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44194Y1 - 다층식 구조로 된 건축물의 배관 고정 슬리브 - Google Patents

다층식 구조로 된 건축물의 배관 고정 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4194Y1
KR200344194Y1 KR20-2003-0034887U KR20030034887U KR200344194Y1 KR 200344194 Y1 KR200344194 Y1 KR 200344194Y1 KR 20030034887 U KR20030034887 U KR 20030034887U KR 200344194 Y1 KR200344194 Y1 KR 2003441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ipes
flange
sleeve
main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48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명수
Original Assignee
장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명수 filed Critical 장명수
Priority to KR20-2003-00348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41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41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419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9/00Connecting arrangements, e.g. joints, specially adapted for pipes of brittle material, e.g. glass, earthenware
    • F16L49/02Joints with a sleeve or sock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층식 구조로 된 건축물의 배관 고정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층 건물 각각의 층에 설치되는 오수관, 공기관, 배수관 및 급수관 등의 배관을 고정하여 연결하도록 하는 슬리브에 있어서, 구조를 간소화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절감하도록 함과 동시에, 콘크리트 타설 후, 배관의 설치 작업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설치 및 시공에 따른 사용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다층식 구조로 된 건축물의 배관 고정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다층 건물 각각의 층에 설치되는 오수관, 공기관, 배수관 및 급수관 등의 배관을 고정하여 연결하도록 하는 슬리브에 있어서, 원통 형상의 본체 하측 단부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면서 외주연에 다수개의 돌출부를 갖는 플랜지와, 플랜지 하부면에 본체의 관통 직경과 동일하면서 플랜지 보다 직경이 작게 하향 돌출 형성된 환턱과, 플랜지의 돌출부와 환턱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통공과, 본체 상단부가 밀폐되도록 형성하되, 본체의 관통부위에 동일한 직경으로 절취공이 형성되어 외압에 의해 개방되도록 된 개방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층식 구조로 된 건축물의 배관 고정 슬리브{Pipe arrangement fixing sleeve}
본 고안은 다층식 구조로 된 건축물의 배관 고정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층 건물 각각의 층에 설치되는 오수관, 공기관, 배수관 및 급수관 등의 배관을 고정하여 연결하도록 하는 슬리브에 있어서, 구조를 간소화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절감하도록 함과 동시에, 콘크리트 타설 후, 배관의 설치 작업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설치 및 시공에 따른 사용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다층식 구조로 된 건축물의 배관 고정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리브는 "긴 축 등을 끼우는 쇠붙이"라는 뜻을 갖고 있으며, 건축분야에서는 건물에 설치되는 오수관, 공기관, 배수관 및 급수관 등의 배관을 고정할 수 있도록 거푸집에 고정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슬리브의 종래 기술로 "공사장 건물의 바닥 슬리브 구조(국내 실용신안등록 제 0326550호)" 외 다수가 소개된 바 있으나, 대부분 구조가 복잡하였다.(상기 선행기술 공보 참조)
이를 간단히 설명하면, 스탠드형상을 갖는 슬리브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측으로 연장·형성되어 내측에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몸체의 상부측으로 배수관파이프가 연통·결합되는 집수부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고정부의 하단 외측둘레부에는 다수개의 나사체결돌기가 형성되고, 그 상부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내측의 공간부와 연통되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집수부는 상부가 개구되어 그 상부측 개구단부에 걸름망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방으로 배수관파이프가 연통·결합되는 연결관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공보의 첨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제조와 이에 따른 생산성 및 비용 측면에서 경쟁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설치 구조가 복잡하여 설치 시공상에 문제점이 있을 뿐 아니라, 기존의 일반적인 슬리브는 단순한 원통형상으로 되어 있음으로 해서 콘크리트 슬라브 타설 후, 거푸집 제거 시 슬라브로부터 이탈하거나 부분 돌출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상기 종래의 슬리브는 공사 현장의 바닥면에 임시 배수로를 형성하기 위해 바닥면(슬라브)에 매설시공하여 이와 연통·결합되는 배수관파이프를 통해 건물의 각층 공사현장에서 발생되는 오·폐수를 지면으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배수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본 고안과 설치 목적은 다르나, 본 고안과 혼동이 있을 것을 우려하여 종래 기술로 참고 설명한 것이며, 종래의 배관 고정 구조는 단순히 거푸집을 별도로 배관이 위치하는 부분에 높게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도록 된 것으로, 거푸집을 설치하고 다시 제거해야 하는 등 작업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본 고안은 다층 건물 각각의 층에 설치되는 오수관, 공기관, 배수관 및 급수관 등의 배관을 고정하여 연결하도록 하는 슬리브에 있어서, 구조를 간소화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절감하도록 함과 동시에, 콘크리트 타설 후, 배관의 설치 작업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설치 및 시공에 따른 사용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다층식 구조로 된 건축물의 배관 고정 슬리브를 제공함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층 건물 각각의 층에 설치되는 오수관, 공기관, 배수관 및 급수관 등의 배관을 고정하여 연결하도록 하는 슬리브에 있어서, 원통 형상의 본체 하측 단부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면서 외주연에 다수개의 돌출부를 갖는 플랜지와, 플랜지 하부면에 본체의 관통 직경과 동일하면서 플랜지 보다 직경이 작게 하향 돌출 형성된 환턱과, 플랜지의 돌출부와 환턱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통공과, 본체 상단부가 밀폐되도록 형성하되, 본체의 관통부위에 동일한 직경으로 절취공이 형성되어 외압에 의해 개방되도록 된 개방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설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의 a 내지 d 는 본 고안의 설치 단계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 : 슬리브 11 : 본체
12 : 플랜지 13 : 돌출부
14 : 환턱 15 : 통공
16 : 개방판 17 : 절결공
1 : 거푸집 2 : 지지철근
3 : 배관
본 고안의 설명을 위한 첨부 도면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설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4의 a 내지 d 는 본 고안의 설치 단계를 보인 단면도로서, 이중 도면 부호 10은 본 고안인 슬리브이다.
본 고안은 첨부 도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층 건물 각각의 층에 설치되는 오수관, 공기관, 배수관 및 급수관 등의 배관을 고정하여 연결하도록 하는 슬리브(10)에 있어서, 원통 형상의 본체(11) 하측 단부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면서 외주연에 다수개의 돌출부(13)를 갖는 플랜지(12)와, 플랜지(12) 하부면에 본체(11)의 관통 직경과 동일하면서 플랜지(12) 보다 직경이 작게 하향 돌출 형성된 환턱(14)과, 플랜지(12)의 돌출부(13)와 환턱(14)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통공(15)과, 본체(11) 상단부가 밀폐되도록 형성하되, 본체(11)의 관통부위와 동일한 직경으로 절취공(17)이 형성되어 외압에 의해 개방되도록 된 개방판(16)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첨부 도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거푸집(1) 상단에 필요한 직경 및 높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다수개를 고정설치 고, 지지철근(2)이 설치된 부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라브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본 고안은 첨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가 밀폐되어 있으나, 슬라브 형성 후, 첨부 도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정의 힘을 가하게 되면, 절취공(17)이 형성된 부분이 떨어지면서 본체(11) 상부가 개방되어 배관(3)을 고정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를 단계적으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첨부 도면 도 4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공(15)을 통해 고정수단을 박아 거푸집에 고정하고, 첨부 도면 도 4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라브가 형성되도록 한 후, 첨부도면 도 4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11) 상부면의 개방판(16)에 소정의 힘을 가해 절취공(17) 내측 부분이 떨어져 분리되도록 한다.
이때, 거푸집(1)의 제거는 개방판(16)의 제거 전, 후 언제든 가능하다.
이후, 첨부 도면 도 4의 d)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관(3)을 설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 시공되는 본 고안은 구조가 매우 간소하고, 콘크리트 타설 후 제거할 필요가 없으며, 설치되는 배관(3)이 각각의 직경에 맞는 슬리브(10)에 끼워져 고정되므로, 견고히 고정 설치된다.
또한, 본 고안은 플랜지(12) 부분이 본체(11) 하부면의 환턱(14) 보다 외부로 돌출되어 단턱져 있어 콘크리트 타설 후, 거푸집(1)을 제거할 때 슬리브(10)가 이탈하여 슬라브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되는 본 고안은다층 건물 각각의 층에 설치되는 오수관, 공기관, 배수관 및 급수관 등의 배관을 고정하여 연결하도록 하는 슬리브에 있어서, 구조를 간소화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절감하도록 함과 동시에, 콘크리트 타설 후, 배관의 설치 작업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설치 및 시공에 따른 사용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다층 건물 각각의 층에 설치되는 오수관, 공기관, 배수관 및 급수관 등의 배관을 고정하여 연결하도록 하는 슬리브(10)에 있어서, 원통 형상의 본체(11) 하측 단부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면서 외주연에 다수개의 돌출부(13)를 갖는 플랜지(12)와, 플랜지(12) 하부면에 본체(11)의 관통 직경과 동일하면서 플랜지(12) 보다 직경이 작게 하향 돌출 형성된 환턱(14)과, 플랜지(12)의 돌출부(13)와 환턱(14)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통공(15)과, 본체(11) 상단부가 밀폐되도록 형성하되, 본체(11)의 관통부위와 동일한 직경으로 절취공(17)이 형성되어 외압에 의해 개방되도록 된 개방판(16)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식 구조로 된 건축물의 배관 고정 슬리브.
KR20-2003-0034887U 2003-11-07 2003-11-07 다층식 구조로 된 건축물의 배관 고정 슬리브 Expired - Lifetime KR2003441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887U KR200344194Y1 (ko) 2003-11-07 2003-11-07 다층식 구조로 된 건축물의 배관 고정 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887U KR200344194Y1 (ko) 2003-11-07 2003-11-07 다층식 구조로 된 건축물의 배관 고정 슬리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4194Y1 true KR200344194Y1 (ko) 2004-03-10

Family

ID=49426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4887U Expired - Lifetime KR200344194Y1 (ko) 2003-11-07 2003-11-07 다층식 구조로 된 건축물의 배관 고정 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419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396Y1 (ko) * 2008-06-11 2010-12-13 하헌식 복합형 슬리브
KR101227606B1 (ko) 2008-03-26 2013-01-29 도시바 플랜트 시스템즈 앤드 서비시즈 코포레이션 바닥 슬래브 관통 구조 및 바닥 슬래브 관통 구멍의 보수 방법
KR101325966B1 (ko) 2012-02-24 2013-11-07 신홍진기업주식회사 다층식 구조로 된 건축물의 배관 고정 슬리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606B1 (ko) 2008-03-26 2013-01-29 도시바 플랜트 시스템즈 앤드 서비시즈 코포레이션 바닥 슬래브 관통 구조 및 바닥 슬래브 관통 구멍의 보수 방법
KR200451396Y1 (ko) * 2008-06-11 2010-12-13 하헌식 복합형 슬리브
KR101325966B1 (ko) 2012-02-24 2013-11-07 신홍진기업주식회사 다층식 구조로 된 건축물의 배관 고정 슬리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8900B2 (en) Rough-in adapter
CA3075584C (en) Ligature resistant floor drain and grate
EP1947253B1 (en) Floor drain
KR200437763Y1 (ko) 거푸집의 배관 슬리브 고정구
KR200344194Y1 (ko) 다층식 구조로 된 건축물의 배관 고정 슬리브
KR20120033525A (ko) 건축용 슬리브 고정판
KR100776413B1 (ko) 교량용 배수장치
KR20100009320U (ko) 배관 연결용 관통 슬리브
KR100536430B1 (ko) 건축용 부자재 고정구의 지지방법 및 그 구조
KR200234482Y1 (ko) 바닥 배수용 배수전 유니트
JP2008101333A (ja) 排水装置
KR100815193B1 (ko) 배수트랩조립체
KR101690457B1 (ko) 배수 트랩
KR200393504Y1 (ko) 건축물의 비트용 배관보호슬리브
JPH019884Y2 (ko)
JP2018025014A (ja) 排水ホッパー
KR101186776B1 (ko) 배수관 고정구를 구비한 세면대 배수장치
KR200311577Y1 (ko) 배수용 집수구
KR20080035810A (ko) 입상 성형 슬리브 설치 구조체 및 그것을 이용한 공사 방법
KR200165003Y1 (ko) 수도용 배수대
KR200396631Y1 (ko) 배관 고정용 받침대
KR200335422Y1 (ko) 건축용 부자재 고정구의 지지구조
KR200348102Y1 (ko) 세면기용 매립형 배수관
KR20010025458A (ko) 바닥 배수용 배수전 유니트
KR200181575Y1 (ko) 베란다용 배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31107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22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110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40322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110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50325

Effective date: 20050325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UJ0210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vocation

Patent event code: UJ02102R02D

Patent event date: 20050325

Request date: 20050328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Appeal identifier: 2005103000084

Decision date: 20060428

Request date: 20050325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Appeal identifier: 2005103000084

Decision date: 20050325

UJ1201 Withdrawal of trial

Patent event code: UJ12011R01D

Patent event date: 20050325

Comment text: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Appeal identifier: 2005103000084

Decision date: 20060428

Request date: 20050328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Appeal identifier: 2005103000084

Decision date: 20050325

Request date: 20050325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UJ0210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vocation

Patent event code: UJ02102R02D

Patent event date: 20050328

Request date: 20050328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Appeal identifier: 2005103000085

Decision date: 20060428

Request date: 20050325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Appeal identifier: 2005103000085

Decision date: 20050325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U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date: 20060501

Patent event code: UJ13011S10D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Appeal identifier: 2005103000085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Decision date: 20060428

Request date: 20050328

Appeal identifier: 2005103000085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Decision date: 20050325

Request date: 20050325

U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 date: 20050328

Decision date: 20060428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 date: 20050325

Decision date: 20050325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60530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2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2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2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