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096964A - 파이프 관통 슬리브용 거푸집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관통 슬리브용 거푸집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6964A
KR20090096964A KR1020080022072A KR20080022072A KR20090096964A KR 20090096964 A KR20090096964 A KR 20090096964A KR 1020080022072 A KR1020080022072 A KR 1020080022072A KR 20080022072 A KR20080022072 A KR 20080022072A KR 20090096964 A KR20090096964 A KR 20090096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nail
pipe
sleeve
h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2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추길
Original Assignee
전추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추길 filed Critical 전추길
Priority to KR1020080022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6964A/ko
Publication of KR20090096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6964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E04G15/061Non-reusable fo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 관통 슬리브용 거푸집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층 건물의 중간 슬라브 또는 건물의 벽체 사이를 통과하는 배관 파이프를 설치할 수 있는 파이프 관통 슬리브의 고정 돌출부를 통하여 거푸집에 고정한 후 슬라브 공사를 마감하고 거푸집을 제거할 때 거푸집과 함께 고정한 못과 분리링이 동시에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못을 별도로 분리하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는 파이프 관통 슬리브용 거푸집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배관 관통홀(2)을 성형하며 하측 선단의 외경으로 못 구멍(20)을 갖는 고정 돌출부(5)를 형성하여 못(7)으로 거푸집(11)에 고정하여 건물 슬라브(12)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이프 관통 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고정 돌출부(5)의 못 구멍(20)에서 머리(8)가 달린 못(7)으로 거푸집(11)에 고정하며, 상기 못 구멍(20)을 갖는 분리링(24)의 상측에 다수의 절개공(21)을 형성하여 연결부(22)로 고정 돌출부(5)와 연결하고, 상기 분리링(24)의 외경으로 공간(23)을 형성하여 거푸집(11)의 제거와 함께 못(7)과 분리링(24)이 제거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거푸집, 관통 슬리브, 분리링

Description

파이프 관통 슬리브용 거푸집 분리장치{Separation device of a mold for a pipe through sleeve}
본 발명은 파이프 관통 슬리브용 거푸집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층 건물의 중간 슬라브 또는 건물의 벽체 사이를 통과하는 배관 파이프를 설치할 수 있는 파이프 관통 슬리브의 고정 돌출부를 통하여 거푸집에 고정한 후 슬라브 공사를 마감하고 거푸집을 제거할 때 거푸집과 함께 고정한 못과 분리링이 동시에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못을 별도로 분리하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는 파이프 관통 슬리브용 거푸집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층 건물을 건축하는 경우에는 중간 슬라브(12)와 벽체를 형성하게 되며, 슬라브와 벽체 사이에는 필요한 경우 다양한 용도의 배관 파이프를 설치할 목적으로 관통 슬리브(1)를 함께 고정되도록 설치하게 된다.
건물 슬라브의 성형이 완료되면 각 층을 배관할 목적으로 배관 파이프를 관통 슬라브에 관통시키게 된다.
상기 관통 슬리브는 건물 슬라브(12)를 완성하기 이전에 설치하게 되므로 건물 슬라브(12)의 높이 또는 폭에 따른 한쪽 선단에 거푸집(11)을 설치하고, 거푸집(11)의 한 방향으로 배관 파이프를 관통할 위치에 관통 슬리브(1)를 설치한 후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돌출부(5)에 형성한 못 구멍(6)을 통하여 머리(8)가 설치된 못(7)을 박아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거푸집에 관통 슬리브를 고정한 후에는 콘크리트 타설을 통하여 건물 슬라브(12)를 완성시키게 되며, 콘크리트의 양생이 종료되면 거푸집을 제거하게 된다.
그러나 거푸집을 제거하더라도 머리(8)가 형성된 못(7)은 고정 돌출부(5)에 그대로 남아있게 되므로 건물 슬라브(12)의 한 방향으로 못(7)이 돌출된 상태이어서 못의 돌출된 부분을 제거하게 되며, 못의 돌출된 부분을 제거하더라도 남아있는 부분에서 부식이 발생하므로 부식의 방지를 위해 못이 있는 부분에 페인트칠을 하게 되므로 작업이 매우 복잡하고 까다로워 시간과 경비 및 인건비의 소모가 많아지는 결점이 있었다.
이러한 결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못 구멍(6)의 상측으로 못이 관통하는 사출물(10)을 설치한 후 머리가 없는 무드 못(9)을 사용하여 못 구멍(6)을 관통시켜 거푸집(11)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건물 슬라브(12)를 완성하여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거푸집(11)을 제거할 때 무드 못(9)은 머리가 없는 관계로 거푸집(11)을 따라서 당겨지게 되므로 사출물(10)을 관통하여 빠지도록 성형하였다.
그러나 무드 못(9)이 머리가 없지만 거푸집(11)을 당기는 힘에 의해 사출물(10)과 고정 돌출부(5)의 못 구멍(6)을 통과하여 빠지는 것이 매우 어렵게 되어서 무드 못(9)이 제거되는 비율이 40% 정도를 넘지 못하게 되므로 무드 못(9)이 제거되지 않고 남게 되는 것이어서,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제거하거나 절단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관통 슬리브의 상측으로 형성하는 너트와 너트 설치돌기를 인서트 사출성형하여 관통 슬리브에 결합한 후 캡을 결합하여 너트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분리되어 사출성형하는 것이므로 금형을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 것이어서 금형비와 별도 사출성형으로 인한 작업의 어려움이 있으며, 캡의 한 부분이 몸체와 연결되는 것이어서 캡이 삐뚤어진 각도를 갖도록 결합하는 것이므로 외관이 좋지 못한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고정 돌출부의 못구멍 주변으로 분리링을 형성하여 절개공의 한 부분에서 연결부를 통하여 연결하고 나머지 부분에는 공간을 형성하여 거푸집을 제거할 때 적은 힘으로도 못이 분리되어 제거되며, 건물 슬라브를 형성한 후 거푸집과 함께 간편하게 제거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관통 슬리브의 상측으로 너트를 일체형으로 사출성형하여 정확한 사출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관통 슬리브의 고정 돌출부에 형성한 못 구멍을 갖는 분리링이 상측에서 절개공을 제외한 연결부에서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분리링의 외경으로 공간을 형성하여 관통 슬리브를 거푸집에 고정한 후 거푸집을 제거할 때 적은 힘으로도 연결부가 분리되어 못이 분리링과 함께 거푸집을 따라 제거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관통 슬리브의 너트를 보호하는 너트 설치돌기를 일체형으로 성형하여 캡을 씌움으로써 관통 슬리브를 한번에 성형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관통 슬리브의 고정 돌출부에 형성한 못 구멍을 갖는 분리링이 상측에서 절개공을 제외한 연결부에서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분리링의 외경으로 공간을 형성하여 못으로 관통 슬리브를 거푸집에 고정한 후 거푸집을 제거할 때 적은 힘으로도 연결부가 분리되도록 하는 것이므로 거푸집의 분리시 못이 분리링과 함께 거푸집을 따라 간편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못이 관통 슬리브에 남지 않고 분리되는 것이어서 못의 돌출로 인한 후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며, 외관이 미려한 작업상태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관통 슬리브의 너트를 보호하는 너트 설치돌기를 일체형으로 성형하여 캡을 씌움으로써 관통 슬리브를 한번에 성형할 수 있으며, 캡을 조립함으로써 간편하게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관통 슬리비에 대한 설치상태도와 사시도 및 평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하측에서 관통된 배관 관통홀(2)을 갖는 관통 슬리브(1)는 하측 선단에서 외경 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간격에 고정 돌출부(5)를 형성한다.
고정 돌출부(5)의 내부 한 부분에는 못 구멍(20)을 관통시켜 머리(8)가 있는 못(7)을 박아 고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못 구멍(20)을 형성한 분리링(24)은 외경에 공간(23)을 형성하고, 상측의 공간(23)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다수의 절개공(21)을 형성하고 이 절개공(21)을 소정의 간격에서 연결부(22)를 통하여 얇게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배관 관통홀(2)의 상측 선단에는 덮개(3)를 형성하여 분리단(4)으로 원주 방향에서 연결되어 있으며, 분리단(4)의 선단 원주방향에 소정의 간격으로 볼트 조립공(13)을 형성하고, 볼트 조립공(13)의 하측에는 너트 설치돌기(14)를 형성하여 너트(30)가 인서트 사출성형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너트(30)의 하측에는 캡 조립공(31)을 형성하여 한 부분에 돌기(33)를 갖는 캡(32)을 씌워 내부를 보호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관통 슬리브(1)는 건물 슬라브(12) 또는 벽체를 성형하기 위하여 거푸집(11)을 설치한 후 파이프 또는 배관이 관통할 배관 관통홀(2)을 설치하기 위하여 고정 돌출부(5)가 거푸집(11)의 한 부분에 위치하도록 하고 머리(8)가 달린 못(7)을 이용하여 못 구멍(2)에 넣어 통상적인 망치 등의 공구로 머리(8)를 가압하여 거푸집(11)에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되도록 한다.
거푸집(11)에 관통 슬리브(1)를 고정시킨 후에는 콘크리트를 공급하여 건물 슬라브(12)를 성형하고 콘크리트가 양생된 다음에는 거푸집(11)을 제거하게 된다.
상기 거푸집(11)을 제거하게 되면서 건물 슬라브(12)로부터 거푸집(11)이 분리되면서 거푸집(11)이 분리되는 힘으로 못(7)을 당기게 된다.
당겨지는 못(7)은 머리(8)이 힘이 가해지게 되며, 머리(8)에 가해지는 힘은 절개공(21)에서 얇게 연결된 연결부(22)를 고정 돌출부(5)로부터 분리시키게 되므로 연결부(22)가 분리되면서 못(7)과 분리링(24)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푸집(11)을 따라서 분리되는 것이다.
상기 분리링(24)은 외경으로 공간(23)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거푸집(11)이 분리될 때 분리링(24)이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며, 연결부(22)가 절개공(21)을 제외한 부분에서 고정 돌출부(5)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적은 힘으로도 손쉽게 분리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거푸집(11)을 분리할 때 못(7)은 머리(8)에 의하여 분리링(24)의 상측에서 연결부(22)에 집중적으로 힘을 제공하게 되므로 쉽게 분리되는 것이며, 거푸집(11)에 연결된 못(7)은 분리링(24)과 함께 간편하게 분리하는 것이다.
그리고 관통 슬리브(11)의 볼트 조립공(13)에 형성한 너트(30)는 상측에서 삽입되는 통상의 볼트가 볼트 조립공(13)을 통하여 결합하는 것이며, 하측의 캡 조립공(31)에는 캡(32)을 결합하는 경우 돌기(33)에 의하여 내부에 삽입된 후 빠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조립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관통 슬리브(1)에 파이프를 관통하는 경우에는 덮개(3)에 충격을 가하게 되면 분리단(4)을 따라서 충격에 의해 쉽게 덮개(3)가 분리되므로 배관 관통홀(2)을 통하여 편리하게 배관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덮개(3)와 너트 설치돌기(14) 등은 하측과 일체형으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며, 금형에 따라서 너트 설치돌기(14)와 고정 돌출부(5)의 간격을 조절함에 따라 관통 슬리브(1)의 높이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관통 슬리브(1)의 상부가 개방되어 있어서 발코니(우수)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관통 슬리브(1)의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 파이프를 삽입하여 연결할 수 있는 구조에 관통하는 파이프의 규격에 따라서 양변기용, 씽크대용, 욕조용, 세면기용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므로 다양하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건물의 각층과 각 칸 사이의 벽체에서 다양한 배관작업을 위해 관통 슬리브를 거푸집에 고정할 때 고정 돌출부의 못 구멍을 이용하여 머리가 있는 못으로 간편하고 정확하게 고정하여 건물 슬라브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하며, 콘크리트의 양생이 종료되어 거푸집을 제거하는 힘으로 못이 절개공의 연결부에서 손쉽게 분리되므로 분리링이 거푸집에 못과 함께 간편하게 제거되도록 하는 것이므로, 거푸집의 제거 후 못을 별도로 정리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 관통 슬리브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완성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 는 종래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 는 종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고정 돌출부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고정 돌출부에 대한 확대 평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고정 돌출부에 대한 분리상태 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너트 설치돌기를 일체형으로 성형한 상태의 확대 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너트 설치돌기를 일체형으로 성형한 상태의 분리 단면도
도 12 는 본 발명의 관통 슬리브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설치상태도
도 13 은 본 발명의 관통 슬리브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설치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관통 슬리브 2 : 배관 관통홀
3 : 덮개 4 : 분리단
5 : 고정 돌출부 6, 20 : 못 구멍
7 : 못 8 : 머리
11 : 거푸집 12 : 건물 슬라브
13 : 볼트 조립공 14 : 너트 설치돌기
21 : 절개공 22 : 공간
23 : 공간 24 : 분리링
30 : 너트 31 : 캡 조립공
32 : 캡 33 : 돌기

Claims (1)

  1. 배관 관통홀(2)을 성형하며 하측 선단의 외경으로 못 구멍(20)을 갖는 고정 돌출부(5)를 형성하여 못(7)으로 거푸집(11)에 고정하여 건물 슬라브(12)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이프 관통 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고정 돌출부(5)의 못 구멍(20)에서 머리(8)가 달린 못(7)으로 거푸집(11)에 고정하며, 상기 못 구멍(20)을 갖는 분리링(24)의 상측에 다수의 절개공(21)을 형성하여 연결부(22)로 고정 돌출부(5)와 연결하고, 상기 분리링(24)의 외경으로 공간(23)을 형성하여 거푸집(11)의 제거와 함께 못(7)과 분리링(24)이 제거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관통 슬리브용 거푸집 분리장치.
KR1020080022072A 2008-03-10 2008-03-10 파이프 관통 슬리브용 거푸집 분리장치 Ceased KR200900969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072A KR20090096964A (ko) 2008-03-10 2008-03-10 파이프 관통 슬리브용 거푸집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072A KR20090096964A (ko) 2008-03-10 2008-03-10 파이프 관통 슬리브용 거푸집 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6964A true KR20090096964A (ko) 2009-09-15

Family

ID=41356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2072A Ceased KR20090096964A (ko) 2008-03-10 2008-03-10 파이프 관통 슬리브용 거푸집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696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412B1 (ko) * 2018-04-13 2018-07-25 주식회사 조선아이디 슬라브용 입상슬리브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30026058A (ko) * 2021-08-17 2023-02-24 (주)영진에스피산업 관통 슬리브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412B1 (ko) * 2018-04-13 2018-07-25 주식회사 조선아이디 슬라브용 입상슬리브 및 이의 시공방법
CN110374325A (zh) * 2018-04-13 2019-10-25 株式会社朝鲜Id 用于板坯的立式套管及其构造方法
CN110374325B (zh) * 2018-04-13 2021-09-14 株式会社朝鲜Id 用于板坯的立式套管及其构造方法
KR20230026058A (ko) * 2021-08-17 2023-02-24 (주)영진에스피산업 관통 슬리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4442B1 (ko) 방수턱 거푸집 고정구
KR200437763Y1 (ko) 거푸집의 배관 슬리브 고정구
KR20120033525A (ko) 건축용 슬리브 고정판
KR20090096964A (ko) 파이프 관통 슬리브용 거푸집 분리장치
KR20070042940A (ko) 복합 단열재용 고정장치
KR101022795B1 (ko) 콘크리트 매설용 인서트
KR200442013Y1 (ko) 벽체 관통 스리브 구조
KR20100026851A (ko)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
KR200459900Y1 (ko) 거푸집의 슬리브 고정구
KR20190019654A (ko) 폼타이에 결합되는 거푸집 고정구
KR101020641B1 (ko) 철근콘크리트구조의 거푸집공사에서 합판거푸집에 고정되어 콘크리트구조물에 매립되는 전기박스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
KR101114266B1 (ko)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를 설치하기 위한 벽체 관통용 슬리브
KR100850230B1 (ko) 입상 성형 슬리브 설치 구조체 및 그것을 이용한 공사 방법
KR100947983B1 (ko) 관통슬리브용 고정구
KR100536430B1 (ko) 건축용 부자재 고정구의 지지방법 및 그 구조
KR20120113095A (ko) 천장용 단자함
KR100915629B1 (ko) 건축용 파이프 고정구
KR20080087603A (ko) 중공 파이프용 가설 고정구
KR101122349B1 (ko) 배관 고정장치
KR20080109133A (ko) 창호벽용 앵커의 시공방법 및 그 구조
KR200376965Y1 (ko) 건축물천정용 콘크리트인서트
KR102278317B1 (ko) 건축 구조물용 핀 앙카
KR200237781Y1 (ko) 건축용 슬리브 결합장치
KR200335422Y1 (ko) 건축용 부자재 고정구의 지지구조
KR200311680Y1 (ko) 누전방지용 배선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3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2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008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2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