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33525A - 건축용 슬리브 고정판 - Google Patents

건축용 슬리브 고정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3525A
KR20120033525A KR1020100095083A KR20100095083A KR20120033525A KR 20120033525 A KR20120033525 A KR 20120033525A KR 1020100095083 A KR1020100095083 A KR 1020100095083A KR 20100095083 A KR20100095083 A KR 20100095083A KR 20120033525 A KR20120033525 A KR 20120033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fixing plate
formwork
fix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5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진
Original Assignee
최재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진 filed Critical 최재진
Priority to KR1020100095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3525A/ko
Publication of KR20120033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35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non-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건물을 신축할 때 냉난방 배관, 가스관, 상하수도 배관, 전원 케이브, 통신용 케이블 등이 통과시키기 위한 통로를 콘크리트 구조물에 미리 설치하기 위해 콘크리트 모르타르의 양생전에 거푸집에 슬리브를 부착하기 위한 슬리브(Sleeve) 고정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거푸집 표면에 고정판을 볼트로 체결하고, 고정판의 테두리에 마련된 걸림턱에 슬리브의 홈부를 맞물려 결합함으로써 슬리브를 거푸집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슬리브를 고정판에 가압함으로써 간편하고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용 슬리브 고정판{PLATFORM FOR FIXING THE SLEEVE FOR BUILDING}
본 발명은 콘크리트 건물을 신축할 때 냉난방 배관, 가스관, 상하수도 배관, 전원 케이브, 통신용 케이블 등이 통과시키기 위한 통로를 콘크리트 구조물에 미리 설치하기 위해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타설하기에 앞서 거푸집에 슬리브를 고정시키기 위한 건축용 슬리브(Sleeve) 고정판에 관한 것이다.
통상 콘크리트 건물은 양생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천공하거나 헐어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도록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거푸집에 타설하기 전에 거푸집에 슬리브를 고정시킨 뒤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타설함으로써 양생된 콘크리트 구조물속에 슬리브가 매설되도록 시공한다.
거푸집에 부착되는 슬리브의 높이는 콘크리트 슬라브의 두께에 맞는 것이 사용하지만, 콘크리트 슬라브의 두께에 대응하여 슬리브의 높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슬리브가 사용되기도 한다.
한편 과거에는 거푸집은 합판 등을 주로 사용하여 왔으나 아파트와 빌딩은 동일구조로 복층으로 건축되므로 합판재의 거푸집이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동안 훼손 및 망실로 인해 양생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품질이 불량해지는 경우가 빈번하다.
불량 콘크리트 구조물은 미장이나 마감재 시공시 문제가 되기 때문에 후속적으로 양생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깍아내거나 다듬어야하는 등 불필요한 후속작업이 해야하는 문제가 있어 이를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알루미늄재질로 제작한 거푸집이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알루미늄 거푸집은 가벼우면서도 쉽게 손상되지 않는 등 합판재 거푸집에 비해 내구성이 월등히 우수하여 충분히 반복해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이웃한 거푸집사이를 긴밀하게 연결할 수 있고, 또한 이웃하게 연결된 거푸집사이로 콘크리트 모르타르가 흘러나오지 않아 양생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은 별도로 미장작업이나 도장작업을 하지 않아도 될 정도로 깨끗하고 매끈한 표면으로 성형할 수 있어 전술한 바와 같은 후속작업을 생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알루미늄 거푸집은 슬리브을 거푸집에 부착할 때 못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피스 혹은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고정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현재, 통용되고 있는 건축용 슬리브 고정방식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1)에 구멍을 뚫고 그 구멍(2)속으로 길이가 긴 볼트(21)를 슬리브(10)속을 관통시킨 뒤 볼트(21)의 양단부에 조임너트(20)를 각각 체결하여 슬리브(10)를 고정시키는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참고로, 도 1과 도 2에서 참조번호 3은 양생된 콘크리트 모르타르 구조물이고, 10a는 슬리브의 상면을 개방가능하게 슬리브(10)와 연결된 덮개이며, 12b는 슬리브의 덮개(10a)을 개방시키기 위해 연결부(12a)의 파단시 덮개(10a)가 슬리브(10)에서 쉽게 제거될 수 있도록 슬리브(10) 제조시 미리 마련한 절결부이고, 22는 조임너트(20)를 볼트(21)에 체결하였을 때 조임너트의 체결력에 의해 슬리브(10)를 거푸집(1)쪽으로 가압하기 위한 압력판이고, 23은 볼트 보호용 캡이다.
그러나,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 거푸집(1)에 마련된 구멍(2)속으로 볼트(21)를 삽입한 뒤 볼트(21)에 각각의 조임너트(20)를 체결할 때 반대쪽 조임너트가 겉돌지 않도록 알루미늄 거푸집(1)의 반대쪽에서 조임너트(20)를 잡아주어야 하기 때문에 슬리브 고정작업은 거푸집(1) 상하측에서 각각의 작업자가 동시에 작업해야 하므로 많은 곳에 크고 작은 슬리브를 설치하는 경우 작업효율이 저조한 단점이 있어 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개특허 제10-2009-0131960호('선행기술 1'이라 함)와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37721호('선행기술 2'라 함)가 제안된 바 있다.
선행기술 1은 건축자재(슬리브)의 하단부 원주면에 쉽게 절단될 수 있도록 분리형 고정편을 마련하여 고정편을 못을 박아 거푸집에 고정시키는 것에 특징이 있고, 선행기술 2는 알루미늄 거푸집에 고정판을 볼트로 체결한 뒤 고정판위에 슬리브를 올려놓은 뒤 슬리브속으로 길이가 긴 볼트를 삽입하여 볼트의 단부를 고정판에 마련된 너트에 나사 체결한 뒤 슬리브의 상부에 돌출된 타측 볼트에 조임너트를 체결하여 슬리브를 고정시키는 구성에 특징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 1의 경우, 슬리브의 원주면에 쉽게 파단될 수 있도록 연결된 고정편을 거푸집의 상부에서 못으로 박아 슬리브를 거푸집에 부착함으로써 한 명의 작업자가 간편하게 슬리브를 거푸집에 고정시킬 수 있으나, 알루미늄 거푸집은 못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알루미늄 거푸집에는 채용하기 어렵고, 또한 거푸집을 해체할 때 슬리브에 연결된 고정편이 분리되므로 철거한 거푸집을 다른 층에 사용할 때에는 거푸집에 붙어 있는 고정편을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편, 선행기술 2에서 제안한 건축용 슬리브 고정판은 볼트의 일측 단부를 고정판에 체결한 다음 볼트의 상단부에 조임너트를 체결하여 슬리브를 거푸집에 부착함으로 여러 곳에 슬리브를 부착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긴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만일 선행기술 1과 2의 설명이 충분히 이해되지 않는다면 해당공보를 참조해 볼 것을 권유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속하고 간편하게 슬리브를 거푸집에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푸집 표면에 슬리브 고정용 고정판를 부착한 뒤 그 고정판의 가장자리면에 슬리브의 주연부를 위치시킨 뒤 슬리브를 고정판쪽으로 가압하여 고정판의 걸림턱에 슬리브의 홈부가 맞물리도록 조립함으로써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슬리브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그리고 최소한의 인원으로 거푸집에 고정시킬 수 있는 건축용 슬리브 고정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슬리브 고정판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구축함에 있어 층과 층사이에 각종 배관이나 전원 혹은 통신 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한 통로를 마련하기 위해 거푸집에 부착되는 슬리브에 있어서,
거푸집의 상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가장자리면에 걸림턱을 구비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가장자리면을 수용하는 내면에 상기 걸림턱이 삽입되는 홈부를 구비하는 슬리브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거푸집의 표면에 고정판을 볼트로 고정시킨 뒤 고정판의 가장자리면에 슬리브의 내면을 결합되도록 슬리브의 상부를 가압하면 고정판에 마련된 걸림턱이 슬리브의 내면에 마련된 홈부에 결합되면서 슬리브가 거푸집에 고정된 고정판에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거푸집에 부착한 고정판에 슬리브를 가압하여 홈부에 걸림턱을 결합하여 슬리브를 거푸집에 고정시킬 수 있어 볼트나 조임너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부품이나 공구를 사용할 필요가 없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슬리브를 거푸집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건축용 슬리브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슬리브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와 슬리브 고정용 고정판을 예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으로 슬리브 고정용 고정판을 예시한 사시도,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슬리브 고정용 고정판의 A-A선 단면도,
도 6a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와 슬리브 고정용 고정판의 결합상태를 예시한 요부단면도,
도 6b는 도 6a의 B부분 확대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슬리브 고정판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건축용 슬리브 고정판의 요부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슬리브 고정판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에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와 슬리브 고정용 고정판을 예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으로 슬리브 고정용 고정판을 예시한 사시도이며,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슬리브 고정용 고정판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6a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와 슬리브 고정용 고정판의 결합상태를 예시한 요부단면도이며, 도 6b는 도 6a의 B부분 확대단면도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용 슬리브 고정판은 슬리브(10)와 슬리브(10) 탈부착용 고정판(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슬리브(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슬리브(10)와 거의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는 종래의 슬리브(10)와 거의 동일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나, 차이점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슬리브의 주연부 내면에 홈부(14)가 마련된 점이 다르다.
고정판(30)은 도 3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고정판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일 뿐 슬리브(10)의 개구부 형태에 따라 고정판의 외형은 변경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특징은 고정판(30)의 가장자리면에 마련된 걸림턱(33)이 슬리브(10)의 주연부 내면에 마련된 홈부(14)에 결합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고정판(30)은 도 4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개방되어 있고, 내경과 외경사이에 거푸집(1)에 고정판(30)을 고정시키기 위해 볼트(참조번호 미표시)가 체결되는 체결공(32)이 마련되어 있고, 테두리면에 걸림턱(33)이 마련되어 있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34는 고정판(30)의 강성을 보완하기 위한 리브이다.
걸림턱(33)은 고정판(30)의 테두리면 전체에 마련되거나 도 4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30)의 테두리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10)를 고정판에 결합하는 방법으로서, 슬리브(10)의 개방부(참조번호 미도시) 내면을 고정판(30)의 가장자리면에 상부에 위치시킨 뒤 슬리브(10)의 덮개(10a)를 고정판(30)쪽으로 가압하면, 걸림턱(33)이 홈부(14)속으로 삽입되면서 슬리브(10)가 고정판(30)에 결합된다.
슬리브(10)가 거푸집(1) 표면에 고정된 고정판(30)에 조립되면, 슬리브(10)의 덮개와 나란한 높이로 거푸집(1) 위에 콘크리트 모르타르을 타설한 뒤 일정기간 양생하면 슬리브(10)는 양생된 콘크리트 구조물속에 매립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콘크리트 모르타르가 양생된 뒤 구조물거푸집(1)을 철거하면, 고정판(30)은 슬리브(10)의 홈부(14)에 결합된 걸림턱(33)이 분리되면서 거푸집(1)과 함께 분리된다.
고정판(30)이 부착된 거푸집(1)은 다음 층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만들기 위해 아래층과 같은 위치에 다시 설치하여 동일한 위치에 슬리브를 설치할 수 있다.
참고로, 복층으로 콘트리트 구조물이 모두 구축된 뒤 슬리브(10)속으로 각종 배관을 설치할 때에는 슬리브(10)의 덮개(10a)을 하측으로 가압하면 연결부(12a)가 물리력에 의해 파단되면서 슬리브(10)의 상하측이 개방되므로 그 속으로 각종 배관을 설치할 수 있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슬리브 고정판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건축용 슬리브 고정판의 요부 단면도로서, 슬리브(10)의 원주면에 반사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연결편(15)로 마련하고, 고정판(30)에 연결편(15)이 슬리브(10)의 축선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조립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도 7과 도 8에서 참조번호 15는 슬리브(10)의 원주면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연결편(15)이다. 연결편(15)은 슬리브 몸체와 연결된 부위를 연결편(15)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절취부(15a) 형성되어 있어 절취부(15a)를 쉽게 절단 될 수 있다.
고정판(30)은 그 상부에 상기한 슬리브가 결합될 수 있도록 연결편(15)의 갯수에 대응하는 걸림턱(35)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34)은 고정판(10)의 베이스(10a)와 일정간격 바람직하게는 연결편(15)의 두께에 상응하는 공간(35a)이 마련되어 있다.
슬리브(10)를 고정판(30)에 부착예로서는 슬리브(10)의 연결편(15)이 베이스 표면에 접하도록 위치시킨 뒤 슬리브(10)를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연결편(15)이 걸림턱(35)의 밑부분으로 즉, 공간(35a)속으로 삽입되면서 슬리브(10)가 고정판(30)에 부착할 수 있고, 슬리브(1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슬리브(10)를 고정판(30)에서 분리할 수 있다. 도 8에서 참조번호 35b는 연결편 스톱퍼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정판(30)은 슬리브(10)의 내부에 위치되므로 고정판(30)과 슬리브(10)사이로 액상의 콘크리트 모르타르이 유입되지 않아 슬리브(10)의 내부가 깔끔할 뿐만 아니라, 특히 슬리브(10)를 거푸집(1)에 부착할 때, 슬리브(10)의 상부를 발로 밟아 고정판(30)에 결합시키게 되므로 별도의 체결부품이나 공구가 필요치 않으며 최소한의 인원으로 슬리브(10)를 거푸집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 거푸집 3: 콘크리트 모르타르 구조물
10: 슬리브 10a: 슬리브 덮개
12a: 연결부 12b: 절결부
14: 홈부 15: 연결편
15a: 절취부 30: 고정판
32: 체결공 33: 걸림턱
34: 리브 35: 걸림턱
35a: 공간 35b: 연결편 스톱퍼

Claims (2)

  1. 콘크리트 구조물을 구축함에 있어 층과 층사이에 각종 배관이나 전원 케이블 혹은 통신 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한 통로를 마련하기 위해 거푸집에 부착되는 슬리브에 있어서,
    거푸집(1)의 상면에 부착되고, 가장자리면에 걸림턱(33)을 구비한 고정판(30)과;
    상기 고정판(30)의 가장자리면을 수용하는 내면에 상기 걸림턱(33)과 맞물리는 홈부(14)를 구비하는 슬리브(1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슬리브 고정판.
  2. 콘크리트 구조물을 구축함에 있어 층과 층사이에 각종 배관이나 전원 케이블 혹은 통신 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한 통로를 마련하기 위해 거푸집에 부착되는 슬리브에 있어서,
    주연부 원주면에 반경반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일정간격으로 절취가능하게 부착된 연결편(15)을 갖춘 슬리브(10)와;
    상기 거푸집에 고정되면서 상기 연결편(15)이 삽입되는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편(15)이 슬리브(10)의 축선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걸림편(35)를 구비하는 고정판(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슬리브 고정판.
KR1020100095083A 2010-09-30 2010-09-30 건축용 슬리브 고정판 KR201200335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5083A KR20120033525A (ko) 2010-09-30 2010-09-30 건축용 슬리브 고정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5083A KR20120033525A (ko) 2010-09-30 2010-09-30 건축용 슬리브 고정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3525A true KR20120033525A (ko) 2012-04-09

Family

ID=46136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5083A KR20120033525A (ko) 2010-09-30 2010-09-30 건축용 슬리브 고정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3525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226B1 (ko) * 2015-07-08 2016-09-05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받침부재를 이용한 관통 슬리브의 시공방법
KR200481666Y1 (ko) * 2015-06-25 2016-10-28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관통슬리브
KR200481665Y1 (ko) * 2015-06-25 2016-10-28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관통 슬리브용 받침부재
US11346116B1 (en) * 2022-01-28 2022-05-31 Carlos Contreras Block out chair system used to make a block out or a pass-through in a concrete slab
US11384548B2 (en) * 2019-04-12 2022-07-12 DPR Construction Sleeve for concrete slab penetration
KR20230162221A (ko) * 2022-05-20 2023-11-28 주식회사 미래인더스트리 길이조절 기능을 갖는 건축용 슬리브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666Y1 (ko) * 2015-06-25 2016-10-28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관통슬리브
KR200481665Y1 (ko) * 2015-06-25 2016-10-28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관통 슬리브용 받침부재
KR101654226B1 (ko) * 2015-07-08 2016-09-05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받침부재를 이용한 관통 슬리브의 시공방법
US11384548B2 (en) * 2019-04-12 2022-07-12 DPR Construction Sleeve for concrete slab penetration
US11346116B1 (en) * 2022-01-28 2022-05-31 Carlos Contreras Block out chair system used to make a block out or a pass-through in a concrete slab
KR20230162221A (ko) * 2022-05-20 2023-11-28 주식회사 미래인더스트리 길이조절 기능을 갖는 건축용 슬리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3497B2 (en) Aesthetic conduit end cap structure having concealed anchor attachments
KR20120033525A (ko) 건축용 슬리브 고정판
EP3208398B1 (en) Base member for an anchor assembly and method of use
US9428900B2 (en) Rough-in adapter
KR101564442B1 (ko) 방수턱 거푸집 고정구
US11377861B2 (en) Hole protector device for mechanical, plumbing, and electrical (MPE) systems
JP2020517846A (ja) 建築スラブ用インサート
KR101036505B1 (ko) 슬래브용 슬리브 결합체 및 이를 이용한 슬리브의 매설 시공법
KR200437763Y1 (ko) 거푸집의 배관 슬리브 고정구
KR200456103Y1 (ko) 건축용 관통 슬리브
US8966675B1 (en) Water closet lifting device
KR100915629B1 (ko) 건축용 파이프 고정구
KR200342749Y1 (ko) 거푸집 고정장치
KR20140147275A (ko) 콘크리트 슬래브용 인서트
KR100536430B1 (ko) 건축용 부자재 고정구의 지지방법 및 그 구조
KR200459900Y1 (ko) 거푸집의 슬리브 고정구
KR101231045B1 (ko) 천정 마감재 설치용 인서트
KR100762974B1 (ko) 콘크리트 건축물의 층간 슬라브 결로방지용 단열재 고정구
KR20050092158A (ko) 맨홀 제작용 거푸집
KR20090096964A (ko) 파이프 관통 슬리브용 거푸집 분리장치
KR200344194Y1 (ko) 다층식 구조로 된 건축물의 배관 고정 슬리브
KR200398872Y1 (ko) 건축용 개구부 덮개 구조물
TWI770515B (zh) 建築預埋構件、建築物結構及固定和拆卸建築預埋構件之施工方法
KR200376965Y1 (ko) 건축물천정용 콘크리트인서트
KR200335422Y1 (ko) 건축용 부자재 고정구의 지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4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07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4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