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8948A - 에이코사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 함유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에이코사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 함유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08948A KR20210108948A KR1020217016710A KR20217016710A KR20210108948A KR 20210108948 A KR20210108948 A KR 20210108948A KR 1020217016710 A KR1020217016710 A KR 1020217016710A KR 20217016710 A KR20217016710 A KR 20217016710A KR 20210108948 A KR20210108948 A KR 2021010894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lkyl ester
- icosa
- epa
- area
- cont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5000020673 eicosapentaenoic acid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0
- 229960005135 eicosapentaenoic acid Drug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0
- JAZBEHYOTPTENJ-UHFFFAOYSA-N eicosapentaeno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CC(O)=O JAZBEHYOTPTENJ-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0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9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JAZBEHYOTPTENJ-JLNKQSITSA-N all-cis-5,8,11,14,17-icosapentae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CC(O)=O JAZBEHYOTPTENJ-JLNKQSIT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GGCZERPQGJTIQP-UHFFFAOYSA-N sodium;9,10-dioxoanthracene-2-sulfonic acid Chemical compound [Na+].C1=CC=C2C(=O)C3=CC(S(=O)(=O)O)=CC=C3C(=O)C2=C1 GGCZERPQGJTIQ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125000005907 alkyl ester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5000014113 dietary fatty acid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29930195729 fatty acid Natural product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9000000194 fatty ac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150000004665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5292 vacuum disti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3
- 235000019198 oi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3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7
- VLKZOEOYAKHREP-UHFFFAOYSA-N n-Hexane Chemical compound CCCCCC VLKZOEOYAKHRE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6
- 235000020777 polyunsaturated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9000003925 fa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235000019197 fa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4821 disti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XEKOWRVHYACXOJ-UHFFFAOYSA-N 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C(C)=O XEKOWRVHYACXO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5000021323 fish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9512 sard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1 silver tetrafluoroborate Chemical compound 0.000 description 6
- SQGYOTSLMSWVJD-UHFFFAOYSA-N silver(1+) nitrate Chemical compound [Ag+].[O-]N(=O)=O SQGYOTSLMSWVJ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RTZKZFJDLAIYFH-UHFFFAOYSA-N Diethyl ether Chemical compound CCOCC RTZKZFJDLAIY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41001125048 Sardina Species 0.000 description 5
- YZXBAPSDXZZRGB-DOFZRALJSA-N arachidon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CC(O)=O YZXBAPSDXZZRGB-DOFZRALJSA-N 0.000 description 5
- 235000014593 oils and fa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NWHKRSHALAIJBN-WXXUUFLQSA-N (4z,7z,10z,13z,16z)-icosa-4,7,10,13,16-pentae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CC NWHKRSHALAIJBN-WXXUUFLQSA-N 0.000 description 4
- HEDRZPFGACZZDS-UHFFFAOYSA-N Chloroform Chemical compound ClC(Cl)Cl HEDRZPFGACZZD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064 Ethyl eicosapentaeno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SSQPWTVBQMWLSZ-AAQCHOMXSA-N ethyl (5Z,8Z,11Z,14Z,17Z)-icosapentaenoate Chemical compound CCOC(=O)CCC\C=C/C\C=C/C\C=C/C\C=C/C\C=C/CC SSQPWTVBQMWLSZ-AAQCHOMXSA-N 0.000 description 4
- 125000001495 ethyl group Chemical group [H]C([H])([H])C([H])([H])*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817 gas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402 health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UHOVQNZJYSORNB-UHFFFAOYSA-N Benzene Chemical compound C1=CC=CC=C1 UHOVQNZJYSORN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LYCAIKOWRPUZTN-UHFFFAOYSA-N 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 LYCAIKOWRPUZT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HEMHJVSKTPXQMS-UHFFFAOYSA-M Sod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Na+] HEMHJVSKTPXQMS-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YXFVVABEGXRONW-UHFFFAOYSA-N Tolu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1 YXFVVABEGXRON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125000000217 alk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043 crude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5350 fused silica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1961 silver nitr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IQAUPMZKLGGYCC-JEBPEJKESA-N (4Z,7Z,10Z,13Z,16Z)-icosa-4,7,10,13,16-pentae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CC(O)=O IQAUPMZKLGGYCC-JEBPEJKE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2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02 Polyethylene glyc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342 arachido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40114079 arachido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2
- HVYWMOMLDIMFJA-DPAQBDIFSA-N cholesterol Chemical compound C1C=C2C[C@@H](O)CC[C@]2(C)[C@@H]2[C@@H]1[C@@H]1CC[C@H]([C@H](C)CCCC(C)C)[C@@]1(C)CC2 HVYWMOMLDIMFJA-DPAQBDIF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88 f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588 free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187 glyc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23 polyethylene glycol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70 ref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VZGDMQKNWNREIO-UHFFFAOYSA-N tetrachloromethane Chemical compound ClC(Cl)(Cl)Cl VZGDMQKNWNREI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DVSZKTAMJJTWFG-SKCDLICFSA-N (2e,4e,6e,8e,10e,12e)-docosa-2,4,6,8,10,12-hexae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C\C=C\C(O)=O DVSZKTAMJJTWFG-SKCDLICFSA-N 0.000 description 1
- DYLIWHYUXAJDOJ-OWOJBTEDSA-N (e)-4-(6-aminopurin-9-yl)but-2-en-1-ol Chemical compound NC1=NC=NC2=C1N=CN2C\C=C\CO DYLIWHYUXAJDOJ-OWOJBTEDSA-N 0.000 description 1
- NIONDZDPPYHYKY-UHFFFAOYSA-N 2-hexe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O)=O NIONDZDPPYHY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ZJLLYHBALOKEX-UHFFFAOYSA-N 6-Ketone, O18-Me-Ussuriedin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CCCC(O)=O GZJLLYHBALOKE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BWNDBNSJFCLBZ-UHFFFAOYSA-N 7-methyl-5,6,7,8-tetrahydro-3h-[1]benzothiolo[2,3-d]pyrimidine-4-thione Chemical compound N1=CNC(=S)C2=C1SC1=C2CCC(C)C1 RBWNDBNSJFCLB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KPFZGUDAPQIHT-UHFFFAOYSA-N Butyl acetate Natural products CCCCOC(C)=O DKPFZGUDAPQIH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025254 Cannabis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55825 Clupe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XDTMQSROBMDMFD-UHFFFAOYSA-N Cyclohexane Chemical compound C1CCCCC1 XDTMQSROBMDM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CTQNGGLPUBDAKN-UHFFFAOYSA-N O-Xyl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1C CTQNGGLPUBDA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69821 Scombr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63 ad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13 alkali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OGBUMNBNEWYMNJ-UHFFFAOYSA-N batilol Chemical class CCCCCCCCCCCCCCCCCCOCC(O)CO OGBUMNBNEWYMN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432 carbon atom Chemical group C*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03 carbon fibre reinforced carb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11 cardiovascular ev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95 chemical reaction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00 cholest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87 chromatography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27 cl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44 continuous disti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827 dibenzo-1,4-dioxi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826 dibenzofura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69 docosahexaeno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KAUVQQXNCKESLC-UHFFFAOYSA-N docosahexaenoic acid (DHA) Natural products COC(=O)C(C)NOCC1=CC=CC=C1 KAUVQQXNCKESL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494 ethyl est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5456 glyceride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FUZZWVXGSFPDMH-UHFFFAOYSA-N hex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O)=O FUZZWVXGSFPDM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556 horm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8597 hormone Drug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887 hydroxy group Chemical group [H]O* 0.000 description 1
- RHGCEKFHYOQKQF-UHFFFAOYSA-N icosa-4,7,10,13,16,19-hexae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C=C)(=O)O RHGCEKFHYOQKQ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348 incor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40 mackere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496 methyl group Chemical group [H]C([H])([H])* 0.000 description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4 pharmac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64 purified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441 saturated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71 saturated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41 silica g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27 silica g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239 silicon diox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CQLFBEKRDQMJLZ-UHFFFAOYSA-M silver acetate Chemical compound [Ag+].CC([O-])=O CQLFBEKRDQMJLZ-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29940071536 silver acet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494 silver tetrafluorobor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256 steam disti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626 triacylglycer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UFTFJSFQGQCHQW-UHFFFAOYSA-N triformin Chemical compound O=COCC(OC=O)COC=O UFTFJSFQGQCHQ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096 x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52—Esters of acyclic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having the esterified carboxyl group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 C07C69/587—Monocarboxylic acid esters having at least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7/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 C07C67/48—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07C67/52—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by change in the physical state, e.g. crystallisation
- C07C67/54—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by change in the physical state, e.g. crystallisation by distill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7/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 C07C67/48—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07C67/58—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by liquid-liquid treatm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3/00—Refining fats or fatty oils
- C11B3/12—Refining fats or fatty oils by distill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고농도이며 고순도의 에이코사펜타엔산 함유 조성물의 제공. 에이코사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1) 에이코사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원료유를, 은염을 포함한 수용액과 접촉시킨 후, 수층을 회수하는 것; (2) 상기 수층에 유기용매를 첨가한 후, 유기용매층을 회수하는 것; 및, (3) 상기 유기용매층을, 온도 180∼188℃, 탑정 진공도 0.7Pa 이하로 진공 증류하고, 상기 유기용매층으로부터 에이코사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를 회수하는 것을 포함한 방법.
Description
본 발명은, 에이코사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 함유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에이코사펜타엔산(EPA)이나 도코사헥사엔산(DHA) 등의 고도 불포화 지방산(polyunsaturated fatty acid, PUFA)은, 최근 그 약리 효과가 명확해져서, 의약품이나 건강식품의 원료로서 이용되고 있다. PUFA는 이중 결합을 복수 갖기 때문에, 화학 합성에 의해서 얻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공업상 이용되는 PUFA의 대부분은, PUFA를 풍부하게 포함한 생물 유래의 유지 원료, 예를 들면 어유 등에서 추출 또는 정제하는 것에 의해서 제조되고 있다.
그러나, 생물 유래의 유지 원료는, 탄소수, 이중 결합의 수나 위치, 또 입체 이성체의 구성비가 다른 다종의 지방산의 혼합물이며, PUFA의 함유량이 반드시 높지 않다. 또한, 생물 유래 유지 원료로부터 정제된 PUFA에는, 상기 유지 원료에 유래하거나 또는 정제 과정에서의 가열 처리 등에 의해서 생긴 여러 가지 미량의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한 불순물 속에는, 예를 들면, 아라키돈산, 포화 지방산, PUFA 트랜스 이성체 등의 심혈관 이벤트에 대해서 바람직하지 않은 지방산이나, 환경 호르몬 등의 환경오염 물질 등의 생체에 악영향을 미치는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의약품이나 건강식품의 원료로서 PUFA를 고농도로 포함할 뿐만 아니라, 생체에 악영향을 미치는 불순물의 함유량이 가능한 한 낮은 고순도의 PUFA 함유 조성물이 요구되고 있다.
지금까지, 고순도의 PUFA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PUFA를 구성 지방산으로서 함유하는 원료유로부터, 박막 증류에 의해서, 폴리염화 디벤조파라디옥신(PCDD), 폴리염화 디벤조푸란(PCDF) 등의 환경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 환경오염 물질의 함유량이 저감된 PUFA 에틸에스테르를 제조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에는, EPA 알킬에스테르 함유 조성물에 대해서, 0.2Torr, 190℃ 이하에서의 정밀 증류 후,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한 농축 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포함한, 아라키돈산 에스테르 및 EPA 알킬에스테르의 모노트랜스체의 함유량이 일정량 이하인 고농도 EPA 알킬에스테르 함유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3에는, 오일 조성물을 수성 유체 처리한 후, 단공정 증류 등의 스트립핑 처리에 거는 것으로, 오일 조성물 중의 바람직하지 않은 성분, 예를 들면 단백질성 화합물등의 친수성 성분이나, 환경오염 물질, 콜레스테롤 등의 친유성 성분을 제거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4에는, 어유를 알칼리, 이어서 활성 백토에 접촉시킨 후, 감압 수증기 증류 등에 의해 150∼230℃의 어유에 수증기를 접촉시켜 탈취 처리하는 것을 포함한, 정제 어유의 제조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5에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알킬에스테르체를, 은염을 포함한 수성 용액과 접촉시킨 후에, 170∼190℃, 탑정 진공도 1Pa 이하로 진공 증류하는 것으로, 트랜스 이성체의 함유량이 매우 낮은 PUFA 알킬에스테르 함유 조성물을 제조한 것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자의 연구에 의해, 종래의 방법(예를 들면 특허 문헌 5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된 EPA 함유 조성물이 미지의 불순물질을 함유하는 것, 및 이들 불순물질이,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신규 EPA의 유연(類緣) 물질인 것이 발견되었다.상기 불순물질은 미지의 물질이었기 때문에, 상기 불순물질에 주목하여 EPA를 정제하는 것은 종래 실시되지 않았었다. 또 상기 불순물질은, EPA와 화학 구조가 유사하기 때문에, EPA 함유 조성물로부터의 제거가 매우 곤란하다. 이러한 이유에 의해, 상기 불순물질은, 이들의 존재를 알려주는 일 없이 종래의 EPA 함유 조성물 중에 포함되어 있었던 것이라고 추정되었다. 이들 불순물질을 제거하는 것으로, EPA 함유 조성물의 순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미지의 EPA의 유연 물질이 제거된, 고농도이며 또한고순도의 EPA 함유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에이코사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1) 에이코사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원료유를, 은염을 포함한 수용액과 접촉시킨 후, 수층을 회수하는 것;
(2) 상기 수층에 유기용매를 첨가한 후, 유기용매층을 회수하는 것; 및
(3) 상기 유기용매층을, 온도 180∼188℃, 탑정 진공도 0.7Pa 이하로 진공 증류하고, 상기 유기용매층으로부터 에이코사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를 회수하는 것 을 포함한 방법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에이코사펜타엔산의 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이 95면적% 이상이며, 또한 (4Z,7Z,10Z,13Z,16Z)-이코사-4,7,10,13,16-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 (7Z,10Z,13Z,16Z,19Z)-이코사-7,10,13,16,19-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 및 (4Z,7Z,10Z,13Z,16Z,19Z)-이코사-4,7,10,13,16,19-헥사엔산 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이, 각각 0.1면적% 이하인, 에이코사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 함유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에이코사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 함유 조성물의 순도를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의, (4Z,7Z,10Z,13Z,16Z)-이코사- 4,7,10,13,16-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 (7Z,10Z,13Z,16Z,19Z)-이코사 -7,10,13,16,19-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 및(4Z,7Z,10Z,13Z,16Z,19Z)-이코사 -4,7,10,13,16,19-헥사엔산 알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물질의 함유량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한 방법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4Z,7Z,10Z,13Z,16Z)-이코사-4,7,10,13,16-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 (7Z,10Z,13Z,16Z,19Z)-이코사-7,10,13,16,19-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 또는 (4Z,7Z,10Z,13Z,16Z,19Z)-이코사-4,7,10,13,16,19-헥사엔산 알킬에스테르를 제공한다.
생체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지방산의 함유량이 가능한 한 적은, 고농도 또한 고순도의 EPA 함유 조성물은, 의약품이나 건강식품의 원료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불순물로서 제거되어 있던 아라키돈산 등에 더하여, 지금까지 불순물로서 인식되어 있지 않았던 EPA의 유연 물질의 농도가 저감된, 보다 고농도이며 또한 고순도인 EPA 함유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에이코사펜타엔산(EPA) 알킬에스테르 함유 조성물에 포함되어 있던 미지의 불순물질에 관한 것이다.
생체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지방산이나 트랜스 이성체 등의 불순물의 함유량이 가능한 한 적은, 고농도이면서 또한 고순도인 에이코사펜타엔산(EPA) 함유 조성물은, 의약품이나 건강식품의 원료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자는, 보다 고순도의 EPA 함유 조성물을 탐구할 수 있도록, 종래의 EPA 함유 조성물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의 검출 및 분류를 실시했다. 그 결과, 본 발명자는, 종래의 방법(예를 들면, 특허 문헌 5에 기재된 방법)으로 얻어지는 EPA 알킬에스테르 함유 조성물에, 이하에 기재하는 종래 미지의 불순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4Z,7Z,10Z,13Z,16Z)-이코사-4,7,10,13,16-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
(7Z,10Z,13Z,16Z,19Z)-이코사-7,10,13,16,19-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
(4Z,7Z,10Z,13Z,16Z,19Z)-이코사-4,7,10,13,16,19-헥사엔산 알킬에스테르.
이들 3개의 물질은, 모두 EPA의 유연 물질이며, 또한 종래 알려지지 않은 신규 물질이었다. 이하의 본 명세서에서, 이들 3개의 물질을 정리하여 본 발명의 불순물질이라고도 칭한다. 본 발명의 불순물질은, EPA 알킬에스테르 함유 조성물로부터 분리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불순물질은, EPA와 구조가 유사하기 때문에 종래의 EPA의 정제 방법에서는 EPA와 분리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고, 그것이, 지금까지 본 발명의 불순물질이 분리 또는 분류되어 있지 않았던 이유라고 추정되었다.
또한, 본 발명자는, 보다 고순도의 EPA 함유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서, EPA 알킬에스테르 함유 조성물로부터 본 발명의 불순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에서 연구를 거듭하여, 개량된 EPA 알킬에스테르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개발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태양은, 본 발명의 불순물질의 함유량이 저감된 EPA 알킬에스테르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상기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의 불순물질의 함유량이 저감된 EPA 알킬에스테르 함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 EPA 알킬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조성물의 원료유는, EPA를 함유하는 생물 유래의 유지로부터 조제될 수 있다. 상기 생물 유래 유지의 예로서는, 어류 등의 해산 동물이나 플랑크톤 유래의 유지, 해초류 등의 미생물 유래의 유지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정어리, 고등어, 마구로 등의 어류 유래의 유지, 및 초류 유래의 유지가 바람직한 예로서 들 수 있다. 이들 생물 유래 유지는, 주로 1분자의 글리세린에 3분자의 지방산이 결합한 트리글리세리드의 형태로 지방산을 함유한다. 또 소량이지만, 디글리세리드나 모노글리세리드, 유리 지방산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생물 유래 유지는, 함유하는 전 지방산 중에, EPA를 20면적% 이상 함유하는 유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EPA는, 상기 생물 유래 유지 중에 유리 지방산의 형태로 존재하고 있어도 좋고, 또는 모노, 디 또는 트리글리세리드의 지방쇄의 형태로 존재하고 있을 수 있다. 유지에 있어서의 전 지방산 중의 각 구성 지방산의 비율은, 후술하는 조건에서의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생물 유래 유지는, 포함되는 EPA를 알킬에스테르화하고, 필요에 따라 EPA를 농축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원료유로서 조제된다. EPA 알킬에스테르는, 예를 들면, EPA를 함유하는 유지와 원하는 알킬기를 갖는 산을 공지의 방법에 의해 에스테르화 반응시키는 것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는, 상기생물 유래 유지에 포함되는 글리세리드 중의 EPA를, 촉매 또는 효소의 존재 하에서 저급 알코올과 반응시켜서 알킬에스테르화하는 것으로, EPA 알킬에스테르를 얻을 수 있다. 알킬에스테르화의 정도는 높을수록 매우 적합하고, 상기 원료유 중에 포함되는 목적의 PUFA(유리체를 포함)의 전량 가운데,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이 알킬에스테르화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EPA의 알킬에스테르를 구성하는 알킬기로서는, 탄소수 1∼6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장의 알킬기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메틸기 또는 에틸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기이다.
상기 원료유로서 사용되는 EPA 알킬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유지로서는, 시판되고 있는 유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EPA의 알킬에스테르를 고함량으로 얻는다는 관점에서는, 함유하는 EPA의 양이 규격화된 시판의 어유 유래의 유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으로 이용되는 상기 원료유는, 함유하는 전지방산 중에, EPA를 40면적% 이상 함유하는 유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는, 전 지방산 중의 EPA 함유량이 40면적% 이상인 원료유를 사용하는 것으로, 최종적으로, EPA를 고농도로 포함한 조성물을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EPA 알킬에스테르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의 각 공정에서, 상술한 원료유는, 액체의 형태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료유는, 각 공정에서의 반응 온도에 대해 액체의 형태인 경우는, 그대로 본 발명의 각 공정에 적용될 수 있다. 각 공정에서의 반응 온도에 대해 고체의 형태인 경우는, 상기 원료유는, 적절한 유기용매나 다른 오일에 용해 또는 희석해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로서는, 하기 공정(1)을 수행하기 위해서, 물과 분리 가능한 유기용매가 사용되어 예를 들면, 초산에틸,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디에틸에테르, 헥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EPA 알킬에스테르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이하를 포함한다:
(1) EPA 알킬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원료유를, 은염을 포함한 수용액과 접촉시킨 후, 수층을 회수하는 것;
(2) 상기 수층에 유기용매를 첨가한 후, 유기용매층을 회수하는 것; 및
(3) 상기 유기용매층을, 온도 180∼188℃, 탑정 진공도 0.7Pa 이하로 진공 증류하고, 상기 유기용매층으로부터 EPA 알킬에스테르를 회수하는 것.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1) 및 (2)의 공정은, 고도 불포화 지방산(PUFA)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부에 은염이 착체를 형성함으로써, EPA를 포함한 PUFA 알킬에스테르의 추출 용매로의 용해성이 바뀌는 것을 이용하며, 원료유로부터 EPA 알킬에스테르를 분리 정제하는 공정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공정 (1)은, EPA 알킬에스테르를 포함한 원료유를, 은염을 포함한 수성 용액과 접촉시킨 후, 수층을 회수하는 공정이다. 상기 공정은, 예를 들면, 특허 제 2786748호 공보, 특허 제 2895258호 공보, 특허 제 2935555호 공보, 특허 제 3001954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에 따라 실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술한 EPA 알킬에스테르를 포함한 원료유에, 은염을 포함한 수성 용액을 첨가하고, 5분∼4시간, 바람직하게는 10분∼2시간 정도 교반한다. 이 때의 반응 온도는, 상기 공정 (1)의 생성물이 완전하게 액체가 되는 온도를 상한으로 하고, 예를 들면 약 80℃ 이하이며, 한편, 하한으로서 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반응 온도는 실온(20∼30℃) 부근이다. 상기 반응에 의해, 은-EPA의 착체가 생성된다. 상기 착체는, 수성 용액의 층에 용해되므로, 용액으로부터 수층을 회수하는 것에 의해서 EPA를 선택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상기 은염으로서는, PUFA의 불포화 결합과 착체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질산은, 과염소산은, 4불화붕소산은, 초산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중, 질산은이 바람직하다. 수성 용액의 용매로서는, 물, 또는 물과 글리세린이나 에틸렌글리콜등의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과의 혼합 매체를 들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물이 사용된다. 수성 용액중의 은염 농도는, 0.1mol/L 이상이면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1∼20mol/L 정도로 한다. PUFA와 은염과의 몰비는, 1:100∼100:1, 바람직하게는 1:5∼1:1 정도이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의 공정(2)은, 상기 공정(1)에서 회수한 수층에 유기용매를 첨가하고, 상기 수층 내의 EPA 알킬에스테르를 유기 용매층에 추출시킨 후, 상기 EPA 알킬에스테르를 포함한 유기용매층을 회수하는 공정이다. 상기 공정은, 예를 들면, 특허 제 2786748 공보, 특허 제 2895258 공보, 특허 제 2935555 공보, 특허 제 3001954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에 따라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수층에 첨가하는 유기용매로서는, 헥산, 에테르, 초산 에틸, 초산 부틸, 클로로포름, 시클로헥산,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의, PUFA로의 용해성이 높고, 또한 물과 분리 가능한 용매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기용매를 첨가한 용액(반응액)을, 상기 공정 (1)에서의 반응 온도, 즉 상기 은-EPA의 착체의 생성 온도보다 높은 온도가 되도록 가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공정 (1)에서의 반응 온도, 즉 상기 착체의 생성 온도보다 20℃ 이상 높은 온도로 한다. 예를 들면, 상기 공정 (1)에서 착체를 실온으로 생성시켰을 경우, 공정 (2)에서의 반응액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80℃ 정도로 하면 좋다. EPA 알킬에스테르의 유기용매층으로의 추출 반응의 시간은, 10분∼6시간, 바람직하게는 30분∼2시간으로 하면 되고, 또 반응 중에는 용액을 교반하면 좋다. 이어서, 수층을 제거하고, EPA 알킬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유기용매층을 회수한다. 또는 회수한 유기용매층을 또한 실리카 겔, 활성탄, 이산화규소 등의 흡착제에 통액함으로써, 잔류하는 은이온을 더욱 제거할 수도 있다.
일실시 형태에서, 상기 공정 (1) 및 (2)은, 상술한 것처럼 원료유와 수성 용액, 또는 수성 용액과 유기용매를 배치로 혼합하는 대신에, WO2017/191821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실시할 수도 있다. 즉, 은염을 포함한 수성 용액의 액적을, 제1 반응조 중의 EPA 알킬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원료유 중에 통과시키는 것으로, 상기 수성 용액을 원료유와 접촉시켜서 은-EPA의 착체를 포함한 수성 용액을 생성시키고, 이것을 회수한다. 이어서, 회수한 은-EPA의 착체를 포함한 수성 용액의 액적을, 제2 반응조 중의 유기용매 중에 통과시키는 것으로, EPA 알킬에스테르를 상기 유기용매 중에 추출시키고, 이어서 상기 EPA 알킬에스테르를 포함한 유기용매층을 회수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성 용액의 액울의 원료유 중의 통과와, 은-EPA의 착체를 포함한 수성 용액의 회수는, 및/또는 상기 은-EPA의 착체를 포함한 수성 용액의 액적의 유기용매 중의 통과와 EPA 알킬에스테르를 포함한 유기용매층의 회수는, 상기 제1 및/또는 제2 반응조에 수시, 수성 용액 및 필요에 따라 원료유 또는 유기용매를 첨가하면서, 병행하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연속적으로 실시된다. 상기 제1 및 제2 반응조 중에서의 수성 용액의 통과시간(원료유 또는 유기용매와의 접촉 시간)은, 수성 용액과 원료유 또는 유기용매와의 비중차이, 및 원료유 또는 유기용매의 용적(반응조의 사이즈)에 따라 제어될 수 있지만, 반응조에 있어서의 수성 용액, 및 필요에 따라 원료유 또는 유기용매의 유속이나 유량을 펌프 등으로 제어하는 것에 의해도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반응조 중의 액체의 온도는 각각 상술한 공정 (1) 및 (2)의 반응액의 온도와 같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기용매와 접촉시킨 후의 은염을 포함한 수성 용액을 반복하여 재이용하고, 다시 원료유와의 접촉에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은염을 포함한 수성 용액의 사용량을, 상술한 원료유에 은염을 포함한 수성 용액을 정리하여 첨가하고 교반하는 방법과 비교해서 1/2∼1/20 정도로 감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의 공정(3)은, 공정(2)에서 얻어진 유기용매층을 진공 증류하고, 목적의 EPA 알킬에스테르를 회수하는 공정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공정(2)에서 얻어진 EPA 알킬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유기용매층으로부터, 비점의 차이에 의해, 목적으로 하는 EPA 알킬에스테르를 선택적으로 회수한다.
공정 (3)의 진공 증류를 위해서는, 충전식, 스프링식, 선반단식 등의 공지의 방식에 의한 진공 증류 장치를 사용할 수 있고, 또 연속 증류 방식을 채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의 진공 증류의 조건은, 종래의 진공 증류법(예를 들면 특허 문헌 5에 기재의 방법)과 비교해서, 보다 낮은 압력 및 보다 제한된 범위의 온도로 설정된다. 즉, 본 발명의 방법에서, 공정(3)의 진공 증류의 조건은, 증류기의 탑정 진공도가 0.7Pa 이하이며, 증류 온도가 180∼188℃, 바람직하게는 185∼188℃이다. 탑정 진공도가 0.7Pa를 넘으면, 본 발명의 불순물질과의 분리가 나빠져, 고순도 EPA 알킬에스테르의 회수가 곤란해진다. 또, 증류 온도가 180℃ 미만이면 EPA의 농축이나 본 발명의 불순물질의 제거를 위해서 필요한 증류 시간이 길어지고, 한편 188℃을 넘으면, 에너지 코스트가 오르는 것에 비해 증류 효율은 오르지 않아, 고비용이 된다. 본 공정도에 있어서의 증류 온도란, EPA 알킬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유기용매층의 온도로서 나타낸다.
상기 진공 증류 공정에서 얻어진 EPA 알킬에스테르를 포함한 유분은, 환류되고, 재차 상기의 조건에서의 진공 증류에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EPA 알킬에스테르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각 공정을 (1)→(2)→(3)의 순서로 실시한다. 이 순서를 변경하면, 목적의 EPA를 고함유하고, 또한 본 발명의 불순물질의 비율이 충분히 낮은 조성물을 얻을 수 없다. 특히, 공정 (3)을 공정 (1) 또는 (2)보다 먼저 실시하면, 목적의 EPA를 고함유하는 조성물을 얻는 것이 어려워지거나, 또는, EPA의 함량은 많지만, 본 발명의 불순물질의 함유량도 많은 조성물이 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EPA 알킬에스테르 함유 조성물은, 함유하는 전 지방산 중에, EPA 알킬에스테르를, 바람직하게는 95면적%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6면적%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8면적%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9 면적% 이상 함유한다.
본 명세서에서, 유지 조성물 중의 소여의 지방산의 함유량은, 하기 조건에서의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된, 조성물 중의 전 지방산의 합계 피크 면적에 대한 상기 지방산의 피크 면적의 비율(면적%)로 나타낸다.
<시료>
측정 시료 9㎕를 n-헥산 1.5mL에 희석
<컬럼 조건>
컬럼:내경 0.25mm, 길이 60m의 용해 실리카관에, 폴리에틸렌글리콜을 막 두
께 0.25㎛로 피막한 캐피러리 컬럼 (예를 들면, J&W사 제조 DB-WAX)
컬럼 온도:210℃
He유량:1.3mL/min
<검출 조건>
H2유량:30mL/min, Air 유량:400mL/min
DET 온도:260℃
또는, 컬럼 조건과 검출 조건은 하기와 같을 수 있다.
<컬럼 조건>
컬럼:내경 0.25 mm, 길이 100 m의 용해 실리카관에, 시아노프로필을 막 두
께 0.20㎛로 피막한 비화학 결합 타입의 캐피러리 컬럼(예를 들면, 디
엘사이언스사 제조 TC-2560 0.25mm×100m×0.20㎛)
컬럼 온도:170℃(150min 유지)→온도상승(10℃/min) →240℃(15min 유지)
He유량:1.0∼1.5mL/min
<검출 조건>
H2유량:30 mL/min, Air 유량:400mL/min
DET 온도:270℃
상기 EPA 알킬에스테르 함유 조성물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불순물질의 함유량은, (4Z,7Z,10Z,13Z,16Z)-이코사-4,7,10,13,16-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 (7Z,10Z,13Z,16Z,19Z)-이코사-7,10,13,16,19-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 및 (4Z,7Z,10Z,13Z,16Z,19Z)-이코사-4,7,10,13,16,19-헥사엔산 알킬에스테르의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도, 0.1면적%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EPA 알킬에스테르 함유 조성물 중, (4Z,7Z,10Z,13Z,16Z)-이코사-4,7,10,13,16-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은 0.1면적% 이하이며, (7Z,10Z,13Z,16Z,19Z)-이코사-7,10,13,16,19-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은 0.07면적% 이하이며, (4Z,7Z,10Z,13Z,16Z,19Z)-이코사- 4,7,10,13,16,19-헥사엔산 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은 0.09면적% 이하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EPA 알킬에스테르 함유 조성물 중, (4Z,7Z,10Z,13Z,16Z)-이코사-4,7,10,13,16-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은 0.05면적% 이하이며, (7Z,10Z,13Z,16Z,19Z)-이코사-7,10,13,16,19-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은 0.07면적% 이하이며, (4Z,7Z,10Z,13Z,16Z,19Z)-이코사-4,7,10,13,16,19-헥사엔산 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은 0.08면적% 이하이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EPA 알킬에스테르 함유 조성물은, EPA 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이 95면적% 이상, 바람직하게는 96면적%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8면적%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9면적% 이상이며, 또, (4Z,7Z,10Z,13Z,16Z)-이코사-4,7,10,13,16-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 (7Z,10Z,13Z,16Z,19Z)-이코사 -7,10,13,16,19-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 및 (4Z,7Z,10Z,13Z,16Z,19Z)-이코사 -4,7,10,13,16,19-헥사엔산 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이, 각각 0.1면적% 이하이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EPA 알킬에스테르 함유 조성물은, EPA 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이 95면적% 이상, 바람직하게는 96면적%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8면적%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9면적% 이상이며, (4Z,7Z,10Z,13Z,16Z)-이코사-4,7,10,13,16-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이 0.1면적% 이하이며, (7Z,10Z,13Z,16Z,19Z)-이코사-7,10,13,16,19-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이 0.07면적% 이하이며, 또한 (4Z,7Z,10Z,13Z,16Z,19Z)-이코사-4,7,10,13,16,19-헥사엔산 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이 0.09면적% 이하이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EPA 알킬에스테르 함유 조성물은, EPA 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이 98면적% 이상, 바람직하게는 99면적% 이상이며, (4Z,7Z,10Z,13Z,16Z)-이코사-4,7,10,13,16-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이 0.05 면적% 이하이며, (7Z,10Z,13Z,16Z,19Z)-이코사-7,10,13,16,19-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이 0.07면적% 이하이며, 한편 (4Z,7Z,10Z,13Z,16Z,19Z)-이코사 -4,7,10,13,16,19-헥사엔산 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이 0.08면적%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자는, 본 발명의 불순물질이 EPA와의 분리가 매우 곤란한 EPA의 유연 물질인 것부터, 이들의 함유량이, EPA 알킬에스테르 함유 조성물의 순도의 지표가 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새로운 태양은, 본 발명의 불순물질의 함유량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한, EPA 알킬에스테르 함유 조성물의 순도를 측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의한 EPA 알킬에스테르 함유 조성물의 순도를 측정하는 방법에서는, (4Z,7Z,10Z,13Z,16Z)-이코사-4,7,10,13,16-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 (7Z,10Z,13Z,16Z,19Z)-이코사-7,10,13,16,19-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 및 (4Z,7Z,10Z,13Z,16Z,19Z)-이코사-4,7,10,13,16,19-헥사엔산 알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물질의 함유량을 측정한다. 상기 물질의 함유량은, 예를 들면 상술한 조건으로의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한, 전 지방산의 합계 피크 면적에 대한 상기 물질의 피크 면적의 비율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측정한 물질의 상기 EPA 알킬에스테르 함유 조성물에 있어서의 함유량은, 목적의 EPA에 대한 측정한 물질의 혼입 레벨을 나타내며, 이것은, 본 발명의 불순물질이 지극히 EPA와의 분리가 곤란한 물질인 것을 고려하면,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의 목적의 EPA의 순도를 반영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는, EPA 알킬에스테르 함유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4Z,7Z,10Z,13Z,16Z)-이코사-4,7,10,13,16-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 (7Z,10Z,13Z,16Z,19Z)-이코사-7,10,13,16,19-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 및 (4Z,7Z,10Z,13Z,16Z,19Z)-이코사-4,7,10,13,16,19-헥사엔산 알킬에스테 중 어느 하나의 함유량이, 0.5면적% 이하, 바람직하게는 0.3면적%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면적% 이하이면, 상기 EPA 알킬에스테르 함유 조성물은 고순도라고 평가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EPA 알킬에스테르 함유 조성물은, 의약 또는 식품의 원료로서 충분히 고순도라고 평가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는, EPA 알킬에스테르 함유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4Z,7Z,10Z,13Z,16Z)-이코사-4,7,10,13,16-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 (7Z,10Z,13Z,16Z,19Z)-이코사-7,10,13,16,19-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 및 (4Z,7Z,10Z,13Z,16Z,19Z)-이코사-4,7,10,13,16,19-헥사엔산 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이, 모두 0.5면적% 이하, 바람직하게는 0.3면적%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면적% 이하이면, 상기 EPA 알킬에스테르 함유 조성물은 고순도라고 평가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EPA 알킬에스테르 함유 조성물은, 의약 또는 식품의 원료로서 충분히 고순도라고 평가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는, EPA 알킬에스테르 함유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4Z,7Z,10Z,13Z,16Z)-이코사-4,7,10,13,16-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이 0.1면적% 이하이며, (7Z,10Z,13Z,16Z,19Z)-이코사-7,10,13,16,19-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이 0.07면적% 이하이며, 또한, (4Z,7Z,10Z,13Z,16Z,19Z)-이코사-4,7,10,13,16,19-헥사엔산 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이 0.09면적% 이하이면, 상기 EPA 알킬에스테르 함유 조성물은 고순도라고 평가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EPA 알킬에스테르 함유 조성물은, 의약 또는 식품의 원료로서 충분히 고순도라고 평가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는, EPA 알킬에스테르 함유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4Z,7Z,10Z,13Z,16Z)-이코사-4,7,10,13,16-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이 0.05면적% 이하이며, (7Z,10Z,13Z,16Z,19Z)-이코사-7,10,13,16,19-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이 0.07면적% 이하이며, 또한 (4Z,7Z,10Z,13Z,16Z,19Z)-이코사-4,7,10,13,16,19-헥사엔산 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이 0.08면적% 이하이면, 상기 EPA 알킬에스테르 함유 조성물은 고순도라고 평가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EPA 알킬에스테르 함유 조성물은, 의약 또는 식품의 원료로서 충분히 고순도라고 평가된다.
본 발명에 의한 EPA 알킬에스테르 함유 조성물의 순도 측정 방법에서는, 또한 상기 EPA 알킬에스테르 함유 조성물에 있어서의 EPA 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을 측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더욱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EPA 알킬에스테르 함유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EPA 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이 95면적% 이상, 바람직하게는 96면적%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8면적%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9면적% 이상이며, 또한, (4Z,7Z,10Z,13Z,16Z)-이코사-4,7,10,13,16-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 (7Z,10Z,13Z,16Z,19Z)-이코사-7,10,13,16,19-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 및 (4Z,7Z,10Z,13Z,16Z,19Z)-이코사-4,7,10,13,16,19-헥사엔산 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이 모두 0.5면적% 이하, 바람직하게는 0.3면적%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면적% 이하이면, 상기 EPA 알킬에스테르 함유 조성물은 고순도라고 평가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EPA 알킬에스테르 함유 조성물은, 의약 또는 식품의 원료로서 충분히 고순도라고 평가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는, EPA 알킬에스테르 함유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EPA 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이 95면적% 이상, 바람직하게는 96면적%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8면적%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9면적% 이상이며, (4Z,7Z,10Z,13Z,16Z)-이코사-4,7,10,13,16-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이 0.1 면적%이하이며, (7Z,10Z,13Z,16Z,19Z)-이코사-7,10,13,16,19-펜타엔산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이 0.07면적% 이하이며, 또한 (4Z,7Z,10Z,13Z,16Z,19Z)-이코사- 4,7,10,13,16,19-헥사엔산 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이 0.09면적%이하이면, 상기 EPA 알킬에스테르 함유 조성물은 고순도라고 평가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EPA 알킬에스테르 함유 조성물은, 의약 또는 식품의 원료로서 충분히 고순도라고 평가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는, EPA 알킬에스테르 함유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EPA 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이 98면적%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9면적% 이상이며, (4Z,7Z,10Z,13Z,16Z)-이코사-4,7,10,13,16-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이 0.05 면적% 이하이며, (7Z,10Z,13Z,16Z,19Z)-이코사-7,10,13,16,19-펜타엔산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이 0.07면적% 이하이며, 한편 (4Z,7Z,10Z,13Z,16Z,19Z)-이코사-4,7,10,13,16,19-헥사엔산 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이 0.08면적% 이하이면, 상기 EPA 알킬에스테르 함유 조성물은 고순도라고 평가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EPA 알킬에스테르 함유 조성물은, 의약 또는 식품의 원료로서 충분히 고순도라고 평가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지방산 조성 분석
측정 시료 9㎕를 n-헥산 1.5 mL에 희석하고,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분석 장치(Type 6890 GC;Agilent Technologies제)를 사용하여, 이하의 조건으로 지방산을 분석했다. 지방산의 함유량은, 크로마토그램에 있어서의 전 지방산의 합계 피크 면적에 대한 각 지방산의 피크 면적의 비율(면적%)로서 산출했다.
<컬럼 조건>
컬럼:J&W사 제조 DB-WAX0.25mm×60m
(내경 0.25 mm, 길이 60 m의 용해 실리카관에, 폴리에틸렌글리콜을
막 두께 0.25㎛로 피막한 캐피러리 컬럼)
컬럼 온도:210℃
He유량:1.3mL/min
<검출 조건>
H2유량:30 mL/min, Air 유량:400mL/min
DET 온도:260℃
또는,
<컬럼 조건>
컬럼:디엘사이언스사 제조 TC-25600.25mm×100m×0.20㎛ (내경 0.25 mm, 길
이 100 m의 용해 실리카관에 시아노프로필을 막 두께 0.20㎛에 피막한
비화학 결합 타입의 캐피러리컬럼)
컬럼 온도:170℃(150min hold)→온도상승(10℃/min)→240℃(15min hold)
He유량:1.0∼1.5mL/min
<검출 조건>
H2유량:30 mL/min,
Air 유량:400mL/min
DET 온도:270℃
참고예 2 원료유의 조제
정어리유 2kg에, 수산화 나트륨 100g를 용해시킨 무수 에탄올 용액 2000mL를 더하여 70∼80℃에서 1시간 혼합 교반하고, 다시 물 1000mL를 더하여 잘 혼합하고, 1시간 정치했다. 분리한 수층을 제거하고, 유층을 몇차례 세면하여 세액을 중성으로 하고, 에틸 에스테르화 정어리유를 얻었다. 참고예 1에 따라 상기 정어리유의 지방산 조성을 조사했다. 상기 정어리유는,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 지방산 중에 EPA 20.4면적%를 함유하고, 또 (4Z,7Z,10Z,13Z,16Z)-이코사-4,7,10,13,16-펜타엔산을 0.047 면적%(대EPA비 0.0023), (7Z,10Z,13Z,16Z,19Z)-이코사 -7,10,13,16,19-펜타엔산을 0.018 면적%(대EPA비 0.0009), 및 (4Z,7Z,10Z,13Z,16Z,19Z)-이코사-4,7,10,13,16,19-헥사엔산을 0.024 면적%(대EPA비 0.0012) 함유하고 있었다.
조제한 에틸 에스테르화 정어리유 1g을 탑정 진공도 13.3Pa, 증류 온도 120℃∼170℃로 진공 증류를 실시하고, 조정제물을 얻었다. 참고예 1에 따라서 상기 조정제물의 지방산 조성을 조사했다. 상기 조정제물은,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 지방산 중에 EPA 44.0면적%를 함유하고, 또 (4Z,7Z,10Z,13Z,16Z)-이코사 -4,7,10,13,16-펜타엔산을 0.097면적%(대EPA비 0.0022), (7Z,10Z,13Z,16Z,19Z)-이코사-7,10,13,16,19-펜타엔산을 0.040 면적%(대EPA비 0.0009), 및 (4Z,7Z,10Z,13Z,16Z,19Z)-이코사-4,7,10,13,16,19-헥사엔산을 0.053 면적%(대EPA비 0.0012) 함유하고 있었다. 이 정제물을, 이하의 실시예로 원료유로서 사용했다.
실시예 1 EPA 함유 조성물의 제조
공정(1):참고예 2에서 얻은 원료유 300g에 n-헥산 160mL를 더하여 잘 혼합하여 용해시켰다. 여기에 50질량% 질산은 수용액 500mL를 더하여 5∼30℃의 조건하에서 교반했다. 혼합액을 정치 후, 분리한 n-헥산층을 제거하고, 수층을 회수했다.
공정(2):회수한 수층에 새롭게 n-헥산 2000mL를 더하고 52∼68℃에서 잘 혼합하여, 수층 안의 지방산 에틸 에스테르를 n-헥산 중에 추출시켰다. 혼합액을 정치 후, 분리한 수층을 제거하고, n-헥산층을 농축했다.
참고예 1에 따라 공정 (2)에서 얻은 n-헥산층의 지방산 조성을 조사했다. 상기 n-헥산층에 포함되어 있던 지방산 에틸 에스테르는,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 지방산 중에 EPA 74.5 면적%를 함유하고, 또 (4Z,7Z,10Z,13Z,16Z)-이코사-4,7,10,13,16-펜타엔산을 0.156 면적%(대EPA비 0.0021), (7Z,10Z,13Z,16Z,19Z)-이코사-7,10,13,16,19-펜타엔산을 0.067 면적%(대EPA비 0.0009), 및(4Z,7Z,10Z,13Z,16Z,19Z)-이코사-4,7,10,13,16,19-헥사엔산을 0.089 면적%(대EPA비 0.0012) 함유하고 있었다.
공정(3):공정 (2)에서 얻은 지방산 에틸 에스테르를 포함한 n-헥산층을, 충전탑식 정밀 증류기를 사용하고, 탑정 진공도 0.7 Pa이하, 증류 온도 180∼183℃의 조건을 유지하면서 진공 증류를 실시하고, EPA 에틸 에스테르 함유 조성물을 얻었다. 참고예 1에 따라서 얻어진 조성물의 지방산 조성을 조사했다. 상기 조성물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 지방산 중에 EPA 98.4 면적%를 함유하고, 또 ( 4Z,7Z,10Z,13Z,16Z)-이코사-4,7,10,13,16-펜타엔산을 0.098 면적%(대EPA비 0.0010), (7Z,10Z,13Z,16Z,19Z)-이코사-7,10,13,16,19-펜타엔산을 0.069 면적%(대EPA비 0.0007), (4Z,7Z,10Z,13Z,16Z,19Z)-이코사-4,7,10,13,16,19-헥사엔산을 0.089 면적%(대EPA비 0.0009) 함유하고 있었다.
실시예 2
공정 (3)에서, 탑정 진공도 0.7Pa로 하고, 증류 온도를 180℃∼188℃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순서로 EPA 에틸 에스테르 함유 조성물을 얻었다. 참고예 1에 따라 얻어진 조성물의 지방산 조성을 조사했다. 상기 조성물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 지방산 중에 EPA 98.2면적%를 함유하고, 또 (4Z,7Z,10Z,13Z,16Z)-이코사-4,7,10,13,16-펜타엔산을 0.079 면적%(대EPA비 0.0008), (7Z,10Z,13Z,16Z,19Z)-이코사-7,10,13,16,19-펜타엔산을 0.069 면적%(대EPA비 0.0007), (4Z,7Z,10Z,13Z,16Z,19Z)-이코사-4,7,10,13,16,19-헥사엔산을 0.088 면적%(대EPA비 0.0009) 함유하고 있었다.
실시예 3
공정(3)에서, 탑정 진공도 0.7Pa로 하고, 증류 온도를 185℃∼188℃으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순서로 EPA 에틸 에스테르 함유 조성물을 얻었다. 참고예 1에 따라 얻어진 조성물의 지방산 조성을 조사했다. 상기 조성물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 지방산 중에 EPA 99.0 면적%를 함유하고, 또 (4Z,7Z,10Z,13Z,16Z)-이코사-4,7,10,13,16-펜타엔산을 0.050 면적%(대EPA비 0.0005), (7Z,10Z,13Z,16Z,19Z)-이코사-7,10,13,16,19-펜타엔산을 0.069 면적%(대EPA비 0.0007), (4Z,7Z,10Z,13Z,16Z,19Z)-이코사-4,7,10,13,16,19-헥사엔산을 0.079 면적%(대EPA비 0.0008) 함유하고 있었다.
비교예 1
공정(3)에서, 탑정 진공도 0.9∼1.0Pa로 하고, 증류 온도를 172℃∼188℃으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순서로 EPA 에틸에스테르 함유 조성물을 얻었다. 참고예 1에 따라서 얻어진 조성물의 지방산 조성을 조사했다. 상기 조성물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 지방산 중의 EPA의 함유량은 98.3%로 높았지만, 불순물질인 (4Z,7Z,10Z,13Z,16Z)-이코사-4,7,10,13,16-펜타엔산,(7Z,10Z,13Z,16Z,19Z)-이코사-7,10,13,16,19-펜타엔산, 및 (4Z,7Z,10Z,13Z,16Z,19Z)-이코사- 4,7,10,13,16,19-헥사엔산의 함유량은, 각각 0.157 면적%(대EPA비 0.0016), 0.088 면적%(대EPA비 0.0009), 0.108 면적%(대EPA비 0.0011)이며, (4Z,7Z,10Z,13Z,16Z)-이코사-4,7,10,13,16-펜타엔산 및 (4Z,7Z,10Z,13Z,16Z,19Z)-이코사- 4,7,10,13,16,19-헥사엔산이 고가였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공정 (2)에서는, 불순물질의 대EPA 비율은 원료유와 거의 같고, 불순물질은 EPA와 함께 농축되고 있었다. 이것에 대해서, 실시예 1의 공정 (3)에서는, EPA가 농축되는 한편, 불순물질은 감소하고 있으며, 이것으로부터, 상기 공정(3)에 의해 EPA로부터 불순물질이 분리된 것이 나타났다. 또, 비교예 1에서의 불순물질의 대EPA 비율이 원료유 및 공정 (2)와 거의 같은 것으로부터, 공정 (3)에 있어서의 진공 증류의 조건이 불순물질의 분리에 있어서 중요하다는 것이 나타났다.
Claims (10)
- 에이코사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1) 에이코사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원료유를, 은염을 포함한 수용액과 접촉시킨 후, 수층을 회수하는 것;
(2) 상기 수층에 유기용매를 첨가한 후, 유기용매층을 회수하는 것;및
(3) 상기 유기용매층을, 온도 180∼188℃, 탑정 진공도 0.7 Pa이하로 진공 증류하고, 상기 유기용매층으로부터 에이코사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를 회수하는 것 을 포함한,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이코사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 함유 조성물이, 에이코사펜타엔산의 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이 95면적% 이상이며, 또한 (4Z,7Z,10Z,13Z,16Z)-이코사- 4,7,10,13,16-펜타엔산알킬에스테르, (7Z,10Z,13Z,16Z,19Z)-이코사-7,10,13,16,19-펜타엔산알킬에스테르, 및 (4Z,7Z,10Z,13Z,16Z,19Z)-이코사-4,7,10,13,16,19-헥사엔산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이, 각각 0.1 면적% 이하인, 방법.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에이코사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 함유 조성물이, 상기 (4Z,7Z,10Z,13Z,16Z)-이코사-4,7,10,13,16-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이 0.1 면적% 이하이며, 상기 (7Z,10Z,13Z,16Z,19Z)-이코사-7,10,13,16,19-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이 0.07면적% 이하이며, 상기 (4Z,7Z,10Z,13Z,16Z,19Z)-이코사-4,7,10,13,16,19-헥사엔산 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이 0.09면적% 이하인, 방법. -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증류의 온도가 185∼188℃인, 방법. -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유가, 함유하는 전 지방산 중에 에이코사펜타엔산을 40면적% 이상 함유하는, 방법. - 에이코사펜타엔산의 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이 95면적% 이상이며, 또한, (4Z,7Z,10Z,13Z,16Z)-이코사-4,7,10,13,16-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 (7Z,10Z,13Z,16Z,19Z)-이코사-7,10,13,16,19-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 및 (4Z,7Z,10Z,13Z,16Z,19Z)-이코사-4,7,10,13,16,19-헥사엔산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이, 각각 0.1 면적%이하인, 에이코사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 함유 조성물.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4Z,7Z,10Z,13Z,16Z)-이코사-4,7,10,13,16-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이 0.1면적% 이하이며, 상기 (7Z,10Z,13Z,16Z,19Z)-이코사-7,10,13,16,19-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이 0.07면적% 이하이며, 상기 (4Z,7Z,10Z,13Z,16Z,19Z)-이코사-4,7,10,13,16,19-헥사엔산 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이 0.09면적% 이하인, 조성물. - 에이코사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 함유 조성물의 순도를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의, (4Z,7Z,10Z,13Z,16Z)-이코사-4,7,10,13,16-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 (7Z,10Z,13Z,16Z,19Z)-이코사-7,10,13,16,19-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 및 (4Z,7Z,10Z,13Z,16Z,19Z)-이코사-4,7,10,13,16,19-헥사엔산 알킬에스테르로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물질의 함유량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한, 방법.
- 청구항 8에 있어서,
에이코사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을 측정하는 것을 더욱 포함한, 방법. - (4Z,7Z,10Z,13Z,16Z)-이코사-4,7,10,13,16-펜타엔산알킬에스테르, (7Z,10Z,13Z,16Z,19Z)-이코사-7,10,13,16,19-펜타엔산알킬에스테르, 또는 (4Z,7Z,10Z,13Z,16Z,19Z)-이코사-4,7,10,13,16,19-헥사엔산 알킬에스테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8-242417 | 2018-12-26 | ||
JP2018242417 | 2018-12-26 | ||
PCT/JP2019/051107 WO2020138282A1 (ja) | 2018-12-26 | 2019-12-26 | エイコサペンタエン酸アルキルエステル含有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08948A true KR20210108948A (ko) | 2021-09-03 |
Family
ID=71125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7016710A Pending KR20210108948A (ko) | 2018-12-26 | 2019-12-26 | 에이코사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 함유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12275699B2 (ko) |
EP (1) | EP3904328A4 (ko) |
JP (1) | JPWO2020138282A1 (ko) |
KR (1) | KR20210108948A (ko) |
CN (1) | CN113195447A (ko) |
CA (1) | CA3125090A1 (ko) |
WO (1) | WO2020138282A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172346A1 (ja) | 2012-05-14 | 2013-11-21 | 日本水産株式会社 | 環境汚染物質を低減させた高度不飽和脂肪酸又は高度不飽和脂肪酸エチルエステル及びその製造方法 |
WO2014054435A1 (ja) | 2012-10-01 | 2014-04-10 | 日清ファルマ株式会社 | 高度不飽和脂肪酸アルキルエステル含有組成物の製造方法 |
JP2015105354A (ja) | 2013-12-02 | 2015-06-08 | 花王株式会社 | 精製魚油の製造方法 |
JP2016502573A (ja) | 2012-11-02 | 2016-01-28 | プロノヴァ・バイオファーマ・ノルゲ・アーエスPronova BioPharma Norge AS | 油組成物からの好ましくない成分の除去 |
WO2016043251A1 (ja) | 2014-09-17 | 2016-03-24 | 日本水産株式会社 | エイコサペンタエン酸アルキルエステルを含有する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103198A (en) | 1980-01-23 | 1981-08-18 | Microbial Chem Res Found | 3',4',6''-trideoxyamikacin and its preparation |
JP2935555B2 (ja) | 1990-10-19 | 1999-08-16 | ハリマ化成株式会社 | 高度不飽和脂肪酸の分離精製法 |
JP2895258B2 (ja) | 1990-04-24 | 1999-05-24 | ハリマ化成株式会社 | 高度不飽和脂肪酸類の選択的取得方法 |
JP2786748B2 (ja) | 1991-01-28 | 1998-08-13 | ハリマ化成株式会社 | 高度不飽和脂肪酸類の精製方法 |
GB9508023D0 (en) | 1995-04-20 | 1995-06-07 | Scotia Holdings Plc | Fatty acid derivatives |
TW514633B (en) * | 1996-04-18 | 2002-12-21 | Scotia Holdings Plc | Fatty acid derivatives |
JP6990174B2 (ja) * | 2016-05-02 | 2022-02-03 | 日清ファルマ株式会社 | 高度不飽和脂肪酸含有組成物の製造方法 |
EP3640317B1 (en) * | 2017-06-14 | 2024-05-29 | Nisshin Pharma Inc. | Method for producing polyunsaturated fatty acid-containing composition |
JP7528054B2 (ja) * | 2019-03-26 | 2024-08-05 | 日清ファルマ株式会社 | エイコサペンタエン酸アルキルエステル含有組成物の製造方法 |
-
2019
- 2019-12-26 EP EP19902643.6A patent/EP3904328A4/en active Pending
- 2019-12-26 US US17/418,439 patent/US12275699B2/en active Active
- 2019-12-26 KR KR1020217016710A patent/KR20210108948A/ko active Pending
- 2019-12-26 JP JP2020562404A patent/JPWO2020138282A1/ja active Pending
- 2019-12-26 CN CN201980086203.8A patent/CN113195447A/zh active Pending
- 2019-12-26 CA CA3125090A patent/CA3125090A1/en active Pending
- 2019-12-26 WO PCT/JP2019/051107 patent/WO2020138282A1/ja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172346A1 (ja) | 2012-05-14 | 2013-11-21 | 日本水産株式会社 | 環境汚染物質を低減させた高度不飽和脂肪酸又は高度不飽和脂肪酸エチルエステル及びその製造方法 |
WO2014054435A1 (ja) | 2012-10-01 | 2014-04-10 | 日清ファルマ株式会社 | 高度不飽和脂肪酸アルキルエステル含有組成物の製造方法 |
JP2016502573A (ja) | 2012-11-02 | 2016-01-28 | プロノヴァ・バイオファーマ・ノルゲ・アーエスPronova BioPharma Norge AS | 油組成物からの好ましくない成分の除去 |
JP2015105354A (ja) | 2013-12-02 | 2015-06-08 | 花王株式会社 | 精製魚油の製造方法 |
WO2016043251A1 (ja) | 2014-09-17 | 2016-03-24 | 日本水産株式会社 | エイコサペンタエン酸アルキルエステルを含有する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0138282A1 (ja) | 2020-07-02 |
US20210395183A1 (en) | 2021-12-23 |
CN113195447A (zh) | 2021-07-30 |
US12275699B2 (en) | 2025-04-15 |
JPWO2020138282A1 (ja) | 2021-11-04 |
CA3125090A1 (en) | 2020-07-02 |
EP3904328A1 (en) | 2021-11-03 |
EP3904328A4 (en) | 2022-10-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465938B2 (ja) | 高度不飽和脂肪酸アルキルエステル含有組成物の製造方法 | |
CN103221524B (zh) | 用于浓缩omega-3脂肪酸的方法 | |
Dillon et al. | Purification of omega-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from fish oil using silver-thiolate chromatographic material and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
JPS649977B2 (ko) | ||
KR20200060531A (ko) | 환경 오염 물질을 저감시킨 고도 불포화 지방산 또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 에틸에스테르 및 그 제조 방법 | |
KR20170044852A (ko) | 오메가-7계 불포화 지방산의 정제공정 | |
US9546125B2 (en) | Continuous process for extraction of unsaturated triglycerides from fish oil | |
WO2017191821A1 (ja) | 高度不飽和脂肪酸含有組成物の製造方法 | |
JP6234908B2 (ja) | エイコサペンタエン酸及び/又はドコサヘキサエン酸含有組成物の製造方法 | |
JPWO2020122167A1 (ja) | 高度不飽和脂肪酸またはそのアルキルエステルを含有する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WO2018230622A1 (ja) | 高度不飽和脂肪酸含有組成物の製造方法 | |
JPH1180083A (ja) | エイコサペンタエン酸エステルの製造方法 | |
KR20210108948A (ko) | 에이코사펜타엔산 알킬에스테르 함유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 |
JP7528054B2 (ja) | エイコサペンタエン酸アルキルエステル含有組成物の製造方法 | |
JP2935555B2 (ja) | 高度不飽和脂肪酸の分離精製法 | |
JP6464144B2 (ja) | ステアリドン酸の精製方法 | |
Petrica Iancu et al. | Advanced high vacuum techniques for ω-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esters concentration | |
Hamilton et al. | Displacement Analysis of Lipids. X. Model Mixtures of Glycerides1 | |
JP2001240893A (ja) | エイコサペンタエン酸又はその誘導体の精製方法 | |
JP2011246402A (ja) | 不飽和脂肪酸エステルの2,2−重水素化法 | |
Hata |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EPA ethyl ester for a dru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60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11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3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