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044146A - 연료 전지용 전극 촉매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연료 전지용 전극 촉매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4146A
KR20170044146A KR1020177007105A KR20177007105A KR20170044146A KR 20170044146 A KR20170044146 A KR 20170044146A KR 1020177007105 A KR1020177007105 A KR 1020177007105A KR 20177007105 A KR20177007105 A KR 20177007105A KR 20170044146 A KR20170044146 A KR 20170044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electrode catalyst
platinum
alloy
cobal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7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7952B1 (ko
Inventor
요우스케 호리우치
도모아키 데라다
아키히로 호리
노부아키 미즈타니
히로오 요시카와
유스케 이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캬타라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576099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7004414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캬타라,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캬타라
Publication of KR20170044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4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95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2Metals of platinum group
    • H01M4/925Metals of platinum group supported on carriers, e.g. powder carriers
    • H01M4/926Metals of platinum group supported on carriers, e.g. powder carriers on carbon or graphi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2Metals of platinum grou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2Metals of platinum group
    • H01M4/921Alloys or mixtures with metallic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2Metals of platinum group
    • H01M4/925Metals of platinum group supported on carriers, e.g. powder c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6Carbon-bas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02P70/56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ert Electrodes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 전지의 초기 성능 및 내구 성능을 양립시키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는, 중실 카본 담체와, 당해 담체에 담지된 백금과 코발트의 합금을 함유하는, 연료 전지용 전극 촉매에 의해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료 전지용 전극 촉매 및 그 제조 방법{FUEL CELL ELECTRODE CATALYS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연료 전지용 전극 촉매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료 전지는, 연료를 보충함으로써 계속적으로 전력을 취출할 수 있고, 또한 환경에 대한 부담이 작은 발전 장치이다. 최근의 지구 환경 보호로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연료 전지에는 큰 기대가 더해지고 있다. 또, 연료 전지는 발전 효율이 높고, 시스템의 소형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PC 나 휴대 전화 등의 휴대 기기, 자동차나 철도 등의 차량 등의 여러 가지 분야에서의 이용이 기대되고 있다.
연료 전지는, 1 쌍의 전극 (캐소드 및 애노드) 및 전해질로 구성되어 있고, 당해 전극에는 담체 및 당해 담체에 담지된 촉매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전극 촉매가 함유되어 있다. 종래의 연료 전지에 있어서의 담체로는 일반적으로 카본이 사용되고 있다. 또, 촉매 금속으로는 일반적으로 백금 또는 백금 합금이 사용되고 있다.
연료 전지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전극 촉매의 활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활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한 많은 기술이 보고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 7).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12400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25248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24836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23613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31754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16640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140657호
종래, 백금 (Pt) 과 코발트 (Co) 의 합금 (이하 「PtCo 합금」이라고 한다) 을 카본 담체에 미세하게 담지시킨 전극 촉매를 사용함으로써, 연료 전지의 초기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실시되고 있었다. 그러나, PtCo 합금을 함유하는 전극 촉매는, 장기 내구 시험에 있어서 Co 를 용출하여, 연료 전지의 프로톤 저항을 상승시킨다. 즉, PtCo 합금을 사용함으로써, 연료 전지의 초기 성능은 향상되지만, 내구 성능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존재하고 있었다.
이 문제에 대하여, 예를 들어, PtCo 합금에 있어서의 Co 의 비율을 저하시키는 시도, Co 의 용출을 억제하기 위해서 전극 촉매에 대해 산 처리를 실시하는 시도 등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러나, Co 의 용출을 충분히 억제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은, 연료 전지의 초기 성능 및 내구 성능을 양립시키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이 예의 검토한 결과, 이하의 것이 판명되었다.
종래 사용되고 있던 중공 카본 담체에 PtCo 합금을 담지하면, 일부의 PtCo 합금이 중공 카본 담체의 내부에 포함되게 된다. 이 경우, Co 의 용출을 억제하기 위한 산 처리를 실시해도, 담체 내부에 존재하는 PtCo 합금을 충분히 처리하는 것은 곤란하다. 그 결과, 담체 내부에 존재하는 PtCo 합금으로부터 Co 가 용출되기 쉬워진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중공 카본 담체 대신에 중실 카본 담체를 사용함으로써, 담체 내부에 PtCo 합금이 포함되는 것을 회피하였다. 이로써, PtCo 합금을 충분히 산 처리하는 것이 가능해져, Co 의 용출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연료 전지의 초기 성능 및 내구 성능을 양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Pt 와 Co 가 특정의 몰비를 갖는 경우에, 연료 전지의 초기 성능 및 내구 성능이 더욱 향상되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에 더하여, PtCo 합금이 특정 평균 입경을 갖는 경우에, 연료 전지의 초기 성능 및 내구 성능이 더욱 향상되는 것이 판명되었다.
또한, 적절한 조건으로 산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반응에 기여하지 않는 Co 를 충분히 제거하여, Co 의 용출을 더욱 억제할 수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를 포함한다.
[1]
중실 카본 담체와, 당해 담체에 담지된 백금과 코발트의 합금을 함유하는, 연료 전지용 전극 촉매.
[2]
상기 합금에 있어서의 백금과 코발트의 몰비가 4 ∼ 11:1 인, [1] 에 기재된 연료 전지용 전극 촉매.
[3]
상기 합금의 평균 입경이 3.5 ∼ 4.1 ㎚ 인, [1] 또는 [2] 에 기재된 연료 전지용 전극 촉매.
[4]
X 선 소각 산란법에 의해 측정한 상기 합금의 분산도가 44 % 이하인,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연료 전지용 전극 촉매.
[5]
70 ∼ 90 ℃ 에서 산 처리되고 있는,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연료 전지용 전극 촉매.
[6]
코발트의 용출량이 115 ppm 이하인, [1] ∼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연료 전지용 전극 촉매.
[7]
[1] ∼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연료 전지용 전극 촉매를 함유하는, 연료 전지.
[8]
중실 카본 담체에 백금과 코발트를 담지하는 담지 공정;및
중실 카본 담체에 담지된 백금과 코발트를 합금화하는 합금화 공정;
을 포함하는, 연료 전지용 전극 촉매의 제조 방법.
[9]
담지 공정에 있어서, 백금과 코발트를 2.5 ∼ 6.9:1 의 몰비로 담지하는, [8] 에 기재된 제조 방법.
[10]
합금화 공정에 있어서, 백금과 코발트를 700 ∼ 900 ℃ 에서 합금화하는, [8] 또는 [9] 에 기재된 제조 방법.
[11]
중실 카본 담체에 담지된 백금과 코발트의 합금을 70 ∼ 90 ℃ 에서 산 처리하는 산 처리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8] ∼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제조 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연료 전지의 초기 성능 및 내구 성능을 양립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원의 우선권의 기초인 일본 특허출원 제2014-216946호의 명세서 및/또는 도면에 기재되는 내용을 포함한다.
도 1 은 Pt/Co 몰비와 질량 활성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2 는 PtCo 합금의 평균 입경과 질량 활성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3 은 PtCo 합금의 평균 입경과 ECSA 유지율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4 는 Co 용출량과 프로톤 저항의 관계를 나타낸다.
<연료 전지용 전극 촉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중실 카본 담체와, 당해 담체에 담지된 PtCo 합금을 함유하는, 연료 전지용 전극 촉매 (이하, 간단히 「전극 촉매」라고도 한다) 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공 카본 담체 대신에 중실 카본 담체를 사용함으로써, 담체 내부에 PtCo 합금이 포함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로써, PtCo 합금을 충분히 산 처리하는 것이 가능해져, Co 의 용출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연료 전지의 초기 성능 및 내구 성능을 양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중실 카본이란, 중공 카본과 비교하여, 카본 내부의 공극이 적은 카본으로, 구체적으로는, N2 흡착에 의해 구해지는 BET 표면적과 t-Pot (입자 사이즈로부터 입자 외부의 표면적을 산출하였다) 에 의한 외표면적의 비율 (t-Pot 표면적/BET 표면적) 이 40 % 이상인 카본이다.
중실 카본으로는, 예를 들어, 일본특허 제4362116호에 기재된 카본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비표면적이 500 ∼ 1100 ㎡/g, X 선 회절에 의해 측정된 결정 층 두께 (Lc) 가 15 ∼ 40 Å 인 아세틸렌블랙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덴키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의 덴카블랙 (등록 상표) 등을 들 수 있다.
중실 카본 담체의 평균 입경으로는,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 등을 들 수 있다. 평균 입경의 하한으로는, 예를 들어 0.01 ㎛, 0.1 ㎛ 등을 들 수 있다. 평균 입경의 상기 상한 및 상기 하한을 적절히 조합하여, 새로운 범위를 획정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극 촉매에 있어서 PtCo 합금을 사용함으로써, 연료 전지의 초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PtCo 합금에 있어서의 Pt 와 Co 의 몰비를 11 이하:1 로 함으로써, 전극 촉매의 질량 활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 PtCo 합금에 있어서의 Pt 와 Co 의 몰비를 4 이상:1 로 함으로써, Co 의 용출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PtCo 합금에 있어서의 Pt 와 Co 의 몰비를 4 ∼ 11:1 로 함으로써, 연료 전지의 초기 성능 및 내구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Pt 와 Co 의 몰비로는, 예를 들어 5 ∼ 9:1 등을 들 수 있다. 몰비의 상기 범위의 상한 및 하한을 적절히 조합하여, 새로운 범위를 획정해도 된다.
또, PtCo 합금의 평균 입경을 4.1 ㎚ 이하로 함으로써, 전극 촉매의 질량 활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 PtCo 합금의 평균 입경을 3.5 ㎚ 이상으로 함으로써, 일정한 전기 화학적 활성 표면적 (ECSA) 을 유지할 수 있다. ECSA 의 유지율은 내구 성능의 지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PtCo 합금의 평균 입경을 3.5 ∼ 4.1 ㎚ 로 함으로써, 연료 전지의 초기 성능 및 내구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PtCo 합금의 평균 입경으로는, 예를 들어 3.6 ㎚ ∼ 4.0 ㎚ 등을 들 수 있다. 평균 입경의 상기 범위의 상한 및 하한을 적절히 조합하여, 새로운 범위를 획정해도 된다.
중실 카본 담체에 담지된 PtCo 합금의 분산도는, X 선 소각 산란법 (SAXS) 에 의해 측정한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44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6 % 이하이다. X 선 소각 산란법에 의한 분산도는, PtCo 합금의 균일성의 지표로 할 수 있다. 44 % 이하의 분산도를 가짐으로써, 연료 전지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분산도의 하한으로는, 예를 들어, 5 %, 10 % 등을 들 수 있다. 분산도의 상기 상한 및 상기 하한을 적절히 조합하여, 새로운 범위를 획정해도 된다.
X 선 소각 산란법에 의한 분산도는, 해석 소프트를 사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해석 소프트로는, 예를 들어, nano-solver (주식회사 리가쿠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중실 카본 담체에 대한 PtCo 합금의 담지량은, 예를 들어, 중실 카본 담체와 PtCo 합금의 합계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47.7 ∼ 53.6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48.0 ∼ 52.9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49.1 ∼ 51.5 중량% 이다. 담지량의 상기 범위의 상한 및 하한을 적절히 조합하여, 새로운 범위를 획정해도 된다.
중실 카본 담체에 대한 Pt 의 담지량은, 예를 들어, 중실 카본 담체와 PtCo 합금의 합계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46.5 ∼ 49.9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47.1 ∼ 49.1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47.3 ∼ 48.7 중량% 이다. 담지량의 상기 범위의 상한 및 하한을 적절히 조합하여, 새로운 범위를 획정해도 된다. 또한, Pt 의 담지량을, 예를 들어, 10 ∼ 50 중량% 의 저담지량, 또는 50 ∼ 90 중량% 의 고담지량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전극 촉매는 적절한 조건 (70 ∼ 90 ℃) 에서 산 처리되어 있기 때문에, Co 의 용출이 억제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산 처리된 전극 촉매는, 특정 조건 (황산 용액 20 ㎖ 와 전극 촉매 0.5 g 을 샘플병 중에 교반자와 함께 넣고, 스터러로 혼합 분산하고, 실온하에서 100 시간 혼합하는 조건) 에 있어서, Co 의 용출량이 바람직하게는 115 ppm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ppm 이하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ppm 이하이다. Co 의 용출량의 하한으로는, 예를 들어, 0 ppm, 5 ppm 등을 들 수 있다. Co 의 용출량의 상기 상한 및 상기 하한을 적절히 조합하여, 새로운 범위를 획정해도 된다.
<연료 전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상기 전극 촉매와 아이오노머를 함유하는 연료 전지용 전극 (이하, 간단히 「전극」이라고 한다) 과, 전해질을 함유하는 연료 전지에 관한 것이다.
아이오노머의 종류로는, 예를 들어, Du Pont 사 제조의 Nafion (등록 상표) DE2020, DE2021, DE520, DE521, DE1020 및 DE1021, 그리고 아사히 화성 케미컬즈 (주) 제조의 Aciplex (등록 상표) SS700C/20, SS900/10 및 SS1100/5 등을 들 수 있다.
연료 전지의 종류로는, 고체 고분자형 연료 전지 (PEFC), 인산형 연료 전지 (PAFC), 용융 탄산염형 연료 전지 (MCFC),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 (SOFC), 알칼리 전해질형 연료 전지 (AFC), 직접형 연료 전지 (DFC) 등을 들 수 있다.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연료 전지는 고체 고분자형 연료 전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극 촉매를 함유하는 전극은 캐소드로서 사용해도 되고, 애노드로서 사용해도 되고, 캐소드 및 애노드의 양방으로서 사용해도 된다.
연료 전지는 세퍼레이터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1 쌍의 전극 (캐소드 및 애노드) 과 전해질막으로 이루어지는 막전극 접합체 (MEA) 를 1 쌍의 세퍼레이터로 협지한 단셀을 겹쳐 쌓아 셀 스택을 구성함으로써, 높은 전력을 얻을 수 있다.
<연료 전지용 전극 촉매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상기 전극 촉매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중실 카본 담체에 Pt 와 Co 를 담지하는 담지 공정;및 중실 카본 담체에 담지된 Pt 와 Co 를 합금화하는 합금화 공정;을 포함하는, 연료 전지용 전극 촉매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담지 공정에서는, Pt 와 Co 를 바람직하게는 2.5 ∼ 6.9:1 의 몰비, 보다 바람직하게는 3.1 ∼ 5.7:1 의 몰비로 담지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산 처리 공정에 있어서 Co 의 일부가 제거되기 때문에, 담지 공정에서는, 완성품의 전극 촉매에 있어서의 Pt 와 Co 의 바람직한 몰비와 비교하여, Co 를 많이 담지한다. 이와 같은 몰비를 채용하여 제조된 전극 촉매를 사용함으로써, 연료 전지의 초기 성능 및 내구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합금화 공정에서는, Pt 와 Co 를 바람직하게는 700 ∼ 9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750 ∼ 850 ℃ 에서 합금화한다. 이와 같은 합금화 온도를 채용하여 제조된 전극 촉매를 사용함으로써, 연료 전지의 초기 성능 및 내구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은, 중실 카본 담체에 담지된 PtCo 합금을 산 처리하는 산 처리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 처리 공정에서는, 중실 카본 담체에 담지된 PtCo 합금을 바람직하게는 70 ∼ 90 ℃,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 85 ℃ 에서 산 처리한다. 이와 같은 온도에서 산 처리함으로써, 반응에 기여하지 않는 Co 를 충분히 제거할 수 있다. 이로써, Co 의 용출을 억제할 수 있다.
산 처리 공정에 있어서 사용하는 산으로는, 예를 들어, 무기산 (질산, 인산, 과망간산, 황산, 염산 등), 유기산 (아세트산, 말론산, 옥살산, 포름산, 시트르산, 락트산 등) 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재료, 제조물, 그들의 특징 등에 대해서는, <연료 전지용 전극 촉매>의 항목에 있어서 이미 설명하고 있다. 상기 항목에 있어서 설명한 사항을 본 항목에 있어서 적절히 참작하는 것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사용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는 특허 청구의 범위에 포함되는지의 여부에 의해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양호한 결과가 얻어진 실시형태를 실시예로 하고, 그 이외의 실시형태를 비교예로 하였다.
<전극 촉매의 제조>
[실시예 1]
담지 공정:덴카블랙 (1.0 g:덴키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 을 순수 (41.6 ㎖) 에 분산시켰다. 백금 (1.0 g) 을 함유하는 디니트로디아민백금질산 용액 (일본특허 제4315857호:캬타라 주식회사 제조) 을 적하하고, 덴카블랙과 충분히 융합시켰다. 환원제로서 에탄올 (3.2 g) 을 첨가하고 환원 담지를 실시하였다. 분산액을 여과 세정하고, 얻어진 분말을 건조시켜, 백금 담지 촉매를 얻었다. 다음으로, 백금 담지 촉매의 표면 상의 산소량을 4 중량% 이하까지 저감시키고, 제품 비율 (몰비) 로 Pt:Co 가 7:1 이 되도록 코발트 (0.03 g) 를 담지시켰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덴카블랙은, 중실 카본으로서, X 선 회절에 의해 측정된 결정층 두께 (Lc) 가 19 Å 이고, N2 흡착에 의해 구해지는 BET 표면적과 t-Pot (입자 사이즈로부터 입자 외부의 표면적을 산출하였다) 에 의한 외표면적의 비율 (t-Pot 표면적/BET 표면적) 이 49.6 % 이다. 또한, 중공 카본의 경우, t-Pot 표면적/BET 표면적은 28.1 % 이다.
합금화 공정:얻어진 담지 촉매를 아르곤 분위기 하, 800 ℃ 에서 합금화하였다.
산 처리 공정:합금화한 담지 촉매를 0.5 N 질산을 사용하여 80 ℃ 에서 산 처리하여, 전극 촉매를 얻었다.
[실시예 2 ∼ 27, 비교예 1 ∼ 73]
Pt:Co (몰비), 합금화 온도, 산 처리 온도를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공정으로 전극 촉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제조 조건을 표 1 ∼ 4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MEA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전극 촉매를 유기분 용매에 분산시키고, 분산액을 테플론 (등록 상표) 시트에 도포하여 전극을 형성하였다. 전극을 각각 고분자 전해질막을 개재하여 핫 프레스에 의해 첩합 (貼合) 하고, 그 양측에 확산층을 배치하여 고체 고분자형 연료 전지용의 단셀을 제조하였다.
셀 온도를 80 ℃, 양 전극의 상대 습도를 100 % 로 하고, 스몰 단셀 평가 장치 시스템 (주식회사 토요 테크니카 제조) 을 사용하여, 사이클릭 볼타메트리 (CV) 및 IV 측정을 실시하였다.
CV 에 대해서는, 범위를 0.05 ∼ 1.2 V, 속도를 100 mV/s 로 하여 전위 주사를 5 번 실시하고, 5 번째의 CV 의 H2 흡착 영역의 전하량으로부터 ECSA (Pt 질량당의 전기 화학적인 표면적) 를 산출하였다.
IV 측정에 대해서는, 0.01 ∼ 1.0 A/㎠ 의 범위에서 임의로 전류를 제어하였다. 0.76 V 시의 Pt 질량당의 전류치를 질량 활성으로 정의하였다.
<PtCo 합금의 평균 입경>
JIS K 0131 에 준거한 X 선 회절법 (XRD 법) 으로 측정된 XRD 차트에 있어서의, Pt 금속 단체가 나타내는 피크의 강도로부터 산출하였다.
<Co 용출량>
황산 용액 20 ㎖ 와 전극 촉매 0.5 g 을 샘플병 중에 교반자와 함께 넣고, 스터러로 혼합 분산하고, 실온하에서 100 시간 혼합한다. 그 후, 혼합액을 고액 분리 (여과) 하고, 여과액 중의 Co 농도를 ICP 로 측정하였다.
<프로톤 저항>
단셀의 IV 를 측정 후, 교류 임피던스법에 의해 프로톤을 산출하였다.
<결과 1>
도 1 에 Pt/Co 몰비와 질량 활성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1 에 있어서의 각 플롯은, 왼쪽으로부터:
비교예 13 (Pt/Co 몰비:3, 질량 활성:253 ㎃/㎠@0.76 V);
실시예 14 (Pt/Co 몰비:4, 질량 활성:200 ㎃/㎠@0.76 V);
실시예 1 (Pt/Co 몰비:7, 질량 활성:185 ㎃/㎠@0.76 V);
실시예 23 (Pt/Co 몰비:11, 질량 활성:175 ㎃/㎠@0.76 V);
비교예 86 (Pt/Co 몰비:15, 질량 활성:165 ㎃/㎠@0.76 V);
에 대응한다.
FC 차에 탑재하는 전극 촉매에 요구되는 질량 활성은 175 ㎃/㎠@0.76 V 이상이다. 그 때문에, Pt/Co 몰비는 1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Pt/Co 몰비가 3 인 비교예 13 에서는 Co 의 용출량이 많다. 따라서, 바람직한 Pt/Co 몰비는 4 ∼ 11 이다.
<결과 2>
도 2 에 PtCo 합금의 평균 입경과 질량 활성의 관계를 나타낸다. 또, 도 3 에 PtCo 합금의 평균 입경과 ECSA 유지율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2 및 도 3 에 있어서의 각 플롯은, 왼쪽으로부터:
비교예 44 (평균 입경:3 ㎚, 질량 활성:203 ㎃/㎠@0.76 V, ECSA 유지율:37 %);
실시예 8 (평균 입경:3.5 ㎚, 질량 활성:191 ㎃/㎠@0.76 V, ECSA 유지율:40 %);
실시예 1 (평균 입경:4 ㎚, 질량 활성:185 ㎃/㎠@0.76 V, ECSA 유지율:50 %);
실시예 5 (평균 입경:4.1 ㎚, 질량 활성:178 ㎃/㎠@0.76 V, ECSA 유지율:52 %);
비교예 23 (평균 입경:6 ㎚, 질량 활성:135 ㎃/㎠@0.76 V, ECSA 유지율:71 %);
비교예 55 (평균 입경:7 ㎚, 질량 활성:113 ㎃/㎠@0.76 V, ECSA 유지율:83 %);
에 대응한다.
상기와 같이, FC 차에 탑재하는 전극 촉매에 요구되는 질량 활성은 175 ㎃/㎠@0.76 V 이상이다. 그 때문에, PtCo 합금의 평균 입경은 4.1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전극 촉매에 요구되는 ECSA 유지율은 40 % 이상이다. 그 때문에, PtCo 합금의 평균 입경은 3.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바람직한 PtCo 합금의 평균 입경은 3.5 ∼ 4.1 ㎚ 이다.
<결과 3>
도 4 에 Co 용출량과 프로톤 저항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4 에 있어서의 각 플롯은, 왼쪽으로부터:
실시예 8 (Co 용출량:4 ppm, 프로톤 저항:0.50 mΩ·13 ㎠);
실시예 1 (Co 용출량:16 ppm, 프로톤 저항:0.51 mΩ·13 ㎠);
실시예 5 (Co 용출량:27 ppm, 프로톤 저항:0.52 mΩ·13 ㎠);
비교예 13 (Co 용출량:145 ppm, 프로톤 저항:0.63 mΩ·13 ㎠);
비교예 26 (Co 용출량:350 ppm, 프로톤 저항:0.80 mΩ·13 ㎠);
에 대응한다.
전극 촉매에 요구되는 프로톤 저항은 0.6 mΩ 이하이다. 따라서, 바람직한 Co 용출량은 115 ppm 이하이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한 모든 간행물, 특허 및 특허출원을 그대로 참고로서 본 명세서에 받아들이는 것으로 한다.

Claims (11)

  1. 중실 카본 담체와, 당해 담체에 담지된 백금과 코발트의 합금을 함유하는, 연료 전지용 전극 촉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금에 있어서의 백금과 코발트의 몰비가 4 ∼ 11:1 인, 연료 전지용 전극 촉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합금의 평균 입경이 3.5 ∼ 4.1 ㎚ 인, 연료 전지용 전극 촉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X 선 소각 산란법에 의해 측정한 상기 합금의 분산도가 44 % 이하인, 연료 전지용 전극 촉매.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70 ∼ 90 ℃ 에서 산 처리되고 있는, 연료 전지용 전극 촉매.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발트의 용출량이 115 ppm 이하인, 연료 전지용 전극 촉매.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연료 전지용 전극 촉매를 함유하는, 연료 전지.
  8. 중실 카본 담체에 백금과 코발트를 담지하는 담지 공정;및
    중실 카본 담체에 담지된 백금과 코발트를 합금화하는 합금화 공정;
    을 포함하는, 연료 전지용 전극 촉매의 제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담지 공정에 있어서, 백금과 코발트를 2.5 ∼ 6.9:1 의 몰비로 담지하는, 제조 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합금화 공정에 있어서, 백금과 코발트를 700 ∼ 900 ℃ 에서 합금화하는, 제조 방법.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실 카본 담체에 담지된 백금과 코발트의 합금을 70 ∼ 90 ℃ 에서 산 처리하는 산 처리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제조 방법.
KR1020177007105A 2014-10-24 2015-10-23 연료 전지용 전극 촉매 및 그 제조 방법 Active KR1020979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16946 2014-10-24
JP2014216946 2014-10-24
PCT/JP2015/079926 WO2016063968A1 (ja) 2014-10-24 2015-10-23 燃料電池用電極触媒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4146A true KR20170044146A (ko) 2017-04-24
KR102097952B1 KR102097952B1 (ko) 2020-04-07

Family

ID=55760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7105A Active KR102097952B1 (ko) 2014-10-24 2015-10-23 연료 전지용 전극 촉매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50869B2 (ko)
EP (1) EP3211696A4 (ko)
JP (1) JP6232505B2 (ko)
KR (1) KR102097952B1 (ko)
CN (1) CN106605325B (ko)
WO (1) WO20160639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63843A (ja) * 2017-03-27 2018-10-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
EP3614472B1 (en) * 2017-04-18 2021-07-28 Tanaka Kikinzoku Kogyo K.K. Catalyst for solid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s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6635976B2 (ja) 2017-04-28 2020-01-29 株式会社キャタラー 燃料電池用電極触媒及びその製造方法
CN111788728B (zh) 2018-03-16 2022-04-01 株式会社科特拉 燃料电池用电极催化剂和使用它的燃料电池
WO2019221168A1 (ja) 2018-05-15 2019-11-21 エヌ・イー ケムキャット株式会社 電極用触媒、ガス拡散電極形成用組成物、ガス拡散電極、膜・電極接合体、及び、燃料電池スタック
CN109273732B (zh) * 2018-09-28 2021-05-14 中能源工程集团氢能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质子传输功能的钴包覆碳载铂催化剂及其制备方法
US20230126404A1 (en) 2020-03-23 2023-04-27 N.E. Chemcat Corporation Electrode catalyst, composition for forming gas diffusion electrode, gas diffusion electrod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nd fuel cell stack
US20230231148A1 (en) 2020-03-23 2023-07-20 N.E. Chemcat Corporation Catalyst for electrode, composition for forming gas diffusion electrode, gas diffusion electrode, membrane-electrode junction, and fuel cell stack
KR20230079099A (ko) 2020-09-29 2023-06-05 엔.이. 켐캣 가부시키가이샤 전극용 촉매, 가스 확산 전극 형성용 조성물, 가스 확산 전극, 막-전극 접합체 및 연료 전지 스택
KR20230079100A (ko) 2020-09-29 2023-06-05 엔.이. 켐캣 가부시키가이샤 전극용 촉매, 가스 확산 전극 형성용 조성물, 가스 확산 전극, 막-전극 접합체 및 연료 전지 스택
US20240105965A1 (en) 2021-02-09 2024-03-28 N.E. Chemcat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electrode catalyst, method for producing gas diffusion electrode, and method for producing film-electrode joint body
WO2022172947A1 (ja) 2021-02-09 2022-08-18 エヌ・イー ケムキャット株式会社 電極用触媒の製造方法、ガス拡散電極の製造方法、及び、膜・電極接合体の製造方法
JP7464553B2 (ja) * 2021-03-04 2024-04-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極触媒
JP2022138904A (ja) 2021-03-11 2022-09-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用電極触媒、その選定方法及びそれを備える燃料電池
JP2022138872A (ja) 2021-03-11 2022-09-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用電極触媒、その選定方法及びそれを備える燃料電池
JP2023129137A (ja) 2022-03-04 2023-09-14 日清紡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金属担持触媒、電極及び電池
JP2024127510A (ja) 2023-03-09 2024-09-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用電極触媒及びそれを備える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6409A (ja) 2003-12-02 2005-06-23 Nissan Motor Co Ltd 電極触媒、触媒担持電極、燃料電池用meaおよび燃料電池
JP2005317546A (ja) 2004-04-27 2005-11-10 Samsung Sdi Co Ltd 燃料電池用膜−電極アセンブリー及びこれを含む燃料電池システム
US20070087261A1 (en) * 2005-10-17 2007-04-19 Asahi Glass Company Limited Membrane-electrode assembly for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US20090092888A1 (en) * 2006-03-31 2009-04-09 Hiroaki Takahashi Electrode catalyst for fuel cell and production process of the same
JP2009140657A (ja) 2007-12-04 2009-06-25 Nissan Motor Co Ltd 燃料電池用電極触媒
US20110195339A1 (en) * 2008-10-22 2011-08-11 Takashi Iijima Solid polymer type fuel cell catalyst, solid polymer type fuel cell electrode, and fuel cell
JP2012124001A (ja) 2010-12-08 2012-06-28 Tanaka Kikinzoku Kogyo Kk 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用触媒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236138A (ja) 2011-05-11 2012-12-06 Ishifuku Metal Ind Co Ltd 高活性な燃料電池用カソード白金触媒
JP2012248365A (ja) 2011-05-26 2012-12-13 Nippon Steel Corp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用触媒
JP2013252483A (ja) 2012-06-07 2013-12-19 Tanaka Kikinzoku Kogyo Kk 金担持カーボン触媒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74380B2 (ja) 1996-08-26 2007-01-31 エヌ・イーケムキャット株式会社 空格子点型格子欠陥を有するカーボン担持白金スケルトン合金電極触媒
JPH1092441A (ja) * 1996-09-13 1998-04-10 Asahi Glass Co Ltd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
JP3643552B2 (ja) * 2001-10-31 2005-04-27 田中貴金属工業株式会社 高分子固体電解質形燃料電池の空気極用触媒及び該触媒の製造方法
JP5082187B2 (ja) * 2003-10-06 2012-11-2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用電極触媒粒子の製造方法
JP4362116B2 (ja) 2005-10-20 2009-11-11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アセチレンブラックとその製造方法、及び燃料電池用触媒
EP2006943B1 (en) * 2006-03-31 2012-08-01 Cataler Corporation Production process of electrode catalyst for fuel cell
US20080182153A1 (en) * 2007-01-30 2008-07-31 Jang Bor Z Fuel cell electro-catalyst composite composition, electrode, catalyst-coated membrane, and membrane-electrode assembly
KR101541207B1 (ko) * 2007-11-09 2015-07-31 바스프 에스이 촉매 제조 방법 및 그 촉매의 용도
JP2010027364A (ja) 2008-07-18 2010-02-04 Nissan Motor Co Ltd 燃料電池用電極触媒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027464A (ja) * 2008-07-22 2010-02-04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及び端子金具付き電線
JP5324304B2 (ja) * 2009-04-27 2013-10-2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貴金属触媒担持方法
WO2010139596A2 (en) * 2009-06-02 2010-12-09 Basf Se Catalyst for electrochemical applications
JP5270468B2 (ja) 2009-06-22 2013-08-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用電極触媒、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
JP5607597B2 (ja) * 2011-06-29 2014-10-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再酸化防止高分子型燃料電池電極触媒
JP5755124B2 (ja) * 2011-12-01 2015-07-29 株式会社キャタラー 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用カソード触媒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6409A (ja) 2003-12-02 2005-06-23 Nissan Motor Co Ltd 電極触媒、触媒担持電極、燃料電池用meaおよび燃料電池
JP2005317546A (ja) 2004-04-27 2005-11-10 Samsung Sdi Co Ltd 燃料電池用膜−電極アセンブリー及びこれを含む燃料電池システム
US20070087261A1 (en) * 2005-10-17 2007-04-19 Asahi Glass Company Limited Membrane-electrode assembly for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US20090092888A1 (en) * 2006-03-31 2009-04-09 Hiroaki Takahashi Electrode catalyst for fuel cell and production process of the same
JP2009140657A (ja) 2007-12-04 2009-06-25 Nissan Motor Co Ltd 燃料電池用電極触媒
US20110195339A1 (en) * 2008-10-22 2011-08-11 Takashi Iijima Solid polymer type fuel cell catalyst, solid polymer type fuel cell electrode, and fuel cell
JP2012124001A (ja) 2010-12-08 2012-06-28 Tanaka Kikinzoku Kogyo Kk 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用触媒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236138A (ja) 2011-05-11 2012-12-06 Ishifuku Metal Ind Co Ltd 高活性な燃料電池用カソード白金触媒
JP2012248365A (ja) 2011-05-26 2012-12-13 Nippon Steel Corp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用触媒
JP2013252483A (ja) 2012-06-07 2013-12-19 Tanaka Kikinzoku Kogyo Kk 金担持カーボン触媒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11696A1 (en) 2017-08-30
CN106605325A (zh) 2017-04-26
KR102097952B1 (ko) 2020-04-07
US10950869B2 (en) 2021-03-16
CN106605325B (zh) 2020-12-25
US20170338495A1 (en) 2017-11-23
EP3211696A4 (en) 2017-08-30
JPWO2016063968A1 (ja) 2017-06-15
WO2016063968A1 (ja) 2016-04-28
JP6232505B2 (ja) 201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7952B1 (ko) 연료 전지용 전극 촉매 및 그 제조 방법
Perazzolo et al. Density functional theory (DFT) and experimental evidences of metal–support interaction in platinum nanoparticles supported on nitrogen-and sulfur-doped mesoporous carbons: synthesis, activity, and stability
Salgado et al. Structure and activity of carbon-supported Pt− Co electrocatalysts for oxygen reduction
EP3465806B1 (en) Catalyst
US9960430B2 (en) Ternary platinum alloy catalyst
Sarkar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nanostructured Pd− Mo electrocatalysts for oxygen reduction reaction in fuel cells
EP2133943B1 (en) Process for producing electrode catalyst for fuel cell
EP3408885B1 (en) Catalyst
CA2468262A1 (en) Supported nanoparticle catalyst
Frota Jr et al. Pt/C containing different platinum loadings for use as electrocatalysts in alkaline PBI-based direct glycerol fuel cells
Okaya et al. Temperature dependence of oxygen reduction reaction activity at stabilized Pt skin-PtCo alloy/graphitized carbon black catalysts prepared by a modified nanocapsule method
EP1808920A1 (en) Nanosized catalysts for the anode of a PEM fuel cell
Karuppasamy et al. Low-and high-index faceted pd nanocrystals embedded in various oxygen-deficient WO x nanostructures for electrocatalytic oxidation of alcohol (EOA) and carbon monoxide (CO)
Pupo et al. Sn@ Pt and Rh@ Pt core–shell nanoparticles synthesis for glycerol oxidation
Lobato et al. Composite titanium silicon carbide as a promising catalyst support for high‐temperature proton‐exchange membrane fuel cell electrodes
CN117652042A (zh) 析氧反应催化剂
JP6635976B2 (ja) 燃料電池用電極触媒及びその製造方法
JPWO2006114942A1 (ja) カーボン粒子、白金および酸化ルテニウムを含んでなる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3079696A (zh) 催化剂微粒及催化剂微粒的制造方法
Han et al. Highly stable and active Pt electrocatalysts on TiO2-Co3O4-C composite support for polymer exchange membrane fuel cells
KR20210114052A (ko) 연료 전지용 척매
JP6478677B2 (ja) 燃料電池用電極
JP6956851B2 (ja) 燃料電池用電極触媒及びそれを用いた燃料電池
CN111837273B (zh) 催化剂
JP4992185B2 (ja) 燃料電池用触媒、膜電極複合体、および固体高分子電解質型燃料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1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3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3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6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3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6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5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3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9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0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9110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80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6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5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3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4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4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