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033952A - 듀얼 베어링 릴 - Google Patents

듀얼 베어링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3952A
KR20130033952A KR1020120094145A KR20120094145A KR20130033952A KR 20130033952 A KR20130033952 A KR 20130033952A KR 1020120094145 A KR1020120094145 A KR 1020120094145A KR 20120094145 A KR20120094145 A KR 20120094145A KR 20130033952 A KR20130033952 A KR 20130033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haft
spool
braking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4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3237B1 (ko
Inventor
구니오 다케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30033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3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3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323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동(制動) 손잡이가 핸들 장착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된 듀얼 베어링 릴에 있어서, 파밍(palming)을 행하기 쉽게 한다. 듀얼 베어링 릴은, 릴 본체(1)와, 핸들(2)과, 스풀축(16)과, 스풀(12)과, 캐스팅(casting) 컨트롤 기구(22)를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1)는, 오목부(6c)를 가지고 프레임(5)의 제1 측을 덮는 제1 측커버(6a)를 가진다. 핸들(2)은, 제2 측커버(6b) 측에서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캐스팅 컨트롤 기구(22)는, 제동 손잡이(42), 제1 플레이트(41a), 및 제2 플레이트(42b)를 가진다. 제동 손잡이(42)는, 축지지부(7)에 나사결합되고 오목부(6c)에 제1 측커버(6a)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제1 플레이트(41a)는, 제동 손잡이(42)와 스풀축(16)의 제1 단면(端面)(16a)에 접촉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제2 플레이트(41b)는, 스풀축(16)의 제2 단면(16b)에 접촉 가능하다.

Description

듀얼 베어링 릴{DUAL-BEARING REEL}
본 발명은, 듀얼 베어링 릴, 특히, 핸들 장착측과는 반대측에 캐스팅(casting) 컨트롤 기구(機構)의 제동(制動) 손잡이가 설치된 듀얼 베어링 릴에 관한 것이다.
듀얼 베어링 릴에 있어서, 캐스팅 컨트롤 기구의 제동 손잡이는, 통상은 핸들 장착측에 배치된다. 이에 대하여, 제동 손잡이가 핸들 장착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된 듀얼 베어링 릴이 종래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종래의 듀얼 베어링 릴에서는, 제동 손잡이는, 손잡이 부재와 나사 부재를 가지고 있다. 나사 부재는, 손잡이 부재에 일체로 회전 가능한 동시에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로써, 손잡이 부재를 돌리면 나사 부재가 진퇴(進退)하고, 제동 플레이트를 압압(押壓)하여 스풀축을 제동한다. 손잡이 부재는, 회동(回動)에 의해서도 진퇴하지 않고, 핸들 장착측에서 릴 본체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이로써, 릴 본체와 손잡이 부재와의 간극(間隙)이 일정하게 되어, 손잡이 부재의 내부로의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9-44990호 공보
종래의 듀얼 베어링 릴에서는, 손잡이 부재로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제동 손잡이가 릴 본체의 핸들 장착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듀얼 베어링 릴에서는, 핸들 장착측과는 반대측에서 릴 본체를 잡는, 파밍(palming)하면서 스풀 또는 낚싯대의 조작을 행하는 경우가 있다. 파밍 시에, 핸들을 잡는 손과 반대의 손(우측 핸들의 듀얼 베어링 릴의 경우에는 왼손)으로 릴 본체를 낚싯대와 함께 잡는다. 이 파밍을 행할 때, 종래의 듀얼 베어링 릴에서는, 제동 손잡이가 잡은 손의 손바닥에 닿아 파밍을 행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제동 손잡이가 핸들 장착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된 듀얼 베어링 릴에 있어서, 파밍을 행하기 쉽게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 1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은, 릴 본체와, 핸들과, 스풀축과, 스풀과, 캐스팅 컨트롤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는, 프레임, 오목부를 가지고 프레임의 제1 측을 덮는 제1 커버, 프레임의 제2 측을 덮는 제2 커버, 및 제1 커버측에서 프레임에 설치되는 축지지부를 가진다. 핸들은, 제2 커버측에서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스풀축은, 축지지부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스풀은, 스풀축에 장착되고 핸들의 회전에 의해 회전한다. 캐스팅 컨트롤 기구는, 제동 손잡이,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를 가진다. 제동 손잡이는, 축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오목부에 제1 커버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제1 플레이트는, 제동 손잡이와 스풀축의 일단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제동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압압된다. 제2 플레이트는, 스풀축의 타단면에 접촉 가능하다.
이 듀얼 베어링 릴에서는, 릴 본체의 핸들 장착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1 커버가 오목부를 가지고 있고, 제동 손잡이의 전체가 오목부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제1 커버측을 파밍해도, 제동 손잡이가 손바닥에 닿지 않는다. 이로써, 핸들 장착측과는 반대측에서 파밍을 행하기 쉽게 된다.
본 발명 2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은, 본 발명 1에 기재된 듀얼 베어링 릴에 있어서, 제동 손잡이는 원형의 부재이며, 제동 손잡이의 외주면은 오목부와의 사이에 조작용의 간극을 두고 배치된다. 이 경우에는, 제동 손잡이의 외주면 측에 오목부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므로, 제동 손잡이의 외주면에서 제동 조작을 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동 손잡이를 돌리기 쉬워진다.
본 발명 3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은, 본 발명 1 또는 2에 기재된 듀얼 베어링 릴에 있어서, 축지지부는, 프레임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경우에는, 축지지부가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축지지부를 벗김으로써, 스풀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본 발명 4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은, 본 발명 3에 기재된 듀얼 베어링 릴에 있어서, 축지지부는, 제동 손잡이의 외주측에 배치되는 착탈 조작부를 가진다. 이 경우에는, 축지지부의 착탈 조작이 용이하다.
본 발명 5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은, 본 발명 1 또는 2에 기재된 듀얼 베어링 릴에 있어서, 축지지부는,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 경우에는, 프레임과 축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스풀축을 양호한 정밀도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 6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은, 본 발명 3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듀얼 베어링 릴에 있어서, 제동 손잡이는, 원형의 조작부, 조작부보다 소경(小徑)의 실링(sealing) 장착부, 및 실링 장착부보다 소경의 수나사부를 가진다. 축지지부는, 실링 장착부가 내주측에 배치되는 실링 배치부, 수나사부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 및 제1 플레이트가 장착되는 바닥부를 가진다. 듀얼 베어링 릴은, 실링 배치부와 실링 장착부와의 사이에 양자에 접촉하여 배치되는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한다.
이 경우에는, 실링 장착부와 실링 배치부와의 사이에 실링 부재가 배치되므로, 제동 손잡이와 축지지부와의 간극으로부터 액체가 베어링 측으로 침입하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동 손잡이가 핸들 장착측과는 반대측의 제1 커버의 오목부에 제1 커버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그러므로, 제1 커버측을 파밍해도, 제동 손잡이가 손바닥에 닿지 않는다. 이로써, 핸들 장착측과는 반대측에서 파밍을 행하기 쉽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듀얼 베어링 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듀얼 베어링 릴의 핸들 장착측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절단선 III-III에 의한 단면도(斷面圖)이다.
도 4는 도 2의 절단선 IV-IV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제1 측커버 측의 단면 부분도이다.
도 6은 제1 기어 장착 부분의 핸들축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절단선 VII-VII에 의한 단면 부분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예의 도 5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제3 실시예의 도 5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의 도 5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제1 실시예>
<듀얼 베어링 릴의 구성>
도 1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듀얼 베어링 릴은, 로우 프로필형(low profile type)의 릴이다. 듀얼 베어링 릴은, 릴 본체(1)와, 릴 본체(1)의 측방(예를 들면, 좌측)에 배치된 스풀 회전용 핸들(2)과, 릴 본체(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와이어 권취용의 스풀(12)을 구비하고 있다. 핸들(2)의 릴 본체(1) 측에는, 드래그(drag) 조정용의 드래그 조정 부재(3)가 설치되어 있다.
핸들(2)은, 예를 들면, 금속제의 판형의 핸들 암(2a)과, 핸들 암(2a)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2개의 손잡이(2b)를 가지는 더블 핸들형이다. 핸들 암(2a)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너트(2d)에 의해 핸들축(30)의 선단(先端)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 너트(2d)는, 핸들 암(2a)의 외측면에 나사 고정된 리테이너(retainer)(2c)에 의해 회전이 방지되어 있다.
릴 본체(1)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5)과, 프레임(5)의 양쪽에 장착되고 프레임(5)의 양쪽을 덮는 제1 측커버(6a) 및 제2 측커버(6b)와, 프레임(5)의 측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축지지부(7)를 가지고 있다. 제1 측커버(6a)(제1 커버의 일례)는 핸들(2)과 반대측에 배치되고, 제2 측커버(6b)(제2 커버의 일례)는 핸들(2)의 장착측에 배치되어 있다.
프레임(5)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 마그네슘 합금 등의 경금속제의 부재이며, 소정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1 측판(5a) 및 제2 측판(5b)과, 제1 측판(5a) 및 제2 측판(5b)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부(5c)를 가지고 있다. 이 핸들 장착측과는 반대측의 제1 측판(5a)에 축지지부(7)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 측판(5a)에는, 스풀(12)이 통과할 수 있는 원형의 개구(5d)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5d)에, 스풀(12)을 개구(5d) 측으로부터 인출하기 위한 축지지부(7)가, 예를 들면, 바요넷 기구(bayonet mechanism)(23)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아래쪽의 2개의 연결부(5c)에는, 릴을 낚싯대에 장착하기 위한 전후로 긴 로드(rod) 장착 다리부(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측커버(6a)는, 알루미늄 합금, 마그네슘 합금 등의 경금속제의 부재이며, 제1 측판(5a)의 외측을 덮고 있다. 제1 측커버(6a)는, 원형의 오목부(6c)를 중심부에 가지고 있다. 오목부(6c)는 복수 스텝(step)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6c)의 중심부에는, 원형의 손잡이 개구(6d)가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 개구(6d)에서는, 축지지부(7)가 노출되어 있다. 제1 측커버(6a)는, 축지지부(7)에 의해 협지(挾持)되고, 축지지부(7)와 함께 프레임(5)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다. 축지지부(7)의 주위에 있어서, 제1 측커버(6a)의 개구(6d)의 내주부에는, 축지지부(7)의 비조작 시의 회전 방지와, 축지지부(7)의 조작 시의 위치 결정을 행하기 위한 위치 결정 기구(60)가 배치되어 있다.
제2 측커버(6b)는, 알루미늄 합금, 마그네슘 합금 등의 경금속제의 부재이며, 프레임(5)의 제2 측판(5b)에 나사멈춤 고정되어 있다. 제2 측커버(6b)는, 스풀축(16)의 배치 부분에 설치된 보스부(8)와, 보스부(8)의 개구를 막는 커버 부재(9)가 설치된다. 보스부(8)는, 제2 측커버(6b)에, 예를 들면, 코킹(caulking) 고정되어 있다. 커버 부재(9)는, 제2 측커버(6b)에 비스로 고정되어 있다. 보스부(8)의 내경(內徑)은, 후술하는 피니언 기어(32)의 기어부(32a)의 외경보다 약간 크므로, 기어부(32a)가 내주측에 침입 가능하다.
축지지부(7)는, 제1 측커버(6a)를 협지한 상태로 제1 측커버(6a)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축지지부(7)는, 제1 측커버(6a)에 대하여 이탈이 방지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지지부(7)는, 바요넷 기구(23)에 의해 제1 측판(5a)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바요넷 기구(23)는, 축지지부(7)의 외주부에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판형의 복수(예를 들면, 3개)의 돌기부(23a)와, 돌기부(23a)에 걸어맞추어지도록 제1 측판(5a)의 개구(5d)의 외측에 형성된 홈형의 복수(예를 들면, 3개)의 걸어맞춤 오목부(23b)를 가지고 있다. 축지지부(7)를 돌려 바요넷 기구(23)에 의해 제1 측판(5a)에 축지지부(7)를 장착함으로써, 제1 측커버(6a)도 제1 측판(5a)에 장착된다.
축지지부(7)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베어링(24a)이 장착되는 베어링 장착부(33)와, 베어링 장착부(33)에 의해 제1 측커버(6a)를 상대 회동 가능하게 협지하는 착탈 조작부(34)를 가지고 있다. 베어링 장착부(33)는, 접시형의 부재이며, 외주부(33a)가 개구(5d)에 끼워맞추어져 있다. 또한, 외주부(33a)에는, 외주부(33a)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전술한 바요넷 기구(23)의 복수 개의 돌기부(23a)가 스풀(12)의 축심(軸芯)을 중심으로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 장착부(33)의 중심부에는, 제1 베어링(24a)을 수납하는 통형의 베어링 수납부(33b)가 스풀(12)을 향해 통형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 수납부(33b)에는, 제1 베어링(24a)이 내주면에 장착되는 계단식 통형의 장착 공간(33c)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 공간(33c)의 바닥부(33d)에는, 후술하는 캐스팅 컨트롤 기구(22)를 구성하는 원판형의 제1 플레이트(41a)가 장착되어 있다. 바닥부(33d)에는 후술하는 제동 손잡이(42)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33e)가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 장착부(33)의 착탈 조작부(34)와 접촉하는 면에는, 스풀(12)의 축심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예를 들면, 2개)의 위치 결정 볼록부(33f)가 스풀축(16)의 축심을 중심으로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 장착부(33)의 외측면에는, 축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통형의 실링 배치부(33g)가 형성되어 있다.
착탈 조작부(34)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단식 원통형상의 부재이며, 도시하지 않은 나사 부재에 의해 베어링 장착부(33)에 고정되어 있다. 착탈 조작부(34)는, 축지지부(7)를 착탈 조작하기 위한 것이다. 착탈 조작부(34)의 외측면은, 제1 측커버(6a)의 외측면보다 약간 오목하게 되어 있다. 착탈 조작부(34)에는, 직경 상에 배치되는 착탈 조작용의 리브(34a)가 형성된다. 리브(34a)는, 다른 부분보다 직경 방향 내측 및 축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착탈 조작부(34)의 중심부에는, 실링 배치부(33g)가 돌출하는 개구(34b)가 형성되어 있다. 착탈 조작부(34)의 베어링 장착부(33) 측의 벽면에는, 위치 결정 볼록부(33f)에 걸어맞추어지는 복수(예를 들면, 2개)의 위치 결정 오목부(34c)가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5) 내에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낚싯대와 어긋나는 방향으로 배치 가능한 와이어 권취용의 스풀(12)과, 스풀(12) 내에 균일하게 낚싯줄을 감기 위한 레벨 와인드 기구(15)와, 써밍(thumbing)을 행하는 경우의 엄지가 닿는, 클러치 조작 부재(17)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5)과 제2 측커버(6b)와의 사이에는, 핸들(2)로부터의 회전력을 스풀(12) 및 레벨 와인드 기구(15)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 기구(18)와, 클러치 기구(13)와, 클러치 기구(13)를 온 오프 제어하기 위한 클러치 제어 기구(19)와, 스풀(12)의 낚싯줄 송출 방향의 회전을 제동하는 드래그 기구(21)와, 스풀(12)의 회전 시의 저항력을 조정하기 위한 캐스팅 컨트롤 기구(22)가 배치되어 있다.
스풀(12)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측부에 접시형의 플랜지부(12a)를 가지고 있고, 양 플랜지부(12a) 사이에 통형의 낚싯줄 권취 보디부(12b)를 가지고 있다. 또한, 스풀(12)은, 낚싯줄 권취 보디부(12b)의 내주측의 축 방향의 실질적으로 중앙부에 일체로 형성된 통형의 보스부(12c)를 가지고 있고, 보스부(12c)를 관통하는 스풀축(16)에, 예를 들면, 톱니 결합에 의해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 고정 방법은 톱니 결합에 한정되지 않고, 키 결합이나 스플라인 결합 등의 각종 결합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스풀축(16)은, 제2 측판(5b)을 관통하여 제2 측커버(6b)로 연장되어 있다. 스풀(12)의 보스부(12c)의 양쪽에서 스풀축(16)은 제1 베어링(24a) 및 제2 베어링(24b)에 의해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베어링(24a)은 축지지부(7)에 장착되고, 제2 베어링(24b)은, 제2 측판(5b)에 장착되어 있다. 스풀축(16)의 제1 단면(端面)(16a)(일단면의 일례) 및 제2 단면(16b)(타단면의 일례)는, 산형(山形) 또는 원호형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스풀축(16)의 제1 단(端)(16a) 및 제2 단(16b)이 캐스팅 컨트롤 기구(22)에 접촉 가능하다.
스풀축(16)의 제2 측판(5b)의 관통부 부분에는 클러치 기구(13)를 구성하는 걸어맞춤핀(13a)이 고정되어 있다. 걸어맞춤핀(13a)은, 직경을 따라 스풀축(16)을 관통하고 있고, 그 양단이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양단의 돌출 부분에 후술하는 피니언 기어(32)의 선단(도 2의 우측단)이 걸어맞춤 가능하다.
레벨 와인드 기구(15)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술하는 기어 기구(18)의 제1 기어(28)와 서로 맞물리는 제2 기어(25)와, 트래버스 캠축(26)과, 낚싯줄 가이드(27)를 가지고 있다. 트래버스 캠축(26)은, 교차하는 나선형 홈(26a)이 외주면에 형성된 축부재이다. 낚싯줄 가이드(27)는, 나선형 홈(26a)에 걸어맞추어지고, 트래버스 캠축(26)의 회전에 의해, 스풀(12)의 전방에서 스풀(12)과 평행하게 왕복 이동한다.
기어 기구(18)는, 핸들축(30)과, 핸들축(3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드라이브 기어(31)와, 드라이브 기어(31)에 서로 맞물리는 통형의 피니언 기어(32)와, 핸들축(30)에 장착되고, 제2 기어(25)에 서로 맞물리는 제1 기어(28)를 가지고 있다. 핸들축(30)은, 롤러형의 원웨이 클러치(one way cluch)(40)에 의해 낚싯줄 송출 방향의 회전이 금지되고, 낚싯줄 권취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다. 원웨이 클러치(40)는, 제2 측커버(6b)에 장착된다. 핸들축(30)은, 기단이 제2 측판(5b)에 베어링(2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드라이브 기어(31)의 안쪽(도 3의 좌측)에는 래칫 휠(ratchet wheel)(36)이 핸들축(30)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래칫 휠(36)의 안쪽에 제1 기어(28)가 배치된다. 핸들축(30)의 래칫 휠(36) 장착부와 제1 기어(28) 장착부의 사이에는, 대경(大徑)의 접촉부(30b)가 형성되어 있다. 드라이브 기어(31)에는, 드래그 기구(21)를 통하여 핸들축(30)의 회전이 전달된다.
피니언 기어(32)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측판(5b)으로부터 축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32)는, 중심에 스풀축(16)이 관통하는 통형 부재이다. 피니언 기어(32)는, 스풀축(16)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32)는, 기단(基端)에 형성된 기어부(32a)와, 선단에 형성되고 걸어맞춤핀(13a)에 걸어맞춤 가능한 맞물림부(32b)와, 기어부(32a)와 맞물림부(32b)와의 사이에 배치된 오목부(32c)을 가지고 있다. 기어부(32a)에는 드라이브 기어(31)가 서로 맞물린다. 맞물림부(32b)에는, 걸어맞춤핀(13a)이 걸어맞추어진다. 오목부(32c)에는, 클러치 제어 기구(19)의 클러치 요크(clutch yoke)(35)가 걸어맞추어진다. 피니언 기어(32)는, 도 3의 중심선 C의 위쪽에 나타낸 클러치 온 위치와, 아래쪽에 나타낸 클러치 오프 위치에, 클러치 조작 부재(17)의 조작 또는 핸들(2)의 낚싯줄 권취 방향의 회전에 의해 이동한다. 피니언 기어(32)는, 베어링(29)에 의해 제2 측판(5b)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기어(28)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크 리미터(39)를 통하여 핸들축(30)에 연결된다. 제1 기어(28)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벨 와인드 기구(15)의 트래버스 캠축(26)에 장착된 제2 기어(25)와 서로 맞물린다.
<토크 리미터의 구성>
토크 리미터(39)는, 레벨 와인드 기구(15)가 고장났을 때, 제1 기어(28) 및 제2 기어(25)에 무리한 힘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토크 리미터(39)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축(30)에 배치되는 한쌍의 핀부재(51)와, 가압 부재(52)와, 적어도 1개의 걸림 오목부(53)를 가진다. 가압 부재(52)는,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이며, 한쌍의 핀부재(51)를 제1 기어(28)를 향해 가압한다. 걸림 오목부(53)는, 제1 기어(28)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걸림 오목부(53)는,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4개 설치되어 있다.
핸들축(30)에는, 핀부재(51)를 진퇴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관통공(30a)이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핀부재(51)는, 반구(半球) 포탄 형상의 곡면을 가지는 헤드부(51a)와, 헤드부(51a)보다 소경의 축부(51b)를 가진다. 핀부재(51)는, 관통공(30a) 내에 있어서, 헤드부(51a)가 걸림 오목부(53)를 향해 배치된다. 가압 부재(52)는, 한쌍의 핀부재(51)의 축부(51b)의 외주측에 배치되고, 한쌍의 헤드부(51a) 사이에 압축 상태로 배치된다. 걸림 오목부(53)는, 제1 기어(28)의 화살표 R로 나타내는 낚싯줄 권취 방향의 회전 방향 하류측에 직선적인 경사면(53a)을 가지고, 회전 방향 상류측에 원통면(53b)을 가진다. 따라서, 통상은, 경사면(53a)을 핀부재(51)가 압압하여 핸들축(30)의 회전이 제1 기어(28)에 전달된다. 이로써, 레벨 와인드 기구(15)에 이물질이 끼였을 때, 핸들(2)을 강하게 돌려, 제1 기어(28)에 무리한 힘이 작용하면, 핀부재(51)가 관통공(30a) 내에 후퇴하여 들어가고, 핸들축(30)이 공전(公轉)하여, 제1 기어(28)가 쉽게 파손되지 않게 된다. 헤드부(51a)와 접촉하는 걸림 오목부(53)의 원통면(53b)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축(30)의 축심에 대하여 교차하는 경사면(53c)을 가지고 있다. 경사면(53c)은, 드라이브 기어(31) 측을 향해 핸들축(30)의 축심에 서서히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다. 이로써, 핀부재(51)가 제1 기어(28)를 가압할 때, 핸들(2) 측에 제1 기어(28)를 압압하는 힘이 발생하여, 제1 기어(28)가 접촉부(30b) 측으로 가압되어, 회전 시에 제1 기어(28)가 쉽게 요동(搖動)하지 않게 된다.
클러치 기구(13)는, 걸어맞춤핀(13a)과, 피니언 기어(32)의 맞물림부(32b)로 구성된다. 클러치 기구(13)는, 클러치 조작 부재(17)의 조작에 의해, 클러치 온 상태와, 클러치 오프 상태를 취할 수 있다. 클러치 온 상태로 핸들(2)의 회전이 스풀(12)에 전달된다. 클러치 오프 상태에서는, 스풀(12)이 자유 회전 가능한 상태로 된다.
클러치 조작 부재(17)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측판(5a)과 제2 측판(5b) 사이의 후부(後部)에서 스풀(12)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프레임(5)의 제1 측판(5a) 및 제2 측판(5b)에는 긴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고, 클러치 조작 부재(17)가 이 긴 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러므로, 클러치 조작 부재(17)는 긴 구멍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다.
클러치 제어 기구(19)는, 클러치 요크(35)를 가지고 있다. 클러치 요크(35)는, 스풀축(16)의 외주측에 배치되어 있고, 2개의 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스풀축(16)의 축심과 평행하게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스풀축(16)은 클러치 요크(35)에 대하여 상대 회전이 가능하다. 즉, 스풀축(16)이 회전해도 클러치 요크(35)는 회전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클러치 요크(35)는 그 중앙부가 피니언 기어(32)의 오목부(32c)에 걸어맞추어져 도 3의 좌우로 이동 가능하다. 클러치 요크(35)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항상 내측(도 3의 좌측)의 클러치 온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통상 상태에서는, 피니언 기어(32)는 내측의 클러치 온 위치에 위치하고 있고, 피니언 기어(32)와 스풀축(16)의 걸어맞춤핀(13a)이 걸어맞추어져 클러치 온 상태로 되 어 있다. 한편, 클러치 요크(35)에 의해 피니언 기어(32)가 외측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피니언 기어(32)와 걸어맞춤핀(13a)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클러치 오프 상태로 된다. 이 때 피니언 기어(32)의 기어부(32a)는, 도 3의 축심 C의 아래쪽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스부(8)의 내주측에 배치된다. 이로써, 클러치 오프 상태일 때, 피니언 기어(32)가 쉽게 요동하지 않게 된다.
드래그 기구(21)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래그력을 조정 조작하기 위한 드래그 조정 부재(3)와, 핸들축(30)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압압 플레이트(38)와, 핸들축(30)의 주위에서 제2 측커버(6b)가 장착된 원웨이 클러치(40)를 가지고 있다. 압압 플레이트(38)는, 원웨이 클러치(40)의 내륜(40a)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드래그 조정 부재(3)의 회전 조작에 의해 압압 플레이트(38)를 드라이브 기어(31)를 향해 가압함으로써, 압압 플레이트(38)와 드라이브 기어(31)와의 사이에서 미끄러짐이 생기게 하여, 드래그 기구(21)는 스풀(12)을 제동한다. 원웨이 클러치(40)는, 드래그 기구(21)를 작동시키기 위해, 핸들축(30)의 낚싯줄 송출 방향의 회전을 금지한다.
<캐스팅 컨트롤 기구의 구성>
캐스팅 컨트롤 기구(22)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축(16)의 양단을 협지하도록 배치된 제1 플레이트(41a) 및 제2 플레이트(41b)와, 제1 플레이트(41a) 및 제2 플레이트(41b)에 의한 스풀축(16)의 협지력을 조절하기 위한 제동 손잡이(42)를 가지고 있다.
도 3의 좌측의 제1 플레이트(41a)는, 1개 설치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베어링 장착부(33)의 장착 공간(33c)의 바닥부(33d)에 장착되고, 스풀축(16)의 제1 단(16a)에 접촉 가능하다. 2개의 제2 플레이트(41b)는, 제2 측커버(6b)의 보스부(8) 내에 장착되어 있다.
제동 손잡이(42)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형의 조작부(42a), 조작부(42a)보다 소경의 실링 장착부(42b), 및 실링 장착부(42b)보다 소경의 수나사부(42c)를 가지고 있다. 조작부(42a)는, 이 실시예에서는, 원추(圓錐) 사다리꼴이다. 조작부(42a)의 외주측은, 착탈 조작부(34)와 조작용의 간극을 개방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동 손잡이(42)는, 제1 측커버(6a)의 오목부(6c)에 제1 측커버(6a)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오목부(6c)에 착탈 조작부(34)도 배치되어 있으므로, 착탈 조작부(34)와도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실링 장착부(42b)는, 환형의 실링 장착홈(42d)이 형성되어 있다. 실링 장착홈(42d)에는, O링(43)(실링 부재의 일례)이 장착되어 있다. O링(43)은, 실링 배치부(33g)의 내주면과 실링 장착홈(42d)에 접촉하여 배치되어 있다. 수나사부(42c)는, 베어링 장착부(33)의 암나사부(33e)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수나사부(42c)는, 제1 플레이트(41a)에 접촉 가능하다.
<듀얼 베어링 릴의 조작 방법>
통상의 상태에서는, 클러치 요크(35)는 내측(도 3의 좌측)으로 가압되어 있고, 이로써, 피니언 기어(32)는, 걸어맞춤 위치로 이동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피니언 기어(32)와 스풀축(16)의 걸어맞춤핀(13a)이 서로 맞물려 클러치 온 상태로 되어 있고, 핸들(2)로부터의 회전력은, 핸들축(30), 드라이브 기어(31), 피니언 기어(32) 및 스풀축(16)을 통하여 스풀(12)에 전달되고, 스풀(12)이 낚싯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한다.
낚시를 행하는 경우에는, 백래시(backlash)를 억제하기 위해 캐스팅 컨트롤 기구(22)로 제동력을 조정한다. 캐스팅 컨트롤 기구(22)로 제동력을 조정할 때는, 제동 손잡이(42)를, 예를 들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제동 손잡이(42)가 도 5의 우측으로 전진하고, 제1 플레이트(41a)와 제2 플레이트(41b)의 간격이 좁아져 스풀축(16)으로의 제동력이 강해진다. 또한, 반대로 제동 손잡이(42)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동력이 약해진다.
제동력 조정이 종료되면, 클러치 조작 부재(17)를 아래쪽으로 누른다. 여기서는, 클러치 조작 부재(17)는, 아래쪽의 이탈 위치로 이동한다. 그리고, 클러치 조작 부재(17)의 이동에 따라 클러치 요크(35)가 외측으로 이동하고, 클러치 요크(35)에 걸어맞추어진 피니언 기어(32)도 같은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결과, 피니언 기어(32)와 스풀축(16)의 걸어맞춤핀(13a)과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클러치 오프 상태로 된다. 이 클러치 오프 상태에서는, 핸들축(30)으로부터의 회전은 스풀(12) 및 스풀축(16)에 전달되지 않으므로, 스풀(12)은 자유 회전 상태로 된다. 클러치 오프 상태로 하여, 제1 측커버(6a)를 잡아 파밍한 손의 엄지로 스풀(12)을 써밍하면서 스풀축(16)이 연직면(鉛直面)을 따르도록 릴을 경사지게 하여 낚싯줄을 늘어뜨린다. 그러면 도구(terminal tackle)의 무게에 의해, 스풀(12)이 낚싯줄 송출 방향으로 회전하여, 낚싯줄이 송출된다.
여기서는, 제동 손잡이(42)가 핸들(2)의 장착측과는 반대측의 제1 측커버(6a)의 오목부(6c)에 제1 측커버(6a)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그러므로, 제1 측커버(6a) 측을 파밍해도, 제동 손잡이(42)가 손바닥에 닿지 않는다. 이로써, 핸들(2)의 장착측과는 반대측에서 파밍을 행하기 쉽게 된다.
또한, 낚싯줄의 송출 후에 접촉이 있으면, 핸들(2)을 낚싯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제1 기어(28)로부터 제2 기어(25)로 회전이 전달되고, 레벨 와인드 기구(15)의 낚싯줄 가이드(27)가 스풀(12)의 전방에서 스풀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이로써, 낚싯줄이 스풀(12)에 균등하게 권취된다. 레벨 와인드 기구(15)의 제작 시에, 트래버스 캠축(26)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등의 요인에 의해, 낚싯줄 가이드(27)이 이동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무리하게 핸들(2)을 돌리면, 제1 기어(28)와 제2 기어(25)와의 사이에 큰 토크가 작용한다. 제1 기어(28)에 허용 토크를 초과하는 토크가 작용하면, 핀부재(51)가 가압 부재(52)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관통공(30a)의 내부에 후퇴하여, 핸들축(30)이 제1 기어(28)에 대하여 회전한다. 이로써, 전달되는 토크가 제한된다. 여기서는, 전달 토크를 제한하기 위한 핀부재(51) 및 가압 부재(52)가 핸들축(30)에 배치되고, 제1 기어(28)에는 오목부(53)를 형성하는 것만으로 되므로, 제1 기어(28)를 컴팩트화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 이후의 설명에서는, 제1 실시예와 같은 구성 부재의 설명 및 동작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스팅 컨트롤 기구(122)는, 제동 손잡이(142)와, 제1 플레이트와(41a) 및 제2 플레이트(41b)와, 제동 손잡이(142)가 조작되면 사운드를 발생하는 사운드 발생 기구(sound producing mechanism)(145)를 가지고 있다. 제1 실시예에서는, 제동 손잡이(42)가, 회전 조작에 의해 축 방향으로 이동하였지만, 제2 실시예에서는, 제동 손잡이(142)는, 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축지지부(107)의 베어링 장착부(133)는, 바닥부(133d)에 고정된 손잡이 장착부(170)를 가지고 있다. 손잡이 장착부(170)는, 예를 들면, 금속제의 통형의 부재이며, 일단 내주면에 형성되고 제동 손잡이(142)가 나사결합하는 제1 암나사부(170a)와, 타단 외주면에 형성된 제1 수나사부(170b)와, 제1 암나사부(170a)와 제1 수나사부(170b)와의 사이에 형성된 대경의 제1 플랜지부(flange portion)(170c)를 가지고 있다. 제1 수나사부(170b)는 좌측 나사이다. 손잡이 장착부(170)에는, 제동 손잡이(142)를 이탈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 부재(144)가 장착되어 있다.
제동 손잡이(142)는, 손잡이 장착부(170)에 일체로 회전 가능한 동시에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지는 것이다. 제동 손잡이(142)는, 제1 측커버(6a)의 오목부(6c)에 제1 측커버(6a)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동 손잡이(142)는, 나사 부재(143)와 나사 부재(143)에 걸어맞추어지는 바닥이 있는 통형의 제1 손잡이부(146)와, 제1 손잡이부(146)와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제1 손잡이부(146)에 고정된 제2 손잡이부(147)를 가지고 있다.
제1 손잡이부(146)는, 바닥이 있는 통형의 손잡이 본체(155)와, 손잡이 본체(155) 내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나사 부재(143)에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 부재(156)와, 걸어맞춤 부재(156)를 손잡이 본체(155)에 대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스프링(157)을 가지고 있다. 손잡이 본체(155)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 등의 경합금제의 바닥이 있는 통형의 부재이다. 손잡이 본체(155)의 바닥부에는, 걸어맞춤 부재(156)를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연결공(155a)이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예를 들면, 4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손잡이 본체(155)의 바닥부에는, 걸어맞춤 부재(156)의 후술하는 보스부(156a)가 수납되는 통형의 수납 오목부(155b)가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 본체(155)의 내주면에는, 제2 손잡이부(147)에 나사결합하는 제2 암나사부(155c)가 형성되고, 제2 암나사부(155c)의 바닥부 측에는, 이탈 방지 스프링(157)을 걸기 위한 환형의 걸림홈(155d)이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 부재(156)는, 폴리아세탈이나 폴리아미드 수지 등의 합성 수지제의 플랜지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부재이다. 걸어맞춤 부재(156)의 중심에는, 손잡이 본체(155) 측으로 돌출하는 보스부(156a)가 형성되고, 보스부(156a)에는, 나사 부재(143)의 헤드부(143a)에 일체로 회전 가능한 동시에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지는 긴 원형의 걸어맞춤공(156b)이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 부재(156)의 손잡이 본체(155)의 바닥부에 대향하는 표면(도 8의 좌측면)에는, 연결공(155a)에 끼워맞추어지는 연결 돌기(156c)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 부재(156)의 배면(도 8의 우측면)에는, 사운드 발생 기구(145)를 구성하는 다수의 사운드 발생 오목부(156d)가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탈 방지 스프링(157)은,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합금제의 탄성 선재(線材)를(6) 각형(角形)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스프링 부재이다.
제2 손잡이부(147)는, 손잡이 장착부(170)의 제1 플랜지부(170c)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2 손잡이부(147)는, 대경의 제2 플랜지부(147a)와, 제2 플랜지부(147a)보다 소경의 통형부(147b)를 가지는 플랜지가 형성된 통형의 부재이다. 제2 손잡이부(147)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 등의 경합금제이며, 통형부(147b)의 내주면에는, 이탈 방지 부재(144)를 수납 가능한 통형의 수납 공간(147c)이 형성되어 있다. 제2 플랜지부(147a)의 내주면에는, 손잡이 장착부(170)의 제1 플랜지부(170c)가 관통 가능한 개구(147d)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플랜지부(170c)의 외주측에서는, 제2 플랜지부(147a)의 두께는, 제1 플랜지부(170c)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다. 통형부(147b)의 외주면에는, 손잡이 본체(155)의 제2 암나사부(155c)에 나사결합되는 제2 수나사부(147e)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 부재(143)는, 대경의 헤드부(143a)와, 헤드부(143a)로부터 돌출하는 나사축부(143b)를 가지는 볼트 부재이다. 헤드부(143a)는, 원의 일부를 서로 평행하게 절결(切缺)한 긴 원형의 단면(斷面)을 가지고 있다. 헤드부(143a)는, 걸어맞춤 부재(156)의 걸어맞춤공(156b)에 일체로 회전 가능한 동시에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진다. 헤드부(143a)의 나사축부(143b) 측의 면에는, 원호형의 걸림홈(143c)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홈(143c)에는, 코일 스프링(149)의 일단이 걸려져 있다. 코일 스프링(149)의 타단은, 손잡이 장착부(170)의 선단면에 걸린다. 코일 스프링(149)은, 나사축부(143b)의 외주측으로 헤드부(143a)와 손잡이 장착부(170)와의 사이에 압축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이 코일 스프링(149)에 의해 나사 부재(143)의 요동을 억제할 수 있다. 나사축부(143b)의 선단측의 외주면에는, 제1 암나사부(170a)에 나사결합되는 제3 수나사부(143d)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축부(143b)의 선단부는, 제1 플레이트(41a)에 접촉 가능하다.
이탈 방지 부재(144)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 등의 경금속제의 두꺼운 원통형의 부재이며, 제2 손잡이부(147)를 손잡이 장착부(170)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이탈 방지하기 위한 너트 부재이다. 이탈 방지 부재(144)는, 손잡이 장착부(170)의 제1 수나사부(170b)에 나사결합하는 제3 암나사부(144a)를 가지고 있다. 제3 암나사부(144a)는, 제1 수나사부(170b)와 마찬가지로 좌측 나사이다. 이탈 방지 부재(144)는, 제2 손잡이부(147)의 수납 공간(147c)에 배치된다. 이로써, 이탈 방지 부재(144)는, 수납 공간(147c)에 장착된 상태로 손잡이 장착부(170)에 고정 가능하다. 그리고, 이탈 방지 부재(144)가 손잡이 장착부(170)에 고정되었을 때, 제2 플랜지부(147a)의 두께가 제1 플랜지부(170c)보다 얇으므로, 제2 손잡이부(147)가 쉽게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탈 방지 부재(144)에는, 사운드 발생 기구(145)를 수납하기 위한 장착공(144b)이 걸어맞춤 부재(156)에 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사운드 발생 기구(145)는, 전술한 걸어맞춤 부재(156)에 형성된 사운드 발생 오목부(156d)와, 장착공(144b)에 진퇴 가능하게 장착된 타격핀(145a)과, 타격핀(145a)을 사운드 발생 오목부(156d)를 향해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145b)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타격핀(145a)은, 코일 스프링(145b)에 의해 걸어맞춤 부재(156)를 손잡이 본체(155)를 향해 가압하고 있다. 이 결과, 제동 손잡이(142) 전체가 코일 스프링(145b)에 의해, 손잡이 장착부(17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그러므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동 손잡이(142)에 있어서, 제2 손잡이부(147)의 제2 플랜지부(147a)의 두께와 손잡이 장착부(170)의 제1 플랜지부(170c)의 두께와의 차이만큼, 코일 스프링(145b)의 가압력에 의해 제동 손잡이(142)와 손잡이 장착부(170)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동 손잡이(142)가 축 방향으로 흔들리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제2 실시예의 캐스팅 컨트롤 기구(122)에서도, 제동 손잡이(142)의 제1 손잡이부(146)를, 예를 들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나사 부재(143)가 도 8의 우측으로 전진하고, 제1 플레이트(41a)와 제2 플레이트(41b)의 간격이 좁아져 스풀축(16)에 대한 제동력이 강해진다. 또한, 반대로 제1 손잡이부(146)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나사 부재 제동력이 약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제2 실시예에서도 제1 실시예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동 손잡이(142)의 제1 손잡이부(146)를 회동 조작해도 제1 손잡이부(146)가 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으므로, 이물질 등이 내부에 쉽게 침입하지 않게 된다.
<제3 실시예>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서는, 축지지부(7)[또는 (107)]이 프레임(5)의 제1 측판(5a)에 대하여 착탈 가능했지만,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서는, 스풀축(16)을 지지하는 축지지부(207)가 제1 측판(205a)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축지지부(207)는 착탈 조작부를 가지고 있지 않다. 또한, 축지지부(207)의 외측면에 통형의 손잡이 장착부(270)가 형성되어 있다.
캐스팅 컨트롤 기구(222)는, 제동 손잡이(242)와, 제1 플레이트(41a) 및 제2 플레이트(41b)를 가지고 있다. 제동 손잡이(242)는, 제1 측커버(6a)의 오목부(6c)에 제1 측커버(6a)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동 손잡이(242)는, 축부재(243)와 축부재(243)에 걸어맞추어지는 바닥이 있는 통형의 손잡이부(246)를 가지고 있다.
손잡이부(246)의 바닥부(246a)의 중심부에는, 축부재(243)의 헤드부(243a)에 일체로 회전 가능한 동시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지는 긴 원형의 걸어맞춤공(246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손잡이부(246)의 통부(246c)의 내주면에는 수나사부(243e)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243d)가 형성되어 있다.
축부재(243)는, 대경의 헤드부(243a)와, 헤드부(243a)로부터 돌출하는 축부(243b)를 가지고 있다. 헤드부(243a)는, 원의 일부를 서로 평행하게 절결한 긴 원형의 단면을 가지고 있다. 헤드부(243a)는, 손잡이부(246)의 걸어맞춤공(246b)에 일체로 회전 가능한 동시에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진다. 축부(243b)의 선단부는 제1 플레이트(41a)에 접촉 가능하다.
제3 실시예에서는, 스풀의 착탈을, 제2 측커버(6b)를 착탈 가능하게 함으로써 행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제3 실시예에서도 제1 실시예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징>
상기 실시예는, 하기와 같이 설명 가능하다.
(A) 듀얼 베어링 릴은, 릴 본체(1)와, 핸들(2)과, 스풀축(16)과, 스풀(12)과, 캐스팅 컨트롤 기구(22)를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1)는, 프레임(5), 오목부(6c)를 가지고 프레임(5)의 제1 측을 덮는 제1 측커버(6a), 프레임(5)의 제2 측을 덮는 제2 측커버(6b), 및 제1 측커버(6a) 측에서 프레임(5)에 설치되는 축지지부(7)를 가진다. 핸들(2)은, 제2 측커버(6b) 측에서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스풀축(16)은, 축지지부(7)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스풀(12)은, 스풀축(16)에 장착되고 핸들(2)의 회전에 의해 회전한다. 캐스팅 컨트롤 기구(22)는, 제동 손잡이(42), 제1 플레이트(41a), 및 제2 플레이트(41b)를 가진다. 제동 손잡이(42)는, 축지지부(7)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오목부(6c)에 제1 측커버(6a)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제1 플레이트(41a)는, 제동 손잡이(42)와 스풀축(16)의 제1 단면(16a)에 접촉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제동 손잡이(42)의 회전에 의해 압압된다. 제2 플레이트(41b)는, 스풀축(16)의 제2 단면(16b)에 접촉 가능하다.
이 듀얼 베어링 릴에서는, 릴 본체(1)의 핸들(2)의 장착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1 측커버(6a)가 오목부(6c)를 가지고 있고, 제동 손잡이(42)가 오목부(6c)에 제1 측커버(6a)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그러므로, 제1 측커버(6a) 측을 파밍해도, 제동 손잡이(42)가 손바닥에 닿지 않는다. 이로써, 핸들(2)의 장착측과는 반대측에서 파밍을 행하기 쉽게 된다.
(B) 듀얼 베어링 릴에 있어서, 제동 손잡이(42)는 원형의 부재이며, 제동 손잡이(42)의 외주면은 오목부(6c)와의 사이에 조작용의 간극을 두고 배치된다. 이 경우에는, 제동 손잡이(42)의 외주면 측에 오목부(6c)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므로, 제동 손잡이(42)의 외주면에서 제동 조작을 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동 손잡이(42)를 돌리기 쉬워진다.
(C) 듀얼 베어링 릴에 있어서, 축지지부(7)는, 프레임(5)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경우에는, 축지지부(7)가 프레임(5)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축지지부(7)를 분리함으로써, 스풀(12)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D) 듀얼 베어링 릴에 있어서, 축지지부(7)는, 제동 손잡이(42)의 외주측에 배치되는 착탈 조작부(34)를 가진다. 이 경우에는, 축지지부(7)의 착탈 조작이 용이하다.
(E) 듀얼 베어링 릴에 있어서, 축지지부(207)는, 프레임(205)의 제1 측판(205a)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 경우에는, 프레임(205)과 축지지부(207)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스풀축(16)을 양호한 정밀도로 지지할 수 있다.
(F) 듀얼 베어링 릴에 있어서, 제동 손잡이(42)는, 원형의 조작부(42a), 조작부(42a)보다 소경의 실링 장착부(42b), 및 실링 장착부(42b)보다 소경의 수나사부(42c)를 가진다. 축지지부(7)는, 실링 장착부(42b)가 내주측에 배치되는 실링 배치부(33g), 수나사부(42c)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33e), 및 제1 플레이트(41a)가 장착되는 바닥부(33d)를 가진다. 듀얼 베어링 릴은, 실링 배치부(33g)와 실링 장착부(42b)와의 사이에 양자에 접촉하여 배치되는 O링(43)을 더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실링 장착부(42b)와 실링 배치부(33g)와의 사이에 O링(43)이 배치되므로, 제동 손잡이(42)와 축지지부(7)와의 간극으로부터 액체가 베어링 측으로 침입하기 어려워진다.
<다른 실시예>
(a) 상기 실시예에서는, 수동의 듀얼 베어링 릴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전동(電動)의 듀얼 베어링 릴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핸들이 낚싯줄 송출 방향으로 회전하는 듀얼 베어링 릴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우측 핸들의 듀얼 베어링 릴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좌측 핸들의 듀얼 베어링 릴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b) 착탈 조작용의 리브를 연장하여, 제동 손잡이(42)를 덮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로써, 제동 손잡이의 탈락(脫落)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제1 커버의 표면을 파밍하는 손바닥을 따르는 곡면으로 형성하고, 착탈 조작용의 리브의 표면을 이 곡면에 연속되는 곡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제동 손잡이 자체는 제1 커버의 가상(假想) 표면인 곡면으로부터 돌출시키지 않고, 파밍을 행하기 쉬운 형상을 유지하면서, 제동 손잡이 자체의 노출면을 증가시켜 조작을 행하기 쉽게 할 수 있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동 손잡이(42)를 축지지부(7)에 나사 결합시키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동 손잡이는, 축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1 플레이트(41a)를 압압 가능하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동 손잡이를(342)의 축부를 축지지부(307)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고, 또한 제동 손잡이(342)에 회전에 의해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경사면을 가지는 캠부(346)를 설치한다. 이 캠부(346)에 의해 제동 손잡이(342)의 회전을 축 방향의 이동으로 변환하여, 제1 플레이트(41a)를 압압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1: 릴 본체
2: 핸들
5: 프레임
6a: 제1 측커버
6b: 제2 측커버
6c: 오목부
7, 107, 207: 축지지부
12: 스풀
16: 스풀축
22, 122, 222: 캐스팅 컨트롤 기구
25: 제2 기어
33: 베어링 장착부
33d, 133d: 바닥부
33g: 실링 배치부
34: 착탈 조작부
41a: 제1 플레이트
41b: 제2 플레이트
42, 142, 242: 제동 손잡이
42a: 조작부
42b: 실링 장착부
42c: 수나사부
43O: 링

Claims (6)

  1. 프레임, 오목부를 가지고 상기 프레임의 제1 측을 덮는 제1 커버, 상기 프레임의 제2 측을 덮는 제2 커버, 및 상기 제1 커버측에서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축지지부를 가지는 릴 본체;
    상기 제2 커버측에서 상기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핸들;
    상기 축지지부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스풀축;
    상기 스풀축에 장착되고 상기 핸들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스풀;
    상기 축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오목부에 전체가 배치되는 제동(制動) 손잡이, 상기 제동 손잡이와 상기 스풀축의 일단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동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압압(押壓)되는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스풀축의 타단면에 접촉 가능한 제2 플레이트를 가지는 캐스팅(casting) 컨트롤 기구
    를 포함하는, 듀얼 베어링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손잡이는 원형의 부재이며, 상기 제동 손잡이의 외주면은 상기 오목부와의 사이에 조작용의 간극(間隙)을 두고 배치되는, 듀얼 베어링 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지지부는, 상기 프레임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되는, 듀얼 베어링 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축지지부는, 상기 제동 손잡이의 외주측에 배치되는 착탈 조작부를 가지는, 듀얼 베어링 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지지부는, 상기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되는, 듀얼 베어링 릴.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손잡이는, 원형의 조작부, 상기 조작부보다 소경(小徑)의 실링(sealing) 장착부, 및 상기 실링 장착부보다 소경의 수나사부를 가지고,
    상기 축지지부는, 상기 실링 장착부가 내주측에 배치되는 실링 배치부, 상기 수나사부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 및 상기 제1 플레이트가 장착되는 바닥부를 가지고,
    상기 실링 장착부와 상기 실링 배치부와의 사이의 양자에 접촉되어 배치되는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하는, 듀얼 베어링 릴.
KR1020120094145A 2011-09-27 2012-08-28 듀얼 베어링 릴 Active KR1019132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11081 2011-09-27
JP2011211081A JP5878718B2 (ja) 2011-09-27 2011-09-27 両軸受リ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3952A true KR20130033952A (ko) 2013-04-04
KR101913237B1 KR101913237B1 (ko) 2018-10-30

Family

ID=47910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4145A Active KR101913237B1 (ko) 2011-09-27 2012-08-28 듀얼 베어링 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20669B2 (ko)
JP (1) JP5878718B2 (ko)
KR (1) KR101913237B1 (ko)
CN (1) CN103070147B (ko)
MY (1) MY161898A (ko)
TW (1) TWI61289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12680B2 (ja) * 2013-04-26 2018-10-2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284306B2 (ja) * 2013-05-10 2018-02-28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6295047B2 (ja) * 2013-09-20 2018-03-1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US9832983B2 (en) * 2014-07-16 2017-12-05 Shimano Inc. Dual-bearing reel
JP6352756B2 (ja) * 2014-09-30 2018-07-04 株式会社シマノ 釣用リールのトルク制限装置
JP6560904B2 (ja) * 2015-05-27 2019-08-1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CN105165751B (zh) * 2015-09-30 2018-05-01 陈东 可单手控制螺旋调力且力量分级的免刹死弹性刹车八卦轮盘车
JP6402086B2 (ja) * 2015-10-30 2018-10-10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JP7032225B2 (ja) * 2018-04-26 2022-03-08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釣り用リールのトルク制限装置、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2975U (ko) * 1979-09-29 1981-05-09
US4585183A (en) * 1984-11-02 1986-04-29 Brunswick Corporation Backlash control device for magnetic bait cast reel
US4943012A (en) * 1987-02-09 1990-07-24 Ryobi Ltd. Double bearing fishing reel
JP2529109Y2 (ja) * 1989-12-13 1997-03-19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H0477778U (ko) * 1990-11-17 1992-07-07
JPH0717064U (ja) * 1993-09-14 1995-03-28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のバックラッシュ防止装置
JP3029295U (ja) * 1996-03-21 1996-09-27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両軸受型リ−ル
TW467718B (en) * 1999-10-05 2001-12-11 Shimano Kk Reel body of double bearing reel
JP3535781B2 (ja) * 1999-10-28 2004-06-07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ル
US6336605B1 (en) * 1999-12-10 2002-01-08 Brunswick Corporation Self positioning adjustable brake for baitcast reel
US6206311B1 (en) * 1999-12-30 2001-03-27 Brunswick Corporation Baitcast fishing reel with discreting backlash control
US7077351B2 (en) * 2001-10-19 2006-07-18 Shimano Inc. Dual-bearing reel
JP4381733B2 (ja) * 2003-06-26 2009-12-09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2003319742A (ja) * 2002-05-07 2003-11-11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回転支持構造
JP4785499B2 (ja) * 2005-11-15 2011-10-0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2007159427A (ja) * 2005-12-09 2007-06-28 Shimano Inc 釣り用部品
KR200427970Y1 (ko) * 2006-06-23 2006-10-04 주식회사 도요엔지니어링 베이트 릴의 외부 조정 백래시 방지장치
SE0700313L (sv) * 2007-02-09 2008-07-29 Danielsson Innovation Ab Fiskerulle
JP5291904B2 (ja) * 2007-08-20 2013-09-18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両軸受リールのキャストコントロール機構
JP5242353B2 (ja) * 2008-11-20 2013-07-2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調整装置
CN201323824Y (zh) * 2008-11-21 2009-10-14 张道直 一种船钓卷线器的双刹车结构
JP5124435B2 (ja) * 2008-12-16 2013-01-23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5350881B2 (ja) * 2009-05-15 2013-11-27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2011010579A (ja) * 2009-06-30 2011-01-20 Globeride Inc 魚釣用リール
JP2011019428A (ja) * 2009-07-14 2011-02-03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レバードラグ機構
JP5349349B2 (ja) * 2010-01-25 2013-11-20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発音装置
CN201602065U (zh) * 2010-01-26 2010-10-13 李卫东 手杆绕线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070147B (zh) 2016-01-20
TW201315378A (zh) 2013-04-16
US20130075512A1 (en) 2013-03-28
KR101913237B1 (ko) 2018-10-30
MY161898A (en) 2017-05-15
JP2013070651A (ja) 2013-04-22
JP5878718B2 (ja) 2016-03-08
TWI612892B (zh) 2018-02-01
US8820669B2 (en) 2014-09-02
CN103070147A (zh) 2013-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33952A (ko) 듀얼 베어링 릴
KR101975425B1 (ko) 낚시용 릴의 토크 제한 장치
JP2013070651A5 (ko)
JP4963279B2 (ja) 両軸受リールのクラッチ操作部材
JP5746841B2 (ja) 両軸受リールのクラッチ制御装置
KR101942879B1 (ko) 듀얼 베어링 릴의 핸들 조립체 및 듀얼 베어링 릴
KR20130087411A (ko) 듀얼 베어링 릴
KR101389000B1 (ko) 양 베어링 릴의 캐스트 컨트롤 기구
JP2013070652A5 (ko)
KR102004390B1 (ko) 듀얼 베어링 릴
KR20120140196A (ko)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기구
TW201507613A (zh) 紡車式捲線器
KR20110086496A (ko) 스피닝 릴의 스풀 지지 구조
JP2013106543A5 (ko)
JP6688678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回転伝達機構
CN110731319B (zh) 钓鱼用渔线轮
TW201206338A (en) Master gear assembly
JP6412680B2 (ja) 両軸受リール
JP2013128439A5 (ko)
TWI415563B (zh) 紡車式捲線器的捲筒
JP3977730B2 (ja) 釣り用リール部品
KR102294430B1 (ko) 스피닝 릴
JP2014212739A5 (ko)
JP2015159757A5 (ko)
JP2004166643A (ja) 釣用リールのねじ操作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5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8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0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0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