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068919A - 기생 주파수 제거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기생 주파수 제거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8919A
KR20210068919A KR1020190158528A KR20190158528A KR20210068919A KR 20210068919 A KR20210068919 A KR 20210068919A KR 1020190158528 A KR1020190158528 A KR 1020190158528A KR 20190158528 A KR20190158528 A KR 20190158528A KR 20210068919 A KR20210068919 A KR 20210068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cover
disposed
conductive
electronic device
displa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8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790819B1 (ko
Inventor
최재원
김지호
노무현
박규복
설경문
안성용
장귀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8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90819B1/ko
Priority to PCT/KR2020/017292 priority patent/WO2021112513A1/en
Priority to US17/106,778 priority patent/US11316266B2/en
Publication of KR20210068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8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90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9081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2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 H01Q1/526Electromagnetic shiel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54Casing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05K5/0018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having an electronic displ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954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display panels
    • H05K7/20963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internal heat source to heat radiating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전면 커버, 상기 전면 커버와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후면 커버, 상기 전면 커버와 상기 후면 커버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부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제1도전성 부분을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오프닝(opening)을 포함하는 제2도전성 부분을 포함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전면 커버와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서, 상기 전면 커버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보일 수 있게 배치되고, 상기 지지 부재와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도전성 시트(conductive sheet)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1도전성 부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무선 통신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시트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부분 및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을 부분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커버를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연결부는 상기 오프닝과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 밖에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생 주파수 제거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INCLUIDNG STRUCTURE FOR ELIMINATING PARASITIC EMISSION}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생 주파수 제거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전자 장치는 각 제조사마다 기능적 격차가 현저히 줄어듦에 따라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점차 슬림화 되어가고 있으며, 전자 장치의 강성을 증가시키고, 디자인적 측면을 강화시킴과 동시에 슬림화를 위하여 개발되고 있다.
전자 장치는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무선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는 전자 장치의 내부 공간에서, 주변에 배치되는 구조물들 또는 전자 부품들로부터 영향을 받지않으면서 우수한 방사 성능이 발현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강성 보강 및 미려한 외관을 위하여 구성 요소로써 금속 재질의 도전성 측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전성 측면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적어도 하나의 비도전성 부분을 통해 단위 도전성 부분으로 분절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서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방사체로 사용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전성 부분을 포함하는 플레이트 타입 지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부재는 전자 장치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를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배면에 노이즈 차폐 또는 방열을 목적으로 배치되는 도전성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전성 시트는 도전성 지지 부재와 평행하게 배치됨으로서, 평행도파관 전송선로 이론에 의해 기생 공진 주파수가 발생되고, 이러한 불필요한 기생 공진 주파수는 도전성 측면 부재 중 일부 도전성 부분이 안테나로 사용될 때, 안테나의 in-band에 포함됨으로서, 안테나의 작동 주파수 대역을 변경시키거나 방사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도전성 시트는 일측 가장자리에서 타측 가장자리까지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을 통해 적어도 두 개의 부분으로 분리됨으로서 기생 공진 주파수를 out-band로 유도하여 안테나 방사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슬릿을 통한 전기적 절연 구조를 갖는 적어도 두 개의 도전성 시트는 어느 하나의 도전성 시트 부분에만 그라운드 연결 구조를 가지며, 나머지 부분은 전기적으로 오픈되기 때문에, 그라운드 부재로 인해, 디스플레이에 플리커 현상(flicker)과 같은 오동작이 유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생 주파수 제거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의 오동작을 방지하면서, 안테나의 방사 성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생 주파수 제거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전면 커버, 상기 전면 커버와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후면 커버, 상기 전면 커버와 상기 후면 커버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부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제1도전성 부분을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오프닝(opening)을 포함하는 제2도전성 부분을 포함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전면 커버와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서, 상기 전면 커버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보일 수 있게 배치되고, 상기 지지 부재와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도전성 시트(conductive sheet)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1도전성 부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무선 통신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시트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과 인접하게 배치된 제2부분 및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을 부분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커버를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연결부는 상기 오프닝과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전면 커버, 상기 전면 커버와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후면 커버, 상기 전면 커버와 상기 후면 커버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부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제1도전성 부분을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오프닝(opening)을 포함하는 제2도전성 부분을 포함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전면 커버와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서, 상기 전면 커버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보일 수 있게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로서,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고, 슬릿을 통해 제1부분과 제2부분으로 분할되도록 배치되는 도전성 시트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도전성 시트의 적어도 일부에 대면하도록 접히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FPCB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1도전성 부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무선 통신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FPCB는, 상기 전면 커버를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중첩 배치되고,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중첩 배치된 영역을 통해, 상기 FPCB의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전면 커버, 상기 전면 커버와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후면 커버, 상기 전면 커버와 상기 후면 커버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부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제1도전성 부분을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오프닝(opening)을 포함하는 제2도전성 부분을 포함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전면 커버와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서, 상기 전면 커버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보일 수 있게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로서,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도전성 시트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배면에 대면하도록 접히는 방식으로 배치되고, 상기 도전성 시트를 제외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나머지 영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갖는 그라운드층을 포함하는 FPCB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1도전성 부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무선 통신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FPCB는, 상기 전면 커버를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도전성 시트와 인접하도록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FPCB로부터 인출된 전기적 연결 부재를 통해 상기 도전성 시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의 파손, 발열, 플리커 현상 또는 누설 전류에 따른 오동작을 유발시키지 않으면서, 도전성 시트와 도전성 지지 부재 사이에 발생되는 기생 공진 주파수를 제거함으로서, 안테나의 방사 성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개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전개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배면을 바라본 구성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가 생략된 하우징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하우징에 도전성 시트가 배치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7a의 7b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와 오프닝의 중첩 여부에 따른 안테나의 반사 계수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시트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은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 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or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안테나 모듈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전면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 2a의 전자 장치(200)의 후면의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의 전자 장치(200)는 도 1의 전자 장치(101)와 적어도 일부 유사하거나, 전자 장치의 다른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는, 제 1 면(또는 전면)(210A), 제 2 면(또는 후면)(210B), 및 제 1 면(210A) 및 제 2 면(210B)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210C)을 포함하는 하우징(21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는, 하우징(210)은, 도 1의 제 1 면(210A), 제 2 면(210B) 및 측면(210C)들 중 일부를 형성하는 구조를 지칭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면(210A)은 적어도 일부분이 실질적으로 투명한 전면 플레이트(202)(예: 다양한 코팅 레이어들을 포함하는 글라스 플레이트, 또는 폴리머 플레이트)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 2 면(210B)은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후면 플레이트(211)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면 플레이트(211)는, 예를 들어, 코팅 또는 착색된 유리, 세라믹, 폴리머, 금속(예: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마그네슘), 또는 상기 물질들 중 적어도 둘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210C)은, 전면 플레이트(202) 및 후면 플레이트(211)와 결합하며, 금속 및/또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측면 베젤 구조 (또는 "측면 부재")(218)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후면 플레이트(211) 및 측면 베젤 구조(218)는 일체로 형성되고 동일한 물질(예: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202)는, 상기 제 1 면(210A)으로부터 상기 후면 플레이트 쪽으로 휘어져 심리스하게(seamless) 연장된 제 1 영역(210D)을, 상기 전면 플레이트의 긴 엣지(long edge) 양단에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도 2b 참조)에서, 상기 후면 플레이트(211)는, 상기 제 2 면(210B)으로부터 상기 전면 플레이트 쪽으로 휘어져 심리스하게 연장된 제 2 영역(210E)을 긴 엣지 양단에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202) 또는 후면 플레이트(211)가 상기 제 1 영역(210D) 또는 제 2 영역(210E) 중 하나 만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면 플레이트(202)는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포함하지 않고, 제 2 면(210B)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편평한 평면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측면에서 볼 때, 측면 베젤 구조(218)는, 상기와 같은 제 1 영역(210D) 또는 제 2 영역(210E)이 포함되지 않는 측면 쪽에서는 제 1 두께 (또는 폭)을 가지고, 상기 제 1 영역 또는 제 2 영역을 포함한 측면 쪽에서는 상기 제 1 두께보다 얇은 제 2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디스플레이(201), 입력 장치(203), 음향 출력 장치(207, 214), 센서 모듈(204, 219), 카메라 모듈(205, 212, 213), 키 입력 장치(217), 인디케이터(미도시 됨), 및 커넥터(208, 209)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자 장치(200)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키 입력 장치(217), 또는 인디케이터)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1)는, 예를 들어, 전면 플레이트(202)의 상당 부분을 통하여 노출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면(210A), 및 상기 측면(210C)의 제 1 영역(210D)을 형성하는 전면 플레이트(202)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201)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1)는, 터치 감지 회로, 터치의 세기(압력)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 및/또는 자기장 방식의 스타일러스 펜을 검출하는 디지타이저와 결합되거나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상기 센서 모듈(204, 219)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키 입력 장치(217)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 영역(210D), 및/또는 상기 제 2 영역(210E)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 장치(203)는, 마이크(203)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입력 장치(203)는 소리의 방향을 감지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마이크(203)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207, 214)는 스피커들(207, 214)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들(207, 214)은, 외부 스피커(207) 및 통화용 리시버(214)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마이크(203), 스피커들(207, 214) 및 커넥터들(208, 209)은 전자 장치(200)의 상기 공간에 배치되고, 하우징(21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홀을 통하여 외부 환경에 노출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하우징(210)에 형성된 홀은 마이크(203) 및 스피커들(207, 214)을 위하여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음향 출력 장치(207, 214)는 하우징(210)에 형성된 홀이 배제된 채, 동작되는 스피커(예: 피에조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204, 219)은, 전자 장치(200)의 내부의 작동 상태,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204, 219)은, 예를 들어, 하우징(210)의 제 1 면(210A)에 배치된 제 1 센서 모듈(204)(예: 근접 센서) 및/또는 제 2 센서 모듈(미도시)(예: 지문 센서), 및/또는 상기 하우징(210)의 제 2 면(210B)에 배치된 제 3 센서 모듈(219)(예: HRM 센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문 센서는 하우징(210)의 제 1 면(210A)에 배치될 수 있다. 지문 센서(예: 초음파 방식 또는 광학식 지문 센서)는 제 1 면(210A) 중 디스플레이(201)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도시되지 않은 센서 모듈, 예를 들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204)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05, 212, 213)은, 전자 장치(200)의 제 1 면(210A)에 배치된 제 1 카메라 장치(205), 및 제 2 면(210B)에 배치된 제 2 카메라 장치(212), 및/또는 플래시(2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들(205, 212)은, 하나 또는 복수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 및/또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래시(213)는,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 또는 제논 램프(xenon lamp)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2개 이상의 렌즈들 (광각 및 망원 렌즈) 및 이미지 센서들이 상기 전자 장치(200)의 한 면에 배치될 수 있다.
키 입력 장치(217)는, 하우징(210)의 측면(210C)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200)는 상기 언급된 키 입력 장치(217)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포함되지 않은 키 입력 장치(217)는 디스플레이(201) 상에 소프트 키 등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키 입력 장치(217)는 디스플레이(201)에 포함된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는, 예를 들어, 하우징(210)의 제 1 면(210A)에 배치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의 상태 정보를 광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발광 소자는,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205)의 동작과 연동되는 광원을 제공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는, 예를 들어, LED, IR LED 및 제논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홀(208, 209)은, 외부 전자 장치와 전력 및/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커넥터(예를 들어, USB 커넥터 또는 IF 모듈(interface connector port 모듈)를 수용할 수 있는 제 1 커넥터 홀(208), 및/또는 외부 전자 장치와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는 제 2 커넥터 홀(또는 이어폰 잭)(209)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들(205, 212) 중 일부 카메라 모듈(205), 센서 모듈(204, 219)들 중 일부 센서 모듈(204) 또는 인디케이터는 디스플레이(101)를 통해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카메라 모듈(205), 센서 모듈(204) 또는 인디케이터는 전자 장치(200)의 내부 공간에서, 디스플레이(201)의, 전면 플레이트(202)까지 천공된 오프닝을 통해 외부 환경과 접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일부 센서 모듈(204)은 전자 장치의 내부 공간에서 전면 플레이트(202)를 통해 시각적으로 노출되지 않고 그 기능을 수행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예컨대,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201)의, 센서 모듈과 대면하는 영역은 천공된 오프닝이 불필요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의 전개 사시도이다.
도 3의 전자 장치(300)는 도 1의 전자 장치(101) 또는 도 2a 및 도 2b의 전자 장치(200)와 적어도 일부 유사하거나, 전자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300)(예: 도 2a의 전자 장치(200))는, 측면 부재(310)(예: 측면 베젤 구조), 제 1 지지 부재(311)(예: 브라켓 또는 지지 구조), 전면 플레이트(320)(예: 전면 커버), 디스플레이(400), 인쇄 회로 기판(340), 배터리(350), 제 2 지지 부재(360)(예: 리어 케이스), 안테나(370), 및 후면 플레이트(380)(예: 후면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300)는,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제 1 지지 부재(311), 또는 제 2 지지 부재(360))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 요소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2a 및 도 2b의 전자 장치(200)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
제 1 지지 부재(311)는, 전자 장치(300) 내부에 배치되어 측면 부재(310)와 연결될 수 있거나, 측면 부재(3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지지 부재(311)는, 예를 들어, 금속 재질 및/또는 비금속 (예: 폴리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지지 부재(311)는, 일면에 디스플레이(400)가 결합되고 타면에 인쇄 회로 기판(340)이 결합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340)에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또는 인터페이스가 장착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예를 들어,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및/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300)를 외부 전자 장치와 전기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으며, USB 커넥터, SD 카드/MMC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350)는 전자 장치(30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또는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350)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340)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350)는 전자 장치(300) 내부에 일체로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배터리(350)는 전자 장치(300)로부터 탈부착 가능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안테나(370)는, 후면 플레이트(380)와 배터리(3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370)는, 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안테나, 무선 충전 안테나, 및/또는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370)는, 예를 들어, 외부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하거나, 충전에 필요한 전력을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측면 베젤 구조(310) 및/또는 상기 제 1 지지 부재(311)의 일부 또는 그 조합에 의하여 안테나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전개 사시도이다.
도 4a의 디스플레이(400)는 도 2a의 디스플레이(201)과 적어도 일부 유사하거나, 디스플레이의 다른 실시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400)는 전면 커버(320)(예: 전면 플레이트, 글래스 플레이트, 제1커버 부재 또는 커버 부재)의 배면에 접착 부재를 통해 합지되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POL(polarizer)(432)(예: 편광 필름), 디스플레이 패널(431) 및 디스플레이 패널(431)의 배면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층(440)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 부재는 OCA(optical clear adhesive),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열반응 접착제, 일반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431)과 POL(432)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400)는 제어 회로(미도시 됨)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회로는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300))의 메인 인쇄 회로 기판(예: 도 3의 인쇄 회로 기판(340))과 디스플레이 패널(431)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와, FPCB에 실장되는 DDI(display driver IC)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400)는 추가적으로 터치 패널(433)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400)는 터치 패널(433)의 배치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부에 터치를 인식할 수 있는 터치 패널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인 셀(in-cell) 방식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부에 터치 패널이 위치 하는 경우인 온 셀(on-cell) 방식의 터치 디스플레이로 동작할 경우, 제어 회로는 TDDI(touch display driver IC)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디스플레이(400)는 제어 회로의 주변에 배치되는 지문 센서(미도시 됨)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문 센서는 디스플레이(400)의 구성 요소들 중 일부 구성 요소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홀을 통해 전면 커버(320)의 외면으로부터 접촉되거나, 근접한 손가락의 지문을 별도의 초음파 센서에 의하여 전송한 초음파에 의하여 지문의 형태를 인식할 수 있는 초음파 방식 또는 전자 장치 내부의 광원(예: 디스플레이 광원) 또는 별도의 광원을 통해 광을 방사하고, 방사된 광을 통해 지문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한 이미지에 기반하여 지문을 인식할 수 있는 광학식 지문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층(440)은 디스플레이 패널(431)의 배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 부재(441, 442),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 부재(441, 442)의 배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부재(443) 및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부재(443)의 배면에 배치되는 도전성 시트(450)(예: 금속 시트 또는 금속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 부재(441, 442)는 디스플레이 패널(431)과 그 하부 부착물들간에 발생될 수 있는 기포를 제거하고 디스플레이 패널(431)에서 생성된 빛 또는 외부로부터 입사하는 빛을 차단하기 위한 차광층(441)(예: 울퉁불퉁한 패턴을 포함하는 블랙층) 및/또는 충격 완화를 위하여 배치되는 완충층(442)(예: 스폰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부재(443)는 방열을 위한 방열 시트(예: 그라파이트(graphite) 시트), added 디스플레이, 포스터치 FPCB, 지문 센서 FPCB, 통신용 안테나 방사체, 도전 / 비도전 테이프 또는 open cell 스폰지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시트(450)는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300))의 강성 보강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주변 노이즈를 차폐하며, 주변의 열 방출 부품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시트(450)는 Cu, Al, Mg, SUS 또는 CLAD(예: SUS와 Al이 교번하여 배치된 적층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디스플레이(400)는 전자기 유도 방식의 필기 부재(예: 전자 펜)에 의한 입력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부재(445)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검출 부재(445)는 디지타이저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검출 부재(445)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 부재(442)와 기능성 부재(44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검출 부재(445)는 디스플레이 패널(431)과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 부재(441)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아래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를 통해 외부의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예: 도 2a의 카메라 모듈(205))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는 카메라 모듈(예: 도 2a의 카메라 모듈(205))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오프닝들(4331. 4321, 4411, 4421, 4451, 4501)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431)은, 예를 들어, 서브 픽셀들(R, G, B) 또는 배선 라인의 배치 구조의 변경을 통해 카메라 모듈(예: 도 2a의 카메라 모듈(205))과 대응되는 영역의 투과율이 조절됨으로서, 오프닝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디스플레이 패널(431)의 상부에 배치되는 POL(432) 또는 터치 패널 (433) 역시 굴절률이 조절된다면, 개구부들(4321, 4331)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컨대, POL(432) 및/또는 터치 패널(433)은 카메라 모듈(예: 도 2a의 카메라 모듈(205))과의 대응 위치가 투명하게 처리되거나, 편광 특성이 제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400)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시트(450)의 사시도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6a의 전자 장치(500))(예: 도 2a의 전자 장치(200) 또는 도 3의 전자 장치(300))는 도전성 측면 부재(예: 도 6a의 측면 부재(520))의 제1도전성 부분(예: 도 6a의 제1도전성 부분(5211))이 무선 통신 회로(예: 도 1의 무선 통신 모듈(192))와 연결됨으로서 안테나로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6a의 전자 장치(500))는 제1도전성 부분(예: 도 6a의 제1도전성 부분(5211))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전자 장치(예: 도 6a의 전자 장치(500))의 내부 공간으로 연장되거나, 제1도전성 부분(예: 도 6a의 제1도전성 부분(5211))과 근접 배치되는 지지 부재(예: 도 6a의 지지 부재(511))의 제2도전성 부분(예: 도 6a의 제2도전성 부분(5111))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도전성 부분(예: 도 6a의 제2도전성 부분(5111))은 도전성 시트(450)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1도전성 부분(예: 도 6a의 제1도전성 부분(5211))으로부터 유기된 전류는 평행 배치된 도전성 시트(450)와 제2도전성 부분(예: 도 6a의 제2도전성 부분(5111))을 통해 안테나의 in-band에서 동작하는 불필요한 기생 공진 주파수를 생성하고, 이러한 기생 공진 주파수는 안테나의 작동 주파수 대역을 이동시키거나, 이득을 저하시킴으로서 안테나의 방사 특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도 4b를 참고하면, 도전성 시트(450)는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타측 가장자리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일정 폭을 갖는 제1슬릿(4502) 및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일측 가장자리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일정 폭을 갖는 제2슬릿(4503)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시트(450)는 제1슬릿(4502)과 제2슬릿(4503)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부(45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시트(450)는 제1슬릿(4502), 연결부(453) 및 제2슬릿(4503)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제1부분(451) 및 제2부분(45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400)의 배면을 바라본 구성도이다.
도 5의 디스플레이(400)는 도 2a의 디스플레이(201)와 적어도 일부 유사하거나, 디스플레이 다른 실시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400)는 전면 커버(320)에 접착 부재를 통해 부착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400)는 디스플레이 패널(430)의 배면에 배치되는 도전성 시트(4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전성 시트(450)는 부자재층(예: 도 4a의 부자재층(440))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400)는 디스플레이 패널(430)의 배면에 배치되는 도전성 시트(450)와 대면하도록 굴곡가능하게 형성되는 굴곡 가능부(412), 또는 굴곡 가능부(4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서브 인쇄 회로 기판(413)(예: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인쇄 회로 기판(413)은 연성 인쇄 회로 기판(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또는 경성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400)는 굴곡 가능부(412)에 실장되는 제어 회로(4121)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회로(4121)는 굴곡 가능부(412)에 실장되는 DDI(display driver IC) 또는 TDDI(touch display dirver IC)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DDI 또는 TDDI는 굴곡 가능부(412)에 COP(chip on panel) 구조로 실장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 인쇄 회로 기판(413) 및 굴곡 가능부(412)의 적어도 일부는 디스플레이(400)의 배면으로 접히고, 도전성 시트(450)의 적어도 일부에 본딩 또는 테이핑을 통해 부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400)는 서브 인쇄 회로 기판(413)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소자들(4131)과, 서브 인쇄 회로 기판(413)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인출되고,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300))의 인쇄 회로 기판(예: 도 3의 인쇄 회로 기판(3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 커넥터(413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소자들(4131)은 touch IC, 디스플레이용 플래시 메모리, ESD 방지용 다이오드 또는 decap과 같은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 인쇄 회로 기판(413)은 도전성 시트(450)의 제2부분(452)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서브 인쇄 회로 기판(413)은 도전성 시트(450)의 제2부분(452)을 통해 제1부분(451)의 적어도 일부 영역까지 연장 배치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시트(450)는 서브 인쇄 회로 기판(413)을 통해 인쇄 회로 기판(예: 도 3의 인쇄 회로 기판(340))의 그라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전성 시트(450)는 서브 인쇄 회로 기판(413)의 부분적으로 노출된 그라운드와 물리적으로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500)에서 디스플레이(400)가 생략된 하우징(51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의 하우징(510)은 도 2a의 하우징(210)과 적어도 일부 유사하거나, 하우징의 다른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a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500)는, 전면 커버(예: 도 3의 전면 플레이트(320)), 전면 커버와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후면 커버(예: 도 3의 후면 플레이트(380)) 및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 사이의 내부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 부재(520)(예: 도 3의 측면 부재(310))를 포함하는 하우징(510)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측면 부재(520)는 도전성 부재(예: 금속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측면 부재(520)는 제1길이를 갖는 제1측면(521), 제1측면(521)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길이보다 긴 제2길이를 갖는 제2측면(522), 제2측면(522)으로부터 제1측면(521)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길이를 갖는 제3측면(523) 및 제3측면(523)으로부터 제2측면(522)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길이를 갖는 제4측면(524)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측면 부재(520)는, 제1측면(521) 및 제2측면(522)에서, 적어도 하나의 분절부(5212, 5213)를 통해 전기적으로 분할되도록 배치된 제1도전성 부분(5211)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도전성 부분(5211)은 전자 장치(500)의 무선 통신 회로(예: 도 1의 무선 통신 모듈(19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회로(예: 도 1의 무선 통신 모듈(192))는 제1도전성 부분(5211)을 통해 제1주파수 대역(예: legacy band)의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전자 장치(500)는 다른 측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 및 추가 분절부를 통해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도전성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 실시 예에서, 각각의 도전성 부분들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500)는 전자 장치(500)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는 지지 부재(511)(예: 도 3의 제1지지 부재(311))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511)는 측면 부재(520)와 구조적 결합을 통해 배치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511)는 측면 부재(52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511)는 전자 장치(500)의 내부 공간에서, 측면 부재(520)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511)는 제2도전성 부분(5111)(예: 금속 부재) 및 제2도전성 부분(5111)에 사출되는 비도전성 부분(5112)(예: 폴리머 부재)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분절부들(5212, 5213)은 비도전성 부분의 연장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520)는 제2도전성 부분(5111)에 배치되는 오프닝(5113)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오프닝(5113)은, 전면 커버(예: 도 3의 전면 플레이트(320))를 위에서 바라볼 때, 도전성 시트(450)의 연결부(예: 도 4b의 연결부(453))와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오프닝(5113)은 지지 부재(511)에 형성되어야 하는 지그 홀(zig hole) 또는 의도적으로 형성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오프닝(5113)은, 도전성 시트(예: 도 4b의 도전성 시트(450))의 연결부(예: 도 4b의 연결부(453))와 중첩 배치됨으로서, 슬릿들(예: 도 4b의 슬릿들(4502, 4503))을 연결하는 연결부(예: 도 4b의 연결부(453)) 없이, 도전성 시트(예: 도 4b의 도전성 시트(450))의 제1부분(예: 도 4b의 제1부분(451))과 제2부분(예: 도 4b의 제2부분(452))이 전기적으로 단절된 것처럼 작용함으로서, 기생 공진 주파수를 out-band로 이동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6b를 참고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오프닝(5113)은, 폴리머 부재와 같은 비도전성 부분으로 채워질 수도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500)에서 하우징(510)에 도전성 시트(450)가 배치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7a의 7b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a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500)는, 전자 장치(500)의 내부 공간에서 전면 커버(예: 도 3의 전면 플레이트(320))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부로부터 보일 수 있게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예: 도 4a의 디스플레이(40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예: 도 4a의 디스플레이(40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자 장치(500)의 내부 공간에 위치된 지지 부재(511)의 지지를 받을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예: 도 4a의 디스플레이(400))의 배치에 따라, 디스플레이(예: 도 4a의 디스플레이(400))에 배치되는 도전성 시트(450)는 지지 부재(511)상에서 정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예: 도 4a의 디스플레이(400))가 전자 장치(500)의 하우징(510)에 배치될 경우, 오프닝(5113)은, 전면 커버(예: 도 3의 전면 플레이트(320))를 위에서 바라볼 때, 도전성 시트(450)의 연결부(453)와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453)는 적어도 오프닝(5113)의 공간에 포함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453)는 전면 커버(예: 도 3의 전면 플레이트(320))를 위에서 바라볼 때, 오프닝(5113)의 내부 공간에서 오프닝(5113)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연결부(453)는 도전성 시트(450)의 제1부분(451)과 제2부분(452)을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서, 디스플레이(예: 도 4a의 디스플레이(400))의 플리커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슬릿들(4502, 4503)을 연결하는 연결부(453)와 중첩된 오프닝(5113)을 통해, 연결부(453)가 없는 하나의 슬릿처럼 작용하게 함으로서, 제1부분(451)과 제2부분(452)은 안테나 관점에서 전기적으로 분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슬릿들(4502, 4503) 및 오프닝(5113)에 의해, 안테나 관점에서, 전기적으로 분리된 제1부분(451)과 제2부분(452)을 통해, 도전성 시트(450)와 지지 부재(511)의 제2도전성 부분(5111) 사이에 발생하는 기생 공진 주파수는 out-band로 이동될 수 있다.
도 7b를 참고하면, 지지 부재(511)의 제2도전성 부분(5111)에 형성된 오프닝(5113)과 중첩된 슬릿들(4502, 4503) 및 연결부(453)의 형상에 따라 도전성 시트(450)와 제2도전성 부분(5111) 사이에서 발생되는 기생 공진 주파수의 주파수 특성이 결정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 커버(예: 도 3의 전면 플레이트(320))를 위에서 바라볼 때, 오프닝(5113)과 중첩되는 슬릿들(4502, 4503)의 간격(d1) 및 연결부(453)의 길이(d2)에 따라 기생 공진 주파수가 특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컨대, 슬릿(4502)의 간격(d1)이 크고, 연결부(453)의 길이(d2)가 짧아질수록 기생 공진 주파수는 낮은 주파수 대역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453)와 오프닝(5113)의 중첩 여부에 따른 안테나의 반사 계수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제1주파수 대역(예: 약 830MHz 대역)에서 동작하는 제1도전성 부재(5211)를 이용한 안테나는, 연결부(453)만을 포함하는 도전성 시트(450)가 배치될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기생 공진 주파수(F2)가 발생되고, 해당 작동 주파수(F0)는 원치 않는 대역으로 shift됨을 알 수 있다(801 그래프). 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511)의 제2도전성 부분(5111)에 형성된 오프닝(5113)이 도전성 시트(450)의 연결부(453)와 중첩 배치될 경우, 안테나는 제1주파수 대역(F1)(예: 약 830MHz 대역)에서 원활히 동작하고, 기생 공진 주파수는 해당 동작 주파수 대역에서 제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시트(950, 96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의 도전성 시트(950)와 도 9b의 도전성 시트(960)는 도 4a의 도전성 시트(450)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사하거나, 도전성 시트의 다른 실시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a를 참고하면, 도전성 시트(950)는, 제1축(X1)상에서,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타측 가장자리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제1슬릿(9501) 및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일측 가장자리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제2슬릿(950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시트(950)는 제1슬릿(9501)과 제2슬릿(9502) 사이에 배치되는 제1연결부(954)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시트(950)는, 제1축(X1)과 다른 제2축(X2)상에서,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타측 가장자리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제3슬릿(9503) 및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일측 가장자리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제4슬릿(9504)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시트는 제3슬릿(9503)과 제2슬릿(9504) 사이에 배치되는 제2연결부(955)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시트(450)는, 제1슬릿(9501), 제1연결부(954) 및 제2슬릿(9502)을 포함하는 제1축(X1)과, 제3슬릿(9503), 제2연결부(955) 및 제4슬릿(9504)을 포함하는 제2축(X1)을 기준으로 제1부분(951), 제2부분(952) 및 제3부분(953)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부분(951)과 제2부분(952)은 제1연결부(954)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부분(952)과 제3부분(953)은 제2연결부(955)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연결부(954)는 지지 부재(511)(예: 지지 부재의 제2도전성 부분(예: 도 6a의 제2도전성 부분(5111))에 형성된 제1오프닝(5113)과 중첩되도록 배치됨으로서, 제1부분(951)과 제2부분(952)은, 전자 장치의 그라운드 관점에서는, 제1연결부(954)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작용하며, 안테나 관점에서는, 제1오프닝(5113)를 통해 전기적으로 분절된 것처럼 작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연결부(955)는 지지 부재(511)(예: 지지 부재의 제2도전성 부분(예: 도 6a의 제2도전성 부분(5111))에 형성된 제2오프닝(5114)과 중첩되도록 배치됨으로서, 제2부분(952)과 제3부분(953)은, 전자 장치의 그라운드 관점에서는, 제2연결부(955)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작용하며, 안테나 관점에서는, 제2오프닝(5114)을 통해 전기적으로 분절된 것처럼 작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서 동작하는 안테나의 작동 주파수 대역에 따라, 도전성 시트(950)와 지지 부재(511) 사이에 형성되는 기생 공진 주파수를 out band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슬릿들 및 복수의 오프닝들을 통해, 도전성 시트(950)는 4개 이상의 부분들로 구분될 수도 있다.
도 9b를 참고하면, 도전성 시트(960)는 제1축(X1)을 따라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제1슬릿(9601)과, 제1축(X1)과 다른 제2축(X2)을 따라 형성되는 제2슬릿(960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슬릿(9601)의 일단과 제2슬릿(9602)의 일단은 서로에 대하여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시트(950)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타측 가장자리까지의 거리는, 제1슬릿(96101)의 길이와 제2슬릿(9602)의 길이의 합보다 작을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슬릿(9601)과 제2슬릿(9602)의 끝단부는 서로에 대하여 엇갈리도록 배치되고, 각 끝단부와 마주보는 도전성 시트(960)의 영역은, 연결부(963)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시트(960)는 제1슬릿(9601), 연결부(963) 및 제2슬릿(9602)을 통해, 제1부분(961) 및 제2부분(962)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슬릿(9601)의 끝단부, 연결부(954) 및 제2슬릿(9602)의 끝단부는 측면 부재(520)의 지지 부재(511)(예: 지지 부재의 제2도전성 부분(예: 도 6a의 제2도전성 부분(5111))에 형성된 오프닝(5113)과 중첩되도록 배치됨으로서, 제1부분(961)과 제2부분(962)은, 전자 장치의 그라운드 관점에서는, 연결부(963)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작용하며, 안테나 관점에서는, 오프닝(5113)를 통해 전기적으로 분절된 것처럼 작용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4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0의 디스플레이(400)는 도 3의 디스플레이(400)와 적어도 일부 유사하거나, 디스플레이의 다른 실시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400)는 전면 커버(320)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400)는 디스플레이 패널(예: 도 4a의 디스플레이 패널(431))로부터 외측으로 인출되고 제어 회로(4121)를 포함하는 굴곡 가능부(412) 및 굴곡 가능부(412)에 연결되고, 복수의 전기 소자들(4131)을 포함하는 서브 인쇄 회로 기판(413)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굴곡 가능부(412)의 일부 및 서브 인쇄 회로 기판(413)은 도전성 시트(450)의 적어도 일부와 대면하도록 접히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시트(450)는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타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된 슬릿(4502)을 통해 제1부분(451) 및 제2부분(452)으로 분할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시트(450)의 분할된 제1부분(451) 및 제2부분(452)은 플리커 현상과 같은, 디스플레이(400)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자 장치의 그라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 인쇄 회로 기판(413)은 제2부분(452)을 통해 제1부분(451)의 적어도 일부까지 연장되는 크기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전성 시트(450)의 제1부분(451)은 서브 인쇄 회로 기판(413)과 중첩된 영역에서, 제1접속 부재(413a)를 통해 서브 인쇄 회로 기판(413)의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시트(450)의 제2부분(452)은 서브 인쇄 회로 기판(413)과 중첩된 영역에서, 제2접속 부재(413b)를 통해 서브 인쇄 회로 기판(413)의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접속 부재(413a) 및/또는 제2접속 부재(413b)는 서브 인쇄 회로 기판(413)의 노출된 그라운드와 도전성 시트(450)의 제1부분(451) 및 제2부분(452)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 테이프 또는 도전성 본딩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부분(451) 및 제2부분(452)은 제1접속 부재(413a) 및 제2접속 부재(413b)를 통해, 서브 인쇄 회로 기판(413)의 그라운드와 연결될 수 있으며, 서브 인쇄 회로 기판(413)의 그라운드는 전기 커넥터(4132)를 통해 전자 장치의 인쇄 회로 기판(예: 도 3의 인쇄 회로 기판(340))의 그라운드와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2부분(452)은 전기적 연결 부재를 통해 인쇄 회로 기판(예: 도 3의 인쇄 회로 기판(340))의 그라운드와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부분(451)은 별도의 전기적 연결 부재를 통해, 인쇄 회로 기판(예: 도 3의 인쇄 회로 기판(340))의 그라운드와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400)의 배면에서, 도전성 시트(450)는 서로에 대하여 중첩되지 않고, 일정 간격(d3)으로 이격된 서브 인쇄 회로 기판(413)(예: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와 나란히 병렬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서브 인쇄 회로 기판(413)에 포함된 그라운드는 도 10의 제2부분(45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서브 인쇄 회로 기판(413)은 연성 인쇄 회로 기판, 경성 인쇄 회로 기판 또는 경성/연성 인쇄 회로 기판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서브 인쇄 회로 기판(413)의 그라운드는 도 10의 제2부분(452)과 마찬가지로 도전성 시트(450)의 제2부분(452)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인쇄 회로 기판(413)의 그라운드와 도전성 시트(450)의 이격 간격은 도 10의 슬릿(4502)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전성 시트(450)는 서브 인쇄 회로 기판(413)과 연결된 별도의 전기적 연결 부재(414) 및 접속 부재(413c)를 통해 서브 인쇄 회로 기판(413)의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전기적 연결 부재(414)는, 서브 인쇄 회로 기판(413)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도전성 시트(450)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는 위치까지 일체로 연장된, 서브 인쇄 회로 기판(413)의 일부분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적 연결 부재(414)는 또 다른 FPCB 또는 도전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 인쇄 회로 기판(413)에 포함된 그라운드는 전자 장치에 포함된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전성 시트(450)는 별도의 전기적 연결 부재를 통해, 인쇄 회로 기판(예: 도 3의 인쇄 회로 기판(340))의 그라운드와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2a의 전자 장치(200))는, 전면 커버(예: 도 2a의 전면 플레이트(202)), 상기 전면 커버와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후면 커버(예: 도 2b의 후면 플레이트(211)), 상기 전면 커버와 상기 후면 커버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 부재(예: 도 2a의 측면 부재(218))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부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제1도전성 부분(예: 도 7a의 제1도전성 부분(5211))을 포함하는 하우징(예: 도 2a의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오프닝(opening)(예: 도 7a의 오프닝(5113))을 포함하는 제2도전성 부분(예: 도 7a의 제2도전성 부분(5111))을 포함하는 지지 부재(예: 도 7a의 지지 부재(511))와, 상기 전면 커버와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서, 상기 전면 커버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보일 수 있게 배치되고, 상기 지지 부재와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도전성 시트(conductive sheet)(예: 도 4a의 도전성 시트(450))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예: 도 4a의 디스플레이(400)) 및 상기 제1도전성 부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무선 통신 회로(예: 도 1의 무선 통신 모듈(192))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시트는, 제1부분(예: 도 7a의 제1부분(451))과, 상기 제1부분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부분(예: 도 7a의 제2부분(452)) 및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을 부분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예: 도 7a의 연결부(453))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커버를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연결부는 상기 오프닝과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도전성 부분은, 상기 측면 부재 중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비도전성 분절부(예: 도 7a의 분절부(5212, 5213))를 통해 전기적으로 단절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 통신 회로는 상기 제1 도전성 부분을 통해 제1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주파수 대역은 800MHz ~ 3000MHz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전성 시트와 상기 제2도전성 부분 사이에 형성된 공진 주파수는 상기 제1주파수와 다른 대역에 동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면 커버를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오프닝은 상기 연결부 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프닝은 상기 제2도전성 부분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그 홀(zig hole)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은 슬릿(예: 도 7a의 슬릿(4502))을 통해 이격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슬릿을 가로질러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을 연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면 커버를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슬릿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오프닝과 중첩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전성 시트와 상기 제2도전성 부분 사이에 형성된 공진 주파수의 특성은, 상기 전면 커버를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오프닝에서 상기 연결부가 차지하는 면적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패널(예: 도 5의 디스플레이 패널(431))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의 배면으로 접히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부분에 중첩 배치되는 FPCB(예: 도 5의 서브 인쇄 회로 기판(413))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F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그라운드를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예: 도 3의 인쇄 회로 기판(3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FPCB는 상기 제1부분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부분은 상기 FPCB를 통해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그라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부분은 전기적 연결 부재를 통해 상기 F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서,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기적 연결 부재는 상기 FPCB로부터 분기되거나, 상기 FPCB에 별도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2도전성 부분과 결합되는 비도전성 부분(예: 도 7a의 비도전성 부분(51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2a의 전자 장치(200))는, 전면 커버(예: 도 2a의 전면 플레이트(202)), 상기 전면 커버와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후면 커버(예: 도 2b의 후면 플레이트(211)), 상기 전면 커버와 상기 후면 커버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 부재(예: 도 2a의 측면 부재(218))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부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제1도전성 부분(예: 도 7a의 제1도전성 부분(5211))을 포함하는 하우징(예: 도 2a의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오프닝(opening)(예: 도 7a의 오프닝(5113))을 포함하는 제2도전성 부분(예: 도 7a의 제2도전성 부분(5111))을 포함하는 지지 부재(예: 도 7a의 지지 부재(511))와, 상기 전면 커버와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서, 상기 전면 커버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보일 수 있게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예: 도 10의 디스플레이(400))로서, 디스플레이 패널(예: 도 5의 디스플레이 패널(431))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고, 슬릿(예: 도 10의 슬릿(4502))을 통해 제1부분(예: 도 10의 제1부분(451))과 제2부분(예: 도 10의 제2부분(452))으로 분할되도록 배치되는 도전성 시트(예: 도 10의 도전성 시트(450))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도전성 시트의 적어도 일부에 대면하도록 접히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FPCB(예: 도 10의 서브 인쇄 회로 기판(413))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1도전성 부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무선 통신 회로(예: 도 1의 무선 통신 모듈(192))를 포함하고, 상기 FPCB는, 상기 전면 커버를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중첩 배치되고,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중첩 배치된 영역을 통해, 상기 FPCB의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 통신 회로는 상기 제1 도전성 부분을 통해 제1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전성 시트와 상기 제2도전성 부분 사이에 형성된 공진 주파수는 상기 제1주파수와 다른 대역에 동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2a의 전자 장치(200))는, 전면 커버(예: 도 2a의 전면 플레이트(202)), 상기 전면 커버와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후면 커버(예: 도 2b의 후면 플레이트(211)), 상기 전면 커버와 상기 후면 커버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 부재(예: 도 2a의 측면 부재(218))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부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제1도전성 부분(예: 도 7a의 제1도전성 부분(5211))을 포함하는 하우징(예: 도 2a의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오프닝(opening)(예: 도 7a의 오프닝(5113))을 포함하는 제2도전성 부분(예: 도 7a의 제2도전성 부분(5111))을 포함하는 지지 부재(예: 도 7a의 지지 부재(511))와, 상기 전면 커버와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서, 상기 전면 커버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보일 수 있게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예: 도 11의 디스플레이(400))로서, 디스플레이 패널(예: 도 5의 디스플레이 패널(431)),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도전성 시트(예: 도 11의 도전성 시트(450))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배면에 대면하도록 접히는 방식으로 배치되고, 상기 도전성 시트를 제외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나머지 영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갖는 그라운드층을 포함하는 FPCB(예: 도 11의 서브 인쇄 회로 기판(413))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1도전성 부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무선 통신 회로(예: 도 1의 무선 통신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FPCB는, 상기 전면 커버를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도전성 시트와 인접하도록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FPCB로부터 인출된 전기적 연결 부재(예: 도 11의 전기적 연결 부재(414))를 통해 상기 도전성 시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400: 디스플레이 450: 도전성 시트
451: 제1부분 452: 제2부분
453: 연결부 520: 측면 부재
511: 지지 부재 4211: 제1도전성 부분
5111: 제2도전성 부분 5112: 비도전성 부분
5113: 오프닝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전면 커버, 상기 전면 커버와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후면 커버, 상기 전면 커버와 상기 후면 커버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부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제1도전성 부분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오프닝(opening)을 포함하는 제2도전성 부분을 포함하는 지지 부재;
    상기 전면 커버와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서, 상기 전면 커버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보일 수 있게 배치되고, 상기 지지 부재와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도전성 시트(conductive sheet)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1도전성 부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무선 통신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시트는,
    제1부분;
    상기 제1부분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부분; 및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을 부분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커버를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연결부는 상기 오프닝과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성 부분은, 상기 측면 부재 중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비도전성 분절부를 통해 전기적으로 단절되도록 형성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회로는 상기 제1 도전성 부분을 통해 제1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주파수 대역은 800MHz ~ 3000MHz 범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시트와 상기 제2도전성 부분 사이에 형성된 공진 주파수는 상기 제1주파수와 다른 대역에 동작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커버를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오프닝은 상기 연결부 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닝은 상기 제2도전성 부분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그 홀(zig hole)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은 슬릿을 통해 이격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슬릿을 가로질러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을 연결하는 전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커버를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슬릿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오프닝과 중첩 배치되는 전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시트와 상기 제2도전성 부분 사이에 형성된 공진 주파수의 특성은, 상기 전면 커버를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오프닝에서 상기 연결부가 차지하는 면적에 의해 결정되는 전자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의 배면으로 접히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부분에 중첩 배치되는 FPCB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F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그라운드를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FPCB는 상기 제1부분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은 상기 FPCB를 통해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그라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분은, 전기적 연결 부재를 통해 상기 F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서,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연결 부재는 상기 FPCB로부터 분기되거나, 상기 FPCB에 별도로 연결되는 전자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2도전성 부분과 결합되는 비도전성 부분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7.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전면 커버, 상기 전면 커버와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후면 커버, 상기 전면 커버와 상기 후면 커버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부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제1도전성 부분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오프닝(opening)을 포함하는 제2도전성 부분을 포함하는 지지 부재;
    상기 전면 커버와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서, 상기 전면 커버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보일 수 있게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로서,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고, 슬릿을 통해 제1부분과 제2부분으로 구분되도록 배치되는 도전성 시트;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도전성 시트의 적어도 일부에 대면하도록 접히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FPCB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1도전성 부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무선 통신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FPCB는, 상기 전면 커버를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중첩 배치되고,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중첩 배치된 영역을 통해, 상기 FPCB의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회로는 상기 제1 도전성 부분을 통해 제1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시트와 상기 제2도전성 부분 사이에 형성된 공진 주파수는 상기 제1주파수와 다른 대역에 동작하는 전자 장치.
  20.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전면 커버, 상기 전면 커버와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후면 커버, 상기 전면 커버와 상기 후면 커버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부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제1도전성 부분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오프닝(opening)을 포함하는 제2도전성 부분을 포함하는 지지 부재;
    상기 전면 커버와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서, 상기 전면 커버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보일 수 있게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로서,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도전성 시트;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배면에 대면하도록 접히는 방식으로 배치되고, 상기 도전성 시트를 제외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나머지 영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갖는 그라운드층을 포함하는 FPCB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1도전성 부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무선 통신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FPCB는, 상기 전면 커버를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도전성 시트와 인접하도록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FPCB로부터 인출된 전기적 연결 부재를 통해 상기 도전성 시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 장치.
KR1020190158528A 2019-12-02 2019-12-02 기생 주파수 제거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ctive KR102790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528A KR102790819B1 (ko) 2019-12-02 2019-12-02 기생 주파수 제거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CT/KR2020/017292 WO2021112513A1 (en) 2019-12-02 2020-11-30 Electronic device having structure for eliminating parasitic emission
US17/106,778 US11316266B2 (en) 2019-12-02 2020-11-30 Electronic device having structure for eliminating parasitic emis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528A KR102790819B1 (ko) 2019-12-02 2019-12-02 기생 주파수 제거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8919A true KR20210068919A (ko) 2021-06-10
KR102790819B1 KR102790819B1 (ko) 2025-04-04

Family

ID=76091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8528A Active KR102790819B1 (ko) 2019-12-02 2019-12-02 기생 주파수 제거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16266B2 (ko)
KR (1) KR102790819B1 (ko)
WO (1) WO202111251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6150A1 (ko) * 2022-01-28 2023-08-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4228531A1 (ko) * 2023-05-04 2024-11-07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2200866B2 (en) 2021-07-13 2025-0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31025S1 (en) * 2017-08-10 2018-10-16 Apple Inc. Housing module for an electronic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62661A1 (en) * 2006-09-11 2008-03-13 Lg Electronics Inc. Display module and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having the same
US20190058244A1 (en) * 2017-08-21 2019-0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7954A (ko) * 2015-11-18 2017-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쉴드캔 구조
KR102487477B1 (ko) * 2016-01-20 2023-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안테나
KR102507472B1 (ko) * 2016-02-26 2023-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의 안테나
KR102517515B1 (ko) * 2016-07-29 2023-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감지 패널을 구비한 전자 장치
KR102332463B1 (ko) * 2017-03-15 2021-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릿 구조를 갖는 안테나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68879B1 (ko) 2017-08-31 2022-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성을 이용한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388342B1 (ko) 2017-09-07 2022-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41838B1 (ko) 2018-02-14 2022-09-08 삼성전자주식회사 브라켓의 개구부에서 발생되는 공진을 조정하기 위해 개구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전성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971819B2 (en) * 2018-02-16 2021-04-06 Qualcomm Incorporated Multi-band wireless signal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62661A1 (en) * 2006-09-11 2008-03-13 Lg Electronics Inc. Display module and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having the same
US20190058244A1 (en) * 2017-08-21 2019-0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200866B2 (en) 2021-07-13 2025-0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WO2023146150A1 (ko) * 2022-01-28 2023-08-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4228531A1 (ko) * 2023-05-04 2024-11-07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67492A1 (en) 2021-06-03
WO2021112513A1 (en) 2021-06-10
KR102790819B1 (ko) 2025-04-04
US11316266B2 (en) 202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4352B1 (ko) 전자 부품 배치 구조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503749B2 (en) Display including shielding member arranged to cover at least part of display driving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US11671523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EP3729794B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onductive member electrically coupled to opening of bracket for adjusting resonance generated from the opening
KR102411482B1 (ko) 용량성 구조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13216B1 (ko) 안테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763576B1 (ko) 광학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124099A (ko) 폴더블 전자 장치
KR20200101116A (ko) 통합된 접지 구조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KR102463499B1 (ko) 안테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790819B1 (ko) 기생 주파수 제거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07569B1 (ko)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22663B1 (ko) 도전성 접착 부재를 통해 디스플레이와 도전성 지지부재를 연결하는 구조를 갖는 전자 장치
KR102613670B1 (ko) 연장된 fpcb 안테나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00941B1 (ko)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100391A (ko)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제1 인쇄 회로 기판과 제2 인쇄 회로 기판을 연결하는 커넥터
KR20200126622A (ko)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안테나 방사체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098696A (ko) 음향 도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017549A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및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125440A (ko) 그라운드 연결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2725611B1 (ko) 센서와 상이한 형상의 개구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128782A (ko) 쉴드 캔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74774B1 (ko) 안테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100450A (ko) 방열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138149A (ko) Esd 현상을 고려한 디스플레이 모듈 및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12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12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2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3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4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