.
2-((3-((5-((디플루오로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2-메틸프로필)아미노)-
N,N
-디메틸벤조[
d
]티아졸-6-카복사미드 (244)
수산화칼륨(201 mg, 3.58 mmol, 20.0 eq) 및 물(0.5 mL)을 N-메틸 피롤리딘(1.5 mL) 중 2-((3-((5-((디플루오로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2-메틸프로필)아미노)-N,N-디메틸벤조[d]티아졸-6-카복사미드의 조 티올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70℃까지 냉각시키고, 고체로 동결시켰다. 브로모디플루오로메틸디에틸포스포네이트(40 uL, 0.215 mmol, 1.2 eq)를 한번에 첨가하고, 반응물을 1시간에 걸쳐 주위 온도로 가온시킨 다음 -70℃까지 재냉각시켰다. 추가 분취량의 브로모디플루오로메틸디에틸포스포네이트(40 uL, 0.215 mmol, 1.2 eq)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1시간에 걸쳐 주위 온도까지 가온되도록 하였다. 물(10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 x 2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물(20 mL) 및 염수(25 mL)로 세척한 다음,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켰다.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여 조 갈색 오일을 수득하고, 이를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디클로로메탄에서 메탄올 0~10%로 용리)로 정제한 다음, 분취용 HPLC로 정제하여 원하는 2-((3-((5-((디플루오로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2-메틸프로필)아미노)-N,N-디메틸벤조[d]티아졸-6-카복사미드(244)를 미백색의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15 mg (19%). ¹H NMR (400 MHz, CDCl3) d 8.42 - 8.39 (m, 2H), 7.69 (d, J =1.4 Hz, 1H), 7.55 - 7.52 (m, 1H), 7.36 (dd, J =1.8, 8.3 Hz, 1H), 6.33 (s, 1H), 6.15 (t, J =6.7 Hz, 1H), 3.65 - 3.51 (m, 2H), 3.43 - 3.29 (m, 2H), 3.08 (s, 6H), 2.20 - 2.10 (m, 1H), 1.09 - 1.06 (m, 3H); MS (ESI+) m/z 453 (M+H)+.
반응식 35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다음 실시예를 제조하였다:
[표 20]
반응식 36
rac-tert
-부틸 ((1
R
,3
R
)-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시클로펜틸)카바메이트 (131B)
적용된 방법론은 일반적인 방법 1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였다.
수율: 220 mg (44%). 1H NMR (400 MHz, CDCl3) d d 8.35 - 8.34 (m, 4H), 5.35 (s, 1H), 5.18 - 5.15 (m, 1H), 4.84 - 4.82 (m, 1H), 4.56 - 4.53 (m, 1H), 4.36 (dd, J =6.9, 13.8 Hz, 1H), 4.26 - 4.18 (m, 1H), 4.02 - 3.94 (m, 2H), 2.55 - 2.47 (m, 1H), 2.36 (d, J =1.0 Hz, 6H), 2.30 - 2.16 (m, 2H), 2.10 - 1.89 (m, 4H), 1.46 - 1.43 (m, 24H).; MS (ESI+) m/z 325 (M+H)+.
rac-(1R,3R)-N
1
-(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시클로펜탄-1,3-디아민 염산염 (131C)
적용된 방법론은 일반적인 방법 2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였다.
수율: 250 mg (정량 %). MS (ESI+) m/z 225 (M+H)+.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rac-N
,
N
-비스(4-메톡시벤질)-2-(((트랜스)-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시클로펜틸)아미노)벤조[d]티아졸-6-설폰아미드 (131D)
적용된 방법론은 일반적인 방법 3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였다.
수율: 52 mg (23%). ¹H NMR (400 MHz, CDCl3) d 8.36 (s, 2H), 8.00 (d, J =1.6 Hz, 1H), 7.74 (dd, J =1.9, 8.5 Hz, 1H), 7.58 - 7.55 (m, 1H), 7.01 - 6.96 (m, 4H), 6.76 - 6.73 (m, 4H), 5.59 - 5.54 (m, 1H), 5.22 (d, J =6.9 Hz, 1H), 4.50 - 4.44 (m, 1H), 4.35 - 4.30 (m, 1H), 4.25 (s, 4H), 3.77 - 3.76 (m, 6H), 2.37 - 2.37 (m, 6H), 2.23 - 2.07 (m, 2H); MS (ESI+) m/z 677 (M+H)+.
rac-2-(((
트랜스
)-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시클로펜틸)아미노)벤조[
d
] 티아졸-6-설폰아미드 (250)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1 m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1 mL) 중 rac-N,N-비스(4-메톡시벤질)-2-(((트랜스)-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시클로펜틸) 아미노)벤조[d]티아졸-6-설폰아미드(131D)(45 mg, 66.48 mmol, 1.0 eq)의 빙냉 용액에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18시간에 걸쳐 주위 온도로 가온시킨 다음, 감압 하에 농축 건조시켰다. 수득한 조 잔류물을 분취용 HPLC에 의해 정제하고, 수득한 깨끗한 분획을 동결 건조시켜 원하는 2-(((트랜스)-3-((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시클로펜틸)아미노) 벤조[d] 티아졸-6-설폰아미드(실시예 250)를 백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23 mg (79%). 1H NMR (CDCl3) d 8.36 (s, 2H), 8.17 (d, J =1.8 Hz, 1H), 7.84 (dd, J =2.0, 8.5 Hz, 1H), 7.59 - 7.52 (m, 1H), 5.34 (d, J =6.5 Hz, 1H), 4.79 (s, 2H), 4.50 - 4.43 (m, 1H), 4.34 - 4.27 (m, 1H), 2.37 - 2.37 (m, 6H), 2.22 - 2.07 (m, 2H).; MS (ESI+) m/z 437 (M+H)+.
반응식 41
단계 1: 실시예 301C
DMF(30 mL) 중 실시예 301A(1 g, 3.14 mmol)의 용액에 Cs2CO3(2.05 g, 6.28 mmol) 및 실시예 301B(5.6 g, 62.8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시간 동안 25℃까지 가열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이 소모되었음을 탐지하였다. 반응물을 여과하고 여액(조 실시예 301C)을 임의의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단계 2: 실시예 301D
실시예 301C의 용액을 Boc2O(1.03 g, 4.72 mmol )로 처리하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100 mL)을 첨가한 다음, EA (50 mL x 2)로 추출하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Na2SO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킨 다음,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EtOAc=1/5~1/1로 용리)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실시예 301D, 1.2 g, 수율 81%)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H]+= 573
단계 3: 실시예 301E
DCM(3 mL) 중 실시예 301D(1.2 g, 2.54 mmol)의 용액에 TFA(1 mL)를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첨가 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이 소모되었음을 탐지하였고, 혼합물을 농축시켜 원하는 생성물(실시예 301E 945 mg, 수율: 100%)을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단계 4: 실시예 301
ACN(10 mL) 중 실시예 301E(945 mg, 2.54 mmol)의 용액에 TEA(514 mg, 5.08 mmol) 및 실시예 301F(408 mg, 2.54 mmol)를 실온에서, 그 후 70℃에서 18시간 동안 첨가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이 소모되었음을 탐지하였다. 반응물을 농축시키고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EtOAc=3/1~5/3으로 용리)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실시예 301(780 mg, 수율: 61%)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H]+= 497. 1H NMR (400 MHz, DMSO-d 6) δ 8.78 (s, 1H), 8.34 (s, 2H), 8.12 (d, J = 1.6 Hz, 1H), 7.54 (dd, J = 8.5, 1.8 Hz, 1H), 7.48 (d, J = 8.5 Hz, 1H), 3.94-3.86 (m, 1H), 3.59 (dd, J = 16.6, 11.9 Hz, 6H), 3.39 (dd, J = 19.4, 5.9 Hz, 4H), 2.85-2.81 (m, 4H), 2.33 (s, 3H).
반응식 42
단계 1: 실시예 302B
N2 분위기 하에 THF(200 mL) 중 실시예 302A(6.77g, 21 mmol)의 용액을 -65℃까지 냉각시켰다. MeMgBr(21 mL, 63.1 mmol, THF 중 3 M)을 적가한 다음, -65℃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2시간 동안 실온까지 가온하고, 물(200 mL)을 첨가하여 ??칭시켰다. EtOAc(200 mL x 2)로 추출한 후, 합한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EtOAc=3/1로 용리)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실시예 302B(4 g, 수율 56%)를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LCMS [M+H]+ = 339
단계 2: 실시예 302C
MeOH(40 mL) 중 실시예 302B(4 g, 0.012 mmol)의 용액에 Pd/C(400 mg) 촉매 현탁액을 반응기에 도입하였다. 용기를 질소로 퍼징한 다음, 수소로 퍼징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 및 LCMS는 출발 물질이 소모되었음을 탐지하였다. 실시예 302C(4 g, 수율: 100%)를 여과하여 수득하고, 농축시키고, 임의의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LCMS [M+H]+= 205
단계 3: 실시예 302D
DMF(30 mL) 중 실시예 301A(154 mg, 0.48 mmol)의 용액에 Cs2CO3(313 mg, 0.96 mmol) 및 실시예 302C(982 mg, 4.8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2시간 동안 25℃까지 가열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이 소모되었음을 탐지하였다. 반응물을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EtOAc=1/1~1/4로 용리)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실시예 302D(500 mg, 수율: 100%)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H]+= 487
단계 4: 실시예 302E
DCM(2 mL) 중 실시예 302D(486 mg, 2 mmol)의 용액에 TFA(1 mL)를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첨가 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이 소모되었음을 탐지하였고, 혼합물을 농축시켜 원하는 생성물 실시예 302E(532 mg, 수율: 100%)을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단계 5: 실시예 302
실시예 302E(193 mg, 0.5mmol), TEA(101 mg, 1 mmol) 및 실시예 301F(81 mg, 0.5 mmol)를 ACN(5 mL)에 용해시키고, 혼합물을 18시간 동안 60℃까지 가열하였다. LCMS는 TM이 형성되었음을 탐지하였다. 분취용 HPLC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실시예 302(15 mg, 수율: 6%)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H]+= 511
1H NMR (400MHz, CDCl3) δ 8.41 (s, 2H), 7.98 (s, 1H), 7.65 (s, 2H), 6.10 (s, 1H), 3.77-3.72 (m, 4H), 3.67-3.52 (m, 4H), 3.04-2.98 (m, 4H), 2.38 (s, 3H), 1.33 (s, 3H).
반응식 43
단계 1: 실시예 303B
THF(75 mL) 중 실시예 303A(33 g, 500 mmol) 및 메틸 카르보노클로리데이트(49.5 g, 520 mmol)의 용액에 H2O(50 mL) 중 KOH(56.1 g, 1000 mmol)를 30분에 걸쳐 첨가하였다(내부 온도를 40℃ 미만으로 유지). 첨가 후, 현탁액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현탁액을 여과하고 여과 케이크를 EtOH(50 mL x 3)로 세척하고, 진공에서 건조시켜 원하는 생성물 실시예 303B(67 g, 수율 82.7%)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H]+ = 163
단계 2: 실시예 303C
MeOH(300 mL) 및 HCl(5 mL, MeOH 중 4.0 M) 중 실시예 303B(4 g, 24.52 mmol)의 용액에 Pd/C(8 g)를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현탁액을 실온에서 44시간 동안 15 psi의 H2 하에 교반하였다. LCMS는 출발 물질이 완전히 소모되었고 원하는 생성물이 검출되었음을 보여주었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 케이크를 MeOH(30 mL x 3)로 세척하였다. 여액을 감압 하에 농축하여 생성물 실시예 303C(3.7 g, 수율: 54.4%)를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H]+= 133.2
단계 3: 실시예 303D
MeCN(100 mL) 중 실시예 303C(2.18 g, 7.84 mmol), 실시예 301A(0.5 g, 1.57 mmol) 및 DIEA(13.35 g, 103.5 mmol)의 용액을 80℃까지 가열하고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는 출발 물질이 완전히 소모되었고 원하는 생성물이 검출되었음을 보여주었다. 반응 혼합물 실시예 303D를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LCMS [M+H]+= 415.5
단계 4: 실시예 303E
Boc2O(5 g, 22.9 mmol)를 실온에서 실시예 303D의 용액에 첨가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는 출발 물질이 소모되었음을 보여주었다. 반응물을 DCM(200 mL)으로 희석하고, 물(150 mL x 2), 염수(200 mL x 3)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이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EtOAc=2/1~1/9로 용리)에 의해 정제하여 생성물 실시예 303E(680 mg, 수율: 2단계에 걸쳐 76.7%)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H]+= 515.5
단계 5: 실시예 303F
THF(20 mL) 중 실시예 303E(840 mg, 1.63 mmol)의 용액에 CaCl2(363 mg, 3.27 mmol) 및 NaBH4(124 mg, 3.27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고, 반응물을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포화 수성 NH4Cl(100 mL)에 붓고, EtOAc(30 mL)로 희석하고 분리하였다. 수성층을 EtOAc(30 mL x 2)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층을 농축하고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EtOAc=3/1~1/9로 용리)로 정제하여 생성물 실시예 303F(383 mg, 수율: 48.3%)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H]+= 487.6
단계 6: 실시예 303G
DCM(10 mL)에 용해된 실시예 303F(553 mg, 1.14 mmol)의 용액에 실온에서 HCl/디옥산(4.0 M, 10 m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0.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이 소모되었음을 보여주었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생성물 실시예 303G(563 mg, 수율: 100%)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H]+= 387.5
단계 7: 실시예 303
DMF(10 mL) 중 실시예 303G(563 mg, 1.14 mmol) 및 K2CO3(940 mg, 6.82 mmol)의 용액에 실시예 301A(183 mg, 1.14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물을 60℃까지 가열하고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이 소모되었음을 보여주었다.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EtOAc(30 mL)로 희석하고 물(20 mL)로 세척하였다. 수성층을 EtOAc(20 mL x 4)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층을 염수(20 mL x 2)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EtOAc=3/1~1/9로 용리)로 정제하여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고, 이를 분취 HPLC로 정제하여 생성물 실시예 303(75.2 mg, 수율: 12.93%)을 연황색의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H]+= 511
1H NMR (400 MHz, CDCl3) δ 8.37 (s, 2H), 7.96 (s, 1H), 7.66-7.58 (m, 2H), 6.82 (s, 1H), 5.87 (s, 1H), 3.83-3.73 (m, 5H), 3.59-3.44 (m, 5H), 3.01 (s, 4H), 2.38 (s, 3H), 2.14-2.08 (m, 1H).
반응식 44
단계 1: 실시예 304B
실시예 304A(23.6 g, 0.12 mol), NaN3(15.1 g, 0.23 mol) 및 NH4Cl(7.5 g, 0.14 mol)을 DMF(250 mL)에 현탁시키고, 생성된 혼합물을 1시간 동안 80℃까지 가열하였다. TLC가 반응이 완결되었음을 탐지한 후, EtOAc(1 L)를 첨가하고, 유기 추출물을 물(200 mL x 5)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EtOAc=5/1로 용리)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실시예 304B(29 g, 수율 100%)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H]+ = 247
단계 2: 실시예 304C
EtOH(400 mL) 중 실시예 304B(29 g, 0.12 mol)의 용액에 HCl(22 mL) 및 Pd/C(1 g)를 첨가하고, 불균일한 혼합물을 H2 하에 18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이 대부분 소모되었음을 탐지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액을 농축시켜 원하는 생성물 실시예 304C(21 g, 수율: 100%)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H]+= 221
단계 3: 실시예 304D
DMF(50 mL) 중 실시예 304C(6.6 g, 3 mol)의 용액에 2-클로로-5-(메틸티오)피리미딘(2.4 g, 15 mmol) 및 TEA(7.6 g, 75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0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이 소모되었음을 탐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EtOAc=1/1~1/4로 용리)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실시예 304D(450 mg, 수율: 8%)를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H]+= 345
단계 4: 실시예 304E
EtOH(5 mL) 중 실시예 304D(450 mg, 1.3 mmol)의 용액에 하이드라진 수화물(131 mg, 2.6 mmol)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3시간 후 TLC가 출발 물질이 소모되었음을 탐지하였고, 이 시점에서 반응물을 농축시키고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DCM/MeOH=10/1로 용리)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실시예 304E(120 mg, 수율: 43%)를 흰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단계 5: 실시예 304
DMF(1 mL) 중 실시예 304E(43 mg, 0.20 mmol) 및 2-클로로-N,N-디메틸벤조[d]티아졸-6-설폰아미드(37 mg, 0.13 mmol)의 용액에 DBU(40 mg, 0.26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5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이 소모되었음을 탐지하였고,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분취용 TLC에 의해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실시예 304(30 mg, 수율: 51%)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H]+= 454.9. 1H NMR (400 MHz, CDCl3) δ 8.35 (s, 2H), 7.99 (d, J = 1.5 Hz, 1H), 7.67 (dd, J = 8.5, 1.7 Hz, 1H), 7.59 (d, J = 8.5 Hz, 1H), 5.97 (s, 1H), 4.11 (dd, J = 9.3, 4.8 Hz, 1H), 3.74 (dd, J = 13.7, 4.3 Hz, 1H), 3.66 (s, 1H), 3.58 (dd, J = 13.6, 6.3 Hz, 2H), 2.70 (s, 6H), 2.37 (s, 3H).
반응식 45
단계 1: 실시예 305
DMF(2 mL) 중 실시예 304E(30 mg, 0.14 mmol) 및 2-클로로-N-메틸벤조[d]티아졸-6-설폰아미드(24.5 mg, 0.09 mmol)의 용액에 DBU(47 mg, 0.18 mmol)를 첨가하였다. 첨가 후, 혼합물을 5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는 출발 물질이 소모되었음을 결정하였다.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EtOAc(5 mL)로 희석하고, 염수(5 mL)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농축시키고, 분취용 TLC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실시예 305(23.8 mg, 수율: 60%)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H]+= 440.9
1H NMR (400 MHz, MeOD-d 4) δ 8.35 (s, 2H), 8.07 (s, 1H), 7.69 (dd, J = 8.0, 1H), 7.50 (d, J = 8.0 Hz, 1H), 4.06 (m, 0.46H), 3.57 (m, 4H), 2.51 (s, 3H), 2.32 (s, 3H).
반응식 46
실시예 306(30 mg, 수율: 50%)을 실시예 306A로부터 출발하여 백색 고체로서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LCMS [M+H]+= 454.9. 1H NMR (400 MHz, CDCl3) δ 8.35 (s, 2H), 7.98 (d, J = 1.5 Hz, 1H), 7.66 (dd, J = 8.5, 1.7 Hz, 1H), 7.58 (d, J = 8.5 Hz, 1H), 6.04 (t, J = 5.6 Hz, 1H), 4.11 (dd, J = 9.3, 5.1 Hz, 1H), 3.74-3.64 (m, 2H), 3.61-3.54 (m, 2H), 2.70 (s, 6H), 2.36 (s, 3H).
반응식 47
단계 1: 실시예 307A
DMF(0.5 mL) 중 실시예 306E(100 mg, 0.47 mmol)의 용액에 DBU(89 mg, 0.58 mmol) 및 메틸 2-클로로벤조[d]티아졸-6-카르복실레이트 (89 mg, 0.39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시간 동안 50℃까지 가열하였다. TLC가 출발 물질이 소모되었음을 결정한 후,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EtOAc=1/1~1/4로 용리)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실시예 307A(50 mg, 수율: 26%)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H]+= 406
단계 2: 실시예 307B
THF(1 mL) 중 실시예 307A(50 mg, 0.12 mmol)의 용액에 LiOH(0.4 mL, 물 중 1 M)를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가 출발 물질이 소모되었음을 결정한 후,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DCM/MeOH=10/1로 용리)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실시예 307B(5 mg, 수율: 11%)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H]+= 392
단계 3: 실시예 307
실시예 307B(10 mg, 0.025 mmol)의 용액에 디메틸아민 염산염(2.5 mg, 0.031 mmol), TEA(8 mg, 0.075 mmol) 및 HBTU(14 mg, 0.038 mmol)를 채웠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가 출발 물질이 소모되었음을 탐지한 후,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분취용 TLC(EtOAc로 용리)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실시예 307(2 mg, 수율: 19%)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H]+= 419. 1H NMR (400 MHz, CDCl3) δ 8.36 (s, 2H), 7.67 (s, 1H), 7.53 (d, J = 8.2 Hz, 1H), 7.35 (dd, J = 8.3, 1.5 Hz, 1H), 5.91 (s, 1H), 4.14-4.00 (m, 1H), 3.72-3.64 (m, 2H), 3.53 (dd, J = 13.8, 6.3 Hz, 2H), 3.07 (s, 6H), 2.37 (s, 3H).
반응식 48
단계 2: 실시예 308A
자기 교반 막대가 장착된 Schlenk 튜브에 벤젠 250 mL 중 TBAI(5 g, 13.6 mmol), 시클로펜텐(9.25 g, 136 mmol) 및 O-프탈이미드(10 g, 68 mmol)를 채웠다. 바이알을 밀봉하기 전에 65%의 TBHP(18.8 g, 136 mmol) 용액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8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염수로 세척하였다. 수성상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에틸 아세테이트=5/1로 용리)로 정제하여 원하는 화합물 실시예 308A(6.5 g)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H]+= 214.
1H NMR (400 MHz, CDCl3) δ 2.08-2.17 (m, 1H), 2.32-2.47 (m, 1H), 2.41-2.53 (m, 1H), 2.80-2.88 (m, 1H), 5.33-5.46 (m, 1H), 5.61- 5.70 (m, 1H), 6.07-6.16 (m, 1H), 7.67-7.75 (m, 2H), 7.80-7.87 (m, 2H).
단계 2: 실시예 308B
THF(25 mL) 중 실시예 308A(5 g, 23.5 mmol)의 용액에 H2O 중 50%의 하이드라진 수화물(3.52 g, 35.2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7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혼합물을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디-tert-부틸 디카보네이트(10.2 g, 47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에틸 아세테이트=5/1로 용리)로 정제하여 원하는 화합물 실시예 308B(550 mg)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H]+= 184.
단계 3: 실시예 308C
DCM(5 mL) 중 실시예 308B(700 mg, 3.825 mmol)의 용액에 m-CPBA(790 mg, 4.59 mmol)를 0℃에서 소량씩 첨가하였다. 첨가 후,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0℃까지 냉각시키고, m-클로로벤조산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추가의 차가운 DCM으로 세척하였다. 합한 여액 및 세척물을 20%의 NaHSO3와 함께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DCM 층을 분리하고 3 N의 NaOH(3 x 30 mL), 포화 NaCl(30 mL)로 추출한 다음, Na2SO4로 건조시켰다. 증발시켜 백색 고체를 남겼고, 이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에틸 아세테이트=5/1로 용리)로 정제하여 원하는 화합물 실시예 308C(455 mg)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H]+= 144. 1H NMR (400 MHz, CDCl3) δ 1.07-1.17 (m, 1H), 1.48 (s, 9H), 1.66-1.76 (m, 1H), 1.89-1.96 (m, 1H), 2.05-2.16 (m, 1H), 3.41-3.50 (m, 1H), 3.53 (br s, 1H), 4.07-4.26 (m, 1H), 4.63-4.77 (m, 1H).
단계 4: 실시예 308D
실시예 308C(445 mg, 2.28 mmol), NaN3(297 mg, 4.57 mmol), NH4Cl(61 mg, 1.14 mmol), 2-메톡시에탄올(5 mL) 및 H2O(1 mL)의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80℃로 유지시킨 조에서 교반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증발 건조시키고, 잔류물을 H2O(5 mL)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NaCl로 포화시킨 다음, DCM(4 x 5 mL)으로 추출하였다. DCM 용액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MeOH/DCM=3%~5%로 용리)로 정제하여 원하는 화합물 실시예 308D(420 mg)를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LCMS [M+H]+= 188.
단계 5: 실시예 308E
EtOH(5 mL) 중 실시예 308D(420 mg, 1.74 mmol), Pd/C(cat.)의 현탁액을 H2 분위기 하에서 16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건조시키고,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직접 사용하였다. 실시예 308E(320 mg). LCMS [M+H]+= 217.
단계 6: 실시예 308F
DMSO(5 mL) 중 실시예 308E(150 mg, 0.694 mmol), 2-클로로-5-(메틸티오)피리미딘(111 mg, 0.694 mmol), DIPEA(180 mg, 1.4 mmol)의 혼합물을 13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물에 붓고, EtOAc(3 x 1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A=2/1로 용리)로 정제하여 원하는 화합물 실시예 308F(100 mg)를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LCMS [M+H]+= 341.
1H NMR (400 MHz, CDCl3) δ 1.45 (s, 9H), 1.75-1.85 (m, 1H), 2.13-2.21 (m, 1H), 2.23-2.30 (m, 1H), 2.38 (s, 3H), 3.83-4.05 (m, 3H), 5.33 (br s, 1H), 5.57 (br s, 1H), 8.35 (s, 2H).
단계 7: 실시예 308G
DCM(3 mL) 중 실시예 308F(100 mg, 0.294 mmol)의 용액에 디옥산(3 mL) 중 4 M의 HC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건조시키고,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 직접 사용하였다. 실시예 308G(70.6 mg). LCMS [M+H]+= 241.
단계 8: 실시예 308H
DMF(4mL) 중의 실시예 308G(70.6 mg, 0.256 mmol), tert-부틸 6-((2-클로로벤조[d]티아졸-6-일)설포닐)-2,6-디아자스피로[3.4]옥탄-2-카르복실레이트(130 mg, 0.294 mmol), DIPEA (99 mg, 0.768 mmol)의 혼합물을 40℃에서 2일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물에 붓고, EtOAc(3 x 1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MeOH/DCM=5%로 용리)로 정제하여 원하는 화합물 실시예 308H(70 mg)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H]+= 648.
단계 9: 실시예 308
DCM(3 mL) 중 실시예 308H(70 mg, 0.108 mmol)의 용액에 디옥산(3 mL) 중 4 M의 HC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분취용 HPLC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실시예 308(20 mg)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H]+= 548.
1H NMR (400 MHz, DMSO-d 6) δ 1.47 - 1.56 (m, 1 H), 1.63 - 1.73 (m, 1 H), 1.97 (t, J=6.98 Hz, 2 H), 2.06 - 2.23 (m, 2 H), 2.31 - 2.41 (m, 3 H), 3.19 (t, J=6.98 Hz, 2 H), 3.35 (s, 2 H), 3.68 (t, J=6.04 Hz, 4 H), 3.95 - 4.02 (m, 1 H), 4.15 (br. s., 1 H), 4.38 (br. s., 1 H), 7.48 (d, J=8.33 Hz, 1 H), 7.59 (dd, J=8.33, 1.88 Hz, 2 H), 8.16 (d, J=1.88 Hz, 1 H), 8.37 (s, 2 H), 8.49 (d, J=7.79 Hz, 2 H), 8.66 (br. s., 1 H).
반응식 49
단계 1: 실시예 309A
나트륨 시클로펜타디에닐리드(THF 중 2 M의 용액, 50 mL, 100 mmol, 1 equiv)를 -40℃에서 DMF(200 mL) 중 벤질클로로메틸 에테르(90%, 23 g, 130 mmol, 1.3 equiv)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40℃에서 20분 동안 격렬하게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펜탄/빙냉수(900 mL)의 2:1 혼합물에 부었다. 진탕시켜 상이 분리되도록 한 후, 유기층을 150 mL의 냉수로 2회 세척하고 교반하면서 Na2SO4로 건조시키고, 이중 결합의 이성질화를 피하기 위해 온도를 0℃ 미만으로 유지시켰다. 여과에 의해 건조제를 제거한 후, 펜탄을 진공 하에 0℃에서 제거하여 (벤질옥시메틸)시클로펜트-2,4-엔 1을 옅은 오렌지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생성된 조 물질을 아르곤 하에 0°C로 유지시키고, THF(160 mL)로 희석하고, -78℃까지 냉각시키고, 캐뉼러를 통해 -78℃에서 THF(400 mL) 중 (-)-Ipc2BH(THF 중 1 M의 용액, 100 mL, 100 mmol, 1 equiv)의 현탁액에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10℃까지 서서히 가온시키고, 그 온도에서 3일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을 MeOH(40 mL), 이어서 NaOH(40 mL) 및 30%의 H2O2(40 mL)의 3M의 수용액을 첨가하여 ??칭시켰다.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격렬하게 교반한 후, THF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남은 수성 현탁액을 EtOAc(400 mL)와 염수(200 mL) 사이에 분배하였다. 추출 후, 유기층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조 오렌지색 오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9:1 ~ 8:2 헵탄:EtOAc)에 의해 정제허여 실시예 309A(4.8 g, 23.53 mmol, 23%)를 담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Rf = 0.29 (용리액: 7:3 헵탄:EtOAc); 1H NMR (400 MHz, CDCl3) δ 2.23-2.32 (m, 1H), 2.35 (s, 1H), 2.63-2.73 (m, 1H), 2.81-2.88 (m, 1H), 3.28 (t, J = 8.9 Hz, 1H), 3.53 (dd, J = 5.4, 9.1 Hz, 1H), 4.29 (td, J = 4.1, 7.0 Hz, 1H), 4.52 (s, 2H), 5.53-5.58 (m, 1H), 5.70-5.74 (m, 1H), 7.24-7.37 (m, 5H).
단계 2: 실시예 309B
무수 THF(100 mL) 중 실시예 309A(4.8 g, 23.53 mmol, 1 equiv)의 용액에 NaH(광유 중 50%, 1.13 g, 28.2 mmol, 1.2 equiv)를 0℃에서 첨가하고, 혼합물을 온도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브롬화벤질(BnBr, 3.6 mL, 30.5 mmol, 1.3 equiv) 및 요오드화테트라부틸암모늄(TBAI, 100 mg, 0.3 mmol, 0.01 equiv)를 0℃에서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15시간 후, 분쇄된 얼음을 조심스럽게 첨가하고,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EtOAc(150 mL)로 추출한 후, 유기층을 H2O(150 mL), 염수(150 mL)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98:2 ~ 95:5 헵탄:EtOAc)에 의한 정제에 의해 실시예 309B(6.3 g, 21.4 mmol, 80%)를 무색의 시럽으로서 수득하였다. Rf = 0.41 (용리액: 9:1 헵탄:EtOAc). LCMS [M+H]+=295.1H NMR (500 MHz, CDCl3) δ 2.42 (d, J = 17.4 Hz, 1H), 2.65-2.70 (m, 1H), 3.07 (brs, 1H), 3.33 and 3.44 (ABX, JAB = 9.2 Hz, JAX = 5.7 Hz, JBX = 7.3 Hz, 2H), 4.08 (ddd, J = 3.0, 3.3, 7.0 Hz, 1H), 4.51 (d, J = 3.4 Hz, 2H), 4.54 (s, 2H), 5.64-5.66 (m, 1H), 5.74-5.75 (m, 1H), 7.22-7.34 (m, 10H).
단계 3: 실시예 309C
THF(88 mL, 44 mmol) 중 9-BBN의 0.5 M 용액을 질소 하에 0℃에서 무수 THF(10 mL) 중 실시예 309B(6.50 g, 22.0 mmol)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반응물을 서서히 실온까지 밤새 가온시켰다. 반응물을 0℃까지 냉각시키고 EtOH(7 mL), 3 N의 NaOH 용액(20 mL) 및 H2O2(33%, 20 mL)로 순차적으로 처리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밤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 여과하고 EtOAc(200 mL)로 세척하였다. 이 현탁액에 물(150 mL)을 첨가하고 상을 분리한 후 수성층을 EtOAc(3 x 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건조시키고(Na2SO4), 농축 건조시켰다. 조 생성물을 실리카겔(용리액: 1:1 헵탄:EtOAc) 상에서 정제하여 실시예 309C(6.0 g, 19.3 mmol, 87%)를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LCMS [M+H]+= 313. 1H NMR (400 MHz, CDCl3) δ 7.35-7.25 (m, 10H, CH-arom.), 4.52 (s, 2 H, CH2-벤질), 4.49 (d, 1H, J = 11.8 Hz, CHH-벤질), 4.44 (d, 1H, J = 11.8 Hz, CHH-벤질), 4.33-4.28 (m, 1H, H-1), 4.07 (ddd, 1H, J = 6.6 Hz, 6.6 Hz, 4.1 Hz, H-3), 3.53 (dd, 1H, J = 9.0 Hz, 4.2 Hz, OCHH), 3.49 (d, 1H, J = 9.0 Hz, 4.3 Hz, OCHH), 2.35-2.25 (m, 2H, H-4, H-5a), 2.05 (dddd, 1H, J = 13.5 Hz, 6.7 Hz, 3.5 Hz, 1.7 Hz, H-2a), 1.89-1.82 (m, 1H, H-2b), 1.52-1.46 (m, 1H, H-5b).
단계 4: 실시예 309D
화합물 실시예 309C(6.0 g, 19.3 mmol)를 건조 피리딘(30 mL)에 용해시키고 0℃까지 냉각시켰다. TosCl(5.5 g, 28.9 mmol)을 30분에 걸쳐 소량씩 첨가하였다. 첨가 후, 반응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현탁액을 에틸 아세테이트(300 mL) 및 H2O(200 mL)로 희석하였다. 유기상을 분리하고, 포화 NH4Cl 용액(3 × 200 mL), 염수(100 mL)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켰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겔(헥산/에틸 아세테이트 5:1)로 정제하여 (1R,3S,4R)-3-(벤질옥시)-4-((벤질옥시)메틸)시클로펜틸 4-메틸벤젠설포네이트(1.4 g, 3.0 mmol, 15%)를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Rf=0.26 (헥산 중 20% 에틸 아세테이트). LCMS [M+H]+= 467. 1H NMR (400 MHz, CDCl3) δ7.79 (m, 2H), 7.38-7.27 (m, 12H), 5.05-4.99 (m, 1H), 4.50 (s, 2H), 4.45 (s, 2H), 3.96-3.92 (m, 1H), 3.48-3.40 (td, 2H, J =6.3 Hz), 2.45 (s, 3H), 2.33-2.20 (m, 2H), 2.14-2.01 (m, 2H), 1.69-1.62 (m, 1H).
화합물 (1R,3S,4R)-3-(벤질옥시)-4-((벤질옥시)메틸)시클로펜틸 4-메틸벤젠설포네이트(1.4 g, 3.0 mmol)를 건조 DMF(20 mL)에 용해시키고, NaN3(2.1 g, 15.4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60℃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300 mL)를 첨가한 후, 유기층을 포화 NaHCO3 용액(2 × 100 mL) 및 염수(100 mL)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켰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겔(헥산/에틸 아세테이트 10:1)로 정제하여 실시예 309D(1.0 g, 2.95 mmol, 95%)를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Rf=0.54 (헥산 중 20% 에틸 아세테이트). LCMS [M+H]+= 338. 1H NMR (400 MHz, CDCl3) δ 7.39-7.25 (m, 10H), 4.52 (dd, J = 26.0, 18.6 Hz, 2H), 4.49 (s, 2H), 3.97-3.89 (m, 1H), 3.86 (td, J = 7.0, 5.1 Hz, 1H), 3.44 (d, J = 5.5 Hz, 2H), 2.54-2.43 (m, 1 H), 2.24 (td, J = 13.8, 6.8 Hz, 1H), 1.99 (dddd, J = 13.4, 8.7, 4.7, 1.3 Hz, 1H), 1.84 (dddd, J= 28.2, 20.8, 9.5, 4.2 Hz, 2H).
단계 5: 실시예 309E
화합물 실시예 309D(1.0 g, 2.95 mmol)를 무수 CH2Cl2(20 mL)에 용해시키고 -78℃까지 냉각시켰다. CH2Cl2 중 1 M의 BCl3(40 mL)의 용액을 적하 깔때기를 사용하여 45분에 걸쳐 첨가하고 혼합물을 -78℃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실온까지 가온시켰다. 반응을 -78℃에서 무수 MeOH(20 mL)로 ??칭시키고, 밤새 실온까지 가온되도록 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겔(헥산/에틸 아세테이트 1:1)에서 정제하여 황색 오일로서 수득된 (1S,2R,4S)-4-아지도-2-(하이드록시메틸)시클로펜탄올(420 mg, 2.67 mmol, 90%)을 얻었다. LCMS [M+H]+=158. 1H NMR (400 MHz, CDCl3) δ 4.07 (dd, J = 13.3, 6.0 Hz, 1H), 4.02-3.95 (m, 1H), 3.79 (ddd, J = 10.4, 5.2, 3.0 Hz, 1H), 3.56 (dd, J = 10.4, 8.0 Hz, 1H), 2.36-2.20 (m, 4H), 1.99-1.92 (m, 1H), 1.77 (dddd, J = 14.0, 6.0, 4.5, 1.6 Hz, 1H), 1.58 (ddd, J = 13.9, 9.8, 6.8 Hz, 1H).
화합물(1S,2R,4S)-4-아지도-2-(하이드록시메틸)시클로펜탄올(0.42 g, 2.67 mmol)을 건조 DMF(10 mL)에 용해시키고, 이미다졸(198 mg, 2.94 mmol)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0℃에서 TBDPSCl(808 mg, 2.94 mmol)을 소량씩 첨가한 후,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CH2Cl2(200 mL)로 희석하고 포화 NH4Cl(70 mL) 및 염수(50 mL)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켰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조 생성물을 실리카겔(헥산/에틸 아세테이트 10:1)로 정제하여 황색 오일로서 수득된 실시예 309E(630 mg, 1.6 mmol, 60%)를 얻었다. LCMS [M+H]+= 360. 1H NMR (400 MHz, CDCl3) δ 7.69-7.66 (m, 4H), 7.49-7.40 (m, 6H), 4.15 (dd, J = 7.0, 7.0 Hz, 1H), 4.02-3.99 (m, 1H), 3.81 (dd, J = 4.8, 4.8 Hz, 1H), 3.59 (dd, J = 7.2, 7.2 Hz, 1H), 2.35-2.28 (m, 2H), 1.91-1.88 (m, 1H), 1.83-1.78 (m, 1H), 1.70-1.62 (m, 1H), 1.08 (s, 9H).
단계 6: 실시예 309F
10%의 Pd/C(63 mg)를 건조 EtOH(100 mL) 중 화합물 실시예 309E(630 g, 1.6 mmol)의 현탁액에 첨가하였다. 불활성 기체 분위기를 교환하기 위해 반응물을 두 번 배기시킨 다음, H2로 채워진 두 개의 풍선에 연결하였다. 현탁액을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격렬하게 교반하였다. PTFE-필터(Whatman Puradisc)를 이용하여 팔라듐 촉매를 제거하고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였다. 아민(588 g, 100%)을 무색 액체로서 수득하였고,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LCMS [M+H]+= 370.
0℃에서 DCM(50 mL) 중의 아민(588 mg, 1.6 mmol) 용액에 DCM(10 mL) 중의 Boc2O(700 mg, 3.2 mmol)를 첨가하고, 0℃에서 교반한 다음,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조 생성물을 실리카겔(헥산/에틸 아세테이트 5:1)로 정제하여 무색 오일로서 수득된 실시예 309F(650 mg, 1.38 mmol, 87%)를 얻었다. LCMS [M+H]+= 470. 1H NMR (400 MHz, CDCl3) δ 7.68-7.65 (m, 4H), 7.48-7.40 (m, 6H),4.97 (br s, 1H), 4.20 (m, 1H), 4.02 (br s, 1H), 3.74 (dd, J = 4.2, 4.2 Hz, 1H), 3.51 (dd, J = 8.4, 8.4 Hz, 1H), 2.29-2.22 (m, 2H), 1.78-1.57 (m, 3H), 1.45 (s, 9H), 1.07 (s, 9H).
단계 7: 실시예 309G
DCM(50 mL) 중 화합물 실시예 309F(630 mg, 1.34 mmol), DIEA(300 mg, 2.28 mmol) 및 DMAP(278 mg, 2.28 mmol)을 0℃에서 TosCl(384 mg, 2.0 mmol)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농축 건조시켰다. 조 생성물을 실리카겔(헥산/에틸 아세테이트 10:1)로 정제하여 무색 오일로서 수득된 (1S,2R,4S)-4-((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2-(((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 4-메틸벤젠설포네이트(590 mg, 0.94 mmol, 70%)를 얻었다. LCMS [M+H]+= 625.
(1S,2R,4S)-4-((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2-(((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 4-메틸벤젠설포네이트(590 g, 0.94 mmol)를 건조 DMF(10 mL)에 용해시키고, NaN3(92 mg, 1.4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60℃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100 mL)를 첨가한 후, 유기층을 포화 NaHCO3 용액(2 × 50 mL) 및 염수(50 mL)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켰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겔(헥산/에틸 아세테이트 5:1)로 정제하여 tert-부틸 ((1S,3R,4S)-3-아지도-4-(((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카바메이트(460 mg, 0.93 mmol, 99%)를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Rf=0.54 (헥산 중 20% 에틸 아세테이트). LCMS [M+H]+= 496. 1H NMR (400 MHz, CDCl3) δ 7.72-7.67 (m, 4H), 7.46-7.40 (m, 6H),4.45 (br s, 1H), 4.20 (m, 1H), 4.08 (br s, 1H), 3.79-3.72 (m, 1H), 3.68-3.62 (m, 1H), 2.41-2.35 (m, 2H), 1.80-1.47 (m, 5H), 1.46 (s, 9H), 1.08 (s, 9H).
10%의 Pd/C(46 mg)를 건조 EtOH(50 mL) 중 tert-부틸 ((1S,3R,4S)-3-아지도-4-(((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카바메이트(460 g, 0.93 mmol)의 현탁액에 첨가하였다. 불활성 기체 분위기를 교환하기 위해 반응물을 두 번 배기시킨 다음, H2로 채워진 두 개의 풍선에 연결하였다. 현탁액을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격렬하게 교반하였다. PTFE-필터(Whatman Puradisc)를 이용하여 팔라듐 촉매를 제거하고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였다. 아민 실시예 309G(460 mg, 0.93 mmol, 정량)를 무색 액체로서 수득하였고,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LCMS [M+H]+= 470
단계 8: 실시예 309H
THF(5 mL) 중 화합물 실시예 309G(70 mg, 0.17 mmol)의 용액에 1 M의 TBAF(1.7 mL, 0.17 mmol)를 N2 하에 0℃에서 첨가한 다음,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켜 조 생성물 13을 얻었고, 조 생성물은 다음 단계였다. LCMS [M+H]+= 231.
단계 9: 실시예 309I
DMSO 중 화합물 실시예 309H(조 물질, 0.17 mmol), 2-클로로-N,N-디메틸벤조[d]티아졸-6-설폰아미드(46 mg, 0.17 mmol) 및 DIEA(65 mg, 0.51 mmol)의 혼합물을 밤새 60℃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분취용 HPLC로 정제하여 화합물 실시예 309I(38 mg, 47%)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H]+= 472.
단계 10: 실시예 309J
4 M의 HCl/디옥산(5 L)의 용액을 DCM(1 mL) 중 화합물 실시예 309I(38 mg, 0.08 mmol)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농축시켜 화합물 실시예 309J(30 mg, 100%)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H]+= 372.
단계 16: 실시예 309
DMSO(2.5 mL) 중의 화합물 실시예 309J(30 mg, 0.08 mmol), 2-클로로-5-(메틸티오)피리미딘(15 mg, 0.09 mmol) 및 DIEA(34 mg, 0.25 mmol)의 혼합물을 12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분취용 HPLC로 정제하여 화합물 실시예 309(5 mg, 12%)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H]+= 496.
1H NMR (400 MHz, CD3OD) δ 8.36 (s, 2H), 8.09 (d, J = 1.6 Hz, 1H), 7.68 (dd, J = 2.0, 1.6 Hz, 1H), 7.56 (d, J = 8.4 Hz, 1H), 4.62 (br s, 5H), 4.54 (br m, 1H), 3.63-3.58 (m, 2H), 2.70 (s, 3H), 2.69-2.65 (m, 1H), 2.37 (s, 3H), 2.36-2.28 (m, 1H), 2.16-2.10 (m, 1H), 2.05-1.99 (m, 1H), 1.86-1.82 (m, 1H).
반응식 50
단계 1: 실시예 310A
디메틸 설폭사이드(28 mL) 중 tert-부틸 ((1S,3S)-3-아미노시클로펜틸)카바메이트(1.5 g, 7.5 mmol), 2-클로로-5-(메틸티오)피리미딘(1.3 g, 8.3 mmol)의 혼합물에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3.7 mL, 22.5 mmol)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N2 분위기 하에 6.5시간 동안 130℃에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에 물(90 mL) 및 에틸 아세테이트(160 mL)를 첨가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10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A=20:1~PE:EA =6:1)로 정제하여 실시예 310A(1.8 g, 수율 76%)를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LCMS [M+H]+= 325.
단계 2: 실시예 310B
메탄올(2 mL) 중 실시예 310A(1.8 g, 5.7 mmol)의 혼합물에 실온에서 HCl/디옥산(8.0 mL, 4 mol/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N2 분위기 하에 실온에서 2.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증발시켜 실시예 310B(1.5 g, 수율 100%)를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H]+= 225.
단계 3: 실시예 310C
DMSO(28 mL) 중 실시예 310B(1.5 g, 5.7 mmol), 에틸 2-클로로벤조[d]티아졸-6-카르복실레이트(1.4 g, 5.7mmol)의 혼합물에 DIEA(2.9 mL, 17.3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N2 분위기 하에 18시간 동안 80℃에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에 물(80 mL) 및 에틸 아세테이트(150 mL)를 첨가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9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A=30:1~5:1)로 정제하여 실시예 310C(1.9 g, 수율 77%)를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H]+= 430.
단계 4: 실시예 310D
에탄올(20 mL) 및 물(10 mL) 중 실시예 310C(1.9 g, 4.4 mmol)의 혼합물에 실온에서 수산화리튬 일수화물(372 mg, 8.9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 하에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혼합물을 농축시켰다. 잔류물에 pH=5가 될 때까지 물(60 mL) 및 HCl(3 mol/L)을 첨가하였다. 침전물을 여과하고, 여과 케이크를 건조시켜 실시예 310D(1.5 g, 수율 84%)를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H]+= 402. 1H NMR (400MHz, DMSO-d 6 ) δ 8.49-8.47 (d, J = 6.8 Hz, 1H), 8.34 (s, 2H), 8.26-8.25 (d, J = 1.6 Hz, 1H), 7.81-7.79 (m, 1H), 7.55-7.53 (d, J = 7.2 Hz, 1H), 7.40-7.38 (d, J = 8.4 Hz, 1H), 4.39-4.33 (m, 2H), 2.35 (s, 3H), 2.21-2.19 (m, 2H), 2.12-2.10 (m, 2H), 1.98-1.94 (t, J = 13.6 Hz, 1H).
단계 E: 실시예 310
DCM 중 실시예 310D(30 mg, 0.075 mmol), 디메틸아민(6.75 mg, 0.15 mmol), HATU(28.5 mg, 0.075 mmo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분취용 HPLC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실시예 310(20 mg)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H]+= 429. 1H NMR (600 MHz, DMSO-d 6) δ 1.54-1.64 (m, 2H), 1.98 (t, J = 6.75 Hz, 2H), 2.09-2.16 (m, 1H), 2.18-2.27 (m, 1H), 2.36 (s, 3H), 2.97 (s, 6H), 4.35 (br s, 2H), 7.30 (dd, J = 8.35, 1.49 Hz, 1H), 7.40 (d, J = 8.24 Hz, 1H), 7.57 (br s, 1H), 7.74-7.81 (m, 1H), 8.35 (s, 2H), 8.58 (br s, 1H).
위의 절차를 이용하여 다음 실시예를 합성하였다:
[표 31]
반응식 51
단계 1: 실시예 371A
디옥산:H2O= 4:1(50 mL) 중 2-플루오로-5-(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피리딘(1.0 g, 4.5 mmol), 3-브로모-2-메톡시피리딘(930 mg, 4.9 mmol), Pd(dppf)Cl2(320 mg, 0.45 mmol) 및 Na2CO3(950 mg, 9.0 mmol)의 혼합물을 N2 분위기 하에 11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물(50 m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EtOAc(20 mL x3)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층을 염수(50 mL)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석유 에테르:EtOAc = 5:1로 용리하는 실리카겔 상의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실시예 371A(660 mg, 72%)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단계 2: 실시예 371
DMSO(5 mL) 중 (1S, 3S)-N1-(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시클로펜탄-1,3-디아민 염산염(100 mg, 0.38 mmol), 실시예 371A(86 mg, 0.42 mmol) 및 Cs2CO3(376 mg, 1.15 mmol)의 혼합물을 130℃에서 2일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물(10 m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EtOAc(10 mL x 5)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층을 염수(20 mL)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분취용 HPLC로 정제하여 실시예 371(10 mg, 6.4%)을 수득하였다. LCMS [M+H]+ = 409.
1H NMR (400 MHz, CD3OD) δ 8.41 (s, 2H), 8.20-8.17 (m, 2H), 8.09 (s, 1H), 7.82 (d, J= 7.2 Hz, 1H), 7.13-7.07 (m, 2H), 4.51-4.49 (m, 1H), 4.29-4.27 (m, 1H), 3.99 (s, 1H), 2.41-2.33 (m, 2H), 2.38 (s, 3H), 2.19-2.15 (m, 2H), 1.78-1.75 (m, 1H).
반응식 52
단계 1: 실시예 372A
DMSO(5 mL) 중 2-플루오로-4-요오도피리딘(200 mg, 0.9 mmol), 피리딘-2(1H)-온(102 mg, 1.1 mmol), CuI(17 mg, 0.09 mmol), N,N'-디메틸-1,2-시클로헥산디아민(19 mg, 0.17 mmol) 및 K3PO4(381 mg, 1.8 mmol)의 혼합물을 N2 분위기 하에 10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물(20 m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EtOAc(20 mL x3)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층을 염수(50 mL)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이를 석유 에테르:EtOAc = 5:1~1:1로 용리하는 실리카겔 상의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실시예 372A(97 mg, 57%)를 미백색의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단계 2: 실시예 372
DMSO(3 mL) 중의 실시예 372A(50 mg, 0.19 mmol), (1S,3S)-N1-(5-(메틸티오) 피리미딘-2-일) 시클로펜탄-1,3-디아민 염산염(40 mg, 0.21 mmol) 및 Cs2CO3(185 mg, 0.57 mmol)의 혼합물을 130℃에서 2일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물(10 m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EtOAc(10 mL x 5)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층을 염수(20 mL)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분취용 HPLC로 정제하여 실시예 372(10 mg, 13%)을 수득하였다. LCMS [M+H]+ = 395. 1H NMR (400 MHz, CD3OD) δ 8.39 (s, 2H), 7.99 (d, J = 7.2 Hz, 1H), 7.70-7.64 (m, 2H), 7.20 (s, 1H), 7.05-7.03 (m, 1H), 7.67 (d, J = 9.2 Hz, 1H), 6.58-6.54 (m, 1H), 4.51-4.47 (m, 1H), 4.29-4.27 (m, 1H), 2.42-2.33 (m, 2H), 2.38 (s, 3H), 2.20-2.14 (m, 2H), 1.78-1.74 (m, 1H).
위의 절차를 이용하여 다음 실시예를 합성하였다:
반응식 54
일반적인 방법 1
6'-클로로-5-메톡시-2H-[1,3'-비피리딘]-2-온 (실시예 400A)
DMSO(5 mL) 중 화합물 2-클로로-5-요오도피리딘(191 mg, 0.8 mmol, 1.0 eq), 5-메톡시피리딘-2(1H)-온(100 mg, 0.8 mmol, 1.0eq), CuI(15 mg, 0.08 mmol, 0.1 eq), N,N'-디메틸-1, 2-시클로헥산디아민(23 mg, 0.16 mmol, 0.2 eq) 및 K3PO4(339 mg, 1.6 mmol, 0.2 eq)의 혼합물을 N2 분위기에서 밤새 120℃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물(20 m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EtOAc(20 mL x2)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30 mL)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PE:EA = 1:1로 용리하는 실리카겔 상의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400A(60 mg, 0.23 mmol, 32%)를 미백색의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일반적인 절차 2
5-메톡시-6'-(((1S,3S)-3-((5-(메틸티오) 피리미딘-2-일) 아미노) 시클로펜틸) 아미노)-2H-[1,3'-비피리딘]-2-온 (실시예 400)
디옥산(5 mL) 중 400A(53 mg, 0.22 mmol, 1.0 eq), 131C(50 mg, 0.22 mmol. 1.0 eq), tBuXphos Pd G3(18 mg, 0.022 mmol, 0.1 eq) 및 tBuOK(49 mg, 0.44 mmol, 0.2 eq)의 혼합물을 N2 분위기 하에 밤새 110℃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여과하였다. 액을 농축시키고, 분취용 TLC에 이어서 분취용 HPLC로 정제하여 화합물 400(50 mg, 53%, TFA 염)을 미백색의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H]+= 425.
1H NMR (400 MHz, CD3OD) δ 8.36 (s, 2H), 8.09 (s, 1H), 7.95 (d, J= 9.6 Hz, 1H), 7.50 (d, J= 9.6 Hz, 1H), 7.23 (s, 1H), 7.10 (d, J= 9.6 Hz, 1H), 6.61 (d, J= 9.6 Hz, 1H), 4.48-4.46 (m, 1H), 4.25-4.23 (m, 1H), 3.73 (s, 3H), 2.40-2.35 (m, 5H), 2.16-2.13 (m, 2H), 1.76-1.74 (m, 2H).
위의 절차를 이용하여 다음 실시예를 합성하였다:
반응식 55
5-하이드록시-6'-(((1S,3S)-3-((5-(메틸티오) 피리미딘-2-일) 아미노) 시클로펜틸) 아미노)-2H-[1,3'-비피리딘]-2-온 (실시예 402)
DCM(10 mL) 중 400(50 mg, 0.12 mmol, 1.0 eq)의 용액에 BBr3(1 mL)을 0℃에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MeOH로 ??칭시킨 다음,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분취용 TLC에 이어서 분취용 HPLC로 정제하여 화합물 실시예 402(50 mg, 53%, TFA 염)를 미백색의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8.37 (s, 2H), 8.06 (s, 1H), 7.94 (d, J= 9.6 Hz, 1H), 7.45 (d, J= 9.6 Hz, 1H), 7.12-7.09 (m, 2H), 6.58 (d, J= 9.6 Hz, 1H), 4.49-4.46 (m, 1H), 4.31-4.28 (m, 1H), 2.42-2.30 (m, 5H), 2.17-2.13 (m, 2H), 1.79-1.73 (m, 2H). [M+H]+= 411.
반응식 56
4-하이드록시-5'-(((1S,3S)-3-((5-(메틸티오) 피리미딘-2-일) 아미노) 시클로펜틸) 아미노)-2H-[1,2'-비피리딘]-2-온 (실시예 403)
출발 물질 4-(벤질옥시)피리딘-2(1H)-온으로부터 일반적인 방법 1, 일반적인 방법 2 및 일반적인 방법 3에 기술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8.32 (s, 2H), 7.89 (d, J = 2.2 Hz, 1H), 7.45 (d, J = 7.5 Hz, 2H), 7.39 (dd, J = 9.0, 2.7 Hz, 1H), 6.60 (d, J = 8.6 Hz, 1H), 6.13 (dd, J = 7.5, 2.6 Hz, 1H), 5.88 (d, J = 8.6, 2.5 Hz, 1H), 4.48 - 4.25 (m, 2H), 2.35 (s, 3H), 2.32 - 2.19 (m, 2H), 2.06 - 1.92 (m, 2H), 1.70 - 1.52 (m, 2H). [M+H]+ = 411.49.
반응식 57
일반적인 절차 4
6'-클로로-4-메톡시-3,3'-비피리딘 (404)
디옥산(8 mL) 및 물(2 mL) 중 (6-클로로피리딘-3-일)보론산(1.0 g, 6.4 mmol, 1 eq), 3-브로모-4-메톡시피리딘(1.2 g, 6.4 mmol, 1 eq), Pd(dppf)Cl2(468 mg, 0.64 mmol, 0.1 eq) 및 Na2CO3(1.3 g, 12.8 mmol, 2 eq)의 혼합물을 N2 분위기 하에 105℃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물(10 mL)로 ??칭시켰다. 혼합물을 EtOAc(2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50 mL)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석유 에테르: EtOAc=5:1로 용리하는 실리카겔 상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화합물 404(200 mg, 14%)를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위의 절차를 이용하여 다음 실시예를 합성하였다:
반응식 58
2-클로로-5- (2, 2, 2-트리플루오로에톡시) 피리미딘 (408)
DMF(20 mL) 중 2-클로로피리미딘-5-올(0.5 g, 3.8 mmol, 1.0 eq) 및 CS2CO3(1.49 g, 4.6 mmol, 1.2 eq)의 용액에 2,2,2-트리플루오로에틸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0.97 g, 4.2 mmol, 1.1 eq)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EtOAc(30 mL)와 물(80 mL) 사이에 분배하였다. 분리된 수성층을 EtOAc(2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20 mL)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켜, 408(0.74 g)을 수득하고, 이를 다음 단계에 직접 사용하였다. LCMS [M+H]+= 213.
반응식 59
2-클로로-5-(디플루오로메톡시) 피리미딘 (409)
DMF(2000 mL) 중 2-클로로피리미딘-5-올(101.6 g, 0.76 mol, 1.0 eq)의 용액을 Cs2CO3(300 g, 0.92 mol, 1.2 eq)로 채운 후,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나트륨 2-클로로-2,2-디플루오로아세테이트(340 g, 2.3 mol, 3.0 eq)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00℃에서 3.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5 L)에 붓고 EA(3 x 1 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PE:EA=10:1)로 정제하여 409(70 g)를 얻었다.
반응식 60
2-클로로-5-시클로프로필피리미딘 (410A)
디옥산(1.5 L) 중 5-브로모-2-클로로피리미딘(100 g, 518 mmol, 1.0 eq), 시클로프로필보론산(53 g, 616 mmol, 1.2 eq) 및 Pd(dppf)Cl2(10 g, 13.7 mmol, 0.03 eq)의 용액에 Cs2CO3(250 g, 769 mmol, 1.5 eq)를 첨가하고 N2 하에 11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 아세테이트=15:1로 용리)로 정제하여 410A(55 g)를 황색 고체로서 얻었다. LCMS [M+H] + =155.
일반적인 절차 5
Tert-부틸 ((1
S
, 3
S
)-3-((5-시클로프로필피리미딘-2-일) 아미노) 시클로펜틸) 카바메이트 (410B)
DMSO(400 mL) 중 410A(40 g, 260 mmol, 1 eq) tert-부틸 ((1S,3S)-3-아미노시클로펜틸) 카바메이트(55 g, 275 mmol, 1.05 eq) 및 DIPEA(105g, 814 mmol, 3.13 eq)의 혼합물을 N2 하에 11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물(1000 mL)로 희석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EtOAc(100 mL x 3)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 아세테이트=5:1 내지 4:1로 용리)로 정제하여 화합물 410B(55 g)를 옅은색의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H]+=319.
일반적인 절차 6
(1
S
, 3
S
)-N
1
-(5-시클로프로필피리미딘-2-일) 시클로펜탄-1, 3-디아민 (410C)
MeOH(250 mL) 중 410B(44 g, 13.8 mmol, 1.0 eq)의 용액에 HCl(디옥산 중 4 M, 250 mL)을 적가하고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2.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혼합물을 진공 하에 농축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MeOH(500 mL)에 재용해시키고, 이온 교환 수지(Ambersep® 900 OH- 형태)를 첨가하여 pH를 약 8로 조정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액을 농축시켜 410C(44.5)를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LCMS [M+H]+ =219.
위의 절차를 이용하여 다음 실시예를 합성하였다:
반응식 61
2-브로모-5-(메틸티오) 피리딘 (416)
THF(20 mL) 중 2,5-디브로모피리딘(1 g, 4.22 mmol, 1 eq)의 용액을 N2 하에 -78℃까지 냉각시켰다. 그런 다음, -78℃에서 n-BuLi(2.5 M, 1.77 mL, 4.43 mmol, 1.05 eq)를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분 동안 교반한 다음, 1,2-디메틸디설판(0.411 mL, 4.64 mmol, 1.1 eq)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추가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포화 NH4Cl로 ??칭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EA(100 mL) 및 물(100 mL)로 추출한 다음,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켰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PE: EA = 10:1)로 정제하여 416(86.8 mg)을 수득하였다: ESI [M+H]+ = 204.1 1H NMR (400 MHz, CDCl3) δ 8.25 (t, J = 6.2 Hz, 1H), 7.41 (ddd, J = 8.9, 8.3, 1.6 Hz, 2H), 2.58 - 2.40 (m, 3H).
반응식 62
(1
S
,3
S
)-N1-(티에노[3,2-b] 피리딘-5-일) 시클로펜탄-1,3-디아민 (417)
출발 물질 5-클로로티에노[3,2-b]피리딘으로부터 일반적인 방법 2 및 일반적인 방법 6에 기술된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위의 절차를 이용하여 다음 실시예를 합성하였다:
반응식 63
일반적인 절차 7
3-(6-클로로피리딘-3-일) 피리미딘-4(3H)-온 (419)
DCM(60 mL) 중 피리미딘-4(3H)-온(1.5 g, 15.61 mmol, 1.0 eq), (6-클로로피리딘-3-일) 보론산(2.9 g, 18.73 mmol, 1.2 eq), Cu (OAc)2(7.9 g, 43.71 mmol, 2.8 eq), 피리딘(2.5 mL, 31.22 mmol, 2.0 eq) 및 4Å의 분자 체(8 g)의 용액을 실온에서 4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농축시키고 플래시 컬럼(석유 에테르: EtOAc: 1:1)으로 정제하여 실시예 419를 황색 고체로서 얻었다(170 mg, 5.3% 수율).
1H NMR (400MHz, CDCl3) 8.43 (d, J = 2.6 Hz, 1H), 8.15 (s, 1H), 7.97 (d, J = 6.8 Hz, 1H), 7.80 (dd, J = 8.4, 2.8 Hz, 1H), 7.53 (d, J = 8.5 Hz, 1H), 6.59 (dd, J = 6.8, 0.8 Hz, 1H); MS (ESI+) m/z 208.0 (M+H) +
반응식 63에 기술된 절차를 이용하여, 다음 실시예를 제조하였다:
반응식 64
에틸 (E)-3-(2-플루오로피리딘-4-일) 아크릴레이트 (423A)
THF(15 mL) 중 60%의 NaH(1.54 g, 38.4 mmol, 1.2 eq))의 현탁액에 THF 중 에틸 2-(에톡시(프로폭시)포스포릴) 아세테이트(8.6 g, 38.4 mmol, 1.2 eq)의 용액을 N2 분위기 하에서 0℃에서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0℃에서 25분 동안 교반한 다음, DMF(15 mL) 중 2-플루오로이소니코틴알데히드(4.0 g, 32.0 mmol, 1.0 eq)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포화 수성 NH4Cl로 0℃에서 ??칭시켰다. 수성상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에서 PE: EA = 1:15)로 정제하여 423A(3.0 g, 50%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LCMS: m/z 196 [M+H] +, rt 2.890 min. 1H-NMR (400 MHz, CDCl3) δ 8.26 (d, J = 5.2 Hz, 1H), 7.59 (d, J = 16.1 Hz, 1H), 7.29 - 7.26 (m, 1H), 7.00 (d, J = 1.7 Hz, 1H), 6.60 (d, J = 16.0 Hz, 1H), 4.30 (q, J = 7.1 Hz, 2H), 1.35 (t, J = 7.1 Hz, 3H).
에틸 3-(2-플루오로피리딘-4-일) 프로파노에이트 (423B)
EtOH(20 mL) 중 423A(3.0 g, 20.5 mmol)의 용액에 10%의 Pd/C(400 mg)를 첨가하였다. 반응 시스템을 H2로 퍼징하고 혼합물을 H2 분위기 하에 밤새 교반하였다. Pd/C를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하에 농축시켜 423B(2.3 g, 수율 76.7%)를 얻었고, 이를 직접 사용하였다: LCMS: m/z 198.1 [M+H]+, rt 2.801 min. 1H-NMR (400 MHz, CDCl3) δ 8.12 (d, J = 5.5 Hz, 1H), 7.04 (d, J = 4.8 Hz, 1H), 6.78 (d, J = 4.0 Hz, 1H), 4.13 (p, J = 6.8 Hz, 2H), 3.03 - 2.97 (m, 2H), 2.66 (t, J = 7.6 Hz, 2H), 1.24 (t, J = 6.7 Hz, 3H).
3-(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4-일) 프로판산 (423C)
423B(1.53 g, 7.77 mmol)가 있는 100 mL 플라스크에 진한 HCl(5 m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100℃까지 가열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2 mL의 물을 첨가하였다. 고체 NaHCO3를 소량씩 첨가하여 pH를 6까지 조정하였다. 혼합물을 CHCl3 중의 30%의 i-PrOH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MeOH/DCM)로 정제하여 423C(1.6 g, 수율 91%)를 얻었고, 이를 다음 단계에 직접 사용하였다. LCMS: m/z 167.8 [M+H] +; 1H NMR (400 MHz, CDCl3) δ 8.14 (d, J = 5.1 Hz, 1H), 7.05 (dt, J = 5.3, 1.7 Hz, 1H), 6.82 - 6.76 (m, 1H), 3.01 (t, J = 7.5 Hz, 2H), 2.73 (t, J = 7.5 Hz, 2H).
메틸 3-(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4-일) 프로파노에이트 (423D)
MeOH(28 mL) 중 조 423C(1.6 g)의 용액이 있는 100 mL 플라스크에 98%의 H2SO4(0.15 m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16시간 동안 90℃까지 가열한 다음, 실온까지 냉각시켰다. 포화 수성 NaCl를 상기 혼합물에 첨가하고, 이를 CHCl3중의 30% i-PrOH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MeOH:DCM = 1:15)로 정제하여 생성물 423D(702 mg, 수율 55%)를 얻었다. LCMS: m/z 182.1 [M+H] +.
일반적인 절차 8
메틸 3-(6'-플루오로-2-옥소-2H-[1,3'-비피리딘]-4-일) 프로파노에이트 (423)
밀봉된 튜브에 423D(100.0 mg, 0.55 mmol, 1.0 eq), 2-플루오로-5-요오도피리딘(147 mg, 0.66 mmol, 1.2 eq), CuI(21.0 mg, 0.10 mmol, 0.2 eq), N, N'-디메틸-1,2-시클로헥산디아민(15.5 mg, 0.10 mmol, 0.2 eq) 및 K2CO3(151.0 mg, 1.10 mmol, 2.0 eq)를 첨가하였다. 디옥산(3 m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N2로 퍼징하고 11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물로 세척하고 분리하였다. 수성상을 디클로로메탄으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423(42 mg, 수율 27.6%)을 얻었다. LCMS: m/z 278.08 [M+H] +
반응식 65
메틸 6'-플루오로-2-옥소-2H-[1,3'-비피리딘]-5-카르복실레이트 (424A)
EtOH(10 mL) 중 6-플루오로피리딘-3-아민(1.1 g, 10 mmol, 1.0 eq) 및 메틸 2-옥소-2H-피란-5-카르복실레이트(1.5 g, 10 mmol, 1.0 eq)의 혼합물을 밤새 환류 교반한 다음, 실온까지 냉각시켰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석유 에테르: EtOAc = 2:1로 용리하는 실리카겔 상의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424A(440 mg, 18%)를 미백색의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메틸 6'-(((1S,3S)-3-((5-(메틸티오) 피리미딘-2-일) 아미노) 시클로펜틸) 아미노)-2-옥소-2H-[1,3'-비피리딘]-5-카르복실레이트 (424B)
출발 물질 131C 및 424A로부터 전술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424B를 얻었다.
일반적인 절차 9
6'-(((1S, 3S)-3-((5-(메틸티오) 피리미딘-2-일) 아미노) 시클로펜틸) 아미노)-2-옥소-2H-[1, 3’-비피리딘]-5-카르복시산 (실시예 424)
MeOH:H2O = 5:1(10 mL) 중 화합물 424B(100 mg, 0.22 mmol, 1.0 eq)의 용액에 NaOH(35 mg, 0.88 mmol, 4.0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5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pH=5~6까지 산성화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THF(50 mL)에 재용해시켰다. 고체를 여과하고 여액을 농축시키고, EA:MeOH=5:1로 트리튜레이션시켜 실시예 424(90 mg, 93%)를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8.35(s, 2H), 8.25s, 1H), 8.10 1H), 7.87 (d, J = 9.2 Hz, 1H), 7.56 (s, 1H), 6.87 (s, 1H), 6.51 (d, J= 9.2 Hz, 1H), 4.36-4.33 (m, 2H), 2.35 (s, 3H), 2.22-2.10 (m, 2H), 2.01-1.93 (m, 2H), 1.57-1.55 (m, 2H).
위의 절차를 이용하여 다음 실시예를 합성하였다:
반응식 66
2-클로로-5-((트리메틸실릴)에티닐) 피리딘 (431A)
트리에틸아민(35 mL) 중 2-클로로-5-요오도피리딘(5 g, 20.88 mmol, 1.0 eq)의 탈기 용액에 에티닐트리메틸실란(3.2 mL, 22.97 mmol, 1.1 eq), CuI(397.7 mg, 2.09 mmol, 0.1 eq) 및 Pd(PPh3)2Cl2 (1.5 g, 2.09 mmol, 0.1 eq)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질소 하에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150 mL)을 첨가하고 시스템을 Et2O(100 mL x 2)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한 다음,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생성된 조 431A(6.2 g, 검은색 고체)를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MS (ESI+) m/z 209.9 (M+H) +
2-클로로-5-에티닐피리딘 (431B)
메탄올(50 mL) 중 431A(조물질, 20.88 mmol, 1.0 eq) 및 K2CO3(2.9 g, 20.88 mmol, 1.0 eq)의 용액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하에 용매를 제거한 후, DCM(150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플래시 컬럼(석유 에테르: EtOAc = 10:1)으로 정제하여 화합물 432B를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0 g, 2단계에서 34.8% 수율). MS (ESI+) m/z 138.1 (M+H)+; 1H NMR (400MHz, DMSO-d 6 ) : 8.55 (d, J = 2.1 Hz, 1H), 7.98 (dd, J = 8.4, 2.4 Hz, 1H), 7.57 (d, J = 8.3 Hz, 1H), 4.56 (s, 1H).
2-클로로-5-(1-((트리메틸실릴)메틸)-1H-1,2,3-트리아졸-4-일) 피리딘 (431C)
THF(10 mL) 중 431B(345 mg, 2.54 mmol, 1.0 eq ), (아지도메틸)트리메틸실란(327 mg, 2.54 mmol,1.0 eq ), CuI(48 mg, 0.25 mmol, 0.1eq ), NEt3(513 mg, 5.08 mmol, 2.0 eq)의 용액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켜 431C(673 mg)를 수득하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2-클로로-5-(1-메틸-1H-1,2,3-트리아졸-4-일) 피리딘 (431)
THF(10 mL) 중 431C의 용액에 TBAF(0.80 g, 3.0 mmol, 1.2 eq)를 첨가하고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조 생성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A=1:1)로 정제하여 431(150 mg)을 수득하였다.
반응식 67
2-클로로-5-(요오도에티닐) 피리딘 (432A)
LDA(4.4 mL, 8.73 mmol, 1.2 eq)를 질소 하에 -78℃에서 THF(15 mL) 중 431B(1.0 g, 7.27 mmol, 1.0 eq)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78℃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THF(10 mL) 중 요오드(2.0 g, 8.00 mmol, 1.1 eq)의 용액을 적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까지 서서히 가온시키고, 추가로 5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포화 염화암모늄 용액(25 mL)을 첨가하여 ??칭시켰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수성층을 EtOAc(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Na2S2O3(25 mLx2) 및 염수(3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플래시 컬럼(석유 에테르: EtOAc: 20:1)으로 정제하여 432A를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56 g, 82.1% 수율). MS (ESI+) m/z 263.9 (M+H)+; 1H NMR (400MHz, DMSO-d 6 ) : 8.51 (d, J = 2.0 Hz, 1H), 7.94 (dd, J = 8.3, 2.4 Hz, 1H), 7.55 (d, J = 8.3 Hz, 1H).
2-클로로-5-(5-요오도-1-((트리메틸실릴)메틸)-1H-1,2,3-트리아졸-4-일) 피리딘 (432B)
CuI(108.4 mg, 5.69 mmol, 1.0 eq) 및 Et3N(1.6 mL, 11.39 mmol, 2.0 eq)을 질소 하에 실온에서 1시간 동안 THF(60 mL) 중에서 교반하였다. THF(20 mL) 중 432A(1.5 g, 5.69 mmol, 1.0 eq) 및 (아지도메틸)트리메틸실란(735.8 mg, 5.69 mmol, 1.0 eq)의 용액을 상기 촉매 용액에 단일 부분으로 첨가하였다. 그 다음,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10%의 염화암모늄 용액(15 mL)을 첨가하여 반응을 ??칭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물(30 mL) 및 EtOAc(8 mL)로 세척하여 432B를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고(1.6 g, 72.7% 수율), 이를 다음 단계에 직접 사용하였다. 1H NMR (400MHz, DMSO-d 6 ) 8.74 (d, J = 2.3 Hz, 1H), 8.14 (dd, J = 8.3, 2.5 Hz, 1H), 7.51 (d, J = 8.4 Hz, 1H), 3.80 (s, 2H), 0.00 (s, 9H). MS (ESI+) m/z 393.0 (M+H)+
2-클로로-5-(5-요오도-1-메틸-1H-1,2,3-트리아졸-4-일) 피리딘 (432C)
THF(70 mL) 중 432B(1.6 g, 4.07 mmol, 1.0 eq)의 용액에 물(0.15 mL, 8.15 mmol, 2.0 eq)을 첨가한 다음, TBAF(4.9 mL, 4.89 mmol, 1.2 eq)를 0℃에서 적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5분 동안 교반하고 물(100 mL)에 붓고, 이를 DCM(300 mL)으로 추출하였다. 분리된 유기층을 염수(80 mL)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시 컬럼(석유 에테르: EtOAc: DCM: 2:1:1)으로 정제하여 432B를 황색 고체로서 얻었다(810 mg, 62.3% 수율). MS (ESI+) m/z 320.9 (M+H)+; 1H NMR (400MHz, DMSO-d 6 ) : 8.91 (d, J = 2.1 Hz, 1H), 8.32 (dd, J = 8.4, 2.5 Hz, 1H), 7.70 (d, J = 8.4 Hz, 1H), 4.13 (s, 3H).
2-클로로-5-(5-플루오로-1-메틸-1H-1,2,3-트리아졸-4-일) 피리딘 (432)
아세토니트릴/물(14 mL, 1:1) 중 406B(800 mg, 2.50 mmol, 1.0 eq) 및 KF(1.5 g, 25.00 mmol, 10.0 eq)의 현탁액을 극초단파 반응기에서 160℃에서 20분 동안 반응시켰다. 감압 하에 증발시킨 후, 잔류물을 DCM(300 mL)으로 용해시키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농축시키고, 플래시 컬럼(석유 에테르: EtOAc: DCM: 2:1:1)으로 정제하여 실시예 432를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20 mg, 41.4% 수율). MS (ESI+) m/z 213.0 (M+H) +; 1H NMR (400 MHz, DMSO-d 6 ) d 8.77 (d, J = 2.4 Hz, 1H), 8.17 (dd, J = 8.3, 2.4 Hz, 1H), 7.67 (d, J = 8.3 Hz, 1H), 4.01 (s, 3H).
반응식 68
4-니트로페닐 (6-브로모피리딘-3-일) 카바메이트 (433A)
아세토니트릴(20 mL) 중 6-브로모피리딘-3-아민(600 mg, 3.47 mmol, 1.0 eq)의 용액에 4-니트로페닐 카르보노클로리데이트(768.9 mg, 3.81 mmol, 4 mL의 아세토니트릴 중, 1.1 eq)를 적가하고, 시스템 온도를 40℃ 미만으로 유지시켰다. 첨가 후,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계속 교반하였고, 황색 침전물이 관찰되었다. 침전물을 여과하고, 아세토니트릴(2 mL)로 세척하여 433A를 황색 고체(1.1 g, 약 50%의 순도)로 얻었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일반적인 절차 10
3-(6-브로모피리딘-3-일)-1-메틸이미다졸리딘-2,4-디온 (실시예 433)
아세토니트릴(15 mL) 중 메틸 2-(메틸아미노)아세테이트 염산염(454.1 mg, 3.25 mmol, 1.0 eq) 및 DIPEA(1.7 mL, 9.76 mmol, 3.0 eq)의 용액을 실온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433A(1.1 g, 3.25 mmol, 1.0 eq)를 첨가하고, 생성된 시스템을 실온에서 10분 동안 계속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플래시 컬럼(석유 에테르: EtOAc: 1:1)으로 정제하여 화합물 실시예 433을 황색 오일(510 mg, 2단계에 의해 54.6%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MS (ESI+) m/z 270.1 (M+H) +; 1H NMR (400MHz, DMSO-d 6 ) d 8.48 - 8.52 (m, 1H), 7.82 - 7.89 (m, 2H), 4.19 (s, 2H), 3.00 (s, 3H).
반응식 69
메틸 (2-메톡시에틸) 글리시네이트 (434A)
THF(40 mL) 중 2-메톡시에탄-1-아민(2.9 mL, 33.36 mmol, 1.0 eq)의 용액에 Et3N(9.3 mL, 66.90 mmol, 2.0 eq)을 적가한 다음, 메틸 2-브로모아세테이트(2.8 mL, 29.58 mmol, 0.9 eq)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9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EA로 희석한 다음,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DCM: MeOH = 20:1)로 정제하여 434A(830 mg)를 무색 액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3.62 (s, 3H), 3.38-3.34 (m, 4H), 3.23 (s, 3H), 2.65 (t, J = 5.6 Hz, 2H).
3-(6-브로모피리딘-3-일)-1-(2-메톡시에틸) 이미다졸리딘-2, 4-디온 (실시예 434)
출발 물질 434A 및 433A로부터 상기 기술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실시예 434를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8.59 (d, J = 2.6 Hz, 1H), 7.74 (dd, J = 8.5, 2.7 Hz, 1H), 7.58 (d, J = 8.5 Hz, 1H), 4.22 (s, 2H), 3.70 - 3.64 (m, 2H), 3.64 - 3.60 (m, 2H), 3.39 (s, 3H). ESI (M+H) + = 314.3.
반응식 70
1-(4-요오도페닐) 피리딘-2(1H)-온 (435)
DMSO(10 mL) 중 1,4-디요오도벤젠(1.0 g, 3.0 mmol, 1.0 eq), 피리딘-2(1H)-온(288 mg, 3 mmol, 1.0 eq), CuI(58 mg, 0.3 mmol, 0.1 eq) 및 K2CO3(828 mg, 6 mmol, 2.0 eq)의 용액을 N2하에 13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30 mL)로 희석하였다. 유기 혼합물을 물 및 염수로 차례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PE:EA = 10:1 내지 EA)로 정제하여 200 mg의 실시예 435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ESI (M+H)+ = 298.09
반응식 71
메틸 3-(2-클로로피리딘-4-일)-2,2-디메틸프로파노에이트 (436A)
THF(25 mL) 중 메틸 이소부티레이트(3.3 g, 32.0 mmol, 2.08 eq)의 용액을 -78℃에서 N2 분위기 하에 15분에 걸쳐 THF(50 mL) 중 LDA(17 mL, 34.0 mmol, 2.2 eq)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78℃에서 45분 동안 교반한 다음, THF(6 mL) 중 2-클로로-4-(클로로메틸)피리딘(2.5 g, 15.4 mmol, 1.0 eq)의 용액으로 5분에 걸쳐 처리하였다. 냉각조를 제거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1.0 N의 수성 염산을 상기 용액(50 mL)에 적가하여 반응을 ??칭시켰다. 유기상을 분리하고, 수성상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물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436A(3.2 g)를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LCMS: m/z 228.0. 1H NMR (400 MHz, CDCl3) δ 8.33 - 8.21 (m, 1H), 7.16 - 7.07 (m, 1H), 6.98 (dd, J = 5.1, 1.5 Hz, 1H), 3.68 (s, 3H), 2.84 (s, 2H), 1.21 (s, 6H).
메틸 2,2-디메틸-3-(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4-일) 프로파노에이트(436B)
아세트산(5.3 mL) 중 436A(1.2 g, 5.3 mmol, 1.0 eq), 아세트산나트륨(868 mg, 10.6 mmol, 2.0 eq)의 용액을 극초단파 반응기에서 16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물에 부었다. 수성상을 DCM 중 15%의 이소프로판올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포화 수성 NaHCO3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조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DCM: MeOH = 20:1)로 정제하여 436B(330 mg)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ESI [M+H] + =210.24.
일반적인 절차 11
메틸 3-(6'-클로로-2-옥소-2H-[1,3'-비피리딘]-4-일)-2,2-디메틸프로파노에이트(436C)
디옥산(8 mL) 중 436B(330 mg, 1.58 mmol, 1.0 eq), 2-클로로-5-요오도피리딘(567 mg, 2.37 mmol, 1.5 eq), N1,N2-디메틸시클로헥산-1,2-디아민(44.8 mg, 0.316 mmol, 0.2 eq), CuI(60 mg, 0.316 mmol, 0.2 eq) 및 K3CO3(436 mg, 3.16 mmol, 2.0 eq)의 현탁액을 N2 하에 밤새 11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PE: EtOAc = 3:1 내지 PE: EtOAc = 1:1)로 정제하여 436C(350 mg)를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ESI [M+H] + =321.77.
반응식 72
(E)-4-((디메틸아미노) 메틸렌) 이소크로만-1, 3-디온 (437A)
0℃에서 DMF(100 mL) 중 2-(카르복시메틸)벤조산(10 g, 50 mmol, 1.0 eq)의 용액에 포스포릴 클로라이드(10 mL, 107 mmol, 2.1 eq)를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추가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얼음물에 부었다.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물로 세척하여 437A를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0 g).
메틸 1-옥소-1H-이소크로멘-4-카르복실레이트 (437B)
건조 염화수소 기체를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메탄올(180 mL) 중 437A(6.2 g, 0.03 mmol, 1.0 eq)의 교반 용액에 통과시켰다. 용액을 환류 하에 2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물로 희석한 다음, DCM(20 mLx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20 mL)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조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A=3:1)로 정제하여 437B(1.9 g)를 수득하였다.
메틸 2-(6-클로로피리딘-3-일)-1-옥소-1,2-디하이드로이소퀴놀린-4-카르복실레이트 (실시예 437)
AcOH(15 mL) 중 437B(0.83 g, 0.41 mmol, 1.0 eq) 및 6-클로로피리딘-3-아민(0.53 g, 0.41 mmol, 1.0 eq)의 용액을 120℃까지 가열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시스템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A=10:1)로 정제하여 실시예 437(400 mg)을 수득하였다.
반응식 73
일반적인 절차 12
2-(6-클로로피리딘-3-일) 피리다진-3(2H)-온 (438)
DMSO(25 mL) 중 2-클로로-5-요오도피리딘(5.95 g, 25 mmol, 1.0 eq), 피리다진-3(2H)-온(2.52 g, 26.3 mmol, 1.05 eq), CuI(475 mg, 2.5 mmol, 0.1 eq), 트랜스-N,N'-디메틸-1,2-시클로헥산디아민(534 mg, 3.76 mmol, 0.15 eq) 및 K2CO3(6.9 g, 50 mmol, 2.0 eq)의 혼합물을 N2 분위기 하에서 밤새 120℃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물로 희석한 다음, EA(200 mL x 2)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PE:EA= 5:1~1:1로 용리하는 실리카겔 상의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438(3.6 g, 69%)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반응식 74
메틸 2-(6-클로로피리딘-3-일)-3-시아노프로파노에이트 (439A)
THF(30 mL) 중 메틸 2-(6-클로로피리딘-3-일) 아세테이트(3.0 g, 16.2 mmol, 1.0 eq)의 차가운(-78℃) 용액에 LiHMDS(24.24 mL, 24.24 mmol, 1.5 eq)를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8℃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2-브로모아세토니트릴(1.7 mL, 24.24 mmol, 1.5 eq)을 -78℃에서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8℃에서 추가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물로 ??칭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EA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PE:EA = 2:1)로 정제하여 439A(1.46 g)를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ESI (M+H) + = 225.3
3-(6-클로로피리딘-3-일) 피롤리딘-2-온 (439B)
THF/물(6 mL/3 mL) 중 439A(700 mg, 3.1 mmol, 1.0 eq) 및 CoCl2(370 mg, 1.56 mmol, 0.5 eq)의 차가운(0℃) 용액에 NaBH4(590 mg, 15.6 mmol, 5.0 eq)를 N2 하에 0℃에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온도가 실온까지 가온되도록 하였다. 이어서, 반응을 포화 NH4Cl로 ??칭시키고,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액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PE: EA = 1:1)로 정제하여 439B(360 mg)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8.32 (d, J = 2.5 Hz, 1H), 7.64 (dd, J = 8.3, 2.5 Hz, 1H), 7.33 (d, J = 8.3 Hz, 1H), 3.65 (t, J = 9.4 Hz, 1H), 3.54 - 3.50 (m, 2H), 2.66 (ddd, J = 13.5, 9.4, 4.9 Hz, 1H), 2.32 - 2.15 (m, 1H). ESI (M+H)+ = 197.2.
3-(6-클로로피리딘-3-일)-1-메틸피롤리딘-2-온 (실시예 439)
THF(10 mL) 중 439B(210 mg, 1.1 mmol, 1.0 eq)의 차가운(0℃) 용액에 60%의 NaH(64 mg, 1.6 mmol, 1.5 eq)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5분 동안 교반한 후, THF(0.5 mL) 중 요오도메탄(0.053 mL, 0.8 mmol, 0.8 eq)을 적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0℃에서 추가로 2시간 동안 계속 교반하고 포화 NH4Cl로 ??칭시켰다. 시스템을 분배시키고 분리한 다음, 수성상을 EA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PE:EA = 1:4)로 정제하여 실시예 439(80 mg)를 갈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ESI (M+H) + = 211.2
위의 절차를 이용하여 다음 실시예를 합성하였다:
반응식 75
1-(2- (((1S,3S)-3-((5-(메틸티오) 피리미딘-2-일) 아미노) 시클로펜틸) 아미노) 피리미딘-5-일) 피리딘-2(1H)-온 (실시예 459)
출발 물질 2-클로로-5-요오도피리미딘으로부터 일반적인 방법 5 및 일반적인 방법 1에 기술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8.41-8.40 (d, J = 2.4 Hz, 2H), 8.34 (s, 2H), 7.63-7.59(m, 2H), 6.63-6.61 (d, J = 8.8 Hz, 1H), 6.49-6.46 (m, 1H), 4.49-4.41 (m, 2H), 2.40-2.39 (d, J = 1.2 Hz, 3H), 2.31-2.25 (m, 2H), 2.08-2.05 (t, J = 13.6 Hz, 2H), 1.69-1.64 (m, 2H).
위의 절차를 이용하여 다음 실시예를 합성하였다:
반응식 76
(E)-3-(2-(메톡시카르보닐) 페닐) 아크릴산 (461A)
메틸 2-포르밀벤조에이트(2.5 g, 15.23 mmol, 1.0 eq), 말론산(1.8 g, 17.67 mmol, 및 1.16 eq), 모르폴린(0.15 mL) 및 피리딘(4 mL)의 혼합물을 10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생성된 용액을 쇄빙(50 g) 및 35%의 수성 HCl(25 mL)의 혼합물에 부었다. 침전물을 여과하고, 물(25 mLx2)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백색 고체를 메탄올로부터 재결정화하여 461A(2.0 g, 63.7% 수율)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MHz, CDCl3) 8.58 (d, J = 15.9 Hz, 1H), 7.99 (dd, J = 7.8, 1.1 Hz, 1H), 7.61 - 7.68 (m, 1H), 7.53 - 7.60 (m, 1H), 7.41 - 7.51 (m, 1H), 6.33 (d, J = 15.9 Hz, 1H), 3.95 (s, 3H).
(E)-메틸 2-(3-아지도-3-옥소프로프-1-엔-1-일) 벤조에이트 (461B)
톨루엔(15 mL) 중 461A(1.2 g, 5.82 mmol, 1.0 eq) 및 Et3N(1.6 mL 11.64 mmol, 2.0 eq)의 용액에 DPPA(1.2 mL, 5.53 mmol, 0.95 eq)를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계속 교반하였다. 용액을 농축시키고 플래시 컬럼(석유 에테르: EtOAc = 10:1)으로 정제하여 461B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0 g, 74.6% 수율): 1H NMR (400 MHz, CDCl3) δ 8.56 (d, J = 15.8 Hz, 1H), 8.00 (dd, J = 7.8, 0.9 Hz, 1H), 7.53 - 7.67 (m, 2H), 7.42 - 7.53 (m, 1H), 6.31 (d, J = 15.8 Hz, 1H), 3.95 (s, 3H).
메틸 1-옥소-1, 2-디하이드로이소퀴놀린-5-카르복실레이트 (461)
디페닐메탄(3 mL) 중 461B(500 mg, 2.16 mmol, 1.0 eq)의 용액을 질소 하에 8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혼합물을 240℃에서 3시간 동안 계속 교반하였다.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혼합물을 플래시 컬럼(석유 에테르: EtOAc: 2:1)으로 정제하여 조 생성물을 수득하고, 분취용 HPLC에 의해 추가로 정제하여 실시예 461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30 mg, 6.8% 수율): MS (ESI+) m/z 204.0 (M+H)+; 1H NMR (400MHz, DMSO-d 6 ) δ 11.51 (br. s., 1H), 8.46 (d, J = 7.9 Hz, 1H), 8.27 (d, J = 6.9 Hz, 1H), 7.57 (t, J = 7.8 Hz, 1H), 7.24 - 7.46 (m, 2H), 3.90 (s, 3H).
반응식 77
2-메톡시-5-(1-메틸-1H-피라졸-4-일) 피리딘 (462A)
디옥산/물(40 mL/10 mL) 중 (6-메톡시피리딘-3-일)보론산(820 mg, 5.4 mmol, 1.0 eq), 4-브로모-1-메틸-1H-피라졸(1.04 g, 6.4 mmol, 1.2 eq), Pd(dppf)Cl2(392.3 mg, 0.54 mmol, 0.1 eq) 및 Cs2CO3(3.5 g, 10.8 mmol, 2.0 eq)의 현탁액을 N2 하에 16시간 동안 11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물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상을 분리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DCM: MeOH = 20:1)로 정제하여 462A(662.4 mg)를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ESI (M+H)+ = 190.1.
5-(1-메틸-1H-피라졸-4-일) 피리딘-2(1H)-온 (실시예 462)
EtOH(0.5 mL) 중 462A(200 mg, 1.1 mmol)의 용액에 HBr 용액(H2O 중 40%, 2.5 m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0℃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수성 NH3를 적가하여 염기화시켰다.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키고 조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DCM: MeOH: NH4OH) = 10:1:0.1)로 정제하여 실시예 462(120 mg)를 회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7.94 (dd, J = 9.4, 2.6 Hz, 1H), 7.77 (d, J = 2.3 Hz, 1H), 7.65 (s, 1H), 7.38 (d, J = 1.1 Hz, 1H), 6.57 (dd, J = 21.7, 9.3 Hz, 1H), 3.76 (s, 3H). ESI (M+H)+ = 176.1.
반응식 78.
일반적인 방법 13
(
1S, 3S
)-N
1
-(5-요오도피리딘-2-일)-N
3
-(5-(메틸티오) 피리미딘-2-일) 시클로펜탄-1, 3-디아민 (463A)
DMSO(5 mL) 중 131C(150 mg, 0.669 mmol, 1.0 eq), 2-플루오로-5-요오도피리딘(178.9 mg, 0.802 mmol, 1.2 eq) 및 K2CO3(277.2 mg, 2.006 mmol, 3.0 eq)의 현탁액을 140℃에서 N2 하에 16.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PE:EA = 1:1)로 정제하여 463A(125.5 mg)를 수득하였다. ESI (M+H) + = 428.1.
일반적인 방법 14
3-메틸-1-(6-(((
1S, 3S
)-3-((5-(메틸티오) 피리미딘-2-일) 아미노) 시클로펜틸) 아미노) 피리딘-3-일) 이미다졸리딘-2, 4-디온 (463)
i-PrOH (3 mL) 중 463A(65.5 mg, 0.153 mmol, 1.0 eq), 3-메틸이미다졸리딘-2,4-디온(35.0 mg, 0.307 mmol, 2.0 eq), N1, N2-디메틸시클로헥산-1, 2-디아민(10.9 mg, 0.077 mmol, 0.5 eq), CuI(14.6 mg, 0.077 mmol, 0.5 eq) 및 K3PO4(97.6 mg, 0.460 mmol, 3.0 eq)의 현탁액을 N2로 퍼징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극초단파 조사 하에 11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DCM: MeOH = 20:1)로 정제하여 실시예 463(20 mg)을 백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TFA-d 4 ) δ 8.8 (brs, 2H), 8.40 (d, J = 2.4 Hz, 1H), 8.25 (dd, J = 9.8, 2.3 Hz, 1H), 7.23 (d, J = 9.8 Hz, 1H), 4.83-4.78 (m, 1H), 4.68 (s, 2H), 4.56-4.39 (m, 1H), 3.28 (s, 3H), 2.62 - 2.49 (m, 2H), 2.54(s, 3H), 2.45 - 2.30 (m, 2H), 1.96-1.88 (m, 2H). ESI (M+H) + = 414.3.
위의 절차를 이용하여 다음 실시예를 합성하였다:
반응식 79
(
1S, 3S
)-N
1
-(5-(2-클로로페닐) 피리딘-2-일)-N
3
-(5-(메틸티오) 피리미딘-2-일) 시클로펜탄-1, 3-디아민 (실시예 467)
출발 물질 463A 및 (2-클로로페닐)보론산으로부터 일반적인 방법 4에 기술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10.20 (s, 1H), 8.53(brs, 1H), 8.45 (s, 2H), 7.95 (dd, J = 9.2, 1.4 Hz, 1H), 7.83 (s, 1H), 7.56 - 7.47 (m, 1H), 7.36 (dd, J = 5.9, 3.4 Hz, 2H), 7.25-7.27(m, 1H), 7.13 (d, J = 9.3 Hz, 1H), 4.59 (brs, 1H), 4.24 (brs, 1H), 2.52 - 2.29 (m, 5H), 2.20 (ddt, J = 20.7, 13.8, 7.0 Hz, 2H), 1.99 - 1.86 (m, 1H), 1.74 (dt, J = 13.0, 6.6 Hz, 1H). ESI (M+H) + = 412.3.
반응식 80
(1
S
, 3
S
)-N
1
-(5-시클로프로필피리미딘-2-일)-N
3
-(5-요오도피리딘-2-일) 시클로펜탄-1, 3-디아민 (468A)
출발 물질 425C(44.5 g, 208.7 mmol, 1.0 eq)로부터 전술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425D(24.7 g)를 담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H] + =422.
2-(6-(((1
S
, 3
S
)-3-((5-시클로프로필피리미딘-2-일) 아미노) 시클로펜틸) 아미노) 피리딘-3-일) 피리다진-3(2H)-온 (실시예 468)
DMSO(150mL) 중 468A(18.7 g, 44.4 mmol, 1.0 eq), 피리다진-3(2H)-온(8.53 g, 88.8 mmol, 2.0 eq), (1S, 2S)-N 1,N 2-디메틸시클로헥산-1,2-디아민(1.26 g, 8.88 mmol, 0.2 eq) 및 CuI(0.85 g, 4.44 mmol, 0.1 eq)의 용액에 K2CO3(18.5 g, 133.2 mmol, 3.0 eq)을 첨가하고, 생성된 시스템을 N2 하에서 12시간 동안 135℃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물(1 L)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150 mL x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상을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 MeOH = 100:1 내지 50:1로 용리)로 정제하여 실시예 468(25.3 g)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8.15 (d, J = 2.5 Hz, 1H), 8.07 (s, 2H), 8.02 (dd, J = 3.9, 1.6 Hz, 2H), 7.60 (dd, J = 9.0, 2.6 Hz, 1H), 7.46 (dd, J = 9.4, 3.9 Hz, 1H), 7.06 (dd, J = 9.5, 1.6 Hz, 1H), 6.59 (d, J = 9.0 Hz, 1H), 4.42 - 4.27 (m, 2H), 2.34 - 2.18 (m, 2H), 1.99 (t, J = 6.8 Hz, 2H), 1.81 - 1.70 (m, 1H), 1.65 - 1.53 (m, 2H), 0.95 - 0.85 (m, 2H), 0.66 - 0.54 (m, 2H). LCMS [M+H]+ = 390.
위의 절차를 이용하여 다음 실시예를 합성하였다:
반응식 74
2-옥소-1,2-디하이드로퀴놀린-5-카르복시산 (478A)
AcOH(5 mL) 및 H2O(2 mL) 중 2-클로로퀴놀린-5-카르복실산(300 mg, 1.45 mmol, 1.0 eq)의 현탁액을 13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0℃까지 냉각시키고 0.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고체를 진공에서 건조시켜 478A(250 mg)를 얻었다.
1-(6-(((1
S
, 3
S
)-3-((5-시클로프로필피리미딘-2-일) 아미노) 시클로펜틸) 아미노) 피리딘-3-일)-2-옥소-1, 2-디하이드로퀴놀린-5-카르복시산 (실시예 478)
DMSO(3mL) 중 478A(18 mg, 0.1 mmol, 1.0 eq), (1S,3S)-N1-(5-시클로프로필피리미딘-2-일)-N3-(5-요오도피리딘-2-일) 시클로펜탄-1,3-디아민(40 mg, 0.1 mmol, 1.0 eq), 퀴놀린-8-올(3 mg, 0.02 mmol, 0.2 eq), CuI(4 mg, 0.02 mmol, 0.2 eq), K2CO3(20 mg, 0.15 mmol, 1.5 eq)의 현탁액을 N2로 퍼징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극초단파 조사 하에 12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액을 에틸 아세테이트(5 mL)와 물(10 mL) 사이에 분배하였다. 분리 후, 수성상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 잔류물을 분취용 HPLC로 정제하여 실시예 478(4.7 mg)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3OD) δ 9.11 (d, J = 10.1 Hz, 1H), 8.25 (s, 2H), 8.05 (s, 1H), 7.95 (d, J = 7.5 Hz, 1H), 7.79 (d, J = 9.4 Hz, 1H), 7.67 - 7.50 (m, 1H), 7.27-7.15 (m, 2H), 6.84 (d, J = 10.1 Hz, 1H), 4.58-4.45 (m, 1H), 4.38-4.28 (m, 1H), 2.53 - 2.28 (m, 2H), 2.27 - 2.06 (m, 2H), 1.91-1.68(m, 3H), 1.03-0.92(m, 2H), 0.73-0.63 (d, J = 4.5 Hz, 2H). ESI (M+H)+ = 483.
위의 절차를 이용하여 다음 실시예를 합성하였다:
반응식 75
일반적인 방법 15
6'-(((
1S, 3S
)-3-((5-(메틸티오) 피리미딘-2-일) 아미노) 시클로펜틸) 아미노)-4-(2H-테트라졸-5-일)-2H-[1, 3’-비피리딘]-2-온 (실시예 481)
DMF(2 mL) 중 451(35 mg, 0.083 mmol, 1.0 eq), NH4Cl(44 mg, 0.83 mmol, 10.0 eq) 및 NaN3(54 mg, 0.83 mmol, 10.0 eq)의 혼합물을 10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분취용 HPLC로 정제하여 실시예 481(13 mg, 33.7%)을 황색 고체로서 얻었다. 1H NMR (400 MHz, CD3OD) δ ppm: 8.37 (s, 2H), 8.15 (d, J = 2.0Hz, 1H), 7.98(dd, J = 2.1 Hz, 9.6 Hz, 1H), 7.83 (dd, J = 0.4 Hz, 7.2 Hz,1H), 7.34 (d, J = 1.2 Hz, 1H), 7.10-7.15 (m, 2H), 4.46-4.50 (m, 1H), 4.27-4.31 (m, 1H), 2.43-2.43 (m, 5H), 2.11-2.18 (m, 2H), 1.71-1.80 (m, 2H). LCMS [M+H]+= 463.4.
위의 절차를 이용하여 다음 실시예를 합성하였다:
반응식 76
메틸 1-메틸-6-옥소-1, 6-디하이드로피리딘-3-카르복실레이트 (484A)
EtOH(10 mL) 중 메틸 2-옥소-2H-피란-5-카르복실레이트(3 g, 19.465 mmol, 1.0 eq) 및 메틸아민(EtOH 중 33%, 1.904 g, 20.439 mmol, 1.05 eq)의 용액을 밀봉된 튜브에서 18시간 동안 6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PE:EA = 1:2)로 정제하여 484A(393.6 mg)를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ESI (M+H)+ = 168.1
메틸 5-브로모-1-메틸-6-옥소-1, 6-디하이드로피리딘-3-카르복실레이트 (484B)
AcOH(16 mL) 중 484A(393.6 mg, 2.355 mmol, 1 eq) 및 NBS(628.6 mg, 3.532 mmol, 1.5 eq)의 용액을 8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PE: EA = 1:1)로 정제하여 484B(377.3 mg)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8.26 (d, J = 2.3 Hz, 1H), 8.18 (d, J = 2.3 Hz, 1H), 3.90 (s, 3H), 3.68 (s, 3H). ESI (M+H) + = 246.0.
메틸 6'-클로로-1-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3,3’-비피리딘]-5-카르복실레이트 (484C)
출발 물질 484B 및 (6-클로로피리딘-3-일) 보론산으로부터 전술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484C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8.68 (d, J = 2.2 Hz, 1H), 8.27 (d, J = 2.3 Hz, 1H), 8.21 - 8.13 (m, 1H), 8.08 (d, J = 2.4 Hz, 1H), 7.39 (t, J = 11.7 Hz, 1H), 3.91 (s, 3H), 3.69 (s, 3H). ESI (M+H) + = 279.2
메틸 6'-(((1
S
, 3
S
)-3-((tert-부톡시카르보닐) 아미노) 시클로펜틸) 아미노)-1-메틸-2-옥소-1, 2-디하이드로-[3, 3’-비피리딘]-5-카르복실레이트 (484D)
출발 물질 484C 및 tert-부틸 ((1S,3S)-3-아미노시클로펜틸) 카바메이트로부터 전술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484D를 수득하였다: ESI (M+H) = 443.3
메틸 6'-(((1
S
, 3
S
)-3-아미노시클로펜틸) 아미노)-1-메틸-2-옥소-1, 2-디하이드로-[3, 3’-비피리딘]-5-카르복실레이트 (484E)
DCM(1 mL) 중 484D(35 mg)의 용액에 TFA(1 mL)를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MeOH에 용해시킨 다음, 이온 교환 수지(Ambersep® 900 OH- 형태)를 첨가하여 pH 수준을 8까지 조정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484E(27 mg) 8을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메틸 1-메틸-6'-(((1
S
, 3
S
)-3-((5-(메틸티오) 피리미딘-2-일) 아미노) 시클로펜틸) 아미노)-2-옥소-1, 2-디하이드로-[3, 3’-비피리딘]-5-카르복실레이트 (484F)
출발 물질 484E 및 2-클로로-5-(메틸티오)피리미딘으로부터 전술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484F를 수득하였다: ESI (M+H) + = 467.2.
1-메틸-6'-(((1
S
, 3
S
)-3-((5-(메틸티오) 피리미딘-2-일) 아미노) 시클로펜틸) 아미노)-2-옥소-1, 2-디하이드로-[3,3'-비피리딘]-5-카르복시산 (실시예 484)
출발 물질 484F로부터 전술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실시예 484를 얻었다: 1H NMR (400 MHz, CD3OD) δ 8.51 (dd, J = 14.0, 2.1 Hz, 2H), 8.35 (s, 2H), 8.25 (dd, J = 10.7, 2.2 Hz, 2H), 7.10 (d, J = 9.5 Hz, 1H), 4.51 - 4.41 (m, 1H), 4.31 - 4.20 (m, 1H), 3.69 (s, 3H), 2.49 - 2.39 (m, 1H), 2.35 (d, J = 7.6 Hz, 3H), 2.33 - 2.27 (m, 1H), 2.22 - 2.07 (m, 2H), 1.84 - 1.65 (m, 2H). ESI (M+H) + = 453.3.
반응식 77
6'-(((1S,3S)-3-아미노시클로펜틸) 아미노)-2H-[1,3'-비피리딘]-2-온 (485)
출발 물질 6'-클로로-2H-[1,3'-비피리딘]-2-온으로부터 일반적인 방법 2 및 일반적인 절차 6에 기술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485를 수득하였다: m/z 271.0 [M+H]+.
위의 절차를 이용하여 다음 실시예를 합성하였다:
반응식 78
6'-(((1
S
, 3
S
)-3-(티에노 [3, 2-d] 피리미딘-2-일아미노) 시클로펜틸) 아미노)-2H-[1, 3'-비피리딘]-2-온 (487)
DMA(2 mL) 중 485(150 mg, 0.405 mmol, 1.0 eq), DIPEA(260 mg, 2.0 mmol, 5.0 eq) 및 2-클로로티에노[3,2-d]피리미딘(69 mg, 0.405 mmol, 1.0 eq)의 용액을 15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0 mL)로 희석하고, 물(2x10 mL)로 세척하고, 수성상을 에틸 아세테이트(4x2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분취용 HPLC로 정제하여 487(12 mg)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405 [M+H]+. 1H NMR (400 MHz, CDCl3) δ 10.73 (brs, 1H), 10.21 (brs, 1H), 9.03 (brs, 1H), 8.19 (d, J = 5.3 Hz, 1H), 7.92 (dd, J = 9.4, 2.3 Hz, 1H), 7.83 (d, J = 2.3 Hz, 1H), 7.54 - 7.43 (m, 2H), 7.41 (d, J = 5.5 Hz, 1H), 7.26 - 7.21 (m, 1H), 6.69 (dd, J = 9.3, 1.2 Hz, 1H), 6.38 - 6.29 (m, 1H), 4.81 - 4.59 (m, 1H), 4.53 - 4.25 (m, 1H), 2.52 - 2.31 (m, 3H), 2.08 (dt, J = 14.3, 7.8 Hz, 1H), 1.98 - 1.77 (m, 2H).
위의 절차를 이용하여 다음 실시예를 합성하였다:
반응식 79
2-(6-(((1S, 3S)-3-(티에노 [2, 3-d] 피리미딘-2-일아미노) 시클로펜틸) 아미노) 피리딘-3-일) 피리다진-3(2H)-온 (489)
DMSO(5 mL) 중 486(50 mg, 0.18 mmol), 5-클로로티아졸로[4,5-d] 피리미딘(30.5 mg, 0.18 mmol), DIPEA(70 mg, 0.54 mmol)의 용액을 밤새 N2 하에서 10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EA 및 물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 잔류물을 분취용 TLC 및 분취용 HPLC로 정제하여 2.6 mg의 489(2.3 mg)를 얻었다: ESI (M+H)+ = 406.48; 1H NMR (400 MHz, CD3OD) δ 8.76 (s, 1H), 8.39 (d, J = 2.2 Hz, 1H), 8.22 (d, J = 9.7 Hz, 1H), 8.10 (d, J = 3.8, 1.6 Hz, 1H), 7.52 (dd, J = 9.5, 3.9 Hz, 1H), 7.22 (d, J = 6.0 Hz, 2H), 7.16 - 7.06 (m, 2H), 4.67 - 4.48 (m, 1H), 4.36 - 4.23 (m, 1H), 2.52 - 2.31 (m, 2H), 2.30 - 2.12 (m, 2H), 1.86 - 1.69 (m, 2H).
위의 절차를 이용하여 다음 실시예를 합성하였다:
반응식 80
2-클로로-7-메틸티에노 [3, 2-d] 피리미딘 (494A)
EA(8 mL) 및 i-PrOH(1 mL) 중 2,4-디클로로-7-메틸티에노[3,2-d] 피리미딘(500 mg, 2.3 mmol, 1 eq), Pd(OH)2(탄소 상의 20%, 200 mg, 0.14 mmol, 0.55 eq) 및 NaOAc(400 mg, 4.8 mmol, 2.0 eq)의 현탁액을 Parr 장치에서 H2 분위기(50 psi) 하에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 상에서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PE:EA = 4:1)로 정제하여 494A(320 mg)를 백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ESI (M+H)+ = 185.0; 1H NMR (400 MHz, CDCl3) δ 9.09 (s, 1H), 7.73 (q, J = 1.1 Hz, 1H), 2.51 (d, J = 1.2 Hz, 3H).
6'-(((1
S
, 3
S
)-3-((7-메틸티에노 [3, 2-d] 피리미딘-2-일) 아미노) 시클로펜틸) 아미노)-2H-[1, 3'-비피리딘]-2-온 (494)
DMSO(5 mL) 중의 494A(28.45 mg, 0.1541 mmol, 1.0 eq), 485(50 mg, 0.185 mmol, 1.2 eq) 및 K2CO3(63.9 mg, 0.462 mmol, 3.0 eq)의 현탁액을 N2 하에서 16시간 동안 14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DCM 및 물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DCM: MeOH = 20:1)로 정제하여 494(10.4 mg)를 백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7.92 (d, J = 2.6 Hz, 1H), 7.60 (dd, J = 6.8, 1.8 Hz, 1H), 7.47 (ddd, J = 9.0, 6.6, 2.1 Hz, 1H), 7.39 (dd, J = 8.9, 2.7 Hz, 1H), 7.21 (d, J = 7.2 Hz, 1H), 6.92 (d, J = 7.0 Hz, 1H), 6.53 (d, J = 9.1 Hz, 1H), 6.44 (d, J = 8.9 Hz, 1H), 6.27 (td, J = 6.7, 1.3 Hz, 1H), 4.52 - 4.39 (m, 1H), 4.38 - 4.26 (m, 1H), 2.27 (d, J = 0.9 Hz, 3H), 2.16 (dd, J = 9.8, 5.4 Hz, 2H), 2.03 - 1.86 (m, 3H), 1.63 - 1.47 (m, 1H). ESI (M+H)+ = 419.3
위의 절차를 이용하여 다음 실시예를 합성하였다:
반응식 81
1-(2-클로로피리미딘-5-일) 에탄-1-올 (496)
MeOH(15 mL) 중 1-(2-클로로피리미딘-5-일) 에탄-1-온(500 mg, 3.2 mmol, 1.0 eq)의 용액에 NaBH4(240 mg, 6.4 mmol, 2.0 eq)를 0℃에서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물(5 mL)을 상기 혼합물에 첨가하여 반응을 ??칭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조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 아세테이트 = 5:1 내지 에틸 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496을 담색의 고체(100 mg)로서 얻었다. ESI [M+H]+ = 159.1.
반응식 82
2-(6-(((1S,3S)-3-((5-(메틸티오) 피리딘-2-일) 아미노) 시클로펜틸) 아미노) 피리딘-3-일) 피리다진-3(2H)-온 (497)
출발 물질 416 및 486에서 일반적인 방법 2에 기술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497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8.28 (d, J = 2.3 Hz, 1H), 8.04 (dd, J = 9.6, 2.3 Hz, 1H), 7.97 (dd, J = 3.8, 1.5 Hz, 1H), 7.82 (dd, J = 9.4, 2.2 Hz, 1H), 7.63 (d, J = 2.0 Hz, 1H), 7.40 (dd, J = 9.5, 3.9 Hz, 1H), 7.00 (ddd, J = 9.6, 6.5, 5.0 Hz, 3H), 4.37 - 4.20 (m, 2H), 2.39 (s, 3H), 2.37 - 2.29 (m, 2H), 2.17 (t, J = 6.4 Hz, 2H), 1.80 - 1.67 (m, 2H). ESI (M+H)+ = 395.3
위의 절차를 이용하여 다음 실시예를 합성하였다:
반응식 83
일반적인 절차 16
6'-(((1S, 3S)-3-((5-(메틸티오) 피리미딘-2-일) 아미노) 시클로펜틸) 아미노)-[3, 3’-비피리딘]-4-올 (실시예 499)
NMP(3 mL) 중 화합물 402(40 mg, 0.1 mmol, 1eq)의 용액에 LiCl(42 mg, 1 mmol, 10 eq) 및 p-톨루엔설폰산(172 mg, 1 mmol, 10 eq)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8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고 실온까지 냉각시켰다. 혼합물을 물(10 mL)로 희석한 다음, 포화 NaHCO3으로 pH=10까지 염기화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0 mL x 6)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층을 염수(20 mL)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분취용 HPLC에 의해 정제하여 실시예 499(10 mg, 26%)를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H]+= 395; 1H NMR (400 MHz, CD3OD) δ: 8.33 (s, 2H), 8.18 (s, 1H), 7.88 (s, 1H), 7.77-7.72 (m, 1H), 6.63 (d, J = 9.2 Hz, 1H), 6.52 (d, J = 9.2 Hz, 1H), 4.45-4.35 (m, 2H), 2.35 (s, 3H), 2.30-2.24 (m, 2H), 2.04-1.98 (m, 2H), 1.63-1.60 (m, 2H).
위의 절차를 이용하여 다음 실시예를 합성하였다:
반응식 84
(1
S
, 3
S
)-N
1
-(5-(디플루오로메톡시) 피리미딘-2-일)-N3-(5-니트로피리딘-2-일) 시클로펜탄-1,3-디아민 (500A)
DMSO(500 mL) 중 411(43 g, 176 mmol, 1.0 eq), 2-클로로-5-니트로피리딘(27.9 g, 176 mmol, 1.0 eq) 및 K2CO3(48.6 g, 382 mmol, 2.0 eq)의 현탁액을 8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EA(400 mL)와 물(400 mL) 사이에 분배하고; 수성상을 EA(30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염수(400 mL)로 세척한 다음,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A=3:1)로 정제하여 500A(52 g)를 얻었다.
N
2
-((1S, 3S)-3-((5-(디플루오로메톡시) 피리미딘-2-일) 아미노) 시클로펜틸) 피리딘-2,5-디아민 (500B)
MeOH(450 mL) 중 500A(45 g, 123 mmol, 1.0 eq)의 용액에 10%Pd/C(4.5 g)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H2로 3회 탈기하고 H2 하에 실온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액을 농축시켜 용매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MeOH=30:1)로 정제하여 500B(31 g)를 얻었다.
3-(6-(((1S,3S)-3-((5-(디플루오로메톡시) 피리미딘-2-일) 아미노) 시클로펜틸) 아미노) 피리딘-3-일)-1-메틸이미다졸리딘-2,4-디온 (실시예 500)
아세토니트릴(280 mL) 중 500B(27.2 g, 81 mmol, 1.0 eq) 및 4-니트로페닐 카르보노클로리데이트(16.3 g, 81 mmol, 1.0 eq)의 용액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메틸 메틸글리시네이트 염산염(11.8 g, 84 mmol, 1.1 eq) 및 DIPEA(31.3 g, 24.2 mmol, 3.0 eq)를 반응물에 첨가하고, 추가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켜 대부분의 용매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DCM(70 mL)과 물(70 mL)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상을 분리하고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 MeOH=40:1)로 정제하여 조 생성물을 슬러리로 수득하였다. 화합물을 PE/EA(4:1, 40 mL) 중 트리튜레이션에 의해 추가로 정제하고, MeOH 중 활성탄으로 탈색시켜 실시예 500(25 g)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3OD) δ 8.16 (s, 2H), 7.91 (d, J = 2.1 Hz, 1H), 7.36 (dd, J = 9.0, 2.6 Hz, 1H), 6.93 - 6.43 (m, 2H), 4.47 - 4.25 (m, 2H), 4.08 (s, 2H), 3.02 (s, 3H), 2.35 - 2.19 (m, 2H), 2.12 - 1.87 (m, 2H), 1.69 - 1.46 (m, 2H).
반응식 85
2-클로로-6-메틸티에노 [3, 2-d] 피리미딘 (501A)
메탄올(30 mL) 중 2,4-디클로로-6-메틸티에노[3,2-d] 피리미딘(1.5 g, 6.85 mmol, 1.0 eq), 아연(1.8 g, 27.39 mmol, 4.0 eq) 및 아세트산(2.4 mL, 41.08 mmol, 6.0 eq)의 용액을 7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 케이크를 메탄올(30 mL x 2)로 세척하였다. 여액을 농축시키고, 플래시 컬럼(석유 에테르: EtOAc = 4:1)으로 정제하여 501A(620 mg, 47.6% 수율)를 백색 고체로 얻었다. MS (ESI+) m/z 185.0 (M+H)+
6-(브로모메틸)-2-클로로티에노[3,2-d] 피리미딘 (501B)
사염화탄소(20 mL) 중 501A(600 mg, 3.25 mmol, 1.0 eq), N-브로모석신이미드(694.0 mg, 3.90 mmol, 1.2 eq) 및 AIBN(26.7 mg, 0.16 mmol, 0.05 eq)의 용액을 16시간 동안 밀봉된 튜브에서 환류시켰다.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플래시 컬럼(석유 에테르: EtOAc: 4:1)으로 정제하여 501B(614 mg, 71.2% 수율)를 황색 고체로 얻었다. MS (ESI+) m/z 262.9 (M+H)+
(2-클로로티에노 [3,2-d]피리미딘-6-일)메틸 아세테이트 (501C)
DMF(15 mL) 중 510B(600 mg, 2.3 mmol, 1.0 eq) 및 아세트산세슘(2.2 g, 11.4 mmol, 5.0 eq)의 용액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EtOAc(100 mL)로 희석하고, 물(80 mL) 및 염수(6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여과 후, 여액을 농축시키고, 플래시 컬럼(석유 에테르: EtOA: 4:1)으로 정제하여 501C(373 mg, 67.5% 수율)를 백색 고체로 얻었다. MS (ESI+) m/z 243.0 (M+H)+; 1H NMR (400MHz, CDCl3) δ 9.07 (s, 1H), 7.39 - 7.52 (m, 1H), 5.43 (d, J = 0.9 Hz, 2H), 2.17 (s, 3H).
(2-클로로티에노 [3, 2-d] 피리미딘-6-일) 메탄올 (501D)
메탄올(15 mL) 중 501C(160 mg, 0.66 mmol, 1.0 eq) 및 탄산칼륨(136.7 mg, 0.99 mmol, 1.5 eq)의 용액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다음, 혼합물을 농축하고, 플래시 컬럼(석유 에테르: EtOAc: 1:1)으로 정제하여 501D(100 mg, 75.8%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MS (ESI+) m/z 201.0 (M+H)+
6-(((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2-클로로티에노[3,2-d]피리미딘 (501E)
DMF(5 mL) 중 501D(100 mg, 0.50 mmol, 1.0 eq)의 용액을 0℃까지 냉각시켰다. TBSCl(97.6 mg, 0.65 mmol, 1.3 eq)를 첨가한 다음, 트리에틸아민(0.14 mL, 1.00 mmol, 2.0 eq)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60 mL)로 희석하고, 물(60 mL) 및 염수(3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여액을 농축시키고, 플래시 컬럼(석유 에테르: EtOAc: 4:1)으로 정제하여 501D(126 mg, 80.5%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MS (ESI+) m/z 315.2 (M+H)+
6'-(((1S,3S)-3-((6-(((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티에노[3,2-d]피리미딘-2-일)아미노)시클로펜틸)아미노)-2H-[1,3'-비피리딘]-2-온 (501F)
출발 물질 501E 및 485에서 일반적인 방법 5에 기술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501F를 수득하였다:
6'-(((1S, 3S)-3-((6-(하이드록시메틸) 티에노[3,2-d]피리미딘-2-일)아미노)시클로펜틸)아미노)-2H-[1,3'-비피리딘]-2-온 (501)
TBAF(3 mL)를 DMSO(10 mL) 중 501F(조물질, 0.16 mmol, 1.0 eq)의 용액에 첨가하고,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 다음, 혼합물을 물(50 mL)로 희석하고 EtOAc(50 mLx2)로 추출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여액을 농축시키고, 실리카겔 상의 플래시 컬럼(DCM: MeOH: 15:1)으로 정제하여 조 화합물을 얻었고, 이를 분취용 HPLC로 추가 정제하여 순수한 501(2.3 mg, 2단계에 의해 3.3%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MS (ESI+) m/z 435.1 (M+H)+
1H NMR (400MHz, CD3OD) δ 8.84 (s, 1H), 7.98 (d, J = 2.0 Hz, 1H), 7.82 (dd, J = 9.6, 2.4 Hz, 1H), 7.47 - 7.61 (m, 2H), 7.06 (d, J = 0.8 Hz, 1H), 6.99 (d, J = 9.5 Hz, 1H), 6.55 (dt, J = 9.1, 1.0 Hz, 1H), 6.41 (td, J = 6.8, 1.3 Hz, 1H), 4.83 (d, J = 1.1 Hz, 2H), 4.50 (t, J = 6.8 Hz, 1H), 4.17 - 4.28 (m, 1H), 2.22 - 2.39 (m, 2H), 2.07 - 2.17 (m, 2H), 1.63 - 1.77 (m, 2H).
반응식 86
Tert-부틸 ((1
S
, 3
S
)-3-((5-브로모피리딘-2-일) 옥시) 시클로펜틸) 카바메이트 (502A)
THF(20 mL) 중 tert-부틸 ((1S, 3R)-3-하이드록시시클로펜틸) 카바메이트(865 mg, 4.3 mmol, 1.5 eq) 및 5-브로모피리딘-2-올(500 mg, 2.9 mmol, 1.0 eq)의 차가운(0℃) 용액에 PPh3(1.884 g, 7.2 mmol, 2.5 eq)를 첨가한 다음, N2 하에서 DEAD(1.04 mL, 7.2 mmol, 2.5 eq)를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EA와 물 사이에 분배하였다. 분리된 유기상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PE:EA = 5:1)로 정제하여 502A(1.02 g)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ESI (M+H)+ = 357.2. 1H NMR (400 MHz, CDCl3) δ 8.15 (d, J = 2.4 Hz, 1H), 7.60 (ddd, J = 13.9, 7.8, 6.1 Hz, 1H), 6.58 (d, J = 8.8 Hz, 1H), 4.50 (s, 1H), 4.20 (s, 1H), 2.20 (tt, J = 12.3, 6.3 Hz, 3H), 1.87 - 1.72 (m, 2H), 1.58 (d, J = 13.9 Hz, 1H), 1.44 (s, 9H).
(1S, 3S)-3-((5-브로모피리딘-2-일) 옥시) 시클로펜탄-1-아민 (502B)
출발 물질 502A로부터 일반적인 방법 6에 기술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502B를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N-((1S, 3S)-3-((5-브로모피리딘-2-일) 옥시) 시클로펜틸)-5-(메틸티오)피리미딘-2-아민 (502C)
출발 물질 502B 및 2-클로로-5-(메틸티오)피리미딘으로부터 일반적인 방법 5에 기술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502C를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ESI (M+H)+ = 381.1
6'-(((1S, 3S)-3-((5-(메틸티오) 피리미딘-2-일) 아미노) 시클로펜틸) 옥시)-2H-[1, 3’-비피리딘]-2-온 (502)
출발 물질 502 및 피리딘-2(1H)-온으로부터 일반적인 방법 14에 기술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502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ESI (M+H)+ = 396.3. 1H NMR (400 MHz, CD3OD) δ 8.40 (s, 2H), 8.21 - 8.14 (m, 1H), 7.74 (dd, J = 8.8, 2.8 Hz, 1H), 7.66 - 7.57 (m, 2H), 6.90 (dd, J = 8.8, 0.5 Hz, 1H), 6.63 (dt, J = 8.9, 1.1 Hz, 1H), 6.49 (td, J = 6.8, 1.3 Hz, 1H), 5.61 - 5.53 (m, 1H), 4.51 (p, J = 7.1 Hz, 1H), 2.39 (s, 3H), 2.37 - 2.26 (m, 3H), 2.08 - 1.99 (m, 1H), 1.91 (tdd, J = 10.0, 7.7, 2.7 Hz, 1H), 1.74 - 1.60 (m, 1H).
반응식 87
tert-부틸 ((1
R
,4
R
)-4-아지도시클로펜트-2-엔-1-일)카바메이트 (503A)
THF(10 mL) 중 tert-부틸 ((1R,4S)-4-하이드록시시클로펜트-2-엔-1-일)카바메이트 (200 mg, 1.0 mmol, 1.0 eq)의 용액에 DPPA(414 mg, 1.5 mmol, 1.5 eq) 및 DBU(230 mg, 1.5 mmol, 1.5 eq)를 실온에서 첨가한 후, 2일 동안 교반하였다. 물(10 mL)을 상기 용액에 첨가한 다음, 이를 EtOAc(10 mL x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30 mL)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PE:EA=5:1로 용리하는 실리카겔 상의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503A(200 mg, 89%)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Tert-부틸 ((1
R
, 4
R
)-4-아미노시클로펜트-2-엔-1-일) 카바메이트 (503B)
THF: H2O=4:1(10 mL) 중 503A(200 mg, 0.9 mmol, 1.0 eq)의 용액에 N2 분위기 하에 실온에서 PPh3(234 mg, 0.9 mmol, 1.0 eq)을 첨가하였다. 그 다음, 혼합물을 50℃에서 밤새 교반한 다음, 실온까지 냉각시켰다. 여액을 농축시키고, DCM: MeOH = 20:1~3:1로 용리하는 실리카겔 상의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503B(100 mg, 57%)를 반고체로서 수득하였다.
tert-부틸 ((1R,4R)-4-((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시클로펜트-2-엔-1-일)카바메이트 (503C)
출발 물질 503B 및 2-클로로-5-(메틸티오)피리미딘으로부터 일반적인 방법 5에 기술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503C를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R, 3R)-N1-(5-(메틸티오) 피리미딘-2-일) 시클로펜트-4-엔-1,3-디아민 (503D)
출발 물질 503C로부터 일반적인 방법 6에 기술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503D를 갈색 오일로서 수득하였고, 이를 다음 단계에 직접 사용하였다.
6'-(((1R, 4R)-4-((5-(메틸티오) 피리미딘-2-일) 아미노) 시클로펜트-2-엔-1-일) 아미노)-2H-[1,3'-비피리딘]-2-온 (503)
출발 물질 503D로부터 일반적인 방법 2에 기술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503을 미백색의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H]+= 393; 1H NMR (400 MHz, CD3OD) δ 8.34 (s, 2H), 7.96 (s, 1H), 7.65-7.55 (m, 2H), 7.48-7.45 (m, 1H), 6.63-6.60 (m, 2H), 6.50-6.46 (m, 1H), 6.02-6.00 (m, 2H), 5.20-5.15 (m, 2H), 2.35 (s, 3H), 2.20-2.16 (m, 2H).
반응식 88
벤질 tert-부틸 ((1R, 3R)-시클로펜트-4-엔-1, 3-디일)디카바메이트 (504A)
THF(10 mL) 및 H2O(2 mL) 중 503B(0.5 g, 2.5 mmol, 1.0 eq)의 용액에 Na2CO3(0.65 g, 5.8 mmol, 2.5 eq) 및 Cbz-Cl(510 mg, 3.0 mmol, 1.2 eq)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2.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50 mL)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25 mL x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여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 아세테이트 = 5:1)로 정제하여 504A(566 mg)를 담색의 고체로 얻었다. ESI [M+H]+ = 333.
벤질 tert-부틸 ((1R,3R)-4-하이드록시시클로펜탄-1,3-디일)디카바메이트 (504B-1) & 벤질 tert-부틸 ((1R,3R)-4-하이드록시시클로펜탄-1,3-디일)디카바메이트 (504B-2)
THF(10 mL) 중 504A(524 mg, 1.7 mmol, 1 eq)의 용액에 BH3.THF(1 N, 7.8 mL, 7.8 mmol, 4.5 eq)를 0℃에서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H2O(7.5 mL) 및 NaOH(3 M, 12 mL)를 첨가한 다음, H2O2(30%, 20 m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추가 10분 동안 교반한 후, EtOH(7.5 m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20 mL)에 부은 후,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5 mL x 6)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유기상을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 잔류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 아세테이트 = 10:1 내지 1:2)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총 566 mg)을 담색의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ESI [M+H]+ = 351.
tert-부틸 ((1R,3R)-3-아미노-4-하이드록시시클로펜틸)카바메이트 (504-1) & tert-부틸 ((1R,4R)-4-아미노-2-하이드록시시클로펜틸)카바메이트 (504-2)
MeOH(25 mL) 중 출발 물질(1.1 mmol, 1 eq) 360 mg을 실온에서 19시간 동안 H2 하에 Pd(OH)2(100 mg)와 함께 교반하였다. 촉매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여액을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담색의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200 mg. ESI [M+H]+ = 217.
전술한 절차를 이용하여 다음 실시예를 합성하였다:
반응식 89
tert-부틸 ((1R,4S)-4-((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시클로펜트-2-엔-1-일)카바메이트 (508A)
DMF(10 mL) 중 tert-부틸 ((1R,4S)-4-하이드록시시클로펜트-2-엔-1-일)카바메이트(500 mg, 2.5 mmol, 1.0 eq) 및 이미다졸(342 mg, 5.0 mmol, 2.0 eq)의 차가운(0℃) 용액에 TBDPSCl(0.85 mL, 3 mmol, 1.3 eq)를 적가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온도를 실온까지 상승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EA와 물 사이에 분배하였다. 분리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 잔류물을 역상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CH3CN:H2O = 40% ~ 90%)로 정제하여 508A(869.2 mg)를 투명한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7.65 (dd, J = 6.8, 1.0 Hz, 4H), 7.53 - 7.41 (m, 6H), 7.10 (d, J = 7.8 Hz, 1H), 4.67 (t, J = 6.7 Hz, 1H), 4.25 (dd, J = 14.6, 7.2 Hz, 1H), 3.20 (d, J = 4.0 Hz, 1H), 2.53 (dt, J = 3.6, 1.8 Hz, 1H), 2.52 - 2.43 (m, 1H), 1.60 - 1.49 (m, 1H), 1.39 (s, 9H), 1.03 (s, 9H).
tert-부틸 ((1R,2R,4S,5S)-4-((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비시클로[3.1.0]헥산-2-일)카바메이트 (508B)
건조 DCM(5 mL) 중 Et2Zn(4.6 mL, 4.6 mmol, 3.0 eq)의 차가운(-15℃) 용액에 DCM(4 mL) 중 디요오도메탄(0.74 mL, 9.2 mmol, 6 eq)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백색 침전물이 형성될 때까지 -15℃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DCM(5 mL) 중 508A(670 mg, 1.5 mmol, 1.0 eq)를 반응 혼합물에 적가하였다. 교반을 22시간 동안 계속하면서 온도를 점진적으로 실온까지 가온시켰다. 포화 NH4Cl을 첨가하여 반응을 ??칭시킨 다음, 이를 DCM과 물 사이에 분배하였다. 분리된 유기상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PE:EA = 10:1)로 정제하여 508B(280 mg)를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7.75 - 7.59 (m, 4H), 7.47 - 7.30 (m, 6H), 4.66 - 4.50 (m, 1H), 4.39 (td, J = 8.0, 4.8 Hz, 1H), 4.01 (s, 1H), 2.17 - 2.07 (m, 1H), 1.44 (d, J = 7.8 Hz, 9H), 1.34 - 1.24 (m, 2H), 1.05 (d, J = 5.7 Hz, 9H), 0.83 (dt, J = 9.0, 2.9 Hz, 1H), 0.46 - 0.33 (m, 1H).
(1R, 2R, 4S, 5S)-4-((tert-부틸디페닐실릴) 옥시) 비시클로 [3.1.0] 헥산-2-아민 (508C)
DCM(3 mL) 중 508B(230 mg)의 용액에 TFA(5 m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MeOH에 재용해시키고, 이온 교환 수지를 첨가하여 pH 수준을 8까지 증가시켰다. 여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508C(189.2 mg)를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N-((1R,2R,4S,5S)-4-((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비시클로[3.1.0]헥산-2-일)-5-(메틸티오)피리미딘-2-아민 (508D)
출발 물질 504C 및 2-클로로-5-(메틸티오)피리미딘으로부터 일반적인 방법 5에 기술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504D를 갈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S,2S,4R,5R)-4-((5-(메틸티오) 피리미딘-2-일)아미노)비시클로[3.1.0]헥산-2-올 (508E)
THF(2 mL) 중 508D(50 mg)의 용액에 피리딘 HF(0.5 mL)를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EA와 물 사이에 분배하였다. 분리된 유기상을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DCM: MeOH = 10:1)로 정제하여 508E(54.4 mg)를 연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ESI (M+H)+ = 238.3
2-((1S,2R,4R,5R)-4-((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비시클로[3.1.0]헥산-2-일)이소인돌린-1,3-디온 (508F)
THF(10 mL) 중 508E(50 mg, 0.2 mmol, 1.0 eq), 이소인돌린-1,3-디온(37 mg, 0.25 mmol, 1.2 eq) 및 PPh3(600 mg, 2.3 mmol, 10.0 eq)의 용액에 DEAD(398 mg, 2.3 mmol, 10.0 eq)를 N2 하에 0℃에서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온도를 점진적으로 실온까지 상승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PE:EA = 1:1)로 2회 정제하여 508F(214 mg, 불순물로 오염됨)를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ESI (M+H)+ = 367.4
(1R,2R,4R,5S)-N2-(5-(메틸티오)피리미딘-2-일)비시클로[3.1.0]헥산-2,4-디아민 (508G)
EtOH(5 mL) 중 508F(214 mg, 0.584 mmol) 및 하이드라진 수화물(0.2 mL)의 용액을 N2 하에 6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실리카겔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DCM:MeOH = 20:1)로 정제하여 508G(30 mg)를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ESI (M+H)+ = 237.4
6'-(((1S,2R,4R,5R)-4-((5-(메틸티오)피리미딘-2-일)아미노)비시클로[3.1.0]헥산-2-일)아미노)-2H-[1,3'-비피리딘]-2-온 (508)
출발 물질 508G로부터 일반적인 방법 2에 기술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508을 황색의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ESI (M+H)+ = 407.4. 1H NMR (400 MHz, CD3OD) δ 8.35 (s, 2H), 8.07 (d, J = 2.2 Hz, 1H), 7.93 (dd, J = 9.6, 2.4 Hz, 1H), 7.72 - 7.57 (m, 2H), 7.12 (d, J = 9.5 Hz, 1H), 6.65 (d, J = 9.0 Hz, 1H), 6.51 (td, J = 6.8, 1.2 Hz, 1H), 4.23 (d, J = 5.9 Hz, 1H), 2.36 (s, 3H), 2.22 - 2.10 (m, 1H), 1.93 (dt, J = 9.7, 4.3 Hz, 1H), 1.61 (dt, J = 9.9, 6.4 Hz, 2H), 0.76 (dt, J = 7.8, 3.9 Hz, 1H), 0.69 (dd, J = 14.0, 7.9 Hz, 1H).
C. 생물학적 분석법
인간 재조합 PCSK9는 다음과 같이 발현되었다:
단백질 서열:
서열번호 1
QEDEDGDYEELVLALRSEEDGLAEAPEHGTTATFHRCAKDPWRLPGTYVVVLKEETHLSQSERTARRLQAQAARRGYLTKILHVFHGLLPGFLVKMSGDLLELALKLPHVDYIEEDSSVFAQSIPWNLERITPPRYRADEYQPPDGGSLVEVYLLDTSIQSDHREIEGRVMVTDFENVPEEDGTRFHRQASKCDSHGTHLAGVVSGRDAGVAKGASMRSLRVLNCQGKGTVSGTLIGLEFIRKSQLVQPVGPLVVLLPLAGGYSRVLNAACQRLARAGVVLVTAAGNFRDDACLYSPASAPEVITVGATNAQDQPVTLGTLGTNFGRCVDLFAPGEDIIGASSDCSTCFVSQSGTSQAAAHVAGIAAMMLSAEPELTLAELRQRLIHFSAKDVINEAWFPEDQRVLTPNLVAALPPSTHGAGWQLFCRTVWSAHSGPTRMATAVARCAPDEELLSCSSFSRSGKRRGERMEAQGGKLVCRAHNAFGGEGVYAIARCCLLPQANCSVHTAPPAEASMGTRVHCHQQGHVLTGCSSHWEVEDLGTHKPPVLRPRGQPNQCVGHREASIHASCCHAPGLECKVKEHGIPAPQEQVTVACEEGWTLTGCSALPGTSHVLGAYAVDNTCVVRSRDVSTTGSTSEGAVTAVAICCRSRHLAQASQELQSGSGGLNDIFEAQKIEWHENLYFQGHHHHHH
PCSK9 기능을 억제하는 데 효과적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확인하고 평가하기 위해 다음의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PCSK9 SPR 분석
표면 플라즈몬 공명 데이터를 25℃에서 BiacoreTM T200 또는 3000 시스템(GE Healthcare)에서 수집하였다. 스트렙타비딘을 실행 완충제로서 HBS-N(10 mM HEPES, 0.15 M NaCl, pH 7.4)과 함께 25℃에서 표준 아민 커플링 화학을 이용하여 CM5(GE Healthcare) 또는 CMD500d 센서 칩(XanTec Bioanalytics)에 고정시켰다. 간략하게는, 카르복시메틸 덱스트란 표면을 10 μL/분의 유속으로 1:1 비율의 0.4 M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 카르보디이미드 염산염(EDC)/0.1 M N-하이드록시 석신이미드(NHS)의 12분의 주입으로 활성화시켰다. 스트렙타비딘의 포획을 위해 단백질을 10 mM의 아세트산나트륨(pH 4.5)에서 0.2 mg/mL로 희석하고, 활성화된 칩 표면에 100 μL를 주입하여 포획하였다. 잔여 활성화 기를 1 M의 에탄올아민(pH 8.5)의 7분 주입으로 차단하였다. Avi 태그가 부착된 PCSK9 단백질을 HBS-N, 0.05%의 tween-20, 0.1 mM의 CaCl2에 16 μg/mL로 희석된 단백질 150 μL를 주입하여 스트렙타비딘 표면에 포획하였다. 얻어진 전형적인 표면 밀도는 8000~10000 RU였다. SPR 결합 데이터는 100초의 포획 시간 및 300초의 해리 시간을 적용하여 30 μL/분의 유속으로 각 화합물의 적절한 희석 계열을 사용하여 얻었다. 화합물 결합 연구를 위한 실행 완충액은 HBS-N, 0.05% 트윈-20, 0.1 mM CaCl2, 4% DMSO였다. DMSO 제외 부피 효과에 대해 데이터를 보정하였다. 모든 데이터는 표준 처리 절차를 사용하여 블랭크 주입 및 참조 표면에 대해 이중 참조되었으며, 데이터 처리 및 동역학 적합화는 Scrubber 소프트웨어, 버전 2.0c(BioLogic Software)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ka, kd 및 KD 값을 결정하기 위하여 단순 1:1 결합 모델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적합화하였다.
PCSK9에 결합하고 억제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제약상 허용 가능한 염의 능력을 하기 표에 열거된 화학식 I의 대표적인 화합물로 확립하였다:
실시예: 분비된 PCSK9 수준, 세포 LDLR 수준 및 세포 생존능에 대한 화합물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시험관 내 세포 분석.
화합물 스크리닝은 200 μl의 분석 배지(10% 지단백질 결핍 FBS(Sigma S5394)를 함유한 DMEM(Gibco 31966-021))에 플레이팅된 25,000개의 HepG2 세포가 있는 96웰 조직 배양 플레이트에서 수행되었다. 세포 플레이트를 밤새(20~24시간) 인큐베이션한 다음, 분석 배지를 제거하고, 세포를 200 μl의 DMEM으로 세척하고, 분석 배지 중 200 μl의 화합물 또는 비히클(0.3% DMSO)을 각 웰에 첨가하였다. 화합물과 함께 48시간 인큐베이션한 후, 다음의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비된 PCSK9 수준의 측정을 위하여, 세포 배양 분석 배지의 100 μl의 샘플을 수집하고, PCSK9(인간) AlphaLISA 검출 키트(Perkin Elmer AL270F)를 사용한 분석 전에 -80℃에 저장하였다. 세포 배양 분석 배지의 샘플(5 μl)을 384웰의 백색 옵티플레이트(Perkin Elmer -6007290)로 옮겼다. 또한, 분석 배경을 결정하기 위한 분석 배지 단독 샘플 5 μl와 알려진 농도의 재조합 인간 PCSK9(표준 곡선)가 첨가된 분석 배지 샘플도 포함되었다. AlphaLISA 면역분석 완충액(모두 AlphaLISA 검출 키트에 제공됨)에 희석된 AlphaLISA 항PCSK9 수용자 비드(최종 농도 10 μg/mL) 및 비오틴 부착된 항체 항-PCSK9(최종 농도 1 nM)의 용액 20 μl를 각 5 μl의 샘플에 첨가하고,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후, AlphaLISA 면역분석 완충액에 희석된 스트렙타비딘 공여자 비드(최종 농도 40 μg/mL) 용액 25 μl를 각 샘플에 첨가하고, 샘플을 빛으로부터 보호된 실온에서 추가로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PCSK9(분석물질)의 존재 하에, 공여자와 수용자 비드는 근접하게 된다. 그러면, 615 nm에서의 발광이 여기 후 Enspire Alpha 플레이트 판독기에서 측정된다. 표준 곡선 값을 사용하여 PCSK9의 농도를 결정한 후, 다음 식을 이용하여 억제 백분율을 계산하였다: (1-(테스트 웰 값 - 평균 배경 값)/(평균 비히클 값 - 평균 배경 값))*100
세포 생존능 분석은 세포 배지 샘플을 수집한 후, PCSK9 분석과 동일한 세포 플레이트에서 수행되었다. 분석은 세포 배양 배지에 용해되는 착색된 포르마잔 생성물을 생성하기 위하여 생존 가능한 세포에 의한 MTS 테트라졸륨 화합물의 환원을 기반으로 한다. 100 μl의 나머지 배양 배지를 함유하는 각 세포 웰에 20 μl의 MTS 시약(Promega G543)을 첨가하였다. 또한, 배경 측정을 결정하기 위해 세포가 없는 MTS 시약과 100 μl의 분석 배지를 함유하는 웰이 포함되었다. 플레이트를 37℃에서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고, 490 nm의 파장에서 광학 밀도(OD)를 측정하였다. OD 값을 다음 식을 이용하여 생존능 값의 변화(%)로 변환하였다: - (1-(테스트 웰 값 - 평균 배경 값)/(평균 비히클 값 - 평균 배경 값))*100
인간 LDL R 면역분석(R&D systems DLDLR0) 및 명시되지 않는 한 면역분석에 제공된 모든 시약을 사용하여 세포 LDLR 수준을 결정하였다. HepG2 세포를 전술한 바와 같이 처리하고, 48시간의 화합물 인큐베이션 후, 배지를 제거하고, 세포를 인산염 완충 식염수로 세척하고, 세포를 프로테아제 억제제(Halt 억제제 칵테일 - Pierce 78430)가 있는 50 μL의 용해 완충액(25 mM의 Tris-HCl pH 7.4, 150 mM의 NaCl, 1 mM의 EDTA, 1%의 NP-40 및 5%의 글리세롤)에서 용해시켰다. 용해물을 원심분리에 의해 제거하고, 샘플을 면역분석에서 분석하기 전에 -80℃에 보관되었다. 샘플에 추가하여, 보정용 희석제에 희석된 알려진 농도의 재조합 LDLR의 표준 곡선을 포함시켰고, 분석 배경을 결정하기 위한 LDLR은 포함시키지 않았다. 샘플(30 μl)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50 μl의 분석 희석제와 함께 마이크로플레이트 웰 스트립(포획 항체로 미리 코팅됨)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그런 다음, 마이크로플레이트 웰 스트립을 세척 완충액으로 4회 세척하고, 인간 LDLR 접합체 200 μl를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추가로 2시간을 인큐베이션한 후, 플레이트를 이전과 같이 세척하고, 기질 용액 200 μl를 첨가하였다. 20분 후, 50 μl의 정지 용액을 적용하고, 450 nm에서 측정된 각 웰의 광학 밀도 및 540 nm의 파장 보정을 적용하였다. 표준 곡선 값을 사용하여 LDLR의 농도를 결정한 후, 다음 식을 이용하여 증가 백분율을 계산하였다: (테스트 웰 값 - 평균 배경 값)/(평균 비히클 값 - 평균 배경 값)*100
양성 대조군으로서, PCSK9 번역 억제제인 R-4-(3H-[1,2,3]트리아졸로[4,5-b]피리딘-3-일)-N-(3-클로로피리딘-2-일)-N-(피페리딘-3-일)벤즈아미드(SI-1)를 WO 2014170786에 따라 합성하였다.
위의 분석법을 이용하여, PCSK9 기능을 억제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제약상 허용 가능한 염의 능력을 하기 표에 열거된 화학식 I의 대표적인 화합물로 확립하였다:
참고로 포함
본원에 언급된 모든 간행물 및 특허는 각각의 개별 간행물 또는 특허가 참고로 포함된 것으로 구체적이고 개별적으로 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전체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상충 시, 본원의 임의의 정의를 포함하여 본 출원이 우선할 것이다.
균등물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가 논의되었지만, 상기 명세서는 예시적인 것이고 제한적인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 및 하기 청구범위를 검토하면, 본 발명의 다수 변형이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전체 범위는 이러한 변형과 함께 본 명세서를 참고하고, 전체 범위의 균등물과 함께 청구범위를 참고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SEQUENCE LISTING
<110> SERRANO-WU, MICHAEL H.
CHAMBERS, MARK
GOLDSMITH, ERICA
TIERNEY, JASON
JANDU, KARAMJIT
CLARK, DAVID
HINCHLIFFE, PAUL
<120> PCSK9 INHIBITORS AND METHODS OF USE THEREOF
<130> DGH-00101
<140> 16/744,929
<141> 2020-01-16
<150> 62/794,234
<151> 2019-01-18
<160> 1
<170> PatentIn version 3.5
<210> 1
<211> 69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400> 1
Gln Glu Asp Glu Asp Gly Asp Tyr Glu Glu Leu Val Leu Ala Leu Arg
1 5 10 15
Ser Glu Glu Asp Gly Leu Ala Glu Ala Pro Glu His Gly Thr Thr Ala
20 25 30
Thr Phe His Arg Cys Ala Lys Asp Pro Trp Arg Leu Pro Gly Thr Tyr
35 40 45
Val Val Val Leu Lys Glu Glu Thr His Leu Ser Gln Ser Glu Arg Thr
50 55 60
Ala Arg Arg Leu Gln Ala Gln Ala Ala Arg Arg Gly Tyr Leu Thr Lys
65 70 75 80
Ile Leu His Val Phe His Gly Leu Leu Pro Gly Phe Leu Val Lys Met
85 90 95
Ser Gly Asp Leu Leu Glu Leu Ala Leu Lys Leu Pro His Val Asp Tyr
100 105 110
Ile Glu Glu Asp Ser Ser Val Phe Ala Gln Ser Ile Pro Trp Asn Leu
115 120 125
Glu Arg Ile Thr Pro Pro Arg Tyr Arg Ala Asp Glu Tyr Gln Pro Pro
130 135 140
Asp Gly Gly Ser Leu Val Glu Val Tyr Leu Leu Asp Thr Ser Ile Gln
145 150 155 160
Ser Asp His Arg Glu Ile Glu Gly Arg Val Met Val Thr Asp Phe Glu
165 170 175
Asn Val Pro Glu Glu Asp Gly Thr Arg Phe His Arg Gln Ala Ser Lys
180 185 190
Cys Asp Ser His Gly Thr His Leu Ala Gly Val Val Ser Gly Arg Asp
195 200 205
Ala Gly Val Ala Lys Gly Ala Ser Met Arg Ser Leu Arg Val Leu Asn
210 215 220
Cys Gln Gly Lys Gly Thr Val Ser Gly Thr Leu Ile Gly Leu Glu Phe
225 230 235 240
Ile Arg Lys Ser Gln Leu Val Gln Pro Val Gly Pro Leu Val Val Leu
245 250 255
Leu Pro Leu Ala Gly Gly Tyr Ser Arg Val Leu Asn Ala Ala Cys Gln
260 265 270
Arg Leu Ala Arg Ala Gly Val Val Leu Val Thr Ala Ala Gly Asn Phe
275 280 285
Arg Asp Asp Ala Cys Leu Tyr Ser Pro Ala Ser Ala Pro Glu Val Ile
290 295 300
Thr Val Gly Ala Thr Asn Ala Gln Asp Gln Pro Val Thr Leu Gly Thr
305 310 315 320
Leu Gly Thr Asn Phe Gly Arg Cys Val Asp Leu Phe Ala Pro Gly Glu
325 330 335
Asp Ile Ile Gly Ala Ser Ser Asp Cys Ser Thr Cys Phe Val Ser Gln
340 345 350
Ser Gly Thr Ser Gln Ala Ala Ala His Val Ala Gly Ile Ala Ala Met
355 360 365
Met Leu Ser Ala Glu Pro Glu Leu Thr Leu Ala Glu Leu Arg Gln Arg
370 375 380
Leu Ile His Phe Ser Ala Lys Asp Val Ile Asn Glu Ala Trp Phe Pro
385 390 395 400
Glu Asp Gln Arg Val Leu Thr Pro Asn Leu Val Ala Ala Leu Pro Pro
405 410 415
Ser Thr His Gly Ala Gly Trp Gln Leu Phe Cys Arg Thr Val Trp Ser
420 425 430
Ala His Ser Gly Pro Thr Arg Met Ala Thr Ala Val Ala Arg Cys Ala
435 440 445
Pro Asp Glu Glu Leu Leu Ser Cys Ser Ser Phe Ser Arg Ser Gly Lys
450 455 460
Arg Arg Gly Glu Arg Met Glu Ala Gln Gly Gly Lys Leu Val Cys Arg
465 470 475 480
Ala His Asn Ala Phe Gly Gly Glu Gly Val Tyr Ala Ile Ala Arg Cys
485 490 495
Cys Leu Leu Pro Gln Ala Asn Cys Ser Val His Thr Ala Pro Pro Ala
500 505 510
Glu Ala Ser Met Gly Thr Arg Val His Cys His Gln Gln Gly His Val
515 520 525
Leu Thr Gly Cys Ser Ser His Trp Glu Val Glu Asp Leu Gly Thr His
530 535 540
Lys Pro Pro Val Leu Arg Pro Arg Gly Gln Pro Asn Gln Cys Val Gly
545 550 555 560
His Arg Glu Ala Ser Ile His Ala Ser Cys Cys His Ala Pro Gly Leu
565 570 575
Glu Cys Lys Val Lys Glu His Gly Ile Pro Ala Pro Gln Glu Gln Val
580 585 590
Thr Val Ala Cys Glu Glu Gly Trp Thr Leu Thr Gly Cys Ser Ala Leu
595 600 605
Pro Gly Thr Ser His Val Leu Gly Ala Tyr Ala Val Asp Asn Thr Cys
610 615 620
Val Val Arg Ser Arg Asp Val Ser Thr Thr Gly Ser Thr Ser Glu Gly
625 630 635 640
Ala Val Thr Ala Val Ala Ile Cys Cys Arg Ser Arg His Leu Ala Gln
645 650 655
Ala Ser Gln Glu Leu Gln Ser Gly Ser Gly Gly Leu Asn Asp Ile Phe
660 665 670
Glu Ala Gln Lys Ile Glu Trp His Glu Asn Leu Tyr Phe Gln Gly His
675 680 685
His His His His His
690
Claims (71)
- 화학식 I의 화합물:
[화학식 I]
(화학식에서,
A는 H, 할로, 하이드록시, 알킬, 티오알킬, 알케닐, 알콕시, 아실옥시, 시아노, 시클로알킬, -C(O)OR6, 및 -C(O)NR6R7로부터 선택되고;
B는 H, 알킬, 및 할로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A 및 B는 이들이 부착되는 탄소 원자와 함께 5 또는 6원의 헤테로아릴을 형성하고;
X는 NR5 또는 O이고;
R1 및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H 및 알킬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n이 0인 경우, R1 및 R1’은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4 내지 8원의 시클로알킬 또는 시클로알케닐 고리를 형성하고;
R2는 H, 할로, 알킬, 알콕시, 아미도알킬, 아미노알킬, 하이드록시알킬, 알킬아미노, 시아노, 및 하이드록시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1 및 R2는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3 내지 8원의 시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시클릴 고리를 형성하거나; 또는
R1’ 및 R2는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3 내지 8원의 시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시클릴 고리를 형성하고;
R2’은 H, 할로, 알킬, 알콕시, 아미도알킬, 아미노알킬, 및 시아노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2 및 R2’은 이들이 부착되는 탄소 원자와 함께 3 내지 8원의 시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시클릴 고리를 형성하고;
각각의 R3 및 R4는 독립적으로 H 또는 알킬이거나; 또는
R2 및 R3은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3 내지 8원의 시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시클릴 고리를 형성하고;
R5는 H 또는 알킬이거나; 또는
R1 및 R5는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6 내지 8원의 시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시클릴 고리를 형성하거나; 또는
R2 및 R5는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5 내지 8원의 시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시클릴 고리를 형성하고;
각각의 R6 및 R7은 독립적으로 H 또는 알킬이고;
Y는 아릴,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고;
n은 0 또는 1임). - 제1항에 있어서, A는 H, 하이드록시, 티오알킬, 알킬, 알콕시, 아실옥시, 시아노, 시클로알킬, -C(O)OR6, 및 -C(O)NR6R7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 제1항에 있어서, A는 H인 화합물.
- 제1항에 있어서, A는 알킬인 화합물.
- 제1항에 있어서, A는 티오알킬인 화합물.
- 제1항에 있어서, A는 알콕시인 화합물.
- 제1항에 있어서, A는 시클로알킬인 화합물.
- 제1항에 있어서, A는 -SCH3, -SCHF2, 및 -OCHF2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 제1항에 있어서, A 및 B는 이들이 부착되는 탄소 원자와 함께 피롤릴 또는 티에닐 고리를 형성하고, 이는 치환되지 않거나 하나 이상의 알킬로 치환되는 것인 화합물.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B는 H인 화합물.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X는 NR5인 화합물.
-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Y는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인 화합물.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 및 R1’은 각각 H인 화합물.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n은 0이고, R1 및 R1’은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치환되지 않거나 또는 예를 들어, 1개 이상의 하이드록시로 치환되는 4 내지 8원의 단환식 또는 이환식 시클로알킬 또는 시클로알케닐 고리를 형성하는 것인 화합물.
- 제14항에 있어서, R1 및 R1’은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4 내지 8원의 단환식 또는 이환식 시클로알킬을 형성하는 것인 화합물.
- 제14항에 있어서, R1 및 R1’은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4 내지 8원의 단환식 또는 이환식 시클로알케닐을 형성하는 것인 화합물.
- 제14항에 있어서, 시클로알킬 고리는 시클로펜틸 고리인 화합물.
- 제14항에 있어서, 시클로알킬 고리는 하이드록실 또는 하이드록시알킬로 치환되는 것인 화합물.
-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는 H, 할로, 알킬, 알콕시, 아미도알킬, 아미노알킬, 알킬아미노, 시아노, 및 하이드록실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
-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는 C1-3알킬인 화합물.
- 제20항에 있어서, R2는 아미노, 아미도, 시아노, 하이드록시, 및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는 것인 화합물.
-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은 C1-3알킬인 화합물.
-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은 H인 화합물.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 및 R2는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3 내지 8원의 시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시클릴 고리를 형성하는 것인 화합물.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 및 R2는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3 내지 8원의 시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시클릴 고리를 형성하는 것인 화합물.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 및 R2'은 이들이 부착되는 탄소 원자와 함께 3 내지 8원의 시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시클릴 고리를 형성하는 것인 화합물.
-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3은 C1-3알킬인 화합물.
-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3은 H인 화합물.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 및 R3은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3 내지 8원의 시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시클릴 고리를 형성하는 것인 화합물.
- 제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4는 H인 화합물.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 및 R5는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6 내지 8원의 시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시클릴 고리를 형성하는 것인 화합물.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 및 R5은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5 내지 8원의 시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시클릴 고리를 형성하는 것인 화합물.
- 제1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Y는 단환식 헤테로아릴인 화합물.
- 제33항에 있어서, Y는 피리딜, 피리디닐, 피라지닐, 피리미디닐, 및 티아졸릴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
- 제33항에 있어서, Y는 트리아제닐, 옥사졸릴, 이속사졸릴,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및 트리아졸릴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
- 제33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환식 헤테로아릴은 치환되지 않거나, 또는 알킬, 티오알킬, 알콕시, 알콕시카르보닐, 아미도, 카르복시, 시아노, 할로, 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시클릴, 니트로, 설폰아미도, 및 티오알킬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는 것인 화합물.
- 제36항에 있어서, 단환식 헤테로아릴은 페닐, 피리디닐, 2-하이드록시피리디닐, 피페리디노닐, 2-하이드록시-1-메틸피리디닐, 트리아졸릴, 이미다졸리디노닐, 피리미도닐, 2-하이드록시이소퀴놀리닐, 3-하이드록시피리다지닐, 피롤리디노닐, 피라졸릴, 및 모르폴리노닐로부터 선택되는 6원의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로 치환되는 것인 화합물.
- 제37항에 있어서, 단환식 헤테로아릴은 할로, CN, 알킬, 알콕시, 하이드록시, 카르복시, -CO2알킬, 및 테트라졸릴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는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로 치환되는 것인 화합물.
- 제36항에 있어서, 단환식 헤테로아릴은 X에 대해 A의 파라 위치에 배치되는 것인 화합물.
- 제1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Y는 이환식 헤테로아릴인 화합물.
- 제40항에 있어서, Y는 벤조티아졸릴, 벤즈옥사졸릴, 벤즈이미다졸릴, 트리아졸로피리디닐, 티아졸로피리디닐, 퀴놀리닐, 및 퀴녹살리닐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
- 제40항 또는 제41항에 있어서, 이환식 헤테로아릴은 치환되지 않거나, 또는 알킬, 할로알킬, 하이드록시알킬, 티오알킬, 알콕시, 알콕시카르보닐, 아미도, 카르복시, 시아노, 할로, 헤테로아릴, 니트로, 및 설폰아미도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는 것인 화합물.
- 제40항 또는 제41항에 있어서, 이환식 헤테로아릴은 치환되지 않거나, 또는 티오알킬, 알콕시카르보닐, 아미도, 카르복시, 할로, 및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는 것인 화합물.
- 제1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Y는 화학식 -C(O)NR8R9 또는 -NR9C(O)R10의 아미도 치환기로 치환되며, 이때,
R8 및 R9는 각각 독립적으로 H, 알킬, 헤테로시클릴 및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8 및 R9는 이들이 부착되는 질소 원자와 함께 4, 5, 6, 또는 7원의 헤테로환식 또는 헤테로아릴 고리를 형성하고;
R10은 알킬인 화합물. - 제1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Y는 화학식 -S(O)2NR8R9 또는 -NR9S(O)2R10의 설폰아미도 치환기로 치환되며, 이때
R8 및 R9는 각각 독립적으로 H, 알킬, 및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8 및 R9는 이들이 부착되는 질소 원자와 함께 4, 5, 6, 또는 7원의 헤테로환식 고리를 형성하고;
R10은 알킬인 화합물. - 제44항 또는 제45항에 있어서, R8 및 R9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메틸, 에틸, 트리아졸릴, 및 피라졸릴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
- 제44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8 및 R9 중 하나 또는 둘 다가 알킬이고, 각각의 알킬은 독립적으로 치환되지 않거나, 또는 메틸, 메톡시, 카르복시, 시아노, 하이드록시, 디메틸아미노, 에톡시카르보닐, 페닐, 메톡시페닐, 옥사디아졸릴, 테트라졸릴, 2-메틸-테트라졸릴, 트리아졸릴, 1-메틸트리아졸릴, 4-메틸트리아졸릴, 및 2,4-디하이드로-3H-1,2,4-트리아졸-3-오닐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는 것인 화합물.
- 제44항 또는 제45항에 있어서, R8 및 R9는 이들이 부착되는 질소 원자와 함께 아지라딘, 이소티아졸리딘-1,1-디옥사이드, 아제티딘, 티아졸-4(5Hn)-온, 모르폴린, 피페리딘, 피페라진, 피롤리딘, 티오모르폴린-1,1-디옥사이드, 2-옥사-6-아자스피로[3.3]헵탄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환식 고리를 형성하는 것인 화합물.
- 제44항 또는 제45항에 있어서, R8 및 R9는 이들이 부착되는 질소 원자와 함께 2,8-디아자스피로[5,5]운데센, 테트라하이드로이미다조[1,2-a]피라진, 옥타하이드로피라지노[2,1-c][1,4]옥사진, 테트라하이드로피리도[3,4-d]피리미딘, 2-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 테트라하이드로피롤로[3,4-c]피라졸, 티오모르폴린, 2-옥사-7-아자스피로[3.5]노난, 2,8-디아자스피로[4.5]데칸-3-온, 테트라하이드로-1,7-나프티리딘, 1-옥사-4,9-디아자스피로[5.5]운데칸-3-온, 테트라하이드로피롤로[3,4-d]이미다졸, 피리미딘, 8-옥사-2-아자스피로[4.5]데칸, 헥사하이드로-3H-옥사졸로[3,4-a]피라진-3-온, 1-옥사-7-아자스피로[3.5]노난, 옥타하이드로시클로펜타[c]피롤, 테트라하이드로-[1,2,4]트리아졸로[4,3-a]피라진, 2,7-디아자스피로[4.4]노난, 2,6-디아자스피로[3.4]옥탄, 7-옥사-2-아자스피로[3.5]노난, 1-옥사-8λ2-아자스피로[4.5]데칸, 2-옥사-6-아자스피로[3.3]헵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옥사디아졸, 트리아졸, 피리디논, 테트라하이드로-[1,2,4]트리아졸로[4,3-a]피라진-3(2H)-온, 피페리디논, 3,6-디아자비시클로[3.1.1]헵탄, 5-옥사-2,7-디아자스피로[3.5]노난, 피라졸, 및 피리다진-3(2H)-온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환식 고리를 형성하는 것인 화합물.
- 제48항에 있어서, 헤테로환식 고리는 치환되지 않거나, 또는 알킬, 알콕시카르보닐, 할로, 하이드록시, 시아노, 카르복시, 및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는 것인 화합물.
- 제48항에 있어서, 헤테로환식 고리는 치환되지 않거나, 또는 메틸, 에톡시카르보닐, 할로, 하이드록시, 시아노, 카르복시, 및 옥세타닐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는 것인 화합물.
- 제1항 내지 제5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제약상 허용 가능한 염 및 하나 이상의 제약상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5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상체의 심혈관 질환의 치료 방법.
- 제54항에 있어서, 심혈관 질환은 고콜레스테롤혈증, 고지혈증, 고지질단백혈증, 고중성지방혈증, 이상지질혈증, 이상지질단백혈증, 죽상동맥경화증, 간 지방증, 대사 증후군 및 관상동맥 질환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 제54항 또는 제55항에 있어서, 심혈관 질환은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인 방법.
- 제54항 또는 제55항에 있어서, 심혈관 질환은 상염색체 우성 고콜레스테롤혈증인 방법.
- 제54항 내지 제5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순환 혈청 콜레스테롤의 수준이 대상체에서 감소되는 방법.
- 제54항 내지 제5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순환 혈청 LDL-콜레스테롤의 수준이 대상체에서 감소되는 방법.
- 제54항 내지 제5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순환 혈청 VLDL-콜레스테롤의 수준이 대상체에서 감소되는 방법.
- 제54항 내지 제6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순환 혈청 중성지방의 수준이 대상체에서 감소되는 방법.
- 제54항 내지 제6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순환 혈청 지단백질 A의 수준이 대상체에서 감소되는 방법.
- 제54항 내지 제6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상체는 죽상동맥경화증을 앓는 것인 방법.
- 제54항 내지 제6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죽상동맥경화성 플라크 형성이 대상체에서 감소되는 방법.
- 제54항 내지 제6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상체는 PCSK9 유전자의 기능 획득 돌연변이를 갖는 것인 방법.
- 제54항 내지 제6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추가 치료제를 공동 투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 제66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추가 치료제는 알리로쿠맙, 에볼로쿠맙, 보코시주맙, RG7652, LY3015014, mAb316P, 베르베린, 퀘르세틴, 에제팀베, 폴리코사놀, BMS-962476, 아토르바스타틴, 세리바스타틴, 플루바스타틴, 로바스타틴, 메바스타틴, 피타바스타틴, 프라바스타틴, 로수바스타틴 및 심바스타틴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 제66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추가 치료제는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 HMG-CoA 합성효소 억제제, HMG-CoA 환원효소 유전자 발현 억제제, HMG-CoA 합성효소 유전자 발현 억제제, MTP/아포 B 분비 억제제, CETP 억제제, 담즙산 흡수 억제제, 콜레스테롤 흡수 억제제, 콜레스테롤 합성 억제제, 스쿠알렌 합성효소 억제제, 스쿠알렌 에폭시다제 억제제, 스쿠알렌 시클라제 억제제, 스쿠알렌 에폭시다제/스쿠알렌 시클라제 조합 억제제, 피브레이트, 니아신, 니아신 및 로바스타틴의 조합, 이온 교환 수지, 항산화제, ACAT 억제제, 담즙산 격리제 및 PCSK9 번역 억제제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 제1항 내지 제5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상체의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의 치료 방법.
- 제69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추가 치료제를 공동 투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 제70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추가 치료제는 카나마이신, 아미카신, 토브라마이신, 디베카신, 겐타마이신, 시소마이신, 네틸마이신, 스트렙토마이신, 네오마이신 B, C 및 E, 이미페눔, 메로페눔, 에르타페넴, 도리페눔, 파니페눔, 비아페넴, 라수페눔, 테비페눔, 레나페눔, 토모페눔, 티엔페눔, 시프로플록사신, 가레녹사신, 가티플록사신, 게미플록사신, 레보플록사신, 시녹사신, 날리딕신산, 목시플록사신, 옥솔린산, 피로미딘산, 피페미드산, 로속사신, 에녹사신, 플레록사신, 로메플록사신, 나디플록사신, 노르플록사신, 오플록사신, 페플록사신, 루플록사신, 발로플록사신, 그레파플록사신, 레보플록사신, 파주플록사신, 스파플록사신, 테마플록사신, 토수플록사신, 클리나플록사신, 시타플록사신, 트로바플록사신, 프룰리플록사신, 데라플록사신, JNJ-Q2, 네모녹사신, 자보플록사신, 독시사이클린, 테트라사이클린, 클로르테트라사이클린, 옥시테트라사이클린, 데메클로사이클린, 라이메사이클린, 메클로사이클린, 메타사이클린, 미노사이클린, 롤리테트라사이클린, 티게사이클린, 암피실린, 아목시실린, 오그멘틴, 피페라실린, 타조박탐, 클로람페니콜 및 티카르실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962794234P | 2019-01-18 | 2019-01-18 | |
US62/794,234 | 2019-01-18 | ||
PCT/US2020/013881 WO2020150473A2 (en) | 2019-01-18 | 2020-01-16 | Pcsk9 inhibitors and methods of use thereof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16548A true KR20210116548A (ko) | 2021-09-27 |
Family
ID=71613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7025810A Pending KR20210116548A (ko) | 2019-01-18 | 2020-01-16 | Pcsk9 억제제 및 이의 이용 방법 |
Country Status (34)
Country | Link |
---|---|
US (2) | US11248001B2 (ko) |
EP (2) | EP4470609A3 (ko) |
JP (3) | JP7128969B2 (ko) |
KR (1) | KR20210116548A (ko) |
CN (5) | CN119060040A (ko) |
AU (1) | AU2020209215B2 (ko) |
BR (1) | BR112021013807A2 (ko) |
CA (1) | CA3125765A1 (ko) |
CL (1) | CL2021001859A1 (ko) |
CO (1) | CO2021010312A2 (ko) |
CR (1) | CR20210441A (ko) |
DK (1) | DK3911648T3 (ko) |
DO (1) | DOP2021000150A (ko) |
EA (1) | EA202191892A1 (ko) |
EC (1) | ECSP21060240A (ko) |
ES (1) | ES3007652T3 (ko) |
FI (1) | FI3911648T3 (ko) |
HR (1) | HRP20241674T1 (ko) |
HU (1) | HUE069590T2 (ko) |
IL (1) | IL284640B2 (ko) |
JO (1) | JOP20210193A1 (ko) |
LT (1) | LT3911648T (ko) |
MA (1) | MA54261B1 (ko) |
MX (1) | MX2021008533A (ko) |
PE (1) | PE20220138A1 (ko) |
PH (1) | PH12021551686A1 (ko) |
PL (1) | PL3911648T3 (ko) |
PT (1) | PT3911648T (ko) |
RS (1) | RS66416B1 (ko) |
SG (1) | SG11202107614PA (ko) |
SI (1) | SI3911648T1 (ko) |
SM (1) | SMT202500013T1 (ko) |
TW (2) | TW202446767A (ko) |
WO (1) | WO2020150473A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727986A (zh) | 2018-11-30 | 2021-11-30 | 彗星医疗股份有限公司 | 环状泛硫醇衍生物及其用途 |
MX2021008661A (es) * | 2019-01-18 | 2021-08-19 | Astrazeneca Ab | Inhibidores de la pcsk9 y metodos de uso de los mismos. |
CN113248501B (zh) * | 2021-06-17 | 2021-10-08 | 南京韦尔优众医药有限公司 | Cly系列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制备药物的用途 |
TW202333563A (zh) | 2021-11-12 | 2023-09-01 | 瑞士商諾華公司 | 用於治療疾病或障礙之二胺基環戊基吡啶衍生物 |
WO2023107705A1 (en) | 2021-12-10 | 2023-06-15 | Incyte Corporation | Bicyclic amines as cdk12 inhibitors |
CN114890988A (zh) * | 2022-04-28 | 2022-08-12 | 浙江工业大学 | 一种沙利度胺的化学合成方法 |
CN119604494A (zh) * | 2022-07-13 | 2025-03-11 | 阿斯利康(瑞典)有限公司 | Pcsk9抑制剂及其使用方法 |
US20240217951A1 (en) | 2022-09-23 | 2024-07-04 | Astrazeneca Ab | Pcsk9 inhibitors and methods of use thereof |
US20240228469A1 (en) | 2022-09-23 | 2024-07-11 | Astrazeneca Ab | Pcsk9 inhibitors and methods of use thereof |
WO2024078620A1 (zh) * | 2022-10-14 | 2024-04-18 | 上海翰森生物医药科技有限公司 | 含氮杂环类衍生物抑制剂、其制备方法和应用 |
US20240239767A1 (en) | 2022-12-16 | 2024-07-18 | Astrazeneca Ab | Pcsk9 inhibitors and methods of use thereof |
WO2025007915A1 (zh) * | 2023-07-04 | 2025-01-09 | 上海翰森生物医药科技有限公司 | 一类含氮杂环类衍生物抑制剂、其制备方法和应用 |
WO2025021188A1 (zh) * | 2023-07-27 | 2025-01-30 | 上海拓界生物医药科技有限公司 | 二氨基环戊基取代的杂芳基衍生物及其用途和制备方法 |
WO2025045777A1 (en) * | 2023-08-25 | 2025-03-06 | Draupnir Bio Aps | Inhibitors of pcsk9 |
WO2025067126A1 (zh) * | 2023-09-25 | 2025-04-03 | 深圳信立泰药业股份有限公司 | 一种吡啶酮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
Family Cites Families (35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108097A (en) | 1963-10-22 | Ehnojs | ||
US267A (en) | 1837-07-11 | Mcode of hanging ob suspending a band-wheel in those hobse-powebs in | ||
US238A (en) | 1837-06-15 | Capstan | ||
US2882271A (en) | 1959-04-14 | Xcixcxh | ||
US2809194A (en) | 1957-10-08 | Thiadiazine type natriuretic agents | ||
US3962A (en) | 1845-03-21 | Fowler m | ||
US3164588A (en) | 1965-01-05 | Hjnsoj | ||
US2661372A (en) | 1953-12-01 | Pharmacologically valuable stereo | ||
US3562A (en) | 1844-04-25 | Improvement in seed-planters | ||
US3262852A (en) | 1966-07-26 | Vasodilator and anti-anginose com- pounds containing methoxy benzyl piperazine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 ||
SE168308C1 (ko) | ||||
US2783241A (en) | 1957-02-26 | S-acylimino-x-substituted-az-i | ||
US115905A (en) | 1871-06-13 | Improvement in trunks | ||
US3935A (en) | 1845-02-28 | Improvement in machines for cutting sausage-meat | ||
US2937169A (en) | 1960-05-17 | Toiutf alrtqn of h | ||
US3009911A (en) | 1961-11-21 | Derivatives of j | ||
US2976289A (en) | 1961-03-21 | X-tetrahydro - | ||
US3254076A (en) | 1966-05-31 | Sulfamyl hydro | ||
US30577A (en) | 1860-11-06 | Truss-bridge | ||
US2161938A (en) | 1934-07-31 | 1939-06-13 | Soc Of Chemical Ind | Imidazolines |
US2357985A (en) | 1940-07-30 | 1944-09-12 | Research Corp | Synthesis of hexoestrol |
DE905738C (de) | 1943-06-11 | 1954-11-02 | Diwag Chemische Fabriken Ag | Verfahren zur Herstellung basischer Thymoldimethylaminoaethylaether |
US2500444A (en) | 1944-10-10 | 1950-03-14 | Polaroid Corp | Uramidohomomeroquinene |
AT168063B (de) | 1948-11-23 | 1951-04-10 | Richter Gedeon Vegyeszet |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neuen asymmetrischen Substitutionsprodukten des 2,4-Diamino-1,3,5-Triazins |
DE860217C (de) | 1950-10-28 | 1952-12-18 | Albert Ag Chem Werke |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1-Hexyl-3, 7-dimethylxanthin |
GB740932A (en) | 1952-08-01 | 1955-11-23 | Rhone Poulenc Sa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henthiazine derivatives |
US2661373A (en) | 1953-03-02 | 1953-12-01 | Kulz Ida | Certain amino alcohols and ketones |
US2816118A (en) | 1953-11-12 | 1957-12-10 | S B Penick & Company Inc | Isolation of crystalline components from visnagan |
FR1103113A (fr) | 1954-04-15 | 1955-10-31 | Triméthylol-alcanes et leur procédé de préparation | |
GB769757A (en) | 1954-05-13 | 1957-03-13 | American Cyanamid Co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manufacture of sulfonamides |
US2769015A (en) | 1954-10-06 | 1956-10-30 | Lab Laroche Navarron | Process of preparing 3-methyl-chromone |
GB795174A (en) | 1954-10-13 | 1958-05-21 | Upjohn Co | Heterocyclic sulphonamides |
GB807826A (en) | 1955-03-14 | 1959-01-21 | Thomae Gmbh Dr K | Derivatives of pyrimido[5,4-d] pyrimidine and production thereof |
FR1165845A (fr) | 1955-05-28 | 1958-10-29 | Philips Nv | Amines secondaires portant des substituants et leur préparation |
GB803372A (en) | 1955-11-02 | 1958-10-22 | Recordati Lab Farmacologico S | Hydroxychromone derivatives and methods of preparing the same |
US3012042A (en) | 1956-12-21 | 1961-12-05 | Belge Produits Chimiques Sa | Benzofurans |
NL224562A (ko) | 1957-02-05 | |||
US2980679A (en) | 1957-04-04 | 1961-04-18 | Omikron Gagliardi Societa Di F | Process for preparing heterocyclic sulfonamides |
GB824547A (en) | 1957-05-07 | 1959-12-02 | Recordati Lab Farmacologico S | Process for preparing flavone-7-ethyl oxyacetate |
US3055904A (en) | 1957-11-04 | 1962-09-25 | Geigy Chem Corp | New isoindoline derivatives |
US2965655A (en) | 1957-11-07 | 1960-12-20 | Merck & Co Inc | Process for preparing substituted 1-amino 2, 4-benzene-disulfonamides |
US2965656A (en) | 1957-11-07 | 1960-12-20 | Merck & Co Inc | Process for preparing substituted 1-amino-2, 4-benzene-disulfonamides |
US2980699A (en) | 1957-12-20 | 1961-04-18 | S B Penick And Company | Dihydropyranocoumarin derivatives and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
FR1217929A (fr) | 1958-03-03 | 1960-05-06 | Ciba Geigy | Procédé de préparation du 1,1-dioxyde de la 6-chloro-7-sulfamyl-3,4-dihydro-1,2,4-benzothiadiazine et de ses sels |
CH366523A (de) | 1958-04-14 | 1963-01-15 | Eprova Ag |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neuen 1,3,4,6- und 1,3,4,5-Tetranicotinoyl-fructose |
NL238796A (ko) | 1958-05-07 | |||
GB851287A (en) | 1958-07-10 | 1960-10-12 | British Drug Houses Ltd | 5-chlorotoluene-2:4-disulphonamide and alkali metal salts thereof |
DE1102750B (de) | 1958-07-17 | 1961-03-23 | Wuelfing J A Fa |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alzes von Theophyllinbasen |
GB856409A (en) | 1958-07-26 | 1960-12-14 | Chime Et Atomistique |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a new pyridazine derivative and its process of preparation |
GB862248A (en) | 1958-08-04 | 1961-03-08 | Italseber S P A | Di-isopropylammonium salts of chloroacetic and chloropropionic acids |
US2970082A (en) | 1958-10-07 | 1961-01-31 | Walker Lab Inc | Aluminum nicotinate compositions for hypercholesteremia |
GB885078A (en) | 1959-01-12 | 1961-12-20 | Ciba Ltd | 3:4-dihydro-1:2:4-benzothiadiazine-1:1-dioxides and process for their manufacture |
ES255386A1 (es) | 1959-02-04 | 1960-09-16 | Ciba Geigy | Procedimiento para preparar derivados del 3,4-dihidro-1,2,4-benzotiadiazina-1,1,-diëxido |
US3058882A (en) | 1959-12-28 | 1962-10-16 | Hoechst Ag | N'-substituted-3-carboxy-6-halo-sulfanilamide and derivatives thereof |
DE1102973B (de) | 1960-03-25 | 1961-03-23 | Bayer Ag |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och gereinigten Kallikrein-Praeparaten |
NL291944A (ko) | 1960-05-04 | |||
DE1265758B (de) | 1960-05-25 | 1968-04-11 | Guidotti & C Spa Labor |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o-(beta-Dialkylaminoaethoxy)-phenylketonen und deren Saeureadditionssalzen und quartaeren Salzen |
US3081230A (en) | 1960-09-08 | 1963-03-12 | Smith Kline French Lab | Diuretic and antihypertensive triaminoarylpteridines |
DE1302648B (ko) | 1960-09-27 | |||
SE300218B (ko) | 1960-11-08 | 1968-04-22 | Recip Ab | |
NL270803A (ko) | 1960-11-09 | |||
US3255241A (en) | 1961-01-19 | 1966-06-07 | Merck & Co Inc | (2-alkylidene acyl)phenoxy-and (2-alkylidene acyl)phenylmercaptocarboxylic acids |
US3072653A (en) | 1961-03-06 | 1963-01-08 | Warner Lamber Pharmaceutical C | 5-amino derivatives of 4-thiazolidinones and process therefor |
DE1154810B (de) | 1961-04-01 | 1963-09-26 | Knoll Ag | Verfahren zur Herstellung basisch substituierter Phenylacetonitrile |
FR1312427A (fr) | 1961-04-12 | 1962-12-21 | Science Union Et Compagnie Soc | Nouveaux dérivés de la pipérazine et leurs préparations |
GB979994A (en) | 1961-07-28 | 1965-01-06 | May & Baker Ltd | Isoindolinone derivatives |
NL281593A (ko) | 1961-07-31 | |||
US3160641A (en) | 1961-08-07 | 1964-12-08 | Atlas Chem Ind | Purification of isosorbide |
NL281975A (ko) | 1961-08-12 | |||
DE1518133B1 (de) | 1961-10-05 | 1970-08-20 | Farmaceutici Italia |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neuen hypotensiv wirkenden Hendekapeptids |
DE1236523C2 (de) | 1962-02-15 | 1975-06-12 | Sanol-Arzneimittel Dr. Schwarz Gmbh, 4019 Monheim |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asischen phenylaethern und deren salzen |
US3262977A (en) | 1962-03-10 | 1966-07-26 | Chinoin Gyogyszer Es Vegyeszet | N-aralkyl-1, 1-diphenyl-propylamine derivatives |
BE629910A (ko) | 1962-03-22 | |||
US3188329A (en) | 1962-04-10 | 1965-06-08 | Colgate Palmolive Co | Diuretic anils |
US3228943A (en) | 1962-06-11 | 1966-01-11 | Lumilysergol derivatives | |
US3338899A (en) | 1962-07-09 | 1967-08-29 | Aron Samuel | 3-phenyl-5-amino-1, 2, 4-oxadiazole compounds |
US3265573A (en) | 1962-07-27 | 1966-08-09 | Squibb & Sons Inc | Benzothiadiazinesulfonamide-1, 1-dioxide composition |
BE639386A (ko) | 1962-10-30 | |||
NL300886A (ko) | 1962-11-23 | |||
NL301580A (ko) | 1962-12-11 | |||
NL142872C (ko) | 1963-03-28 | |||
FR2790M (fr) | 1963-05-24 | 1964-10-16 | Soc Ind Fab Antibiotiques Sifa | Nouveaux dérivés des thiachromanes. |
FR1365504A (fr) | 1963-05-24 | 1964-07-03 | Soc Ind Fab Antibiotiques Sifa | Nouveaux dérivés des thiachromanes et procédé de préparation |
GB1069343A (en) | 1963-09-10 | 1967-05-17 | Ici Ltd | Propanolamine derivatives |
US3238215A (en) | 1963-10-17 | 1966-03-01 | Sterling Drug Inc | 1-[(3-, 2-, and 1-indolyl)-lower-alkyl-, lower-alkenyl-, and lower-alkynyl]piperidines |
NL127996C (ko) | 1963-11-19 | |||
BR6464291D0 (pt) | 1963-11-26 | 1973-07-26 | Merrell Inc Richardson | Processo para preparar o novo composto quimico 1-1-di cloro-hexil-2-(2-piperidil)-etina |
DE1278443C2 (de) | 1963-11-30 | 1975-07-24 | Bayer Ag, 5090 Leverkusen |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2,4-disulfonamid-1-chlorbenzolen |
NL128190C (ko) | 1964-02-07 | |||
FR1390056A (fr) | 1964-04-21 | 1965-02-19 | Holding Ceresia S A | Procédé de préparation de nouveaux dérivés du tétrahydronaphtalène et produits conformes à ceux obtenus par le présent procédé ou procédé similaire |
NL127065C (ko) | 1964-04-22 | |||
NL137318C (ko) | 1964-06-09 | |||
US3422107A (en) | 1964-09-05 | 1969-01-14 | Albert Ag Chem Werke | Certain oxoalkyldimethylxanthines and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NL130749C (ko) | 1964-09-10 | |||
GB1078852A (en) | 1964-09-30 | 1967-08-09 | Ici Ltd | Alkanolamine derivatives |
NL6514807A (ko) | 1964-11-18 | 1966-05-20 | ||
NL128191C (ko) | 1965-01-12 | |||
US3929836A (en) | 1965-05-11 | 1975-12-30 | Hoffmann La Roche | 2-(2-Lower alkylamino-1-hydroxy-ethyl)-substituted benzofurans |
FR1460571A (fr) | 1965-06-10 | 1966-03-04 | Innothera Lab Sa | Composés thiényl acétiques et leur préparation |
DE1270544B (de) | 1965-06-19 | 1968-06-20 | Beiersdorf Ag | 4-Chlor-5-sulfamylsalicylsaeure-(2', 6'-dimethyl)-anilid und dessen Alkali- oder Ammonium-Salze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
DE1545575C2 (de) | 1965-12-16 | 1970-09-10 | Asta-Werke Ag, Chemische Fabrik, 4812 Brackwede | N, N'-Bis- eckige Klammer auf 3"(3', 4', 5'-trimethoxybenzoyloxy)-propyl eckige Klammer zu -homopiperazin |
US3360518A (en) | 1966-01-03 | 1967-12-26 | Wallace & Tiernan Inc | Tetrahydro-halo-sulfamyl quinazolinones |
CH472404A (de) | 1966-03-04 | 1969-05-15 | Sandoz Ag | Verfahren zur Herstellung neuer Indolderivate |
CH469002A (de) | 1966-06-21 | 1969-02-28 | Sandoz Ag | Verfahren zur Herstellung neuer Indolderivate |
FR5733M (ko) | 1966-09-27 | 1968-01-22 | ||
FR6087M (ko) | 1967-01-10 | 1968-06-04 | ||
US3940489A (en) | 1967-02-06 | 1976-02-24 | Boehringer Ingelheim Gmbh | Therapeutic compositions and method |
US3961071A (en) | 1967-02-06 | 1976-06-01 | Boehringer Ingelheim Gmbh | Therapeutic compositions and method |
GB1160925A (en) | 1967-02-08 | 1969-08-06 | Menarini Sas | 2-Substituted Benzofuran Derivatives |
DE1668055B2 (de) | 1967-03-10 | 1973-09-06 | Farbwerke Hoechst AG, vormals Mei ster Lucius & Bruning, 6000 Frankfurt | Basisch substituierte cyclopentylphenolaether, deren salze mit physiologisch vertraeglichen saeuren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
DE1670827C3 (de) | 1967-03-20 | 1974-10-24 | Bayer Ag, 5090 Leverkusen | 4-(2'-Nitrophenyl)-2,6-dimethyl-3,5-dicarbmethoxy-1,4-dihydropyridin |
US3563997A (en) | 1967-12-04 | 1971-02-16 | Yoshitomi Pharmaceutical | Certain thieno(2,3-c)pyridines |
US3511836A (en) | 1967-12-13 | 1970-05-12 | Pfizer & Co C | 2,4,6,7-tetra substituted quinazolines |
US3857952A (en) | 1967-12-22 | 1974-12-31 | May & Baker Ltd | Certain benzene derivatives useful in treating cardiac disorders |
FR2003097A1 (en) | 1968-03-02 | 1969-11-07 |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 Cpds. of general formula (I) A=CH or N Spasmolytics and peripheral vasodilators. Dose: 100-200 mg/d. (p.o). Z and X are OH or reactive |
GB1203691A (en) | 1968-03-06 | 1970-09-03 | Science Union & Cie | New disubstituted n-amino indoline derivative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m |
GB1218591A (en) | 1968-04-03 | 1971-01-06 | Delalande Sa | Derivatives of n-(3,4,5-trimethoxy cennamoyl) piperazine and their process of preparation |
US4045482A (en) | 1968-11-12 | 1977-08-30 | Yamanouchi Pharmaceutical Co. Ltd. | 4-(3-Isopropylamino-2-hydroxypropoxy indene |
DE1815922C3 (de) | 1968-12-20 | 1979-04-26 | Boehringer Mannheim Gmbh, 6800 Mannheim | 5-Phenyltetrazol-Derivate |
FR8120M (ko) | 1968-12-26 | 1970-08-03 | ||
US3836671A (en) | 1969-02-21 | 1974-09-17 | Ici Ltd | Alkanolamine derivatives for producing beta-adrenergic blockade |
GB1285038A (en) | 1969-02-21 | 1972-08-09 | Ici Ltd | Alkanolamine derivatives |
US3655663A (en) | 1969-04-21 | 1972-04-11 | Burton K Wasson | 4-(3-secondary amino-2-hydroxy-proxy) 1 2 5-thiadiazoles |
US3663570A (en) | 1969-04-28 | 1972-05-16 | Sankyo Co | Coumarin derivatives |
GB1262785A (en) | 1969-04-29 | 1972-02-09 | Orsymonde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hloroglucinol derivatives |
CA956632A (en) | 1969-05-16 | 1974-10-22 | Yoshitomi Pharmaceutical Industries | Phenoxy-aminopropanol derivatives |
US4012444A (en) | 1969-07-08 | 1977-03-15 | Allen & Hanburys Limited | 5-[1-Hydroxy-2-(1-methyl-3-phenylpropyl)aminoethyl] salicylamide and physiologically acceptable acid addition salts thereof |
US3634583A (en) | 1969-07-24 | 1972-01-11 | Leo Pharm Prod Ltd |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oedematous conditions and hypertension |
BE757001A (fr) | 1969-10-10 | 1971-03-16 | Cerpha | Derives heterocycliques d'acides phenoxy acetique et leur preparation |
US4018824A (en) | 1969-11-28 | 1977-04-19 | Teikoku Hormone Mfg. Co., Ltd. | 1-Aryloxy-3-aminopropane derivatives |
US4038313A (en) | 1970-01-08 | 1977-07-26 | Ciba-Geigy Corporation | Cycloalkylureido phenoxy propanolamines |
US3935259A (en) | 1970-01-08 | 1976-01-27 | Ciba-Geigy Corporation | New amines and processes for their manufacture |
SE354851B (ko) | 1970-02-18 | 1973-03-26 | Haessle Ab | |
US3770724A (en) | 1970-03-31 | 1973-11-06 | Roussel Uclaf | Process for preparing pentacyclic alkaloids |
GB1308191A (en) | 1970-04-06 | 1973-02-21 | Science Union & Cie | Thiochroman derivatives and a process for preparing them |
US3663597A (en) | 1970-05-05 | 1972-05-16 | American Home Prod | Process for the purification of cyclandelate |
FR2092133B1 (ko) | 1970-05-06 | 1974-03-22 | Orsymonde | |
US3669968A (en) | 1970-05-21 | 1972-06-13 | Pfizer | Trialkoxy quinazolines |
US4059622A (en) | 1970-05-27 | 1977-11-22 |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Limited | Alkanolamine derivatives |
FR2092895B1 (ko) | 1970-06-29 | 1973-07-13 | Lafon Victor | |
DE2117571C3 (de) | 1971-04-10 | 1979-10-11 | Bayer Ag, 5090 Leverkusen | Unsymmetrische 1,4-Dihydropyridin-33-dicarbonsäureester,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ihre Verwendung als Arzneimittel |
US3853923A (en) | 1971-05-13 | 1974-12-10 | Kakenyaku Kako Kk | 2-substituted-(2-hydroxy-3-lower alkaminopropoxy)-benzofurans |
DE2815926A1 (de) | 1978-04-13 | 1979-10-18 | Boehringer Mannheim Gmbh | Neue carbazolyl-(4)-oxy-propanolamin-deriva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diese verbindungen enthaltende arzneimittel |
US3773939A (en) | 1971-11-24 | 1973-11-20 | Janssen Pharmaceutica Nv | N-arallyl-n'-aralkyl piperazin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
JPS5229318B2 (ko) | 1972-03-30 | 1977-08-01 | ||
US3910924A (en) | 1972-04-13 | 1975-10-07 | Otsuka Pharma Co Ltd | 3,4-Dihydrocarbostyril derivatives and a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
ZA732937B (en) | 1972-05-05 | 1974-03-27 | Maggioni & C Spa | Non mercurial diuretics |
GB1435139A (en) | 1972-08-17 | 1976-05-12 | Sumitomo Chemical Co | Thiazole derivatives |
US3985758A (en) | 1973-02-20 | 1976-10-12 | Yamanouchi Pharmaceutical Co., Ltd. | 1,4-Dihydropyridine derivatives |
GB1390748A (en) | 1973-04-09 | 1975-04-16 | Continental Pharma | Alkyl and cycloalkylthiophenylalkylaminoalkanols their salts and the preparation thereof |
DE2319278C2 (de) | 1973-04-17 | 1986-02-20 | Bayer Ag, 5090 Leverkusen | Pharmazeutisches Mittel |
US3857981A (en) | 1973-06-20 | 1974-12-31 | Armour & Co | Preserving red color in red meats |
US4062950A (en) | 1973-09-22 | 1977-12-13 | Bayer Aktiengesellschaft | Amino sugar derivatives |
US4146643A (en) | 1973-12-18 | 1979-03-27 | Sandoz Ltd. | Increasing vigilance or treating cerebral insufficiency with substituted vincamines |
AT334385B (de) | 1973-12-20 | 1976-01-10 | Chemie Linz Ag |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neuen phenoxypropylaminderivaten und deren salzen |
NL175059C (nl) | 1974-02-23 | Boehringer Mannheim Gmbh | Bereiding van bloeddrukverlagende stoffen en van preparaten die ze bevatten. | |
GB1501632A (en) | 1974-06-28 | 1978-02-22 | Cm Ind | Aromatic ketones having cardiovascular activity |
GB1477664A (en) | 1974-04-17 | 1977-06-22 | Christiaens Sa A | Pyridine derivatives |
DE2419970C3 (de) | 1974-04-25 | 1980-06-12 | Hoechst Ag, 6000 Frankfurt | 3-<l-Pyrrolidinyl)-4-phenoxy-5sulfamoylbenzoesäur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
DE2521113A1 (de) | 1974-05-15 | 1976-03-18 | Maggioni & C Spa | Cycloaliphatische derivate von 3.3-diphenylpropylamin |
JPS5612114B2 (ko) | 1974-06-07 | 1981-03-18 | ||
US4338322A (en) | 1975-07-02 | 1982-07-06 | Fujisawa Pharmaceutical Co., Ltd. | 1,4-Dihydropyridine derivative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and methods of effecting vasodilation using same |
US4129565A (en) | 1975-07-11 | 1978-12-12 | Nisshin Flour Milling Co., Ltd. | Isocarbostyril derivatives |
US4340541A (en) | 1975-08-15 | 1982-07-20 | Sandoz Ltd. | 4-(2-Benzoyloxy-3-tert.-butylaminopropoxy-2-methyl indole |
US4035750A (en) | 1975-10-14 | 1977-07-12 | Eastman Kodak Company |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having improved photoconductor regenerative structure and procedure |
US4105776A (en) | 1976-06-21 | 1978-08-08 | E. R. Squibb & Sons, Inc. | Proline derivatives and related compounds |
US4154839A (en) | 1975-11-05 | 1979-05-15 | Bayer Aktiengesellschaft | 2,6-Dimethyl-3-carboxymethoxy-4-(2-nitrophenyl)-5-carbisobutoxy-1,4-dihydropyridine |
FR2330383A1 (fr) | 1975-11-06 | 1977-06-03 | Synthelabo | Nouveaux ethers de phenols substitues, leurs sels, leur preparation et les medicaments qui les renferment |
US4046889A (en) | 1976-02-13 | 1977-09-06 | E. R. Squibb & Sons, Inc. | Azetidine-2-carboxylic acid derivatives |
GB1544872A (en) | 1976-06-25 | 1979-04-25 | Sterling Drug Inc | 4-hydroxyphenylalkanolamine derivatives and preparation thereof |
DE2645710C2 (de) | 1976-10-09 | 1985-06-27 | Merck Patent Gmbh, 6100 Darmstadt | Phenoxy-amino-propanol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pharmazeutische Zubereitung |
JPS608117B2 (ja) | 1977-02-08 | 1985-02-28 | 財団法人微生物化学研究会 | 新生理活性物質エステラスチンおよびその製造法 |
DE2719912C3 (de) | 1977-05-04 | 1979-12-06 | Bayer Ag, 5090 Leverkusen | Verfahren zur Isolierung von 0- |4,6-Dideoxy-4- [JJl S-O,4,6/5)-4,5,6-trihydroxy-3-hydroxymethyl-2cyclohexen-1-yl] -amino] - a -D-glucopyranosyl} -(I Pfeil nach rechts 4)-0- a D-glucopyranosyl-(l Pfeil nach rechts 4)-D-glucopyranose aus Kulturbrühen |
US4466972A (en) | 1977-06-20 | 1984-08-21 | Sandoz Ltd. | Benzoxadiazoles and benzothiadiazoles, their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
DE2733747C2 (de) | 1977-07-27 | 1979-09-27 | Hoechst Ag, 6000 Frankfurt |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2,2 Dichlorhydrazobenzol |
NO154918C (no) | 1977-08-27 | 1987-01-14 | Bayer Ag | Analogifremgangsmaate til fremstilling av terapeutisk aktive derivater av 3,4,5-trihydroksypiperidin. |
CA1147342A (en) | 1977-10-12 | 1983-05-31 | Kazuo Imai | Process of producing novel phenylethanolamine derivatives |
US4188390A (en) | 1977-11-05 | 1980-02-12 | Pfizer Inc. | Antihypertensive 4-amino-2-[4-(1,4-benzodioxan-2-carbonyl) piperazin-1-yl or homopiperazin-1-yl]quinazolines |
IT1088554B (it) | 1977-11-17 | 1985-06-10 | F I D I A Spa | Procedimento sellettivo per la preparazione di derivati della 7-indrossi cumarina |
JPS5953920B2 (ja) | 1977-12-28 | 1984-12-27 | 東洋醸造株式会社 | 新規なアミノ糖化合物およびその製法 |
CA1121290A (en) | 1978-02-14 | 1982-04-06 | Yasuji Suhara | Amino sugar derivatives |
JPS55301A (en) | 1978-02-14 | 1980-01-05 | Yamanouchi Pharmaceut Co Ltd | 1,4-dihydropyridine-3,5-dicarboxylic ester derivative and its preparation |
IT1094076B (it) | 1978-04-18 | 1985-07-26 | Acraf | Cicloalchiltriazoli |
US4172896A (en) | 1978-06-05 | 1979-10-30 | Dainippon Pharmaceutical Co., Ltd. | Methane-sulfonamide derivatives, the preparation thereof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
SE429652B (sv) | 1978-06-30 | 1983-09-19 | Haessle Ab | 2.6-dimetyl-4-(2.3-diklorfenyl)-1.4-dihydropyridin-3.5-dikarboxylsyra-3-metylester-5-etylester |
JPS559058A (en) | 1978-07-06 | 1980-01-22 | Dainippon Pharmaceut Co Ltd | 1-(3-mercapto-2-methylpropanoyl)prolyl amino acid derivative |
DE2845770A1 (de) | 1978-10-19 | 1980-04-30 | Schering Ag | Neue prostacyclin-derivat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
IL58849A (en) | 1978-12-11 | 1983-03-31 | Merck & Co Inc | Carboxyalkyl dipeptides and derivatives thereof,their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
US4231938A (en) | 1979-06-15 | 1980-11-04 | Merck & Co., Inc. | Hypocholesteremic fermentation products and process of preparation |
DE2928485A1 (de) | 1979-07-14 | 1981-01-29 | Bayer Ag | Verwendung von harnstoffderivaten als arzneimittel bei der behandlung von fettstoffwechselstoerungen |
US4508729A (en) | 1979-12-07 | 1985-04-02 | Adir | Substituted iminodiacids, their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
US4444784A (en) | 1980-08-05 | 1984-04-24 | Merck & Co., Inc. | Antihypercholesterolemic compounds |
JPS56110665A (en) | 1980-02-08 | 1981-09-01 | Yamanouchi Pharmaceut Co Ltd | Sulfamoyl-substituted phenetylamine derivative and its preparation |
SE8004087L (sv) | 1980-06-02 | 1981-12-03 | Haessle Ab | Nya parasubstituerade 3-fenoxi-1-alkylaminopropanol-2-er med betareceptorblockerande egenskaper, samt forfarande for deras framstellning, farmaceutiska beredningar innehallande desamma, och metod att behandla akut ... |
MX7065E (es) | 1980-06-06 | 1987-04-10 | Sankyo Co | Un procedimiento microbiologico para preparar derivados de ml-236b |
US4394382A (en) | 1980-06-17 | 1983-07-19 | Kowa Company, Ltd. | Dihydrobenzopyran compound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said compounds |
US4450171A (en) | 1980-08-05 | 1984-05-22 | Merck & Co., Inc. | Antihypercholesterolemic compounds |
US4344949A (en) | 1980-10-03 | 1982-08-17 | Warner-Lambert Company | Substituted acyl derivatives of 1,2,3,4-tetrahydroisoquinoline-3-carboxylic acids |
ES8207217A1 (es) | 1980-10-09 | 1982-09-01 | Hoechst Ag | Procedimiento para la preparacion de un inactivador de alfa-amilasa |
US4470972A (en) | 1981-04-28 | 1984-09-11 | Schering Corporation | 7-Carboxyalkylaminoacyl-1,4-dithia-7-azaspiro[4.4]-nonane-8-carboxylic acids |
ZA817261B (en) | 1980-10-23 | 1982-09-29 | Schering Corp | Carboxyalkyl dipeptides,processes for their produc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
US4337201A (en) | 1980-12-04 | 1982-06-29 | E. R. Squibb & Sons, Inc. | Phosphinylalkanoyl substituted prolines |
FR2496699B1 (fr) | 1980-12-22 | 1985-06-21 | Siderurgie Fse Inst Rech | Lance de soufflage de gaz oxydant, notamment d'oxygene, pour le traitement des metaux en fusion |
EP0056194B1 (en) | 1981-01-05 | 1984-09-12 |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 N-substituted pseudo-aminosugars, their production and use |
US4452813A (en) | 1981-05-22 | 1984-06-05 | Taiho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 Sulfonate derivatives, process for preparing same and antilipemic compositions containing the derivative |
JPS57209270A (en) | 1981-06-19 | 1982-12-22 | Chugai Pharmaceut Co Ltd | Proline derivative |
US4410520A (en) | 1981-11-09 | 1983-10-18 | Ciba-Geigy Corporation | 3-Amino-[1]-benzazepin-2-one-1-alkanoic acids |
NZ202903A (en) | 1981-12-29 | 1988-01-08 | Hoechst Ag | 1-- pe pyrrol-2-yl-carboxylic acid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
US4555502A (en) | 1982-09-30 | 1985-11-26 | Merck & Co., Inc. | Aminoacyl-containing dipeptide derivatives useful as antihypertensives |
DK161312C (da) | 1982-03-11 | 1991-12-09 | Pfizer | Analogi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af 2-aminoalkoxymethyl-4-phenyl-6-methyl-1,4-dihydropyridin-3,5-dicarboxylsyreestere eller syreadditionssalte deraf samt phthalimidoderivater til anvendelse som udgangsmateriale ved fremgangsmaaden |
US4448784A (en) | 1982-04-12 | 1984-05-15 | Hoechst-Roussel Pharmaceuticals, Inc. | 1-(Aminoalkylphenyl and aminoalkylbenzyl)-indoles and indolines and analgesic method of use thereof |
ATE50987T1 (de) | 1982-05-10 | 1990-03-15 |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 Dihydropyridinderivate,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
JPS6058233B2 (ja) | 1982-05-24 | 1985-12-19 | 田辺製薬株式会社 | 2−オキソイミダゾリジン誘導体及びその製法 |
US4452790A (en) | 1982-06-23 | 1984-06-05 | E. R. Squibb & Sons, Inc. | Phosphonyl hydroxyacyl amino acid derivatives as antihypertensives |
US4463176A (en) | 1982-09-13 | 1984-07-31 | Mead Johnson & Company | Process for resolution of optical isomers |
EP0106275B1 (en) | 1982-10-15 | 1991-03-13 | Kyowa Hakko Kogyo Co., Ltd. | 1,4-dihydropyridine derivatives |
US4739073A (en) | 1983-11-04 | 1988-04-19 | Sandoz Pharmaceuticals Corp. | Intermediates in the synthesis of indole analogs of mevalonolactone and derivatives thereof |
US4567175A (en) | 1983-06-03 | 1986-01-28 | Tanabe Seiyaku Co., Ltd. | 8-Chloro-1,5-benzothiazepine derivatives |
CA1247547A (en) | 1983-06-22 | 1988-12-28 | Paul Hadvary | Leucine derivatives |
US4678783B1 (en) | 1983-11-04 | 1995-04-04 | Asahi Chemical Ind | Substituted isoquinolinesulfonyl compounds |
US4654362A (en) | 1983-12-05 | 1987-03-31 | Janssen Pharmaceutica, N.V. | Derivatives of 2,2'-iminobisethanol |
DK520784A (da) | 1984-01-21 | 1985-07-22 | Hoechst Ag | Cycliske polypeptider, deres fremstilling og anvendelse |
GB8403866D0 (en) | 1984-02-14 | 1984-03-21 | Recordati Chem Pharm | Diphenylalkylaminoalkyl esters |
JPS60222472A (ja) | 1984-03-30 | 1985-11-07 | Kanebo Ltd | 新規なピペラジン誘導体および該化合物を有効成分とする医薬組成物 |
US4699905A (en) | 1984-04-10 | 1987-10-13 | Sankyo Company, Limited | Perhydrothiazepine derivatives, their preparation and their therapeutic use |
US4672068A (en) | 1984-05-04 | 1987-06-09 | Fujirebio Kabushiki Kaisha | Antihypertensive 1,4-dihydropyridines having a conjugated ester |
NZ212895A (en) | 1984-08-22 | 1988-07-28 | Glaxo Spa | 1,4-dihydropyridine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
US4634765A (en) | 1984-12-18 | 1987-01-06 | Merrell Dow Pharmaceuticals Inc. | Homodisaccharide hypoglycemic agents |
AU587057B2 (en) | 1985-07-29 | 1989-08-03 | Santen Pharmaceutical Co. Ltd. | 1,4-dihydro-3-oxo-2-(substituted phenyl)-benzothiazine derivatives |
US4885284A (en) | 1986-01-22 | 1989-12-05 | Nissan Chemical Industries Ltd. | Dihydropyridine-5-phosphonic acid cyclic propylene ester |
US4847271A (en) | 1986-01-27 | 1989-07-11 | Merck & Co., Inc. | Antihypercholesterolemic β-lactones |
GB8608335D0 (en) | 1986-04-04 | 1986-05-08 | Pfizer Ltd |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
US5138069A (en) | 1986-07-11 | 1992-08-11 |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 Angiotensin II receptor blocking imidazoles |
DK171349B1 (da) | 1986-11-14 | 1996-09-16 | Hoffmann La Roche | Tetrahydronaphthalenderivater,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deraf, lægemidler indeholdende forbindelserne samt anvendelse af forbindelserne til fremstilling af lægemidler |
US5041432A (en) | 1987-01-30 | 1991-08-20 |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 Steroid derivatives useful as hypocholesterolemics |
EP0302980B1 (fr) | 1987-08-03 | 1991-03-13 | Laboratorios Delagrange S.A. | 1,4-Dihydropyridines, leur procédé de préparation et leur application comme médicaments |
JP2569746B2 (ja) | 1987-08-20 | 1997-01-08 |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 キノリン系メバロノラクトン類 |
CA1336714C (en) | 1987-08-20 | 1995-08-15 | Yoshihiro Fujikawa | Quinoline type mevalonolactone inhibitors of cholesterol biosynthesis |
US5192772A (en) | 1987-12-09 | 1993-03-09 | Nippon Shinyaku Co. Ltd. | Therapeutic agents |
US4804770A (en) | 1988-04-29 | 1989-02-14 | E. R. Squibb & Sons, Inc. | Process for preparing a keto-phosphonate intermediate useful in preparing HMG-CoA reductase inhibitors |
EP0344383A1 (en) | 1988-06-02 | 1989-12-06 | Merrell Dow Pharmaceuticals Inc. | Novel alpha-Glucosidase inhibitors |
KR0162656B1 (ko) | 1988-10-13 | 1999-01-15 | 로쓰 비엠, 하우스 한스-루돌프 | 7-치환된-헵트-6-엔산 및 -헵탄산과 그의 유도체 및 그의 중간체의 제조방법 |
DE3836675A1 (de) | 1988-10-28 | 1990-05-03 | Hoechst Ag | Glykosidase-inhibitor salbostatin,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seine verwendung |
WO1990005132A1 (en) | 1988-11-11 | 1990-05-17 | Banyu Pharmaceutical Co., Ltd. | Substituted allylamine derivatives,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
US5185351A (en) | 1989-06-14 | 1993-02-09 |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 Imidazolyl-alkenoic acids useful as angiotensin II receptor antagonists |
FI94339C (fi) | 1989-07-21 | 1995-08-25 | Warner Lambert Co | Menetelmä farmaseuttisesti käyttökelpoisen /R-(R*,R*)/-2-(4-fluorifenyyli)- , -dihydroksi-5-(1-metyylietyyli)-3-fenyyli-4-/(fenyyliamino)karbonyyli/-1H-pyrroli-1-heptaanihapon ja sen farmaseuttisesti hyväksyttävien suolojen valmistamiseksi |
US5064856A (en) | 1989-07-31 | 1991-11-12 | Merck & Co., Inc. | Novel hmg-coa synthase inhibitors |
US5391571A (en) | 1989-11-15 | 1995-02-21 | American Home Products Corporation | Cholesterol ester hydrolase inhibitors |
ES2084801T3 (es) | 1990-02-19 | 1996-05-16 | Ciba Geigy Ag | Acil compuestos. |
US5270317A (en) | 1990-03-20 | 1993-12-14 | Elf Sanofi | N-substituted heterocyclic derivatives, their preparation and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in which they are present |
US5051534A (en) | 1990-03-22 | 1991-09-24 | Merrell Dow Pharmaceuticals Inc. | Novel cyclopropyl squalene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inhibitors of cholesterol synthesis |
US5102915A (en) | 1990-03-22 | 1992-04-07 | Merrell Dow Pharmaceuticals Inc. | Cyclopropyl squalene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inhibitors of cholesterol synthesis |
US5011859A (en) | 1990-03-30 | 1991-04-30 | Merrell Dow Pharmaceuticals Inc. | Di- and tetra-fluoro analogs of squalene as inhibitors of squalene epoxidase |
US5064864A (en) | 1990-03-30 | 1991-11-12 | Merrell Dow Pharmaceuticals Inc. | Di- and tetra-fluoro analogs of squalene as inhibitors of squalene epoxidase |
US5196444A (en) | 1990-04-27 | 1993-03-23 |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 1-(cyclohexyloxycarbonyloxy)ethyl 2-ethoxy-1-[[2'-(1H-tetrazol-5-yl)biphenyl-4-yl]methyl]benzimidazole-7-carboxylate and compositions and methods of pharmaceutical use thereof |
US5504078A (en) | 1990-06-08 | 1996-04-02 | Merrell Dow Pharmaceuticals Inc. | α-glucosidase inhibitors |
US5120729A (en) | 1990-06-20 | 1992-06-09 | Merck & Co., Inc. | Beta-lactams as antihypercholesterolemics |
ZA915659B (en) | 1990-07-25 | 1992-05-27 | Merrell Dow Pharma | Novel piperidyl ethers and thioethers as inhibitors of cholesterol biosynthesis |
US5026554A (en) | 1990-09-13 | 1991-06-25 | Merck & Co., Inc. | Method of inhibiting fungal growth using squalene synthetase inhibitors |
US5177080A (en) | 1990-12-14 | 1993-01-05 | Bayer Aktiengesellschaft | Substituted pyridyl-dihydroxy-heptenoic acid and its salts |
US5084461A (en) | 1991-03-27 | 1992-01-28 | Merrell Dow Pharmaceuticals Inc. | Azadecalin amides and thioamides as inhibitors of cholesterol biosynthesis |
JP2648897B2 (ja) | 1991-07-01 | 1997-09-03 | 塩野義製薬株式会社 | ピリミジン誘導体 |
US5274143A (en) | 1991-07-23 | 1993-12-28 | Hoffmann-La Roche Inc. |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R)-3-hexyl-5,6-dihydro-4-hydroxy-6-undecyl-2H-pyran-2-one and (R)-5,6-dihydro-6-undecyl-2H-pyran-2,4(3H)-dione |
WO1993012069A1 (en) | 1991-12-16 | 1993-06-24 | Yamanouchi Pharmaceutical Co., Ltd. | Novel amino alcohol derivative or salt thereof |
WO1993011782A1 (en) | 1991-12-19 | 1993-06-24 | Southwest Foundation For Biomedical Research | Cetp inhibitor polypeptide, antibodies against the synthetic polypeptide and prophylactic and therapeutic anti-atherosclerosis treatments |
CA2098167C (en) | 1992-06-24 | 2006-12-19 | Dorothea Isler | Foodstuffs and feedstuffs containing a lipase inhibitor |
CA2139104A1 (en) | 1992-06-26 | 1994-01-06 | Michael P. Deninno | Steroidal glycosides for treating hypercholesterolemia |
US5350758A (en) | 1992-07-08 | 1994-09-27 | Merrell Dow Pharmaceuticals Inc. | Piperidyl sulfonamides and sulfoxamides as inhibitors of cholesterol biosynthesis |
GB9217295D0 (en) | 1992-08-14 | 1992-09-30 | Wellcome Found | Controlled released tablets |
KR950703539A (ko) | 1992-09-28 | 1995-09-20 | 알렌 제이. 스피겔 | 당뇨병 합병증 치료용 치환된 피리미딘(substituted pyrimidines for control or diabetic complications) |
FR2697252B1 (fr) | 1992-10-28 | 1994-12-09 | Fournier Ind & Sante | Dérivés de 1,2,3,5,6,7,8,8a-octahydro-5,5,8a-triméthyl-(8abeta)-6-isoquinolineamine, leur procédé de préparation et leur utilisation en thérapeutique. |
FR2697250B1 (fr) | 1992-10-28 | 1995-01-20 | Fournier Ind & Sante | Dérivés de beta,beta-diméthyl-4-pipéridineéthanol et de 1,2,3,6-tétrahydro-beta,beta-diméthyl-4-pyridineéthanol, leur procédé de préparation et leur utilisation en thérapeutique. |
DE4309553A1 (de) | 1993-03-24 | 1994-09-29 | Bayer Ag |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3R,5S-(+)-Natrium-erythro-(E)-7-(4-(4-flurophenyl)-2,6-diisopropyl-5-methoxymethyl-pyrid-3-yl)-3,5-dihydroxy-hept-6-enoat |
GB9315856D0 (en) | 1993-07-30 | 1993-09-15 | Wellcome Found | Stabilized pharmaceutical |
US5541231A (en) | 1993-07-30 | 1996-07-30 | Glaxo Wellcome Inc. | Stabilized Pharmaceutical |
US5358970A (en) | 1993-08-12 | 1994-10-25 | Burroughs Wellcome Co. |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bupropion hydrochloride and a stabilizer |
TW381025B (en) | 1993-08-05 | 2000-02-01 | Hoffmann La Roche |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a glucosidase inhibitor and a lipase inhibitor |
AU3577995A (en) | 1994-10-04 | 1996-04-26 | Fujisawa Pharmaceutical Co., Ltd. | Urea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acat-inhibitors |
JPH08143457A (ja) | 1994-11-21 | 1996-06-04 | Microbial Chem Res Found | 酵素阻害剤および高脂血症抑制剤 |
US5510379A (en) | 1994-12-19 | 1996-04-23 | Warner-Lambert Company | Sulfonate ACAT inhibitors |
GB9504066D0 (en) | 1995-03-01 | 1995-04-19 | Pharmacia Spa | Phosphate derivatives of ureas and thioureas |
EP0738510A3 (fr) | 1995-04-20 | 2005-12-21 | L'oreal | Utilisation d'un inhibiteur d'HMG-coenzyme A-reductase pour lutter contre le vieillissement de la peau et pour traiter l'acné. Composition comprenant au moins un inhibiteur HMG-coenzyme A reductase et au moins un actif possédant des propriétes desquamantes |
MX9709875A (es) | 1995-06-06 | 1998-03-31 | Pfizer | N-(indol-2-carbonil)-glicinamidas substituidas y derivados como inhibidores de glicogeno fosforilasa, composiciones que las contienen y uso de las mismas. |
ATE205477T1 (de) | 1995-06-06 | 2001-09-15 | Pfizer | Substituierte n-(indol-2-carbonyl)-amide und derivate als glycogen phosphorylase inhibitoren |
EP0832069B1 (en) | 1995-06-07 | 2003-03-05 | Pfizer Inc. | BIPHENYL-2-CARBOXYLIC ACID-TETRAHYDRO-ISOQUINOLIN-6-YL AMIDE DERIVATIVES,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AS INHIBITORS OF MICROSOMAL TRIGLYCERIDE TRANSFER PROTEIN AND/OR APOLIPOPROTEIN B (Apo B) SECRETION |
JPH105585A (ja) | 1996-06-27 | 1998-01-13 | Toagosei Co Ltd | リチウムイオン吸着剤 |
CN1238764A (zh) | 1996-11-27 | 1999-12-15 | 美国辉瑞有限公司 | 可抑制ApoB-分泌物/MTP的酰胺 |
ES2302881T3 (es) | 1997-07-29 | 2008-08-01 | Alcon Laboratories, Inc. | Composiciones oftalmicas que contienen polimeros de galactomanana y borato. |
AU2483599A (en) | 1998-01-29 | 1999-08-16 | Sepracor, Inc. | Pharmaceutical uses of optically pure (-)-bupropion |
US6197786B1 (en) | 1998-09-17 | 2001-03-06 | Pfizer Inc | 4-Carboxyamino-2-substituted-1,2,3,4-tetrahydroquinolines |
GT199900147A (es) | 1998-09-17 | 1999-09-06 | 1, 2, 3, 4- tetrahidroquinolinas 2-sustituidas 4-amino sustituidas. | |
US8889112B2 (en) | 1999-09-16 | 2014-11-18 | Ocularis Pharma, Llc | Ophthalmic formulations including selective alpha 1 antagonists |
US6683113B2 (en) | 1999-09-23 | 2004-01-27 | Pharmacia Corporation | (R)-chiral halogenated substituted N,N-Bis-benzyl aminioalcohol compounds useful for inhibiting cholesteryl ester transfer protein activity |
BR0207285A (pt) | 2001-02-15 | 2004-02-10 | Pfizer Producs Inc | Agonistas de ppar |
JP2004520397A (ja) | 2001-02-15 | 2004-07-08 | ファイザー・プロダクツ・インク | 増殖性アクチベータ受容体(ppar)化合物 |
CN1215067C (zh) | 2001-03-30 | 2005-08-17 | 辉瑞产品公司 | 哒嗪酮醛糖还原酶抑制剂 |
US6875780B2 (en) | 2002-04-05 | 2005-04-05 | Warner-Lambert Company | Compounds that modulate PPAR activity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
CA2510793A1 (en) * | 2002-12-20 | 2004-07-15 | Bayer Pharmaceuticals Corporation | Indane acetic acid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pharmaceutical agents, intermediates, and method of preparation |
US6933289B2 (en) | 2003-07-01 | 2005-08-23 | Allergan, Inc. | Inhibition of irritating side effects associated with use of a topical ophthalmic medication |
EP2113246B1 (en) | 2003-08-07 | 2016-06-22 | Allergan, Inc. | Compositions for delivery of therapeutics into the eye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
US20050059744A1 (en) | 2003-09-12 | 2005-03-17 | Allergan, Inc. |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pain and other alpha 2 adrenergic-mediated conditions |
CA2568394A1 (en) | 2004-06-09 | 2005-12-29 | Avanir Pharmaceuticals | Heterocyclic derivatives for treatment of hyperlipidemia and related diseases |
WO2006091858A1 (en) * | 2005-02-25 | 2006-08-31 | Rigel Pharmaceuticals, Inc. | Benzisothiazoles useful for treating or preventing hcv infection |
CA2703712A1 (en) * | 2007-10-26 | 2009-04-30 | Joseph A. Hedrick | Anti-pcsk9 and methods for treating lipid and cholesterol disorders |
WO2011006000A1 (en) | 2009-07-08 | 2011-01-13 | Haiyan Liu | Berberine derivatives useful for modulating lipid levels and their methods of synthesis |
EP2480576A4 (en) | 2009-09-25 | 2013-04-10 | Merck Sharp & Dohme | PCSK9 ANTAGONISTS |
WO2011053783A2 (en) | 2009-10-30 | 2011-05-05 | Merck Sharp & Dohme Corp. | Ax213 and ax132 pcsk9 antagonists and variants |
CA2777698A1 (en) | 2009-10-30 | 2011-05-05 | Merck Sharp & Dohme Corp. | Ax1 and ax189 pcsk9 antagonists and variants |
AR079336A1 (es) | 2009-12-11 | 2012-01-18 | Irm Llc | Antagonistas de la pro-proteina convertasa-subtilisina/quexina tipo 9 (pcsk9) |
EP2558491B1 (en) | 2010-04-13 | 2018-07-04 | Bristol-Myers Squibb Company | Fibronectin based scaffold domain proteins that bind pcsk9 |
KR20130111512A (ko) * | 2010-06-04 | 2013-10-10 |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 광학 활성 디벤질아민 유도체 및 그의 제조 방법 |
WO2012054438A1 (en) | 2010-10-22 | 2012-04-26 | Schering Corporation | Anti-pcsk9 |
EA201390929A1 (ru) | 2010-12-22 | 2013-12-30 | Дженентек, Инк. | Антитела к pcsk9 и способы их применения |
EP3395836B1 (en) | 2011-01-28 | 2021-04-28 | Sanofi Biotechnology | Human antibodies to pcsk9 for use in methods of treating particular groups of subjects |
US20130315927A1 (en) | 2011-02-11 | 2013-11-28 | Novartis Ag | Pcsk9 antagonists |
JOP20200043A1 (ar) | 2011-05-10 | 2017-06-16 | Amgen Inc | طرق معالجة أو منع الاضطرابات المختصة بالكوليسترول |
WO2012168491A1 (en) | 2011-06-10 | 2012-12-13 | Novartis Ag | Pharmaceutical formulations of pcsk9 antagonists |
WO2012170607A2 (en) | 2011-06-10 | 2012-12-13 | Novartis Ag | Use of pcsk9 antagonists |
CA2837658A1 (en) | 2011-06-20 | 2012-12-27 | Genentech, Inc. | Pcsk9-binding polypeptides and methods of use |
WO2013008185A1 (en) | 2011-07-14 | 2013-01-17 | Pfizer Inc. | Treatment with anti-pcsk9 antibodies |
AR087305A1 (es) | 2011-07-28 | 2014-03-12 | Regeneron Pharma | Formulaciones estabilizadas que contienen anticuerpos anti-pcsk9, metodo de preparacion y kit |
AR087715A1 (es) | 2011-09-16 | 2014-04-09 | Lilly Co Eli | Anticuerpos anti pcsk9 y usos de los mismos |
ES2773111T3 (es) | 2011-09-16 | 2020-07-09 | Regeneron Pharma | Inhibidor de la proproteína convertasa subtilisina/kexina 9 (PCSK9) para su uso en la reducción de los niveles de lipoproteína (a) |
JP6170940B2 (ja) | 2011-12-20 | 2017-07-26 | アダエラータ、リミテッド パートナーシップAdaerata, Limited Partnership | Pcsk9の阻害剤としての単一ドメイン抗体 |
WO2013134047A2 (en) * | 2012-03-07 | 2013-09-12 | The Mclean Hospital Corporation | Aminoquinoline derivatives and uses thereof |
JPWO2013137371A1 (ja) * | 2012-03-15 | 2015-08-03 | 興和株式会社 | 新規ピリミジン化合物及びそれらを含有する医薬 |
WO2013148284A1 (en) | 2012-03-29 | 2013-10-03 | Genentech, Inc. | Antibodies that bind to a pcsk9 cleavage site and methods of use |
EA039663B1 (ru) | 2012-05-03 | 2022-02-24 | Амген Инк. | Применение антитела против pcsk9 для снижения сывороточного холестерина лпнп и лечения связанных с холестерином расстройств |
US9255154B2 (en) | 2012-05-08 | 2016-02-09 | Alderbio Holdings, Llc | Anti-PCSK9 antibodies and use thereof |
AU2013266087A1 (en) * | 2012-05-25 | 2014-12-04 | Catabasis Pharmaceuticals, Inc. | Methods of lowering proprotein convertase subtilisin/kexin type 9 (PCSK9) |
CN104364266A (zh) | 2012-06-15 | 2015-02-18 | 霍夫曼-拉罗奇有限公司 | 抗-pcsk9抗体,制剂,剂量给药,和使用方法 |
WO2014005224A1 (en) | 2012-07-03 | 2014-01-09 | Majambu Mbikay | Quercetin-3-glucoside and uses thereof |
US9540449B2 (en) | 2012-08-13 | 2017-01-10 | Regeneron Pharmaceuticals, Inc. | Anti-PCSK9 antibodies with pH-dependent binding characteristics |
WO2014107739A1 (en) | 2013-01-07 | 2014-07-10 | Eleven Biotherapeutics, Inc. | Antibodies against pcsk9 |
KR20150127622A (ko) | 2013-02-15 | 2015-11-17 | 에스알엑스 카디오, 엘엘씨 | 혈청 저밀도 지단백질 (ldl) 수준을 조절하기 위한 전구단백질 컨버타제 서브틸리신/켁신 유형 9 (pcsk9) 알로스테릭 결합 리간드 |
RU2676259C2 (ru) * | 2013-03-12 | 2018-12-27 | Вертекс Фармасьютикалз Инкорпорейтед | Ингибиторы днк-пк |
BR112015021681A2 (pt) | 2013-03-14 | 2017-11-14 | Daiichi Sankyo Co Ltd | proteínas de ligação para pcsk9 |
US20160039945A1 (en) | 2013-03-15 | 2016-02-11 | Amgen Inc. | Human antigen binding proteins that bind to proprotein convertase subtilisin kexin type 9 |
EP2961765A4 (en) | 2013-03-15 | 2016-11-09 | Adaerata Ltd Partnership | SMALL MOLECULAR PCSK9 MODULATORS AND METHOD OF USE THEREOF |
US20160032014A1 (en) | 2013-03-15 | 2016-02-04 | Amgen Inc. | Human antigen binding proteins that bind to proprotein convertase subtilisin kexin type 9 |
BR112015023294A2 (pt) | 2013-03-15 | 2017-07-18 | Shifa Biomedical Corp | método para tratamento ou prevenção de uma doença |
CN105473141A (zh) | 2013-03-15 | 2016-04-06 | 实发生物医学公司 | 治疗和/或预防心血管疾病的抗pcsk9化合物和方法 |
JP2016516804A (ja) | 2013-04-17 | 2016-06-09 | ファイザー・インク | 心血管疾患を治療するためのn−ピペリジン−3−イルベンズアミド誘導体 |
US10111953B2 (en) | 2013-05-30 | 2018-10-30 | Regeneron Pharmaceuticals, Inc. | Methods for reducing remnant cholesterol and other lipoprotein fractions by administering an inhibitor of proprotein convertase subtilisin kexin-9 (PCSK9) |
TWI682780B (zh) | 2013-05-30 | 2020-01-21 | 美商再生元醫藥公司 | 醫藥組成物用於製造治療與pcsk9功能獲得性突變有關之體染色體顯性高膽固醇血症的藥物之用途 |
EP3004171B1 (en) | 2013-06-07 | 2021-10-13 | Regeneron Pharmaceuticals, Inc. | Methods for inhibiting atherosclerosis by administering an inhibitor of pcsk9 |
JP6267792B2 (ja) | 2013-06-28 | 2018-01-24 | アムジエン・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 ホモ接合性家族性高コレステロール血症の治療方法 |
AU2014331754B2 (en) | 2013-10-11 | 2020-06-18 | Regeneron Pharmaceuticals, Inc. | Use of a PCSK9 inhibitor to treat hyperlipidemia |
CN118105480A (zh) | 2013-11-12 | 2024-05-31 | 赛诺菲生物技术公司 | 用于与pcsk9抑制剂一起使用的给药方案 |
MX2016006583A (es) | 2013-11-20 | 2016-09-06 | Cymabay Therapeutics Inc | Tratamiento de hipercolesterolemia familiar homocigotica. |
WO2015123423A2 (en) | 2014-02-14 | 2015-08-20 | Regeneron Pharmaceuticals, Inc | Methods for treating patients with hypercholesterolemia that is not adequately controlled by moderate-dose statin therapy |
WO2015140079A1 (en) | 2014-03-17 | 2015-09-24 | Sanofi | Methods for treating subjects with primary hypercholesterolemia that is not adequately controlled |
HUE066839T2 (hu) | 2014-03-17 | 2024-09-28 | Sanofi Biotechnology | Eljárások kardiovaszkuláris kockázat csökkentésére |
WO2015200438A1 (en) | 2014-06-24 | 2015-12-30 | Eleven Biotherapeutics, Inc. | High affinity antibodies against pcsk9 |
WO2016055901A1 (en) | 2014-10-08 | 2016-04-14 | Pfizer Inc. | Substituted amide compounds |
CA3010327A1 (en) * | 2016-01-20 | 2017-07-27 | Janssen Sciences Ireland Uc | Aryl substituted pyrimidines for use in influenza virus infection |
US11091466B2 (en) * | 2017-03-17 | 2021-08-17 | Cardio Therapeutics Pty Ltd | Heterocyclic inhibitors of PCSK9 |
MX2021008661A (es) * | 2019-01-18 | 2021-08-19 | Astrazeneca Ab | Inhibidores de la pcsk9 y metodos de uso de los mismos. |
-
2020
- 2020-01-16 CN CN202410965174.5A patent/CN119060040A/zh active Pending
- 2020-01-16 KR KR1020217025810A patent/KR20210116548A/ko active Pending
- 2020-01-16 IL IL284640A patent/IL284640B2/en unknown
- 2020-01-16 FI FIEP20740953.3T patent/FI3911648T3/fi active
- 2020-01-16 SG SG11202107614PA patent/SG11202107614PA/en unknown
- 2020-01-16 SI SI202030549T patent/SI3911648T1/sl unknown
- 2020-01-16 PE PE2021001178A patent/PE20220138A1/es unknown
- 2020-01-16 HR HRP20241674TT patent/HRP20241674T1/hr unknown
- 2020-01-16 US US16/744,929 patent/US11248001B2/en active Active
- 2020-01-16 PT PT207409533T patent/PT3911648T/pt unknown
- 2020-01-16 LT LTEPPCT/US2020/013881T patent/LT3911648T/lt unknown
- 2020-01-16 EP EP24200125.3A patent/EP4470609A3/en active Pending
- 2020-01-16 PL PL20740953.3T patent/PL3911648T3/pl unknown
- 2020-01-16 AU AU2020209215A patent/AU2020209215B2/en active Active
- 2020-01-16 MA MA54261A patent/MA54261B1/fr unknown
- 2020-01-16 CN CN202410965193.8A patent/CN119112897A/zh active Pending
- 2020-01-16 ES ES20740953T patent/ES3007652T3/es active Active
- 2020-01-16 JP JP2021541173A patent/JP7128969B2/ja active Active
- 2020-01-16 HU HUE20740953A patent/HUE069590T2/hu unknown
- 2020-01-16 BR BR112021013807A patent/BR112021013807A2/pt unknown
- 2020-01-16 EA EA202191892A patent/EA202191892A1/ru unknown
- 2020-01-16 SM SM20250013T patent/SMT202500013T1/it unknown
- 2020-01-16 EP EP20740953.3A patent/EP3911648B1/en active Active
- 2020-01-16 CR CR20210441A patent/CR20210441A/es unknown
- 2020-01-16 CA CA3125765A patent/CA3125765A1/en active Pending
- 2020-01-16 MX MX2021008533A patent/MX2021008533A/es unknown
- 2020-01-16 DK DK20740953.3T patent/DK3911648T3/da active
- 2020-01-16 WO PCT/US2020/013881 patent/WO2020150473A2/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0-01-16 PH PH1/2021/551686A patent/PH12021551686A1/en unknown
- 2020-01-16 RS RS20250015A patent/RS66416B1/sr unknown
- 2020-01-16 CN CN202410965190.4A patent/CN119119023A/zh active Pending
- 2020-01-16 JO JOP/2021/0193A patent/JOP20210193A1/ar unknown
- 2020-01-16 CN CN202410965186.8A patent/CN119119022A/zh active Pending
- 2020-01-16 CN CN202080009213.4A patent/CN113574055B/zh active Active
- 2020-01-17 TW TW113129912A patent/TW202446767A/zh unknown
- 2020-01-17 TW TW109101673A patent/TWI852981B/zh active
-
2021
- 2021-07-14 CL CL2021001859A patent/CL2021001859A1/es unknown
- 2021-07-16 DO DO2021000150A patent/DOP2021000150A/es unknown
- 2021-08-04 CO CONC2021/0010312A patent/CO2021010312A2/es unknown
- 2021-08-16 EC ECSENADI202160240A patent/ECSP21060240A/es unknown
- 2021-12-20 US US17/555,729 patent/US20220220122A1/en active Pending
-
2022
- 2022-05-17 JP JP2022080749A patent/JP2022116083A/ja active Pending
-
2024
- 2024-11-29 JP JP2024208167A patent/JP2025041641A/ja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20209215B2 (en) | PCSK9 inhibitors and methods of use thereof | |
KR20210116549A (ko) | Pcsk9 억제제 및 이의 이용 방법 | |
TWI523850B (zh) | 經取代之醯胺化合物 | |
WO2006006490A1 (ja) | スピロ化合物 | |
EA002089B1 (ru) | Способ лечения резистентности к инсулину средствами, стимулирующими секрецию гормона роста | |
TW201815791A (zh) | 雜環化合物及其預防或治療細菌感染之用途 | |
CN113272302A (zh) | 抗生素化合物、其制造方法、包含其的药物组合物及其用途 | |
EA047736B1 (ru) | Ингибиторы pcsk9 и способы их применения | |
TW202229243A (zh) | 作為新穎二醯基甘油酯o-醯基轉移酶2抑制劑之苯并咪唑酮衍生物的製備 | |
AU2001261178B2 (en) | Substituted pyrrolopyridinone derivatives useful as phosphodiesterase inhibitors | |
CN119604494A (zh) | Pcsk9抑制剂及其使用方法 | |
AU2001261178A1 (en) | Substituted pyrrolopyridinone derivatives useful as phosphodiesterase inhibito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81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1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